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1281A - 압출 메시를 포함하는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출 메시를 포함하는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1281A
KR20150131281A KR1020157029334A KR20157029334A KR20150131281A KR 20150131281 A KR20150131281 A KR 20150131281A KR 1020157029334 A KR1020157029334 A KR 1020157029334A KR 20157029334 A KR20157029334 A KR 20157029334A KR 20150131281 A KR20150131281 A KR 20150131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rands
mesh
extruded
bi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076B1 (ko
Inventor
로버트 에이. 한센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31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8/00Producing nets or the like, e.g. meshes, lattices
    • B29D28/005Reticulated structure comprising reinforcement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for use in minefields; protecting from landmine blast; preventing landmines from being 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B29C47/0014
    • B29C47/004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3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 B29C48/0014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producing flat articles having components brought in contact outside the extrusion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8/00Producing nets or the like, e.g. meshes, latt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09Cutting out
    • B29C2793/0018Cutting out for making a 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2Articles with an irregular circumference when viewed in cross-section, e.g. wind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13Articles with a cross-section vary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g. corrugate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4Anisotr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46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1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9/00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8/00N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17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4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32Floor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074Strand or strand-portions
    • Y10T428/24091Strand or strand-portions with additional layer[s]
    • Y10T428/24099On each side of strands or strand-por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5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grain, strips, or filamentary elements in respective layers or components in angular relation
    • Y10T428/24074Strand or strand-portions
    • Y10T428/24091Strand or strand-portions with additional layer[s]
    • Y10T428/24099On each side of strands or strand-portions
    • Y10T428/24107On each side of strands or strand-portions including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pring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압축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갖는 패드에 사용하기 위한 구조체. 상기 구조체는 축방향으로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 및 상대적으로 비탄성 스트랜드들을 함유하며, 이들은 다양한 패턴으로 공압출된 것이다. 상기 구조체는 인가된 수직 하중하에서의 고도의 압축성 및 상기 하중의 제거시 고도의 우수한 회복(레질리언스 또는 스프링 백)을 모두 갖는다.

Description

압출 메시를 포함하는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운동화, 보통 신발, 부츠, 바닥 카펫, 카펫 패드, 스포츠 바닥재(floors) 등과 같은 다양한 용도를 위한 압축성/레질리언스를 갖는(compressible/resilient)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구조체 자체가 최종 제품일 수 있거나 또는 이 구조체가 다른 구조체의 구성성분일 수 있다. 상정되는 용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동차 부품 및 다른 복합 재료; 바닥재; 서브플로어(subfloors) 특히 체육관 또는 다른 운동 경기장 서브플로어; 프레스 패드; 방탄복 또는 허리케인 창문 보호구와 같은 탄도 직물(ballistic cloth); 야구 포수 가슴 보호구와 같은 스포츠 용품 패딩; 주자(runner), 레이서, 스케이터, 배구선수용 무릎/팔꿈치 패드; 크리킷 정강이/무릎 패드; 풋볼 엉덩이 패드; 스타디움, 체육관, 운동 경기장에서의 벽 패딩(wall padding); 신발 깔창(신발 지지대(shoe orthotics)); 러닝 슈즈와 같은 운동화용 뒷굽/밑창; 침구, 차량 시트, 베개용 쿠션층; 및 관통 두께 압축성(through thickness compressibility) 및 레질리언스(resiliency)가 요구되는 다른 최종 용도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미국 특허 제6,391,420호는 일방향 탄성을 갖는 압출된 이성분 엘라스토머 망(elastomeric netting)을 개시한다. 상기 '420 특허에 개시된 구조체는 일 방향에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탄성 재료 및 다른 방향에서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와 같은 탄성 재료를 채용하는 부직포 물품이다.
미국 특허 출원 2007/0202314호, PCT 특허 출원 WO 2007/067949호 및 미국 특허 출원 2007/0194490호는 "무교차(crossless)" 구조체가 기재(substrate)로서 사용되는 예이다. 이들 층의 적어도 일부에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를 치환하면 관통 두께 압축 및 스프링 백(spring back)을 가능하게 하며, 개선된 전체 구조체를 낳는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또한 보통 몰딩된 고체 수지인 신발 깔창(shoe insert) 또는 지지대 깔창(orthotic insert)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의 층을 포함하면 그의 완충 효과(cushioning effect)가 개선된다. 스포츠화용 밑창/뒷굽은 보통 고체 점탄성중합체 재료이며, "완충"을 개선하기 위한 몇몇 시도는 예를 들면 "공기 채널 또는 포켓"을 본뜨는 것이었다. 그러나, 몰딩된 재료의 강성 때문에 완충 효과는 제한적이다. 캐스트 구조체 내의 층으로서 운동이 가능하도록 "수지"가 없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를 포함시키면 러닝 슈즈/운동화의 완충 효과가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가 폴리우레탄 발포체(foam) 또는 실리콘 발포체인 경우, 이는 메시 구조체를 함침하거나 또는 심지어 캡슐화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관통 두께 회복과 함께 하중하에서의 우수한 탄성 거동을 제공하는 패드를 제공하는 것은 최첨단 "패드 제조"에서 진일보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체의 표면에 수직하게 인가된 하중하에서 우수한 탄성 거동 및 높은 관통 두께 압축성 및 회복(레질리언스)을 제공하는 독특한 구조체를 이용하는 '충격 흡수 패드'이다. 본 발명의 구조체는 적어도 한 방향에서 탄성 성분을 이용하며, 이는 전체 구조체가 이 성분의 탄성에 주로 기초하여 인가된 수직 하중(즉 압력)하에서 그 자신으로 '붕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구조체의 기하학적 구조(structure geometry)가 압력하에서 순응(conform)하고 하중(즉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스프링 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이러한 독특한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메모리 발포체, 젤, 스프링 시스템 등에 비하여 개선된 회복 특성을 갖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를 들면, 신발과 발에 대한 지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패드에 매끄럽고 균일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펫/스포츠 바닥재/바닥재 재료의 개선된 지지를 갖는 스트랜드들의 '평평한(planar)'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료의 직선 압축과 대조적으로, 상기 구조체 내에서의 상기 탄성 성분의 '완전' 회복을 이용함으로써 회복/감쇠 특성의 우수한 유지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탄성 성분의 부분들(sections) 사이에서 지지를 제공하는 상기 구조체에 기인하여 달성되며, 이는 상기 재료의 '과도응력(overstressing)'을 방지하여 이를 '살아있게(alive)' 하며 더 긴 유효 수명을 낳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압축 회복 대 중량 비율을 제공함으로써 경량 구조체로 상당한 감쇠 능력(dampening capability)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격 흡수 구조체의 우수한 '통기성(breathability)'을 제공함으로써 땀 및 기타 수분을 압축 단계에서 증발 및/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이의 작동 이점 및 이의 사용에 의하여 달성되는 구체적인 목적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되는 설명을 참조하며, 여기에서는 바람직하지만, 비제한적인 구현예들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스포츠화, 러닝 슈즈, 보통 슈즈, 부츠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초레질리언스 패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바닥 카펫, 스포츠 바닥재, 바닥재 커버링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초레질리언스 '카펫 패드'이다.
