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597A - 가혹한 환경들에 적합한 고속 데이터 레이트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 그리고 관련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가혹한 환경들에 적합한 고속 데이터 레이트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 그리고 관련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597A
KR20160007597A KR1020157035029A KR20157035029A KR20160007597A KR 20160007597 A KR20160007597 A KR 20160007597A KR 1020157035029 A KR1020157035029 A KR 1020157035029A KR 20157035029 A KR20157035029 A KR 20157035029A KR 20160007597 A KR20160007597 A KR 20160007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ontact
ring
connecto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에이. 오버스키
아미드 아이. 하심
스콧 엠. 키이스
스티븐 더블유. 크뇌른쉴드
Original Assignee
콤스코프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노스 캐롤라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스코프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노스 캐롤라이나 filed Critical 콤스코프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노스 캐롤라이나
Publication of KR20160007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01R12/718Contact members provided on the PCB without an insulating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3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using twisted pairs of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01R13/6469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on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Abstract

인라인 통신 커넥터 (800)가 제공되며,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하우징 (802) 그리고 그 하우징 내에 설치된 팁 접점 및 링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팁 접점은 입력 팁 소켓, 출력 팁 소켓 및 상기 입력 팁 소켓과 출력 팁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링 접점은 입력 링 소켓, 출력 링 소켓 및 상기 입력 링 소켓과 출력 링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 팁 소켓은 상기 출력 팁 소켓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입력 링 접점 소켓은 상기 출력 링 소켓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다.

Description

가혹한 환경들에 적합한 고속 데이터 레이트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 그리고 관련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High data rate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that are suitable for harsh environ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관련 출원들 상호 참조
본원은 2013년 5월 9일에 출원된 일련번호 61/821,345의 미국 임시 특허 출원, 2013년 5월 16일에 출원된 일련번호 61/824,174의 미국 임시 특허 출원, 2013년 5월 17일에 출원된 일련번호 61/824,698의 미국 임시 특허 출원, 그리고 2013년 6월 7일에 출원된 일련번호 61/832,278의 미국 임시 특허 출원에 대해 35 U.S.C. ㄷ 119 하에서의 우선권의 이익을 향유한다. 상기 출원들 각각의 전체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제시된 것처럼 본원에 참조로 편입된다.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통신 시스템에 관련되며, 그리고 더 상세하게는 가혹한 환경들에서 사용할 용도에 적합할 수 있을 통신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에 관련된다.
카메라, 텔레비전 및 컴퓨터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수신하는 전자 디바이스들을 사용하는 것은 계속해서 급격하게 늘어난다. 데이터는 하드와이어 연결이나 무선 연결,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서 이 디바이스들로 그리고 이 디바이스들로부터 전달될 수 있다. 하드와이어 연결을 경유하여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은 소위 말하는 이더넷 케이블들 및 커넥터들을 종종 이용하며, 이는 이 케이블들 및 커넥터들이 높은 레벨의 신뢰성을 가지면서 높은 데이터 레이트 전송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원거리 통신 산업 협회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에 의해서 2009년 8월 11에 인증된 ANSI/TIA-568-C.2 표준 (여기에서는 "카테고리 6a 표준"으로 언급된다)과 같은 다양한 산업 표준들은 이더넷 케이블들, 커넥터들 및 채널들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성능 규격들을 제시한다. 이더넷 커넥터들 및 케이블들은 하드와이어, 고속 통신 네트워크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무실 빌딩, 가정, 학교, 데이터 센터 및 유사한 곳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하드와이어 이더넷 연결들이 탁월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지만, 산업-표준화된 이더넷 플러그 및 잭 설계들은 기계적인 충격, 진동, 극도의 온도 변화 등을 겪기 쉬운 더 가혹한 환경들에는 적절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더욱 물리적으로 도전적인 환경들에서, 양호한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들을 유지할 수 있을 비-이더넷 커넥터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드와이어 통신 네트워크들이 사용될 수 있는 한 가지 비교적 가혹한 환경은 자동차들 그리고 비행기, 보트 등을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차량들이다. 자동차들에서 사용되는 통신 커넥터들 및 케이블들은 높은 레벨의 진동, 넓은 온도 변화, 그리고 기계적인 충격, 스트레스 및 긴장을 일상적으로 겪기 쉽다. 통상적으로, 싱글-엔디드 (single-ended) 통신 채널들 그리고 비-이더넷 커넥터들 및 케이블링이 그런 환경에서 사용되며, 그리고 그 케이블들 및 커넥터들은 상당히 크고 무거울 수 있다. 예를 들면, 핀 (pin) 커넥터들 및 소켓 (socket) 커넥터들은 두 개의 통신 케이블들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그리고/또는 통신 케이블을 인쇄 회로 보드 또는 전자 디바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해서 자동차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때때로 사용되며, 이는 핀 연결 및 소켓 연결이 심지어는 가혹한 환경들에서 긴 시간 구간동안 사용될 때에도 보통은 양호한 기계적인 연결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통상적인 핀 커넥터 (10)의 투시 모습이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핀 커넥터 (10)는 플러그 어퍼처 (plug aperture) (22)를 구비한 하우징 (20)을 포함한다. 플러그 어퍼처 (22)는 메이팅 (mating) 소켓 커넥터를 받아들이도록 (receive)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 커넥터 (10)는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 (20) 내에 설치된 18개의 전도성 핀들 (30)을 포함하는 전도성 핀 어레이 (24)를 더 포함한다. 각 전도성 핀 (30)은 플러그 어퍼처로 연장되는 제1 말단 (32) 그리고 상기 하우징 (20)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아래로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말단 (36)을 구비한다. 각 전도성 핀 (30)의 제1 말단 (32)은 상기 플러그 어퍼처 (22)로 삽입된 메이팅 소켓 커넥터의 각 소켓 내에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그리고 각 전도성 핀 (30)의 제2 말단 (36)은, 예를 들면, 인쇄 회로 보드 (도시되지 않음)로 삽입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핀 커넥터 (10)의 전도성 핀 어레이 (24) 내에 포함된 전도성 핀들 중 여덟 개 핀 (즉, 참조번호 30-1 내지 30-8의 전도성 핀들)의 투시 모습이다. 여기에서, 커넥터와 같은 디바이스가 여러 동일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때에, 이 컴포넌트들은 개별적으로 자신들의 전체 참조 번호들에 의해 참조되며 (예를 들면, 전도성 핀 (30-4)) 그리고 그것들의 참조 번호의 첫 번째 일부에 의해서 집합적으로 참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도성 핀들 (30)). 도면 및 그 도면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도 1의 핀 커넥터 (10) 내 포함된 18개 전도성 핀들 (30) 중 여덟 개만이 도 2에 도시된다.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제1 말단 (32)을 상기 제2 말단 (36)에 연결시키는 각 전도성 핀의 중간 부분 (34)은 라이트앵글 (right-angled) 섹션 (38)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핀들 (30)의 제1 말단들 (32)은 x-방향 (도 2에서의 레퍼런스 축들 참조)을 따라서 연장되며 그리고 두 개의 로우 (row)들로 정렬된다. 상기 전도성 핀들 (30)의 제2 말단들 (36)은 z-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며 그리고 두 개의 로우 (row)들로 또한 정렬된다.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핀 커넥터 (10)의 나머지 열 개의 전도성 핀들 (30)은 동일한 두 개의 로우들로 정렬된다는 것 그리고 각 로우 내의 상기 전도성 핀들 (30) 모두는 완전히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며 그리고 이웃한 전도성 핀들 (30)로부터 동일하게 이격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핀 커넥터 (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을 부분적으로 분해된 소켓 커넥터 (50)의 투시 모습들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소켓 커넥터 (50)는 복수의 핀 어퍼처 (aperture)들 (62)을 포함하는 하우징 (6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60)은 소켓 접점 홀더 (70)를 받아들이는 개방 내부 (64)를 한정한다. 상기 하우징 (60)은 접근 개방부 (access opening)를 제공하는 측면 개방부 (66)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개방부 (66)는 상기 개방 내부 (64) 내에 상기 소켓 접점 홀더 (70)를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 개방부 (66)는 상기 소켓 접점 홀더 (70) 내에서의 종단 (termination)을 위해 상기 개방 내부 (64)로 방향이 정해질 통신 케이블 (도시되지 않은)의 도체들을 위한 접근 개방부를 또한 제공한다. 잠금 부재 (68)는 상기 하우징 (60)의 외부 표면상에 설치된다. 상기 소켓 커넥터 (50)는 상기 핀 커넥터 (10)의 플러그 어퍼처 (22) 내에 받아들여질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핀 커넥터의 전도성 핀들 (30) 각각이 상기 소켓 접점 홀더 (70)의 각 소켓 내에 받아들여지도록 한다. 상기 잠금 부재 (68)는 상기 핀 커넥터 (10)의 플러그 어퍼처 (22) 내에서 상기 소켓 커넥터 (50)를 잠그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소켓 접점 홀더 (70)의 투시 모습이다. 도 6은 소켓 점점 (80)의 투시 모습이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소켓 접점 홀더 (70)는 상기 소켓 접점 홀더 (70)의 전면 (74)으로부터 후면 (72)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소켓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소켓 접점들 (80)은 소켓 접점 홀더 (70) 내 소켓들 (76)로 채워질 수 있다. 각 소켓 접점 (80)은 전면 말단 (82) 및 후면 말단 (84)을 포함한다. 전면 말단 (82)은 길이 방향 구멍 (cavity)으로의 접근을 제공하는 개방부 (도 6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가진다. 상기 전면 말단 (82)은 메이팅 핀 커넥터의 전도성 핀 (예를 들면, 핀 커넥터 (10)의 전도성 핀들 (30) 중 하나)을 받아들여 붙잡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도성 핀 (30)과 상기 소켓 접점 (80) 사이에 양호한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접점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말단 (82)은 상기 소켓 접점 (80)의 전도성 컴포넌트를 상기 메이팅 핀 커넥터 (10)의 전도성 핀 (30)에 대해서 한 쪽으로 미는 스프링 메커니즘 (도 6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소켓 접점 (80)의 상기 후면 말단 (84)은 통신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의 도체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소켓 (80)의 후면 말단 (84)은 상기 케이블의 각 도체 주변에 틀이 잡힌 탭들을 포함한다. 그래서, 각 소켓 접점 (80)은 핀 커넥터의 전도성 핀을 통신 케이블의 도체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혹한 환경들에 적합한 고속 데이터 레이트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 그리고 관련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을 제공하려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인라인 통신 커넥터들이 제공되며,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팁 접점 (tip contact)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링 접점 (ring contact)을 포함한다. 상기 팁 접점은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와 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팁 연결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링 접점은 링 입력 접점 구조, 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와 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링 연결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팁 접점 및 링 접점은 단일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쌍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는다.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링 출력 접점 구조는 핀이나 소켓 중 하나로 각각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통신 시스템은 커넥터부착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같이 꼬여져서 절연된 도체들의 제1 꼬인 쌍을 형성하는 절연된 팁 도체 및 절연된 링 도체를 구비한 통신 케이블 및 상기 통신 케이블의 말단 위에 있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된 팁 도체의 전도성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접점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절연된 링 도체의 전도성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링 접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팁 접점의 제1 말단은 상기 절연된 팁 도체들의 말단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의 제1 말단은 상기 절연된 링 도체의 말단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커넥터와 짝을 이룬 제2 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팁 접점과 짝을 이룬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링 접점과 짝을 이룬 제2 링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팁 점점 및 제2 링 접점은 상기 제2 팁 접점이 상기 제2 링 접점과 교차하도록 위치가 정해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통신 시스템은,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제1 팁 출력 소켓 및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1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팁 교차 섹션을 구비한 제1 링 접점, 그리고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제1 링 출력 소켓 및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1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링 교차 섹션을 구비한 제1 링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정보 신호를 위한 전송 경로로서 함께 서빙하는 접점들의 제1 쌍으로서 구성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제2 팁 출력 소켓 및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팁 교차 섹션을 구비한 상기 제2 팁 접점, 그리고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제2 링 출력 소켓 및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링 교차 섹션을 가지는 제2 링 접점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위한 전송 경로로서 함께 서빙하는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접점 쌍들의 제1 로우를 한정한다.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크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인라인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팁 접점은, 제1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1 핀-수납 (receiving) 구멍 (cavity)을 한정하는 팁 입력 소켓, 제2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2 핀-수납 구멍을 한정하는 팁 출력 소켓 그리고 상기 팁 입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curved) 제1 말단 및 상기 팁 출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제2 말단을 포함하는 팁 교차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이 커넥터들은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링 접점은 제3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3 핀-수납 구멍을 한정하는 링 입력 소켓, 제4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4 핀-수납 구멍을 한정하는 링 출력 소켓 그리고 상기 링 입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제1 말단 및 상기 링 출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제2 말단을 포함하는 링 교차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3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4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1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는 제1 입력 접점, 제2 입력 접점, 제1 출력 접점, 제2 출력 접점, 상기 제1 입력 접점을 상기 제1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전도성 경로 그리고 상기 제2 입력 접점을 상기 제2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전도성 경로를 가진다. 상기 제1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2 전도성 경로와 교차하며, 상기 제1 입력 접점, 상기 제1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1 출력 접점은 제1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입력 접점, 상기 제2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2 출력 접점은 제1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 및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는 제1 전송 라인을 함께 형성한다. 제2 인쇄 회로 보드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에 인접하게 제공되며,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는 제3 입력 접점, 제4 입력 접점, 제3 출력 접점, 제4 출력 접점, 상기 제3 입력 접점을 상기 제3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전도성 경로 그리고 상기 제4 입력 접점을 상기 제4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4 전도성 경로를 가진다. 상기 제3 입력 접점, 상기 제3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3 출력 접점은 제2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반면에 상기 제4 입력 접점, 상기 제4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4 출력 접점은 제2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는 제2 전송 라인을 함께 형성한다. 상기 제1 입력 접점은 상기 제1 출력 접점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입력 접점은 상기 제2 출력 접점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커넥터부착 케이블이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은 같이 꼬여져서 도체들의 꼬인 쌍을 형성하는 절연된 팁 도체 및 절연된 링 도체 그리고 도체들의 상기 꼬인 쌍을 둘러싼 케이블 자켓을 구비한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말단 상의 케이블 커넥터가 존재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길이방향 축, 가로 축 및 수직 축을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그 하우징은 메이팅 (mating) 커넥터의 기판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받아들이기 위한 어퍼처를 구비한다.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이 상기 하우징의 상단 부분에 설치된 팁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은 상기 하우징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링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팁 테이블 커넥터 접점은 상기 링 케이블 접점 커넥터로부터 가로로 그리고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1 접점 패드, 제2 접점 패드, 제1 핀 점점 및 제2 핀 접점을 구비한 제1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한다. 제1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1 접점 패드를 상기 제1 핀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제2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2 접점 패드를 상기 제2 핀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제1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2 전도성 경로와 교차한다. 상기 제1 접점 패드, 상기 제1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1 핀 접점은 제1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 패드, 상기 제2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2 핀 접점은 제1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 및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는 제1 전송 라인을 함께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점 패드는 상기 제1 핀 접점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로우로 정렬된 복수의 인쇄 회로 보드들을 포함하며, 각 인쇄 회로 보드는 제일 위 표면, 바닥 표면, 전면 말단, 후면 말단 및 서로 반대편의 측면 표면들을 가지며, 그리고 각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제일 위 표면 상 제1 접점, 상기 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바닥 표면 상 제2 접점, 상기 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바닥 표면 상 제3 접점 및 상기 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제일 위 표면 상 제4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은 평행한 평면들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일 위 표면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인접한 하나의 바닥 표면과 마주 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제1 쌍으로서 구성된 제1 팁 접점 및 제1 링 접점을 구비한 제1 커넥터 그리고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된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을 구비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서로에게 인접하게 위치하여 커넥터들의 수평 로우를 한정한다. 제1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가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인라인 커넥터들이 제공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은 제1 팁 입력 소켓 및 제1 팁 출력 소켓을 구비한 제1 팁 접점, 제2 팁 입력 소켓 및 제2 팁 출력 소켓을 구비한 제2 팁 접점, 제1 링 입력 소켓 및 제1 링 출력 소켓을 구비한 제1 링 접점, 그리고 제2 링 입력 소켓 및 제2 링 출력 소켓을 구비한 제2 링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은 상기 제1 팁 접점과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에 제1 보상 크로스토크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제1 전극을 구비한 제1 커패시터를 구비한 제1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인라인 커넥터들이 제공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은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1 팁 접점,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2 팁 접점,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링 접점, 그리고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링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인라인 커넥터용의 더블-사이드 소켓이 제공되며, 이 더블-사이드 소켓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들의 쌍을 형성하는 시트 금속의 롤링 섹션, 소켓들의 상기 쌍 사이에서의 연결로부터 연장되는 암 그리고 상기 암에 부착된 커패시터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채널들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채널은 제1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자신의 위에 설치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1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1 쌍을 포함한다. 이 채널들은 제2 케이블 어셈블리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자신의 위에 설치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2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2 쌍을 포함한다. 상기 채널들은 인라인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짝을 이루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단일의 통신 신호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인라인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한다.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서로 교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플러그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는 플러그 그리고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과 짝을 이루는 잭 (jack)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는 잭을 포함한다.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한 차례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잭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한 차례 서로 교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통신 커넥터는 제1 말단 부분, 제2 말단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말단 부분을 상기 제2 말단 부분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부분을 구비한 제1 접점 그리고 제1 말단 부분, 제2 말단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말단 부분을 상기 제2 말단 부분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부분을 구비한 제2 접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접점은 상기 제2 접점과 교차한다. 상기 제1 접점의 제1 말단 부분 및 상기 제2 접점의 제1 말단 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 직선 상에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커넥터들의 제공되며, 상기 통신 커넥터들은 제1 접점 및 제2 접점 그리고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수직 평면 내에 대체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제2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2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상기 제1 수직 평면에 평행한 제2 수직 평면 내에 대체적으로 정렬된다.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및 제2 쌍은 상기 제1 수직 평면 및 제2 수직 평면 각각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평 방향에서 연장되는 수평 로우 내의 하우징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케이블 어셈블리가 제공되며,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구비한 통신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케이블은 복수의 절연 도체들을 포함한다. 통신 커넥터가 상기 통신 케이블의 상기 제1 말단 상에 설치된다. 이 통신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1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메이팅 커넥터의 제1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1 접점 그리고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2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2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제1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상기 제1 유형의 접점 구조와는 상이한 제2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채널 세그먼트들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채널 세그먼트들은 접점들의 제1 쌍을 구비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1 케이블 어셈블리, 접점들의 제2 쌍을 구비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2 케이블 어셈블리, 그리고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구비한 인라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인라인 접점들의 쌍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인라인 커넥터의 상기 제1 말단과 짝을 이룰 때에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들 각각의 제1 말단들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인라인 커넥터의 상기 제2 말단과 짝을 이룰 때에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들 각각의 제2 말단들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이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인라인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도체들의 쌍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는 도체들의 상기 쌍 중의 도체들이 서로 교차하는 곳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하며, 도체들의 상기 쌍 중의 두 개의 도체들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커넥터들의 제공되며, 상기 통신 커넥터들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제1 접점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적어도 두 차례 서로 교차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 채널들이 제공되며, 상기 통신 채널은 제1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이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자신의 제1 말단 상에 설치된 제1 커넥터 및 자신의 제2 말단 상에 설치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1 쌍에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2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1 쌍 및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3 쌍에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4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2 쌍을 포함한다. 이 채널들은 제2 케이블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이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자신의 제1 말단 상에 설치된 제3 커넥터 및 자신의 제2 말단 상에 설치된 제4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3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5 쌍에 그리고 상기 제4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6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3 쌍 및 상기 제3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7 쌍에 그리고 상기 제4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8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4 쌍을 포함한다. 이 채널은 제5 커넥터를 또한 구비하며, 이 제5 커넥터는 각각 설치되어 제1 인쇄 회로 보드로부터 연장되는 접점들의 제9 쌍 및 접점들의 제10 쌍을 포함하며, 접점들의 상기 제9 쌍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10 쌍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상기 제5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채널은 상기 제2 커넥터와 그리고 상기 제3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된 인라인 커넥터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접점들의 제11 쌍 및 접점들의 제12 쌍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채널은 제6 커넥터를 포함하며, 이 제6 커넥터는 각각 설치되어 제2 인쇄 회로 보드로부터 연장되는 접점들의 제13 쌍 및 접점들의 제14 쌍을 포함하며, 접점들의 상기 제13 쌍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14 쌍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상기 제6 커넥터는 상기 제4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도 1은 핀 커넥터의 투시 모습이다.
도 2는 도 1의 핀 커넥터에 포함된 여덟 개의 전도성 핀들을 도시한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3은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에 있는 통상적인 소켓 커넥터의 측면 투시 모습이다.
도 4는 도 3의 소켓 커넥터의 후면 투시 모습이다.
도 5는 도 3 - 도 4의 소켓 커넥터에 포함된 소켓 어레이의 투시 모습이다.
도 6은 도 5의 소켓 어레이에 포함된 소켓 접점들 중 하나의 소켓 접점의 투시 모습이다.
도 7은 전방 방향에 있는 도 1 - 도 2의 핀 커넥터의 시뮬레이션된 근단 크로스토크 (near-end crosstalk)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드에 따른 통신 채널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핀 커넥터의 투시 모습이다.
도 9a는 도 8의 핀 커넥터에 포함된 전도성 핀 어레이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9b는 도 9a의 라인 9B-9B를 따라서 취해진 횡단면 모습이다.
도 9c는 도 9a의 라인 9C-9C를 따라서 취해진 횡단면 모습이다.
도 9d는 도 9a의 전도성 핀 어레이를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도시된 전도성 핀 어레이를 포함하는 핀 커넥터의 전방 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된 근단 크로스토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8에서 도시된 전도성 핀 어레이를 포함하는 핀 커넥터의 역 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 된 근단 크로스토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다른 핀 커넥터의 전도성 핀 어레이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소켓 커넥터의 소켓 접점 어레이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짝을 이루는 핀-소켓 커넥터들을 제공하기 위해 소켓 커넥터들과 짝을 이루는 핀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들이 사용될 수 있을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커넥터 커넥터부착 (connectorized) 케이블들 중 하나의 케이블로, 그 케이블 내부에 포함된 도체들의 쌍들을 보여주는 케이블의 투시의, 컷어웨이 (cut-away) 모습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인라인 커넥터 각각은 두 개의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룬다.
도 18은 도 17의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19는 도 18의 접점 구조의 일부의 확대된 모습이다.
도 19a는 도 17의 인라인 커넥터들에 포함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의 확대된 모습이다.
도 20은 도 17의 인라인 커넥터들 중 두 번째의 전도성 경로 상으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중 첫 번째의 전도성 경로들로부터 커플링된 오펜딩 크로스토크 (offending crosstalk)를 소멸시키기 위한 크로스토크 보상 방식을 도시한 벡터 도면이다.
도 21은 각 커넥터 내에 포함될 수 있을 유전체 스페이서들의 위치들을 도시한, 커넥터 하우징들이 생략된 도 17의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소켓 접점들의 쌍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을 어떻게 틀로 찍어낼 수 있을 것인가를 (그리고 이후에 롤링될 수 있을 것인가를) 도시한 금속 박판의 여백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접점들의 두 쌍들을 각각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2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여기에서 각 라인 커넥터는 두 개의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룬다.
도 31 및 도 32는 도 30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 그리고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들이다.
도 33은 도 30 - 도 32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의 일부 그리고 대응하는 케이블 커넥터들의 확대된 모습이다.
도 34는 도 32의 라인 34-34를 따라서 취해진 도 30 - 도 33의 인라인 커넥터의 한 말단 상 소켓들의 개략적인 횡단면 모습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소켓 접점들의 쌍을 형성하기 위해 금속을 어떻게 틀로 찍어낼 수 있을 것인가를 (그리고 이후에 롤링될 수 있을 것인가를) 도시한 금속 박판의 여백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중 하나가 접점들의 두 쌍들을 포함하는 상기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회로 보드 설치된 커넥터의 접점 구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38a는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과 짝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의 접점 구조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38b는 도 38a에 도시된 접점 구조들을 위에서 모습이다.
도 38c는 도 38a의 케이블 커넥터들 중 하나와 인라인 커넥터의 접점 구조들의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부착 케이블의 투시의, 컷어웨어 모습이다.
도 40은 도 39의 커넥터부착 케이블의 말단 부분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41a - 도 41b는 도 40의 라인들 41A-41A 및 41B-41B를 따라서 각각 취해진 도 39 - 도 40의 케이블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횡단면 모습들이다.
도 42a - 도 42b는 각각 도 40 - 도 41의 케이블 커넥터의 접점들 중 하나의 측면 모습 및 바닥 모습이다.
도 43은 각 라인 커넥터의 접점 구조들 및 전도성 경로들을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하우징들이 제거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44는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 및 인라인 커넥터의 각 짝을 이룬 세트를 통한 통신 경로들을 도시하기 위해서 포함된 여덟 개의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들의 접점들을 구비한 도 43의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위에서 본 투시 모습이다.
도 45는 짝을 이룬 커넥터들을 통한 전도성 경로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각 커넥터의 하우징들이 생략된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룬 도 43 - 도 45의 인라인 커넥터들 중 하나의 개략적인, 부분적으로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46a - 도 46b는 케이블 커넥터들이 도 43의 인라인 커넥터들 중 하나의 인쇄 회로 보드와 어떻게 짝을 이루는가를 도시하는 도 40의 라인 41A-41A를 따라서 취해진 개략적인 횡단면 모습들이다.
도 47은 각 인라인 커넥터의 접점 구조들 및 전도성 경로들을 명백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하우징이 제거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48은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 및 인라인 커넥터의 각 짝을 이룬 세트를 통한 통신 경로들을 도시하기 위해서 포함된 여덟 개의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들의 접점들을 구비한 도 47의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49는 각 커넥터의 하우징이 생략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룬 본 발명의 더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부분적으로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50a는 도 49의 짝을 이루는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며, 그리고 도 50b는 도 49의 인라인 커넥터의 인쇄 회로 보드를 사용하는 도 49의 케이블 커넥터들 중 하나의 접점들의 개략적인 말단 모습이다.
도 51a - 도 51b는 각각 도 49의 케이블 커넥터들의 접점들 중 하나의 측면 모습 및 말단 모습이다.
도 5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회로 보드 설치된 커넥터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부착 케이블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점 패드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 일부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5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이 사용될 수 있을 다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부착 케이블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다.
도 56 - 도 59는 도 43의 인라인 커넥터들이 어떻게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상이한 방위들로 배열될 수 있을 수 있는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모습들이다.
도 60a 및 도 60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모습 및 측면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61a 및 도 61b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모습 및 측면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62a 및 도 62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동일 평면상의 교차 접점들의 쌍을 도시한 투시 모습들이다.
도 63a 및 도 63b는 동일 평면상 교차 접점들의 쌍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모습 및 측면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64a 및 도 64b는 숫 접점 및 암 접점 둘 모두를 구비한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모습 및 측면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65는 커넥터들 및 그 커넥터들의 케이블들 내 부동 (floating) 이미지 평면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을 위에서 본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66a 및 도 66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들 내에서 사용될 수 있을 플러그의 투시 모습 및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플러그들의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68a는 완전 꼬임 (full twist)을 포함하는 동일 평면상 교차 접점들의 쌍이 어떻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예시한 개략적인 투시 도면이다.
도 68b는 분리된 평면들 내에 상주하는 접점들의 쌍이 어떻게 완전 꼬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인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투시 도면이다.
도 69는 절연된 도체들의 단일의 꼬인 쌍을 포함하는 제1 케이블의 그리고 절연된 도체들의 두 개의 꼬인 쌍들을 포함하는 제2 케이블의 부분적인 컷어웨이 투시 모습이다.
도 70은 차량 환경 내 예시의 말단-대-말단 통신 연결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 도면이다.
도 71은 도 70의 복수의 말단-대-말단 통신 연결들이 어떻게 차량 환경에서 함께 그룹으로 될 수 있을 것인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 도면이다.
도 72는 도 71의 연결 허브들 중 하나의 투시 모습이다.
도 73은 도 72의 연결 허브의 개략적인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74는 도 73의 연결 허브의 부분적인 컷어웨이 전면 모습이다.
도 75는 도 71 - 도 74의 연결 허브들에 연결시키는 케이블들이 어떻게 케이블부착될 수 있을 것인가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부착 케이블들 및 커넥터들이 어떻게 자동차 응용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예시하는 블록 도면이다.
가혹한 환경들 (예를 들면, 자동차 응용 분야들)에서 사용되는 핀 및 소켓 커넥터들과 같은 통상적인 커넥터들은 특별하게 고속인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커넥터들은 싱글-엔디드 (single-ended) 전송 기술들을 사용하며, 그래서 외부 잡음 소스로부터의 신호 저하로 인해서 상대적으로 빈약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추가로, 통상적인 핀 및 소켓 커넥터들은 "크로스토크 (crosstalk)"로 알려진 다른 유형의 잡음에 또한 특히 영향을 받기 쉬울 것이다. "크로스토크"는 희생 통신 채널에 매우 근접한 제2 "교란 (disturbing)" 채널을 통해 전송된 신호로부터 제1 "희생 (victim)" 통신 채널의 도체들 상으로의 용량성 및/또는 유도성 커플링에 의해서 유도된 원치 않는 신호 에너지를 언급하는 것이다. 통신 커넥터가 (네 개의 분리된 전송 라인들 또는 "채널들 (channels)"을 보통은 포함하는 이더넷 커넥터들과 같은) 여러 통신 채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두 개의 통신 커넥터들이 근접하여 위치할 때에, 그 근접하게 위치한 통신 채널들 사이에서 크로스토크가 발생할 수 있다. 이 크로스토크는 각 통신 채널에 의해 지원될 수 있을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유도된 크로스토크는 근단 크로스토크 (near-end crosstalk ("NEXT")) 및 원단 크로스토크 (far-end crosstalk ("FEXT")) 둘 모두를 포함하며, 근단 크로스토크는 동일한 위치에서 소스에 대응하는 입력 장소에서 측정된 크로스토크이며 (즉, 그 크로스토크의 유도된 전압 신호가 상이한 채널에서 근원이 되는, 방해 신호의 크로스토크에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크로스토크), 그리고 원단 크로스토크는 상기 입력 위치에서 소스에 대응하는 출력 위치에서 측정된 크로스토크 (즉, 그 크로스토크의 신호가 상기 상이한 채널 내 상기 방해 신호와 동일한 방향에서 이동하는 크로스토크)이다. 두 가지 유형의 크로스토크는 희생 통신 채널 상에서의 정보 신호와 간섭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잡음 신호들을 포함한다.
싱글-엔디드 시그날링 기술들 대신에 차동 (differential) 시그날링 기술들을 사용하는 것은 외부 소스들로부터의 잡음에 대한 민감성을 축소시킬 수 있다. 차동 시그날링은 정보 신호가 단일의 도체를 통하는 것이 아니라 도체들의 쌍을 통해서 전송되는 통신 방식을 언급하는 것이다. 상기 쌍의 각 도체 상으로 전송되는 신호들은 동일한 크기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지만, 반대의 위상들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정보 신호는 상기 쌍의 두 도체들 상에서 운반되는 신호들 사이의 전압 차이로서 넣어진다. 신호가 도체를 통해서 전송될 때에, 외부 소스들로부터의 전기적인 잡음은 상기 도체에 의해서 집어지며, 그 신호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희생 통신 채널이 도체들의 쌍일 때에, 그 쌍 내의 각 도체는 이 외부 소스들로부터의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의 잡음을 종종 집어낸다. 상기 쌍의 두 도체들 모두에 의해서 운반된 상기 신호들에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의 잡음이 추가되기 때문에, 상기 정보 신호는 일반적으로는 교란되지 않으며, 이는 상기 쌍의 두 도체들 상에서 운반되는 신호들의 차이를 취함에 의해서 상기 정보 신호가 추출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잡음 신호는 감산 프로세스에 의해서 소거된다. 결과적으로, 차동 시그날링 기술들을 사용하는 것은 외부 잡음의 영향을 크게 줄어들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그런 잡음이 상기 쌍의 두 도체들에 의해서 집어 들려지며 그래서 상기 쌍을 통해서 전송된 정보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서 사용된 감산 프로세스에 의해서 소거되기 때문이다.
