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971B1 -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971B1
KR101548971B1 KR1020130121285A KR20130121285A KR101548971B1 KR 101548971 B1 KR101548971 B1 KR 101548971B1 KR 1020130121285 A KR1020130121285 A KR 1020130121285A KR 20130121285 A KR20130121285 A KR 20130121285A KR 101548971 B1 KR101548971 B1 KR 101548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rimer layer
adhesion promoter
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528A (ko
Inventor
이재욱
김태균
김균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티엔드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티엔드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티엔드씨
Priority to KR102013012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7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력을 발현하는 접착제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 또는 접착 증진제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을 조성물 자체에 포함하기 때문에 별도의 프라이머 도포, 플라즈마 처리 등의 전처리 없이도 난접착 소재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필름형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정 감소, 설비 감축, 생산성 향상, 생산 비용 및 불량률이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Film typ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primer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력을 발현하는 접착제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 또는 접착 증진제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종 소재간 접착을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중 필름형 접착제는 필름 간 접착 또는 평면형태의 피착체에 대한 고속 접착 작업에 사용되며, 입체적 피착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스프레이나 붓도포 방식 대신 재단된 필름형 접착제를 피착체 위에 놓고 열 몰드기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온도와 시간을 가하여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접착제이다.
피착체가 난접착성이거나 표면 에너지가 낮은 물질인 경우에 있어서 접착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접착력이 발현되지 않거나 요구되는 접착력에 비해 약하게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표면 극성치나 표면 거칠기를 조정하여 접착력을 충분히 발현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정(이하 '접착증진 공정'이라 함)을 수행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러한 접착증진 공정으로는 프라이머 또는 접착 증진제의 도포, 플라즈마 처리와 같은 기기 처리를 통한 표면 극성값 조정, 버핑 처리를 통한 피착재 표면적 증대 처리 등이 있다.
미국특허 제4869772호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EPDM 고무 등의 물질에 디아자바이시클로 또는 트리아자바이시클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77546호는 난접착성 물질인 피처리물을 프라이머인 실란커플링제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처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별도의 접착증진 공정을 부가하는 경우 프라이머의 도포 상태에 따라 도포량 부족 또는 과다, 도포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플라즈마 처리상태에 따라 열량, 처리 속도, 처리 면적 누락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접착 불량 발생을 방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정을 부가함에 따른 생산 비용 증가, 설비 확대, 생산성 감소 등의 문제점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4869772호 (1989.09.26.)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77546호 (2010.08.23.)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접착 공정을 획기적으로 축소하면서도 접착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접착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접착 증진제인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표면처리 공정 없이도 난접착 소재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켜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필름형 접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접착제는 별도 표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공정 감소, 설비 감축, 생산성 향상, 생산 비용 감소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불량률 역시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라이머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은 프라이머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은 난접착성 물질에 대한 접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접착 증진제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 증진제 성분은 실란 커플링제, 염소성분 함유 폴리올레핀, 알코올 또는 산 성분 함유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올레핀계, 산 성분 함유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아크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증진제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접착 증진 효과 발현에 가장 우수하다. 상기 접착 증진제를 아래에서 설명하는 접착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착성분으로 사용되는 폴리머 100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접착 증진제 성분을 1~99중량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증진효과가 발현되지 않으며, 99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는 접착증진제를 단독 사용함이 더 효과적이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층이 비연속적으로 존재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점(Dot) 패턴, 줄무늬 패턴 등으로 비연속적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접착제층에 대하여 별도의 필름층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 표면측에 일부분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 증진제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실란 커플링제가 액상이기 때문에 필름층 형성을 위하여 고분자 물질과 혼합한 상태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커플링제 1~5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고분자 물질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도포시 액상이 표면에 지나치게 많이 존재하여 오염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성분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성분은 예를들어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건조 및 평활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우레탄,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름형 접착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접착성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필름형 접착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지와 1면 이상 결합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형지는 사용 목적에 