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436B1 -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436B1
KR101913436B1 KR1020120081881A KR20120081881A KR101913436B1 KR 101913436 B1 KR101913436 B1 KR 101913436B1 KR 1020120081881 A KR1020120081881 A KR 1020120081881A KR 20120081881 A KR20120081881 A KR 20120081881A KR 101913436 B1 KR101913436 B1 KR 101913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ing agent
sensitive adhesive
coating layer
heat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4824A (ko
Inventor
엄상준
김연수
이상훈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4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5Heat-activ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heat-activatable, i.e. not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처리 후 전자부품으로부터 열팽창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재에 수지 바인더를 이용, 발포온도가 각각 다른 열발포제를 양면에 각각 코팅하고 그 위에 점착제층을 도포하여 높은 점착력을 유지하면서도 박리시킬 때에는 선택적(온도에 따라)으로 피가공체 및 지지체와 박리될 수 있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는 기재의 일면에 제1 열발포제 코팅층(A) 및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면에 제2 열발포제 코팅층(B) 및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THERMALLY RELEASABLE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PROCESSING METHOD OF A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열처리 후 전자부품으로부터 열팽창에 의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재에 수지 바인더를 이용, 발포온도가 각각 다른 열발포제를 양면에 각각 코팅하고 그 위에 점착제층을 도포하여 높은 점착력을 유지하면서도 박리시킬 때에는 선택적(온도에 따라)으로 피가공체 및 지지체와 박리될 수 있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재 및 기재 상에 형성된 열팽창성 미소구 등의 열발포제 또는 팽창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구비된 열박리형 점착시트는 물품의 접착 목적을 달성한 후, 열팽창성 점착제층(열발포제가 포함된 점착제층)을 가열하여 발포 내지 팽창시켜 열팽창성 점착제층의 표면을 요철상으로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피착체와의 접착 면적이 감소하여 점착력(접착력)이 감소하고, 피착체인 물품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전자 부품이나 그 재료 등의 가공시의 고정이나, 반송 등의 물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제50-13878호 및 제51-24534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6-61468호, 제56-61469호 및 제60-252681호에 일반적인 기술이 기재되어 있고,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306337호에는 기존의 열박리형 점착시트에 고무상 유기 탄성층을 이용하여 피착제와 점착제간의 점착표면적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점착력을 높이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특허에서는 피가공체와의 원활한 열발포에 의한 박리만을 설명하고 있고 지지체와의 박리에 대해서는 별도의 구성이 없었으며, 그 때문에 피가공체와 지지체를 점착시킨 다음, 공정 중에는 높은 점착력을 유지하면서도 박리시킬 때에는 잔사물 없이 원하는 온도에서 피가공체와의 박리 및 지지체와의 박리를 순차적으로 손쉽게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특허공보 제50-13878호 일본 특허공보 제51-245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6-6146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6-6146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0-2526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3063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체와 지지체를 점착시킬 때에는 높은 점착력을 유지하면서도 박리시킬 때에는 선택적(온도에 따라)으로 피가공체 및 지지체와 박리될 수 있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기재의 일면에 제1 열발포제 코팅층(A) 및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면에 제2 열발포제 코팅층(B) 및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와 제2 열발포제 코팅층(B)은 수지 바인더 중에 열발포제를 각각 분산시키되, 상기 수지 바인더는 아크릴폴리올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가교된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폴리올의 수산기가(水酸基價)는 25 이상 500 이하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아크릴폴리올 중의 수산기에 대한 당량비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과 상기 제2 열발포제 코팅층(B)에 있는 각 열발포제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열팽창에 의하여 점착력이 급격히 떨어져 쉽게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에 있는 상기 열발포제와 상기 제2 열발포제 코팅층(B)에 있는 상기 열발포제는 발포되는 온도가 서로 달라 순차적으로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은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양면에 각각 피가공체와 지지체를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과, 접합시킨 상기 피가공체를 가공하는 가공 공정과, 상기 피가공체를 가공한 후 가열 박리에 의해 상기 피가공체를 박리 회수하는 공정 및 상기 피가공체를 박리하는 가열 박리 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의 가열 박리에 의해 상기 지지체를 박리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한 가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가공체와 지지체를 점착시킬 때에는 높은 점착력을 유지하면서도 가공공정을 진행한 후, 박리시킬 때에는 잔사물 없이 원하는 온도에서 피가공체 및 지지체와의 박리가 순차적으로 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열발포제 코팅층으로서 균일하게 코팅된 열발포제를 포함하는 열발포제 코팅층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열발포제 