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27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275A
KR20240018275A KR1020220096313A KR20220096313A KR20240018275A KR 20240018275 A KR20240018275 A KR 20240018275A KR 1020220096313 A KR1020220096313 A KR 1020220096313A KR 20220096313 A KR20220096313 A KR 20220096313A KR 20240018275 A KR20240018275 A KR 2024001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roller
lock
cooking applian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6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8275A/ko
Priority to US18/228,927 priority patent/US20240044503A1/en
Priority to EP23189174.8A priority patent/EP4317799A1/en
Publication of KR2024001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6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linearly reciprocating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5Output elements of actuators
    • E05B2047/0017Output elements of actuators with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05B2047/0021Geared sectors or fan-shaped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캐비티(S1)가 형성된 케이스(100,200)와, 상기 캐비티(S1)를 개폐하는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200)에 배치된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도어(300)를 걸어 잠금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잠금하우징(810)에는 래치(850)와 닫힘버튼(87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는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300)의 잠금홀(379)에 걸릴 수 있고,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도어(300)의 후면에 눌릴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도어(300)의 닫힘을 감지하는 장치(닫힘버튼)와, 상기 도어(300)를 잠금상태로 만드는 장치(래치)는 하나의 도어잠금장치(8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닫힘버튼(870)과 상기 래치(850)가 조리기기 안에서 작은 설치공간만 차지하게 되므로, 조리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오븐,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 그릴 히터 등의 다양한 조리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의 형태에 따라 조리기기를 분류하면, 개방형 조리기기와 밀폐형 조리기기로 나눌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도어가 구비된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고,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 중에는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조리기기도 있다. 예를 들어, 조리실의 내부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음식물의 찌꺼기 등을 열분해하는 셀프 클리닝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기기는 안전을 위해 도어의 열림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09929(선행기술1)에는 락커가 회전하면서 도어를 잠그는 도어 잠금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유럽등록특허 EP 1 860 382 B1(선행기술2)에는 회전하는 잠금핀으로 도어를 잠그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도어가 닫히면 동작하여 도어를 잠금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는 도어의 닫힘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장치와, 도어를 잠그는 잠금장치가 모두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10-2280927(선행기술3)에는 도어의 여닫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와는 별개로, 도어의 잠금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레버스위치가 구비된다.
그런데 선행기술3에서 감지센서와 레버스위치는 각각 케이싱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므로, 설치공간이 증가하게 된다. 이처럼 도어의 닫힘을 인식하고, 이를 신호로 도어를 잠그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장치의 부품수가 많아지고,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도 늘어나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도어의 잠금장치는 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작동되는데, 모터의 회전력은 적절한 토크와 회전속도로 변환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1의 경우 모터의 회전력이 캠구조에 전달되고 캠구조가 회전하면서 잠금기능을 수행하는데, 캠구조는 정밀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2는 웜을 포함한 기어구조를 가지고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은 단점이 있으며, 특히 센서를 동작하기 위한 링크 구조가 상하“‡항으로 배치되어 전체 설치 높이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3은 구동원인 모터의 회전력을 구속유닛에 전달하기 위해 긴 로드 구조가 적용되므로 역시 정밀한 제어에 불리하고,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0-0009929(선행기술1) 유럽등록특허 EP 1 860 382 B1(선행기술2) 한국등록특허 10-2280927(선행기술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장치와, 도어를 잠금상태로 만드는 장치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닫힘 감지장치를 구동시키는 상대부품과 도어 잠금장치가 걸리는 상대부품이 모두 도어에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들을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고, 기어들의 기어비를 통해 적절한 토크 및 회전속도를 구현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 배치된 도어잠금장치는 상기 도어를 걸어 잠금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하우징에는 래치와 닫힘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의 잠금홀에 걸릴 수 있고,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도어의 후면에 눌릴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장치(닫힘버튼)와, 상기 도어를 잠금상태로 만드는 장치(래치)는 하나의 도어잠금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닫힘버튼과 상기 래치가 조리기기 안에서 작은 설치공간만 차지하게 되므로, 조리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하우징은 상기 캐비티와 구획된 상기 케이스의 상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모듈화된 상기 잠금하우징은 넓은 상부공간 안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장착성이 좋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잠금하우징에 입출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잠금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 눌려 상기 잠금하우징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도어의 닫힘 과정에서 상기 닫힘버튼이 눌려 동작될 수 있고, 인접한 상기 래치도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닫힘버튼을 향해 잠금몸체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에는 상기 래치가 걸리는 상기 잠금홀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는 상기 래치와 상기 닫힘버튼을 동작시키는 상대부품으로, 하나의 닫힘버튼으로 두 가지 부품(래치 및 닫힘버튼)을 모두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는 상기 닫힘버튼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닫힘버튼은 사용자의 시야에서 더 가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가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므로, 기존의 도어프레임의 일부 구조를 변형하여 잠금몸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몸체의 중심에는 상기 잠금홀이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잠금몸체에서 상기 잠금홀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평면형상의 누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잠금홀과 상기 누름면이 서로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므로, 두 가지 부품(래치 및 닫힘버튼)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조들을 도어 쪽에 따로 둘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누름면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누름면과 케이스 전면 사이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홀의 입구는 상기 누름면의 상단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가 회전하는 회전각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를 향해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잠금몸체는 상기 경사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는 상기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일종의 빈 공간을 메우게 되고, 상기 래치는 상기 빈 공간에서 도어와의 간섭없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의 경사면에는 상기 잠금몸체와 이격되어 도어배기구가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도어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래치 보다 상기 케이스의 좌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는 전면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래치가 돌출되는 래치홀과, 상기 닫힘버튼이 돌출되는 버튼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하우징에는 상기 래치가 배치되는 제1작동경로와, 상기 제1작동경로의 일측에 상기 제1작동경로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작동경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경로에는 상기 닫힘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잠금하우징에 두 부품의 작동공간이 모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하우징에는 잠금모터와, 상기 잠금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부에는 구동돌부가 돌출되는 잠금기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하우징에는 상기 구동돌부에 연결되는 링크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슬라이더는 상기 구동돌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하우징 내부에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단부는 상기 잠금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잠금홀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슬라이더에 간섭될 수 있다. 이처럼 잠금기어의 회전에 의해 래치가 동작되므로, 상기 래치는 잠금기어의 기어비를 통해 적절한 토크와 회전속도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하우징에는 잠금기어가 배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제1작동공간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구동슬라이더의 일단에는 구동헤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헤드는 상기 래치의 타단부에 구비된 간섭단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일단부에 구비된 잠금헤드가 상기 잠금홀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기어는 상기 래치의 회전축과 직교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잠금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잠금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2잠금기어는 상기 제1잠금기어에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기어는 상기 제1잠금기어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부에는 상기 구동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단은 상기 제2잠금기어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기어의 상면을 향한 상기 링크단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돌부가 삽입되는 링크슬롯이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슬롯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기어의 상부에는 상기 제1잠금기어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센싱돌부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기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돌부는 상기 잠금하우징에 배치된 잠금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잠금기어가 1회전하면 상기 센싱돌부는 원위치하여 상기 잠금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상부공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눌림단, 상기 눌림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에 끼워지는 버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닫힘버튼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버튼부는 닫힘센서를 눌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와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는 컨트롤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러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하단과 상기 도어의 상단 사이의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에는 탱크챔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챔버에는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물탱크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탱크챔버의 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장치(닫힘버튼)와, 도어를 잠금상태로 만드는 장치(래치)는 하나의 도어잠금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닫힘버튼과 래치가 조리기기 안에서 작은 설치공간만 차지하게 되므로, 조리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닫힘버튼과 래치가 인접하게 배치되면 조리기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품들의 노출지점이 줄어들어, 조리기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닫힘버튼과 래치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이들을 조작하기 위한 상대부품은 도어에 배치된 하나의 잠금몸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이때, 잠금몸체는 도어의 상부에 배치된 도어프레임에 구비될 수 있다. 잠금몸체는 기존의 도어프레임의 형상을 일부 변형시켜 쉽게 구현할 수 있고, 따라서 도어잠금기능을 채용하면서도 도어 쪽의 구조 변경은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몸체는 도어프레임에 형성된 경사면에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경사면은 도어와 케이스의 사이에서 함몰된 공간을 만들 수 있는데, 잠금몸체는 이러한 공간의 일부를 메우면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잠금몸체가 추가되더라도, 잠금몸체는 도어의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고, 도어의 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래치를 동작시키는 잠금모터의 회전력은 잠금기어를 통해 래치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잠금기어의 기어비를 통해 래치가 적절한 토크와 회전속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래치의 동작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잠금기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는 제1잠금기어와 제2잠금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잠금기어에는 센싱돌부가 구비되어 회전하면서 잠금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고, 제2잠금기어에는 구동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구동돌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기어는 기어비를 통해 래치의 동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과정에서 구동슬라이드와 잠금센서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잠금장치의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의 구조를 도 2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조리기기에서 꺼내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하부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도 2의 XI-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도 2의 XII-X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커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어퍼커버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5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장실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16는 도 15에서 전장실의 내부에 물탱크와 탱크하우징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케이스의 전면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커버를 제거하고, 전장실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9은 도 18의 상태에서 컨트롤러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도 5의 XX-XX'선에 대한 단면도.
도 2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케이스, 프론트패널 및 탱크하우징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어퍼케이스, 프론트패널 및 탱크하우징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과 탱크하우징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2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과 탱크하우징을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인 사시도.
도 2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론트패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탱크하우징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탱크하우징의 구조를 도 28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물탱크가 프론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1는 도 30의 XXXI-XXXI'선에 대한 단면도.
도 3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개방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개방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구조를 도 3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 36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8은 도 34의 XXXVIII-XXXV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3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1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2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43은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4는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45은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6는 도 42에 도시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례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가 개방되는 상태를 연속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4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이 컨트롤러가 개방됨에 따라 동작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4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도 49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1는 도 2의 LI-L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2(a) 및 도 52(b)는 각각 도 49의 LII-LII'선에 대한 단면도 및 힌지모듈의 구조를 보인 블럭도.
도 5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에서 커버프레임을 제거하고, 힌지결합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힌지결합부에 힌지모듈의 연결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힌지결합부에 힌지모듈의 연결블럭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힌지결합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5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서로 결합된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58은 도 57에서 컨트롤러의 커버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9은 도 58에서 체결구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와 힌지모듈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 및 와이어커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 및 와이어커버가 전면프레임 및 프론트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과 와이어커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힌지모듈과 와이어커버의 결합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6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위치를 보인 정면도.
도 67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케이스의 전장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케이스의 전면에서 이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가 케이스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동작 전후의 모습을 함께 보인 동작상태도.
도 7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7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7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해제상태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해제상태인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5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6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가 잠금상태인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77는 도 75의 LXXVII-LXX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헤드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9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도어잠금장치의 잠금헤드가 분리되어 비상해제가 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모듈이 전장실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 81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가이드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82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가이드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8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조명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85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조명장치의 다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도 85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86는 도 83의 LXXXVI-LXXX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7는 도 83의 LXXXVII-LXXXVII'선에 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한 개 또는 복수개의 열원들을 이용하여 조리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하 '조리물'이라 함)을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제1열원모듈(150, 도 7참조), 제2열원모듈(160, 도 7참조) 및 제3열원모듈(170, 도 7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150), 상기 제2열원모듈(160) 및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열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 상기 제2열원모듈(160) 또는 상기 제3열원모듈(170)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스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장치는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인 캐비티(S1)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팀장치에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히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4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조리기기의 조리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물탱크(450)가 각각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이동하면서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를 가리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동작을 위한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빌트인(Built-in) 방식으로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주방가구(1) 등에 설치되어 조리기기의 전면만 전방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때 조리기기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300)와 컨트롤러(5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물탱크(450)도 조리기기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지만, 도 1에서는 컨트롤러(500)에 의해 가려진 상태다. 도면부호 501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도 1의 화살표X는 전후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Y는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Z는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이때 전후방향은 조리기기의 깊이방향으로 볼 수 있고, 좌우방향은 조리기기의 폭방향으로 볼 수 있으며, 상하방향은 조리기기의 높이방향으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향을 나타낼 때 이러한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주방가구(1)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주방가구(1)는 상기 조리기기의 전면을 제외하고, 조리기기의 하면, 배면, 상면 및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주방가구(1)는 하면부(2, 도 6참조), 배면부(3), 상면부(4) 및 측면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 배면부(3), 상면부(4) 및 측면부(5)는 각각 조리기기의 하면, 배면, 상면 및 측면을 감싸고, 조리기기의 전면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상기 하면부(2), 배면부(3), 상면부(4) 및 측면부(5)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주방가구(1)와 상기 조리기기의 사이에는 틈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주방가구(1)와 조리기기 사이의 틈(하부흡기구(G1))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상기 주방가구(1)와 조리기기의 하부 사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① 방향).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조리기기를 냉각시킨 공기는 다시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리기기의 도어(300)와 컨트롤러(500)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화살표② 방향). 이러한 공기의 순환 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조리기기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전후, 좌우 및 상하 높이는 대략 비슷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조리기기의 전후, 좌우, 상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에는 캐비티(S1, 도 6참조)가 마련된다. 상기 캐비티(S1)는 상기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하는 케이스(100,2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1)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빈 공간으로, 조리실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캐비티(S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장실(S2, 도 6 및 도 7참조)과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200)는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이너케이스(1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와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사이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고, 상기 단열재는 외부로 전달되는 열원모듈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도어(300)의 위쪽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컨트롤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조리기기의 조리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은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50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일종의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에서 물탱크(450)가 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스팀기능을 위한 상기 물탱크(450)는 조리기기의 동작상태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컨트롤러(5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를 인출하거나 다시 인입할 때에는 상기 컨트롤러(500)를 열어서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개방시켜야 한다. 여기서 동작상태라는 것은 상기 조리기기가 동작되는 상태, 즉 조리물을 조리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물탱크(450)의 인출 및 인입과정을 제외하면 항상 상기 물탱크(4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챔버의 출입구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탱크(450) 및 출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조리기기의 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다는 것은 도 4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된 상태를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힌다는 것은 도 2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되어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도어(300)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6을 보면, 조리기기가 주방가구(1)의 안쪽에 수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캐비티(S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1)의 빈 공간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에 의해 정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고,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후면에는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개구부(12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후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구부(120)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스팀도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은 상기 스팀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도 7을 보면,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 구비된 컨벡션팬에 의해 상기 스팀이 캐비티(S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하부프레임(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바닥면에서 아래쪽으로 더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은 아래에서 설명될 바텀케이스(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30)과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사이에는 제1단열공간(IS1)이 형성되고, 상기 제1단열공간(IS1)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져, 상기 제1열원모듈(150)의 열이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는 복수개의 열원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원들은 제1열원모듈(150), 제2열원모듈(160) 및 제3열원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상기 캐비티(S1)의 하면쪽에 배치되고, 상기 제2열원모듈(160)은 상기 캐비티(S1)의 후면쪽에 배치되며,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상기 캐비티(S1)의 상면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열원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조리물의 표면을 보다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조리시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열원을 이용하면 보다 고온을 요구하는 조리방법도 구현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하부프레임(1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상기 캐비티(S1)의 내부에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열원모듈(150)에는 히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위쪽 즉 상기 캐비티(S1)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고, 조리물의 하부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그라파이트 히터(Graphite Heater)일 수 있다. 이러한 히터부는 일종의 브로일(broil) 히터역할을 할 수 있는데, 상기 히터부는 직화열이나 복사열을 이용한 그릴(grill)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은 워킹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을 이용하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조리물을 가열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열원모듈(160)은 일종의 컨벡션(convection)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2열원모듈(160)은 컨벡션팬과 함께 캐비티(S1) 내부에 대류열을 발생시켜 요리의 균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는 컨벡션팬이 생략되고, 제1열원모듈(150)과 마찬가지로 열선을 이용하여 조리물에 복사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열원모듈(160)에는 컨벡션히터(1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히터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가지는 바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벡션히터는 열선의 보호관을 금속으로 하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컨벡션히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튜브의 내부에 필라멘트가 봉입되는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일 수도 있다.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상기 제1열원모듈(150)과 마주보는 상기 캐비티(S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열원모듈(170)은 상기 제1열원모듈(150)과 마찬가지로, 히터부를 이용하여 상기 캐비티(S1)의 내부에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히터부는 아래쪽 즉 상기 캐비티(S1)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고, 조리물의 상부를 가열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면부호 175는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프로브(Temperature Probe)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이스(100,200)에는 제4열원모듈이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제4열원모듈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magnetron)과,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캐비티(S1)로 안내하기 위한 웨이브가이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에는 아웃케이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조리기기의 외관은 아웃케이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상기 조리기기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텀케이스(210),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케이스(220),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케이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의 전방에는 후술할 도어(300)가 배치되어 조리기기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기 하부프레임(130)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대략 판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상기 하부프레임(130)의 사이의 제1단열공간(IS1)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보면, 상기 바텀케이스(210)에는 바텀스페이서(215)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는 주방가구(1)의 하면부(2)에 닿아 조리기기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텀케이스(210)에는 복수개의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들이 구비된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이격된 하부 틈(G1)은 하부흡기구가 되고, 이러한 하부흡기구(G1)에는 제1공기유로(AC1)가 연결될 수 있다.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7의 화살표①은 외부의 공기가 제1공기유로(AC1)로 유입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②는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 사이를 이격시킴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하부흡기구(G1)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형성된 하부 하부흡기구(G1)로 외부의 공기가 화살표①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상기 조리기기의 아웃케이스(200)를 따라 이동하면서 조리리기의 표면온도와 상기 전장실(S2)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도 9에는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의 상면(2a)은 상기 바텀케이스(210)와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이격된 하부 하부흡기구(G1)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의 상면(2a)은 조리기기가 안착되는 안착면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가 안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바텀스페이서(215) 중 일부는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바텀케이스(210)가 서로 중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 10을 보면, 복수개의 바텀스페이서(215)들이 서로 간격을 두고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아래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상기 주방가구(1)의 하면부(2)의 상면(2a)과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사이에는 하부흡기구(G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5)와 조리기기의 사이에도 측면 틈(G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틈(G2)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과 도 12에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1은 바텀케이스(210)의 앞쪽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12는 바텀케이스(210)의 뒤쪽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이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케이스(210)는 상부플레이트(213)와 하부플레이트(212)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간이 상기 제1공기유로(AC1)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하부플레이트(212)와 상부플레이트(213)의 사이에는 다른 공간과 구획된 상기 제1공기유로(AC1)가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제1열원모듈(15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1열원모듈(15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조리기기 주변 구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주방가구의 형태, 크기 또는 재질과 관계없이, 외부의 공기는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안정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기유로(AC1)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될 제2공기유로(AC2)와 연결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내부에 연속된 공기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를 향한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앞부분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앞부분에 지지된다고 볼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를 구성하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상부에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일단에는 차단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전방에 배치되는 도어힌지(H, 도 8참조) 쪽으로 제1열원모듈(150)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일단에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앞부분, 즉 상기 도어(300)를 향한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의 높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차단부(214)는 상기 도어힌지(H)의 높이에 맞게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는 일부 지점에서 서로 밀착될 수도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밀착부(218)를 형성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밀착부(218)는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상기 하부플레이트(212)를 밀착시켜,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의 무게를 견딜 수 있게 한다. 상기 밀착부(218)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넓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에는 유입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흡기구(G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흡기구(G1)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유입구(216)를 통해서 상기 제1공기유로(AC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이 상기 제1공기유로(AC1)에까지 미치므로, 상기 제1공기유로(AC1)의 공기는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스페이서(215)에 의해 형성된 하부흡기구(G1)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에 형성된 유입구(216)를 통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213)와 하부플레이트(212)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케이스(220)와 리어커버(230)의 사이에 형성된 제2공기유로(AC2)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에서 상기 도어(300)와 가까운 앞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입구(216)는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여러 위치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도어(300)와 가까운 앞부분에 집중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이 분산되지 않고, 상기 유입구(216) 및 상기 하부흡기구(G1)에 집중될 수 있다. 물론, 복수개의 유입구(216)들이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의 앞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1에서 화살표①은 외기가 상기 하부흡기구(G1)로 유입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②는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입구(216)를 통해 상기 제1공기유로(AC1)로 유입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화살표③은 공기가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플레이트(212)와 상기 상부플레이트(213) 사이의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화살표①방향)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리어커버(230) 사이의 제2공기유로(AC2)를 향해 유입(화살표②방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유로(AC2)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서 상부(화살표③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리어케이스(220)에는 제1공기유로(AC1)와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2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229)는 상기 리어케이스(22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229)는 상기 리어케이스(22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통로(229)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에 가까운 상기 리어케이스(22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서 상부(화살표③방향)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열원모듈(160)의 후방을 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지나는 공기는 상기 제2열원모듈(160)의 후방을 냉각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다시 설명될 바와 같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전장실(S2)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의 공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흡입된 후에, 제3공기유로(AC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에 전달된 공기는 상기 전장실(S2)의 내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3공기유로(AC3)는 제3열원모듈(170)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3공기유로(AC3)를 통과하는 공기는 제3열원모듈(170)의 상부를 냉각시켜줄 수도 있다.
