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456A -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456A
KR20150141456A KR1020140070207A KR20140070207A KR20150141456A KR 20150141456 A KR20150141456 A KR 20150141456A KR 1020140070207 A KR1020140070207 A KR 1020140070207A KR 20140070207 A KR20140070207 A KR 20140070207A KR 20150141456 A KR20150141456 A KR 20150141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ntioxidant
aluminum
rubber
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8073B1 (ko
Inventor
이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70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073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3Compounds containing sulfur bound to nitrogen
    • C08K5/44Sulfen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4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 C08K5/4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in the ring with oxygen or nitrogen in the ring
    • C08K5/47Th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 소자 부문, 반도체용 웨이퍼 및 LCD 도광판의 이송, 세정, 검사 및 박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은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고무기지,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 촉진제 및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및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합금베이스로 이루어지며, 표면경도가 낮아 이송 물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유발하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롤러로 적용된 후에는 경화나 균열현상이 억제된다.

Description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SYNTHETIC RUBBER COMPOSITION FOR MULTIPURPOSE ROLL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PURPOSE ROLLER USING THE SYNTHETIC RUBBER COMPOSITION}
본 발명은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경도가 낮아 이송물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유발하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롤러로 적용된 후에는 경화나 균열현상이 억제되어 태양광 소자 부문, 반도체용 웨이퍼 및 LCD 도광판의 이송, 세정, 검사 및 박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소자 부문, 반도체용 웨이퍼 및 LCD 도광판의 이송, 세정, 검사 및 박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롤러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태양광 소자 부문, 반도체용 웨이퍼 및 LCD 도광판을 이송하는데 사용되는 롤러의 경우 반도체 웨이퍼나 LCD 도광판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경도가 낮은 성분이 사용되어야 하는데, 종래에 롤러는 경도가 비교적 높아 이송 중에 롤러와의 마찰로 인해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롤러가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에 고무롤러는 내화학성 및 내후성이 취약하여 일정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반도체 웨이퍼나 LCD 도광판의 표면에 잔존하는 화학물질로 인해 고무롤러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고무자체에서 경화가 진행되어 경도가 향상하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경도가 낮아 이송물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유발하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롤러로 적용된 후에는 경화나 균열현상이 억제되어 태양광 소자 부문, 반도체용 웨이퍼 및 LCD 도광판의 이송, 세정, 검사 및 박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고무기지, 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 촉진제 및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및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합금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유기용매 합성제는 시클로헥실벤조 티아졸이며, 상기 고무탈취제는 디벤조티아질디설파이드이고, 상기 가스 착취제는 메르캅토벤조티아졸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황제는 술펜아마이드이며, 상기 증점제는 규소산화물이고, 상기 대전방지제는 스티아라미드오프로필이며, 상기 보강충전제는 경탄소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을 사이즈 별로 절단하는 알루미늄절단단계, 상기 알루미늄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알루미늄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를 거친 알루미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 상기 접착제도포단계를 통해 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을 사이즈별로 금형에 개재하는 알루미늄개재단계, 상기 알루미늄개재단계를 통해 금형 내에 개재된 알루미늄의 상부면에 합성고무 조성물을 적층한 후에 열압착하는 열압착단계 및 상기 열압착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냉각 및 가공하는 냉각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샌딩 또는 그라인딩 처리 후 약산과 알코올 혼합물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제도포단계는 알루미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20 내지 30분 동안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고무 조성물은 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및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 촉진제,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합금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고무기지에 첨가하고 진공용탕에서 180 내지 200℃의 온도로 5 내지 6시간 동안 합성하고, 합성된 합성물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18 내지 20시간 동안 안정화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열압착단계는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가공단계는 상기 열압착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상온으로 5 내지 6시간 동안 서냉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은 표면경도가 낮아 이송물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유발하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롤러로 적용된 후에는 경화나 균열현상이 억제되어 태양광 소자 부문, 반도체용 웨이퍼 및 LCD 도광판의 이송, 세정, 검사 및 박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롤러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은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고무기지, 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 