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581A - 범퍼캡 및 완충기 - Google Patents

범퍼캡 및 완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581A
KR20230084581A KR1020237016386A KR20237016386A KR20230084581A KR 20230084581 A KR20230084581 A KR 20230084581A KR 1020237016386 A KR1020237016386 A KR 1020237016386A KR 20237016386 A KR20237016386 A KR 20237016386A KR 20230084581 A KR20230084581 A KR 20230084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ttom portion
shock absorber
hol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1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하코이시
신이치 가가와
에이이치 고모리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아스테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08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5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완충기 본체에 장착되는 범퍼캡으로서, 일단이 개구를 가지며 타단이 바닥부 및 이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완충기 본체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커버부 내와 상기 완충기 본체 사이에 유입되는 유체의 상기 커버부 내에서의 회전을 억제하는 억제부를 마련하였다.

Description

범퍼캡 및 완충기
본 발명은 범퍼캡 및 완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21년 2월 24일에, 일본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21-02719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완충기에 있어서, 실린더의 로드가 돌출하는 측을 범퍼캡으로 덮은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17/01025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제2016-061425호 공보
완충기에 있어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범퍼캡 및 완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범퍼캡의 일양태는, 완충기 본체에 장착되는 범퍼캡으로서, 일단이 개구를 가지며, 타단이 바닥부 및 이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완충기 본체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커버부 내와 상기 완충기 본체 사이에 유입되는 유체의 상기 커버부 내에서의 회전을 억제하는 억제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범퍼캡의 다른 양태는, 완충기 본체에 장착되는 범퍼캡으로서, 일단이 개구를 가지며, 타단이 바닥부 및 이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완충기 본체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에 마련된 복수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상기 바닥부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완충기의 일양태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를 갖는 완충기로서, 상기 로드를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의 일단측을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에 대해서,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유체 속도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조정하는 유체 조정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의 도 1에 나타내는 II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범퍼캡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범퍼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범퍼캡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범퍼캡을 나타내는 하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Shock Absorber)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는, 자동차나 철도 차량 등의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에 이용되는 완충기이며,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스트럿형 서스펜션에 이용되는 완충기이다. 완충기(1)는 완충기 본체(2)와 범퍼캡(3)을 갖고 있다.
완충기 본체(2)는, 원통형의 금속제의 내통(12)과, 내통(12)보다 대직경으로 내통(12)의 외주측에 마련되며 내통(12)과의 사이에 리저버실(13)을 형성하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의 금속제의 외통(14)과, 모두 외통(14)의 외주측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금속제의 메인 브래킷(15) 및 스프링 시트(16)를 갖고 있다. 내통(12)과 외통(14)이 원통형의 실린더(17)를 구성하고 있다. 외통(14)은, 원통형의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축 방향의 일단측을 폐색하는 바닥부(22)와, 측벽부(21)의 바닥부(22)와는 반대측의 개구부(23)를 갖고 있다.
완충기 본체(2)는, 내통(12)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원환형의 금속제의 보디 부재(30)와, 내통(12)의 축 방향의 타단부에 부착되는 원환형의 금속제의 로드 가이드(31)를 갖고 있다. 내통(12)은, 보디 부재(30)를 통해 외통(14)의 바닥부(22)에 걸어 맞추어져 있고, 로드 가이드(31)를 통해 외통(14)의 측벽부(21)의 개구부(23)측에 감합하고 있다.
완충기 본체(2)는, 로드 가이드(31)에 대하여 바닥부(22)와는 반대측에, 원환형의 시일 부재(32)를 갖고 있다. 이 시일 부재(3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제의 탄성 부재(33) 내에 원환형의 금속제의 강성 부재(34)가 매설되어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32)는, 측벽부(21)의 개구부(23)측의 내주부에 감합되어 있다. 완충기 본체(2)는, 시일 부재(32)의 개구부(23)측에, 원환형의 금속제의 링 부재(35)를 갖고 있다. 측벽부(21)의 개구부(23)측의 단부에는, 컬 가공에 의해 직경 방향 내방으로 소성 변형된 걸림부(36)가 형성되어 있고, 시일 부재(32)는, 강성 부재(34)의 매설 부분이, 링 부재(35)를 통해, 이 걸림부(36)와 로드 가이드(31)에 협지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충기 본체(2)는 내통(12)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만들어지는 피스톤(37)을 갖고 있다. 피스톤(37)은 내통(12) 내에 제1 실(38)과 제2 실(39)을 구획하고 있다. 제1 실(38)은 내통(12) 내의 피스톤(37)과 로드 가이드(31) 사이에 마련되고, 제2 실(39)은 내통(12) 내의 피스톤(37)과 보디 부재(30)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제2 실(39)은, 보디 부재(30)에 의해 리저버실(13)과 구획되어 있다. 내통(12) 내의 제1 실(38) 및 제2 실(39)에는 작동 유체인 유액이 충전되어 있고, 내통(12)과 외통(14) 사이의 리저버실(13)에는 작동 유체인 가스와 유액이 충전되어 있다.
