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96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968A
KR20160007968A KR1020140086881A KR20140086881A KR20160007968A KR 20160007968 A KR20160007968 A KR 20160007968A KR 1020140086881 A KR1020140086881 A KR 1020140086881A KR 20140086881 A KR20140086881 A KR 20140086881A KR 20160007968 A KR20160007968 A KR 20160007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pattern
substrate
direction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020B1 (ko
Inventor
이선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020B1/ko
Priority to US14/606,950 priority patent/US9758872B2/en
Priority to EP15168889.2A priority patent/EP2966688B1/en
Priority to EP23217282.5A priority patent/EP4326032A3/en
Priority to CN202210653668.0A priority patent/CN115188785A/zh
Priority to CN201510405391.XA priority patent/CN105261620A/zh
Publication of KR20160007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020B1/ko
Priority to US15/701,120 priority patent/US10196742B2/en
Priority to US16/265,872 priority patent/US10669634B2/en
Priority to US16/880,896 priority patent/US11639551B2/en
Priority to US18/311,083 priority patent/US2023027253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5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using electric discharg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상에 적어도 표시 영역을 갖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절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이 개재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가 얇아지고 무게가 가벼워 그 사용의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평판 형태의 표시 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박형의 표시 장치는 복수 개의 다양한 막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막은 표시 장치에 대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또는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시의 공정 조건에 따라 손상되거나, 크랙 전파의 통로가 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마더 기판(mother glass)로부터 형성하는 경우, 각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리하도록 절단선(cutting line)을 따라 절단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 공정 시 표시 장치에 구비된 막들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크랙 전파의 통로가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구성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판상에 적어도 표시 영역을 갖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절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이 개재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기판의 모든 가장자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질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적어도 상기 기판상의 중앙 영역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적어도 상기 기판상의 표시 영역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의 상면을 노출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의 상면의 일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절연 패턴들 사이에는 상기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 가장자리는 절단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중심 절연 패턴 및 상기 중심 절연 패턴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절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절연 패턴과 주변 절연 패턴의 폭이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 절연 패턴의 폭은 상기 중심 절연 패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아일랜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의 가장자리는 곡선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의 가장자리는 원호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중앙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중앙 절연층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연층의 일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중앙 절연층과 상기 절연 패턴의 사이에 배치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기물을 함유하는 제1층, 유기물을 함유하는 제2 층 및 상기 제1 층과 제2 층의 사이에 배치된 삽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절연 패턴의 상면 또는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도전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은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절연 패턴상에 형성된 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1 대 1로 서로연결되는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서로 단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가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보다 상기 표시 영역에 더 가깝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가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보다 상기 표시 영역에 더 가깝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절연 패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절연 패턴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활성층을 절연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절연 패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의 일부를 덮고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절연 패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상에 적어도 표시 영역을 갖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절연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되도록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중앙 영역에 중앙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중앙 절연층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중앙 절연층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적어도 상기 주변 영역 및 중심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원장 기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상기 원장 기판에 대하여 절단선을 기준으로 절단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표시 영역을 갖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절연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되도록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절단선은 상기 그루브와 대응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내구성이 향상된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D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E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F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G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ⅩⅦ-Ⅹ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2는 도 3, 11, 18, 21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ⅩⅤ-ⅩⅤ선 및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K의 확대도이다.
도 28 내지 도 32는 도 27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원장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M을 확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ⅩⅩ-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D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기판(101)을 포함한다. 기판(101)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판(101)은 유리, 금속 또는 유기물 기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1)은 플렉서블 소재의 기판(101)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렉서블 소재의 기판(101)이란 가요성을 갖는 기판으로 잘 휘어지고 구부러지며 접거나 돌돌 말 수 있는 기판을 지칭한다. 이러한 플렉서블 소재의 기판(101)은 초박형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경우 기판(101)은 폴리이미드(PI)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마더 기판 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101)의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000)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절단선(CL)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된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기판(101)의 가장자리는 절단선(CL)에 의해 정의된다.
기판(101)의 가장자리 전체, 즉 도 1에 도시된 기판(101)의 네 개의 모서리가 모두 절단선(CL)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1)의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나 또는 둘 또는 세개가 절단선(CL)일 수 있다.
즉, 마더 기판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가장자리들 중 절단선(CL)으로 결정되는 가장자리의 위치, 개수는 다양하다.
기판(101)은 주변 영역(PA) 및 중앙 영역(CA)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단선(CL)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더 기판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기판(101)이 하나의 마더 기판이 될 수 있어 절단선(CL)이 없을 수도 있다. 그 경우 주변 영역(PA)은 기판(10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절단선(CL)이 있는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영역(CA)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미도시), 예를들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주변에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복수 개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표시 영역(DA)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은 주변 영역(P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에는 드라이버(driver)나 복수개의 패드부(미도시)들이 배치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기판(10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내부로 투습이나 불순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앙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앙 절연층(미도시)은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으로서 절단선(CL)을 따라 기판(101)의 둘레에 구비된다.
주변 영역(PA)에는 절연 패턴(IP)이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에 인접하도록 절연 패턴(IP)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제1 절연층(111)이 기판(1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적어도 주변 영역(PA)에서 기판(101)상에 제1 절연층(111)이 형성되고, 제1 절연층(111)상에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제1 절연층(111)은 다양한 절연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절연층(111)은 무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절연층(111)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질산화물을 포함할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제1 절연층(111)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사이드(SiO2) 또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SiOxNy)를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절연층(111)은 중앙 영역(CA)에까지 형성될 수 있고, 표시 영역(DA)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절연층(111)은 기판(101)상에 중앙 영역(CA) 및 주변 영역(PA)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기판(101)의 상면의 전체면에 제1 절연층(1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절연층(111)을 통하여 기판(101)의 상면은 주변 영역(PA)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제1 절연층(111)은 적어도 기판(101)의 절단선(CL)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서 제1 절연층(111)이 기판(101)의 상면을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절연 패턴(IP)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은 기판(101)의 중앙 영역(CA)에 형성될 수 있는 절연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것과 같이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기판(10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내부로 투습이나 불순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앙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는데, 중앙 절연층(미도시)와 동일한 재질로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미도시)은 절연 패턴(IP)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GV)는 절연 패턴(IP)과 기판(101)의 절단선(CL)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루브(GV)는 기판의 절단선(CL)에 인접하고, 절연 패턴(IP)는 기판(101)의 절단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절연 패턴(IP)은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판(101)의 절단선(CL)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절연 패턴(IP)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는데, 표시 영역(DA)의 길이보다 작을 수도 있고, 클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절연 패턴(IP)은 길이 방향(도 1 및 도 2의 Y축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2개의 그루브(GV)를 사이에 두고 절연 패턴(IP)이 배치되도록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즉, 절연 패턴(IP)을 형성하는 물질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그루브(GV)가 형성된다.
