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642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642A
KR20150145642A KR1020140076006A KR20140076006A KR20150145642A KR 20150145642 A KR20150145642 A KR 20150145642A KR 1020140076006 A KR1020140076006 A KR 1020140076006A KR 20140076006 A KR20140076006 A KR 20140076006A KR 20150145642 A KR20150145642 A KR 2015014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s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substrate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3100B1 (ko
Inventor
신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100B1/ko
Priority to US14/725,047 priority patent/US9887381B2/en
Priority to CN201510332979.7A priority patent/CN105206760B/zh
Priority to EP15172506.6A priority patent/EP2958159B1/en
Publication of KR2015014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부, 유기 발광부를 덮는 봉지부 및 봉지부 상에 형성된 제2 기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외곽 부분에 봉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복수 개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접착부의 일정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상기 접착부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로부터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부에 포함된 첨가물의 분포를 조절함으로써, 측면 투습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유기 발광부를 보호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는 자체 발광형 표시 장치로서,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하고, 두 개의 전극으로부터 각각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을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시켜, 주입된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의해 광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표시 장치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전면 발광(top emission) 방식,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 또는 양면 발광(dual emission) 방식으로 나눌 수 있고, 구동 방식에 따라 능동 매트릭스형(active matrix type) 또는 수동 매트릭스형(passive matrix typ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유기 발광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특허출원번호 제 10-2011-0055238호)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포함된 유기 재료 및 금속 재료는 수분(H20) 또는 산소(02)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매우 쉽게 산화된다. 즉,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환경적 요인에 매우 민감하며, 유기 발광부 내부로 수분 또는 산소가 침투되면 유기 발광층의 변질 또는 금속 전극의 산화 등으로 인한 다크 스팟(dark spot), 픽셀 수축(pixel shrinkage) 등과 같은 각종 불량 및 수명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픽셀 수축 불량은 금속 전극과 유기 발광층의 계면이 수분 침투에 의해 산화 또는 변질됨으로써 픽셀의 가장 자리부터 검게 변하는 불량을 말한다. 픽셀 수축 불량(pixel shrinkage)이 장시간 지속되면 픽셀 전체 면적이 검게 변색되는 다크 스팟(dark spot) 불량으로 악화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는 수분 또는 산소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봉지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유리 재질의 쉴드캡(shield cap)을 이용한 측면 봉지 방법이나 유기 발광부 전면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전면 봉지 방법 또는 측면 봉지 방법과 전면 봉지 방법을 혼합한 복합형 봉지 방법 등이 있다.
이 중, 복합형 봉지 방법은, 유기 발광부를 전면 봉지하는 충진제(filler)와 충진제의 외곽에 위치하면서 수분 또는 산소가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댐(dam) 부재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기 발광부를 전면 봉지하는 충진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를 채우도록 형성되며,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외곽에 형성된 댐 부재는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을 접착하고,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 등으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댐 부재는 경화성 재료와 흡착제 등과 같은 수분에 반응하는 첨가물을 주 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측면 투습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유기 발광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댐 부재에 포함된 첨가물이 외부로부터 침투한 수분 등을 흡수함에 따라 첨가물의 부피는 점점 팽창하게 된다. 예를 들어, 칼슘 옥사이드(CaO)를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칼슘 옥사이드는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칼슘(Ca(OH)2)이 되면서 그 부피가 팽창하게 된다. 이처럼, 첨가물이 댐 부재 내부로 흡수된 수분과 반응하여 부피가 팽창하게 되면, 경화된 재료로 형성된 댐 부재에는 크랙(crack)이 발생하게 되어 댐 부재와 상부 기판 또는 댐 부재와 하부 기판이 분리되는 박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댐 부재에 발생된 크랙 및 박리로 인해 외부로부터 다량의 수분 또는 산소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내부로 침투하게 되고, 이에 따른 다크 스팟, 픽셀 수축 등과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심각한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댐 부재에 포함된 복수 개의 첨가물 중에서 외부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첨가물의 경우에 대기 중의 수분 또는 산소를 더욱 급속도로 흡수한다는 것을 인식하였고, 이로 인해 댐 부재의 크랙 발생 및 박리 불량이 더욱 증가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댐 부재에 포함된 첨가물의 분포를 인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투습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유기 발광부를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첨가물이 접착부 내부의 일정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로부터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부, 유기 발광부를 덮는 봉지부 및 봉지부 상에 형성된 제2 기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외곽 부분에 봉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복수 개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접착부의 일정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상기 접착부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로부터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첨가물이 접착부 내부의 일정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로부터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착부의 크랙 및 박리 등으로 인한 투습 불량을 개선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수명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선Ⅰ-Ⅰ'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선Ⅰ-Ⅰ'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유기 발광부(130), 봉지부(140) 및 복수 개의 첨가물(160)을 포함하는 접착부(15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기판(110) 상에는 유기 발광부(130) 및 유기 발광부(130)를 덮는 봉지부(140)가 형성되고, 봉지부(140) 상에는 제2 기판(120)이 형성된다. 