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330A - 카메라 제어 장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카메라 제어 장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330A
KR20160002330A KR1020150038422A KR20150038422A KR20160002330A KR 20160002330 A KR20160002330 A KR 20160002330A KR 1020150038422 A KR1020150038422 A KR 1020150038422A KR 20150038422 A KR20150038422 A KR 20150038422A KR 20160002330 A KR20160002330 A KR 20160002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tographing
shooting
condition
r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가토
쇼헤이 사카모토
히데아키 마쓰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2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4Computer-aided capture of images, e.g. transfer from script file into camera, check of taken image quality, advice or proposal for image composition or decision on when to take im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1Multiple cameras having overlapping views on a single scene
    • G08B13/19643Multiple cameras having overlapping views on a single scene wherein the cameras play different roles, e.g. different resolution, different camera type, master-slav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7Upgrading or updating of programs or applications for camera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25
    • H04N5/232
    • H04N5/232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촬영 단말기 측의 카메라 장치는, 자체 가케마라의 촬영 상태 센서에 의해 취득된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자체 카메라의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검출하고, 그 상태를 그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한다. 그 후, 상기 카메라 장치는 역할 테이블을 참조하여 촬영 조건인 설치 상태(촬영 상태)와 연관된 카메라의 역할을 자체 카메라의 역할로서 특정한다.

Description

카메라 제어 장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AMERA CONTROLL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CAMERA OPERA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메라 장치(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가 부착된 휴대 기기)를 복수 대 사용하여, 동일한 피사체를 복수의 상이한 시점에서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으로서 촬영하는 카메라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피사체(골퍼)의 골프 스윙 중의 자세나 골프 클럽의 헤드 위치 등을 촬영하여 그 화상을 해석하는 골프 스윙 해석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와 같은 골프 스윙 해석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를 피사체(골퍼)를 에워싸도록 소정의 위치에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마다 그 설치 상태로서, 예를 들면, 촬영 위치, 촬영 높이, 촬영 방향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마다 그 설치 상태에 적합한 각종 촬영 파라미터(예를 들면, 줌 배율, 스트로브 발광(strobe light emission), 연사(連寫) 유무, 화상 사이즈)를 미리 설정하도록 해두면 되지만, 카메라 장치의 설치 상태가 자주 변경되거나, 교환되거나 하면, 그때마다, 카메라마다 각종 촬영 파라미터를 재설정하는 조작이 필요해지므로, 사용자에게 큰 부담을 준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카메라 장치의 설치 상태에 적합한 역할(촬영 파라미터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카메라 장치의 설치 상태에 적합한 다른 역할(예를 들면, 촬영 화상의 표시 제어)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카메라 설치 상태 등의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에도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촬영에 관한 역할을 변경 후의 촬영 조건에 적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30084호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카메라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을 미리 규정하는 규정 수단;
상기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후보가 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제1 특정 수단; 및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제2 특정 수단
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각 담당 카메라의 동작을 통신 수단을 통해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각 담당 카메라로부터 그 촬영 조건을 수신 취득하는 처리; 및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이 미리 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수신 취득한 각 담당 카메라의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각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처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록 매체로서,
카메라 제어 장치의 컴퓨터에 대해,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기능; 및
상기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이 미리 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기능
을 실현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카메라 제어 장치)(1)를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골프 스윙 해석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카메라 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카메라 장치(1)에 설치한 역할 테이블(13C)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계속되는 역할 테이블(13C)의 다른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카메라 장치(1)의 동작(제1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카메라 장치(1)가 조작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도 5의 단계 S4(조작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카메라 장치(1)가 촬영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도 5의 단계 S5(촬영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도 8d는 각각의 촬영 단말기 측에서 촬영된 화상이 조작 단말기 측에 송신되어 그 단말기 화면에 병렬 표시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의 단계 S5(촬영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의 단계 S4(조작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먼저, 도 1∼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골프 연습장 등의 옥내에 설치한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에 의해 동일한 피사체(골퍼 등)를 복수의 상이한 시점에서 촬영함으로써 연습 중의 골프 스윙 중의 자세나 골프 클럽의 헤드 위치 등을 해석하는 카메라 시스템(골프 스윙 해석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며, 도 1은 이 카메라 시스템(골프 스윙 해석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 카메라 시스템(골프 스윙 해석 시스템)은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촬상 장치)(1)를 가지는 구성이며, 이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1) 중, 골프 연습 중의 피사체를 그 주위에 배치되어 상이한 시점에서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1)를 촬영 단말기 측으로 하고, 그 외의 카메라 장치(1)를 조작 단말기 측으로 하여, 이하, 이 촬영 단말기 측의 카메라 장치(1)를 단지 촬영 단말기(1A)라고 부르고, 조작 단말기 측의 카메라 장치(1)를 단지 조작 단말기(1B)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 각각의 촬영 단말기(1A)와 조작 단말기(1B)는, 무선 통신(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촬영 단말기(1A)와 조작 단말기(1B)는, 각각 전용의 카메라로 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자를 동일한 구성으로 하고, 조작 단말기(1B)를 촬영 단말기(1A)로서 사용하거나, 반대로 촬영 단말기(1A)를 조작 단말기(1B)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양자를 구별하지 않을 때는, 단지 카메라 장치 또는 카메라 제어 장치(1)라고 부르기로 한다.