완충기 본체(2)는, 일측이 피스톤(37)에 결합되고, 타측이 외통(14)으로부터 개구부(23)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금속제의 원기둥형의 로드(41)를 갖고 있다. 따라서, 로드(41)는 실린더(17)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로드(41)는, 피스톤(37)이 너트(4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실린더(17)에 대하여 피스톤(37)과 일체로 이동한다. 로드(4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 가이드(31)와 시일 부재(32)의 탄성 부재(33)를 통하여 실린더(17)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로드(41)는, 외통(1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차체측에 연결된다. 로드(41)는, 로드 가이드(31)에 안내되어, 실린더(17)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일 부재(32)는, 탄성 부재(33)가 측벽부(21)와의 간극을 폐색하며 로드(41)와의 간극을 폐색한다. 따라서, 시일 부재(32)는, 외통(14)과 로드(41) 사이를 폐색하여, 내통(12) 내의 유액과, 리저버실(13) 내의 가스 및 유액이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규제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37)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44) 및 통로(45)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44, 45)는, 제1 실(38)과 제2 실(39)을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완충기 본체(2)는, 피스톤(37)에 접촉함으로써 통로(44)를 폐색 가능한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46)를, 피스톤(37)의 바닥부(22)와는 반대측에 갖고 있다. 또한, 완충기 본체(2)는, 피스톤(37)에 접촉함으로써 통로(45)를 폐색 가능한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47)를, 피스톤(37)의 바닥부(22)측에 갖고 있다.
디스크 밸브(46)는, 로드(41)가 내통(12) 및 외통(14) 내로의 진입량을 늘리는 축소측으로 이동하며 피스톤(37)이 제2 실(39)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실(39)의 압력이 제1 실(38)의 압력보다 소정값 이상 높아지면 통로(44)를 개방하게 되고, 그때에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축소측의 감쇠 밸브이다. 피스톤(37) 및 디스크 밸브(46) 중 적어도 한쪽에는, 디스크 밸브(46)가 통로(44)를 가장 폐색한 상태라도 통로(44)를 통해 제1 실(38)과 제2 실(39)을 연통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고정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 밸브(47)는, 로드(41)가 내통(12) 및 외통(14)으로부터의 돌출량을 늘리는 신장측으로 이동하며 피스톤(37)이 제1 실(38)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실(38)의 압력이 제2 실(39)의 압력보다 소정값 이상 높아지면 통로(45)를 개방하게 되고, 그때에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신장측의 감쇠 밸브이다. 피스톤(37) 및 디스크 밸브(47) 중 적어도 한쪽에는, 디스크 밸브(47)가 통로(45)를 가장 폐색한 상태라도 통로(45)를 통해 제1 실(38)과 제2 실(39)을 연통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고정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다.
보디 부재(30)에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52) 및 통로(53)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52, 53)는 제2 실(39)과 리저버실(13)을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완충기 본체(2)는, 보디 부재(30)의 바닥부(22)측에, 보디 부재(30)에 접촉함으로써 통로(52)를 폐색 가능한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55)를 갖고 있고, 보디 부재(30)의 바닥부(22)와는 반대측에, 보디 부재(30)에 접촉함으로써 통로(53)를 폐색 가능한 원환형의 디스크 밸브(56)를 갖고 있다.
디스크 밸브(55)는, 로드(41)가 수축측으로 이동하며 피스톤(37)이 제2 실(39)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실(39)의 압력이 리저버실(13)의 압력보다 소정값 이상 높아지면 통로(52)를 개방하게 되고, 그때에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축측의 감쇠 밸브이다. 디스크 밸브(56)는, 로드(41)가 신장측으로 이동하며 피스톤(37)이 제1 실(38)측으로 이동하여 제2 실(39)의 압력이 리저버실(13)의 압력보다 저하하면 통로(53)를 개방하게 되지만, 그때에 리저버실(13)로부터 제2 실(39) 내에 실질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작동 액체를 흐르게 하는 석션 밸브이다.
메인 브래킷(15)은, 금속제이며, 외통(14)의 축 방향의 중앙 위치보다 바닥부(22)측의 측벽부(21)에 감합되고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메인 브래킷(15)은, 복수의 부착 구멍(61)에 삽입되는 체결구(도시 생략)로 차륜(도시 생략)측에 연결된다.
스프링 시트(16)는, 금속제이며, 외통(14)의 축 방향의 중앙 위치보다 개구부(23)측의 측벽부(21)에 감합되고 용접되어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시트(16)는, 차체(도시 생략)를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인 차체 지지 스프링(도시 생략)의 하단을 지지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범퍼캡(3)은, 실린더(17)의 로드(41)가 돌출하는 측의 일단부를 덮도록 완충기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완충기 본체(2)는, 실린더(17)의 로드(41)가 돌출하는 측의 외단부에 시일 부재(32)를 갖고 있고, 범퍼캡(3)은 이 시일 부재(32)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로드(41)에는, 그 시일 부재(32)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부분의 외주측에 통형의 범프 러버(도시 생략)가 마련되어 있고, 실린더(17)가 차체(도시 생략)와의 거리를 줄였을 때에, 이 범프 러버가 차체와 범퍼캡(3)에 접촉하며 탄성 변형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그때에 범프 러버와 시일 부재(32)가 충돌하는 것을 범퍼캡(3)이 규제한다.
