KR20160012860A - 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860A
KR20160012860A KR1020140124981A KR20140124981A KR20160012860A KR 20160012860 A KR20160012860 A KR 20160012860A KR 1020140124981 A KR1020140124981 A KR 1020140124981A KR 20140124981 A KR20140124981 A KR 20140124981A KR 20160012860 A KR20160012860 A KR 20160012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inclination
numbered
woven
od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345B1 (ko
Inventor
민병관
Original Assignee
민병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병관 filed Critical 민병관
Publication of KR20160012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3Inside roller shades or bli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다수의 경사와 위사로 직조된 직물로서, 각각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제1직조부 및 제2직조부; 서로 분리되게 직조된 표면층 및 이면층으로 이루지고, 제1직조부와 제2직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직조부; 및 제1직조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 제2직조부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 사이에 위치하고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여 직물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직물의 위치 변화시 흔들리는 제1요동부를 각각 구비하며, 위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특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물 및 그 제조방법{Fabric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튼, 침구류, 의류, 롤 스크린 및 블라인드 등의 원단 소재로 사용되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적인 미감을 갖는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경사(날실)와 위사(씨실)가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여 짜여져 평면체를 형성하는 천으로서, 경사와 위사의 교차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직물은 의류 또는 각종의 봉제품을 만드는 원단 소재로 제공된다. 종래의 직물은 주로 색상의 배합이나 평면적인 문양 등으로 단조롭게 장식되어 있어, 화려하고 아름다운 의류 또는 봉제품을 원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역부족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물 원단에 다수의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특정 모양 및 문자의 수(繡)를 놓아 원단에 미적인 아름다움을 부가하는 자수가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자수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직물은 무늬 모양이 평면 또는 딱딱한 입체감을 주는 정적인 형태로만 자수되어 있어 입체감이 적고 장식효과가 크지 않으며, 동시에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769500 B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공정으로 장식미와 입체감 및 동적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다수의 경사와 위사로 직조된 직물로서, (1)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둘 이상의 제1직조부, (2) 서로 분리되게 직조된 표면층 및 이면층으로 이루지고, 하나의 제1직조부와 다른 하나의 제1직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직조부와, (3) 제1특수사나 제2특수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특수사는 제1직조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제2직조부의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요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위사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특수사는 제2직조부에 고정되는 제3고정부와, 제2직조부의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요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경사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특수사는 제1고정부가 제1직조부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특수사는 제3고정부가 제2직조부의 둘 이상의 위사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특수사는 제1직조부나 제2직조부, 또는 제1직조부 및 제2직조부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제1노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특수사는 제2직조부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제2노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특수사는 제1노출부, 제1고정부, 제1요동부, 제1고정부 및 제1노출부를 차례로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특수사는 제2노출부, 제3고정부, 제2요동부, 제3고정부 및 제2노출부를 차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특수사는 제1요동부 중 일부가 제2직조부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직조부 및 제2직조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직조부 및 제2직조부는 위사를 공유하되, 위사 중 일부는 표면층으로 직조되고, 나머지는 이면층으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는 연속으로 배열된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을 포함하되, 제1그룹의 경사는 모든 위사와 직조되어 어느 한 제1직조부를 이루고, 제2그룹 중 일부 경사는 일부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을 이루며, 제2그룹 중 나머지 경사는 나머지 위사와 직조되어 이면층을 이루고, 제3그룹의 경사는 모든 위사와 직조되어 다른 한 제1직조부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어느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어느 한 층을 이룰 수 있으며,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다른 나머지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다른 나머지 한 층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은 (1) 다수의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제1직조부와, 표면층 및 이면층으로 이루지고 어느 한 제1직조부와 다른 한 제1직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직조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2) 제1특수사를 위사 방향으로 삽입하여, 어느 한 제1직조부에 고정되는 어느 한 제1고정부와,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요동부와, 다른 한 제1직조부에 고정되는 다른 한 제1고정부를 제1특수사에 형성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는, 연속으로 배열된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을 포함하도록 상기 경사를 셋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되, 제1그룹의 경사를 모든 위사와 직조하여 상기 어느 한 제1직조부를 형성하고, 제2그룹 중 일부 경사를 일부 위사와 직조하여 제2직조부의 표면층을 형성하며, 제2그룹 중 나머지 경사를 나머지 위사와 직조하여 제2직조부의 이면층을 형성하고, 제3그룹의 경사를 모든 위사와 직조하여 상기 다른 한 제1직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단계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어느 위사를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어느 경사와 직조하여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어느 한 층을 형성하고,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다른 나머지 위사를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다른 나머지 경사와 직조하여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다른 나머지 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단계는, 제1특수사의 제1부분을 제1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어느 한 제1고정부를 형성하고, 제1특수사의 제2부분을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관통시켜 상기 제1요동부를 형성하며, 제1특수사의 제3부분을 제3그룹 중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다른 한 제1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의 표면 밖으로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의 제1노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1요동부 중 일부를 제2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의 제2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계는, (1)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1단계, (2)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2단계, (3)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3단계, (4)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중 제1-2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a는 자연수)
이때,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그룹의 표면 밖으로 제1특수사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에 제1노출부를 더 형성하되, (1) 제1노출부를 제1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2) 제1노출부를 제2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며, (3) 제1노출부를 제3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1요동부 중 일부를 제2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에 제2고정부를 더 형성하되, (1) 제2고정부를 표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2) 제2고정부를 이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단계는, (1)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1'단계, (2)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2'단계, (3)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3'단계, (4)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중 제1-2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4'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a는 자연수)
이때,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그룹의 표면 밖으로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의 제1노출부를 더 형성하되, (1) 제1노출부를 제1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2) 제1노출부를 제2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며, (3) 제1노출부를 제3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제1요동부 중 일부를 제2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에 제2고정부를 더 형성하되, (1) 제2고정부를 표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2) 제2고정부를 이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제1특수사 또는 제2특수사가 제2직조부의 표면층 및 이면층 사이의 내부에서 흔들리고, 동시에 제1직조부나 제2직조부의 표면 외부로 노출되면서 장식효과와 입체감 및 동적 미감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외관이 더욱 화려해지고 고급스러워져 수요자의 다양한 미적요구를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1특수사 및 제2특수사가 위사 또는 경사와 직조 방식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최소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최소 구성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3(a),(b)는 2 이상의 제2직조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을 나타내는 도면.
도 4(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의 최소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의 최소 구성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의 제2특수사(230)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의 최소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을 나타내는 평면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에서 제2직조부(120)를 확대한 평면 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에서 제2직조부(120)의 표면층(121)과 이면층(122)을 벌려서 확대한 측면 사진.
도 11은 2 이상의 제2직조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을 나타내는 평면 사진.
