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811A -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811A
KR20150143811A KR1020157032817A KR20157032817A KR20150143811A KR 20150143811 A KR20150143811 A KR 20150143811A KR 1020157032817 A KR1020157032817 A KR 1020157032817A KR 20157032817 A KR20157032817 A KR 20157032817A KR 20150143811 A KR20150143811 A KR 20150143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tool
screw
cutting
too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788B1 (ko
Inventor
도루 사쿠야마
다카요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43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23C5/247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the adjusting means be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23B29/034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 B23B29/03403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 B23B29/03407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by means of screws and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56Differential screw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28Differential screw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절삭날 위치의 조정량을 크게 확보하여, 재연마 횟수를 증대시킴과 함께 공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 절삭날 위치의 조정 작업도 용이화되고, 또한, 절삭날 위치의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공구 본체 (2) 에 장착된 절삭날 부재 (4) 를 상기 공구 본체 (2) 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절삭날 부재 (4) 의 절삭날 (8) 의 위치를 조정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로서, 상기 공구 본체 (2) 와 상기 절삭날 부재 (4)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그 공구 본체 (2) 에 나사 결합되는 축 부재 (5) 와, 상기 축 부재 (5) 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부재 (4) 에 맞닿는 너트 부재 (6) 를 구비하고, 상기 축 부재 (5) 에는, 상기 공구 본체 (2) 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 (21) 와, 상기 너트 부재 (6) 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가, 그 축 부재 (5) 의 축선 (C) 방향을 따른 서로 상이한 위치에 동 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 피치와 상기 제 2 나사부의 나사 피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CUTTING BLADE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AND CUTTING EDGE-REPLACEABLE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이것을 사용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공구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와, 그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절삭날을 돌출시키는 절삭날 부재를 구비한 정면 프라이스 등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가 알려져 있다.
하기 특허문헌 1, 2 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는, 절삭날 부재를 공구 본체에 대해 이동시켜 절삭날의 위치를 조정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로서, 공구 본체에 나사 결합함과 함께 그 헤드부가 절삭날 부재에 맞닿게 되는 조정 나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공구 본체에 대한 조정 나사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그 조정 나사의 헤드부에 맞닿아진 절삭날 부재가 이동됨과 함께, 절삭날의 위치 (공구 본체로부터의 돌출량) 가 조정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96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88819호
그러나, 종래의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서는, 하기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즉, 상기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는, 조정 나사의 나사 피치를 미세하게 함으로써, 절삭날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지고,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지만, 이 경우, 나사의 회전량이 증가하여 절삭날 위치의 조정 작업이 번거로워지고, 또 절삭날 위치의 조정량을 크게 확보할 수 없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삭날 부재를 재연마했을 때의 절삭날의 돌출량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재연마 횟수가 저감됨과 함께, 조기에 절삭날 부재를 교환할 필요가 생겨, 공구 수명이 짧아진다.
한편, 조정 나사의 나사 피치를 크게 함으로써, 절삭날 위치의 조정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재연마 횟수를 늘려 공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이 경우, 절삭날 위치의 미세 조정을 하는 것이 어려워, 가공 정밀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절삭날 위치의 조정량을 크게 확보하여, 재연마 횟수를 증대시킴과 함께 공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 절삭날 위치의 조정 작업도 용이화되고, 또한, 절삭날 위치의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가공 정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구 본체에 장착된 절삭날 부재를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절삭날 부재의 절삭날의 위치를 조정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로서, 상기 공구 본체와 상기 절삭날 부재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그 공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부재에 맞닿는 너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 부재에는, 상기 공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와, 상기 너트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가, 그 축 부재의 축선 방향을 따른 서로 상이한 위치에 동 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나사부의 나사 피치와, 상기 제 2 나사부의 나사 피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공구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와, 그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의 적어도 어느 것을 향하여 절삭날을 돌출시키는 절삭날 부재를 구비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상기 절삭날 부재를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절삭날의 위치를 조정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로서, 전술한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이것을 사용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의하면, 축 부재에, 공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와, 너트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제 2 나사부가, 그 축 부재에 있어서 축선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서 동 축에 형성되고, 서로 나사 피치가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하기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중, 나사 피치가 큰 일방의 나사부에 의해, 절삭날 위치의 조정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또 이로써 절삭날의 재연마 횟수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공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일방의 나사부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절삭날이 크게 이동되어 절삭날 위치의 조정 작업을 간편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중, 나사 피치가 작은 상기 일방과는 상이한 타방의 나사부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절삭날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져, 가공 정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축 부재에 피치가 상이한 2 개의 나사부를 구비하고, 이들 나사부를 공구 본체와 너트 부재에 각각 나사 결합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기 서술한 우수한 작용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공구 본체에 대해, 상기 서술한 축 부재 및 너트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절삭날 부재의 절삭날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사부의 나사 피치가, 상기 제 2 나사부의 나사 피치보다 크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축 부재 중, 공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하여, 절삭날 위치를 크게 이동시킨 후, 그 축 부재의 제 2 나사부에서 너트 부재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하여, 절삭날 위치를 작게 이동 (미세 조정) 시킬 수 있다. 