로드(41)의 시일 부재(32)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부분을 외주측에서 덮도록 주름통형의 더스트 부츠(65)가 차체(도시 생략)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더스트 부츠(65)의 하단부가 범퍼캡(3)에 고정되어 있다. 더스트 부츠(65)는, 로드(41)의 적어도 일부를 외주측에서 덮으며, 상기한 범프 러버(도시 생략) 및 범퍼캡(3)도 외주측에서 덮고 있다. 이 더스트 부츠(65)의 외주측에, 상기한 차체 지지 스프링(도시 생략)이 배치된다.
범퍼캡(3)은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며,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71)와 몸통부(72)와 플랜지부(73)와 외방 볼록형부(74)를 갖는 커버부(75)를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71)는, 바닥을 갖는 원판형이며, 직경 방향의 중앙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81)은, 그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원형인 둥근 구멍이다. 바꾸어 말하면, 바닥부(71)는, 관통 구멍(81)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82)가 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71)의 내주 가장자리부(82)에는, 바닥부(7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에 내주 단부면(82a)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7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부에, 내주 단부면(82a)보다 대직경의 테이퍼면(8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 이들을 잇는 단차면(82c)이 형성되어 있다.
내주 단부면(82a)은 원통면형이며, 내주 가장자리부(82)에 있어서 가장 소직경이다. 단차면(82c)은, 내주 단부면(82a)의 축 방향의 테이퍼면(82b)측의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방으로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테이퍼면(82b)은, 단차면(82c)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축 방향에 있어서 내주 단부면(82a)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내주 단부면(82a)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대직경으로 되어 있다. 이들 내주 단부면(82a), 테이퍼면(82b) 및 단차면(82c)은 동축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81)을 형성하고 있다.
몸통부(72)는 원통형이며, 바닥부(71)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로부터 바닥부(71)와 동축형을 이루어 바닥부(7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내주 단부면(82a)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몸통부(72)는,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71)와는 반대측이 개구(78)로 되어 있다. 바닥부(71)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몸통부(72)측의 내면(71a)은, 바닥부(71) 및 몸통부(72)의 축 직교 방향으로 넓어지는 평면형이다. 몸통부(72)의 내주면(72a)은 원통면형이다. 커버부(75)는, 일단이 개구(78)를 갖고, 타단이 바닥부(71) 및 바닥부(7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81)을 갖고 있다.
여기서, 동축형으로 배치되는, 관통 구멍(81), 바닥부(71) 및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을 범퍼캡(3) 및 커버부(75)의 중심 축선으로 한다. 따라서, 관통 구멍(81), 바닥부(71), 몸통부(72), 범퍼캡(3) 및 커버부(75)는, 축 방향이 일치하고, 둘레 방향도 일치하고, 직경 방향도 일치한다.
플랜지부(73)는, 몸통부(7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71)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로부터 몸통부(7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73)는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동형상의 플랜지부(73)가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 마련되어 있다. 외방 볼록형부(74)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몸통부(7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부(71)와 플랜지부(73) 사이로부터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방 볼록형부(74)는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동형상의 외방 볼록형부(74)가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 마련되어 있다. 외방 볼록형부(74)는,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플랜지부(73)와 위치를 다르게 하고 있다. 외방 볼록형부(74)와 플랜지부(73)가,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범퍼캡(3)은, 복수, 구체적으로는 6개소의 동형상의 감합 볼록형부(91)와,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의 동형상의 접촉 돌출부(92)(돌출부)와,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의 동형상의 경사 돌출부(93)(돌출부)를 갖고 있다. 감합 볼록형부(91)는, 커버부(75)의 몸통부(72)에 마련되어 있고, 접촉 돌출부(92) 및 경사 돌출부(93)는, 커버부(75)의 바닥부(71) 및 몸통부(72)에 마련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볼록형부(91)는, 몸통부(72)의 내주면(72a)으로부터 몸통부(7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감합 볼록형부(91)는,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부분적으로 마련되어 있고, 동형상의 감합 볼록형부(91)가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감합 볼록형부(91)와 감합 볼록형부(9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 돌출부(92)는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 몸통부(72)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78)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경사 돌출부(93)도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 개구(78)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접촉 돌출부(92)와 경사 돌출부(93)가, 바닥부(71) 및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교대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접촉 돌출부(92)와 복수의 경사 돌출부(93)는,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접촉 돌출부(92)와 경사 돌출부(9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모든 접촉 돌출부(92) 및 모든 경사 돌출부(93)는, 각각이, 감합 볼록형부(91)의 1개소와 바닥부(7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맞추어 이어져 있다.