그루브(GV)는 적어도 기판(1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GV)는 기판(101)의 모든 절단선(CL)과 인접할 수 있다. 즉, 그루브(GV)는 기판(101)의 모든 가장자리와 인접하는 그루브(GV)를 포함할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루브(GV)가 기판(101)의 일부 가장자리와만 접하는 그루브(GV)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주변 영역(PA)에 구비된 기판(1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는 기판(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전파되는 크랙을 차단한다. 예를들면 기판(1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는 마더 기판으로부터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절단하여 분리할 때 기판(101)상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전파를 1차적으로 방지한다.
특히, 그루브(GV)는 기판(101)상의 제1 절연층(111)의 상면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절연 패턴(IP)과 인접한 영역인 그루브(GV)에 제1 절연층(1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판(101)의 보호를 효과적으로 하는 동시에 크랙 발생 및 전파를 방지한다.
또한, 제1 절연층(111)으로 인하여 절연 패턴(IP)이 기판(101)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 패턴(IP)은 기판(1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2차적으로 크랙의 전파를 방지한다. 또한, 주변 영역(PA)의 내구성을 향상한다. 특히, 기판(101)을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하여 플렉서블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형성할 경우 주변 영역(PA)에서의 휨, 벤딩 시 주변 영역(PA)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절연 패턴(IP)의 측면 중 절단선(CL)과 멀리 떨어지도록 배치된 측면과 인접한 그루브(GV)는 추가적으로 발생하거나 전파되는 크랙을 차단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제1 절연층(111) 및 제2 절연층(112)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기판(101)상에 제1 절연층(111)이 형성되고, 제1 절연층(111)상에 제2 절연층(112)이 형성된다. 제2 절연층(112)상에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제2 절연층(112)은 다양한 절연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절연층(112)은 무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절연층(112)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질산화물을 포함할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제2 절연층(112)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사이드(SiO2) 또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SiOxNy)를 함유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1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3개 이상의 절연층이 적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절연 패턴(IP)가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을 포함한다. 제1 층(IPa)은 제1 절연층(111)상에 형성되고, 제2 층(IPb)은 제1 층(IPa)상에 형성된다.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다양한 절연물질로 형성되는데,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는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이 동일한 폭을 갖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이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층(IPa)의 상면의 일부가 제2 층(IPb)으로 덮이지 않을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5의 구조에 도 4의 제2 절연층(112)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층(IPa)과 제1 절연층(111)의 사이에 제2 절연층(112)이 더 배치될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101)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서 제1 층(101a), 제2 층(101b) 및 삽입층(101c)을 포함한다. 제1 층(101a) 및 제2 층(101b)은 유기물을 포함하고, 삽입층(101c)은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101a) 및 제2 층(101b)은 폴리이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고 삽입층(101c)은 실리콘 옥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층(101a) 및 제2 층(101b)이 다양한 재질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동일 또는 서로 상이한 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층(101c)이 배리어 기능을 하는 다양한 재질을 함유할 수 있고, 단층이 아닌 복층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6의 복층의 기판(101)의 구조가 도 4 및 도 5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절연 패턴(IP)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2개의 절연 패턴(IP)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3개 이상의 절연 패턴(IP)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절연 패턴(IP)은 절연 패턴(IP)의 일 방향, 예를들면 폭 방향(도 7의 X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절연 패턴(IP)에 인접하도록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절연 패턴(IP)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일정한 폭을 가질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절연 패턴(IP)의 각 절연 패턴(IP)은 영역별로 균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영역별로 상이한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절연 패턴(IP)의 기타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의 절연 패턴(IP) 및 그 사이에 구비된 그루브(GV)는 전체적으로 기판(101)의 절단선(CL)을 통한 기판(101)으로의 크랙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기판(101)의 가장자리, 즉 절단선(CL)에 인접한 그루브(GV)를 통하여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고, 상기 절단선(CL)에 인접한 그루브(GV)와 인접한 절연 패턴(IP)이 크랙 발생을 차단하고, 이와 인접한 그루브(GV)가 크랙 발생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고, 이와 인접한 절연 패턴(IP)이 이러한 크랙 발생 및 전파를 추가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절연 패턴(IP)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절연 패턴(IP)은 중심 절연 패턴(IPc) 및 주변 절연 패턴(IPp)를 구비한다.
주변 절연 패턴(IPp)은 중심 절연 패턴(IPc)의 주변에 배치된다. 즉, 주변 절연 패턴(IPp)은 기판(101)의 절단선(CL)과 중심 절연 패턴(IPc)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심 절연 패턴(IPc)과 표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다.
주변 절연 패턴(IPp)의 개수는 도 8에는 중심 절연 패턴(IPc)의 일측에 2개씩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중심 절연 패턴(IPc)의 일측에 3개 이상의 주변 절연 패턴(IPp)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절연 패턴(IPc)은 폭(W1)을 갖고, 주변 절연 패턴(IPp)은 폭(W2)을 갖는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폭(W1) 및 폭(W2)는 다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폭(W1)이 폭(W2)보다 클 수 있다.
