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352A -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 Google Patents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352A
KR20150136352A KR1020140063733A KR20140063733A KR20150136352A KR 20150136352 A KR20150136352 A KR 20150136352A KR 1020140063733 A KR1020140063733 A KR 1020140063733A KR 20140063733 A KR20140063733 A KR 20140063733A KR 20150136352 A KR20150136352 A KR 20150136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mbosis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ehwa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003B1 (ko
Inventor
손호용
김종식
신우창
김미선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국순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국순당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0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6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화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통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획된 유기 용매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증명된 바와 같이, 혈액 응고 저해 활성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과 같은 강력한 항혈전 효과를 가지므로 혈행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화누룩은 현재까지 식품 제조에 사용되어 온 것이므로 기존의 항혈전제를 대치할 수 있는 안전한 성분으로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THROMBOSIS COMPRISING ORGANIC SOLVENT FRACTION OF EHWA NURUK EXTRACT AS AN EFFECTIVE COMPONENT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thrombosis)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화주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통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순차적으로 분획된 유기 용매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인체 구성성분으로 혈액은 산소, 영양분, 노폐물의 운반 기능과 완충작용, 체온유지, 삼투압 조절 및 이온 평형유지, 수분 일정유지, 액성 조절작용, 혈압의 유지 및 조절, 생체방어 등 다양한 중요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혈액 및 혈액 순환은 인간의 생존에 필수사항이며, 혈관의 손상시에는 재빨리 혈전을 생성하여 혈액손실을 방지해야 한다. 그러나, 혈관 내의 과다한 혈전 생성은 혈액 순환을 방해하며, 심한 경우 혈관을 막아 심혈관계 및 뇌 조직의 심각한 손상을 나타내어 혈전증(thrombosis)을 야기한다. 이러한 혈전증은 1) 혈관내피세포의 이상, 2) 혈액응고인자(XII 인자, XI 인자, IX 인자, X 인자 등) 및 혈액응고효소(트롬빈, 프로트롬빈 효소)의 과다한 응고 활성, 3) 혈소판 응집 및 4) 생성된 혈전의 용해 시스템의 비정상적 작용이 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원인들은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혈관 내 과도한 혈전 생성을 유발한다. 혈전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 현재 1) 혈액응고인자의 활성을 저해하여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헤파린, 쿠마린 등의 다양한 항응고제, 2)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여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 3) 이미 생성된 혈전을 녹여 혈전생성을 억제하는 유로키네이즈와 같은 혈전용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가격이 매우 높을 뿐 아니라, 출혈성 부작용과 위장장해 및 과민반응 등으로 그 사용이 한정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화누룩은 이화주를 제조할 때 사용되는 전통 쌀 누룩으로 증자하지 않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분쇄하고, 이를 8~10cm의 구형으로 성형하여 솔잎으로 띄워 발효시킨 누룩이다. 이화누룩은 통상의 증자한 밀을 사용하는 밀 누룩과는 달리, 증자하지 않은 쌀을 분쇄하여 사용하는 쌀 누룩으로서, 아스페르질러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곰팡이와 한세눌라속(Hansenula sp.) 효모가 누룩의 우점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화누룩으로 제조된 이화주는 특유의 맛과 향이 있다.
현재까지 이화누룩에 관련된 연구로는 전통 이화주 양조 중의 주요성분 및 관능적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김정옥 외, 한국조리과학회지, 1994, 10: 1-7), 전통 이화주 양조 중의 화학성분 변화((김정옥 외, 한국조리과학회지, 1993, 9: 272-277) 및 전통 이화주의 양조와 관련된 미생물 및 효소적 특성(김정옥 외, 한국조리과학회지, 1993, 9: 266-271) 등 이화주에 대한 연구보고가 있을 뿐 이화누룩 자체의 생리활성 및 성분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또한, 이화누룩과 관련된 특허로는 이화누룩을 포함하는 고두밥을 담은 컵 용기에 대한 즉석 막걸리 제조 용기(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3117호, 쌀누룩 컵 막걸리, 등록일자 2014년 4월 30일) 및 이화누룩으로 빚은 이화주를 이용하는 미용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4224호, 이화누룩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공개일자 2014년 4월 14일)가 있으며, 특히, 한약재를 포함하는 한방이화주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0415호, 한방이화주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공개일자 2013년 12월 2일)가 알려져 있으나, 이화주가 아닌 이화누룩 자체의 생리기능과 성분에 대한 특허는 없는 실정이다.