즉, 제 1, 제 2 나사부 중, 절삭날 부재와의 거리가 먼 제 1 나사부를 사용하여 대조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절삭날 부재와의 거리가 가까운 제 2 나사부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절삭날 위치의 조정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의 적어도 일방에, 작업용 공구를 계지 (係止) 가능한 피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용 공구를 피계지부에 계지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절삭날 위치의 조정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와 같은 피계지부로는, 예를 들어 구멍 (공 (孔)), 홈, 노치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절삭날 부재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절삭날 부재를 향하여 팽출되는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축 부재의 축선 방향과 절삭날의 이동 방향 (진퇴 방향) 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조정 위치에 상관없이 너트 부재의 맞닿음면이 절삭날 부재에 확실하게 맞닿게 되어, 상기 서술한 절삭날 위치의 조정을 고정밀도로, 또한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에 의하면, 절삭날 위치의 조정량을 크게 확보하여, 재연마 횟수를 증대시킴과 함께 공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또 절삭날 위치의 조정 작업도 용이화되고, 또한, 절삭날 위치의 미세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가공 정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이것을 사용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축 부재와 너트 부재를 나사 결합시킨 상태 (조정 나사 결합체)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축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축 부재의 (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5 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축 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너트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너트 부재의 (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8 은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에 있어서의 너트 부재의 (a) 측면도, (b)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및 이것을 사용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10) 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10) 는, 예를 들어, 마무리 가공용 날끝 교환식 정면 프라이스 (날끝 교환식 전삭 공구) 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10) 는, 원통상 또는 원기둥상 (원반상) 을 이루며 공구 축선 (O)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 (2) 와, 그 공구 본체 (2) 의 선단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의 적어도 어느 곳을 향하여 절삭날 (8) 을 돌출시키는 절삭날 부재 (4) 와, 그 절삭날 부재 (4) 를 공구 본체 (2) 에 대해 이동시켜, 절삭날 (8) 의 위치를 조정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절삭날 (8) 은 공구 본체 (2) 로부터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의 양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10) 는, 그 공구 본체 (2) 의 기단부가 공작 기계 (도시 생략) 의 주축에 장착되고, 공구 축선 (O) 둘레의 공구 회전 방향 (T) 으로 회전되어, 피삭재의 절삭 가공에 제공된다. 또,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는, 공구 본체 (2) 에 대해 절삭날 (8) 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하게 절삭날 부재 (4) 를 이동시키는 조정 나사 결합체 (7) 를 가지고 있고, 그 조정 나사 결합체 (7) 는, 공구 본체 (2) 와 절삭날 부재 (4)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그 공구 본체 (2) 에 나사 결합되는 축 부재 (5) 와, 그 축 부재 (5) 에 나사 결합되어 절삭날 부재 (4) 에 맞닿는 너트 부재 (6)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공구 본체 (2) 의 공구 축선 (O) 방향을 따른 절삭날 부재 (4) 측을 공구 선단측 (도 1 에 있어서의 하측), 공구 축선 (O) 방향을 따른 절삭날 부재 (4) 와는 반대측 (공작 기계의 주축측) 을 공구 기단측 (도 1 에 있어서의 상측) 이라고 한다. 또, 공구 축선 (O) 에 직교하는 방향을 공구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공구 축선 (O) 둘레로 주회하는 방향을 공구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또 상기 공구 둘레 방향 중, 절삭시에 공구 본체 (2) 가 회전되는 방향을 공구 회전 방향 (T) (또는 공구 회전 방향 (T) 의 전방) 이라고 하고, 공구 회전 방향 (T) 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방향을 공구 회전 방향 (T) 의 후방이라고 한다.
또, 후술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의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설명에서는, 축 부재 (5) 의 축선 (C) 방향을 따른 절삭날 부재 (4) 측 (도 1 에 있어서의 우측 하방향) 을 나사 결합체 선단측, 축선 (C) 방향을 따른 절삭날 부재 (4) 와는 반대측 (도 1 에 있어서의 좌측 상방향) 을 나사 결합체 기단측이라고 한다. 또, 축선 (C) 에 직교하는 방향을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이라고 하고, 축선 (C) 둘레로 주회하는 방향을 나사 결합체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공구 선단측 및 나사 결합체 선단측에 대해 간단히 선단측, 공구 기단측 및 나사 결합체 기단측에 대해 단순히 기단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공구 직경 방향 및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에 대해 간단히 직경 방향, 공구 둘레 방향 및 나사 결합체 둘레 방향에 대해 단순히 둘레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공구 본체 (2) 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재나 강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공구 본체 (2) 의 선단 외주부 (공구 선단측의 단부 또한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의 단부) 에는, 공구 축선 (O)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되는, 오목홈 (3) 이 서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 또는 부등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측단면에서 보았을 때 (종단면에서 보았을 대), 오목홈 (3) 에는, 그 오목홈 (3) 내에서 공구 선단측을 향하여 공구 본체 (2) 의 외주면 (2a) 에 이어지는 벽면 (3a) 과, 그 오목홈 (3) 내에서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벽면 (3a) 에 대략 수직으로 교차하는 측면 (3b) 과, 측면 (3b) 의 공구 선단측에 단부 (3c) 를 개재하여 배치됨과 함께 그 측면 (3b) 으로부터 일단 후퇴하여 형성되고,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공구 본체 (2) 의 선단면 (2b) 에 이어지는 장착면 (3d) 과, 그 오목홈 (3) 내에서 공구 회전 방향 (T) 의 전방을 향하는 지지면 (3e)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오목홈 (3) 의 벽면 (3a) 및 단부 (3c) 는,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공구 기단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 측면 (3b) 및 장착면 (3d) 은, 공구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도 1 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측면 (3b) 은 후술하는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축선 (C) 에 대략 평행하고, 그 측면 (3b) 에 있어서의 공구 축선 (O) 방향을 따른 단위 길이당의 공구 직경 방향을 향한 변위량에 비해, 장착면 (3d) 의 상기 변위량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이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공구 축선 (O) 에 대한 측면 (3b) 의 기울기에 비해, 공구 축선 (O) 에 대한 장착면 (3d) 의 기울기가 크게 되어 있다.
