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847A -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847A
KR20140008847A KR1020120076172A KR20120076172A KR20140008847A KR 20140008847 A KR20140008847 A KR 20140008847A KR 1020120076172 A KR1020120076172 A KR 1020120076172A KR 20120076172 A KR20120076172 A KR 20120076172A KR 20140008847 A KR20140008847 A KR 2014000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ing
pedestrian
landscape lighting
ligh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비타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비타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비타디자인
Priority to KR102012007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8847A/ko
Publication of KR2014000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8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은 대상 구조물에 소정의 빛을 조사하는 경관 조명부; 대상 구조물 주변의 보행자에 빛을 조사하는 보행자 조명부;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 센서부; 및 동작감지 센서부가 출력하는 신호를 받아 보행자 조명부의 조명을 제어하는 보행자 조명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목적하는 대상 구조물을 향한 조명을 유지하면서 보행자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만 보행자를 향한 조명이 일시적으로 이루어져 불필요한 빛이 주변 생태환경에 조사되어 동식물의 생태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보행자의 야간보행의 안전을 제공하고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SMART TYPE LED SCENERY LIGHTING SYSTEM FOR ECOSYSTEM PROTECTION}
본 발명은 LED 경관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태환경이 조성된 장소에서의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보행자가 이동하는 구간에만 보행을 위한 조명이 조사되도록 하여 안전한 야간 보행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인공조명에 따른 동식물 생리의 교란 등 생태환경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ED(발광다이오드, Light-Emitting Diode)는 갈륨비소(GaAs) 등의 화합물에 전류를 흘려 빛을 발산하는 반도체소자이다. LED는 아래 위에 전극을 붙인 전도물질에 전류가 통과하면 전자와 정공이 전극 중앙에서 결합해 빛의 광자를 발산하는 원리로 발광하며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컬러를 나타낼 수 있다.
1968년 미국에서 적색 LED가 개발된 이래 황색, 녹색, 청색, 백색 LED가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벽시계, 손목시계, 텔레비전, 교통 신호등, 자동차, 각종 디스플레이 화면 등 수많은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종래부터 사용되어온 할로겐램프, 백열램프, 형광램프에 비해 전력소비가 적고, 수명이 길며, 수은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어 최근 실내조명은 물론 야외조명 특히, 경관조명에도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경관조명이란 빌딩, 아파트, 교량, 기념물, 산책로 등 다양한 구조물에 직간접으로 빛을 조사하여 도시의 야경에 예술적인 가치를 더하고, 구조물을 돋보이게 하여 아름다운 야간 경관을 조성할 뿐 아니라, 자연스러운 조명에 의해 시민의 안전과 치안을 유지하는 부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생태환경이 조성된 장소에 경관조명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 빛의 조사가 필요한 대상 구조물 외에도 주변의 생태환경에 빛이 지나치게 노출되어 생태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식물과 동물, 곤충 등의 생리를 교란하는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경관조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은 국내등록특허 제10-0660734호, 국내등록특허 제10-1039580호 등을 참조할 수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60734호에서의 경관조명용 LED 조명장치는 니켈이 도금되어 있는 반사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보스에 LED의 리드프레임을 끼워 장착하는 것으로 LED가 반사면의 저점 포인트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구성하여 반사광이 멀리 확산되는 경관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생태보호를 위한 구성을 찾아볼 수 없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039580호는 전방 개구부와 후방 개구부를 구비하여 두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어 조명장치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관용 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경관을 위해 두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뿐 보행자를 위한 조명부를 별도로 구비하거나 조명부의 점등 및 소등을 조절하는 구성에 대한 언급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간에 목적하는 대상구조물을 향한 조명을 유지하면서 보행자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만 보행자를 향한 조명이 일시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불필요한 빛이 주변 생태환경에 노출되어 동식물의 생태를 교란하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도 보행자의 야간 보행 시 안전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은, 대상 구조물에 소정의 빛을 조사하는 경관 조명부; 상기 대상 구조물 주변의 보행자에 빛을 조사하는 보행자 조명부; 상기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 센서부; 및 상기 동작감지 센서부가 출력하는 신호를 받아 상기 보행자 조명부의 조명을 제어하는 보행자 조명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작감지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감지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움직이는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소정의 거리 내 보행자가 존재할 때 보행자 조명부의 조명을 작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는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일 수 있다.