따라 프라이머층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층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필름 양측면에 모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1~120㎛일 수 있고,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5~100㎛일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5㎛이하일 경우는 접착력 증진효과가 없고 100㎛를 초과하는 경우는 접착력 효과가 떨어진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접착 증진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이형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의 접착제층을 열풍건조하는 단계; c) 상기 열풍건조된 접착제층 위에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의 프라이머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ㄱ) 이형지에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ㄴ) 상기 ㄱ)의 프라이머층을 건조시키는 단계; ㄷ) 상기 건조된 프라이머층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ㄹ) 상기 ㄷ)의 접착제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착제는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EVA,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평활성 및 건조성의 관점에서 우레탄,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을 사용할 수 있으나, 필름형 접착제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 성분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는 도포를 위하여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제에 용해된 액상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착 증진제는 실란 커플링제, 염소성분 함유 폴리올레핀, 알코올 또는 산 성분 함유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올레핀계, 산 성분 함유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염소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 프라이머층이 비연속적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점(Dot) 패턴, 줄무늬 패턴 등으로 비연속적인 형태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접착제층 표면에 접착 증진제와 고분자 물질의 혼합물로서 도포하여 별도의 필름층을 형성하여 적층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층 표면에 직접 액상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여 상기 접착제층 표면측의 일부에 흡수시켜 상기 접착제층 표면측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착 증진제는 도포를 위하여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제에 용해된 액상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예를 들어 톨루엔 등 비극성 용제, 알코올계 용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MEK)과 같은 극성 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접착 증진제가 실란커플링제인 경우 톨루엔 또는 알코올계 용제를, 접착 증진제가 폴리올레핀, 변성 폴리올레핀계인 경우 톨루엔계와 같은 비극성 용제를 사용할 수 있고, 접착 증진제가 산 성분 함유 변성 아크릴 수지 및 아크릴 수지인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에틸케톤(MEK)와 같은 극성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 증진제 성분으로서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의 실란 커플링제가 액상이기 때문에 필름층 형성을 위하여 고분자 물질과 혼합한 상태로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 100중량부에 대해 실란 커플링제 1~5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가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고분자 물질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도포시 액상이 표면에 지나치게 많이 존재하여 오염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다.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는 두께는 2~300㎛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접착제층의 건조된 상태의 두께는 1~120㎛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는 두께는 1~300㎛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라이머층의 건조된 상태의 두께는 0.5~100㎛가 된다.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접착 증진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상기 이형지는 박리지라고도 하며, 필름형 접착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접착제 성분, 접착 증진제 성분 외에 접착제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면평활제, 소포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은 난접착 소재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층을 조성물 자체에 포함하기 때문에 별도의 프라이머 도포, 플라즈마 처리 등의 전처리 없이도 난접착 소재에 대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필름형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정 감소, 설비 감축, 생산성 향상, 생산 비용 및 불량률이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프라이머 도포 방식에 따를 경우 프라이머 성분이 액상 상태로 용제에 용해되어 도포되므로 처리 공정 중 유기용제 휘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프라이머 성분이 필름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접착제 성분 및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접착 증진제 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접착제 조성
성분 함량(중량부)
폴리우레탄(고형분 : 28%) 100
소포제†† 1
표면평활제††† 1.5
1,4-부탄디올과 아디프산(Adipic Acid)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가교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고 1,4-부탄디올을 쇄연장제로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우레탄을 사용
†† BYK사의 Foamex-N, 실리콘계 소포제
††† BYK사의 byk-340, 불소 오일계 평활제
접착 증진제 조성
성분 함량(중량부)
KBM 403* 10
SUPERCHLON® 822S** 50
폴리우레탄(고형분 : 28%) 100
톨루엔 250
소포제(BYK사의 Foamex-N, 실리콘계 소포제) †† 1.5
표면평활제(BYK사의 byk-340, 불소 오일계 평활제) ††† 2
* KBM 403: 3-Glycidoxypropyl triethoxysilane; Shin-Etsu사 제품
** SUPERCHLON® 822S: Chlorinated Polypropylene; Nippon Paper industries사 제품
1,4-부탄디올과 아디프산(Adipic Acid)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을 가교제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고 1,4-부탄디올을 쇄연장제로 사용하여 중합한 폴리우레탄을 사용
†† BYK사의 Foamex-N, 실리콘계 소포제
††† BYK사의 byk-340, 불소 오일계 평활제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80㎛ PET 이형지 위에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의 접착제 성분을 도포한 후, 이를 4 zone으로 구성된 열풍 순환 건조로에서 40℃, 90℃, 120℃, 90℃로 순차적으로 열풍건조시켜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상기 건조되어 형성된 접착제층 위에 상기 표 2에 기재된 접착 증진제 성분을 도포한 후, 2 Zone으로 구성된 열풍 순환 건조로 120℃, 90℃에서 열풍건조시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여 건조후 접착제층 두께 80㎛, 프라이머층 두께 10㎛의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종래 필름형 접착제의 제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종래의 필름형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접착제층 두께는 80㎛이다.