또 이로써, 도 1 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축선 (C) 의 공구 축선 (O) 에 대한 경사각에 비해, 장착면 (3d)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절삭날 부재 (4) 의 이동 방향 (M) 의 공구 축선 (O) 에 대한 경사각이 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축선 (C) 의 연장 방향과, 절삭날 부재 (4) 의 이동 방향 (M) 이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 벽면 (3a) 에는, 그 벽면 (3a) 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나사 구멍 (12) 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면 (3d) 에는, 그 장착면 (3d) 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나사공 (13) 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나사 구멍 (12) 은 바닥이 있는 고정 구멍, 나사공 (13) 은 관통공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홈 (3) 내에는, 본 실시형태의 절삭날 부재 (4) 인 절삭날 납땜식 카트리지가, 클램프 나사 (9) 에 의해 공구 본체 (2)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고정)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프 나사 (9) 는, 오목홈 (3) 의 나사공 (13) 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나사공 (13) 에 대한 클램프 나사 (9) 를 비틀어 넣는 것을 헐겁게 함으로써, 절삭날 부재 (4) 는, 오목홈 (3) 에 대해 장착면 (3d) 에 평행하게, 상세하게는 도 1 에 나타내는 이동 방향 (진퇴 방향) (M) 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또, 나사공 (13) 에 대한 클램프 나사 (9) 를 비틀어 넣는 것을 단단히 조임으로써, 오목홈 (3) 에 대해 절삭날 부재 (4) 가 고정되어, 절삭날 부재 (4) 의 이동이 규제된다.
절삭날 부재 (4) 는, 그 본체부가 강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본체부의 선단 외주부에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날끝부 (11) 가 납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절삭날 부재 (4) 의 본체부에는, 그 본체부를 공구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착공 (1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공 (14) 에 클램프 나사 (9) 가 삽입 통과되고, 공구 본체 (2) 의 나사공 (13)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장착공 (14) 은, 이동 방향 (M) 으로 긴 장공 또는 환공 (클램프 나사 (9) 의 나사 직경에 비해 대경인 구멍) 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클램프 나사 (9) 를 비틀어 넣는 것을 헐겁게 한 상태에서 절삭날 부재 (4) 가 이동 방향 (M) 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절삭날 부재 (4) 의 본체부에 있어서, 공구 기단측을 향하는 벽면 (4a) 은, 나사공 (13) 의 중심축에 대략 평행하게 되는 한편, 나사 구멍 (12) 의 중심축(축선 (C)) 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대해서는 경사져 있다. 절삭날 부재 (4) 가 오목홈 (3) 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절삭날 부재 (4) 의 벽면 (4a) 과, 오목홈 (3) 의 벽면 (3a) 사이에는, 간극 (S)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이 절삭날 부재 (4) 가 공구 본체 (2) 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날끝부 (11) 의 절삭날 (8) 은, 공구 본체 (2) 로부터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구체적으로, 대략 L 자상을 이루는 절삭날 (8) 중, 공구 선단측의 1 변을 이루는 정면 절삭날 (8a) 은, 공구 본체 (2) 의 선단면 (2b) 으로부터 공구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배치되고,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의 1 변을 이루는 외주 절삭날 (8b) 은, 공구 본체 (2) 의 외주면 (2a) 으로부터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절삭날 (8) 중, 정면 절삭날 (8a) 은, 공구 축선 (O) 에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외주 절삭날 (8b) 은, 공구 축선 (O) 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절삭날 (8) 에 있어서의 정면 절삭날 (8a) 과 외주 절삭날 (8b) 사이에, 이들 절삭날 (8a, 8b) 에 대해 각각 둔각으로 교차하도록 경사지는 코너 날이 형성되어 있어, 절삭날 (8a, 8b) 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축 부재 (5) 에는, 공구 본체 (2) 의 나사 구멍 (12) 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 (21) 와, 너트 부재 (6) 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 (22) 가, 그 축 부재 (5) 의 축선 (C) 방향을 따른 서로 상이한 위치에 동 축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21, 22) 는 모두 수나사부이고, 제 1 나사부 (21) 는, 축 부재 (5) 에 있어서의 나사 결합체 기단측 (도 5 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에 형성되며, 제 2 나사부 (22) 는, 축 부재 (5) 에 있어서의 나사 결합체 선단측 (도 5 에 있어서의 상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 축 부재 (5) 에는,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21, 22) 사이에 위치하며, 그 축 부재 (5) 의 최외경 부분을 이루는 축 본체 (23) 가 형성되어 있다. 축 부재 (5) 의 외경은, 축 본체 (23), 제 1 나사부 (21), 제 2 나사부 (22) 의 순서로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의 (b)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 피치와,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 피치는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 피치가,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 피치보다 크게 되어 있다. 