또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의 외곽 부분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160)을 포함하는 접착부(150)가 형성된다. 접착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부(14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은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전면 발광(top emission)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부(13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제2 기판(120) 방향으로 투과되고, 이때, 제2 기판(120)은 투명한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가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인 경우, 유기 발광부(13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제1 기판(110) 방향으로 투과되고, 이때, 제1 기판(110)은 투명한 유리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기판(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기판(110)은 제2 기판(120)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의 돌출된 부분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기 발광부(130)로 다양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부 및 패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110) 상에는 유기 발광부(130)가 형성된다. 유기 발광부(130)는 두 개의 전극 및 그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하나의 빛을 발광하는 단일 발광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발광층으로 구성되어 백색 광을 발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부(130) 상에는 봉지부(140)가 형성된다. 봉지부(140)는 유기 발광부(130)를 덮도록 형성되며, 유기 발광부(130)를 봉지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이 유기 발광부(130)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봉지부(140)는 유동성의 모노머(monomer) 물질을 충진재로 사용한 후, 모노머 물질을 광 또는 열을 이용하여 경화시켜 폴리머(polymer)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모노머 물질은 가시 광선 영역, 예를 들어 380nm 내지 800nm 파장대에서 경화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유기 발광부(130)의 상측에 도포되는 봉지부(140)에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경우, 자외선 영역의 광은 유기 발광부(130)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열을 이용하여 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유기 발광부(130)를 손상시키지 않는 온도, 예를 들어, 150℃ 이하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봉지부(140)는 비휘발성의 물질로 대기 및 수분과 같은 외부 환경에 반응하지 않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경화된 폴리머 형태로 형성되는 봉지부(140)는 액상과 고상의 중간 형태인 젤상 또는 반고상으로서, 유기 발광부(130)를 피복하도록 형성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유기 발광부(130)를 보호할 수 있다.
봉지부(140)는 이미다졸(imidazole) 유도체, 옥심(oxime) 유도체, 유기 과산화물(peroxide), 케톤(ketone) 화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노머 형태의 물질을 광 또는 열로 경화시켜 폴리머 형태의 봉지부(140)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polyimide)계, 비스페놀(bisphenolic)계, 플루오렌(fFluorene)계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의 외곽 부분에는 접착부(150)가 형성된다. 접착부(150)는 복수 개의 첨가물(160)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부(1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접착부(150)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20)을 접착하는 역할 및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1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부(150)의 베이스 물질은 열경화성 수지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폭시(epoxy)계, 올레핀(olefin)계 등의 폴리머(polymer)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부(150)는 복수 개의 첨가물(160)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측면으로부터 접착부(150) 내부로 유입된 수분 또는 산소 등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수분 또는 산소를 흡착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수분 흡착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나 등의 금속 분말, 금속 산화물, 금속염 또는 오산화인(P2O5)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리튬(Li2O), 산화나트륨(Na2O), 산화바륨(BaO), 산화칼슘(CaO) 또는 산화마그네슘(MgO)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금속염의 예로는, 황산리튬(Li2SO4), 황산나트륨(Na2SO4), 황산칼슘(CaSO4), 황산마그네슘(MgSO4), 황산코발트(CoSO4), 황산갈륨(Ga2(SO4)3), 황산티탄(Ti(SO4)2) 또는 황산니켈(NiSO4) 등과 같은 황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금속염의 예로는, 염화칼슘(CaCl2), 염화마그네슘(MgCl2), 염화스트론튬(SrCl2), 염화이트륨(YCl3), 염화구리(CuCl2), 불화세슘(CsF), 불화탄탈륨(TaF5), 불화니오븀(NbF5), 브롬화리튬(LiBr), 브롬화칼슘(CaBr2), 브롬화세슘(CeBr3), 브롬화셀레늄(SeBr4), 브롬화바나듐(VBr3), 브롬화마그네슘(MgBr2), 요오드화바륨(BaI2) 또는 요오드화마그네슘(MgI2) 등과 같은 금속할로겐화물 또는 과염소산바륨(Ba(ClO4)2), 과염소산마그네슘(Mg(ClO4)2) 등과 같은 금속염소산염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접착부(150)의 일정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된다. 즉,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접착부(150)의 베이스 물질인 수지(resin)와 단순히 혼합되어 섞여 있는 형태가 아닌 인위적으로 일정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접착부(150) 내에서 복수 개의 첨가물(150)은 균일하게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분에 몰려서 분포되도록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첨가물(150)은 접착부(150) 내에서 외부와 근접하지 않은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된다.