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12A -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 Google Patents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412A
KR20160002412A KR1020150093778A KR20150093778A KR20160002412A KR 20160002412 A KR20160002412 A KR 20160002412A KR 1020150093778 A KR1020150093778 A KR 1020150093778A KR 20150093778 A KR20150093778 A KR 20150093778A KR 20160002412 A KR20160002412 A KR 2016000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polyvinyl alcohol
polyethylene glycol
coating layer
graft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739B1 (ko
Inventor
김형서
조정현
최영근
김경수
김진철
김용일
박재현
우종수
Original Assignee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6030731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16030731A2/pt
Priority to RU2016148824A priority patent/RU2696563C9/ru
Priority to PCT/KR2015/006743 priority patent/WO2016003181A1/ko
Publication of KR2016000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12A/ko
Priority to PH12016502537A priority patent/PH1201650253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0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capsule or the structure of the filling; Capsules containing small tablets; Capsules with outer layer for immediate drug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8Sulfon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65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 A61K31/56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not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arbon atom, e.g. estrane, estradiol substituted in position 17 alpha, e.g. mestranol, norethandrol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8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e.g. danazol, stanozolol, pancuronium or digitogen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61K9/2086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 A61K9/209Layered tablets, e.g. bilayer tablets; Tablets of the type inert core-active coat containing drug in at least two layers or in the core and in at least one outer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91Coated capsules; Multilayered drug free capsule sh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 및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로서,
상기 필름코팅층은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Composit formulation comprising an active ingredient-containing film coating layer}
본 발명은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의 통상적인 충격에 대해 코팅층의 성상이 안정하면서 활성성분의 우수한 용출률을 갖는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남성의 전립선은 젊을 때는 호두알 정도의 크기이고 나이가 들수록 크기가 점점 커지는데, '전립선 비대증'이란 나이가 들어 전립선이 커지는 정도가 심해져서 전립선 내부를 지나가는 요도가 눌려져 이로 인한 각종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전립선 비대증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고, 다른 만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인정되는 발병 원인은 정상 기능의 고환의 노화에 의한 것이다. 전립선은 남성 호르몬 의존 기관이므로 성장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남성호르몬이 필요하며, 거세로 인해 남성호르몬이 생성되지 않으면 전립선은 위축된다.
상기 전립선 비대증의 증상으로는 하루 8회 이상 소변을 보는 빈뇨, 야간 빈뇨,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오줌이 마려운 느낌)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절박뇨, 절박요실금, 야간 빈뇨, 배뇨통 등의 방광 저장 장애 증상과 지연뇨(소변을 볼 때 뜸을 들여야 소변이 나오는 현상), 단절뇨(소변의 흐름이 끊기는 현상), 복압배뇨 (배뇨 시 힘을 주어야 하는 현상), 요선약화, 배뇨감, 요폐 등의 방광의 배출 장애 증상을 통칭한 하부 요로증상(Lower Urinary Tract Symptoms, LUTS) 등이 있다.
5-α-환원효소 억제제(5-α-reductase inhibitors)는 전립선비대증 치료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물로서,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탐수로신(Tamsulosin) 또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예: 타다라필, 바데나필, 유데나필 등)와 함께 병용되어 효과적인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α-환원효소 억제제(5-α-reductase inhibitors)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전립선 크기 증가 활성을 더욱 높이는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전립선 크기 증가를 억제하고 이로 인해 요로의 물리적 압박을 완화시킨다.
탐수로신은 α-아드레노셉터(adrenoceptor)를 선택적으로 억제하여 비뇨생식기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로서, 방광을 둘러싸고 있는 평활근과 전립선을 이완시켜 뇨의 배설속도를 개선시키고, 양성 전립선 비대의 증상을 개선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인 타다라필(tadalafil, Cialis, Lilly ICOS)과 바데나필(vardenafil, Levitra, GSK)은 원래 발기부전 치료제로서 개발되었으나, 현재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및 과활동성방광 치료제로서 적응증을 추가해가고 있다 (Euro Urol 2008;1236-44; J Uro 2007;1401-7).
이러한 5-α-환원효소 억제제 및 탐수로신의 조합; 그리고 5-α-환원효소 억제제 및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의 조합은 작용 기전의 차이로 인해 병용투여 시 약효 증가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EP 1 501 517; BJU Int. 2006 Apr. 97 Suppl 2:39-43; discussion 44-5).