접촉 돌출부(92)는, 모두 몸통부(72)의 축 방향을 따라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 기립하는 한 쌍의 측벽면(92a) 및 내벽면(92b)과, 한 쌍의 측벽면(92a) 및 내벽면(92b)의 몸통부(7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내면(71a)과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를 연결하여 넓어지는 접촉면(92c)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측벽면(92a)은, 모두, 평면 형상을 이루어 몸통부(72)의 내주면(72a)으로부터 몸통부(72)의 직경 방향을 따라 직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내벽면(92b)은, 한 쌍의 측벽면(92a)의 몸통부(72)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축선측의 단가장자리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내벽면(92b)은, 몸통부(72)의 내주면(72a)과 동축의 원통면의 일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든 접촉 돌출부(92)의 내벽면(92b)은, 몸통부(72)의 내주면(72a)과 동축의 동일한 원통면의 일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접촉면(92c)은 바닥부(71)의 내면(71a)과 평행하게 넓어지고 있다. 접촉 돌출부(92)로부터 연장되는 감합 볼록형부(91)는, 접촉면(92c)의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로부터 몸통부(72)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78)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 돌출부(93)는, 몸통부(72)의 내주면(72a)으로 이어지는 접촉부(101)와, 접촉부(101)로부터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측으로 돌출하는 경사부(102)(억제부, 유체 조정부)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101)는, 몸통부(72)의 축 방향을 따라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 기립하는 측벽면(101a) 및 측벽면(101b)과, 측벽면(101a, 101b)에 있어서의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측의 단가장자리부끼리를 연결하는 내벽면(101c)과, 측벽면(101a, 101b) 및 내벽면(101c)의 몸통부(7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내면(71a)과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를 연결하여 넓어지는 접촉면(101d)을 갖고 있다.
측벽면(101a, 101b)은, 모두, 몸통부(72)의 내주면(72a)으로부터 몸통부(72)의 직경 방향을 대략 따라 직경 방향 내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벽면(101a)은,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이, 평면형을 이루어 몸통부(72)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고,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에 가까운 측의 부분이 경사 돌출부(93)의 외측에 중심 축선을 갖는 원통면의 일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측벽면(101b)은,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먼 측의 부분이, 평면형을 이루어 몸통부(72)의 직경 방향을 따르고 있고,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에 가까운 측의 부분이 경사 돌출부(93)의 내측에 중심 축선을 갖는 원통면의 일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접촉부(101)에 있어서의 측벽면(101a, 101b)의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접촉 돌출부(92)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벽면(92a)의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으로부터 먼 측의 단부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내벽면(101c)은, 몸통부(72)의 내주면(72a)과 동축의 원통면의 일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모든 접촉부(101)의 내벽면(101c)은, 몸통부(72)의 내주면(72a)과 동축의 동일한 원통면의 일부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접촉면(101d)은, 내면(71a)과 평행하게 넓어지고 있다. 접촉면(101d)의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의 높이는, 접촉 돌출부(92)의 접촉면(92c)의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의 높이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경사 돌출부(93)로부터 연장되는 감합 볼록형부(91)는, 접촉면(101d)의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로부터 몸통부(72)의 축 방향을 따라 개구(78)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경사부(102)는, 접촉부(101)의 내벽면(101c)으로부터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경사부(102)는, 모두 몸통부(72)의 축 방향을 따라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 기립하는 연장 벽면(102a) 및 경사 벽면(102b)과, 연장 벽면(102a) 및 경사 벽면(102b)의 몸통부(7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내면(71a)과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와, 접촉부(101)의 내벽면(101c)의 접촉면(101d)와는 반대측의 단가장자리부를 연결하여 넓어지는 단차면(102c)을 갖고 있다.
연장 벽면(102a)은, 접촉부(101)의 측벽면(101a)에 있어서의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측의 단가장자리부로부터, 이 중심 축선측에, 평면형을 이루어 연장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 벽면(102a)은, 이것이 형성된 경사부(102)와 동일한 경사 돌출부(93)를 구성하는 접촉부(101)의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위치와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을 연결하는 선을 따르고 있다.
경사 벽면(102b)은, 평면형을 이루고 있고, 접촉부(101)의 측벽면(101b)에 있어서의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측의 단가장자리부와, 연장 벽면(102a)에 있어서의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측의 단가장자리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경사 벽면(102b)은,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측벽면(101b)측의 단부인 제1 단부(111)가,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 벽면(102a)측의 단부인 제2 단부(112)보다 몸통부(72)의 중심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길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경사 벽면(102b)은, 경사 벽면(102b)의 위치에 있어서의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단차면(102c)은, 바닥부(71)의 내면(71a)과 대략 평행하게 넓어지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102)의 단차면(102c)의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의 높이는, 접촉부(101)의 접촉면(101d)의 내면(71a)으로부터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75)에 마련된 3개소의 경사 돌출부(93)는, 동형상이고,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1개소의 경사 돌출부(93)의 제1 단부(111)를 기준으로 한 제2 단부(112)의 배치 방향을,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으로 하면, 범퍼캡(3)에 마련된 모든 경사 돌출부(93)에 대해서, 제1 단부(111)를 기준으로 한 제2 단부(112)의 배치 방향이, 이 일측이 된다. 그 결과, 범퍼캡(3)에는, 제1 단부(111)와 제2 단부(112)가 범퍼캡(3)의 둘레 방향에 교대로 나열되어 있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범퍼캡(3)은, 커버부(75)의 관통 구멍(81)측 즉 내직경측을 향하여 커버부(75)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벽면(102b)이 형성된 복수의 경사 돌출부(93)를 갖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범퍼캡(3)은, 바닥부(71)에 마련된 복수의 경사 돌출부(93)에, 바닥부(71)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바닥부(71)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벽면(102b)을 갖는 경사부(102)가 마련되어 있다.