이러한 모습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하부흡기구(G1)를 통해서 유입된 외부의 공기(화살표① 방향)는 앞서 설명한 유입구(216)를 통해서 상기 제1공기유로(AC1)의 내부(화살표② 방향)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는 상기 제1공기유로(AC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통과할 수 있다(화살표③ 방향). 상기 제2공기유로(AC2)는 중력방향을 따라 형성되므로, 공기가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유동하기 위해서는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이 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어퍼케이스(240)의 연결홀(242)을 통해서 공기가 상기 전장실(S2)로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④ 방향). 전장실(S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내부(화살표⑤ 방향)로 흡입된 후에, 상기 제3공기유로(AC3)를 따라 전방(화살표⑥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는 공기가 배기구(28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외부의 공기는 조리기기의 전방 하부로부터 유입되고, 상기 조리기기의 내부를 순환한 후에 전방 상부로 배출된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외부의 공기는 제1열원모듈(AC1), 제2열원모듈(AC2) 및 제3열원모듈(AC3)의 주변을 모두 냉각시켜줄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화살표④'는 아래에서 설명될 어퍼커버(260)의 공기입출부(265)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외부의 공기는 반드시 조리기기의 전방 하부를 통해서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조리기기의 상부 후방에 형성된 여유공간을 통해서도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어퍼커버(260)에 공기입출부(265)가 없는 경우라면, 화살표④'를 통한 공기의 유입은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에 공기입출부(265)가 없으면 공기유입경로가 줄어들지만,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흡입력은 조리기기의 전방 하부에 집중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100)를 감싸는 상기 아웃케이스(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를 구성하는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사이에는 제2단열공간(I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공간(IS2)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져, 상기 캐비티(S1)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를 구성하는 리어케이스(220)의 후방에는 리어커버(23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리어커버(230)의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케이스(220)와 상기 리어커버(230) 사이의 빈 공간은 제2공기유로(AC2)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에는 제2열원모듈(160)을 구성하는 컨벡션팬의 회전을 위한 컨벡션모터(163)가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165는 제2열원모듈(160)의 히터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방에는 어퍼커버(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는 상기 전장실(S2)의 상부를 덮어 상기 전장실(S2)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와 상기 어퍼커버(260)의 사이에는 전장실(S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에는 냉각팬모듈(4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리기기의 내부를 거쳐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은 상기 캐비티(S1)와 구별되는 상부공간이라고 볼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전장실(S2)은 상기 캐비티(S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S1)와 구별되는 하부공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 도 7참조)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는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도 1의 화살표②참조).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면프레임(280)에 형성된 배기구(28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고, 공기는 배기구(282)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의 틈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리어커버(230)는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230)에는 관통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232)에는 차폐커버(232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커버(232a)는 상기 관통부(232)를 가릴 수 있고, 탈거되면 관통부(23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차폐커버(232a)를 개방하고 상기 제2공기유로(AC2)로 접근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커버(232a)는 조리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조리기기의 후방 내부로 접근할 때 탈거될 수 있다.
상기 리어커버(230)에는 후방통공(2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통공(235)은 외부와 연결되는 공기통로로 볼 수 있다. 상기 후방통공(235)은 상기 리어커버(23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리어커버(230)에서 상기 후방통공(235)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리어커버(230)의 가장자리에는 리어체결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어체결부(233)는 상기 리어커버(23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리어체결부(233)는 상기 리어커버(230)와 사이드커버(27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리어체결부(233)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측단부는 서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230)는 상기 리어케이스(220)에도 동시에 조립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을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에는 냉각팬모듈(410)을 포함하여 다양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에는 연결홀(242)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제2공기유로(AC2)와 상기 전장실(S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 가장자리를 따라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홀(242)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지만,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어퍼커버(2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상기 어퍼커버(260)의 차단판(266)이 상기 연결홀(24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연결홀(242)의 위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결홀(242)을 덮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연결홀(242)은 아웃케이스(200)의 바깥쪽과 직접 연결되지 못하고, 상기 연결홀(242)은 상기 제2공기유로(AC2)와 상기 전장실(S2)만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어퍼커버(260)를 먼저 설명하면, 도 13에서 보듯이 상기 어퍼커버(260)는 대략 사각판상일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와 결합되어 상기 어퍼케이스(240)와의 사이에 전장실(S2)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어퍼케이스(240), 상기 어퍼커버(260), 상기 사이드커버(270)와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패널(420)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에 상기 전장실(S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어퍼커버(260)의 판상의 몸체 앞부분에는 커버단부(2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단부(262)는 상기 어퍼커버(260)의 높이를 높이는 방향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단부(262)는 단차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상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의 양쪽에는 체결단부(2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단부(263)는 상기 어퍼커버(260)의 양쪽 끝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체결단부(263)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단부에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체결단부(263)에 의해 상기 어퍼커버(260)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뒷부분에는 연결절곡부(26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절곡부(264)는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뒷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절곡부(264)의 상단은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뒷부분과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차단판(266)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절곡부(264)에는 공기입출부(26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입출부(265)는 상기 연결절곡부(264)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입출부(265)는 상기 전장실(S2)과 외부를 연결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입출부(265)를 통해서 전장실(S2)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전장실(S2)의 공기가 상기 공기입출부(265)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장실(S2)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는 (i) 상기 제2공기유로(AC2)를 통하는 경로(화살표④방향)와, (ii) 상기 공기입출부(265)를 통하는 경로(화살표④'방향)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iii) 아래에서 설명될 사이드커버(270)의 사이드관통홀(272, 도 8참조)을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S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절곡부(264)에는 차단판(266)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뒤쪽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기 연결홀(24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연결홀(242)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연결홀(242)의 위쪽을 덮을 수 있다. 상기 차단판(266)은 상기 어퍼커버(260)의 몸체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상기 차단판(266)과 상기 연결홀(242)과의 거리가 줄어들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차단판(266)과 상기 연결홀(242)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상기 연결홀(242)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차단판(266)의 저면을 따라 전장실(S2)의 안쪽으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26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된 도 14에서 보듯이, 상기 공기입출부(265)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어퍼커버(26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S2)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한다. 외부의 공기는 바텀케이스(210)의 아래쪽 틈인 하부흡기구(G1)를 통해서만 유입되어 조리기기의 제1공기유로(AC1), 제2공기유로(AC2) 및 제3공기유로(AC3)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때, 외부의 공기는 사이드커버(270)에 형성된 사이드통공(272)을 통해서도 유입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공기는 바텀케이스(210)의 아래쪽 틈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기 어퍼케이스(24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면과 상기 어퍼커버(26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은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후방에는 앞서 설명한 연결홀(242)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홀(242) 중 일부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가이드개구부(2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개구부(242a)를 통해서 외부로 연결되는 와이어하네스(미도시)가 삽입되고, 상기 와이어하네스는 상기 연결홀(242)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은 장착면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장착면에는 냉각팬모듈(410)과 조명모듈(900)을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면은 기본적으로 평면구조이지만, 일부는 절곡된 리브형태로 만들어져 강도보강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한쪽에는 탱크장착부(2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아래에서 설명될 물탱크(450) 및 물탱크(450)가 안착되는 탱크하우징(460)이 배치되는 곳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장착면 중에서 전방(도 15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조리기기의 전방 쪽에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탱크장착부(243)의 반대편인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잠금장치(8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장착부(243)는 상기 장착면의 일부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장착면 중 일부 뿐 아니라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6를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와 중첩되게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장착면에는 가이드덕트(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상기 장착면의 일부를 덮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상기 장착면과의 사이에 가이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제2공기유로(AC2)와 연결되는 제3공기유로(AC3)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토출한 공기는 상기 가이드유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냉각팬모듈(41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도 15을 보면,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몸체부(250a)와, 상기 몸체부(250a)에서 연결되는 가이드부(25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50a)에는 냉각팬모듈(4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50b)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토출한 공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3공기유로(AC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3공기유로(AC3)는 공기배출유로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250a)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좌우폭 방향(도 15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이드덕트(250)는 조리기기의 제2공기유로(AC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고르게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50a)는 전후깊이 방향(도 15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몸체부(250a)는 조리기기의 배기구(282) 보다 상기 연결홀(24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몸체부(250a)가 연결홀(242)에 가깝게 배치되면,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보다 강하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50a)가 연결홀(242)에 가까운 후방에 배치되면, 상기 몸체부(250a)에서 연결되는 상기 가이드부(250b)를 충분히 넓게 만들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250b)는 조리기기의 전방(도 15을 기준으로 아래쪽)을 향해 점차 폭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50b)는 제1사이드부(250b1)와 제2사이드부(250b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부(250b1)와 상기 제2사이드부(250b2)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가이드부(250b)의 폭을 넓게 만들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는 상기 가이드부(250b)의 일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는 상기 몸체부(250a)에 형성된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15을 기준으로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는 하방 및 좌측으로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제2사이드부(250b2)는 상기 가이드부(250b)의 타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이드부(250b2) 상기 제1사이드부(250b1)와의 사이 폭이 점점 넓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1사이드부(250b1)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의 사이각을 K1이라 하고,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제2사이드부(250b2)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의 사이각을 K2이라 하면, K1>K2일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냉각팬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기를 토출하므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1사이드부(250b1) 쪽으로 치우쳐 유동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상기 제1사이드부(250b1)가 제2사이드부(250b2) 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각의 제3공기유로(AC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250a)와 상기 제2사이드부(250b2) 사이에는 함몰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253)는 상기 몸체부(250a)와 상기 제2사이드부(250b2)의 연결부의 폭을 좁히게 된다. 상기 함몰부(253)는 일종의 경사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고, 이러한 경사구조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1사이드부(250b1)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50a)에는 팬체결부(2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체결부(254)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여기에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체결부(25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팬모듈(410)의 팬몸체(412)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242)을 통해 전장실(S2)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체결부(254)에 배치된 팬몸체(412)의 구멍을 통해서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안쪽으로 흡입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한 쪽으로 편심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5을 기준으로,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및 하부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도 15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및 도어를 향한 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만약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팬체결부(254)는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이 아니라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팬체결부(254)가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에서 이격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우측과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 사이에는 소정의 토출공간(25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팬체결부(254)의 오른쪽에 소정의 토출공간(256)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공간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토출한 공기가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에 곧바로 부딪히지 않고 어느 정도 유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만들어줄 수 있다.
상기 토출공간(256)은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를 향해 점점 넓어질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팬체결부(254)가 상기 몸체부(250a)의 중심에서 이격되므로, 상기 토출공간(256)은 출구를 향해 그 폭이 점점 넓어지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토출공간(256)의 좁은 초입에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을 타고 점점 확산되면서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팬체결부(254)가 경사진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퍼케이스(240)에는 조명체결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체결부(255)에는 상기 조명모듈(9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어퍼케이스(240)를 관통하여 캐비티(S1)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와 상기 어퍼케이스(240)를 연속적으로 관통해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가이드부(250b)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상기 조명체결부(255)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과 상기 조명모듈(900)은 모두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고, 이는 결국 조리기기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명체결부(255)는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K3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조명체결부(255)가 비스듬하게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명모듈(900)의 좌우를 지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되는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도 16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보면, 상기 아웃케이스(200)에는 사이드커버(2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커버(27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사이드커버(27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좌우측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사이드커버(270)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사이드커버(270)에는 사이드관통홀(2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사이드커버(270)를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서 외부의 공기가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전장실(S2)을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전장실(S2)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상부에서 전방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배기구(282)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이 사이드커버(270)의 전방에 가깝게 형성되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흡입하는 경로에서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이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후방에 가깝게 형성되면,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도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탱크장착부(243)를 향해 개방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물탱크(450)를 식힐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물탱크(45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사이드커버(270) 중 어느 하나의 사이드커버(270)에 형성된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메인제어부(700)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은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실장된 소자들에 의해 많은 열을 발생시킬 수가 있는데,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메인제어부(700)를 효과적으로 냉각해줄 수 있다.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가장자리에는 사이드결합부(27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결합부(273)는 상기 사이드커버(270)를 상기 바텀케이스(210), 상기 어퍼케이스(240)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 등 상대부품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드결합부(273)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상대부품과 결합되거나, 용접방식으로 상대부품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상기 사이드결합부(273)들 중 하부에 배치된 사이드결합부(273)는 상기 도어힌지(H)와 서로 체결구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커버(270)에는 사이드스페이서(2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스페이서(275)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스페이서(275)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와 주방가구(1)의 측면부(5)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사이드스페이서(275)에 의한 측면 틈(G2, 도 6 및 도 10참조)으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서 상기 전장실(S2)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틈(G2)은 측면흡기구(G2)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측면흡기구(G2)는 상기 하부흡기구(G1)와 함께 조리기기의 흡기구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프레임(280)을 살펴보면,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상기 캐비티(S1)를 가리지 않도록 중심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일종의 전면케이스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 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전장실(S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는 상기 리어커버(230), 어퍼케이스(240), 어퍼커버(260), 사이드커버(270)와 함께 상기 전장실(S2)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지만, 그 사이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중심은 일부가 생략된 구조로 컷아웃부(280a, 도 8 및 도 17참조)가 형성된다고 볼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서 함몰된 형태의 컷아웃부(280a)는 아래에서 설명될 프론트패널(42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18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전방에 프론트패널(420)이 배치되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가 가려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컷아웃부(280a)의 양단에는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결합포스트(28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포스트(280b)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한 쌍의 결합포스트(280b)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에 있는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에는 유리질의 세라믹스가 코팅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표면은 법랑(琺瑯, Vitreous enamel)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8의 도면부호 180은 케이스홀더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케이스홀더(18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 및 상기 전면프레임(280)을 법랑 제조할 때 법랑장치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홀더(18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와 상기 리어케이스(220) 사이를 조립할 때 연결구로 활용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표면을 법랑제조하게 되면, 고온의 제조방식으로 인해 전면프레임(280)이 뒤틀릴 수도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이 뒤틀리면 다른 부품들과 결합되는 부분에 조립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는 동작되는 부품인 힌지모듈(600)과, 개방장치(480)가 배치되므로, 전면프레임(280)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중심에 컷아웃부(280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략된 컷아웃부(280a)는 전면프레임(280)의 변형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의 양쪽에는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기 결합포스트(280b)가 있다. 상기 결합포스트(280b)는 힌지모듈(60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은 컨트롤러(500)와 연결되어 컨트롤러(500)의 회동시 발생되는 하중을 받게 되는데, 상기 전면프레임(280)은 금속재질이므로 상기 힌지모듈(60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힌지모듈(600)을 견고하게 지지해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별개물이 아니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중심에 일부가 생략된 컷아웃부(280a)가 없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단 전체가 같은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를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부품이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은 부품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직접 고정되지는 않지만, 그 일부가 상기 전면프레임(280)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골격은 대략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몸체(281)가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몸체(281)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텀케이스(2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몸체(281)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커버(270)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프레임몸체(281)를 통해 복수의 부품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몸체(281)의 중심에는 프레임관통부(28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부(281a)는 상기 캐비티(S1)를 노출시키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관통부(281a)의 크기와 모양은 상기 캐비티(S1)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에는 배기구(2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서 좌우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구(282)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도어(300)와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 공간을 통해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282)는 평소에 상기 컨트롤러(500)에 의해 가려지므로, 상기 배기구(282)는 조리기기의 미감을 해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후술할 에어가이드(590)가 구비되어 상기 배기구(282)가 사용자의 시야에서 더욱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 20에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를 따라 전방으로 토출되는 방향이 화살표①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기구(28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구(282)의 하부에는 도어(300)의 상단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배기구(282)의 상부에는 상기 물탱크(45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7를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는 상부힌지홀(2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힌지홀(283)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기 결합포스트(280b)에서 관통된 부분이고, 상기 상부힌지홀(283)을 통해서 힌지모듈(600)의 일부인 구동암(820)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힌지홀(283)은 한 쌍의 상기 결합포스트(280b)에 각각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힌지홀(283)은 상기 배기구(282)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부에는 하부힌지홀(28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힌지홀(284)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일부과 관통된 부분이고, 상기 하부힌지홀(284)을 통해서 도어힌지(H)의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힌지홀(284)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단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하부힌지홀(284)을 통해 상기 도어(300)의 하단에 연결되는 도어힌지(H)는 상기 도어(300)가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부에는 하단안착부(28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하단안착부(285)는 상기 바텀케이스(2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도 17를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이 상부에 구비된 결합포스트(280b)에는 프레임체결홀(286)과 프레임걸이홀(28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체결홀(286)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결합될 때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체결구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패널고정홀(421a)과, 상기 프레임체결홀(286)을 각각 통과하여 이들 사이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걸이홀(287)은 체결구가 상기 프레임체결홀(286)에 조여지기 전에, 상기 프론트패널(420)을 가고정하기 위한 구멍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걸이홀(287)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걸이후크(421b, 도 22 참조)가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가고정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한 쌍의 상기 프레임걸이홀(287)들이 상기 체결홀(286)을 중심으로 그 양쪽에 쌍을 이루어 배치된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에는 제1힌지조립홀(28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상기 힌지모듈(600)을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상기 상부힌지홀(283)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상기 상부힌지홀(283)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데, 이와 다르게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은 한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의 전방에는 후술할 프론트패널(420)의 제2힌지조립홀(427, 도 25 참조)이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에 삽입되는 힌지체결구(B3, 도 51참조)는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을 각각 통과한 후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후방에 배치된 힌지모듈(600)의 하우징조립홀(613)에 조여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로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힌지모듈(600)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1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을 각각 통과한 힌지체결구(B3)가 상기 힌지모듈(600)에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앞에는 도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캐비티(S1)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300)는 하부에 상기 도어힌지(H)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힌지(H)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각각 상기 도어(300)의 하단양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상기 캐비티(S1)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의 적어도 일부에는 캐비티(S1)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적용될 수 있다. 투시창은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고, 투시창에는 방수, 방열 등의 기능도 필요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310은 손잡이를 나타낸다. 상기 손잡이(310)는 상기 도어(300)를 여닫기 위한 것이다. 상기 손잡이(310)는 상기 도어(300)의 상부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300)는 복수의 판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판재(32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판재(320)들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하나의 도어(30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300)는 가장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판재, 가장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판재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너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의 단면도를 보면, 상기 도어(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재(3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판재(320)들은 전후방으로 서로 적층될 수 있다. 이중 가장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프런트판재(320)는 코팅되거나 또는 필름이 부착되어 다른 판재(320)와 다른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면부호 325는 상기 도어(300)의 후면에 부착되는 도어가스켓으로, 상기 도어가스켓(325)은 상기 도어(300)와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런트판재(320)는 그 후방에 배치된 다른 판재(320)들 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방의 사용자는 도어(300)의 프런트판재(320)만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판재(320)의 후방에 배치된 나머니 판재(320)들과 도어프레임(370) 등은 사용자의 시선에서 가려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어(300)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처럼 상기 프런트판재(320)가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갖게 되면, 상기 프런트판재와 나머지 판재(320)들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에는 도어프레임(37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 부분을 도어프레임(370)이 메우는 것이다.