촉진제 및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및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합금베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기지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의 기지가 되는 것으로,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지는데, 100%의 순도를 나타내는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촉진제는 화학 반응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데, 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용매 합성제는 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Cyclohexyl-benzothiazole)이 사용되며, 상기 고무탈취제로는 디벤조티아질디설파이드(Dibenzotiazyldisulf-ide)가 사용되고, 상기 가스 착취제로는 메르캅토벤조티아졸(Mercaptobenzothiazol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금베이스는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및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황제로는 술펜아마이드(Sulfennamide)가 사용되며, 상기 증점제로는 규소산화물이 상용되며, 상기 대전방지제로는 스티아라미드오프로필이 사용되고, 보강충전제로는 경탄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연금속산화물은 고무에 내열성을 부여하며 전기 도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아연금속산화물의 함량이 3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의 내열성이 급격히 감소하고 도전성이 상실되며, 상기 아연금속산화물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활성촉진이 너무 빨라 고무의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노화방지제는 자연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노화방지제의 함량이 2.1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노화방지제의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황제는 고무에 탄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가황제의 함량이 6 중량% 미만이면 상기 고무기지의 탄성이 저하되며, 상기 가황제의 함량이 8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고무기지의 가교성이 상실되어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점제는 규소산화물이 사용되는데,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탄성이 저하되며, 상기 증점제의 함량이 2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상기 고무기지와 상기 촉진제 및 상기 함금베이스 간의 반응시간에 길어져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며, 가공성을 개선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4.6 중량% 미만이면 공정시간이 증가하며, 상기 가소제의 함량이 5.6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의 유연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대전방지제는 스티아라미드오프로필로 이루어지며, 2 내지 4 중량%가 함유되는데,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대전방지효과가 미미하여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의 표면에서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량이 4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의 경화능(hard-enability)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정제는 안티몬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Aldol-α-naphthylamine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에 안정성과 산화방지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경화억제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무기지의 경화를 억제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상기 경화억제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경화억제 효과가 미미하여 이송 물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유발할 수 있며, 상기 경화억제제의 함량이 16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고무기지의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보강충전제는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의 내마모성과 인장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보강충전제의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내마모성 및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상기 보강충전제의 함량이 1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경도가 지나치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은 알루미늄을 사이즈 별로 절단하는 알루미늄절단단계(S101), 상기 알루미늄절단단계(S101)를 통해 절단된 알루미늄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S103), 상기 표면처리단계(S103)를 거친 알루미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S105), 상기 접착제도포단계(S105)를 통해 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을 사이즈별로 금형에 개재하는 알루미늄개재단계(S107), 상기 알루미늄개재단계(S107)를 통해 금형 내에 개재된 알루미늄의 상부면에 합성고무 조성물을 적층한 후에 열압착하는 열압착단계(S109) 및 상기 열압착단계(S109)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냉각 및 가공하는 냉각가공단계(S1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알루미늄절단단계(S101)는 알루미늄을 사이즈 별로 절단하는 단계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의 기재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열변형적이고 시효 처리한 재질로 선택하여 롤러가 적용될 부분에 맞도록 다영한 크기로 절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103)는 상기 알루미늄절단단계(S101)를 통해 절단된 알루미늄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로, 상기 알루미늄절단단계(S101)를 통해 절단된 알루미늄의 표면을 샌딩 또는 그라인딩 처리 후 약산과 알코올 혼합물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표면처리단계에서 약산을 사용하게 되면, 알루미늄의 표면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도포단계(S105)는 상기 표면처리단계(S103)를 거친 알루미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로, 알루미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20 내지 30분 동안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알루미늄과 상기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을 접착할 수 있는 금속고무 접착용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TH/XON사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개재단계(S107)는 상기 접착제도포단계(S105)를 통해 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을 사이즈별로 금형에 개재하는 단계로, 상기 접착제도포단계(S105)를 통해 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을 용도에 맞는 사이즈로 구분하여 압착금형의 하부금형에 개재하는 단계다.
