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865A - 오븐 - Google Patents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865A
KR20150141865A KR1020140173803A KR20140173803A KR20150141865A KR 20150141865 A KR20150141865 A KR 20150141865A KR 1020140173803 A KR1020140173803 A KR 1020140173803A KR 20140173803 A KR20140173803 A KR 20140173803A KR 20150141865 A KR20150141865 A KR 2015014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cooking chamber
link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927B1 (ko
Inventor
박상준
김재준
김태경
양윤호
이재문
김빛나
김우주
박남수
서형주
이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A2951634A priority Critical patent/CA2951634C/en
Priority to EP15805914.7A priority patent/EP3155323B1/en
Priority to JP2016572569A priority patent/JP6636958B2/ja
Priority to US15/317,650 priority patent/US10502433B2/en
Priority to PCT/KR2015/004853 priority patent/WO2015190713A1/en
Priority to CN201580042819.7A priority patent/CN106662336B/zh
Publication of KR2015014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05C1/1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05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Dutch doors", i.e. upper and lower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븐을 개시한다. 오븐은 전면패널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프레임을 가지는 도어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별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븐{OVEN}
본 발명은 오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은 조리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오븐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 케이싱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회동시켜 조리실의 내부에 조리물을 수납한 후 조리실을 밀폐시키고, 밀폐된 조리실을 가열하도록 히터를 작동시켜 조리실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물을 조리한다. 이 때, 조리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적당한 온도로 조리실의 내부 공간을 가열한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조리실 전체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에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리과정에서 조리물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리실의 일부만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도 조리실 전체를 개방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 및 열손실이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리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전면패널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프레임을 가지는 도어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별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별 도어는 상기 도어와 별개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별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개별 도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안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마련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핸들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개별 도어가 상기 도어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상기 저장실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를 연결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 도어가 상기 도어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움직이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를 연결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저장실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마련되는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후방 홀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홀더에 결합되는 후방 링크 및 상기 후방 홀더 및 상기 후방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후방 홀더 및 상기 후방 링크를 연결하는 후방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링크는 상기 후방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 링크는 상기 체결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와 상하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후방 홀더에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후크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결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개별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방 홀더, 상기 조작유닛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상기 후방 링크에 전달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홀더에 결합되는 전방 링크 및 상기 전방 홀더 및 상기 전방 링크를 관통하도록 상기 전방 홀더 및 상기 전방 링크를 연결하고, 상기 후방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방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링크는 상기 전방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 링크는 상기 전방 링크의 움직임을 상기 후크에 전달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홀더는 상기 전방 링크와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링크는 상기 조작 유닛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 링크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가지는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볼록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누름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볼록부를 가압하고, 상기 볼록부가 가압되면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전면패널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 1도어 및 상기 제 1도어와 함께 상기 조리실의 전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도어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제 1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도어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마련되는 핸들 및 상기 조리실의 적어도 일부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유닛은 누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의 후면에 마련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상기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제 1도어가 회동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상기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제 1도어 및 상기 제 2도어가 일체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 1도어 및 상기 제 1도어와 함께 상기 조리실의 전부를 개폐하고, 상기 제 1도어의 회전축에 나란한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제 2도어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오븐은 상기 제 1도어의 개폐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거나, 상기 제 2도어의 개폐와 일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도어 및 상기 제 2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도어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조리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므로, 조리실 개폐에 따른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조작유닛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복수의 도어의 회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개별 도어를 설치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실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 개방 시, 제 2도어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 개방 시, 제 1도어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제 3프레임을 I-I'으로 절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작유닛 및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조작유닛 및 잠금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작유닛을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구속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작유닛을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구속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구속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구속된 경우, 구속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의 구속이 해제된 경우, 구속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구동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구속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구속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 및 제 2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를 표시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도어 또는 제 2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 및 제 2도어가 적용된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 및 케이싱(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1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12),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3),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14)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 패널(15)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개방된 전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케이싱(10)의 전면 패널(11)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전면 패널(11)에는 고정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25)의 내부에는 걸림턱(125a,도5참고)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턱(125a)은 제 2락킹유닛(420,도5참고)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락킹유닛(420)의 걸림부(422)는 걸림턱(125a)에 결합될 수 있고, 걸림부(422) 및 걸림턱(125a)의 결합에 의해 제 2락킹유닛(420)의 케이싱(10)의 내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될 수 있다. 걸림턱(125a)은 고정홈(125)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조리실(16)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리물의 출납을 위해 전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조리실(16)의 개방된 전면은 조리실(16)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조리실(16) 내부의 조리물의 조리 과정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조리실(16)의 내부에는 복수의 지지대(19)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9)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랙(20)을 장착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9)는 조리실(16)의 좌측벽과 우측벽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대(19)에는 조리실(16)을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23)가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23)는 조리실(16)을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더(23)는 조리실(16)에 수평하게 장착되어, 조리실(16)을 상부에 위치하는 제 1조리실(16a)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 2조리실(16b)로 분할할 수 있다.
제 1조리실(16a)과 제 2조리실(16b)은 각각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 1조리실(16a)과 제 2조리실(16b)은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디바이더(23)는 단열 재질을 가지고, 제 1조리실(16a)과 제 2조리실(16b)을 단열시킬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제 1조리실(16a)과 제 2조리실(16b)을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조리실만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오븐(1)은 조리실(16)을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에 마련되는 도어(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케이싱(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100)는 케이싱(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100)는 전면 패널(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오븐(1)은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0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한 개별 도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도어(200)는 도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100)는 조리실(16)에 대응하는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100)는 전면 패널(11)과 마주하는 개구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도어(200)는 개구부(11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200)는 개구부(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200)는 개구부(110)를 상하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0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써, 개별 도어(200)가 개구부(110)를 좌우방향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0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개별 도어(200)는 사용 빈도가 많은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도어(10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도어(200)는 제 1조리실(16a)을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도어(10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조리실(16a), 전면 패널(11)의 개구부 및 도어(100)의 개구부(110)는 서로 연통되고, 각각 개별 도어(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오븐(1)은 조리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어(100,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00,200)는 케이싱(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00,200)는 제 1도어 및 제 2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도어는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하고, 제 2도어는 제 1도어와 함께 조리실(16)의 전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도어는 제 2도어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0)의 전면 패널(11)에는 도어(100)와 조리실(16)을 밀폐하기 위한 메인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200)의 배면에는 개별 도어(200)와 개구부(110)를 밀폐하기 위한 서브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실링부재(미도시)와 서브실링부재(미도시)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밀폐를 위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메인실링부재(미도시)는 케이싱(10)의 전면 패널(11)이 아닌 도어(100)의 배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서브실링부재(미도시)는 개별 도어(200)의 배면이 아닌 도어(100)의 전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도어(100,200)는 도어 힌지(160)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0)는 전면 패널(11)에 제 1도어 힌지(161)로 체결될 수 있고, 개별 도어(200)는 도어(100)에 제 2도어 힌지(162)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의 후면 하단부 양 측단이 전면 패널(11)의 전면 하단부 양 측단과 제 1도어 힌지(161)로 체결되고, 도어(100)가 제 1도어 힌지(16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조리실(16)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별 도어(200)의 후면 하단부 양 측단이 도어(100)의 전면 양 측단과 제 2도어 힌지(162)로 체결되고, 개별 도어(200)가 제 2도어 힌지(16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개별 도어(2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는 별개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어(100)는 제 1도어 힌지(16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개별 도어(200)는 제 2도어 힌지(16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도어(100)의 회전축 및 개별 도어(200)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오븐(1)은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작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300)은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 유닛(300)은 슬라이딩(SLIDING)방식, 노브를 이용한 회전방식 및 가압 가능한 버튼(BUTTON)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슬라이딩 방식의 조작 유닛(30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오븐(1)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핸들(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9)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9)의 형상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변형 가능하다. 일 예로써, 핸들(9)은 후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조작 유닛(300)은 핸들(9)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 유닛(300)은 핸들(9)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조작 유닛(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오븐(1)은 조작 유닛(300)의 작동에 따라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락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유닛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조리실(16)의 상부에는 회로 기판 등의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배치되는 전장실(60)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60)의 외관을 형성하는 일 면에는 컨트롤패널(21)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1)에는 오븐(1)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7) 및 오븐(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조리실(16a)과 제 2조리실(16b)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각각의 조리실(16)의 후면에는 순환팬 유닛(3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조리실(16a)의 후방에는 제 1순환팬 유닛(30a)이 결합되고, 제 2조리실(16b)의 후방에는 제 2순환팬 유닛(미도시)이 결합된다. 제 1순환팬 유닛(30a)의 제 1순환팬(34a)은 제 1조리실(16a)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고, 제 2순환팬 유닛(미도시)의 제 2순환팬(34b)은 제 2조리실(16b)의 공기를 대류시킬 수 있다.
각각의 순환팬 유닛(30)은 순환 모터(33)와 순환팬(34)을 구비한다. 순환팬(34)의 전방에는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순환팬 커버(32)가 결합될 수 있다. 순환팬 커버(32)에는 통공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환팬(34)을 지난 유체는 통공부(31)를 통해 조리실(16)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장실(60)의 내부에는 전장실(60)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 유닛(50)이 설치된다. 냉각팬 유닛(50)은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60) 내부로 흡입하여 오븐(1)의 전방으로 배출시킨다.
또한, 조리실(16)과 냉각팬 유닛(50)은 별도의 유로(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조리실(16) 내부의 적어도 일부의 유체는 유로(미도시)를 통해 냉각팬 유닛(50)으로 유입된 후, 오븐(1)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냉각팬 유닛(5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60)의 하부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마련되는 전방 유로(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 1조리실(16a)과 전장실(60)의 사이에는 차폐 프레임(120)이 마련되어 제 1조리실(16a)과 전장실(60) 사이의 내부가 노출되는 것을 차폐한다. 제 1조리실(16a) 상부와 전장실(60)의 하부 및 차폐 프레임(62) 사이의 공간에는 제 1단열재(71)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단열재(71)는 제 1조리실(16a) 내부의 열이 전장실(60)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순환팬 유닛(30)의 후방과 케이싱(10)의 사이에는 제 2단열재(72)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단열재(72)는 제 1조리실(16a)과 제 2조리실(16b) 내부의 열이 케이싱(10)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싱(10)의 후면에 위치하는 후면 패널(14)에는 외부의 공기를 조리실(16) 중 적어도 하나에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4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홀(41)은 제 2조리실(16b)에 근접하도록 마련되어 제 2조리실(16b)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유입홀(41)로의 공기의 유입은 유입 모터(42)의 작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홀(41)로 유입된 공기는 유입 모터(42)에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45)을 통해 제 2조리실(16b)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유입 모터(42)는 유입팬(44)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입팬(44)에는 유입팬 하우징(43)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입팬 하우징(43)의 일측은 가이드 브라켓(45)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브라켓(45)은 제 2조리실(16b)과 연통되는 연통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모터(42)의 작동으로 유입팬(44)으로 유입된 외부의 유체는 가이드 브라켓(45)을 통해 제 2조리실(16b)로 유입되어 제2조리실(16b)의 온도를 낮추어 줄 수 있다. 즉, 유체가 유입되는 유로는 가이드 브라켓(45)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한, 조리실(16)로 유입된 유체의 양에 상응하는 유체가 조리실(16)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도록 후면 패널(14)에는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인 배출관(미도시)이 별도로 결합될 수 있다. 배출관(미도시)은 케이싱(10)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하는 배출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홀(미도시)은 후면 패널(14)의 적어도 일부분에 위치하며, 배출홀(미도시)로 유출된 유체는 배출관(미도시)을 따라 이동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는 전면 패널(11)과 마주할 수 있다.