도 12(a) 내지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제1단계(S100)의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제2단계(S200)의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S200)에서 제1노출부(133)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a),(b),(c) 및 도 22(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S200)에서 제1노출부(133)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직물"이라 함은 다수의 경사와 위사가 서로 상하로 반복 교차하여 직조된 것을 의미하고, "X가 경사와 직조된다"는 표현은 X가 경사와 상하로 반복 교차되어 짜여짐을 의미하며, "Y가 위사와 직조된다"는 표현은 Y가 위사와 상하로 반복 교차되어 짜여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경사"라 함은 날실을 의미하고, "위사"라 함은 씨실을 의미하며, 첨부된 도면에서 "경사"와 "위사"는 편의상 각각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최소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1(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1(b)는 도 1(a)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은 다수의 경사(101)와 위사(102)로 직조되는 직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조부(110; 110a, 110b), 제2직조부(120) 및 제1특수사(1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직조부(110)는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제2직조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2개의 제1직조부(110a, 110b) 사이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은 최소한 어느 하나의 제1직조부(110a), 제2직조부(120) 및 다른 하나의 제1직조부(110b)가 차례로 연결되어 하나의 직물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직조부(110)와 제2직조부(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은 제1직조부(110), 제2직조부(120), 제1직조부(110), 제2직조부(120), 제1직조부(110) 등과 같이 제1직조부(110) 및 제2직조부(120)를 반복적으로 구성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최소 구성인 어느 하나의 제1직조부(110a), 제2직조부(120) 및 다른 하나의 제1직조부(110b)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직조부(110)는 제2직조부(120)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제1직조부(110a, 110b)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직조되며, 이때 각 제1직조부(110a, 110b)는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반면, 제2직조부(120)는 서로 마주보며 분리되게 직조된 이중층, 즉 표면층(121) 및 이면층(122)으로 이루지며, 두 개의 제1직조부(110a, 110b) 사이를 연결한다. 즉, 이중층인 제2직조부(120)의 일측은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른 한 제1직조부(110b)와 연결된다.
도 2(a),(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최소 구성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2(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2(b)는 도 2(a)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특히, 도 2(a),(b)에서 경사(101)는 하늘색실로 도시하였고, 위사(102)는 검정색실, 회색실, 분홍색실, 보라색실로 각각 도시하였으며, 제1특수사(130)는 붉은 무늬의 실로 도시하였다.
다수의 경사(10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으로 배열된 3가지 그룹(101a, 101b, 101c)으로 나뉘어 차례대로 어느 한 제1직조부(110a), 제2직조부(120) 및 다른 한 제1직조부(110b)로 직조되는 반면, 다수의 위사(102)는 어느 한 제1직조부(110a), 제2직조부(120) 및 다른 한 제1직조부(110b)에 함께 공유되어 직조된다. 상기 경사(101)의 그룹(101a, 101b, 101c)을 각각 제1그룹(101a), 제2그룹(101b) 및 제3그룹(101c)이라 한다. 즉, 제1그룹(101a)의 경사는 모든 위사(102)와 직조되어 어느 한 제1직조부(110a)를 이루고, 제3그룹(101c)의 경사는 모든 위사(102)와 직조되어 다른 한 제1직조부(110b)를 이루는 한편, 제2그룹(101b)의 경사 중 일부는 일부(검정색실 및 분홍색실)의 위사(102)와 직조되어 표면층(121)을 이루고, 제2그룹(101b)의 경사 중 나머지의 경사는 다른(회색실 및 보라색실) 위사(102)와 직조되어 이면층(122)을 이룬다. 이에 따라, 제2직조부(120)의 표면층(121)과 이면층(122)은 제1직조부(110)에 비해 각각 적은 경사 및 위사의 수를 갖게 되어, 더 투명한 층을 이룬다. 도 2(a)에서 제2직조부(120)는 이면층(122)을 생략하고 표면층(121)만 나타나도록 도시하였다. 즉, 도 2(a)에서 이면층(122)은 표면층(121)과 마찬가지로, 제2직조부(120)의 경사(101b) 중, 표면층(121)으로 직조된 것 외의 나머지가 회색실과 보라색실의 위사(102)와 직조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직조부(120)에 해당하는 경사(101b) 중 반은 표면층(121)으로 직조되고, 나머지 반은 이면층(122)으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위사(102) 중 반은 표면층(121)으로 직조되고, 나머지 반은 이면층(122)으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직조부(120)의 표면층(121)과 이면층(122)은 한 층으로 이루어진 제1직조부(110)에 비해 각각 반이 적은 위사의 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어느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중 어느 한 층을 이루며,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다른 나머지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중 다른 한 층을 이룬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검정색실 및 분홍색실)와 직조되어 표면층(121)을 이루며,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는 짝수번째 위사(회색실 및 보라색실)와 직조되어 이면층(122)을 이룰 수 있다.
한편, 제1특수사(130)는 경사(101) 및 위사(102)와 비교하여 실의 종류, 색, 모양 및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달라 장식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제1고정부(131), 제1요동부(132) 및 제1노출부(133)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사(102)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2에서 제1고정부(131)는 파선으로 표시하였고, 제1요동부(132)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제1노출부(133)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고정부(131)는 제1직조부(110)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이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제1고정부(131a)는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제1고정부(131b)는 다른 한 제1직조부(110b)에 고정된다. [이하,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에 고정된 제1고정부(131)를 "제1a고정부(131a)"라 하고, 다른 한 제1직조부(110b)에 고정된 제1고정부(131)를 "제1b고정부(131b)"라 함]
특히, 제1고정부(131)는 제1직조부(110)의 적어도 둘 이상의 경사(101)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1고정부(131)가 다른 요소(접착, 제3의 실로 봉합 등)를 이용하여 제1직조부(110)에 고정될 경우, 외관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표면이 거칠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은 제1고정부(131)가 다른 요소(접착, 제3의 실로 봉합 등)를 이용하여 제1직조부(110)에 고정되지 않고, 위사(102)가 경사(101)와 직조되는 것과 같이, 위사(102) 방향으로 배치된 제1특수사(130)가 적어도 둘 이상의 경사(101)와 직조되는 방식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외관이 자연스럽고, 표면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직조 공정 외에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어 제1고정부(131)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제1요동부(132)는 제1a고정부(131a)와 제1b고정부(131b) 사이와, 표면층(121)과 이면층(12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다른 구성(예를 들어, 표면층이나 이면층)에 연결되거나 고정되지 않아 직물(100)에 바람 등 외력이 가해지거나 직물(100)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에 흔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은 제1특수사(130)가 경사(101) 및 위사(102)와 다른 장식을 갖고, 동시에 외부 상황에 따라 흔들리는 제1요동부(132)를 구비함에 따라, 장식효과와 입체감 및 동적 미감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3(a),(b)는 2 이상의 제2직조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3(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3(b)는 도 3(a)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특히, 도 3(a),(b)에서 제1특수사(130)는 붉은색실로 도시하였다.