카메라 장치(카메라 제어 장치)(1)는, 정지 화상 촬영 및 동화상 촬영이 가능한 촬영 기능(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콤팩트 카메라이며, 피사체를 고정밀도에 촬영 가능한 촬영 기능과, 기록 보존되어 있는 촬영이 끝난 화상(보존 화상)을 임의로 판독하여 재생하는 화상 재생 기능 등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1)가 연계하여 동일한 피사체(골퍼, 공 등)를 복수의 상이한 시점에서 동시에 촬영을 행하는 특수 촬상 기능(연계 촬영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1)는, 컴팩트 카메라에 한정되지 않고, SLR(single-lens reflex) 카메라이어도 된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1)는, 삼각 등의 고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기구는, 그 이동에 의해 촬영 위치(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변경 가능한 외에, 촬영 방향(카메라의 광축 방향의 방향)이나 촬영 높이(카메라 설치의 높이)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이며, 예를 들면, 바닥면에 수평으로 세워 설치하거나, 천장 면이나 측벽 등에 장착하여 설치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는 카메라 장치(1)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카메라 장치(1)의 중핵을 이루는 제어부(11)는, 전원부(2차 전지)(12)로부터의 전력 공급에 의해 동작하고, 기억부(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이 카메라 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며, 이 제어부(11)에는 도시하지 않은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나 메모리 등이 설치되어 있다. 기억부(13)는, 예를 들면, ROM, 플래시 메모리 등을 가지는 구성이며, 후술하는 도 5∼도 7에 나타낸 동작 절차에 따라, 본 실시형태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애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13A), 플래그(flag) 등을 일시 기억하는 작업 메모리(13B), 후술하는 역할 테이블(13C) 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억부(13)는, 예를 들면, SD 카드, IC 카드 등, 탈착 가능한 휴대형 메모리(기록 미디어)를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도시하지 않지만, 통신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소정의 서버 장치 측의 기억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조작부(14)는, 도시하지 않지만, 푸시 버튼식의 각종 키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촬영 모드와 촬영이 끝난 화상(보존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를 전환하거나, 다시 촬영 모드로 하여, 전술한 특수 촬상 기능(연계 촬영 기능)을 유효로 하는 연계 촬영 모드 등으로 전환하거나 하는 모드 변경 버튼과, 촬영 지시를 행하는 릴리즈 버튼(release button)과 화각(줌)을 조정하는 줌 레버(zoom lever), 및 노출이나 셔터 스피드 등의 촬영 조건을 설정하는 설정 버튼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11)는, 이 조작부(14)로부터의 입력 조작 신호에 따라 처리로서, 예를 들면, 모드 변경 처리, 촬영 조건의 설정 처리 등을 실행한다.
표시부(15)는, 예를 들면, 종횡비가 상이한 화면을 가진 고정밀도의 액정 화면을 가지고, 그 화면은, 촬상된 화상(라이브 뷰(live view) 화상)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모니터 화면(라이브 뷰 화면)이 되거나, 촬영이 끝난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화면이 되거나 한다. 촬상부(16)는 피사체를 고정밀도로 촬영 가능한 카메라 부(촬영 기능)를 구성하는 것으로, 줌 조정·초점 조정·자동 노출 조정(AE)·자동 초점 조정(AF) 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촬상부(16)에 있어서 광학 렌즈계로부터의 피사체상이 촬상 소자에 결상되면, 광전 변환되어 판독된 화상 신호(아날로그 값의 신호)는, 디지털 값의 데이터로 변환된 후, 표시부(15)의 화면 사이즈로 변환되어 라이브 뷰 화상으로서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릴리즈 버튼에 의해 촬영이 지시되면, 촬상된 화상은,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나 샤프니스(sharpness) 등이 행해져 압축 처리된 후, 기억부(13)(예를 들면, SD 카드)에 기록 보존된다.
무선 통신부(17)는, 전술한 연계 촬영 모드에 있어서, 다른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1)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단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등록상표임) 또는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I-Fi) 접속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촬영 단말기(1A)와 조작 단말기(1B)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하지만, 조작 단말기(1B)로부터의 촬영 지시에 응답하여 각 촬영 단말기(1A)는, 그 지시에 따른 촬영 처리를 행하고, 그 촬영한 화상은, 조작 단말기(1B)에 송신되어 그 단말기 화면 내에 병렬 표시된다. 그리고, 촬영 단말기(1A)와 조작 단말기(1B) 사이에서의 통신 수단은, 광통신 또는 유선 접속 등이어도 된다.
촬영 상태 센서(18)는, 각종 센서(도시하지 않음)로서, 연계 촬영 모드 시에서의 카메라의 자세, 즉 중력 방향에 대한 카메라 장치(1)의 광축 방향의 각도(연직 경사)를 검출함으로써 촬영 방향(연직 경사)을 특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경사 센서)와, 미약한 지자기를 검출함으로써 촬영 방향(방위)을 양호한 정밀도(예를 들면, 10°단위)에 특정하기 위한 자기(磁氣) 센서(전자 컴퍼스)와, 기압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촬영 높이(기준의 높이에 대해 높다, 낮다)를 양호한 정밀도(예를 들면, 2m 단위)에 특정하기 위한 기압 센서(고도계)를 가지고 있다. 이 촬영 상태 센서(18)의 검출 결과, 즉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전자 컴퍼스), 기압 센서(고도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단말기(1A)는, 자기의 역할 테이블(13C)을 참조하고, 연계 촬영 모드 시의 촬영 조건으로 하여 그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특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역할 테이블(13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은 역할 테이블(13C)의 일부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 계속되는 역할 테이블(13C)의 다른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역할 테이블(13C)은,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1)가 연계하여 동일한 피사체(골퍼 등)를 복수의 상이한 시점에서 동시에 촬영을 행하는 연계 촬영 모드 시에 사용되는 테이블로,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과, 이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 등을 미리 규정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그리고, 역할 테이블(13C)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계 촬영 장면", "카메라의 역할", "촬영 조건",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의 각 항목을 가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연계 촬영 장면"은, 골프 스윙을 장면별로 촬영하기 위한 촬영 장면을 나타내고, 도시한 예에서는 "골프의 퍼팅 해석", "골프의 스윙 해석", "그 외의 해석" 등에 대응하여 그 장면별 식별 번호 (1), (2), (3) 등이 기억되어 있다. "카메라의 역할"은, "연계 촬영 장면"별로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1)가 할당되는 역할(촬영에 관한 역할)을 나타내고, 도시한 예에서는 "연계 촬영 장면"이 "골프의 퍼팅 해석"인 경우, 즉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공 정면에서 임펙트 시의 화상을 취득", "공 위쪽에서 임펙트 시의 화상을 취득", "공 비스듬히 앞쪽에서 임펙트 후의 연사 화상을 취득"의 역할에 대응하여, 그 역할 식별 번호 (11), (12), (13)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골퍼 정면에서의 동화상 취득", "골퍼 뒤쪽에서의 동화상 취득"의 역할에 대응하여, 그 역할 식별 번호 (21), (22)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역할 테이블(13C)에는 "연계 촬영 장면"별 각 "카메라의 역할"에 대응하여, 카메라 장치(1)의 배치 상태나 촬영 파라미터를 나타낸 "촬영 조건"의 항목을 가지고 있다. 이 "촬영 조건"은, 연계 촬영을 행할 때의 각종 조건을 나타낸 것이며, 연계 촬영 시에 카메라 장치(1)를 설치하는 조건으로서의 "설치 상태(촬영 상태)"와, 연계 촬영 시에 설정되는 조건으로서의 "촬영 파라미터(설정 조건)"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다. "설치 상태(촬영 상태)"는 "촬영 방향(연직 경사)", "촬영 방향(방위)", "촬영 높이", "촬영 위치"의 항목을 가지고 있다. "촬영 방향(연직 경사)"은 중력 방향에 대한 카메라의 광축 방향의 각도(연직 경사)를 나타내고, 도시한 예에서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11), (12), (13)에 대응하여, "수평", "아래", "비스듬히 아래"가 기억되고,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수평"이 각각 기억되어 있다.