코팅층으로서 균일하게 코팅된 열발포제를 포함하는 열발포제 코팅층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기재의 양면에 바인더로 발포온도가 다른 열발포제(A), (B)를 각각 코팅하고 그 위에 점착층을 올려 피가공체 및 지지체를 점착시키면 높은 점착력을 유지하면서도 박리시킬 때에는 원하는 온도에서의 열발포제(A), (B)의 발포를 통해 피가공체와의 박리 및 지지체와의 박리가 순차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는 기재(3)의 일면에 제1 열발포제 코팅층(A)(2) 및 점착제층(1)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면에 제2 열발포제 코팅층(B)(4) 및 점착제층(1)이 순서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기재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기재(3)로는, 예를 들면 종이 등의 종이계 기재; 천, 부직포, 네트 등의 섬유계 기재; 금속박, 금속판 등의 금속계 기재;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 고무 시트 등의 고무계 기재; 발포 시트 등의 발포체나, 이들의 적층체(특히, 플라스틱계 기재와 다른 기재와의 적층체나, 플라스틱 필름(또는 시트)끼리의 적층체 등) 등의 적절한 박엽체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로서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 등의 플라스틱계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의 소재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α-올레핀을 단량체 성분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아미드(나일론), 전체 방향족 폴리아미드(아라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소재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기재의 표면은, 후술하는 열발포제 코팅층(A),(B)와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관용적인 표면 처리,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크롬산 처리, 오존 폭로(暴露), 화염 폭로, 고압 전격 폭로, 이온화 방사선 처리 등의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방법에 의한 산화 처리 등이 실시될 수도 있고, 하도제에 의한 코팅 처리 등이 실시될 수도 있다.
열발포제 코팅층(A),(B)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제1 열발포제 코팅층(A)(2)과 제2 열발포제 코팅층(B)(4)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폴리올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가교된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폴리올이라 함은,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를 함유하는 모노머 성분을 중합하여 얻어지고, 또한 (메타)아크릴 단위를 구성 요소로서 갖는 아크릴계 수지이다. 아크릴폴리올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가교된 공중합체로서는, 공중합체 중에 아크릴폴리올의 구성 요소인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단위를 1∼50질량%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수산기를 갖는 불포화 모노머로서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나 알릴알코올, 신남알코올, 크로토닐알코올 등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혹은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프렌글리콜, 페닐글리시딜에테르 등의 2가 알코올 또는 에폭시 화합물과, 예를 들면 아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등의 반응으로 얻어지는 수산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메타)아크릴 단위를 함유하도록 상기 수산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 등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중합시켜 아크릴폴리올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모노머, 및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등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상기 수산기 함유 불포화 모노머와 중합하여 아크릴폴리올을 제조할 수 있다.
공중합체 중의 모노머 성분 비율로서는,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모노머 성분이 1∼50%, 기타의 모노머 성분이 5∼80%이다.
또한 아크릴폴리올의 수산기가(水酸基價)는 25∼500이 바람직하다. 수산기가가 25보다 작을 경우, 가교 밀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광확산층의 경도나 내용제성이 저하하기 쉽고, 또한 수산기가가 500보다 클 경우, 가교 밀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부서지기 쉬워져, 광확산층의 갈라짐, 깨짐이 생기기 쉬워져, 가공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공중합체는, 필요에 따라 디에틸말레에이트, 디부틸말레에이트, 비스(2-에틸헥실)말레에이트, 디부틸푸마레이트, 비스(2-에틸헥실)푸마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등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수지 개질제와 공중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공중합체 중의 수지 개질제 성분 비율로서는, 50% 이하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아크릴폴리올의 수산기와 가교하는 것이 가능한, HDI계, XDI계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로 한 것, TDI계, MDI계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로 한 것이 있지만, HDI(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XDI(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베이스로 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자외선에 의해 황변하기 쉽다는 약점이 없어 바람직하다. 이들 이소시아네이트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하는 변성의 형태로서는, HDI, XDI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에 다가 알코올을 부가한 애덕트형, HDI를 베이스로 3량화한 이소시아누레이트형, 또는 HDI를 베이스로한 비우레트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아크릴폴리올 중의 수산기에 대한 당량비는, 1∼3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소시아네이트의 수산기에 대한 당량비(NCO/OH)는, 하기의 수식 1에 의해 일반적으로 구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59961603-pat00001
여기서, Iw, In, Aw, Ao의 의미는 각각 하기와 같다.