상기 경관조명 시스템은 조도 센서부와 경관조명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부는 정해진 조도 이하 또는 이상이 되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경관조명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경관조명 제어부는 상기 경관 조명부의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경관 조명부는 산책로 바닥면에 빛을 조사하는 하향 조명부이고, 상기 보행자 조명부는 상기 산책로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상향 조명부이며,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소정의 각을 이루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각각 기판 및 반사판 기능을 수행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 상에 복수로 배열된 LED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LED 칩 조명은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컬러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일체 또는 별도의 구조로 형성된 것일 수있다.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조명 하우징에 수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를 수용한 조명 하우징은 경계 구조물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은 목적하는 대상 구조물을 향한 조명을 유지하면서 보행자의 이동이 있는 경우에만 보행자를 향한 조명이 일시적으로 이루어져 불필요한 빛이 주변 생태환경에 조사되어 동식물의 생태를 교란하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보행자의 야간보행의 안전을 제공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의 측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의 작동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이 산책로 경계 구조물에 설치된 설치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은 경관 조명부(10), 보행자 조명부(20), 동작감지 센서부(22) 및 보행자 조명 제어부(24)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조도(illuminance) 센서부(12)와 경관조명 제어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관 조명부(10)는 경관조명의 대상이 되는 구조물, 예를 들면, 건축물, 산책길, 미술구조물 등에 필요한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부이다. 경관 조명부(10)는 야간의 정해진 시간에 항시 작동하도록 하며, 그 작동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행해질 수 있다.
자동으로 경관 조명부(10)를 작동하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시각에 조명의 점등 및 소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부(12)와 경관조명 제어부(14)를 더 구비한 경우, 정해진 조도 이하가 되면 조도 센서부(12)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경관조명 제어부(14)로 전달하면 경관조명 제어부(14)는 경관조명 제어부(14)의 조명을 작동시킨다. 반대로, 정해진 조도 이상이 되면 동일한 방법으로 조명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보행자 조명부(20)는 경관조명의 대상 구조물 주변을 통행하는 보행자의 야간 통행을 돕는 조명부이다. 주변에 보행자의 통행이 없는 경우 항시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며, 동작감지 센서부(22)에서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였을 때 신호를 출력하여 보행자 조명 제어부(24)로 전달한다. 이어서, 보행자 조명 제어부(24)는 보행자 조명부(20)의 조명이 작동하도록 한다.
반대로, 보행자의 움직임이 사라지면 동작감지 센서부(22)에서 이에 따른 특정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를 전달받은 보행자 조명 제어부(24)는 보행자 조명부(20)의 조명 작동을 정지하여 소등되도록 한다.
여기서, 보행자의 움직임이 없을 때 소등이 되는 방법은 동작감지 센서부(22)에서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동작감지에 따른 신호 출력의 멈춤에 의해 조명 작동을 정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동작감지 센서부(22)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센서는 보행자의 움직임의 존재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그 신호를 전달받은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에 따라 보행자 조명 제어부(24)는 보행자 조명부(20)의 작동 유지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관조명의 직접 대상이 되는 구조물 외에 주변의 생태환경에 가해지는 조명을 최소화하여 생태에 미치는 부작용을 줄이며,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은 상태환경이 조성된 장소의 산책로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산책로 양측의 경계석, 경계목 등의 경계 구조물에 매립형으로 설치되어 산책로를 경관조명의 대상으로 하며, 산책로에 보행자가 통행 시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 일시적으로 보행조명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은, 조명 하우징(100) 및 조명부(200)를 포함하며, 경계 구조물(300)에 측면 매립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조명부(200)는 상향 조명부(230), 하향 조명부(210), 동작감지 센서부(250) 및 보행자 조명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하향 조명부(210)와 상향 조명부(230)는 일체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빛의 조사 방향이 각각 상향 및 하향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경우에 따라, 조명부(200)는 조도 센서부(270) 및 경관조명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계구조물(300)은 경관조명의 대상인 산책로와 주변을 구분하는 구조물로서 통상적으로 석재 또는 목재 구조물로 설치되며, 복수개의 구조물들을 산책로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으로 배열할 수 있다.
조명 하우징(100)은 조명부(200)를 수용하는 구조물로서, 육면체의 상자형을 예시하였으나 그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조명 하우징(10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충격, 오염물질, 먼지, 습기, 눈, 비, 바람 등을 막아 조명부(200)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우징 전면(110)은 광투과성이 높은 투명 창으로 구성하여 조명부(20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손실 없이 외부로 투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창의 소재는 유리, 아크릴 수지 등 강도가 높고 광투과성이 높은 무색 또는 유색의 투명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경관조명의 성질에 따라 광투과성을 조절하거나 표면의 형태, 무늬, 거칠기 등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하향 조명부(210)는 경관조명의 대상이 되는 산책로에 빛을 조사하는 경관 조명부(도 1의 10)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제1 리플렉터(212)와 제1 리플렉터(212)상에 복수로 배열된 제1 LED 칩(214)을 포함한다.