그런데, 상기 약물의 조합의 경우와 같이, 두 가지 이상의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의 제조 시, 서로 다른 두 가지 혹은 그 이상의 활성성분이 갖는 상호작용으로 인해 활성성분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제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서, 활성성분 함유 코어에 또 다른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을 도입하여, 활성성분들을 별도의 층으로 분리한 복합제제가 개발되어 왔다(EP 1830820; US 6,682,759).
이러한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의 경우, 필름코팅층의 인장강도가 충분히 강하지 않으면 제품의 보관 기간동안 통상적인 충격에 의해 필름코팅층이 박리되거나 파손될 수 있어, 복합제제의 충분한 약효를 보장할 수 없고, 외적인 성상의 변형에 의해 상품성이 떨어져 제품화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경구 투여 시 충분한 생체이용율 및 신속한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복합제제에서 필름코팅층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매우 높은 용출속도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의 통상적인 충격에 대해 코팅층의 성상이 안정하면서 활성성분의 높은 용출속도를 갖는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 및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로서,
상기 필름코팅층은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은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제 2 활성성분,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를 용매에 용해시킨 제 2 활성성분-함유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에 상기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복합제제는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이 통상적인 외부의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인장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필름코팅층에 함유된 활성성분의 높은 용출률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합제제는 외부의 충격에도 외적 성상의 변화가 없어 상품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약효의 손실이 없으며, 충분한 생체이용율 및 속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복합제제는 다양한 두 가지 이상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상품성이 우수하고 효과적인 복합제제를 가능하게 하여, 약물의 병용투여에 대한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복합제제제의 제조 시 필름코팅층을 도입함으로써, 복합제제의 부피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단순한 단일제제 조성의 조합 시 제조되는 정제 혹은 캡슐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환자의 복용 편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정제 코어의 표면에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이 코팅된 복합제제(a) 및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경질캡슐제 코어의 표면에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이 코팅된 복합제제(b)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불량시험에서, 양품(a)과 불량품(b)으로 판정된 복합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1 내지 8의 복합제제를 PTP 포장 후 포장을 제거할 때의 불량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10의 복합제형을 PTP 포장 후 포장을 제거할 때의 불량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1 내지 4의 복합제형을 PTP 포장하여 60℃ 및 0% RH 조건 하에서 1주일간 보관한 후 포장을 제거할 때 코팅 기제재별 불량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 1 내지 4의 복합 제형으로부터 피나스테라이드의 용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2 내지 5의 복합 제형으로부터 피나스테라이드의 용출률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시예 3,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의 복합제형을 코어의 제형간의 불량률 차이를 관찰하기 위해 PTP 포장 후 포장을 제거할 때의 불량률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자들은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의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이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지면서도 필름코팅층에 함유된 약물의 높은 용출속도를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코팅 기제에 대해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수많은 필름코팅 기제 중에서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을 조합할 경우, 필름코팅층의 인장강도가 충분히 강하여 제품 보관 기간동안 통상적인 충격에 의해 필름코팅층이 박리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름코팅층에 함유된 약물의 높은 용출속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 및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로서,
상기 필름코팅층은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는 통상적으로 제약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약학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는 정제, 경질캡슐 또는 연질캡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질캡슐 또는 연질캡슐에 충전되는 충전부는 통상적으로 제약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약학 제형으로 과립, 펠렛, 산제, 정제, 액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코어는 전체 복합제제에 대해 약 20 내지 99.5 중량%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은 상기 코어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코팅층은 코팅 기제로서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의 조합을 함유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정제 또는 캡슐 코어에 제 2 활성성분 및 다양한 코팅기제를 포함하는 필름코팅층을 형성시킨 복합제제를 제조한 다음, 코팅 기제별 불량시험 및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 2 약물의 용출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팅 기제로서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포비돈, 히프로멜로오스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복합제제의 필름코팅층이 코어로부터 박리되거나 파손되는 불량률이 20 내지 40%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폴리비닐알콜만이 2% 미만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시험예 1 및 3 참조). 그런데, 코팅기제로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할 경우, 대한약전 일반시험법에 따라 용출 시험 시, 15 분 후 75% 미만의 낮은 용출률을 나타내었다(시험예 4 참조). 따라서, 필름코팅층의 인장강도가 높으면서도 충분히 높은 용출속도를 확보할 수 있는 필름코팅층을 얻기 어려웠다. 이에 반해,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의 조합을 코팅 기제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필름코팅층이 코어로부터 박리되거나 파손되는 불량률이 약 10% 미만으로 현저히 낮아졌을 뿐만 아니라(시험예 2 및 6 참조), 용출시험 시 15 분 후 75% 이상의 충분히 높은 용출속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시험예 5 참조), 낮은 필름코팅 불량율 및 높은 용출속도를 모두 확보할 수 있는 획기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은 약 8:2 내지 4:6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7:3 내지 4:6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6:4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약 65 내지 85%의 폴리비닐알콜 단위와 약 15 내지 35%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단위로 이루어지고, 약 0.01 내지 0.5%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은 약 35,000 내지 55,000 달톤일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로서 예를 들어 콜리코트® 아이알(Kollicoat IR; BASF)이 시판되고 있으며, 콜리코트® 아이알은 약 75%의 폴리비닐알콜 단위와 약 25%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단위로 이루어지고, 약 0.3%의 콜로이드 실리카를 포함하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45,000 달톤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수용성 고분자로서 약 20,000 내지 200,000 달톤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며, 분자량이 높을수록 점도가 높아진다.