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접착부(150)의 일정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한다는 것은 접착부(150)의 일정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160)의 농도가 접착부(150)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160)의 농도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산소 또는 수분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점점 팽창하게 되고, 특히, 외부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첨가물일수록 대기 중의 수분 또는 산소를 더욱 급속도로 흡수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화된 상태인 접착부(150)내에는 첨가물(160)의 부피 팽창으로 인한 크랙이 발생하게 되고, 접착부(150)에 발생된 크랙은 접착부(150)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의 접착력을 떨어뜨려 박리 불량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기판의 박리 불량은 외부로부터 다량의 수분 및 산소가 유기 발광부(130)로 유입되게 하므로, 다크 스팟, 픽셀 수축 등과 같은 심각한 불량을 발생시키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의 신뢰성 및 수명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는,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접착부(150)의 일정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130)를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150)로부터 기판(110, 120)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접착부(150)의 중앙 부분에 가장 높게 밀집되어 분포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첨가물(160)의 농도가 접착부(150)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 접착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부분(P1)과 제1 부분(P1)을 기준으로 유기 발광부(130)가 형성된 방향인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 및 외부와 근접한 방향인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P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부분(P1)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150)의 제1 부분(P1)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밀집되어 분포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산소를 흡수하여 유기 발광부(130)로 수분 또는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1 부분(P1)에 분포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일종의 수분 배리어(barrier)와 같은 역할을 하며, 유기 발광부(130)를 보호할 수 있다.
접착부(15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P3)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전혀 없거나 또는 최소한의 양만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착부(150)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접착부(150) 내에 분포된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대기 중의 수분 또는 산소와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접착부(150)로부터 제1 기판(110) 또는 제2 기판(120)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접착부(15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도 제3 부분(P3)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전혀 없거나 최소한의 양만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착부(150)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의 접착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50)의 제1 부분(P1)의 폭(W2)은 접착부(150)의 전체 폭(W1)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약 50% 이내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접착부(150)의 제2 부분(P2)의 폭과 제3 부분(P3)의 폭의 합이 약 50% 이상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착부(150)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의 접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P2)의 폭과 제3 부분(P3)의 폭이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즉, 제1 부분(P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착부(150)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20)과 접착력이 보다 균형있게 유지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디자인 및 설계치를 고려하여, 외측에 위치하는 접착부(150)의 제3 부분(P2)의 폭을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대기 중의 수분 또는 산소와 반응하는 것이 더욱 억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부(15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접착부(150)의 중앙 부분에 가장 높게 밀집되어 분포될 수 있고, 접착부(150)의 중앙 부분에서 접착부(150)의 끝 부분, 즉, 내측 또는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밀집도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첨가물(160)은 접착부(150)의 중앙 부분에서 접착부(150)의 끝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P1)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제1 부분(P1)에서 제2 부분(P2) 또는 제3 부분(P3)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수직인 방향으로는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착부(150)의 중앙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갈수록 첨가물(160)의 밀집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세로 방향으로는 첨가물(160)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일종의 수분 배리어(barrier), 즉, 수분 투습을 최소화하는 벽(wall)과 같이 기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10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인위적으로 중앙 부분인 제1 부분(P1)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첨가물(160)이 외부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접착부(150)가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산소 또는 수분으로부터 유기 발광부(130)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150)와 기판(110, 120)과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가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부분(P1),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 및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P3)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접착부 내부의 위치에 따른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를 나타내는 다양한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도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은 접착부의 제조 공정에서의 공정 조건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인 제조 공정에 대한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한다.