크로스토크 신호들은 도체들의 교란 쌍으로부터 도체들의 희생 쌍으로 차동 신호들로서 또는 공통 모드 신호들로서 커플링될 수 있다. 차동적으로 커플링된 신호는 상이한 양의 신호 에너지를 상기 희생 쌍의 두 개의 도체들 상으로 커플링한다. 이 유형의 크로스토크 커플링은 상기 희생 쌍 상에서 운반된 정보 신호를 저하시키며, 이는 상기 희생 쌍 상의 도체들에 의해서 운반된 전압들의 차이를 취함으로써 상기 희생 쌍 상으로 운반된 정보 신호가 추출될 때에 신호 에너지에서의 차이가 감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차동 크로스토크와 대비하여,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는 동일한 양의 신호 에너지를 상기 희생 쌍의 두 도체들 상으로 커플링하는 크로스토크 신호를 언급하는 것이다. 주목할 만한 것은,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신호는 보통은 희생 쌍에 의해서 운반된 정보 신호와는 간섭하지 않으며, 이는 교란하는 공통 모드 신호는 상기 희생 쌍 상의 정보 신호를 복구하기 위해서 사용된 감산 프로세스에 의해서 소거되기 때문이다.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신호를 희생 쌍으로 주입하는 것은 "모드 변환 (mode conversion)"의 모습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상기 희생 쌍으로 커플링된 상기 차동 신호가 공통 모드 신호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모드 변환은 같이 묶음으로 되는 통신 케이블들 또는 가깝게 이격된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들에서 문제일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내 통신 채널들이 밀하게 꼬인 (tightly twisted) 쌍들을 사용하고 오직 차동 신호들만을 운반한다면, 각 교란 통신 채널이 다른 희생 통신 채널들로 주입하는 크로스토크의 양은 매우 작을 것이며, 이는 교란 신호들이 대부분 자체적으로 소거되는 것을 보장하는 밀하게 꼬인 도체들과 같은 크로스토크 축소 기술들과 커플링된 자신들의 차동적인 속성으로 인해서 상기 교란하는 신호들이 대부분 자체적으로 소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모드 변환으로 인해서) 공통 모드 신호들이 다양한 통신 채널들 상에 또한 존재한다면, 상기 공통 모드 교란 신호들은 일반적으로는 상기 차동 신호들이 하는 것처럼 자체-소거되지 않기 때문에 아주 더 많은 양의 크로스토크가 교란하는 통신 채널들로부터 희생 통신 채널들 상으로 커플링될 것이다. 그래서, 케이블링 및/또는 커넥터들이 함께 근접하여 이격되어 있다면 모드 변환은 통신 네트워크들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통상적인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가 차동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된다고 하더라도, 그것들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성능을 여전히 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여덟 개의 전도성 핀들 30-1 내지 30-8에 대해 도 1 - 도 2의 핀 커넥터의 "전방 (forward)" 방향에 있는 시뮬레이션된 근단 크로스토크 (near-end crosstalk)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시뮬레이션의 목적들을 위해서, 30-1 및 30-2의 핀들은 제1 쌍 (41)으로서 사용되었으며, 30-3 및 30-4의 핀들은 제2 쌍 (42)으로서 사용되었으며, 30-5 및 30-6의 핀들은 제3 쌍 (43)으로서 사용되었으며, 그리고 30-7 및 30-8의 핀들은 제4 쌍 (44)으로서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신호가 전도성 핀 (30)의 상기 전면 말단 (32)으로부터 상기 전도성 핀 (30)의 후면 말단 (36)으로 흐를 때에, 그 신호는 상기 전도성 핀 (30)을 따라 "전방" 방향에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핀들 30-1 내지 30-8은 불균형적인 배열을 가진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2의 쌍의 전도성 핀 30-3은 참조번호 41의 쌍의 전도성 핀 30-2에 가까운 것보다 참조번호 41의 쌍의 전도성 핀 30-1에 항상 더 가까우며, 그리고 참조번호 42의 쌍의 전도성 핀 30-4는 참조번호 41의 쌍의 전도성 핀 30-1에 가까운 것보다 참조번호 41의 쌍의 전도성 핀 30-2에 항상 더 가깝다. 이런 불균형적인 배열의 결과, 인접한 쌍들 그리고 심지어는 인접하지 않은 쌍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1의 쌍 및 참조번호 43의 쌍) 사이에서도 큰 크로스토크가 일어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핀 커넥터 (10)는 상기 쌍들 사이의 차동-대-차동 크로스토크로 인한 빈약한 크로스토크 성능을 나타낸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전방 방향에서 상기 쌍 조합들 각각에 대한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한 도 7의 그래프에서 보여질 수 있다. 도 7에서의 참조번호 90의 커브는 직접적으로 인접한 쌍들에 대한 근단 크로스토크 (즉, 참조번호의 41의 쌍을 통해 신호가 전송될 때에 참조번호 42의 쌍 상에 유도된 크로스토크 및 그 반대의 크로스토크, 참조번호의 42의 쌍을 통해 신호가 전송될 때에 참조번호 43의 쌍 상에 유도된 크로스토크 및 그 반대의 크로스토크, 그리고 참조번호의 43의 쌍을 통해 신호가 전송될 때에 참조번호 44의 쌍 상에 유도된 크로스토크 및 그 반대의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한다. 도 7에서 참조번호 90의 커브에 의해서 보이는 것처럼, 인접한 쌍들 상에서의 상기 근단 크로스토크는 TIA 및 ISO 카테고리 6A (이것들은 도 7에서 각각 참조번호 98 및 99의 커브들에 의해서 도시됨) 하에서 허용된 크로스토크의 레벨보다 적어도 12 dB 더 나쁘며, 그래서 상기 핀 커넥터 (10)는 카테고리 6A를 따르는 커넥터보다 훨씬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들을 확실하게 지원할 것이다.
유사하게, 도 7에서 참조번호 91의 커브는 커넥터 (10) 내 "원-오버 (one-over)" 쌍 조합들에 대한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한다 ("원-오버 (one-over)" 쌍 조합은 사이에 위치한 하나의 추가적인 쌍을 가진 두 쌍들의 조합을 언급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 (10)에서, 상기 "원-오버" 쌍 조합들은 참조번호 41 및 43의 쌍들 그리고 참조번호 42 및 44의 쌍들이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원-오버 쌍 조합들 상의 근단 크로스토크는 TIA 및 ISO 카테고리 6A 표준들 하에서 허용된 크로스토크 레벨보다 약 8 dB 더 나쁘다. 마지막으로, 도 7에서의 참조번호 92의 커브는 커넥터 (10) 내 "투-오버 (two-over)" 쌍 조합들에 대한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한다 ("투-오버 (two-over)" 쌍 조합은 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추가적인 쌍을 가진 두 쌍들의 조합을 언급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 (10)에서, 단 하나의 투-오버 쌍 조합은 참조번호 41 및 44의 쌍들이다.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투-오버 쌍 조합 상의 근단 크로스토크는 약 450 MHz 아래의 모든 주파들에 대해서 TIA 표준 및 ISO 카테고리 6A 표준 하에서 허용된 크로스토크 레벨보다 여전히 더 나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서, 고속 통신 커넥터들 및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이 제공되어 가혹한 환경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이 커넥터들 및 케이블들은 차폐될 수 있고 또는 차폐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커넥터들은 매우 작은 폼 팩터 (form factor)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가벼울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넥터들은 양호한 크로스토크 성능 및 낮은 레벨의 모드 변환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래서 높은 데이터 레이트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들이 자동차의, 산업적인 그리고 다른 응용들에 적합한 통신 채널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또한 개시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핀 커넥터들 및 소켓 커넥터들은 균형이 잘 잡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상기 카테고리 6a 표준에서 제시된 성능 특징들 내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는 통신 케이블의 복수의 도체들을, 예를 들면, 두 번째 케이블 또는 인쇄 회로 보드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들은 도체들의 쌍을 통해 복수의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설계들은 임의 개수의 쌍들을 수용하도록 쉽게 확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커넥터들은 그 커넥터 내에서 일어나는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및/또는 차동 크로스토크의 향을 크게 줄어들게 할 수 있을 자체-보상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커넥터들은, 예를 들면, 자동차들 내의 커넥터들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의 특정 실시예들은 도 8 - 도 14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플러그 어퍼처 (122)를 가진 하우징 (120)을 포함하는 핀 커넥터 (100)의 투시 모습이다. 상기 플러그 어퍼처 (122)는 메이팅 커넥터를 받아들이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핀들 (130) 각각은 상기 하우징 (120) 내에 설치된다. 이 전도성 핀들 (130)은 아홉 개 쌍들의 전도성 핀들 (130)로서 배열될 수 있다.
도 9a는 도 8의 핀 커넥터 (100)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에 포함된 여덟 개의 전도성 핀들 (즉, 130-1 내지 130-8의 전도성 핀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9b는 도 9a의 라인 9B-9B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 모습이며 그리고 도 9c는 도 9a의 라인 9C-9C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 모습이다. 마지막으로, 도 9D는 전도성 핀들 (130)의 각 쌍에 포함된 교차 (crossover)들을 더욱 명료하게 보여주는 상기 전도성 핀들 (130)을 위에서 본 모습이다.
도 9a에서 보이는 것처럼, 130-1 및 130-2의 핀들은 제1 쌍 (141)을 형성하며, 130-3 및 130-4의 핀들은 제2 쌍 (142)을 형성하며, 130-5 및 130-6의 핀들은 제3 쌍 (143)을 형성하며, 그리고 130-7 및 130-8의 핀들은 제4 쌍 (144)을 형성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것처럼, 한 쌍 중의 양의 도체는 "팁 (tip)" 도체로 언급되며 그리고 한 쌍 중의 음의 도체는 "링 (ring)" 도체로 언급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130-1, 130-3, 130-5 및 130-7의 전도성 핀들은 팁 전도성 핀들일 수 있으며 그리고 130-2, 130-4, 130-6 및 130-8의 전도성 핀들은 네 개의 쌍들 (141-144)의 링 전도성 핀들일 수 있다.
도 9a - 도9d에서 더 보이는 것처럼, 각 전도성 핀 (130)은 제1 말단 (132), 중간 부분 (134), 그리고 제2 말단 (136)을 포함한다. 각 전도성 핀 (130)의 제1 말단 (132)은 x-방향을 따라서 전반적으로 연장된다. 각 전도성 핀 (130)의 제2 말단 (136)은 z-방향을 따라서 전반적으로 연장된다. 각 전도성 핀 (130)의 중간 부분 (134)은 상기 x-방향으로부터 z-방향으로의 천이 (transition)를 제공하는 라이트앵글 섹션 (138)을 포함한다. 추가로, 각 전도성 핀 (130)은 제공된 두 개의 조그 (jogged) 섹션들을 더 포함하여, 전도성 핀들 (130)의 각 쌍의 제1 전도성 핀 (130)이 교차 위치 (135)에서 상기 쌍의 제2 전도성 핀 (130)과 교차하도록 한다. 이런 교차들을 제공하는 것은 상기 핀 커넥터 (100)가 실질적으로 향상된 전기적 성능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9a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전도성 핀 (130) 상에 제공된 두 개의 조그 섹션들은 제1 천이 섹션 (133) 및 제2 천이 섹션 (137)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천이 섹션 (133)은 상기 전도성 핀들 (130) 각각에 그 전도성 핀의 제1 말단 (132) 및 상기 라이트앵글 섹션 (138) 사이에 제공된다. 팁 전도성 핀들 130-1, 130-3, 130-5, 130-7 각각의 위에서, 상기 제1 천이 섹션 (133)은 상기 전도성 핀으로 하여금 y-축을 따른 양의 방향에서 구부러지도록 (jog) 한다. 대조적으로, 상기 링 전도성 핀들 130-2, 130-4, 130-6, 130-8 각각의 위에서 상기 제1 천이 섹션 (133)은 상기 전도성 핀으로 하여금 y-축을 따른 반대 (음) 방향에서 구부러지도록 한다. 각 쌍 (141-144)의 상기 팁 및 링 전도성 핀들 (130) 상에서 이 천이 섹션들의 반대의 속성의 결과, 상기 팁 및 링 전도성 핀들 (130)은 자신들의 제1 말단들 (132) 및 상기 라이트앵글 섹션 (138) 사이에서 서로 교차한다. 이 교차들을 도 9a 및 도 9d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상기 제1 천이 섹션들 (133)은 x-축에 대해서 직각을 이룰 필요는 없으며, 또한 상기 제2 천이 섹션들 (137)도 z-축에 대해 직각을 이룰 필요도 없다는 것에 주목한다. 대신에, 도 9a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제1 천이 섹션 (133) 및/또는 제2 천이 섹션 (137)은 문제의 전도성 핀의 경로를 y-축을 따른 제1 좌표로부터 y-축을 따르는 제2 (의 상이한) 좌표로 변경하여 상기 교차에 영향을 미치게 할 필요는 있다.
상기 전도성 핀들 (130) 각각의 위에 제공된 상기 제2 천이 섹션 (137)은 상기 제2 말단 (136) 및 상기 라이트앵글 섹션 (138)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천이 섹션들 (137)은 조그 (jog)들이 모든 여덟 개 전도성 핀들 (130) 상의 동일 방향에, 즉, y-축 방향을 따라 음수 방향에 있도록 한다. 도 9a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천이 섹션들 (133) 및 상기 제2 천이 섹션들 (137)이 각 전도성 핀 (130)을 상기 천이 섹션의 시작 부분에서 약 45도 구부리고 그리고 그 전도성 핀 (130)을 상기 천이 섹션의 끝 부분에서 약 -45도 구부림으로써 구현되지만, 상기 천이 섹션들 (133, 137)을 구현하기 위해서 어떤 각도들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천이 섹션들 (133, 137)은 60도 및 -60도의 각도들 또는 90도 및 -90도의 각도들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전도성 핀들 (130)의 제1 말단들 (132)은 두 개의 로우들에 정렬되며, 여기에서 130-2 및 130-3의 전도성 핀들의 제1 말단들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130-4 및 130-5의 전도성 핀들의 제1 말단들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130-6 및 130-7의 전도성 핀들의 제1 말단들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도 9a 및 도 9c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전도성 핀들 (130)의 제2 말단들 (136)은 두 개의 로우들에 유사하게 정렬되며, 여기에서 130-1 및 130-4의 전도성 핀들의 제2 말단들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130-3 및 130-6의 전도성 핀들의 제2 말단들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130-5 및 130-8의 전도성 핀들의 제2 말단들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그러나, 다양한 전도성 핀들 (130)의 상기 제1 말단들 및 제2 말단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의 방식에서는 수직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즉, 그것들은 전반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기만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된 핀 커넥터들은 위에서 설명된 통상적인 핀 커넥터 (10)에 비교하면 매우 향상된 전기적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a - 도 9d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핀 커넥터 (100)의 두 말단들에서의 엇물린 (staggered) 접촉 배열 때문에, 참조번호 141 - 144 쌍 중의 두 개의 인접한 쌍들의 상이한 "닮지 않은" 전도성 핀들 (130) (즉, 하나의 쌍으로부터의 팁 전도성 핀 그리고 다른 쌍으로부터의 링 전도성 핀)은 상기 핀 커넥터 (100)의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정렬된다. 예로서, 도 9a의 왼쪽 측면 상에, 130-2 및 130-3의 전도성 핀들이 수직으로 정렬되며, 130-1 및 130-4의 전도성 핀들은 상기 130-2 및 130-3의 전도성 핀들의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대조적으로, 도 9a의 오른쪽 측면 상에, 130-1 및 130-4의 전도성 핀들이 수직으로 정렬되며, 130-2 및 130-3의 전도성 핀들은 상기 130-1 및 130-4의 전도성 핀들의 어느 한 측면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이런 엇물린 배열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상기 전도성 핀들 (130)의 길이들, 상기 전도성 핀들 (130) 사이의 거리들 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핀 커넥터들은 인접한 쌍들의 각 세트의 "닮은" 전도성 핀들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실질적으로 소거하는 "닮지 않은" 전도성 핀들 사이에서의 커플링을 생성할 수 있다 ("닮은" 전도성 핀들은 투 개의 팁 도체 핀들 또는 두 개의 링 도체 핀들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유형의 도체 핀을 언급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 도체 핀 배열들은 상기 전도성 핀들 (130)의 전면 말단 구역 또는 후면 말단 구역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할 수 있을 "오펜딩 (offending)" 크로스토크의 자체 소거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추가로, 동일한 크로스토크 보상의 이익들이, "원-오브" 조합 쌍들 (예를 들면, 도 9a 내 141 및 143의 쌍들), "투-오버" 조합 쌍들 (예를 들면, 도 9a so 141 및 144의 쌍들) 등과 같은 비-인접 쌍들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에 관해서도 또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도 9a - 도 9d의 전도성 핀 배열 내에서 구현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배열은 임의 개수의 추가의 전도성 핀들 (130)의 쌍들이 상기 제1 로우 및 제2 로우에 추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쌓아올릴 수 (stackable)" 있다. 예를 들면, 도 9a - 도 9d가 네 개의 쌍들 (141 - 144)을 형성하기 위해서 여덟 개의 전도성 핀들 (130)이 사용되는 전도성 핀 배열을 도시하지만, 상기 로우들의 말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추가의 전도성 핀들을 추가함으로써 임의 개수의 쌍들이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의 쌍 조합들 각각에 대한 전방 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된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참조번호 190의 커브는 참조번호 141 및 142의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1의 커브는 참조번호 141 및 143의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2의 커브는 참조번호 141 및 144의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3의 커브는 참조번호 142 및 143의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4의 커브는 참조번호 142 및 144의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5의 커브는 참조번호 143 및 144의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그리고 참조번호 198 및 199의 커브들은 각각 카테고리 6a의 TIA 버전 및 ISO 버전 하의 근단 크로스토크 한계들을 각각 도시한다.
도 10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접한 쌍들 (즉, 190, 193 및 195의 커브들) 사이 전방 방향에서 상기 시뮬레이션된 근단 크로스토크는 TIA 표준 및 ISO 카테고리 6a 표준 하에서 허용된 크로스토크의 레벨보다 적어도 5 dB 더 양호하다 (즉, 성능이 이 표준들보다 최소 5 dB 마진을 능가한다). 이것은 통상적인 핀 커넥터 (10)에 대한 도 7에 도시된 크로스토크 성능에 비교하면 크로스토크 성능에서 약 17 20 dB 향상을 나타낸다. "원-오버" 쌍 조합들 (즉, 191 및 194의 커브들) 사이에서 전방 방향에서의 상기 시뮬레이션된 근단 크로스토크는 TIA 표준 및 ISO 카테고리 6a 표준 하에서 허용된 크로스토크의 최대 양의 적어도 7 dB 밑이다. 마지막으로, "투-오버" 쌍 조합들 (즉, 192의 커브) 사이에서 전방 방향에서의 상기 시뮬레이션된 근단 크로스토크는 TIA 표준 및 ISO 카테고리 6a 표준 하에서 허용된 크로스토크의 최대 양의 적어도 13 dB 밑이다. 그래서, 도 10은 참조번호 100의 핀 커넥터는 참조번호 10의 핀 커넥터에 비교하면 크게 향상된 크로스토크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8 - 도 9의 핀 커넥터 (100)의 쌍 조합들 각각에 대한 시뮬레이션된 역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참조번호 190'의 커브는 참조번호 141 및 142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1'의 커브는 참조번호 141 및 143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2'의 커브는 참조번호 141 및 144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3'의 커브는 참조번호 142 및 143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참조번호 194'의 커브는 참조번호 142 및 144 쌍들 사이의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을 도시하며, 그리고 참조번호 198 및 199의 커브들은 각각 카테고리 6a의 TIA 버전 및 ISO 버전 하의 근단 크로스토크 한계들을 각각 도시한다.
도 11에서 보이는 것처럼, 역 방향에서의 상기 시뮬레이션 근단 크로스토크는 상기 전방 방향에서의 시뮬레이션된 크로스토크 성능과 극히 유사하며, 그리고 모든 쌍 조합들은 TIA 표준 및 ISO 카테고리 6a 표준을 충족시키는 것에 관련된 큰 마진을 가진다. 시뮬레이션들은, 비록 이 시뮬레이션들의 결과들이 간략함의 목적들을 위해서 여기에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모든 쌍 조합들이 원단 크로스토크 성능에 대한 TIA 표준 및 ISO 카테고리 6a 표준을 충족시키는 것에 관련된 큰 마진을 가진다는 것을 또한 표시한다.
도 9a의 전도성 핀 배열의 다른 잠재적인 유리함은 그 구조가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에 대해 또한 자체-보상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는, 희생 쌍의 두 개의 도체들이 단일 도체의 등가인 것으로 보일 때에, 한 쌍의 두 개의 도체들이 차동적으로 여기될 때에 에너지의 동일하지 않은 양들을 다른 쌍의 도체들 둘 모두 위에 커플링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로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참조번호 141-144의 쌍들 각각의 전도성 핀들 (130)이 교차를 포함하기 때문에, 핀 커넥터 (100) 내에 사용된 전도성 핀 배열은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에 대해 또한 자체-보상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참조번호 141 및 142의 쌍들을 분석함으로써 알 수 있다. 참조번호 141 쌍의 전도성 핀들 130-1 및 130-2는 차동적으로 여기되며 (즉, 차동 신호를 운반한다), 전도성 핀 어레이 (124)의 전면 말단에서 전도성 핀 130-2는 전도성 핀 130-1이 유도할 것보다 더 높은 양의 크로스토크를 참조번호 142의 쌍으로 (즉, 단일 도체로 보이는 130-3 및 130-4의 전도성 핀들로) 유도할 것이며, 그것에 의해서 오펜딩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신호를 생성한다. 그러나, 전도성 핀 어레이의 후면 말단에서, 참조번호 141의 쌍의 전도성 핀들의 교차로 인해서 전도성 핀 130-1은 전도성 핀 130-2가 유도할 것보다 더 높은 양의 크로스토크를 참조번호 142의 쌍으로 (즉, 단일 도체로 보이는 130-3 및 130-4의 전도성 핀들로) 유도할 것이며, 그것에 의해서 상기 오펜딩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신호의 많은 부분을 소거할 수 있을 보상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신호를 생성한다. 이 동일한 효과는 다른 쌍 조합들 모두에서 일어날 것이다.
추가로, 한 쌍의 팁 도체 및 링 도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은 전자기 간섭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에 대한 민감함 및 전자기 간섭 방사를 최소화하는 것과 같은 다른 전기적 성능 파라미터들에 대해 중요할 수 있다. 핀 커넥터 (100)에서, 팁 전도성 핀 및 링 전도성 핀이 전체적으로 동일한 길이들이므로 각 쌍은 균형이 잘 맞추어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1 - 도 2의 핀 커넥터 (10)의 팁 전도성 핀들은 링 전도성 핀들보다 더 길며, 이것은 그것들의 EMI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12는 대안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의 투시 모습이다. 도 12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전도성 핀 어레이 (124')는 전도성 핀들의 네 개의 쌍들 (141'-144')로 배열된 참조번호 130-1' 내지 130-8'의 여덟 개의 전도성 핀들을 포함한다. 도 12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 내 참조번호 130-1' 내지 130-8'의 상기 여덟 개의 전도성 핀들이 라이트 앵글 굴곡 (138)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기 전도성 핀 어레이 (124')는 도 9a - 9c에 도시된 핀 커넥터 (100)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와 매우 유사하다. 도 12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를 사용하는 핀 커넥터들은 두 개의 통신 케이블들을 연결하기에 더욱 적합할 수 있으며, 반면에 도 9a - 9c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를 사용하는 핀 커넥터들은 통신 케이블을, 예를 들면, 인쇄 회로 보드에 연결하기에 더 적합할 수 있다. 도 8의 하우징 (120)은 상기 전도성 핀 어레이 (124')를 보유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핀 커넥터들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소켓 커넥터들에도 또한 적용되어, 그런 커넥터들의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비슷하게 인정될 것이다. 예로서, 도 6은 통상적인 소켓 접점 (80)의 확대된 투시 모습이다. 소켓 커넥터들은 소켓 접점들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소켓 접점들은 예를 들면 상기 소켓 커넥터 내에 포함된 각 소켓 접점이 핀 커넥터 (100)의 전도성 핀 어레이 (124) 내 전도성 핀들과 동일한 전체적인 형상을 가지도록 구부러진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6에 도시된 소켓 접점 (80)과 유사하다. 도 13은 그런 소켓 커넥터 (15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소켓 커넥터 (150)는 여덟 개의 소켓 접점들 (180-1 내지 180-8)을 포함하는 소켓 접점 어레이 (178)를 포함한다.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소켓 접점 어레이 (178) 내 각 소켓 접점 (180)은 금속 와이어로서 도시되며, 그리고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160)은 간단한 박스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 소켓 접점들 (180) 사이에서의 이격, 상기 소켓 접점들 (180)의 전면 말단들 및 후방 말단들의 길이들, 소켓 접점 어레이 (178) 내 인접한 소켓 접점들 (180) 사이의 대면 표면 면적의 양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제어함으로써, 도 13의 소켓 접점 어레이 (178)는 차동적인 크로스토크 및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둘 모두를 실질적으로 소거하기 위해서 설계될 수 있다. 도 13의 소켓 접점 어레이 (178)가 각 소켓 접점 (180) 내 라이트 앵글 (188)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켓 접점 어레이 (178)는 도 12의 전도성 핀 어레이 설계에 대응하기 위해서 상기 라이트 앵글들을 대신에 생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설명된 핀 접점들 및 소켓 접점들은 함께 짝을 이루어 짝을 이룬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크로스토크 보상을 이용하기 위해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 둘 모두를 설계함으로써, 이더넷 카테고리 6a 표준들에 의해 지원되는 데이터 레이트들과 같은 매우 고속의 데이터 레이트들을 지원할 수 있을 짝을 이룬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런 성능을 달성하는 다른 방식이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를 제공하여, 그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가 함께 짝을 이룰 때에 낮은 크로스토크로 짝을 이룬 핀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를 가능하게 하는 통합된 물리적인 구조로서 행동할 것이라는 것이 또한 인정될 것이다.
특히,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핀 커넥터의 상기 전도성 핀 어레이는 크로스토크 감소 기술들로서 엇물림들 (staggers) 및 교차들 (crossovers) 둘 모두를 포함하며, 그래서 이 핀 커넥터들에서 생성된 보상되지 않은 크로스토크의 양이 매우 낮도록 할 수 있다. 비슷하게, 상기 소켓 커넥터들의 소켓 접점 어레이는 크로스토크 감소 기술들로서 엇물림들 및 교차들 둘 모두를 포함하며, 그래서 이 소켓 커넥터들에서 생성된 보상되지 않은 크로스토크의 양이 또한 매우 낮도록 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설명된 핀 및 소켓 커넥터를 이용하여 형성된 상기 짝을 이룬 핀 및 소켓 커넥터들에서, 상기 짝을 이룬 커넥터들을 통한 각 전도성 경로는 다중의 엇물림들 및 교차들을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소켓 커넥터와 짝을 이룬 핀 커넥터의 조합은 상기 설명된 크로스토크 보상 기술들을 이용하는 단일의 커넥터로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두 개의 그런 짝을 이룬 핀 및 소켓 커넥터들이 도 14a 및 도 14b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특히, 도 14a는 핀 커넥터 (210) 및 소켓 커넥터 (220)를 포함하는 짝을 이룬 핀 및 소켓 커넥터 (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4a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핀 커넥터 (210)는 복수의 곧은 전도성 핀들 (214)을 포함하는 전도성 핀 어레이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켓 커넥터 (220)는 복수의 소켓 접점들 (224)을 포함하는 소켓 접점 어레이 (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a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소켓 접점 (224)은 라이트 앵글 구부러짐을 가지도록 구부러질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구부러져서 다른 소켓 접점 (224) 위로 또는 아래로 교차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각 팁 전도성 핀 (214) 및 그것과 짝을 이루는 팁 소켓 접점 (224)의 조합은 도 9a - 도 9c의 팁 전도성 핀들 (130-1, 130-3, 130-5, 130-7)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각 링 전도성 핀 (214) 및 그것과 짝을 이루는 소켓 접점 (224)의 조합은 도 9a - 도 9c의 팁 전도성 핀들 (130-2, 130-4, 130-6, 130-8)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핀들 (214) 및 상기 소켓 접점들 (224)의 형상, 크기 및 상대적인 위치들은 조절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커넥터의 핀 또는 소켓 말단에서의 차동적인 크로스토크가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그것들의 엇갈린 배열로 인해서 자체적으로 소거되며, 교차들 중 한 쪽에서 생성된 공통 모드 쌍-대-쌍 (pair-to-pair) 크로스토크가 상기 교차들의 반대쪽에서 생성된 반대 극성의 공통 모드 쌍-대-쌍 크로스토크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소거되도록 한다. 상기 핀 커넥터 (210)가 상기 소켓 커넥터 (220)와 짝을 이룰 때에, 상기 핀 커넥터 (210)의 상기 전도성 핀들 (214)이 상기 소켓 커넥터 (220)의 자신들의 각 소켓 접점들 (224) 내에 받아들여지는 곳에서 메이팅 구역 (230)이 형성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14b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른 실시예에서, 핀 커넥터 (260) 및 소켓 커넥터 (270)를 포함하는 짝을 이룬 핀 및 소켓 커넥터 (250)가 제공된다. 상기 핀 커넥터 (260)는 복수의 전도성 핀들 (264)을 포함하는 전도성 핀 어레이 (2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핀들 (264) 각각은 핀 커넥터 (100)의 전도성 핀들 (130)의 일반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켓 커넥터 (270)는 도 6의 소켓 접점 (80)의 디자인을 가질 수 있을 복수의 소켓 접점들 (274)을 포함하는 소켓 접점 어레이 (27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팁 전도성 핀 (264) 및 그것과 짝을 이루는 팁 소켓 접점 (274)의 조합은 도 9a - 9c의 팁 전도성 핀들 (130-1, 130-3, 130-5, 130-7)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각 링 전도성 핀 (264) 및 그것과 짝을 이루는 소켓 접점 (274)의 조합은 도 9a - 9c의 링 전도성 핀들 (130-2, 130-4, 130-6, 130-8)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전도성 핀들 (264) 및 상기 소켓 접점들 (274)의 형상, 크기 및 상대적인 위치들은 조절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커넥터의 핀 또는 소켓 말단에서의 차동적인 크로스토크가 어느 하나의 말단에서 그것들의 엇갈린 배열로 인해서 자체적으로 소거되며, 교차들 중 한 쪽에서 생성된 공통 모드 쌍-대-쌍 크로스토크가 상기 교차들의 반대쪽에서 생성된 반대 극성의 공통 모드 쌍-대-쌍 크로스토크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소거되도록 한다. 상기 핀 커넥터 (260)가 상기 소켓 커넥터 (270)와 짝을 이룰 때에, 상기 핀 커넥터 (260)의 상기 전도성 핀들 (264)이 상기 소켓 커넥터 (270)의 자신들의 각 소켓 접점들 (274) 내에 받아들여지는 곳에서 메이팅 구역 (280)이 형성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위에서 설명된 핀 커넥터들이 플러그 어퍼처를 구비하며 (그래서 "잭들 (jacks)"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 커넥터들이 상기 플러그 어퍼처 내에 받아들여지지만 (그래서 "플러그들 (plugs)"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소켓 커넥터들이 플러그 어퍼처를 구비하며 상기 핀 커넥터들이 그 안에 받아들여져서, 상기 소켓 커넥터들이 잭들이며 그리고 상기 핀 커넥터들이 플러그들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다양한 다른 핀 및 소켓 커넥터들에 관하여도 동일하다.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되는 핀 및 소켓 커넥터들이 곧은 전도성 핀/소켓 접점들 또는 90도 각도를 포함하는 전도성 핀들/소켓 접점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어떤 적절한 각도, 커브, 일련의 각도들 또는 유사한 것이 상기 전도성 핀들 또는 상기 소켓 접점들의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마찬가지로 인정될 것이다. 상기 핀 및 소켓 커넥터들이 임의 개수의 전도성 핀들/소켓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핀들/소켓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둘 이상의 로우들에 정렬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유사하게 인정될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핀 및 소켓 커넥터들은 차량들, 산업적인 응용 분야들 및 다른 가혹한 환경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들 및 다른 예의 환경들에서의 말단-대-말단 통신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을 커넥터들 및 케이블들의 구성은 연결된 특정 장비 그리고 주위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달라질 것이다. 도 15는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 인라인 커넥터들, 및 패치 코드들을 이용하는 두 개의 인쇄 회로 보드들 사이에 세 개의 통신 채널들이 제공되는 하나의 예시의 구성을 도시한 통신 시스템 (310)의 개략적인 블록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10)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핀 및 소켓 커넥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중 하나의 케이블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투시의, 컷어웨이 (cut-away) 모습이다.
도 1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시스템 (310)은 복수의 통신 채널들 (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체 세 개의 채널들 320-1, 320-2, 320-3이 도시되지만, 상기 시스템은 임의 개수의 통신 채널들 (320)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여기에서, 통신 채널들은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및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말단-대-말단 전도성 경로를 언급한다는 것이라는 것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들이 두 개의 전도체 시그날링 기술들을 이용하므로, 각 통신 채널은 팁 전도성 경로 및 링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두 개의 말단-대-말단 전도성 경로들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세그먼트들 및 커넥터들은 단일의 통신 채널 또는 다중의 통신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각 통신 채널 (320)은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5에 보이는 것처럼, 제1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30)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90)는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각 통신 채널은 제1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 인라인 커넥터 (360), 그리고 제2 커넥터부착 케이블 (38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함께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30)를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90)로 전기적인 연결을 연장시킨다.
상기 커넥터들 (330, 360, 390) 및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340, 380)은 단일의 통신 채널 (320) 또는 복수의 통신 채널들 (320)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들 및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330-1, 340-1, 360-1, 380-1, 390-1)의 제1 세트는 두 개의 통신 채널들 (320-1, 320-2)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반면에 커넥터들 및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330-2, 340-2, 360-2, 380-2, 390-2)의 제2 세트는 제3 통신 채널 (320-3)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참조번호 330-1, 360-1, 390-1의 커넥터들은 그래서 각각 네 개의 접점들을 가지며 그리고 참조번호 340-1, 380-1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각각은 네 개의 절연된 도체들을 가지며, 반면에 참조번호 330-2, 360-2, 390-2의 커넥터들 각각은 두 개의 접점들을 가지며 그리고 참조번호 340-2, 380-2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각각은 두 개의 절연된 도체들을 가진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셋, 넷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들 (320)을 구비한 커넥터들 및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340-1, 380-1)이 "브레이크-아웃 (break-out)" 케이블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정될 것이며, 이 브레이크-아웃 케이블들에서는 절연된 도체들의 다중의 쌍들이 케이블 내에 포함되며 그리고 케이블의 각 말단이, 예를 들면, 절연된 도체들의 쌍들 중 각각의 쌍을 종단시키는 다중의 케이블 커넥터들을 구비한다.
도 15를 다시 참조하면, 각 제1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330)는, 예를 들면, 제어기,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 (도시되지 않음)의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설치된 통신 잭과 같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는 제어기, 컴퓨터 또는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기의 인쇄 회로 보드 상에 통상적으로 나란히 설치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커넥터들 (330)이 설치될 수 있다. 각 커넥터 (330)는 하우징 (3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대안으로, 참조번호 330-1, 330-2의 커넥터들은 공통의 하우징 (3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 (330)은 상기 커넥터 (330)에 의해서 지원되는 각 통신 채널에 대해 두 개의 접점들 (3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참조번호 330-1의 커넥터는 네 개의 접점들 (334-1 내지 334-4)을 가지며, 반면에 참조번호 330-2의 커넥터는 두 개의 접점들 (334-1, 334-2)을 가진다.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를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을 커넥터들의 예시의 실시예들은 위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15에서 더 보이는 것처럼, 각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은, 각 말단 상에 설치된 케이블 커넥터들 (350, 350')을 구비한 통신 케이블을 포함한다. 도 16은 도 15의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1)의 일부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16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케이블 (342)은, 예를 들면, 도체들의 두 개의 꼬인 쌍들 (346-1, 346-2)로서 배열된 네 개의 절연된 도체들 (344-1 내지 344-4)을 포함하는 차폐되지 않은 꼬인 쌍 이더넷-스타일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체들 각각은 단일의 정보 신호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꼬인 쌍들 (346-1, 346-2)은 케이블 자켓 (348) 내에 싸여질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면 테이프 분리기 (349)와 같은 추가적인 구조들이 상기 케이블 (342) 내에 포함되어 상기 꼬인 쌍들 (346-1, 346-2)을 서로에게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꼬인 쌍들 (346-1, 346-2) 그리고 어떤 분리기 (349)는 코어 꼬임 내에 함께 꼬여질 수 있다. 각 꼬인 쌍 (346-1, 346-2)은, 예를 들면, 상기 참조된 카테고리 6a 표준에 따르는 이더넷 통신 케이블의 꼬인 쌍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2)은, 단 하나의 꼬인 쌍 (346-1)만이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2)에 포함되며, 상기 분리기 (349)가 생략될 것이며, 그리고 어떤 코어 꼬임도 없을 것이라는 것을 제외하면, 참조번호 340-1의 커넥터부착 케이블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은 둘 보다 많은 꼬인 쌍들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정될 것이다.