따라서, 압축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갖는 패드로서, 압출된 이성분 엘라스토머 메시 또는 망(netting)을 포함하는 패드가 개시된다. 상기 이성분 메시 또는 망은 두 개의 별도의 폴리머 흐름을 공급받는 압출 다이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 또는 망은 하나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비탄성 스트랜드 재료의 적어도 두 층 및 가로 방향으로 공압출된 탄성 스트랜드 재료의 적어도 일 층을 포함하는 구조체이다. 상기 스트랜드 층들을 형성하기 위하여 임의의 조합의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단 두 유형의 재료는 가공 및 유변학적 관점에서 상용성(compatible)이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두 재료 흐름의 스트랜드들은 우수한 접합 결합 강도(joint bond strength)를 가져야 한다. 상기 망(net) 또는 압출 메시는 바람직하게는 세로 방향으로 폴리아미드와 같은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 및 가로 방향으로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층에서의 상기 스트랜드들 또는 부재/성분들은, 예를 들면, 원형,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난형, 삼각형, 별형, 홈이 있는 형태(grooved), 및 임의의 다각형을 포함하는 비원형 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최종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직포 층(woven layer) 및 이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이성분 압출 메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트(batt), 부직 재료, 예를 들면 스펀본드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 재료,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 사 배열체(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yarn array), 또는 나선상 링크 포(spiral link fabrics)의 하나 이상의 층이 이 구조체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이성분 압출 메시 또는 망의 형성 방법으로서, 하나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비탄성 스트랜드 재료의 적어도 두 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탄성 스트랜드들의 두 층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탄성 스트랜드 재료의 적어도 일 층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성 방법이다. 상기 망(net) 또는 메시는 바람직하게는 일 방향으로 폴리아미드와 같은 비탄성 재료 및 다른 방향으로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압축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갖는 이성분 압출 메시로서,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의 하나 이상의 층; 및 상기 압출 필름 또는 시트의 양 쪽(표면) 위에 공압출된 상대적으로 비탄성 부재/성분의 둘 이상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는 탄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및 압축성이며, 세로(length) 및 가로 방향으로는 신장성이고, 굽힘성이며, 및 레질리언스를 갖는 이성분 압출 메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압축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갖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탄성 필름 또는 시트의 하나 이상의 층을 압출하는 단계로서, 압출된 필름 또는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는 탄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및 압축성이며, 세로(length) 및 가로 방향으로는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신장성이고, 굽힘성인 단계; 및 상기 필름 또는 시트의 표면 위 또는 아래에 상대적으로 비탄성 부재/성분의 둘 이상의 층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 및 본 명세서의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 또는 망은 최종 제품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구조체는 다른 구조체의 일 성분일 수 있다. 상기 메시 구조체는, 신발류(footwear); 슈즈; 운동화; 부츠; 바닥재; 카펫; 카펫 패드; 스포츠 바닥재(sports floors); 자동차 부품; 복합 재료; 서브플로어; 체육관 서브플로어; 운동 경기장 서브플로어(sports arena subfloors); 프레스 패드; 탄도 직물; 방탄복(body armor); 허리케인 창문 보호구; 패딩; 스포츠 용품 패딩; 야구 포수 가슴 보호구; 무릎/팔꿈치 패드; 엉덩이 패드; 벽 패딩; 신발 깔창(shoe inserts)과 신발 지지대(shoe orthotics); 운동화용 뒷굽/밑창; 침구용 쿠션층; 및 차량 시트를 포함하는 제품의 군에서 선택되는 제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포함한다(comprises)"는 "포괄하는(including)" 및 "포괄한다(includes)"를 의미할 수 있거나, 또는 미국 특허법에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및 "포함한다(comprises)"에 통상적으로 부여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용어 "본질적으로 이루어진(consisting essentially of)"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진다(consists essentially of)"는 미국 특허법에서 이들에게 할당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하의 개시에 기술되어 있거나 또는 이하의 개시(및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로부터 자명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에 통합되며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여기에 제공되는 도면은 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초레질리언스(ultra resilient)를 갖는 패드의 적용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성분 압출 메시의 모식적인 측면도(profile view)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성분 압출 메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성분 압출 메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성분 압출 메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성분 압출 메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이성분 압출 메시의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압축성 이성분 압출 메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압축성 이성분 압출 메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서, 용어 "가로 방향(transverse direction)"은 "TD"와 동의어이며 때때로 간단히 "TD"로 지칭되며, 용어 "세로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은 때때로 "LD"로 간단히 지칭된다. 