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458A -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458A
KR20050100458A KR1020040025685A KR20040025685A KR20050100458A KR 20050100458 A KR20050100458 A KR 20050100458A KR 1020040025685 A KR1020040025685 A KR 1020040025685A KR 20040025685 A KR20040025685 A KR 20040025685A KR 20050100458 A KR20050100458 A KR 20050100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parts
rubber composition
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5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0458A/ko
Publication of KR2005010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4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52Struts, spars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2Stretchers with wheels
    • A61G1/025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 A61G1/0256Stretchers with wheels having auxiliary wheels, e.g. wheels not touching the ground in extended position having wheels which support exclusively if stretcher is in low position, e.g. on the folded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고무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 도전성 카본 블랙, 탄산칼슘, 실리카 및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을 사용하면, ⅰ) 경도를 낮추어 토너의 스트레스 감소 및 감광체와 현상롤러의 닙 (nip)을 증가시킬 수 있고, ⅱ) 고무의 무늬 점도를 낮추어 카본 블랙의 균일한 분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저항의 불균일성을 해소하고, 가공성을 증가시켜 압출성이 향상되며, ⅲ)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균일한 저항값을 가지고, ⅳ) 고가의 도전성 고무를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반도전성 고무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Rubber composition for semi-electroconductive rubber roller}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반도전성 고무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무 경도가 저하되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균일하고 안정적인 저항값을 갖는 반도전성 고무롤러를 제조할 수 있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가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감광체 (1)는 광도전성 물질의 특성을 갖고 있어서, 대전장치 (6)에 의해서 표면을 특정 전위로 대전시키고 유지한 후, 광원을 이용하여 잠상을 형성시키며, 현상시 상기 잠상부에 토너 (4)가 부착되도록 한다. 현상롤러 (2)는 도전성 또는 반도전성 특성을 갖는 물질이 사용되며, 공급롤러 (3)와 토너층 규제장치 (5)와의 상대 속도차를 이용하여 현상롤러의 표면에 토너 (4)가 소정의 균일 대전량 및 부착량을 갖도록 하고, 감광체 (1)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계에 의해서 현상을 실시한다. 공급롤러 (3)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폼 등과 같은 반도전성 폼 (foam) 재료가 사용되며, 현상롤러 (2)와의 상대 속도차를 이용하여 토너 (4)를 1차로 현상롤러 (2) 상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부착량 (M/A) 및 대전량 (Q/M)이 일정한 값을 확보하도록 한다. 토너 (4)는 수지를 주원료로 하며, 현상을 위한 소모성 현상제이다. 토너층 규제장치 (5)는 현상 롤러 (2)와 토너층 규제장치 (5)와의 상대 속도차를 이용하여 토너 (4)의 부착량 및 대전량의 균일성을 확보하고, 빔 (beam) 타입으로서 스프링력을 인가하여 특정 압력을 유지하거나, 판재를 사용하여 처짐량에 의한 압력을 확보함으로써 조도, 마찰계수 및 압력 등을 조절한다. 대전장치 (6)는 감광체 대전을 위한 코로나 대전 또는 롤러 대전 장치를 사용한다. 클리닝 블레이드 (7)는 우레탄 고무 등의 판재를 사용하고, 전사 후 감광체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한다. 레이저 스캐닝 유닛 (8)은 감광체의 노광을 위해서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여 잠상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전사롤러 (9)는 감광체 (1) 상의 표면 전위 차이에 의해서 약하게 부착된 토너 (4)를 반대 극성의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용지 상으로 전이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용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전성 현상 롤러에는 전자 전도형 롤러와 이온 전도형 롤러가 있다. 이온 전도형 롤러는 도전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여 롤러에 도전성을 부여하는 형태의 롤러이고, 전자 전도형 롤러는 카본 블랙 또는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충전제를 사용하여 도전성을 부여하는 형태의 롤러이다.
