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982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982A
KR20160010982A KR1020140091828A KR20140091828A KR20160010982A KR 20160010982 A KR20160010982 A KR 20160010982A KR 1020140091828 A KR1020140091828 A KR 1020140091828A KR 20140091828 A KR20140091828 A KR 20140091828A KR 20160010982 A KR20160010982 A KR 20160010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indoor unit
controller
unit
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0982A/ko
Publication of KR20160010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실외기 및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스케줄 시간 도달 시 스케줄 실행을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여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을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재실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면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 간에 스케줄을 변경하여, 변경된 스케줄로 상기 실내기가 운전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간단한 조작 또는 재실자 감지를 통해, 기 설정된 스케줄은 유지하면서 재실상태에따라 일시적인로 스케줄의 변경에 대응하여 운전함으로써, 기 설정된 스케줄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Air-conditioner and method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가 운전 종료 없이 소정 모드로 운전하면서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 여부에 따라 스케줄을 변경하여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운전되거나 난방운전되는데, 냉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실외기의 열교환기를 거쳐 고온고압의 액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팽창되어 기화되면서 주변공기의 온도가 내려가 실내기 팬이 회전동작함에 따라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고, 난방운전 시 실외기의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실내기로 공급되면,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액화되어 방출된 에너지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실내기팬의 동작에 따라 실내로 토출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설정된 운전모드에 따라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는데, 이때 흡입온도를 측정하여 실내온도를 판단하고, 실내온도가 입력된 희망온도에 도달하도록 운전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입력되는 스케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한다. 또한, 취침모드, 외출모드 또는 외출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이와 같이 사용자의 스케줄에 따라 동작하고, 나아가 사용자의 재실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재실자 감지를 통해 운전할 수 있다.
그러나, 입력된 스케줄은 고정적인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경우 고정된 스케줄로 동작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스케줄이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기 어렵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케줄을 재 설정하거나 수동으로 운전설정을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연속으로 사용하면서 스케줄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일상적인 패턴에 따른 설정은 가능하나, 위와 같이 일시적으로 변경되는 스케줄에 대응하기 어려워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기 입력된 스케줄을 사용자의 재실여부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수정하여 동작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실외기 및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스케줄 시간 도달 시 스케줄 실행을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여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을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재실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면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 간에 스케줄을 변경하여, 변경된 스케줄로 상기 실내기가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실외기 및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스케줄 시간 도달 시 스케줄 실행을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여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대한 사용자의 재실상태를 설정하는 전환키; 상기 전환키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실내기에 대한 복수의 스케줄 중,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 간에 스케줄을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스케줄 변경에 따른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이 입력되면, 상기 스케줄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 운전 중, 제어기에 구비되는 전환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가, 사용자의 재실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의 복수의 스케줄 중 상기 재실상태에 대응하는 스케줄로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스케줄로 상기 실내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서 간단한 조작 또는 재실자 감지를 통해, 스케줄에 따른 운전 패턴은 유지하면서 일시적인 스케줄의 변경에 대응하여 운전함으로써, 기 설정된 스케줄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기의 표시부 및 입력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기의 다른 실시예 및 스케줄 설정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재실 확인 및 스케줄 변경에 대한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재실 및 외출에 따라 변경되는 스케줄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스케줄 변경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11 내지 13), 실내기(10)에 연결되어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형태에 따라 천장형, 스탠드형, 벽걸이 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뿐 아니라, 환기유닛, 공기청정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내기(11 내지 13)는 연결된 실외기(1)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냉매의 열교환시키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공기가 실내열교환기로 유입되도록 하고,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노출되도록 하는 실내기팬(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 실내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실내기(1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실내기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하며, 풍량을 조절한다. 또한, 실내기는 경우에 따라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는 실내기의 운전상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출력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는 연결된 실내기(10)의 요구 또는 원격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며, 복수의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1)는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구성을 포함한다. 실외기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기(50)는 실내기(11 내지 13)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하여 실내기가 소정 설정에 따라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제어기(50)는, 단순제어기, 중앙제어기 또는 리모컨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실내기의 운전모드, 온도, 풍량 등의 운전설정뿐 아니라 운전스케줄을 입력하여 실내기로 전송함으로써 실내기가 설정에 따라 운전되도록 한다.