그러나, 용어 "가로(transverse)"는 또한 앞에서 지칭된 스트랜드/부재/성분의 방향과 다른(opposite)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트랜드/부재/성분을 지칭하기 위하여 때때로 사용된다. 그 의미는 특정한 경우에 문맥으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은 수직 압력 하중하에서 우수한 탄성 거동과 높은 두께 회복(레질리언스)을 제공하는 독특한 구조체를 이용하는 '충격 흡수' 패드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도 2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스포츠화, 러닝 슈즈, 보통 슈즈, 부츠 등과 같은 신발에서 이용하기 위한 이성분 압출 메시(10)이다. 신발 패드용 이성분 압출 메시(10)는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평행 배열체로 압출된 기능성 스트랜드들(14)로 이루어진 제1 또는 하부 층(1)을 갖는 것으로 도 2에 나타나 있다. 스트랜드들(12)의 제2 또는 중간 층(2)은 제1 층(1)에 대하여 직교하게 또는 90도로 공압출된다. 스트랜드들(12)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특징을 갖는다. 기능성 스트랜드들(14)로 이루어진 제3 또는 상부 층(3)이 또한 층(2)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행 배열체의 형태로 공압출된다. 층(3)에서의 스트랜드들(14)은 층(1)에서의 스트랜드들(14)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거나 또는 정렬한다. 층(1) 및 층(3)에서의 스트랜드들(14)은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모든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은 공압출된 폴리머 연장 부재들(elongate members)로서 압출 동안 가로지르고(cross) 교차하여 도 2에 나타낸 망상 구조(net-like structure)를 형성한다. 용어 "이성분(bicomponent)"은 두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재료는 하나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이고, 다른 재료는 다른 방향에서 탄성 재료인 것을 지칭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비탄성 재료는 폴리아미드이고 상기 탄성 재료는 폴리우레탄이다. 모든 세 층에서의 부재들은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일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형태 및 크기일 수 있다.
이제, 도 3을 보면, 여기에는 비압축 또는 이완된 또는 회복된 상태의 이성분 압출 메시(10)가 나타나 있다. 이성분 압출 메시(10)의 표면에 수직한 압축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스트랜드들(12)은 스트레치되어 층(1) 및 층(3)으로부터의 스트랜드들(14)이 동일 평면 내에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여,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의 사이에 "내포(nest)"될 수 있도록 한다. 하중을 해제하면, 스트랜드들(12)의 탄성 거동 때문에, 이들은 층(1) 및 층(3)으로부터의 스트랜드들(14)이 서로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도록 하거나 또는 "스프링 백(spring back)" 하도록 하여, 도 3에 처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패드를 바람직한 두께 및 개방도(openness)로 되돌린다. 따라서 그러한 구조체는 압축성이며 적어도 전체 탄성 스트랜드 두께까지 회복(resilient)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스트랜드들(14)은 위에서와 같은 동일한 위치 및 상대적인 배향/간격을 갖지만, 스트랜드들(12)은 스트랜드들(14)에 대하여 90도 각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45도의 각도로 압출되고 배향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두 층보다 많은 기능성 LD 스트랜드들의 층 및 한 층보다 많은 TD 스트랜드들의 층이 있을 수 있다. 세 층의 LD 스트랜드들의 층 및 그 사이의 두 층의 TD 스트랜드들의 층에서, 예를 들면, 세 층의 LD 스트랜드들의 층 중 두 층은 내포(nesting)를 가능하게 하도록 서로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중간 LD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이 상부 LD 층의 두 인접한 스트랜드들 사이의 공간에 들어맞고(fit) 하부 LD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은 상부 LD 층 또는 중간 LD 층 중 하나와 수직 배향으로 쌓이도록(stack), 상부 및 중간 LD 층이 배향될 수 있다. 또한, TD 스트랜드들의 두 층은 엘라스토머일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압축 하중하에서, 더 큰 공극 부피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한 층만이 엘라스토머일 수 있고 다른 층은 기능성 스트랜드 층일 수 있다.
또한 압축성/레질리언스의 정도는 요구되는 스트랜드들의 탄성, 스트랜드들의 크기 및 수, 스트랜드들의 층의 수, 및 물론 그 구조체 자체의 통합성(totality)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조체는 또한 이에 부착된 다른 스트랜드 배열체 (MD 및/또는 CD) 또는 직포와의 라미네이트의 일부일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은, 도 2-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이성분 압출 메시 또는 망 구조체(10)의 형성 방법이다. 구조체(10)는 우수한 압축성 및 회복 특성을 갖는 완전히 압출된 삼층 이성분 망(fully extruded three layer bicomponent netting: 10)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경질 또는 뻣뻣한 비탄성 재료(14)는 엇갈린 방식으로 상부층(3) 및 하부층(1)을 점유하며, 탄성 재료(12)는 중간층(2)을 점유한다. 상부층 및 중간층(3, 2)은 압출 공정 때문에 중간층 및 하부층(2, 1)이 서로 결합(bond)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메시 구조체는 실린더 또는 튜브의 형태로 압출될 수 있으며, 그 후 이는 세로방향으로 절단되고 평평하게 되어 연속적인 시트를 형성한다. 상기 상대적으로 비탄성 스트랜드들(LD)은 제2 공정 단계에서 상기 메시 구조체를 LD 응력에 노출시킴으로써 선택적으로 배향(예를 들면, 인장 성질을 개선하기 위한 모노필라멘트사 공정에 유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12) 및 경질(비압축성 및 비탄성) 스트랜드들(14)은 서로 직교하지만, 이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이 구조체가 관통 두께 방향에서 비압축된 경우, 그 구조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나서, 중간층(2)에서의 스트랜드들(12)은 직선 또는 비압축 상태로 나타나고, 스트랜드들(14)은 중간층(2)의 양 측면 위에 놓여진 것으로 나타나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구조체가 관통 두께 방향에서 이 구조체의 표면에 수직하게 인가된 하중 때문에 압축된 경우, 그 구조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나서, 중간층(2)에서의 스트랜드들(12)은 층(1) 및 층(3)에서의 스트랜드들(14)의 원주에 따르며(conform) 이에 의하여 층(1)의 스트랜드들(14)은 층(3)으로부터의 바로 인접하는 스트랜드들(14)의 사이에 내포된다. 삼층 압출 이성분 망상 제품(netting product)을 형성하는 하나의 장점은 전통적인 직포 텍스타일 구조체 또는 독립적으로 결합된 사 배열체(yarn arrays)와 비교하여 이 재료는 제조하기에 비용이 낮다는 점이다.