도 16에서 더 보이는 것처럼,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350, 350')은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이 플러그 커넥터들, 잭 커넥터들 또는 다른 유형의 커넥터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각 케이블 커넥터들 (350, 350')은 하우징 (352) 그리고 접점들의 쌍들 (356)로서 배열되는 복수의 접점들 (354)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케이블 커넥터 (350, 350')는 케이블 (342) 내에 포함되는 절연된 도체들 (344)의 개수와 부합하는 개수의 접점들 (35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 16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케이블 (342)이 두 개의 꼬인 쌍들 (346-1, 346-2)로서 배열된 네 개의 절연된 도체들 (344-1 내지 344-4)을 포함한다면, 케이블 커넥터 (350) (그리고 도 16에 도시되지 않은 참조번호 350'의 케이블 커넥터)는 접점들의 두 쌍들 (356-1, 356-2)로서 배열된 네 개의 절연된 도체들 (354-1 내지 354-4)을 포함할 것이다. 각 접점 (354-1 내지 354-4)은 절연된 도체들 (344-1 내지 344-4) 중 각각의 하나의 절연된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각 접점 (354)은 하나의 핀 접점을 포함한다.
도 15를 다시 참조하면, 각 인라인 커넥터 (360)는 하우징 (362) 그리고 제1 커넥터 부분 (364) 및 제2 커넥터 부분 (37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360)이 잭들로서 구현되는 경우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넥터 부분들 (364, 370)은 플러그 어퍼처들 (364, 370)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실시예들에서, 제1 플러그 어퍼처 (364)는 제1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의 플러그 (350')를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제2 플러그 어펴처 (370)는 제2 커넥터부착 케이블 (380)의 플러그 (350)를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잭 입력 접점들 (366)이 상기 제1 플러그 어퍼처 (364) 내에 설치되며, 그리고 복수의 잭 출력 접점들 (372)이 상기 제2 플러그 어퍼처 (370) 내에 설치된다. 대안으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360)이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구현되는 경우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넥터 부분들 (364, 370)은 플러그들 (364, 370)의 쌍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플러그 (364)는 상기 제1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의 잭 커넥터 (350')의 플러그 어퍼처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상기 제2 플러그 (370)는 상기 제2 커넥터부착 케이블 (380)의 잭 커넥터 (350)의 플러그 어퍼처로 삽입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플러그 입력 접점들 (366)은 상기 제1 플러그 (364) 내에 설치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1 플러그 (364)로부터 연장하며, 그리고 복수의 플러그 입력 접점들 (372)은 상기 제2 플러그 (370) 내에 설치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2 플러그 (370)로부터 연장된다.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복수의 플러그 입력 접점들 (366)은 입력 접점들 (368)의 쌍들로서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 입력 접점들 (372)은 입력 접점들 (374)의 쌍들로서 배열된다. 각 입력 접점 쌍 (368) 및 대응하는 출력 접점 쌍 (374)은 (어떤 개재하는 (intervening) 구조들과 함께) 상기 인라인 커넥터 (360)를 통한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각 입력 접점 (366) 및 그 입력 접점의 대응 출력 접점 (372)은 하나의 금속 조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 (360-1)는 네 개의 입력 접점들 (366) 그리고 두 개의 통신 채널들을 한정하는 네 개의 출력 접점들 (374)을 포함하며, 반면에 상기 인라인 커넥터 (360-2)는 두 개의 입력 접점들 (366) 그리고 단일의 통신 채널들을 한정하는 두 개의 출력 접점들 (37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380)의 각각은 상기 제1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340)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참조번호 380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각 제2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90)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30)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90)에 대한 추가의 설명 또한 생략될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통신 채널들 (320)은 자동차 응용들을 위해 매우 적합할 것이다. 자동차들은, 차량의 위치를 원격 국에게 표시하기 위한 차량 위치 트랜스폰더들; 셀 폰 연결들 및 휴대용 음악 재생기들 (예를 들면, IPOD
Figure pct00001
디바이스)을 위한 블루토스 접속들; 차량 오퍼레이터들을 위한 개인적인 그리고 가상적인 보조 서비스들 (예를 들면, ON STAR
Figure pct00002
서비스); 차량 내 WiFi 인터넷 접속 영역; 백업 및 측면-뷰 카메라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뒷자리 승객 DVD 플레이어 및/또는 게이밍 시스템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lobal Positioning Systems, GPS); 충돌 경보 레이더 시스템들; 근접 센서들; 그리고 후진, 평행 주차, 사고 회피 및 자율-구동 차량들을 위한 브레이킹, 가속 및 스티어링 제어기들 등과 같은 하이 엔드 전자장치들을 점점 더 많이 통합하고 있다. 많은 경우들에서, 이 전자 디바이스들은 자동차에 전체적으로 위치하며 그리고 보통은 중앙 집중 장소에 위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기들이나 헤드 유닛과 통신한다. 생산 라인 기술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 전자 디바이스들은 별도로 제조되는 자동차의 서브컴포넌트들 (예를 들면, 문짝, 트렁크, 측면 패널들 등) 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와 같은 전자 디바이스는 자동차의 문짝 내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문짝은 상기 자동차의 몸체와는 분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도어를 조립하는 동안에, 커넥터부착 케이블 (380)의 제1 커넥터 (350')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390)와 짝을 이룰 수 있으며 그리고 이 커넥터부착 케이블 (380)의 반대편 말단 상에 있는 제2 커넥터 (350)는 인라인 커넥터 (360)의 제2 커넥터 부분 (370)과 짝을 이룰 수 있다. 제어기 (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자동차의 대시보드 뒤에 설치될 수 있다. 그 제어기는 제1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주 몸체 (main body)를 조립하는 동안에,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의 제1 커넥터 (350)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330)과 짝을 이룰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의 반대편 말단 상에 있는 제2 커넥터 (350')는 그 문짝에 인접한 상기 자동차 주 몸체 내 홀 (hole)로 라우팅될 수 있다. 상기 문짝이 상기 주 몸체에 부착될 때에,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의 상기 제2 커넥터 (350')는 상기 홀을 통해서 그리고 상기 문짝으로 라우팅될 수 있으며, 그 문짝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 (360)의 상기 제1 커넥터 부분 (364)과 짝을 이루며, 그래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어기 사이의 통신 채널 (320)을 완료한다. 도 15가 두 개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340, 380) 그리고 하나의 인라인 커넥터 (360)을 각각 포함하는 통신 채널들 (320)을 도시하지만, 몇몇의 경우들에서는 이 통신 채널들 (32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채널이 추가의 요소들 (예를 들면, 추가적인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및 인라인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경우들에서는 상기 통신 채널들은 더 작은 개수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인라인 커넥터 (360) 및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 (380)이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 (2740, 2790), 인라인 커넥터 (2760) 및 두 개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2750, 2770)이 자동차 (상기 주 몸체)의 제1 서브-어셈블리 (2710) 내에 설치된 제어기 (2730) 그리고 상기 자동차의 제2 서브-어셈블리 (2720) (문짝) 내에 설치된 전자 디바이스 (2780) 사이에서 통신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1, 400-2, 400-3) 및 그것들과 짝을 이루는 여섯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 (500)의 일부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17에서,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는 참조번호 500-1, 500-4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루며,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는 참조번호 500-2, 500-5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루며, 그리고 참조번호 400-3의 인라인 커넥터는 참조번호 500-3, 500-6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룬다. 도 17에서 보이는 것처럼,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1, 400-2, 400-3)은 서로에게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로우로 정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서로에게 물리적으로 짝을 이루고/부착될 수 있다. 이 배열은 공간 요구사항들을 최소화하고 그리고 편리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지만, 인접한 커넥터들의 통신 경로들 사이에서의 커플링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7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케이블 커넥터 (500)는 하우징 (502) 및 제1 핀 접점 (510) 및 제2 핀 접점 (520)을 구비할 수 있다. 각 핀 접점 (510, 520)은 통신 케이블의 각각의 절연된 도체들 (512, 522)의 드러난 말단 부분 상으로 크림프되는 중공 (hollow)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핀 접점들 (510, 520)은 각각의 도체들 (512, 522)로 솔더링될 수 있을 것이며, 절연 피어싱 (piercing) 또는 무탈피 접점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들에 의해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도체들 (512, 522)은 통신 케이블의 도체들의 꼬인 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케이블 커넥터들 (500)의 컴포넌트들을 더 양호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블들은 도 17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은 상기 핀 접점들 (510, 520)로 삽입된 말단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었다. 참조번호 510의 각 핀 접점은 팁 핀 접점이며, 그리고 참조번호 520의 각 핀 접점은 링 핀 접점이다. 상기 핀 접점들 (510, 520)은,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이 도 16의 실시예에서의 경우이다) 또는 상기 하우징 (502)의 내부 벽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에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 및 인라인 커넥터들 (400)은 포괄적으로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각 케이블 커넥터 (500)는 플러그 커넥터 (500)로서 구현될 것이며, 그리고 각 인라인 커넥터 (400)는 제1 플러그 어퍼처 및 제2 플러그 어퍼처를 구비한 두 개-측면 잭 커넥터로서 구현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잭 커넥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측면들은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래서 도 17은 이런 다양한 구현들 모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포괄적으로 그려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은, 예를 들면, 상기 도체들 (512, 522)의 꼬임을 상기 핀 접점들 (510, 520)이 상기 도체들 (512, 522) 위로 받아들여지는 포인트까지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변형 방지 (strain relief) 메커니즘들 또는 와이어 가이드 메커니즘들과 같은 추가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이런 추가의 컴포넌트들은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도 17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도 17에서 또한 보이는 것처럼,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은 공통의 하우징 (402)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각 인라인 커넥터 (400)는 개별 하우징 (402)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그런 실시예들에서, 상기 세 개의 개별 하우징들 (402)은, 예를 들면, 프레임 내에 나란히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개별 하우징들 (402)은, 예를 들면, 스냅 클립 또는 유사한 것처럼, 각 개별 하우징 (402)이 인접한 하우징(들) (402)과 짝을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상기 개별 하우징들 (402)은 커넥터들 (400)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들 (400)을 인접한 커넥터들 (400)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들에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 각각은 네 개의 접점들 (410, 420, 430, 440)을 포함한다 (참조번호 440의 소켓 접점들은 도 17에서는 보이지 않지만, 도 18에서는 볼 수 있다). 소켓 접점들 (410, 430)은 서로에게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단일 조각의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어서, 입력 소켓 접점 (410) 및 출력 소켓 접점 (430)을 포함하는 접점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소켓 접점들 (420, 440)은 서로에게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단일 조각의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어서, 입력 소켓 접점 (420) 및 출력 소켓 접점 (440)을 포함하는 접점을 제공한다. 소켓 접점들 (410, 420, 430, 440) 각각은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 (500)의 각 핀 접점 (510 또는 520)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인라인 커넥터 (400-1)에 대해, 참조번호 41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500-1의 케이블 커넥터의 참조번호 510의 핀 접점을 받아들이며, 참조번호 42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500-1의 케이블 커넥터의 참조번호 520의 핀 접점을 받아들이며, 참조번호 43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500-4의 케이블 커넥터의 참조번호 510의 핀 접점을 받아들이며, 그리고 참조번호 44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500-4의 케이블 커넥터의 참조번호 520의 핀 접점을 받아들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410 및 430의 소켓 접점들은 팁 핀 접점들을 받아들이며, 반면에 참조번호 420 및 440의 소켓 접점들은 링 핀 접점들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상기 팁 및 접점 위치들은 역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참조번호 410 및 420의 소켓 접점들은 참조번호 430 및 440의 소켓 접점들이 그런 것처럼 수직으로 정렬된다. 추가로, 각 인라인 커넥터 (400)에서, 참조번호 41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430의 소켓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제1 팁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며, 그리고 참조번호 42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440의 소켓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제1 링 전도성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각 인라인 커넥터 (400)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 중 하나의 팁 핀 접점 (510)을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 중 다른 것의 팁 핀 접점 (51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그리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 중 하나의 링 핀 접점 (520)을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 중 다른 것의 링 핀 접점 (5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 및 여섯 개의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커넥터 하우징들은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백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생략되었다. 도 19는 도 18의 여러 핀 및 소켓 연결들의 확대된 모습이다. 도 19a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 내에 포함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의 확대 모습이다. 도 20은 도 17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 중 제1 인라인 커넥터의 전도성 경로로부터 도 17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 중 제2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 상으로의 크로스토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벡터 도면이다. 도 21은 도 17의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커넥터 하우징들은 생략되었지만 유전체 스페이서들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도시하기 위해서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포함된다.
도 18 및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접한 커넥터들의 소켓 접점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00-1의 커넥터의 참조번호 410의 소켓 접점 및 참조번호 400-2의 커넥터의 참조번호 410의 소켓 접점)은 서로에게 매우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8 및 도 19로부터 또한 명백한 것처럼, 각 통신 채널의 팁 전도성 경로 및 링 전도성 경로는 인접한 통신 채널 각각의 팁 전도성 경로 및 링 전도성 경로 상으로 고르지 않게 커플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10) (그리고 그 접점 내로 받아들여지는 케이블 커넥터 (500-1)의 팁 핀 접점 (510))은, 참조번호 400-1의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10)으로부터 참조번호 400-2의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10) 및 링 소켓 접점 (420)까지의 거리들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참조번호 400-2의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의 링 소켓 접점 (420) 상으로 커플링될 것보다 더 많은 신호 에너지를 참조번호 400-2의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10)으로 커플링할 것이다. 이 차동 커플링은 인라인 커넥터 (400-2)를 통해 전송되고 있는 어떤 통신 신호 상의 근단 크로스토크로서 나타난다. 유사하게,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링 소켓 접점 (420)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500-1)의 링 핀 접점 (520))은, 참조번호 400-1의 커넥터의 링 소켓 접점 (420)으로부터 참조번호 400-2의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10) 및 링 소켓 접점 (420)까지의 거리들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참조번호 400-2의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10) 상으로 커플링될 것보다 더 많은 신호 에너지를 참조번호 400-2의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의 링 소켓 접점 (420)으로 커플링할 것이다. 이 차동 커플링은 인라인 커넥터 (400-2)를 통해 전송되고 있는 어떤 통신 신호 상의 근단 크로스토크로서 나타난다. 정확하게 동일한 차동 커플링이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30) 및 링 소켓 접점 (440)으로부터 참조번호 400-2의 인접 인라인 커넥터의 팁 소켓 접점 (430) 및 링 소켓 접점 (440)으로 주입될 것이다. 상기 차동 커플링은 역의 방향에서 또한 나타날 것이며 (즉,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전도성 경로들은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근단 크로스토크를 주입할 것이다), 그리고 차동 커플링은 참조번호 400-2 및 400-3의 인라인 커넥터들 사이에서도 (양 방향들에서) 또한 발생할 것이다. 이런 차동 커플링으로부터 유래된 근단 및 원단 크로스토크는 인라인 커넥터들 (400-1 내지 400-3)을 통해 지나가는 통신 채널들을 통해서 통신 신호들이 전송될 수 있을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한할 수 있다.
이 차동 커플링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복수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이 제공되어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 사이에서 연장된다. 특히, 도 18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 및 제2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이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 및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제3 및 제4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4, 456)이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 및 참조번호 400-3의 인라인 커넥터 사이에 배치된다. 추가로, 네 개의 추가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60, 462, 464, 466)의 일부들이 제공된다. 추가적인 인라인 커넥터들이 반대의 인라인 커넥터 (400-2)인 참조번호 400-1 및 400-3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측면들 상에 위치한다면, 이 추가적인 네 개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60, 462, 464, 466)은 크로스토크 보상을 제공할 것이다.
도 18 및 도 19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 (450, 452, 454, 456)는 인라인 커넥터들 (400) 중 하나의 팁 전도성 경로 그리고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 (400)의 링 전도성 경로 사이로 연장하는 커패시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50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 (즉, 참조번호 410의 소켓 접점)의 팁 전도성 경로 및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 (즉, 참조번호 420의 소켓 접점)의 링 전도성 경로 사이에서 신호 에너지를 커플링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참조번호 452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 및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링 전도성 경로 사이에서 신호 에너지를 커플링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참조번호 454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 및 참조번호 400-3의 인라인 커넥터의 링 전도성 경로 사이에서 신호 에너지를 커플링하는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참조번호 456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참조번호 400-3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 및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의 링 전도성 경로 사이에서 신호 에너지를 커플링하는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두 개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이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 각각 사이에서 제공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단 하나의 단일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00) 사이에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더 추가의 실시예들에서는 둘 보다 많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이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 사이에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19 및 도 19a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 (450, 452, 454, 456)는 제1 인라인 커넥터 (예를 들면, 참조번호 400-1의 커넥터)와 제2 인라인 커넥터 (예를 들면, 참조번호 400-2의 커넥터) 사이로 연장하는 커패시터 (480)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패시터들 (480) 각각은 제1 전극 (482) 및 제2 전극 (484)을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1 전극 (482) 및 제2 전극 (484)은 유전체 스페이서 (486)에 의해 분리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인라인 커넥터들 (400-1, 400-2)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하우징 또는 공기가 상기 커패시터 유전체 (486)로서 서빙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커패시터 유전체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482)을 제자리에 잡고 있기 위해 제1 암 (492)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암 (492)은 상기 제1 인라인 커넥터 (400-1)의 더블-사이드 (double-sided) 팁 소켓 접점 (예를 들면, 참조번호 410 및 430의 소켓들)에 연결한다. 그래서, 상기 제1 암 (492)이 상기 더블-사이드 팁 소켓 접점 (410, 430)에 연결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인라인 커넥터 (400-1)를 통해서 운반된 신호로 보상 크로스토크가 주입된다. 아래에서 설명된 것처럼, 이 위치는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전극 (484)을 제자리에 잡고 있기 위해 제2 암 (494)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암 (494)은 상기 제2 인라인 커넥터 (400-2)의 더블-사이드 팁 소켓 접점 (예를 들면, 참조번호 420 및 440의 소켓들)에 연결한다. 그래서, 상기 제1 암 (492)이 상기 더블-사이드 팁 소켓 접점 (410, 430)에 연결하는 위치에서 상기 제1 인라인 커넥터 (400-1)를 통해서 운반된 신호로 보상 크로스토크가 주입된다. 도 19a가 하나의 가능한 커패시터 설계를 도시하지만, 어떤 적절한 커패시터 설계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 (450)는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와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 사이에서 커플링되는 근단 크로스토크의 양의 반과 동일한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와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의 링 전도성 경로 사이의 에너지의 양을 커플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비슷하게,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 (452)는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와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 사이에서 커플링되는 근단 크로스토크의 양의 반과 동일한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링 전도성 경로와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 사이의 에너지의 양을 커플링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은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와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 사이에서 커플링되는 근단 크로스토크와 대략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보상 근단 크로스토크를 함께 주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7 - 도 19의 실시예에서, 신호가 인라인 커넥터들 중 하나 (예를 들면,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를 통과할 때에 생성된 자기장은, 인접한 팁 전도성 경로들에 비교하면 상기 인접한 팁 전도성 경로 및 링 전도성 경로 사이에서의 더 큰 물리적인 분리로 인하여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의 링 전도성 경로로 커플링하는 것보다,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 (여기에서는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의 팁 전도성 경로 상으로 더 다량으로 (heavily) 커플링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유도성 오펜딩 크로스토크를 주로 포함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신호가 짝을 이룬 인라인 커넥터의 한 말단 (예를 들면, 참조번호 500-1의 케이블 커넥터와 짝을 이룬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짝을 이룬 인라인 커넥터의 다른 말단 (예를 들면, 참조번호 500-4의 케이블 커넥터와 짝을 이룬 참조번호 400-1의 인라인 커넥터의 말단)으로 이동할 때에 이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상당히 일정한 레벨에서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인라인 커넥터들 (400)에서 일어나는 근단 크로스토크가 유도성 크로스토크를 주로 포함하지만, 어느 정도 양의 용량성 크로스토크가 또한 생성될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다른 커넥터 설계들에서 용량성 크로스토크의 양은 유도성 크로스토크의 양을 초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 또한 인정될 것이다.
도 17 - 도 19의 실시예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 454, 456)은 오펜딩 근단 크로스토크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 사이에서 생성되는 구역의 대략적으로 "가중된 중앙 포인트 (weighted midpoint)"에서 보상 크로스토크를 주입한다. 특히, 오펜딩 근단 크로스토크는 상기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생성될 수 있다. 이 오펜딩 크로스토크 구역의 상기 "중앙 포인트 (midpoint)"는 상기 오펜딩 근단 크로스토크가 생성되는 구역과 교차하여 신호가 거의 반정도 이동했을 때에 그 신호가 위치할 장소이다. 커넥터들이 (도 17 - 19의 커넥터 시스템과 같이) 대칭적인 커넥터 시스템에서, 상기 가중된 중앙 포인트는 각 인라인 커넥터 (400)의 실제적인 중앙 포인트일 것이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 시스템이 대칭적이지 않다면, 커넥터 시스템의 하나의 말단에서 다른 말단에서보다 더 많은 오펜딩 크로스토크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보상 크로스토크가 주입되는 위치는 상기 "가중된 중앙 포인트"로 다시 위치가 정해질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의 약 반이 이 위치의 한 측면 상에 (예를 들면, 제1 크로스토크 구역에) 주입되며 그리고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의 다른 반은 상기 위치의 다른 측면 상으로 (예를 들면, 제2 크로스토크 구역에) 주입되도록 한다.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를 오펜딩 근단 크로스토크 생성 구역의 가중된 중앙 포인트에서 주입함으로써, 향상된 크로스토크 소거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 신호가 오펜딩 크로스토크가 생성된 위치에 전기적으로 더 가깝게 주입된다면, 향상된 크로스토크 소거가 전형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오펜딩 크로스토크 신호와 보상 크로스토크 신호 사이의 어떤 지연도, 특히 더 높은 주파수 신호들에 대해서 크로스토크 보상의 유효성을 저하시키도록 행동하기 때문이다. 지연이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의 유효성을 저하시키는 방식은 미국 특허 No. 5,997,358 ("'358 특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며, 상기 특허의 전체 내용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제시된 것처럼 참조로서 편입된다.
오펜딩 근단 크로스토크 생성 구역의 가중된 중앙 포인트에서 보상 크로스토크를 주입함으로써, 오펜딩 크로스토크 및 보상 크로스토크가 주입되는 위치 사이의 지연은 감소될 수 있다. 도 20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라인 커넥터 (400-1)의 팁 전도성 경로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400-2)의 팁 전도성 경로로 주입된 크로스토크에 관련하여,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인라인 커넥터 (400-2)의 팁 전도성 경로를 따라 멀리 연장하는 일련의 작은 크로스토크 벡터들로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 벡터는, 상기 작은 오펜딩 크로스토크 벡터들 각각에 반대의 극성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작은 오펜딩 크로스토크 벡터들의 합과 대략적으로 같은 크기를 가진 인라인 커넥터 (400-2)를 통한 팁 전도성 경로의 중앙 포인트에서의 큰 벡터로 보일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 각각은 멀티스테이지 (multistage) 크로스토크 보상 계획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보상 계획들은 상기 언급된 '385 특허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20에서 보이는 것처럼, 참조번호 400-1의 커넥터로부터 참조번호 400-2의 커넥터로 주입된 크로스토크는 참조번호 500-1의 케이블 커넥터와 짝을 이루는 참조번호 400-1의 커넥터의 입력으로부터 참조번호 400-2의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팁 전도성 경로의 대략적인 중앙 포인트로 연장하는 오펜딩 크로스토크 스테이지 A0로 보일 수 있다. 이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분산된 유도성 커플링을 더 작은 양의 분산된 용량성 커플링과 함께 포함한다. 이 분산된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도 20에서 보이는 것처럼 커플링 구역의 가중된 중앙 포인트에서 단일 벡터 A0'에 의해서 표시될 수 있다.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및 452)의 형상 내 제1 보상 크로스토크 스테이지 A1은 인라인 커넥터 (400-2)를 통한 팁 전도성 경로의 중앙 포인트에서 제공된다. 상기 제1 오펜딩 크로스토크 스테이지 A1의 크기는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 벡터 A0'의 크기의 약 두 배일 수 있다. 인라인 커넥터 (400-2)를 통한 팁 전도성 경로의 대략적인 중앙 포인트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500-4)와 짝을 이루는 커넥터 (400-1)의 입력으로 연장하는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제2 보상 크로스토크 스테이지 A2로서 서빙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상 크로스토크 스테이지 A2는 분산된 유도성 커플링을 더 작은 양의 분산된 용량성 커플링과 함께 포함한다. 이 분산된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도 20에서 보이는 것처럼 커플링 구역의 가중된 중앙 포인트에서 단일 벡터 A2'에 의해서 표시된다.
도 21은 도 17의 세 개 라인 커넥터들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커넥터 하우징 (402)은 생략되었지만, 유전체 스페이서들이 포함되며, 그런 유전체 스페이서들이 각 라인 커넥터 (400)를 통한 전송 라인들에서의 임피던스 그리고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 사이에서 커플링된 크로스토크 둘 모두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수평의 유전체 스페이서들이 제공되어 팁 소켓들 (410, 430)을 각 인라인 커넥터 (400) 내 링 소켓들 (420, 440)로부터 분리한다. 하우징 (402)은 두 조각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수평 스페이서들 (470)은 그 두 하우징 조각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유전체 스페이서들 (470)의 두께 그리고 유전체 상수들은 각 라인 커넥터 (400)를 통한 링 전도성 경로 및 팁 전도성 경로의 형상인 전송 경로의 임피던스를 원하는 레벨 (예를 들면, 100 옴)에서 유지하기 위해서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의 전반적인 리턴 손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내 다른 구조들 (예를 들면,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 회로들 (450, 452, 454, 456))이 상기 임피던스가 원하는 값과 상이하도록 할 수 있는 전송 라인들 상에 부하들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더욱이, 상기 수평 유전체 스페이서들 (470)이 각 인라인 커넥터 (400)에서 팁 소켓들 (410, 430) 및 링 소켓들 (420, 440) 사이의 커플링을 증가시키는 정도까지, 그것들은 인접한 커넥터들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커넥터의 팁 소켓 및 링 소켓 사이에서의 증가된 커플링이 인접한 커넥터들과의 커플링을 축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40)이 공통의 하우징 (402)에 의해서 둘러싸인 실시예들에서 특히 복수의 수직 스페이서들 (472)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유전체 스페이서들 (472)은 각 보상 크로스토크 회로 (450, 452, 454, 456, 460, 462, 464, 466)의 커패시터 전극들 (482, 484)이 부주의하게 단락되지 않은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커패시터 전극들 (482, 482) 사이의 거리 및 각 커패시터 (480)의 전극들 (482, 484) 사이 물질의 유전체 상수를 제어함으로써 각 커패시터 (480)에 의해 생성된 커플링의 양을 정밀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1의 실시예에서, 단일의 수직 유전체 스페이서 (472)가 각 인라인 커넥터 (400)의 각 측면 상에 제공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하나보다 많은 수직 유전체 스페이서 (472)가 라인 커넥터들 (400)의 각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직 스페이서들 (472)은 두 개의 인접한 커넥터들 (400)의 하우징들 (402) 사이에 끼일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유전체 스페이서들 (472)은 25 밀 (mil)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수직 스페이서들 (472)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에 의해서 주입된 보상 크로스토크의 양은 상기 수직 스페이서들 (472)의 길이, 폭 및 두께를 기반으로 하여, 그리고 상기 수직 스페이서들 (472)의 유전체 상수를 기반으로 하여 변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이한 유전체 상수들을 가진 수직 스페이서들 (472)은 인라인 커넥터 (400)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제공된 보상의 양을 정밀-조절하기 위해 특별한 인라인 커넥터 디자인에서 테스트될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은 매우 작은 폼 팩터 (form factor)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한 쌍의 소켓 접점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10 및 420의 소켓 접점들) 사이의 중심-대-중심 수직 이격은 50 밀 정도일 수 있다. 비슷하게, 인접한 커넥터들의 팁 접점들 사이의 중심-대-중심 수직 이격은 카테고리 6a 내부 근단 및 원단 크로스토크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100 밀 정도일 수 있으며, 또는 카테고리 6a 외부 근단 및 원단 크로스토크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200 내지 250 밀 정도일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커넥터들은 매우 작은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이 작은 폼 팩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은 카테고리 6a 표준에서 제시된 근단 크로스토크 성능, 원단 크로스토크 성능 그리고 리턴 손실에 대한 규격들을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은 또한 고도로 균형이 잡혀 있으며, 그래서 최소의 모드 변환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커넥터들은 매우 양호한 채널 성능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소켓들 (410, 420, 430, 440)은 틀로 찍어낼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시트 금속의 시트로부터 매우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 22에서 보이는 것처럼, 금속의 여백은 표시된 것과 같은 점선 라인들을 따라서 틀로 찍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 후에 롤링되어 (rolled)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에서 사용될 수 있을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 소켓들 (예를 들면, 참조번호 410, 430의 소켓들)의 쌍을 형성한다. 더욱이, 도면들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소켓들 (410, 420, 430, 440)은 핀이 그 소켓 내에 받아들여질 때에 부응할 수 있는 내부 톱니꼴 (indent)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래서 혹독한 동작 환경들에서라도 양호한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한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400) 및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500)이 각각 둥근 횡단면들을 가진 소켓 접점 및 핀 접점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다른 소켓 및 핀 디자인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횡단면들, 직사각형 횡단면들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23은 각각 접점들의 두 쌍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 즉, 400'-1, 400'-2)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명백하게, 도 23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은 도 17 내지 도 19 그리고 도 21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과 거의 동일할 수 있으며, 하나의 차이점은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 각각은 더블-사이드 소켓 접점들의 단일의 쌍만을 포함하지만,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 각각은 더블-사이드 소켓 접점들의 두 개 쌍들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인라인 커넥터들 (400')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 사이에서 일어나는 크로스토크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 460, 462, 464, 466)을 포함한다. 추가로, 각 인라인 커넥터 (400')는 각 인라인 커넥터 (400') 내 더블-사이드 소켓 접점들의 두 개의 쌍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내부적인 크로스토크에 대해 보상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내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74, 476)을 포함한다. 이 내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74, 476)은, 그것들이 상이한 통신 채널들의 일부인 두 개 쌍들에 반대인 동일 통신 채널의 일부인 두 개 쌍들 사이에서 크로스토크 보상을 제공한다는 것을 제외하면, 도 18 및 도 19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 454, 456)과 또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각 인라인 커넥터 (400) 내에 포함된 더블-사이드 소켓 접점들의 쌍들은 인접한 커넥터들 (400') 내에 있는 더블-사이드 소켓 접점들의 쌍들보다 더 가깝게 함께 이격될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컴퓨터 칩들은 어느 정도의 내부 크로스토크에 대해 보상할 수 있지만, 보통은 외부 (alien) 크로스토크에 대해서는 보상할 수 없으므로, 보통은 내부 근단 크로스토크 규격들이 외부 근단 크로스토크 규격들보다 더 높은 레벨의 크로스토크를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라인 커넥터 (400) 내의 전도성 경로들의 쌍이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400')의 전도성 경로들의 쌍보다 더 가깝게 함께 이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1, 400"-2)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들 및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생략되었다.