제어기(50)는 실내기와 통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재실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실감지수단은 실내기에 설치되는 카메라, 적외선센서와 같이 재실자를 감지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도어키는 공기조화기와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라 사용자의 재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50)는 구비되는 입력수단, 재실감지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스케줄을 변경하여 실내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데이터부(150), 통신부(140), 입력부(120), 표시부(130), 그리고 유닛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으로 실내기(10)와 통신한다. 통신부(140)는 실내기(10)로부터 실내기의 운전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운전설정데이터를 실내기(1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스케줄에 따른 제어명령을 실내기(1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기(50)는 온도감지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지수단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즉 제어기(50)가 실내공간에 설치되므로, 온도감지수단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경우에 따라 제어기(50)는 카메라 또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재실자를 감지하는 재실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재실감지수단은 실내공간에 이동하는 생명체를 감지하고, 이로부터 인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패드와 같은 소정의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입력수단이 조작됨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이때 제어기(50)의 형태에 따라 버튼 또는 스위치로 입력부가 될 수 있고, 또는 입력부 및 표시부가 상호 레이어드 되어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경우에는 입력부(120)는 터치입력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한다.
표시부(130)는 숫자, 문자, 특수문자 또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소정의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표시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화면에 출력하고, 또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메뉴화면이 출력되도록 하여, 공기조화기에 대한 운전설정, 운전상태, 이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기(50)는 표시부 이외에도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버저 또는 스피커, 그리고 점등되거나 점멸되어 동작상태, 각 기기와의 연결상태 또는 경고를 출력하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부(150)에는 제어기(50)의 기본데이터, 연결된 실내기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제어메뉴 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 통신부(14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50)는 실내기(10)의 스케줄데이터(151)이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실내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및 제어설정을 저장하고, 실내기의 스케줄데이터(151)를 데이터부(150)에 저장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메뉴화면을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하거나,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가 표시부(130)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운전설정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실내기(10)로 전송할 뿐 아니라, 스케줄데이터(151)에 대응하여, 지정된 스케줄의 시작 시간에 도달하면, 그에 따른 제어명령을 통신부(140)를 통해 실내기(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10)는 지정 시간에 스케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어기에 온도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입력되는 온도값을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고, 또는 통신부를 통해 실내기로 전송한다.
감지부(16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유닛이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명령을 구동제어부(170)로 인가하고, 그 동작상태를 확인하며, 유닛의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설정된 주기에 따라 통신부(130)를 통해 다른 유닛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또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그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라 함은 에러가 발생하거나 운전설정과 상이한 명령이 입력되거나 동작이 발생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유닛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전송한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가변하여 통신부(130)로 인가한다.
이때 통신부(130)는 그에 대응하여 송신측 및 수신측의 정보를 삽입하여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고, 또한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수신측정보를 확인한 후 제어부(11)로 데이터를 인가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유닛간의 연결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는 제어기(5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내기(10)는 제어기(50)로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S2), 제어기(50)는 그에 대응하여 스케줄을 변경하고 변경된 스케줄에 따른 제어명령을 실내기(10)로 전송한다(S3).
제어기(50)의 입력부(120)를 통해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기(50)에서 스케줄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실내기(10)에 재실 또는 부재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 예를 들어 재실자 감지를 위한 카메라 또는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실내기(10)는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제어기(50)로 전송한다.
또한, 재실감지수단(40)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재실감지수단(40)은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실내기(10)로 전송하고(S1), 실내기(10)는 입력되는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운전을 제어한다. 또한, 수신된 정보를 제어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실감지수단(40)은 도어락 또는 도어키가 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설치되는 카메라, 방범용 센서가 재실감지수단이 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입력되거나,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하여 스케줄을 변경하여 실내기(10)로 전송함으로써, 실내기(10)는 입력된 스케줄에 따라 동작하면서 사용자의 재실여부에 따라 변경된 스케줄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기의 표시부 및 입력부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되는 표시부(130)와 복수의 키가 구비되는 입력부(120)로 구성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입력부(120)의 신호에 대응하여 표시부(130)상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경하여 표시하고, 키입력에 따른 제어메뉴가 표시되도록 한다.
입력부(120)는 전원키를 포함하고, 냉방, 난방, 환기, 송풍 등의 실내기(10)에 대한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복수의 기능키, 제어메뉴 내에서 항목을 이동하고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네비게이션키, 메뉴 또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키, 취소키가 구비된다. 또한 희망온도, 풍량을 설정 또는 변경하는데 사용되는 키, 장기부재키(SER BACK)(121)와 전환키(OVERRIDE)(122)가 구비된다.
장기부재키(121)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장기간 부재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전환키(122)가 선택되는 경우, 현재 상태를 무효화하고 반대의 상태로 전환한다. 즉 재실상태에서는 부재상태로 변경하고, 부재상태에서는 재실상태로 변경한다. 재실스케줄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전환키(122)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외출하여 실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스케줄에서, 재실 상태에서의 운전스케줄과, 부재(외출)상태에서의 스케줄을 변경하여 실내기(10)가 동작하도록 한다.
