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450A -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450A
KR20150136450A KR1020150070720A KR20150070720A KR20150136450A KR 20150136450 A KR20150136450 A KR 20150136450A KR 1020150070720 A KR1020150070720 A KR 1020150070720A KR 20150070720 A KR20150070720 A KR 20150070720A KR 20150136450 A KR20150136450 A KR 20150136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section
base
shaft section
wrap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르트무트 볼케
위르겐 잘레브스키
볼프강 지츨러
볼프람 쭘마크
보그단 투텔레아
안드레아스 괴벨스
Original Assignee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보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136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60N2/4646
    • B60N2/463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1.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가 제공된다. 2.1. 그러한 팔걸이 장치는 팔걸이 위치(armrest position)와 비사용 위치(not-in-use position) 간으로 스위블(swivel)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팔걸이 부분(armrest part), 상기 팔걸이 부분이 스위블 축(swivel axis)을 중심으로 스위블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고 자동차에 고정되게 제공되는 베이스 부분(base part), 및 상기 팔걸이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locking device)를 구비한다. 2.2.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위블 축이 축방향으로 베이스 축 섹션(base axis section)과 팔걸이 축 섹션(armrest axis section)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팔걸이 축 섹션 및 베이스 축 섹션과 상호작용하는 랩 스프링 브레이크(wrap spring brake)를 포함하여, 상기 팔걸이 부분이 상기 비사용 위치의 방향으로의 스위블 움직임 동안에 해제되고, 역방향 스위블 움직임 동안에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3. 승용차에서 사용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Armrest device for a vehicle interior}
본원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4 210 134.4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상기 문헌의 내용은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팔걸이 위치와 비사용 위치 간으로 스위블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팔걸이 부분; 상기 자동차에 고정되게 배치된 베이스 부분으로서, 팔걸이 부분이 스위블 축을 중심으로 스위블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위치에 상기 팔걸이 부분을 지지하는 잠금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유형의 팔걸이 장치에는 승용차의 자동차 내부를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걸이 장치는, 운전 좌석과 승객 좌석 사이의 중앙 콘솔의 연장부로서, 또는 후방 벤치형 좌석(rear bench seat)의 영역에 등받침(backrest)으로부터 스위블되어 나오는 팔걸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형의 팔걸이 장치는 승용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다. 상기 팔걸이 장치는, 운전 좌석과 승객 좌석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스위블된 비사용 위치와 운전 좌석과 승객 좌석 사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팔걸이 위치 간으로 스위블가능하게 장착되는 팔걸이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팔걸이 부분을 위한 스위블 장착부(swivel mounting)는 자동차 내부에서 자동차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베이스 부분에 제공된다. 상기 팔걸이 부분이 끝 위치(end position)들과 다양한 중간 위치들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팔걸이 부분을 베이스 부분에 대하여 잠그거나 또는 스위블 움직임을 위하여 팔걸이 부분의 잠금을 해제시키는 잠금 장치가 상기 팔걸이 부분에 구비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된 유형의 팔걸이 장치로서, 잠금 장치의 설계가 간편하고 공간을 절약하게 됨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팔걸이 부분의 저소음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팔걸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상기 스위블 축이 축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부동적으로 제공되는 베이스 축 섹션(base axis section)과, 상기 팔걸이 부분에 대해 동시회전(co-rotatation)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걸이 축 섹션(armrest axis section)으로 나뉘어지도록 하고,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팔걸이 축 섹션 및 베이스 축 섹션과 상호작용하는 랩 스프링 브레이크(wrap spring brake)를 포함하여, 상기 팔걸이 부분이 상기 비사용 위치의 방향으로의 스위블 움직임 동안에 풀려나고(release)되고, 상기 팔걸이 위치의 방향으로의 역방향 스위블 움직임 동안에 잠겨지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는 증가 또는 감소된 마찰 잠금을 기초로 하여 작동한다.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는 상기 스위블 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기 때문에, 단순하고 공간절약적인 구조가 귀결된다.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의 기계적 효과는 기능면에서 신뢰성이 있다. 또한, 상기 스위블 축이 베이스 축 섹션과 팔걸이 축 섹션으로 나뉘는 구조는,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와 함께, 특히 단순하고 저렴한 설계의 잠금 장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은 승용차의 자동차 내부에서 승객 좌석과 운전 좌석 사이에 제공되는 팔걸이 장치에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적합하다.