도어(100)는 개구부(110) 및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0)는 조리실(16)과 연통되도록 프레임(1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120)은 개구부(1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부(110)는 개별 도어(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는 제 1부분(140) 및 제 1부분(140)에 연결되는 제 2부분(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140)에는 개구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부분(140)은 개구부(110) 및 개구부(110)의 둘레를 감싸는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0)는 개구부(1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면 프레임(121), 개구부(11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122) 및 개구부(110)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면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면 프레임(123)은 제 2부분(150)에 계속될 수 있다.
제 2부분(150)은 전면 패널(11)에 제 1도어 힌지(161)로 체결될 수 있다.
프레임(120)에는 체결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홈(124)은 제 1부분(140)의 상면 프레임(121)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체결홈(124) 및 전면 패널(11)에 형성되는 고정홈(125)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홈(124) 및 고정홈(125)은 케이싱(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홈(124) 및 고정홈(125)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어(100)에는 개별 도어(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안착부(130, 도3참고)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제 2부분(150)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제 2부분(150)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 개방 시, 제 2도어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 개방 시, 제 1도어의 락킹 해제 상태를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조리실(16)의 적어도 일부의 개폐를 조절하는 조작 유닛(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300)은 핸들(9)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 유닛(300)은 핸들(9)의 내부에 마련되는 가이드(9a)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조작 유닛(300)은 바디(310), 이동부(320) 및 파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310)는 조작 유닛(300)이 제 1락킹유닛(41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 1락킹유닛(410)에 결합된다. 이동부(320)는 바디(310)에 연결되고,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9a)에 체결된다. 파지부(330)는 이동부(320) 내지 바디(31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바디(310), 이동부(320) 및 파지부(3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 유닛(300)은 케이싱(10)의 내측 및 외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일 예로써, 조작 유닛(300)은 케이싱(10)의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오븐(1)은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를 연결시키는 락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유닛은 조작 유닛(300)의 움직임에 따라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락킹유닛은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락킹유닛은 제 1락킹유닛(410) 및 제 2락킹유닛(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락킹유닛(410)은 개별 도어(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락킹유닛(410)은 조작 유닛(30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작 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락킹유닛(410)은 지지부(411) 및 락킹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11)는 조작 유닛(300)의 바디(310)와 결합할 수 있다.
락킹부(412)는 지지부(411)에 연결될 수 있다. 락킹부(412)는 개별 도어(20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락킹부(412)는 지지부(4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락킹유닛(410)은 도어(100)의 체결홈(12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제 2락킹유닛(420)은 도어(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락킹유닛(420)은 제 1락킹유닛(41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 2락킹유닛(420)은 제 1락킹유닛(410)과 대응하도록 도어(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락킹유닛(420)은 도어(100)의 제 1부분(14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락킹유닛(420)은 제 1부분(140)의 상면 프레임(12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락킹유닛(420)은 결합부(421), 걸림부(422) 및 연결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21)는 락킹부(41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걸림부(422)는 도어(10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고, 전면 패널(11)에 형성되는 고정홈(12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423)는 결합부(421) 및 걸림부(422)를 연결한다.
제 2락킹유닛(420)의 결합부(421) 및 걸림부(422)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굽은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락킹유닛(410)의 락킹부(412)는 결합부(421) 및 걸림부(422)와 상이한 방향을 향하여 굽은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락킹유닛(420)은 도어(100)의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430)에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재(430)는 케이싱(10)의 내측 및 외측방향으로 제 2락킹유닛(4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430)는 조작 유닛(300)을 케이싱(10)의 외측방향으로 움직이면 케이싱(10)의 외측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탄성부재(43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430)는 제 2락킹유닛(42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족하고, 스프링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의 개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케이싱(10)의 내측방향을 제 1방향(A), 케이싱(10)의 외측방향을 제 2방향(B)으로 정의한다.
사용자는 조작 유닛(300)을 이용하여 도어(100) 및 개별 도어(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조작 유닛(300)을 제 1방향(A)으로 움직이면 개별 도어(200)가 회동하고, 조작 유닛(300)을 제 2방향(B)으로 움직이면 도어(100)가 회동한다.
구체적으로, 조작 유닛(300)을 제 1방향(A)으로 움직이면, 제 1락킹유닛(410)은 조작 유닛(300)과 함께 제 1방향(A)으로 움직이고, 제 1락킹유닛(410)의 락킹부(412)는 제 2락킹유닛(420)의 결합부(421)와 분리된다. 따라서, 개별 도어(200)는 도어(10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하다. 이 때, 제 2락킹유닛(420)은 전면 패널(11)의 고정홈(125)에 고정된 상태로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제 2락킹유닛(420)은 제 2락킹유닛(420)의 걸림부(422)가 걸림턱(125a)에 결합됨으로써 제 1방향(A)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즉, 도어(100)는 제 2락킹유닛(420)의 걸림부(422)가 걸림턱(125a)에 결합됨에 따라 회동이 제한된다.
조작 유닛(300)을 제 2방향(B)으로 움직이면, 제 1락킹유닛(410)은 조작 유닛(300)과 함께 제 2방향(B)으로 움직이고, 제 1락킹유닛(410)의 락킹부(412)는 제 2락킹유닛(420)의 결합부(421)와 결합된다. 따라서, 개별 도어(200) 및 도어(100)는 일체로 회동 가능하다. 이 때, 제 2락킹유닛(420)은 제 1락킹유닛(410)과 결합된 상태로 제 2방향(B)으로 움직이고, 제 2락킹유닛(420)의 걸림부(422)는 걸림턱(125a)에서 분리된다. 개별 도어(200) 및 도어(100)는 제 2락킹유닛(420)의 걸림부(422)가 고정홈(125)에서 분리됨에 따라 일체로 회동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한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3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3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도어(200)는 제 2조리실(16b)을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도어(10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조리실(16b), 전면 패널(11)의 개구부 및 도어(100)의 개구부(110)는 서로 연통되고, 각각 개별 도어(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도어(100)는 전면 패널(11)에 제 1도어 힌지(161)로 체결될 수 있고, 개별 도어(200)는 도어(100)에 제 2도어 힌지(162)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의 후면 상단부 양 측단이 전면 패널(11)의 전면 상단부 양 측단과 제 1도어 힌지(161)로 체결되고, 도어(100)가 제 1도어 힌지(16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조리실(16)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개별 도어(200)의 후면 상단부 양 측단이 도어(100)의 전면 양 측단과 제 2도어 힌지(162)로 체결되고, 개별 도어(200)가 제 2도어 힌지(16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개별 도어(200)를 상하 방향으로 회동시켜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00,200)는 조리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의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
후술할 제 3실시예, 제 4실시예 및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1000,2000,3000)의 개별 도어(1200,2200,3200)도 제 2실시예에 따른 오븐(1)의 개별 도어(200)와 마찬가지로 제 2조리실(16b)을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도어(1100,2100,3100)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후술할 제 3실시예, 제 4실시예 및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1000,2000,3000)의 복수의 도어(1100,2100,3100,1200,2200,3200)는 조리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의 좌우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제 3프레임을 I-I'으로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1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1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0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 및 케이싱(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16)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11),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 패널(12),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 패널(13),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 패널(미도시) 및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 패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0)은 개방된 전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케이싱(10)의 전면 패널(11)은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전면 패널(11)에는 체결홈(1681)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681)에는 후술할 후방 링크(1650)의 후크(165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리실(16)은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리물의 출납을 위해 전면은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조리실(16)의 개방된 전면은 조리실(16)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도어(1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오븐(1000)은 조리실(16)을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에 마련되는 도어(1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00)는 케이싱(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1100)는 케이싱(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1100)는 전면 패널(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100)는 프레임(130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300)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 1프레임(1301) 및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 2프레임(13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300)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을 연결하는 제 3프레임(13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은 일 면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프레임(1303)은 하면이 개방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 3프레임(1303)은 상면(1303a), 우측면(1303b) 및 좌측면(1303c)이 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3프레임(1303)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 3프레임(1303)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은 적어도 일 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3프레임(1303)의 상면(1303a), 우측면(1303b) 및 좌측면(1303c)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3프레임(1303)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프레임(1303)의 상면(1303a)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의 상측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의 우측면(1303b)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의 우측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의 좌측면(1303c)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의 좌측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을 통해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의 결합부위의 복잡한 구성을 은폐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1300)의 깔끔한 외관 형성이 가능하다.
프레임(1300)은 날카로움 방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3프레임(1303)은 날카로움 방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의 결합부위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제 3프레임(1303)은 날카로운 접촉부위를 가질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의 날카로운 접촉부위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을 향하는 제 3프레임(1303)의 상면 가장자리에 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제 3프레임(1303)의 날카로운 접촉부위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3프레임(1303)은 도어(1100) 또는 개별 도어(1200)의 개폐과정에서 사용자가 제 3프레임(1303)의 날카로운 접촉부위에 의해 다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곡부(1304)를 가질 수 있다. 절곡부(1304)는 제 3프레임(1303)의 날카로운 접촉부위의 압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부(1304)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을 향하는 제 3프레임(1303)의 상면 가장자리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 중 적어도 하나와 제 3프레임(1303)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절곡부(1304)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을 향하는 제 3프레임(1303)의 상면 가장자리가 제 1프레임(1301) 및 제 2프레임(1302)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과 마주하도록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진 상태에서 압착 형성될 수 있다. 제 3프레임(1303)에 절곡부(1304)를 형성함으로써 제 3프레임(1303)의 매끄러운 접촉부위의 구현이 가능하다.
프레임(1300)은 법랑 처리될 수 있다. 제 1프레임(1301), 제 2프레임(1302) 및 제 3프레임(1303) 중 적어도 하나는 법랑 처리될 수 있다.