이온 전도형 롤러는 히드린 고무와 같은 낮은 체적 저항을 갖는 고무를 사용하여 저항을 낮추었으나, 고무 자체가 갖는 고저항값으로 인하여 저저항의 롤러를 제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도전성 고분자 물질 또는 이온 도전제 등을 첨가 혼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도전성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무와의 가교 시스템이 상이하여 가교시에 난점이 있으며, 원재료의 가격이 비싸므로 롤러의 가격 상승 원인이 된다. 또한, 대전 방지제를 첨가하여 롤러의 저항을 낮추는 경우에도 대전 방지제의 경시 변화에 의한 저항의 변화, 장기 방치시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으로 인한 화상 오염 등의 문제점이 있고, 이온 해리에 의해서 도전성을 띄기 때문에 환경에 따라서 저항의 변화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자 전도형 롤러는 가격이 저렴하고, 환경에 따른 저항 변화가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전성 충전제를 다량 첨가함으로써 경도가 상승하고, 분산 불량으로 인해서 저항이 불균일해지며, 롤러 표면에 도전성 충전제가 묻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 전도형 롤러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전성 고무를 소량 첨가하여 경도를 낮추어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카본 블랙의 분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저항의 불균일성을 해결한 새로운 반도전성 고무롤러를 제조할 수 있는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고무 조성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저 고분자 수지;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30 중량부의 도전성 고분자 수지; 및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내지 20 중량부의 도전성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및 팩시밀리 등과 같은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반도전성 고무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고무 경도가 저하되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균일하고 안정적인 저항값을 갖는 반도전성 고무롤러를 제조할 수 있는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기저 고분자 수지, 도전성 고분자 수지, 도전성 카본 블랙 및 탄산칼슘을 포함한다.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로 사용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을 저온 유화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된 공중합체로서 내유성과 내약품성이 우수한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수지적 성질이 강하여 내마모성, 인장 강도, 내약품성 등의 성질이 우수해지지만, 반발 탄성, 영구 압축 줄음률, 내한성 및 신율 등은 감소한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0 내지 35 몰%인 것이 바람직하며,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10 몰%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저항값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35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환경 의존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에 사용되는 도전성 고분자 수지는 에틸렌 옥사이드,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및 에피클로로 히드린의 3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 에피클로로 히드린의 2원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피클로로 히드린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와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본 발명의 기저 고분자 수지에 첨가되는 도전성 고분자 수지로 적합하며, 상기 3원 공중합체 또는 2원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옥사이드의 공중합 비율은 38 내지 58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 옥사이드의 공중합 비율이 38 몰%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 등의 도전성 롤러에 필요한 저항치를 얻기 어려우며, 58 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항의 환경 의존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 수지는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30 중량부만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전성 고분자 수지의 함량이 5 중량부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경도가 상승하며, 도전성 카본블랙의 분산성 및 압출성 등에 문제점이 발생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료 가격이 상승하고, 환경별 저항차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은 도전성 카본 블랙을 포함하며, 이러한 도전성 카본 블랙은 고무 조성물의 저항값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기에 바람직한 도전성 카본 블랙은 평균 입경이 작고, 표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평균 입경은 5 내지 3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전성 카본 블랙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세틸렌 블랙 또는 컨덕티브 퍼내이스 블랙 등이 있다.
상기 도전성 카본 블랙의 함유량은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내지 20 중량부만큼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전성 카본 블랙의 함량이 2 중량부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원하는 고무 조성물의 저항값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무 조성물의 경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고무 조성물은 또한,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의 노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황제 및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황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노화방지제로는 아민계 노화방지제 및 페놀계 노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노화방지제는 노화 방지 효과 및 오염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황제 역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황제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가황제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 t-부틸 퍼옥시헥산, 벤조일 퍼옥사이드 또는 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와 같은 유기과산화물; 유황; 티우람폴리술파이트류;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헥사메틸렌 테트라아민 또는 에틸렌 디아민 카바메이트와 같은 폴리아민류; 2-메르캅토 이미다졸린, 1,3-디에틸 티오우레아, 1,3-디부틸 티오우레아 또는 트리메틸 티오우레아와 같은 티오우레아류; 및 2,4,6-트리메르캅토-1,3,5-트리아진 또는 1-메톡시-3,5-디메르캅토토리아진과 같은 메르캅탄 트리아진류가 있다. 상기 가황제는 가황 온도와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기저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 포함된다.
