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053B1 -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053B1
KR100224053B1 KR1019960049908A KR19960049908A KR100224053B1 KR 100224053 B1 KR100224053 B1 KR 100224053B1 KR 1019960049908 A KR1019960049908 A KR 1019960049908A KR 19960049908 A KR19960049908 A KR 19960049908A KR 100224053 B1 KR100224053 B1 KR 10022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bsorbing member
body portion
roller body
impact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13A (ko
Inventor
이사오 이노우에
겐지 요시다
하루유끼 야나기
마사야 신마찌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미따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7002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경 방향 외형으로 돌출하는 플랜지형 부분이 강성의 합성 수지로 제조된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 형성되어 사실상 대스크형 형태를 갖는 롤러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외주 부분 상에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의 충격 흡수 부재를 구비한 개선된 롤러에 관한 것이다.
외주 부분 상에 고무와 같은 탄성 재료(고무 재료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의 충격 흡수 부재를 구비한 롤러(100)가 도7 및 도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롤러(100)는 디스크 형태를 갖는 본체부(101)의 외주 부분 상에 환형의 홈(102)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홈(102) 내에 끼워진 환형의 고무 링(10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롤러(200)가 통상 공지되어 있으며,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성형된 롤러(202)는 축(201) 상에 일체로 구비된다(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제1-58540호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도7 및 도8에 도시된 롤러(100)는 본체부(101)와 별개로 상기 본체부(101)의 외주 부분 내에 형성된 환형 홈(102) 내에 끼워진 고무 링(103)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100)는 이송되는 제품의 불량 이송이 발생할 때, 예컨대 복사기 등으로 용지 이송시 용지 걸림(paper jam) 등이 발생될 때, 롤러(100)의 회전력에 의해 고무 링(103)이 홈(102) 밖으로 빠지려는 방향으로 임의의 힘이 작용하고, 따라서 고무 링(103)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홈(102) 밖으로 미끄러져 나오는 가능성을 갖는다. 만약 미끄러져 나오려 한다면,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링(103)이 끼워진 본체부(101) 내의 홈(102)이 너무 깊게 제조되게 되고, 홈(102) 내로부터의 고무 링(103)의 돌출 치수가 작게 되어 상기 고무 링(103)의 충격 흡수 기능은 감소된다.
또한, 임의의 경우에, 고무 링(103)이 본체부(101)의 홈(102) 내에서 미끄러지고 롤러(100)의 회전력이 이송되는 제품 상에 적절히 작용되도록 제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롤러(100)의 제조에 있어서, 고무 링(103)을 본체부(101)의 홈(102) 내에 끼워 넣는 때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도9에 도시된 이송 롤러(200)의 경우,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제조된 롤러(202)는 축(201) 상에 일체로 구비되고, 따라서 롤러(202)가 축 (201) 밖으로 미끄러질 가능성은 없으나, 롤러(202)의 형상 유지력이 작아서 이송되는 제품 등이 롤러(202)에 대해 압착될 때 롤러(202)의 변형에 의해 상기 제품의 이송 중에 어떠한 방해도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롤러(202)에 일정 정도의 강성(rigidity)을 제공하기 위해 축(201)의 종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두껍게 상기 롤러(202)를 제조하여야 할 불가피한 필요성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 의한 롤러(100, 200)에 관련된 불편함을 제거하고, 즉 외주 부분 상에 충격 흡수 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롤러가 용이하게 제조되게 하고, 또한 이러한 롤러가 롤러 기능을 상실하지 않으면서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고무형 탄성 재료로 제조된 환형의 충격 흡수 부재가 경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된 롤러 본제의 외주 부분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거의 디스크 형상을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플랜지형 부분이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가 상기 플랜지형 부분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도록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플랜지형 부분,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일 측면,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및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내부 원주 표면이 상호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플랜지형 부분이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가 상기 플랜지형 부분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도록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한 쌍의 상기 플랜지형 부분,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측면,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및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내부 원주 표면이 상호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충격 흡수 부재가 사출 성형가능한 고무형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본체부가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사출 성형 중의 온도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경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되어 거의 디스크 형태를 제공하는 롤러 본체부가 공동 내에 수납되고 고무형 탄성 부재가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측면 상의 공동 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고무형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롤러(R1)의 측면도.