도어(1100)는 조리실(16)과 연통되는 개구부(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10)는 프레임(130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개구부(1110)는 개별 도어(1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도어(1100)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도어(1100)는 제 1개구부(1111) 및 제 2개구부(1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개구부(1111)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상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30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개구부(1112)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하방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30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개구부(1111)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상방에 위치하도록 제 2프레임(130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개구부(1112)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하방에 위치하도록 제 2프레임(130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개구부(1111)는 개별 도어(12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00)는 이너 프레임(13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305)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프레임(1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프레임(1305)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제 2개구부(11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제 2프레임(130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프레임(1302)에는 제 2개구부(1112)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연결부재(131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310)는 제 2프레임(1302) 및 이너 프레임(1305) 사이에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프레임(1305)의 내측에는 제 2개구부(1112)에 대응하는 개구(1305a)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프레임(1305)에는 복수의 연결부재(1310)에 대응하도록 개구(1305a)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1320)에 마련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305) 및 제 2프레임(1302)은 복수의 체결홀(1320) 및 복수의 연결부재(1310)를 관통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어(1100)는 도어 패널(13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패널(1306)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프레임(130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 패널(1306)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이너 프레임(1305)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 패널(1306)은 프레임(13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패널(1306)은 제 2프레임(130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어 패널(1306) 및 제 2프레임(1302)의 사이에는 이너 프레임(1305) 및 적어도 하나의 단열글라스(13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어 패널(1306)에는 이너 프레임(1305)의 개구(1305a) 또는 제 2프레임(1302)의 제 2개구부(1112)에 대응하는 투시창(1307)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시창(1307)을 통해 조리실(16)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어(1100)는 조리실(16) 내부의 열을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글라스(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적어도 하나의 단열글라스(1330)는 제 1단열글라스(1331), 제 2단열글라스(1332),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열글라스(1331), 제 2단열글라스(1332),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단열글라스(1331)는 도어 패널(1306)과 마주하도록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도어 패널(1306)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단열글라스(1331)는 도어 패널(1306)의 투시창(1307)에 대응하는 투명부(1331c) 및 투명부(1331c)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불투명부(1331b)를 포함할 수 있다. 불투명부(1331b)는 복잡한 도어(1100)의 내부구조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 2단열글라스(1332)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제 1단열글라스(133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단열글라스(1332)는 제 1단열글라스(1331) 및 이너 프레임(130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단열글라스(1332)의 일 측에는 제 1글라스 홀더(134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글라스 홀더(1340)는 제 2단열글라스(1332)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글라스 홀더(1340)의 위치는 제 2단열글라스(1332)의 양측 가장자리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 2단열글라스(1332)는 제 1글라스홀더(3412)에 의해 이너 프레임(130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단열글라스(1332)는 제 1글라스 홀더(1340) 및 이너 프레임(1305)에 형성된 고정홀(1305b)을 관통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이너 프레임(130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이너 프레임(1305) 및 제 2프레임(1302)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에 수용될 수 있다.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제 2글라스 홀더(135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글라스 홀더(1350)는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를 지지하도록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제 2글라스 홀더(1350)에 구속된 상태로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에 수용될 수 있다. 제 2프레임(1302)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310)는 제 3단열글라스(1333)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가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에 수용된 경우 제 2글라스 홀더(13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310)는 제 2글라스 홀더(13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어(1100)는 글라스 홀더(1340,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홀더(1340,1350)는 제 2단열글라스(1332)에 마련되는 제 1글라스 홀더(1340) 및 제 3단열글라스(1333)와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를 구속하는 제 2글라스 홀더(1350)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홀더(1340,1350)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어(1100)는 도어 힌지(160)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1100)는 전면 패널(11)에 제 1도어 힌지(161)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100)의 후면 하단부 양 측단이 전면 패널(11)의 전면 하단부 양 측단과 제 1도어 힌지(161)로 체결되고, 도어(1100)가 제 1도어 힌지(16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도어(1100)를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시켜 조리실(16)을 개폐할 수 있다.
오븐(1000)은 도어(1100)의 개구부(1110)를 개폐하도록 프레임(1300)의 전방에 설치되는 개별 도어(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별 도어(1200)는 제 1개구부(1111)를 개폐하도록 제 1프레임(1301)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개구부(1110)를 개폐하도록 도어(1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별 도어(1200)는 제 1개구부(1111)를 개폐하도록 제 1프레임(130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제 1개구부(1111)를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100)에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사용 빈도가 많은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도어(110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도어(1200)는 제 1조리실(16a)을 개폐하기 용이하도록 도어(110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조리실(16a), 전면 패널(11)의 개구부 및 도어(1100)의 개구부(1110)는 서로 연통되고, 각각 개별 도어(1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조리실(16a), 전면 패널(11)의 개구부 및 프레임(1300)의 제 1개구부(1111)는 서로 연통되고, 각각 개별 도어(1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패널(14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1400)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프론트 패널(141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10)은 개별 도어(12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10)에는 핸들(9)이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10)은 리어 패널(1420)에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10) 및 리어 패널(1420) 사이에는 이너 패널(1430) 및 적어도 하나의 단열글라스(1330a)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410)에는 이너 패널(1430)의 제 2개방부(1431) 또는 리어 패널(1420)의 제 1개방부(1421)에 대응하는 투시창(1307a)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16)의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패널(1400)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리어 패널(1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패널(1420)은 개별 도어(12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패널(1420)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도어(1100)의 제 1프레임(130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패널(1420)은 프론트 패널(1410)과 결합할 수 있다. 리어 패널(1420)에는 제 1프레임(1301)의 제 1개구부(1111)에 대응하는 제 1개방부(1421)가 형성될 수 있다. 패널(1400)은 프론트 패널(1410) 및 리어 패널(1420) 사이에 위치하는 이너 패널(1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패널(1430)은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제 1개방부(1421)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리어 패널(142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패널(1420)에는 제 1개방부(1421)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연결부재(1310)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310)는 리어 패널(1420) 및 이너 패널(1430) 사이에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a)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너 패널(1430)의 내측에는 제 1개방부(1421)에 대응하는 제 2개방부(143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패널(1430)에는 복수의 연결부재(1310)에 대응하도록 제 2개방부(1431)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1320a)이 마련될 수 있다. 이너 패널(1430) 및 리어 패널(1420)은 복수의 체결홀(1320a) 및 복수의 연결부재(1310)를 관통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열글라스(13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적어도 하나의 단열글라스(1330a)는 제 1단열글라스(1331a), 제 2단열글라스(1332a),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단열글라스(1331a), 제 2단열글라스(1332a),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단열글라스(1331a)는 프론트 패널(1410)과 마주하도록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프론트 패널(14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단열글라스(1331a)는 프론트 패널(1410)의 투시창(1307a)에 대응하는 투명부(1331c) 및 투명부(1331c)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불투명부(1331b)를 포함할 수 있다. 불투명부(1331b)는 복잡한 개별 도어(1200)의 내부구조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 2단열글라스(1332a)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제 1단열글라스(1331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단열글라스(1332a)는 제 1단열글라스(1331a) 및 이너 패널(1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단열글라스(1332a)의 일 측에는 제 1홀더(144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홀더(1440)는 제 2단열글라스(1332a)의 양측 가장자리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 1홀더(1440)의 위치는 제 2단열글라스(1332a)의 양측 가장자리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 2단열글라스(1332a)는 제 1홀더(1440)에 의해 이너 패널(14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단열글라스(1332a)는 제 1홀더(1440) 및 이너 패널(1430)에 형성된 고정홀(1430a)을 관통하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이너 패널(14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이너 패널(1430) 및 리어 패널(1420) 사이에 형성되는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a)에 수용될 수 있다.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제 2홀더(145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홀더(1450)는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를 지지하도록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의 가장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는 제 2홀더(1450)에 구속된 상태로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a)에 수용될 수 있다. 리어 패널(1420)에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부재(1310)는 제 3단열글라스(1333a) 및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가 단열글라스 수용공간(1360a)에 수용된 경우 제 2홀더(145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1310)는 제 2홀더(14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개별 도어(1200)는 글라스 홀더(1440,1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홀더(1440,1450)는 제 2단열글라스(1332a)에 마련되는 제 1홀더(1440) 및 제 3단열글라스(1333a)와 제 4단열글라스(미도시)를 구속하는 제 2홀더(1450)를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홀더(1440,1450)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개별 도어(1200)는 도어 힌지(160)에 의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도어(1100)에 제 2도어 힌지(162)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별 도어(1200)는 제 2도어 힌지(162)에 의해 제 1프레임(1301)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개별 도어(1200)의 후면 하단부 양 측단이 도어(1100)의 전면 양 측단과 제 2도어 힌지(162)로 체결되고, 개별 도어(1200)가 제 2도어 힌지(162)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개별 도어(1200)를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시켜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는 별개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즉, 도어(1100)는 제 1도어 힌지(16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개별 도어(1200)는 제 2도어 힌지(162)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도어(1100)의 회전축 및 개별 도어(1200)의 회전축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오븐(1000)은 조리실(16)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에 마련되는 복수의 도어(1100,1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100,1200)는 케이싱(10)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도어(1100,1200)는 제 1도어 및 제 2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도어는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하고, 제 2도어는 제 1도어와 함께 조리실(16)의 전부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도어는 제 2도어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거나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0)의 전면 패널(11)에는 도어(1100)와 조리실(16)을 밀폐하기 위한 제 1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의 배면에는 개별 도어(1200)와 개구부, 구체적으로, 제 1개구부(1111)를 밀폐하기 위한 제 2실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실링부재(미도시)와 제 2실링부재(미도시)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밀폐를 위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제 1실링부재(미도시)는 케이싱(10)의 전면 패널(11)이 아닌 도어(1100)의 배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실링부재(미도시)는 개별 도어(1200)의 배면이 아닌 도어(1100)의 전면, 다시 말하면, 제 1프레임(1301)의 전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오븐(1000)은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작유닛(1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은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설치될 수 있다.
오븐(1000)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핸들(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9)은 조리실(16)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형성될 수 있다. 핸들(9)의 형상은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변형 가능하다.
조작유닛(1500)은 핸들(9)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오븐(1000)은 조작유닛(1500)의 조작에 따라 개별 도어(1200)가 도어(1100)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움직이도록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를 연결하는 잠금 유닛(1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유닛(1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어(1100)에는 개별 도어(1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조리실(16)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안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개별 도어(1200)는 회동 가능하도록 안착부(미도시)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작유닛 및 잠금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의 조작유닛 및 잠금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한다. 이하, 볼록부는 가이드면(1612)의 제 2부분(1612b)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방 홀더(1660)는 제 2지지부(1662)는 지지부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000)은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작유닛(1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유닛(1500)은 핸들(9)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핸들(9)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조작유닛(1500)은 누름부재(1520)의 일부가 핸들(9)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핸들(9)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조작유닛(1500)은 누름부재(1520)의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 가압될 수 있도록 핸들(9)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5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510)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제 1케이스(1511) 및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제 2케이스(15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케이스(1511) 및 제 2케이스(1512)는 서로 결합하여 조작유닛(15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케이스(1512)에는 누름부재 수용부(1513) 및 가압부재 수용부(1514)가 마련될 수 있다. 누름부재 수용부(1513)는 절개부(15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 수용부(1514)는 프론트 패널(1410)을 향하도록 핸들(9)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은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누름부재(1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재(1520)는 누름부재(1520)의 일부가 절개부(1515)를 통해 제 2케이스(151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누름부재 수용부(1513)에 배치될 수 있다. 절개부(1515)를 통해 제 2케이스(1512)의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부재(1520)의 일부는 개별 도어(1200)의 전면(前面)을 향하도록 핸들(9)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누름부재(1520)는 누름 가능하도록 핸들(9)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은 누름부재(1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1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1530)는 전방 링크(1610)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재 수용부(1514)에 수용될 수 있다. 가압부재(1530)는 누름부재(1520)의 가압여부에 따라 전방 링크(1610)의 제 1부분(1612a)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누름부재(1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은 누름부재(1520) 및 가압부재(1530)를 연결하는 회전축(1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압부재(1530)는 회전축(1540)을 중심으로 전방 링크(1610)의 바디(1611)에 형성되는 가이드면(1612)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누름부재(1520)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유닛(1500)은 탄성체(1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55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550)는 제 1케이스(1511) 및 누름부재(15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1550)는 제 1케이스(1511) 및 누름부재(1520)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부재(1520)를 가압하는 경우, 탄성체(1550)는 수축할 수 있다.