가황촉진제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가황촉진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가황촉진제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디페닐 구아니딘 또는 디토릴 구아니딘 등과 같은 구아니딘계 가황촉진제; 2-메르캅토 벤조티아졸 또는 디벤조티아질디술파이드 등과 같은 티아졸계 가황촉진제; N-에틸-2-벤조티아질술펜아미드 및 N-t-부틸-2-벤조티아질술펜아미드 등과 같은 술펜아미드계 가황촉진제; 테트라메틸 티우람디설파이드 및 테트라에틸 티우람디설파이드 등과 같은 티우람계 가황촉진제; 및 아닐린 및 부틸아민 등과 같은 알데히드 아민계 가황촉진제가 있다. 상기 가황촉진제는 가황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기저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 반도전성 고무 롤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예열된 기저 고분자 수지 및 도전성 고분자 수지를 오픈 롤러 (Kneader, Extruder, Banbury, Brabender 등 기계적 혼합 장치를 모두 포함)에서 예비 혼합을 한다. 이때, 연속 압출 또는 사출, 프레스 가공시 치수 안정성, 내마모성과 연마성을 위해서 도전성 카본 블랙, 충진제, 가소제, 노화방지제,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촉진조제 등을 첨가하여 상기 고분자 수지 혼합물에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단축 압출기로 저온에서 압출하고 가황실에서 열 및 압력을 가하여 3차원 망상 구조의 가황을 한다. 이어서, 제품의 외경 치수 및 표면 조도를 조절하고, 자외선 조사로 표면 마찰 계수를 낮추어 반도전성 고무 롤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도전성 고무롤러의 제조
실시예 1
아크릴로니트릴의 함량이 25%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틸렌 옥사이드 및 아릴글리시딜에테르가 각각 40: 56: 4의 중량비로 혼합된 히드린 고무 혼합물 10 중량부를 예열된 반바리 (Banbury) 믹서에서 일차적으로 용융 상태로 만들고, 다시 이를 꺼내어 오픈 롤러에 옮긴 후, 상기 용융 상태의 고무에 도전성 카본 블랙 6 중량부, 황 2 중량부, 2-머캅토이미다졸린 0.5 중량부, 산화아연 2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및 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중합체 (TMDQ) 0.5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킨 다음, 단축 또는 이축 압출기로 80~90℃에서 튜브상으로 압출하고, 150℃의 온도에서 5kgf/cm2의 압력을 가하여 가황시켰다. 얻어진 가황 고무 튜브를 접착제로서 켐락을 사용하여 직경 6 파이, 길이 26cm의 서스 재질로 된 샤프트의 외주면에 가열 접착시켰다. 얻어진 반도전성 고무롤러의 외경 치수를 14 파이로, 표면 조도를 2 내지 3으로 조정하고, 자외선 조사로 표면 마찰계수를 0.1~0.3으로 낮추어 완성품 반도전성 고무롤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50 중량부에 히드린 고무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도전성 카본 블랙 대신에 통상의 카본 블랙 (한국 카본블랙사의 코렉스) 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도전성 고무롤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히드린 고무를 사용하지 않고, 도전성 카본 블랙의 함량을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도전성 고무롤러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반도전성 고무롤러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성분 배합표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100 50 100
히드린 고무 10 50 -
도전성 카본 블랙 6 - 10
통상의 카본 블랙 - 1 -
2 2 2
2-머캅토이미다졸린 0.5 0.5 0.5
산화아연 2 2 2
스테아린산 1 1 1
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중합체 0.5 0.5 0.5
(단위: 중량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 25%
히드린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에틸렌 옥사이드:아릴글리시딜 에테르 = 40:56:4
가황촉진제: 2-머캅토이미다졸린
노화방지제: 2,2,4-트리메틸-1,2-디히드로퀴놀린 중합체 (TMDQ)
<물성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반도전성 고무롤러에 대해서, NN 저항, LL 환경저항, HH 환경저항, 경도 (shore A), 조도 (Ra) 및 마찰계수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NN 저항 9.0E+05 5.0E+06 5.0E+05
LL 환경저항 9.4E+05 6.0E+07 6.0E+05
HH 환경저항 7.0E+05 8.0E+05 4.0E+05
경도 (shore A) 51 46 57
조도 (Ra) 2.4 2.6 2.4
마찰계수 0.26 0.20 0.29
저항은 전류계, 전압계, 지그를 이용하여, 측정롤러를 지그에 장착하고 1000KG의 부하를 부여한 후, -5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상기 표에서 각각 LL환경저항은 10℃, 20%습도에서, NN환경저항은 23℃, 55%습도에서, HH환경저항은 32℃, 80%습도에서 측정한 값들을 나타낸다.
경도는 쇼어 A타입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조도는 마하장비를 이용하여 원주방향으로 중심선 평균조도 (Ra)를 구하였다. 마찰계수는 OHP필름에 70g의 추를 달아서 롤러 위에 놓고 70 mm/min 속도로 당겨서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고무 롤러는 이온전도형인 비교예 1의 고무 롤러보다 3가지 환경 하에서의 저항 변화가 작았으며, 전자전도형인 비교예 2의 고무 롤러보다 경도가 낮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롤러는 이온전도형과 전자전도형 고무 롤러의 장점을 모두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화상 실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전성 고무 롤러와 비교예 2에 따른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전자전도형)에 대하여 인쇄 매수에 따른 화상 농도 (블랙 농도), 2-바이-2 (블랙밴드, 화이트 밴드, 농도 단차 등), 컴프레션 세트 (C/S, compression set) 및 도트 재현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전성 고무 롤러
초기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화상농도
2-바이-2 +
C/S
도트 재현성 +
비교예 2에 따른 반도전성 고무 롤러
초기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화상농도 - -
2-바이-2 + + - × ×
C/S
도트 재현성 + + -
화상농도: 농도계로 측정한 블랙의 농도
2-바이-2: 블랙 밴드, 화이트 밴드, 농도 단차 등
C/S: 컴프레션 세트
도트 재현성: 1 도트 라인의 재현성
평가기준: ○ - 매우 좋음
+ - 좋음
- - 나쁨
× - 매우 나쁨
상기 표 3 및 4에서 2-바이-2 화상은 1200 dpi의 화상으로 블랙밴드, 화이트 밴드 등을 평가하는 화상을 의미하며, C/S는 고온고습 (HH환경)이나 저온저습 (LL환경)에서 8시간 이상 방치시의 고무의 복원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고무의 복원력이 나쁠 경우에는 화상에 가로 방향의 검은 줄이 관측된다.