"촬영 방향(방위)"는, 기준 방위(예를 들면, 북 방향)에 대한 카메라 장치(1)의 광축 방향의 각도(방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촬영 방향(방위)"의 "―"는 방위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것(방위를 불문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기준 방위", "기준 방위+90°우회전"이 기억되어 있다. "촬영 높이"는, 기준의 높이(예를 들면, 2m)에 대해 높은지 낮은지를 나타내고, 도시한 예에서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11), (12), (13)에 대응하여, "낮다", "높다", "낮다"가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 중, "촬영 높이"의 "―"는, 높이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높이를 불문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촬영 위치"는,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 장치(1)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고, 도시한 예에서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11)∼(13)에 대응하여, "공 정면", "공 위쪽", "공 비스듬히 앞쪽"이 기억되고,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골퍼 정면", "골퍼 뒤쪽"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의 역할의 일부에 촬영 위치가 개념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므로, "촬영 위치"의 항목을 특히 설치해 둘 필요는 없지만, 역할과의 대응을 명시하기 위해 "촬영 위치"의 항목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역할 식별 번호 (11)의 역할인 "공 정면에서 임펙트 시의 화상을 취득"의 경우,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 "설치 상태(촬영 상태)"로서 "촬영 방향(연직 경사)"에는 "수평", "촬영 높이"에는 "낮다", "촬영 위치"에는 "공 정면"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역할 식별 번호 (12)의 역할인 "공 위쪽에서 임펙트 시의 화상을 취득"의 경우, 그 역할을 행하기 위해 "촬영 방향(연직 경사)"에는 "아래", "촬영 높이"에는 "높다", "촬영 위치"에는 "공 위쪽"이 기억되어 있다.
"촬영 파라미터(설정 조건)"는 촬영에 관한 역할의 일부를 나타내고, 연계 촬영 시에 설정되는 조건(촬영 파라미터)으로, 각종 촬영 파라미터로서 "동화상/정지 화상", "줌 배율", "화상 사이즈(해상도)", "촬영 타이밍", "촬영 간격/장수(프레임 레이트/시간", "기타"의 각 항목을 가지고 있다. "동화상/정지 화상"은, 연계 촬영이 동화상 촬영인지 정지 화상 촬영인지를 나타내고, 도시한 예에서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11)∼(13)에 대응하여, "정지 화상", "정지 화상", "연사"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동화상"이 각각 기억되어 있다. "줌 배율"은 연계 촬영 시의 줌 배율, "화상 사이즈(해상도)"의 연계 촬영 시의 화상 사이즈이다.
"촬영 타이밍"은 연계 촬영 시의 촬영 타이밍을 나타내고, 도시한 예에서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임펙트 검출 시"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임펙트 검출 전후"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촬영 간격/장수(프레임 레이트/시간)"는, 연계 촬영 시의 촬영 간격 또는 매수(프레임 레이트 또는 시간)를 나타내고,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11)∼(13)에 대응하여, "1장", "1장", "0.01초/4초"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30fps/5초"가 각각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 "기타"는, 스트로브 발광의 유무 등이다.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은, "촬영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촬영에 관한 역할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며, 전술한 촬영 조건을 제외하고 다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건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촬영된 화상을 조작 단말기(1B)에 송신하여 표시하게 하는 경우의 처리 조건을 나타내고, "표시 위치", "표시 방법"의 각 항목을 가지고 있다. "표시 위치"는 촬영된 화상을 조작 단말기(1B)의 화면 내에 표시하게 할 때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고, 그 단말기 화면 내에 있어서 그 상단, 중단, 하단, 우측, 좌측의 각 영역 중, 어떤 위치의 영역에 표시하게 할 것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11)∼(13)에 대응하여 "상단", "중단", "하단"이 기억되고, 또한,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좌측", "우측"이 각각 기억되어 있다.
"표시 방법"은 촬영된 화상을 조작 단말기(1B)의 화면 내에 표시하게 할 때의 표시 방법(통상 표시, 스트로브 합성, 동기 동화상 재생 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동기 동화상 재생은 병렬 표시의 복수의 화상(동화상)을 동기시켜 재생하는 표시 방법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11)∼(13)에 대응하여, "통상 표시", "통상 표시", "스트로브 합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는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여, "동기 동화상 촬영"이 각각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실시형태에서의 카메라 장치(1)의 동작 개념을 도 5∼도 7에 나타낸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들 흐름도에 기술되어 있는 각 기능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고, 이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이 순차 실행된다. 또한, 네트워크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하여 전송되어 온 전술한 프로그램 코드에 따른 동작을 순차 실행할 수도 있다. 이것은 후술하는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기록 매체 이외에, 전송 매체를 통하여 외부 공급된 프로그램/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 특유의 동작을 실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도 7은, 각 카메라 장치(1)의 전체 동작 중, 본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의 동작 개요를 나타낸 흐름도이며, 이 도 5∼도 7의 흐름에서 빠졌을 때는, 전체 동작의 주 흐름(도시하지 않음)으로 돌아간다.