경질 (또는 상대적으로 비탄성) 스트랜드(14) 직경, 또는 비원형인 경우 크기는 엘라스토머 스트랜드(12) 직경 또는 크기와 같을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라. 그러나, 상기 경질 스트랜드 직경 또는 크기는, 몇몇 경우, 상기 엘라스토머 스트랜드 직경 또는 크기보다 클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원형 스트랜드의 직경은 0.1 mm 내지 150 mm의 범위일 수 있으며, 그러나 바람직한 범위는 0.2 mm 내지 70 mm이다.
스트랜드 시스템 (1) 및 (3)은 재료, 형상, 형태 등의 측면에서 서로 같을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다를 수 있다는 것에 주의하라. 단지 층(3)에서의 스트랜드들이 층(1)의 인접한 스트랜드들 사이에 들어맞도록(fit) 이격되거나 또는 그 반대의 경우만이 요구된다. 스트랜드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난형, 삼각형,별형, 홈이 있는 형태(grooved), 또는 임의의 다각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축의 치수는 적어도 250 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층 (1) 및 (3)의 스트랜드들의 수의 사이에는 1 대 1 관계가 있어야 할 필요는 없지만, 층 (3)의 스트랜드들의 수는 단지 층 (1)의 스트랜드들의 수의 일부분일 수 있거나 또는 그 반대라는 점에 주의하라. 예를 들면, 사용중 층 (3)의 스트랜드들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여 추가적인 공극 부피를 형성하도록 층 (3)은 층 (1)의 스트랜드들의 절반만을 함유할 수 있다. 스트랜드 간격(중심으로부터 중심까지)은 LD (경질) 및 TD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 모두에 대하여 같을 수 있다. 그러나, 스트랜드 간격은 최종 구조체의 소망하는 공기 또는 물 투과도, 개방 면적(open area), 및 공극 부피에 기초하여 변화할 수 있다. 최대 스트랜드 밀도는 스트랜드 직경의 두 배와 같은 스트랜드 간격에 기초할 수 있으며, 최소 스트랜드 밀도는 스트랜드 직경의 세 배 이상과 같은 스트랜드 간격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트랜드 직경의 세 배와 같은 간격을 갖는 이성분 압출 메시(10)가 도 5-6에 나타나 있다.
몇몇 재료들이 상기 삼층 이성분 압출 메시의 중간층(2)을 점유하는 엘라스토머 스트랜드 재료(12)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는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엘라스토머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코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몇몇 재료들이 경질 또는 비탄성 스트랜드 재료(14)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예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경질 폴리우레탄, 및 그러한 수지들의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엘라스토머 및 경질 스트랜드들로서 어떠한 재료가 선택되든지, 이들 재료는 압출 공정의 결과로서 함께 결합(bond)되어야 한다. 폴리머 재료에 식견이 있는 사람은 두 다른 폴리머 사이의 결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폴리머에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분명히, 망(netting)의 압출 동안 결합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적절한 재료의 선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스트랜드들의 노드(LD 및 TD 스트랜드들이 서로 가로지르고 접촉하는 곳)를 위한 높은 결합 강도가 요구된다. 압출 망 또는 메시가 (모노필라멘트 압출 공정에서와 같이) 제2 공정 단계에서 배향되는 경우 이는 특별히 중요하다. 이 공정 단계에서, 큰 힘이 망 이음새(netting joints)/노드를 통하여 모든 방향에서 망 스트랜드들로 그리고 망 스트랜드로부터 전달되고 분포된다. 상기 이음새/노드에서 우수한 스트랜드 대 스트랜드 결합이 없으면, 제품은 인열되어 파괴될 것이다.
전체 엘라스토머 망(all-elastomeric netting)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이성분 엘라스토머 메시의 장점은 많다. 예를 들면, 상기 제품은 하나의 방향에서 한 세트의 성질들을 갖고, 다른 방향에서 다른 세트의 성질들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방향에서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상대적으로 비탄성 폴리머를 사용하고, 반면에 상기 메시/망의 엘라스토머 (압축 및 회복) 성질은 다른 방향에서 우수한 엘라스토머 재료의 사용에 의하여 보장함으로써 높은 항복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이 설계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조체는 수직 압력 하중하에서의 우수한 탄성 거동 및 관통 방향 (구조체 평면에 수직) 회복에서의 큰 캘리퍼 또는 두께를 제공하는 독특한 구조체를 이용하는 '충격 흡수' 패드일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이 구조체(100)는 상대적으로 비탄성 스트랜드들(122, 114)과 함께 공압출되는 탄성 매체(116)를 이용한다. 이 구조는 전체 구조체가 이 매체(116)의 탄성에 기초하여 그 자신으로 '붕괴'하고(압축), 상기 구조체가 압력(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수직하게 인가된 하중)하에서 순응(conform)하고, 그 후 상기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래의 형태 및 두께로 회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따라서 이러한 독특한 반복가능한 거동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용어 "이성분"은 두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재료는 하나의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이고, 다른 재료는 다른 방향에서 탄성 재료(즉 탄성 매체(116))인 것을 지칭한다. 상기 구조체(100)는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는 탄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및 압축성이며, 세로(length) 및 가로 방향으로는 신장성이고, 굽힘성이며, 및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복수 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기능성 세로 방향 스트랜드들의 하나 이상의 층이 상기 압출 필름 또는 시트의 상부 및 하부 표면 위로 공압출된다.