범퍼캡(3)은, 관통 구멍(81), 모든 감합 볼록형부(91), 모든 접촉 돌출부(92) 및 모든 경사 돌출부(93)가, 몸통부(7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칭 다이에 의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경사 돌출부(93)를, 범퍼캡(3)의 다른 부분과는 별체로 형성하고, 이 다른 부분에 접착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범퍼캡(3)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75)의 관통 구멍(81) 내에 로드(41)를 삽입 관통시켜, 실린더(17)의 로드(41)가 돌출하는 측의 일단부를 몸통부(72)의 내주측에 감합시킴으로써, 실린더(17)에 부착된다. 그때에, 범퍼캡(3)은, 커버부(75)의 바닥부(71)의 내면(71a)으로부터, 커버부(75)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복수의 접촉 돌출부(92)의 접촉면(92c)으로 외통(14)의 걸림부(36)에 접촉한다. 또한, 그때에, 범퍼캡(3)은, 도 5에 나타내는 복수의 경사 돌출부(93)의 접촉부(101)의 접촉면(101d)에서도 외통(14)의 걸림부(36)에 접촉한다. 또한, 그때에, 범퍼캡(3)은, 도 5에 나타내는 모든 감합 볼록형부(91)로 실린더(17)의 외주면 즉 외통(14)의 측벽부(21)의 외주면에 감합하여, 실린더(1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7)에 고정된 범퍼캡(3)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부(75)가 완충기 본체(2)의 실린더(17)의 로드(41)가 돌출하는 일단측을 덮는다. 또한, 이때의 범퍼캡(3)은, 둥근 구멍의 관통 구멍(81)이 원기둥형의 로드(41)와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바닥부(71)의 내주 단부면(82a), 테이퍼면(82b) 및 단차면(82c)을 포함하는 원형의 내주 가장자리부(82)가, 원형의 로드(41)의 외주면(41a)과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범퍼캡(3)과 완충기 본체(2) 사이에 들어갈 때의 에어의 유로가 되는 내주 단부면(82a)과 외주면(41a) 사이의 직경 방향의 거리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부(71) 및 로드(41)의 둘레 방향의 모든 위치에 있어서 일정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더스트 부츠(65)는, 그 축 방향의 일단인 하단이, 실린더(17)에 고정된 범퍼캡(3)의 커버부(75)의 외주를 덮으며, 커버부(75)의 모든 플랜지부(73)에 감합되어 고정된다.
특허문헌 1, 2에는, 완충기에 있어서, 실린더의 로드가 돌출하는 측의 단부를 범퍼캡으로 덮은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완충기에서는, 차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주름상자형의 더스트 부츠로 로드 및 범퍼캡을 덮어 더스트 등의 로드에의 부착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더구나, 이 특허문헌 2에는, 더스트 부츠의 하단을 범퍼캡에 고정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더스트 부츠의 하단을 범퍼캡에 고정하면, 더스트 부츠의 하단 개구를 좁히게 된다.
더스트 부츠의 하단 개구가 넓으면, 완충기의 축소 행정에 있어서 더스트 부츠 내에의 실린더의 진입량이 늘어남으로써 더스트 부츠 내의 에어가 실린더로 압출될 때에, 이 에어를 더스트 부츠의 하단 개구로부터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더스트 부츠 내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중, 범퍼캡과 실린더의 간극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의 양은 적어도 된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더스트 부츠(65)의 하단을 범퍼캡(3)의 플랜지부(73)에 고정함으로써 더스트 부츠(65)의 하단 개구를 좁히고 있고, 이에 의해, 로드(41)에의 더스트 등의 부착을 더욱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더스트 부츠(65) 내로부터 배출되는 에어 중, 범퍼캡(3)과 실린더(17)의 간극을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의 양이 많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바닥부(71)의 내면(71a)에 경사 돌출부(93)를 마련하지 않고 접촉 돌출부(92)만을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한 범퍼캡에서는, 바닥부(71)의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 돌출부(92)와 접촉 돌출부(92) 사이의 위치로부터 관통 구멍(81)에 유입하여, 접촉 돌출부(92)와 접촉 돌출부(92) 사이로 흐르고자 하는 에어가, 종회전(범퍼캡의 축 방향 및 직경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면내에서의 회전)의 소용돌이를 발생하고, 이에 기인하여 풍절음인 이음을 발생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제1 실시형태의 완충기(1)에서는, 범퍼캡(3)의 커버부(75)의 바닥부(71)에 마련된 복수의 경사 돌출부(93)에, 바닥부(71)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바닥부(71)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벽면(102b)을 갖는 경사부(102)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버부(75)의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81)을 통하여, 커버부(75) 내와 완충기 본체(2) 사이에 유입되는 에어는, 그 일부가,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경사 벽면(102b)의 위치로부터 유입하여, 도 5에 2점 쇄선 화살표(X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 벽면(102b)을 따라 흘러 경사 돌출부(93)와 접촉 돌출부(92) 사이를 향하여, 인접하는 감합 볼록형부(91) 사이를 통하여 커버부(75)의 개구(78)로부터 배출되는 흐름과, 도 5에 2점 쇄선 화살표(X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돌출부(92)의 내벽면(92b)을 따른 바닥부(71)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흐름으로 분류된다. 그러면, 접촉 돌출부(92)의 내벽면(92b)을 따른 에어의 흐름은, 도 5에 2점 쇄선 화살표(X3)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경사 돌출부(93)와 접촉 돌출부(92) 사이의 위치로부터 유입하여, 경사 돌출부(93)와 접촉 돌출부(92) 사이로 흐르고자 하는 에어의 종회전의 소용돌이에 충돌하여 이 소용돌이를 흐트러뜨린다. 