상기 도어(300)의 골격은 도어프레임(37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은 상기 도어(300)의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70)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370)은 일종의 사각틀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힌지(H)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구비된 스페이서(375)는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75)는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해줄 수 있다.
도 21를 참조하여 상기 도어프레임(370)을 자세히 살펴보면, 도 21에는 상기 도어(300)의 상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bar)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70)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도어(300)의 상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의 양단에는 도어(300)의 측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이 결합될 수 있고, 여기에는 도어(300)의 저면을 형성하는 도어프레임(37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양단에는 도어프레임(370)을 구성하는 다른 도어프레임(370)과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결합부(3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결합부(371)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결합부(371)의 하단에는 결합후크부(3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부(372)는 다른 도어프레임(370)에 탄성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후크부(372)의 안쪽에는 탄성슬릿(373)이 개방되어, 상기 결합후크부(372)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에는 복수의 스페이서(375)가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375)들은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판재(320)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375)들은 상기 도어(300)와 상기 도어프레임(37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도울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375)들은 다시 전방에 배치된 제1스페이서(375a)와 후방에 배치된 제2스페이서(37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375a)는 복수의 판재들(320) 중에서, 상기 프런트판재와 그 후방에 배치된 이너판재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고, 제2스페이서(375b)는 리어판재와 리어판재의 전방에 배치된 이너판재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페이서(375a)의 말단부와 상기 제2스페이서(375b)의 말단부는 각각 돌출된 길이를 달리하여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상기 복수의 판재(320)들이 서로 다른 면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형성되는 높이차를 메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8과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프레임(370)에는 도어배기구(377)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377)는 도어(300)의 내부를 도어(300)의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도어(300)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구(377)는 도어프레임(370)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 내부에서 도어(300)를 냉각시키며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배기구(377)를 통해 위쪽으로 배출된 후에 다시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도어(300)를 냉각시키는 공기는 상기 도어(300)를 구성하는 복수의 판재(320)들 사이로 유동할 수 있다.
다시 도 21를 보면, 상기 도어프레임(370)에는 잠금몸체(37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30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어잠금장치(800)를 동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양단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잠금몸체(378)은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형성되지만,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이 아니라, 상기 도어(300)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37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상부는 상기 케이스(100,200)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렇게 경사진 부분은 경사면(374)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74)에 상기 잠금몸체(378)가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374)에는 도어배기구(377)의 상부 출구도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374)은 상기 도어(300)와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에 일종의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는 이러한 함몰된 공간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함몰된 공간의 일부를 메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와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에 일종의 함몰된 공간이 만들어지면, 상기 래치(85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이에 따라 래치(850)까 회전할 때 도어(300)의 후면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잠금몸체(378)에는 상부가 개방된 잠금홀(37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홀(379)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잠금장치(800)의 래치(85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가 상기 잠금홀(379)에 삽입되면, 상기 래치(850)가 상기 도어(300)를 걸어 도어(300)가 임의로 열리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잠금홀(379)의 입구는 누름면(378a)의 상단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850)가 상기 잠금홀(379)에 걸리기 위한 회전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돌출된 잠금홀(379)의 입구에 래치(850)가 걸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21의 확대도를 보면, 상기 잠금홀(379)은 좌우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잠금홀(379)의 좌우길이는 래치(850)의 좌우폭 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850)의 말단에 결합된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잠금홀(379)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잠금홀(379)은 상기 래치(850)가 걸리는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잠금헤드(855)가 분리된 후에 이동되는 경로가 될 수도 있다. 도 79에는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잠금홀(379)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도 68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몸체(378)의 중심에는 상기 잠금홀(379)이 상방으로 개구될 수 있고, 상기 잠금몸체(378)에서 상기 잠금홀(379)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평면형상의 누름면(378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면(378a)은 상기 닫힘버튼(870)와 간섭되어, 상기 닫힘버튼(870)을 누르는 면이 된다. 이때, 상기 잠금홀(379)의 입구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상면과 같은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도어(300)는 사용자에게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누름면(378a)은 상기 잠금홀(379)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68기준을 기준으로 보면, 실제 닫힘버튼(870)을 누르는 것은 왼쪽의 누름면(378a)이지만, 이처럼 상기 누름면(378a)이 대칭구조를 가지면 미감을 높일 수 있고, 잠금홀(379)에 의해 잠금몸체(378)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누름면(378a)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전면, 보다 정확하게는 전면프레임(280)의 전면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전면과 상기 누름면(378a)이 밀착되어, 통일성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냉각팬모듈(410)을 살펴보면,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제2공기유로(AC2)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로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어퍼커버(260)의 공기입출부(26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형성된 제3공기유로(AC3)로 토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복수의 경로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에 이를 가이드덕트(250)를 따라 전방으로 토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팬체결부(254)에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팬몸체(412)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팬몸체(412)는 대략 원형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팬몸체(412)에는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2공기유로(AC2)에서 상기 전장실(S2)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에는 팬모터(4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415)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팬모터(415)에는 팬블레이드(41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회전을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블로워 팬blower fan) 또는 다익송풍기(Multiblade Fan)인 시로코팬(Sirocco Fan)와 같은 원심형 팬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팬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패널(420)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히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배면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를 가려 미감을 높일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될 개방장치(480)의 캠부(485)가 돌출되는 출입구인 캠돌출구(422)와, 상기 물탱크(450)가 출입되는 탱크챔버의 출입구(424)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에 비해 보다 복잡한 형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복잡한 형상을 프론트패널(420)에 구현하고,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조립되어 조리기기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와 달리,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17를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얇은 판상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를 가릴 수 있다. 도 18을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의해 가려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7를 참조하여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에는 패널고정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421)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 양쪽 끝부분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고정부(421)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부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부(421)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양단에서 단차 구조를 가져,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돌출된 한 쌍의 상기 패널고정부(421)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메인하우징(510)은 상기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함몰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을 구성하는 컨트롤패널(530)의 양단부는 상기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혀 있을 때, 상기 조리기기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러(500)의 컨트롤패널(530)만 노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500)의 메인하우징(510)은 후방에서 상기 한 쌍의 패널고정부(421)의 사이와, 상기 주방가구의 상면부(4)에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프론트패널(420) 사이의 밀착구조는 조리기기에 통일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패널고정부(421)에는 상기 패널고정부(421)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홀(4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고정홀(421a)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체결홀(286)에 대응할 수 있다. 체결구가 상기 패널고정홀(421a)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체결홀(286)을 차례로 통과하여 조여지면, 상기 패널고정부(421)가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패널고정홀(421a)과 인접하여 상기 패널고정부(421)에는 걸이후크(42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421b)는 상기 패널고정부(421)의 후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421b)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프레임걸이홀(287)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걸이후크(421b)가 상기 프레임걸이홀(287)에 걸리면, 체결구를 조이기 전에도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전면프레임(280)에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구가 상기 패널고정홀(421a)과 상기 체결홀(286)에 체결되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완전히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걸이후크(421b)는 상기 패널고정홀(421a)의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걸이후크(421b)는 하나만 구비되거나,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캠돌출구(422)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 일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캠돌출구(422)를 통해서 상기 개방장치(480)의 캠부(485)가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다시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캠부(485)의 형상에 대응하여 좌우 폭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물탱크(450)의 출입구(424)가 형성되므로,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와 간섭되지 않도록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캠돌출구(422)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쏠린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힌지통공(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통공(423)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패널고정부(421) 보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중심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통공(423)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힌지홀(283)과 연결되어 연속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통공(423)을 통해서 상기 힌지모듈(600)의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힌지홀(283)과, 상기 힌지통공(423)을 차례로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돌출된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컨트롤러(5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물탱크(450)의 출입구(42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는 상기 물탱크(450)가 조리기기의 바깥쪽으로 인출되거나, 다시 조리기기의 내부로 인입되는 출입구를 의미한다.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챔버의 출입구라고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구(424)를 탱크출입구(424)라 하기로 한다.
상기 탱크출입구(424)는 상하방향 보다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탱크출입구(424)는 상기 물탱크(45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출입구(424)는 반드시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24와 도 25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출입구(424)에는 출입가이드(424a,424b,424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입가이드(424a,424b,424c)는 상기 물탱크(450)의 출입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가이드(424a,424b,424c)는 상기 물탱크(450)가 출입되는 과정에서 어느 한쪽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러한 출입가이드(424a,424b,424c)는 상부가이드(424a)와 하부가이드(424b), 그리고 측부가이드(42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하부가이드(424b)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물탱크(450)의 인출 및 인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0에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상기 물탱크(450)의 상면 및 하면과 각각 평행하게 연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는 어느 한방향으로 틀어지지 않고 전방(화살표②방향)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도 20을 보면,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가장자리를 둘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상기 하부가이드(424b)를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 및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물탱크(450)의 상면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물탱크(450)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각각 상기 물탱크(450)의 표면과 면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전방이나 후방으로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단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424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상부가이드(424a)의 끝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상부가이드(424a)의 끝부분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이격되면, 이격된 공간은 상기 탱크하우징(460) 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변형되더라도 이를 어느 정도 보상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된다.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단을 따라 연장되는 얇은 판상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도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마찬가지로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가이드(424b)는 상기 상부가이드(424a)보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을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일단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접하고, 상기 상부가이드(424a)의 일단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전방으로 이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는 그 무게로 인해 주로 저면부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지지되므로,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길이를 증가시켜 보다 안정된 입출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424a)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 사이에는 측부가이드(424c)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방을 향해 돌출되는 얇은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측부가이드(424c)의 일단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접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즉, 상기 측부가이드(424c)도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을 향해 같은 길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측부가이드(424c)는 각각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면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물탱크(450)의 입출과정에서 주로 하중을 받게 되는 하부와 측부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측부가이드(424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출입구(424)가 외부로 노출되면 육안으로 주로 관찰되는 출입구의 하부와 측부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 면접촉되면 부품의 연결부분에서 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와 밀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 저면이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면과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 사이의 면접촉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면접촉 구간은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의 결합부위를 통해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탱크(450)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바닥에 고일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고인 물은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의 결합부위로 이동할 수 있지만,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의 면접촉 구간에 의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탱크출입구(424)에는 제1포켓부(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켓부(425)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포켓부(425)는 사용자가 상기 탱크출입구(424)를 통해 상기 물탱크(450)를 파지할 때, 보다 쉽게 상기 물탱크(45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제1포켓부(425)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포켓부(425)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하 높이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단면도인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제1포켓부(425)는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경사면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넓어진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물탱크(450)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포켓부(425)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물탱크(450)의 파지 위치를 보다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물탱크(450)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1포켓부(425)와 같은 위치에 제2포켓부(4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포켓(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0과 도 31를 보면,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포켓(P)의 내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의 형상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를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제2힌지조립홀(427)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은 상기 힌지통공(42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에 삽입되는 힌지체결구(B3)는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후방에 배치된 힌지모듈(600)의 하우징조립홀(613)에 조여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체결구로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힌지모듈(600)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1에는 상기 프론트패널(420), 전면프레임(280)을 각각 통과한 힌지체결구(B3)가 상기 힌지모듈(600)에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체결보스(42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보스(428a)는 탱크하우징(460)의 가이드장착편(468a)과 맞물려 체결구(B1)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24에는 상기 체결보스(428a)와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이 체결구(B1)로 체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에서 보듯이,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다른 예로는, 상기 체결보스(428a)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부에 배치되거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하우징체결홈(42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 함몰되거나 프론트패널(420)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하우징(460)의 체결돌부(468b)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과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체결보스(428a) 및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과 함께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출입구(424)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부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출입구(424) 상부에는 한 쌍의 체결보스(428a)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한 쌍의 하우징체결홈(428b)이 배치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부와 하부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구비되고, 상기 체결돌부(468b)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7를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에는 패널리브(42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방을 가리고,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 상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패널리브(429)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서 상기 탱크출입구(424)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에는 회피부(OM)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 중 일부가 생략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가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부에서 위쪽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회피부(OM)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좌우 양단의 아래에서 각각 돌출되는 하부체결몸체(426)의 사이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팀장치를 구성하는 물탱크(45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내지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전장실(S2)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전장실(S2)에 수납된 상태로 스팀기능을 위한 물을 히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전장실(S2)에서 인출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450)에 물을 채우거나 비울 수 있다. 여기서 스팀기능은 반드시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팀장치는 조리실 내부의 청소를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물탱크(450)는 컨트롤러(5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혀있으면 상기 물탱크(45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19에서 보듯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비로소 상기 물탱크(45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의 구조를 보면, 상기 물탱크(450)는 대략 육면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는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공간(451, 도 31참조)이 있다. 상기 물탱크(450)에 저장된 물은 상기 스팀장치의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 형태로 상기 캐비티(S1) 내부에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의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석회질 등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450)의 내부로 클리닝 기능을 마친 물이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450)의 상부에는 탱크커버(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커버(452)는 상기 저수공간(45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커버(452)는 상기 물탱크(450)와 별개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커버(452)에는 별도의 탱크리드(4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리드(452')를 제거하면, 사용자가 상기 저수공간(451)에 물을 채우거나, 저수공간(451)의 물을 비울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상기 탱크커버(452)는 생략되거나, 상기 물탱크(45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물탱크(450)에는 탱크연결관(4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상기 저수공간(451)의 내부와 외부로 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관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상기 물탱크(450)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탱크하우징(460)의 하우징연결관(463)과 맞물릴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하우징연결관(463)이 상기 물탱크(450)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탱크(450)에는 하우징연결관(463)이 삽입되도록 함몰된 형태의 탱크연결관(453)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탱크연결관(453) 중 어느 하나로는 외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로는 외부의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만약 조리기기에 클리닝 기능이 없다면 상기 탱크연결관(453)은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1를 참조하면, 상기 탱크커버(452)에는 커버실링부(45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실링부(452a)는 상기 물탱크(450)의 본체와 상기 탱크커버(452)의 결합부위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실링부(452a)는 상기 탱크커버(452)의 가장자리를 둘러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452b는 실링가이드로, 상기 커버실링부(452a)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면과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면과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이 같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조리기기는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에는 제2포켓부(4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면과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에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는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450)를 꺼내거나 다시 집어 넣을 때 파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중심을 향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물탱크(450)의 전면에서 후방을 향해 점점 상하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제2포켓부(455)는 물탱크(450)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포켓부(455)의 내부 공간이 넓어지게 만든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2포켓부(455)에 손가락을 넣어 보다 쉽게 물탱크(450)를 파지할 수 있다.