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은 후방 벤치형 좌석의 등받침의 영역에 있는 스위블가능한 중앙 팔걸이를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팔걸이 장치는 트럭과 상용 자동차, 특히 버스 및 코우치(coach)와 같은 다른 자동차, 또는 철도 차량, 또는 특히 비행기와 같은 항공기용 좌석들의 열(row)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안은,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의 무단계식 작동(stepless operation) 덕분에, 팔걸이 부분의 끝 위치들 사이에서의 특히 저소음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는 팔걸이 축 섹션과 베이스 축 섹션을 동축상으로 둘러싸는 권취부들을 포함하는 나선형의 랩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을 둘러싸는 상기 권취부들은, 팔걸이 부분이 비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스위블 움직임을 겪는 동안에 권취부들이 개방되도록 하는 회전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축 섹션 둘레에 감긴다. 상기 나선형의 랩 스프링은, 축방향으로 인접하는 팔걸이 축 섹션과 베이스 축 섹션에 대해 동축상으로 제공되는 코일 스프링으로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의 권취부들은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의 권취부들보다 더 큰 마찰 잠금으로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의 외피 표면을 둘러싼다. 이것은,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의 권취부들이 상기 팔걸이 축 섹션에 대해 항상 동시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채로 유지됨을 보장한다. 상기 팔걸이 부분, 그리고 그에 따라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의 회전 움직임은 필연적으로 상기 베이스 축 섹션에서 부동적으로 유지되는 권취부들의 벌어져 개방됨으로 귀결되는바, 이로써 상기 베이스 축 섹션에 대한 이 권취부들의 회전식 슬라이딩 움직임(rotary sliding movement)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과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동축상으로 정렬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팔걸이 축 섹션과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들이 원통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의 영역에 랩 스프링의 권취부들을 부착시키는 때에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부위에서 보다 더 높은, 필요한 마찰 잠금을 얻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축 섹션에 원형의 단면을 제공하고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이 다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의 외피 표면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의 권취부들은 외피 표면 상으로 수축된다. 이로써, 상기 팔걸이 축 섹션의 영역에서 상기 랩 스프링의 필요한, 증가된 마찰 잠금은, 단순하고 기능적으로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랩 스프링은 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스프링 와이어로 제조된다. 상기 사각형 단면은, 상기 팔걸이 축 섹션과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들의 영역에서 상기 스프링 와이어의 접촉 면적이 넓게 됨을 보장하고, 따라서 특히 우수한 마찰 잠금이 얻어지게 된다. 특히 유리하게는, 상기 스프링 와이어의 사각형 단면이 정사각형으로서 설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를 해제시키기 위한,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작동 요소를 구비한다. 이것은, 상기 팔걸이 부분이, 과도하게 높은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한 사람에 의하여, 비사용 위치 또는 팔걸이 위치 위의 다른 중간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팔걸이 위치의 방향으로 간편한 방식으로 되돌아 스위블될 수 있게 됨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는, 최종 권취부의 작동 요소가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의 권취부들과 연계되어서, 상기 작동 요소에 대한 적절한 수동 작동에 의하여 상기 랩 스프링의 최종 권취부가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에 대해 개방된다. 상기 작동 요소가 상기 최종 권취부에 작용하여서 상기 최종 권취부가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지는바, 그 결과로 상기 랩 스프링의 권취부들의 강성(stiffness) 때문에 상기 랩 스프링의 인접한 권취부들의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을 둘레로의 감쌈이 불가피하게 적어도 약간 헐겁게 되어서, 상기 권취부들이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 상에서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랩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은, 최종 권취부가 들려지는 때에, 이와 같은 굽힘(bending)이 필연적으로 상기 인접한 권취부들로 탄성 전달(elastic transmission)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의 작동을 위한 기계적 제어부는 상기 팔걸이 부분에 제공된다. 상기 기계적 제어부는 푸시 버튼(push-button), 셋팅 레버(setting lever), 당김 루프(pulling loop), 또는 이와 유사하게 설계된 제어 요소로서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요소는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영역에서 상기 랩 스프링의 최종 권취부의 자유로운 전방 단부 부위에 작용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작동 요소가 굽힘 강성 인장 및/또는 압축 수단으로서 설계되는데, 상기 수단은 상기 최종 권취부의 전방 단부 부위에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상기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으로부터 상기 최종 권취부의 분리, 그리고 그에 따른 상기 팔걸이 부분의 상기 팔걸이 위치 방향으로의 스위블 움직임의 해제는 단순한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 및 특징들은 아래의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계 예시에 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 기재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팔걸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구비한 승용차의 자동차 내부의 중앙 콘솔(centre console)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도 1 의 중앙 콘솔이 도시되어 있되, 도 1 의 팔걸이 장치의 팔걸이 부분이 중간 위치를 향해 상방향으로 스위블 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도 1 및 도 2 의 팔걸이 장치의 베이스 부분에 대한 팔걸이 부분의 스위블 장착부의 모습이 개략적이고 확대된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서 선택된 단면 평면에는 자동차의 횡단 방향으로 정렬된 스위블 장착부의 스위블 축이 포함되며,
도 4 에는 도 3 의 팔걸이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도 3 및 도 4 의 팔걸이 장치의 부분절개 등각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도 5 의 팔걸이 장치가 도시되어 있되, 여기에는 상기 팔걸이 부분의 스위블 장착부의 영역에 있는 랩 스프링이 생략되어 있다.