나아가, 이화누룩을 이용한 이화주 제조 이외의 이화 누룩의 별도의 용도도 없는 상태이며, 특히, 이화누룩의 추출물의 활성 분획물을 대상으로 인간 트롬빈 효소, 프로트롬빈 효소 및 혈액응고 관련 인자들의 직접저해를 통한 혈전생성저해 효과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
KR 10-2014-0044224 A KR 10-2013-0130415 A
본 발명은 증자하지 않고 제조된 쌀 누룩인 이화누룩으로부터 유용 생리활성 물질을 회수하여 이화누룩의 생물자원으로서의 효용성을 증대시키며, 기존 항혈전제의 부작용에 따른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신약 후보 물질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 용매 순차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간 트롬빈 직접저해, 프로트롬빈 저해 및 내인성 혈액응고인자 저해에 따른 혈액 응고 저해 활성과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을 이용한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되어 얻어지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화누룩은 (S1) 수세된 쌀을 침지하는 단계; (S2) 물을 제거하고 분쇄하는 단계; (S3)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S4) 배양하는 단계; 및 (S5) 건조, 숙성 및 분쇄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혈액응고 저해 활성 및/또는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혈액응고 저해 활성은 트롬빈 저해 활성, 프로트롬빈 저해 활성 및/또는 혈액응고인자 저해 활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되어 얻어지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증명된 바와 같이, 혈액 응고 저해 활성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과 같은 강력한 항혈전 효과를 가지므로 혈행개선을 통해 허혈성 뇌졸중 및 출혈성 뇌졸중과 같은 혈전증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이화누룩은 현재까지 식품 제조에 사용되어 온 것이므로 기존의 항혈전제를 대치할 수 있는 안전한 성분으로서 제약 산업 및 식품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 이로부터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좌측으로부터 1: 용매 대조구(DMSO), 2: 아스피린(1.0mg/ml), 3: 아스피린(0.50mg/ml), 4: 아스피린(0.25mg/ml), 5: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0.25mg/ml), 6: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0.25mg/ml), 7: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0.25mg/ml), 8: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0.25mg/ml) 및 9: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물 잔류물(0.25mg/ml)을 각각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항혈전 및 혈류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성 소재 개발을 목표로, 이화누룩으로부터 추출물을 조제한 후, 이를 유기 용매를 사용한 순차 분획으로 다양한 분획물을 조제하고, 이를 대상으로 인간 혈장과 인간 트롬빈, 프로트롬빈, 혈액응고인자들을 이용하여 혈전생성 저해활성을 평가하고, 인간 농축혈소판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에서 매우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화누룩,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 이의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제조하고, 이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등의 유용성분을 분석하고, 추출물,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의 인간트롬빈 직접저해 효과, 프로트롬빈 저해효과, 혈액응고인자(VIII 인자, IX 인자, XI 인자 및 XII 인자) 저해에 의한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타임 연장효과를 평가하고, 또한, 농축 인간혈소판을 이용하여 혈소판 응집저해효과를 평가하여, 본 발명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이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항혈전제 아스피린(상품명: 프로텍트)보다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되어 얻어지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본 발명자들에 의하여 공개된 이화누룩 제조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4224호, 이화누룩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공개일자 2014년 4월 14일)에 따라 이화누룩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이화누룩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는 단계;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등의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로 조정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혈전 효능 및 안정성 조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화누룩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4224호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공정 또는 이의 변형된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1) 수세된 쌀을 침지하는 단계; (S2) 물을 제거하고 분쇄하는 단계; (S3)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S4) 배양하는 단계; 및 (S5) 건조, 숙성 및 분쇄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이화누룩은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멥쌀 100중량부를 8~10회 세미한 후 7~8℃의 120~180중량부의 냉수에서 4시간 동안 침지하고, 30분 간격으로 쌀을 뒤적이면서 2~5시간 동안 물을 뺀 후, 15~30메쉬의 체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쌀을 분쇄하고 쌀 분말을 선별한다. 이 후, 상기 쌀 분말을 8~10cm의 크기로 둥글게 뭉쳐 빚어 성형한다. 상기 성형물의 개당 무게는 200~250g이며, 종이 상자에 송엽을 흩어 뿌린 후 상기 성형물들을 넣고 그 위에 다시 송엽을 흩어 뿌리고 25~35℃, 습도 40~60%로 유지하는 항온 항습기(배양기)에서 약 8~11일간 배양한다. 이때, 사용하는 송엽의 양은 멥쌀 10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이다. 그 후, 둥근 형상의 배양물 표면의 균사와 포자 등을 깨끗이 털어내고, 이를 8~16등분으로 쪼개어 내부의 오염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법제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바람이 약하게 불고 습하지 않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약 1주일 동안 건조와 숙성을 진행한다. 