이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라 형성된 압축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갖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모식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이성분 압출 메시(100)는 세로 방향으로 배향된 평행한 배열체의 상대적으로 비탄성, 경질 기능성 스트랜드들(114)로 구성된 제1 또는 상부 (1) 층(112); 상기한 탄성 특성을 갖는 압출 필름 또는 시트(116)의 제2 또는 중간 (2) 층(116); 및 상대적으로 비탄성, 경질 기능성 스트랜드들(122)로 구성되며 층(116)의 다른 측면(표면) 위에 평행한 배열체의 형태로 공압출된 제3 또는 하부 (3) 층(120)을 갖는다. 모든 세 층은 하나의 단일 구조체로서 함께 공압출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상기 상부층, 중간층, 및 하부층은 순차적으로 압출되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층(120)의 스트랜드들(12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1) 층(112)의 인접한 스트랜드들(114)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거나 정렬된다. 상기 필름 또는 시트(116)는 0.10 내지 적어도 5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0.5 mm 내지 25 mm의 두께를 갖는 필름 또는 시트가 선호된다.
두께 방향으로는 탄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압축성이며, 또한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는 신장성이고, 굽힘성이며 레질리언스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는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가 이 구현예에서 요구된다. 상기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미리 결정된 대칭 패턴 또는 무작위 비대칭 패턴으로 분포하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 또는 공극(115)을 갖도록,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천공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와 같은 임의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수한 탄성 재료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우레탄, 고무, 실리콘, 또는 Invista사의 상표 Lycra
Figure pct00001
또는 Lubrizol사의 상표 Estane
Figure pct00002
으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압출 필름 또는 시트(116)는 0.10 내지 적어도 5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0.5 mm 내지 25 mm의 두께를 갖는 필름 또는 시트가 선호된다. 상기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 내에 형성된 관통 구멍은 적당한 크기의 원형 또는 비원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비원형 형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사다리꼴, 육각형 및 다른 다각형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멍은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압출될 때 이 필름 또는 시트 내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구조체가 공압출된 후 기계적으로 펀칭되거나 또는 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의 각 표면에서의 구멍들의 개구부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구조체(20)는 이성분 압출 메시(10)의 하부 표면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에 부착된 직포(woven fabric)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가 도 7에 나타나 있으며, 층(22)는 세로방향사들(18) 및 교차방향사들(16)로 제직될 수 있다. 실들(16, 18)은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또는 천연 또는 합성 텍스타일 섬유의 방적사와 같은 임의의 전통적인 텍스타일사일 수 있다. 그러한 실의 대표는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로 만들어진 모노필라멘트이다. 포(22)는, 전통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원조직이든 변화조직이든, 단일층이든 다층이든, 임의의 전통적인 조직을 이용하여 제직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 메시는 예를 들면, 니들링(니들 펀칭)에 의하여, 또는 접착제 또는 열 융착의 사용에 의하여 직포층(22) 및/또는 상기 공압출된 구조체 자신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에 부착된 텍스타일 섬유들의 부직 재료의 하나 이상의 층(24)과 구조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에 부착된 부직 재료(24)는 임의의 전통적인 텍스타일 섬유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텍스타일 섬유의 대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등의 스테이플 섬유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배트 또는 스펀본드 웹과 같은 부직, 텍스타일 섬유들의 하나 이상의 층이, 예를 들면, 이성분 압출 메시(10)의 외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성분 압출 메시(10)에 부가적인 층(들)의 부착은 또한 니들링, 접착, 또는 열 융착에 의할 수 있다.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설명된 구현예는 단지 두 개의 부직 섬유층만을 갖는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임의의 수의 층(24)와 같은 부직 섬유 층이 세워져서 특정한 두께, 밀도 및 공극 부피의 소망하는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는, 필요하다면, 가공되어 매끄러운 표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발포체로 코팅될 수 있거나, 또는 마찬가지로 압축성 및 레질리언스의 성질을 갖는 수지 또는 발포체로 함침될 수 있다. 막, 또는 사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른 형태가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에 라미네이트될 수 있다. 상기 압축성이며 레질리언스를 갖는 이성분 압출 메시를 포함하는 구조체는, 최종 용도를 위하여 구조체 표면에 수직한 인가 하중에 노출시, 그리고 이의 제거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충분한 압축도, 충분한 탄성뿐만 아니라 상기 구조체가 다시 튀어오를 수 있는, 또는 '스프링 백'할 수 있는 강도를 갖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신발의 하부에서 지지 패드의 일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발걸음을 내디디면 소망하는 속도 및 소망하는 정도로 패드가 압축하도록 하여 발에 어느 정도의 지지 및 완충을 주고, 발을 올리면 패드가 원래의 두께로 "다시 튀어오르게(rebound)" 할 것이다. 상기 구조체의 압축 및 다시 튀어오름(rebounding)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1) 메모리 발포체, 젤, 스프링 시스템 등에 비하여 개선된 회복 특성.
2) 예를 들면, 신발과 발에 대한 개선된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매끄럽고 균일한 표면 특성.
3) 상기 메시 구조체의 '완전' 회복에 기인하는 회복/감쇠 특성의 우수한 유지율.