중심 절연 패턴(IPc)의 폭(W1)이 주변 절연 패턴(IPp)의 폭(W2)보다 크도록 하여 주변 절연 패턴(IPp)을 통하여 전달될 수 있는 크랙의 전파를 중심 절연 패턴(IPc)이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시 폭(W1) 및 폭(W2)이 다르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유연성이 증대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심 절연 패턴(IPc) 및 주변 절연 패턴(IPp)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절연 패턴(IP)의 기타 다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E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기판(201)을 포함한다. 기판(201)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1)의 구체적인 재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마더 기판 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201)의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2000)로 분리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절단선(CL)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된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2000)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기판(201)의 가장자리는 절단선(CL)에 의해 정의된다.
기판(201)의 가장자리 전체, 즉 도 9에 도시된 기판(201)의 네 개의 모서리가 모두 절단선(CL)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201)의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나, 둘 또는 세개가 절단선(CL)일 수 있다.
즉, 마더 기판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0)의 가장자리들 중 절단선(CL)으로 결정되는 가장자리의 위치, 개수는 다양하다.
기판(201)은 주변 영역(PA) 및 중앙 영역(CA)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단선(CL)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더 기판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2000)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기판(201)이 하나의 마더 기판이 될 수 있어 절단선(CL)이 없을 수도 있다. 그 경우 주변 영역(PA)은 기판(20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절단선(CL)이 있는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영역(CA)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미도시), 예를들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주변에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복수 개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표시 영역(DA)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은 주변 영역(P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에는 드라이버(driver)나 복수개의 패드(미도시)들이 배치된다.
중앙 영역(CA)에는 기판(20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0)의 내부로 투습이나 불순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판(201)상에 중앙 영역(CA)에는 중앙 절연층(220)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220)은 중앙 영역(CA)으로부터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 형성된 중앙 절연층(220)의 영역과 일 부분에서 이격된 채 중앙 절연층(220)의 다른 영역이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 절연층(220)은 다양한 절연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으로서 절단선(CL)을 따라 기판(201)의 둘레에 구비된다.
주변 영역(PA)에는 절연 패턴(IP)이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에 인접하도록 절연 패턴(IP)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제1 절연층(211)이 기판(2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적어도 주변 영역(PA)에서 기판(201)상에 제1 절연층(211)이 형성되고, 제1 절연층(211)상에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제1 절연층(211)은 다양한 절연 물질로 형성할 수 있고,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재료들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절연층(211)을 통하여 기판(201)의 상면은 주변 영역(PA)에서 노출되지 않는다. 즉, 제1 절연층(211)은 적어도 기판(201)의 절단선(CL)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서 제1 절연층(211)이 기판(201)의 상면을 덮지 않을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절연층(211)은 중앙 영역(CA)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절연층(211)은 기판(201)과 중앙 절연층(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패턴(IP)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무기물 또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은 기판(201)의 중앙 영역(CA)에 형성될 수 있는 절연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220)과 동일한 재질로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절연 패턴(IP)을 중앙 절연층(220)의 형성 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 및 중앙 절연층(220)을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GV)는 절연 패턴(IP)과 기판(201)의 절단선(CL)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루브(GV)는 기판의 절단선(CL)에 인접하고, 절연 패턴(IP)는 기판(201)의 절단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그루브(GV)는 절연 패턴(IP)과 중앙 절연층(220)의 사이에도 형성된다.
그루브(GV) 및 절연 패턴(IP)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절연 패턴(IP)은 일 방향, 예를들면 절연 패턴의 폭 방향(도 10의 X축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도 7 및 도 8의 구조를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2000)에 적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판(2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절연층(211)외에 하나 이상의 절연층(미도시)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미도시)은 다양한 절연 물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무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절연 패턴(IP)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을 포함한다. 제1 층(IPa)은 제1 절연층(211)상에 형성되고, 제2 층(IPb)은 제1 층(IPa)상에 형성된다.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다양한 절연물질로 형성되는데,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220)은 중앙 영역(CA)으로부터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 형성된 중앙 절연층(220)의 영역과 일 부분에서 이격된 채 중앙 절연층(220)의 다른 영역이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중앙 절연층(220)은 다양한 절연물을 함유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220)과 동일한 재질로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절연 패턴(IP)을 중앙 절연층(220)의 형성 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 및 중앙 절연층(220)을 무기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220)은 제1 중앙 절연층(221) 및 제2 중앙절연층(222)을 포함한다. 절연 패턴(IP)의 제1 층(IPa)은 제1 중앙 절연층(22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고, 제2 층(IPb)은 제2 중앙 절연층(22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층(IPa)을 제1 중앙 절연층(221) 형성 시 동시에 형성하고, 제2 층(IPb)을 제2 중앙 절연층(222) 형성 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을 동시에 형성 시 제1 중앙 절연층(221) 및 제2 중앙 절연층(222)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2에는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이 동일한 폭을 갖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이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층(IPa)의 상면의 일부가 제2 층(IPb)으로 덮이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에는 기판(201)이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과 마찬가지로 기판(201)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서 제1 층(미도시), 제2 층(미도시) 및 삽입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미도시), 제2 층(미도시) 및 삽입층(미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F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기판(301)을 포함한다. 기판(301)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301)의 구체적인 재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마더 기판 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301)의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3000)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절단선(CL)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된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3000)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기판(301)의 가장자리는 절단선(CL)에 의해 정의된다.
기판(301)의 가장자리 전체, 즉 도 13에 도시된 기판(301)의 네 개의 모서리가 모두 절단선(CL)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301)의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나, 둘 또는 세개가 절단선(CL)일 수 있다.
즉, 마더 기판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3000)의 가장자리들 중 절단선(CL)으로 결정되는 가장자리의 위치, 개수는 다양하다.
기판(301)은 주변 영역(PA) 및 중앙 영역(CA)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단선(CL)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더 기판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3000)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기판(301)이 하나의 마더 기판이 될 수 있어 절단선(CL)이 없을 수도 있다. 그 경우 주변 영역(PA)은 기판(30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절단선(CL)이 있는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영역(CA)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미도시), 예를들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주변에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복수 개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표시 영역(DA)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은 주변 영역(P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에는 드라이버(driver)나 복수개의 패드(미도시)들이 배치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기판(30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3000)의 내부로 투습이나 불순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앙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앙 절연층(미도시)은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으로서 절단선(CL)을 따라 기판(301)의 둘레에 구비된다.