승용차의 자동차 내부에서 승객 좌석과 운전 좌석 사이에 배치된 중앙 콘솔(1)의 영역에는 아래에서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팔걸이 장치(2)가 구비된다. 팔걸이 장치(2)는 자동차 내부에 부동식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부분(3)을 포함하는데, 상기 베이스 부분(3)은 도시된 설계 예에서 중앙 콘솔(1)에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팔걸이 부분(4)은 상기 베이스 부분(3)에 스위블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팔걸이 부분(4)은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 위치에서 베이스 부분(3)의 프레임 섹션(frame section)에 안착되는 종장형의 팔걸이 요소(elongated armrest element)로서 설계된다. 상기 베이스 부분(3)은 상기 팔걸이 부분(4)의 팔걸이 위치에서 상기 팔걸이 부분(4)에 의하여 폐쇄되는 수용부(receptacle)를 상기 프레임 섹션의 부위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걸이 부분(4)의 - 자동차의 통상적인 운전 방향에서 볼 때 - 후방 단부 영역은 베이스 부분(3)에서, 자동차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된 스위블 축(S)을 중심으로 스위블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도 3 내지 도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위블 축(S)은 서로 정렬된 두 개의 축 섹션(axis section)들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두 개의 축 섹션들은 대략적으로 상기 스위블 축의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되고, 두 개의 축 섹션들 중 하나는 (도 3 의 좌측에 있는) 팔걸이 섹션(5)을 형성하며, 다른 하나는 (도 3 의 우측에 있는) 베이스 축 섹션(6)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축 섹션(6)은 상기 베이스 부분(3)에 부동식으로 배치되어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분(3)의 우측 지지 다리부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자동차의 횡단 방향에서 스위블 축(S)의 중앙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공-단면형 돌출부(hollow-section projection)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축 섹션(6)을 형성하는 중공-단면형 돌출부의 외피 표면은 원통형으로 설계된다. 상기 스위블 축(S)의 축방향으로 인접하되 좌측으로 정렬된 좌측 절반부도 유사하게 중공-단면형으로 설계된 팔걸이 축 섹션(5)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팔걸이 축 섹션(5)은 팔걸이 부분(4)과 동시회전가능하도록(co-rotatably) 연결된다. 상기 팔걸이 축 섹션(5)도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과 동축을 이루어 정렬된 원통형의 외피 표면을 구비한다. 전방에서 볼 때 좌측에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5)은 베이스 부분(3)의 좌측 지지 다리부에 의하여 한정된다. 가상의 스위블 축(S)은 베이스 부분(3)의 좌측 지지 다리부에 의하여 한정된다. 상기 가상의 스위블 축(S)은 물리적으로는, 베이스 축 섹션(6)과 팔걸이 축 섹션(5) 둘 다를 관통하는 삽입된 볼트 연결부(bolt connection)에 의하여 형성된다. 팔걸이 축 섹션(5)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리적 스위블 축에 의하여 동축으로 지지된다. 상기 스위블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팔걸이 부분(4)은, 도 3, 도 5, 및 도 6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구성부(driver arrangement; 12)을 거쳐서 팔걸이 축 섹션(5)에 확고하게(positively) 연결된다. 특히 도 6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팔걸이 축 섹션(5)의 하측부에는 구동 융기부(driver ridge)가 제공되는데, 상기 구동 융기부는, 팔걸이 부분(4)에 일체로서 제공되고 자동차의 횡단 방향으로 연장된 구동 홈(driver groove)과 맞물린다. 상기 스위블 장착부 및 구동 구성부(12)로 인하여, 팔걸이 축 섹션(5)은 팔걸이 부분(4)과 함께 베이스 축 섹션(6)에 대하여, 즉 베이스 부분(3)에 대하여 스위블 축(S)을 중심으로 스위블될 수 있으며, 이 때 팔걸이 축 섹션(5)은 그 외피 표면이 해당 스위블 움직임 동안에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에 대해서 동축을 이루면서 회전한다.