오븐(1000)은 개별 도어(1200)가 도어(1100)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조리실(16)을 개폐 가능하도록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를 연결하는 잠금 유닛(1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븐(1000)은 조작유닛(1500)의 조작에 따라 개별 도어(1200)가 도어(1100)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움직이도록 도어(1100) 및 개별 도어(1200)를 연결하는 잠금 유닛(1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유닛(1600)은 전방 링크(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링크(1610)는 바디(161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611)의 일 면에는 가이드면(16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면(1612)은 가압부재(1530)와 마주하는 바디(1611)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1612)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가이드면(1612)은 제 1부분(1612a) 및 제 2부분(16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부분(1612b)은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1부분(1612a)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부분(1612b)은 전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제 1부분(1612a)에 연결될 수 있다. 가압부재(1530)는 회전축(1540)을 중심으로 가이드면(1612)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 가압부재(1530)는 누름부재(1520)의 가압여부에 따라 가이드면(1612)의 제 2부분(1612b)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누름부재(1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누름부재(1520)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부재(1530)는 회전축(154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면(1612)의 제 2부분(1612b)을 가압할 수 있다.
전방 링크(1610)는 바디(1611)에 연결되는 헤드(16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1613)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바디(161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을 향하는 헤드(1613)의 일 단부에는 축 관통홀(1614)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링크(1610)는 조작유닛(1500)의 움직임에 따라 결합홈(166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16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1615)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후방을 향하는 헤드(1613)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615)는 후방 홀더(1660)에 형성되는 결합홈(166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걸림부(1615)의 형상은 갈고리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잠금 유닛(1600)은 전방 홀더(1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홀더(1620)는 개별 도어(1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방 홀더(1620)는 지지부재(1640)에 결합되는 제 1고정부(16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고정부(1621) 및 지지부재(1640)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1고정부(1621)는 전방을 향하는 전방 홀더(1620)의 전면(前面)(1620a)에서 측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전방 홀더(1620)는 제 1지지부(16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지지부(1622)는 전방을 향하는 전방 홀더(1620)의 전면(前面)(1620a)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전방 홀더(1620)는 전방 링크(1610)가 삽입되는 전방링크 삽입부(1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링크(1610)가 전방링크 삽입부(1623)에 삽입되는 경우, 제 1지지부(1622) 및 전방 링크(1610)의 헤드(1613)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 1지지부(1622) 및 전방 링크(1610)의 헤드(1613) 사이에는 제 1탄성부재(16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탄성부재(1624)는 제 1지지부(1622) 및 전방 링크(1610)의 헤드(1613)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1615)는 제 1탄성부재(1624)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홈(166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홀더(1620)는 전방 축결합홀(16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축결합홀(1625)은 전방 홀더(1620)의 전면(前面)(1620a)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626)에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링크(1610)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전방 홀더(16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 링크(1610)는 전방 링크(1610) 및 전방 홀더(1620)를 연결하는 전방 회전축(1630)을 중심으로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전방 홀더(1620)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회전축(1630)은 전방 홀더(1620)의 전방 축결합홀(1625) 및 전방 링크(1610)의 축 관통홀(1614)을 관통하여 전방 홀더(1620) 및 전방 링크(1610)를 연결한다.
잠금 유닛(1600)은 지지부재(1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640)는 리어 패널(1420)에 고정될 수 있다. 전방 홀더(1620)의 제 1고정부(1621)는 지지부재(164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640)에는 후방 홀더(1660)의 결합홈(1665) 및 후방 링크(1650)의 누름부(16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1641)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유닛(1600)은 후방 링크(1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는 회전 가능하도록 후방 홀더(166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는 전면 패널(11)에 마련되는 체결홈(168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165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1651)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후방을 향하는 후방 링크(165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는 전방 링크(1610)의 움직임을 후크(1651)에 전달하는 누름부(16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1652)는 조리실(16)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을 향하는 후방 링크(165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는 후크(1651) 및 누름부(1652)를 연결하는 연결부(16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653)에는 축 관통공(1654)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유닛(1600)은 후방 홀더(1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홀더(1660)는 도어(1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후방 홀더(1660)는 도어(1100)의 프레임(1300)에 결합되는 제 2고정부(166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고정부(1661)는 도어(1100)의 제 2프레임(130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 2고정부(1661) 및 도어(1100)의 제 2프레임(1302)은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고정부(1661)는 전방을 향하는 후방 홀더(1660)의 전면(前面)(1660a)에서 측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후방 홀더(1660)는 제 2지지부(16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지지부(1662)는 후크(1651)와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마주하도록 후방 홀더(1660)에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지지부(1662)는 전방을 향하는 후방 홀더(1660)의 전면(前面)(1660a)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후방 홀더(1660)는 후방 링크(1650)가 삽입되는 후방링크 삽입부(16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홀더(1660)는 후방 링크(1650)의 후크(1651)가 삽입되는 후방링크 삽입부(16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가 후방링크 삽입부(1663)에 삽입되는 경우, 제 2지지부(1662) 및 후방 링크(1650)의 후크(1651)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 2지지부(1662) 및 후방 링크(1650)의 후크(1651) 사이에는 제 2탄성부재(1664)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1664)는 제 2지지부(1662) 및 후방 링크(1650)의 후크(165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1651)는 제 2탄성부재(1664)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홈(168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후방 홀더(1660)는 전방 링크(1610)와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16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665)은 결합프레임(1666)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1666)은 후방 홀더(1660)의 전면(前面)(1660a)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1665)에는 후방 링크(1650)의 누름부(1652)가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후방 홀더(1660)는 후방 축결합홀(16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축결합홀(1667)은 후방 홀더(1660)의 결합프레임(1666)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후방 축결합홀(1667)은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결합홈(166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결합프레임(1666)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는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후방 홀더(166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링크(1650)는 후방 링크(1650) 및 후방 홀더(1660)를 연결하는 후방 회전축(1670)을 중심으로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후방 홀더(1660)에 결합될 수 있다. 후방 회전축(1670)은 후방 홀더(1660)의 후방 축결합홀(1667) 및 후방 링크(1650)의 축 관통공(1654)을 관통하여 후방 홀더(1660) 및 후방 링크(1650)를 연결한다.
잠금 유닛(1600)은 조리실(16)에 대한 도어(1100)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전면 패널(11)에 마련되는 체결홈(16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홈(1681)은 전면 패널(11)에 고정되는 구속부재(168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의 후크(1651)는 체결홈(168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잠금 유닛(1600)은 후방 홀더(1660) 및 후방 링크(1650)를 관통하여 후방 홀더(1660) 및 후방 링크(1650)를 연결하는 후방 회전축(16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방 링크(1650)는 후방 회전축(1670)을 중심으로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잠금 유닛(1600)은 전방 홀더(1620) 및 전방 링크(1610)를 관통하도록 전방 홀더(1620) 및 전방 링크(1610)를 연결하고, 후방 회전축(1670)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방 회전축(1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링크(1610)는 전방 회전축(1630)을 중심으로 조리실(16)의 상하방향(N)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부재(1520)를 누른 상태에서 핸들(9)을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즉, 조리실(16)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개별 도어(1200)가 회동하고, 누름부재(152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9)을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즉, 조리실(16)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개별 도어(1200) 및 도어(1100)가 일체로 회동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여 개별 도어(1200)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누름부재(1520)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부재(1530)는 회전축(154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방 링크(1610)의 제 2부분(1612b)을 가압한다. 전방 링크(1610)의 제 2부분(1612b)이 가압되면 전방 링크(1610)는 전방 회전축(1630)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 때, 제 1탄성부재(1624)는 수축되고, 걸림부(1615)는 후방 홀더(1660)의 결합홈(1665)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개별 도어(1200)는 도어(110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1100)와 별개로 개별 도어(1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개별 도어(12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경우, 후방 링크(1650)의 후크(1651)는 제 2탄성부재(1664)에 의해 구속부재(1680)의 체결홈(168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어(1100)는 개별 도어(1200)와 별개로 전면 패널(11)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17을 참고하여 도어(1100)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누름부재(1520)를 가압하지 않은 경우, 조리실(16)의 후방을 향하는 가압부재(1530)의 일 단부는 전방 링크(1610)의 제 1부분(1612a)과 마주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누름부재(1520)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9)을 잡아당기면, 전방 링크(1610)에 대한 가압부재(1530)의 가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걸림부(1615)는 제 1탄성부재(1624)에 의해 결합홈(1665)의 내측에 위치하는 누름부(1652)를 누르고, 결합홈(1665)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걸림부(1615)에 의해 후방 링크(1650)의 누름부(1652)가 가압되면 후방 링크(1650)는 후방 회전축(1670)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 때, 제 2탄성부재(1664)는 수축되고, 후크(1651)는 구속부재(1680)의 체결홈(1681)에서 분리된다. 이에 따라, 도어(1100)는 전면 패널(11)로부터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1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전면 패널(11)에 대한 도어(1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개별 도어(1200)는 도어(1100)와 일체로 움직인다. 구체적으로, 전면 패널(11)에 대한 도어(1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개별 도어(1200)는 전방 링크(1610)의 걸림부(1615) 및 후방 홀더(1660)의 결합홈(1665)의 결합에 의해 도어(1100)와 일체로 움직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작유닛을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구속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조작유닛을 제 2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 구속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구속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구속된 경우, 구속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의 구속이 해제된 경우, 구속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2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2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18 내지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2000)은 조리실(16)을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에 마련되는 도어(2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2100)는 케이싱(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2100)는 케이싱(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2100)는 전면 패널(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2100)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어(2100)가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오븐(2000)은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210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한 개별 도어(2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도어(2200)는 도어(2100)에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2200)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별 도어(2200)가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오븐(2000)은 도어(2100) 및 개별 도어(2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도어(2100) 및 개별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작유닛(2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유닛(2300)은 도어(2100) 및 개별 도어(220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작유닛(2300)은 핸들(9)에 마련될 수 있다. 조작유닛(2300)은 핸들(9)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조작유닛(2300)은 레버(2310), 연결부재(2320) 및 로드(23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231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핸들(9)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다. 레버(2310)는 제 1방향(P) 또는 제 2방향(Q)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로드(2330)는 레버(2310)의 움직임을 후술할 구속유닛(2400)에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로드(2330)는 개별 도어(2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로드(2330)는 케이싱(10)의 좌우방향(U)(도8참고)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로드(2330)는 개방된 일 면을 가지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로드(2330)의 형상은 막대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레버(2310)의 움직임을 구속유닛(2400)에 전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충분하다. 로드(2330)의 제 1단부(2331)에는 연결부재 결합공(2333)이 마련될 수 있다. 로드(2330)의 제 2단부(2332)에는 복수의 롤러(234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롤러(2340)는 로드(2330)의 제 2단부(233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롤러(2340)는 제 1롤러(2341), 제 2롤러(2342) 및 제 3롤러(23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롤러(2341) 및 제 2롤러(2342)는 서로 이격되도록 로드(2330)의 제 2단부(233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롤러(2342)는 제 1롤러(2341)보다 레버(2310)에 인접하도록 로드(2330)의 제 2단부(2332)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롤러(2343)는 제 1롤러(2341) 및 제 2롤러(234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340)는 서로 다른 축(2341a,2342a,2343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340) 중 적어도 하나의 축(2341a,2342a,2343a)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로드(23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제 1롤러(2341)의 축(2341a) 및 제 2롤러(2342)의 축(2342a)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제 3롤러(2343)의 축(2343a)보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롤러(2341)의 축(2341a) 및 제 2롤러(2342)의 축(2342a)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340)의 축(2341a,2342a,2343a)은 케이싱(10)의 전후방향(M)(도8참고)으로 로드(2330)를 관통하도록 로드(23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롤러(2340)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연결부재(2320)는 레버(2310) 및 로드(2330)를 연결하도록 레버(2310) 및 로드(2330) 사이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2320)의 일 단부는 레버(2310)에 결합되고, 연결부재(2320)의 다른 단부는 로드(2330)의 연결부재 결합공(233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부재(2320)는 레버(2310)의 움직임을 로드(233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레버(2310), 연결부재(2320) 및 로드(2330)는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오븐(2000)은 조작유닛(2300)의 조작에 따라 개별 도어(2200)가 도어(2100)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움직이도록 도어(2100) 및 개별 도어(2200)를 연결하는 구속유닛(2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속유닛(2400)은 지지 프레임(241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10)은 개별 도어(2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지지 프레임(2410)은 개별 도어(22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10)은 조작유닛(2300)의 로드(2330)와 마주하는 바닥면(2410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10)의 바닥면(2410a)에는 로드(2330)의 제 2단부(233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부(2411)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10)은 바닥면(2410a)과 마주하는 지지면(241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면(2410b)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바닥면(2410a)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10)은 바닥면(2410a) 및 지지면(2410b)을 연결하는 연결면(241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면(2410c)에는 홀더(2430) 및 링크(24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2412)이 마련될 수 있다.