상기 제2포켓부(455)의 표면(455a)에는 슬립방지리브(45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리브(455a')는 상기 제2포켓부(455)의 표면(455a)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리브(455a')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상기 제2포켓부(455)의 표면(455a)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슬립방지리브(455a')들이 상기 제2포켓부(455)의 전방에서 후방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포켓부(455)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1포켓부(425)와 같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포켓(P)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0과 도 31를 보면,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포켓부(425)와 상기 제2포켓부(455)가 만드는 포켓(P) 입구를 통해 손가락을 보다 쉽게 포켓(P) 내부로 넣을 수 있다.
특히, 도 31에서 보듯이, 상기 제1포켓부(425)는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포켓부(455) 역시 후방으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위쪽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고, 동시에 포켓(P)의 가장 안쪽을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켓(P)은 상기 배기구(28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1를 보면, 상기 배기구(282)는 전방을 향해 폭이 점점 좁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켓(P)이 상기 배기구(282)의 상부에 배치되면, 상기 포켓(P)의 입구 부분의 상하방향 높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탱크(450)가 수납되는 탱크하우징(46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과 도 29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대략 육면체 형태의 하우징몸체(461)가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461)는 상기 물탱크(450)가 조리기기의 내부에 수납되는 탱크챔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우징몸체(461)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물탱크(450)의 형상에 맞는 탱크챔버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탱크챔버는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 있다. 상기 탱크챔버는 전방과 상방으로 각각 개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전면과 상면이 각각 생략되고, 전방과 상방으로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탱크챔버의 개방된 전면은 개구부가 되어, 이를 통해서 상기 물탱크(450)가 입출될 수 있다.
상기 탱크챔버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함몰바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바닥부는 상기 탱크챔버의 바닥면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바닥부는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물탱크(450)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만약 물탱크(450)와 탱크하우징(460)에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함몰바닥부는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함몰바닥부에 저장된 물은 전장실 내부의 열에 의해 자연증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챔버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와 연속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탱크챔버의 개구부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탱츠출입구(424)가 형성하는 연속된 경로를 통해서 상기 탱크챔버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면은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어퍼커버(260)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부를 차폐하므로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특히,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면이 생략되면, 상기 물탱크(450)의 입출과정에서 상기 물탱크(450)의 표면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마찰이 감소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면이 구비되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만 개방된 구조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생략되고,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전장실(S2)에 마련된 탱크챔버에 직접 수납될 수도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형성된 탱크출입구(424) 좌우 양단을 마주볼 수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측부가이드(424c)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후면에는 하우징연결관(4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상기 물탱크(450)의 탱크연결관(453)와 서로 맞물려 연속된 내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상기 물탱크(450)의 저수공간(451)에 있는 물을 히터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클리닝 기능을 수행하고 조리기기의 내부 배관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수공간(451) 내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조리기기 내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제1하우징연결관(463a)과, 조리기기의 내부 배관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수공간(451) 내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2하우징연결관(463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은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하우징연결관(463)은 펌프(70, 도 18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펌프(70)는 상기 하우징연결관(463)와 상기 탱크연결관(453)을 통해 저수공간(451)의 물을 히터 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펌프(70)는 두 개로 구성되어, 하나는 상기 저수공간(451)의 물을 히터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는 조리기기의 내부 배관에 잔존하는 물을 상기 저수공간(451) 내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상기 하우징몸체(461)의 저면이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은 상기 캐비티(S1)의 천장과 접하고 있으므로,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온도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 그대로 전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이격되므로, 이러한 캐비티(S1) 내부의 온도가 직접 탱크하우징(460) 및 물탱크(4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챔버의 높이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과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챔버의 하부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이격되고, 탱크챔버의 상부는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 즉 상기 어퍼커버(260)의 저면이 상기 탱크챔버의 상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더불어, 도 22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냉각을 위한 공기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덕트(250)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수납된 물탱크(450)는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지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고, 저수공간(451)의 물의 온도도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전장실(S2)의 바닥면의 열이 탱크하우징(46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일부가 가이드덕트(250) 상에 배치됨으로써 가이드덕트(250)를 지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여기에 수납된 물탱크(450)가 고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탱크챔버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 및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 즉 상기 어퍼커버(260)의 저면과 각각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탱크챔버는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과는 이격되지만, 상기 전장실(S2)의 천장면은 상기 탱크챔버의 상면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4를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에는 단차리브(46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 하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 하부에서 좌우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부에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단차리브(466)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서로 겹쳐지는 구조가 되어,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로 물이 세어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로 물이 세어나가면, 조리기기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여 조리기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조리기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단차리브(466)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하부에서 단차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상면과 상기 탱크챔버의 입구 바닥면은 서로 연속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4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몸체(461)의 상면과,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상면이 서로 같은 높이를 가져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물탱크(450)의 출입구 주변이 통일된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와 밀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 저면이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면과 적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 사이의 면접촉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다른 두 면에서 각각 면접촉될 수 있다. 도 24에서 보듯이,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끝부분은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에 면접촉되고, 동시에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저면은 상기 단차리브(466)의 상면에 면접촉된다. 이처럼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다른 두 면에서 각각 면접촉되면, 둘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누수를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한 면에서만 접촉되거나, 세 면에서 접촉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424b)가 포켓 형태로 만들어지고, 상기 단차리브(466)가 상기 포켓에 삽입되면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단차리브(466)는 서로 세 면에서 면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장착브라켓(467a,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을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을 상기 전장실(S2)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로 상기 전장실(S2)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 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과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탱크하우징(460)에는 복수의 장착브라켓(467a,467b)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브라켓(467a,467b) 중 일부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지지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브라켓(467a,467b)은 제1브라켓(467a)과 제2브라켓(46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467a)과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서로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467a)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제1브라켓(467a) 보다 하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467b)이 상기 제1브라켓(467a) 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높이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후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브라켓(467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후단이 아니라 측단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측면은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사이드관통홀(27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물탱크(4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물탱크(450)에 저장된 물도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와, 상기 사이드관통홀(27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는 가이드장착편(468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체결보스(428a)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체결보스(428a)와 맞물려 체결구(B1)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은 상기 탱크출입구(424)를 중심으로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에는 체결돌부(468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우징체결홈(428b)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과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체결보스(428a) 및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과 함께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 사이가 결합되도록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체결돌부(468b)는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이렇게 되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체결구(B1)가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조립작업성이 좋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체결돌부(468b)가 가이드장착편(468a) 보다 높게 배치될 수도 있고, 체결돌부(468b)가 생략되고,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만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체결돌부(468b)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하우징체결홈(428b)에 삽입되면,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가 서로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돌부(468b)와 하우징체결홈(428b)은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상기 프론트패널(420) 사이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과 체결돌부(468b) 구조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을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전면(462)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챔버의 전방에 개구된 개구부는 상기 탱크출입구(42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밀착되면, 둘 사이의 틈을 막아 미감을 높일 수 있고, 둘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나 수분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체결홈(428b)과 상기 체결돌부(468b)의 결합, 그리고 상기 체결보스(428a)과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의 결합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은 상기 탱크하우징(46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결합된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조립체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함께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먼저 조립된 후에,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조립체가 함께 전면프레임(280)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상기 체결돌부(468b)와 하우징체결홈(428b)의 조립을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가 서로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먼저 상기 체결돌부(468b)를 하우징체결홈(428b)에 삽입하여 두 부품을 가조립한 후에, 이를 전면프레임(280)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가조립된 프론트패널(420)/탱크하우징(460) 조립체를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장착한 후에, 상기 체결보스(428a)과 상기 가이드장착편(468a)에 체결구(B1)를 체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프론트패널(420)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사이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컷아웃부(280a)의 전방에 상기 프론트패널(420)이 배치되고,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상기 컷아웃부(280a)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패널(280)의 상기 하부가이드(424b)와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단차리브(466)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리브(466)의 일단부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단의 상부에 적층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차리브(466)의 일단부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상단의 상부와 상기 하부가이드(424b)의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프론트패널(420), 상기 탱크하우징(460) 및 상기 전면프레임(280) 사이의 접촉구간이 넓어짐에 따라 누수 및 이물질유입 방지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8을 보면, 상기 탱크하우징(460)에는 탱크센서(46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센서(469)는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탱크하우징(460)에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탱크챔버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물탱크(450)의 측면이 상기 탱크센서(469)를 눌러 수납되었음을 감지시킬 수 있다.
상기 탱크센서(469)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탱크출입구(424) 보다 탱크하우징(460)의 후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탱크센서(469)는 상기 물탱크(450)가 상기 탱크챔버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 469a는 상기 탱크센서(469)를 상기 탱크챔버 방향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센서장착부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탱크하우징(460)은 생략되거나, 상기 케이스(100,20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탱크하우징(460)이 생략되면, 상기 탱크챔버는 상기 케이스(100,200)에 의해 상기 전장실(S2)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탱크챔버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부나 상기 어퍼커버(26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탱크챔버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바닥면과는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물탱크(450)의 측면은 레일형태의 가이드구조를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2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러(500)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장치(48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컨트롤러(500)를 전방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는 전체 이동구간 중 초기 이동구간에서의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500)의 열림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전장실(S2)을 구성하는 어퍼케이스(240)의 표면 또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아래에서 설명될 한 쌍의 힌지모듈(6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이동경로 중에서 상기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가 상기 한 쌍의 힌지모듈(600) 사이에 독립적으로 배치되면, 힌지모듈(600)과 개방장치(48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것에 비하여 이들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장치(480)는 컨트롤러(500)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힌지모듈(6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보다 큰 개방력(토크)을 상기 컨트롤러(5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한 쌍의 힌지모듈(600) 중 어느 한쪽에 더 가깝게 치우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3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장치(480)는 좌측에 구비된 힌지모듈(60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이는 우측에 배치된 상기 물탱크(450)를 회피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가 상기 힌지모듈(600)의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개방장치(480)가 상기 힌지모듈(600)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장치(480)는 한 개로 구성되지만,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는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500)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컨트롤러(500)를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상기 개방장치(480)의 구조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는 조립된 하나의 모듈형태로 구성되고,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의 골격은 개방하우징(48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내부에는 작동공간(48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공간(483)의 개구를 통해서 캠부(485)가 입출될 수 있다. 상기 캠부(485)는 상기 작동공간(483)의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결되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캠돌출구(422)를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면부호 482는 상기 개방하우징(481)을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고정하기 위한 하우징고정단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개방하우징(481)에는 개방모터(484)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방모터(484)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전달된 전원을 통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개방모터(484)의 회전력은 상기 개방모터(484)에 연결된 캠부(485)에 전달되어 상기 캠부(485)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방모터(484)는 부하가 걸리면 역회전하도록 형성한 프리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방모터(484)가 동작되어 상기 캠부(485)가 회전될 때 외력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개방모터(484)에 과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개방모터(484)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캠부(485)는 정원형상이 아닌 타원형상 또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다각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부(485)는 상기 개방모터(484)와 연결되는 부분이 중심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편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캠부(485)가 1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부(485)의 일부가 상기 작동공간(483)의 개구 및 상기 개구(483)와 연결되는 상기 캠돌출구(422)를 통해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돌출되었다가, 다시 작동공간(483)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캠부(485)는 1회전과정에서 상기 개방하우징(48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완전수납위치(도 33(c) 참조)와 상기 개방하우징(481)에서 최대로 돌출되는 최대돌출위치(도 33(b) 참조)를 거쳐, 다시 완전수납위치(도 33(c) 참조)로 복귀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는 회전운동이 아니라 직선운동할 수도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의 일부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면서 상기 컨트롤러(5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개방장치(480)가 척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컨트롤러(500)를 밀어낼 수도 있다.
상기 개방장치(480)에는 개방센서(4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캠부(485)의 회전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캠부(485)가 1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490)가 상기 캠부(485)의 완전히 1회전한 것을 감지하면,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개방모터(484)의 동작을 멈출 수 있다.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캠부(485)에 의해 눌릴 수 있다.
도 33에는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3(a)를 보면, 상기 캠부(48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캠부(48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을 눌러, 상기 컨트롤러(500)가 소정각도만큼 열리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캠부(485)가 더욱 회전하면, 도 33(b)와 같이 상기 캠부(485)가 최대한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33(b)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완전히 닫힌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이동한 상태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도 33(c)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으로 완전히 열리고, 상기 캠부(485)는 1회전을 마치고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이다.
이처럼 상기 캠부(485)가 상기 개방하우징(481)의 내부로 수납되는 완전수납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개방센서(490)는 상기 캠부(485)에 눌려 복귀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개방모터(484)의 동작을 중지하여 상기 캠부(485)가 완전수납위치에 머물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500)의 일련의 열림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상기 컨트롤러(5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디스플레이부(501, 도 1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1)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수단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모두 포함되거나, 디스플레이부(501)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입력수단도 디스플레이부(501)에 일체로 포함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디스플레이부(501)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조작부(M1)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50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501)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50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명모듈(900)을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조명버튼(535, 도 1참조)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기기가 오븐인 경우, 디스플레이부(501)에는 캐비티(S1)의 셀프 클리닝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셀프 클리닝 버튼(미도시)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이동하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에서 상기 프론트패널(420)을 가리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프론트패널(420)이 이동하여 상기 프론트패널(420)과 상기 탱크출입구(424)를 개방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닫힌 상태이고, 도 4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되거나 다시 인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를 보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일종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리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을 따라 상기 물탱크(450)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이란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제1위치로 하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제2위치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반대로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하는 구간은 다시 제1개방구간과 제2개방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개방구간은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하고, 제2개방구간은 그 이후부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구간을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상기 제1위치로부터 시작되는 제1개방구간을 이동할 수 있다.(도 47의 500B 참조)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도 47의 500D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개방구간을 이동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소정의 각도만큼 열린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중심으로 중력에 의한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중력에 의한 토크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개방구간을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중력에 의한 토크 보다 상기 힌지모듈(600)에 의한 장력 또는 마찰력이 더 큰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에서 멈출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500)를 아래쪽으로 더 회전시키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4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다양한 부품이 실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은 사용자 방향, 즉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을 향할 수 있다.
도 35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단에는 한 쌍의 상기 힌지모듈(60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면부호 555는 힌지모듈(600)이 삽입되는 힌지조립구를 나타내는데, 상기 힌지모듈(600)과의 결합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6와 도 37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복수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중심을 구성하는 메인하우징(510)을 중심으로, 전방에는 컨트롤패널(530)이 배치될 수 있고, 후방에는 커버프레임(55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커버프레임(550) 보다 좌우로 더 길게 연장된다.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전면을 덮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1조작부(M1), 제2조작부(M2) 또는 제3조작부(M3) 중 적어도 일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에는 부품들이 실장되는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메인하우징(510)을 보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은 대략 사각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은 상기 컨트롤패널(53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메인하우징(510)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에 의해 대부분의 표면이 가려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를 포함한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이 결합되는 힌지결합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7를 보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펜스(5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중심부를 둘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 보다 상기 메인하우징(510) 및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결합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펜스(511)에는 제1체결턱(51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턱(511a)은 상기 하우징펜스(511)에서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턱(511a)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제2체결턱(552a)이 걸릴 수 있다.