도 24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라인 커넥터들 (400")은 위에서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들 (400)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에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 460, 462, 464)은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에 포함된 대응하는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평행판 (plate) 커패시터와는 반대인 소위 말하는 "에지 (edge) 커패시터들"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그렇지 않다면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은 위에서 설명된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인라인 커넥터 (600) 및 제2 인라인 커넥터 (6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들 및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생략되었다. 도 25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라인 커넥터 (600)는 네 개의 소켓 접점들 (610, 620, 630, 640)을 포함한다. 참조번호 610 및 630의 소켓 접점들은 서로에게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참조번호 620 및 640의 소켓 접점들은 서로에게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다. 소켓 접점들 (610, 620, 630, 640) 각각은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의 각 핀 접점 (510, 520)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들의 핀들 (510, 520) 그리고 도체들 (512, 522)만이 도 25에서 보인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 (400)에 대비하면, 참조번호 600의 인라인 커넥터에서 참조번호 61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640의 소켓 접점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참조번호 62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630의 소켓 접점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 (600)의 오른쪽에 위에는, 상기 팁 소켓 접점 (610)이 링 소켓 접점 (630) 위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의 왼쪽 위에는 팁 소켓 접점 (640)이 링 소켓 접점 (620) 아래에 위치한다. 그래서, 상기 커넥터의 중간에서 교차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팁 전도성 경로 및 링 전도성 경로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 (600) 내에서 위치들을 트레이드 (trade)한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 (600')는 네 개의 소켓 접점들 (610', 620', 630', 640')을 또한 포함한다. 참조번호 610' 및 630'의 소켓 접점들은 서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참조번호 620' 및 640'의 소켓 접점들은 서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된다. 소켓 접점들 (610', 620', 630', 640') 각각은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 (500)의 각 핀 접점 (510, 520)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참조번호 61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630'의 소켓 접점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참조번호 62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640'의 소켓 접점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600 및 600')은 도 25에서 보이는 구성에서 나란히 위치할 때에 양호한 크로스토크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참조번호 610의 팁 소켓 접점이 참조번호 620'의 링 소켓 접점과 커플링할 것보다 참조번호 610'의 팁 소켓 접점과 더욱 심하게 커플링할 것이며, 그리고 참조번호 620의 링 소켓 접점이 참조번호 610'의 팁 소켓 접점과 커플링할 것보다 참조번호 620'의 링 소켓 접점과 더욱 심하게 커플링할 것이기 때문에 도 25의 오른쪽 측면 상에, 오펜딩 크로스토크가 발생할 것이다. 그러나, 도 25의 왼쪽 측면 상에, 참조번호 640의 팁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630'의 팁 소켓 접점과 커플링할 것보다 참조번호 640'의 링 소켓 접점과 더욱 심하게 커플링할 것이며, 그리고 참조번호 630의 링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640'의 링 소켓 접점과 커플링할 것보다 참조번호 630'의 팁 소켓 접점과 더욱 심하게 커플링할 것이다. 그래서, "보상 (compensating)" 크로스토크는 도 25에서 도시된 커넥터 쌍의 왼쪽 측면 상에서 발생할 것이며, 도 25에서 도시된 커넥터들 (600, 600')의 쌍의 오른쪽 측면 상에서 생성된 "오펜딩 (offending)" 크로스토크를 실질적으로 소거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17 - 도 19 및 도 21의 인라인 커넥터들 (400) 내에 포함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 454, 456)은 도 25의 인라인 커넥터들 (600 및 600')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복수의 인라인 커넥터들 (600 및 600')이 로우로 정렬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들 (600 및 600')은 그 로우를 따라서 교번하는 위치들이라는 것에 유의한다 (즉, 모든 다른 커넥터는 참조번호 600의 디자인을 가질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700-1, 700-2)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6에서,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들 및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생략되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700)은 위에서 설명된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순수한 용량성 크로스토크 보상을 사용하는 대신에,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700)은 용량성 크로스토크 보상 및 유도성 크로스토크 보상 둘 모두를 생성할 회로들 (710, 712)과 같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700)에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710, 720)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된 커패시터들의 각 전극은 제1 암 (722) 및 제2 암 (724) 둘 모두에 의해서 더블-사이드 소켓 접점 구조들로 연결된다. 그 결과, 각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 (710, 720)는 상기 커넥터 (700)를 통해서 운반된 신호들을 위한 제2 신호 운반 경로를 제공할 것이다. 그래서, 용량성 커플링에 추가로, 각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 (710, 720)는 상기 커넥터 (700)에서 생성된 크로스토크를 소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유도성 커플링을 또한 생성할 것이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길이방향으로-정렬된 소켓들 사이의 연결 섹션들은 생략될 수 있으며, 그래서 전류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710, 720)을 경유하여 길이방향-정렬된 소켓들 사이에서만 흐르도록 한다. 유도성 크로스토크 보상의 양을 생성된 용량성 크로스토크 보상의 양과 균형을 맞춤으로써, 근단 크로스토크 및 원단 크로스토크를 높은 정도까지 동시에 소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모든 크로스토크 규격 및 리턴 손실 규격 또는 목표들을 여전히 충족시키면서도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700)을 더 작은 거리들만큼 분리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는 더 작은 평균 지연으로 주입될 수 있으며, 이는 더욱 효율적인 크로스토크 보상의 결과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라인 커넥터들을 제공할 수 있지만, 위에서 설명된 몇몇의 개념들은 탁월한 크로스토크 및 리턴 손실 성능을 나타내는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27 및 도 28은 그런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특히,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 (730-1, 730-2)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7에서,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들 및 커넥터들 (730)의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생략되었다. 도 27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인라인 커넥터 (720)의 오른쪽 반은 도 17 - 도 21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오른쪽 반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참조번호 400의 인라인 커넥터들에 포함된 소켓 접점들 (430, 440)은 참조번호 730의 인라인 커넥터들에서 인쇄 회로 보드 (도시되지 않음) 내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전도성 핀들 (732, 734)로 교체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740-1, 740-2)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들 및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생략되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740)은, 커넥터들 (730)의 곧은 전도성 핀들 (732, 734)이 라이트-앵글 전도성 핀들 (742, 744)로 교체된 것을 제외한다면, 도 27의 인라인 커넥터들 (730)과 동일하다. 도 27 및 도 28의 커넥터들 (730 및 740) 내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은 상기 커넥터들에서 생성된 오펜딩 크로스토크를 실질적으로 소거하는 보상 크로스토크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정해질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일련의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이 도 17 - 도 19 및 도 21의 커넥터에 포함된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들 (450, 452) 각각의 자리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29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다른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750-1, 750-2)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29에서,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들 및 유전체 스페이서들은 생략되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750)은 위에서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들 (400)과 유사하다. 그러나, 각 크로스토크 보상 커패시터는 일련의 커패시터들로 교체되었다. 더욱이, 이 커패시터들을 소켓 접점들로 연결시키는 암들은 상기 소켓 접점들의 길이들을 따라서 그렇게 하며, 그럼으로써 보상 크로스토크를 일련의 작은, 시간-지연된 벡터들로서 분사한다. 이것은 보상 크로스토크가 인라인 커넥터들 (400)에 비교하여 아주 더 작은 지연을 가지고 분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그래서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의 커넥터들이 핀 접점 및 소켓 접점을 사용하지만, 다른 접점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핀 접점들은 블레이드 (blade)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소켓 접점들은 메이팅 블레이드에 대한 접촉 힘을 각각 발휘하는 아주 다양한 스프링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핀 접점들 및 소켓 접점들 둘 모두는 무탈피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0은 여섯 개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루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800-1, 800-2, 800-3)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특히, 도 30에서, 참조번호 800-1의 인라인 커넥터는 참조번호 900-1, 900-4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루며, 참조번호 800-2의 인라인 커넥터는 참조번호 900-2, 900-5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루며, 그리고 참조번호 800-3의 인라인 커넥터는 참조번호 900-3, 900-6의 케이블 커넥터들과 짝을 이룬다. 도 30의 케이블 커넥터들 (900)은 (참조번호 340 및 380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의 일부인) 도 15의 케이블 커넥터들 (350, 350')에 대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도 5의 인라인 커넥터들 (360)에 대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30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800-1, 800-2, 800-3)은 서로에게 인접하여 로우로 정렬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공기 갭들 (804)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공기 갭들 (804)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800) 및 케이블 커넥터들 (900)의 접점 구조들 사이에 용량성 커플링을 줄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30의 밀하게 패킹된 커넥터 배열은 공간 요구사항들을 최소화하며 그리고 편리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인접한 커넥터들 (800 및 900)의 통신 경로들 사이의 커플링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0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1, 800-2, 800-3)은 각각이 하나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세 개의 분리된 인라인 커넥터들로서 구현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단일의 인라인 커넥터들이 사용되어 세 개의 통신 채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두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이 사용될 수 있어서, 하나는 두 개의 통신 채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다른 하나는 단일의 통신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30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케이블 커넥터 (900)는 하우징 (902) 그리고 제1 핀 접점 (910) 및 제2 핀 접점 (920)을 가질 수 있다. 각 핀 접점 (910, 920)은 통신 케이블의 각각의 절연된 도체들 (912, 922)의 드러난 말단 부분 상으로 크림프되는 중공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핀 접점들 (910, 920)은 각각의 도체들 (912, 922)로 솔더링될 수 있을 것이며, 절연 피어싱 또는 무탈피 접점들에 의해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도체들 (912, 922)은 도 16의 케이블 (342)과 같은 통신 케이블의 도체들의 꼬인 쌍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체들 (912, 922)의 말단들은 제외하고, 케이블 커넥터들 (900)의 컴포넌트들을 더 양호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블들은 도 30에서 도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절연은 상기 핀 접점들 (910, 920)로 삽입된 말단 부분으로부터 제거되었다. 참조번호 910의 각 핀 접점은 팁 핀 접점이며, 그리고 참조번호 920의 각 핀 접점은 링 핀 접점이다. 상기 핀 접점들 (910, 920)은,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 (902)의 전면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상기 하우징 (902)의 내부 벽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0에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 및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포괄적으로 도시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각 케이블 커넥터 (900)는 플러그 커넥터 (900)로서 구현되며, 그리고 각 인라인 커넥터 (800)는 제1 플러그 어퍼처 및 제2 플러그 어퍼처를 구비한 두 개-측면 잭 커넥터로서 구현된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예를 들면, 잭 커넥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의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측면들은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래서 도 30은 이런 다양한 구현들 모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포괄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은, 예를 들면, 와이어 가이드 메커니즘들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긴 핀 접점들 (910, 920)이 도 30에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아주 더 짧은 핀 접점들 (910, 920)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각 핀 접점 (910, 920)의 길이는 인라인 커넥터들 (800)의 각 소켓 접점들 810, 820, 830, 840 (도 31 내지 도 33 참조)의 길이와 대략적으로 같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로우들에서 정렬할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을 케이블들의 다발 중의 케이블 커넥터들 (900)과 짝을 이루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면, 스냅 클립들, 메이팅 돌기부 (mating protrusion)들 및 리세스 (recess)들 또는 다른 커넥터 메커니즘들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특징들이 커넥터들 (800)의 하우징들 (802)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단일의 유닛으로 함께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통의 하우징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하우징들 (802-1, 802-2 및 802-3)은 이 공통의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인라인 커넥터들 (800)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 커플링을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미리 정해진 간격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들 (802) 상의 외부 특징들, 제2 공통 하우징 또는 다른 메커니즘들을 이용하는 것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채택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도 30의 세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800) 및 여섯 개의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들 (9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 하우징들 (802)은 생략되었다. 도 33은 도 31 및 도 32의 핀 및 소켓 연결들의 일부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31 - 도 33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라인 커넥터들 (800) 각각은 네 개의 소켓 접점들 (810, 820, 830, 840)을 포함한다. 각 커넥터 (800) 상에서, 소켓 접점들 (810 및 820)은 연결 섹션 (815)에 의해서 연결되며, 그리고 금속의 단일 조각으로부터 형성되어 입력 소켓 접점 (810) 및 출력 소켓 접점 (820)을 포함하는 접점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소켓 접점들 (830 및 840)은 연결 섹션 (835)에 의해서 연결되며, 그리고 금속의 단일 조각으로부터 형성되어 입력 소켓 접점 (830) 및 출력 소켓 접점 (840)을 포함하는 접점을 제공한다. 상기 소켓 접점들 (810, 820, 830, 840) 각각은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 (900)의 각 핀 접점 (910 또는 920)을 받아드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인라인 커넥터 (800-1)에 관하여, 참조번호 81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900-1의 케이블 커넥터의 핀 접점 (910)을 받아들이며, 참조번호 82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900-4의 케이블 커넥터의 핀 접점 (910)을 받아들이며, 참조번호 83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900-1의 케이블 커넥터의 핀 접점 (920)을 받아들이며, 그리고 참조번호 840의 소켓 접점은 참조번호 900-4의 케이블 커넥터의 핀 접점 (920)을 받아들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켓 접점들 (810 및 820)은 팁 핀 접점들 (910)을 받아들이며, 반면에 소켓 접점들 (830 및 840)은 팁 핀 접점들 (920)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상기 핀 접점 위치 및 링 접점 위치는 역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소켓 접점들 (810 및 820)은 제1 수평-방위 평면 (즉, 도 31 - 도 33에서 x축 및 y축에 의해서 한정된 평면에 평행한 평면) 내에 각각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소켓 접점들 (830 및 840)은 상기 제1 수평-방위 평면 아래에 있으며 그것에 평행한 제2 수평-방위 평면 내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소켓 접점들 (810 및 820)은 각각 인라인 커넥터 (800)를 통한 팁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팁 소켓 접점들이다. 소켓 접점들 (830 및 840)은 각각 인라인 커넥터 (800)를 통한 링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는 링 소켓 접점들이다. 따라서, 각 인라인 커넥터 (800)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 중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의 팁 핀 접점 (910)을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 중 다른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의 팁 핀 접점 (91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그리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 중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의 링 핀 접점 (920)을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 중 다른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의 링 핀 접점 (92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0 - 도 33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매우 작을 수 있으며, 그리고 서로에게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공간 제한들, 무게 제한들 등이 있을 수 있는 곳인, 예를 들면, 자동차 및 다른 응용들에서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의 가까운 이격은 이웃하는 통신 채널들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 크로스토크의 영향들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차동 크로스토크 보상 및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보상 둘 모두를 구비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차동 크로스토크는 제1의 교란 쌍의 도체가 제2의 희생 쌍의 제1 도체 상으로 그 희생 쌍의 다른 도체보다 더 다량으로 커플링할 때에 발생한다. 여기에서, 도 30 - 도 33의 커넥터 시스템에서, 차동 크로스토크를 줄이기 위해서, 핀들 (910, 920), 소켓들 (810, 830) 그리고 인접 쌍들의 소켓들 (820, 840)은 서로에 대해서 엇물린다. 예를 들면, 도 34는 도 32의 왼쪽 측면 상의 각 소켓 (810, 830)의 말단들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도시한 도 32의 라인 34-34를 따라 취해진 개략적인 횡단면 모습이다.
도 31 - 도 34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인라인 커넥터 (800-1, 800-2, 800-3)의 팁 소켓들 (810)은 각 인라인 커넥터 (800)의 링 소켓들 (830)보다 (도 34의 시야에서) 왼쪽으로 더 멀리에 위치한다. 추가로, 팁 소켓들 (810)은 제1의 상단 로우에 위치하며, 반면에 링 소켓들 (830)은 제2의 하단 로우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소켓들의 상단 로우 및 하단 로우 사이의 중심-대-중심 거리 (도 34에서 z-방향 거리), 각 인라인 커넥터 (800)의 소켓들 사이의 엇물림의 양 (즉, 동일한 인라인 커넥터 (800)의 팁 소켓 및 링 소켓 사이의 x-방향의 중심-대-중심 거리),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800) 사이의 거리 (즉, 인라인 커넥터들 (800-1 및 800-2) 사이의 x-방향의 중심-대-중심 거리), 상기 핀들 및 소켓들의 반경들, 그리고 상기 소켓들 사이 매질의 전기적인 특성들 (예를 들면, 유전 상수)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수 있으며, 그래서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800)의 접점 구조들 사이에서 발행할 수 있는 신호 에너지의 최종 커플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도록 한다. 예를 들면, (1) 인라인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10)과 인라인 커넥터 (800-2)의 팁 소켓 (810)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2) 인라인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과 인라인 커넥터 (800-2)의 링 소켓 (830) 사이의 커플링의 합이 (1) 인라인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10)과 인라인 커넥터 (800-2)의 링 소켓 (830)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2) 인라인 커넥터 (800-2)의 팁 소켓 (810)과 인라인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수 있다. 그래서,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800-1, 800-2)의 소켓들 (810, 830) (그리고 커넥터들 (900-1, 900-2)의 메이팅 핀들 (910, 920))은 인라인 커넥터들 (800-1, 800-2) 사이의 차동 크로스토크를 크게 줄어들게 하는 방식으로 엇물릴 수 있다.
인라인 커넥터들 (800-1 및 800-2)의 팁 소켓들 (810) 및 링 소켓들 (830)의 상기 설명된 엇물린 배열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800) (그리고 그 인라인 커넥트들 (800)과 짝을 이루는 케이블 커넥터 (900))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중립인 커넥터 디자인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또는 오펜딩 크로스토크를 소거하는 보상 크로스토크를 동시에 주입하는 커넥터 디자인으로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실질적으로 같은 양의 오펜딩 크로스토크 및 보상 크로스토크가 상기 인라인 커넥터 (800)의 길이를 따라서 동시에 주입되도록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오펜딩 크로스토크가 상기 커넥터의 한 위치에서 주입되며 그리고 보상 크로스토크는 다른 장소에서 주입되는 수많은 종래 기술에서의 커넥터와는 반대이다. 후자의 경우에, 오펜딩 크로스토크가 주입되는 경우의 시간 상 포인트 그리고 보상 크로스토크가 주입되는 경우의 시간 상 포인트 사이의 지연은 크로스토크 소거의 유효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위상 시프트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디자인들은 심지어는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800)이 매우 가깝게 함께 위치하는 때에도 아주 높은 레벨의 소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커넥터들 (800-2 및 800-3)의 팁 소켓들 (810) 및 링 소켓들 (830)은 인라인 커넥터들 (800-1 및 800-2) 사이에서 제공되는 것과 같은 또는 유사한 차동 크로스토크 소거를 제공하기 위해서 유사하게 엇물린다. 비슷하게, 동일한 엇뭄림이 각 인라인 커넥터들 (800-1 내지 800-3) 각각의 팁 소켓들 (820) 및 링 소켓들 (84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 각각은 자신들이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 (800) 상으로 주입하는 차동 크로스토크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중립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장 가까운 소켓 접점들 (830)에 관하여 각 소켓 접점 (810)을 엇물리게 함으로써, 그리고 가장 가까운 소켓 접점들 (840)에 관하여 각 소켓 접점 (820)을 엇물리게 함으로써,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800) 사이에서 생성된 차동 크로스토크의 양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축소된 모드 변환을 나타내도록 또한 설계된다. 이것은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을 통한 각 통신 경로를 따라 "교차 (crossover)"를 포함시킴으로써 도 30 - 도 34의 커넥터 시스템에서 달성된다. 특히,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 각각에 대해,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 상기 팁 전도성 경로 (팁 소켓 (810), 교차 세그먼트 (815) 및 팁 소켓 (820)으로 이루어짐)는 링 전도성 경로 (링 소켓 (830), 교차 세그먼트 (835) 및 링 소켓 (840)으로 이루어짐)와 교차한다. 이 교차는 참조번호 815의 교차 세그먼트가 참조번호 835의 교차 세그먼트와 교차하는 곳인 각 인라인 커넥터 (800)의 중간에서 일어난다. 이 교차의 결과, 각 인라인 커넥터 (800)의 상기 팁 전도성 경로 및 상기 링 전도성 경로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의 신호 에너지를 (상기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의 전도성 경로들을 단일의 도체로 보는) 각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 (800)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주입할 것이다.
이제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의 디자인이 어떻게 매우 낮은 레벨의 모드 변환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를 도시하기 위한 예가 제공될 것이다. 인라인 커넥터들 (800-1 및 800-2)의 근접한 이격으로 인해서, 정보 신호가 인라인 커넥터 (800-1)를 통해서 전송될 때에, 신호가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을 통해 지나가면서 신호 에너지는 인라인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로 커플링될 것이다. 링 소켓 (830)으로부터의 이 신호 에너지의 일부는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1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로 커플링되는 신호 에너지에 의해서 소거될 것이지만,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은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10)이 그런 것보다 커넥터 (800-2)의 상기 전도성 경로들에 더 가깝기 때문에 상기 소거는 결코 완전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정보 신호가 커넥터 (800-1)를 통해서 전송될 때에, 공통 모드 신호는 커넥터 (800-2)의 왼쪽 측면을 따라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으로부터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주입될 것이다.
그러나, 인라인 커넥터 (800-1)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 신호가 (도 32를 고려하여) 커넥터 (800-1)의 오른쪽 측면으로 지나갈 때에, 신호 에너지는 인라인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2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로 커플링될 것이다. 팁 소켓 (820)으로부터의 이 신호 에너지의 일부는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4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로 커플링되는 신호 에너지에 의해서 소거될 것이지만,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20)은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40)이 가까운 것보다 커넥터 (800-2)의 상기 전도성 경로들에 더 가깝기 때문에 상기 소거는 결코 완전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정보 신호가 커넥터 (800-1)를 통해서 전송될 때에, 공통 모드 신호는 (도 32를 고려할 때에) 커넥터 (800-2)의 오른쪽 측면을 따라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20)으로부터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주입될 것이다.
인라인 커넥터들 (800-1 및 800-2)의 대칭적인 디자인에 비추어보면, 인라인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커플링된 신호 에너지는 인라인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2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커플링된 신호 에너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인라인 커넥터 (800-1)의 링 소켓 (83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의 커플링은 "오펜딩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로 보일 수 있으며, 반면에 커넥터 (800-1)의 팁 소켓 (820)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의 커플링은 "보상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로서 (또는 반대로)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전송 라인의 팁 전도성 경로 및 링 전도성 경로에 의해서 운반된 신호들은 180도만큼 오프셋되기 때문에) 이 두 공통 모드 커플링들이 반대의 극성들을 가지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기 "보상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가 상기 "오펜딩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와 동일한 크기 (그리고 반대의 극성)를 가지기 때문에, 그것은 상기 오펜딩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를 실질적으로 소거할 것이며, 그래서 아주 적은 모드 변환이, 예를 들면, 인라인 커넥터 (800-2)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다른 인라인 커넥터 설계들은 매우 낮은 레벨의 모드 변환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크로스토크를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차동 크로스토크에 관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들은 엇갈림 디자인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 및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가 인라인 커넥터들 (800)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들에서 분사되도록 하며, 이는 매우 높은 레벨의 크로스토크 보상의 결과가 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기 오펜딩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및 보상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을 따라 상이한 위치들에서 분사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것처럼, 이것이 발생할 때에,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 주입 포인트로부터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 주입 포인트까지의 이동으로부터 신호를 취하는 시간에 연관된 지연은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 신호에서의 위상 시프트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 위상 시프트 때문에,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 신호 및 보상 크로스토크 신호는 일반적으로 위상에 있어서 완전하게 180도 오프셋되지는 않을 것이며, 이는 상기 보상 크로스토크 신호가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 신호를 완전하게 소거하기 위한 가능성을 줄어들게 한다. 인라인 커넥터 (800-1)을 통해 전송된 정보 신호의 주파수가 더 높을수록, 위상 시프트는 더 커진다. 그러나, 전송된 정보 신호의 주파수에 추가하여, 상기 위상 시프트는 또한 오펜딩 크로스토크 및 보상 크로스토크가 주입된 위치들 사이의 거리의 함수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 디자인들은 매우 작은 폼 팩터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오펜딩 크로스토크 및 보상 크로스토크가 주입되는 위치들의 가중된 중앙 포인트들은 서로 매우 가까울 수 있도록 하며, 그래서 높은 주파수들에서까지 (예를 들면, 500 MHz까지 또는 그 이상) 매우 높은 레벨의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소거를 달성하는 것이 여전히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은 미국 특허 No. 7,223,115 ("이하 '115 특허")에서 개시된 무탈피 커넥터들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s ("IDC들"))과 같은 다양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들과 비교하여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115 특허의 IDC들이 인접한 IDC들에 관하여 낮은 레벨의 커플링을 나타낼 수 있지만, '115 특허의 상기 IDC들로 종단된 (terminated) 절연된 도체들은 각각 약 90도로 구부러지는 것을 겪어야만 하며 그리고 상기 도체들의 말단으로부터 정확하게 동일한 거리에서 상기 IDC들로 또한 모두 종단되지는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115 특허의 IDC 연결 블록들로 종단된 절연된 도체들의 말단 부분들 사이에 동일하지 않은 커플링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이 동일하지 않은 커플링은 차동 크로스토크 및/또는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들의 소켓들이 더 큰 대면 표면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더 많은 양의 커플링을 가질 수 있지만, 그것들은,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사이의 크로스토크는 물론이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의 소켓 접점들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신중하게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서, 예를 들면, '115 특허의 IDC 연결 블록들과 비교하면 향상된 크로스토크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매우 작은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1 - 도 32를 참조하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각 소켓 (810, 820, 830, 840)은 0.1 인치 미만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각 핀 (910, 920)은 0.2 인치 미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각 소켓 (810, 820, 830, 840)은 약 0.075 인치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각 핀 (910, 920)은 약 0.018 인치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런 실시예에서, 인라인 커넥터 (800)의 소켓 접점들 사이의 (예를 들면, 팁 접점 (810/820) 및 링 접점 (830/840) 사이의) 중심-대-중심 수직 이격 (z-방향)은 0.025 인치보다 작을 수 있다. 한 가지 특정의 실시예에서, 이 중심-대-중심 수직 이격은 약 0.0195 인치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동일 쌍의 팁 소켓 및 링 소켓 사이의 (예를 들면, 팁 소켓 (810) 및 팁 소켓 (820) 사이에 또는 등가적으로 팁 소켓 (810) 및 링 소켓 (830) 사이의) 중심-대-중심 수평 이격 (x-방향)은 0.05인치보다 많이 더 작을 수 있다. 한 가지 특정 실시예에서, 한 쌍 내의 소켓들의 이 중심-대-중심 수평 이격은 약 0.042 인치일 수 있다. 두 인접한 쌍들 사이의 (예를 들면, 인라인 커넥터 (800-1)의 중심과 인라인 커넥터 (800-2)의 중심 사이의) 상기 중심-대-중심 수평 이격 (x-방향)은 0.3 인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한 특정 실시예에서, 인접한 쌍들 사이의 이 중심-대-중심 수평 이격은 약 0.18 인치일 수 있다. 이런 치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상기 언급된 카테고리 6a 표준의 NEXT, FEXT, 외부 NEXT, 외부 FEXT 그리고 리턴 손실 커넥터 요구사항들을 쉽게 충족시킬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팁 전도성 경로의 소켓들 (810, 820) 그리고 연결 섹션 (815) (또는, 대안으로 상기 링 전도성 경로의 소켓들 (830, 840) 그리고 연결 섹션 (835))은 틀로 찍어낼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시트 금속으로부터 매우 저렴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도 35에서 보이는 것처럼, 금속의 여백은 도 35의 박스 내에 그려진 라인들을 따라서 틀로 찍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금속의 틀로 찍어진 조각인 그 후에 롤링되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에서 사용될 수 있을 소켓 접점들의 쌍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참조번호 810, 820의 소켓들). 더욱이, 도면들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소켓들 (810, 820, 830, 840)은 핀이 그 소켓 내에 받아들여질 때에 부응할 수 있을 내부 톱니꼴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래서 심지어는 혹독한 동작 환경들에서도 양호한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을 유지한다. 상기 소켓들 (810, 820, 830, 840)이 시트 금속으로부터 틀로 찍어내어지며 롤링될 때에, 각 소켓 (810, 820, 830, 840)은 길이 방향 슬릿 (slit) (825)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 및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900)이 각각 둥근 횡단면들을 가진 소켓들 및 핀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다른 소켓 및 핀 디자인들 (예를 들면, 정사각형 횡단면들, 직사각형 횡단면들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36은 각각 전도성 경로들의 두 쌍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들 (800)에 인접하여 위치한 인라인 커넥터 (8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명백하게,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800')은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들 (800)과 거의 동일할 수 있으며, 하나의 차이점은 참조번호 800의 인라인 커넥터들 각각은 단일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며, 반면에 도 36의 인라인 커넥터 (800')는 공통의 하우징 내에 두 개의 통신 채널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다중의 통신 채널들이 단일의 인라인 커넥터 (예를 들면, 참조번호 800'의 커넥터) 내에 포함될 때에, 상이한 통신 채널들의 소켓 접점들 사이의 거리는 (상이한 인라인 커넥터들의 통신 채널들 사이의 거리에 비교하여) 더 줄어들 수 있다. 이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컴퓨터 칩들은 어느 정도의 내부 크로스토크에 대해 보상할 수 있지만, 보통은 외부 크로스토크에 대해서는 보상할 수 없으므로, 보통은 내부 근단 크로스토크 규격들이 외부 근단 크로스토크 규격들보다 더 높은 레벨의 크로스토크를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인라인 커넥터 내의 쌍의 전도성 경로들이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의 쌍의 전도성 경로들보다 더 가깝게 함께 이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라인 커넥터들을 제공할 수 있지만, 위에서 설명된 동일한 개념들은 탁월한 크로스토크 및 리턴 손실 성능을 나타내는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을 제공하기 위해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37은 그런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특히,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 개의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 (1000-1, 1000-2, 1000-3)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37에서, 핀 및 소켓 연결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커넥터들 (1000)의 하우징들이 생략되었다. 도 37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커넥터 (1000)의 오른쪽 반은 도 32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참조번호 800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오른쪽 반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2의 참조번호 800의 인라인 커넥터들의 왼쪽 측면을 형성하는 소켓 접점들 (810, 830)은 인쇄 회로 보드 (도시되지 않음) 내에 설치되기에 적합한 라이트-앵글 전도성 핀들 (1002, 1004)로 교체된다.
상기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들 및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이 소켓 접점들 및 핀 접점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들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접점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핀 접점들은 블레이드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소켓 접점들은 메이팅 블레이드에 대한 접촉 힘을 각각 발휘하는 아주 다양한 스프링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으로, 상기 핀 접점들은 스프링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상기 소켓 접점들은 어떤 적합한 접촉 패드 또는 표면으로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핀 접점들 및 소켓 접점들 둘 모두는 무탈피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핀 접점들 또는 소켓 접점들을 포함하는 커넥터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및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은 핀 접점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은 소켓 접점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마찬가지로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38a - 도 38c는 qs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 (1010) 및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 (1100-1, 1100-2)의 접점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100)은 소켓 접점들을 이용하여 구현되며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 (1010)는 핀 접점들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 (1010) 및 상기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 (1100-1, 1100-2)을 위한 하우징들은 이런 커넥터들의 접점 구조들을 더 명백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도 38a - 도 38c에서는 도시되지 않는다.
특히, 도 38a - 도 38c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인라인 커넥터 (1010)는 팁 접점 (1020) 및 링 접점 (1030)을 포함한다. 상기 팁 접점 (1020)은 제1 핀 (1022), 제2 핀 (1024) 및 상기 제1 핀 (1022)을 상기 제2 핀 (1024)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세그먼트 (1026)를 포함한다. 상기 링 접점 (1030)은 제1 핀 (1032), 제2 핀 (1034) 및 상기 제1 핀 (1032)을 상기 제2 핀 (1034)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세그먼트 (103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100-1, 1100-2) 각각은 소켓들 (1110, 1120)의 쌍을 포함한다. 제1 통신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이 케이블 커넥터 (1100-1)에 부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통신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이 케이블 커넥터 (1100-2)에 부착될 수 있다. 이 통신 케이블들은 각각 절연된 도체들의 꼬인 쌍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절연된 도체의 노출된 말단은 각 소켓 접점 (1110, 1120)의 제1 말단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절연된 도체들은 크림핑 (crimping), 솔더링, 프레스 피팅 (press fitting) 또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알려진 다른 기술들에 의해서 자신들 각자의 소켓 접점들 (1110, 1120)에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소켓 접점 (1110, 1120)의 제2 말단은 라인 커넥터 (1010)의 핀들 (1022, 1024, 1032, 1034) 중 각각의 하나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래서, 도 38a - 도 38c는 상기 핀들 및 소켓들의 위치들이 어떻게 역전될 수 있는가를 그래픽으로 도시하며, 그래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100)이 소켓 접점들을 포함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010) (또는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이 핀 접점들을 포함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설명된 커넥터들 중 어느 것도 이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39 - 도 42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 (12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39는 예를 들면 도 15의 커넥터부착 케이블 (340-2) 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케이블 커넥터 (12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40은 케이블 커넥터 (1200)를 위에서 본 개략적인 모습이며, 도 41a - 도 41b는 도 40의 라인들 41A-41A 및 41B-41B를 따라서 각각 취해진 케이블 커넥터 (1200)의 개략적인 횡단면 모습들이며, 그리고 도 42a - 도 42b는 각각 케이블 커넥터 (1200)의 접점들 (1220) 중 하나의 측면 모습 및 바닥 모습이다.
도 39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케이블 커넥터 (1200)는 통신 케이블 (1242)에 커넥터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1242)은, 예를 들면, 도체들의 꼬인 쌍 (1246)으로 배열된 두 개의 절연된 도체들 (1244-1, 1244-2)을 포함하는 차폐되지 않은 꼬인 쌍 이더넷 스타일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꼬인 쌍 (1246)은 케이블 자켓 (1248) 내에 둘러싸여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 (1200)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그것은 대안으로, 예를 들면, 잭 커넥터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각 케이블 커넥터 (1200)는 하우징 (1202) 및 접점들의 쌍을 형성하는 두 개의 접점들 (1220-1, 1220-2)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접점 (1220-1, 1220-2)은 상기 절연된 도체들 (1244-1, 1244-2) 중 각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9의 실시예에서, 각 접점 (1220)은 캔틸레버 (cantilevered) 스프링 접점을 포함한다.
도 40 - 도 41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하우징 (1202)은 제1 말단 (1204) 및 제2 말단 (1206)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1202)은 길이방향 축, 횡단 축 및 수직 축을 한정할 수 있다. 이 세 개의 축들은 도 39의 투시 모습에서 보이며, 이 도면에서 x-축은 길이방향 축이며, y-축은 횡단 축이며, 그리고 z-축은 수직 축이다. 하우징 (1202)의 제1 말단 (1204)은 도 39의 통신 케이블 (1242)의 도체들 (1244-1, 1244-2)과 같은 통신 케이블의 도체들을 받아들이는 어퍼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말단은 하우징 (1202)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메이팅 커넥터의 인쇄 회로 보드 ("PCB")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어퍼처 (1208)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어퍼처 (1208)는 "PCB 어퍼처"로서 언급된다. 도 40 - 도 41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 (1202)은 메이팅 잭 커넥터의 플러그 어퍼처 내에서 받아들여지는 플러그 하우징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케이블 커넥터 (1200)의 상기 하우징은 잭 하우징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41a 및 도 41b는 접점들 (1220-1 및 1220-2)을 따라서 각각 취해진 횡단면 모습들이다. 도 41a - 도 41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접점들 (1220-1, 1220-2)은 상기 하우징 (1202)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접점 (1220-1)은 (상기 PCB 어퍼처 (1208)를 바라보는 관찰 지점으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의 왼쪽 측면 상의 하우징 (1202)의 상단 부분에 설치되며, 반면에 상기 제2 접점 (1220-2)은 (상기 PCB 어퍼처 (1208)를 바라보는 관찰 지점으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의 왼쪽 측면 상의 하우징 (1202)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접점 (1220-1)은 상기 제2 접점 (1220-2)으로부터 횡단하여 그리고 수직으로 오프셋된다 (즉, 상기 접점들 (1220-1 및 1220-2)은 도 39의 y-축 그리고 도 39의 z-축 둘 모두를 따라 서로에게 오프셋된다). 케이블 (1242)의 상기 제1 절연 도체 (1244-1)는 접점 (122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노출된 말단 부분을 가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체 (1244-1)의 상기 노출된 말단 부분은 접점 (1220-1)의 후면 구멍 내에 받아들여지며 그리고 이 후면 구멍은 그 후에 상기 도체 (1244-1)로 크림프되어 상기 접점 (1220-1)과 상기 도체 (1244-1) 사이에 양호한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도체 (1244-2)의 노출된 말단 부분은 접점 (1220-2)의 후면 구멍 내에 받아들여지며 그리고 이 후면 구멍은 그 후에 상기 도체 (1244-2)로 크림프되어 상기 접점 (1220-2)과 상기 도체 (1244-2) 사이에 양호한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점들 (1220)은 개별 도체들 (1244)로 솔더링될 수 있으며, 절연 피어싱 또는 무탈피 접점들에 의해 또는 다른 적합한 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접점 (1220-1)은 팁 접점일 수 있으며, 접점 (1220-2)은 링 접점일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도 41a에서 더 보이는 것처럼, 접점 (1220-1)은 하우징 (1202)의 후면 부분 애 구명 (1210-1) 내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중단지점 (1212-1)이 제공되어, 접점 (1220-1)을 원하는 위치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접점 (1220-1)의 캔틸레버 스프링 부분 (1224) (즉, 도 42a - 42b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는 원위부 (distal portion))은 상기 PCB 어퍼처 (1208)로 연장된다. 개방 공간 (1214-1)이 접점 (1220-1)의 상기 원위부 (1224) 위에 제공되어, 메이팅 커넥터의 인쇄 회로 보드가 상기 PCB 어퍼처 (1208) 내에 받아들여질 때에 상기 원위부 (1224)가 위로 편향되도록 허용하며, 이는 도 46a 및 도 46b에 관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41b에서 보이는 것처럼, 접점 (1220-2)은 구멍 (1210-2) 내에 유사하게 받아들여지며, 그리고 중단지점 (1212-2) 및 개방 공간 (1214-2)이 제공되어,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인쇄 회로 보드가 상기 PCB 어퍼처 (1208)로 삽입되는 것에 응답하여 접점 (1220-2)이 위 대신에 아래로 편향되는 것을 제외하면, 참조번호 1220-2의 접점이 참조번호 1220-1의 접점과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허용한다.