상기 열압착단계(S109)는 상기 알루미늄개재단계(S107)를 통해 금형 내에 개재된 알루미늄의 상부면에 합성고무 조성물을 적층한 후에 열압착하는 단계로, 겔형태를 갖는 합성고무 조성물을 상기 알루미늄개재단계(S107)에서 개재된 알루미늄의 크기게 맞게 절단하여 상기 알루미늄의 상부면에 적층한 후에 130 내지 170℃온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압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열압착단계(S109)에서의 압력은 접착기능을 고려하여 최소 30t의 압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열온도가 130℃ 미만이면 기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가열온도가 170℃를 초과하게 되면 합성고무 조성물이 용융되어 충분한 평면상태의 형성이 불가능하다.
이때, 상기 합성고무 조성물은 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및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 촉진제,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합금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고무기지에 첨가하고 진공용탕에서 180 내지 200℃의 온도로 5 내지 6시간 동안 합성하고, 합성된 합성물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18 내지 20시간 동안 안정화하여 제조된다.
상기 냉각가공단계(S111)는 상기 열압착단계(S109)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냉각 및 가공하는 단계로, 상기 열압착단계(S109)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상온으로 5 내지 6시간 동안 서냉한 후에 냉각된 적층체를 건드릴이나 성형연마와 같은 정밀가공법으로 가공하는 단계다.
상기의 냉각가공단계(S111)에서 상기 적층체를 상온으로 서냉하는 이유는 알루미늄과 합성고무 조성물의 냉각속도 차이로 인한 박리현상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냉각가공단계(S111)를 거치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롤러의 제조가 완료되며,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다목적 롤러는 표면경도가 낮아 이송물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을 유발하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롤러로 적용된 후에는 경화나 균열현상이 억제되어 태양광 소자 부문, 반도체용 웨이퍼 및 LCD 도광판의 이송, 세정, 검사 및 박리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S101 ; 알루미늄절단단계
S103 ; 표면처리단계
S105 ; 접착제도포단계
S107 ; 알루미늄개재단계
S109 ; 열압착단계
S111 ; 냉각가공단계

Claims (7)

  1.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고무기지;
    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 촉진제; 및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및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합금베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 합성제는 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이며, 상기 고무탈취제는 디벤조티아질디설파이드이고, 상기 가스 착취제는 메르캅토벤조티아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황제는 술펜아마이드이며, 상기 증점제는 규소산화물이고, 상기 대전방지제는 스티아라미드오프로필이며, 상기 보강충전제는 경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4. 알루미늄을 사이즈 별로 절단하는 알루미늄절단단계;
    상기 알루미늄절단단계를 통해 절단된 알루미늄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단계를 거친 알루미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도포단계;
    상기 접착제도포단계를 통해 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을 사이즈별로 금형에 개재하는 알루미늄개재단계;
    상기 알루미늄개재단계를 통해 금형 내에 개재된 알루미늄의 상부면에 합성고무 조성물을 적층한 후에 열압착하는 열압착단계; 및
    상기 열압착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냉각 및 가공하는 냉각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샌딩 또는 그라인딩 처리 후 약산과 알코올 혼합물로 세척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착제도포단계는 알루미늄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20 내지 30분 동안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 조성물은 액상고무 2 내지 4 중량%, 유기용매 합성제 0.6 내지 1 중량%, 고무탈취제 1.5 내지 2.5 중량% 및 가스착취제 0.8 내지 1.1 중량%로 이루어진 촉진제, 아연금속산화물 3 내지 5 중량%, 노화방지제 2.1 내지 2.5 중량%, 가황제 6 내지 8 중량%, 증점제 15 내지 20 중량%, 가소제 4.6 내지 5.6 중량%, 대전방지제 2 내지 4 중량%, 안정제 2 내지 4 중량%, 산화방지제 8.5 내지 9.5 중량%, 경화억제제 15 내지 16 중량%, 보강충전제 15 내지 18 중량%로 이루어진 합금베이스로 이루어지는 성분을 우레탄고무로 이루어진 고무기지에 첨가하고 진공용탕에서 180 내지 200℃의 온도로 5 내지 6시간 동안 합성하고, 합성된 합성물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18 내지 20시간 동안 안정화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압착단계는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가공단계는 