도2는 도1의 선 2-2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R1)의 다른 측면도.
도4는 금속 주형(K)의 필수 부분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5는 금속 주형(K)의 사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필수 부분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R2)의 종단면도.
도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롤러의 사시도.
도8은 종래 기술에 의한 롤러의 전개 사시도.
도9는 종래 기술에 의한 롤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롤러 본체부 10a : 외주 부분
11 : 기부 12 : 플랜지형 부분
13 : 축 보스 부분 20 : 충격 흡수 부재
K, K1, K2, K3 : 금속 주형 R1, R2 : 롤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 실시예를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롤러(R1)의 기본 구성은 디스크형 롤러 본체부(10)와 상기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의 충격 흡수 부재(20)를 구비한다. 충격 흡수 부재(20)는 고무형 탄성 부재와 같은 고무 재료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탄성을 갖는 충격 흡수 부재(20)가 이송되는 제품 또는 부재와 접촉하고 적절한 마찰력이 상기 제품 또는 부재 상에 작용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품 또는 부재를 용이하게 회전 또는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롤러(R1)는 이송되는 제품 또는 부재를 거의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충격 흡수 부재(20)는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일체로 구비되고, 따라서 이송되는 제품 및 부재와 접촉하여 롤러 본체부(10)의 회전력이 상기 제품 및 부재 상에 항상 정확하게 작용하도록 한다. 또한, 롤러(R1)의 롤러 본체부(10)는 충격 흡수 부재(20)에 비해 견고하고, 충격 흡수 부재(20)가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일체로 성형(사출 성형)될 때 가열 온도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그 결과, 롤러(R1)는 제품 등을 이송할 때 상기 제품 등에 의해 압착되고 변형되는 부분이 외주 부분(10a) 상에 제공된 충격 흡수 부재(20)의 일부분으로 제한되게 된다. 롤러 본체부(10)는 특히 변형되기 어렵고, 따라서 상기 롤러(R1)의 형상 유지력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롤러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롤러 본체부(10)는 거의 원형인 기부(11)의 외주 부분(10a)의 양 측면(도2에 도시된 좌측 및 우측) 상에서 연장하는 거의 환형의 원주 벽부(11a, 11b)와, 상기 기부(11)의 중앙 부분의 양 측면 상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축 보스 부분(13)을 구비한다. 또한, 롤러 본체부(10)는 상기 한 쌍의 축 보스 부분(13)을 관통하여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하는 축 구멍(13a)을 구비한다. 상기 축 구멍(13a)의 중심축은 기부(11)에 거의 직교한다. 또한, 환형의 충격 흡수 부재(20)는 상기 축 구멍(13a)의 종축 방향에 거의 평행한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일체로 구비(일체로 형성)된다.