상기 필름코팅층은 상기 코어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5 내지 80 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제제는 상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폴리비닐알콜 단위 약 65 - 85 %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단위 15 - 35 %로 이루어지고, 콜로이드 실리카 약 0.01-0.5 중량%를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35,000 - 55,000 달톤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이 분자량이 약 20,000 - 200,000 달톤이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의 중량비가 약 7:3 - 4:6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복합제제의 모식도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a)는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정제 코어의 표면에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이 코팅된 복합제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의 (b)는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경질캡슐제 코어의 표면에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이 코팅된 복합제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는 활성성분의 상호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코어와 필름코팅층을 분리하는 내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피부는 상기 코어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01 내지 60 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내피부에 사용될 수 있는 필름 형성 물질 (필름 형성화제 및/또는 피복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탈크, 이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예시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경구용 또는 비경구용 고형제제의 제형화에 있어 약학적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는 외부로부터 복합제제를 더욱 보호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상기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의 외곽에 외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피부는 상기 복합제가 목적으로 하는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의 높은 인장강도 및 활성성분의 높은 용출속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임의 코팅층일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의 예는 방습코팅, 시광코팅 등일 수 있으며, 코팅의 종류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된 기술에 기초하여 적절히 코팅기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외피부는 상기 코어 100 중량부에 대해 약 0.01 내지 60 중량부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복합 제형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상기 코어 및 활성성분-함유 필름코팅층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희석제, 붕해제, 결합제, 안정화제, 활택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미결정셀룰로오스, 락토스, 루디프레스, 만니톨, 인산이수소칼슘, 전분,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붕해제는 크로스포비돈, 전분 글리콘산 나트륨,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전분, 알긴산, 알긴산나트륨,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제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코포비돈, 마크로골, 경질 무수 규산, 합성 규산 알루미늄, 규산칼슘 메타실리케이트 알루미네이트, 마그네슘 메타실리케이트 알루미네이트와 같은 같은 규산염 유도체, 인산수소칼슘과 같은 인산염, 탄산칼슘과 같은 탄산염,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정화제는 염기성 안정화제인 탄산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칼슘 또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스테아르산 금속염류, 탈크, 콜로이드 실리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수소 첨가된 식물성 오일, 고융점의 왁스, 글리세릴지방산 에스테르류, 글리세롤디베헤네이트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활성성분"이란 치료 목적의 약물학적 활성제뿐만 아니라, 진단, 예방 등의 목적으로 인체에 투여될 수 있는 모든 시약 기타 의료용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는 광범위하게는,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을 수행하는 등 보건 용도로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되는 원료, 성분 또는 그의 가공 제제로서 건강 기능성 식품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활성성분" 및 "제 2 활성성분"은 복합제제가 포함하는 두 가지 이상의 활성성분을 구별하여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복합제의 코어에 함유되는 활성성분을 제 1 활성성분, 필름코팅층에 함유되는 활성성분을 제 2 활성성분이라고 편의상 지칭한 것이다.