주변 영역(PA)에는 절연 패턴(IP)이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에 인접하도록 절연 패턴(IP)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은 복수의 이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판(301)의 가장자리인 절단선(CL)으로부터 표시 영역(DA)을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절연 패턴(IP)이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절연 패턴(IP)의 사이에는 이격 영역(SA)이 존재할 수 있다. 이격 영역(SA)은 그루브(GV)에 대응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절연층(미도시)이 기판(3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미도시)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루브(GV)는 절연 패턴(IP)과 기판(301)의 절단선(CL)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루브(GV)는 기판의 절단선(CL)에 인접하고, 절연 패턴(IP)는 기판(301)의 절단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3000)에 도 4 내지 도 12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복수 개의 절연 패턴(IP)이 배열된 방향(도 14의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도 14의 X축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3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하나의 절연층이 아닌 복수의 절연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 패턴(IP)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미도시)이 중앙 영역(CA)으로부터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 형성된 중앙 절연층(미도시)의 영역과 일 부분에서 이격된 채 중앙 절연층(320)의 다른 영역이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미도시)과 동일한 재질로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301)이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과 마찬가지로 기판(301)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서 제1 층(미도시), 제2 층(미도시) 및 삽입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미도시), 제2 층(미도시) 및 삽입층(미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G를 확대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ⅩⅦ-ⅩⅦ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기판(401)을 포함한다. 기판(401)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01)의 구체적인 재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마더 기판 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401)의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4000)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절단선(CL)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된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4000)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기판(401)의 가장자리는 절단선(CL)에 의해 정의된다.
기판(401)의 가장자리 전체, 즉 도 15에 도시된 기판(401)의 네 개의 모서리가 모두 절단선(CL)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401)의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나, 둘 또는 세개가 절단선(CL)일 수 있다.
즉, 마더 기판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000)의 가장자리들 중 절단선(CL)으로 결정되는 가장자리의 위치, 개수는 다양하다.
기판(401)은 주변 영역(PA) 및 중앙 영역(CA)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단선(CL)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더 기판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4000)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기판(401)이 하나의 마더 기판이 될 수 있어 절단선(CL)이 없을 수도 있다. 그 경우 주변 영역(PA)은 기판(40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절단선(CL)이 있는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영역(CA)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미도시), 예를들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주변에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복수 개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표시 영역(DA)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은 주변 영역(P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에는 드라이버(driver)나 복수개의 패드(미도시)들이 배치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기판(401)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4000)의 내부로 투습이나 불순물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중앙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중앙 절연층(미도시)은 무기물을 함유할 수 있다.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으로서 절단선(CL)을 따라 기판(401)의 둘레에 구비된다.
주변 영역(PA)에는 절연 패턴(IP)이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에 인접하도록 절연 패턴(IP)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은 복수의 아일랜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은 곡선의 가장자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은 원호 형태의 가장자리를 가질 수 있고, 또 다른 예로서 원 또는 타원 형태의 가장자리를 가질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은 복수의 아일랜드 패턴을 갖고 일 방향 및 이와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절단선(CL)과 나란한 방향(도 16의 X축 방향) 및 이와 교차하는 방향(도 16의 Y축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1 절연층(411)이 기판(4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절연층(411)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루브(GV)는 절연 패턴(IP)과 기판(401)의 절단선(CL)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루브(GV)는 기판의 절단선(CL)에 인접하고, 절연 패턴(IP)는 기판(401)의 절단선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아일랜드 패턴 형태의 절연 패턴(IP)들 사이에는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소정의 영역에서 넓게 연장된 형태의 그루브(GV)가 형성되어 기판(401)을 통한 크랙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4000)에 도 4 내지 도 12의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복수 개의 절연 패턴(IP)이 배열된 방향(도 14의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기판(4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하나의 절연층이 아닌 복수의 절연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절연 패턴(IP)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미도시)이 중앙 영역(CA)으로부터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 형성된 중앙 절연층(미도시)의 영역과 일 부분에서 이격된 채 중앙 절연층(420)의 다른 영역이 주변 영역(PA)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절연층(미도시)과 동일한 재질로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판(401)이 단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과 마찬가지로 기판(401)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서 제1 층(미도시), 제2 층(미도시) 및 삽입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미도시), 제2 층(미도시) 및 삽입층(미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도 17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전 패턴(MT)를 포함한다. 도전 패턴(MT)는 패드부일 수 있다. 도전 패턴(MT)는 복수의 절연 패턴(IP)의 사이, 즉 그루브(GV)에 배치된다. 이 때, 도전 패턴 (MT)는 절연 패턴(IP)의 상면 또는 측면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 내지 도 22는 도 3, 11, 18, 21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즉 도 19 내지 도 22는 각각 도 3, 11, 18, 21의 구조에 커버층을 더 포함한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적어도 절연 패턴(IP)을 덮도록 커버층(130)이 더 형성된다. 커버층(13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층(130)은 제1 절연층(111)과 접할 수 있다. 즉, 커버층(130)은 그루브(GV)를 덮을 수 있다.
커버층(130)은 절연 패턴(IP)을 보호하고, 또한, 기판(101)상의 제1 절연층(111)을 보호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4 내지 도 8에도 커버층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적어도 절연 패턴(IP)을 덮도록 커버층(230)이 더 형성된다. 커버층(23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층(230)은 제1 절연층(211)과 접할 수 있다. 즉, 커버층(230)은 그루브(GV)를 덮을 수 있다.
커버층(230)은 중앙 영역(CA)에도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중앙 절연층(220)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2 내지 도 17에도 커버층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적어도 절연 패턴(IP)을 덮도록 커버층(230)이 더 형성된다. 커버층(23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커버층(230)은 제1 절연층(211)과 접할 수 있다. 즉, 커버층(230)은 그루브(GV)를 덮을 수 있다.