4) 우수한 압축 회복 대 중량 비율을 제공함으로써 경량 구조체로 상당한 감쇠 능력을 가능하게 함.
5) 땀 및 기타 수분을 각각의 압축 단계에서 증발 및/또는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충격 흡수 구조체의 우수한 '통기성'.
상기 이성분 메시 또는 망의 임의의 구현예들에 있어서, 비탄성 스트랜드들의 두 층이 교시되었지만, 상기 구조체가 사용중 기능하기 위하여 비탄성 (LD) 인장 스트랜드들의 단지 한 층만이 필요할 수 있으며, 다른 표면 위의 다른 층은 또한 탄성일 수 있다.
게다가, 교시된 상기 이성분 (다른 엘라스토머 또는 같은 엘라스토머일 수 있음) 메시 망의 임의의 구현예들에 있어서, 상기 메시가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직포와 같은 LD 하중 (인장) 지탱 구조체에 라미네이트되는 한, 세 층 모두가 탄성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앞의 임의의 구현예들에서 상기 이성분 메시 또는 망이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직포와 같은 LD 하중 (인장) 지탱 구조체에 라미네이트되는 한, 상기 이성분 메시 또는 망은 90°회전되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비탄성 기능성 LD 스트랜드들이 이제는 TD 방향에 있고 상기 탄성 TD 스트랜드들 또는 탄성 재료는 LD 방향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변경은 이 개시내용에 비추어 본 기술분야의 평균적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지만, 그렇게 변경된 발명이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지 않을 것이다.
10: 이성분 압출 메시
12: 엘라스토머 특징을 갖는 스트랜드들
14: 경질 또는 상대적으로 비탄성 스트랜드들
(1): 제1 또는 하부 층
(2): 제2 또는 중간 층
(3): 제3 또는 상부 층

Claims (67)

  1. 이성분 압출 메시(bicomponent extruded mesh)로서,
    세로 방향으로 이어진 평행 스트랜드들(strands)의 제1 층;
    상기 제1 층의 일 측면 위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2층으로서, 상기 제2 층의 스트랜드들은 가로 방향으로 이어지고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는 제2 층;
    상기 제1 층과 반대측의 상기 제2 층 위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3 층으로서, 이 평행 스트랜드들은 상기 제1 층의 평행 스트랜드들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이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거나 정렬되도록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공압출된 이성분 압출 메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은 압출된 폴리머 연장 부재들(elongate members)로서 압출 동안 가로지르고(cross) 교차하여 망상 구조(net-like structure)를 형성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의 수는 상기 제1 층의 스트랜드들의 수보다 작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의 스트랜드들은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3 층의 스트랜드들에 대하여 직교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3 층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에서와 동일 방향으로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4 층으로서,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는 제4 층; 및
    상기 제1 층에서와 동일 방향으로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5 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층의 스트랜드들은 관통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층 또는 상기 제3 층의 수직 평면과 동일한 수직 평면 내에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은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엘라스토머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코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제5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경질(hard)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들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난형, 삼각형, 별형, 홈이 있는 형태(grooved),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9. 제1항의 이성분 압출 메시; 및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에 부착된 직포(woven fabric),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yarn array)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패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 및/또는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층에 부착된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배트(batt) 재료의 하나 이상 층을 더 포함하는 패드.
  11. 제1항의 이성분 압출 메시; 및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에 부착된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배트의 하나 이상 층을 포함하는 패드.
  12. 세로 방향으로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1 층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일 측면 위에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2층으로서, 상기 제2 층의 스트랜드들은 가로 방향으로 이어지고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는 제2 층을 공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층과 반대측의 상기 제2 층 위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3 층으로서, 이 평행 스트랜드들은 상기 제1 층의 평행 스트랜드들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3 층을 공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이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거나 정렬되도록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공압출되는,
    압축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갖는(compressible resilient)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은 압출된 폴리머 연장 부재들로서 압출 동안 가로지르고 교차하여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의 수는 상기 제1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의 수보다 작거나 또는 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의 스트랜드들은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3 층의 스트랜드들에 대하여 직교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3 층에 대하여 90도 미만의 각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에서와 동일 방향으로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4 층으로서,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을 포함하는 제4 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층에서와 동일 방향으로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5 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층의 스트랜드들은 관통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층 또는 상기 제3 층의 수직 평면과 동일한 수직 평면 내에 정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 스트랜드들은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엘라스토머 코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코폴리아미드,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제5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경질(hard)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들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난형, 삼각형, 별형, 홈이 있는 형태(grooved),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에 직포,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 및/또는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층에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배트의 하나 이상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에 부직포 또는 배트의 하나 이상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는,
    운동화; 보통 신발; 부츠; 바닥 카펫; 카펫 패드; 또는 스포츠 바닥재; 자동차 부품; 복합 재료; 바닥재; 서브플로어(subfloor); 프레스 패드; 방탄복; 스포츠 용품 패딩; 주자(runner), 레이서, 스케이터, 배구선수용 무릎/팔꿈치 패드; 크리킷 정강이/무릎 패드, 풋볼 엉덩이 패드; 스타디움, 체육관, 운동 경기장에서의 벽 패딩(wall padding); 신발 깔창; 운동화용 뒷굽/밑창; 침구, 차량 시트, 베개용 쿠션층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24. 이성분 압출 메시로서,
    세로 방향으로 이어진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1 층;
    상기 제1 층의 일 측면 위의 탄성 재료(elastic material)의 제2층; 및
    상기 제1 층과 반대측의 상기 제2 층 위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3 층으로서, 이 평행 스트랜드들은 상기 제1 층의 평행 스트랜드들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이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거나 정렬되도록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공압출된 이성분 압출 메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료는,
    두께 방향으로는 탄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및 압축성이며, 세로(length) 방향으로는 신장성이고, 굽힘성이며, 및 레질리언스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는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직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분포하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through hole) 또는 공극(vo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직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silicon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사다리꼴, 육각형 및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비원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은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가 압출될 때 상기 공압출된 메시 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가 공압출된 이후 기계적으로 펀칭되거나 또는 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31. 제24항의 이성분 압출 메시; 및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에 부착된 부직포 또는 배트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패드.