바닥면(2410a), 지지면(2410b) 및 연결면(2410c)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속유닛(2400)은 링크(2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2420)는 회전 가능하도록 홀더(2430)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2420)는 전면 패널(11)에 마련되는 체결홈(24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2421)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2421)는 케이싱(10)의 전후방향(M)(도8참고)으로 후방을 향하는 링크(242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2420)는 누름부(2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2422)는 케이싱(10)의 전후방향(M)(도8참고)으로 전방을 향하는 링크(2420)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2422)는 가압부재(245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링크(2420)는 후크(2421) 및 누름부(2422)를 연결하는 연결부(2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423)에는 축 관통공(2424)이 형성될 수 있다.
구속유닛(2400)은 홀더(2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2430)는 도어(2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홀더(2430)는 도어(210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243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431) 및 도어(2100)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2431)는 전방을 향하는 홀더(2430)의 전면(前面)(2432)에서 측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홀더(2430)는 지지부(2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433)는 후크(2421)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마주하도록 홀더(2430)에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433)는 전방을 향하는 홀더(2430)의 전면(前面)(2432)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홀더(2430)는 링크(2420)가 삽입되는 링크 삽입부(2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2430)는 링크(2420)의 후크(2421)가 삽입되는 링크 삽입부(2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2420)가 링크 삽입부(2434)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부(2433) 및 링크(2420)의 후크(2421)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지지부(2433) 및 링크(2420)의 후크(2421) 사이에는 제 2탄성부재(24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탄성부재(2470)는 지지부(2433) 및 링크(2420)의 후크(2421)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2421)는 제 2탄성부재(2470)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홈(24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2430)는 결합홈(24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2435)은 결합프레임(2436)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2436)은 홀더(2430)의 전면(前面)(2432)에서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2435)에는 링크(2420)의 누름부(2422)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더(2430)는 축결합홀(24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축결합홀(2437)은 홀더(2430)의 결합프레임(2436)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축결합홀(2437)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결합홈(2435)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결합프레임(2436)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2420)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홀더(24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2420)는 링크(2420) 및 홀더(2430)를 연결하는 회전축(2480)을 중심으로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홀더(2430)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2480)은 홀더(2430)의 축결합홀(2437) 및 링크(2420)의 축 관통공(2424)을 관통하여 홀더(2430) 및 링크(2420)를 연결한다.
구속유닛(2400)은 지지부재(24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2490)는 도어(2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홀더(2430)의 고정부(2431)는 지지부재(249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2490)에는 홀더(2430)의 결합홈(2435) 및 링크(2420)의 누름부(24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구(2491)가 마련될 수 있다.
구속유닛(2400)은 조리실(16)에 대한 도어(2100)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전면 패널(11)에 마련되는 체결홈(24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홈(2441)은 전면 패널(11)에 고정되는 구속부재(244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2420)의 후크(2421)는 체결홈(244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속유닛(2400)은 홀더(2430) 및 링크(2420)를 관통하여 홀더(2430) 및 링크(2420)를 연결하는 회전축(24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2420)는 회전축(2480)을 중심으로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구속유닛(2400)은 가압부재(2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도어(2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도어(21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케이싱(10)의 전후방향(M)(도8참고)으로 지지 프레임(241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241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지지 프레임(2410)의 바닥면(2410a)을 따라 움직이는 로드(2330)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지 프레임(2410)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외관을 형성하는 틀(245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450)의 틀(2451)은 지지 프레임(2410)의 지지면(2410b)과 마주하는 제 1벽(245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450) 및 지지 프레임(2410)의 사이에는 제 1탄성부재(246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2450)의 제 1벽(2452) 및 지지 프레임(2410)의 지지면(2410b) 사이에는 제 1탄성부재(2460)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탄성부재(2460)는 제 1벽(2452) 및 지지면(2410b)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0)의 틀(2451)은 로드(2330)와 마주하는 제 2벽(24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벽(2453)은 로드(2330)의 제 2단부(2332)와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벽(2453)은 복수의 롤러(2340)와 마주할 수 있다. 제 2벽(2453)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제 2벽(2453)에는 복수의 레그(2454,2455)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2454,2455)는 복수의 롤러(2340)를 향하여 제 2벽(2453)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레그(2454,2455)는 지지 프레임(2410)의 바닥면(2410a)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레그(2454,2455) 사이에는 걸림부(2456)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복수의 레그(2454,2455)는 제 1레그(2454) 및 제 2레그(24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레그(2455)는 제 1레그(2454)보다 레버(2310)에 인접하도록 제 2벽(2453)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2454,2455)의 개수는 2개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 2벽(2453)에는 이동가이드(245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2453a)는 복수의 롤러(2340)와 마주하는 제 2벽(2453)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동가이드(2453a)는 복수의 롤러(2340)와 마주하는 복수의 레그(2454,2455) 및 걸림부(2456)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340)는 이동가이드(2453a)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복수의 롤러(2340)는 이동가이드(2453a)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410)의 바닥면(2410a)에 형성되는 레일부(2411) 및 제 2벽(2453)에 형성되는 이동가이드(2453a)는 로드(233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부(2411) 및 이동가이드(2453a)는 로드(2330)의 제 2단부(2332)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압부재(2450)의 틀(2451)은 제 1벽(2452) 및 제 2벽(2453) 사이에 마련되는 제 3벽(2457) 및 제 4벽(2458)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벽(2457)은 제 4벽(2458)보다 레버(2310)에 인접하도록 제 1벽(2452) 및 제 2벽(245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벽(2452), 제 2벽(2453), 제 3벽(2457) 및 제 4벽(2458)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틀(2451)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부(245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부(2451a)에는 지지 프레임(2410)의 삽입홀(2412)을 통과한 홀더(2430) 및 링크(242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공부(2451a)에는 지지 프레임(2410)의 삽입홀(2412)을 통과한 홀더(2430)의 결합프레임(2436) 및 링크(2420)의 누름부(2422)가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재(2450)는 푸쉬부(24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쉬부(2459)는 링크(2420)의 누름부(2422)를 가압할 수 있도록 틀(2451)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쉬부(2459)는 중공부(2451a)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 1벽(2452)에 형성될 수 있다. 푸쉬부(2459)는 링크(2420)의 누름부(2422)를 가압한 후, 홀더(2430)의 결합홈(2435)에 결합될 수 있다.
오븐(2000)은 가이드 레일(2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500)은 개별 도어(22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500)은 로드(23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개별 도어(220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2500)은 로드(2330)의 제 1단부(2331)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개별 도어(2200)에 마련될 수 있다.
레버(2310)를 제 1방향(P)으로 이동시키면 로드(2330)는 레버(2310)와 일체로 제 1방향(P)으로 움직인다. 로드(2330)는 가이드 레일(2500) 및 지지 프레임(2410)의 바닥면(2410a)에 형성되는 레일부(2411)를 따라 제 1방향(P)으로 움직인다. 이 때, 가압부재(2450)의 복수의 레그(2454,2455)는 복수의 롤러(2340) 중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롤러들(2431,2342)과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레그(2454)는 제 1롤러(2341)와 마주할 수 있고, 제 2레그(2455)는 제 2롤러(2342)와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레그(2454)는 제 1롤러(2341)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 2레그(2455)는 제 2롤러(234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걸림부(2456)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복수의 롤러(23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걸림부(2456)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복수의 롤러(2340)와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2454,2455)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복수의 롤러(2340)의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부재(2450)는 케이싱(10)의 상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 때, 제 1탄성부재(2460)는 수축된다. 또한, 가압부재(2450)의 푸쉬부(2459)는 링크(2420)의 누름부(2422)에서 이격된다. 가압부재(2450)가 케이싱(10)의 상방을 향하여 움직이면 링크(2420)의 후크(2421)는 제 2탄성부재(2470)의 복원력에 의해 구속부재(2440)의 체결홈(2441)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9)을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개별 도어(2200)는 도어(210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면, 도어(2100)는 개별 도어(2200)와 별개로 케이싱(10), 즉, 전면 패널(11)에 구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레버(2310)를 제 2방향(Q)으로 이동시키면 로드(2330)는 레버(2310)와 일체로 제 2방향(Q)으로 움직인다. 로드(2330)는 가이드 레일(2500) 및 지지 프레임(2410)의 바닥면(2410a)에 형성되는 레일부(2411)를 따라 제 2방향(Q)으로 움직인다. 이 때, 가압부재(2450)의 복수의 레그(2454,2455)중 하나는 복수의 롤러(2340) 중 케이싱(10)의 상하방향(N)(도8참고)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롤러(2340)와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레그(2455)는 제 3롤러(2343)와 마주할 수 있다. 제 1레그(2454)는 복수의 롤러(2340)로부터 이격되어 지지 프레임(2410)의 바닥면(2410a)과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압부재(2450)의 걸림부(2456)는 제 1롤러(2341)와 마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2450)의 걸림부(2456)는 제 1롤러(234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레그(2455)는 제 1롤러(2341) 및 제 2롤러(234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2레그(2455)는 제 3롤러(234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가압부재(2450)는 제 1탄성부재(2460)의 복원력에 의해 케이싱(10)의 하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또한, 가압부재(2450)의 푸쉬부(2459)는 링크(2420)의 누름부(2422)를 가압하면서 결합홈(2435)에 결합된다. 가압부재(2450)의 푸쉬부(2459)가 링크(2420)의 누름부(2422)를 가압하면 링크(2420)는 회전축(248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2탄성부재(2470)는 수축된다. 이 때, 링크(2420)의 후크(2421)는 구속부재(2440)의 체결홈(2441)에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9)을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도어(2100)는 전면 패널(11)로부터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2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전면 패널(11)에 대한 도어(21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개별 도어(2200)는 도어(2100)와 일체로 움직인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구동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구속유닛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잠금 유닛의 구속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3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3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도 26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3000)은 조리실(16)을 개폐할 수 있도록 케이싱(10)에 마련되는 도어(3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3100)는 케이싱(1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3100)는 케이싱(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3100)는 전면 패널(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3100)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어(3100)가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오븐(3000)은 조리실(16)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310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한 개별 도어(3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별 도어(3200)는 도어(3100)에 설치될 수 있다.