상기 하우징펜스(511)에는 실링부재(5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의 방수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에는 부품장착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512)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후술할 한 쌍의 힌지결합부(520)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통신모듈(M4)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품장착부(512)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 사이를 연결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실링펜스(518)에 의해 정의된다고 볼 수도 있다. 즉, 상기 부품장착부(512)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와 한 쌍의 실링펜스(51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품장착부(512)에는 커버조립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부(513)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가장자리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부(513)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조립을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조립부(513)는 상기 커버프레임(550)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조립부(513)에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대조립부(미도시)가 걸릴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제1조작부(M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작부(M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조작부(M1)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조작부(M1)의 회로기판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패널(530)을 터치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전용량 방식으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501)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1조작부(M1)를 고정하기 위한 제1장착가이드(5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는 상기 제1조작부(M1)를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에 상기 제1조작부(M1)가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4a는 상기 제1장착가이드(514)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후크를 나타낸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제2조작부(M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작부(M2)는 제1조작부(M1)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조작부(M2)는 특징 기능을 입력하는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2조작부(M2)를 통해 스팀조리나 스팀청소 등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2조작부(M2)를 고정하기 위한 제2장착가이드(5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는 상기 제2조작부(M2)를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에 상기 제2조작부(M2)가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5a는 상기 제2장착가이드(515)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후크를 나타낸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제3조작부(M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조작부(M3)는 제1조작부(M1) 및 제2조작부(M2)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조작부(M3)는 특징 입력신호만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제3조작부(M3)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제3조작부(M3)를 고정하기 위한 제3장착가이드(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는 상기 제3조작부(M3)를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에 상기 제3조작부(M3)가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6a는 상기 제3장착가이드(516)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3고정후크를 나타낸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조작부(M1), 상기 제2조작부(M2) 및 상기 제3조작부(M3)는 하나의 제어부로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조작부(M2) 및 제3조작부(M3)의 기능들이 상기 제1조작부(M1)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통신모듈(M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M4)은 조리기기를 외부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모듈(M4)은 WLAN, WiFi, Bluetooth, ZigBee, Zwave, 5G 등 IoT를 위한 다양한 통신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M4)을 통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M4)을 통해서 상기 조리기기는 외부의 정보를 수신하여 조리기능을 업데이트 하거나, 상기 조리기기의 문제를 외부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에는 상기 통신모듈(M4)을 고정하기 위한 제4장착가이드(5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는 상기 통신모듈(M4)을 둘러 대략 사각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별개물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에 상기 통신모듈(M4)이 먼저 고정된 후에,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가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517a는 상기 제4장착가이드(517)를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고정하기 위한 제4고정후크를 나타낸다.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상기 통신모듈(M4)은 와이어하네스(W)를 통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모듈(600)을 따라 상기 전장실(S2)의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한 쌍의 힌지모듈(60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된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와이어커버(67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데,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힌지결합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 사이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는 아래에서 힌지모듈(600)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컨트롤패널(5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전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의 전면이란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30)이 아래쪽을 향하게 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사용자가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를 통해서 신호를 입력할 때 사용자가 터치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가 조리기기의 정보를 출력할 때 출력정보를 전방으로 투시하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터치스크린용 강화유리 또는 PMMA(polymethylethacrylate)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컨트롤패널(53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얇은 필름일 수도 있고,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53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방에는 커버프레임(5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조립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조립되어 상기 부품장착부(512)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메인하우징(510) 및 상기 컨트롤패널(530) 보다 좌우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 방향으로 노출되는 컨트롤패널(530)의 후방에 배치된 커버프레임(550)은 상대적으로 덜 노출될 수 있고, 컨트롤러(500)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가장자리에는 커버펜스(5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전면 가장자리에서 전방, 즉 상기 컨트롤패널(530)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와 중첩되어, 외부의 먼지나 습기 등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 및 하단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커버펜스(552) 보다 상기 메인하우징(510) 및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결합방향을 따라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에서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가 서로 중첩되는 면적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단에서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가 서로 중첩되는 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탱크(450)와의 접촉이 더 많은 컨트롤러(500)의 후방(도 5 기준) 쪽에서 컨트롤러(500)의 밀폐면적을 더 크게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와 중첩되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하우징펜스(511)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도 38을 보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하우징펜스(511)와 상하바향으로 적층되고, 면접촉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는 두 면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8에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펜스(552)에 구비된 스토퍼리브(552')와 마주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8에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가 상기 커버펜스(552)에 구비된 스토퍼리브(552')와 이격된 상태로 표현되었으나,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는 스토퍼리브(552')와 밀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와 스토퍼리브(552')의 사이에는 실링부재(511b)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와 스토퍼리브(552')의 사이에서 압축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가장자리를 연속적으로 둘러 구비되거나, 또는 간헐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는 얇고 일방향으로 긴 판상구조일 수 있다. 도 36를 보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부 및 하부를 따라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면부호 552a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제1체결턱(511a)에 걸려 고정되는 제2체결턱(552a)을 나타낸 것이다.
도 38을 보면, 상기 커버펜스(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펜스(511)가 상대적으로 더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펜스(552)는 서로 면접촉되는 구간을 가져, 외부의 이물질이나 수분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 커버펜스(552)에는 스토퍼리브(5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커버프레임(550)과 상기 메인하우징(510) 사이가 조립될 때 조립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커버펜스(552)의 표면에서 바깥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조립부를 가리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리브(552')가 상기 커버펜스(552)의 표면에서 돌출된 높이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두께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토퍼리브(552')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표면 보다 바깥쪽으로 더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7를 보면, 상기 커버프레임(550)에는 커버힌지홀(55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힌지홀(553)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힌지홀(553)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힌지체결홀(523a, 도 53참조)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지면서 상기 커버힌지홀(553),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연결블럭(625) 및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블럭체결구(B4)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커버힌지홀(553), 상기 연결블럭(625)의 블럭조립홀(625a', 도 54참조) 및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통과하여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를 조립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두 개의 커버힌지홀(553)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힌지홀(553)에 인접한 위치에는 힌지조립구(555)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구(555)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이 상기 컨트롤러(500)에 조립될 때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구(555)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조립구(555)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하단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에는 커버체결홀(5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체결홀(556)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커버체결구(B2, 도 35참조)로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체결홀(556)은 상기 힌지조립구(555)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커버체결홀(556)이 생략되고,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은 상기 제1체결턱(511a), 제2체결턱(552a) 등의 구조로만 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이 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은 상기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프론트패널(420)을 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개방장치(480)가 동작되면 상기 개방장치(480)의 캠부(485)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을 가압하게 된다.
도 38을 보면, 상기 커버프레임(550)에는 커버경사부(55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커버펜스(552)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으로 물이 쏟아지면 이를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과,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정면 사이에 틈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버경사부(559)와 상기 프론트패널(420) 사이의 틈으로 사용자는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부를 파지하고, 상기 컨트롤러(500)를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그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컨트롤러(500)는 개방장치(480)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컨트롤러(500)를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커버경사부(559)를 통해 컨트롤러(500)를 보다 쉽게 파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커버경사부(559)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부 두께를 얇게 만들어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도 39 및 도 40을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는 에어가이드(5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서 아래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저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저면에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282)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배기구(282)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282)가 사용자의 시선에서 가려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기구(282)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도어배기구(377)를 통해서 배출되는 공기가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고, 원활하게 전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고온의 토출공기에 노출되므로, 내구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 배치된 연결레그(51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그(519)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레그(519)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복수개의 상기 연결레그(519)들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평판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연결레그(519)에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접착제로 상기 연결레그(519)에 조립되거나, 압입구조를 통해서 상기 연결레그(519)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하방향의 높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가이드(590)는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41 내지 도 46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컨트롤러(50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컨트롤러(500)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에는 포켓가이드(55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후면(551)에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포켓(P)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사용자에게 상기 포켓(P)의 위치를 보다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커버프레임(5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후면 중간 지점부터 말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말단부까지 점점 함몰된 깊이가 커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포켓(P)을 통해 상기 물탱크(450)를 파지할 때, 사용자는 먼저 상기 포켓가이드(551a)를 따라 손을 상기 포켓(P)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9에는 상기 포켓가이드(551a)가 구비된 컨트롤러(500)를 도시하였다. 상기 포켓가이드(551a)는 상기 포켓(P)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직감적으로 상기 포켓가이드(551a)를 따라서 손을 상기 포켓(P) 안쪽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450)를 인출할 때, 상기 포켓가이드(551a)로 인해 상기 물탱크(450)의 저면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표면 사이의 마찰이 줄어들 수도 있다.
한편 도 43과 도 44는 상기 컨트롤러(500)에서 상기 커버프레임(550)을 제거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부품장착부(512)에는 실링펜스(5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배치된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통신모듈(M4) 보다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중심부로 수분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실링펜스(518)는 각각 부품장착부(512)의 바깥쪽에서 상기 부품장착부(512)의 중심방향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부품장착부(512)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결합부(520)를 통해서 수분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실링펜스(518)는 수분이나 이물질이 부품장착부(512) 쪽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힌지결합부(52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유입된 수분이나 이물질을 가두어 둘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펜스(511) 중 메인하우징(510)의 하단에 구비된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힌지결합부(520)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이격된 부분에는 드레인홀(D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메인하우징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부품장착부(512)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의 빈 공간 머무는 수분이나 이물질은 상기 드레인홀(DH)을 통해서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사이에 상기 드레인홀(D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홀(DH)은 상기 제1위치에 있는 컨트롤러(500)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수분과 이물질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드레인홀(DH)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에 구비된 상기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힌지결합부(5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홀(DH)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의 양단이 각각 상부의 하우징펜스(511)와 하부의 하우징펜스(5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실링펜스(518)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펜스(511)와 함께 대략 사각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실링펜스(518)와 하우징펜스(511)가 형성하는 사각틀 구조 내부에 상기 제1조작부 내지 제3조작부(M1-M3)와 통신모듈(M4)이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실링펜스(518)가 상기 메인하우징(510)이 아니라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가 상기 커버프레임(550)에서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부품장착부(5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링펜스(518)는 상기 하우징펜스(511) 보다 돌출된 높이가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가 상기 하우징펜스(511) 보다 낮으면,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표면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이렇게 이격된 부분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의 위쪽으로 공기가 유동하면, 상기 부품장착부(512)에 배치된 회로부품들을 냉각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실링펜스(518) 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높게 형성된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그 자체가 1차적으로 수분과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벽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펜스(518)는 그 자체가 일종의 강도 보강용 리브와 같은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실링펜스(518)에는 와이어게이트(51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는 상기 실링펜스(518)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를 통해서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컨트롤러(500)의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의 양쪽에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바깥쪽을 향해 소정 거리만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벽이 세워지고, 그 사이를 통해 와이어하네스(W)가 지나갈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는 상기 한 쌍의 실링펜스(518) 중 어느 한쪽에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이동하는 수분과 이물질이 상기 와이어게이트(518a)를 통해서 부품장착부(512)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45과 도 46를 보면,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는 실링부재(51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수분과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조립방향(도 46를 기준으로 왼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이 결합될 때,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우징펜스(511)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커버펜스(552)에 구비된 스토퍼리브(552')와 마주보게 되는데(도 38참조),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스토퍼리브(552') 사이에 배치된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스토퍼리브(552') 사이의 간격 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어 이들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와 상기 스토퍼리브(552')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사이의 유격으로 인한 소음도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메인하우징(510)과 상기 커버프레임(550) 사이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실링펜스(518)의 상단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펜스(518)와 상기 하우징펜스(511)에 의해 정의된 부품장착부(512)의 가장자리는 모두 실링부재(511b)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실링부재(511b)는 상기 하우징펜스(511)의 상단에만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펜스(511)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실링부재(511b)가 상기 메인하우징(510)이 아니라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실링부재(511b)가 상기 커버프레임(550)의 커버펜스(55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에는 힌지모듈(60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케이스(100,20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7를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닫힌 상태인 제1위치에서 열린 상태인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500A는 제1위치에 있는 컨트롤러(500)를 나타낸 것이고, 500D는 제2위치에 있는 컨트롤러(500)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500B와 500C는 각각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컨트롤러(500)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위치(500A)에서 소정 거리 이동된 위치까지를 제1개방구간(500A-500B), 제1개방구간의 말단(500B)으로부터 제2위치(500D) 사이를 제2개방구간(500B-500D)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개방장치(480)는 상기 컨트롤러(500)를 제1개방구간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는 중력 또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고정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회전과 동시에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7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반시계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전방(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중력방향인 하방(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컨트롤러(500)는 반시계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중력방향인 하방(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컨트롤러(500)는 반시계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만 회전되고, 전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과 동시에 전방과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총 이동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 상기 탱크출입구(424)가 사용자를 향해 더욱 넓게 노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이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 또는 인입을 안내할 수 있는 전후방향 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제2위치에 있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의 높이가 상기 탱크출입구(424)의 하단 보다 낮거나 적어도 같은 높이가 될 수 있다. 높이가 낮아진 컨트롤러(500)는 물탱크(450)의 인출 또는 인입시 물탱크(450)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위치(500A)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도어(300)의 상단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메인하우징(510) 또는 커버프레임(550)의 저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500D)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도어(300)의 상단 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의 하단은 상기 컨트롤패널(530)의 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위치(500D)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도어(300)의 전면 보다 상기 케이스(100,200)로부터 전방으로 더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500) 전체가 상기 도어(300)의 전면 보다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물탱크(450)의 인입/인출을 가이드할 수 있는 거리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는 상기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는 20°도 내지 40°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도는 50° 내지 7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구간만큼 상기 컨트롤러(500)가 회전하면, 상기 힌지모듈(600)을 중심으로 중력에 의한 토크가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방장치(480)가 제1개방구간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를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만큼만 회전시켜도, 상기 컨트롤러(500)는 나머지 제2개방구간에서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열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는 전체 회전각은 80° 내지 100°일 수 있다. 이러한 각도 범위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이 설정되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물탱크(450)가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일종의 받침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는 전체 회전각이 90°라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은 상기 물탱크(450)가 수납되는 상기 탱크챔버의 깊이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을 받침대로 하여 탱크챔버에 인입되거나, 탱크챔버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이 80°~ 89°인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방으로 소정각도만큼 들린 상태가 되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도 47의 500D를 기준으로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은 상기 케이스(100,200)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를 상기 탱크챔버의 내부로 인입할 때 상기 물탱크(450)가 보다 쉽게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이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각이 91°~100°인 경우에, 상기 컨트롤러(500)는 하방으로 소정각도만큼 처진 상태가 되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도 47의 500D를 기준으로 커버프레임(550)의 후면(551))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바깥쪽(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450)를 상기 탱크챔버의 외부로 인출할 때 상기 물탱크(450)가 보다 쉽게 미끌어지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500)의 상면이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8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이 동작되는 모습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48에는 상기 컨트롤러(500)는 생략되고, 상기 힌지모듈(60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의 힌지하우징(610)으로부터 구동암(620)과 연결블럭(625)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8(a)는 도 47에서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의 말단(500B)에 위치했을 때의 힌지모듈(600)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48(b)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의 말단(500B)에서 제2위치로 이동 중인 상태(500C)의 힌지모듈(6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48(c)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500D)에 있을 때의 힌지모듈(6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48을 보면, 상기 연결블럭(62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블럭(625)이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의 이러한 동작은 상기 힌지모듈(600)에 포함된 복수의 링크와, 상기 구동암(620)의 연결구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9과 도 50에는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가 서로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힌지모듈(600)은 동일한 작동매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힌지모듈(600)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갖거나, 서로 대칭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커버프레임(550)에 형성된 상기 힌지조립구(555)를 통해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의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전장실(S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구동암(620)만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9과 도 50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사이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프론트패널(4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1에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는 모습이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있다.
이때,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프론트패널(420) 및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힌지체결구(B3)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힌지체결구(B3)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제1힌지조립홀(288)을 각각 통과한 후에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후방에 배치된 힌지모듈(600)에 조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프론트패널(420)도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힌지체결구(B3)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 즉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제1힌지조립홀(288)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2에서 보듯이,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은 블럭체결구(B4)로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블럭체결구(B4)는 상기 연결블럭(625)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구비된 힌지결합부(520)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2개의 상기 블럭체결구(B4)들이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블럭체결구(B4) 뿐 아니라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걸이구조(블럭걸림부(528) 및 걸림편(628) 구조, 도 55참조)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5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3 내지 도 56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상기 컨트롤러(500)에 고정하기 위한 힌지결합부(52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메인하우징(5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의해 덮히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500)가 조립된 후에는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대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3을 보면, 상기 메인하우징(510)에는 힌지결합부(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하방향, 즉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제1힌지결합부(521)와 제2힌지결합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모두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가 결합되는 결합부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열린 상태, 즉 제2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는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 보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으로부터 더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과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고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은 조리기기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전축은 특정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과정에서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를 보면,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는 안착보스(523)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안착보스(523)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이 블럭체결구(B4)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보스(523)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안쪽에 형성되는 제1체결공간(522)의 내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안착보스(523)에는 힌지체결홀(523a)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힌지체결홀(523a)에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질 수 있다. 상기 블럭체결구(B4)는 스크류로 구성되고, 그 끝부분 일부가 상기 힌지체결홀(523a)에 조여질 수 있다. 참고로 도 54에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상기 연결블럭(625)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체결구(B4) 하나가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착보스(523)와 상기 힌지체결홀(523a)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안착보스(523)와 상기 힌지체결홀(523a)은 상기 힌지결합부(520)와 마찬가지로,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과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내부에서 적어도 두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의 연결블럭(625)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는 상기 연결블럭(625)의 일부가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달리 별도의 체결구 없이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블럭체결구(B4)가 조립되기 전에,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힌지결합부(520)가 가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컨트롤러(500)를 구성하는 상기 메인하우징(510), 컨트롤패널(530) 및 커버프레임(550)이 서로 조립된 후에, 상기 컨트롤러(500)에 상기 힌지모듈(600)이 조립된다. 상기 커버프레임(550)이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후면을 덮더라도,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형성된 상기 힌지조립구(555)를 통해서 상기 힌지모듈(600)의 연결블럭(625)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는 제2체결공간(5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하단은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연결블럭(625)이 위쪽으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상단은 상기 제1체결공간(5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양쪽에는 조립가이드(5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양쪽에 세워지는 일종의 벽 구조로 볼 수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527) 사이로 상기 연결블럭(62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하단은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블럭걸림부(52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상단 보다 하단에서 더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아래쪽에서 삽입되는데, 높게 형성된 상기 조립가이드(527)의 하단이 연결블럭(625)이 삽입되는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삽입되는 하단 입구를 향해 점점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블럭(625)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링크(624)와의 연결을 위한 부분이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블럭(625)의 하단 높이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란, 도 55을 기준으로 하면 연결블럭(625)의 좌우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가이드(527)는 하단에서 더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상부에는 블럭걸림부(5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럭걸림부(528)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걸려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블럭걸림부(528)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상부를 덮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럭걸림부(528)는 상기 제2체결공간(526)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걸림포켓(528a)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5에서 보듯이, 상기 블럭걸림부(528)에는 상기 연결블럭(625)의 걸림편(628)이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628)이 상기 블럭걸림부(528)의 걸림포켓(528a)에 삽입되면,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연결블럭(625)에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5를 기준으로 상기 컨트롤러(50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상기 연결블럭(625)에 걸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3을 보면, 상기 블럭걸림부(528)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릿부(52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528b)는 상기 블럭걸림부(528)의 중심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걸림포켓(528a)의 일부를 개방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슬릿부(528b)는 상기 연결블럭(625)에 구비된 상기 걸림편(628) 일부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걸림편(628)은 대략 T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단면형상에 맞게 상기 슬릿부(528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편(628)이 상기 연결블럭(625) 본체에 연결브릿지(628')로 연결될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628')과 걸림편(628)은 대략 T자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도 56에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제거된 상태의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상부에는 상기 안착보스(523) 및 힌지체결홀(523a)이 형성되어, 블럭체결구(B4)가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결합부(520)의 하부에는 상기 블럭걸림부(528) 및 걸림포켓(528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블럭(625)의 조립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조립구조는 상기 연결블럭(625)과 상기 힌지결합부(520) 사이를 서로 견고하게 조립시킬 수 있다.