한편, 제1특수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조부(110)나 제2직조부(12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제1노출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특수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요동부(132)가 제2직조부(120)[즉,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또는 표면층(121) 및 이면층(122)]의 적어도 둘 이상의 경사(101)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노출부(133)는 제1고정부(131)나 제2고정부(134) 다음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요동부(132)는 표면층(121)과 이면층(122) 사이에서 요동하는 부분이 다수 개로 증가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은 장식효과와 입체감 및 동적 미감이 더욱 증대된다.
특히, 제2고정부(134)는 다른 방법(접착, 제3의 실로 봉합 등)을 이용하여 제2직조부(120)에 고정되지 않고, 위사(102)가 경사(101)와 직조되는 것과 같이, 제2직조부(120)의 둘 이상의 경사(101b)와 직조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술한 제1고정부(131)와 마찬가지로, 외관이 자연스럽고, 표면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공정 없이 직조 공정만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제1직조부(110)에서는 제1특수사(130)가 제1직조부(110)의 경사(101a)와 직조되거나, 제1직조부(110)의 경사(101)와 직조되지 않고 제1직조부(11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제2직조부(120)에서는 제1특수사(130)가 표면층(121)과 이면층(122) 사이에 삽입되거나, 제2직조부(120)[즉,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또는 표면층(121) 및 이면층(122)]의 경사(101b)와 직조되거나, 제2직조부(120)의 경사(101b)와 직조되지 않고 표면층(121) 또는 이면층(122)의 표면 밖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제1특수사(130) 중에서, 제1직조부(110)의 경사(101a)와 직조되는 부분은 제1고정부(131)이고, 제2직조부(120)의 경사(101b)와 직조되는 부분은 제2고정부(134)이다. 또한, 제1특수사(130) 중에서, 표면층(121)과 이면층(122) 사이에 삽입되는 부분은 제1요동부(132)이고, 제1직조부(110)나 제2직조부(120)의 경사(101)와 직조되지 않고 제1직조부(110)나 제2직조부(12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제1노출부(133)이다.
특히, 제1특수사(130)는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와 다른 한 제1직조부(110b)에서 각각 제1노출부(133)와 제1고정부(131)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하고, 제2직조부(120)에서 제1요동부(132)를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특수사(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출부(133), 제1a고정부(131a), 제1요동부(132), 제1b고정부(131b) 및 제1노출부(133)를 차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의 최소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4(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4(b)는 도 4(a)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은 다수의 경사(201)와 위사(202)로 직조되는 직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조부(210), 제2직조부(220) 및 제2특수사(23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직조부(210)는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제2직조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2개의 제1직조부(210a, 210b) 사이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은 최소한 어느 하나의 제1직조부(210a), 제2직조부(220) 및 다른 하나의 제1직조부(210b)가 차례로 연결되어 하나의 직물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직조부(210)와 제2직조부(2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은 제1직조부(210), 제2직조부(220), 제1직조부(210), 제2직조부(220), 제1직조부(210) 등과 같이 제1직조부(210) 및 제2직조부(220)를 반복적으로 구성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다수의 경사(201)와 위사(202), 제1직조부(210), 제2직조부(220), 표면층(221) 및 이면층(222)은 도 1, 도 2 및 도 3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다수의 경사(101)와 위사(102), 제1직조부(110), 제2직조부(120), 표면층(121) 및 이면층(12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의 최소 구성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5(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5(b)는 도 5(a)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특히, 도 5(a),(b)에서 경사(201)는 하늘색실로 도시하였고, 위사(202)는 검정색실, 회색실, 분홍색실, 보라색실로 도시하였으며, 제2특수사(230)는 파란 무늬의 실로 도시하였다.
제2특수사(230)는 경사(201) 및 위사(202)와 비교하여 실의 종류, 색, 모양 및 굵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달라 장식 효과를 나타내는 부분으로서, 제3고정부(231), 제2요동부(232) 및 제2노출부(233)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경사(201)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에서 제3고정부(231)는 파선으로 표시하였고, 제2요동부(232)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제2노출부(233)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3고정부(231)는 제2직조부(220)[즉, 표면층(221)이나 이면층(222), 또는 표면층(221) 및 이면층(222)]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각각 제2직조부(220)에 고정된다.
특히, 제3고정부(231)는 제2직조부(220)[즉, 표면층(221)이나 이면층(222), 또는 표면층(221) 및 이면층(222)]의 적어도 둘 이상의 위사(202)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제3고정부(231)가 다른 요소(접착, 제3의 실로 봉합 등)를 이용하여 제2직조부(220)에 고정할 경우, 외관이 부자연스러워지고, 표면이 거칠게 될 뿐만 아니라,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은 제3고정부(231)가 다른 요소(접착, 제3의 실로 봉합 등)를 이용하여 제2직조부(220)에 고정되지 않고, 경사(201)가 위사(202)와 직조되는 것과 같이, 경사(201) 방향으로 배치된 제2특수사(230)가 적어도 둘 이상의 위사(202)와 직조되는 방식으로 고정됨에 따라, 외관이 자연스럽고, 표면이 부드러울 뿐만 아니라, 직조 공정 외에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어 제3고정부(231)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제2요동부(232)는 2개의 제3고정부(231) 사이와, 표면층(221)과 이면층(22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다른 구성(예를 들어, 표면층이나 이면층)에 연결되거나 고정되지 않아 직물(200)에 바람 등 외력이 가해지거나 직물(200)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에 흔들리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은 제2특수사(230)가 경사(201) 및 위사(202)와 다른 장식을 갖고, 동시에 외부 상황에 따라 흔들리는 제2요동부(232)를 구비함에 따라, 장식효과와 입체감 및 동적 미감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6(a),(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의 제2특수사(230)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6(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6(b)는 도 6(a)에서 B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특히, 도 6(a),(b)에서 제2특수사(230)는 파란색실로 도시하였다.
한편, 제2특수사(2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직조부(220)[즉, 표면층(221)이나 이면층(222), 또는 표면층(221) 및 이면층(222)]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제2노출부(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노출부(233)는 제3고정부(231) 다음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2특수사(230)는 제2직조부(220)의 경사(201) 방향으로 배치되며, 이때 위사(202)와 직조되거나, 제2직조부(220)의 위사(202)와 직조되지 않으면서 표면층(221)과 이면층(222) 사이에 위치하거나, 제2직조부(220)의 위사(202)와 직조되지 않으면서 제2직조부(22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갖는다.
즉, 제2특수사(230) 중에서, 제2직조부(220)의 일부 위사(202)와 직조되는 부분은 제3고정부(231)이고, 제2직조부(220)의 위사(202)와 직조되지 않으면서 표면층(221)과 이면층(222)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2요동부(232)이며, 제2직조부(220)의 위사(202)와 직조되지 않으면서 제2직조부(22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제2노출부(233)이다.
