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437A - 완충기 - Google Patents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437A
KR20160007437A KR1020150098467A KR20150098467A KR20160007437A KR 20160007437 A KR20160007437 A KR 20160007437A KR 1020150098467 A KR1020150098467 A KR 1020150098467A KR 20150098467 A KR20150098467 A KR 20150098467A KR 20160007437 A KR20160007437 A KR 20160007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amping force
force adjusting
foreign matter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야 게이다
이쿠히데 이요다
마사아키 다바타
다카시 구로코우치
가즈노리 곤도
우미 다나베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7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4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46Adjustment of valve bias or pre-str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3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characterised by electric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부착 상태에서 커버(70)의 최하측이 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형성하고, 이물질 배출 구멍(83)의 크기를, 취출구(75)와 하네스(36)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크게 했다. 이에 따라, 커버(70) 내에 들어간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통해 확실하게 커버(7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기{SHOCK ABSORBER}
본 발명은 감쇠력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있어서, 감쇠력 조정 기구에 접속된 하네스를, 하네스의 취출구가 형성된 커버로 덮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서는, 하네스와 하네스의 취출구의 간극을 통해 커버 내에 들어간 이물질이 커버의 배수 구멍을 폐색할 우려가 있다.
그와 같은 구성의 예로는, 일본 실용 공개 소62-60736호 공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하네스와 하네스의 취출구의 간극을 통해 커버 내에 들어간 이물질을 확실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완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완충기는, 상대 이동 가능한 2부재 사이에 부착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와, 상기 실린더의 측부로 돌출된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감쇠력 조정 기구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하네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하네스를 취출하는 취출구와, 부착 상태에서 하측이 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 구멍의 크기는 상기 취출구와 상기 하네스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크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네스와 하네스의 취출구의 간극을 통해 커버 내에 들어간 이물질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축평면에 의한 단면도로서, 특히 감쇠력 조정 기구를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 단면도로서, 특히 외측 튜브, 하우징, 커버 및 장착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설명도로서, 커버와 장착 브래킷이 접합된 외측 튜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설명도로서, 부착 상태에서 커버가 연석의 상면에 가장 접근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차량의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에 사용되는 제어 밸브 측방 부착형의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이하 「완충기(1)」라고 함)를 예시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도 1에서의 상하 방향을 완충기(1)의 상하 방향(축선을 따르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충기(1)는, 내측 튜브(2)(실린더)의 외측에 외측 튜브(3)가 설치된 복통 구조를 이룬다. 외측 튜브(3)는 하단에 접합된 하부 캡(4)에 의해 폐색된다. 하부 캡(4)에는 차량의 차륜측 부재(예컨대 너클)에 부착되는 장착 아이(5)가 설치된다. 내측 튜브(2)와 외측 튜브(3) 사이에는 고리형의 리저버(6)가 형성된다. 내측 튜브(2)의 내측 둘레에는 피스톤(7)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감합된다. 내측 튜브(2)의 내부는 피스톤(7)에 의해 제1 실(2A)과 제2 실(2B)로 상하로 분획된다.
피스톤(7)에는 피스톤 로드(8)의 일단이 너트(9)에 의해 연결된다. 피스톤 로드(8)의 타단측(도 1에서의 상측)은 제1 실(2A)을 통과하여, 로드 가이드(10), 시일 부재(11) 및 캡(12)에 삽입 관통되어, 내측 튜브(2)의 외부로 연장된다. 로드 가이드(10)는 내측 튜브(2)의 상단에 감합된다. 캡(12)은 외측 튜브(3)의 상단에 접합된 대략 원통형의 케이싱(13)에 나사로 부착된다. 시일 부재(11)는 금속제의 원판에 탄성 부재를 소성하여 형성한 것으로, 외측 둘레 부분이 로드 가이드(10)와 캡(12) 사이에 끼인다. 또한, 시일 부재(11)의 하면측에는 로드 가이드(10)에 접촉된 립 시일(14)이 설치된다. 립 시일(14)은 작동 유체로서의 유액이 실(15)로부터 복귀하여 통로(16)를 통해 리저버(6)로 유통하는 것을 허용함과 함께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한다. 또, 캡(12)과 케이싱(13) 사이는 O링(17)에 의해 시일된다.
