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6036A - 자카드 직물 - Google Patents

자카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6036A
KR20180016036A KR1020160099887A KR20160099887A KR20180016036A KR 20180016036 A KR20180016036 A KR 20180016036A KR 1020160099887 A KR1020160099887 A KR 1020160099887A KR 20160099887 A KR20160099887 A KR 20160099887A KR 20180016036 A KR20180016036 A KR 2018001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sity
plate
yarns
warp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4985B1 (ko
Inventor
송주영
김지연
박미경
박희연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9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1/02Fabrics formed with pockets, tubes, loops, folds, tucks or flap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3/00Jacquar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17Woven househol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카드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개의 층 중 가운데 층 상판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경사를 중간 상판이라 하고, 상기 3개의 층 중 가운데 층 하판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경사를 중간 하판이라 정의할 때,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실의 밀도는 나머지 실의 밀도보다 더 크도록 직조됨으로써 다운 삼출량을 좋게 하는 한편, 다양한 디자인 패턴 구현이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카드 직물{Jacquard fabrics}
본 발명은 염색이 균일하면서도 내부에 충진된 다운(Down)의 누출이 없도록 고밀도로 제작되어 소비자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카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경사(날실)와 위사(씨실)가 서로 아래위로 교차하여 짜여져 평면체를 형성하는 천으로서, 경사와 위사의 교차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직물은 의류 또는 각종의 봉제품을 만드는 원단 소재로 제공된다. 종래의 직물은 주로 색상의 배합이나 평면적인 문양 등으로 단조롭게 장식되어 있어, 화려하고 아름다운 의류 또는 봉제품을 원하는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역부족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물 원단에 다수의 색상의 실을 사용하여 특정 모양 및 문자의 수(繡)를 놓아 원단에 미적인 아름다움을 부가하는 자수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수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직물은 무늬 모양이 평면 또는 딱딱한 입체감을 주는 정적인 형태로만 자수되어 있어 입체감이 적고 장식효과가 크지 않으며, 동시에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부분의 겨울 의류에는 보온재로서 다운(Down)과 같은 충진재가 충진되는데, 충진된 다운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운백이라는 원단이 겉감과 충전재 사이에 배치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99517호 (2003.09.16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12860호 (2016.02.03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진된 다운의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불균염(Unlevel dyeing), 로프시와(Rope crease) 및 구김(Crease)의 염려가 없는 자카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일정 부위에 3개의 층을 이루도록 엇갈리게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경사와, 상기 복수의 경사에 폭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경사 각각에 직조되는 복수의 위사로 이루어진 자카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층 중 가운데 층 상판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경사를 중간 상판이라 하고, 상기 3개의 층 중 가운데 층 하판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경사를 중간 하판이라 정의할 때,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실의 밀도는 나머지 실의 밀도보다 더 크도록 직조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대비 나머지 실의 밀도는 2:1 내지 4:1의 비율을 가지도록 직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는 인치(inch)당 300본 내지 400본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을 제외한 나머지 실의 밀도는 인치(inch)당 80본 내지 150본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중 하한인 인치(inch)당 300본은, 세탁 3회 후의 다운 테스트 실험 결과 5개 이하인 경사 및 위사의 직조 밀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중 하한인 인치(inch)당 300본은, 세탁 5회 후의 다운 테스트 실험 결과 10개 이하인 경사 및 위사의 직조 밀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중 상한인 인치(inch)당 400본은, 불균염 시험, 로프시와(Rope crease) 시험 및 구김(Crease) 시험 모두를 만족하는 경사 및 위사의 직조 밀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는, 실의 굵기를 50d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3개의 층 중, 가운데 층을 이루는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의 실의 밀도를 나머지 실의 밀도보다 더 크도록 직조함으로써 양호한 다운 테스트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둘째,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이 가지는 최적의 밀도를 제공함으로써 불균염(Unlevel dyeing), 로프시와(Rope crease) 및 구김(Crease) 시험의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셋째, 다운(Down)의 이탈을 최소화시키면서도 다양한 색상을 원단을 통해 직접 구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4중직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의 실의 굵기 50d 기준의 다운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표이고,
도 4는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의 외관 검사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4중직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의 일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의 실의 굵기 50d 기준의 다운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표이고, 도 4는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의 외관 검사 결과를 나타낸 표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의 실험 결과에 따른 직물의 외관을 나타낸 일부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원사는, 굵기 50d (Denier)급의 Hi-Multi Filament를 사용한다. 여기서 Hi-Multi Filament는, 굵기가 0.3d인 모노 필라멘트(Mono Filament)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경우 후술하겠지만, 자카드 직물(1)을 구성하는 경사(10) 및 위사(20)의 일부 밀도에 관한 것이므로, 사용되는 원사의 굵기를 한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인 원단 제조 과정은 싸이징(Sizing) 과정을 필요로 한다. 싸이징 과정은, 제직 효율을 높이고, 제직시 경사(10) 실의 끊어짐 방지를 위해 호제를 원사에 부착 후 고착시키는 과정이다.