또한, 커버층(230)은 도전 패턴 (MT)를 덮도록 형성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커버층(230)은 적어도 도전 패턴 (MT)를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그루브(GV)는 커버층(230)으로 덮이지 않는 그루브(GV)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ⅩⅤ-ⅩⅤ선 및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기판(501)을 포함한다. 기판(501)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501)의 구체적인 재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마더 기판 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501)의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5000)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3에서는 절단선(CL)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된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기판(501)의 가장자리는 절단선(CL)에 의해 정의된다.
기판(501)의 가장자리 전체, 즉 도 23에 도시된 기판(501)의 네 개의 모서리가 모두 절단선(CL)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501)의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나, 둘 또는 세개가 절단선(CL)일 수 있다.
즉, 마더 기판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0)의 가장자리들 중 절단선(CL)으로 결정되는 가장자리의 위치, 개수는 다양하다.
기판(501)은 주변 영역(PA) 및 중앙 영역(CA)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단선(CL)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더 기판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기판(501)이 하나의 마더 기판이 될 수 있어 절단선(CL)이 없을 수도 있다. 그 경우 주변 영역(PA)은 기판(20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절단선(CL)이 있는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영역(CA)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미도시), 예를들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주변에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복수 개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표시 영역(DA)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은 주변 영역(P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에는 드라이버(driver)나 복수개의 패드(미도시)들이 배치된다.
기판(501)상에 제1 절연층(511)이 형성된다. 제1 절연층(511)은 다양한 절연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절연층(511)은 무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층(511)은 중앙 영역(CA) 및 주변 영역(PA)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별도의 패터닝 공정없이 제1 절연층(511)을 기판(501)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층(511)은 다양한 절연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절연층(511)은 무기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절연층(511)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질산화물을 포함할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로서, 제1 절연층(511)은 실리콘나이트라이드(SiNx), 실리콘 옥사이드(SiO2) 또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 (SiOxNy)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방법, 예를들면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osition)법, APCVD(atmospheric pressure CVD)법, LPCVD(low pressure CVD)법 등 다양한 증착 방법에 의해 제1 절연층(51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연층(511)상의 표시 영역(DA)에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형성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화소 회로의 일부로써 기능한다. 그런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비표시 영역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드라이버에 포함된 회로의 일부로써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활성층(513), 게이트 전극(560), 소스 전극(561) 및 드레인 전극(562)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탑 게이트 타입(top gate type)인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바텀 게이트 타입(bottom gate type) 등 다양한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채용될 수 있다. 활성층(513)(active layer)은 제1 절연층(511)상에 형성된다. 활성층(513)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며, 예컨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또는 다결정 실리콘(poly crystalline silico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활성층(513)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활성층(513)은 유기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활성층(513)은 산화물 반도체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활성층(513)은 아연(Zn), 인듐(In), 갈륨(Ga), 주석(Sn) 카드뮴(Cd), 게르마늄(Ge), 또는 하프늄(Hf) 과 같은 12, 13, 14족 금속 원소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물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바텀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활성층(513)이 산화물을 함유하는 경우 또는 비정질 실리콘을 함유하는 경우 바텀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바텀 게이트 구조의 박막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제1 절연층(511)상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활성층이 형성되고, 활성층의 상부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기판상에 게이트 전극이 형성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이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고, 활성층이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상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게이트 전극, 활성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와 인접하도록 절연막, 예를들면 무기막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521)(gate insulating layer)이 활성층(513) 상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521)은 실리콘산화물 및/또는 실리콘질화물 등의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막이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521)은 활성층(513) 및 게이트 전극(560)을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게이트 절연막(521)과 동일한 재료로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게이트 절연막(521)과 동시에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560)은 패턴 형태로 게이트 절연막(521)의 상부에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56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온/오프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560)은 저저항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로 이루어진 막이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560) 상에는 층간 절연막(522)(inter layer dielectric)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522)은 소스 전극(561) 및 드레인 전극(562)과 게이트 전극(560)을 절연 한다.
층간 절연막(522)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막이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무기 물질은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무기 물질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rO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522) 상에 소스 전극(561) 및 드레인 전극(562)이 형성된다. 소스 전극(561) 및 드레인 전극(562)은 전도성이 좋은 재료를 이용하여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소스 전극(561) 및 드레인 전극(562)은 활성층(513)의 영역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즉 소스 전극(561) 및 드레인 전극(562)상에 패시베이션막(570)을 형성한다.
패시베이션막(570)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로부터 비롯된 단차를 해소하고 상면을 평탄하게 하여, 하부 요철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OLED)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패시베이션막(570)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막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물질은 Polymethylmethacrylate(PMMA)나, Polystylene(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시베이션막(407)은 무기 절연막과 유기 절연막의 복합 적층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커버층(미도시)을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5000)에 적용할 수 있고, 그 경우 패시베이션막(570)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커버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570)상에 유기 발광 소자(OLED:580)를 형성한다. 유기 발광 소자(580)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기 발광 소자(580)는 제1 전극(581), 제2 전극(582) 및 양 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층(583)을 포함한다.
제1 전극(581)은 소스 전극(561) 및 드레인 전극(562)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도 2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드레인 전극(56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581)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들면 아일랜드 형태로 패터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581)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581)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ZnO), 인듐옥사이드(indium oxide: In2O3), 인듐갈륨옥사이드(indium galium oxide: IGO), 및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luminium zinc oxide: AZO)과 같은 투명도전성산화물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581)은 은(Ag)과 같이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층(583)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층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을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간층(583)은 유기 발광층과 함께,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층은 유기 발광 소자 별로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유기 발광 소자 별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각각 방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이 유기 발광 소자 전체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층이 수직으로 적층되거나 혼합되어 형성되어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다. 물론, 백색광을 방출하기 위한 색의 조합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 경우 방출된 백색광을 소정의 컬러로 변환하는 색변환층이나 컬러필터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전극(582)은 다양한 도전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 전극(582)은 리튬(Li), 칼슘(Ca), 불화리튬(LiF),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또는 은(Ag)을 함유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함유하는 합금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570) 상에 화소 정의막(572)이 형성되고, 화소 정의막(572)은 제1 전극(581)의 소정의 영역을 덮지 않도록 형성한 후, 화소 정의막(572)으로 덮이지 않은 제1 전극(581)의 영역상에 중간층(583)을 형성하고 중간층(583)상에 제2 전극(582)이 형성된다.