  32. 제24항의 이성분 압출 메시; 및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에 부착된 직포,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패드.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 및/또는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층에 부착된 부직포 또는 배트의 하나 이상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3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압출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35. 기계 방향으로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1 층을 압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층의 일 측면 위에 탄성 재료의 제2층을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층과 반대측의 상기 제2 층 위의 평행 스트랜드들의 제3 층으로서, 이 평행 스트랜드들은 상기 제1 층의 평행 스트랜드들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는 제3 층을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에서의 스트랜드들이 상기 제3 층에서의 스트랜드들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거나 정렬되도록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공압출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료는,
    두께 방향으로는 탄성이고, 레질리언스를 가지며, 및 압축성이며, 세로(length) 방향으로는 신장성이고, 굽힘성이며, 및 레질리언스를 갖는 것으로 정의되는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분포하는 복수 개의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 또는 공극은 동일한 크기 또는 다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압출 필름 또는 시트는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silicon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0.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타원형, 사다리꼴, 육각형 및 다각형으로부터 선택된 비원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관통 구멍 또는 공극은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가 압출될 때 상기 공압출된 메시 내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가 공압출된 이후 기계적으로 펀칭되거나 또는 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에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배트의 하나 이상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3.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층에 직포,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 막, LD 또는 TD 사 배열체 및/또는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의 상부 및/또는 하부 층에 부직포 또는 배트의 하나 이상 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압출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4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4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4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5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는 0.10 내지 적어도 50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5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는 0.10 내지 적어도 50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5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스트랜드들의 직경은 0.1 mm 내지 150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5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스트랜드들의 직경은 0.1 mm 내지 150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54.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가 가로 방향에 있고 상기 탄성 스트랜드들 또는 탄성 재료가 세로 방향에 있도록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가 90°회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55.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직포를 포함하는 기계 방향 하중 지탱 구조체에 라미네이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56.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가 가로 방향에 있고 상기 탄성 스트랜드들 또는 탄성 재료가 세로 방향에 있도록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가 90°회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57.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직포를 포함하는 기계 방향 하중 지탱 구조체에 라미네이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5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들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난형, 삼각형, 별형, 홈이 있는 형태,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5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들은 원형, 또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타원형 또는 난형, 삼각형, 별형, 홈이 있는 형태, 및 다각형을 포함하는 비원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6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압출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압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61.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함께 압출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압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6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63.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6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상대적으로 비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65.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또는 상기 제3 층은 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6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직포를 포함하는 기계 방향 하중 지탱 구조체에 라미네이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
  6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이성분 압출 메시는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 직포를 포함하는 기계 방향 하중 지탱 구조체에 라미네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성분 압출 메시의 형성 방법.
KR1020157029334A 2013-03-15 2014-03-11 압출 메시를 포함하는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7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834,828 2013-03-15
US13/834,828 US9545773B2 (en) 2013-03-15 2013-03-15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PCT/US2014/023265 WO2014150439A1 (en) 2013-03-15 2014-03-11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281A true KR20150131281A (ko) 2015-11-24
KR101837076B1 KR101837076B1 (ko) 2018-03-09

Family

ID=50680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334A KR101837076B1 (ko) 2013-03-15 2014-03-11 압출 메시를 포함하는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9545773B2 (ko)
EP (2) EP2969467B1 (ko)
JP (1) JP6281752B2 (ko)
KR (1) KR101837076B1 (ko)
CN (1) CN105189080B (ko)
BR (1) BR112015022420B1 (ko)
CA (1) CA2905860C (ko)
ES (2) ES2886060T3 (ko)
FI (1) FI3081363T3 (ko)
MX (3) MX2015012509A (ko)
PL (2) PL3081363T3 (ko)
RU (1) RU2635629C2 (ko)
TW (1) TWI645088B (ko)
WO (1) WO2014150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55103A1 (en) 2012-04-03 2013-10-03 Nike, Inc. Apparel And Other Products Incorporating A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US9194119B2 (en) 2012-10-04 2015-11-24 ST Global Partners, LLC Peel and stick decoupling membrane