싸이징 과정 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1)을 직조하는 제직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사용되는 직기는 고물도 제직이 가능한 Air jet 직기임이 바람직하다.
제직 후에는, 염색 및 가공 과정을 거친다. 염색 과정에서는 불균염 방지를 위해 적당한 균염제 사용이 바람직하고, 염색 레벨링 타임(Leveling Time)은 1시간 이상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4중직 고밀도 원단의 경우 핸들링을 소프트(Soft)하게 하기 위해 전처리 과정에서 NaOH를 폴리(Poly) 원단에 침투시켜 약 감량을 함으로써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염색기에서 염색 시 로프가 엉켜서 발생한 경사 방향의 주름인 로프시와(Rope crease)를 방지하기 위해 염색기 노즐의 파이(Φ)를 120 이상으로 사용하고, 적절한 생지 투입량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구김(Crease) 방지를 위해서는 염색기 Seam Eye Time 설정 및 염색 냉각 속도 조절이 필요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원단 제조 과정을 기초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정 부위에 3개의 층(A,B,C)을 이루도록 엇갈리게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경사(10)와, 복수의 경사(10)에 폭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복수의 경사(10) 각각에 직조되는 복수의 위사(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3개의 층(A,B,C) 중, 가운데 층(B)은 다운(Down)과 같은 보온재로서의 충진재가 충진되는 소정의 공간 역할을 수행하고, 이와 같은 3개의 층(A,B,C)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경사(10) 및 위사(20)로 직조된 4개의 판이 구비되어야 한다.
편의상, 가운데에 형성된 공간을 가운데 층(B)이라 하고, 가운데 층(B)의 상측 공간을 상층(A)이라 하며, 가운데 층(B)의 하측 공간을 하층(C)이라 한다.
또한, 가운데 층(B)의 상판(11)을 이루는 복수의 경사(10) 및 위사(20)에 의한 판을 중간 상판(12)이라 하고, 가운데 층(B)의 하판(14)을 이루는 복수의 경사(10) 및 위사(20)에 의한 판을 중간 하판(13)이라 하며, 상층(A)의 상부를 덮는 판을 상판(11), 하층(C)의 하측을 덮는 판을 하판(14)이라 칭하기로 한다.
복수의 경사(10)는 직물의 길이방향을 형성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복수의 위사(20)는 직물의 폭방향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경사(10) 각각에 교차되게 직조된다.
복수의 경사(1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예컨대 제1경사(10)는 제1충진단(가)에서 상판(11)을 이루면서 일측의 제2충진단(나)에서는 하판(14)을 이루면서 제1충진단(가)과 제2충진단(나) 사이의 경계를 이루고, 그 일측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3충진단(다) 및 제4충진단(라)에서는 중간 하판(14)과 중간 상판(11)을 이루면서 미도시의 제5충진단에서는 다시 상판(11)을 이루도록 직조된다. 제2경사(10)는 제1충진단(가)에서 중간 상판(11)을 이루고, 제1경사(10)에 의하여 형성된 제1충진단(가)과 제2충진단(나) 사이의 경계를 통과하여 일측의 제2충진단(나)에서는 상판(11)을 이루되, 제1경사(10)와 마찬가지로 제2경사(10) 또한 제3충진단(다)의 하판(14)을 이루면서 제2충진단(나)과 제3충진단(다) 사이의 경계를 이루며, 순차적으로 제3충진단(다)에서 제5충진단까지는 제1경사(10)와 동일하게 반복되게 직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경사(10) 및 제4경사(10) 또한 제1경사(10) 및 제2경사(10)와 마찬가지의 위치 관계를 형성한다.