외주 원주 표면(10a1)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환형의 플래지형 부분(12)은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구비된 하나의 원주 벽부(11a) 상에 형성된다. 충격 흡수 부재(20)는 일 측면(20a)이 플랜지형 부분(12)과 접촉하고 내부 원주 표면(20c)이 외주 원주 표면(10a1)과 접촉하여 상기 플랜지형 부분(12)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도록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 결과, 롤러 본체부(10)와 충격 흡수 부재(20)가 상호 일체로 접촉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넓고[충격 흡수 부재(20)의 내부 원주 표면(20c)이 외부 원주 표면(10a) 상에 단순히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넓고], 플랜지형 부분(12)은 충격 흡수 부재(20)의 측면에 대해 일체로 접촉(또는 고정)된다. 따라서, 롤러(R1)가 이송되는 제품 또는 부재에 대해 압착되는 때에도, 충격 흡수 부재(20)는 필요한 양보다 많이 변형되지 않으며, 따라서 충격 흡수 부재(20)의 반경 방향 외향의 단부 표면이 제품 등과 적절히 접촉되지 않는 불편함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롤러(R1)에 있어서, 충격 흡수 부재(20)는 고무형 탄성 부재와 같은 고무 재료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합성 수지로 제조된다. 롤러 본체부(10)는 충격 흡수 부재(20)에 비해 견고하고 충격 흡수 부재(20)의 성형(사출 성형)에 따른 가열에 의해 변형하지 않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예컨대, 최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의 탄성 중합체가 충격 흡수 부재(20)의 구성 재료로 사용되고 견고한 폴리프로필렌이 롤러 본체부(10)의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술한 구성의 롤러(R1)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본체부(10)를 사출 성형하고, 이후 사출 성형된 롤러 본체부(10)가 외주 부분(10a) 상에 충격 흡수 부재(20)를 일체로 구비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 부재(20)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즉,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본체부(10)는 제1 금속 주형(K1) 및 제2 금속 주형(K2)으로 구성되는 금속 주형(K)의 공동(S)에 의해 먼저 사출 성형된다. 제1 금속 주형(K1) 및 제2 금속 주형(K2)은 롤러 본체부(10)의 축 구멍(13a)의 종축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설계된다. 이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형 부분(12)을 구비하지 않는 롤러 본체부(10)의 원주 벽부(11b)를 성형하는 측면 상의 금속 주형인] 제2 금속 주형(K2)은 성형된 롤러 본체부(10)로부터 제거되고, 이후 플랜지형 부분(12) 및 외주 부분(10a)과 접촉하는 충격 흡수 부재(20)의 형상에 따른 간격(Sa)을 갖는 제3 금속 주형(K3)은 아직 제거되지 않은 제1 금속 주형(K1)에 조립된다. 이후, 상기 간격(Sa)은 고무 또는 탄성 변형가능한 합성 수지(고무형 탄성 부재)로 충전된다. 따라서, 상기 간격(Sa)은 공동(S)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럼으로써, 충격 흡수 부재(20)는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 상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롤러(R1)의 제조는 충격 흡수 부재(20)가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원주 표면(10a1)에 끼워지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용이하게 되며, 이후 충격 흡수 부재(20)와 롤러 본체부(10)는 상호 접착 고정된다.
플랜지형 부분(12)을 구비한 원주 벽부(11a) 상의 기부(11) 상에서, 축 보스 부분(13)으로부터 원주 벽부(11a)로 연장하는 3개의 리브형 돌출부(11c)는 상기 축 보스 부분(13)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구비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폭부(111)는 각 리브형 돌출부(11c)의 사실상 길이 방향으로의 중앙부 상에 형성된다. 이 광폭부(111)는 성형된 롤러(R1)가 제1 금속 주형(K1)으로부터 취출될 때 상기 제1 금속 주형 상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압착 핀(push-out pin)으로 인가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롤러(R1)는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환형의 충격 흡수 부재(20)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20)는 제품 또는 부재 상에 압착된다. 따라서, 제품 등이 손상받는 경우가 드물고, 적절한 마찰력이 상기 제품 등에 작용되게 되어 제조되어 상기 제품 등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R2)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의한 롤러(R1)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R2)는 주요하게는 디스크형 롤러 본체부(10)와 상기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부분(10a) 상에 일체로 제공된 환형의 충격 흡수 부재(20)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롤러 본체부(10)의 외주 원주 표면(10a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한 쌍의 플랜지형 부분(12)을 상기 롤러 본체부(10)의 양 표면 측면 상에 제공된 한 쌍의 외부 벽부(11a, 11b)의 선단부 상에 구비한다. 충격 흡수 부재(20)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20)의 내부 원주 표면(20c)이 외주 원주 표면(10a1)과 접촉할 수도 있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20)의 측면(20a, 20b)이 한 쌍이 플랜지형 부분(12)과 접촉할 수도 있도록 수집부(10a)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충격 흡수 부재(20)가 상기 플랜지형 부분(12)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도록 제조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 결과, 본 실시예는 롤러 본체부(10)와 충격 흡수 부재(20)가 제1 실시예보다 보다 넓게 상호 접촉되는 영역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플랜지형 부분(12)은 충격 흡수 부재(20)의 양 측면(20a, 20b)에 일체로 접촉(고정)되고, 따라서 제품 등이 롤러(R2)에 의해 이송될 때 충격 흡수 부재(20)는 소정량보다 많이 압축 및 변형되지 않는다. 