실내기(10)가 재실스케줄로 운전하는 중에 장기부재키(121)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재실스케줄을 중지하고 다음 스케줄 중 부재스케줄을 실행한다. 또한, 실내기(10)가 부재스케줄에 따라 운전하는 중에, 장기부재키(121)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부재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의 스케줄은 무시하고 현재의 부재스케줄을 지속한다. 장기부재키(121)가 다시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장기부재를 해제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운전하도록 한다.
한편, 부재스케줄로 운전하는 중에 전환키(122)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복귀를 판단하여, 다음 스케줄 중 재실 스케줄이 실행되도록 실내기(10)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즉 기 설정된 스케줄 상으로는 부재스케줄에 해당하지만 재실키(121)가 입력되면 이를 일시적으로 변경하여 재실스케줄이 실행되도록 한다.
또한, 재실스케줄이 실행되는 상태에서 전환키(122)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재실상태를 부재상태로 변경하여 다음 스케줄 중, 부재스케줄로 스케줄을 변경한다. 제어기(50)는 그에 따른 제어명령을 실내기(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10)는 부재스케줄로 운전한다.
실내기(10) 또는 재실감지수단(4)에 의해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기(50)는 그에 대응하여 스케줄을 변경하고 변겨된 스케줄에 따라 실내기(10)가 운전하도록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이때, 재실감지수단의 경우, 감지센서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이를 부재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소정시간 이상 재실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부재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부재상태에서 재실자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즉시 재실스케줄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환키(122)의 입력에 대응하여 다음스케줄 중에서 실행할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환키가 입력된 시간을 기준으로 전후로 가까운 시간대의 스케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기의 다른 실시예 및 스케줄 설정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는 입력부와 표시부가 레이어드 된 터치스크린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스케줄메뉴에는 스케줄을 설정하고자 하는 요일을 선택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시간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타이머설정이 가능하고, 입력되는 스케줄을 매일, 일주일단위, 1년 단위로 반복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휴일 설정이 가능하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메뉴에서 스케줄을 설정할 시간을 선택하고 운전/정지를 설정한다(S201). 예를 들어 월요일 10시에 실내기가 스케줄에 따른 동작을 시작하도록 ON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재실 또는 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202). 이때, 사용중으로 설정하여 재실스케줄을 설정한다. 또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모드를 설정한다(203).
또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희망온도를 설정하고(204),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방희망온도를 설정한 후(205), 풍량을 설정한다(206). 스케줄이 입력되고 저장키를 선택되면,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정된 시간에 동작하도록 스케줄이 설정이 완료된다(207).
위와 같이 설정된 10시의 재실스케줄이 데이터부(150)에 스케줄데이터(151)로써 저장된다.
이렇게 설정되는 스케줄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재실과 부재에 대한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제어기(50)는 그에 따라 스케줄을 변경하여 실내기(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50)는 재실과 부재 중 상태가 변경되는 때에 새로운 스케줄이 입력되면, 새로운 스케줄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재실 확인 및 스케줄 변경에 대한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스케줄이 표시부(130)의 화면에 표시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운전하는 실내기(10)에 대하여 운전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된다. 표시부(130)에는 실내온도, 냉방모드에 대한 설정온도와 풍량이 표시된다.
화면에 표시된 재실아이콘(132)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사용자가 장기부재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상태에 대한 부재아이콘(133)으로 변경하여 표시한다. 이때 장기부재 상태로 전환되어 제어부(110)는 실내기(10)로 장기부재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그에 따라 실내기(10)는 설정된 부재스케줄에 따라 장기부재가 해제될때까지 부재스케줄로 운전한다. 부재아이콘(133)이 선택되면 제어부(110)는 장기부재를 해제하고 실내기(10)가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실행스케줄키(131)가 선택되는 경우,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실 또는 부재스케줄의 전환이 가능하다. 이때, 재실과 부재에 대한 스케줄의 전환 뿐 아니라, 스케줄을 새로 설정하거나, 온도를 변경할 수 있고, 전환 스케줄에 대한 설정을 일부 변경할 수 있다.