Iw :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고형분 환산 질량부
In :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서의 고형분 중의 유효 NCO함량(%)
Aw : 아크릴폴리올의 고형분 환산 질량부
Ao : 아크릴폴리올의 고형분 수산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에서, 상기 수지 바인더에 대한 열발포제 입자의 배합량은, 사용하는 열발포제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나 열 발포제 코팅층의 막 두께에 의해 변화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수지 바인더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400질량부, 바람직하게는 100∼250질량부이다.
열발포제 (A),(B)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에서 발포 박리온도가 다른 열발포제(5)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열팽창성 미소구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발포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공지된 열팽창성 미소구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마이크로 캡슐화되어 있는 발포제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열팽창성 미소구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부탄, 프로판, 펜탄 등의 가열에 의해 쉽게 가스화하여 팽창하는 물질을, 탄성을 갖는 쉘 내에 내포시킨 미소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쉘은 열용융성 물질이나 열팽창에 의해 파괴되는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쉘을 형성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염화비닐리덴-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술폰 등을 들 수 있다. 열팽창성 미소구는 관용적인 방법, 예를 들면 코어 셀 베이션법이나 계면 중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열팽창성 미소구에는, 예를 들면 상품명「마쯔모또 마이크로 스페어」[마쯔모또 유시 세야꾸(주) 제조] 등의 시판품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과 상기 제2 열발포제 코팅층(B)에 있는 각 열발포제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열팽창에 의하여 점착력이 급격히 떨어져 쉽게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 및 상기 제2 열발포제 코팅층(B)은 각각 발포 박리온도가 서로 다른 열발포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열발포제의 발포되는 온도가 서로 달라 순차적으로 박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점착제층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점착제층(1)에 사용되는 열경화성 점착제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탈)아크릴레이트, 아이소아밀(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고, 점착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이들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40,000 내지 3,000,000 정도가 바람직하며, 700,000 내지 1,200,000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이 40,000 미만일 경우에는 기본적인 내열성이 부여받을 수 없으며, 3,000,000을 초과하면 분자량이 커서 경화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을 열경화제와 함께 사용하여, 기본적으로 응집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점착 잔류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합 아크릴계 점착제는 열경화제를 통해 경화반응을 할 수 있다. 경화제의 예로는 아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아지리딘 및 킬레이트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경화제의 사용량은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아크릴계 점착수지의 100중량의 기준으로 대비하여, 경화제 0.1 내지 20중량부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아크릴계 점착제는 열경화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점착력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구성방법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재의 한 면에 제1 열발포제 코팅층(A) 조성물을, 기재의 다른 한 면에 제2 열발포제 코팅층(B) 조성물을, 다시 그 양면 위에 점착제를 직접 기재에 코팅 및 건조 공정을 통해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캐스팅법과 상기 점착제를 이형필름 위에 코팅 및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기재에 라미네이션을 한 뒤, 전사시키는 전사법을 활용하여 제조하는 방법들이 있다.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1)의 표면(점착면) 보호재로서 세퍼레이터(박리 라이너)가 사용될 수 있는데, 세퍼레이터는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상기 세퍼레이터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사용할 때 박리된다. 이러한 세퍼레이터로서는 공지 내지 관용적인 박리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퍼레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황화몰리브덴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이나 종이 등의 박리제층을 갖는 기재;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 폴리불화비닐리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ㆍ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ㆍ불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등의 불소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 올레핀계 수지(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등) 등의 무극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저접착성 기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박리제층을 갖는 기재에서는 박리제층 표면이 이형면이고, 저접착성 기재에서는 저접착성 기재의 표면이 이형면이다. 또한, 세퍼레이터는 공지 내지 관용적인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의 두께 등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피착체의 가공방법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를 이용한 가공 방법은 제1 열발포제 코팅층(A)측의 점착제에 피가공체를 접합시키고, 제1 열발포제 코팅층(B)측의 점착제에 지지체를 접합시키는 접합 공정, 접합시킨 피가공체를 가공하는 가공 공정 및 피가공체를 가공한 후 가열 박리에 의해 피가공체를 박리 회수하는 박리 회수 공정, 마지막으로 더 높은 가열 박리에 의해 지지체를 박리 회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피가공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세라믹 콘덴서 등의 전자 부품, 반도체 웨이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공의 종류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연삭, 절단, 조립, 적층, 소성 등의 가공을 들 수 있다. 가공 후의 가열 처리는 예컨대 핫 플레이트, 열풍 건조기, 근적외선 램프, 에어 드라이어 등의 적절한 가열 수단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열발포제 코팅층(A)의 형성
아크릴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5중량부, 190~220℃에서 발포되는 열팽창성 미소구(F230D;마쯔모토 마이크로스페어) 300중량부를 톨루엔에 용해하고,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이미드 기재의 한 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열발포제 코팅층(A)을 형성하였다.