그 후, 잘 건조된 배양물을 건식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분쇄물을 미생물 분석, 수분 함량 측정 등을 통하여 선별함으로써 이화누룩을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이화누룩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0.06mm 이하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이를 헥센으로 분획 후 잔류물을 순차적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과 물 잔류물을 회수하고, 이를 감압농축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80~95%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을 대상으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및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5배 이상 증가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평가한 결과, 물 잔류물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81.3%의 혈소판 응집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트롬빈, 프로트롬빈, 혈액응고인자에 작용하여 혈전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짐을 의미하며,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 후의 물 잔류물은 혈소판 응집을 저해하는 효과를 가짐을 의미하므로,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현재 위장장해와 같은 부작용이 알려진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전제를 대치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감압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건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분말화 과정을 거쳐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은 100℃의 열처리와 pH 2의 인체 위 내의 pH에서도 활성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혈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질환들은, 예를 들어, 동맥 혈전증으로서, 급성 심근 경색증, 가슴 통증, 호흡 곤란, 의식 소실, 허혈성 뇌졸중, 출혈성 뇌졸중, 두통, 운동 이상, 감각 이상, 성격 변화, 시력 저하, 간질 발작, 폐 혈전증, 심부정맥 혈전증, 하지 부종, 통증 및 급성 말초 동맥 폐쇄증 등을 들 수 있고, 정맥 혈전증으로서, 심부정맥 혈전증, 간문맥 혈전증, 급성 신장정맥 폐쇄증, 뇌 정맥동 혈전증 및 중심 망막정맥 폐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에는 추가적으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포함될 수 있는 적합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쓰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비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충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주사제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 당 1 내지 5,000mg,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질병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대상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일반적인 모든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표적 세포로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이용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대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인간,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유효 성분을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되어 얻어지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인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을 포함하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또는 물 잔류물은 일반적으로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 예컨대, 천연 탄수화물 및 다양한 향미제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의 당알코올이 있다.
상기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레바우디오시드 A 또는 글리시르히진과 같은 스테비아 등의 천연 향미제 및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향미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을 사용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본 발명의 주박 추출물 100중량부 당 0.01 내지 20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체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이화누룩의 제조 및 이화누룩의 특성
2012년 ㈜ 국순당에서 전통 이화누룩 제조방법에 따라 이화누룩을 제조하였다. 제조법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44224호(이화누룩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공개일자 2014년 4월 14일)에 제시한 바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세하게는, 멥쌀 60kg을 8~10회 세미한 후 7~8℃의 90kg의 냉수에서 4시간 동안 침지하고, 30분 간격으로 쌀을 뒤적이면서 3시간 동안 물을 뺀 후, 20메쉬의 체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쌀을 분쇄하고 쌀 분말을 선별하였다. 이 후, 상기 쌀 분말을 8~10cm의 크기로 둥글게 뭉쳐 빚어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물의 개당 무게는 200~250g이며, 종이 상자에 송엽 40~50g을 흩어 뿌린 후 상기 성형물들을 넣고, 그 위에 다시 송엽을 흩어 뿌리고 25~35℃, 습도 40~60%로 유지하는 항온 항습기 (배양기)에서 약 9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둥근 형상의 배양물 표면의 균사와 포자 등을 깨끗이 털어내고, 이를 12등분으로 쪼개어 내부의 오염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법제 공정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바람이 약하게 불고 습하지 않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약 1주일 동안 건조와 숙성을 진행하였다. 그 후, 잘 건조된 배양물을 건식분쇄기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분쇄물을 미생물 분석, 수분 함량 측정 등을 통하여 선별함으로써 이화누룩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이화누룩 10g에 100ml의 물을 첨가하여 현탁한 경우, 현탁액의 pH는 4.37, brix는 1.0을 나타내었다. 이화누룩은 수분함량 13.6%, 알코올 함량은 0%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및 성분 분석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기 위해 누룩 무게에 대해 10배의 에탄올(95%, 덕산, 한국)을 가하고 상온에서 8시간씩 2회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은 필터기를 사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회수하고, 이를 감압 농축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순차적 분획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물 잔류물을 얻었으며, 아를 감압 농축하여 분말화한 후 사용 전까지 저온 밀봉 보관하였다.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수득율 및 성분 분석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의 수득율은 4.23±0.2% 이었으며, 순차적 분획시 에탄올 추출물의 34.6%는 헥센 분획으로, 33.2%는 물 잔류물로 이행되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에탄올 추출물의 5.1%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화누룩 100g에 대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약 0.215g을 얻게 됨을 의미하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상당히 정제된 상태로 판단된다.