도 42a 및 도 42b는 접점 (1220-1)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접점 1220-2는 접점 1220-1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2a - 도 42b에서 보이는 것처럼, 접점 1220-1은 베이스 (1222) 및 원위부 (122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1222)는 중공 실린더의 형상일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원위부 (1224)는 캔틸레버 암 (cantilevered arm)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원위부 (1224)는 연결 부분 (1226)을 포함하며, 그 연결 부분 (1226)은 베이스 (1222), 자유단 (1230) 그리고 상기 연결 부분 (1226) 및 상기 자유단 (1230) 사이에 위치한 접점 구역 (1228)에 연결된다.
상기 접점 (1220-1)은, 예를 들면, 베릴륨-동 (beryllium-copper) 또는 인-청동 (phosphor-bronze)과 같은 탄력성 있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위부 (1224)는 스프링으로서 행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도 46a 및 도 46b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접점 부분 (1228)은 메이팅 커넥터의 접점 구조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유단 (1230)은 상기 접점 부분 (1228)에 대해서 (접점 1220-1의 경우에는) 위로 또는 (접점 1220-2의 경우에는) 아래로 구부러질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접점 부분 (1228)이 메이팅 커넥터의 접점에 대해 양호한 접촉 힘을 발휘하는 것을 확실하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도 46a - 46b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점들 (1220)은 틀로 찍어내고 롤링하는 동작들을 사용하여 시트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낮은-비용의 접점들 (122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2a - 도 42b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접점은 약 0.30 인치 길이에 0.05 인치 폭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분 (1222)은 약간 더 폭이 클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분 (1222)은 약 0.1 인치 길이일 수 있으며, 상기 원위부 (1224)는 약 0.2 인치 길이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접점은 0.015 인치 시트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42b에 보이는 것처럼, 그런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1222)는 상기 롤링 동작으로부터 유래된 길이방향 슬릿 (12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1300-2, 1300-3, 1300-4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40 - 도 42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케이블 커넥터 (1200)와 같은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중 각 인라인 커넥터의 각 측면으로 짝을 이룰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1300-2, 1300-3, 1300-4)이 제1 내지 제4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도시되지 않음)을 각각 제5 내지 제8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도 44는 도 43의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여덟 개의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들의 접점들이 포함되어 인라인 커넥터와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의 각 짝을 이룬 세트를 통한 통신 경로들을 도시한다. 도 45는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 (1200)과 짝을 이룬 도 43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중 하나의 개략적인 부분적으로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43 - 도 45에서,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그리고 도 44 - 도 45 내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의) 하우징들은, 각 커넥터를 통한 통신 경로들을 더욱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생략된다. 도 43 및 도 44의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도 15의 인라인 커넥터들 (36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3 및 도 44에서 보이는 것처럼,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1300-2, 1300-3, 1300-4)은 서로에게 인접하게 한 로우에서 정렬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을 케이블들의 묶음의 케이블 커넥터들 (1200)과 짝을 이루게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스냅 클립들, 메이팅 돌기부 (mating protrusion)들 및 리세스 (recess)들 또는 다른 커넥터 메커니즘들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특징들이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하우징들 (도시되지 않음)의 외부 표면 상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들이 단일의 유닛으로 함께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공통의 하우징 (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의 인라인 커넥터 (1300)의 개별 하우징들은 이 공통의 하우징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 커플링을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미리 정해진 간격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을 유지하기 위해서, 개별 하우징들 상의 외부 특징들, 제2 공통 하우징 또는 다른 메커니즘들을 이용하는 것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채택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공기 갭들 (1302)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공기 갭들 (1302)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접점 구조들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에 짝을 이룬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의 접점들 (1220) 사이에서 용량성 커플링을 줄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43 - 도 44의 밀하게 패킹된 커넥터 배열은 공간 요구사항들을 최소화하며 그리고 편리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인접한 케이블 커넥터들 (1200) 및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을 통한 통신 채널들 사이에서의 커플링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3 - 도 44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각각이 하나의 통신 채널을 포함하는 네 개의 분리된 인라인 커넥터들로서 구현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인라인 커넥터들은 하나보다 많은 통신 채널들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은 플러그 커넥터들, 잭 커넥터들 또는 몇몇의 다른 유형의 커넥터의 어느 하나로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는 플러그 커넥터들, 잭 커넥터들 또는 몇몇의 다른 유형의 커넥터의 어느 하나로서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이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구현된다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잭 커넥터들로서 (그리고, 특히, 더블-사이드 잭으로서) 구현될 것이다. 대신에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이 잭 커넥터들로서 구현된다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그리고, 특히, 더블-사이드 플러그로서) 구현될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의 한 측면은 플러그 커넥터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측면은 잭 커넥터로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3 - 도 45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라인 커넥터들 (1300) 각각은 인쇄 회로 보드 (1310)를 포함하며, 인쇄 회로 보드 (1310)는 자신을 관통하는 (도 43에서 인라인 커넥터 (1300-4) 상의 점선 라인을 통해서 보이는) 팁 전도성 경로 (1320) 그리고 (도 43에서 인라인 커넥터 (1300-3) 상의 점선 라인을 통해서 보이는) 링 전도성 경로 (1330)를 구비한다. 상기 팁 전도성 경로 (1320)는 제1 팁 접점 패드 (1322), 제2 팁 접점 패드 (1326) 및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322)를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326)에 연결시키는 팁 트레이스 (1324)를 포함한다. 상기 링 전도성 경로 (1330)는 제1 링 접점 패드 (1332), 제2 링 접점 패드 (1336) 및 상기 제1 링 접점 패드 (1332)를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336)에 연결시키는 링 트레이스 (1334)를 포함한다. 도 43 - 도 45에 보이는 것처럼,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팁 전도성 경로 (1320)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제일 위 측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전면 말단 (1312)으로부터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후면 말단 (1314)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링 전도성 경로 (1330)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바닥 측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전면 말단 (1312)으로부터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후면 말단 (1314)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322) 및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336)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1 링 접점 패드 (1332) 및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326)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접점 패드들 (1322, 1326, 1332, 1336) 각각은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의 각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 43에서, 이 접점들 중 말단 부분들만이 도시되며, 반면에 도 44 - 도 45에 전체 접점 구조가 도시된다. 예를 들면, 도 44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 및 링 접점 패드 (1332)는 제1 커넥터부착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의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각자의 팁 접점 (1220-1) 및 링 접점 (1220-2)과 짝을 이루며, 반면에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6) 및 링 접점 패드 (1336)는 제2 커넥터부착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의 케이블 커넥터 (1200-2)의 각자의 팁 접점 (1220-1) 및 링 접점 (1220-2)과 짝을 이룬다. 그래서, 각 인라인 커넥터 (1300)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 중 하나의 팁 접점 (1220-1)을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 중 다른 하나의 팁 접점 (1220-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그리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 중 하나의 링 접점 (1220-2)을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 중 다른 하나의 링 접점 (1220-2)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팁 접점 패드들 (1322, 1326)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제일 위 표면에 의해서 한정된 제1 수평-방위 평면 내에 각각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링 접점 패드들 (1332, 1336)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바닥 표면에 의해서 한정되며 상기 제1 수평-방위 평면과 평행한 제2 수평-방위 평면 내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팁 트레이스 (1324) 및 상기 링 트레이스 (1334)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 위에서 (또는 밑에서)부터 보여질 때에, 상기 팁 전도성 경로 (1320)로 하여금 상기 링 전도성 경로와 교차하도록 하는 각자의 교차 세그먼트 (1325, 1335)를 각각 포함한다. 이 교차는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사이에서의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과 짝을 이루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줄일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43 - 도 4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매우 작을 수 있으며, 그리고 서로에게 매우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길이에 있어서 0.5 인치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인라인 커넥터 (1300)는 길이에 있어서 약 0.3 인치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가까운 이격은 이웃하는 통신 채널들 사이에서 크로스토크를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 크로스토크의 영향들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차동 크로스토크 보상 및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보상 둘 모두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이 도 44에 보이는 것과 같이 케이블 커넥터들 (1200)과 짝을 이룰 때에,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 및 링 접점 패드 (1332)는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접점 패드들 (1322, 1332)과 짝을 이루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 (1200)의 팁 접점 (1220-1) 및 링 접점 (1220-2)은)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팁 접점 패드 (1322) 및 링 접점 패드 (1332)에 관하여 (그리고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접점 패드들 (1322, 1332)과 짝을 이루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 (1200)의 팁 접점 (1220-1) 및 링 접점 (1220-2)에 관하여) 엇물린다. 이 엇물린 배열은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및 1300-2)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킨다.
특히, 도 44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인라인 커넥터 (1300-1, 1300-2, 1300-3, 1300-4)의 팁 접점 패드들 (1322)은 각 인라인 커넥터 (1300)의 링 접점 패드들 (1332)이 있는 것보다 (도 43 - 도 44에 비추어) 오른쪽으로 더 멀리 위치한다. 추가로, 상기 팁 접점 패드들 (1322)은 제1의 상단 로우 내에 위치하며, 반면에 상기 링 접점 패드들 (1332)은 제2의 하단 로우 내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두께 (이는 상기 팁 접촉 패드들 (1322) 및 상기 링 접점 패드들 (1332) 사이의 수직 또는 z-방향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접점 패드들 (1322, 1332) 사이의 가로축 엇물림 (traverse stagger)의 양 (즉, 상기 팁 접촉 패드들 (1322) 및 상기 링 접점 패드들 (1332) 사이의 x-방향 거리),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사이의 거리 (즉,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및 1300-2) 사이의 x-방향 중심-대-중심 거리), 상기 접점 패드들 (1322, 1332)의 크기 및 형상,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전기적인 특징들 (예를 들면, 유전 상수)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수 있으며, 그래서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접점 구조들 사이에서 발행할 수 있는 신호 에너지의 순수한 커플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의 접점들 (1220-1, 1220-2)은 유사한 엇물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서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200)의 접점들 (1220-1, 1220-2) 사이에서 발행할 수 있는 신호 에너지의 순수한 커플링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44의 오른쪽 측면을 참조하여, (1)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팁 접점 (1220-1),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트레이스 (1324) (접점 패드 (132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25)까지의 부분)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3)의 팁 접점 (1220-1),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팁 접점 패드 (132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팁 트레이스 (1324) (접점 패드 (132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25)까지의 부분) 상으로의 커플링 그리고 (2)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링 접점 (1220-2),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트레이스 (1334) (접점 패드 (133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35)까지의 부분)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3)의 링 접점 (1220-2),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링 접점 패드 (133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링 트레이스 (1334) (접점 패드 (133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35)까지의 부분) 상으로의 커플링의 합이 (1)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팁 접점 (1220-1),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트레이스 (1324) (접점 패드 (132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25)까지의 부분)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3)의 링 접점 (1220-2),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링 접점 패드 (133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팁 트레이스 (1334) (접점 패드 (133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35)까지의 부분) 상으로의 커플링 그리고 (2) 케이블 커넥터 (1200-3)의 팁 접점 (1220-1),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팁 접점 패드 (132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팁 트레이스 (1324) (접점 패드 (132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25)까지의 부분)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링 접점 (1220-2),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6)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트레이스 (1334) (접점 패드 (1332)로부터 교차 세그먼트 (1335)까지의 부분) 상으로의 커플링의 합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파라미터들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런 엇물림은 케이블 커넥터 (1200-1)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3)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로의 차동 크로스토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44에서 보이는 것처럼, 동일한 엇물린 배열이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및 1300-2)의 왼쪽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 커넥터 (1200-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4)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 상으로의 차동 크로스토크를 동일한 방식으로 크게 줄어들게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양의 오펜딩 크로스토크와 보상 크로스토크가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의 길이를 따라서 동시에 분사되도록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가 설계될 수 있다.
동일한 엇물린 배열이 모든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1300-2, 1300-3, 1300-4) 사이에서 제공되어,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및 1300-2) 및 그것들과 짝을 이루는 케이블 커넥터들 (1200) 사이에 제공된 것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차동 크로스토크 소거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팁 접점 패드들 (1322) 및 링 접점 패드들 (1332) (그리고 1326, 1336)을 엇물린 패턴으로 배열함으로써,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사이에서 생성된 차동 크로스토크의 양을 실질적으로 줄어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감소된 모드 변환을 나타내도록 또한 설계된다. 이것은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을 통한 각 팁 및 링 통신 채널을 따라 "교차"를 포함시킴으로써 달성된다. 특히,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 각각에 대해,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 상기 팁 전도성 경로 (1320)는 상기 링 전도성 경로 (1330)와 교차한다. 이 교차는 참조번호 1325 교차 세그먼트가 참조번호 1335의 교차 세그먼트와 교차하는 곳인 각 인라인 커넥터 (1300)의 중간에서 일어난다. 이 교차의 결과, 각 인라인 커넥터 (1300)의 상기 팁 전도성 경로 (1320) 및 상기 링 전도성 경로 (1330)는 대략적으로 동일한 양의 신호 에너지를 (상기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의 전도성 경로들을 단일의 도체로 보는) 각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 (1300)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주입할 것이다.
이제 도 44의 오른쪽 측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 및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설계가 어떻게 매우 낮은 레벨의 모드 변환의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도시하기 위해 일 예가 제공될 것이다.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및 1300-2)의 가까운 이격으로 인해서, 정보 신호가 케이블 커넥터 (1200-1)를 통새 전송될 때에, 신호 에너지는, 예를 들면,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팁 접점 (1220-1)으로부터 그리고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3)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전도성 패드들 (1322, 1332) 둘 모두로 커플링될 것이다.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팁 접점 (1220-1)으로부터 그리고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로부터의 이 신호 에너지의 일부는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링 접점 (1220-2)으로부터 그리고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2)로부터 케이블 커넥터 (1200-3)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로 커플링되는 신호 에너지에 의해서 소거될 것이지만,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팁 접점 (1220-1)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는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링 접점 (1220-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2)이 가까운 것보다 케이블 커넥터 (1200-3)와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전도성 경로들까지에 더 가깝기 때문에 상기 소거는 결코 완전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정보 신호가 인라인 커넥터 (1300-1)를 통해서 전송될 때에, 약간 감소된 양의 공통 모드 신호가 케이블 커넥터 (1200-1)의 팁 접점 (1220-1)으로부터 그리고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2)로부터 (도 44에 비추어)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오른쪽 측면을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 (1200-3)의 전도성 경로들 상으로 주입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전송된 정보 신호가 (도 44에 비추어)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왼쪽 측면으로 지나갈 때에, 신호 에너지는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6)로부터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200-2)의 링 접점 (1220-2)으로부터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로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200-4)의 전도성 경로들 둘 모두로 커플링될 것이다.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6)로부터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200-2)의 링 접점 (1220-2)으로부터의 이 신호 에너지의 일부는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6)로부터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200-2)의 팁 접점 (1220-1)으로부터 커플링되는 신호 에너지에 의해서 소거될 것이지만,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6) 및 케이블 커넥터 (1200-2)의 링 접점 (1220-2)은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팁 접점 패드 (1326) 및 케이블 커넥터 (1200-2)의 팁 접점 (1220-1)이 가까운 것보다 인라인 커넥터 (1300-2) 및 케이블 커넥터 (1200-4)의 전도성 경로들에 더 가깝기 때문에 상기 소거는 결코 완전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정보 신호가 인라인 커넥터 (1300-1)를 통해서 전송될 때에, 약간 감소된 양의 공통 모드 신호가 인라인 커넥터 (1300-1)의 링 접점 패드 (1336)로부터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200-2)의 링 접점 (1220-2)으로부터 (도 44에 비추어) 인라인 커넥터 (1300-2)의 왼쪽 측면을 따라 상기 전도성 경로들로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200-4)의 전도성 경로들로 주입될 것이다.
인라인 커넥터들 (1300-1 및 1300-2)의 대칭적인 설계를 고려하면, 케이블 커넥터 (1200-1 및 1200-2) 및 인라인 커넥터 (1300-1)로부터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3 및 1200-4) 및 인라인 커넥터 (1300-2) 상으로 커플링된 상기 참조된 두 개의 공통 모드 신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전송 라인의 팁 전도성 경로 및 링 전도성 경로에 의해서 운반된 신호들은 180도만큼 위상에 있어서 오프셋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개의 공통 모드 커플링들은 반대의 극성들을 가지며, 그래서 실질적으로 서로를 소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케이블 커넥터 및 인라인 커넥터 설계들은 매우 낮은 레벨의 모드 변환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는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크로스토크를 줄일 수 있다.
도 46a - 도 46b는 케이블 커넥터 (1200)가 어떻게 도 43의 인라인 커넥터들 중 하나의 인쇄 회로 보드와 짝을 이루는가를 설명하는 도 40의 라인 41A-41A를 따라서 취해진 횡단면 모습들이다. 특허, 도 46a에서 보이는 것처럼, 자신의 정상적인 휴지 위치에서, 케이블 커넥터 (1200)의 팁 접점 (1220-1)의 접점 구역 (1228)은 하우징 (1202)의 제일 위로부터 거리 D1만큼 연장된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를 상기 케이블 커넥터 (1200)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그리고/또는 상기 케이블 커넥터 (1200)를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인라인 커넥터 (1300)의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는 커넥터 (1200)의 PCB 어퍼처 (1208) 내에 삽입된다. 도 46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가 케이블 커넥터 (1200)의 PCB 어퍼처 (1208)로 이동하면,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전면 에지 (1312)는 접점 (1220-1)의 자유단 (1230)에 맞물려서 접점 (1220-1)의 원위부 (distal portion) (1224)에 위를 향하여 힘을 가하며,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는 상기 접점 (1220-1) 아래로 미끄러진다 (slide). 일단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가 상기 PCB 어퍼처 (1208) 내로 완전하게 삽입되면, 접점 (1220-1)의 접점 구역 (1228)은 인라인 커넥터 (1300)의 팁 접점 패드 (1322)의 제일 위에 얹혀 있게 된다. 도 46b에서 보이지는 않지만,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가 케이블 커넥터 (1200)의 PCB 어퍼처로 이동하면,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전면 에지 (1312)는 접점 (1220-2)의 자유단 (1230)에 또한 맞물려서 접점 (1220-2)의 원위부 (1224)에 아래로 힘을 가하며,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310)는 상기 접점 (1220-2) 위로 미끄러지며, 그래서 접점 (1220-2)의 접점 구역 (1228)이 인라인 커넥터 (1300)의 링 접점 패드 (1332)의 바로 아래에 놓여지도록 한다. 접점들 (1220-1, 1220-2)의 원위부 (1224)가 탄력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점들 (1220) 및 그것들 각자의 접점 패드들 (1322, 1332) 사이에 양호한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접점들 (1220-1, 1220-2)은 자신의 접점 패드들 (1322, 1332)을 물리적으로 맞물리게 할 것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을 통한 전도성 경로들을 더욱 명료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들 (1400)의 하우징들은 생략되었다. 도 47의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은 도 43 - 도 45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과 유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은 인쇄 회로 보드 (1410)를 포함하며, 인쇄 회로 보드 (1410)는 자신을 관통하는 팁 전도성 경로 (1420) 및 링 전도성 경로 (1430)를 구비한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의 인쇄 회로 보드들 (1410)은 커넥터들 (1300)의 인쇄 회로 보드들 (1310)에 대해서 90도 회전되어, 각 인라인 커넥터 (1400)의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제일 위 표면이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 (1400)의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바닥 표면에 대면하도록 한다.
상기 팁 전도성 경로 (1420)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는 제1 팁 접점 패드 (1422),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바닥 표면 상에 있는 제2 팁 접점 패드 (1426)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422)를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426)에 연결시키는 팁 트레이스 (1424)를 포함한다. 상기 팁 전도성 경로 (1420)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전면 말단 (1412)으로부터 후면 말단 (1414)까지 길이방향으로 이어진다. 상기 팁 트레이스 (1424)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제일 위 표면 상의 제1 세그먼트,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바닥 표면 상에 있는 제2 세그먼트,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상기 제2 세그먼트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성 비아 (via)를 포함한다.
상기 링 전도성 경로 (1430)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바닥 표면 상에 있는 제1 링 접점 패드 (1432),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는 제2 링 접점 패드 (1436)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패드 (1432)를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436)로 연결시키는 링 트레이스 (1434)를 포함한다. 상기 링 전도성 경로 (1430)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전면 말단 (1412)으로부터 후면 말단 (1414)까지 길이방향으로 또한 이어진다. 상기 링 트레이스 (1434)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바닥 표면 상의 제1 세그먼트,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는 제2 세그먼트, 그리고 상기 제1 세그먼트를 상기 제2 세그먼트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도성 비아를 포함한다.
상기 팁 트레이스 (1424)가 인쇄 회로 보드 (1410)를 통해 전도성 비아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422)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426)는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다. 그러나,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422),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426) 그리고 상기 팁 트레이스 (1424)는 대체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즉, 평면이 그려지고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422),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426) 그리고 상기 팁 트레이스 (1424) 세 가지 모두와 교차할 것이다). 유사하게, 상기 링 트레이스 (1434)가 인쇄 회로 보드 (1410)를 통해 전도성 비아를 구비하기 때문에 상기 제1 링 접점 패드 (1432)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436)는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다. 그러나, 상기 제1 링 접점 패드 (1432),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436) 그리고 상기 링 트레이스 (1434)는 대체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즉, 평면이 그려지고 상기 제1 링 접점 패드 (1432),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436) 그리고 상기 링 트레이스 (1434) 세 가지 모두와 교차할 것이다).
추가로, 각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팁 트레이스 (1424) 상에 그리고 링 트레이스 (1434) 상에 포함된 상기 전도성 비아들은 동일 평면에 존재한다 (즉, 도 47 내 여덟 개의 모든 비아들은 공통의 평면 내에 놓여 있다). 추가로, 각 인쇄 회로 보드 (1410)의 팁 트레이스 (1424) 상의 전도성 비아들은 동일 직선 상에 있을 수 있으며 (즉, 도 47에 도시된 네 개의 팁 트레이스들 (1424) 상이 네 개의 모든 전도성 비아들은 선형으로 정렬된다), 그리고 각 인쇄 회로 보드 (1410) 위의 링 트레이스들 (1434) 상의 전도성 비아들 또한 동일 직선 상에 있을 수 있다.
도 43 및 도 47의 비교로부터 명백하듯이, 인라인 커넥터들 (1300 및 1400)의 팁 전도성 경로들 및 링 전도성 경로들 (1320/1330; 1420/1430)은 동일한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며,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 이 형상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의 팁 접점 패드들 및 링 접점 패드들 사이의 엇물림 그리고 각 인라인 커넥터 (1300, 1400)의 팁 전도성 경로들 및 링 전도성 경로들의 교차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참조번호 1300의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이 낮은 레벨의 차동 크로스토크 및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를 나타낸다는 것과 동일한 이유로 참조번호 1400의 인라인 커넥터들은 또한 낮은 레벨의 차동 크로스토크 및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를 나타낼 것이다.
도 48은 도 47의 네 개의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인라인 커넥터와 두 개의 케이블 커넥터들의 짝을 이룬 세트 각각을 통한 통신 경로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또한 도시된 여덟 개의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의 접점들을 구비한다. 도 48에서 보이는 것처럼, 접점 (1220)은 접점 패드들 (1422, 1426, 1432, 1436) 각각과 짝을 이룬다. 도 43 - 도 45의 실시예들에서 그런 것처럼, 상기 메이팅 케이블 커넥터 (1200)의 접점들 (1220)은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의 팁 접점 패드들 및 링 접점 패드들과 대체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400)이 설계된다. 그처럼, 인접 케이블 커넥터들 (1200)의 접점들 (1220)은 (그 케이블 커넥터들이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400)과 짝을 이룰 때에) 인접한 케이블 커넥터들 (1200) 사이에서의 차동 크로스토크에 대해 보상하는 동일한 대체적인 엇물린 배열을 유지한다.
도 49, 도 50a - 도 50b 그리고 도 51a - 도 51b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라인 커넥터 (1500) 및 케이블 커넥터 (1600)를 도시한다. 특히, 도 49는 케이블 커넥터들 (1600)과 짝을 이루는 인라인 커넥터 (1500)의 개략적인, 부분적으로 분해된, 투시 모습이며, 각 커넥터 (1500, 1600)의 하우징들은 생략되었다. 도 50a는 도 49의 짝을 이룬 커넥터들 (1500, 1600)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며, 그리고 도 50b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 (1500)의 인쇄 회로 보드와 맞물린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600) 중 하나의 접점들의 개략적인 말단 모습이다. 도 51a - 도 51b는 각각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600) 중 하나의 케이블 커넥터의 접점들 중 하나의 접점의 측면 모습 및 말단 모습이다.
도 49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인라인 커넥터 (1500)는 도 43 - 도 4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 (1300)와 거의 동일할 수 있으며, 단지 예외는 커넥터 (1500)의 팁 트레이스 (1524) 및 링 트레이스 (1534) 상의 조그 (jog)들이 커넥터 (1500)의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약 45도 각도에 있지만, 커넥터 (1300)의 팁 트레이스 (1324) 및 링 트레이스 (1334) 상의 조그들은 커넥터 (1300)의 인쇄 회로 보드 (1310)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약 90도 각도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 (1500)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 (1600)는 도 39 - 도 42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케이블 커넥터 (1200)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케이블 커넥터 (1600)는 접점들 (1620-1, 1620-2)의 쌍을 포함하며, 도 49 및 도 50a에서 최선으로 보이는 것처럼, 그 접점들 각각은 인라인 커넥터 (1500)의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제일 위 표면 및 바닥 표면 둘 모두를 붙잡는다. 상기 접점들 (1620)은 케이블 커넥터 (1200)의 접점들 (1220)보다 어느 정도 더 클 수 있으며, 그래서 위에서 설명된 케이블 커넥터들 (1200)에 비교할 때에 더 높은 양의 커플링이 인접한 케이블 커넥터들 (1600)의 접점들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점들 (1620)은 더욱 강건할 수 있으며 사용하는 동안에 손상 더 작게 날 수 있다.
상기 접점들 (1620)은 팁 접점 (1620-1) 및 링 접점 (1620-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서로 동일하다. 도 49 - 도 51에서 보이는 것처럼, 각 접점 (1620)은 베이스 (1622) 및 원위부 (162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1622)는 중공 실린더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원위부 (1624)는 캔틸레버 암들 (1626, 1628)의 쌍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나의 암은 신호를 운반하여 하나의 암은 신호를 운반하지 않으며 상기 두 암들은 그 사이의 개방부 (1630)를 한정한다. 상기 암들 (1626, 1628) 사이의 최소 거리 (즉, 상기 개방부 (1630)의 접점 구역 (1632)에서 가장 좁은 갭 폭)는 인라인 커넥터 (1500)의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두께보다 더 작다. 접점 (1620)이 상기 인라인 커넥터 (1500)와 짝을 이룰 때에 암들 (1626, 1626)의 말단 부분들은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전면 (또는 후면) 에지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전면 에지 (edge)는 상기 암들 (1626, 1628)에 힘을 가하여, 암 (1626)에게 힘을 가해서 위를 향하여 이동시키게 하여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제일 위 표면에 맞물리게 하고 그리고 암 (1628)에게 힘을 가하여 아래로 이동시키게 하여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바닥 표면에 맞물리게 하여 상기 암들이 더 멀리 떨어지도록 분리한다. 일단 커넥터들 (1500 및 1600)이 완전하게 짝을 이루면, 접점 (1620-1)의 암 (1626)의 접점 구역 (1632) 그리고 접점 (1620-2)의 암 (1628)의 접점 구역 (1632)은 인라인 커넥터 (1500)의 각자의 팁 접점 패드 (1522) 및 링 접점 패드 (1526)에 접촉할 것이다. 참조번호 1521과 같은 추가의 절연된 패드가 제공되어 신호를 운반하지 않은 참조번호 1626 또는 1628의 캔틸레버 암을 위한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여, 그 암이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각자의 표면에 맞물릴 때에 위로 미끄러지게 한다.
각 접점 (1620)은, 예를 들면, 베릴륨-동 (beryllium-copper) 또는 인-청동 (phosphor-bronze)과 같은 탄력성 있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탄력성은 접점 (1620)이 인쇄 회로 보드 (1510)와 짝을 이룰 때에는 상기 암들 (1626, 1628)이 서로 멀리 펴지도록 하지만 상기 케이블 커넥터 (1600)가 인라인 커넥터 (1500)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자신들의 정상적인 휴지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탄력성은 각 접점 (1620)이 자신과 짝을 이루는 팁 접점 패드 또는 링 접점 패드 (1522, 1526, 1532, 1536)와 양호한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을 하는 것을 또한 보장한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점들 (1620)은 틀로 찍어내고 (stamping) 롤링하는 동작들을 이용하여 시트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낮은-비용의 접점들 (162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1a - 51b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나의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접점 (1620)은 약 0.30 인치 길이이며, 베이스 부분 (1622)은 약 0.1 인치 길이이며, 상기 원위부 (1624)는 약 0.2 인치 길이이며, 그리고 상기 접점 (1620)은 0.01 인치 시트 금속의 시트로부터 형성된다. 도 49, 도 50b 및 도 51b에서 보이는 것처럼, 그런 실시예들에서, 상기 베이스 (1622)는 상기 롤링 동작으로부터 유래된 길이방향 슬릿 (162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 (1600)를 위한 하우징 (도시되지 않음)은, 각 접점 (1620)이 인라인 커넥터 (1500)의 인쇄 회로 보드 (1510)의 제일 위 표면 및 바닥 표면 둘 모두에 맞물리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케이블 커넥터 (1600)를 위한 하우징 내에 포함된 PCB 어퍼처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케이블 커넥터 (1200)의 하우징 (1202)과 유사하다.
위에서 설명되고 도면들에서 도시된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 (1200, 1500)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 1400, 1500) 각각은 커넥터 당 단일의 팁 및 링 통신 채널을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들 및 인라인 커넥터들은 둘, 셋 또는 그 이상의 팁 및 링 통신 채널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인라인 커넥터들을 제공하지만, 위에서 설명된 동일한 개념들은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 (예를 들면, 도 15의 참조번호 330 및 390의 커넥터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52 및 도 53은 그런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의 두 예들을 도시한다.
특히, 도 52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 (170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52에서, 상기 커넥터 (1700)를 통한 팁 및 링 전도성 경로들을 더 명료하게 도시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 (1700)의 하우징은 생략되었다.
도 52에서 보이는 것처럼, 커넥터 (1700)의 왼쪽 측면은 도 43 - 도 44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중 하나의 인라인 커넥터의 하단 부분과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인라인 커넥터 (1300)의 상단 부분 상에 포함된 접점 패드들 (1326, 1336)은 전자 디바이스 (도시되지 않음)의 인쇄 회로 보드 내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라이트-앵글 전도성 핀들 (1726. 1736)로 대체된다. 전형적으로, 복수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이 한 로우 내에 설치되는 것과 아주 똑같이 복수의 커넥터들 (1700)은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 상에 한 로우 내에 설치될 것이다. 인접한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 (1700) 사이의 차동 크로스토크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핀들 (1726, 1736)은 길이방향에서 엇물린다. 도 52에 도시된 것처럼, 그리고 공통 모드 변환을 제어하기 위해, 인쇄 회로 보드 (1710)의 바닥 표면 상에서 상기 전도성 트레이스를 가로막은 핀 (1726)이 인쇄 회로 보드 (1710)의 제일 위의 전도성 트레이스를 가로막는 참조번호 1736의 핀이 가까운 것보다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710)의 후면 에지에 더 가깝도록 상기 엇물림은 설계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은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그리고 상기 교차 세그먼트들 (1725 및 1735) 사이의 상기 링 전도성 경로 신호 이동 거리들 및 상기 팁 전도성 경로를 등화(equalizing)하여 모드 변환을 줄이게 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들이 상기 인쇄 회로 보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그 인쇄 회로 보드 내에 통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5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부착 케이블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점 패드들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 (1740) 일부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다.
도 53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740)는 그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복수의 팁 접점 패드들 (1742)을 그리고 그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복수의 링 접점 패드들 (1744)을 포함한다. 상기 팁 접점 패드들 (1742) 그리고 링 접점 패드들 (1744)은 인라인 커넥터 (1300)의 팁 접점 패드들 (1322) 및 링 접점 패드들 (1332)의 엇물린 패턴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엇물린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전도성 트레이스들 (1746, 1748)은 접점 패드들 (1742, 1744)을 각각 인쇄 회로 보드 (1740) 상에 설치된 복수의 집적 회로 칩들 (1750, 1752, 1754)에 연결시킨다. 이 트레이스들 (1746, 1748)은 도 53에서 보이는 인접한 전도성 트레이스들 (1746, 1748)과 낮은 커플링 (low coupling)을 구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53에서 보이지는 않지만, 인쇄 회로 보드 (1740) 내에 플라스틱 하우징 구조 또는 구루브 (groove), 노치들과 같은 적합한 특징들이 제공되어, 케이블 커넥터들 (1200 또는 1600)과 같은 케이블 커넥터들이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740과 짝을 이루도록 하고 그리고 제 자리에 걸쇠가 걸려서 보통의 사용 동안에 케이블 커넥터들이 느슨하게 되지 않도록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케이블 커넥터들이 제공되어 서로 직접적으로 짝을 이룰 수 있으며, 그래서 인라인 커넥터들에 대한 필요성을 없앤다. 그런 케이블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도 54 및 도 55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될 것이다.