열발포제 코팅층(B)의 형성
아크릴폴리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5중량부, 약 220~250℃에서 발포되는 열팽창성 미소구(F2800D;마쯔모토 마이크로스페어) 300중량부를 톨루엔에 용해하고,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이미드 기재의 열발포제 코팅층(A)를 형성하지 않은 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열발포제 코팅층(B)를 형성하였다.
점착제층의 형성
아크릴계 점착수지(AT-5910;삼원) 100중량부에 대하여, 멜라민계 가교제(SM-20;삼원) 1.5중량부를 초산 에틸 용매 중에 균일하게 혼합, 용해하여 도공액을 제조하고, 세퍼레이터(두께 38㎛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기재)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20㎛로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제조
상기 열발포제 코팅층(A),(B)와, 그 양면 위에 점착제층을 각각 접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열발포제 코팅층(A)의 형성 및 열발포제 코팅층(B)의 형성에서, 열팽창성 미소구의 사용량을 200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열발포제 코팅층(A)의 형성 및 열발포제 코팅층(B)의 형성에서, 열팽창성 미소구의 사용량을 20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열발포제 코팅층(B)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예를 통해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피가공체 가열 전 점착력 측정
양면 열박리형 점착 시트를 1inch * 15㎝(가로*세로)로 준비하고, 피착체로 사용할 동박(미쯔이; 3EC-HTE-AT)의 표면을 메틸에틸케톤이나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동박과 양면 열박리형 점착 시트의 열박리형 점착제층(A)와 맞닿게 고무롤러(약 2㎏)를 사용하여, 왕복 2회 문질러 샘플들을 제작한다. 이후 즉시, 샘플들을 300㎜/min의 속도로 180° 박리력을 측정한다.
2. 지지체 가열 전 점착력 측정
양면 열박리형 점착 시트를 1inch * 15㎝(가로*세로)로 준비하고, 피착제로 사용할 동박(미쯔이; 3EC-HTE-AT)의 표면을 메틸에틸케톤이나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동박과 양면 열박리형 점착 시트의 열박리형 점착제층(B)와 맞닿게 고무롤러(약 2㎏)를 사용하여, 왕복 2회 문질러 샘플들을 제작한다. 이후 즉시, 샘플들을 300㎜/min의 속도로 180° 박리력을 측정한다.
3. 피가공체 가열 박리성 측정
스테인리스판(SUS304BA304BA) 표면에 각 양면 열박리형 점착 시트의 열박리형 점착제층(A)와 맞닿게 하여 고무롤러(약 2㎏)를 사용하여, 왕복 2회 문질러 샘플들을 제작한다. 상기 샘플을 200℃ X 1분간 가열하여 박리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박리된 경우는 "○", 박리력이 부족한 경우는 "△", 박리되지 않은 경우는 "X"로 평가하였다.
4. 지지체 가열 박리성 측정
스테인리스판(SUS304BA304BA) 표면에 각 양면 열박리형 점착 시트의 열박리형 점착제층(B)와 맞닿게 하여 고무롤러(약 2㎏)를 사용하여, 왕복 2회 문질러 샘플들을 제작한다. 상기 샘플을 240℃ X 1분간 가열하여 박리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박리된 경우는 "○", 박리력이 부족한 경우는 "△", 박리되지 않은 경우는 "X"로 평가하였다.