전환항목(134)이 선택되는 경우, 현재 실행중인 스케줄에 대하여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스케줄이 전환된다. 이때 하단의 시간설정메뉴(135)를 통해 입력되는 시간까지 스케줄을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설정한다. 이와 같이 시간이 설정되어 스케줄을 전환하도록 설정되면 입력된 시간 까지에대한 새로운 스케줄로 추가될 수 있다. 한편 시간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의 시간의 스케줄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재실 및 외출에 따라 변경되는 스케줄의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기 설정된 스케줄이 시간에 따라 존재하는 상황에서 제어기(50)는 입력되는 전환키(122)의 입력 또는 수신되는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케줄을 변경하여 실내기(10)가 변경된 스케줄로 운전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실과 부재에 대한 스케줄이 설정된다.
첫번째 스케줄은 8시에 시작되는 재실스케줄로, 8시에 실내기(10)가 켜지고, 냉방모드로 운전하도록 설정된다. 이때 냉방모드에 따른 희망온도는 18도이고 풍량은 강풍이다.
두번째 스케줄은 10시에 시작되는 부재스케줄이고, 10시에 실내기가 냉방모드로 켜지고 이때 희망온도는 25도 그리고 약풍으로 설정된다. 또한, 세번째 스케줄은 15시부터 시작되는 재실스케줄로, 실내기(10)가 동작정지상태를 유지하도록 꺼짐으로 설정된다. 마지막 네번째 스케줄은 재실스케줄로 22시에 자동모드로 켜지도록 설정되고, 희망온도는 24도, 풍량은 약풍으로 설정된다.
제어기(50)는 이와 같이 스케줄이 설정되는 경우, 각각 9시 10시 15시 22시에 각 스케줄에 따른 제어명령을 실내기(1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실내기(10)는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운전하게 된다.
이때 도 8의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점(P1)에서 전환키(122)가 입력되면, 제어기(50)는, 실내기(10)가 8시에 시작된 첫번째 스케줄인 재실스케줄로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부재스케줄로 전환한다.
제어기(50)는 다음 스케줄 중 부재 스케줄인 두번째 스케줄이 제 1 지점(P1)에서 시작한다. 즉 10시에 시작되는 두번째 부재 스케줄은 도 7의 c와 같이 제 1 지점(P1)인 9:20에 시작하도록 스케줄이 변경된다.
제어기(50)는 변경된 스케줄에 따라 실내기(10)로 제어명령을 전송한다.
또한, 제 2 지점(P2)에서 전환키(122)가 입력되면 제어기(50)는 부쟈스케줄을 재실스케줄로 변경하여, 실내기가 다음 스케줄 중 재실스케줄로 운전되도록 한다.
즉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시에 전환키(122)가 입력되면, 3시 예정인 세번째 재실스케줄이 2시부터 실행되도록 스케줄이 변경된다. 제어기(50)의 제어명령에 따라 실내기(10)는 동작을 정지하고, 다음 스케줄인 네번째 스케줄에 따라 10시에 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스케줄의 변경은 일시적인 것으로 저장된 스케줄은 변경되지 않는다. 즉 도 7의 b에 도시된 스케줄이 매일 반복되는 일일 스케줄인 경우, 다음날에는 기 설정된 스케줄 대로 실내기가(10)가 동작한다. 단, 다음날에도 전환키(122)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따라 해당일의 스케줄이 변경될 수 있다.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의 스케줄 변경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50)의 입력부(120)를 통해 실내기(10)의 스케줄 설정된다(S310).
전술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어기(50)는 스케줄메뉴를 통해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실내기의 스케줄은 특정일이나 특정시간에 대한 스케줄은 물론, 일일스케줄, 주간스케줄, 년간스케줄의 설정이 가능하다.
제어기(50)는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10)로 전송하고, 실내기(10)는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운전한다(S320).
실내기(10) 운전 중, 제어기(50)에 전환키(122)가 입력되는 경우(S330), 제어기(50)는 현재 실내기의 운전스케줄에 대응하여 스케줄을 변경한다. 한편, 전환키(122) 이외에도, 별도로 구비되는 재실감지수단(40)을 통해 사용자의 출입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전환키와 동일하게 스케줄 전환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텔의 도어키가 이에 대응 될 수 있다. 또한, 도어락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50)는 현재 재실 스케줄로 실내기가 운전중인 경우, 기 설정된 스케줄 중, 다음스케줄에서 부재스케줄을 호출하여 스케줄을 변경한다(S340).
이때 전환키 입력과 함께 새로운 스케줄이 입력되는 경우(S350), 제어기(50)는 새로운 스케줄을 실내기(10)의 부재스케줄로 설정하고(S370), 새로운 스케줄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음 스케줄 중 부재스케줄로 스케줄을 변경한다(S360).
제어기(50)는 변견된 스케줄에 대한 제어명령을 실내기(10)로 전송하고, 실내기(10)는 변경된 스케줄에 따라 운전한다.