지금, 골프 연습 중의 피사체(예를 들면, 골퍼, 공)의 주위에 복수 대의 카메라 장치(1)를 배치할 때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그 동작 모드를 연계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또한, 촬영 단말기로서 기능해야 할 것을 지정하여 둔다. 그리고, 촬영 단말기로서 기능하는 각 카메라 장치(1)를, 예를 들면, 피사체의 정면, 위쪽, 비스듬히 앞쪽에 1대씩 그 촬영 방향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둔다. 또한, 그 외의 1대의 카메라 장치(1)도 연계 촬영 모드로 전환하지만, 그때, 조작 단말기로서 기능해야 할 것을 지정하여 둔다.
도 5는, 카메라 장치(1)의 동작(제1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촬영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실행 개시된다.
먼저, 카메라 장치(1)는,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전술한 연계 촬영 모드인지를 조사하고(단계 S1), 연계 촬영 모드가 아니면(단계 S1에서 NO), 그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촬영 처리(각각의 카메라 장치(1)가 단독으로 촬영하는 처리)로 이행하지만(단계 S2), 연계 촬영 모드이면(단계 S1에서 YES), 촬영 단말기로서 기능해야 할 것이 사용자 지정되어 있는지를 조사한다(단계 S3).
지금, 촬영 단말기의 지정이 아니면(단계 S3에서 NO), 조작 단말기로서 기능해야 할 것이 사용자 지정된 경우이므로, 후술하는 조작 단말기 측의 카메라 처리(단계 S4)로 이행하지만, 촬영 단말기의 기능이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단계 S3에서 YES), 후술하는 촬영 단말기 측의 카메라 처리(단계 S5)로 이행한다. 그 후, 촬영 모드가 해제되어 촬영 종료가 지시되었는지를 조사하고(단계 S6), 촬영 모드가 계속되고 있을 때는(단계 S6에서 NO), 전술한 단계 S1로 돌아가지만, 촬영 모드가 해제되었을 때는(단계 S6에서 YES), 이 도 5의 흐름으로부터 빠져나간다.
도 6은, 도 5의 단계 S4(조작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조작 단말기(1B)는 전술한 연계 촬영 모드로 전환되어 있어도 촬영 처리는 행해지지 않고, 각각의 촬영 단말기(1A)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한다. 즉, 조작 단말기(1B)는, 역할 테이블(13C)의 "연계 촬영 장면"으로부터 그 내용을 판독하여 일람 표시하게 한 상태에 있어서(단계 S41), 그 중 어느 하나의 "연계 촬영 장면"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는(단계 S42), 그 선택된 "연계 촬영 장면의 식별 번호"를 각각의 촬영 단말기(1A)에 일제히 무선 송신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43).
도 7은, 도 5의 단계 S5(촬영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각각의 촬영 단말기(1A)는, 조작 단말기(1B)로부터 "연계 촬영 장면의 식별 번호"를 수신했을 때는(단계 S51에서 YES), 그 "연계 촬영 장면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여 역할 테이블(13C)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52). 그리고, 담당 카메라란, 연계 촬영할 때에 그 역할분을 담당하는 촬영 단말기(1A)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자체 카메라(its own camera) 가 담당 카메라가 된다.
즉, 촬영 단말기(1A)는, 자체 카메라(담당 카메라)의 촬영 상태 센서(18)로 얻은 센서 정보에 기초하여, 자체 카메라의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한다. 이 경우, 촬영 상태 센서(18)의 검출 결과, 즉 가속도 센서, 자기 센서(전자 컴퍼스), 기압 센서(고도계)의 검출 결과를 설치 상태(촬영 상태), 즉 자체 카메라의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조작 단말기(1B)로부터 수신한 "연계 촬영 장면의 식별 번호"를 키로 하여 역할 테이블(13C)을 검색하고, 해당하는 "연계 촬영 장면"의 각 "카메라의 역할"에 대응하는 "설치 상태(촬영 상태)"와, 촬영 상태 센서(18)에 의해 검출된 자체 카메라의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비교한다(단계 S53).
이 경우, 역할 테이블(13C)의 "설치 상태(촬영 상태)"에는 "촬영 위치"의 항목이 기억되어 있지만, 촬영 상태 센서(18)의 검출 결과에는 "촬영 위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단계 S53의 처리에서는, 역할 테이블(13C)의 "촬영 방향(연직 경사)", "촬영 방향(방위)", "촬영 높이"의 조합과, 촬영 상태 센서(18)의 검출 결과 (가속도 센서, 전자 컴퍼스, 고도계의 검출 결과의 조합)를 비교한다. 이 복수의 항목의 조합을 비교한 결과, 모든 항목이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지만, 역할 테이블(13C) 내에 "-"가 설정되어 있는 항목이 존재하면, 그 항목을 제외한 다른 항목 모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지금, 모든 항목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일치하는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자체 카메라의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하는 동시에, 이 "설치 상태(촬영 상태)"에 대응하고 있는 "카메라의 역할"을 자체 카메라의 역할로서 특정한다(단계 S54). 예를 들면, "촬영 방향(연직 경사)"가 " 평", "촬영 높이"가 "낮다"로 일치하면,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자체 카메라의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으로서 특정하고 또한, 이 "설치 상태(촬영 상태)"에 대응하고 있는 "카메라의 역할"로서, "공 정면에서 임펙트 시의 화상을 취득"을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한 "카메라의 역할"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으로서 역할 테이블(13C) 내의 "촬영 파라미터(설정 조건)"를 제2 항목으로서 특정하고, 이 "촬영 파라미터(설정 조건)"내의 "동화상/정지 화상", "줌 배율", "화상 사이즈(해상도)", "촬영 타이밍", "촬영 간격/장수(프레임레이트/시간)", "기타"의 값을 판독하여 설정하는 처리(단계 S55)를 실행한 후, 이 설정한 "촬영 파라미터"의 조건 하에서 촬상 부(16)에 대하여 촬영 개시의 지시를 행한다(단계 S56).