개별 도어(3200)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개별 도어(3200)는 도 8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오븐(3000)은 도어(3100) 및 개별 도어(3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7)에 마련되는 터치부(3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3300)는 개별 도어(32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1터치부(3310) 및 도어(31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2터치부(3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븐(3000)은 터치부(3300)의 조작에 따라 개별 도어(3200)가 도어(3100)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잠금 유닛(3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유닛(3400)은 조리실(16) 및 케이싱(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잠금 유닛(3400)은 조리실(16) 및 상면 패널(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잠금 유닛(3400)은 구속 유닛(34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속 유닛(3410)은 링크(3411)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3411)는 회전 가능하도록 홀더(3412)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링크(3411)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홀더(3412)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3411)는 개별 도어(3200)에 마련되는 체결홈(34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3411a)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3411a)는 케이싱(10)의 전후방향(M)으로 전방을 향하는 링크(3411)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3411)는 누름부(34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부(3411b)는 케이싱(10)의 전후방향(M)으로 후방을 향하는 링크(3411)의 다른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3411b)는 가압부재(3417)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링크(3411)는 후크(3411a) 및 누름부(3411b)를 연결하는 연결부(34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411c)에는 축 관통공(3411d)이 형성될 수 있다.
구속 유닛(3410)은 홀더(3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더(3412)는 도어(3100)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3412a)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412a) 및 도어(3100)는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3412a)는 전방을 향하는 홀더(3412)의 전면(前面)(3412c)에서 측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홀더(3412)는 지지부(3412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412b)는 후크(3411a)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마주하도록 홀더(3412)에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3412b)는 전방을 향하는 홀더(3412)의 전면(前面)(3412c)에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홀더(3412)는 링크(3411)가 삽입되는 링크 삽입부(3412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3411)가 링크 삽입부(3412d)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부(3412b) 및 링크(3411)의 후크(3411a)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지지부(3412b) 및 링크(3411)의 후크(3411a) 사이에는 탄성부재(3414)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3414)는 지지부(3412b) 및 링크(3411)의 후크(3411a)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3411a)는 탄성부재(3414)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홈(34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3412)는 결합홈(3412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3412e)은 결합프레임(3412f)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프레임(3412f)은 홀더(3412)의 후면(後面)(3412g)에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3412e)에는 링크(3411)의 누름부(3411b)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더(3412)는 축결합홀(3412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축결합홀(3412h)은 홀더(3412)의 결합프레임(3412f)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축결합홀(3412h)은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결합홈(3412e)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결합프레임(3412f)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3411)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홀더(341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3411)는 링크(3411) 및 홀더(3412)를 연결하는 링크 회전축(3415)을 중심으로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홀더(3412)에 결합될 수 있다. 링크 회전축(3415)은 홀더(3412)의 축결합홀(3412h) 및 링크(3411)의 축 관통공(3411d)을 관통하여 홀더(3412) 및 링크(3411)를 연결한다.
구속 유닛(3410)은 개별 도어(3200)에 마련되는 체결홈(34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홈(3413)은 개별 도어(3200)에 고정되는 구속부재(3416)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링크(3411)의 후크(3411a)는 체결홈(34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속 유닛(3410)은 홀더(3412) 및 링크(3411)를 관통하여 홀더(3412) 및 링크(3411)를 연결하는 링크 회전축(34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3411)는 링크 회전축(3415)을 중심으로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구속 유닛(3410)은 가압부재(34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3417)는 케이싱(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3417)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케이싱(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가압부재(3417)는 지지 프레임(3418)에 형성되는 가압부재 안착부(3418a)에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재(3417)는 가압부재 안착부(3418a)에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3417)는 바디(3417a) 및 걸림부(3417b)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3417b)는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바디(3417a)에서 연장될 수 있다. 걸림부(3417b)는 홀더(3412)의 결합홈(3412e)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부(3417b)는 홀더(3412)의 결합홈(3412e)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걸림부(3417b)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가압부재(3417)는 가압면(3417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면(3417c)은 바디(3417a)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가압면(3417c)은 푸쉬 레버(34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가압면(3417c)이 가압되는 경우, 걸림부(3417b)는 링크(3411)의 누름부(3411b)를 누르면서 홀더(3412)의 결합홈(3412e)에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재(3417)의 바디(3417a)에는 관통홀(3417d)이 형성될 수 있다.
구속 유닛(3410)은 지지 프레임(34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18)은 케이싱(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 프레임(3418)은 전면 패널(11)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18)은 케이싱(10)의 전후방향(M)으로 홀더(3412) 및 링크(34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18)은 프레임 고정부(3418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고정부(3418b)는 전면 패널(11)에 고정되는 제 1프레임 고정부(34181b) 및 케이싱(10)의 상면 패널(12)에 고정되는 제 2프레임 고정부(34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18)은 지지 프레임(3418)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압부재 안착부(3418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 안착부(3418a)에는 가압부재(3417)가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가압부재 안착부(3418a)에 대응하는 지지 프레임(3418)의 양 측면에는 체결홀(3418c)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3418c) 및 가압부재(3417)의 관통홀(3417d)에는 가압부재 회전축(3419)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18)은 푸쉬레버 삽입홈(3418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쉬레버 삽입홈(3418d)은 케이싱(10)의 전후방향(M)으로 가압부재 안착부(3418a)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푸쉬레버 삽입홈(3418d)에는 푸쉬 레버(3420)가 관통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푸쉬레버 삽입홈(3418d)에 결합된 푸쉬 레버(3420)는 가압부재(3417)의 가압면(3417c)을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418)은 푸쉬 레버(34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3418e,3418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3418e,3418f)는 푸쉬 레버(3420)의 양 측에 결합되어 푸쉬 레버(34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 1가이드(3418e) 및 제 2가이드(3418f)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3418e) 및 제 2가이드(3418f)는 서로 이격되도록 지지 프레임(341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푸쉬 레버(3420)는 가이드(3418e,3418f) 및 푸쉬레버 삽입홈(3418d)에 구속된 상태로 케이싱(10)의 전후방향(M)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
구속 유닛(3410)은 지지 프레임(3418) 및 가압부재(3417)를 관통하여 지지 프레임(3418) 및 가압부재(3417)를 연결하는 가압부재 회전축(34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3417)는 가압부재 회전축(3419)을 중심으로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구속 유닛(3410)은 푸쉬 레버(3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푸쉬 레버(3420)는 케이싱(10)의 전후방향(M)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 프레임(3418)에 결합될 수 있다. 푸쉬 레버(3420)는 선택적으로 가압부재(3417)의 가압면(3417c)을 가압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3418)에 마련될 수 있다. 푸쉬 레버(3420)에는 로드(3440)가 결합되는 로드 결합부(34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푸쉬 레버(3420)는 로드(3440)와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잠금 유닛(3400)은 구동 유닛(3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잠금 유닛(3400)은 전기적 구동을 통해 개별 도어(3200)를 도어(3100)와 별개로 또는 일체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동 유닛(3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3430)은 케이싱(10)의 전후방향(M)으로 구속 유닛(34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유닛(3430)은 후면 패널(14) 상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동 유닛(3430)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는 캠(3432)이 회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는 AC모터, DC모터, BLDC모터 등 다양한 종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3430)은 회전 운동하는 캠(34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캠(3432)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캠(3432)에는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는 로드(3440)의 일 단부가 결합되는 로드 결합공(3433)이 마련될 수 있다. 캠(3432)은 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구동 유닛(3430)은 캠 샤프트(34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캠 샤프트(3434)는 캠(3432) 및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를 연결하도록 캠(3432) 및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캠(3432)은 캠 샤프트(3434)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한다.
구동 유닛(3430)은 레버 스위치(3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스위치(3435)는 캠(343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버 스위치(3435)는 도어(3100) 또는 개별 도어(3200)가 열릴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레버 스위치(3435)가 온(on)이면 도어(3100)가 열릴 수 있는 상태임을 가리킨다. 레버 스위치(3435)가 오프(off)이면 개별 도어(3200)가 열릴 수 있는 상태임을 가리킨다.
구동 유닛(3430)은 브라켓(34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436)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 및 캠(343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브라켓(3436)은 저겅도 하나의 모터(3431) 및 레버 스위치(343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잠금 유닛(3400)은 구속 유닛(3410) 및 구동 유닛(3430)을 연결하는 로드(3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잠금 유닛(3400)은 구동 유닛(3430)의 움직임을 구속 유닛(3410)에 전달하는 로드(3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드(3440)는 구속 유닛(3410) 및 구동 유닛(34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드(3440)는 푸쉬 레버(3420)의 로드 결합부(3421) 및 캠(3432)의 로드 결합공(343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로드(3440)는 캠(3432)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구속 유닛(3410), 즉, 푸쉬 레버(3420)에 전달한다. 캠(3432)이 회전함에 따라 로드 결합공(3433)이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로드(3440)도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 때, 로드(3440)와 일체로 움직이는 푸쉬 레버(3420)는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하면서 가압부재(3417)의 가압면(3417c)을 가압한다. 반대로, 캠(3432)이 회전함에 따라 로드 결합공(3433)이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로드(3440)도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 때, 로드(3440)와 일체로 움직이는 푸쉬 레버(3420)는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하면서 가압부재(3417)의 가압면(3417c)을 가압하지 않는다.
잠금 유닛(3400)은 로드(3440)에 대응하도록 구속 유닛(3410) 및 구동 유닛(3430) 사이에 마련되는 케이스(3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3450)는 케이싱(10)의 상하방향(N)으로 로드(344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3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2도어가 열리는 경우, 잠금 유닛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3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3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한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1터치부(3310)를 터치하면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가 작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가 작동함에 따라 캠 샤프트(3434) 및 캠(3432)은 일체로 회전한다. 캠(3432)은 레버 스위치(3435)가 오프(off)될 때까지 회전한다. 캠(3432)이 회전함에 따라 로드 결합공(3433)이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로드(3440)도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 때, 로드(3440)와 일체로 움직이는 푸쉬 레버(3420)는 케이싱(10)의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하면서 가압부재(3417)의 가압면(3417c)을 가압한다. 푸쉬 레버(3420)가 가압부재(3417)의 가압면(3417c)을 가압하면 가압부재(3417)의 걸림부(3417b)는 링크(3411)의 누름부(3411b)를 가압하면서 홀더(3412)의 결합홈(3412e)에 결합된다. 이 때, 링크(3411)는 링크 회전축(341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링크(3411)의 후크(3411a)는 구속부재(3416)의 체결홈(3413)으로부터 분리된다. 탄성부재(3414)는 링크(3411)의 후크(3411a)가 케이싱(10)의 상방을 향하여 회동함에 따라 수축된다. 결론적으로, 가압부재(3417)의 걸림부(3417b) 및 홀더(3412)의 걸림부(3417b) 사이의 결합에 의해 도어(3100)는 케이싱(10), 즉, 전면 패널(11)에 구속된다. 그리고, 개별 도어(3200)는 링크(3411)의 후크(3411a)가 구속부재(3416)의 체결홈(3413)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도어(3100)와 별개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 2터치부(3320)를 터치하면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가 작동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가 작동함에 따라 캠 샤프트(3434) 및 캠(3432)은 일체로 회전한다. 캠(3432)은 레버 스위치(3435)가 온(on)될 때까지 회전한다. 캠(3432)이 회전함에 따라 로드 결합공(3433)이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로드(3440)도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인다. 이 때, 로드(3440)와 일체로 움직이는 푸쉬 레버(3420)는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한다. 즉, 푸쉬 레버(3420)는 로드(3440)와 일체로 케이싱(10)의 후방을 향하여 움직이면서 가압부재(3417)의 가압면(3417c)을 가압하지 않는다. 가압부재(3417)는 가압부재 안착부(3418a)에 마련된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3412)의 결합홈(3412e)으로부터 분리된다. 탄성부재(미도시)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을 포함한다. 이 때, 링크(3411)의 후크(3411a)는 탄성부재(3414)의 복원력에 의해 구속부재(3416)의 체결홈(3413)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결론적으로, 구속부재(3416)의 체결홈(3413) 및 링크(3411)의 후크(3411a) 사이의 결합에 의해 도어(3100) 및 개별 도어(3200)는 서로 구속된다. 즉, 체결홈(3413) 및 후크(3411a) 사이의 결합에 의해 도어(3100) 및 개별 도어(3200)는 서로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개별 도어(3200)는 가압부재(3417)의 걸림부(3417b)가 홀더(3412)의 결합홈(3412e)에서 분리됨에 따라 케이싱(10), 즉, 전면 패널(11)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어(3100)가 개방되는 경우, 개별 도어(3200)는 도어(3100)와 일체로 개방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 및 제 2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의 위치를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3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3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3000)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3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500)는 도어(31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3510) 및 개별 도어(32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3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감지센서(3510) 및 제 2감지센서(3520)는 전면 패널(11)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감지센서(3510)는 도어(3100)와 마주하는 전면 패널(1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감지센서(3520)는 개별 도어(3200)와 마주하는 전면 패널(1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감지센서(3510)의 온(on)은 도어(3100)의 열림 상태를 가리킨다. 제 1감지센서(3510)의 오프(off)는 도어(3100)의 닫힘 상태를 가리킨다. 제 2감지센서(3520)의 온(on)은 개별 도어(3200)의 열림 상태를 가리킨다. 제 2감지센서(3520)의 오프(off)는 개별 도어(3200)의 닫힘 상태를 가리킨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500)는 광학센서 및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센서(3500)의 종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500)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예로써, 도어(3100) 및 개별 도어(3200)의 개폐상태를 하나의 센서가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500)는 레버 스위치(34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스위치(3435)는 캠(343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버 스위치(3435)는 도어(3100) 또는 개별 도어(3200)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레버 스위치(3435)가 온(on)이면 도어(3100)가 열린 상태임을 가리킨다. 레버 스위치(3435)가 오프(off)이면 개별 도어(3200)가 열린 상태임을 가리킨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오븐에 있어서, 제 1도어 또는 제 2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3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3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26 내지 도 31 및 도 34를 참조한다.