화상 실험결과 본 발명에 따른 반도전성 고무롤러는 카본블랙만 첨가한 전자전도 고무롤러 (비교예2)에 비해서 화상 농도, 2-바이-2 화상, 도트 재현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C/S는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ⅰ) 경도를 낮추어 토너의 스트레스 감소 및 감광체와 현상롤러의 닙 (nip)을 증가시킬 수 있고, ⅱ) 고무의 무늬 점도를 낮추어 카본 블랙의 균일한 분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저항의 불균일성을 해소하고, 가공성을 증가시켜 압출성이 향상되며, ⅲ) 환경이 변화하더라도 균일한 저항값을 가지고, ⅳ) 고가의 도전성 고무를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반도전성 고무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 감광체
2: 현상롤러
3: 토너 공급롤러
4: 토너
5: 토너층 규제 장치
6: 대전장치
7: 클리닝 블레이드
8: 레이저 스캐닝 유닛 (Laser Scanning Unit, LSU)
9: 전사롤러

Claims (6)

  1.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로서, 상기 고무 조성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에틸렌 프로필렌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저 고분자 수지;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 내지 30 중량부의 도전성 고분자 수지; 및
    상기 기저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 내지 20 중량부의 도전성 카본 블랙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는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0 내지 35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고분자 수지는 에틸렌 옥사이드,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및 에피클로로 히드린의 3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 에피클로로 히드린의 2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고분자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1 내지 10 중량부의 노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황제, 0.1 내지 10 중량부의 가황촉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카본 블랙은 아세틸렌 블랙 또는 컨덕티브 퍼내이스 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카본 블랙의 평균 입경은 5 내지 3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조성물.
KR1020040025685A 2004-04-14 2004-04-14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KR200501004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685A KR20050100458A (ko) 2004-04-14 2004-04-14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685A KR20050100458A (ko) 2004-04-14 2004-04-14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458A true KR20050100458A (ko) 2005-10-19

Family

ID=3727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685A KR20050100458A (ko) 2004-04-14 2004-04-14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04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56A (ko)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CN105419016A (zh) * 2014-09-17 2016-03-23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导电性橡胶组合物和显影辊
CN106117658A (zh) * 2016-06-24 2016-11-16 山东永泰集团有限公司 一种耐寒胶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56A (ko)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CN105419016A (zh) * 2014-09-17 2016-03-23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导电性橡胶组合物和显影辊
CN106117658A (zh) * 2016-06-24 2016-11-16 山东永泰集团有限公司 一种耐寒胶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49726B2 (ja) 導電性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6697587B2 (en) Semiconductive rubber composition, charging member,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KR100732077B1 (ko) 도전성 고무 롤러
US7976447B2 (en) Conductive rubber roller and transfer roller
US7172544B2 (en) Conductive roller and image-forming apparatus having conductive roller
KR101366089B1 (ko) 고무롤러,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고무롤러를 구비한 화상형성 장치
JP4148470B2 (ja) 導電性ローラ、該導電性ローラ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導電性ベルト、該導電性ベル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40042836A (ko) 도전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도전성부재, 상기 도전성부재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WO2016158813A1 (ja) 電子写真機器用導電性部材
US7437108B2 (en) Developing roller for electrographic apparatus including a base rubber, a conductive polymer, a conductive carbon black and a binder resin and electrographic apparatus containing the developing roller
KR20110140073A (ko) 롤 부재, 대전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10051851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용 현상롤러, 이의 제조 방법
JP2010282140A (ja) 導電性ゴム部材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7663315B (zh) 导电性橡胶组合物、转印辊及其制造方法以及成像装置
JP3591560B2 (ja) ゴム組成物
KR20050100458A (ko) 반도전성 고무 롤러 제조용 고무 조성물
JPH11124473A (ja) 導電性ゴム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577713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with an elastic layer of ionic and electronic conductivity and formed by an electrically conductive powder
JP3820764B2 (ja) 転写ベルト部材
JP5022694B2 (ja) 現像ローラ、現像ローラの製造方法、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4263059A (ja) 導電性ゴムローラ
JP3315933B2 (ja) 導電性シームレスベルト
KR100517513B1 (ko) 도전성 고무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JP2002173594A (ja) 導電性ゴム組成物及び導電性ローラ
JP4477192B2 (ja) 導電性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