그리고, 제1 항목의 촬영 조건과 제2 항목의 촬영 조건과의 관계는, 촬영 단말기(1A)의 설치에 관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촬영 위치와 촬영 방향의 관계이어도 된다. 즉,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을 촬영 방향,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을 촬영 위치로 하면, 특정한 "카메라의 역할"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촬영 방향)에 기초하여, 다른 촬영 상태 "촬영 위치"를 제2 항목으로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자체 카메라의 기억부(3)에 기록 보존하고 또한, 이 촬영 화상 데이터에, 조작 단말기(1B)로부터 수신한 "연계 촬영 장면의 식별 번호"와, 특정한 "카메라의 역할의 식별 번호"를 부가하여, 조작 단말기(1B)에 송신한다(단계 S57). 그리고, 연계 촬영 모드가 해제되어 그 종료가 지시되었는지를 조사하여(단계 S58), 연계 촬영 종료가 지시되기까지 전술한 단계 S52로 복귀하고, 이하,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지만, 연계 촬영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는(단계 S58에서 YES), 도 7의 흐름에서 빠져나간다.
한편, 조작 단말기(1B)는, 촬영 단말기(1A)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도 6의 단계 S44), 그 촬영 화상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연계 촬영 장면의 식별 번호"와 "카메라의 역할의 식별 번호"를 키로 하여 역할 테이블(13C)을 검색하고, 이 "연계 촬영 장면의 식별 번호" 및 "카메라의 역할의 식별 번호"에 대응하고 있는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으로부터 "표시 위치" 및 "표시 방법"을 취득하고, 이 "표시 위치" 및 "표시 방법"에 따라 그 단말기 화면 내의 소정 위치에 촬영 화상을 표시하게 한다(단계 S45). 그리고, 연계 촬영 모드가 해제되어 그 종료가 지시되었는지를 조사하여(단계 S46), 연계 촬영 종료가 지시되기까지 전술한 단계 S44로 복귀하고, 이하, 각 촬영 단말기(1A)로부터 촬영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그 촬영 화상을 단말기 화면 내에 추가 표시(병렬 표시)하게 한다(단계 S45). 여기서, 연계 촬영 종료가 지시되었을 때는(단계 S46에서 YES), 도 6의 흐름으로부터 빠져나간다.
도 8a∼도 8d는, 각 촬영 단말기(1A)로 촬영된 화상이 조작 단말기(1B)에 송신되어 그 단말기 화면에 병렬 표시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에 그 역할 식별 번호 (11), (12), (13)에 대응하는 "촬영 파라미터"에 의해 촬영된 역할 (11), (12), (13)의 화상이 병렬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장면 식별 번호 (1)에 대응하는 역할 테이블(13C) 내의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에 따라 역할(11)의 화상은 화면의 상단에 통상 표시되고, 역할(12)의 화상은 화면의 중단에 통상 표시되고, 역할(13)의 화상은 연사된 4개의 화상이 스트로브 합성되어 화면의 하단에 표시된다.
도 8b는, 도 8a와 마찬가지로 장면 식별 번호가 (1)인 경우의 표시예이지만, 각 촬영 화상의 사이즈가 상이한 경우의 표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역할 (11), (12)의 화상이 크게, 각 화상을 세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할 수 없으므로, 상단, 중단, 하단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옆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병렬 표시한 경우이다. 도 8c는, 도 7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할 (11)∼(13)의 화상을 세로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한 경우이지만, 도면 중, 좌측의 세로 일렬은, 1회째의 촬영으로 얻어진 역할 (11)∼(13)의 화상, 중간의 세로 일렬은 2회째의 촬영으로 얻어진 역할 (11)∼(13)의 화상, 우측의 세로 일렬은, 3회째의 촬영으로 얻어진 역할(11)∼(13)의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8d는, 장면 식별 번호가 (2)인 경우에 그 역할 식별 번호 (21), (22)에 대응하는 "촬영 파라미터"에 의해 촬영된 역할, (22)의 화상이 병렬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경우, 장면 식별 번호 (2)에 대응하는 역할 테이블(13C) 내의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에 따라 역할(21)의 화상(동화상)은 화면의 좌측에 동기 재생되고, 역할(22)의 화상(동화상)은 화면의 우측에 동기 재생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 단말기(1A)는,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자체 카메라(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이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역할 테이블(13C)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자체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도록 했으므로, 자체 카메라의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라도 특별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촬영에 관한 역할을 변경 후의 촬영 조건에 적합하게 할 수 있어 그 역할에 맞은 동작 제어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은, 자체 카메라를 포함하는 복수의 담당 카메라(촬영 단말기 측의 카메라)가 연계하여 촬영을 행할 때 각 담당 카메라에 대해 할당되는 역할이며, 자체 카메라를 포함하여 각 담당 카메라에 의한 연계 촬영이 적절한 것으로 된다.
역할 테이블(13C)은,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제1 항목의 촬영 조건과 제2 항목의 촬영 조건과의 상이한 조합을 미리 규정하고, 촬영 단말기(1A)는 자체 카메라의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이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역할 테이블(13C)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자체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한 후, 또한 이 특정한 역할에 기초하여, 역할 테이블(13C)에 규정되어 있는 제2 항목의 복수의 촬영 조건의 중에서 자체 카메라의 역할에 상응하는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도록 했으므로, 자체 카메라의 제1 항목의 촬영 조건, 역할,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을 순차적으로 특정할 수 있다.
제1 항목의 촬영 조건과 제2 항목의 촬영 조건과의 관계는, 자체 카메라의 설치에 관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촬영 위치와 촬영 방향의 관계이며, 촬영 위치, 촬영 방향 중 어느 한쪽을 특정할 수 있으면, 다른 쪽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방향이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위치이므로, 촬영 방향으로부터 촬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계 촬영 장면이 "1"인 경우, 촬영 방향(연직 경사)이 "수평"이면, 이 촬영 방향으로부터 식별 번호 (11)의 역할을 통하여 촬영 위치 "공 정면"을 특정할 수 있다.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상태 센서(18)에 의해 검출되는 촬영 상태이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상태 센서(18)에 의해 검출되는 촬영 상태를 제외한 다른 촬영 상태이므로, 그 다른 촬영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전용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그 촬영 상태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 위치를 검출하는 측위 센서(GPS)를 구비하지 않아도, 촬영 상태 센서(18)에 의해 검출된 촬영 상태(예를 들면, 촬영 방법)로부터 촬영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전파 장해나 전파가 도달하지 않는 환경 하에서도 촬영 위치의 특정이 가능해진다.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자체 카메라의 설치에 관한 촬영 상태이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자체 카메라의 역할에 상응하여 설정되는 촬영 파라미터이므로, 촬영 단말기(1A)는 자체 카메라의 설치 상태에 적당한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촬영을 행할 수 있다.