도어(3100) 또는 개별 도어(3200)의 열림은 도어(3100) 또는 개별 도어(3200)가 모두 닫혀 있다는 전제 하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어(3100)가 열리는 경우, 개별 도어(3200)도 케이싱(10), 즉, 전면 패널(11)에서 분리되는 바, 도어(31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3510) 및 개별 도어(32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3520)는 모두 온(on)될 수 있다. 반면, 개별 도어(3200)는 도어(3100)와 별개로 회동할 수 있으므로, 개별 도어(3200)만 열리는 경우, 도어(31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3510)는 오프(off)되고, 개별 도어(32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3520)는 온(on)될 수 있다.
개별 도어(3200)를 오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3000)의 전원을 켜면 레버 스위치(3435)는 도어(3100) 또는 개별 도어(3200)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레버 스위치(3435)가 온(on)이면 도어(3100)가 열린 상태이므로, 도어(31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1터치부(3310)는 깜빡인다. 이 때, 개별 도어(3200)는 닫힌 상태이므로, 개별 도어(32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2터치부(3320)는 깜빡이지 않는다. 제 2터치부(3320)는 개별 도어(3200)를 열기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다. 이 때, 도어(31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3510) 및 개별 도어(32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3520)가 모두 오프(off)이면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에 전원이 인가된다. 다시 말하면, 제 1감지센서(3510) 및 제 2감지센서(3520)가 모두 오프(off)이면 도어(3100) 및 개별 도어(3200)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인 바, 개별 도어(3200)를 오픈할 수 있는 전제가 충족된다. 반면, 제 1감지센서(3510) 또는 제 2감지센서(3520)가 온(on)이면 여전히 도어(3100)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도어(31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1터치부(3310)가 계속해서 깜빡인다. 제 1터치부(3310)의 깜빡임은 도어(3100)가 닫힌 경우에 멈춘다. 개별 도어(3200)를 오픈할 수 있는 전제가 충족되면 레버 스위치(3435)가 오프(off)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는 동작을 멈춘다. 이 때, 사용자는 핸들(9)을 잡아당겨 개별 도어(3200)를 오픈할 수 있다.
도어(3100)를 오픈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3000)의 전원을 켜면 레버 스위치(3435)는 도어(3100) 또는 개별 도어(3200)가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한다. 레버 스위치(3435)가 오프(off)이면 개별 도어(3200)가 열린 상태이므로, 개별 도어(32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2터치부(3320)는 깜빡인다. 이 때, 도어(3100)는 닫힌 상태이므로, 도어(31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1터치부(3310)는 깜빡이지 않는다. 제 1터치부(3310)는 도어(3100)를 열기위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될 수 있다. 이 때, 개별 도어(32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3520) 및 도어(3100)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3510)가 모두 오프(off)이면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에 전원이 인가된다. 다시 말하면, 제 2감지센서(3520) 및 제 1감지센서(3510)가 모두 오프(off)이면 도어(3100) 및 개별 도어(3200)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인 바, 도어(3100)를 오픈할 수 있는 전제가 충족된다. 반면, 제 2감지센서(3520) 또는 제 1감지센서(3510)가 온(on)이면 여전히 개별 도어(3200)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개별 도어(3200)의 개방명령을 입력하는 제 2터치부(3320)가 계속해서 깜빡인다. 제 2터치부(3320)의 깜빡임은 개별 도어(3200)가 닫힌 경우에 멈춘다. 도어(3100)를 오픈할 수 있는 전제가 충족되면 레버 스위치(3435)가 온(on)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터(3431)는 동작을 멈춘다. 이 때, 사용자는 핸들(9)을 잡아당겨 도어(3100)를 오픈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븐의 제 1도어 및 제 2도어가 적용된 식기세척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제 1도어는 개별 도어(4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고, 제 2도어는 도어(41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100) 및 개별 도어(4200)의 구조는 오븐(1,1000,2000,3000) 뿐만 아니라 식기세척기(4000)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어(4100) 및 개별 도어(4200)는 식기세척기(4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4001)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4100)는 식기세척기(4000)의 케이싱(400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개별 도어(4200)는 도어(4100)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4000)에 적용 가능한 도어(4100) 및 개별 도어(4200)의 구조는 오븐(1,1000,2000,3000)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000,2000,3000 : 오븐 9 : 핸들
10 : 케이싱 11 : 전면 패널
12 : 상면 패널 13 : 측면 패널
14 : 후면 패널 15 : 하면 패널
16 : 조리실 16a : 제1조리실
16b : 제2조리실 17 : 디스플레이
18 : 조작부 19 : 지지대
20 : 랙 21 : 컨트롤패널
23 : 디바이더 30 : 순환팬 유닛
30a : 제1순환팬 유닛 31 : 통공부
32 : 순환팬 커버 33 : 순환 모터
34 : 순환팬 34a : 제1순환팬
34b : 제2순환팬 41 : 유입홀
42 : 유입 모터 43 : 유입팬 하우징
44 : 유입팬 45 : 가이드 브라켓
50 : 냉각팬 유닛 60 : 전장실
62 : 차폐 프레임 71 : 제1단열재
72 : 제2단열재 100,1100,2100,3100,4100 : 도어
110,1110 : 개구부 120 : 프레임
121 : 상면 프레임 122 : 측면 프레임
123 : 하면 프레임 124 : 체결홈
125 : 고정홈 130 : 안착부
140 : 제 1부분 150 : 제 2부분
160 : 도어 힌지 161 : 제 1도어 힌지
162 : 제 2도어 힌지 200,1200,2200,3200,4200 : 개별 도어
300 : 조작유닛 310 : 바디
320 : 이동부 330 : 파지부
410 : 제 1락킹유닛 411 : 지지부
412 : 락킹부 420 : 제 2락킹유닛
421 : 결합부 422 : 걸림부
423 : 연결부 430 : 탄성부재
9a : 가이드 51 : 전방 유로
125a : 걸림턱 1111 : 제 1개구부
1112 : 제 2개구부 1300 : 프레임
1301 : 제 1프레임 1302 : 제 2프레임
1303 : 제 3프레임 1303a : 상면
1303b : 우측면 1303c : 좌측면
1304 : 절곡부 1305 : 이너 프레임
1305a : 개구 1305b : 고정홀
1306 : 도어 패널 1307,1307a : 투시창
1310,1310a : 연결부재 1320,1320a : 체결홀
1330,1330a : 단열글라스 1331,1331a : 제 1단열글라스
1331c : 투명부 1331b : 불투명부
1332,1332a : 제 2단열글라스 1333,1333a : 제 3단열글라스
1340 : 제 1글라스 홀더 1350 : 제 2글라스 홀더
1360,1360a : 단열글라스 수용공간 1400 : 패널
1410 : 프론트 패널
1420 : 리어 패널 1421 : 제 1개방부
1430 : 이너 패널 1430a : 고정부
1431 : 제 2개방부 1440 : 제 1홀더
1450 : 제 2홀더 1500 : 조작유닛
1510 : 케이스 1511 : 제 1케이스
1512 : 제 2케이스 1513 : 누름부재 수용부
1514 : 가압부재 수용부 1515 : 절개부
1520 : 누름부재 1530 : 가압부재
1540 : 회전축 1550 : 탄성체
1600 : 잠금 유닛 1610 : 전방 링크
1611 : 바디 1612 : 가이드면
1612a : 제 1부분 1612b : 제 2부분
1613 : 헤드 1614 : 축 관통홀
1615 : 걸림부 1620 : 전방 홀더
1620a : 전면 1621 : 제 1고정부
1622 : 제 1지지부 1623 : 전방링크 삽입부
1624 : 제 1탄성부재 1625 : 전방 축결합홀
1626 : 돌출부 1630 : 전방 회전축
1640 : 지지부재 1641 : 삽입홀
1650 : 후방 링크 1651 : 후크
1652 : 누름부 1653 : 연결부
1654 : 축 관통공 1660 : 후방 홀더
1660a : 전면 1661 : 제 2고정부
1662 : 제 2지지부 1663 : 후방링크 삽입부
1664 : 제 2탄성부재 1665 : 결합홈
1666 : 결합프레임 1667 : 후방 축결합홀
1670 : 후방 회전축 1680 : 구속부재
1681 : 체결홈 2300 : 조작유닛
2310 : 레버 2320 : 연결부재
2330 : 로드 2331 : 제 1단부
2332 : 제 2단부 2333 : 연결부재 결합공
2340 : 롤러 2341 : 제 1롤러
2341a : 축(제 1롤러) 2342 : 제 2롤러
2342a : 축(제 2롤러) 2343 : 제 3롤러
2343a : 축(제 3롤러) 2400 : 구속유닛
2410 : 지지 프레임 2410a : 바닥면
2410b : 지지면 2410c : 연결면
2411 : 레일부 2412 : 삽입홀
2420 : 링크 2421 : 후크
2422 : 누름부 2423 : 연결부
2424 : 축 관통공 2430 : 홀더
2431 : 고정부 2432 : 전면
2433 : 지지부 2434 : 링크 삽입부
2435 : 결합홈 2436 : 결합프레임
2437 : 축결합홀 2440 : 구속부재
2441 : 체결홈 2450 : 가압부재
2451 : 틀 2451a : 중공부
2452 : 제 1벽 2453 : 제 2벽
2453a : 이동가이드 2454 : 제 1레그
2455 : 제 2레그 2456 : 걸림부
2457 : 제 3벽 2458 : 제 4벽
2459 : 푸쉬부 2500 : 가이드 레일
2460 : 제 1탄성부재 2470 : 제 2탄성부재
2480 : 회전축 2490 : 지지부재
2491 : 삽입구 3300 : 터치부
3310 : 제 1터치부 3320 : 제 2터치부
3400 : 잠금 유닛 3410 : 구속 유닛
3411 : 링크 3411a : 후크
3411b : 누름부 3411c : 연결부
3411d : 축 관통공 3412 : 홀더
3412a : 고정부 3412b : 지지부
3412c : 전면 3412d : 링크 삽입부
3412e : 결합홈 3412f : 결합프레임
3412g : 후면 3412h : 축결합홀
3413 : 체결홈 3414 : 탄성부재
3415 : 링크 회전축 3416 : 구속부재
3417 : 가압부재 3417a : 바디
3417b : 걸림부 3417c : 가압면
3417d : 관통홀 3418 : 지지 프레임
3418a : 가압부재 안착부 3418b : 프레임 고정부
34181b : 제 1프레임 고정부 34182b : 제 2프레임 고정부
3418c : 체결홀 3418d : 푸쉬레버 삽입홈
3418e : 제 1가이드 3418f : 제 2가이드
3419 : 가압부재 회전축 3420 : 푸쉬 레버
3421 : 로드 결합부 3430 : 구동 유닛
3431 : 모터 3432 : 캠
3433 : 로드 결합공 3434 : 캠 샤프트
3435 : 레버 스위치 3436 : 브라켓
3440 : 로드 3450 : 케이스
3500 : 센서 3510 : 제 1감지센서
3520 : 제 2감지센서 4000 : 식기세척기
4001 : 케이싱

Claims (21)

  1. 전면패널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프레임을 가지는 도어;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별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도어는 상기 도어와 별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개별 도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안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마련되는 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핸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도어가 상기 도어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상기 저장실을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를 연결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개별 도어가 상기 도어와 일체로 또는 별개로 움직이도록 상기 도어 및 상기 개별 도어를 연결하는 잠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저장실에 대한 상기 도어의 개폐여부를 조절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마련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후방 홀더;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후방 홀더에 결합되는 후방 링크; 및
    상기 후방 홀더 및 상기 후방 링크를 관통하여 상기 후방 홀더 및 상기 후방 링크를 연결하는 후방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링크는 상기 후방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링크는 상기 체결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와 상하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후방 홀더에서 연장되는 지지부 및 상기 후크 사이에 마련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체결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개별 도어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방 홀더;
    상기 조작유닛의 움직임을 선택적으로 상기 후방 링크에 전달하고,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전방 홀더에 결합되는 전방 링크; 및
    상기 전방 홀더 및 상기 전방 링크를 관통하도록 상기 전방 홀더 및 상기 전방 링크를 연결하고, 상기 후방 회전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전방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 링크는 상기 전방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링크는 상기 전방 링크의 움직임을 상기 후크에 전달하는 누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홀더는 상기 전방 링크와 마주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크는 상기 조작 유닛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결합홈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누름부를 누르면서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링크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가지는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유닛은,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누름부재의 가압여부에 따라 상기 볼록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누름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볼록부를 가압하고, 상기 볼록부가 가압되면 상기 걸림부는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6. 전면패널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 1도어; 및