[시험예 1] 액상 프라이머 별도 도포의 경우와의 비교 실험 (불량률)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와 종래 필름형 접착제인 비교예 1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력, 내열성, 작업속도 및 불량률을 비교하였다.
신발 밑창용 고무와 각각 PU leather 및 폴리에스테르 원단을 접착시켜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각각 상기 고무와 PU leather, 고무와 폴리에스테르 원단 사이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를 접착제층측이 고무쪽에 접하도록 두고 PU leather측 프레스의 표면온도를 130℃로 해서 20kg/㎠의 압력으로 1분동안 압착하여 접착시켰다.
상기 비교예 1의 종래 필름형 접착제 역시 각각 상기 고무와 PU leather, 고무와 폴리에스테르 원단 사이에 두고 프레스의 표면온도를 130℃로 해서 20kg/cm2의 압력으로 1분동안 로 압착하여 접착시켰다. 다만, 이 경우 비교예 1의 필름형 접착제 도입 전에 PU leather와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접착면에 각각 신발용 고무(부틸고무 함유품)의 접착향상용 프라이머인 ㈜ 화승T&C의 PR-700(주성분: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린산)와 헨켈사의 D-PLY 007를 각 고무 피착제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비교예 1을 사용하여 접착시켰다.
접착력 평가는 각 시편 접착후 24시간 상온 방치후 UTM(만능인장시험기)기기를 활용하여 상태접착력을 측정하는데 시편의 크기는 200mm X 10mm로 절단하여 180도 박리강도법으로 인장속도 200mm/min의 속도로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내열성은 dry oven(항온기)을 활용하여 측정한다. Dry Oven의 온도를 90℃로 설정한다. 여기에 시편의 크기를 200mm X 10mm로 절단한 것을 180도 박리강도법형태로 하여 500g의 추를 달아서 3분간 Dry oven에 방치한 후 꺼내어 dry oven 투입전의 접착되어 있는 상태의 표선과, 방치 후 벌어진 길이를 측정하여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접착력
Rubber/ PU leather 3.4 kg/㎠ 3.6 kg/㎠
Rubber/polyester 원단 3.6 kg/㎠ 3.6 kg/㎠
내열성 (500g추 90℃ 3분) 1mm 1mm
비교예 1의 종래의 필름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에 따른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와 유사한 접착력, 내열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별도의 프라이머 도포 공정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시편 100개 기준으로 프라이머 도포 준비에 약 10분, 도포에 약 2분 등 도포 준비 시간과 도포 및 건조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에 있어서 장시간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신발 제조 업체의 접착불량(프라이머 과도포 또는 미도포, 도포 부위외 도포에 의한 오염, 작업자 실수 불량등)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프라이머 도포 공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약 1.5~3%의 높은 불량률을 나타낸다.