즉,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의 리드 (요컨대, 나사산 (골) 이 나사 결합체 둘레 방향으로 1 회전하는 동안에 축선 (C) 방향으로 이동하는 변위량) 가,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의 상기 리드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산 (골) 의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을 따른 높이 (깊이) 는,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산 (골) 의 상기 높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나사부 (21) 에 있어서 축 본체 (23) 에 인접하는 부분, 및, 제 2 나사부 (22) 에 있어서 축 본체 (23) 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각각 비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비나사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21, 22) 에는, 그 축 본체 (23) 에 인접하는 부분에까지 (요컨대 나사부 (21, 22) 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제 2 나사부 (22) 의 축선 (C) 방향을 따른 나사 길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너트 부재 (6) 의 축선 (C) 방향을 따른 전체 길이 이하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2 나사부 (22) 가 너트 부재 (6) 로부터 나사 결합체 선단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이 방지됨과 함께, 그 제 2 나사부 (22) 와 절삭날 부재 (4) 의 벽면 (4a) 의 접촉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의 방향과,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의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이것들 모두 우측 나사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우측 나사」란, 나사를 축선 (C) 둘레 중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전진하여 단단히 조여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후퇴하여 헐거워지는 나사를 가리킨다. 또한,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의 방향과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의 방향이, 모두 좌측 나사 (상기 우측 나사와는 반대 방향) 로 되어 있어도 된다. 즉, 나사를 축선 (C) 둘레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전진하여 단단히 조여지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 후퇴하여 헐거워지는, 소위 역나사여도 된다. 또,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의 방향과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의 방향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요컨대 이것들 나사부 (21, 22) 중 어느 일방이 우측 나사로 되고, 타방이 좌측 나사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3, 도 4 의 (a)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부재 (5) 의 제 2 나사부 (22) 에 있어서 나사 결합체 선단측을 향하는 단면에는, 육각 렌치 등의 작업용 공구 (도시 생략) 를 계지 가능한 구멍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구멍부 (24) 는, 축선 (C) 상을 연장시키는 바닥이 있는 고정 구멍으로 되어 있다.
축 본체 (23) 에 있어서 나사 결합체 기단측을 향하는 단면 (23a) 은, 그 축 본체 (23) 의 외주면으로부터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나사 결합체 기단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테이퍼상을 이루고 있다. 또, 축 본체 (23) 에 있어서 나사 결합체 선단측을 향하는 단면 (23b) 은, 축선 (C) 에 수직인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축 본체 (23) 에는, 그 축 본체 (23) 를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작공 (피계지부) (25) 이 형성되어 있다. 조작공 (25) 의 양단은, 축 본체 (23) 의 외주면에 각각 개구되어 있고, 그 조작공 (25) 내에는, 핀 부재 등의 작업용 공구 (도시 생략) 가 삽입되어 계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조작공 (25) 이 서로 상이한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축 본체 (23) 내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축선 (C) 상에서 서로 교차하고 있고, 이로써 축 본체 (23) 의 외주면에는, 각 조작공 (25) 의 개구부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축 본체 (23) 를 관통하는 조작공 (25) 이 축선 (C) 상에서 직교하도록 2 개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축 본체 (23) 의 외주면에는, 조작공 (25) 의 개구부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공 (25) 을 관통공으로 하는 대신에, 바닥이 있는 고정 구멍으로 해도 상관없다. 단 본 실시형태와 같이, 조작공 (25) 이 관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핀 부재 등의 작업용 공구를 조작공 (25) 내에 깊게 찔러넣을 수 있어, 축 본체 (23) 를 축선 (C) 둘레로 회전시키는 조작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도 6 ∼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너트 부재 (6) 는, 통상 또는 환상 (링상) 을 이루고 있고, 그 너트 부재 (6) 의 내주면에는, 축 부재 (5) 의 제 2 나사부 (22) 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 (2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너트 부재 (6) 의 외경은 축 부재 (5) 의 축 본체 (23) 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너트 부재 (6) 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 구멍 (피계지부) (27) 이 개구되어 있다. 조작 구멍 (27) 내에는, 핀 부재 등의 작업용 공구 (도시 생략) 가 삽입되어 계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구멍 (27) 은, 너트 부재 (6) 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 너트 부재 (6) 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조작 구멍 (27) 의 개구부의 수는, 축 본체 (23) 의 외주면에 개구되는 조작공 (25) 의 개구부의 수보다 많게 되어 있어, 너트 부재 (6) 에 의한 나사 조정을 보다 미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의 (a) 에 있어서 너트 부재 (6) 의 외주면에는, 조작 구멍 (27) 이 나사 결합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6 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조작 구멍 (27) 은 바닥이 있는 고정 구멍이 되어 있음과 함께, 암나사부 (26) 에 도달하지는 않았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조작 구멍 (27) 의 내경과 조작공 (25) 의 내경이, 서로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너트 부재 (6) 의 암나사부 (26) 와, 축 부재 (5) 의 제 2 나사부 (22) 가 나사 결합된 상태로, 그 너트 부재 (6) 의 나사 결합체 선단측을 향하는 단면 (28) 은, 나사 결합체 선단측을 향하여 팽출되는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단면 (28) 이 절삭날 부재 (4) 의 벽면 (4a) 에 맞닿는 맞닿음면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 ∼ 도 8 에 있어서, 맞닿음면 (28) 은, 서로 경사가 상이한 복수의 테이퍼면 (경사면) 및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구체적으로는, 너트 부재 (6) 의 외주면으로부터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제 1 경사면 (31), 제 2 경사면 (32) 및 평면 (33) 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도 8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경사면 (31) 에 있어서의 나사 결합체 직경 방향을 따른 단위 길이당의 축선 (C) 방향을 향한 변위량에 비해, 제 2 경사면 (32) 의 상기 변위량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축선 (C) 에 수직인 가상 평면에 대한 제 1 경사면 (31) 의 기울기는, 상기 가상 평면에 대한 제 2 경사면 (32) 의 기울기보다 크다. 