역할 테이블(13C)은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촬영 조건과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 "표시 위치", "표시 방법"을 규정하고, 촬영 단말기(1A)는, 자체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한 후, 또한 이 특정한 역할에 기초하여,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을 특정하도록 했으므로, 촬영 조건으로부터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을 특정할 수 있고, 그 처리 조건의 동작 제어가 가능해진다.
역할에 대한 촬영 조건은 자체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나타내고, 이 촬영 방향 이외의 처리 조건을 특정하여 그 동작 제어가 가능해진다.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은 특정된 역할에 따라 촬영된 화상의 "표시 위치", "표시 방법"을 나타내고, 이 "표시 위치", "표시 방법"에 따라 화상 표시를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역할에 적절한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역할 테이블(13C)은, 연계 촬영 장면별로 역할이 규정되어 있고, 촬영 단말기(1A)는 조작 단말기(1B)에서 연계 촬영 장면이 선택되면, 이 연계 촬영 장면에 대응하여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자체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도록 했으므로, 연계 촬영 장면별로 상이한 역할을 특정할 수 있다.
촬영 단말기(1A)는, 특정한 역할에 기초하여, 그 역할에 상응하는 내용의 동작 제어를 자체 카메라에 대해 지시하도록 했으므로, 자체 카메라에 역할에 상응하는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그 촬영을 지시하거나,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표시 위치, 표시 방법)을 조작 단말기(1B)에 대해 지시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을 촬영 방향으로 하고,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을 촬영 위치로 하였으나, 이와는 반대로,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을 촬영 위치로 하고,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을 촬영 방법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촬영 위치로부터 촬영 방법을 특정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의 촬영 단말기(1A)가 자체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이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역할 테이블(13C)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자체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한 후, 이 역할에 적당한 촬영 파라미터를 더 특정하여 자체 카메라에 설정하도록 했지만,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단말기(1B)가 각 촬영 단말기(1A)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즉, 제1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의 촬영 단말기(1A)가 자체를 제어하는 경우를 기재하였지만, 제2 실시형태의 조작 단말기(1B)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다른 카메라 제어 장치, 즉 각 촬영 단말기(1A)의 동작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각 촬영 단말기(1A)로부터 촬영 조건을 수신 취득하여 각 촬영 단말기(1A)의 역할을 특정한 후, 이 역할에 적당한 촬영 파라미터를 더 특정하여 각각의 촬영 단말기(1A)에 송신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촬영 단말기(1A) 및 조작 단말기(1B)에, 역할 테이블(13C)을 각각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기(1B)(카메라 제어 장치)에만 역할 테이블(13C)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조작 단말기(1B)는 "연계 촬영 장면"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하는 경우를 예시하도록 했지만, 제2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단말기(1B)가 촬영 단말기(1A)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연계 촬영 장면"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양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본적 또는 명칭적으로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동시에, 이하, 제2 실시형태의 특징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의 단계 S5(촬영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촬영 단말기(1A)는, 연계 촬영 모드에 있어서 자체 카메라의 촬영 상태 센서(18)로 얻어진 센서 정보(가속도 센서, 전자 컴퍼스, 고도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체 카메라의 촬영 조건으로서 그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검출하고(단계 S501), 이 검출한 자체 카메라의 촬영 상태 데이터(복수 항목을 조합한 데이터)에 자신의 카메라 ID(식별 정보)을 부가하여, 조작 단말기(1B)에 무선 송신(단계 S502)한 후, 조작 단말기(1B)로부터 촬영 조건을 수신할 때까지 대기 상태가 된다(단계 S503).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의 단계 S4(조작 단말기 측의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조작 단말기(1B)는, 촬영 단말기(1A)로부터 그 카메라 ID가 부가된 촬영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 S401), 이 수신한 촬영 상태 데이터와, 역할 테이블(13C) 내의 각종 "연계 촬영 장면"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역할"별의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비교한다(단계 S402). 이 경우, 역할 테이블(13C)에 "연계 촬영 장면"별 및 "카메라의 역할"별로 규정되어 있는 각 "설치 상태(촬영 상태)"의 "촬영 방향(연직 경사)", "촬영 방향(방위)", "촬영 높이"의 조합과, 수신한 촬영 상태 데이터의 조합을 순차적으로 비교하고, 촬영 상태가 일치(모든 항목이 일치)하는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검색한다.
그 결과, 촬영 상태가 일치하는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검색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그 "설치 상태(촬영 상태)"에 대응하고 있는 "연계 촬영 장면"을 선택하고(단계 S403) 또한, 이 촬영 상태가 일치하는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고, 이 "카메라의 역할"과 수신한 카메라 ID를 대응시킨다(단계 S404). 그리고, 촬영 상태가 일치하는 "연계 촬영 장면", "카메라의 역할"에 대응하고 있는 촬영 파라미터(설정 조건)를 판독하고, 수신한 카메라 ID의 촬영 단말기(1A)에 무선 송신함으로써 그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촬영 지시를 행한다(단계 S405).