특히, 제2특수사(230)는 제2직조부(220)에서 제3고정부(231), 제2요동부(232)를 적어도 하나 이상씩 구비하고, 제2노출부(233)를 적어도 둘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특수사(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노출부(233), 제3고정부(231), 제2요동부(232), 제3고정부(231) 및 제2노출부(233)를 차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의 최소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7(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7(b)는 도 7(a)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은 다수의 경사(301)와 위사(302)로 직조되는 직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직조부(310), 제2직조부(320), 제1특수사(330) 및 제2특수사(340)를 포함한다. 이때, 제1직조부(310)는 적어도 둘 이상이 서로 이격되게 구비되며, 제2직조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2개의 제1직조부(310a, 310b) 사이에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은 최소한 어느 하나의 제1직조부(310a), 제2직조부(320) 및 다른 하나의 제1직조부(310b)가 차례로 연결되어 하나의 직물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직조부(310)와 제2직조부(3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은 제1직조부(310), 제2직조부(320), 제1직조부(310), 제2직조부(320), 제1직조부(310) 등과 같이 제1직조부(310) 및 제2직조부(320)를 반복적으로 구성하여 포함할 수도 있다.
다수의 경사(301)와 위사(302), 제1직조부(310), 제2직조부(320), 표면층(321), 이면층(322)은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100, 200)의 다수의 경사(101, 201)와 위사(102, 202), 제1직조부(110, 210), 제2직조부(120, 220), 표면층(121, 221) 및 이면층(122, 22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1특수사(330)와 제2특수사(340)는,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직물(100)의 제1특수사(130)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의 제2특수사(230)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즉, 제1특수사(330)는 제1실시예 따른 직물(100)의 제1특수사(130)와 동일하게 제1고정부, 제2고정부, 제1요동부 및 제1노출부를 구비하며, 제2특수사(340)는 제2실시예 따른 직물(200)의 제2특수사(230)와 동일하게 제3고정부, 제2요동부 및 제2노출부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은 제1특수사(330)와 제2특수사(340)가 서로 직교하는 새로운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장식효과와 입체감 및 동적 미감이 더욱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을 나타내는 평면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에서 제2직조부(120)를 확대한 평면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에서 제2직조부(120)의 표면층(121)과 이면층(122)을 벌려서 확대한 측면 사진이다. 또한, 도 11은 2개 이상의 제2직조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실제품을 나타내는 평면 사진이다.
도 8 내지 도 11에서 다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 굵은 흰색사가 제1특수사(130)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실제품은 제1특수사(130)가 제1a고정부(131a), 제1요동부(132) 및 제1b고정부(131b)를 차례로 포함하도록 제작되었다. 이는 제1노출부(133), 제1a고정부(131a), 제1요동부(132), 제1b고정부(131b) 및 제1노출부(133)를 차례로 포함하도록 제1특수사(130)를 위사(102) 방향으로 삽입한 후, 양단의 제1노출부(133)를 절단기로 절단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나머지 제2실시예에 따른 직물(200) 및 제3실시예에 따른 직물(300)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물(100)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원리로 제조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은 제1단계(S100) 및 제2단계(S200)를 포함한다.
제1단계(S100)에서는 다수의 경사(101)와 위사(102)를 직조하여,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제1직조부(110)와 제2직조부(120)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때, 제1직조부(110)는 하나의 층으로 직조하고, 제2직조부(120)는 두 개의 층, 즉 표면층(121) 및 이면층(122)으로 직조하되, 제2직조부(120)가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와 다른 한 제1직조부(110b) 사이를 연결하도록 직조한다. 또한, 제2단계(S200)에서는 제1특수사(130)를 위사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제1특수사(130)를 위사 방향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에 고정되는 하나의 제1고정부(131a)와, 표면층(121)과 이면층(122) 사이에 위치하는 제1요동부(132)와, 다른 한 제1직조부(110b)에 고정되는 다른 제1고정부(131b)를 제1특수사(130)로 형성한다.
다수의 경사(101)는 경사 빔(warp beam)에 감겨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경사(101)는 1개 이상의 종광틀로 구성된 종광(heddle)에 체결되어 있으며, 종광틀의 구동에 따라 필요한 경사가 선택되어 제1방향이나 그와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된다. 이때, 위사(102)나 제1특수사(130)를 감고 있는 북(shuttle)을 개구된 경사에 날려 보내 위사(102)나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직물 제직의 통상적인 과정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방향은 경사(101)를 개구하기 위한 아무 방향이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직조부(110) 및 제2직조부(120)가 이루는 직조면에서 상측으로 수직한 방향이거나 하측으로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하, 제1단계(S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단계(S100)에서는 연속으로 배열된 제1그룹(101a), 제2그룹(101b) 및 제3그룹(101c)을 포함하도록 경사(101)를 셋 이상의 그룹으로 나눈다. 이후, 제1그룹(101a)의 경사를 모든 위사와 직조하여 어느 한 제1직조부(110a)를 형성하고, 제2그룹(101b) 중 일부 경사를 일부 위사와 직조하여 표면층(121)을 형성하며, 제2그룹(101b) 중 나머지 경사를 나머지 위사와 직조하여 이면층(122)을 형성하고, 제3그룹(101c)의 경사를 모든 위사와 직조하여 다른 한 제1직조부(110b)를 형성한다. 이때, 제2직조부(120)에 해당하는 경사(101b) 중 반은 표면층(121)으로 직조하고, 나머지 반은 이면층(122)으로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직조부(120)에 해당하는 위사(102) 중 반은 표면층(121)으로 직조하고, 나머지 반은 이면층(122)으로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단계(S100)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어느 위사를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어느 한 경사와 직조하여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중 어느 한 층을 형성하고,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다른 나머지 위사를 제2그룹(102b)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나머지 다른 경사와 직조하여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중 다른 나머지 한 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1단계(S100)는 제1-1단계(S110), 제1-2단계(S120), 제1-3단계(S130) 및 제1-4단계(S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4n-3 번째 내지 4n 번째 위사를 연속해서 경사의 개구에 삽입할 경우(단, n은 자연수), 제1-1단계(S110)는 4n-3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제1-2단계(S120)는 4n-2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제1-3단계(S130)는 4n-1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제1-4단계(S140)는 4n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제1단계(S100)의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낸다. 즉, 도 12는 제1-1단계(S110)를 나타내고, 도 13은 제1-2단계(S120)를 나타내며, 도 14는 제1-3단계(S130)를 나타내고, 도 15는 제1-4단계(S140)를 나타낸다. 특히, 도 12 내지 도 15에서 (a)는 개구되도록 선택된 경사의 일측면을 나타내고, (b)는 개구된 경사에 위사가 삽입된 후의 평면을 나타낸다. 이하, 제1-1단계(S110), 제1-2단계(S120), 제1-3단계(S130) 및 제1-4단계(S1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제1-1단계(S110)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단, a는 자연수).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4a-1 번째 경사, 제2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각 개구에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위사(102)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그룹(101b)에서 4a-1번째 경사를 제외한 나머지 경사의 상측, 4a-1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제3그룹(101c)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한다. 특히, 제1-1단계(S110)에서는 위사(102)를 삽입한 후에 제1방향으로 개구된 경사들을 다시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1-2단계(S120)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0)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101b)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0)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제4a-2 번째 경사 및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각 개구에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위사(102)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그룹(101b)에서 4a 번째 경사의 상측, 4a 번째 경사를 제외한 나머지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제3그룹(101c)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한다. 