더구나, 바닥부(71)에 마련된 복수의 경사 돌출부(93)는, 바닥부(71)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바닥부(71)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벽면(102b)을 갖는 경사부(102)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경사 돌출부(93)와 접촉 돌출부(92)의 모든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생기는 에어의 종회전의 소용돌이에 기인하는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완충기(1)는, 경사 돌출부(93)가, 커버부(75)의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81)을 통하여, 커버부(75) 내와 완충기 본체(2) 사이에 유입되는 유체인 에어의 커버부(75) 내에서의 회전(종회전)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1)는, 경사 벽면(102b)을 따르는 에어의 흐름이,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흐름이 되지만, 그 유체 속도는, 경사 벽면(102b)의 경사에 의해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된다. 이에 의해서도, 에어의 흐름에 난류가 생기게 되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즉, 완충기(1)는, 경사 돌출부(93)가, 커버부(75)의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81)을 통하여, 커버부(75)의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인 에어에 대해서,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유체 속도가 관통 구멍(81)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조정한다. 이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완충기(1)는, 바닥부(71)에 마련된 복수의 경사 돌출부(93)에, 바닥부(71)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바닥부(71)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벽면(102b)을 갖는 경사부(102)를 마련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조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완충기(1)는, 로드(41)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더스트 부츠(65)에 커버부(75)의 외주가 덮이며, 이 더스트 부츠(65)의 일단에 커버부(75)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로드(41)에의 더스트 등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더스트 부츠(65)의 일단에 커버부(75)가 고정되어 있고, 커버부(75)의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81)을 통해, 커버부(75) 내와 완충기 본체(2) 사이에 유입되는 에어의 유량이 많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음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음 억제의 필요성이 높다.
범퍼캡(3)은, 관통 구멍(81), 모든 감합 볼록형부(91), 모든 접촉 돌출부(92) 및 모든 경사 돌출부(93)가, 몸통부(7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칭 다이에 의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범퍼캡(3)은, 그 자체의 구조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완충기 본체(2)의 변경을 수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를 주로 도 6에 기초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공통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동일 칭호,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범퍼캡(3) 대신에, 이것과는 일부 다른 범퍼캡(3A)이 이용된다.
범퍼캡(3A)도, 합성 수지제의 일체 성형품이다. 범퍼캡(3A)은, 커버부(75A)가, 제1 실시형태의 커버부(75)와는 일부 다르고, 구체적으로는 바닥부(71A)가 바닥부(71)와는 일부 다르다.
바닥부(71A)는, 구멍을 갖는 원판형이며, 직경 방향의 중앙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81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81A)은, 그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원형이 아닌 이형 구멍이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 구멍(81A)을 형성하는 바닥부(71A)의 내주 가장자리부(82A)가, 원형이 아닌 이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바닥부(71A)는, 내면(71a)과는 관통 구멍(81A)의 부분의 형상이 다른 내면(71Aa)을 갖고 있다.
바닥부(71A)의 내주 가장자리부(82A)는, 바닥부(71A)의 중심보다 먼 측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의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의 호형부(121)(억제부, 유체 조정부)를 갖고 있다. 이들 호형부(121)는, 전부 동직경의 원호형이며, 바닥부(71A)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호형부(121)는, 관통 구멍(81A)을 형성하는 내단부면(121a)이, 바닥부(71A)의 중심보다 먼 측에 중심을 갖는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3개소의 호형부(121)는, 각각의 내단부면(121a)이, 전부 동직경인 원호형으로서, 바닥부(71A)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의 위치에 있고, 바닥부(71A)의 둘레 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범퍼캡(3A)은, 제1 실시형태의 경사 돌출부(93) 대신에, 접촉 돌출부(9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범퍼캡(3A)은, 복수, 구체적으로는 6개소의 동형상의 접촉 돌출부(92)를 갖고 있다. 이들 접촉 돌출부(92)는, 커버부(75A)의 바닥부(71A) 및 몸통부(72)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 접촉 돌출부(92)는, 바닥부(71A) 및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접촉 돌출부(92)는, 몸통부(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접촉 돌출부(92)의 수는, 호형부(121)의 수의 2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부(71A)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호형부(121)의 중앙 위치와, 인접하는 접촉 돌출부(92)와 접촉 돌출부(92) 사이의 중앙 위치가, 위치를 맞추고 있다. 또한, 인접하는 호형부(121)와 호형부(121)의 경계 위치와, 인접하는 접촉 돌출부(92)와 접촉 돌출부(92) 사이의 중앙 위치가, 위치를 맞추고 있다.