내측 튜브(2)의 하단에는 제2 실(2B)과 리저버(6)를 구획하는 베이스 밸브(18)가 설치된다. 피스톤(7)에는 제1 실(2A)과 제2 실(2B)을 연통하는 통로(19, 20)가 설치된다. 통로(20)에는 제2 실(2B)측으로부터 제1 실(2A)측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21)가 설치된다. 통로(19)에는, 제1 실(2A)측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함으로써 개방되어, 그 제1 실(2A)측의 작동 유체의 압력을 제2 실(2B)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디스크 밸브(22)가 설치된다.
베이스 밸브(18)에는 제2 실(2B)과 리저버(6)를 연통시키는 통로(23, 24)가 설치된다. 통로(23)에는 리저버(6)측으로부터 제2 실(2B)측으로의 작동 유체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체크 밸브(25)가 설치된다. 통로(24)에는, 제2 실(2B)측의 작동 유체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에 도달했을 때에 개방되어, 그 제2 실(2B)측의 작동 유체의 압력을 리저버(6)측으로 밀어내는 디스크 밸브(26)가 설치된다. 또, 내측 튜브(2) 내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유액이 봉입되고, 리저버(6) 내에는 유액 및 가스가 봉입된다.
내측 튜브(2)의 양쪽 단부 외측 둘레에는 시일 부재(27)를 통해 세퍼레이터 튜브(28)의 양쪽 단부가 감합된다. 내측 튜브(2)와 세퍼레이터 튜브(28) 사이에는 고리형 유로(29)가 형성된다. 고리형 유로(29)는 내측 튜브(2)의 상단부 근방의 측벽에 설치된 통로(30)에 의해 제1 실(2A)에 연통된다. 세퍼레이터 튜브(28)의 측벽에는 버링 형상의 분기관(31)이 설치된다. 분기관(31)은 세퍼레이터 튜브(28)의 측벽의 하부로부터 세퍼레이터 튜브(28)의 반경 방향(도 1에서의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외측 튜브(3)의 측벽에는 후술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33)가 수용되는 하우징(66)이 설치된다. 하우징(66)은 감쇠력 조정 밸브(34)가 수용되는 대략 원통형의 제1 하우징(67)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67)은 외측 튜브(3)의 하부로부터 외측 튜브(3)의 직경 방향 외측(도 1에서의 우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제1 하우징(67)의 기단(도 1에서의 좌단)이 외측 튜브(3)의 측벽에 형성된 접속구(32)의 주위에 접합된다. 하우징(66)은 대략 원통형의 제2 하우징(68)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68)은 제1 하우징(67)의 선단(도 1에서의 우단)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하우징(68)에는 감쇠력 조정 기구(33)의 솔레노이드(35)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66)은 제1 하우징(67)과 제2 하우징(68)을 체결시키기 위한 록 너트(69)를 포함한다.
전술한 감쇠력 조정 기구(33)는, 내측 튜브(2)측(도 1에서의 좌측, 이하 「실린더측」이라고 함)에 배치되는 감쇠력 조정 밸브(34)(감쇠력 발생부)와, 내측 튜브(2)(실린더)와 이격되는 쪽(도 1에서의 우측, 이하 「실린더와 이격되는 쪽」이라고 함)에 배치되는 솔레노이드(35)와, 그 솔레노이드(35)에 제어부(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하네스(36)와, 그 하네스(36)의 솔레노이드(35)측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37)를 포함한다. 또, 감쇠력 조정 기구(33)는, 종래 구조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감쇠력 조정 기구(33)를 가상선으로 나타냄과 함께 감쇠력 조정 기구(33)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감쇠력 조정 기구(33)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70)를 설명한다. 커버(70)는 외측 튜브(3)(실린더)의 측벽에 설치된 장착 브래킷(41)(부착 부재)에 부착된다. 장착 브래킷(41) 및 커버(70)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 금속제 부품이다. 또, 장착 브래킷(41)의 판두께는 커버(70)의 판두께보다 크게 설정된다. 장착 브래킷(4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원통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으로 형성된다. 장착 브래킷(41)은 제1 하우징(67) 주위의 일부를 덮는다. 또한, 장착 브래킷(41)은, 제1 고정편(42) 및 제2 고정편(43)과, 제1 고정편(42)과 제2 고정편(43)을 접속하는 제3 고정편(44)을 갖는다. 제1 고정편(42) 및 제2 고정편(43)은, 제1 하우징(67)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66)의 돌출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외측 튜브(3)의 직경 방향의 양쪽(도 2에서의 상하 방향 양쪽)에 배치된다.