촬영 단말기(1A)는 조작 단말기(1B)로부터 "촬영 파라미터(설정 조건)"를 수신하면(도 9의 단계 S503에서 YES), 수신한 "촬영 파라미터(설정 조건)"를 설정(단계 S504)한 후, 그 촬영 파라미터에 따른 촬영을 개시한다(단계 S505). 이로써, 촬영한 화상 데이터에 자신의 카메라 ID를 부가하여 조작 단말기(1B)에 무선 송신한다(단계 S506). 그리고, 연계 촬영 모드가 해제되어 연계 촬영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를 조사하여(단계 S507), 그 종료 지시가 있을 때까지 전술한 단계 S501로 복귀하고, 이하,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조작 단말기(1B)는 촬영 단말기(1A)로부터 카메라 ID부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면(도 10의 단계 S406), 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그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게 하지만, 그때, 이 카메라 ID에 대응하고 있는 역할에 기초하여, 역할 테이블(13C) 내의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을 판독하고, 그 "표시 위치", "표시 방법"에 따라 화상을 병렬 표시하게 한다(단계 S407). 이 경우, 전술한 도 8의 표시예와 마찬가지의 표시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연계 촬영 모드가 해제되어 연계 촬영의 종료가 지시되었는지를 조사하고(단계 S408), 그 종료 지시가 있을 때까지 전술한 단계 S401로 복귀하고, 이하,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작 단말기(1B)는,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각 담당 카메라(촬영 단말기(1A))의 동작을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하는 경우에, 촬영 단말기(1A)로부터 수신 취득한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역할 테이블(13C)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그 촬영 단말기(1A)의 역할을 특정하도록 했으므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담당 카메라(촬영 단말기(1A)의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경우라도 특별한 조작을 요구하지 않고, 촬영에 관한 역할을 변경 후의 촬영 조건에 적합할 수 있어 그 역할에 따른 동작 제어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조작 단말기(1B)는 각각의 촬영 단말기(1A)의 역할을 관리할 수 있다. 즉, 각 촬영 단말기(1A)에 그 역할에 상응하는 촬영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그 촬영을 지시하거나,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으로서 화상의 표시 위치, 표시 방법을 제어하거나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 단말기(카메라 제어 장치)로서 카메라 장치(1)를 예시했지만, 태블릿 단말기 등의 PC(퍼스널 컴퓨터), PDA(개인용 휴대형 정보 통신 기기),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기를 조작 단말기(카메라 제어 장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태블릿 단말기 등의 카메라 제어 장치에 연계 촬영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모드를 설치하고, 이 카메라 제어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 전술한 도 10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 카메라 제어 장치와 각 카메라 장치(1)와의 통신 수단은 광통신 또는 유선 접속 등이어도 된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 단말기(1A)를 삼각 등의 고정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이 촬영 단말기(1A)에 설치한 촬영 상태 센서(18)에 의해 촬영 방향, 촬영 높이 등을 검출하도록 했지만, 고정 기구 측에 촬영 상태 센서를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1)가 장착되었을 때, 고정 기구 측에서 검출된 설치 상태(촬영 상태)를 카메라 장치(1)에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 단말기(1A)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예시했지만, 카메라가 부착된 PDA, 스마트 폰 등의 휴대 전화기, 전자 게임 등이어도 된다. 또한, 카메라 시스템으로서는 골프 스윙 해석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인물, 시설 등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장치"나 "부(部)"는, 기능별로 복수의 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되고, 단일 하우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흐름도에 기술한 각 단계는, 시계열적인 처리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처리하거나, 별개로 독립적으로 처리하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기억부(1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부(11)가 동작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각종 기능(처리, 수단)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현(실행,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이며,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종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IC나 LSI 등의 전자 회로로 실현해도 된다. 이 경우, 전자 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명세서에 기재한 흐름도나 기능 블록도 등에 기초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한다(예를 들면, 흐름도로 나타낸 처리의 분기를 수반하는 판단 처리에 대해서는, 입력 데이터를 비교기에 의해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로 선택기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종 효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복수의 기능(처리, 수단)을 어떻게 분할할지도 자유이며, 이하에 그 일례를 기재한다.
(구성 1)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을 미리 규정하는 규정 수단,
상기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후보가 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제1 특정 수단, 및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제2 특정 수단
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2)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이며,
상기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은, 자체 카메라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가 연계하여 촬영을 행할 때 각 카메라에 대해 할당되는 역할이고,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자체 카메라를 상기 담당 카메라로 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역할 중에서 자체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3)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규정 수단은,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제1 항목의 촬영 조건과 제2 항목의 촬영 조건과의 상이한 조합을 미리 규정하고,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한 후, 또한, 이 특정한 역할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제2 항목의 복수의 촬영 조건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에 상응하는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4)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과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과의 관계는, 상기 담당 카메라의 설치에 관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촬영 위치와 촬영 방향의 관계이도록,
구성한다.
(구성 5)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방향이며,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위치이도록,
구성한다.
(구성 6)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촬영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촬영 상태이며,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촬영 상태를 제외한 다른 촬영 상태이도록,
구성한다.
(구성 7)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설치에 관한 촬영 상태이고,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에 상응하여 설정되는 촬영 파라미터이도록,
구성한다.
(구성 8)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규정 수단은,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촬영 조건과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과의 상이한 조합을 미리 규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한 후, 또한, 이 특정한 역할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 이외의 복수의 처리 조건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로 설정해야 할 처리 조건을 특정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9)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촬영 위치, 촬영 방향 중, 적어도 그 어느 하나이도록,
구성한다.
(구성 10)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은, 복수의 상기 담당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표시할 때의 표시 위치, 표시 방법 중, 적어도 그 어느 하나이도록,
구성한다.