상기 제 1 활성성분 및 제 2 활성성분은 복합투여가 필요한 임의의 약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트포르민 및 로수바스타틴, 페노피브르산 및 로수바스타틴, 오메가-3 및 로수바스타틴, 암로디핀 및 로잘탄, 클로피도그렐 및 아스피린, 메트포르민 및 글리펜클라미드, 날록손 및 옥시코돈, 펙소페나딘 및 몬테루카스트, 브린졸라미드 및 티몰롤, 레르카니디핀 및 에날라프릴, 탐수로신 및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 및 5-알파-환원효소 억제제, 나프록센 및 에소메프라졸, 메트포르민 및 글리펜클라미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활성성분 및 제 2 활성성분은 각각 단일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제제는 경구투여용이다.
일 구체예에서, 제 2 활성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제이고,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제와 복합투여가 필요한 임의의 약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탐수로신(Tamsulosin) 또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 (예: 타다라필, 바데나필, 유데나필, 실데나필 등)를 포함한다.
5-α-환원효소 억제제 및 탐수로신의 조합; 그리고 5-α-환원효소 억제제 및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의 조합은 개별적인 약물이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별적인 약물은 작용 기전이 차이로 인해 병용투여 시 약효 증가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EP 1 501 517; BJU Int. 2006 Apr. 97 Suppl 2:39-43; discussion 44-5). 따라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가 제 1 활성성분으로서 탐수로신 또는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를 포함하고, 제 2 활성성분으로서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할 경우, 효과적인 전립선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탐수로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고, 제 2 활성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제이다.
상기 5-α-환원효소 억제제는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알파트라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합제제를 대한약전의 일반시험법에 따라 용출 시험 시, 15 분에 약 75% 이상의 5-α-환원효소 억제제의 용출률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제제는 공지된 1일 투여량을 고려할 때, 제 1 활성성분으로서 탐수로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탐수로신 유리염기로서 약 0.1 내지 0.8 mg, 보다 구체적으로는 0.2 mg 내지 0.6 mg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활성성분으로서 피나스테라이드를 약 1 내지 10 mg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복합제제는 공지된 1일 투여량을 고려할 때, 제 1 활성성분으로서 탐수로신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탐수로신 유리염기로서 0.1 내지 0.8 mg, 보다 구체적으로는 약 0.2 mg 내지 0.6 mg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활성성분으로서 두타스테라이드를 약 0.2 내지 0.6 mg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이고, 제 2 활성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제이다. 상기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는 타다라필, 바데나필, 유데나필, 실데나필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며, 일 구체예로는 타다라필이다. 상기 타다라필은 상기 타다라필의 유리 염기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그 예로는 브롬화수소산염, 인산염, 황산염, 염산염, 말레이트, 푸마레이트, 락테이트, 타르트레이트, 시트레이트, 베실레이트, 캄실레이트, 글루코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타다라필 유리형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5-α-환원효소 억제제는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알파트라디올, 및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합제제를 대한약전의 일반시험법에 따라 용출 시험 시, 15 분에 약 75% 이상의 5-α-환원효소 억제제의 용출률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제제는 공지된 1일 투여량을 고려할 때, 제 1 활성성분으로서 타다라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타다라필 유리염기로서 약 5 내지 20 mg, 보다 구체적으로는 5 mg 내지 10 mg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활성성분으로서 피나스테라이드를 약 1 내지 10 mg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본 발명의 복합제제는 공지된 1일 투여량을 고려할 때, 제 1 활성성분으로서 타다라필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타다라필 유리염기로서 약 5 내지 20 mg, 보다 구체적으로는 5 mg 내지 10 mg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활성성분으로서 두타스테라이드를 약 0.2 내지 0.6 mg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복합제제는 제 1 활성성분으로서 탐수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하고, 제 2 활성성분으로서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며, 필름코팅층의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폴리비닐알콜 단위 약 65 - 85 %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단위 약 15 - 35 %로 이루어지고, 콜로이드 실리카 약 0.01-0.5 중량%를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은 약 35,000 - 55,000 달톤이고, 필름코팅층의 폴리비닐알콜이 분자량이 약 20,000 - 200,000 달톤이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의 중량비가 약 7:3 - 4:6이다.