또, 평면 (33) 은, 축선 (C) 에 수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경사면 (31) 과 제 2 경사면 (32) 사이, 및, 제 2 경사면 (32) 과 평면 (33) 사이에는, 원주상 (圓周牀) 의 능선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너트 부재 (6) 의 나사 결합체 기단측을 향하는 단면 (29) 은, 축선 (C) 에 수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그 단면 (29) 과 너트 부재 (6) 의 외주면 사이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나사 결합체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8 의 (b) 에 있어서, 너트 부재 (6) 의 암나사부 (26) 에 있어서의 단면 (29) 에 대한 개구부는, 그 개구부 이외의 부위보다 대경으로 된 대경 구멍 (30) 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축 부재 (5) 와 너트 부재 (6) 가 나사 결합된 조정 나사 결합체 (7)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축 부재 (5) 의 제 1 나사부 (21) 가 공구 본체 (2) 의 나사 구멍 (12) 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오목홈 (3) 내를 향하여 축 부재 (5) 의 축 본체 (23), 제 2 나사부 (22) 및 너트 부재 (6) 를 돌출 형성시키고 있어, 이들 축 본체 (23), 제 2 나사부 (22) 및 너트 부재 (6) 는, 오목홈 (3) 내의 간극 (S)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 부재 (5) 의 제 1 나사부 (21) 를 나사 구멍 (12) 에 나사 결합할 때에는, 절삭날 부재 (4) 및 클램프 나사 (9) 를 오목홈 (3) 내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육각 렌치 등의 작업용 공구를 축 부재 (5) 의 구멍부 (24) 에 계지시켜 축선 (C) 둘레로 비틀어 넣으면 작업성이 양호하다.
오목홈 (3) 내에 조정 나사 결합체 (7) 를 장착하면, 그 오목홈 (3) 내에 절삭날 부재 (4) 를 클램프 나사 (9) 로 장착한다. 절삭날 부재 (4) 의 절삭날 (8) 위치의 조정 전에는, 클램프 나사 (9) 를 비틀어 넣는 것은 임시 고정 상태가 된다.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너트 부재 (6) 의 맞닿음면 (28) 이 절삭날 부재 (4) 의 벽면 (4a) 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조작공 (25) 에 계지된 작업용 공구를 조작하여 나사 구멍 (12) 에 대해 축 부재 (5) 를 축선 (C) 둘레로 회전시키거나, 조작 구멍 (27) 에 계지된 작업용 공구를 조작하여 축 부재 (5) 에 대해 너트 부재 (6) 를 축선 (C)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맞닿음면 (28) 이 축선 (C) 방향으로 진출됨과 함께 벽면 (4a) 이 가압되고, 절삭날 부재 (4) 가 이동 방향 (M) 으로 진출됨과 함께 절삭날 (8) 위치가 조정된다. 절삭날 (8) 위치의 조정 후에는, 클램프 나사 (9) 를 단단히 조여, 절삭날 부재 (4) 를 오목홈 (3) 내에 고정시킨다.
또한, 작업용 공구를 조작공 (25) 에 계지하여 축 부재 (5) 를 축선 (C) 둘레로 회전시키고, 대략적인 절삭날 (8) 위치의 조정을 실시한 상태에서, 클램프 나사 (9) 를 최종 조임하여 절삭날 부재 (4) 를 고정한 후, 작업용 공구를 조작 구멍 (27) 에 계지하여 너트 부재 (6) 를 축선 (C) 둘레로 회전시키고, 절삭날 (8) 위치의 미세 조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면, 클램프 나사 (9) 를 최종 조임할 때 발생하는 수 ㎛ 정도의 절삭날 (8) 위치의 변화 (흔들림 변화) 도 방지할 수 있고, 절삭날 흔들림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조정의 작업성도 향상되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및 이것을 사용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10) 에 의하면, 축 부재 (5) 에, 공구 본체 (2) 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 (21) 와, 너트 부재 (6) 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 (22) 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21, 22) 가, 그 축 부재 (5) 에 있어서 축선 (C) 방향이 상이한 위치에서 동 축에 형성되고, 서로 나사의 피치가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음으로써, 하기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21, 22) 중, 나사 피치가 큰 일방의 나사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나사부 (21)) 에 의해, 절삭날 (8) 위치의 조정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또 이로써 절삭날 (8) 의 재연마 횟수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공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일방의 나사부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절삭날 (8) 이 크게 이동하여, 절삭날 (8) 위치의 조정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21, 22) 중, 나사 피치가 작은 상기 일방과는 상이한 타방의 나사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나사부 (22)) 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함으로써 절삭날 (8) 위치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져, 가공 정밀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특히,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10) 가, 전술한 마무리 가공용 날끝 교환식 정면 프라이스인 경우에는, 절삭날 흔들림 정밀도가 고정밀도이며 또한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확보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축 부재 (5) 에 피치가 상이한 2 개의 나사부 (21, 22) 를 구비하고, 이들 나사부 (21, 22) 를 공구 본체 (2) 와 너트 부재 (6) 에 각각 나사 결합시킨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상기 서술한 우수한 작용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존의 공구 본체 (2) 에 대해, 상기 서술한 축 부재 (5) 및 너트 부재 (6) (조정 나사 결합체 (7)) 를 장착함으로써, 절삭날 부재 (4) 의 절삭날 (8)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 피치가,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 피치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하기 효과를 발휘한다.