조제된 이화누룩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 및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 함량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추출 검액 400μl에 50μl의 Folin-ciocalteau와 100μl의 Na2CO3 포화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72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탄닉산(tannic acid)을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각각의 시료를 18시간 메탄올로 교반 추출하고, 여과한 추출 검액 400μl에 90%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4ml를 첨가하고 다시 1N NaOH 40μl를 넣고 37℃에서 1시간 반응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시약으로는 루틴(rutin)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3 및 0.7mg/g이었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이보다 높은 9.3 및 3.4 mg/g을 나타내어 다양한 생리활성이 우수하리라 판단되었다.
[표 1]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수율 및 이들의 성분 분석
Figure pat00001
실시예 3: 이화누룩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혈액응고 저해활성과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혈액응고 저해활성은 기존에 보고된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으며(류 등 2010. J. Life Science, 20. 922-928),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트롬빈 타임( Thrombin Time )
37℃에서 0.5U 트롬빈(Sigma Co., USA) 50μl와 20mM CaCl2 50μl, 시료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혼합하여 2분간 반응시킨 후, 혈장(control plasm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MA, USA) 100μl를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32.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혈액응고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트롬빈 타임을 용매 대조구의 트롬빈 타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프로트롬빈 타임( prothrombin time )
표준혈장(MD Pacific Co., China) 70μl와 시료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 후, 130μl의 PT reagent를 첨가하고 혈장(control plasm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MA, USA)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대조로는 아스피린(Sigma Co., USA)을 사용하였으며,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다. DMSO의 경우 18.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혈액응고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프로트롬빈 타임을 용매 대조구의 프로트롬빈 타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aPTT (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
혈장(control plasma,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MA, USA) 100μl 와 시료 10μl를 Amelung coagulometer KC-1A(Japan)의 튜브에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가온한 후, 50μl의 aPTT reagent(Sigma, ALEXINTM, USA) 를 첨가하고 다시 37℃에서 3분간 배양하였다. 이후 50μl CaCl2(35mM)을 첨가한 후 혈장이 응고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용매 대조구로는 시료 대신 DMSO를 사용하였으며, 이 경우 55.1초의 응고시간을 나타내었다. 결과는 3회 반복한 실험의 평균치로 나타내었으며, 혈액응고 저해활성은 시료 첨가시의 에이피티 타임을 용매 대조구의 에이피티 타임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설명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과 에이피티 타임 측정법에 따른 혈액응고 저해활성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Figure pat00002
대조구로 사용된 아스피린은 1.5mg/ml 농도에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2.6배, 1.7배 및 1.4배 연장시켜 우수한 항혈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은 5mg/ml 농도에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 변화를 거의 나타내지 못했다. 이는 추출물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헥센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에서도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 변화를 거의 나타내지 못했다. 그러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는 5mg/ml 농도에서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모두 무첨가구에 비해 15배 이상 연장시켜 매우 강력한 혈전 생성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2.5mg/ml 농도에서는 트롬빈 타임, 프로트롬빈 타임, 에이피티 타임을 무첨가구에 비해 각각 1.4배, 1.5배 및 1.3배 연장시켰다. 한편,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pH 2(0.01M HCl)에서 1시간, 100℃에서 30분, 혈장(fetal bovine serum, Sigma Co., USA)에서 1시간을 처리시에도 항혈전 활성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위장장해 등의 부작용을 나타내는 아스피린을 대치할 수 있는 항혈전제로 사용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4: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혈소판 응집저해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조제된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의 항혈전 활성 평가의 일환으로 인간 혈소판에 대한 응집저해활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은 다음의 방법에 준해 평가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Platelet aggregation inhibition activity )
혈소판은 건강한 인간의 전혈로부터 3.2% sodium citrate 용액과 1:9의 비율로 혼합한 후, 1,1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의 PRP(platelet rich plasma)를 취하고, 이를 washing buffer(138mM NaCl, 2.7mM KCl, 12mM NaHCO3, 0.36mM NaH2PO4, 5.5mM Glucose, 1mM EDTA, pH 6.5)로 1회 세척하였다. 이후, suspending buffer(138mM NaCl, 2.7mM KCl, 12mM NaHCO3, 0.36mM NaH2PO4, 5.5mM Glucose, 0.49mM MgCl2, 0.25% gelatin, pH 7.4)에 재현탁한 후,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다시 suspending buffer에 재현탁하였으며, 이때 혈소판 수는 4x109/ml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후 1ml 현탁액에 2.5μl collagen을 가해 5분간 반응시키고, whole-blood aggregometer(Chrono-log, USA)를 사용하여 37℃에서 혈소판 응집을 측정하였으며, 응집강도, 기울기, 연장시간 및 하강면적으로 나타내었다.