따라서, 충격 흡수 부재(20)의 선단 표면이 이송되는 제품 등과 적절히 접촉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발생되기가 더욱 어렵게 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롤러(R2)의 잔여 구성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잔여 구성과 사실상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의 구성 부분과 사실상 동일한 제2 실시예의 구성 부분은 제1 실시예의 참조 변화와 동일하므로 설명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고무형 탄성 재료로 제조된 충격 흡수 부재를 경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된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 일체로 구비하고, 따라서 제품이 이송될 때 충격 흡수 부재(20)가 이송되는 제품으로 압착되어 롤러의 회전력이 항상 상기 제품 상에 정확히 작용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제품을 신뢰성 있고 부드럽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에 있어서, 상기 롤러 본체부는 충격 흡수 부재의 사출 성형 중의 온도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경질의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삽입부로서 롤러 본체부와 함께 사출 성형될 수 있고 상기 롤러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 부재를 구비한 롤러는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와 롤러 본체부의 결합 상태는 견고하게 된다. (즉, 상기 충격 흡수 부재와 롤러 본체부는 상호 견고하게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이송 중에 제품 등에 대해 압착될 때, 탄성 변형되는 부분은 외주 부분 상에 일체로 형성된 충격 흡수 부재로 한정되고, 롤러 본체부는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서 상기 롤러의 형상 유지력이 유지된다. 따라서, 롤러의 회전축 방향으로 충격 흡수 부재와 롤러 본체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작게 제조되는, 즉 상기 롤러가 상대적으로 얇은 벽 형태일 때에도, 상기 롤러의 기능은 망실되기 어렵고 상기 롤러를 소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는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플랜지형 부분을 구비하고, 충격 흡수 부재가 외주 원주 표면 및 플랜지형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플랜지형 부분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롤러 본체부 및 충격 흡수 부재가 상호 일체로 접촉하는 영역은 상대적으로 넓게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롤러가 이송 중에 제품 등에 대해 압착되는 경우에도, 플랜지형 부분이 충격 흡수 부재의 측면과 일체로 접촉하므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소정량 이상으로 변형되지 않으며, 제품 등과 적절히 접촉될 수 있어서 상기 제품 등을 부드럽고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Claims (6)

  1.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된 플랜지형 부분이 형성되고 경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된 디스크 형태의 롤러 본체부와, 고무형 탄성 재료로 제조된 환형의 충격 흡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흡수 부재가 상기 플랜지형 부분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되도록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형 부분,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일 측면,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및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내부 원주 표면은 상호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는 플랜지형 부분은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상기 플랜지형 부분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반경 방향으로 외향 돌출하도록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플랜지형 부분,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측면,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및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내부 원주 표면은 상호 일체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5. 제1항,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 부재는 사출 성형가능한 고무형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 본체부는 상기 충격 흡수 부재의 사출 성형 중의 온도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6. 경질의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디스크 형태를 갖는 롤러 본체부를 공동 내에 수납하는 단계와, 고무형 탄성 부재를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측면 상의 공동으로 분사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이럼으로써 상기 고무형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충격 흡수 부재가 상기 롤러 본체부의 외주 부분 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의 제조 방법.