피가공체 가열전 점착력(gf/inch) 지지체 가열전 점착력(gf/inch) 피가공체 가열 박리성 지지체 가열 박리성
실시예1 390 gf/inch 400 gf/inch
실시예2 430 gf/inch 420 gf/inch
비교예1 420 gf/inch 410 gf/inch
비교예2 410 gf/inch 420 gf/inch X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인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180℃ 분위기하에서의 점착력(gf/inch) 및 가열 박리성이 우수하나, 이에 비해 비교예 1은 열팽창성 미소구 함량이 적은 이유로 발포효율이 떨어져 가열 박리성이 부족하고, 비교예 2는 열발포제 코팅층(B)을 제외하였기에 지지체와의 열발포 박리가 되지 않아 가열 박리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점착제층 2 : 제1 열발포제 코팅층(A)
3 : 기재 4 : 제2 열발포제 코팅층(B)
5 : 열발포제 6 : 수지 바인더

Claims (6)

  1.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에 있어서,
    기재의 일면에 제1 열발포제 코팅층(A) 및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기재의 다른 면에 제2 열발포제 코팅층(B) 및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되며,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와 제2 열발포제 코팅층(B)는 수지 바인더 중에 열발포제를 각각 분산시키되, 상기 수지 바인더는 아크릴폴리올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가교된 공중합체이고,
    상기 아크릴폴리올의 수산기가(水酸基價)는 25 이상 500 이하이고,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는 상기 아크릴폴리올 중의 수산기에 대한 당량비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과 상기 제2 열발포제 코팅층(B)에 있는 각 열발포제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 열팽창에 의하여 점착력이 급격히 떨어져 쉽게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발포제 코팅층(A)에 있는 상기 열발포제와 상기 제2 열발포제 코팅층(B)에 있는 상기 열발포제는 발포되는 온도가 서로 달라 순차적으로 박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6. 삭제
KR1020120081881A 2012-07-26 2012-07-26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101913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81A KR101913436B1 (ko) 2012-07-26 2012-07-26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881A KR101913436B1 (ko) 2012-07-26 2012-07-26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24A KR20140014824A (ko) 2014-02-06
KR101913436B1 true KR101913436B1 (ko) 2018-10-30

Family

ID=5026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881A KR101913436B1 (ko) 2012-07-26 2012-07-26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59A (ko) 2016-12-02 2018-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박리형 접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136029A (ko) 2017-06-13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박리형 접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7172114B2 (ja) * 2018-04-24 2022-11-16 Tdk株式会社 永久磁石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890B1 (ko) * 2002-04-16 2007-10-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용 가열박리형 점착 시트, 전자부품의 가공방법및 전자부품
JP2008297498A (ja) * 2007-06-01 2008-12-11 Nitto Denko Corp 両面発泡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304B2 (ja) * 1992-03-04 2000-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発泡剥離性シート
JP2000248240A (ja) * 1999-03-01 2000-09-12 Nitto Denko Corp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KR20110039248A (ko) * 2008-07-08 2011-04-1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890B1 (ko) * 2002-04-16 2007-10-17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용 가열박리형 점착 시트, 전자부품의 가공방법및 전자부품
JP2008297498A (ja) * 2007-06-01 2008-12-11 Nitto Denko Corp 両面発泡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824A (ko) 2014-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3247B2 (ja) 電子部品用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電子部品の加工方法並びに電子部品
CN1227313C (zh) 热可剥性压敏粘合剂片材
CN100505149C (zh) 热粘附体剥离方法和用于热粘附体剥离的装置
JP4716668B2 (ja) 被着物の加熱剥離方法及び被着物加熱剥離装置
TWI303656B (en) Heat-peelable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ethod of processing adherend
KR101304737B1 (ko) 접착 시트, 이의 제조 방법 및 다층 세라믹 시트의 절단방법
WO2005087887A1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該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を用いた被着体の加工方法
CN1230366C (zh) 热剥离被粘合物的方法以及热剥离被粘物的装置
CN1213119C (zh) 可热剥离的压敏粘合剂片材
JP2005179496A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
CN1833012A (zh) 无卤素阻燃的丙烯酸压敏粘合剂片或带
CN1930262A (zh) 加热剥离型粘合片和利用该加热剥离型粘合片的粘附体的加工方法
KR20180100273A (ko) 양면 점착 테이프 또는 시트, 및 피착체의 가공 방법
KR20140038858A (ko) 몰드 언더필 공정의 마스킹 테이프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마스킹 테이프
CN101518887A (zh) 用于研磨半导体晶片背面的粘合片以及使用其研磨半导体晶片背面的方法
KR101913436B1 (ko) 열박리형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가공방법
KR20140047619A (ko) 박리 용이성 점착 필름
JP4514409B2 (ja) 半導体ウエハの仮固定方法及び電子部品、回路基板
JP2007238789A (ja) 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及びチップ部品の製造方法
JP2005101628A (ja) 電子部品用加熱剥離型粘着シートおよび電子部品の加工方法並びに電子部品
KR101802951B1 (ko) 충격 흡수용 금속 테이프
KR101548971B1 (ko)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필름형 접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2167967A (ja) シリコーンゴム複合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275290B1 (ko) 열박리형 양면 점착시트
CN113597458B (zh) 热剥离型粘着胶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