제 1 활성성분으로서 탐수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혹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 5 억제제을 포함하고, 제 2 활성성분으로서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복합제제는 상기 코팅층의 인장력이 뛰어나 성상 및 안정성이 우수하고, 5-α-환원효소 억제제의 속방성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기전이 다른 두 가지의 전립선 비대증 치료 약물을 하나의 제제에 모두 포함하여 전립선비대증의 치료 및 완화에 있어서 상승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상은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제 2 활성성분,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를 용매에 용해시킨 제 2 활성성분-함유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에 상기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의 상세는 상기 본 발명의 모든 양상에 따른 경구용 성형 복합제제에 대한 설명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코어는 약제학 분야에서 코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코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제, 경질캡슐 또는 연질캡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코어의 준비는 시판되어 있는 코어로서 사용 가능한 임의의 제제를 사용할 수도 있고, 직접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코어의 제조는 코어의 종류에 따라 통상의 기술자가 약제학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약물-함유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용매는 제2활성성분,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을 용해시킬 수 있으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임의의 용매일 수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클로로포름, DMSO (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로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팅하는 단계에서 코팅방법은 약제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필름코팅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코팅법(pan-coating method), 유동층 코팅법(fluidized-bed coating method), 압축코팅법(press-coating method)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 2 활성성분으로서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할 경우, 대표적으로 피나스테라이드는 최기형성을 가지며, 따라서 제조사에서 피나스테라이드 함유 제제를 제조 시 다른 의약품에 혼입되지 않도록 별도의 독립된 생산 라인을 갖추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형제제로서 제조 시 혼합, 과립화, 타정, 코팅 등 모든 공정을 분리된 작업장에서 실시해야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의 제조방법은 피나스테라이드를 피나스테라이드 함유 코팅액으로 코팅함으로써 적용하므로, 이미 존재하는 제조 시설에 별도로 피나스테라이드 코팅을 위한 코팅설비만을 확보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간편하게 피나스테라이드 제제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제제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5-α-환원효소 억제제 함유 복합제를 보다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0: 탐수로신 염산염 캡슐 코어에 5-α-환원효소 억제제-함유 필름코팅층이 코팅된 복합제제의 제조 (1)
하기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1-10의 다양한 성분 및 함량이 조합된 코팅 기제를 에탄올-물 혼합 용액(에탄올 : 물 = 1 : 1(v/v))에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한 후, 팬 코팅기(SFC-30, SEJONG)를 이용하여 탐수로신 염산염을 함유하는 탐수로이신® 캡슐((주)한미약품, 한국)에 코팅하였다. 제조한 캡슐을 35℃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이 탐수로신 캡슐 코어에 코팅된 복합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8: 탐수로신 염산염 캡슐 코어에 5-α-환원효소 억제제-함유 필름코팅층이 코팅된 복합제제의 제조 (2)
하기 표 1에 기재된 비교예 1-8의 성분을 사용하는 것만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10과 동일한 방식으로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이 탐수로신 캡슐 코어에 코팅된 복합제제를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11 및 12: 탐수로신 OD 정 코어에 5-α-환원효소 억제제-함유 필름코팅층이 코팅된 복합제제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다양한 성분 및 함량이 조합된 코팅 기제를 에탄올-물 혼합 용액(에탄올 : 물 = 1 : 1(v/v))에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한 후, 팬 코팅기(SFC-30, SEJONG)를 이용하여 탐수로신 염산염을 함유하는 탐수로이신® 오디정((주)한미약품)에 코팅하였다. 제조한 복합 정제를 35℃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5-α-환원효소 억제제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이 탐수로이신® 오디정 코어에 코팅된 복합 제제를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시험예 1: 코팅 기제별 불량 시험
상기 비교예 1 내지 8의 복합제제에 대하여 필름 인장력 및 파손율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불량시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PTP 포장기(Lab-Blister machine, OMAR FANTASY PLUS)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몰드에 알루미늄 필름으로 밀봉(sealing)함으로써 각 제제를 PTP로 포장하였다. 포장된 제형을 이용하여 임의적으로 선정된 일반인 시험자 10명이 각 제형에 대해 100 개의 PTP 포장을 파기하여 포장된 약물을 배출해 내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해당 시험에서 도 2와 같이 필름코팅층이 코어로부터 박리되거나 자체로서 파손되는 제형을 불량으로 간주하고 포장하기 이전의 상태와 동일하게 코팅되어 있는 상태를 정상으로 간주하여 불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참고로, 도 2에 양품(a)과 불량품(b)으로 판정된 복합제의 일 예를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불량이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pat00003
상기 표 3 및 도 3의 결과로부터 콜리코트® 아이알, 포비돈 및 히프로멜로오스를 각각 단독 코팅 기제재로 사용한 비교예 1, 3, 4, 5, 7, 및 8의 복합제제는 모두 약 20 내지 40 %의 높은 불량률로 필름코팅층이 손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폴리비닐알콜을 단독 코팅 기제재로 사용한 비교예 2 및 비교예 6은 약 2% 이하의 낮은 불량률을 보여주었다.