제1 고정편(4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도 2에서의 좌측) 단부(42A)를 갖고 있고, 그 단부(42A)가 외측 튜브(3)의 측벽에 접합(용접)된다. 제1 고정편(42)의 장착 아이(5)와 이격되는 쪽(도 3에서의 좌측)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커버(70)의 플랜지부(73)를 체결시키기 위한 제1 장착편(45)이 설치된다. 또한, 제1 고정편(42)에는, 제1 장착편(45)의 강성, 나아가서는 제1 장착편(45)에 체결되는 플랜지부(73)의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46)가 설치된다. 또, 제1 장착편(45)에는 플랜지부(73)의 체결에 사용되는 볼트(47)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 관통 구멍(48)이 형성된다.
제2 고정편(4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도 2에서의 좌측) 단부(43A)를 갖고 있고, 그 단부(43A)가 외측 튜브(3)의 측벽에 접합(용접)된다. 제2 고정편(43)의 장착 아이(5)와 이격되는 쪽(도 3에서의 좌측)의 단부에는 제2 장착편(51)이 설치된다. 제2 장착편(51)에는 커넥터(37)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36)(도 1 참조)를 클램프하기 위한 하네스 클램프(50)가 부착된다. 제2 장착편(51)의 대략 중앙에는, 하네스 클램프(50)에 형성된 볼트 삽입 관통 구멍(53)에 삽입 관통되는 스터드 볼트(52)가 세워져 설치된다. 또, 하네스 클램프(50)는 스터드 볼트(52)에 나사 결합한 너트(54)를 체결함으로써 제2 장착편(51)에 고정된다. 또한, 하네스 클램프(50)에 형성된 돌기(55)를 제2 장착편(51)의 절결(56)에 결합시킴으로써, 하네스 클램프(50)의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된다. 그 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 하네스 클램프(50)의 제2 장착편(51)에 대한 스터드 볼트(5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저지된다.
제3 고정편(44)은 적어도 하나의 용접부(57)에 의해 외측 튜브(3)의 측벽에 접합된다. 제3 고정편(44)의 제2 고정편(43)측(도 3에서의 상측)의 단부에는 제3 장착편(58)이 설치된다. 제3 장착편(58)에는 후술하는 커버(70)의 아암부(74)가 체결된다. 또한, 제3 장착편(58)에는 아암부(74)의 체결에 사용되는 볼트(59)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 관통 구멍(60)이 형성된다. 제3 장착편(58)에 형성된 돌기(61)를 아암부(74)의 절결(62)에 결합시킴으로써, 아암부(74), 나아가서는 커버(70)의 회전 방지 기구가 구성된다. 그 회전 방지 기구에 의해, 커버(70)의 장착 브래킷(41)에 대한 볼트(59)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저지된다. 또, 도 3에 나타낸 부호 63은 버링부, 부호 64는 직경 확장부이며, 모두 장착 브래킷(41)의 강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70)는 개구부(71)와 바닥부(72)를 갖는 대략 컵형(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66)의 외측 둘레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70)는, 록 너트(69)의 외측 둘레의 일부와, 제2 하우징(68)의 록 너트(69)로부터 돌출된 부분의 외측 둘레를 덮는다. 또한, 커버(70)는, 제2 하우징(68)의 선단에 부착된 커넥터(37)와, 그 커넥터(37)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36)의 일부(근원 부분)를 덮는다. 커버(70)에는, 전술한 플랜지부(73)와, 전술한 아암부(74)가 설치된다. 플랜지부(73)는 커버(7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브래킷(41)의 제1 장착편(45)에 체결된다. 아암부(74)도 커버(7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장착 브래킷(41)의 제3 장착편(58)에 체결된다.