또한, 상향 조명부(230)는 보행자의 야간보행을 돕는 보행자 조명부(도 1의 20)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제2 리플렉터(232)와 제2 리플렉터(232)상에 복수로 배열된 제2 LED 칩(234)을 포함한다.
제1 리플렉터(212)와 제2 리플렉터(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θ)을 이루도록 마련되며, 각각 광원인 제1 LED칩(214) 및 제2 LED 칩(234)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는 기판이 되는 동시에, LED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리플렉터(212, 232)가 이루는 소정의 각(θ)은 a-a’선을 기준으로 θ1과 θ2의 합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θ1과 θ2는 동일하거나 경우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θ1은 제1 리플렉터(212)와 경관조명 대상과의 높이, 거리 및 심미적 측면을 고려한 경관조명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θ1이 커지면 산책로 등의 바닥 면을 조명장치로부터 먼 거리까지 조명할 수 있으나 조도가 낮아지며, θ1이 작아지면 바닥 면을 조명장치로부터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만큼 조명할 수 있으나 조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θ2는 제2 리플렉터(232)와 보행자간의 거리, 높이 등에 따라 달리 조절할 수 있다. θ2가 커지면 동일한 위치의 보행자를 기준으로 낮은 위치에 조명할 수 있으며, 반면에 θ2가 작아지면 동일한 위치의 보행자를 기준으로 높은 위치에 빛이 조사될 수 있다.
제1 LED칩(214)은 산책로 등의 경관조명 대상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이며, 필요에 따라 칩의 개수, 칩간의 간격, 배열 형태 등을 달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경관조명의 설정에 따라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다양한 컬러를 하나 또는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LED칩(234)은 산책로 등 경관조명 대상의 주변을 통행하는 보행자와 그 주위에 빛을 조사하는 광원으로서, 다양한 컬러의 LED를 적용할 수 있으나 보행자의 야간보행을 돕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주목적이므로 야간보행에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백색 LED를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동작감지 센서부(250)는 제2 LED칩(23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는 보행자 조명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보행자 조명 제어부는 보행자가 조명장치 주변을 이동할 때에만 제2 LED칩(234)이 작동되도록 조절하여 보행자의 안전한 야간보행을 도울 수 있다. 반대로, 보행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LED칩(234)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하여 소등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감지 센서부(250)는 조명 하우징(100)의 바닥 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보행자의 동작감지에 유리하며 광원과 가까운 어떠한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LED의 작동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a)는 보행자가 없는 경우, (b)는 보행자가 이동하는 경우의 작동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보행자 야간 보행에 필요한 조명에 따라 생태환경에 미치는 부작용을 최소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보행자가 없을 시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동작감지 센서부(250)는 적외선 센서(252)로 설치하거나, 또는 적외선 센서(252)와 초음파 센서(254)를 함께 설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252)는 움직이는 물체에서 발산되는 적외선 즉, 열을 감지하는 형태의 센서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형태의 다양한 적외선 센서를 적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IR 센서는 열선 감지기 칭하기도 하며, 인체에서 발산되는 열을 감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프레넬(Fresnel) 렌즈에 의해 결정 되는 감시 영역 내에 보행자의 움직임이 있어 온도 변화가 생기면, 그 온도 변화량을 초전소자가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구성은 프레넬 렌즈부, 초전형 센서(Pyroelectric sensor)부 및 신호 처리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PIR 센서의 작동원리를 간략히 살펴보면, 프레넬 렌즈는 열원체의 열에너지를 집광하는 역할을 하며 입사한 열에너지를 초전형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로 바꾸어 주며 신호 처리부에서 센서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초음파 센서(254)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체의 거리, 두께, 움직임 등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비파괴 검사, 물성 특정, 의료진단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움직이는 통행자와 상향 조명부(230)간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다시 말해, 적외선 센서(252)와 초음파 센서(254)를 함께 설치한 동작감지 센서부(250)는 먼저, 적외선 센서(252)에서 움직임이 있는 보행자의 존재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여 초음파 센서(254)에 전달하면, 초음파 센서(254)가 비로소 작동하여 보행자와의 거리를 계산하고, 설정된 거리 내에서 보행자가 움직이는 동안 제2 LED칩(234)이 작동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행자는 통행하는 동안 주변의 조명에 의해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다.
도 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의 설치예를 참조하면, 보행자의 통행시 보행자 조명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하향 조명부(210)는 야간에 경관조명이 필요한 시간에는 항시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이는 수동이나 자동으로 점등과 소등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조도 센서부(270)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주위 조도가 일정 기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신호를 출력하여, 경관조명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고, 경관조명 제어부는 하향 조명부(210)의 제1 LED칩(214)를 작동하게 하여 조명을 점등할 수 있다. 반면에, 주위의 조도가 일정 기준 이상이 되면 이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여 조명을 소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향 조명부(210)를 제어하면 일출, 일몰 시간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점등, 소등 시간이 자동으로 조절되며,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동으로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거나, 점등과 소등의 특정 시각을 입력할 필요가 없다.