[표 3]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Figure pat00003
* 하강면적이 작을수록 응집저해가 강력함
먼저, 아스피린은 우수한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농도의존적인 응집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반면, 이화누룩의 에탄올 추출물은 0.25mg/ml 농도에서 하강면적이 무첨가구에 비해 오히려 증가되어 혈소판 응집능이 123.9%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을 제외한 분획물들도 혈소판 응집 촉진을 나타내었다. 물 잔류물의 경우, 무첨가구에 비해 81.3%의 혈소판 응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 후의 물 잔류물은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을 통하여 항혈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되어 얻어지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화누룩은 다음의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S1) 수세된 쌀을 침지하는 단계;
    (S2) 물을 제거하고 분쇄하는 단계;
    (S3)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S4) 배양하는 단계; 및
    (S5) 건조, 숙성 및 분쇄하는 단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혈액응고 저해 활성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활성 중 하나 이상의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혈액응고 저해 활성은 트롬빈 저해 활성, 프로트롬빈 저해 활성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 활성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헥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순차적으로 분획되어 얻어지는, 이화누룩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물 잔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20140063733A 2014-05-27 2014-05-27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4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733A KR101646003B1 (ko) 2014-05-27 2014-05-27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733A KR101646003B1 (ko) 2014-05-27 2014-05-27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52A true KR20150136352A (ko) 2015-12-07
KR101646003B1 KR101646003B1 (ko) 2016-08-08

Family

ID=5487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733A KR101646003B1 (ko) 2014-05-27 2014-05-27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15A (ko) * 2017-07-21 2019-01-3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윤농참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6587A (ko) 2021-10-20 2023-04-27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두룸아마이드 a를 포함하는 혈소판 응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415A (ko) 2012-05-22 2013-12-02 주식회사 국순당 한방 이화주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4224A (ko) 2012-10-04 2014-04-14 주식회사 국순당 이화누룩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4692A (ko) * 2012-10-05 2014-04-1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415A (ko) 2012-05-22 2013-12-02 주식회사 국순당 한방 이화주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4224A (ko) 2012-10-04 2014-04-14 주식회사 국순당 이화누룩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44692A (ko) * 2012-10-05 2014-04-1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0115A (ko) * 2017-07-21 2019-01-3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윤농참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003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0658A (ko) 무청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46003B1 (ko) 이화누룩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76092B1 (ko) 도토리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58674B1 (ko) 다래 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70952B1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20889A (ko) 아피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883181B1 (ko) 모링가 올레이페라 지하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60012501A (ko) 수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583910B1 (ko) 산수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16340B1 (ko) 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63714B1 (ko) 흑도라지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60101887A (ko) 팥의 열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6222B1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210047781A (ko) 푸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36126B1 (ko) 한방이화주 주박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24538B1 (ko) 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45878B1 (ko) 도라지 또는 홍도라지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25623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의 유기 용매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678303B1 (ko) 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40109099A (ko) 치자 추출물의 헥센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소판 응집 저해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90085730A (ko) 미후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479816B1 (ko) 상황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710263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45733B1 (ko) 윤농참쌀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16221B1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