또한, 실내기(10)가 부재스케줄로 운전하는 중, 제어기(50)에 전환키(122)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기(50)는 다음 스케줄 중 재실스케줄을 실내기의 스케줄로 적용한다(S390). 그에 따라 실내기는 재실 스케줄로 운전하게 된다(S40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실내기가 운전하되, 사용자의 입력 또는 사용자의 재실과 부재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스케줄을 변경하여 실내기가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일정변경에 대하여 간편하게 운전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나,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실외기 10, 11 내지 14: 실내기
20, 21, 22: 히터 31: 덕트
40, 41 내지 43: 로컬제어기 50: 접점제어기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실외기 및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스케줄 시간 도달 시 스케줄 실행을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여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을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재실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면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 간에 스케줄을 변경하여, 변경된 스케줄로 상기 실내기가 운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 기 설정된 스케줄은 유지하면서, 상기 재실상태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스케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실내기가 재실스케줄로 운전중인 경우 부재스케줄로 변경하고,
    부재스케줄로 운전중인 경우 재실스케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실내기에 대한 복수의 스케줄 중, 실행되지 않은 다음스케줄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의 스케줄을 적용하여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 시점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상태의 스케줄을 적용하여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실상태 변경 시, 새로운 스케줄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스케줄을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느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실상태를 변경하는 전환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환키 입력 시, 상기 재실상태를 변경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재실 여부를 감지하는 재실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실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재실상태의 변경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는 감지수단으로부터 재실 또는 부재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재실상태의 변경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장기부재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기부재키 입력 시, 기 설정된 스케줄은 무시하고, 상기 장기부재키가 재입력되기까지 상기 실내기가 부재스케줄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연결되는 리모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실외기 및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을 설정하여 저장하고, 스케줄 시간 도달 시 스케줄 실행을 위한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여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대한 사용자의 재실상태를 설정하는 전환키;
    상기 전환키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재실상태가 변경되면, 상기 실내기에 대한 복수의 스케줄 중, 재실스케줄과 부재스케줄 간에 스케줄을 변경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스케줄 변경에 따른 제어명령을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키 입력 시 상기 재실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실내기가 재실스케줄로 운전중인 경우 부재스케줄로 변경하고, 부재스케줄로 운전중인 경우 재실스케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실상태 변경 시, 상기 실내기에 대한 복수의 스케줄 중, 실행되지 않은 다음스케줄에서 변경하고자 하는 상태의 스케줄을 적용하여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에 대한 운전설정 및 스케줄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부에 저장된 스케줄데이터는 변경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상기 재실상태에 대응하여 일시적으로 스케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가 장기간 부재스케줄로 운전되도록 하는 장기부재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기부재키 입력 시, 기 설정된 스케줄은 무시하고, 상기 장기부재키가 재입력되기까지 상기 실내기가 부재스케줄로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7.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이 입력되면, 상기 스케줄에 따라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 운전 중, 제어기에 구비되는 전환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기가, 사용자의 재실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실내기의 복수의 스케줄 중 상기 재실상태에 대응하는 스케줄로 변경하는 단계; 및
    변경된 스케줄로 상기 실내기가 운전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변경 시,
    상기 실내기가 재실스케줄로 운전중인 경우 부재스케줄로 변경하고,
    부재스케줄로 운전중인 경우 재실스케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변경 시,
    상기 복수의 스케줄 중, 실행되지 않은 다음 스케줄 중, 변경된 상기 재실상태에 대응하는 스케줄을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 변경 시, 기 저장된 스케줄 데이터는 유지하고,
    일시적으로 스케줄을 변경하여 상기 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키 입력 시, 새로운 스케줄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스케줄로 상기 실내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구비되는 장기부재키가 입력되는 단계;
    기 설정된 스케줄은 무시하고 상기 실내기의 스케줄을 부재스케줄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장기부재키가 재입력되기 까지 상기 부재스케줄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40091828A 2014-07-21 2014-07-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0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28A KR20160010982A (ko) 2014-07-21 2014-07-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828A KR20160010982A (ko) 2014-07-21 2014-07-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982A true KR20160010982A (ko) 2016-01-29

Family

ID=55310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828A KR20160010982A (ko) 2014-07-21 2014-07-2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09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01A1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01A1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0645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11304B1 (ko) 무드조명이 구비된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1125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2153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JP201501775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733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386336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建物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417672B2 (ja) 空気調和機
KR1014607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1098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555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9066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583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9178811A (ja) 空気調和機
KR2014012291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9937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6516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
KR1021555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13303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4011379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9459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용 제어기
JP3985750B2 (ja) 多室形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