범퍼캡(3A)도, 관통 구멍(81A), 모든 감합 볼록형부(91) 및 모든 접촉 돌출부(92)가, 몸통부(7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칭 다이에 의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범퍼캡(3A)이, 커버부(75A)의 관통 구멍(81A) 내에 로드(41)를 삽입 관통시켜, 실린더(17)의 로드(41)가 돌출하는 측의 일단부를 몸통부(72)의 내주측에 감합시킴으로써, 실린더(17)에 부착된다. 그때에, 범퍼캡(3A)은, 커버부(75A)의 바닥부(71A)의 내면(71Aa)으로부터, 커버부(75A)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복수의 접촉 돌출부(92)의 접촉면(92c)으로 외통(14)의 걸림부(36)에 접촉한다. 또한, 그때에, 범퍼캡(3A)은, 모든 감합 볼록형부(91)로 실린더(17)의 외주면즉 외통(14)의 측벽부(21)의 외주면에 감합하여, 실린더(17)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17)에 고정된 범퍼캡(3A)은, 커버부(75A)가 완충기 본체(2)의 실린더(17)의 로드(41)가 돌출하는 일단측을 덮는다. 또한, 이때의 범퍼캡(3A)은, 이형 구멍의 관통 구멍(81A)이 원기둥형의 로드(41)와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부(75A)의 바닥부(71A)에 마련되어 관통 구멍(81A)을 형성하는 바닥부(71A)의 내주 가장자리부(82A)가, 원형의 로드(41)의 외주면(41a)과 동축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바닥부(71A)의 내주 가장자리부(82A)가 복수의 호형부(121)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범퍼캡(3A)과 완충기 본체(2) 사이로 들어갈 때의 에어의 유로가 되는 내주 가장자리부(82A)의 복수의 호형부(121)의 내단부면(121a)과 로드(41)의 외주면(41a) 사이의 직경 방향의 거리는, 바닥부(71A)의 둘레 방향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된다.
즉, 바닥부(71A) 및 로드(4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호형부(121)의 내단부면(121a)의 중앙 위치가, 내단부면(121a)과 외주면(41a) 사이의 직경 방향의 거리가 가장 짧아지고, 이 중앙 위치로부터 멀어질수록, 내단부면(121a)과 외주면(41a) 사이의 직경 방향의 거리가 길어져, 내단부면(121a)의 단부 위치에서, 내단부면(121a)과 외주면(41a) 사이의 직경 방향의 거리가 가장 길어진다.
이와 같이, 커버부(75A)의 바닥부(71A)의 관통 구멍(81A)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82A)의 복수의 호형부(121)는, 로드(41)와의 거리가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는, 커버부(75A)의 바닥부(71A)의 관통 구멍(81A)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82A)가, 복수의 호형부(121)에 의해, 로드(41)와의 거리가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버부(75A)의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81A)을 통하여, 커버부(75A) 내와 완충기 본체(2) 사이에 유입되는 에어는, 그 유체 속도가, 관통 구멍(81A)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게 된다. 즉, 내단부면(121a)과 외주면(41a) 사이의 직경 방향의 거리가 가장 긴 내단부면(121a)의 단부 위치에서의 유속이 느리고, 내단부면(121a)과 외주면(41a) 사이의 직경 방향의 거리가 가장 짧은 내단부면(121a)의 중앙 위치에서의 유속이 빠르다. 바꾸어 말하면, 커버부(75A)의 바닥부(71A)의 관통 구멍(81A)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82A)의 복수의 호형부(121)가, 커버부(75A)의 외부로부터 관통 구멍(81A)을 통하여, 커버부(75A)의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인 에어에 대해서, 관통 구멍(81A)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유체 속도가 관통 구멍(81A)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조정한다. 이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커버부(75A)의 바닥부(71A)의 관통 구멍(81A)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82A)를, 로드(41)와의 거리가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조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범퍼캡(3A)은, 관통 구멍(81A), 모든 감합 볼록형부(91) 및 모든 접촉 돌출부(92)가, 몸통부(7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펀칭 다이에 의해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범퍼캡(3A)은, 그 자체의 구조로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완충기 본체(2)의 변경을 수반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실시형태의 제1 양태의 범퍼캡은, 완충기 본체에 장착되는 범퍼캡으로서, 일단이 개구를 가지며, 타단이 바닥부 및 이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완충기 본체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커버부 내와 상기 완충기 본체 사이에 유입되는 유체의 상기 커버부 내에서의 회전을 억제하는 억제부를 마련하였다. 이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2 양태의 범퍼캡은, 제1 양태의 범퍼캡으로서, 상기 관통 구멍에는 상기 완충기 본체의 로드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억제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주 가장자리부의 거리가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제3 양태의 범퍼캡은, 완충기 본체에 장착되는 범퍼캡으로서, 일단이 개구를 가지며, 타단이 바닥부 및 이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완충기 본체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에 마련된 복수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상기 바닥부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4 양태의 완충기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를 갖는 완충기로서, 상기 로드를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측을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에 대해서,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유체 속도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조정하는 유체 조정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제5 양태의 완충기는, 제4 양태의 완충기로서, 상기 유체 조정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주 가장자리부의 거리가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제6 양태의 완충기는, 제4 양태의 완충기로서, 상기 유체 조정부는, 상기 커버부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 돌출부를 갖는다.