시험예 2: 코팅 기제로서 폴리비닐알콜 - 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폴리비닐알콜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의 불량시험
실시예 1 내지 10의 복합제제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불량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at00004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에 따르면, 콜리코트® 아이알 및 폴리비닐알콜의 조합을 코팅 기제로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10의 경우 콜리코트® 아이알만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및 비교예 5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불량률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콜리코트® 아이알 및 폴리비닐알콜을 8:2의 비율로 사용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6에 비해 콜리코트® 아이알 및 폴리비닐알콜을 7:3 내지 4:6의 비율로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5 및 실시예 7 내지 10이 불량률 감소의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3: 가혹한 조건에서 코팅 기제별 불량시험
비교예 1 내지 4의 복합 제형의 보관 시간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해당 샘플들을 60℃, 0% RH의 항온 챔버에 1주일간 보관한 후,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불량시험을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05
상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불량시험의 결과 코팅기제로 콜리코트® 아이알, 포비돈 및 히프로멜로오스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3 및 4는 모두 80% 이상의 높은 불량률을 나타냈다. 반면, 폴리비닐알콜을 코팅기제로 사용한 비교예 2는 17.4%의 불량률을 나타내어, 비교예 1, 비교예 3 및 비교예 4에 비하여 우수한 성상과 안정성을 보였다.
시험예 4: 코팅 기제별 용출 시험
비교예 1 내지 4의 복합제제에 대하여 피나스테라이드의 용출률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용출시험은 대한약전 10 개정, 일반시험법'의 '용출시험법' 중 제2법인 패들법을 이용하였다. 시험액은 대한약전 10 개정에 따라 증류수 900 mL을 사용하며 일반 방출제제의 조작법에 따라 50 rpm의 속도에서 진행하였다. 시험 시작 후 0분, 5분, 10분, 15분, 30분, 45분 및 60분에 시험액을 채취하여 대한약전 10개정, '일반시험법'중의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분석하여 미리 준비한 표준액과의 비교를 통해 해당 시점의 용출률을 얻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pat00006
상기 표 6 및 도 6의 결과에 따르면, 콜리코트® 아이알, 포비돈 및 히프로멜로오스를 각각 사용한 비교예 1, 3 및 4의 제형이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한 비교예 2의 제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용출속도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피나스테라이드는 높은 생체이용률을 확보하기 위해 빠른 용출이 필요한 약물이므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한 비교예 2는 비교예 1, 3 및 4에 비해 생체이용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시험예 5: 코팅 기제로서 폴리비닐알콜 - 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폴리비닐알콜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의의 용출 시험
실시예 2 내지 5의 복합제제에 대해 상기 시험예 4와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용출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하기 표 7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pat00007
상기 표 7 및 도 7의 결과로부터, 콜리코트® 아이알과 폴리비닐알콜을 7:3 내지 4:6의 중량비로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5에서 15분 내에 75% 이상의 용출률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코팅 기제로서 폴리비닐알콜 - 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폴리비닐알콜의 조합을 포함하는 복합제제의 코어 형태별 불량시험
실시예 3, 11 및 12의 복합제제에 대하여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불량시험을 진행한 결과를 하기 표 8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pat00008
우수한 코팅 성상과 안정성 및 용출률을 확보한 실시예 3과 동일한 코팅기제를 사용하면서 코어가 탐수로신 정제인 실시예 11 및 12에 대해 불량시험을 한 결과, 실시예 11와 실시예 12 역시 1 % 이하로 낮은 불량률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제제는 제 2 약물-함유 필름코팅층을 경질캡슐 코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코어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15)

  1.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 및
    제 2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필름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로서,
    상기 필름코팅층은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정제, 경질캡슐, 또는 연질캡슐인 복합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비닐알콜 단위 65 - 85 %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단위 15 - 35 %로 이루어지고, 콜로이드 실리카 0.01-0.5 중량%를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은 35,000 - 55,000 달톤인 복합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분자량이 20,000 - 200,000 달톤인 복합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및 폴리비닐알콜의 중량비가 7:3 - 4:6인 복합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비닐알콜 단위 65 - 85 %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단위 15 - 35 %로 이루어지고, 콜로이드 실리카 0.01 - 0.5 중량%를 포함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은 35,000 - 55,000 달톤이고;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분자량이 20,000 - 200,000 달톤이며;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의 중량비가 7:3 - 4:6인 복합제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탐수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하고, 제 2 활성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제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5-α-환원효소 억제제는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알파트라디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복합제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탐수로신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탐수로신을 기준으로 0.1 - 0.6 mg 포함하고, 제 2 활성성분은 피나스테라이드 1 내지 10 mg 또는 두타스테라이드 0.2 내지 0.8 mg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제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포스포디에스터라제-5 억제제를 포함하고, 제 2 활성성분은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제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타다라필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활성성분은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알파트라디올,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5-α-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것인 복합제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활성성분은 타다라필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을 타다라필을 기준으로 5 - 20 mg 포함하고, 제 2 활성성분은 피나스테라이드 1 내지 10 mg 또는 두타스테라이드 0.2 내지 0.8 mg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제제.