한편, 복수의 위사(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관계를 가지는 복수의 경사(10)에 교차되도록 배치되면서 총 4개의 판을 이루도록 직조된다.
여기서, 중간 상판(11) 및 중간 하판(14)의 실의 밀도는 나머지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보다 더 크도록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질적으로 충진재의 충진 공간을 형성하는 가운데 층(B)으로부터 다운 등의 충진재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 상판(11) 및 중간 하판(14)의 밀도 대비 나머지 실의 밀도는 2:1 내지 4:1의 비율을 가지도록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각 판(11~14)의 밀도 관계의 물성치는 도 3 및 도 4로 도시된 본 발명의 출원인의 자체 실험 결과에 의하여 산출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1)을 구성하는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의 밀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첫째,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다운이 가운데 층(B)에 충진된 상태에서 세탁을 3회 실시한 경우(세탁 3회 후) 5개 이하의 다운 이탈의 경우를 ‘양호한 상태’로 하고, 세탁을 5회 실시한 경우(세탁 5회 후) 10개 이하의 다운 이탈의 경우를 ‘양호한 상태’로 규정하였고, 둘째,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불균염, 로프시와(Rope crease) 및 구김(Crease)의 발생이 전혀 없는 경우를 ‘양호한 상태’로 규정하였다. 여기서, 실험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상판(11), 중간상판(12), 중간하판(13) 및 하판(14)을 이루는 경사(10) 및 위사(20)의 굵기는 50d로 채용하기로 한다.
참고로, ‘불균염’이라 함은, 염색이 균일한가를 판정하기 위한 인자로서, 염색된 외관이 군데군데 듬성듬성 불규칙적인 톤 차이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고, ‘로프시와(Rope crease)’는, 구김 중에서 길이방향 또는 대각선방향으로 길게 나타나는 구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인자이며, ‘Crease’는 구김을 의미하며 특히 로프시와(Rope crease) 보다 선형태로 나타나는 구김으로서 칼로 그어놓은 것과 같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발생하는 구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인자이다.
도 3의 실험 1은,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을 이루는 경사(10)를 250본(항장식 건수)으로 하고 위사(20)를 250본으로 한 경우이고, 실험 2는, 경사(10)를 300본 위사(20)를 250본으로 한 경우이며, 실험 3은, 경사(10)를 300본 위사(20)를 300본으로 한 경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을 이루는 경사(10) 및 위사(20)는 본 출원인이 규정한 ‘양호 상태’의 기준에 의하면 항장식 건수로 경사(10) 및 위사(20)가 모두 300본 이상인 실험 3의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였다.
그러나, 경사(10) 및 위사(20) 둘 중 어느 하나의 건수가 부족한 실험 2의 경우에는 세탁 3회 및 세탁 5회 실시의 경우 ‘양호 상태’의 기준에 한참 못 미치는 것은 물론, 경사(10) 및 위사(20) 둘 다 건수가 부족한 실험 1의 경우에도 현저하게 ‘양호 상태’에 못 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이로부터,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을 이루는 경사(10) 및 위사(20)의 항장식 건수에 따른 밀도의 하한치는 300본으로 결정됨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실험 4는,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을 이루는 경사(10)를 400본, 위사(20)를 300본으로 한 경우이고, 실험 5는, 경사(10)를 400본, 위사(20)를 400본으로 한 경우이며, 실험 6은, 경사(10)를 500본, 위사(20)를 400본으로 한 경우이고, 실험 7은, 경사(10)를 500본, 위사(20)를 500본으로 한 경우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험 4 및 실험 5의 경우 모두 불균염, 로프시와 및 구김(Crease) 시험에서 ‘양호 상태’를 획득하였다. 이 실험들로부터 획득한 직물의 사진은 도 5a에 잘 나타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 4 및 실험 5에 의하면, 직물에 균일하게 염색되는 한편, 로프시와(Rope crease) 및 구김(Crease)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한편, 실험 6 및 실험 7과 같이 경사(10) 및 위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장식 건수가 400을 초과한 경우에는 3개의 판정 인자 중 적어도 2개 이상이 ‘양호 상태’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도 5b는 실험 6 및 실험 7에 의해 획든한 직물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인데, 직물의 일부가 다른 일부보다 더 진하거나 연하게 염이 이루어진 불균염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도 5c는 로프시와 현상이 나타난 직물의 사진으로써 길이방향으로 구김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5d는 크리스 현상이 나타난 직물의 사진으로 군데군데 칼로 그어놓은 듯한 구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실험들 및 그 결과물로부터,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을 이루는 경사(10) 및 위사(20)의 항장식 건수에 다른 밀도의 상한치는 400본으로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의 밀도를 300본으로 한 경우의 미짐 상태에 따른 상판 및 하판의 최적 밀도(하한 밀도)를 규명하기 위한 결과 그래프이고, 도 6b는 중간상판 및 중간하판의 밀도를 300본으로 한 경우의 크리스 상태에 따른 상판 및 하판의 최적 밀도(상한 밀도)를 규명하기 위한 결과 그래프이다.