반면,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는 접착력 및 내열성에 있어서 프라이머 도포 공정 후 비교예 1의 종래의 필름형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을 수행한 경우와 유사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별도의 프라이머 도포 공정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머 도포 공정으로 인한 작업시간을 제거할 수 있어 높은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접착제 자체에 필름층으로 존재하는 프라이머층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도포 부위, 과도포, 도포로 인한 오염이나 도포 실수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Claims (11)

  1. 접착 증진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접착 증진제는 실란 커플링제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성분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0.5~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1~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6. a) 이형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의 접착제층을 열풍건조하는 단계;
    c) 상기 열풍건조된 접착제층 위에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c)의 프라이머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접착 증진제는 접착 증진제 성분을 용제에 용해시킨 것이며,
    상기 접착 증진제 성분은 실란 커플링제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7. ㄱ) 이형지에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ㄴ) 상기 ㄱ)의 프라이머층을 건조시키는 단계;
    ㄷ) 상기 건조된 프라이머층 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ㄹ) 상기 ㄷ)의 접착제층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접착 증진제는 접착 증진제 성분을 용제에 용해시킨 것이며,
    상기 접착 증진제 성분은 실란 커플링제 및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고분자 물질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EVA),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상기 고분자 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제를 2~300㎛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증진제를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접착 증진제를 1~300㎛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접착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접착 성분은 우레탄, 폴리우레탄, 우레아, 에틸-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 스타일렌, 폴리아마이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121285A 2013-10-11 2013-10-11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8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85A KR101548971B1 (ko) 2013-10-11 2013-10-11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285A KR101548971B1 (ko) 2013-10-11 2013-10-11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528A KR20150042528A (ko) 2015-04-21
KR101548971B1 true KR101548971B1 (ko) 2015-09-01

Family

ID=53035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285A KR101548971B1 (ko) 2013-10-11 2013-10-11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230B1 (ko) 2019-01-24 2019-11-28 주식회사 그린폴리머 라미네이트용 접착 필름.
KR102067263B1 (ko) 2018-12-28 2020-01-17 주식회사 그린폴리머 에코 피착체용 접착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9305B1 (ko) * 2018-04-24 2020-06-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섬유강화 프라이머 도료 조성물이 코팅된 섬유강화 플라스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85B1 (ko) 2007-02-07 2008-07-08 애경피앤티(주) 열전사형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85B1 (ko) 2007-02-07 2008-07-08 애경피앤티(주) 열전사형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7263B1 (ko) 2018-12-28 2020-01-17 주식회사 그린폴리머 에코 피착체용 접착필름
KR102049230B1 (ko) 2019-01-24 2019-11-28 주식회사 그린폴리머 라미네이트용 접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528A (ko) 201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6574B1 (en) Method of producing flexible laminates
JP6644932B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05179496A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KR101548971B1 (ko)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TW201343852A (zh) 潛伏反應性黏著膜用於黏著陽極化鋁與塑膠之用途
JP6344440B2 (ja) 積層フィルム
KR20050085025A (ko) 광학 부재의 표면 보호 필름
KR101913436B1 (ko)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20150089207A (ko) 연마 패드용 양면 점착시트
EP3851470A1 (en) An aqueous two-component adhesive
WO2019112033A1 (ja) 粘着性積層体、粘着性積層体の使用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12852375A (zh) 一种水性双组分粘合剂
KR101798745B1 (ko)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US20220002600A1 (en) Two-Component, Water-Based Lamination Adhesive and Use of the Same to Bond Substrates and Foams
KR102200632B1 (ko) 가구용 친환경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5985563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3967028A (en) Sealed foam web
JP3591641B2 (ja) リサイクル型プライマー組成物、その再剥離方法
JP6471712B2 (ja) 積層フィルム
CN114456760A (zh) 用于制备潜在反应性胶粘剂的制剂
JP7131016B2 (ja) シリコーンゴム複合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成形体の製造方法
WO2020022269A1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6690416B2 (ja) 電磁誘導加熱用ホットメルト接着剤層を有する積層物、それを用いた接着構造物及び剥離方法
TW202140284A (zh) 聚丙烯積層材料及其製法
JP4324875B2 (ja) 化粧造作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