화소 정의막(572)은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 및 페놀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절연 물질로 스핀 코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커버층(미도시)을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5000)에 적용할 수 있고, 그 경우 화소 정의막(572)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커버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582)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능층(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기능층은 제2 전극(582)상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고, 기능층의 적어도 한 층은 제2 전극(582)을 추후 봉지 부재 형성 시 보호할 수 있고 다른 일층은 중간층(583)으로부터 제2 전극(582)방향으로 취출되는 가시 광선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582)상에는(기능층이 형성될 경우 기능층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로 외부의 수분 및 공기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봉지 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고, 봉지 부재는 박막(thin film) 형태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실리콘옥사이드(SiOx)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와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진 막과 에폭시,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기물로 이루어진 막이 교대로 성막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밀봉 필름은 저융점 유리 (low melting galss)로 이루어진 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기타 다양한 재질의 봉지 부재가 유기 발광 소자(OLED)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5000)의 주변 영역(PA)에 구비된 기판(5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는 기판(501)의 가장자리로부터 전파되는 크랙을 차단한다. 예를들면 기판(5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는 마더 기판으로부터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절단하여 분리할 때 기판(501)상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의 전파를 방지한다.
절연 패턴(IP)은 기판(5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2차적으로 크랙의 전파를 방지한다. 또한, 주변 영역(PA)의 내구성을 향상한다. 특히, 기판(501)을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하여 플렉서블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5000)를 형성할 경우 주변 영역(PA)에서의 휨, 벤딩 시 주변 영역(PA)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절연 패턴(IP)을 형성 시 중앙 영역(CA)의 절연막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절연 패턴(IP)을 표시 영역(DA)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52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고, 선택적 실시예로서는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연 패턴(IP)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마스크를 통한 패터닝 공정이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절연 패턴(IP)을 형성 시 게이트 절연막(521)과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절연 패턴(IP)을 다른 절연막, 즉 층간 절연막(522)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비할 수 있는데, 박막 트랜지스터에 구비되는 절연막, 예를들면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절연막과 동일한 재료로 절연 패턴(IP)을 형성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25는 도 24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0)는 도 5 및 도 12와 마찬가지로 절연 패턴(IP)이 단층이 아닌 복층으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을 포함한다.
제1 층(IPa)은 제1 절연층(511)상에 형성되고, 제2 층(IPb)은 제1 층(IPa)상에 형성된다.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다양한 절연물질로 형성되는데, 유기물 또는 무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중앙 영역(CA),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521) 및 층간 절연막(522)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는 제1 층(IPa) 및 제2 층(IPb)은 게이트 절연막(521) 및 층간 절연막(522)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절연 패턴(IP)을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마스크를 통한 패터닝 공정이 추가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4의 변형예로서 도 25외에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3의 단일 절연 패턴(IP), 도 4의 제1 절연층(111) 및 제2 절연층(112), 도 6의 적층형 기판(101), 도 8의 절연 패턴(IP), 도 14의 절연 패턴(IP), 도 16의 절연 패턴(IP), 도 18 내지 도 22의 구조 중 어느 하나를 도 24의 변형예로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K의 확대도이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6000)의 모서리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도 26 및 도 27의 구조는 전술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0, 2000, 3000, 4000, 5000) 및 그 변형예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000)는 기판(601)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601)의 구체적인 재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6000)는 마더 기판 상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601)의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6000)로 분리될 수 있다. 도 26에서는 절단선(CL)을 따라 절단되어 분리된 개별 디스플레이 장치(6000)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기판(601)의 가장자리는 절단선(CL)에 의해 정의된다.
기판(601)의 가장자리 전체, 즉 도 26에 도시된 기판(601)의 네 개의 모서리가 모두 절단선(CL)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기판(601)의 네 개의 모서리 중 하나, 둘 또는 세개가 절단선(CL)일 수 있다.
즉, 마더 기판의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6000)의 가장자리들 중 절단선(CL)으로 결정되는 가장자리의 위치, 개수는 다양하다.
기판(601)은 주변 영역(PA) 및 중앙 영역(CA)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절단선(CL)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마더 기판에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6000)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기판(601)이 하나의 마더 기판이 될 수 있어 절단선(CL)이 없을 수도 있다. 그 경우 주변 영역(PA)은 기판(601)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는 절단선(CL)이 있는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중앙 영역(CA)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미도시), 예를들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주변에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복수 개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표시 영역(DA)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은 주변 영역(P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에는 드라이버(driver)나 복수개의 패드(미도시)들이 배치된다.
주변 영역(PA)에는 절연 패턴(IP)이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에 인접하도록 절연 패턴(IP)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와 제1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을 포함한다.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은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와 연결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및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하나의 표시 영역(DA)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는 모두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와 1대1로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및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는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고, 서로 단부에서 연결되는데, 이를 통하여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및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은 다각형, 예를들면 사각형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은 기판(601)의 가장자리와 나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절연층(미도시)이 기판(6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적어도 주변 영역(PA)에서 기판(601)상에 제1 절연층(미도시)이 형성되고, 제1 절연층(미도시)상에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가 형성된다.
도 28 내지 도 32는 도 27의 다른 변형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절연 패턴(IP)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을 포함한다.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은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와 연결된다.
이 때 적어도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가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중 기판(601)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에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이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27은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과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일 수 있고, 도 28은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의 개수가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일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중 기판(601)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를 제외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에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이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중 표시 영역(DA)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에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적어도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가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중 기판(601)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에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도 30을 참조하면 절연 패턴(IP)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을 포함한다.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은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와 연결된다.