여기서, 「하우징(66)의 외측 둘레의 일부를 덮는다」의 표현은, 「차량의 통상 주행에서 상정되는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덮는다」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 것이다. 예컨대, 그 완충기(1)가 차량의 우측 후륜에 부착되는 경우, 적어도 우측 전륜에 의해 튀어오른 노상의 돌이 하우징(66)에 충돌하여 감쇠력 조정 기구(33)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커버(70)가 하우징(66)을 덮는 것을 의미한다.
커버(70)에는, 솔레노이드(35)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36)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75)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취출구(75)는, 도 5에 나타낸 완충기(1)가 차량에 부착된 상태(이하 「부착 상태」라고 함)에서 상측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취출구(75)에는, 둘레 가장자리(개구부(71))의 일부를 커버(70)의 외측으로 꺾어 접음(R 굽힘 성형함)으로써 형성된 접음부(76)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37)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36)는 접음부(76)의 R부(76A)의 개소에서 커버(70)와 접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플랜지부(73)는, 볼트(47)를 수용함과 함께 장착 브래킷(41)의 제1 장착편(45)에 접촉(체결)되는 시트부(77)를 갖는다. 시트부(77)의 중앙에는, 전술한 볼트(47)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 관통 구멍(78)이 형성된다. 또한, 시트부(77)의 주위에는, 플랜지부(73)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측벽(79)이 형성된다. 환언하면, 플랜지부(73)는 오목한 바닥부에 형성된 시트부(77)를 갖는다. 아암부(74)는, 플랜지부(73)와 아암부(74)가 외측 튜브(3)에 직경 방향(도 2에서의 상하 방향)으로 걸쳐지도록, 플랜지부(73)에 대하여 대략 반대측으로 연장된다. 아암부(74)에는, 전술한 볼트(59)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삽입 관통 구멍(80)이 형성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73)는, 전술한 볼트(47)(체결 부재) 및 그 볼트(47)에 나사 결합된 너트(81)에 의해, 장착 브래킷(41)의 제1 장착편(45)에 체결된다. 플랜지부(73)에는, 도 2에서의 상단(하우징(66)과 이격되는 쪽의 단부)을 실린더(3)와 이격되는 쪽(도 2, 도 3에서의 우측)으로 꺾어 구부려서 형성한 벽부(82)(덮개부)가 설치된다. 벽부(82)는 볼트(47)의 헤드부를 덮을 수 있도록 일정한 높이(도 2에서의 좌우 방향의 치수, 즉, 하우징(66)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 및 폭(도 4에서의 상하 방향의 치수, 즉, 실린더(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을 갖는다.
커버(70)에는, 부착 상태에서 최하측이 되는 위치에, 대략 원형으로 개구된 이물질 배출 구멍(83)(도 4 참조)이 형성된다. 이물질 배출 구멍(83)은, 도 5에 나타내는 커버(70)가 연석(84)(콘크리트 경계 블록)의 상면에 가장 접근했을 때에, 연석(84)의 상면과 일치하는 평면(P)(절단 평면(P))에 따라 커버(7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연석(8)의 높이는 대략 15 cm∼25 cm인 것이 많기 때문에, 그 높이와 일치하는 평면(P)으로 한다. 이물질 배출 구멍(83)의 크기(직경)는 취출구(75)와 하네스(36)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크다. 환언하면, 커버(70)는 취출구(75)와 하네스(36) 사이의 간극을 통해 커버(70) 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중에서 최대의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통해 커버(7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물질 배출 구멍(83)의 크기는, 커버(70)와 하우징(66) 또는 감쇠력 조정 기구(33) 사이의 간극보다 크다. 환언하면, 커버(70)는 커버(70)와 하우징(66) 또는 감쇠력 조정 기구(33)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중에서 최대의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통해 커버(7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70)는 부착 상태에서 최하측이 되는 위치에 도달한 커버(70) 내의 이물질 전부를 커버(7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엄밀하게 말하면, 이물질 배출 구멍(83)은 커버(70)가 연석(84)에 가장 접근했을 때에 연석(84)의 상면과 일치하는 평면(P) 상에 위치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커버(70)가 연석(84)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완충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여기서, 완충기(1)는 차량의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며, 차량의 차체측 부재와 차륜측 부재의 2부재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부착된다. 상세하게는, 완충기(1)는 피스톤 로드(8)의 타단측 선단이 차량의 차체측 부재에, 또한 장착 아이(5)가 차량의 차륜측 부재에 각각 접속된다. 또, 한정하지 않지만, 완충기(1)는 차량의 우측 후륜에 대응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하우징(66)(감쇠력 조정 기구(33))이 클록 포지션에서 차량의 전방 방향에 대하여 10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차량에 부착된다.