도 3a에서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중앙 부분인 제1 부분(P1)에만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접착부가 포함하는 전체 첨가물의 농도를 100wt%(weight percent)라고 했을 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의 제1 부분(P1)에는 전체 첨가물의 농도에 해당하는 100wt%가 밀집되어 분포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P1)의 폭의 크기는 접착부 전체의 폭의 크기를 기준으로 약 50% 이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가장 이상적인 분포도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도 3b에서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제1 부분(P1)에 약 80wt% 정도가 밀집되어 분포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나머지 약 20wt%에 해당하는 첨가물의 농도는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에 나누어져 분포되며,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양 쪽 끝 부분으로 향할수록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점점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접착부의 끝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밀집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1 부분(P1)의 폭의 크기는 접착부 전체의 폭의 크기를 기준으로 약 50% 이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해당 실시예는 공정 조건 및 공정 환경 등을 반영하여 구현될 수 있는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실질적인 분포도를 나타내는 구조일 수 있다.
도 3c에서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제1 부분(P1), 제2 부분(P2) 및 제3 부분(P3)에 걸쳐서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낸 것을 도시하였다. 즉, 복수 개의 첨가물은 제1 부분(P1)에 약 60wt% 이상이 밀집되어 분포될 수 있고, 나머지가 제2 부분(P2)과 제3 부분(P3)에 나누어져 분포된다.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접착부의 끝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밀집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되며, 이때, 제1 부분(P1)의 폭의 크기는 접착부 전체의 폭의 크기를 기준으로 약 50% 이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d에서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제1 부분(P1)에 약 60wt% 이상이 밀집되어 분포되는 것은 도 3c와 동일하나, 내측에 해당하는 제2 부분(P2)의 첨가물의 농도가 외측에 해당하는 제3 부분(P3)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많게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이는,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는 구조에 해당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체 첨가물의 양을 늘린 경우, 내측에 해당하는 제2 부분(P2)에 보다 많은 양의 첨가물을 주입함으로써, 투습을 개선하는 기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고하면, 접착부의 일정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접착부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의 내측 및 외측 부분인 제2 부분 및 제3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접착부의 중앙 부분인 제1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더 높게 분포한다. 또한,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끝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농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이 중앙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 전체 첨가물의 양 중 적어도 약 60wt% 이상이 밀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로부터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습으로 인한 다크 스팟, 픽셀 수축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키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4를 참조로, 제1 기판(210), 제2 기판(220), 유기 발광부(230) 및 봉지부(240)는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제1 기판(110), 제2 기판(120), 유기 발광부(130) 및 봉지부(140)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260)은 접착부(250)의 내측 부분에 가장 높게 밀집되어 분포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첨가물(260)의 농도가 접착부(250)의 내측 부분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 접착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5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P1)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으로 구성되며, 이때, 복수 개의 첨가물(260)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P1)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부(250)의 제1 부분(P1)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260)이 밀집되어 분포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산소를 흡수하여 유기 발광부(230)로 수분 또는 산소가 침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부분(P1)에 분포되어 형성된 복수 개의 첨가물(260)은 일종의 수분 배리어(barrier)와 같은 역할을 하며, 유기 발광부(230)를 보호할 수 있다.
접착부(25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260)이 전혀 없거나 또는 최소한의 양만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착부(250)와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과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접착부(250) 내에 분포된 복수 개의 첨가물(260)이 대기 중의 수분 또는 산소와 반응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접착부(250)로부터 제1 기판(210) 또는 제2 기판(220)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250)의 제1 부분(P1)의 폭(W2)은 접착부(250)의 전체 폭(W1)을 기준으로 했을 때, 약 50% 이내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착부(250)와 제1 기판(210) 및 제2 기판(220)과의 접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접착부(250)에 포함된 복수 개의 첨가물(260)은 접착부(250)의 내측 부분에 가장 높게 밀집되어 분포될 수 있고, 접착부(250)의 내측 부분에서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밀집도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첨가물(260)의 농도가 접착부(250)의 내측 부분에서 가장 높게 형성되고, 접착부(250)의 내측 부분에서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복수 개의 첨가물(260)의 농도가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제1 부분(P1) 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첨가물(260)이 제1 부분(P1)에서 제2 부분(P2)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수직인 방향으로는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접착부(250)의 내측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가로 방향으로 갈수록 첨가물(260)의 밀집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하고, 세로 방향으로는 첨가물(260)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첨가물(260)이 일종의 수분 배리어(barrier), 즉, 수분 투습을 최소화하는 벽(wall)과 같이 기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200)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260)이 인위적으로 내측 부분인 제1 부분(P1)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복수 개의 첨가물(260)이 외부와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부(250)의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산소 또는 수분으로부터 유기 발광부(130)를 효과적으로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250)와 기판(210, 220)과의 접착력을 유지시키는 데도 기여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가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P1) 및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P2)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접착부 내부의 위치에 따른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를 나타내는 다양한 실시예에 해당된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분포도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은 접착부의 제조 공정에서의 공정 조건으로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a에서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내측 부분인 제1 부분(P1)에만 형성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접착부가 포함하는 전체 첨가물의 농도를 100%wt(weight percent)라고 했을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의 제1 부분(P1)에는 전체 첨가물의 농도에 해당하는 100wt%가 밀집되어 분포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P1)의 폭의 크기는 접착부의 전체의 폭을 크기를 기준으로 약 50% 이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가장 이상적인 분포도를 나타내는 구조이다.