운전 좌석과 승객 좌석의 등받침들 사이에서 상방향으로 스위블된 비사용 위치와 도 1 에 도시된 대략적으로 수평인 팔걸이 위치 사이의 다양한 스위블 위치들에 상기 팔걸이 부분(4)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잠금 장치가 제공된다.
잠금 장치는 나선형의 랩 스프링(7)으로서 설계된 랩 스프링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랩 스프링(7)은 복수의 권취부들을 포함하는바, 상기 권취부의 절반은 대략적으로 팔걸이 축 섹션(5)의 외피 표면에 걸쳐서 연장되고, 다른 절반은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에 걸쳐서 연장된다. 상기 랩 스프링(7)은 팔걸이 축 섹션(5)과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들을 동축상으로 둘러싸고, 따라서 스위블 축(S)에 대해서도 동축으로 정렬된다. 랩 스프링(7)은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스프링 와이어로 단일체로서 제작된다. 팔걸이 축 섹션(5)의 외피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도 3 의 권취부들에는 참조번호 7a 가 부여된다. 베이스 축 섹션의 외피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도 3 의 권취부들에는 참조번호 7b 가 부여된다. 랩 스프링(7)의 권취부(7a)들은 팔걸이 축 섹션(5)의 외피 표면 상으로 수축되며, 상기 권취부(7a)들의 직경은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과 접촉하는 권취부(7b)들의 직경보다 대략 1/10 밀리미터(1/10 mm) 더 작다. 그 결과,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을 둘러싸는 권취부(7b)들과 비교할 때, 팔걸이 축 섹션(5)의 외피 표면의 영역에서 권취부(7a)들의 마찰 잠금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권취부(7a)들이 마찰에 의한 확고한 잠금에 의해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5)에 대하여 영구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랩 스프링(7)의 권취부들(7a, 7b)은 베이스 축 섹션(6)에 회전방향으로 끼워지는바, 팔걸이 부분(4)이 팔걸이 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스위블 움직임을 겪고 그에 따라 상기 팔걸이 축 섹션(5)에 마찰 잠금된 권취부(7a)들도 자동적으로 움직이는 동안에, 권취부(7b)들은 벌어져 개방된다. 그 결과,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에 대한 마찰 잠금(frictional locking)이 감소되어, 고정된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 상에서 권취부(7b)들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랩 스프링의 스프링 강성(spring stiffness)에 의해 얻어진다. 권취부(7a)들은 권취부들이 팔걸이 축 섹션(5)에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베이스 축 섹션(6)에 접촉하고 다소 헐거운 권취부(7b)들은 권취부들(7a)과 권취부들(7b) 간의 결과적인 비틀림(resultant torsion)에 의하여 벌어져 개방된다. 팔걸이 부분(4)이 비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팔걸이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스위블 방향에서, 권취부(7b)들은 약간 개방된 상태로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 상에서 스위블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회전한다. 반면에, 역으로 하측의 팔걸이 위치의 방향으로 팔걸이 부분(4)이 스위블 움직임을 겪는 경우에는, 팔걸이 축 섹션에 확고하게 연결된 권취부(7a)들의 역회전에 의하여 권취부(7b)들이 스프링 탄성의 방식(spring-elastic manner)으로 폐쇄되어서, 권취부(7b)들이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 둘레에 더 강하게 밀착된다. 그 결과, 고정된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과 상기 권취부(7b)들 사이에 마찰 잠금이 증가되어서, 팔걸이 부분(4)을 하향의 스위블 움직임에 반하여 잠그게 된다. 상기 권취부(7b)들의 감쌈(wrapping)으로 인하여, 스위블 축(S)을 중심으로 한 팔걸이 부분(4)의 하방향 토크 작용 동안에 팔걸이 부분(4)이 지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팔걸이 부분(4)이 디시 팔걸이 위치의 방향으로 하방향으로 스위블됨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에 대한 권취부(7b)들의 마찰 잠금은 수동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동 요소(8)가 제공되는데, 상기 작동 요소는 권취부(7b)들 중 최종 권취부의 전방 단부 부위(10)에 대략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작용한다. 상기 최종 권취부의 전방 단부 부위(10)는 작동 요소(8)에 의한 향상된 기계적 작용이 가능하도록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된다. 작동 요소(8)는 실질적으로 선형적인 움직임을 위한, 움직임가능한 작동 로드(actuating rod)로서 설계되고, 작동 요소의 전방 단부는 권취부(7b)들의 최종 권취부의 전방 단부 부위(10)에서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과 대략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접촉하는 최종 권취부를 대면한다. 작동 로드(8)는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기계적 제어부(9)에 의하여 작동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9)는 팔걸이 부분(4)의 외측 윤곽의 영역에 마련되고 수동적으로(manually) 작동될 수 있는 푸시버튼(pushbutton)으로서 설계된다. 상기 제어부(9)의 수동적 작동에 의하여 작동 로드(8)가 스위블 축(S)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로써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벌어짐 효과(spreading effect)가 권취부(7b)들의 최종 권취부의 전방 단부 부위(10)에 가해져서, 다른 권취부(7b)들의 마찰 잠금이 헐겁게 된다. 그 결과, 팔걸이 부분(4)이 하방향으로 스위블될 수 있게 되는데, 이것은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에 대한 권취부(7b)들의 마찰 잠금이 감소됨으로써 상기 외피 표면에 대한 권취부(7b)들의 하향의 스위블 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잠금 로드(8)는 팔걸이 부분(4) 내측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안내 수단(11)에 의하여 선형적 움직임으로서 안내된다.