도 57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컨트롤러(5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먼저 조립된 후에,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이 상기 컨트롤러(50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암(620)에 구비된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커버프레임(550)에 개구된 힌지조립구(555)를 통해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힌지결합부(520)에 삽입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연결블럭(625)은 블럭체결구(B4)로 상기 컨트롤러(5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7에는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8을 보면, 도 57에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커버프레임(550)이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한 쌍의 블럭체결구(B4)가 상기 연결블럭(625)을 통과하여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럭(625)의 하부는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걸릴 수 있다.
상기 힌지결합부(520)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를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메인하우징(5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축 방향인 좌우방향(도 1의 Y축방향)과 직교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힌지모듈(600)과의 연결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넓은 범위로 분산될 수 있고, 컨트롤러(500) 및 힌지모듈(6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하방향이란,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 1의 Z축방향이다. 만약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다면 상하방향은 도 1의 X축방향이다.
도 59에는 도 58에서 블럭체결구(B4)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제거되더라도,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힌지모듈(6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블럭걸림부(528)에 상기 연결블럭(625)의 걸림편(628)이 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먼저 상기 컨트롤러(500)를 상기 걸림편(628)에 건 상태에서 블럭체결구(B4)를 조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힌지모듈(6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통해 상기 케이스(100,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케이스(100,200)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컨트롤러(500)가 상기 케이스(100,200)에 대해 상대이동하게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힌지모듈(600)들이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쪽에 대칭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는,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컨트롤러(50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쪽에만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8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모듈(600)의 골격은 힌지하우징(610)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대략 육면체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전장실(S2)에서 상기 사이드커버(270)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전장실(S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케이스(100,2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상기 케이스(100,200)를 구성하는 상기 사이드커버(270) 또는 상기 전면프레임(2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은 전방에 배치된 전면프레임(280) 및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동시에 고정된다.
도 62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하우징(610)에는 하우징조립홀(6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을 케이스(100,2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힌지체결구(B3)는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제2힌지조립홀(427)과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제1힌지조립홀(288)을 각각 통과한 후에,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힌지모듈(600)은 상기 전면프레임(280)과 상기 프론트패널(420)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조립홀(613)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8을 보면, 상기 힌지하우징(610)에는 구동암(6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은 그 일부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외부로 입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의 일단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암(620)의 타단은 상기 연결블럭(625)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될 수 있지만, 다른 예로는 상기 연결블럭(625)이 생략되고 상기 구동암(620)이 직접 상기 컨트롤러(5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암(620)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하방으로도 이동될 수도 있다. 도 48(b)와 도 48(c)를 보면, 상기 구동암(620)이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방(도면을 기준으로 왼쪽 방향)과, 하방(도면을 기준으로 아래쪽 방향)으로 점차 이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구동암(620)이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컨트롤러(500)의 총 이동거리가 늘어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이동거리가 늘어나면 상기 탱크출입구(424)가 사용자를 향해 더욱 넓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에는 제1구동암(621)과 제2구동암(62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각각 상기 연결블럭(62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상기 연결블럭(625)의 서로 다른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면부호 626은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제1구동암(621)과 연결되는 제1축(626)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627은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제2구동암(623)과 연결되는 제2축(627)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1축(626)과 상기 제2축(627)은 상기 컨트롤러(500)와 상기 힌지모듈(600)을 상대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축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은 상기 제2구동암(623) 보다 폭이 커서, 상기 제2구동암(623)이 상기 제1구동암(621)에 의해 감싸질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서로 겹쳐지게 배치되면,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되더라도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6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은 연결링크(624)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624)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제1구동암(621) 및 상기 제2구동암(623)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624)는 상기 제1구동암(621)과 상기 제2구동암(623)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52(b)에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조가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는 직선이동부(6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614)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구동암(6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직선이동부(614)는 구동링크(62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링크(624')의 일단부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구동암(6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구동암(623)은 상기 연결링크(624)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링크(624)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연결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링크(624')는 상기 제2구동암(623)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614)에는 장력조절부(616)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이동할 때 상기 힌지모듈(600)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급격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특정각도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616)에는 탄성부재(616a)와 댐퍼(616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616a)는 일단부가 상기 힌지하우징(610)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연결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은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614)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이동해야 하므로,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500)도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과정에서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소정 크기의 부하를 가해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운동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유압댐퍼(61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가 초기에 상기 개방장치(480)에 의해 일정각도만큼 회전된 후에, 상기 컨트롤러(500)에 가해지는 중력으로 자동으로 회전될 때, 상기 댐퍼(616b)는 완충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댐퍼(616b)는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개방구간의 말단부터 상기 제2위치까지 이어지는 제2개방구간에서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장력조절부(616)의 상기 스프링과 상기 댐퍼(616b)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댐퍼(616b)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이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일정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컨트롤러(500)에 가해지는 중력을 보상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댐퍼(616b)가 모두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조정링크(615)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정링크(615)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정링크(615)의 일단부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조정링크(615)의 타단부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조정링크(61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장력조절부(616)에 의해 가해지는 부하는 상기 조정링크(615)를 통해서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장력조절부(616)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암(620)에는 연결블럭(62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구동암(620)과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에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연결되는 제1축(626)과, 상기 제2구동암(623)에 연결되는 제2축(627)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축(626)과 상기 제2축(627)은 서로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연결블럭(625)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 사이를 연결하므로, 상기 연결블럭(625)은 상기 힌지모듈(600)과 컨트롤러(500) 사이의 연결부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500)의 회전중심도 상기 연결블럭(62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에는 연결단부(62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연결블럭(625)에서 연장되는 대략 판상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안착될 수 있다. 도 54를 보면, 상기 연결단부(625a)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위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의 안착보스(523) 위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단부(625a)에 형성된 블럭조립홀(625a')은 상기 안착보스(523)의 힌지체결홀(523a)과 연결될 수 있다. 이들은 블럭체결구(B4)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데, 상기 블럭체결구(B4)가 조여지면서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상기 커버힌지홀(553), 블럭조립홀(625a')과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체결구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커버힌지홀(553)과, 상기 블럭조립홀(625a') 및 상기 힌지체결홀(523a)을 통과하여, 상기 커버프레임(550), 연결블럭(625) 및 메인하우징(510) 사이를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힌지체결홀(523a) 및 상기 커버힌지홀(553)과 마찬가지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블럭조립홀(625a')이 상기 연결단부(625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블럭(625)에는 걸림편(6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편(628)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걸림포켓(528a)에 삽입되어 걸릴 수 있다. 도 6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편(628)은 상기 연결블럭(625) 본체에 연결브릿지(628')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628')과 걸림편(628)은 대략 T자 형상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지(628')는 상기 걸림편(628)과 상기 연결블럭(625) 본체 사이의 연결부위를 넓게 만들어, 연결블럭(625)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결브릿(628')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의 상기 블럭걸림부(528)에는 상하방향으로 슬릿부(528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5을 보면, 상기 연결블럭(625)의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방향이란 상기 연결블럭(625)의 두께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이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면, 상기 연결블럭(625)이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고정되는 두 부분의 높이도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고정되고 상기 걸림편(628)은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고정되는데,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고정되는 부분이 서로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달리하는 것이다. 도면부호 L1은 상기 제1힌지결합부(521)에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제2힌지결합부(525)에 고정되는 부분이 서로 이격된 거리를 나타낸 것이다.
동시에, 상기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은 상하방향으로도 위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단부(625a)는 상기 걸림편(628) 보다 상기 연결블럭(62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단부(625a)와 상기 걸림편(628)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메인하우징(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블럭(625)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메인하우징(5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는 여러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힌지모듈(600)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결합부위에 가해지는 외력을 보다 넓게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모듈(600)에는 힌지센서(6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센서(640)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동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센서(6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내부에 배치된 힌지센서(640)는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품 중 하나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힌지센서(640)는 상기 직선이동부(614)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직선이동부(614)가 상기 힌지센서(640)를 누르면, 상기 힌지센서(640)는 상기 직선이동부(614)가 초기위치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센서(640)에 연결된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힌지센서(640)에서 전달된 신호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1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0에는 상기 컨트롤러(500)에 연결되는 와이어하네스(W)의 일부와, 상기 와이어하네스(W)를 고정하는 와이어커버(67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를 덮어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조리기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고 상기 힌지모듈(600)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한하여, 와이어하네스(W)가 주변부품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구동암(620)에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하네스(W)는 한 쌍의 힌지모듈(600) 중 하나의 힌지모듈(600) 쪽으로만 연장되므로, 상기 와이어커버(670)도 하나의 힌지모듈(600)에만 조립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힌지모듈(6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이동 중에 힌지모듈(6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힌지모듈(600)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 컨트롤러(300)와 케이스(100,200)의 사이로 노출되는 부품의 표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힌지모듈(600)의 일부인 것처럼 보여지므로, 높은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의 상하 높이 보다 높은 상하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상하높이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전후방향길이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구동암(620)이 완전히 돌출된 상태, 즉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말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힌지통공(423)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50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어하네스(W)도 모두 와이어커버(670)로 가려질 수 있다. 도 18을 보면, 상기 프론트패널(420)의 전방으로 노출된 상기 구동암(620)의 측면이 상기 와이어커버(670)로 덮힌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상기 구동암(620)에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를 계속 감싼 상태로, 상기 구동암(620)의 일정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제2구동암(621)과 함께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개구된 상부힌지홀(283)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300)가 완전히 열리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타단부는 상부힌지홀(283)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여전히 상기 상부공간(S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와이어하네스(W)의 노출부위 전체를 감싸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골격은 커버몸체(67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671)는 대략 내부가 빈 관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몸체(671)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통과하는 가이드채널(672, 도 65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672)은 양단이 각각 개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몸체(671)는 대략 사각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데, 이와 달리 상기 커버몸체(671)는 원통형상이거나 기타 다각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커버몸체(671)는 상기 힌지모듈(600)의 제1구동암(621)에 연결되는 일단부인 결합헤드(673)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거나, 곡선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몸체(671)는 제1구동암(621)의 이동경로에 따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동과정에서 와이어하네스(W)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커버몸체(671)가 원호형상이라면, 상기 커버몸체(671)는 일정한 곡률반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몸체(671)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1구동암(621)의 회전반경 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몸체(671)는 제1구동암(621)의 회전반경과 같거나 이보다 완만한 곡선경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커버몸체(671)는 와이어하네스(W)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되, 이동과정에서 와이어하네스(W)와의 마찰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이동하면서 와이어하네스(W)를 감싸기 때문에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커버몸체(671)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672)은 한쪽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을 통해서 와이어하네스(W)가 쉽게 가이드채널(67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은 상기 힌지하우징(610) 또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도 64를 보면, 아직 제1구동암(621)이 전방으로 돌출되기 전에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을 가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구동암(621)이 전방으로 돌출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는데, 이때는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전체가 상기 제1구동암(621)의 측면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높이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몸체(671)의 상단과 하단은 항상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상단과 하단 사이 구간에 머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의 전체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와이어커버(670)는 상기 구동암(620) 중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2을 보면,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결합헤드(673)가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결합헤드(673)는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일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헤드(673)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표면을 감싸는 구조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일종의 집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헤드(673)에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나머지부분은 상기 힌지하우징(610)의 표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헤드(673)를 포함한 상기 와이어커버(670)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상하방향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상기 제1구동암(621)을 보다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30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결합헤드(673)의 일면은 상기 힌지모듈(600)을 구성하는 힌지하우징(610)의 전면과 마주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결합헤드(673)가 힌지하우징(610)의 전면에 걸릴 수 있고,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원래위치 보다 더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방지될 수 있다.
도 63 내지 도 65을 참조하여 상기 결합헤드(673)의 구조를 보면, 상기 결합헤드(673)에는 결합핑거(674, 도 64참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674)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674)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구조를 가져, 상기 제1구동암(621)에 조립될 때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674)는 상기 커버몸체(671)로부터 상기 제1구동암(621)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결합핑거(674)는 제1결합핑거(674a)와, 제2결합핑거(67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커버몸체(671)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결합헤드(673)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상기 커버몸체(6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구동암(621)의 복수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도 65을 보면,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상면, 측면 및 저면을 각각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회전하면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제1구동암(621)의 복수의 표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핑거(674a)의 말단에는 제1결합단부(67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의 말단에서 다른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을 감쌀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1결합단부(674a')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이 아니라 측면을 감쌀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커버몸체(671)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구동암(621)의 표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함께 상기 와이어커버(670)가 상기 제1구동암(621)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높이란 도 65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와 상기 제1결합핑거(674a)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므로, 상기 결합헤드(673)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집게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구동암(621)을 감쌀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제1결합핑거(674a) 보다 상기 연결블럭(62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서 상기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결합핑거(674b)가 상기 제1결합핑거(674a)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되면, 상기 와이어커버(670)와 상기 제1구동암(621) 사이의 결합지점이 증가하고 결합면적이 넓어져,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에 함몰된 결함홈부에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가 상기 결합홈부에 끼워지면,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상대이동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핑거(674b)에는 제2결합단부(674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단부(674b')는 상기 제2결합핑거(674b)의 말단에서 상기 제2결합핑거(674b)가 상기 커버몸체(671)로부터 연장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결합단부(674b')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단부(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안쪽 측면을 감쌀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결합핑거(674a)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상면, 내측면 및 저면을 감싸고, 상기 제2결합핑거(674b)는 상기 제1구동암(621)의 저면 및 내측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 다른 상하위치와 전후위치를 가지므로, 다양한 부위에서 상기 제1구동암(621)에 결합될 수 있어, 조립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64에서 보듯이, 상기 커버몸체(671)에는 와이어클립(67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클립(677)은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을 가리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클립(677)은 상기 가이드채널(672)에 삽입된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바깥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와이어클립(677)들이 상기 커버몸체(671)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복수개의 와이어클립(677)들은 상기 와이어하네스(W)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클립(677)들은 상기 가이드채널(672)의 개방된 한쪽 면의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6 내지 도 79을 참조하여, 도어잠금장치(80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케이스(100,2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도어(300)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상기 도어(300)의 잠금상태를 유지해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상기 케이스(100,200)가 아니라 도어(300)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6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배치된 위치를 보인 것이다. 이에 보듯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일부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를 구성하는 래치(850)의 잠금헤드(855)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일부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면, 작업자는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300)가 잠긴 상태에서 긴급하게 도어(300)를 열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래치(850)에 조립된 헤드체결구(857)를 분해하고, 잠금헤드(855)를 일방향(도 66의 화살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도어를 잠금해제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으로만 도어잠금장치(800)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만 헤드체결구(857) 등이 노출되므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조리기기의 미감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분리할 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으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과 상기 도어(300)의 상단 사이의 틈은 일종의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구를 상기 헤드체결구(857) 쪽으로 보다 쉽게 접근시킬 수 있다.
도 67를 보면, 상기 어퍼커버(260)가 제거되고 전장실(S2)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어느 한쪽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측단에 가깝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힌지모듈(600)과 인접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어퍼케이스(240)의 우측단에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중앙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래치(850)의 잠금헤드(855)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형성된 래치홀(E1)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잠금헤드(855)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형성된 잠금홀(379)에 걸릴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의 일단부는 하부로 돌출되므로, 상기 잠금홀(379)에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7에는 상기 래치(850)가 아래쪽으로 회전되지 않아 상기 잠금헤드(855)도 잠금홀(379)에 걸리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잠금헤드(855)는 상기 도어프레임(370)에 걸리므로, 상기 도어(300)가 닫힌 상태에서만 상기 도어(300)를 걸 수 있다. 도 68을 보면, 상기 도어(300)가 완전히 닫히기 전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잠금홀(379)이 상기 잠금헤드(855)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잠금헤드(855)가 상기 잠금홀(379)에 걸릴 수 없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0)가 도 68의 화살표 방향으로 닫히면, 도 69과 같이 도어(300)가 닫힌 상태가 된다. 이렇게 도어(300)가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잠금헤드(855)의 회전경로 상에 상기 잠금홀(379)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가 도 69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잠금홀(379)에 삽입되어 도어(300)를 잠금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모터 등 동력원을 통해서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800)는 자동으로 동작되면서 잠금상태와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도 70과 도 71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잠금하우징(810)이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하우징(810)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하우징(8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모터(820), 잠금기어(831,835), 구동슬라이더(840), 래치(850), 닫힘버튼(870), 버튼스프링(879), 잠금센서(860), 닫힘센서(880) 등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닫힘버튼(870)이 도어(300)에 의해 후방(화살표①방향)으로 눌리면 상기 닫힘센서(880)가 이를 감지하고,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잠금모터(8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모터(820)의 작동에 의해서 상기 래치(850)는 아래쪽(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300)를 잠금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부품들이 설치되면, 상기 래치(850)와 상기 닫힘버튼(870)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기어(831,835) 및 구동슬라이더(840)는 잠금커버(819)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부품들이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조립된 상태로 상기 도어잠금장치(800)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2을 보면, 상기 잠금하우징(810)에는 함몰된 형태의 설치공간(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811)의 가장자리에는 장착돌기(8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812)에는 상기 잠금커버(819)의 커버홀(819')과, 상기 잠금모터(820)의 브라켓홀(824)이 각각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812)는 상기 설치공간(811)을 감싸는 벽구조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하우징(810)이 생략되거나, 상기 잠금하우징(810)은 상기 상부공간(S2)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잠금하우징(810)은 상기 케이스(100,200)를 구성하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잠금기어(831,835), 구동슬라이더(840), 래치(850) 등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모터(820)는 상기 설치공간(811)을 감싸는 벽구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기어(831,835), 구동슬라이더(840), 래치(850) 등은 상기 잠금모터(8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811)의 전방에는 제1작동경로(813)와 제2작동경로(81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경로(813)와 상기 제2작동경로(815)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작동경로(813)에는 상기 래치(850)와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경로(815)에는 상기 닫힘버튼(8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811)을 상기 잠금커버(819)가 덮을 수 있다. 상기 잠금커버(819)는 상기 설치공간(811)의 상부를 덮어 상기 잠금기어(831,835)와 구동슬라이더(840)의 일부를 가릴 수 있다. 상기 잠금커버(819)는 상기 잠금모터(820)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잠금모터(820)와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811)의 상부에는 잠금모터(8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모터(820)는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동작되도록 하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잠금모터(820)의 단자(827)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700)로부터 전원과 동작신호를 받을 수 있다. 도면부호 824는 상기 장착돌기(812)에 끼워지는 브라켓홀(824)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잠금모터(820)의 하부에는 모터축(822)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모터축(822)은 상기 잠금모터(820)의 회전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모터축(8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기어(831,835) 중 제1잠금기어(831)에 맞물려, 상기 제1잠금기어(8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811)에는 잠금기어(831,8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831,835)는 상기 잠금모터(82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831,835)는 복수의 기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기어(831,835)에는 상기 모터축(822)에 맞물려 회전하는 제1잠금기어(831)와, 상기 제1잠금기어(831)에 맞물려 상기 제1잠금기어(831)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잠금기어(83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잠금기어(831)와 상기 제2잠금기어(835)는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잠금기어(831)에는 센싱돌부(8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눌러, 상기 잠금센서(860)가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862는 상기 센싱돌부(833)에 의해 눌리게 되는 상기 잠금센서(860)의 버튼부(877)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잠금기어(835)에는 구동돌부(8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돌부(837)는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표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돌부(837)는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에 맞물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회전운동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돌부(837)는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링크단(842)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기어(831,835)는 하나의 기어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센싱돌부(833)와 상기 구동돌부(837)는 모두 하나의 기어에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잠금기어(831,835)가 3개 이상의 기어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복수의 기어들은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모터(82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잠금기어(835)에는 구동슬라이더(8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는 상기 제1작동경로(81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는 상기 제1작동경로(813)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일단부는 상기 제2잠금기어(835)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래치(85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어 래치(8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일단부에는 링크단(8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단(842)은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링크단(842)의 저면에는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구동돌부(837)가 끼워지는 링크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돌부(837)는 원호형상의 링크슬롯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타단부에는 구동헤드(8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래치(850)와 간섭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 하부로 파고들어 상기 래치(850)의 한쪽을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한쪽이 들어올려지면 반대쪽은 내려가게 되는데, 이처럼 내려가는 쪽에 상기 잠금헤드(85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구동헤드(845)의 표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일 수 있다. 즉, 상기 구동헤드(845)는 말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 하부를 보다 쉽게 파고들 수 있다.