즉, 축 부재 (5) 중, 공구 본체 (2) 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 (21) 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하여, 절삭날 (8) 위치를 크게 이동시킨 후, 그 축 부재 (5) 의 제 2 나사부 (22) 에서 너트 부재 (6) 를 비틀어 넣는 양을 조정하여, 절삭날 (8) 위치를 작게 이동 (미세 조정) 시킬 수 있다. 즉, 제 1, 제 2 나사부 (21, 22) 중, 절삭날 부재 (4) 와의 거리가 먼 제 1 나사부 (21) 를 사용하여 대조정을 실시하고, 이어서 절삭날 부재 (4) 와의 거리가 가까운 제 2 나사부 (22) 를 사용하여 미세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절삭날 (8) 위치의 조정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 피치 (리드) 를 수십 ㎛ ∼ 수 ㎜ 단위로 하고,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 피치를 그 제 1 나사부 (21) 보다 작은 수 ㎛ ∼ 수백 ㎛ 단위로 할 수 있다. 또, 이들 제 1, 제 2 나사부 (21, 22) 에는 미터 보통 나사가 채용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외의 미터 가는 나사, 유니파이 보통 나사, 유니파이 가는 나사 등이어도 상관없다.
또, 축 부재 (5) 의 축 본체 (23) 및 너트 부재 (6) 의 양방에, 작업용 공구를 계지 가능한 피계지부로서 조작공 (25) 및 조작 구멍 (27)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용 공구를 이들 피계지부에 계지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고, 절삭날 (8) 위치의 조정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피계지부는 작업용 공구를 계지 가능한 형상이면 되는 점에서, 이와 같은 피계지부로서, 전술한 조작공 (25) 이나 조작 구멍 (27) 이외에, 예를 들어 홈, 노치면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축 부재 (5) 및 너트 부재 (6)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 피계지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또, 너트 부재 (6) 가, 절삭날 부재 (4) 에 맞닿는 맞닿음면 (28) 을 갖고, 그 맞닿음면 (28) 은, 절삭날 부재 (4) 를 향하여 팽출되는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 부재 (5) 의 축선 (C) 방향과 절삭날 (8) 의 이동 방향 (진퇴 방향) (M) 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조정 위치와 상관없이 너트 부재 (6) 의 맞닿음면 (28) 이 절삭날 부재 (4) 의 벽면 (4a) 에 확실하게 맞닿게 되어, 상기 서술한 절삭날 (8) 위치의 조정을 고정밀도로, 또한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맞닿음면 (28) 이, 제 1 경사면 (31), 제 2 경사면 (32) 및 평면 (33) 을 가지고 있다고 했지만, 그 맞닿음면 (28) 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맞닿음면 (28) 은, 예를 들어 절삭날 부재 (4) 를 향하여 팽출되는 볼록 곡면상이나 반구면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축 부재 (5) 의 축선 (C) 방향과 절삭날 (8) 의 이동 방향 (M) 이 동일한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되며, 이 경우, 맞닿음면 (28) 은 평탄면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축선 (C) 방향과 이동 방향 (M) 이 서로 상이하고, 구체적으로는, 축선 (C) 의 공구 축선 (O) 에 대한 기울기 (경사각) 에 비해, 이동 방향 (M) 의 상기 기울기가 크게 되어 있으므로, 하기 효과를 발휘한다.
즉, 공구 본체 (2) 의 오목홈 (3) 에 대해 조정 나사 결합체 (7) 를 축선 (C) 방향으로 진퇴시켰을 때의, 그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공구 축선 (O) 방향을 따른 이동량에 비해, 이것에 맞닿는 절삭날 부재 (4) 의 공구 축선 (O) 방향을 따른 이동량이 작아지는 점에서, 공구 축선 (O) 방향을 향한 절삭날 (8) 위치의 미세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를 구비한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10) 로서, 마무리 가공용 날끝 교환식 정면 프라이스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그 이외의 정면 프라이스나 엔드밀 등의 날끝 교환식 전삭 공구여도 된다. 혹은, 본 발명의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1) 를, 날끝 교환식 선삭 (旋削) 공구에 채용해도 된다.