도 5b에서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내측 부분인 제1 부분(P1)에 약 80wt% 정도가 밀집되어 분포될 수 있음을 도시하였다. 나머지 약 20wt%에 해당하는 첨가물의 농도는 제2 부분(P2)에 분포되며,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서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점점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서 접착부의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밀집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1 부분(P1)의 폭의 크기는 접착부 전체의 폭의 크기를 기준으로 약 50% 이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공정 조건 및 공정 환경 등을 반영하여 구현될 수 있는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실질적인 분포도를 나타내는 구조일 수 있다.
도 5c에서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제1 부분(P1)에 약 60wt% 이상이 밀집되어 분포되고, 나머지가 제2 부분(P2)에 분포된다. 이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서 접착부의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밀집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때, 제1 부분(P1)의 폭의 크기는 접착부 전체의 폭이 크기를 기준으로 약 50% 이내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접착부의 일정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접착부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의 외측 부분인 제2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접착부의 내측 부분인 제1 부분에서의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더 높게 분포한다. 또한,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서 가장 높게 형성될 수 있고,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서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농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이 내측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 전체 첨가물의 양 중 적어도 약 60wt% 이상이 밀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로부터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습으로 인한 다크 스팟, 픽셀 수축 등과 같은 불량을 감소시키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S6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 내용으로, 도 2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접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S610),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S620), 유기 발광부를 덮도록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S630) 및 봉지부 및 접착부 상에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S64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기판 상에는 유기 발광부가 형성된다(S610). 유기 발광부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로 구성되며, 통상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접착부를 형성한다(S620). 제1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접착부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S620)는 복수 개의 노즐을 이용하여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경화성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복수 개의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포함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도 7a를 참고하면, 세 개의 노즐(371, 372, 373)을 이용하여 제1 기판(310)의 외곽 부분에 경화성 수지(361)를 주입한다. 이때, 중앙에 위치한 두 번째 노즐(372)에서는 경화성 수지(361) 이외에 복수 개의 첨가물(360)도 함께 주입된다. 즉, 복수 개의 첨가물(360)이 포함된 경화성 수지(361)를 공급하는 두 번째 노즐(372)이 접착부의 중앙 부분인 제1 부분을 형성하게 되고, 두 번째 노즐(372)의 양 측에서 경화성 수지(361)만을 공급하는 첫 번째 노즐(371)과 세 번째 노즐(373)이 접착부의 내측 부분인 제2 부분 및 외측 부분인 제3 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노즐(371, 372, 373)을 통해 공급된 경화성 수지(361)는 열 또는 광에 의해 경화되는 공정을 거친다. 이때, 경화 시간 및 공정 조건 등에 따라서 중앙에만 주입된 복수 개의 첨가물(360)이 양 측으로 서서히 이동될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 사용되는 물질의 특성 및 경화 시간 등의 공정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복수 개의 첨가물(360)의 분포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주입된 전체 첨가물의 양 중 적어도 약 60wt% 이상은 중앙에 밀집될 수 있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접착부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2 부분을 형성하는 첫 번째 노즐(371)에는 소량의 복수 개의 첨가물(360)이 더 포함되도록 하여, 접착부의 내측에 해당하는 제2 부분의 첨가물의 양이 접착부의 외측에 해당하는 제3 부분의 첨가물의 양보다 많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는 세 개의 노즐(371, 372, 373)을 이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였으나, 두 개의 노즐만을 이용하여 접착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만 구성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두 개의 노즐 중에서 유기 발광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하나의 노즐에 복수 개의 첨가물을 포함시킨 후, 기판에 경화성 수지 및 복수 개의 첨가물을 주입하여 경화 공정을 거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도 4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접착부의 구조가 제작할 수 있다. 즉,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 복수 개의 첨가물이 밀집되어 분포하고, 내측 부분에서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복수 개의 첨가물의 밀집도가 낮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면, 유기 발광부를 덮도록 봉지부를 형성한다(S630). 봉지부는 접착부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유기 발광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스크린 프린팅, 액상 적하 방법 및 잉크젯 프린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봉지부 및 접착부 상에 제2 기판을 형성한다(S640).