도 72을 보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와 상기 링크단(842)은 서로 높이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헤드(845)는 상기 링크단(842) 보다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단(842)은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헤드(845) 보다 높게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전방에는 래치(8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일부는 상기 제1작동경로(81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가 회전되면, 그 과정에서 래치(850)의 앞부분에 구비된 잠금헤드(855)가 아래쪽을 향하거나, 상기 잠금헤드(855)가 위쪽으로 들릴 수 있다.
상기 래치(850)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홀(379)에 걸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850)는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홀(379)에서 벗어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래치(850)는 상기 잠금버튼(870) 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잠금버튼(870)은 상기 래치(850) 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도어(300)에 구비된 잠금몸체(378)의 누름면(378a)에 눌릴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일단에는 간섭단(8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섭단(851)은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와 간섭되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들어올리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가 상기 간섭단(851)의 하부를 들어 올릴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회전홈부(852)에는 래치회전축(853)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치회전축(853)은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형성된 래치회전홀(814)에 끼워져, 상기 래치(850)의 회전중심축이 될 수 있다. 상기 래치(850)의 회전홈부(852)가 상기 제1작동경로(813) 안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래치회전축(853)은 상기 제1작동경로(813)의 바깥쪽에서 상기 래치회전홀(814)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회전홈부(85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래치(850)에는 복귀스프링(8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854)은 상기 래치회전축(853)에 끼워지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복귀스프링(854)은 상기 래치(850)의 잠금헤드(855)가 들리는 방향, 즉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치(85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상기 래치(850)와 간섭되어 래치(850)를 내리지 않을 때에는 상기 래치(850)의 상기 잠금헤드(855)는 들어올려진 상태인 잠금해제상태가 된다.
도 73과 도 74에는 상기 잠금헤드(855) 부분이 들어올려진 상태, 즉 잠금해제상태일 때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후방으로 후퇴하면, 상기 래치(850)의 앞부분인 잠금헤드(855)는 들어올려진다. 상기 래치(850)에는 상기 복귀스프링(854)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을 들어올리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도 74에서 보듯이, 이처럼 잠금해제상태일 때,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누르지 않는다. 동시에,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구동돌부(837, 도 74에는 미도시)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링크단(842)도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도 후퇴하여,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과 이격된다.
도 75과 도 76에는 상기 잠금헤드(855) 부분이 내려간 상태, 즉 잠금상태일 때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전방으로 전진하면, 상기 래치(850)의 앞부분인 잠금헤드(855)는 내려가게 된다. 상기 복귀스프링(8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전진하면, 상기 구동슬라이더(840)가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을 들어올려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도 76를 보면, 닫힘버튼(870)이 도어(300)에 눌려 후퇴(화살표①방향)하면, 상기 닫힘센서(88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닫힘센서(880)의 신호가 메인제어부(700)에 전달되어,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잠금모터(8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잠금모터(820)가 동작되면, 상기 잠금모터(820)는 상기 제1잠금기어(831)를 일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잠금기어(831)에 맞물린 상기 제2잠금기어(835)는 타방향(화살표③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기어(835)가 회전하면, 상기 제2잠금기어(835)의 구동돌부(837, 도 76에는 미도시)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링크단(842)도 전방(화살표④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구동슬라이더(840)의 구동헤드(845)도 전진하여, 상기 래치(850)의 간섭단(851)의 밑으로 파고든다. 이에 따라 상기 간섭단(851)의 반대편인 잠금헤드(855)는 아래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헤드(855)는 상기 잠금홀(379)에 걸리게 된다.(도 70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눌러 잠금상태를 감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돌부(833)는 상기 잠금센서(860)를 눌러, 상기 잠금센서(860)가 상기 제1잠금기어(831)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이러한 잠금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잠금모터(820)의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1회전하면 상기 센싱돌부(833)가 상기 잠금센서(860)를 누를게 된다. 즉, 상기 제1잠금기어(831)가 1회전하면 상기 센싱돌부(833)는 원위치하여 상기 잠금센서(860)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77와 도 78을 보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회전홈부(852)를 중심으로 상기 간섭단(851)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간섭단(85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간섭단(851)이 상기 구동헤드(845)에 의해 들어올려지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반대로 상기 복귀스프링(854)에 의해 상기 간섭단(851)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위쪽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의 일단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잠금헤드(855)는 헤드체결구(857)에 의해 상기 래치(850)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상기 래치(850)에서 풀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래치(8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도 78을 보면, 상기 래치(850)의 앞부분에는 래치홈(8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홈(854)에는 상기 잠금헤드(855)의 헤드결합부(856)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래치홈(854)과 상기 헤드결합부(856)는 모두 상기 래치(850)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 즉 상기 회전홈부(852)와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래치홈(854)에 상기 헤드결합부(856)가 끼워지면, 상기 래치(8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제1해제홀(854a)과, 상기 잠금헤드(855)에 형성된 제2해제홀(855a)이 서로 연속될 수 있다. 이렇게 연속된 제1해제홀(854a)과 제2해제홀(855a)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볼트인 경우에,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회전하여 상기 제1해제홀(854a)과 제2해제홀(855a)에 조여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분리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해될 수 있다.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분리되고, 상기 헤드결합부(856)가 상기 래치홈(854)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상기 잠금헤드(855)가 이동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래치(850)에서 분리된다.
상기 잠금헤드(855)는 긴급한 상황에서 도어잠금장치(8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의 작동중에 상기 조리기기가 이상동작을 하거나, 절전이 되어 상기 도어(300)를 열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상기 도어(300)를 임의로 개방할 필요가 있다. 이럴 때, 사용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풀고, 상기 잠금헤드(855)를 분리하여 도어(300)를 잠금해제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79을 보면,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전방(화살표①방향)으로 분리되면, 상기 잠금헤드(855)는 왼쪽(화살표②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잠금헤드(855)가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잠금홀(379)에 걸리면 상기 도어(300)가 잠금상태가 되는데, 상기 잠금헤드(855)가 도어잠금장치(800)에서 분리되면 자연스럽게 잠금해제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70)의 잠금홀(379)은 상기 잠금헤드(855)가 걸리는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잠금헤드(855)가 분리된 후에 이동되는 경로가 될 수도 있다. 도 79에는 상기 잠금헤드(855)는 상기 래치(850)에서 분리된 후에 상기 잠금홀(379)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풀고 나서 상기 잠금헤드(855)를 쉽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잠금헤드(855)가 분실될 위험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헤드체결구(857)는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도 71를 보면,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상기 도어(300)의 상단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 사이에서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의 상단과 상기 컨트롤러(500)의 하단 사이의 높이는 상기 헤드체결구(857)의 직경과 같거나 약간 더 넓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면에서 이를 바라보지 않는다면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300)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에서 상기 헤드체결구(857)가 노출되면,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체결구(857)를 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헤드(855)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가 도어(300)를 걸어 고정시킨 상태가 해제되어, 잠금해제상태로 변경된다.
다시 도 71와 도 72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잠금장치(800)에는 닫힘버튼(8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도어(300)가 닫힌 상태인지 또는 열린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잠금하우징(810)의 제2작동경로(815)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의 일부는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은 상기 전면프레임(280)의 버튼홀(E2, 도 67 참조)을 통해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은 도어(300)의 후면에 눌릴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의 전단부가 상기 도어(300)에 눌려 후퇴하면, 상기 닫힘버튼(870)의 타단부는 닫힘센서(880)를 눌러 도어(300)의 닫힘을 감지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8에는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인 눌림단(875)이 상기 잠금몸체(378)의 누름면(378a)에 눌리기 전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69에는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인 눌림단(875)이 상기 잠금몸체(378)의 누름면(378a)에 눌려 후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래치(850) 보다 상기 케이스(100,200)의 좌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100,20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닫힘버튼(870)은 상기 래치(850) 보다 왼쪽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시선에서 상대적으로 먼 쪽에 상기 닫힘버튼(870)을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닫힘버튼(870)의 앞부분에는 도어(300)에 의해 눌리는 눌림단(8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눌림단(875)은 상기 도어(300)에 의해 눌리는 전면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닫힘버튼(870)의 뒷부분에는 상기 닫힘센서(880)를 누르는 버튼부(87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877)에는 버튼스프링(879)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버튼스프링(879)은 상기 닫힘버튼(870)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상기 닫힘버튼(87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튼스프링(879)의 일단은 상기 버튼부(877)에 걸려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잠금하우징(810)에 지지될 수 있다.
도면부호 882는 상기 버튼부(877)에 의해 눌리는 상기 닫힘센서(880)의 닫힘감지버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닫힘감지버튼(882)은 상기 버튼부(877)의 말단에 의해 눌릴 수도 있으나, 상기 버튼부(877)의 앞단에 구비된 단차에 의해 눌릴 수도 있다. 도 76를 보면, 상기 닫힘버튼(870)이 도어(300)에 의해 눌려 후퇴하는 방향이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80 내지 도 87를 참조하여 상기 조명모듈(9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캐비티(S1)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상기 캐비티(S1)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케이스(100,2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전장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전장실(S2)의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되는 조명가이드(910)와, 상기 조명가이드(910)에 의해 둘러싸이는 조명장치(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조명장치(920)를 둘러싸고, 외부의 열이 상기 조명장치(920)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조명모듈(90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조명모듈(900)의 케이스로 볼 수도 있다.
도 80을 보면,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직접 배치되거나,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결합되는 가이드덕트(25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관통하여 상기 어퍼케이스(240)에까지 연장되는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된다.
이처럼 상기 조명모듈(900)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배치되면,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 즉 제3공기유로(AC3, 공기배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캐비티(S1)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고온에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공기를 통해 지속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가이드부(250b)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상기 조명모듈(9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과 상기 조명모듈(900)은 모두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고, 이는 결국 조리기기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조명모듈(900)이 상기 어퍼케이스(240)의 좌우폭 방향 중심에 배치되면,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캐비티(S1)의 중심을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1)의 중심으로 빛이 조사되면, 캐비티(S1)의 어느 한쪽이 더 밝거나 어둡지 않고 고르게 빛이 퍼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캐비티(S1) 내부의 조리물을 보다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모듈(900)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조명모듈(900)의 길이방향(도 80을 기준으로 경사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는 K3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조명모듈(900)이 비스듬하게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덕트(250)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명모듈(900)의 좌우를 지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모듈(900)이 장착되는 조명체결부(255)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연장선에 대해 20도 내지 40도 사이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존재로 인해 가이드덕트(250)를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줄어드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체결부(255)가 이처럼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면, 상기 배기구(282)의 위치별 공기 토출량의 편차가 줄어들 수 있다.
도 81와 도 82에는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고정되는 조명모듈(900)의 조명가이드(910)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골격은 가이드몸체(911)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입체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 즉 상기 제3공기유로(AC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로부터 상기 도어(300)를 향한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공간(S2)의 전방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상기 상부공간(S2)의 중심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상부공간(S2)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좌우폭 보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상부와 하부가 각각 곡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대략 타원형상의 평면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명가이드(910)의 구조는 상기 제3공기유로(AC3)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양쪽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도 80의 상하방향 연장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도 80를 기준으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조명가이드(910)에 의한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다. 즉,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공기의 배출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됨에 따라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어드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을 따라 20° 내지 40° 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블레이드(417)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조명가이드(91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팬블레이드(417)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아래 표1은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단위: °)에 따른 유량(단위: CMM, Cubic Meter per Minute)과, 압력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유량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의해 배출되어 배기구(282)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압력표준편차는 상기 배기구(282)의 좌측단, 중심부, 우측단에서 각각 배출되는 공기에 의한 압력의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경사각 유량 압력표준편차
5 1.55 3.14
10 1.49 2.99
15 1.68 1.54
20 2.21 1.15
25 2.29 1.18
30 2.24 1.14
35 2.25 1.21
40 2.22 1.25
45 1.71 2.02
50 1.54 2.89
55 1.34 3.55
60 1.31 3.78
65 1.19 3.91
70 1.23 4.22
위 표1에서 보듯이,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이 5° 내지 15°인 경우에, 유량은 적고 압력표준편차는 큰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이 45° 내지 70°인 구간에서 유량은 다시 적어지고, 압력표준편차는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팬블레이드(417)의 회전방향을 따라 20° 내지 40° 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때, 상대적으로 유량이 많고, 압력표준편차는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은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은 20° 내지 40°이면,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경사각은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방향과 같아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공간(256)은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를 향해 점점 넓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250a)의 내벽을 타고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은 상기 팬체결부(254)가 경사진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은 상기 냉각팬모듈(410)이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몸체부(250a)를 지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은 상기 팬블레이드(417)를 벗어난 위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선은 상기 토출공간(256)을 지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직접 상기 팬블레이드(417)를 향하지 않게 되고, 공기의 토출방향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 보다 상기 상부공간(S2)의 전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냉각팬모듈(410) 보다 상기 도어(300)와 마주보는 상기 전면프레임(280)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가이드(910)와 상기 냉각팬모듈(410)의 사이에 충분한 공기유동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가이드(910)과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장실(S2)의 중심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가이드(910)과 상기 냉각팬모듈(410)은 모두 상기 전장실(S2)의 좌우폭방향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냉각팬모듈(410)이 배출하는 공기는 조리실(S2)의 전방으로 고르게 유동할 수 있고, 조명모듈(900)이 조사하는 빛은 캐비티(S1)의 내부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중심에는 가이드공간(9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상기 조명가이드(91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상부는 전장실(S2) 내부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하부는 상기 캐비티(S1)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명하우징(921), 조명기판(930) 등의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장공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장공형상이란, 좌우 폭 방향 보다 전후 깊이 방향이 더 긴 것을 의미한다. 좌우 폭 방향은 조리기기의 좌우 방향을 나태나는 것으로 도 1의 Y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전후 깊이 방향은 조리기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것을 기준으로 한 것으로, 도 1의 X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어느 정도 여유공간을 두고 상기 조명장치(920)의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하단은 상기 제3공기유로(AC3)인 공기배출유로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명가이드(910)는 상기 제3공기유로(AC3)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부나 하부로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측면을 지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단에는 가이드고정편(91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고정편(913)은 상기 조명가이드(910)를 상기 가이드덕트(250)에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고정편(913)이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상면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입구에는 가이드단차(도면부호 미부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단차(914)는 걸림리브(917)로부터 상기 가이드공간(912)의 안쪽을 향해서 점점 폭이 좁아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단차(914)는 상기 조명장치(920)가 상기 가이드공간(912)에 삽입될 때 가이드역할을 할 수 있고, 상기 걸림리브(917)의 주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측면에는 평면부(9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914)는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81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평면부(914)는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측면에 직선구간을 만들 수 있다. 상기 평면부(914)에 의해 상기 가이드공간(912)은 전체적으로 장공형상이 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표면 중에서 상기 냉각팬모듈(410)을 향한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곡면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위쪽, 즉 상기 냉각팬모듈(410)을 향하는 상기 가이드몸체(911)의 전면에는 곡면부(915)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냉각팬모듈(410)에 의해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토출공간(256)의 출구(256a)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915)는 한 쌍의 상기 평면부(914)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표면이 곡면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표면을 유선형으로 만들어, 상기 제3공기유로(S3)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만들 수 있다. 도 81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곡면부(915)는 대략 반원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이와 다르게는, 상기 곡면부(915)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전방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걸림리브(91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917)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리브(917)는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걸림리브(917)는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조명가이드(910)가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배치되면, 상기 걸림리브(917)가 상기 조명체결부(255)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리고,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어퍼케이스(240)의 상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몸체(911)는 상기 가이드덕트(250)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제3공기유로(AC3)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83에는 조명장치(9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명장치(920)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가이드공간(912)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92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S1) 내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920)에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광원(935)이 구비된 조명기판(930)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조명기판(930)은 상기 전장실(S2)을 향해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조명장치(920)의 골격은 조명하우징(921)이 형성할 수 있다. 도 84와 도 85에서 보듯이, 상기 조명하우징(921)은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는 상기 조명가이드(910)의 가이드공간(912)에 의해 둘러싸이고, 하부 중 일부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고정을 위한 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조명고정브라켓(922)과, 삽입몸체(923)가 상기 조명하우징(921)을 상기 조명체결부(255)에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과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과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양단에 서로 이격되게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에는 체결구가 조립되는 조명고정홀(922a)이 형성되어,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은 상기 조명하우징(921)으로부터 대략 L자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과 함께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되어, 상기 조명하우징(921)이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이 체결구로 고정되기에 앞서,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을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가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삽입몸체(923)는 상기 조명고정브라켓(922) 보다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다.