상기 열압착단계를 통해 제조된 적층체를 상온으로 5 내지 6시간 동안 서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KR1020140070207A 2014-06-10 2014-06-10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KR10164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07A KR101648073B1 (ko) 2014-06-10 2014-06-10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07A KR101648073B1 (ko) 2014-06-10 2014-06-10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456A true KR20150141456A (ko) 2015-12-18
KR101648073B1 KR101648073B1 (ko) 2016-08-12

Family

ID=55081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207A KR101648073B1 (ko) 2014-06-10 2014-06-10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0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4740A (zh) * 2016-08-16 2016-11-09 苏州市云林电子有限公司 一种高性能改性聚氨酯橡胶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752Y1 (ko) * 1983-02-25 1986-04-30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고무 로울러
KR960010263A (ko) * 1994-09-02 1996-04-20 이정식 고무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0164907B1 (ko) * 1994-12-26 1998-12-01 야자끼 아쯔히꼬 경하중용 동력식 롤러콘베이어
KR100224053B1 (ko) * 1995-10-31 1999-10-1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100458A (ko) 2004-04-14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KR20060058146A (ko) 2003-10-27 2006-05-29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Oa 용 도전성 고무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752Y1 (ko) * 1983-02-25 1986-04-30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고무 로울러
KR960010263A (ko) * 1994-09-02 1996-04-20 이정식 고무롤러 및 그 제조방법
KR0164907B1 (ko) * 1994-12-26 1998-12-01 야자끼 아쯔히꼬 경하중용 동력식 롤러콘베이어
KR100224053B1 (ko) * 1995-10-31 1999-10-15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58146A (ko) 2003-10-27 2006-05-29 야마우치 가부시키가이샤 Oa 용 도전성 고무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100458A (ko) 2004-04-14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4740A (zh) * 2016-08-16 2016-11-09 苏州市云林电子有限公司 一种高性能改性聚氨酯橡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073B1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0659B1 (en) Laminate, surface-protected article,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JP5797653B2 (ja) ポリマー接着用組成物
TWI400311B (zh) 壓敏性黏著劑組成物、壓敏性黏著板和使用彼之半導體晶圓背面研磨方法
KR102215668B1 (ko) 보호막 형성용 복합 시트, 보호막이 있는 칩 및 보호막이 있는 칩의 제조 방법
US20150255321A1 (en) Back grinding sheet
JP5887029B1 (ja) ダイボンド層形成フィルム、ダイボンド層形成フィルムが付着した加工物、および半導体装置
TWI626154B (zh) Thermally conductive sheet
JPWO2017145979A1 (ja) フィルム状接着剤複合シート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I599600B (zh) Film for protective film formation
KR101648073B1 (ko)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TW201546148A (zh) 保護膜、及使用該保護膜的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TW201708477A (zh) 樹脂膜形成用薄片、及樹脂膜形成用複合薄片
KR20180116926A (ko) 겉창과 중창 접착을 위한 고무조성물을 이용한 신발창의 제조방법
CN107880233B (zh) 一种用于动力电池粘接的聚氨酯胶黏剂的制备方法
CN108676512B (zh) 一种uv解粘抗酸保护膜
TW201428078A (zh) 保護膜形成用薄膜
KR101548971B1 (ko)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10519301B2 (en) Method of recycling rubber
KR100571354B1 (ko) 다목적 흡착 스테이지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WO2021100340A1 (ja) 複合積層体及び、接合体
CN106047250A (zh) 一种led显示屏用纳米金刚石改性的复合环氧灌封胶
CN106833485B (zh) 一种水性金属表面保护膜用液体可剥离胶的制备方法
CN111154432A (zh) 一种汽车用铝板粘接耐高温储存密封胶及其制备方法
KR101717183B1 (ko) 가스켓 일체형 실린더 헤드 커버 모듈
CN113056534B (zh) 表面保护薄膜及光学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