차량의 주행시에 완충기(1)의 피스톤 로드(8)가 신축되면, 감쇠력 조정 기구(33)는, 고리형 유로(29)로부터 리저버(6)로 유통하는 유액의 유량을 감쇠력 조정 밸브(34)(감쇠력 발생부)에 의해 제어하여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감쇠력 조정 기구(33)는, 감쇠력 조정 밸브(34)의 밸브 개방 압력을 솔레노이드(35)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발생하는 감쇠력을 가변(단계적 또는 무단계)적으로 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차량의 우측 후륜측에 부착된 완충기(1)에서는, 차량의 주행시에 우측 전륜에 의해 튀어오른 노상의 돌(이하 「비석(飛石)」이라고 함)이, 도 2에서의 B 방향(도 5에서의 정면)으로부터 날아온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66)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70)에 의해, 하우징(66)에 수용된 감쇠력 조정 기구(33)를 비석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70)를 금속제로 함으로써, 플라스틱제의 커버와 비교하여 강도, 나아가서는 감쇠력 조정 기구(33)의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착 상태에서 커버(70)의 최하측이 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형성했기 때문에, 커버(70) 내의 이물질(빗물을 포함)을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통해 커버(70)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예컨대 돌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막아, 커버(70) 내에 체류하는 빗물에 커넥터(37)가 침지되는 것에 기인하는 감쇠력 조정 기구(33)의 문제, 나아가서는 완충기(1)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착 상태에서 커버(70)가 연석(84)의 상면에 가장 접근했을 때에 연석(84)의 상면과 일치하는 평면(P)에 따라, 커버(7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커버(70)에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형성했다, 환언하면, 부착 상태에서 커버(70)가 연석(84)의 상면에 가장 접근했을 때에 연석(84)의 상면과 일치하는 평면(P)에, 이물질 배출 구멍(83)의 윤곽(커버(70)의 외표면 상의 윤곽)을 포함하는 평면을 일치시켰기 때문에, 커버(70)와 연석(84)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70)의 레이아웃이 용이해져, 서스펜션 설계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환언하면, 커버(70)에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형성하지 않았을 때에, 완충기(1)를 차체에 부착한 경우에 커버(70)에 최하측 위치가 되는 부위가 생긴다. 그 최하측 위치가 되는 커버(70)의 부위를 제거함으로써, 그 곳이 이물질 배출 구멍(83)이 된다. 최하측 위치가 되는 커버(70)의 부위를 제거한 분만큼, 커버(83)의 최하측 위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노면측 장애물과의 간섭을 회피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물질 배출 구멍(83)은, 이물질을 배출하는 기능과 연석(84)과의 간섭을 회피하는 기능을 겸비하기 때문에, 커버(70)에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가공과 연석(84)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가공을 별개로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버(70)의 제조 공정을 합리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커버(70), 나아가서는 완충기(1)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가공수의 증가에 따르는 커버(70)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간섭하는 부재로서 연석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노면측 장애물로서 파킹 블록 등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물질 배출 구멍(83)의 크기(직경)를, 취출구(75)와 하네스(36)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크게 하였다. 또한, 이물질 배출 구멍(83)의 크기(직경)를, 커버(70)와 하우징(66) 또는 감쇠력 조정 기구(33) 사이의 간극보다 크게 했기 때문에, 커버(70) 내에 들어간 이물질을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통해 확실하게 커버(70)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이물질이 커버(70) 내에 체류하는 것에 기인하는 이음(異音)이나 감쇠력 조정 기구(33)의 손상, 및 이물질이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폐색하는 것에 의한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70)의 취출구(75)에, 둘레 가장자리(개구부(71))의 일부를 커버(70)의 외측으로 꺾어 접어 접음부(76)를 형성하고, 커넥터(37)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36)를 커버(70)의 접음부(76)의 R부(76A)에 접촉시키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하네스(36)가 취출구(75)의 단부(엣지)에 접촉하는 것에 의한 하네스(3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70)의 플랜지부(73)에 형성한 벽부(82)(덮개부)에 의해 볼트(47)의 헤드부를 덮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비석의 충돌에 의한 볼트(47)의 이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커버(70)의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대략 원형의 구멍으로 했지만, 이물질 배출 구멍(83)은 대략 원형의 구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슬릿, 즉, 부착 상태에서 커버(70)가 연석(84)의 상면에 가장 접근했을 때에 연석(84)의 상면과 일치하는 평면(P)에 따라 커버(7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슬릿형의 이물질 배출 구멍(83)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솔레노이드(35)로부터 