특히, 도 54는 인라인 커넥터를 사용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적어도 두 개의 커넥터부착 케이블 어셈블리들 (1840, 1880)을 포함하는 통신 채널 (1800)의 개략적인 블록 도면이다. 통신 채널 (1800)은 제1 전자 디바이스로부터 제2 전자 디바이스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채널들 (1800)이 도 15에 관하여 상기에서 보인 것처럼 통상적으로 제공될 것이지만,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도 54에는 단일의 통신 채널만이 보인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54에서 보이는 것처럼,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1830)는 상기 제1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1890)가 상기 제2 전자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 (1830, 1890)은 도 1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들 (330, 390)과 동일하다. 커넥터부착 케이블들 (1840, 1880)의 쌍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1830)와 제2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189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4에서 더 보이는 것처럼,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 (1840)은 통신 케이블 (1842)을 포함하며, 그 통신 케이블은 말단들에 각각 설치된 케이블 커넥터들 (1850, 1852)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 케이블 (1842)은 상기 도 39에서 도시된 통신 케이블 (122)과 동일하며, 그래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55는 커넥터부착 케이블 (1840)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며, 케이블 커넥터들 (1850, 1852)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55에서 보이는 것처럼, 케이블 커넥터 (1850)는 도 39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플러그 커넥터 (120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플러그 커넥터이다. 따라서, 케이블 커넥터 (1850)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케이블 커넥터 (1852)는 케이블 커넥터 (1850)와 짝을 이루기 위해서 설계된 잭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커넥터 (1852)는 인쇄 회로 보드 (1860)를 포함하며, 그 인쇄 회로 보드는 자신의 제일 위 표면에 팁 전도성 경로를 그리고 자신의 바닥 표면에 링 전도성 경로를 구비한다.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860)는 도 43 - 도 45를 참조하여 위해서 위에서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 (1300)의 인쇄 회로 보드 (1310)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팁 전도성 경로는 제1 팁 접점 패드 (1872), 제2 팁 접점 패드 (1874)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872)를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874)에 연결시키는 팁 트레이스 (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링 전도성 경로는 제1 링 접점 패드 (1876), 제2 링 접점 패드 (1878)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패드 (1876)를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878)에 연결시키는 링 트레이스 (보이지 않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872) 및 상기 제2 링 접점 패드 (1878)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패드 (1876) 및 상기 제2 팁 접점 패드 (1874)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 팁 접점 패드 (1872) 및 제2 링 접점 패드 (1876)는 솔더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1842)의 절연 팁 도체의 절연의 말단 부분은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팁 도체 (1844-1)의 노출된 말단 부분은, 예를 들면, 상기 팁 솔더 패드 (1872)로 솔더링될 수 있다. 유사하게, 케이블 (1842)의 절연 링 도체의 절연의 말단 부분은 제거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링 도체의 노출된 말단 부분은, 예를 들면, 상기 링 솔더 패드 (1876)로 솔더링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팁 접점 패드 (1874) 및 링 접점 패드 (1878)의 각각은 메이팅 플러그 커넥터 (1850)의 개별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케이블 (1842)의 팁 도체 (1844-1) 및 링 도체 (1844-2)가 인쇄 회로 보드 (1860) 상의 팁 솔더 패드 (1872) 및 링 솔더 패드 (1876)에 각각 솔더링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케이블 (1842)의 도체들 (1844-1, 1844-2)을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860)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면, 절연 피어싱 접점들, 용접 동작, 직접적인 억지 끼워맞춤 (direct interference fit) 등을 포함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54를 다시 참조하면, 커넥터부착 케이블 (1840)의 케이블 커넥터 (1852)가 커넥터부착 케이블 (1880)의 케이블 커넥터 (1850)와 짝을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커넥터들 (1850 및 1852)은, 서로 짝을 이루도록 설계되며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200)가 인라인 커넥터 (1300) 사이에서의 연결로서 동일한 유형의 차동 크로스토크 소거 및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소거를 제공할 수 있는 엇물린 접점들 및 교차들을 구비한, 플러그 및 잭 커넥터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착 케이블 (1880)은 자신의 양 말단에 플러그 커넥터들 (1850)을 포함하여 (참조번호 1840의 커넥터부착 케이블과는 상이함), 커넥터부착 케이블 (1880)이 인쇄 회로 보드 커넥터 (1890)와 짝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상기 통신 채널 (1800)은 어떤 인라인 커넥터도 포함하지 않으며, 그러므로 감소된 비용 해결책의 표본일 수 있다. 상기 통신 채널 (1800)은, 예를 들면, 도 15의 통신 채널 (320-1)에 비교하면 하나의 작은 연결 포인트를 또한 구비하며, 이것은 통신 채널 (1800)과 이웃하는 통신 채널 사이에서 생기는 크로스토크의 양을 또한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도 55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커넥터 (1850)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며 케이블 커넥터 (1852)는 잭 커넥터를 포함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하우징 구조들은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어서, 케이블 커넥터 (1850)는 잭 커넥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케이블 커넥터 (1852)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도록 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 1400, 1500) 및 위에서 설명된 다른 유사하게 설계된 커넥터들 (예를 들면, 참조번호 1700의 커넥터)가 접점 패드들을 사용하지만, 다른 접점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점 패드들은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핀들로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들 (1200)의 접점들 (1220)은 상기 핀을 받아들이는, 예를 들면, 위에서 도 30 - 도 34에서 도시된 소켓 접점들 (910, 920)과 같은 소켓 접점들로 교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6 - 도 59는 도 43의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상이한 방위들로 어떻게 배열될 수 있는가를 도시한 개략적인 모습이다. 특히, 도 56에서 보이는 것처럼,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도 43의 실시예에서 보이는 것처럼 한 로우 내에 나란히 완벽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사이의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보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오프셋은 작으며 그리고/또는 다른 변화들이 상기 커넥터 디자인에 가해져서 충분한 공통 모드 크로스토크 보상이 제공되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57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도 43의 실시예에서 보이는 것처럼 완벽하게 동일 평면 상에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57의 비-동일평면 구성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사이의 차동 크로스토크 보상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지만, 수직에서 오프셋은 작게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다른 변화들이 상기 커넥터 디자인에 가해져서 충분한 차동 크로스토크 보상이 제공되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도 58에서 보이는 것처럼, 또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에 대해서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도 57에서의 실시예에서 그런 것처럼,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의 이 각도 형성은 인접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사이에서의 차동-대-차동 크로스토크 보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59에서 보이는 것처럼,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인라인 커넥터들 (1300) 각각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기술은 여러 커넥터들 (1300)의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의 성능을 조절하기 위한 편리한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인라인 커넥터들은 인쇄 회로 보드들 그리고 그 위의 접점 패드들 및 상기 접점 패드들과 짝을 이루는 스프링 접점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들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드에서 상기 접점 구조들은 역전될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은 스프링 접점들을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들은 접점 패드들을 가진 인쇄 회로 보드들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추가의 실시예들에서는 하나보다 많은 인라인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단일의, 더 큰 인쇄 회로 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그래서, "제1 인쇄 회로 보드" 및 "제2 인쇄 회로 보드"를 언급하는 것은,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다면, 두 개의 분리된 인쇄 회로 보도들을 언급하는 것이거나 또는 공통의 인쇄 회로 보드 중의 두 구역들을 언급하는 것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교차들을 구비한 접점들을 가진 커넥터들이 차량들, 산업적인 응용 및 다른 혹독한 환경들에서 말단 디바이스들을 연결시키는 통신 채널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아래의 도 60 - 도 68은 이런 커넥터들 및 추가의 커넥터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접점 교차 구성들을 도시한다.
먼저 도 60a 및 도 6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 (19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60a는 상기 통신 채널 (190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된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을 개략적으로 위에서 본 모습이며, 도 60b는 상기 통신 채널 (190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된 커넥터들 및 패치 코드들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다.
도 60a 및 도 60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채널은 제1 말단 커넥터 (1910), 케이블 어셈블리 (1930), 인라인 커넥터 (1950), 제2 케이블 어셈블리 (1930') 그리고 제2 말단 커넥터 (1910')를 포함한다. 비록 아래에서 설명되듯이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접점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지만 상기 말단 커넥터 (1910)는 예를 들면 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말단 커넥터 (1910)는 인쇄 회로 보드 (1905) 상에 설치된다. 상기 말단 커넥터 (1910)는 복수의 접점들 (19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말단 커넥터 (1910)는 전체 네 개의 접점들 (1912-1 내지 1912-4)을 포함하며, 이 접점들은 제1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제1 쌍 (1914-1) (참조번호 1912-1 및 1912-2의 접점들로 구성됨)으로 그리고 제2 정보 신호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제2 쌍 (1914-2) (참조번호 1912-3 및 1912-4의 접점들로 구성됨)으로 배열된다. 각 커넥터 (1910)의 상기 접점들 (1912)은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들 상에 공통적으로 제공된 라이트 앵글 부분 (1913)을 포함하여, 상기 접점들 (1912)이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905) 내 대응하는 전도성 어퍼처 (도시되지 않음)로 직접 삽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말단 커넥터 (1910)의 플러그 어퍼처는 상기 인쇄 회로 보드 (1905)의 제일 위 표면에 평행한 삽입 축을 가질 수 있다.
도 60a서 보이는 것처럼, 접점들의 상기 쌍들 (1914-1, 1914-2) 각각은 위에서 보여질 때에 (즉, 탑 뷰 (top view)에서) 교차 (1915)를 포함한다. 이 교차들 (1915)은 말단 커넥터 (1910) 내 상기 쌍들 (1914-1, 1914-2) 사이에서 발생된 크로스토크의 양을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도 60b에 보이는 것처럼, 접점들의 상기 쌍들 (1914-1, 1914-2)은 측면으로부터 보여질 때에는 교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말단 커넥터 (1910)는, 예를 들면, 핀 커넥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는 핀 접점들을 가진다). 도 60a 및 도 60b에 도시된 특별한 실시예에서, 접점들의 상기 쌍들 (1914-1 및 1914-2)은 서로에게 떨어져서 측면으로 이격되며, 그리고 상기 커넥터는 접점들의 두 개의 쌍들만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말단 커넥터 (1910')은 상기 제1 말단 커넥터 (1910)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1910')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1930)는 케이블 부분 (1932)을 포함하며, 그 케이블 부분은 한 말단 상에 설치된 제1 플러그 (1940) 및 그 케이블의 다른 말단 상에 설치된 제2 플러그 (194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부분 (1932)은 네 개의 절연된 통신 도체들 (1934-1 내지 1934-4)을 포함하며, 이 통신 도체들은 절연된 도체들의 두 개의 꼬인 쌍들 1936-1 (참조번호 1934-1 및 1934-2의 도체들을 포함한다) 및 1936-2 (참조번호 1934-3 및 1934-4의 도체들을 포함한다)로 배열된다. 상기 꼬인 쌍들 (1936-1, 1936-2)은 케이블 자켓 (1938) 내에 둘러싸일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면, 테이프 분리기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추가의 구조들이 상기 케이블 부분 (1932)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꼬인 쌍들 (1936-1, 1936-2)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꼬인 쌍들 (1936-1, 1936-2) 그리고 분리기는 소위 말하는 코어 트위스트 (core twist) 내에서 함께 꼬여질 수 있다. 각 꼬인 쌍 (1936-1, 1936-2)은, 예를 들면, 상기에서 참조된 카테고리 6a 표준을 따르는 이더넷 통신 케이블의 꼬인 쌍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들 (1940, 1940')은 동일하다. 각 플러그 (1940, 1940')는 플러그 하우징 (1942) 및 절연된 도체들 (1934-1 내지 1934-4)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 (플러그 접점들의 두 쌍들 (1946-1, 1946-2)로 배열됨)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은, 자신의 각 절연된 도체들 (1934-1 - 1934-4)에게 기계적인 그리고 전기적인 연결을 제공하는 적절한 와이어 종단 (termin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와이어 연결들은 IDC들, 크림프 연결들, 솔더링 연결, 저항 용접 (resistance weld) 또는 다른 알려진 종단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상기 연결들은 직접 연결일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면, 인쇄 회로 보드와 같은 중간의 구조들을 통할 수 있다 (즉, 절연된 도체 (1934)을 받아들이는 IDC는 인쇄 회로 보드의 백 엔드 (back end)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플러그 접점 (1944)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전면 말단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도성 프레이스는 상기 IDC를 상기 플러그 접점 (1944)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60a에서 보이는 것처럼, 접점들의 쌍들 (1946-1, 1946-2) 각각은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 (즉, 탑 뷰에서) 교차 (1915)를 포함한다. 도 60b에서 보이는 것처럼, 플러그 접점들의 쌍들 (1946-1, 1946-2)은 측면으로부터 보여질 때에는 교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아래에서 아주 상세하게 설명되는 것처럼,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을 구현하기 위해서 아주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접점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 (1930')는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1930)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 (1930') 및 그 위에 설치된 플러그들 (1940, 1940')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 (1950)는 하우징 (1952) 및 제1 플러그 어퍼처 (1958-1)와 제2 플러그 어퍼처 (195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 어퍼처 (1958-1)는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1930)의 플러그 (1940')를 받아들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플러그 어퍼처 (1958-2)는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 (1930')의 플러그 (1940)를 받아들일 수 있다. 복수의 인라인 접점들 (1954-1 내지 1954-4)이 제공되어 접점들의 두 쌍 (1956-1, 1956-2)으로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인라인 접점들 (1954-1 내지 1954-4)은 상기 플러그들 (1940 및 1940')의 각 접점들 (1944-1 내지 1944-4)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그래서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과 짝을 이루도록 설계된 잭 접점들로 구현된다. 아래에서 아주 상세하게 설명되듯이,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을 구현하기 위해서 아주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접점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 (1950)는 더블-사이드 플러그 커넥터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들 (1930, 1930')은 플러그들 (1940, 1940') 대신에 자신들의 말단들 상에 설치된 잭 커넥터들을 가질 수 있다. 그런 실시예들에서, 상기 인라인 접점들 (1954-1 내지 1954-4)은 플러그 접점들로서 구현될 것이다.
도 60b에서 보이는 것처럼, 잭 접점들의 쌍들 (1956-1, 1956-2) 각각은 측면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교차 (1955)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60a에서 보이듯이, 잭 접점들의 상기 쌍들 (1956-1, 1956-2)은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는 교차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래서 플러그들 (1940 및 1940') 내 플러그 접점들의 쌍들 (1946-1, 1946-2) 각각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교차를 포함하며 (즉, 상기 쌍의 접점들은 서로 교차한다), 반면에 인라인 커넥터 (1950) 내의 잭 접점들의 상기 쌍들 (1956-1, 1956-2) 각각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교차를 포함한다. 이 배열은, 인라인 커넥터 (1950)가 커넥터의 각 플러그 어퍼처 내에 동일한 유형의 플러그를 받아들일 수 있는 높은 크로스토크 성능을 가지는, 그런 인라인 커넥터 (1950)를 제공한다.
도 60a 및 도 60b에서 도시된 상기 통신 채널 (1900)은 자동차 응용을 위해 아주 적합할 수 있다. 도 60a 및 도 60b가 두 개의 케이블 어셈블리들 (1930, 1930') 및 하나의 인라인 커넥터 (1950)을 포함하는 통신 채널을 도시하지만, 몇몇의 경우들에서는 상기 통신 채널은 추가의 또는 더 적은 요소들 (예를 들면, 추가의 케이블 어셈블리들 및 인라인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말단 커넥터들 (1910, 1910')은 핀 (또는 블레이드)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들 (1940, 1940')은 소켓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서 각 짝을 이룬 플러그-잭 연결이 핀- 및 소켓 연결들을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나, 아주 다양한 상이한 플러그 접점들 및 잭 접점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플러그들 (1940, 1940')은 핀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말단 커넥터들 (1910, 1910')은 소켓 커넥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말단 커넥터들 (1910, 1910') 및 상기 플러그들 (1940, 1940') 둘 모두에서의 접점들은 무탈피 접점들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IDCs))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넥터들 중 하나에서의 접점들 (예를 들면, 상기 잭)은 IDC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메이팅 커넥터 내의 접점들 (예를 들면, 상기 플러그)은 블레이드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커넥터들 중 하나의 커넥터 내 접점들 (예를 들면, 상기 잭)은 캔딜레버 빔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메이팅 커넥터 내의 접점들 (예를 들면, 상기 플러그)은 블레이드 접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아주 다양한 상이한 접점들이 사용되어 도 60a 및 도 60b에서 그리고 여기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도면들에서 도시된 교차 구성들을 구비하여 형성된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말단 커넥터들 (1910) 및/또는 상기 인라인 커넥터들 (1950)은 플러그 커넥터들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들 (1930, 1930') 상의 대응 플러그 커넥터들은 잭 커넥터들로 교체될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60a 및 도 60b의 통신 채널 (1900)은 두 개의 상이한 커넥터 설계들 (즉, 말단 커넥터 (1910) 및 인라인 커넥터 (1950)) 그리고 단일의 케이블 어셈블리 설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채널 (1900)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상이한 파트들의 양을 유리하게도 줄어들게 한다. 더욱이, 각 짝을 이룬 플러그-잭 연결이 상기 짝을 이룬 커넥터를 통한 전도성 경로들의 각 쌍 위에서 복수의 교차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통신 채널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크로스토크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상기 채널은 높은 레이터 레이트 통신들을 지원할 것이라는 것이 예상된다.
도 61a 및 도 61b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 (2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61a는 상기 통신 채널 (2000)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을 개략적으로 위에서 본 모습이며, 반면에 도 61b는 상기 통신 채널 (2000)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다.
도 61a 및 도 61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채널 (2000)은 제1 말단 커넥터 (1910),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030), 인라인 커넥터 (1950), 제2 케이블 어셈블리 (2030') 그리고 제2 말단 커넥터 (19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말단 커넥터들 (1910, 1910') 및 인라인 커넥터 (1950)는 상기 통신 채널 (1900)에 포함된 위에서 설명된 대응 컴포넌트들과 동일하며 그래서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말단 커넥터들 (1910, 1910') 내 접점들의 쌍들 (1914-1, 1914-2) 각각은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 (즉, 위에서 본 모습에서) 교차 (1915)를 포함하지만, 측면으로부터 보여질 때에는 교차를 포함하지 않으며, 반면에 상기 인라인 커넥터 (1950) 내 잭 접점들의 쌍들 (1956-1, 1956-2) 각각은 측면으로부터 보여질 때에는 교차 (1955)를 포함하지만,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는 교차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에 다시 유의한다.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030)는 케이블 부분 (1932)을 포함하며, 그 케이블 부분은 한 말단 상에 설치된 제1 플러그 (2040) 및 그 케이블의 다른 말단 상에 설치된 제2 플러그 (204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부분 (1932)은 위에서 설명된 케이블 어셈블리 (1930)의 케이블 부분과 동일하며, 그래서 그에 대한 더 이상의 논의는 여기에서는 생략될 것이다. 상기 플러그들 (2040, 2040')은 동일할 수 있다. 각 플러그 (2040, 2040')는 플러그 하우징 (2042) 및 케이블 부분 (1932)의 각 절연된 도체들 (1934-1 내지 193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 접점들 (2044-1 내지 2044-4) (플러그 접점들의 쌍들 2046-1, 2046-2로 배열됨))을 포함한다. 도 61a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플러그 접점들 (2044-1 내지 2044-4)은 그것들이 어떤 교차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상기 플러그 (1940)에 포함된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과는 상이하다 (대신에, 상기 플러그 접점들 (2044-1 내지 2044-4)은 도 61a에서 보이는 것처럼 위로부터 보여질 때에 하나의 로우 내에 정렬된다). 상기 플러그 접점들 (2044-1 내지 2044-4)을 구현하기 위해서 아주 다양한 상이한 유형의 접점들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 (2030')는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030)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 (2030') 및 그 위에 설치된 상기 플러그들 (2040, 2040')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61a 및 도 61b의 통신 채널 (2000)은 두 개의 상이한 커넥터 설계 (즉, 말단 커넥터 (1910) 및 인라인 커넥터 (1950)) 및 단일의 케이블 어셈블리 설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채널 (2000)을 구현하기 위해서 필요한 상이한 파트들의 양을 유리하게도 줄일 수 있다.
참조번호 1900의 통신 채널과 참조번호 2000의 통신 채널 사이의 주된 차이는 플러그들 (2040, 2040') 내 플러그 접점들 (2044-1 내지 2044-4)이 교차들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결과, 각 플러그-잭 연결 포인트에서 (예를 들면, 케이블 어셈블리 (2030)의 플러그 (2040)와 말단 커넥터 (1910) 사이의 연결 또는 케이블 어셈블리 (2030)의 플러그 (2040')와 인라인 커넥터 (1950) 사이의 연결) 상기 접점들은 여러 교차들 대신에 단일의 교차를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플러그 및 잭 접점들이 제공되어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두 접점들이 서로 교차하고 그리고 두 접점들의 네 개 말단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놓여있다면, (비록 하나의 접점 또는 접점 둘 모두의 교차 부분들이 그 평면의 외부에 있다고 하더라도) 그 접점들의 쌍은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인 것으로 간주된다.
도 62a 및 도 62b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따른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 (2050, 2060)의 쌍을 도시한다. 특히, 도 62a는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 (2050, 2060)의 개략적인 투시 모습이며, 반면에 도 62b는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 (2050, 2060)이, 상기 접점들이 부주의하게 전기적으로 함께 단락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하는 유전체 지지부에 어떻게 설치될 수 있는가를 도시한다. 상기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 (2050, 2060)은 접점들의 쌍 (2070)을 포함하며, 이것은, 예를 들면, 차동 신호와 같은 신호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2a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제1 접점 (2050)은 제1 말단 (2052), 제2 말단 (2056) 및 중심 교차 섹션 (205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점 (2060)은 제1 말단 (2062), 제2 말단 (2066) 및 중심 교차 섹션 (2064)을 포함한다. 접점들 (2050, 2060)의 상기 제1 말단들 (2052, 2062) 및 상기 제2 말단들 (2056, 2066)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내에 존재한다 (즉, 그것들을 동일 평면 상에 있다). 상기 교차 섹션 (2054)은 접점 (2050)의 제1 말단 (2052)을 상기 제2 말단 (2056)으로 연결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각이 진 (angled) 그리고/또는 커브 (curved) 세그먼트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상기 교차 섹션 (2054)은 상기 제1 말단들 및 제2 말단들 (2052, 2062, 2056, 2066)에 의해서 한정된 평면 위로 연장되는 완만한 커브로서 구현된다. 상기 교차 섹션 (2064)은 접점 (2060)의 제1 말단 (2062)을 상기 제2 말단 (2066)으로 연결시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각이 진 그리고/또는 커브 세그먼트들로서 마찬가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교차 섹션 (2064)은 상기 제1 말단들 및 제2 말단들 (2052, 2062, 2056, 2066)에 의해서 한정된 평면 아래로 연장되는 완만한 커브로서 구현된다. 상기 교차 섹션들 (2054, 2064)이 상기 제1 말단들 및 제2 말단들 (2052, 2062, 2056, 2066)에 의해서 한정된 평면의 반대편 측면들 상으로 연장될 때에, 그것들은 교차 (2058)를 생성하여, 상기 접점들 (2050, 2060)의 상기 제2 말단들 (2056, 2066)이 상기 접점들 (2050, 2060)을 함께 전기적으로 단락시키지 않으면서도 상기 제1 말단들 (2052, 2062)에 관한 위치들을 교환 (trade)하도록 한다. 접점 (2050)의 제1 말단 (2052) 그리고 접점 (2060)의 제2 말단 (2066)은 동일 직선 상에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점 (2050)의 제2 말단 (2056) 그리고 접점 (2060)의 제1 말단 (2062)은 동일 직선 상에 있을 수 있다.
도 62a의 접점들의 쌍 내에서 구현되는 교차 (2058)는 도 60a - 도 61b에 도시된 교차들과 같은 더욱 통상적인 교차들에 비교하면 축소된 풋프린트 (footprint)를 가질 수 있다. 도 62a는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의 쌍의 개략적인 포괄적 도시이며, 그리고 접점들 (2050, 2060)의 말단 부분들의 특정 설계를 규정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접점들 (2050, 2060)의 상기 제1 말단들 (2052, 2062)은 각 접점을 통신 케이블의 각 절연된 도체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크림프 탭 (crimp tab)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접점들 (2050, 2060)의 상기 제1 말단들 (2052, 2062)은 대신에 절연 피어싱 또는 무탈피 접점들 (IDCs)을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조들이 대안으로 그리고/또는 추가로 상기 제1 말단들 (2052, 20620 상에, 그 말단들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케이블의 각 절연된 도체들로 연결시키기 위해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접점들 (2050, 2060)의 상기 제2 말단들 (2056, 2066)은 롤링되어 핀을 형성하거나 또는 소켓 커넥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단단한 둥근 핀으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면, 다른 IDC 또는 메이팅 커넥터의 블레이드와 짝을 이루도록 설계될 것인) IDC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점들 (2050, 2060)은 각각 원하는 형상으로 틀로 찍혀지고 그리고/또는 형성되는 금속의 편평한 스트립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제조 및 조립 프로세스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2b는 사용 시에 상기 접점들 (2050, 2060)이 단락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유전체 블록 (2070)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도시한다.
도 63a 및 도 63b는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 (2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63a는 상기 통신 채널 (210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을 개략적으로 위에서 본 모습이며 그리고 도 63b는 상기 통신 채널 (210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다.
도 63a 및 도 63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채널 (2100)은 제1 말단 커넥터 (2110),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130), 인라인 커넥터 (2150), 제2 케이블 어셈블리 (2130') 및 제2 말단 커넥터 (2110')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 커넥터들 (2110, 2110')은, 예를 들면, 통상적인 핀 커넥터들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3a 및 도 63b로부터 명백하듯이, 상기 말단 커넥터들 (2110, 2110')에 포함된 접점들 (2114-1, 2114-2)의 쌍들은 교차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것은 상기 커넥터 설계를 간략화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들 (2110, 2110')은 동일한 커넥터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130)는 케이블 부분 (1932)을 포함하며, 그 케이블 부분은 한 말단 상에 설치된 제1 플러그 (2140) 및 다른 말단 상에 설치된 제2 플러그 (214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블 부분 (1932)은 위에서 설명된 케이블 어셈블리 (1930)와 동일할 수 있으며, 그래서 그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될 것이다. 상기 플러그들 (2140, 2140')은 동일할 수 있다. 각 플러그 ( 2140, 2140')는 플러그 하우징 (2142) 및 각 절연된 도체들 (1934-1 내지 193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플러그 접점들 (2144-1 내지 2144-4) (플러그 접점들의 쌍들 (2146-1, 2146-2)로 배열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3a에서 보이는 것처럼, 플러그 접점들의 쌍들 (2146-1, 2146-2)은, 그것들이 더 많은 통상적인 교차에 반대편에 있는 교차를 포함하는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플러그 (1940)에 포함된 접점들의 쌍들 (1946-1, 1946-2)과는 다르다. 도 63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교차 (2148)는 측면 모습에서 생기지만 위에서부터 본 모습에서도 또한 제시된다.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 (2130')는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130)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 (2130')에 대한 추가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기 인라인 커넥터 (2150)는 하우징 (2152) 그리고 제1 및 제2 플러그 어퍼처들 (2158-1, 215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러그 어퍼처는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130)의 플러그 (2140')를 받아들일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플러그 어퍼처는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 (2130')의 플러그 (2140)를 받아들일 수 있다. 복수의 잭 접점들 (2154-1 내지 2154-4)이 제공되어, 잭 접점들의 두 쌍들 (2156-1, 2156-2)로서 배열된다. 접점들의 각 쌍 (2156-1, 2156-2)은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을 포함하며, 이를 도 63b의 측면 모습에서 볼 수 있다.
도 63a 및 도 63b의 통신 채널 (2100)은 두 개의 상이한 커넥트 설계들 (즉, 말단 커넥트 (2110) 및 인라인 커넥터 (2150)) 그리고 단일의 케이블 어셈블리 설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채널 (2100)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상이한 파트들의 양을 유리하게도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도 64a 및 도 64b는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 (2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특히, 도 64a는 상기 통신 채널 (220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을 개략적으로 위에서 본 모습이며 그리고 도 64b는 상기 통신 채널 (220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의 개략적인 측면 모습이다.
도 64a 및 도 64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채널 (2200)은 제1 말단 커넥터 (2210),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230), 제2 케이블 어셈블리 (2230') 및 제2 말단 커넥터 (2210')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 커넥터 (2210)는 위에서 설명된 말단 커넥터 (2110)와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말단 커넥터 (2210)에서, 접점들의 쌍들의 반은 메일 (male) 접점들로 구현되며, 반면에 다른 반은 피메일 (female) 접점들로 구현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접점들의 한 로우 내 접점들의 모든 다른 쌍은 핀 접점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반면에 접점들의 나머지 쌍들은 소켓 접점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설계는 두 개의 상이한 케이블 어셈블리들로부터의 플러그들이 서로 직접적으로 짝을 이루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어떤 인라인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말단 커넥터 (2210)가 접점들의 두 쌍들을 포함하며, 한 쌍의 접점들이 메일 커넥터들이며 다른 쌍의 접점들은 피메일 커넥터들인 경우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말단 커넥터는 접점들의 두 쌍들보다 더 많은 쌍들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접점들의 쌍들 중 반은 메일 접점들을 가질 것이며 반면에 나머지 반은 피메일 접점들을 가진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말단 커넥터들 (2210, 2210')은 메일 접점들 및 피메일 접점들로서 구현된 접점들의 쌍들의 위치들이 거꾸로 인 것을 제외하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 (2230)는 위에서 설명된 케이블 어셈블리 (2130)와 유사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동일한 케이블 부분 (193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러그들 (2240 및 2240')은, 상기 플러그들 (2240 및 2240')에서 접점들의 쌍들의 반은 메일 접점들을 포함하도록 구현되며, 반면에 다른 반은 피메일 접점들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상기 플러그들 (2130, 2130')과 또한 유사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들 (2240 및 2240')은 메일 접점 쌍들 및 피메일 접점 쌍들의 위치들이 역전될 것이므로 동일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한다. 이것은 도 64a에서 도면들 내 "M" (메일 용) 및 "F" (피메일 용)에 대한 참조들에 의해서 표시된다. 상기 플러그들 (2240 및 2240')은 그것들이 서로 짝을 이룰 수 있도록 설계된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이는 인라인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지만, "방향성" 케이블 어셈블리를 필요로 한다.
상기 말단 커넥터들 (2210, 2210')은 교차들을 포함하는 접점들의 쌍들을 구비하지 않지만, 그런 교차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의 쌍을 포함하는 말단 커넥터들이 (상기 플러그들 (2240, 2240') 내 접점들의 쌍에서와 똑같이 상기 교차들은 측면 모습에서 나타날 것이다) 상기 말단 커넥터들 (2210, 2210') 대신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채널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커넥터들 또는 케이블 어셈블리들에 그라운드 평면들 또는 부동 (floating) 이미지 평면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채널을 위에서 본 모습인 도 65는 도 63a 및 도 63b의 통신 채널이, 통신 채널 (2300)을 제공하기 위해서 부동 이미지 평면들을 포함하도록 어떻게 수정될 수 있는가를 도시한다.
도 6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통신 채널 (2300)은, 상기 통신 채널 (2300)에서 사용되는 말단 커넥터들, 인라인 커넥터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이 각각 도체들/접점들의 두 개의 인접한 쌍들 사이에 향상된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동 이미지 평면 (2370)을 포함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63a 및 도 63b의 통신 채널 (2100)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부동 이미지 평면은 커넥터들에서, 예를 들면, (예를 들면, 접점들의 쌍들을 분리하는 유전체 조각 상에 금속을 도금함으로써) 접점들의 인접한 쌍들 사이에 배치된 전도성 플레이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들의 상기 케이블 세그먼트들에서, 상기 부동 이미지 평면들 (2370)은 금속 (또는 그렇지 않다면 전도성) 테이트 또는 분리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면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도 65로부터 참조 번호들이 대부분 생략되었지만, 대응하는 도 63a에서는 제공된다.
상기 부동 이미지 평면들 (2370)이 모든 커넥터 또는 케이블 어셈블리에서 구현될 필요는 없지만, 대신에 상기 통신 채널 (2300)의 몇몇의 컴포넌트들에서만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통신 채널 (2300)에 포함된 부동 이미지 평면들 (2370)은 위에서 설명된 통신 채널들 (1900, 2000 및 2100)의 대응 요소들로 또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또한 인정될 것이다. 더욱이, 부동 이미지 평면들 (2370)이 도 65의 실시예에서 사용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부동 이미지 평면들 (2370)의 적어도 몇몇의 자리에 그라운드 평면 또는 그라운드 핀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 66a 및 도 66b는 위에서 도 60a 및 도 60b에서 도시된 플러그 (1940)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도 66a는 상기 플러그 (1940)의 투시 모습이며 도 66b는 상기 플러그 (1940)의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66a 및 도 66b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플러그 (1940)는 플러그 하우징 (1942) 및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을 포함한다. 플러그 접점들 (1944-1 및 1944-2)은 플러그 접점들의 제1 쌍 (1946-1)을 형성하며, 그리고 플러그 접점들 (1944-3 및 1944-4)은 플러그 접점들의 제2 쌍 (1946-2)을 형성한다.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의 각각은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 (1930)의 각각의 절연된 도체들 (1934-1 내지 1934-4)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0a 및 도 60b 참조). 유전체 분리기 (1948)가 제공되어 자신의 적절한 위치 내에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의 각각을 유지하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을 서로에게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 각각은 금속 접점을 포함하며, 그 금속 접점은 IDC의 형상으로 형성된 제1 말단 그리고 구리 와이어와 같은 드러난 도체에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프 연결을 가지는 제2 말단을 구비한다. 케이블 어셈블리 (1930)의 절연된 도체들 (1934-1 내지 1934-4) 각각의 말단에서의 절연은 벗겨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드러난 구리 와이어는 각자의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의 제2 말단 상의 크림프 탭들 사이에 삽입된다. 그 후에, 상기 도체들 (1934-1 내지 1934-4) 각각을 각자의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로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크림프 탭들을 각자의 드러난 구리 와이어들로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기 위해서 도구가 사용될 수 있다.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 각각의 IDC 말단은 말단 커넥터 (1910)와 같은 말단 커넥터의 대응 블레이드, IDC 또는 다른 접점 구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6b에서 보이는 것처럼, 플러그 접점들 (1944-1 내지 1944-4) 각각은 측면 조그를 포함하여, 각 플러그 접점의 크림프 말단이 플러그 접점의 IDC 말단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접점들의 각 쌍 (1946-1 및 1946-2)을 형성하는 두 접점들은 위에서부터 보여질 때에 "교차" (1915)에서 서로 교차한다. 상기 쌍의 두 접점들 사이의 분리 그리고 플러그 접점들의 인접한 쌍들 사이의 거리는 플러그 접점들의 인접한 쌍들 (1946-1, 1946-2)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줄이거나 최소화하기 위해서 조절될 수 있다.