(구성 11)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복수의 상기 담당 카메라가 연계하여 촬영을 행할 때 각 담당 카메라에 할당되는 역할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계 촬영 장면 중에서 그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연계 촬영 장면에 대응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12)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2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역할에 기초하여, 그 역할에 상응하는 내용의 동작 제어를 상기 담당 카메라에 대해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13)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순차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순차 특정되는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순차 변경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14)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이며,
상기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은, 복수의 상기 담당 카메라가 연계하여 촬영을 행할 때 각 담당 카메라에 대해 할당되는 역할이며,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자체 카메라를 제외한 다른 상기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다른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다른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15)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각 담당 카메라의 동작을 통신 수단을 통해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각 담당 카메라로부터 그 촬영 조건을 수신 취득하는 취득 수단,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을 미리 규정하는 규정 수단, 및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수신 취득한 각 담당 카메라의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각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을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16)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역할에 기초하여, 그 역할에 상응하는 내용의 동작 제어를 상기 담당 카메라에 대해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더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구성 17)
상기 구성에 있어서 또한,
카메라 제어 장치에서의 카메라 제어 방법으로서,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후보가 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처리, 및
상기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이 미리 규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처리
를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Claims (19)

  1.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을 미리 규정하는 규정 수단;
    상기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후보가 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제1 특정 수단; 및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제2 특정 수단
    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이며,
    상기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은, 자체 카메라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메라가 연계하여 촬영을 행할 때 각 카메라에 대해 할당되는 역할이고,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자체 카메라를 상기 담당 카메라로 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역할 중에서 자체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 수단은,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제1 항목의 촬영 조건과 제2 항목의 촬영 조건과의 상이한 조합을 미리 규정하고,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한 후, 또한, 이 특정한 역할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제2 항목의 복수의 촬영 조건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에 상응하는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과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과의 관계는, 상기 담당 카메라의 설치에 관한 촬영 상태를 나타낸 촬영 위치와 촬영 방향의 관계인, 카메라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방향이고,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촬영 위치인, 카메라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촬영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촬영 상태이고,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촬영 상태를 제외한 다른 촬영 상태인, 카메라 제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설치에 관한 촬영 상태이고, 상기 제2 항목의 촬영 조건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에 상응하여 설정되는 촬영 파라미터인, 카메라 제어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정 수단은,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촬영 조건과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과의 상이한 조합을 미리 규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한 후, 또한, 이 특정한 역할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촬영 조건 이외의 복수의 처리 조건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로 설정해야 할 처리 조건을 특정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촬영 위치, 촬영 방향 중 적어도 그 어느 하나인, 카메라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 이외의 처리 조건은, 복수의 상기 담당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표시할 때의 표시 위치, 표시 방법 중 적어도 그 어느 하나인, 카메라 제어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담당 카메라가 연계하여 촬영을 행할 때 각 담당 카메라에 할당되는 역할에 대응하는 복수의 연계 촬영 장면 중에서 그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연계 촬영 장면에 대응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역할에 기초하여, 그 역할에 상응하는 내용의 동작 제어를 상기 담당 카메라에 대해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상기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순차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순차 특정되는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순차 변경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제어 장치는 촬영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이며,
    상기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은, 복수의 상기 담당 카메라가 연계하여 촬영을 행할 때 각 담당 카메라에 대해 할당되는 역할이고,
    상기 제1 특정 수단은 자체 카메라를 제외한 다른 상기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고,
    상기 제2 특정 수단은, 상기 제1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다른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다른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5.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각 담당 카메라의 동작을 통신 수단을 통해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로서,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각 담당 카메라로부터 그 촬영 조건을 수신 취득하는 취득 수단;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을 미리 규정하는 규정 수단; 및
    상기 취득 수단에 의해 수신 취득한 각 담당 카메라의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 수단에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각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
    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역할에 기초하여, 그 역할에 상응하는 내용의 동작 제어를 상기 담당 카메라에 대해 지시하는 지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장치.
  17. 카메라 제어 장치에서의 카메라 제어 방법으로서,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후보가 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처리; 및
    상기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이 미리 규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처리
    를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8.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각 담당 카메라의 동작을 통신 수단을 통해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해 상기 각 담당 카메라로부터 그 촬영 조건을 수신 취득하는 처리;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이 미리 규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신 취득한 각 담당 카메라의 촬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각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처리
    을 포함하는 카메라 제어 방법.
  19. 카메라 제어 장치의 컴퓨터에 대해,
    촬영에 관한 복수의 역할 중 어느 하나를 담당하는 담당 카메라의 촬영 조건을 특정하는 기능; 및
    상기 복수의 역할 각각에 대해 상이한 촬영 조건이 미리 규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촬영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규정되어 있는 복수의 역할 중에서 상기 담당 카메라의 역할을 특정하는 기능
    을 실현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
KR1020150038422A 2014-06-30 2015-03-19 카메라 제어 장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60002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33766 2014-06-30
JP2014133766A JP5999523B2 (ja) 2014-06-30 2014-06-30 カメラ制御装置、カメラ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330A true KR20160002330A (ko) 2016-01-07

Family

ID=5493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422A KR20160002330A (ko) 2014-06-30 2015-03-19 카메라 제어 장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81886A1 (ko)
JP (1) JP5999523B2 (ko)
KR (1) KR20160002330A (ko)
CN (1) CN10530680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37047B2 (ja) * 2016-08-02 2020-08-0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影モード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803879A (zh) * 2017-02-07 2017-06-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协同取景拍摄装置及方法
WO2019216131A1 (ja) * 2018-05-11 2019-1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システム
KR102109971B1 (ko) * 2018-10-29 2020-05-12 주식회사 크리에이츠 골프 스윙의 촬영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4831B1 (ko) * 2018-10-29 2019-09-25 주식회사 크리에이츠 공의 회전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084A (ja) 2008-11-25 2010-06-10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0422B2 (en) * 2004-07-19 2011-08-02 Grandeye, Ltd. Automatically expanding the zoom capability of a wide-angle video camera
JP4733942B2 (ja) * 2004-08-23 2011-07-27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カメラシステム
JP5213620B2 (ja) * 2008-10-01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402431B2 (ja) * 2009-09-11 2014-01-2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メラ制御装置
JP5715775B2 (ja) * 2010-06-30 2015-05-1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画像監視方法
US8994826B2 (en) * 2010-08-26 2015-03-31 Blast Motion Inc. Portable wireless mobile device motion capture and analysis system and method
EP2434751A3 (en) * 2010-09-28 2014-06-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roles for media generation and compilation
JP5999336B2 (ja) * 2012-09-13 2016-09-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079089B2 (ja) * 2012-09-21 2017-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特定システム、画像特定方法、画像特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0084A (ja) 2008-11-25 2010-06-10 Casio Computer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12832A (ja) 2016-01-21
US20150381886A1 (en) 2015-12-31
CN105306807A (zh) 2016-02-03
JP5999523B2 (ja)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9759B2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
US9025044B2 (en) Imaging device, display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8730335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5194650B2 (ja) 電子カメラ
CN104683689A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30069123A (ko) 촬상장치, 촬상 구도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090022054A (ko) 파노라마 사진 촬영 방법
US797825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its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JP2009521134A (ja) シーン認識撮影システム及びシーン認識撮影方法
WO2012132204A1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撮影ガイド表示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20160002330A (ko) 카메라 제어 장치, 카메라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375688B1 (ko) 촬상 장치, 촬영 시스템 및 촬영 방법
JP2007166420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4565909B2 (ja) カメラ
JP2006246354A (ja) 撮影装置及び撮影プログラム
JP69507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346090A (ja) 電子カメラシステム及び電子カメラ
JP4978724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861420B2 (ja) 電子カメラ
JP739324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9111827A (ja) 撮影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提供システム
JP2014095624A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044272B2 (ja) 補助撮像装置
JP5141222B2 (ja) 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8082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