특히, 제1-2단계(S120)에서는 위사(102)를 삽입한 후에 제1방향으로 개구된 경사들을 다시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3단계(S130)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0)에서 선택된 경사, 제2그룹(101b)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0)에서 선택되지 않은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0)에서 선택된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4a-3 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위사(102)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그룹(101b)에 4a-3번째 경사를 제외한 나머지 경사의 상측, 4a-3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제3그룹(101c)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한다. 특히, 제1-3단계(S130)에서는 위사(102)를 삽입한 후에 제1방향으로 개구된 경사들을 다시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4단계(S140)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0)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101b)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중 제1-2단계(S120)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0)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제4a 번째 경사 및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위사(102)는,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고, 제2그룹(101b)에서 4a-2 번째 경사의 상측, 4a-2 번째 경사를 제외한 나머지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며, 제3그룹(101c)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한다. 특히, 제1-4단계(S140)에서는 위사(102)를 삽입한 후에 제1방향으로 개구된 경사들을 다시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6(a)는 평면을 나타내고, 도 16(b)는 일측면을 나타낸다. 즉, 도 16(b)는 도 16(a)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의 공정을 진행할 경우,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경사 및 위사가 직조되어 하나의 층을 이루는 하나의 제1직조부(110a) 및 다른 한 제1직조부(110b)와, 경사의 반이 위사의 반과 직조되어 표면층(121)과 이면층(122)을 이루는 제2직조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검정색실 및 분홍색실)와 직조되어 표면층(121)을 이루고,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는 짝수번째 위사(회색실 및 보라색실)와 직조되어 이면층(122)을 이룬다. 특히, 제1-1단계(S110), 제1-2단계(S120), 제1-3단계(S130) 및 제1-4단계(S140)는 순환하여 반복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1단계(S110), 제1-2단계(S120), 제1-3단계(S130) 및 제1-4단계(S140) 중 어느 한 단계 후에 제2단계(S20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후 그 다음 단계부터 시작하여 다시 순환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제1단계(S100)는 상기 제1-1단계(S110), 제1-2단계(S120), 제1-3단계(S130) 및 제1-4단계(S140)를 대체하여, 제1-1'단계(S111), 제1-2'단계(S121), 제1-3'단계(S131) 및 제1-4'단계(S14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4n-3 번째 내지 4n 번째 위사를 연속해서 경사의 개구에 삽입할 경우(단, n은 자연수), 제1-1'단계(S111)는 4n-3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제1-2'단계(S121)는 4n-2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제1-3'단계(S131)는 4n-1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제1-4'단계(S14`)는 4n 번째 위사를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단계(S111)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단, a는 자연수).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2'단계(S121)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1)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101b)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1)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3'단계(S131)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1)에서 선택된 경사, 제2그룹(101b)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1)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1)에서 선택된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4'단계(S141)에서는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1)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101b)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중 제1-2'단계(S121)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S111)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102)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1단계(S110), 제1-2단계(S120), 제1-3단계(S130) 및 제1-4단계(S140)는 제2그룹(101b)의 경사 중 홀수번째 경사를 표면층(121)으로 직조하고, 짝수번째 경사를 이면층(122)으로 직조하는 반면, 상기 제1-1'단계(S111), 제1-2'단계(S121), 제1-3'단계(S131) 및 제1-4'단계(S141)는 제2그룹(101b)의 경사 중 짝수번째 경사를 표면층(121)으로 직조하고, 홀수번째 경사를 이면층(122)으로 직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단계(S111), 제1-2'단계(S121), 제1-3'단계(S131) 및 제1-4'단계(S141)는 상기 제1-1단계(S110), 제1-2단계(S120), 제1-3단계(S130) 및 제1-4단계(S140)에서 제2그룹(101b)의 4a-3 번째 경사를 4a-2 번째 경사로, 4a-1 번째 경사를 4a 번째 경사로, 4a-2 번째 경사를 4a-3 번째 경사로, 4a 번째 경사를 4a-1 번째 경사로 각각 대체한 것 외에는 나머지 공정이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1'단계(S111), 제1-2'단계(S121), 제1-3'단계(S131) 및 제1-4'단계(S14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1-1'단계(S111), 제1-2'단계(S12`), 제1-3'단계(S131) 및 제1-4'단계(S141)는 순환하여 반복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1'단계(S111), 제1-2'단계(S121), 제1-3'단계(S131) 및 제1-4'단계(S141) 중 어느 한 단계 후에 제2단계(S20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후 그 다음 단계부터 시작하여 다시 순환 반복될 수 있다.
이하, 제2단계(S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즉, 제2단계(S200)에서는 제1특수사(130)의 제1부분을 제1그룹(101a)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하나의 제1고정부(131a)를 형성하고, 제1특수사(130)의 제2부분을 표면층(121)과 이면층(122) 사이에 관통시켜 제1요동부(132)를 형성하며, 제1특수사(130)의 제3부분을 제3그룹(101c) 중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다른 제1고정부(131b)를 형성한다.
이하,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포함할 경우의 제2단계(S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제2단계(S200)의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낸다. 즉, 도 17(a)는 개구되도록 선택된 경사의 일측면을 나타내고, 도 17(b)는 개구된 경사에 제1특수사(130)가 삽입된 후의 평면을 나타내며, 도 17(c)는 도 17(b)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먼저, 제2단계(S200)에서는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고정부(131a)에 대응시킬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고정부(131b)에 대응시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고정부(131a)에 대응시킬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함으로써, 제1고정부(131a)는 제1그룹(101a)의 대응 경사와 직조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고정부(131b)에 대응시킬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함으로써, 제1고정부(131b)는 제3그룹(101c)의 대응 경사와 직조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제2그룹(101b)의 표면층(121)을 이루는 홀수번째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함으로써, 표면층(121)과 이면층(122) 사이로 제1특수사(130)를 삽입할 수 있게 되어, 직물에 바람 등 외력이 가해지거나 직물의 위치가 변화될 경우에 흔들리는 제1요동부(132)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에서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가 표면층(122)으로 직조되고, 짝수번째 경사가 이면층(122)으로 직조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모든 경사와 제3그룹(101c)의 모든 경사에 각각 제1고정부(131)의 영역을 형성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1특수사(130)는,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하나의 제1고정부(131a)가 형성되고, 제2그룹(101b)에서 홀수번째 경사와 짝수번째 경사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요동부(132)가 형성되며, 제3그룹(101c)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다른 제1고정부(131b)가 형성된다. 특히, 제2단계(S200)에서는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 후에 제1방향으로 개구된 경사들을 다시 제자리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b)에서 제1고정부(131)는 파선으로 표시하였고, 제1요동부(132)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2단계(S200)는 제1그룹(101a), 제2그룹(101b) 및 제3그룹(101c)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 표면 밖으로 제1특수사(130)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130)의 제1노출부(133)를 형성하는 단계(S2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1 단계는 하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1노출부(133)를 형성한다.