    상기 제 1도어와 함께 상기 조리실의 전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전면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도어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제 1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도어는 상기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어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前面)에 마련되는 핸들; 및
    상기 조리실의 적어도 일부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누름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의 후면에 마련되는 누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상기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제 1도어가 회동하고, 상기 누름부재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을 상기 케이싱의 전방을 향하여 잡아당기면 상기 제 1도어 및 상기 제 2도어가 일체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0. 개방된 전면을 가지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리실; 및
    상기 조리실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복수의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어는,
    상기 조리실의 일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제 1도어; 및
    상기 제 1도어와 함께 상기 조리실의 전부를 개폐하고, 상기 제 1도어의 회전축에 나란한 별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마련되는 제 2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도어의 개폐를 독립적으로 조절하거나, 상기 제 2도어의 개폐와 일체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도어 및 상기 제 2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조작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도어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도어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븐.
KR1020140173803A 2014-06-10 2014-12-05 오븐 KR10228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951634A CA2951634C (en) 2014-06-10 2015-05-14 Oven door
EP15805914.7A EP3155323B1 (en) 2014-06-10 2015-05-14 Oven
JP2016572569A JP6636958B2 (ja) 2014-06-10 2015-05-14 オーブン
US15/317,650 US10502433B2 (en) 2014-06-10 2015-05-14 Oven
PCT/KR2015/004853 WO2015190713A1 (en) 2014-06-10 2015-05-14 Oven
CN201580042819.7A CN106662336B (zh) 2014-06-10 2015-05-14 烤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0304 2014-06-10
KR1020140070304 2014-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865A true KR20150141865A (ko) 2015-12-21
KR102280927B1 KR102280927B1 (ko) 2021-07-23

Family

ID=5508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03A KR102280927B1 (ko) 2014-06-10 2014-12-05 오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2433B2 (ko)
EP (1) EP3155323B1 (ko)
JP (1) JP6636958B2 (ko)
KR (1) KR102280927B1 (ko)
CN (1) CN106662336B (ko)
CA (1) CA2951634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51A1 (en) * 2016-02-29 2017-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WO2019045453A1 (en) * 2017-08-31 2019-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KR20190024617A (ko) * 2017-08-28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US11078697B2 (en) 2017-08-28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3168A (ko) * 2015-05-12 2016-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USD787041S1 (en) 2015-09-17 2017-05-16 Whirlpool Corporation Gas burner
US10837651B2 (en) 2015-09-24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Oven cavity connector for operating power accessory trays for cooking appliance
US11777190B2 (en) 2015-12-29 2023-10-0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including an antenna using a portion of appliance as a ground plane
US10145568B2 (en) 2016-06-27 2018-12-04 Whirlpool Corporation High efficiency high power inner flame burner
US10344986B2 (en) * 2016-10-06 2019-07-0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oor assemblies for appliances
US10551056B2 (en) 2017-02-23 2020-02-04 Whirlpool Corporation Burner base
US10660162B2 (en) 2017-03-16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Power delivery system for an induction cooktop with multi-output inverters
CN107713784A (zh) * 2017-09-19 2018-02-23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烤箱的加热组件的加工方法
CN107595150A (zh) * 2017-09-19 2018-01-19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烤箱
CN107616717A (zh) * 2017-09-19 2018-01-23 合肥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一种烤箱的加热组件
USD873073S1 (en) * 2018-01-31 2020-0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oor for oven
USD872529S1 (en) * 2018-01-31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US10627116B2 (en) 2018-06-26 2020-04-21 Whirlpool Corporation Ventilation system for cooking appliance
US10619862B2 (en) 2018-06-28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Frontal cooling towers for a ventilation system of a cooking appliance
US10837652B2 (en) 2018-07-18 2020-11-1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secondary door
CN111493676B (zh) * 2019-01-30 2022-10-2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烹饪装置的门结构及具有该门结构的烤箱
US10883721B2 (en) * 2019-03-25 2021-01-05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ulti-cavity oven appliance with natural and forced convection
WO2021011642A1 (en) 2019-07-15 2021-01-2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111395868B (zh) * 2020-03-11 2022-03-2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
DE102020207086A1 (de) 2020-06-05 2021-12-0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DE102020207088A1 (de) 2020-06-05 2021-12-0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US11898759B2 (en) 2021-05-06 2024-02-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wist release mechanism for a multi-pane door assembly
US20220357106A1 (en) * 2021-05-06 2022-11-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afety locking mechanism for a multi-pane door assembly of an oven appliance
USD1005769S1 (en) 2021-09-08 2023-11-28 Newage Products Inc. Oven
KR102624292B1 (ko) * 2021-12-01 2024-01-11 최현호 스마트 실험검사장비 보관장
KR20240018275A (ko)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7240551B1 (ja) * 2022-11-21 2023-03-15 婉玲 沙 蒸し器及び調理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213U (ko) * 1994-08-27 1996-03-15 성화산업 주식회사 상수도용 옥외 지수전
KR970006516U (ko) * 1995-07-31 1997-02-21 오븐렌지의 도어보조창
KR100774205B1 (ko) * 2006-07-25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282237A1 (en) * 2009-05-06 2010-11-11 Whirlpool Corporation Front controls for gas cooking range
KR20140045202A (ko) * 2012-10-08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8222A (en) * 1951-03-03 1954-02-02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JPS528510Y2 (ko) * 1972-01-18 1977-02-23
JPS528736B2 (ko) 1972-02-14 1977-03-11
KR960008213Y1 (ko) 1994-05-26 1996-09-24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오븐레인지용 오븐실 도어 개폐장치
JP2005249345A (ja) * 2004-03-05 2005-09-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の扉開閉部
JP3899439B1 (ja) * 2006-03-20 2007-03-28 燦坤日本電器株式会社 オーブントース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213U (ko) * 1994-08-27 1996-03-15 성화산업 주식회사 상수도용 옥외 지수전
KR970006516U (ko) * 1995-07-31 1997-02-21 오븐렌지의 도어보조창
KR100774205B1 (ko) * 2006-07-25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282237A1 (en) * 2009-05-06 2010-11-11 Whirlpool Corporation Front controls for gas cooking range
KR20140045202A (ko) * 2012-10-08 2014-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51A1 (en) * 2016-02-29 2017-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KR20190024617A (ko) * 2017-08-28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US11078697B2 (en) 2017-08-28 2021-08-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Home appliance
WO2019045453A1 (en) * 2017-08-31 2019-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KR20190024476A (ko) * 2017-08-31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US10961755B2 (en) 2017-08-31 2021-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5323A4 (en) 2018-01-24
JP2017521631A (ja) 2017-08-03
CN106662336B (zh) 2020-03-03
US20170108228A1 (en) 2017-04-20
CA2951634A1 (en) 2015-12-17
US10502433B2 (en) 2019-12-10
CN106662336A (zh) 2017-05-10
JP6636958B2 (ja) 2020-01-29
KR102280927B1 (ko) 2021-07-23
EP3155323A1 (en) 2017-04-19
EP3155323B1 (en) 2019-07-03
CA2951634C (en) 201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0927B1 (ko) 오븐
US10364991B2 (en) Oven
US8905014B2 (en) Oven appliance with dual pocketing doors
CN110709568B (zh) 具有水平门把手的家用电器
KR20170101466A (ko) 오븐
US10551070B2 (en) Home appliance
EP3309463B1 (en) Oven
US10429077B2 (en) Domestic oven having a door with two door wings
CN102834674A (zh) 家用炉具
CN111051778B (zh) 烤箱
US10443857B2 (en) Cooking appliance
KR20180080060A (ko) 오븐
EP3619384B1 (en) Home appliance
US20130240509A1 (en) Microwave oven having a hood
US8689781B1 (en) Oven appliance
KR20180121255A (ko) 조리기기
TWI401048B (zh) Kitchen equipment with stoves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KR20100122024A (ko) 조리기기
US8651099B2 (en) Oven appliance with a mechanism for securing a pair of doors in a closed configuration
KR20110045939A (ko) 조리기기
CN116134270A (zh) 具有带错开的铰链的折叠门的烹饪器具
KR20150142204A (ko) 오븐
KR20060064112A (ko) 전기호브 파워코드 배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