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을 이루는 경사(10) 및 위사(20)의 항장식 건수를 기준으로 한 밀도 설정과는 별개로,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의 밀도 대비 나머지 실(상판 및 하판)의 밀도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짐 상태 또는 크리스 상태를 고려하여, 2:1 내지 4:1의 비율을 가지도록 직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충진된 다운이 삼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인 한편, 겉감에 해당되는 상판(11) 및 하판(14)의 경우 자카드 직물(1)의 장점인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디자인 패턴 구성에 용이하도록 상대적으로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에 비하여 낮은 밀도를 가지도록 직조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는,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의 최적 밀도가 정해진 경우, 중간하판(13) 및 중간상판(12)의 밀도가 2배 내지는 4배가 되도록 하는 밀도 관계를 가짐이 바람직하다.
겉감에 해당하는 상판(11) 및 하판(14)이 저밀도로 이루어질수록 손으로 상판(11) 및 하판(14)을 잡아당겼을 경우 원단이 밀리는 미짐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반대로 과도한 고밀도로 이루어질 경우 가공 공정에서 구김(Crease) 발생의 소지가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판(11) 및 하판(14)을 이루는 경사(10) 및 위사(20)의 적절한 밀도 밸런스(Balance)를 맞춘 설계가 요구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중간하판(13) 및 중간상판(12)은 밀도가 300본으로 정해진 경우로서,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를 변화시킨 후 각 밀도별 직물의 미짐 상태를 확인한 결과,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가 75본 이상인 경우에는 미짐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가 75본 미만인 경우에는, 미짐의 분포도가 대략 선형적으로 상승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중간하판(13) 및 중간상판(12)은 밀도가 300본으로 정해진 경우로서,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를 변화시킨 후 각 직물의 크리스 현상 분포도를 확인한 결과,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가 150본 이하일 경우에는 크리스 현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나, 150본을 초과할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크리스 현상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상판(11) 및 하판(14)의 밀도가 중간하판(13) 및 중간상판(12)의 밀도가 2배 내지는 4배가 되도록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중간상판(12) 및 중간하판(13)의 최적 밀도가 300본으로 정해질 경우, 상판(11) 및 하판(14)은 75본 내지 150본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자카드 직물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자카드 직물 10: 경사
11: 상판 12: 중간상판
13: 중간하판 14: 하판
20: 위사 A,B,C : 3개의 층
B: 가운데 층

Claims (8)

  1. 일정 부위에 3개의 층을 이루도록 엇갈리게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경사와, 상기 복수의 경사에 폭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경사 각각에 직조되는 복수의 위사로 이루어진 자카드 직물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층 중 가운데 층 상판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경사를 중간 상판이라 하고, 상기 3개의 층 중 가운데 층 하판을 이루는 상기 복수의 경사를 중간 하판이라 정의할 때,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실의 밀도는 나머지 실의 밀도보다 더 크도록 직조되는 자카드 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대비 나머지 실의 밀도는 2:1 내지 4:1의 비율을 가지도록 직조되는 자카드 직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는 인치(inch)당 300본 내지 400본의 범위를 가지는 자카드 직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을 제외한 나머지 실의 밀도는 인치(inch)당 80본 내지 150본의 범위를 가지는 자카드 직물.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중 하한인 인치(inch)당 300본은, 세탁 3회 후의 다운 테스트 실험 결과 5개 이하인 경사 및 위사의 직조 밀도인 자카드 직물.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중 하한인 인치(inch)당 300본은, 세탁 5회 후의 다운 테스트 실험 결과 10개 이하인 경사 및 위사의 직조 밀도인 자카드 직물.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 중 상한인 인치(inch)당 400본은, 불균염 시험, 로프시와 시험 및 구김(Crease) 시험 모두를 만족하는 경사 및 위사의 직조 밀도인 자카드 직물.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상판 및 중간 하판의 밀도는, 실의 굵기를 50d 기준으로 하는 자카드 직물.