도 18(a),(b),(c) 내지 도 20(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S200)에서 제1노출부(133)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낸다. 즉, 도 18 내지 도 20에서 (a)는 개구되도록 선택된 경사의 일측면을 나타내고, (b)는 개구된 경사에 제1특수사(130)가 삽입된 후의 평면을 나타내며, (c)는 (b)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18(b) 내지 도 20(b)에서 제1고정부(131)는 파선으로 표시하였고, 제1요동부(132)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제1노출부(133)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즉, S201 단계는 제1노출부(133)가 어느 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지에 따라 그 구체적인 공정이 달라진다.
먼저, 제1노출부(133)를 제1그룹(101a)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거나,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은 채 제1특수사(130) 삽입하면, 제1노출부(133)는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의 표면에서 제1방향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여 제1특수사(130) 삽입하면, 제1노출부(133)는 어느 한 제1직조부(110a)의 표면에서 제2방향으로 노출된다.
다음으로, 제1노출부(133)를 제3그룹(101c)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거나,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은 채 제1특수사(130) 삽입하면, 제1노출부(133)는 다른 한 제1직조부(110c)의 표면에서 제1방향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여 제1특수사(130) 삽입하면, 제1노출부(133)는 다른 한 제1직조부(110c)의 표면에서 제2방향으로 노출된다.
예를 들어,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6번째 내지 10번째 경사와, 제3그룹(101c)의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에 각각 제1고정부(131)의 영역을 형성시키고, 제1그룹(101a)의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에 제1방향으로 제1노출부(133)의 영역을 형성시키며, 제3그룹(101c)의 6번째 내지 8번째 경사에 제2방향으로 제1노출부(133)의 영역을 형성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6번째 내지 10번째 경사 중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 중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6번째 내지 8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1특수사(130)는, 도 18(b)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의 상측, 6번째 내지 10번째 경사 중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6번째 내지 10번째 경사 중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의 영역에 제1방향으로 제1노출부(133)가 형성되고, 6번째 내지 10번째 경사의 영역에 어느 한 제1고정부(131a)가 형성되며, 제2그룹(101b)에서 홀수번째 경사와 짝수번째 경사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요동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제1특수사(130)는 제3그룹(101c)에서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 중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 중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 6번째 내지 8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의 영역에 다른 한 제1고정부(131b)가 형성되고, 6번째 내지 8번째 경사의 영역에 제2방향으로 제1노출부(133)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노출부(133)를 제2그룹(101b)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거나,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즉,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은 채 제1특수사(130) 삽입하면, 제1노출부(133)는 홀수번째 경사에 의해 직조된 표면층(121)의 표면에서 제1방향으로 노출된다. 반대로,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여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면, 제1노출부(133)는 짝수번째 경사에 의해 직조된 이면층(122)의 표면에서 제2방향으로 노출된다.
예를 들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모든 경사와 제3그룹(101c)의 모든 경사에 각각 제1고정부(131)의 영역을 형성시키고,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5번째, 7번째, 9번째 경사에 제1노출부(133)의 영역을 형성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1번째, 3번째, 11번째 및 13번째 경사(5번째, 7번째 및 9번째 경사는 제외),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1특수사(130)는, 도 19(b) 및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어느 한 제1고정부(131a)가 형성되고, 제3그룹(101c)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다른 한 제1고정부(131b)가 형성된다. 또한, 제1특수사(130)는 제2그룹(101b)에서 1번째 내지 4번째 경사, 11번째 내지 14번째 경사중 홀수번째 경사와 짝수번째 경사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요동부(132)가 형성되고, 5번째 내지 10번째 경사의 상측에 위치하면서 홀수번째 경사에 의해 직조된 표면층(121)의 표면에서 제1방향으로 제1노출부(133)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모든 경사와 제3그룹(101c)의 모든 경사에 각각 제1고정부(131)의 영역을 형성시키고,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6번째, 8번째, 10번째 경사에 제1노출부(133)의 영역을 형성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6번째, 8번째, 10번째 경사 및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특수사(130)는, 도 20(b) 및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어느 한 제1고정부(131a)가 형성되고, 제3그룹(101c)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다른 한 제1고정부(131b)가 형성된다. 또한, 제1특수사(130)는 제2그룹(101b)에서 1번째 내지 5번째 경사, 11번째 내지 14번째 경사 중 홀수번째 경사와 짝수번째 경사 사이에 위치하면서 제1요동부(132)가 형성되고, 6번째 내지 10번째 경사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짝수번째 경사에 의해 직조된 이면층(122)의 표면에서 제2방향으로 제1노출부(133)가 형성된다.
한편, 제2단계(S200)는 제1요동부(132) 중 일부를 제2그룹(101b)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130)의 제2고정부(134)를 형성하는 단계(S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202 단계는 하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2고정부(134)를 형성한다.
도 21(a),(b),(c) 및 도 22(a),(b),(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S200)에서 제2고정부(134)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공정을 나타낸다. 즉, 도 21 및 도 22에서 (a)는 개구되도록 선택된 경사의 일측면을 나타내고, (b)는 개구된 경사에 제1특수사(130)가 삽입된 후의 평면을 나타내며, (c)는 (b)에서 A방향으로 바라본 측면을 나타낸다. 또한, 도 21(b) 및 도 22(b)에서 제1고정부(131)는 파선으로 표시하였고, 제1요동부(132)는 2점 쇄선으로 표시하였으며, 제2고정부(134)는 1점 쇄선으로 표시하였다.
즉, S202 단계는 제2고정부(134)가 제2직조부의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중 어느 층에 고정되는지에 따라 그 구체적인 공정이 달라진다.