연장되는 하네스(36)를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75)를 구비하도록 했지만, 취출구(75)로부터 취출되는, 환언하면, 솔레노이드(35)로부터 외부(커버(70)의 외측)를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부재는, 하네스(36)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신호 케이블, 커넥터(37)의 일부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하우징(67)과 제2 하우징(68)을 록 너트(69)로 체결시킴으로써 하우징(66)이 구성되지만, 제1 하우징(67)과 제2 하우징(68)을 코킹에 의해 접합하여 하우징(66)을 구성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몇몇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한 교시사항 및 장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서도,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많은 변형을 실시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본 출원은 35 U.S.C. 119조에 의거 2014년 7월 1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43594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2014년 7월 1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43594호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비롯한 모든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인용되어 있다.

Claims (6)

  1. 상대 이동 가능한 2부재 사이에 부착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로서,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7)과,
    상기 피스톤(7)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2)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8)와,
    상기 실린더(2)의 측부로 돌출된 하우징(66) 내에 설치되는 감쇠력 조정 기구(33)와,
    상기 하우징(66)의 외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70)
    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33)는 솔레노이드(35)와, 그 솔레노이드(35)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하네스(36)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70)에는 상기 하네스(36)를 취출하는 취출구(75)와, 부착 상태에서 하측이 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 구멍(83)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 구멍의 크기는 상기 취출구와 상기 하네스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에 상기 이물질 배출 구멍(83)을 형성함으로써, 완충기를 차체에 부착한 상태로 상기 커버의 최하측 위치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는 개구부(71)와 바닥부(72)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75)에는 상기 개구부(71)를 외측으로 꺾어 접은 접음부(7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70)의 상기 개구부(71)에는 플랜지부(73)가 일체로 설치되고, 이 플랜지부(73)는 상기 실린더(2)에 설치되는 부착 부재(41)에 대하여 체결 부재(47)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이고 상기 플랜지부(73)의 단부에는 상기 체결 부재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5. 상대 이동 가능한 2부재 사이에 부착되는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로서,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 내에 삽입되는 피스톤(7)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 로드(8)와,
    상기 실린더의 측부로 돌출된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감쇠력 조정 기구(33)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70)
    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는 솔레노이드(35)와, 그 솔레노이드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부재(36)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연장 부재를 취출하는 취출구(75)와, 부착 상태에서 하측이 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 구멍(83)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 구멍의 크기는 상기 취출구와 상기 연장 부재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기.
  6.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용의 보호 부재로서,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1)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 방향으로 돌출된 감쇠력 조정 기구(33)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의 외측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7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70)는,
    상기 감쇠력 조정 기구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연장되는 연장 부재를 취출하는 취출구(75)와,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에 부착된 부착 상태에서, 상기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의 일단측에 배치되는 위치에 이물질 배출 구멍(83)
    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 구멍의 크기는 상기 취출구와 상기 연장 부재 사이의 간극의 크기와 동등하거나 또는 보다 큰 것인 감쇠력 조정식 완충기용의 보호 부재.