KR1020160099887A 2016-08-05 2016-08-05 자카드 직물 KR101884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87A KR101884985B1 (ko) 2016-08-05 2016-08-05 자카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887A KR101884985B1 (ko) 2016-08-05 2016-08-05 자카드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036A true KR20180016036A (ko) 2018-02-14
KR101884985B1 KR101884985B1 (ko) 2018-08-02

Family

ID=6122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887A KR101884985B1 (ko) 2016-08-05 2016-08-05 자카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9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17B1 (ko) 2000-04-28 2003-09-2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면 파스너
JP3165570U (ja) * 2010-11-10 2011-01-27 株式会社成願 多重織物
KR101446266B1 (ko) * 2014-04-16 2014-10-01 주식회사히코 다수의 다운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직 직물의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12860A (ko) 2014-07-24 2016-02-03 민병관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3347A (ko) * 2015-03-18 2016-09-29 대한방직 주식회사 무코팅 초경량 다운프루프용 직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517B1 (ko) 2000-04-28 2003-09-2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면 파스너
JP3165570U (ja) * 2010-11-10 2011-01-27 株式会社成願 多重織物
KR101446266B1 (ko) * 2014-04-16 2014-10-01 주식회사히코 다수의 다운 주머니가 형성되는 제직 직물의 제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12860A (ko) 2014-07-24 2016-02-03 민병관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3347A (ko) * 2015-03-18 2016-09-29 대한방직 주식회사 무코팅 초경량 다운프루프용 직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4985B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7545A (en) Double faced knit fabric and method
CN101423998B (zh) 一种具有不同于绣花特质的提花织物的制作方法
KR20160118942A (ko) 편성포 및 편성포의 제조방법
CN101503840A (zh) 三层提花毛巾及其织造工艺
CN112971262A (zh) 具有层次效果的三明治组织的针织鞋面及其制作方法
KR101782000B1 (ko) 환편 원단의 제조방법
EP3290553B1 (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KR101884985B1 (ko) 자카드 직물
CN108360121A (zh) 一种具有充棉立体效果的面料及其织造方法
CN107740215A (zh) 一次织造成型可充绒羽绒被壳及其生产方法
CN204509607U (zh) 口袋织物
CN206418248U (zh) 一种双层双面效果的起花织物
CN209353075U (zh) 一种多色单面绣绣品
CN107313147B (zh) 一种非对称型单边开口松紧带及其织造工艺
KR200380644Y1 (ko) 이중 구조의 일체형 직조 원단
EP3690098B1 (en) Method for making a fabric
WO2023058578A1 (ja) 立体編物を含む表皮材
CN219490288U (zh) 一种丝绒提花织带
CN219861794U (zh) 涤粘布布料
KR200347672Y1 (ko) 번아웃 가공용 벨벳직물
CN215270853U (zh) 具有层次效果的三明治组织的针织鞋面
CN217709852U (zh) 一种浮线提花三贾卡网布及其鞋面
KR20120129042A (ko) 자카드 탄성 직물의 제조 방법
CN207176184U (zh) 图样视觉稳定的簇绒大提花地毯
KR870000551B1 (ko) 타올무늬의 대향 편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