이 때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에 복수의 모든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시 영역(DA)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에 복수의 모든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중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를 제외하고는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과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에 복수의 모든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 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표시 영역(DA)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에 복수의 모든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 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중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를 제외하고는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과 이격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절연 패턴(IP)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 및 연결 절연 패턴부(IPC)을 포함한다. 연결 절연 패턴부(IPC)은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과 제2 방향 절연 패턴부(IPW)를 연결한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연결 절연 패턴부(IPC)는 적어도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나란하지 않게 형성된다.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와 제2 방향 절연 패턴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각도가 둔각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절연 패턴부(IP)의 영역 중 제1 방향 절연 패턴부(IPL)와 제2 방향 절연 패턴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원장 기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M을 확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ⅩⅩ-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원장 기판(MSU)에는 복수의 셀(C1, C2, C3, C4)이 배치된다. 복수의 셀(C1, C2, C3, C4)은 각각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된다.
즉 원장 기판(MSU)를 절단선(CL)을 따라 절단하면 복수의 셀(C1, C2, C3, C4)이 분리되고 후속 공정을 거쳐 4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완성된다.
원장 기판(MSU)은 다양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원장 기판(MSU)의 구체적인 재료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기판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원장 기판(MSU)의 복수의 셀(C1, C2, C3, C4)은 각각 주변 영역(PA) 및 중앙 영역(CA)으로 구획된다. 구체적으로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이고, 중앙 영역(CA)은 주변 영역(PA)의 안쪽의 영역이다.
중앙 영역(CA)은 적어도 표시 영역(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DA)에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나 이상의 표시 소자(미도시), 예를들면 유기 발광 소자(OLED)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개의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의 주변에는 비표시 영역(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비표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복수 개의 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비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DA)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중앙 영역(CA)에는 표시 영역(DA)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은 주변 영역(PA)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에는 패드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패드 영역에는 드라이버(driver)나 복수개의 패드(미도시)들이 배치된다.
주변 영역(PA)은 절단선(CL) 주변의 영역으로서 절단선(CL)을 따라 원장 기판(MSU)의 둘레에 구비된다.
주변 영역(PA)에는 절연 패턴(IP)이 형성된다. 절연 패턴(IP)에 인접하도록 절연 패턴(IP)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제1 절연층(111)이 기판(201)과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적어도 주변 영역(PA)에서 원장 기판(MSU)상에 제1 절연층(111)이 형성되고, 제1 절연층(111)상에 절연 패턴(IP) 및 그루브(GV)가 형성된다.
절단선(CL)에 대응되는 영역은 셀(C1) 및 셀(C2)의 그루브(GV)에 대응되는 영역이고, 절단선(CL)을 사이에 두고 절연 패턴(IP)이 배치된다. 즉 셀(C1)의 절연 패턴(IP)과 셀(C2)의 절연 패턴(IP)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절단선(CL)을 중심으로 원장 기판(MSU)를 절단할 수 있다. 이 때 절단선(CL)은 그루브(GV)에 대응하고 그루브(GV)는 절단 시 발생할 수 있는 원장 기판(MSU)의 크랙을 차단한다. 또한 그루브(GV)는 크랙의 전파를 방지한다.
특히, 그루브(GV)는 원장 기판(MSU)상의 제1 절연층(111)의 상면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절연 패턴(IP)과 인접한 영역인 그루브(GV)에 제1 절연층(1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판(101)의 보호를 효과적으로 하면서 크랙 발생 및 전파를 방지한다.
또한, 제1 절연층(111)으로 인하여 절연 패턴(IP)이 기판(101)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 패턴(IP)은 기판(101)의 절단선(CL)과 인접한 그루브(GV)에 인접하도록 배치하여 2차적으로 크랙의 전파를 방지한다. 또한, 주변 영역(PA)의 내구성을 향상한다. 특히, 기판(101)을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하여 플렉서블한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형성할 경우 주변 영역(PA)에서의 휨, 벤딩 시 주변 영역(PA)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201,301, 401, 501, 601: 기판
IP: 절연 패턴
GV: 그루브
111: 제1 절연층
112: 제2 절연층
130, 230, 430: 커버층
220: 중앙 절연층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디스플레이 장치

Claims (60)

  1. 기판상에 적어도 표시 영역을 갖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절연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된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이 개재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기판의 모든 가장자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기판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와 이격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단일층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무기물을 함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산화물, 질화물 또는 질산화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적어도 상기 기판상의 중앙 영역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적어도 상기 기판상의 표시 영역에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의 상면을 노출하지 않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의 상면의 일 영역을 노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와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인접한 절연 패턴들 사이에는 상기 그루브가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 가장자리는 절단선으로 정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복층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무기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중심 절연 패턴 및 상기 중심 절연 패턴의 주변에 형성된 주변 절연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절연 패턴과 주변 절연 패턴의 폭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절연 패턴의 폭은 상기 중심 절연 패턴의 폭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아일랜드 패턴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의 가장자리는 곡선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의 가장자리는 원호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중앙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중앙 절연층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절연층의 일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의 일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중앙 절연층과 상기 절연 패턴의 사이에 배치된 그루브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복층으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유기물을 함유하는 제1층, 유기물을 함유하는 제2 층 및 상기 제1 층과 제2 층의 사이에 배치된 삽입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절연 패턴의 상면 또는 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도전 패턴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2.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패턴은 패드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3. 제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절연 패턴상에 형성된 커버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4.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층은 유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7.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38.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1 대 1로 서로연결되는 상기 표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39.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서로 단부에서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0.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가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1.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42.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보다 상기 표시 영역에 더 가깝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3.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4.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및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가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5. 제4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46. 제4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는 상기 하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가장 인접하도록 배치된 제1 방향 절연 패턴부보다 상기 표시 영역에 더 가깝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7. 제4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방향 절연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8.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제1 방향 절연 패턴부와 상기 제2 방향 절연 패턴부를 연결하는 연결 절연 패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9. 제4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절연 패턴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지 않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에는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고,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인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절연막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1. 제50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상기 기판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2. 