또, 공구 축선 (O)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 (2) 에 장착된 절삭날 부재 (4) 의 절삭날 (8) 이,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의 양방을 향하여 돌출 되어 있다고 했지만, 그 절삭날 (8) 이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 중 어느쪽에만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절삭날 부재 (4) 로서 절삭날 납땜식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삭날 부재 (4) 는 그 이외의 절삭 인서트 착탈식 카트리지나, 절삭 인서트 자체여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 피치가,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 피치보다 크게 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제 1 나사부 (21) 의 나사 피치가, 제 2 나사부 (22) 의 나사 피치보다 작게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형태와는 반대로, 제 1 나사부 (21) 가 절삭날 (8) 위치의 미세 조정용 나사가 되고, 제 2 나사부 (22) 가 대조정용 나사가 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1 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축선 (C) 방향과 이동 방향 (M) 이 서로 상이하고, 구체적으로는, 축선 (C) 의 공구 축선 (O) 에 대한 기울기 (경사각) 에 비해, 이동 방향 (M) 의 상기 기울기가 크게 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축선 (C) 의 공구 축선 (O) 에 대한 기울기에 비해, 이동 방향 (M) 의 상기 기울기가 작게 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 공구 본체 (2) 의 오목홈 (3) 에 대해 조정 나사 결합체 (7) 를 축선 (C) 방향으로 진퇴시켰을 때의, 그 조정 나사 결합체 (7) 의 공구 직경 방향을 따른 이동량에 비해, 이것에 맞닿는 절삭날 부재 (4) 의 공구 직경 방향을 따른 이동량이 작아지는 점에서, 공구 직경 방향을 향한 절삭날 (8) 위치의 미세 조정을 보다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혹은, 도 1 의 종단면에서 보았을 때, 축선 (C) 방향과 이동 방향 (M) 이 서로 동일한 방향 (평행) 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축선 (C) 방향 및 이동 방향 (M)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이 공구 축선 (O) 과 평행이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축 부재 (5) 의 외경은 축 본체 (23), 제 1 나사부 (21), 제 2 나사부 (22) 의 순서로 작게 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축 부재 (5) 에 있어서, 예를 들어 축 본체 (23) 의 외경이, 제 1 나사부 (21) 의 외경보다 작아도 상관없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취지에서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형태, 변형예 및 보충글 등에서 설명한 각 구성 (구성 요소) 을 조합해도 되고, 또,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1 :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2 : 공구 본체
4 : 절삭날 부재
5 : 축 부재
6 : 너트 부재
8 : 절삭날
10 :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21 : 제 1 나사부
22 : 제 2 나사부
25 : 조작공 (피계지부)
27 : 조작 구멍 (피계지부)
28 : 단면 (맞닿음면)
C : 축선
O : 공구 축선

Claims (5)

  1. 공구 본체에 장착된 절삭날 부재를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절삭날 부재의 절삭날의 위치를 조정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로서,
    상기 공구 본체와 상기 절삭날 부재 사이에 연장 형성되고, 그 공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축 부재와,
    상기 축 부재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절삭날 부재에 맞닿는 너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축 부재에는, 상기 공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제 1 나사부와, 상기 너트 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제 2 나사부가, 그 축 부재의 축선 방향을 따른 서로 상이한 위치에 동 축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나사부의 나사 피치와, 상기 제 2 나사부의 나사 피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사부의 나사 피치가, 상기 제 2 나사부의 나사 피치보다 크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 및 상기 너트 부재의 적어도 일방에, 작업용 공구를 계지 (係止) 가능한 피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부재는, 상기 절삭날 부재에 맞닿는 맞닿음면을 갖고,
    상기 맞닿음면은, 상기 절삭날 부재를 향하여 팽출되는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5. 공구 축선 둘레로 회전되는 공구 본체와, 그 공구 본체의 선단 외주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공구 선단측 및 공구 직경 방향 외측의 적어도 어느 것을 향하여 절삭날을 돌출시키는 절삭날 부재를 구비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로서,
    상기 절삭날 부재를 상기 공구 본체에 대해 이동시켜, 상기 절삭날의 위치를 조정하는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로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20157032817A 2013-04-24 2014-04-15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2222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1633A JP6627174B2 (ja) 2013-04-24 2013-04-24 切れ刃位置の調整機構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JPJP-P-2013-091633 2013-04-24
PCT/JP2014/060681 WO2014175114A1 (ja) 2013-04-24 2014-04-15 切れ刃位置の調整機構及び刃先交換式切削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811A true KR20150143811A (ko) 2015-12-23
KR102222788B1 KR102222788B1 (ko) 2021-03-03

Family

ID=5179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817A KR102222788B1 (ko) 2013-04-24 2014-04-15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62775B2 (ko)
EP (1) EP2990146B1 (ko)
JP (1) JP6627174B2 (ko)
KR (1) KR102222788B1 (ko)
CN (1) CN105121080B (ko)
WO (1) WO2014175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2040B2 (en) 2014-09-30 2018-01-0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echanism for enhanced, bi-directional fine adjustment of cutting insert cartridges in machine tools
KR101687153B1 (ko) * 2015-09-03 2016-12-16 (주)대성하이텍 플라이컷휠 어셈블리
TWI566866B (zh) 2016-07-18 2017-01-21 東友科技股份有限公司 切割刀具組
CN111132786B (zh) 2017-10-10 2021-07-13 株式会社泰珂洛 夹头以及铣削工具
JP7167468B2 (ja) * 2018-03-30 2022-11-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転削工具
JP7043933B2 (ja) * 2018-03-30 2022-03-30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切刃部の位置調整機構および転削工具
CN109332774B (zh) * 2018-12-04 2021-08-20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径向可调的三面刃铣刀
CN111136316B (zh) * 2019-11-29 2021-05-25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可调结构的切削刀具
MX2021001665A (es) * 2020-02-10 2021-09-10 Decatur Diamond Llc Herramienta rotativa de corte y cartucho.