  13. 제 7 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제제를 대한약전 일반시험법에 따라 용출 시험 시, 15 분에 75% 이상의 5-α-환원효소 억제제의 용출률을 나타내는 것인 복합제제.
  14. 제 1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제 2 활성성분, 폴리비닐알콜-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알콜를 용매에 용해시킨 제 2 활성성분-함유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에 상기 코팅액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제제의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에탄올, 메탄올, 클로로포름, DMSO (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혼합액인 제조방법.
KR1020150093778A 2014-06-30 2015-06-30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KR101780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16030731A BR112016030731A2 (pt) 2014-06-30 2015-06-30 Preparação de compósito, e, método de preparação de uma preparação de compósito
RU2016148824A RU2696563C9 (ru) 2014-06-30 2015-06-30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препарат, включающий слой пленочного покрытия, содержащий активный ингредиент
PCT/KR2015/006743 WO2016003181A1 (ko) 2014-06-30 2015-06-30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PH12016502537A PH12016502537A1 (en) 2014-06-30 2016-12-19 Composite preparation comprising active ingredient-containing film coating la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223 2014-06-30
KR20140081223 201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12A true KR20160002412A (ko) 2016-01-07
KR101780739B1 KR101780739B1 (ko) 2017-09-26

Family

ID=5516902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778A KR101780739B1 (ko) 2014-06-30 2015-06-30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KR1020150093777A KR20160002411A (ko) 2014-06-30 2015-06-30 5-α-환원효소 억제제-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0025042A KR101780740B1 (ko) 2014-06-30 2017-02-24 5-α-환원효소 억제제-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777A KR20160002411A (ko) 2014-06-30 2015-06-30 5-α-환원효소 억제제-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0025042A KR101780740B1 (ko) 2014-06-30 2017-02-24 5-α-환원효소 억제제-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2) EP3162363B1 (ko)
KR (3) KR101780739B1 (ko)
CN (2) CN106659692B (ko)
ES (2) ES2772137T3 (ko)
PH (2) PH12016502537A1 (ko)
PL (2) PL3162363T3 (ko)
PT (2) PT3150201T (ko)
RU (1) RU2696563C9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483A1 (ko) * 2016-03-31 2017-10-05 한미약품 주식회사 타다라필 및 암로디핀 함유 고형 복합제제
WO2017171508A1 (ko) * 2016-03-31 2017-10-05 한미약품 주식회사 안정성 및 용출율이 개선된 타다라필 및 탐수로신 함유 캡슐 복합제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679A2 (ko) 2017-08-18 2019-02-21 (주)인벤티지랩 피나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99901A (ko) 2019-02-15 2020-08-25 (주)인벤티지랩 피나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한 피하 주사용 조성물
KR102157124B1 (ko) 2019-12-23 2020-09-18 (주)인벤티지랩 피나스테라이드를 포함하는 서방성 주사용 조성물
WO2022146061A1 (ko) 2020-12-31 2022-07-07 동국제약 주식회사 신규한 용출률을 나타내는 타다라필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두타스테리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6981A1 (de) * 2005-04-13 2006-10-19 Bayer Healthcare Ag Kombination zur Therapie bei benigner Prostatahyperplasie
EP2210595A1 (en) * 2009-01-14 2010-07-28 LEK Pharmaceuticals d.d. Active coating of pharmaceutical dosage forms
MX2012007448A (es) * 2009-12-22 2012-09-12 Abbott Healthcare Private Ltd Composicion farmaceutica de liberacion controlada.