Claims (11)

  1. 팔걸이 위치(armrest position)와 비사용 위치(not-in-use position) 간으로 스위블(swivel)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는 팔걸이 부분(armrest part), 상기 팔걸이 부분이 스위블 축(swivel axis)을 중심으로 스위블가능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고 자동차에 고정되게 제공되는 베이스 부분(base part), 및 상기 팔걸이 부분을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블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locking device)를 구비한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블 축(S)이 축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부분(3)에 대해 부동적으로 배치되는 베이스 축 섹션(base axis section; 6)과, 상기 팔걸이 부분(4)에 대해 동시회전(co-rotatation)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팔걸이 축 섹션(armrest axis section; 5)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잠금 장치가 상기 팔걸이 축 섹션(5) 및 베이스 축 섹션(6)과 상호작용하는 랩 스프링 브레이크(wrap spring brake; 7)를 포함하여, 상기 팔걸이 부분(4)이 상기 비사용 위치의 방향으로의 스위블 움직임 동안에 해제(release)되고, 상기 팔걸이 위치의 방향으로의 역방향 스위블 움직임 동안에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랩 스프링 브레이크는 팔걸이 축 섹션(5) 및 베이스 축 섹션(6)을 동축상으로 둘러싸는 권취부들을 포함하는 나선형의 랩 스프링(wrap spring; 7)을 구비하고, 베이스 축 섹션(6)을 둘러싸는 권취부(7b)들은 팔걸이 부분(4)이 비사용 위치의 방향으로 스위블 움직임을 겪는 동안에 권취부(7b)들이 개방되게 하는 회전방향으로 베이스 축 섹션(6) 둘레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5)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의 권취부(7a)들은,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7)의 권취부(7b)들보다 더 큰 마찰 잠금(frictional locking)을 가지고 팔걸이 축 섹션(5)의 외피 표면(shell surface)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5) 및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들은 서로에 대해 동축을 이루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축 섹션(5)의 외피 표면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7)의 권취부(7a)들은 상기 외피 표면 상으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랩 스프링(7)은 사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스프링 와이어(spring wire)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7.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랩 스프링 브레이크(7)를 해제시키기 위한, 수동적으로 작동되는 작동 요소(actuating element; 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최종 권취부의 작동 요소(8)는 베이스 축 섹션(6)을 둘러싸는 랩 스프링(7)의 권취부(7b)들과 연계되어서, 상기 작동 요소(8)의 적절한 수동 작동(manual actuation)에 의하여 상기 랩 스프링(7)의 최종 권취부가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에 대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 부분(4)에 상기 작동 요소(8)의 작동을 위한 기계적 제어부(mechanical control; 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8)는 베이스 축 섹션(6)의 영역에서 랩 스프링(7)의 최종 권취부의 자유로운 전방 단부 부위(front end area; 10)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요소(8)는, 상기 베이스 축 섹션(6)의 외피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방향으로 상기 최종 권취부의 전방 단부 부위(10)에 작용하는 굽힘 강성 인장 및/또는 압축 수단(flexurally stiff tension and/or compression means)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KR1020150070720A 2014-05-27 2015-05-21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KR201501364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10134.4 2014-05-27
DE102014210134.4A DE102014210134B4 (de) 2014-05-27 2014-05-27 Armauflag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450A true KR20150136450A (ko) 2015-12-07

Family

ID=5448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720A KR20150136450A (ko) 2014-05-27 2015-05-21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1275B2 (ko)
KR (1) KR20150136450A (ko)