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형성된 접착부에 의해서 접착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앞서 언급한 공정 과정을 거쳐 접착부 내의 복수 개의 첨가물이 일정 부분에 밀집되어 분포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측면으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또는 산소로부터 유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접착부로부터 기판이 박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투습으로 인한 불량이 감소될 수 있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신뢰성 및 수명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은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접착부의 끝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제1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 및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부분에는 접착부가 포함하는 전체 첨가물의 양 중 적어도 60% 이상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1 부분의 폭은 접착부의 폭을 기준으로 50% 이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제2 부분의 폭과 제3 부분의 폭이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서 가장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첨가물은 내측 부분에서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농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접착부는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기판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부를 덮도록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부 및 상기 접착부 상에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노즐을 이용하여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경화성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1 기판 상에 주입된 경화성 수지를 열 또는 광을 이용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노즐은 세 개의 노즐로 구성되며, 세 개의 노즐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노즐에 복수 개의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노즐은 두 개의 노즐로 구성되며, 두 개의 노즐 중에서 유기 발광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노즐에 복수 개의 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0, 210, 310: 제1 기판
120, 220: 제2 기판
130, 230: 유기 발광부
140, 240: 봉지부
150, 250, 350: 접착부
160, 260, 360: 첨가물
371, 372, 373: 노즐
361: 수지

Claims (16)

  1.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부;
    상기 유기 발광부를 덮는 봉지부;
    상기 봉지부 상에 형성된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외곽 부분에 상기 봉지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복수 개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접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의 일정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상기 접착부의 나머지 부분에서의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보다 높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상기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은 상기 접착부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접착부의 끝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농도가 낮아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 및 외측에 위치하는 제3 부분으로 구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접착부가 포함하는 전체 첨가물의 양 중 적어도 60% 이상 분포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폭은 상기 접착부의 폭을 기준으로 50% 이내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폭과 상기 제3 부분의 폭이 동일한 크기를 갖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의 농도가 상기 접착부의 내측 부분에서 가장 높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은 내측 부분에서 외측 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점 농도가 낮아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내측에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외측에 위치하는 제2 부분으로 구성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접착부가 포함하는 전체 첨가물의 양 중 적어도 60% 이상 분포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접착부의 폭을 기준으로 50% 이내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 기판 상에 유기 발광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유기 발광부를 덮도록 봉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부 및 상기 접착부 상에 제2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복수 개의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판의 외곽 부분에 경화성 수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노즐 중 적어도 하나의 노즐에는 복수 개의 첨가물이 포함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형성된 경화성 수지를 열 또는 광을 이용하여 경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즐은 세 개의 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세 개의 노즐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노즐에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이 포함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노즐은 두 개의 노즐로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노즐 중에서 상기 유기 발광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노즐에 상기 복수 개의 첨가물이 포함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40076006A 2014-06-20 2014-06-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3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006A KR102233100B1 (ko) 2014-06-20 2014-06-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4/725,047 US9887381B2 (en) 2014-06-20 2015-05-29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with adhesive un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510332979.7A CN105206760B (zh) 2014-06-20 2015-06-16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EP15172506.6A EP2958159B1 (en) 2014-06-20 2015-06-17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006A KR102233100B1 (ko) 2014-06-20 2014-06-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642A true KR20150145642A (ko) 2015-12-30
KR102233100B1 KR102233100B1 (ko) 2021-03-26

Family

ID=5340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006A KR102233100B1 (ko) 2014-06-20 2014-06-2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887381B2 (ko)
EP (1) EP2958159B1 (ko)
KR (1) KR102233100B1 (ko)
CN (1) CN1052067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0829B (zh) * 2017-03-17 2019-11-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作方法、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6817145B2 (ja) * 2017-05-29 2021-01-20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有機電界発光装置および有機電界発光装置の製造方法
CN107799664B (zh) * 2017-10-20 2020-11-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封装胶、封装结构及涂胶装置
CN109728164A (zh) * 2019-01-03 2019-05-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oled显示装置