먼저, 제2고정부(134)를 표면층(121)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134)에 대응시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34)는 제2그룹(101b)의 표면층(121)을 이루는 홀수번째 경사 중 일부와 직조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모든 경사와 제3그룹(101c)의 모든 경사에 각각 제1고정부(131)의 영역을 형성시키고,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5번째, 7번째 및 9번째 경사에 제2고정부(134)의 영역을 형성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1번째, 3번째, 7번째, 11번째 및 13번째 경사(5번째 및 9번째 경사는 제외),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1특수사(130)는, 도 21(b) 및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어느 한 제1고정부(131a)가 형성되고, 제3그룹(101c)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다른 한 제1고정부(131b)가 형성된다. 또한, 제1특수사(130)는 제2그룹(101b)에서 1번째 내지 4번째 경사, 11번째 내지 14번째 경사 중 홀수번째 경사와 짝수번째 경사 사이에 위치하면서 2개의 제1요동부(132)가 형성되고, 5번째 내지 10번째 경사 중 5번째, 6번째, 8번째 및 9번째 경사의 상측, 7번째 경사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제2고정부(134)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134)를 이면층(122)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134)에 대응시킬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34)는 제2그룹(101b)의 이면층(122)을 이루는 짝수번째 경사 중 일부와 직조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의 모든 경사와 제3그룹(101c)의 모든 경사에 각각 제1고정부(131)의 영역을 형성시키고,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6번째, 8번째 및 10번째 경사에 제2고정부(134)의 영역을 형성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6번째 및 10번째 경사(8번째 경사는 제외) 및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1특수사(130)는, 도 22(b) 및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그룹(101a)에서 홀수번째 경사의 상측, 짝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어느 한 제1고정부(131a)가 형성되고, 제3그룹(101c)에서 짝수번째 경사의 상측, 홀수번째 경사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면서 다른 한 제1고정부(131b)가 형성된다. 또한, 제1특수사(130)는 제2그룹(101b)에서 1번째 내지 4번째 경사, 11번째 내지 14번째 경사 중 홀수번째 경사와 짝수번째 경사 사이에 위치하면서 2개의 제1요동부(132)가 형성되고, 5번째 내지 10번째 경사 중 8번째 경사의 상측, 5번째, 6번째, 7번째, 9번째 및 10번째 경사의 하측에 위치하면서 제2고정부(134)가 형성된다.
이하,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대체하여 제1-1'단계(S111) 내지 제1-4'단계(S141)를 포함하는 경우의 제2단계(S21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S210 단계에서는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고정부(131a)에 대응시킬 제1그룹(101a)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고정부(131b)에 대응시킬 제3그룹(101c)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포함하는 S200 단계에서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가 짝수번째 경사로 대체된 것 외에는 나머지 공정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2단계(S210)는 제1그룹(101a), 제2그룹(101b) 및 제3그룹(101c)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의 표면 밖으로 제1특수사(130)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130)의 제1노출부(133)를 형성하는 단계(S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S211 단계는 제1노출부(133)가 어느 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지에 따라 그 구체적인 공정이 달라진다.
먼저, 제1노출부(133)를 제1그룹(101a)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거나, 제1그룹(101a)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포함하는 S201 단계와 공정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노출부(133)를 제3그룹(101c)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거나, 제3그룹(101c)의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포함하는 S210 단계와 공정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1노출부(133)를 제2그룹(101b)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130)를 삽입하거나,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133)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포함하는 S210 단계에서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가 홀수번째 경사로, 홀수번째 경사가 짝수번째 경사로 대체된 것 외에는 나머지 공정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제2단계(S210)는 제1요동부(132) 중 일부를 제2그룹(101b)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130)의 제2고정부(134)를 형성하는 단계(S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요동부(132) 중 일부를 제2그룹(101b)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130)에 제2고정부(134)를 더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S212 단계는 하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2고정부(134)를 형성한다.
즉, S212 단계는 제2고정부(134)가 표면층(121)이나 이면층(122) 중 어느 층에 고정되는지에 따라 그 구체적인 공정이 달라진다.
먼저, 제2고정부(134)를 표면층(121)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134)에 대응시킬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 중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34)는 제2그룹(101b)의 표면층(121)을 이루는 짝수번째 경사 중 일부와 직조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포함하는 S202 단계에서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가 짝수번째 경사로, 4a-3 번째 경사가 4a-2 번째 경사로, 4a-1번째 경사가 4a 번째 경사로 대체된 것 외에는 나머지 공정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134)를 이면층(122)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134)에 대응시킬 제2그룹(101b)의 홀수번째 경사 중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130)를 삽입한다. 이때, 제1방향으로 개구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는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고정부(134)는 제2그룹(101b)의 이면층(122)을 이루는 홀수번째 경사 중 일부와 직조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이 경우, 제1단계(S100)가 제1-1단계(S110) 내지 제1-4단계(S140)를 포함하는 S202 단계에서 제2그룹(101b)의 짝수번째 경사가 홀수번째 경사로, 4a-2 번째 경사가 4a-3 번째 경사로, 4a 번째 경사가 4a-1 번째 경사로 대체된 것 외에는 나머지 공정이 동일하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물의 제조방법은 제1특수사(130)가 제1노출부(133)를 포함할 경우, 제1직조부(110)나 제2직조부(120)의 표면 밖으로 노출된 제1노출부(133)를 절단기로 절단하는 제3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노출부(133)가 다양한 모양으로 절단될 수 있어 제1특수사(130)의 외관이 더 화려해지고 고급스러워지는 효과가 생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200, 300 : 직물 110, 210, 310 : 제1직조부
120, 220, 320 : 제2직조부 121, 221, 321 : 표면층
122, 222, 322 : 이면층 130, 330 : 제1특수사
131 : 제1고정부 132 : 제1요동부
133 : 제1노출부 134 : 제2고정부
230, 340 : 제2특수사 231 : 제3고정부
232 : 제2요동부 233 : 제2노출부

Claims (23)

  1. 다수의 경사와 위사로 직조된 직물로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되게 구비된 둘 이상의 제1직조부; 및
    서로 분리되게 직조된 표면층 및 이면층으로 이루지고, 상기 둘 이상의 제1직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직조부와,
    제1특수사 또는 제2특수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특수사는,
    제1직조부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제2직조부의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요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위사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배치되며,
    상기 제2특수사는,
    제2직조부에 고정되는 제3고정부와, 제2직조부의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2요동부를 각각 구비하고, 경사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특수사는 제1고정부가 제1직조부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특수사는 제3고정부가 제2직조부의 둘 이상의 위사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특수사는 제1직조부나 제2직조부, 또는 제1직조부 및 제2직조부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제1노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특수사는 제2직조부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는 제2노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특수사는 제1노출부, 제1고정부, 제1요동부, 제1고정부 및 제1노출부를 차례로 구비하고,
    상기 제2특수사는 제2노출부, 제3고정부, 제2요동부, 제3고정부 및 제2노출부를 차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특수사는 제1요동부 중 일부가 제2직조부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를 하나 이상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조부 및 제2직조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조부 및 제2직조부는 위사를 공유하되,
    위사 중 일부는 표면층으로 직조되고, 나머지는 이면층으로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연속으로 배열된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을 포함하되,
    제1그룹의 경사는 모든 위사와 직조되어 어느 한 제1직조부를 이루고,
    제2그룹 중 일부 경사는 일부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을 이루며,
    제2그룹 중 나머지 경사는 나머지 위사와 직조되어 이면층을 이루고,