도 85에는 도 84와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보듯이,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삽입몸체(923)가 생략되고, 한 쌍의 조명고정브라켓(922,923')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조명고정브라켓(922,923')은 각각 조명고정홀(922a, 923a)을 가지고, 서로 다른 체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어퍼케이스(2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는 광원장착부(9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장착부(924)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 함몰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명기판(93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제1기판고정부(926)와 제2기판고정부(927)가 구비되어, 상기 조명기판(93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에는 조명홀(925)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조명홀(925)은 상기 조명하우징(92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조명홀(925)은 상기 조명기판(930)의 광원(935)이 통과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조명홀(925)은 원형구조일 수 있다. 도 84에서 보듯이, 상기 조명홀(925)의 일단은 상기 광원장착부(924)에 개방될 수 있다.
도 85을 참조하면, 상기 조명홀(925)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홀더(92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조명홀(925)을 둘러, 아래쪽 즉 캐비티(S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광원(935)에 연결되는 광가이드(940)의 일부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말단에는 후크단부(925a')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조명홀(925)을 감싸는 복수의 가이드홀더(925a)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홀더(925a)들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각각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외팔보구조이므로, 상기 광가이드(940)와의 결합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탄성변형되었다가 광가이드(940)와 결합된 후에 복원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일단은 상기 광원장착부(924)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타단은 하방으로 연장되는 자유단부가 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복수의 가이드홀더(925a)들로 구성되되, 그 중 일부의 가이드홀더(925a)에만 후크단부(925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5을 보면, 총 4개의 가이드홀더(925a) 들 중에서 두 개의 가이드홀더(925a)들은 상기 후크단부(925a')를 갖지만, 나머지 두 개의 가이드홀더(925a)는 후크단부(925a')가 생략되는 것이다. 도 86를 보면, 상기 후크단부(925a')가 상기 광가이드(940)의 걸림홈(943)에 끼워질 수 있다. 한편 도 87를 보면, 상기 후크단부(925a')가 없는 두 개의 가이드홀더(925a)들은 상기 걸림홈(943)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말단인 후크단부(925a')는 상기 조명홀(925)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된 후크단부(925a')는 아래에서 설명될 광가이드(940)의 걸림홈(94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말단부인 후크단부(925a')가 상기 걸림홈(943)에 끼워지면, 상기 광가이드(940)는 아래쪽, 즉 캐비티(S1) 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는 제1기판고정부(926)와 제2기판고정부(92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와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는 상기 조명기판(930)의 가장자리를 각각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와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는 상기 조명홀(925)을 중심에 두고 상기 조명홀(925)의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내측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명기판(930)의 상면 일부를 덮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는 외팔보구조로, 상기 조명기판(930)의 상면을 걸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은 먼저 한쪽이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에 걸린 상태로 반대쪽이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에 걸릴 수 있다.
도 84와 도 87를 보면, 상기 조명홀(925)에는 상단지지부(92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조명홀(925)의 내면에서 상기 조명홀(925)의 직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에 닿아,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이 상기 상단지지부(925b)에 지지되면, 상기 광가이드(940)는 위쪽, 즉 상기 조명기판(930) 방향으로 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은 상기 조명기판(930)의 광원(935)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7를 보면, 상기 상단지지부(925b)가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을 지지하고 있다. 복수개의 상기 상단지지부(925b)들이 상기 조명홀(925)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상단지지부(925b)들은 상기 조명홀(925)의 내주면을 둘러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단지지부(925b)들은 각각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광가이드(940)가 어느 한 방향으로 치우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 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 위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상단지지부(925b)는 상기 광원(935)이 구비된 조명기판(930)과,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5에서 보듯이,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바깥쪽에는 실링공간(9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은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표면과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내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은 아래쪽, 즉 상기 캐비티(S1)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실링블럭(9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홀더(925a)를 상기 조명홀(925)의 중심방향, 즉 상기 광가이드(94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부에는 조명기판(9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은 빛을 조사하는 광원(9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에는 상기 광원(935)이 구비되어, 상기 조명홀(925)을 통해 아래쪽, 즉 캐비티(S1)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935)은 복수개일 수도 있다. 본 실시레에서 상기 광원(935)은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된다. 다른 예로는, 상기 광원(935)은 할로겐 램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에는 광원부품(9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품(931)은 콘덴서와 같은 전자부품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품(931)은 상기 조명기판(93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품(931)은 한 개 또는 복수개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광원부품(931)은 상기 광원(935)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조명기판(930)의 고정을 위한 부품일 수도 있다.
상기 조명기판(930)에는 기판홀(932)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기판홀(932)은 상기 조명기판(930)을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상면에 체결구로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홀(932)에는 별도의 체결구(미도시)가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기판홀(932)이 생략되고, 상기 조명기판(930)은 상기 제1기판고정부(926)와 상기 제2기판고정부(927)로만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하부에는 광가이드(940)가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상기 광원(935)의 빛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일단부가 상기 광가이드(940)와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타단부는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상기 광가이드(940)로부터 빛을 전달받아 상기 캐비티(S1)의 내부로 빛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가이드(940)는 석영재질일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티(S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광가이드(940)는 다각기둥 형태이거나, 단순한 평판 형태의 광가이드(940)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광가이드(940)는 생략되고, 상기 광원(935)의 빛이 상기 캐비티(S1)에 직접 조사될 수도 있다.
상기 광가이드(940)에는 걸림홈(9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측면을 둘러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943)에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가 끼워질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림홈(943)에는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후크단부(925a')가 끼워져, 상기 광가이드(940)가 아래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원(935)과 마주보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부(941)와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둘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걸림홈(943)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실링공간(928)에는 실링블럭(95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광가이드(940)의 주변을 감싸, 상기 광가이드(94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캐비티(S1) 내부의 고열이 상기 광가이드(940)를 통해 상기 조명기판(930)에 전달되는 양을 줄이는 일종의 단열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캐비티(S1) 내부의 습기나 이물질이 상기 조명기판(930)에 전달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블럭(950)은 실리콘재질 또는 고무재질일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전체가 하나의 탄성재질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일부만 탄성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도 86를 보면, 상기 실링블럭(950)이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된 실링블럭(950)은 상기 가이드홀더(925a)를 상기 조명홀(925)의 중심방향, 즉 광가이드(940)의 표면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대략 외팔보 구조이므로, 상기 실링블럭(950)에 의해 광가이드(940)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더(925a)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표면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홀더(925a)의 후크단부(925a')는 상기 광가이드(940)의 걸림홈(943)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의 두께는 상기 실링공간(928)의 폭 보다 클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실링블럭(950)은 상기 실링공간(928)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실링공간(928)의 폭과 오버랩되는 만큼 상기 가이드홀더(925a)를 광가이드(940) 방향으로 가압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광가이드(940)가 상기 조명하우징(921)에 먼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블럭(950)이 상기 조명하우징(921)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블럭(950)은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의 중심에는 상기 광가이드(940)가 통과하는 가이드관통홀(9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을 통해서 상기 광가이드(940)의 상부(941)가 상기 조명홀(92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5을 보면,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의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의 중심을 향해서 가압돌부(959)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부(959)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의 직경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압돌부(959)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에 삽입된 상기 광가이드(940)의 표면을 가압해줄 수 있다.
도 84를 보면, 상기 실링블럭(950)에는 상기 가이드관통홀(954)을 측방으로 개구시키는 탄성변형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실링블럭(950)의 측면 일부가 생략되어 형성된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다. 상기 탄성변형부는 상기 실링블럭(950)이 상기 실링공간(928)에 압입될 때 탄성변형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실링블럭(950)의 하부에는 블럭서포트(9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럭서포트(952)는 상기 실링블럭(950)의 상부 보다 넓이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블럭서포트(952)는 상기 조명하우징(921)의 하단에 걸려 상기 실링블럭(950)의 조립깊이를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블럭서포트(952)는 상기 실링공간(928)의 입구 주변에 지지된다고 볼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너케이스 120: 개구부
130: 하부프레임 150: 제1열원모듈
160: 제2열원모듈 170: 제3열원모듈
200: 아웃케이스 210: 바텀케이스
215: 바닥돌기 220: 리어케이스
230: 리어커버 240: 어퍼케이스
242: 연결홀 243: 탱크장착부
250: 가이드덕트 250a: 몸체부
250b: 가이드부 254: 팬체결부
255: 조명체결부 260: 어퍼커버
265: 공기입출부 266: 차단판
270: 사이드커버 272: 사이드관통홀
280: 전면프레임 280a: 컷아웃부
282: 배기구 300: 도어
310: 손잡이 370: 도어프레임
378: 잠금몸체 379: 잠금홀
410: 냉각팬모듈 420: 프론트패널
421: 패널고정부 422: 캠돌출구
424: 출입구 424a: 상부가이드
424b: 하부가이드 424c: 측부가이드
425: 제1포켓부 450: 물탱크
455: 제2포켓부 460: 탱크하우징
467a,467: 장착브라켓 469: 탱크센서
480: 개방장치 481: 개방하우징
484: 개방모터 485: 캠부
490: 개방센서 500: 컨트롤러
510: 메인하우징 511: 하우징펜스
512: 부품장착부 520: 힌지결합부
521: 제1힌지결합부 525: 제2힌지결합부
530: 컨트롤패널 550: 커버프레임
552: 커버펜스 555: 힌지조립구
590: 에어가이드 600: 힌지모듈
610: 힌지하우징 620: 구동암
621: 제1구동암 623: 제2구동암
625: 연결블럭 640: 힌지센서
670: 와이어커버 700: 메인제어부
800: 도어잠금장치 810: 잠금하우징
820: 잠금모터 831,835: 잠금기어
840: 구동슬라이더 850: 래치
855: 잠금헤드 857: 헤드체결구
870: 닫힘버튼 880: 닫힘센서
900: 조명모듈 910: 조명가이드
920: 조명장치 921: 조명하우징
930: 조명기판 935: 광원
950: 실링블럭

Claims (26)

  1.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를 걸어 잠금상태로 만드는 도어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잠금하우징;
    상기 잠금하우징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도어의 잠금홀에 걸리고,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잠금홀에서 벗어나는 래치;와
    상기 잠금하우징에 상기 래치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의 후면에 눌려 상기 잠금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닫힘버튼;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하우징은 상기 캐비티와 구획된 상기 케이스의 상부공간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잠금하우징에 입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잠금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 눌려 상기 잠금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조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닫힘버튼 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후면에는 상기 닫힘버튼을 향해 잠금몸체가 돌출되고, 상기 잠금몸체에는 상기 래치가 걸리는 상기 잠금홀이 개구되는 조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부에는 도어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잠금몸체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잠금몸체의 중심에는 상기 잠금홀이 상방으로 개구되고, 상기 잠금몸체에서 상기 잠금홀의 좌측 또는 우측에는 평면형상의 누름면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누름면은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평행한 평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잠금홀의 입구는 상기 누름면의 상단 보다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잠금홀의 입구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면과 같은 높이를 갖는 조리기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케이스를 향해 하향경사지는 경사면이 있고, 상기 잠금몸체는 상기 경사면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의 경사면에는 상기 잠금몸체와 이격되어 도어배기구가 상방으로 개구되는 조리기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래치 보다 상기 케이스의 좌우 폭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는 전면프레임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프레임의 상부에는 상기 래치가 돌출되는 래치홀과, 상기 닫힘버튼이 돌출되는 버튼홀이 각각 형성되는 조리기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하우징에는
    상기 래치가 배치되는 제1작동경로;와
    상기 제1작동경로의 일측에 상기 제1작동경로와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닫힘버튼이 배치되는 제2작동경로;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하우징에는
    잠금모터;
    상기 잠금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부에는 구동돌부가 돌출되는 잠금기어;
    상기 잠금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돌부에 연결되는 링크단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돌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잠금하우징 내부에서 직선이동하는 구동슬라이더;와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단부는 상기 잠금하우징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잠금홀에 걸리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슬라이더에 간섭되는 상기 래치;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잠금하우징에는 상기 잠금기어가 배치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간은 상기 래치가 배치되는 제1작동공간과 연결되는 조리기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링크단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구동슬라이더의 일단에는 구동헤드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헤드는 상기 래치의 타단부에 구비된 간섭단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래치의 일단부에 구비된 잠금헤드가 상기 잠금홀에 걸린 상태를 유지시키는 조리기기.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어는
    상기 래치의 회전축과 직교한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잠금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잠금기어;와
    상기 제1잠금기어에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제1잠금기어의 회전축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상부에는 상기 구동돌부가 돌출되는 제2잠금기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링크단은 상기 제2잠금기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잠금기어의 상면을 향한 상기 링크단의 저면에는 상기 구동돌부가 삽입되는 링크슬롯이 함몰되며, 상기 링크슬롯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기어의 상부에는 상기 제1잠금기어의 중심에서 편심된 위치에 센싱돌부가 돌출되고, 상기 제1잠금기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싱돌부는 상기 잠금하우징에 배치된 잠금센서를 동작시키는 조리기기.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기어가 1회전하면 상기 센싱돌부는 원위치하여 상기 잠금센서를 동작시키는 조리기기.
  2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닫힘버튼은
    상기 상부공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눌림단;
    상기 눌림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끼워지는 버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닫힘버튼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버튼부는 닫힘센서를 눌러 동작시키는 조리기기.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는 컨트롤러가 배치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컨트롤러의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컨트롤러의 하단과 상기 도어의 상단 사이의 높이로 배치되는 조리기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간에는 탱크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탱크챔버에는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물탱크가 수납되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탱크챔버의 입구를 개방시키는 조리기기.
  25. 내부에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와 구획된 상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상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를 걸어 잠금상태로 만드는 도어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잠금장치는
    상기 상부공간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도어의 잠금홀에 걸리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일측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의 후면에 눌려 상기 상부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는 닫힘버튼;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6. 내부에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와 구획된 상부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고, 잠금홀이 개구되는 도어;
    상기 상부공간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회전하면서 상기 잠금홀에 걸리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일측에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의 후면에 눌려 상기 상부공간의 내부로 삽입되는 닫힘버튼;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20096313A 2022-08-02 2022-08-02 조리기기 KR20240018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313A KR20240018275A (ko) 2022-08-02 2022-08-02 조리기기
US18/228,927 US20240044503A1 (en) 2022-08-02 2023-08-01 Cooking appliance
EP23189174.8A EP4317799A1 (en) 2022-08-02 2023-08-02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313A KR20240018275A (ko) 2022-08-02 2022-08-0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275A true KR20240018275A (ko) 2024-02-13

Family

ID=8755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313A KR20240018275A (ko) 2022-08-02 2022-08-0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44503A1 (ko)
EP (1) EP4317799A1 (ko)
KR (1) KR2024001827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0382B1 (de) 2006-05-24 2018-08-29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mit einer Türverriegelung
US20200009929A1 (en) 2018-07-06 2020-01-09 Snap-On Incorporated Tire lever
KR102280927B1 (ko) 2014-06-10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0153A (en) * 1992-05-01 1993-06-15 France/Scott Fetzer Company Motorized range lock
ITTO20050177A1 (it) * 2005-03-17 2006-09-18 Eltek Spa Dispositivo di blocco-porta per un apparato per un apparato elettrodomestico, particolarmente un forno
IT201600127578A1 (it) * 2016-12-16 2018-06-16 Eltek Spa Dispositivo di blocco-porta per un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particolarmente un forno
KR102573765B1 (ko) 2018-07-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KR20220096313A (ko) 2020-12-31 2022-07-07 (주)아이윈 에어컨 청소로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0382B1 (de) 2006-05-24 2018-08-29 Miele & Cie. KG Haushaltsgerät mit einer Türverriegelung
KR102280927B1 (ko) 2014-06-10 2021-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US20200009929A1 (en) 2018-07-06 2020-01-09 Snap-On Incorporated Tire le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44503A1 (en) 2024-02-08
EP4317799A1 (en) 202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857B2 (en) Electric oven with door cooling structure
KR102280927B1 (ko) 오븐
US20150007806A1 (en) Range having an adjustable rear panel
KR20240018275A (ko) 조리기기
KR20240018276A (ko) 조리기기
KR20240018266A (ko) 조리기기
KR20240018273A (ko) 조리기기
KR20240018269A (ko) 조리기기
KR20240018272A (ko) 조리기기
KR20240018270A (ko) 조리기기
KR20240018274A (ko) 조리기기
KR20240018267A (ko) 조리기기
KR20240018265A (ko) 조리기기
KR20240018268A (ko) 조리기기
KR20240018271A (ko) 조리기기
KR20240018338A (ko) 조리기기
KR20240018264A (ko) 조리기기
EP3805644B1 (en) Cooking appliance
EP4317803A1 (en)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n openable panel unit
KR20240041482A (ko) 조리기기
CN218572032U (zh) 烹饪器具的门组件及烹饪器具
US20230243512A1 (en) Oven handle locators for controlling door appearance
KR20240029981A (ko) 조리기기
KR19990084890A (ko) 복합전자렌지
KR20060075155A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