도 6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플러그들의 분해된 투시 모습이다. 도 67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1 플러그 (2400)가 제공되어 플러그 하우징 (2410),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420), 접점 홀더 (2430) 그리고 복수의 플러그 접점들 (24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2410)은 통신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을 받아들이는 어퍼처 (2412)를 포함하는 유전체 하우징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 (24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래치들 또는 메이팅 커넥터와 짝을 이루는 위치인 자리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 (2410)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부착/잠금 메커니즘들 (2414)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420)는 상기 하우징 (2410) 내에 수납되며, 그리고 채널들, 돌기들 또는 종단하기 위해서 상기 플러그 (2400)가 사용되는 케이블의 도체들을 경로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420)는 어떤 통상적인 변형 방지 (strain relief) 메커니즘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점 홀더 (2430)는 상기 하우징 (2410) 내에 상기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420) 앞에서 수납된다. 상기 접점 홀더 (2430)는 채널들 또는 각자의 플러그 접점들 (2440)을 보유하기 위해 구성된 다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점 홀더 (2430)는 연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 내 상기 플러그 접점들 (2440)은 이중-말단 IDC들을 포함한다. 각 플러그 접점 (2440)의 제1 말단 (2442)은 상기 플러그 (2400)에 의해서 종단되는 케이블의 각 도체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각 플러그 접점 (2440)의 제2 말단 (2446)은 메이팅 플러그의 각 블레이드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 접점들은 플러그 접점들의 쌍들로서 배열될 수 있다. 도면들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플러그 접점들 중 단 하나의 쌍만이 도 67에 도시되지만, 상기 플러그 (2400)는 플러그 접점들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쌍은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로서 구현된다. 특히, 각 접점 (2440)은 상기 쌍의 다른 접점 (2440)의 커브 중심 부분을 (터치하지 않고) 교차하는 커브 중심 부분 (2444)을 포함한다. 그래서, 상기 플러그 접점들 (2440)은 상기 도 63a 및 도 63b의 통신 채널 (2100) 내에 포함된 플러그들 (2140, 2140')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7은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러그 (2500)를 더 도시한다. 도 67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플러그 (2500)는 플러그 하우징 (2510),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520), 접점 홀더 (2530) 그리고 복수의 플러그 접점들 (2540)을 포함한다 (도면을 간략하기 하기 위해서 단 하나의 플러그 접점 (2540)만이 도 67에 도시되지만, 복수의 이런 플러그 접점들 (2540)이 접점 홀더 (2530) 내에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 (2510)은 통신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을 받아들이는 어퍼처 (도 67에서는 보이지 않음)를 포함하는 유전체 하우징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 (2510)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래치들 또는 메이팅 커넥터와 짝을 이루는 위치인 자리에 상기 플러그 하우징 (2510)을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부착/잠금 메커니즘들 (2514)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520)는 상기 하우징 (2510) 내에 수납되며, 그리고 채널들, 돌기들 또는 종단하기 위해서 상기 플러그 (2500)가 사용되는 케이블의 도체들을 경로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520)는 어떤 통상적인 변형 방지 메커니즘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점 홀더 (2530)는 상기 하우징 (2510) 내에 상기 변형 방지 및 와이어 가이드 인서트 (2520) 앞에서 또한 수납된다. 상기 접점 홀더 (2530)는 채널들 또는 각자의 플러그 접점들 (2540)을 보유하기 위해 구성된 다른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접점 홀더 (2530)는 연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 내 상기 플러그 접점들 (2540)은 말단 IDC들을 구비한 블레이드 접점들을 포함한다. 특히, 각 플러그 접점의 제1 말단 (2542)은 상기 플러그 (2500)에 의해서 종단되는 케이블의 각자의 도체를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각 플러그 접점 (2540)의 제2 말단 (2546)은, 예를 들면, 메이팅 커넥터의 IDC 접점 내에 받아들여질 수 있는 얇은 블레이드로서 구현된다. 상기 플러그 접점들 (2540)은 플러그 접점들의 쌍들로서 배열될 수 있다. 도면들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단 하나의 접점만이 도 67에 도시되지만, 상기 플러그 (2500)는 (접점들의 쌍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플러그 접점들을 포함할 것이며, 그리고 플러그 접점들의 둘 또는 그 이상의 쌍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쌍(들)은 각각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들일 수 있다.
도 67에 도시된 플러그들은 도 64a 및 도 64b에 도시된 플러그들 (2240, 2240')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67에 도시된 상기 플러그들은 메일 접점들 및 피메일 접점들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도 64a 및 도 64b의 플러그 (2240)의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해서 플러그 (2500)의 플러그 접점들 (250) 중 두 개를 이용하여 형성된 플러그 접점들의 제2 쌍과 함께 플러그 (2400)로부터의 플러그 접점들 (2440) 중 두 개의 플러그 접점을 이용하여 형성된 플러그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는 수정된 플러그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들에 따라, 단일의 교차보다 더 많은 교차들을 구비한 플러그 접점들 및/또는 잭 접점들의 쌍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8a 및 도 68b는 그런 접점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예를 들면, 도 68a에서 보이듯이,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접점들의 쌍 중의 접점들은 두 개의 교차 포인트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접점들이 "완전 꼬임 (full twist)"을 겪도록 한다. 그런 실시예들에서, 둘 모두의 접점들의 말단들 둘 모두는 대체적으로 단일의 평면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반면에 각 접점의 중간 부분은 이 평면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교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68a는 동일 평면 상의 교차 접점 배열을 도시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교차는 완전 꼬임으로서 구현된다. 도 68b에서 보이는 것처럼,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러그 접점들의 쌍은 분리된 평면들에 존재할 수 있으며 완전 꼬임을 포함할 수 있다. 팁 접점들 및 링 접점들은 그 접점들의 양 측면들 상에서 자신들의 위치들을 유지하므로, 완전 꼬임은 몇몇의 응용들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속의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은 미국 특허 No. 7,999,184 ("'184 특허")에 예시된 케이블에 대해 다양한 유사성들을 가지며, 이 특허는 본원에 참조로 편입된다. '184 특허의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케이블이 절연된 도체들의 네 개의 꼬인 쌍들을 포함하지만,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꼬인 쌍들이 여기에서 설명된 커넥터부착 케이블들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도 69는 단일의 꼬인 쌍 (2602)을 포함하는 제1 케이블 (2600) 그리고 분리기 (2616)에 의해서 나누어지는 제1 및 제2 꼬인 쌍들 (2612, 2614)을 포함하는 제2 케이블 (2610)을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차량 환경에서, 도 69에서 보이는 케이블들 (2600, 2610)과 같은 고속 케이블은 종단되어 차량 내에서 여러 차례 고속 케이블의 추가의 길이로 커플링될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0에서 보이듯이, 연결 허브 (2620-1) (예를 들면, 인라인 커넥터)는 차량의 후면에 근접하여 (예를 들면, 짐칸 구획과 승객 구획 사이 또는 뒷자리 뒤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연결 허브 (2620-2)는 차량의 중간-섹션에 (예를 들면, 루프 라이너 (roof liner) 내 그리고/또는 오버헤드 엔터테인먼트 센터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제3 연결 허브 (2620-3)는 차량의 전면을 향하여 (예를 들면, 대시보드 아래에 그리고/또는 엔진 구획의 방화역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차량 환경에서, 끝부터 끝까지의 케이블링 시스템의 전형적인 길이는 승객 차량 (예를 들면, 승용차, 트럭 또는 밴)에서는 약 15 미터 미만일 것이며 그리고 상용 크기의 차량 (예를 들면, 버스, RV, 트랙터 트레일러)에 대해서는 약 40 미터 미만일 것이라는 것이 예상된다.
상기 시스템은 견딜 수 있는 낮은 데이터 오류 레이트를 가진 고속의 데이터를 차량 케이블링 시스템의 제1 말단으로부터 다중의 연결 허브들 (2620)을 통해서 그 차량의 케이블링 시스템의 제2 말단까지 운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도 70은 세 개의 연결 허브들 (2620)을 도시하지만, 넷 또는 다섯까지의 연결 허브들 (2620)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리고 최소 하나 또는 두 개의 연결 허브 (2620)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 예상된다.
도 70에서 더 보이듯이, 상기 케이블 시스템은 제1 케이블 (2610-1)을 포함하며, 이 제1 케이블은 약 2미터의 길이이며, 두 개의 꼬인 쌍들 (2612, 2614)을 포함하고, 이는 연결 서브 (2620-1)로 들어가서 제2 케이블 (2610-2)로 연결되며, 이 제2 케이블은 약 2 미터의 길이이며, 또한 두 개의 꼬인 쌍들 (2612, 2614)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케이블 (2610-2)은 연결 허브 (2620-2)로 지나가며, 그곳에서 제3 케이블 (2610-3)로 연결되며, 이 제3 케이블은 약 2 미터의 길이이며, 마찬가지로 두 개의 꼬인 쌍들 (2612, 2614)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케이블은 연결 허브 (2620-3)로 지나가며, 거기에서 제4 케이블 (2610-4)로 연결되며, 이 제4 케이블은 약 2 미터의 길이이며, 두 개의 꼬인 쌍들 (2612, 2614)을 또한 포함한다. 실제로, 다중의 케이블들이 도 71에서 보이는 다양한 연결 허브들 (2620) 사이에서 종종 경로가 정해질 것이며, 도 71은 일곱 개의 단일의-꼬인 (single-twisted) 쌍 케이블들 (2600)이 상기 차량을 통해서 함께 경로가 정해지는 것을 그래픽으로 예시한다. 도 71에서 보이듯이, 복수의 연결 허브들 (2620-1, 2620-2, 2620-3)이 각 연결 포인트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 (아래의 도 72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연결 허브들 (2620-1, 2620-2, 2620-3)은 다중의 케이블들을 위한 연결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더 큰 연결 허브들 (2620')로 교체될 수 있다.
도 72는 중간의 연결 허브들 (2620')에서의 연결의 상세한 내용들을 보여주며, 이는 다른 연결 허브들에서의 연결의 상세한 내용들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연결 허브들 (2620')은 미국 특허 No. 7,223,115; No. 7,322,847; No. 7,503,798 및 No. 7,559,789에서 설명된 단자 (terminal) 블록들과 유사하게 구축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특허들 각각은 본원에 참조로 편입된다. 물론, 상기 참조된 특허들의 단자 블록들이 수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차량의 케이블링 시스템 내에 더 적은 수의 꼬인 와이어 쌍들이 사용될 것이라면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참조된 특허들에서 최선으로 설명된 것처럼, 상기 단자 블록들은 상기 단자 블록들의 플라스틱 하우징 내에서 교차하는 무탈피 접점들 (IDCs)을 포함한다. 상기 교차 포인트들은 상기 단자 블록 내에서 크로스토크가 신호들로 도입되는 것을 줄이는 것에 도움을 주며, 이는 상기 신호들이 상기 단자 블록들을 통해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차량 환경에서, 높은 레벨의 EMI를 생성하기 쉬울 수 있는 스파크 플러그들, 배전기들, 교류발전기들, 정류기들 등을 포함할 엔진의 전기적인 시스템으로 인해서 외부의 전자기 간섭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은 특히 문제이다. 상기 단자 블록은 연결 허브들 (2620)에서 단자 블록들을 통해 지나가는 신호들에 대한 EMI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양호하게 동작한다.
도 73에서 보이는 것처럼, 차량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허브들 (2620)은 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허브 (2620)의 단자 블록 (2622)은 플라스틱 베이스 (2624)에 고착되며 그리고 커버 (2626)가 단자 블록 (2622) 위에 위치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베이스 (2624)에 채워지고/밀봉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들 (2600, 2610)은 그로밋 (grommet)들 (2628)을 통해서 상기 연결 허브 (2620)에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으며, 그래서 상기 단자 블록 (2622)이 차량 환경에서 습기, 먼지 및 쓰레기로부터 실질적으로 봉인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2626)는 투명하여 상기 커버 (2626)를 제거하지 않고도 상기 단자 블록 (2622) 내 와이어 연결들을 검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74는 도 73의 연결 허브 (2620)의 부분적인 컷어웨이 (cuy away) 전면 모습이다. 도 74에서 보이듯이, 스테빌라이저들 (2632)은 상기 커버 (2626)의 제일 위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테빌라이저들 (2632)은 단자 블록 (2622)의 IDC들 (2630)을 향하여 연장하며, 상기 IDC 채널들로 들어가며, 그리고 상기 IDC들 (2630) 내에 위치한 (보이지 않는) 케이블들 (2600, 2610)의 꼬인 쌍들의 와이어들에게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환경에서, 진동이 상기 IDC들 (2630) 내 와이어들을 느슨하게 하도록 행동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와이어들이 자유롭게 동작하도록 허용하며 그리고 IDC들 (2630)과의 전기적인 접촉을 고장나게 한다. 상기 스테빌라이저들 (2632)은 상기 와이어들과 맞물리고 그리고 그 와이어들을 상기 IDC들 (2630) 내에서 양호한 전기적인 접촉을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와이어들이 IDC들 (2630)을 떠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억제물 또는 차단물로서 동작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스테빌라이저들 (2632)은 상기 연결 허브 (2620)의 진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차량 환경이 더욱 강인하도록 만든다.
도 75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단자 블록 (2622)의 IDC들 (2630)에게 꼬인 쌍 와이어들 (2612, 2614)을 공급하는 상기 케이블 (2610)은 커넥터 (2640)로 종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2640)는 상기 단자 블록 (2622)의 제일 위로 용수철식 잠금 (snap lock)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2640) 내에서의 전기적인 접점들은 상기 단자 블록 (2622)의 IDC들 (2630)에 전기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 배열에 의해서, 케이블 (2610)의 꼬인 쌍 중의 와이어들은 상기 IDC들 (2630)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IDC들 (2630)은 상기 꼬인 쌍들 (2612, 2614)의 신호들을 미국 특허 No. 7,223,115; No. 7,322,847; No. 7,503,798 및 No. 7,559,789에 따른 IDC들의 바닥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케이블 (도시되지 않음)의 꼬인 쌍들로 전송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모습들이 수많은 추가의 실시예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임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정될 것이다. 이 실시예들은 간명함을 위해, 개별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주로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 도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이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본 발명을 전체적으로 그리고 완벽하게 개시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라는 것이 인정될 것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요소들을 언급한다. 몇몇 컴포넌트들의 두께 및 치수들은 간명함을 위하여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들이 다양한 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여기에서 사용되었지만, 이 요소들은 그 용어들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것과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예를 들면, 제1 요소는 제2 요소로 지칭될 수 있으며, 그리고, 유사하게,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제2 요소는 제1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팁" 및 "링"의 용어들은 신호 정보 신호를 운반할 수 있는 도체들의 쌍의 두 도체들을 언급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며, 그렇지 않다면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체들의 상기 쌍은 몇몇의 실시예들에서는 차동 쌍을 포함할 수 있다.
"밑에", "아래", "하단", "위로", "상단", "제일 위", "바닥" 등과 같은 공간적인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시된 다른 요소(들) 또는 특징(들)에 대한 한 요소 또는 특징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간적인 상대적 용어들은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방위에 추가하여 사용 또는 동작 시에 상기 디바이스의 상이한 방위들을 포함할 것을 의도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면들 내의 디바이스가 역전된다면, 다른 요소들이나 특징들 "아래" 또는 "밑에" 있는 것으로 기술된 요소들은 그러면 그 다른 요소들이나 특징들 "위로" 방위가 정해질 것이다. 그래서, 상기 예시적인 용어 "아래"는 위 그리고 아래의 방위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다르게 방위가 정해질 수 있으며 (90도 또는 다른 방위들로 회전) 그리고 여기에서 사용된 공간적인 상대적 서술자들은 그에 따라서 해석될 수 있다.
잘 알려진 기능들이나 구성들은 간명함 그리고/또는 명료함을 위해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표현인 "그리고/또는"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관되어 열거된 아이템들의 어떤 그리고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별한 실시예들만을 기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그리고 본 발명을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여기에서 사용되 단수의 형상들 "하나", "한" 그리고 "그것"은 문맥이 명확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다면 마찬가지로 복수의 형상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한다" 그리고/또는 "포함하는"의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에 선언된 특징들, 동작들, 요소들, 그리고/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규정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 동작들, 요소들, 컴포넌트들, 그리고/또는 그것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부착된", "연결된", "상호연결된", "접촉하는", "설치된" 등의 용어들은, 다르게 선언된 것이 아니라면, 요소들 사이에서의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부착이나 접촉의 어느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음을 포함한다:
[청구항 1]
인라인 통신 커넥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팁 접점 (tip contact);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링 접점 (ring contact)을 포함하며,
상기 팁 접점은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와 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링 접점은 링 입력 접점 구조, 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와 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팁 접점 및 링 접점은 단일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쌍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링 출력 접점 구조는 핀이나 소켓 중 하나로 각각 구현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 섹션은 제1 교차 (crossover)에서 상기 링 접점 섹션과 교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평면을 각각 차단하며,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평면을 각각 차단하며,
상기 제2 수직 평면은 상기 제1 수직 평면과 평행하며 그리고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1 수직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직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 및 교차하는 방향 둘 모두에 직각이며, 그리소 상기 가로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에 직각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링 출력 접점 구조 각각은 각자의 길이방향 슬릿 (slit)을 포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상기 팁 입력 소켓 및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상기 링 입력 소켓 및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은 제1 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팁 입력 소켓은 제1 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소켓은 제1 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제1 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링 접점은 제1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링 입력 소켓은 제1 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소켓은 제1 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제1 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쌍은 제1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과 결합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입력 팁 소켓, 제2 팁 출력 소켓 및 제2 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소켓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팁 입력 소켓과 상기 제2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입력 소켓, 제2 링 출력 소켓 및 제2 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소켓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링 입력 소켓과 상기 제2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운반하는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입력 소켓은 상기 제2 팁 출력 소켓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소켓은 상기 제2 링 출력 소켓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소켓 연결 섹션은 제2 교차에서 상기 제2 링 소켓 연결 섹션과 교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교차 및 제2 교차는 상기 커넥터로의 입력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제2 팁 접점은 제1 수평 평면을 차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은 수직 방향에서 상기 제1 수평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한 제2 수평 평면을 차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평면과 상기 제2 수평 평면 사이의 간격은 0.05 인치 미만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들의 제1 쌍 및 접점들의 제2 쌍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은 0.3 인치 미만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각각 설치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1 인라인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상기 제1 인라인 통신 커넥터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인라인 통신 커넥터의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그 사이에 공기 갭을 가지며 로우 (row)로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접점들의 제1 쌍 및 접점들의 제2 쌍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은 상기 접점들의 제1 쌍 및 접점들의 제2 쌍 사이의 차동-대-차동 크로스토크 (differential-to-differential crosstalk)를 실질적으로 소거하도록 선택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상기 팁 입력 핀과 상기 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상기 링 입력 핀과 상기 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은 제1 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팁 입력 핀은 제1 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핀은 제1 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제1 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링 접점은 제1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링 입력 핀은 제1 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핀은 제1 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제1 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접점들의 쌍은 제1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과 결합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입력 핀, 제2 팁 출력 핀 및 제2 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핀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팁 입력 핀과 상기 제2 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입력 핀, 제2 링 출력 핀 및 제2 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핀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링 입력 핀과 상기 제2 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운반하는 접점들의 제2 쌍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입력 핀은 상기 제2 팁 출력 핀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핀은 상기 제2 링 출력 핀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핀 연결 섹션은 제2 교차에서 상기 제2 링 핀 연결 섹션과 교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교차 및 제2 교차는 상기 커넥터로의 입력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제2 팁 접점은 제1 수평 평면을 차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은 수직 방향에서 상기 제1 수평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한 제2 수평 평면을 차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1 플러그 어퍼처 (aperture) 및 제2 플러그 어퍼처를 구비한 더블-사이드 잭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플러그 어퍼처 내에 받아들여진 제1 핀 커넥터를 구비한 제1 커넥터부착 (connectorized) 케이블 그리고 상기 제2 플러그 어퍼처 내에 받아들여진 제2 핀 커넥터를 구비한 제2 커넥터부착 케이블과 결합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4]
제23항에 있어서,
제어기, 제1 서브-어셈블리, 제2 서브-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를 구비한 차량과 결합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서브-어셈블리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기와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인 경로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전기적인 경로 상에 있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5]
제2항에 있어서,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 또는 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소켓 또는 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소켓 또는 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소켓 또는 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이며 그리고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핀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이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핀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이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핀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29]
제25항에 있어서,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제2 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팁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 및 제2 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운반하는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입력 핀 접점 구조는 상기 제2 팁 출력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와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 또는 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소켓 또는 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소켓 또는 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소켓 또는 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은 상기 제2 팁 접점과 구조적으로 상이하며, 그리고
상기 링 접점은 상기 제2 링 접점과 구조적으로 상이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청구항 32]
통신 시스템으로,
커넥터부착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같이 꼬여져서 절연된 도체들의 제1 꼬인 쌍을 형성하는 절연된 팁 도체 및 절연된 링 도체를 구비한 통신 케이블;
제1 하우징을 구비한 제1 커넥터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절연된 팁 도체의 전도성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접점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절연된 링 도체의 전도성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팁 접점의 제1 말단은 상기 절연된 팁 도체들의 말단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의 제1 말단은 상기 절연된 링 도체의 말단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짝을 이룬 제2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팁 접점과 짝을 이룬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링 접점과 짝을 이룬 제2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점점 및 제2 링 접점은 상기 제2 팁 접점이 상기 제2 링 접점과 교차하도록 위치가 정해진, 통신 시스템.
[청구항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소켓 및 상기 제2 링 소켓 각각은 각자의 길이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핀 접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36]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핀 접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핀 접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소켓 접점 및 상기 제1 링 소켓 접점 각각은 각자의 길이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40]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접점의 전면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팁 점점의 후면 부분 둘 모두는 제1 수평 평면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링 접점의 전면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링 점점의 후면 부분 둘 모두는 제2 수평 평면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링 접점의 전면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팁 점점의 후면 부분 둘 모두는 제1 수평 평면을 차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의 전면 부분 그리고 상기 제2 링 점점의 후면 부분 둘 모두는 제2 수평 평면을 차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41]
제32항에 있어서,
같이 꼬여져서 절연된 도체들의 제2 꼬인 쌍을 형성하는 제2 절연 팁 도체 및 제2 절연 링 도체;
상기 제2 절연 팁 도체의 전도성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팁 접점 및 상기 제 절연 링 도체의 전도성 코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링 접점으로, 상기 제3 팁 접점의 제1 말단은 상기 제2 절연 팁 도체의 말단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3 링 접점의 제1 말단은 상기 제2 절연 링 도체의 말단 부분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제3 팁 접점 및 제3 링 접점;
상기 제3 팁 접점과 짝을 이룬 제4 팁 점점 및 상기 제3 링 접점과 짝을 이룬 제4 링 접점으로, 상기 제4 팁 접점 및 상기 제4 링 접점은 상기 제4 팁 접점이 상기 제4 링 접점과 교차하도록 위치가 정해진, 제4 팁 접점 및 제4 링 접점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 팁 도체 및 제2 절연 링 도체는 제2 통신 케이블의 일부이며,
상기 제3 팁 접점 및 제3 링 접점은, 제3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제2 절연 팁 도체 및 상기 제2 절연 링 도체 각각의 전도성 코어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커넥터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제4 팁 접점 및 제4 링 접점은 상기 제3 커넥터와 짝을 이룬 제4 커넥터의 일부인, 통신 시스템.
[청구항 43]
제41항에 있어서,
절연 도체들의 상기 제2 꼬인 쌍은 상기 통신 케이블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제3 팁 접점 및 상기 제3 링 접점은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설치된, 통신 시스템.
[청구항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접점 및 제4 팁 접점은 제1 수평 평면을 차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 및 제4 링 접점은 제2 수평 평면을 차단하며, 그리고
상기 제4 링 접점의 전면 부분 및 상기 제4 팁 접점의 후면 부분은 제1 수직평면을 차단하고 그리고 상기 제4 팁 접점의 전면 부분 및 상기 제4 링 접점의 후면 부분은 제2 수직 평면을 차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45]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팁 접점;
제1 링 접점;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제1 팁 출력 소켓 및 제1 팁 교차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팁 교차 섹션은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1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제1 링 출력 소켓 및 제1 링 교차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교차 섹션은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1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정보 신호를 위한 전송 경로로서 함께 서빙하는 접점들의 제1 쌍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제2 팁 출력 소켓 및 제2 팁 교차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교차 섹션은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제2 링 출력 소켓 및 제2 링 교차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교차 섹션은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위한 전송 경로로서 함께 서빙하는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접점 쌍들의 제1 로우를 한정하며;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47]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제1 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제1 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제2 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제2 링 입력 소켓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출력 소켓 내에 받아들여진 제1 팁 핀 접점;
상기 제1 링 출력 소켓 내에 받아들여진 제1 링 핀 접점;
상기 제2 팁 출력 소켓 내에 받아들여진 제2 팁 핀 접점;
상기 제2 링 출력 소켓 내에 받아들여진 제2 링 핀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팁 핀 접점 및 상기 제2 팁 핀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핀 접점 및 상기 제2 링 핀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신호가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핀 접점 및 상기 제2 링 핀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2 팁 핀 접점 및 상기 제1 링 핀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49]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각각은 인쇄 회로 보드에 설치되도록 구성된 핀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50]
인라인 커넥터로서:
하우징;
팁 접점; 그리고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팁 접점은,
제1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1 핀-수납 (receiving) 구멍 (cavity)을 한정하는 팁 입력 소켓,
제2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2 핀-수납 구멍을 한정하는 팁 출력 소켓 그리고
상기 팁 입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제1 말단 및 상기 팁 출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제2 말단을 포함하는 팁 교차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1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링 접점은,
제3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3 핀-수납 구멍을 한정하는 링 입력 소켓,
제4 길이방향 축을 가지는 제4 핀-수납 구멍을 한정하는 링 출력 소켓 그리고
상기 링 입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제1 말단 및 상기 링 출력 소켓으로 연결시키는 커브 제2 말단을 포함하는 링 교차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길이방향 축은 상기 제4 길이방향 축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방향 축 및 제3 길이방향 축은 동일 평면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길이방향 축 및 제4 길이방향 축은 동일 평면에 있는,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52]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소켓, 팁 출력 소켓, 링 입력 소켓 및 링 출력 소켓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길이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53]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인쇄 회로 보드; 그리고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에 인접한 제2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는 제1 입력 접점, 제2 입력 접점, 제1 출력 접점, 제2 출력 접점, 상기 제1 입력 접점을 상기 제1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전도성 경로 그리고 상기 제2 입력 접점을 상기 제2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전도성 경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2 전도성 경로와 교차하며,
상기 제1 입력 접점, 상기 제1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1 출력 접점은 제1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입력 접점, 상기 제2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2 출력 접점은 제1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 및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는 제1 전송 라인을 함께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는 제3 입력 접점, 제4 입력 접점, 제3 출력 접점, 제4 출력 접점, 상기 제3 입력 접점을 상기 제3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전도성 경로 그리고 상기 제4 입력 접점을 상기 제4 출력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4 전도성 경로를 가지며,
상기 제3 입력 접점, 상기 제3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3 출력 접점은 제2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4 입력 접점, 상기 제4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4 출력 접점은 제2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는 제2 전송 라인을 함께 포함하며,
상기 제1 입력 접점은 상기 제1 출력 접점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입력 접점은 상기 제2 출력 접점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통신 시스템.
[청구항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접점은 상기 제1 출력 접점과 전반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입력 접점은 상기 제2 출력 접점과 전반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접점 내지 제4 입력 접점 및 상기 제1 출력 접점 내지 제4 출력 접점은 제1 입력 접점 패드 내지 제4 입력 접점 패드 및 제1 출력 접점 패드 내지 제4 출력 접점 패드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5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57]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접점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1 출력 접점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서 연장되는 제1 전도성 비아 (via)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입력 접점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2 출력 접점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서 연장되는 제2 전도성 비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및 제2 인쇄 회로 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리고 각각 제1 통신 커넥터 및 상기 제2 통신 커넥터의 일부인, 통신 시스템.
[청구항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 접점 및 제2 입력 접점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전면 말단에 인접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출력 접점 및 제2 출력 접점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후면 말단에 인접하며,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상기 전면 말단 및 후면 말단은 길이방향 축에 의해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입력 접점은 상기 제2 출력 접점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출력 접점은 상기 제2 입력 접점과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통신 시스템.
[청구항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경로는, 상기 길이방향 축을 따라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전면 말단 및 후면 말단 사이의 대략적인 중간 포인트에서 상기 제2 전도성 경로와 교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61]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부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및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의 합은 신호가 상기 제1 전송 라인을 통해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및 상기 제1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의 합과 크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62]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경로가 상기 제2 전도성 경로와 교차하는 곳인 제1 교차 위치는,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부터 상기 제2 팁 전송 라인까지의 커플링의 크기가 차동 신호가 상기 제1 전송 라인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전송 라인까지의 커플링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위치가 정해지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63]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제1 케이블 커넥터, 제2 케이블 커넥터, 제3 케이블 커넥터 및 제4 케이블 커넥터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1 입력 접점 패드 및 상기 제2 입력 접점 패드와 각각 짝을 이루는 제1 케이블 커넥터 및 제2 케이블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1 출력 접점 패드 및 상기 제2 출력 접점 패드와 각각 짝을 이루는 제3 케이블 커넥터 및 제4 케이블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3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3 입력 접점 패드 및 상기 제4 입력 접점 패드와 각각 짝을 이루는 제5 케이블 커넥터 및 제6 케이블 커넥터를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4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3 출력 접점 패드 및 상기 제4 출력 접점 패드와 각각 짝을 이루는 제7 케이블 커넥터 및 제8 케이블 커넥터를 가지며,
제1 팁 전송 경로로부터 제2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제1 링 전송 경로로부터 제2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제1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5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 제2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6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 제3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7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 및 제4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7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의 합은 제1 전송 라인이 차동적으로 여기될 (excited) 때에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제1 링 전송 경로로부터 제2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제1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6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 제2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5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 제3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8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 및 제4 케이블 커넥터 접점으로부터 제7 케이블 커넥터 접점까지의 커플링의 합과 크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64]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65]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보드의 측면 표면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표면 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66]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커넥터부착 케이블과 결합하며,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은 그 케이블의 한 말단 상에 케이블 커넥터를 가지며,
그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1 입력 접점과 짝을 이루는 제1 스프링 접점 그리고 상기 제2 입력 접점과 짝을 이루는 제2 스프링 접점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67]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입력 접점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3 출력 접점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3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서 연장되는 제3 전도성 비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4 입력 접점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4 출력 접점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4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를 통해서 연장되는 제4 전도성 비아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전도성 비아 내지 제4 전도성 비아는 동일 평면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비아 및 제3 전도성 비아는 동일 직선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전도성 비아 및 제4 전도성 비아는 동일 직선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69]
커넥터부착 케이블로서:
같이 꼬여져서 도체들의 꼬인 쌍을 형성하는 절연된 팁 도체 및 절연된 링 도체 그리고 도체들의 상기 꼬인 쌍을 둘러싼 케이블 자켓을 포함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 말단 상의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길이방향 축, 가로 축 및 수직 축을 가지는 하우징으로, 메이팅 (mating) 커넥터의 기판을 상기 하우징의 상기 길이방향 축을 따라 받아들이기 위한 어퍼처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 부분에 설치된 팁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하단 부분에 설치된 링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팁 테이블 커넥터 접점은 상기 링 케이블 접점 커넥터로부터 가로로 그리고 수직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 및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 각각은 스프링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기판의 제일 위 표면 상에 팁 접점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기판의 바닥 표면 상에 링 접점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기판은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팁 접점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팁 접점 패드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링 접점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링 접점 패드를 포함하는,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 및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 각각은 상기 팁 도체의 노출된 말단 위로 받아들여지도록 구성된 대체적으로 원통형 베이스 그리고 그것으로부터 연장되는 캔틸레버식 (cantilevered) 스프링을 포함하며,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4]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 및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 각각은 대체적으로 원통형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형 베이스는 그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암 (arm)들의 쌍을 포함하여, 그 암들의 쌍 사이의 갭을 한정하는,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 및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원통형 베이스는 길이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6]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팁 케이블 커넥터 접점은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기판의 제1 표면에만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링 케이블 커넥터 접점은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편에 있는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기판의 제2 표면에만 맞물리도록 구성된,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7]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제1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착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의 반대편 말단 상의 제2 케이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제1 케이블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커넥터부착 케이블.
[청구항 78]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접점 패드, 제2 접점 패드, 제1 핀 점점 및 제2 핀 접점, 상기 제1 접점 패드를 상기 제1 핀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전도성 경로 그리고 상기 제2 접점 패드를 상기 제2 핀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전도성 경로를 구비한 제1 인쇄 회로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도성 경로는 상기 제2 전도성 경로와 교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접점 패드, 상기 제1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1 핀 접점은 제1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 패드, 상기 제2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2 핀 접점은 제1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 및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는 제1 전송 라인을 함께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패드는 상기 제1 핀 접점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통신 시스템.
[청구항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에 인접한 제2 인쇄 회로 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는,
제3 접점 패드, 제4 접점 패드, 제3 핀 점점 및 제4 핀 접점, 상기 제3 접점 패드를 상기 제3 핀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3 전도성 경로 그리고 상기 제4 접점 패드를 상기 제4 핀 접점으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4 전도성 경로를 구비한 제1 인쇄 회로 보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3 접점 패드, 상기 제3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3 핀 접점은 제2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4 접점 패드, 상기 제4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4 핀 접점은 제2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 및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는 제2 전송 라인을 함께 포함하며,
상기 제3 접점 패드는 상기 제3 핀 접점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통신 시스템.