WO2022091485A1 (ja) * 2020-10-29 2022-05-05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工具
JP7013634B1 (ja) * 2020-10-29 2022-02-01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工具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9143A1 (de) * 1995-12-08 1997-06-12 Volkswagen Ag Feineinstellbare Bohrstange und Herstellverfahren
JPH11179612A (ja) 1997-12-19 1999-07-06 Mitsubishi Materials Corp 転削工具のバランス調整機構
JP2000288819A (ja) 1999-04-06 2000-10-17 Mitsubishi Materials Corp 転削工具
JP2002201918A (ja) * 2001-01-09 2002-07-19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動弁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ラッシュアジャスター
KR100744613B1 (ko) * 2007-01-31 2007-08-01 한국교세라정공(주) 밀링 커터
JP2010099795A (ja) * 2008-10-24 2010-05-06 Honda Motor Co Ltd 中ぐり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387C (ko) *
US3189976A (en) * 1963-12-27 1965-06-22 Gen Electric Adjustable cutting toolholder
US3220288A (en) * 1964-05-07 1965-11-30 Valeron Corp Collet type press fit boring unit assembly
JPS5249593B2 (ko) * 1972-08-08 1977-12-17
SU1207651A1 (ru) * 1984-08-30 1986-01-30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Ж-1287 Торцова степенчата фреза
FR2615769A1 (fr) * 1987-06-01 1988-12-02 Safety Dispositif de reglage d'un outil de coupe
US4878787A (en) * 1988-10-17 1989-11-07 Gte Valenite Corporation Coarse/fine adjustment boring head
US5454667A (en) * 1993-09-30 1995-10-03 Master Tool Corporation Adjustable cartridge for cutting head of a machine tool
SE9503867D0 (sv) * 1995-11-02 1995-11-02 Sandvik Ab Fräsverktyg
JP2001252813A (ja) * 2000-03-08 2001-09-18 Mitsubishi Materials Corp スローアウェイ式正面フライス
JP3356163B2 (ja) * 2000-10-10 2002-12-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切削工具
JP2006150491A (ja) * 2004-11-29 2006-06-15 Mitsubishi Materials Corp フライスカッター
JP2006247775A (ja) * 2005-03-09 2006-09-21 Mitsubishi Materials Corp 切削工具及びインサート
EP1810768B1 (en) * 2005-03-30 2013-07-17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Rotary cutting tool with cutter blade play regulation mechanism
US7753626B2 (en) * 2007-01-18 2010-07-13 Kennametal Inc. Micro-adjustable differential screw assembly
US9827621B2 (en) * 2009-03-10 2017-11-28 Greenleaf Technology Corporation Cutting tool including a cutting insert retaining and adjusting mechanism
DE102009042395A1 (de) * 2009-09-16 2011-03-24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Reibwerkzeug zur spanenden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US8985916B2 (en) * 2011-09-19 2015-03-2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Flexible cartridge with precision adjustment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9143A1 (de) * 1995-12-08 1997-06-12 Volkswagen Ag Feineinstellbare Bohrstange und Herstellverfahren
JPH11179612A (ja) 1997-12-19 1999-07-06 Mitsubishi Materials Corp 転削工具のバランス調整機構
JP2000288819A (ja) 1999-04-06 2000-10-17 Mitsubishi Materials Corp 転削工具
JP2002201918A (ja) * 2001-01-09 2002-07-19 Toyota Motor Corp エンジンの動弁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ラッシュアジャスター
KR100744613B1 (ko) * 2007-01-31 2007-08-01 한국교세라정공(주) 밀링 커터
JP2008188752A (ja) * 2007-01-31 2008-08-21 Kyocera Corp ミリングカッター
JP2010099795A (ja) * 2008-10-24 2010-05-06 Honda Motor Co Ltd 中ぐ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14413A1 (en) 2016-04-28
WO2014175114A1 (ja) 2014-10-30
US9962775B2 (en) 2018-05-08
KR102222788B1 (ko) 2021-03-03
CN105121080B (zh) 2017-10-31
JP2014213404A (ja) 2014-11-17
JP6627174B2 (ja) 2020-01-08
EP2990146B1 (en) 2021-12-01
EP2990146A4 (en) 2016-12-14
CN105121080A (zh) 2015-12-02
EP2990146A1 (en)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3811A (ko) 절삭날 위치의 조정 기구 및 날끝 교환식 절삭 공구
KR101657730B1 (ko) 조절 기구를 갖는 절삭 공구
JP5932329B2 (ja) リーミング工具及びヘッド並びに切削インサート
KR102264414B1 (ko) 원추형 내부 나사산을 갖는 공구 홀더 및 직선형 외부 나사산을 갖는 교체 가능 절삭 헤드를 구비한 회전식 절삭 공구, 및 상기 공구 홀더
US9844817B2 (en) Replaceable cutting head having threaded mounting portion with two spaced apart conical abutment surfaces provided with the same cone angle, tool holder and rotary cutting tool
KR20120112578A (ko) 칼날 교환식 홈형성 공구 및 단면 홈형성 가공 방법
JP6808540B2 (ja) ポリゴン加工用工具
KR20090073174A (ko) 렌치와 협력하는 마찰 표면을 갖는 절삭부
JP6411349B2 (ja) 被加工材の切削加工のための工具
US20150321269A1 (en) Rotary slitter with cutting insert edge positioning arrangement
US10286459B2 (en) Machining tool
JP5958785B2 (ja) インサート取付機構、回転切削工具、工具ボデー、くさび部材および調整部材
JP2013198967A (ja) 切削部材のクランプ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刃部交換式切削工具
KR20130017970A (ko) 절삭헤드가 분리가능한 드릴공구
JP2008000829A (ja) インサート着脱式球面カッタ
JP3139612U (ja) 面取り機能付きドリル
JP2008000830A (ja) 球面カッタ用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球面カッタ
JP7341805B2 (ja) 切削工具
JP2008006568A (ja) インサート着脱式球面カッタ及び球面カッタ用インサート
KR20130021594A (ko) 브로칭 툴 및 브로치
JP2009072855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切削工具
JP5825168B2 (ja) 切削部材のクランプ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刃部交換式切削工具
JP3740915B2 (ja) 切削工具
KR101749256B1 (ko) 교체식 드릴 헤드의 결합구조
JP2007111779A (ja) 穴加工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