KR1019960049908A 1995-10-31 1996-10-30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KR100224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83932 1995-10-31
JP28393295A JP3335269B2 (ja) 1995-10-31 1995-10-31 ローラ及び該ロー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13A KR970020913A (ko) 1997-05-28
KR100224053B1 true KR100224053B1 (ko) 1999-10-15

Family

ID=1767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908A KR100224053B1 (ko) 1995-10-31 1996-10-30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57261A (ko)
JP (1) JP3335269B2 (ko)
KR (1) KR100224053B1 (ko)
MY (1) MY119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56A (ko)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KR102073422B1 (ko) * 2019-02-07 2020-02-04 이용인 소음 저감형 중량물 이송용 롤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8236C2 (de) 1999-04-22 2003-01-02 Heron Sondermaschinen Und Steu Elastisch verformbares Laufrad für Werkstückträger oder dergleichen
JP4228238B2 (ja) 2006-08-18 2009-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ーラ成形装置、ローラ成形用金型、ローラ製造方法
KR100897548B1 (ko) * 2007-05-14 2009-05-15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반송 장치 및 상기 장치에 사용되는 기판 가이드 유닛
CN102883979B (zh) * 2010-04-08 2016-06-29 霓达株式会社 纸张传送辊子
NL2007658C2 (nl) * 2011-10-26 2013-05-01 Smit Ovens Bv Inrichting voor het verhitten van een substraat.
KR101226101B1 (ko) * 2012-06-18 2013-01-24 주식회사 이노디스 기판 이송장치용 이송롤러
JP5784202B2 (ja) 2013-09-26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位置決め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6468816B2 (ja) * 2014-11-26 2019-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ーラ部材の製造方法、ローラ部材金型、ローラ部材、複写機、およびプリンタ
CN105000346A (zh) * 2015-07-28 2015-10-28 苏州市相城区明达复合材料厂 一种高弹性橡胶缓冲辊
US10077157B2 (en) 2015-09-10 2018-09-18 AMF automation Technologies, LLC Static dissipative sprocket for a conveyor belt system
IT201800008205A1 (it) 2018-08-28 2020-02-28 Movex Spa Dispositivo di guida per trasportatori di oggetti in mass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247U (ko) * 1990-04-11 1991-12-27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844A (en) * 1974-05-22 1975-07-22 Rudolph Merbler Roller skate wheels
US4203509A (en) * 1978-06-23 1980-05-20 Textron, Inc. Cargo roller
JPS6458540A (en) * 1987-08-31 1989-03-06 Toyoda Gosei Kk Decoration of resin molded produc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247U (ko) * 1990-04-11 1991-12-27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56A (ko)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KR101648073B1 (ko) 2014-06-10 2016-08-12 주식회사 디엠케이코리아 다목적 롤러용 합성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목적 롤러의 제조방법
KR102073422B1 (ko) * 2019-02-07 2020-02-04 이용인 소음 저감형 중량물 이송용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19317A (en) 2005-05-31
JPH09124179A (ja) 1997-05-13
KR970020913A (ko) 1997-05-28
US5957261A (en) 1999-09-28
JP3335269B2 (ja) 200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053B1 (ko) 롤러 및 그 제조 방법
EP2414689B1 (en) An idler and bearing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870334B2 (ja) ころがり軸受け用板ケージ
JPS6298023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自動調心軸受
US20080220921A1 (en) Resin wound component
US3287485A (en) Method of providing a fluid tight seal between two rigid components
FR2159152A5 (ko)
KR101876038B1 (ko) 플렉서블 플라스틱 케이지 및 그 제조방법
JP4118373B2 (ja) 張り装置
KR840007158A (ko) 풀리 취부장치
JP2004360723A (ja) 転がり軸受
JPS6038567B2 (ja) ボールブシユ
JPS5869029A (ja) 合成樹脂成形体及びその金型装置
US3651704A (en) Molded article,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60180636A1 (en) Two-piece tube
JP3621576B2 (ja) ゴムローラ用コア
JP2583655Y2 (ja) 合成樹脂製冠型保持器
JPH04300423A (ja) 止め輪付きシール
JP2020118259A (ja) アンギュラ玉軸受、及び、アンギュラ玉軸受用保持器
JP3621541B2 (ja) ゴムローラ
KR0133381Y1 (ko) 조립오차를 극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볼 조인트
JPH0616286A (ja) ハブ緊張用手段
JP3065376B2 (ja) 型成形品およびその成形方法並びに成形型
US4566815A (en) Structure for mounting roller on shaft
JP2004144148A (ja) 軸受用プラスチック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