CN110429206B (zh) * 2019-08-07 2021-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盖板、显示装置、显示面板及显示面板的封装方法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3763A (ja) * 2001-12-28 2003-07-18 Delta Optoelectronics Inc 多層封止層を有するハウジング構造
KR20040015934A (ko) * 2002-08-14 2004-02-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29053B1 (ko) * 2006-03-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US20070172971A1 (en) * 2006-01-20 2007-07-26 Eastman Kodak Company Desiccant sealing arrangement for OLED devices
KR20110062992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4670A (ko) * 2009-12-08 2011-06-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게터 조성물 및 상기 게터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
KR20110135625A (ko) * 2010-06-11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49021A (ko) * 2010-11-08 2012-05-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82449B1 (ko) * 2010-12-24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봉지시트와 그것을 사용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9089A (ko) * 2011-06-16 2012-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218796A (ja) * 2012-04-04 2013-10-24 Sumitomo Chemical Co Ltd 電子デバイス
CN103440824A (zh) * 2013-08-07 2013-12-1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造方法及显示装置
KR20140008847A (ko) * 2012-07-12 2014-01-22 주식회사비타디자인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JP2014067598A (ja) * 2012-09-26 2014-04-17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79503A (zh) * 2012-10-17 2014-05-07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808B1 (ko) * 2006-01-26 2007-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323394B1 (ko) * 2007-09-12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002658B1 (ko) 2008-12-10 2010-12-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E102008062130A1 (de) 2008-12-16 2010-06-17 Tesa Se Verfahren zur Kapselung einer elektronischen Anordnung
TW201303659A (zh) * 2011-07-07 2013-01-16 Wintek Corp 觸控顯示面板
KR20140102996A (ko) * 2013-02-15 2014-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40342136A1 (en) * 2013-05-15 2014-11-20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mber with sealing material lay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3763A (ja) * 2001-12-28 2003-07-18 Delta Optoelectronics Inc 多層封止層を有するハウジング構造
KR20040015934A (ko) * 2002-08-14 2004-02-2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70172971A1 (en) * 2006-01-20 2007-07-26 Eastman Kodak Company Desiccant sealing arrangement for OLED devices
KR100729053B1 (ko) * 2006-03-21 2007-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20110062992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64670A (ko) * 2009-12-08 2011-06-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게터 조성물 및 상기 게터 조성물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장치
KR20110135625A (ko) * 2010-06-11 2011-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49021A (ko) * 2010-11-08 2012-05-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182449B1 (ko) * 2010-12-24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봉지시트와 그것을 사용한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9089A (ko) * 2011-06-16 2012-1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3218796A (ja) * 2012-04-04 2013-10-24 Sumitomo Chemical Co Ltd 電子デバイス
KR20140008847A (ko) * 2012-07-12 2014-01-22 주식회사비타디자인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JP2014067598A (ja) * 2012-09-26 2014-04-17 Toppa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779503A (zh) * 2012-10-17 2014-05-07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及其制造方法
CN103440824A (zh) * 2013-08-07 2013-12-11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造方法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3100B1 (ko) 2021-03-26
US9887381B2 (en) 2018-02-06
US20150372254A1 (en) 2015-12-24
CN105206760B (zh) 2018-08-07
CN105206760A (zh) 2015-12-30
EP2958159A1 (en) 2015-12-23
EP2958159B1 (en)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7814B (zh) 有机发光显示器
KR10223310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391020B (zh) 有機發光顯示器及其製造方法
KR102047398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993819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993814B (zh)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KR20100122834A (ko) 광투과성 게터층을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8696A (ko) 유기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3183759B1 (en) Light-emitting device
KR2023004417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108695443A (zh) 封装结构及显示装置
KR102286365B1 (ko) 접착 필름,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접착 필름 제조 방법
KR100977703B1 (ko) 표시 장치
KR10239260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4153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77702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96968A (ko) 표시 장치
KR10232743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2548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2750881B (zh) 一种oled显示面板、封装方法及显示装置
KR10235584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82651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50324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20160060264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6003001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봉지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