실시형태의 제7 양태의 완충기는, 제4 내지 제6 양태의 완충기로서, 상기 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더스트 부츠에, 상기 커버부의 외주가 덮이며 상기 커버부가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각 양태에 따른 범퍼캡 및 완충기에 따르면, 이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완충기
2 완충기 본체
3, 3A 범퍼캡
17 실린더
41 로드
65 더스트 부츠
71, 71A 바닥부
71a, 71Aa 내면
75, 75A 커버부
78 개구
81, 81A 관통 구멍
82, 82A 내주 가장자리부
92 접촉 돌출부(돌출부)
93 경사 돌출부(돌출부)
102 경사부(억제부, 유체 조정부)
121 호형부(억제부, 유체 조정부)

Claims (7)

  1. 완충기 본체에 장착되는 범퍼캡으로서,
    일단이 개구를 가지며, 타단이 바닥부 및 이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완충기 본체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커버부 내와 상기 완충기 본체 사이에 유입되는 유체의 상기 커버부 내에서의 회전을 억제하는 억제부가 마련된 것인 범퍼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에는 상기 완충기 본체의 로드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억제부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바닥부의 상기 내주 가장자리부의 거리가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범퍼캡.
  3. 완충기 본체에 장착되는 범퍼캡으로서,
    일단이 개구를 가지며, 타단이 바닥부 및 이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완충기 본체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개구측을 향하여 돌출하며,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부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바닥부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상기 바닥부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범퍼캡.
  4. 실린더와, 이 실린더의 일단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로드를 갖는 완충기로서,
    상기 로드를 삽입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의 일단측을 덮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의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커버부의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에 대해,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외측으로 퍼지는 유체 속도가 상기 관통 구멍의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조정하는 유체 조정부
    를 구비하는 완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조정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관통 구멍을 형성하는 내주 가장자리부에 마련되며, 상기 로드와 상기 커버부의 상기 내주 가장자리부의 거리가 둘레 방향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조정부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내직경측을 향하여 상기 커버부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동일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 돌출부를 갖는 것인 완충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더스트 부츠에, 상기 커버부의 외주가 덮이며 상기 커버부가 고정되어 있는 것인 완충기.
KR1020237016386A 2021-02-24 2022-02-18 범퍼캡 및 완충기 KR202300845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27197 2021-02-24
JPJP-P-2021-027197 2021-02-24
PCT/JP2022/006543 WO2022181463A1 (ja) 2021-02-24 2022-02-18 バンパキャップおよび緩衝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581A true KR20230084581A (ko) 2023-06-13

Family

ID=8304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6386A KR20230084581A (ko) 2021-02-24 2022-02-18 범퍼캡 및 완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3751A1 (ko)
JP (1) JP7450797B2 (ko)
KR (1) KR20230084581A (ko)
CN (1) CN116981863A (ko)
DE (1) DE112022001230T5 (ko)
WO (1) WO202218146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25A (ko) 2013-10-11 2016-05-31 베타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이코티닙-함유 국소 피부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7010254A (ja) 2015-06-22 2017-01-12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ード即時発行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2223A (ja) * 2008-02-22 2009-10-01 Showa Corp 油圧緩衝器のバンプキャップ
JP6435741B2 (ja) * 2014-09-22 2018-12-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プストッパキャップ
JP2017025950A (ja) * 2015-07-16 2017-02-02 Kyb株式会社 バンプストッパ及び緩衝器
JP6616672B2 (ja) * 2015-11-20 2019-12-04 Kyb株式会社 バンプストッパ、及び緩衝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1425A (ko) 2013-10-11 2016-05-31 베타 파머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이코티닙-함유 국소 피부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17010254A (ja) 2015-06-22 2017-01-12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ード即時発行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2001230T5 (de) 2023-12-07
US20240093751A1 (en) 2024-03-21
JP7450797B2 (ja) 2024-03-15
JPWO2022181463A1 (ko) 2022-09-01
WO2022181463A1 (ja) 2022-09-01
CN116981863A (zh)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0058B2 (en) Dust cover receiving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9004470B2 (en) Jounce bumper nose retaining feature for a shock absorber
CA2400971C (en) Dust cover attaching structure for hydraulic damper
JP6010223B2 (ja) 位置依存減衰アセンブリを備える油圧サスペンションダンパ
US7032727B2 (en) Shock absorber having a hydraulic stop
US10663027B2 (en) Damper with valve preload limiter
US10816055B2 (en) Damper bumper cap with labyrinth air passageway
CN114127436B (zh) 具有液压端部止动件的阻尼器
US20130020159A1 (en) Low noise valve assembly
US20150047934A1 (en) Low pressure high compression damping monotube shock absorber having a baffle
EP1591690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motor vehicle
JP4348172B2 (ja) 車両の油圧緩衝器
JP2023100794A (ja) スプリングガイド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9182006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and valve
KR20230084581A (ko) 범퍼캡 및 완충기
WO2019182863A1 (en) Damper with floating piston bleed channel
CN210769980U (zh) 缓冲器、减振器及车辆
JP2790307B2 (ja) 緩衝装置とその制御方法
GB2299835A (en) Securing element
JP4720677B2 (ja) シリンダ装置
JP7307646B2 (ja) スプリングガイド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WO2018096814A1 (ja) バンプストッパ
JP6431392B2 (ja) 油圧緩衝器
JP2013155840A (ja) 油圧緩衝器及び衝撃吸収材
US11649872B2 (en) Shock absorber dust gaiter with improved instal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