KR1020150098467A 2014-07-11 2015-07-10 완충기 KR201600074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3594A JP2016020701A (ja) 2014-07-11 2014-07-11 緩衝器
JPJP-P-2014-143594 2014-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437A true KR20160007437A (ko) 2016-01-20

Family

ID=54867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467A KR20160007437A (ko) 2014-07-11 2015-07-10 완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10716A1 (ko)
JP (1) JP2016020701A (ko)
KR (1) KR20160007437A (ko)
CN (1) CN105257769A (ko)
DE (1) DE1020152128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8998B2 (ja) 2016-08-22 2020-05-27 日本スピンドル製造株式会社 ナノ粒子合成装置
DE102016220747A1 (de) * 2016-10-21 2018-04-26 Thyssenkrupp Ag Steinschlagschutz für einen Schwingungsdämpfer und einen Schwingungsdämpfer mit Steinschlagschutz für Kraftfahrzeuge
US11332083B2 (en) 2020-04-09 2022-05-17 Honda Motor Co., Ltd. Protective cover for electrical coupler of vehicle shock absorber and vehicle shock absorber includ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6943A (en) * 1980-02-20 1981-09-14 Yamaha Motor Co Ltd Buffer
JPS6114676Y2 (ko) * 1980-03-15 1986-05-08
JPS6260736A (ja) 1985-09-09 1987-03-17 Canon Inc 給紙装置
US5106053A (en) * 1988-08-26 1992-04-21 Borg-Warner Automotive Electronic & Mechanical Systems Corporation Solenoid operated hydraulic control valve
DE4132262A1 (de) * 1991-09-27 1993-04-01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r regelbarer schwingungsdaempfer fuer kraftfahrzeuge
US5396973A (en) * 1991-11-15 1995-03-14 Lord Corporation Variable shock absorber with integrated controller, actuator and sensors
JP3146392B2 (ja) * 1992-11-20 2001-03-12 トキコ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682446U (ja) * 1993-05-10 1994-1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用ダンパー
JP4669389B2 (ja) * 2005-12-22 2011-04-13 株式会社ショーワ 油圧緩衝器の懸架スプリング調整装置
JP2008008390A (ja) * 2006-06-28 2008-01-17 Showa Corp 油圧緩衝器
JP2008283777A (ja) * 2007-05-10 2008-11-20 Mitsubishi Cable Ind Ltd 電力中継器
JP2014062584A (ja) * 2012-09-20 2014-04-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減衰力調整式緩衝器
JP2014143594A (ja) 2013-01-24 2014-08-07 Nikon Corp オーディ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57769A (zh) 2016-01-20
DE102015212855A1 (de) 2016-01-14
US20160010716A1 (en) 2016-01-14
JP2016020701A (ja) 2016-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321B2 (ja) 外部カラーに装着される制御弁を備えた調整可能な制振器
US7150451B2 (en) Air spring and jounce shock assembly
KR20160007437A (ko) 완충기
CA2798639C (en) Spring seat
US9541152B2 (en) Suspension apparatus
KR102462156B1 (ko) 완충기
ES2364204T3 (es) Amortiguador auto-ajustable, con característica disipativa auto corregible con válvulas llenadoras curvadas, cilíndricas y planas.
JP4348172B2 (ja) 車両の油圧緩衝器
US7021434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uspension strut
EP2743537A1 (en) Damper with vehicle height adjusting function
US7677156B2 (en) Piston load of vehicle height adjusting shock absorber and method of machining the same
JP6494200B2 (ja) 緩衝器
KR102542393B1 (ko) 범프 스토퍼 및 완충기
CN107107700B (zh) 用于调整机动车辆的离地间隙的液压装置以及包括这种装置的悬架与减振系统
KR102606400B1 (ko) 맥동 댐퍼
CN111038200A (zh) 包括集成阀的颠簸缓冲器
KR20180029032A (ko) 오목형 베어링 표면을 갖는 공압식 브레이크 부스터
KR101337585B1 (ko) 쇽업소버
US20210131523A1 (en) Steering damper assembly with bulged portion
JP7335750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FR2972695A1 (fr) Element de garnissa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au moins un element fonctionnel rapporte et fixe sur l'element de garnissage
KR20230084581A (ko) 범퍼캡 및 완충기
KR100527948B1 (ko) 자동차의 커튼에어백용 인플레이터구조
JP3938411B2 (ja) 油圧緩衝器
JP2008249084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