    제3그룹의 경사는 모든 위사와 직조되어 다른 한 제1직조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9. 제8항에 있어서,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어느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어느 한 층을 이루며,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다른 나머지 위사와 직조되어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다른 나머지 한 층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0. 다수의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제1직조부와, 표면층 및 이면층으로 이루지고 상기 둘 이상의 제1직조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직조부를 형성하는 제1단계; 및
    제1특수사를 위사 방향으로 삽입하여, 어느 한 제1직조부에 고정되는 하나의 제1고정부와,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위치하는 제1요동부와, 다른 한 제1직조부에 고정되는 다른 하나의 제1고정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연속으로 배열된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을 포함하도록 상기 경사를 셋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되,
    제1그룹의 경사를 모든 위사와 직조하여 상기 어느 한 제1직조부를 형성하고,
    제2그룹 중 일부 경사를 일부 위사와 직조하여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며,
    제2그룹 중 나머지 경사를 나머지 위사와 직조하여 상기 이면층을 형성하고,
    제3그룹의 경사를 모든 위사와 직조하여 상기 다른 한 제1직조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어느 위사를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어느 경사와 직조하여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어느 한 층을 형성하고,
    홀수번째 위사나 짝수번째 위사 중 다른 나머지 위사를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다른 나머지 경사와 직조하여 표면층이나 이면층 중 다른 나머지 한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특수사의 제1부분을 제1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상기 어느 한 제1고정부를 형성하고,
    제1특수사의 제2부분을 표면층과 이면층 사이에 관통시켜 상기 제1요동부를 형성하며,
    제1특수사의 제3부분을 제3그룹 중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상기 다른 한 제1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의 표면 밖으로 제1특수사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의 제1노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요동부 중 일부를 제2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의 제2고정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1단계;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2단계;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3단계; 및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중 제1-2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단, a는 자연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 그룹의 표면 밖으로 제1특수사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에 제1노출부를 더 형성하되,
    제1노출부를 제1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제1노출부를 제2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며,
    제1노출부를 제3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요동부 중 일부를 제2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에 제2고정부를 더 형성하되,
    제2고정부를 표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제2고정부를 이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1'단계;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2'단계;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 제2그룹의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된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3'단계;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 중 제1-2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1단계에서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위사를 삽입하는 제1-4'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단, a는 자연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1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고정부에 대응시킬 제3그룹의 홀수번째 경사나 짝수번째 경사를 각각 선택하여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그룹, 제2그룹 및 제3그룹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의 표면 밖으로 제1특수사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1특수사의 제1노출부를 더 형성하되,
    제1노출부를 제1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1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제1노출부를 제2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며,
    제1노출부를 제3그룹의 표면 밖으로 노출시킬 경우,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하지 않고 제1특수사를 삽입하거나, 제3그룹의 경사 중 제1노출부에 대응시킬 경사를 제1방향으로 개구시킨 후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제1요동부 중 일부를 제2그룹의 둘 이상의 경사와 직조하여 제1특수사에 제2고정부를 더 형성하되,
    제2고정부를 표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짝수번째 경사 중 4a-2 번째 경사나 4a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고,
    제2고정부를 이면층에 고정할 경우,
    제2고정부에 대응시킬 제2그룹의 홀수번째 경사 중 4a-3 번째 경사나 4a-1 번째 경사만을 제1방향으로 개구시켜 제1특수사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제조방법.
KR1020140124981A 2014-07-24 2014-09-19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463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4286 2014-07-24
KR1020140094286 2014-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860A true KR20160012860A (ko) 2016-02-03
KR101646345B1 KR101646345B1 (ko) 2016-08-08

Family

ID=5535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981A KR101646345B1 (ko) 2014-07-24 2014-09-19 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036A (ko) 2016-08-05 2018-02-14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카드 직물
KR20180109479A (ko)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새날테크-텍스 원사 특성 유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크로스플라이 패브릭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크로스플라이 패브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55225B (zh) * 2019-12-31 2021-10-08 苏州怀仁化纤有限公司 立体提花织物编织工艺及其立体提花织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469A (ja) * 1999-09-24 2003-03-18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膨張可能な織物
JP2006511733A (ja) * 2002-11-15 2006-04-06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内部接続要素を有するブリスター布
KR100769500B1 (ko) 2007-03-23 2007-10-23 유지현 입체자수 무늬장식 직물 제조방법 및 장치와, 그 입체자수무늬장식 직물
KR20100090818A (ko) * 2009-02-09 2010-08-1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469A (ja) * 1999-09-24 2003-03-18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膨張可能な織物
JP2006511733A (ja) * 2002-11-15 2006-04-06 ミリケン・アンド・カンパニー 内部接続要素を有するブリスター布
KR100769500B1 (ko) 2007-03-23 2007-10-23 유지현 입체자수 무늬장식 직물 제조방법 및 장치와, 그 입체자수무늬장식 직물
KR20100090818A (ko) * 2009-02-09 2010-08-18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036A (ko) 2016-08-05 2018-02-14 삼성물산 주식회사 자카드 직물
KR20180109479A (ko)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새날테크-텍스 원사 특성 유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크로스플라이 패브릭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크로스플라이 패브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345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066B2 (en) Method for weaving layered beaded fabric and beaded fabric woven by the method
KR101646345B1 (ko) 직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0504440A (ja) 視覚的色彩変化をする織物
CN105121723B (zh) 具有阴阳花纹的地毯和用于编织具有阴阳花纹的地毯织物的方法
US7131466B2 (en) Patterned scarf, method and loom for producing the same
WO2012063340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
US20050009430A1 (en) Furniture fabric and a manufacturing method for yarn of furniture fabric
JP2010065352A (ja) 両面パイル2重織タオル体
JP6322778B1 (ja) 多重ガーゼ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336130A (ja) イグサ類の織成方法
JP6190762B2 (ja) 融合織物及び製織方法
JP3533495B2 (ja) 二重織物
JP2010018920A (ja) 3層構造ガーゼ織物
US4516609A (en) Cross stitch ribbon
JP2003073954A (ja) ジャカード織物及びジャカード織方法
WO2017064728A1 (en) Method of making banners and flags like american flag having three dimensional effect by weaving.
CN219326887U (zh) 一种涤纶提花多色织物
JP7030931B1 (ja) ピンタック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37172B2 (ko)
JP3116061U (ja) 織物の織成構造
JP2003041453A (ja) 図柄の織物を織る方法
JP3104535U (ja) 箔織物
JP3665550B2 (ja) シエニール織地の製造方法
JPH10226940A (ja) 織物地
JP2002013041A (ja) 点字入り織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