또한, 조도 센서부(270)는 조명 하우징(100)의 천장 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조도 감지에 유리하며 광원과 가까운 어떠한 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경관조명 시스템에서 상향 조명부는 보행자 조명부로 사용되고, 하향 조명부는 경관 조명부로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경관조명의 목적 구조물이 상부에 있고 그 하부로 보행자가 통행하는 경우에는 보행자 조명부와 경관 조명부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 또한, 그 외에도 경관조명의 목적 구조물과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보행자 조명부와 경관 조명부의 위치 관계와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경관조명 시스템은 경계 구조물의 측면에 매립형으로 마련되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행자를 위한 조명이 센서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자동차, 자전거 등의 통행을 위한 조명을 포함함은 물론이다.
10: 경관 조명부 12, 270: 조도 센서부
14: 경관조명 제어부 20: 보행자 조명부
22, 250: 동작감지 센서부 24: 보행자 조명 제어부
100: 조명 하우징 110: 조명 하우징 전면
200: 조명부 210: 하향 조명부
212: 제1 리플렉터 214: 제1 LED칩
230: 상향 조명부 232: 제2 리플렉터
234: 제2 LED칩 252: 적외선 센서
254: 초음파 센서 300: 경계구조물

Claims (12)

  1. 대상 구조물에 소정의 빛을 조사하는 경관 조명부;
    상기 대상 구조물 주변의 보행자에 빛을 조사하는 보행자 조명부;
    상기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감지 센서부; 및
    상기 동작감지 센서부가 출력하는 신호를 받아 상기 보행자 조명부의 조명을 제어하는 보행자 조명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와 초음파 센서가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보행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초음파 센서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초음파 센서는 움직이는 보행자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소정의 거리 내 보행자가 존재할 때 보행자 조명부의 조명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PIR 센서(Passive Infrared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관조명 시스템은 조도 센서부와 경관조명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도 센서부는 정해진 조도 이하 또는 이상이 되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경관조명 제어부에 전달하고, 상기 경관조명 제어부는 상기 경관 조명부의 조명이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관 조명부는 산책로 바닥면에 빛을 조사하는 하향 조명부이고,
    상기 보행자 조명부는 상기 산책로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상향 조명부이며,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소정의 각을 이루며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각각 기판 및 반사판 기능을 수행하는 리플렉터; 및 상기 리플렉터 상에 복수로 배열된 LED 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칩 조명은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컬러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일체 또는 별도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조명 하우징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조명부와 상향 조명부를 수용한 조명 하우징은 경계 구조물에 매립형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KR1020120076172A 2012-07-12 2012-07-12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KR20140008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72A KR20140008847A (ko) 2012-07-12 2012-07-12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72A KR20140008847A (ko) 2012-07-12 2012-07-12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847A true KR20140008847A (ko) 2014-01-22

Family

ID=50142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172A KR20140008847A (ko) 2012-07-12 2012-07-12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88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642A (ko) * 2014-06-20 2015-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642A (ko) * 2014-06-20 2015-12-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4503B2 (en) Detector controlled headlight system
US10716188B2 (en) Adaptive optical distribution system
US7569802B1 (en) Photosensor control unit for a lighting module
NL202457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nd controlling light sources
US8100552B2 (en) Multiple light-source illuminating system
US11208029B2 (en) Adaptive headlight system
CN106134289A (zh) 基于光反射率的检测
KR20180012273A (ko) 모듈형 조명 기구, 관련 모듈, 시스템 및 조명 장치
KR100911418B1 (ko) 발광다이오드 센서등
JP2007280735A (ja) 照明装置並びに照明システム
CN102753389B (zh) 用于紧急任务用车的照明模块
JP5743714B2 (ja) Led照明器具
JP5382437B2 (ja) 動体検出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140008847A (ko) 생태보호를 위한 스마트형 led 경관조명 시스템
KR20140022324A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조명 장치
KR20110135620A (ko) 고효율 발광다이오드 투광기 및 구동방법
KR20210002663U (ko) 가로등용 색온도 조절 등기구
JP7426601B2 (ja) 照明システム
JP7373784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JP3160414U (ja) 照明装置及び街路灯
JP6327611B2 (ja) 照明器具
KR101456666B1 (ko) 디밍모듈 장착형 led 등기구
KR20140004469U (ko) 동작감지센서를 가지는 가로등
TW201317494A (zh) 可適用於高溫環境及可長距偵測之智能led燈泡/燈具
KR20120003329U (ko) 조립성 및 체결력이 우수한 엘이디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