KR101193495B1 (ko) * 2010-02-01 2012-10-23 한미사이언스 주식회사 슈도에페드린 및 레보세티리진을 포함하는 경구용 복합 조성물
WO2012127495A2 (en) * 2011-02-28 2012-09-27 Titan Laboratories Pvt. Lt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310710B1 (ko) * 2011-03-23 2013-09-27 한미약품 주식회사 오메가-3 지방산 에스테르 및 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를 포함하는 경구용 복합 조성물
KR20140013436A (ko) * 2012-07-24 2014-02-05 한미약품 주식회사 메트포르민 및 로수바스타틴을 포함하는 경구용 복합 제제
WO2014182003A1 (en) * 2013-05-06 2014-11-13 Hanmi Pharm. Co., Ltd. Composite formulation comprising a film coating layer containing rosuvastati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KR102240429B1 (ko) * 2013-05-06 2021-04-15 한미약품 주식회사 로수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함유된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제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483A1 (ko) * 2016-03-31 2017-10-05 한미약품 주식회사 타다라필 및 암로디핀 함유 고형 복합제제
WO2017171508A1 (ko) * 2016-03-31 2017-10-05 한미약품 주식회사 안정성 및 용출율이 개선된 타다라필 및 탐수로신 함유 캡슐 복합제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59690B (zh) 2020-08-18
KR20160002411A (ko) 2016-01-07
CN106659690A (zh) 2017-05-10
EP3162363A1 (en) 2017-05-03
ES2781110T3 (es) 2020-08-28
RU2016148824A3 (ko) 2018-10-10
PT3150201T (pt) 2020-03-31
EP3162363A4 (en) 2018-01-03
RU2696563C2 (ru) 2019-08-05
RU2696563C9 (ru) 2019-10-02
KR20170026424A (ko) 2017-03-08
PL3162363T3 (pl) 2020-06-15
PH12016502537A1 (en) 2017-04-10
RU2016148824A (ru) 2018-07-30
EP3150201B1 (en) 2020-02-19
CN106659692B (zh) 2020-08-18
PL3150201T3 (pl) 2020-09-21
PH12016502536A1 (en) 2017-04-10
KR101780740B1 (ko) 2017-09-26
CN106659692A (zh) 2017-05-10
EP3150201A4 (en) 2018-01-03
EP3162363B1 (en) 2020-01-08
KR101780739B1 (ko) 2017-09-26
PT3162363T (pt) 2020-02-21
EP3150201A1 (en) 2017-04-05
ES2772137T3 (es)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739B1 (ko)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KR102240429B1 (ko) 로수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함유된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제형
JPWO2012074110A1 (ja) 口腔内崩壊錠
EP2606879A1 (en) Multiple unit pellet tablet formulation comprising an opioid
JP2015500853A (ja) 即時放出マルチユニットペレットシステム
KR20160010595A (ko) 구강내 붕괴정
WO2013142197A1 (en) Extended-release formulation for reducing the frequency of urin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18519279A (ja) イリノテカン含有経口用固形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CA2994073C (en) Tablet comprising a core of acetylsalicylic acid with enteric coating and an outer layer with a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EA033983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й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остав капсулы, содержащий тадалафил и тамсулозин
TW201442712A (zh) 有機化合物之調配物
EP2523654A2 (en) Immediate release compositions of acid labile drugs
CA2981244A1 (en) Novel pharmaceutical uses
EP2877179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for reducing frequency of urina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190173B1 (ko) Nsaid 투여 및 관련 조성물, 방법 및 시스템
CN115811971A (zh) 用于口服施用的新型延迟释放组合物
JP2019532960A (ja) エソメプラゾール含有複合カプセル剤及びその製造方法
EP2236160A2 (en) Modified release dimebolin formulations
ES2706994T3 (es) Composición farmacéutica de liberación prolongada de administración oral que contiene clorhidrato de hidromorfona
EP3355864A1 (en) Composition for reducing the frequency of urination, method of making and use thereof
AU2017244269A1 (en) Composite capsule preparation containing tadalafil and tamsulosin and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elution rate
TWI606847B (zh) 口腔內崩解錠
WO2016003181A1 (ko) 활성성분-함유 필름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제제
EP2236159A2 (en) Modified release dimebolin compositions
KR20110098562A (ko) 일라프라졸 및 항염증제를 함유하는 위장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경구용 약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