제5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활성층을 절연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를 절연하는 층간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53. 제50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는 보호층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절연 패턴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4. 제50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의 일부를 덮고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절연 패턴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55. 제5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을 구비하는 중간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6. 기판상에 적어도 표시 영역을 갖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절연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되도록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57. 제5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중앙 영역에 중앙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중앙 절연층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58. 제5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턴은 상기 중앙 절연층과 동시에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59. 제5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적어도 상기 주변 영역 및 중심 영역에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60. 원장 기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상기 원장 기판에 대하여 절단선을 기준으로 절단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적어도 표시 영역을 갖는 중앙 영역 및 상기 중앙 영역의 주변에 배치된 주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주변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절연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에 인접하도록 상기 절연 패턴을 형성하는 물질이 제거되도록 그루브를 형성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절연층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절단선은 상기 그루브와 대응되고 상기 절연 패턴과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1020140086881A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5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881A KR101685020B1 (ko)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4/606,950 US9758872B2 (en) 2014-07-10 2015-01-2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3217282.5A EP4326032A3 (en) 2015-05-2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5168889.2A EP2966688B1 (en) 2014-07-10 2015-05-2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2210653668.0A CN115188785A (zh) 2014-07-10 2015-07-10 显示设备
CN201510405391.XA CN105261620A (zh) 2014-07-10 2015-07-10 显示设备及制造该显示设备的方法
US15/701,120 US10196742B2 (en) 2014-07-10 2017-09-1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6/265,872 US10669634B2 (en) 2014-07-10 2019-02-0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6/880,896 US11639551B2 (en) 2014-07-10 2020-05-2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8/311,083 US20230272534A1 (en) 2014-07-10 2023-05-0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881A KR101685020B1 (ko)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968A true KR20160007968A (ko) 2016-01-21
KR101685020B1 KR101685020B1 (ko) 2016-12-12

Family

ID=53284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881A KR101685020B1 (ko) 2014-07-10 2014-07-10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5) US9758872B2 (ko)
EP (1) EP2966688B1 (ko)
KR (1) KR101685020B1 (ko)
CN (2) CN1151887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266A (ko) * 2017-08-18 2019-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312305B2 (en) 2016-03-24 2019-06-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protected emission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020B1 (ko) * 2014-07-10 2016-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91361B1 (ko) * 2015-01-14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20461B1 (ko) 2015-02-06 2022-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2210B1 (ko) 2015-03-23 2022-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20170350718A1 (en) * 2016-06-03 2017-12-07 Toyota Motor Sales, U.S.A., Inc. Information-attainment system based on monitoring an occupant
KR101929452B1 (ko) 2016-07-29 2018-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8030298A1 (ja) * 2016-08-12 2018-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102592956B1 (ko) * 2016-08-29 2023-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462718B (zh) * 2017-03-29 2022-03-04 夏普株式会社 显示设备、显示设备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成膜装置
WO2019064342A1 (ja) * 2017-09-26 2019-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表示デバイスの製造装置
US10562261B2 (en) * 2017-11-16 2020-02-1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substrate
US10840267B2 (en) * 2018-05-14 2020-11-17 Yungu (Gu'an)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nd display panels
CN108428728B (zh) * 2018-05-14 2019-07-0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及制作方法、显示面板及制作方法、显示装置
WO2020065932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0065922A1 (ja) * 2018-09-28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347207B2 (en) * 2019-06-14 2022-05-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operator messages with contextual data and navigation
CN110473983B (zh) * 2019-07-31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母板和显示面板母板的制备方法
KR20210060721A (ko) * 2019-11-18 2021-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19001A (ko) * 2020-03-23 2021-10-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5553A (ko) 2020-05-25 2021-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광원 모듈 및 발광 소자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069B1 (ko) * 2011-01-28 2012-07-19 주식회사 루셈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위한 테이프 배선 기판
KR20140045836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140060152A (ko) * 2012-11-09 2014-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5582B2 (en) 2004-11-08 2010-11-02 Kyodo Printing Co., Ltd. Flexibl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589830B2 (ja) 2005-06-29 2010-12-01 共同印刷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71192B1 (ko) * 2005-10-21 2012-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와 그 제조방법
JP5344360B2 (ja) * 2006-01-24 2013-11-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薄膜回路装置、電子機器及び製造方法
CN101853875A (zh) 2006-01-31 2010-10-06 京瓷株式会社 El装置
KR101243796B1 (ko) 2006-06-28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007598B2 (ja) * 2007-04-12 2012-08-22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34382B1 (ko) 2008-05-23 2013-02-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4264B1 (ko) 2009-08-07 2011-11-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봉지기판,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2915B1 (ko) 2012-02-24 2018-1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33053A (ko) 2013-05-09 2014-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6053A (ko) 2013-07-31 2015-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356256B2 (en) 2013-07-31 2016-05-3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18573B1 (ko) 2013-09-30 2021-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9666814B2 (en) 2014-03-07 2017-05-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141209B1 (ko) 2014-03-07 2020-08-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5020B1 (ko) * 2014-07-10 2016-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069B1 (ko) * 2011-01-28 2012-07-19 주식회사 루셈 씨오에프형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위한 테이프 배선 기판
KR20140045836A (ko) * 2012-10-09 2014-04-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
KR20140060152A (ko) * 2012-11-09 2014-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12305B2 (en) 2016-03-24 2019-06-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protected emission layer
US10714550B2 (en) 2016-03-24 2020-07-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protected emission layer
US11233102B2 (en) 2016-03-24 2022-01-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protected emission layer
KR20190020266A (ko) * 2017-08-18 2019-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61620A (zh) 2016-01-20
EP4326032A2 (en) 2024-02-21
EP2966688B1 (en) 2024-01-03
US20230272534A1 (en) 2023-08-31
US20200283902A1 (en) 2020-09-10
US20190169749A1 (en) 2019-06-06
US20170369999A1 (en) 2017-12-28
US10196742B2 (en) 2019-02-05
US11639551B2 (en) 2023-05-02
US10669634B2 (en) 2020-06-02
CN115188785A (zh) 2022-10-14
EP2966688A1 (en) 2016-01-13
US20160013253A1 (en) 2016-01-14
US9758872B2 (en) 2017-09-12
KR101685020B1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0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50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780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795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813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923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560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