CN (1) CN105128713B (ko)
DE (1) DE10201421013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3843S1 (en) * 2014-05-14 2017-08-08 Oneida Engineered Products, Inc. Support assembly
DE102015014723A1 (de) * 2015-11-17 2017-05-18 Grammer Ag Fahrzeugausstattungsvorrichtung sowie Armlehne
DE102016220501A1 (de) 2016-01-29 2017-08-03 Bos Gmbh & Co. Kg Armlehnen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DE102016003992A1 (de) 2016-04-07 2017-10-12 Grammer Ag Armlehne
DE102018210338B3 (de) * 2018-06-25 2019-06-13 Bos Gmbh & Co. Kg Armlehnen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FR3085897B1 (fr) * 2018-09-19 2020-08-28 Faurecia Interieur Ind Element de garnissage et vehicule associe
DE102020203129A1 (de) 2020-03-11 2021-09-16 Bos Gmbh & Co. Kg Armauflag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DE102020206764A1 (de) * 2020-05-29 2021-12-02 Bos Gmbh & Co. Kg Armauflage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645A (en) 1998-03-04 2000-04-18 Tachi-S Engineering U.S.A., Inc. Clutching mechanism for an infinitely adjustable armrest
GB2361089B (en) * 2000-04-06 2004-04-07 Nicholas John Campling Capo
DE10338414A1 (de) * 2002-08-19 2005-03-24 Grammer Ag Armlehne
US7080719B2 (en) * 2004-09-07 2006-07-25 Reell Precisi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rap spring brake
DE102006055176B4 (de) * 2006-11-23 2010-01-21 Daimler Ag Staubox zur Anordnung an einer Mittelkonsole zwischen Fahrzeugsitzen in einem Kraftwagen
DE102007004600A1 (de) * 2007-01-30 2008-07-31 Siemens Ag Regelbare Schlingfederbremse
US20090079228A1 (en) * 2007-09-25 2009-03-26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Height adjustable armrest assembly
CN201268245Y (zh) * 2008-09-12 2009-07-08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可收合式扶手装置
DE102011017083B4 (de) * 2011-04-14 2014-10-09 Grammer Aktiengesellschaft Stufenlose Neigungsverstellung eines schwenkbaren Fahrzeugteils, insbesondere einer Fahrzeugarmlehne
CN202243083U (zh) * 2011-09-07 2012-05-30 厦门金龙汽车座椅有限公司 扶手装置
KR20150041010A (ko) * 2012-08-02 2015-04-1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도어 팔걸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10134A1 (de) 2015-12-03
CN105128713A (zh) 2015-12-09
DE102014210134B4 (de) 2019-07-04
US20150343925A1 (en) 2015-12-03
CN105128713B (zh) 2019-07-16
US9481275B2 (en)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6450A (ko) 자동차 내부용 팔걸이 장치
US10286818B2 (en)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CN108698529B (zh) 头枕组件和用于机动车辆的座椅
US977653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for vehicle
US8888147B2 (en) Mounting of a container in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US8528975B2 (en) Drive device for a motor vehicle swivel seat
US8287024B2 (en) Seat lock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US20180093592A1 (en) Vehicle seat
US7766425B2 (en) Bench seat with movable bolsters
CN107662525B (zh) 用于车辆的座椅旋转装置
CA2735570C (en) Head restraint and seat stow flat handle
JP5422851B2 (ja) 回転式ヘッドレスト
US11208019B2 (en) Headrest assembly
WO2014167956A1 (ja) 車両用シート
WO2014200062A1 (ja) 車両用シート
US9108536B2 (en) Walk-in apparatus for vehicle seat
US7168763B2 (en) Seatback reclining apparatus for a vehicle
US20160039316A1 (en) Easy-entry system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20030214145A1 (en) Headrest retractable against motor vehicle headliner
KR102039609B1 (ko)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US10155464B2 (en) Head restraint assemblies
JP2006306251A (ja) 自動車シート
JP6582508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0215072A (ja) スライド機構
JP6161956B2 (ja) 車両用シー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