[청구항 80]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패드 및 제2 접점 패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전면 에지에 인접하며, 그리고
상기 제1 핀 접점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후면 에지에 상기 제2 핀 접점보다 더 가깝게 위치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81]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패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 패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3 접점 패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4 접점 패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82]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는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 상에 있으며,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는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바닥 표면 상에 있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83]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및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리고 각각 제1 통신 커넥터 및 상기 제2 통신 커넥터의 일부인, 통신 시스템.
[청구항 84]
제79항에 있어서,
제1 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및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전송 라인이 차동적으로 여기될 때에 상기 제1 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및 상기 제1 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제2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의 합과 크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85]
제7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인, 통신 시스템.
[청구항 86]
통신 시스템으로서,
로우로 정렬된 복수의 인쇄 회로 보드들을 포함하며,
각 인쇄 회로 보드는 제일 위 표면, 바닥 표면, 전면 말단, 후면 말단 및 서로 반대편의 측면 표면들을 가지며, 그리고
각 인쇄 회로 보드는 상기 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제일 위 표면 상 제1 접점, 상기 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바닥 표면 상 제2 접점, 상기 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바닥 표면 상 제3 접점 및 상기 후면 말단에 인접한 상기 제일 위 표면 상 제4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은 평행한 평면들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일 위 표면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인접한 하나의 바닥 표면과 마주 보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각각의 위에서 상기 제1 접점은 제1 전도성 경로에 의해서 상기 제3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송 라인의 팁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은 제2 전도성 경로에 의해서 상기 제4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송 라인의 링 전송 경로를 형성하는, 통신 시스템.
[청구항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각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89]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제1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제2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및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전송 라인이 차동적으로 여기될 때에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제2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 및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링 전송 경로로부터 상기 인쇄 회로 보드들 중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 상의 상기 팁 전송 경로까지의 커플링의 합과 크기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신 시스템.
[청구항 90]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제1 쌍으로서 구성된 제1 팁 접점 및 제1 링 접점을 구비한 제1 커넥터;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된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을 구비한 제2 커넥터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서로에게 인접하게 위치하여 커넥터들의 수평 로우를 한정하는, 제2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1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1]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2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상기 제1 팁 접점과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상기 제2 팁 접점과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3]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4]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핀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5]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6]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7]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핀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8]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소켓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핀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핀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소켓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99]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인라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인라인 커넥터는 상기 제1 팁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링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팁 접점 및 상기 제3 링 접점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인라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인라인 커넥터는 상기 제2 팁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링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팁 접점 및 상기 제4 링 접점은 수직으로 정렬된,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3 팁 접점은 상기 제1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제1 팁 전도성 경로의 일부이며,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3 링 접점은 상기 제1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제1 링 전도성 경로의 일부이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4 팁 접점은 상기 제2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제2 팁 전도성 경로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 및 상기 제4 링 접점은 상기 제2 인라인 커넥터를 통한 제2 링 전도성 경로의 일부이며, 그리고
오펜딩 크로스토크 (offending crosstalk)는 상기 제1 팁 전도성 경로로부터 상기 제2 팁 전도성 경로로 커플링되며, 그리고
상기 제1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상기 제1 팁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2 링 전도성 경로 사이의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의 가중된 중심 포인트에 보상 크로스토크를 주입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1]
제100항에 있어서,
오펜딩 크로스토크는 상기 제1 링 전도성 경로로부터 상기 제2 링 전도성 경로로 또한 커플링되며,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제1 링 전도성 경로 및 상기 제2 팁 전도성 경로 사이의 상기 오펜딩 크로스토크의 상기 가중된 중심 포인트에 보상 크로스토크를 주입하는 제2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2]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제3 쌍으로서 구성된 제3 팁 접점 및 제3 링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팁 접점,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3 팁 접점은 팁 접점들의 수평 로우를 한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상기 제2 링 접점 및 상기 제3 링 접점은 링 접점들의 수평 로우를 한정하며,
상기 제1 팁 접점은 상기 제2 팁 접점과 상기 제3 팁 접점 사이에 넣어지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상기 제2 링 접점과 상기 제3 링 접점 사이에 넣어지며,
상기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제1 팁 접점과 상기 제3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1 내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 그리고
상기 제3 팁 접점과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2 내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3]
제10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상기 제1 팁 접점과 상기 제3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내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는 상기 제3 팁 접점과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4]
제103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및 접점들의 상기 제3 쌍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5]
제10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스페이서는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유전체로서 행동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6]
제90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및 접점들의 상기 제2 쌍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7]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상기 제2 팁 접점,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각각은 블레이드 접점 (blade contact)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8]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공통의 하우징 내에 포함된,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09]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은 제1 팁 스프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링 접점은 제1 링 스프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스프링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스프링 접점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10]
제9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과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에 배치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11]
인라인 커넥터로서: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1 팁 접점;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2 팁 접점;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링 접점;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링 접점;
상기 제1 팁 접점과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에 제1 보상 크로스토크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제1 전극을 구비한 제1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1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수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그리고
상기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 및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 각각은 소켓 접점이나 핀 접점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112]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접점과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에 제2 보상 크로스토크를 주입하도록 구성된 제1 전극을 구비한 제2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1 내부 크로스토크 보상 회로를 더 포함하는,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113]
제1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1 전극은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 사이의 상기 제1 팁 접점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 전극은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 사이의 상기 제2 링 접점에 연결된,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114]
제111항에 있어서,
하우징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과 상기 제2 팁 접점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과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에 넣어진 분리된 유전체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115]
인라인 커넥터로서: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1 팁 접점;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2 팁 접점;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1 링 접점;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제2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는 수직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는, 인라인 커넥터.
[청구항 116]
인라인 커넥터용의 더블-사이드 소켓으로: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켓들의 쌍을 형성하는 시트 금속의 롤링 섹션;
소켓들의 상기 쌍 사이에서의 연결로부터 연장되는 암; 그리고
상기 암에 부착된 커패시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더블-사이드 소켓.
[청구항 117]
통신 채널로서:
제1 케이블 어셈블리;
제2 케이블 어셈블리;
인라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자신의 위에 설치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1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1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자신의 위에 설치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2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2 쌍을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짝을 이루며, 인라인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며,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단일의 통신 신호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서로 교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의 제일 위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통신 채널.
[청구항 119]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3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3 쌍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4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4 쌍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상기 제2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는 인라인 접점들의 제2 쌍을 더 포함하며,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단일 통신 신호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통신 채널.
[청구항 120]
제119항에 있어서,
커넥터 접점들의 제3 쌍은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21]
제117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통신 채널.
[청구항 122]
제117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또는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중 적어도 하나의 쌍의 접점들은 무탈피 (insulation displacement) 접점들을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23]
제1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도체들의 상기 제1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들의 제5 쌍을 포함하는 제3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통신 채널은 상기 제3 커넥터와 짝을 이루는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24]
제12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커넥터는 도체들의 상기 제3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들의 제6 쌍을 더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25]
제124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5 쌍은 서로 교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26]
제12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보드 마운트 커넥터는 서로 교차하는 인라인 접점들의 제3 쌍을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27]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플러그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는 플러그;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과 짝을 이루는 잭 (jack)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는 잭을 포함하며,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한 차례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잭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상기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한 차례 서로 교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28]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플러그 접점들의 제2 쌍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잭은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2 쌍과 짝을 이루는 잭 접점들의 제2 쌍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29]
제1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2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30]
제128항에 있어서,
잭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지 않으며, 그리고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31]
제130항에 있어서,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잭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32]
제127항에 있어서,
플러그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또는 잭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중 적어도 하나의 쌍의 접점들은 무탈피 접점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
[청구항 133]
통신 커넥터로서,
제1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말단 부분, 제2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말단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말단 부분을 상기 제2 말단 부분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접점;
제1 라인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제1 말단 부분, 제2 말단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말단 부분을 상기 제2 말단 부분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접점은 상기 제2 접점과 교차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34]
제133항에 있어서,
제3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말단 부분, 제4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말단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말단 부분을 상기 제2 말단 부분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부분을 포함하는 제3 접점;
제3 라인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제1 말단 부분, 제2 말단 부분 그리고 상기 제1 말단 부분을 상기 제2 말단 부분으로 연결시키는 교차 부분을 포함하는 제4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제2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2 쌍을 형성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35]
제1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 및 상기 제3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은 동일 평면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 및 상기 제4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은 동일 평면에 있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36]
제1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점의 제2 말단 부분은 상기 제2 라인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 접점의 제2 말단 부분은 상기 제4 라인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점의 제2 말단 부분 및 상기 제3 접점의 제2 말단 부분은 동일 평면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의 제2 말단 부분 및 상기 제4 접점의 제2 말단 부분은 동일 평면에 있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37]
제13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의 교차 부분은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접점의 제1 말단 부분 및 상기 제2 접점의 제1 말단 부분에 의해서 한정된 제1 라인으로부터 멀리 연장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38]
제13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 및 상기 제2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은 제1 평면 내에 정렬되며,
상기 제3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 및 상기 제4 접점의 상기 제1 말단 부분은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 내에 정렬된, 통신 커넥터.
[청구항 139]
제138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접점들의 상기 제2 쌍과 대체적으로 정렬되어 접점 쌍들의 로우를 한정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40]
제133항에 따른 제1 커넥터를 자신의 위에 구비한 제1 케이블 어셈블리, 제133항에 따른 제2 커넥터를 자신의 위에 구비한 제2 케이블 어셈블리,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인라인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41]
제140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제133항에 따른 제3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42]
통신 커넥터로서,
하우징;
제1 접점 및 제2 접점; 그리고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평면 내에 대체적으로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제2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2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상기 제1 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 내에 대체적으로 정렬되며,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및 제2 쌍은 상기 제1 평면 및 제2 평면 각각에 기울어진 제3 평면에서 연장되는 수평 로우 내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43]
제142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동일평면 교차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동일평면 교차 접점들의 제2 쌍을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44]
케이블 어셈블리로서: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구비하며, 복수의 절연 도체들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상기 제1 말단 상에 설치된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1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메이팅 커넥터의 제1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1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2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2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제1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상기 제1 유형의 접점 구조와는 상이한 제2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청구항 145]
제14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커넥터는: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3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3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3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4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4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4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제2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2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3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제1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4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상기 제2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청구항 146]
케이블 어셈블리로서: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구비하며, 복수의 절연 도체들을 포함하는 통신 케이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상기 제1 말단 상에 설치된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1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메이팅 커넥터의 제1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1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2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2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2 접점으로,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하는, 제2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3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3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3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제4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상기 메이팅 커넥터의 제4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4 접점으로,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제2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접점들의 제2 쌍을 형성하는, 제4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및 상기 제2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제1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접점의 상기 제2 말단 및 상기 제4 접점의 상기 제2 말단 각각은 상기 제1 유형의 접점 구조와는 상이한 제2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청구항 147]
제14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커넥터는 제1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메이팅 커넥터는 제1 메이팅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상기 제2 말단 상의 제2 통신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커넥터는:
하우징;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상기 제1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제2 메이팅 커넥터의 제1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5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상기 제2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제2 메이팅 커넥터의 제2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6 접점으로, 상기 제5 접점 및 제6 접점은 접점들의 제3 쌍을 형성하는, 제6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상기 제3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제2 메이팅 커넥터의 제3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7 접점;
상기 절연 도체들 중 상기 제4 절연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 말단 및 제2 메이팅 커넥터의 제4 접점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2 말단을 포함하는 제8 접점으로,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접점들의 제4 쌍을 형성하는, 제8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및 상기 제6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상기 제2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7 접점의 상기 제2 말단 및 상기 제8 접점의 상기 제2 말단은 상기 제1 유형의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블 어셈블리.
[청구항 148]
통신 채널 세그먼트로서:
접점들의 제1 쌍을 구비한 제1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1 케이블 어셈블리;
접점들의 제2 쌍을 구비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는 제2 케이블 어셈블리;
제1 말단 및 제2 말단을 구비한 인라인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커넥터는 인라인 접점들의 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인라인 커넥터의 상기 제1 말단과 짝을 이룰 때에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들 각각의 제1 말단들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인라인 커넥터의 상기 제2 말단과 짝을 이룰 때에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들 각각의 제2 말단들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이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인라인 커넥터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해 도체들의 쌍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는 도체들의 상기 쌍 중의 도체들이 서로 교차하는 곳인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포함하며,
도체들의 상기 쌍 중의 두 개의 도체들은 제1 통신 신호를 위한 통신 경로를 함께 형성하는, 통신 채널 세그먼트.
[청구항 149]
제14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인라인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통한 도체들의 상기 쌍은 도체들의 상기 쌍 중의 도체들이 서로 교차하는 곳인 적어도 세 개의 위치들을 포함하는, 통신 채널 세그먼트.
[청구항 150]
제149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제1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는, 통신 채널 세그먼트.
[청구항 151]
제150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1 쌍은 상기 제2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지 않으며
인라인 접점들의 상기 쌍은 상기 제1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지 않는, 통신 채널 세그먼트.
[청구항 152]
제151항에 있어서,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제1 방향에서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는, 통신 채널 세그먼트.
[청구항 153]
통신 커넥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제1 접점;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2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접점들의 제1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점 및 제2 접점은 적어도 두 차례 서로 교차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54]
제15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제3 접점;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제4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접점들의 제2 쌍을 형성하며,
상기 제3 접점 및 제4 접점은 적어도 두 차례 서로 교차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55]
제15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커넥터는,
상기 제1 접점의 제1 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절연 도체, 상기 제2 접점의 제1 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절연 도체, 상기 제3 접점의 제1 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 절연 도체 그리고 상기 제4 접점의 제1 말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절연 도체를 포함하는 케이블에 부착된, 통신 커넥터.
[청구항 156]
제1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의 제2 말단은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접점의 제2 말단과 정렬되며 그리고 상기 제3 접점의 제2 말단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4 접점의 제2 말단과 정렬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1 쌍 및 접점들의 상기 제2 쌍은 상기 제1 방향과는 상이한 제2 방향으로 로우로 정렬된, 통신 커넥터.
[청구항 157]
제1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내지 제4 접점은 메이팅 커넥터의 소켓 접점들 각각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핀 접점들을 포함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58]
제1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내지 제4 접점은 메이팅 커넥터의 핀 접점들 각각과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소켓 접점들을 포함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59]
제15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점 내지 제4 접점 중 적어도 하나의 접점은 핀 접점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접점 내지 제4 접점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접점은 소켓 접점을 포함하는, 통신 커넥터.
[청구항 160]
통신 채널로서:
제1 케이블 어셈블리로서, 자신의 제1 말단 상에 설치된 제1 커넥터 및 자신의 제2 말단 상에 설치된 제2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1 쌍에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2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1 쌍 및 상기 제1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3 쌍에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4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2 쌍을 포함하는, 제1 케이블 어셈블리;
제2 케이블 어셈블리로서, 자신의 제1 말단 상에 설치된 제3 커넥터 및 자신의 제2 말단 상에 설치된 제4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3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5 쌍에 그리고 상기 제4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6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3 쌍 및 상기 제3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7 쌍에 그리고 상기 제4 커넥터 내에 설치된 접점들의 제8 쌍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체들의 제4 쌍을 포함하는, 제2 케이블 어셈블리;
제5 커넥터로서, 각각 설치되어 제1 인쇄 회로 보드로부터 연장되는 접점들의 제9 쌍 및 접점들의 제10 쌍을 포함하며, 접점들의 상기 제9 쌍은 상기 제1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10 쌍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상기 제5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5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와 그리고 상기 제3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접점들의 제11 쌍 및 접점들의 제12 쌍을 포함하는 인라인 커넥터;
제6 커넥터로서, 각각 설치되어 제2 인쇄 회로 보드로부터 연장되는 접점들의 제13 쌍 및 접점들의 제14 쌍을 포함하며, 접점들의 상기 제13 쌍은 상기 제2 인쇄 회로 보드의 제일 위 표면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14 쌍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보여질 때에 서로 교차하며, 상기 제6 커넥터는 상기 제4 커넥터와 짝을 이루도록 구성된, 제6 커넥터를 포함하는 통신 채널,
[청구항 161]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들의 상기 제7 쌍은 서로 교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상기 제12쌍은 서로 교차하는, 통신 채널,
비록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들 및 장점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많은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인정할 것이다. 따라서, 그런 모든 수정들은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서 정의되며, 그 청구항들의 등가물들은 본원에 포함된다.

Claims (31)

  1. 인라인 통신 커넥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팁 접점 (tip contact);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링 접점 (ring contact)을 포함하며,
    상기 팁 접점은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와 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링 접점은 링 입력 접점 구조, 링 출력 접점 구조 및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와 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팁 접점 및 링 접점은 단일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쌍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링 출력 접점 구조는 핀이나 소켓 중 하나로 각각 구현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 섹션은 제1 교차 (crossover)에서 상기 링 접점 섹션과 교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 평면을 각각 차단하며,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상기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 평면을 각각 차단하며,
    상기 제2 수직 평면은 상기 제1 수직 평면과 평행하며 그리고 가로 방향에서 상기 제1 수직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하며,
    상기 수직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 및 교차하는 방향 둘 모두에 직각이며, 그리소 상기 가로 방향은 상기 길이방향에 직각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팁 출력 접점 구조,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링 출력 접점 구조 각각은 각자의 길이방향 슬릿 (slit)을 포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상기 팁 입력 소켓 및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상기 링 입력 소켓 및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은 제1 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팁 입력 소켓은 제1 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소켓은 제1 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제1 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링 접점은 제1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링 입력 소켓은 제1 링 입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소켓은 제1 링 출력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제1 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그리고
    접점들의 쌍은 제1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과 결합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입력 팁 소켓, 제2 팁 출력 소켓 및 제2 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소켓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팁 입력 소켓과 상기 제2 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입력 소켓, 제2 링 출력 소켓 및 제2 링 소켓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소켓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링 입력 소켓과 상기 제2 링 출력 소켓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운반하는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입력 소켓은 상기 제2 팁 출력 소켓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소켓은 상기 제2 링 출력 소켓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인라인 통신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소켓 연결 섹션은 제2 교차에서 상기 제2 링 소켓 연결 섹션과 교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교차 및 제2 교차는 상기 커넥터로의 입력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제2 팁 접점은 제1 수평 평면을 차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은 수직 방향에서 상기 제1 수평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한 제2 수평 평면을 차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 평면과 상기 제2 수평 평면 사이의 간격은 0.05 인치 미만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들의 제1 쌍 및 접점들의 제2 쌍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은 0.3 인치 미만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각각 설치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1 인라인 통신 커넥터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제1 하우징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상기 제1 인라인 통신 커넥터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2 인라인 통신 커넥터의 제2 하우징 내에 설치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그 사이에 공기 갭을 가지며 로우 (row)로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접점들의 제1 쌍 및 접점들의 제2 쌍 사이의 중심-대-중심 간격은 상기 접점들의 제1 쌍 및 접점들의 제2 쌍 사이의 차동-대-차동 크로스토크 (differential-to-differential crosstalk)를 실질적으로 소거하도록 선택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1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상기 팁 입력 핀과 상기 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상기 링 입력 핀과 상기 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은 제1 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팁 입력 핀은 제1 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핀은 제1 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제1 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링 접점은 제1 링 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링 입력 핀은 제1 링 입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핀은 제1 링 출력 핀을 포함하며,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제1 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접점들의 쌍은 제1 정보 신호를 운반하기 위한 접점들의 제1 쌍을 포함하며,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과 결합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입력 핀, 제2 팁 출력 핀 및 제2 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핀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팁 입력 핀과 상기 제2 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입력 핀, 제2 링 출력 핀 및 제2 링 핀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핀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링 입력 핀과 상기 제2 링 출력 핀을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운반하는 접점들의 제2 쌍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입력 핀은 상기 제2 팁 출력 핀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핀은 상기 제2 링 출력 핀과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인라인 통신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핀 연결 섹션은 제2 교차에서 상기 제2 링 핀 연결 섹션과 교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교차 및 제2 교차는 상기 커넥터로의 입력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위치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제2 팁 접점은 제1 수평 평면을 차단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은 수직 방향에서 상기 제1 수평 평면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한 제2 수평 평면을 차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1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은 상기 제1 정보 신호가 접점들의 제1 쌍을 통해서 전송될 때에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 사이의 커플링 그리고 상기 제1 링 접점 및 상기 제2 팁 접점 사이의 커플링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는 제1 플러그 어퍼처 (aperture) 및 제2 플러그 어퍼처를 구비한 더블-사이드 잭을 포함하여, 상기 제1 플러그 어퍼처 내에 받아들여진 제1 핀 커넥터를 구비한 제1 커넥터부착 (connectorized) 케이블 그리고 상기 제2 플러그 어퍼처 내에 받아들여진 제2 핀 커넥터를 구비한 제2 커넥터부착 케이블과 결합된, 인라인 통신 커넥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제어기, 제1 서브-어셈블리, 제2 서브-어셈블리 및 전자 디바이스를 구비한 차량과 결합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서브-어셈블리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서브-어셈블리의 일부이며, 그리고
    상기 제1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기와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인 경로 상에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2 케이블 어셈블리는 상기 인라인 통신 커넥터와 상기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전기적인 경로 상에 있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25. 제2항에 있어서,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 또는 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소켓 또는 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팁 연결 섹션은 상기 팁 입력 접점 구조 및 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소켓 또는 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소켓 또는 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링 연결 섹션은 상기 링 입력 접점 구조 및 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이며 그리고 상기 제1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핀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이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핀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이며 그리고 상기 제1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핀인, 인라인 통신 커넥터.
  29. 제25항에 있어서,
    제2 팁 접점 및 제2 링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접점은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 및 제2 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팁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 및 제2 링 연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연결 섹션은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와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를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팁 접점 및 상기 제2 링 접점은 제2 정보 신호를 운반하는 접점들의 제2 쌍으로서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팁 입력 핀 접점 구조는 상기 제2 팁 출력 구조와 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으며 그리고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는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와동일 직선 상에 있지 않은, 인라인 통신 커넥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팁 입력 접점 구조는 팁 입력 소켓 또는 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팁 출력 접점 구조는 팁 출력 소켓 또는 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입력 접점 구조는 링 입력 소켓 또는 링 입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 출력 접점 구조는 링 출력 소켓 또는 링 출력 핀 중 하나를 포함하는, 인라인 통신 커넥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팁 접점은 상기 제2 팁 접점과 구조적으로 상이하며, 그리고
    상기 링 접점은 상기 제2 링 접점과 구조적으로 상이한, 인라인 통신 커넥터.
KR1020157035029A 2013-05-09 2014-05-02 가혹한 환경들에 적합한 고속 데이터 레이트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 그리고 관련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160007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21345P 2013-05-09 2013-05-09
US61/821,345 2013-05-09
US201361824174P 2013-05-16 2013-05-16
US61/824,174 2013-05-16
US201361824698P 2013-05-17 2013-05-17
US61/824,698 2013-05-17
US201361832278P 2013-06-07 2013-06-07
US61/832,278 2013-06-07
PCT/US2014/036544 WO2014182562A1 (en) 2013-05-09 2014-05-02 High data rate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that are suitable for harsh environ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597A true KR20160007597A (ko) 2016-01-20

Family

ID=5089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029A KR20160007597A (ko) 2013-05-09 2014-05-02 가혹한 환경들에 적합한 고속 데이터 레이트 커넥터들 및 케이블 어셈블리들 그리고 관련된 방법들 및 시스템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9590339B2 (ko)
EP (2) EP3276754A1 (ko)
KR (1) KR20160007597A (ko)
CN (3) CN110544840A (ko)
WO (1) WO20141825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5729B (zh) * 2012-07-16 2017-08-08 美国北卡罗来纳康普公司 平衡的插头连接器和插座连接器
US9590339B2 (en) * 2013-05-09 2017-03-0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High data rate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that are suitable for harsh environ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9402308B2 (en) * 2013-10-14 2016-07-26 Avant Technology, Inc. Plug standards-compliant circuit modules and connectors
US9301415B2 (en) * 2013-10-14 2016-03-29 Avant Technology, Inc. Plug standards-compliant circuit modules and connectors
CN104752858B (zh) * 2013-12-30 2017-10-3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及插座连接器
US10535941B2 (en) * 2014-07-23 2020-01-14 Baotou Youran Network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mobile terminal with its fitting
US10403996B2 (en) 2014-07-23 2019-09-03 Baotou Youran Network Technology Co., Ltd. Mobile terminal fitting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US10484587B2 (en) 2015-03-09 2019-11-19 Magna Electronics Inc. Vehicle camera with connector system for high speed transmission
CN104852186A (zh) * 2015-05-28 2015-08-19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EP3163688B1 (de) 2015-10-28 2021-12-15 LEONI Kabel GmbH Anordnung mit zwei über ein verbindungselement miteinander verbundenen datenkabeln
CN107681317B (zh) * 2016-02-17 2019-04-09 浙江峰邦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慧城市建筑交通线缆的金属柱和金属套筒的插接连接结构
GB2547958B (en) 2016-03-04 2019-12-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wo-wire plug and receptacle
JP6729274B2 (ja) * 2016-10-12 2020-07-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構造
US11296431B2 (en) * 2016-10-21 2022-04-05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s
CN110546822A (zh) 2017-04-24 2019-12-0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单个扭绞导体对的连接器
US11271350B2 (en) 2017-06-08 2022-03-0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DE102017216647A1 (de) * 2017-09-20 2019-03-21 Robert Bosch Gmbh Kabel mit entkoppeltem Schirmleiter und Verfahren zum Entkoppeln eines Schirmleiters eines Kabels
WO2019147774A1 (en) 2018-01-26 2019-08-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EP3759765A4 (en) 2018-02-26 2022-04-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TWI669723B (zh) * 2018-06-12 2019-08-21 岳林工業有限公司 用以發射訊號的電纜及其製造方法
EP3939129A4 (en) 2019-03-15 2022-12-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EP3726667A1 (en) 2019-04-15 2020-10-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onnector for high-frequency transmissions in the automotive field, impedance improving element, connection assembly, method of improving the impedance in a connector
CN210137029U (zh) * 2019-08-13 2020-03-10 纽陲客股份公司 嵌入式插接连接器
US11476707B2 (en) 2020-10-06 2022-10-18 Apple Inc. Wireless power system housing
US11936128B2 (en) * 2021-02-09 2024-03-19 Lear Corporation Electrical unit with offset terminals
CN113078510B (zh) * 2021-03-10 2023-09-19 东莞立讯技术有限公司 连接器组件
US20220416453A1 (en) * 2021-06-29 2022-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der connector pin arrangement
US11860609B2 (en) * 2021-09-23 2024-01-0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ingle Pair Ethernet for operator control stations
CN116759833B (zh) * 2023-08-17 2023-12-26 宁波精成电机有限公司 一种电机连接器及其制造方法、车窗驱动电机以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833A (en) * 1971-05-12 1973-06-05 Honeywell Inf Systems Ribbon cable connector system having feed thru connector
US3761842A (en) * 1972-06-01 1973-09-25 Bell Telephone Labor Inc Twisted pair flat conductor cable with means to equalize impedance and propagation velocity
US3757028A (en) * 1972-09-18 1973-09-04 J Schlessel Terference printed board and similar transmission line structure for reducing in
US4072390A (en) 1976-09-09 1978-02-07 Roy W. Fox Electrical connector
US4418239A (en) * 1981-08-24 1983-11-29 Oak Industries Inc. Flexible connector with interconnection between conductive traces
US4917625A (en) * 1988-07-25 1990-04-17 Ernest Haile Snap-on electrical connector for electrical cord having mating plugs
JPH033289A (ja) * 1989-05-30 1991-01-09 Gurafuiko:Kk ツイスト・プリント配線
DE4015238A1 (de) * 1990-05-10 1991-11-14 Krone Ag Anschlussleiste fuer die fernmeldetechnik
GB9105371D0 (en) 1991-03-14 1991-05-01 Dow Corning Organosilicon compounds and their use in film-forming copolymers for water vapour permeable coatings
US5240430A (en) * 1991-10-31 1993-08-31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it board application
US5282754A (en) * 1992-09-03 1994-02-01 Northern Telecom Limited Multi-terminal electrical connectors
US5362257A (en) * 1993-07-08 1994-11-08 The Whitaker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nector terminal arrays having noise cancelling capabilities
US5397862A (en) * 1993-08-31 1995-03-14 Motorola, Inc. Horizontally twisted-pair planar conductor line structure
US5430247A (en) * 1993-08-31 1995-07-04 Motorola, Inc. Twisted-pair planar conductor line off-set structure
DE9412794U1 (de) * 1994-08-09 1995-09-07 Krone Ag Leiterplatte für Steckverbinder
JP2898211B2 (ja) * 1994-11-22 1999-05-31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雌型コネクター
US5586914A (en) * 1995-05-19 1996-12-24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crosstalk between a plurality of conductors
JPH097660A (ja) * 1995-06-22 1997-01-10 Yazaki Corp 信号伝達装置
US5647770A (en) * 1995-12-29 1997-07-15 Berg Technology, Inc. Insert for a modular jack useful for reducing electrical crosstalk
JP2860468B2 (ja) * 1996-05-24 1999-02-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擬似ツイストペア平型柔軟ケーブル
JP3528484B2 (ja) * 1996-12-27 2004-05-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擬似ツイストペア平型柔軟ケーブル
US6107578A (en) * 1997-01-16 2000-08-22 Lucent Technologies Inc.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overlapping conductors for crosstalk compensation
US5997358A (en) 1997-09-02 1999-12-07 Lucent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ime-delayed signal compensation
US5915989A (en) 1997-05-19 1999-06-29 Lucent Technologies Inc. Connector with counter-balanced crosswalk compensation scheme
JPH10320847A (ja) 1997-05-20 1998-12-04 Sony Corp ディス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装置
US6050843A (en) 1997-07-31 2000-04-18 Lucent Technologies Inc. Crosstalk canceling 110 index strip and wiring block
US6186936B1 (en) * 1998-03-04 2001-02-13 Hallmark Cards, Incorporated Paper embossing system with a flexible counter and method of embossing
JP3333457B2 (ja) * 1998-10-16 2002-10-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コネクタ
US6309240B1 (en) 1998-12-21 2001-10-30 Avaya Technology Corp. Terminal strip for maintaining tip/ring orientation standards
US6300846B1 (en) * 1999-03-18 2001-10-09 Molex Incorporated Flat flexible cable with ground conductors
US6186834B1 (en) * 1999-06-08 2001-02-13 Avaya Technology Corp. Enhanced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rosstalk compensation
JP2001196126A (ja) * 2000-01-07 2001-07-19 Oki Electric Cable Co Ltd 極数自在型コネクタ
US6290532B1 (en) * 2000-07-05 2001-09-1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wires in a highspeed serial data connector
CN1252880C (zh) * 2001-06-11 2006-04-19 莫莱克斯公司 高密度阻抗调协连接器
US6848944B2 (en) 2001-11-12 2005-02-01 Fci Americas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speed communications
US7422467B2 (en) 2004-11-17 2008-09-09 Belden Cdt (Canada), Inc. Balanced interconnector
US7166000B2 (en) * 2004-12-07 2007-01-23 Commscope Solutions Properties, Llc 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leadframe contact wires that compensate differential to common mode crosstalk
WO2006081423A1 (en) * 2005-01-28 2006-08-03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ntrolled mode conversion connector for reduced alien crosstalk
US7223115B2 (en) * 2005-06-03 2007-05-2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ross-connect systems with connector blocks having balanc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s
US7503798B2 (en) 2005-06-03 2009-03-1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ross connect systems with self-compensating balanced connector elements
US8553364B1 (en) * 2005-09-09 2013-10-08 Magnecomp Corporation Low impedance, high bandwidth disk drive suspension circuit
US7331802B2 (en) * 2005-11-02 2008-02-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rthogonal connector
US7341493B2 (en) * 2006-05-17 2008-03-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aggered contacts
CN101595536B (zh) * 2006-12-01 2013-03-06 西蒙公司 端接可变性减少的模块化连接器
JP5029151B2 (ja) * 2007-06-06 2012-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7857635B2 (en) * 2007-09-12 2010-12-28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Board edge termination back-end connection assemblies and communications connectors including such assemblies
US7982132B2 (en) 2008-03-19 2011-07-1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Reduced size in twisted pair cabling
CN201278410Y (zh) * 2008-09-19 2009-07-22 永泰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结构改良的高频连接器
US7927152B2 (en) * 2009-03-02 2011-04-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spacing member
US8016621B2 (en) * 2009-08-25 2011-09-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electrically parallel compensation region
US8469745B2 (en) 2010-11-19 2013-06-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CN202004194U (zh) * 2010-12-21 2011-10-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8610000B2 (en) * 2011-10-07 2013-12-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ircuit board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8920199B2 (en) * 2012-02-13 2014-12-30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Patch cord having a plug with differential transmission lines
CN102983435A (zh) * 2012-11-29 2013-03-20 广迎工业股份有限公司 Usb与hdmi双接口单插口连接器
US9590339B2 (en) 2013-05-09 2017-03-07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High data rate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that are suitable for harsh environ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74273A1 (en) 2020-08-27
EP3276754A1 (en) 2018-01-31
CN105264717B (zh) 2017-12-22
US10320104B2 (en) 2019-06-11
CN107978885A (zh) 2018-05-01
CN105264717A (zh) 2016-01-20
US10665974B2 (en) 2020-05-26
WO2014182562A1 (en) 2014-11-13
CN110544840A (zh) 2019-12-06
EP2949009A1 (en) 2015-12-02
CN107978885B (zh) 2019-10-11
US20190363468A1 (en) 2019-11-28
US20170133778A1 (en) 2017-05-11
US9590339B2 (en) 2017-03-07
EP2949009B1 (en) 2017-10-25
US20140335732A1 (en) 2014-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5974B2 (en) High data rate connectors and cable assemblies that are suitable for harsh environment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US11303068B2 (en) Balanced pin and socket connectors
ES2211802T3 (es) Elemento de conexion para comunicacion de datos de alta velocidad.
EP1876675A1 (en) Electric connector
TW200822472A (en) High speed modular jack
CN105896145B (zh) 连接器
US9905972B2 (en) Plug connector having crosstalk compensation
US20150079849A1 (en)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US10424874B2 (en) Modular jack connector with offset circuitry for controlled capacitance compensation
US9281622B2 (en) Communications jacks having low-coupling contacts
US10637196B2 (en) Modular jack contact assembly having controlled capacitive coupling positioned within a jack housing
US7576996B2 (en) Telecommunications components having reduced alien crosstalk
GB2437157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hielding around each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