US9352530B2 (en) * 2013-03-15 2016-05-31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545773B2 (en) 2013-03-15 2017-01-17 Albany International Corp.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10792868B2 (en) 2015-09-09 2020-10-06 Carb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fabrication
US20180001552A1 (en) * 2016-06-30 2018-01-04 Carb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fabrication of continuous sheets of material
CN109475200B9 (zh) * 2016-07-20 2021-09-2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板
US10806209B2 (en) 2017-01-06 2020-10-20 Under Armour, Inc. Composite soles
JP7073502B2 (ja) 2018-01-12 2022-05-23 イエティ クーラーズ、エルエルシー 携帯型チェア
USD903305S1 (en) 2019-01-14 2020-12-01 Yeti Coolers, Llc Bag
USD904011S1 (en) 2019-01-14 2020-12-08 Yeti Coolers, Llc Bag
USD912423S1 (en) 2019-01-14 2021-03-09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USD902617S1 (en) 2019-01-14 2020-11-24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USD911731S1 (en) 2019-01-14 2021-03-02 Yeti Coolers, Llc Portable chair
JP7288175B2 (ja) * 2019-02-07 2023-06-07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構造体及び積層構造体の製造方法
EP4039118A1 (en) 2019-08-02 2022-08-10 NIKE Innovate C.V. An outsole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7039538B2 (ja) * 2019-09-25 2022-03-22 株式会社ジンズホールディングス アイウエア及びテンプル
WO2021159091A1 (en) * 2020-02-06 2021-08-12 Purple Innovation, Llc Printed elastomeric elements
CN112590157B (zh) * 2020-11-05 2022-08-23 江苏虹驰家居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oe材料的仿生蚕茧结构加工工艺
CN113715292B (zh) * 2021-08-17 2022-06-03 山东大学 一种土工格栅及防止格栅制造中拉断筋条的工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1890E (en) 1941-08-26 Industrial and papermakers felts
US2581790A (en) 1948-03-01 1952-01-08 Drycor Felt Company Industrial and papermaker's felt
US3059312A (en) 1959-12-14 1962-10-23 Draper Brothers Company Composite laminated structures of high permeability
GB969655A (ko) * 1960-12-28 1964-09-16 Societe Anonyme Rical
US3086276A (en) 1961-09-15 1963-04-23 Lockport Felt Company Inc Papermaker's felt
DE1660768A1 (de) 1965-02-17 1971-07-15 Filztuchverwaltung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textiler Flaechengebilde,insbesondere genadelte Papiermaschinenfilze,ohne Grundgewebe oder verstaerkende Einlagen
DE2134853A1 (de) 1971-07-13 1973-02-08 Bayer Ag Randzonenarmierungs-system fuer die herstellung von hochbeanspruchbaren schaumstoff-konstruktionen
BE790930A (fr) 1971-11-06 1973-03-01 Triker Sa Machine d'extrusion continue pour la fabrication de filets en plastiqu
US3920511A (en) 1971-12-06 1975-11-18 Albany Int Corp Non-woven papermakers felt
GB1445982A (en) 1972-08-11 1976-08-11 Beghin Say Sa Ne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351872A (en) 1977-08-24 1982-09-28 Harvey G. Lowhurst Unidirectional stretch mesh laminate and method
US4107371A (en) 1977-10-25 1978-08-15 Johnson & Johnson Woven fabric that is relatively stiff in one direction and relatively flexible in the other
US4241123A (en) 1978-11-14 1980-12-23 Shih Seng C Non-woven netting
US4186780A (en) * 1978-12-15 1980-02-05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construction for multi-layer felts
US4356225A (en) 1981-05-18 1982-10-26 Ascoe Felts, Inc. Papermarkers interwoven wet press felt
US4350731A (en) 1981-06-08 1982-09-21 Albany International Corp. Novel yarn and fabric formed therefrom
EP0081843A3 (en) 1981-12-16 1986-02-05 Kurashiki Boseki Kabushiki Kaisha Non-woven reinforcement for composite
US4427734A (en) 1982-04-19 1984-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Wet press felt for papermaking machines
FI64959C (fi) 1982-10-08 1984-02-10 Tamfelt Oy Ab Pressfilt foer transport av en fiberbana genom presspartiet i n pappersmaskin och foerfarande foer pressfiltens tillver knng
US4469739A (en) 1983-01-21 1984-09-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iented woven furniture support material
SE441511B (sv) 1983-07-26 1985-10-14 Olof Ingvar Andreasson Kettingnet samt sett och anordning for tillverkning av kettingnetet
CA1223764A (en) 1983-10-19 1987-07-07 August Murka, Jr. Papermaker's felt
US4555440A (en) 1985-01-02 1985-11-26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layered press felt
IT1206040B (it) 1986-11-18 1989-04-05 Albany Int Corp Feltro elastico per disidratare nastri di carta nella fabbricazione della carta
US4728565B1 (en) 1986-11-19 1998-08-18 Cintel Sas Elast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stuffing of furniture pieces
JPS63302027A (ja) 1987-06-03 1988-12-08 Daiyatetsukusu Kk 網状シ−ト
US4798760A (en) 1987-09-09 1989-01-17 Asten Group, Inc. Superimposed wet press felt
US4830915A (en) 1987-09-09 1989-05-16 Asten Group, Inc. Non-woven wet press felt for papermaking machines
US4781967A (en) 1987-10-07 1988-11-01 The Draper Felt Company, Inc. Papermaker press felt
US5035941A (en) * 1989-08-22 1991-07-30 Abandaco, Inc. Anti-static multilayer laminate comprising a non-woven layer extrusion coated with polymeric lamina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SE468602B (sv) 1990-12-17 1993-02-15 Albany Int Corp Pressfilt samt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US6391420B1 (en) 1992-02-28 2002-05-21 Leucadia, Inc. Bicomponent elastomeric netting
US6071567A (en) * 1992-03-25 2000-06-06 Reeves Brothers, Inc. Formation of compressible ply containing high melting point thermoplastic microspheres and printing blankets comprising same
WO1997003803A1 (fr) * 1995-07-24 1997-02-06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Procedes de fabrication de stratifies multicouche, stratifies multicouche polyolefiniques et leur application
US5916421A (en) * 1998-09-02 1999-06-29 Albany International Corp. Preformed seam fabric
US6240608B1 (en) 1999-04-12 2001-06-05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 for joining nonwoven mesh products
US7078089B2 (en) 2001-12-28 2006-07-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ow-cost elastic laminate material
WO2004072368A1 (de) 2003-02-12 2004-08-26 Huyck Austria Ges.M.B.H. Gewebeband
FI122410B (fi) * 2004-02-03 2012-01-13 Tamfelt Pmc Oy Puristinhihna
US20050245162A1 (en) * 2004-04-30 200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apable elastic laminate process
CN1960865B (zh) 2004-04-30 2012-01-25 三博株氏会社 热塑性复合片型材料、其制造方法及由其制造的制品
US7900267B2 (en) 2005-12-08 2011-03-0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ultiaxial fabric
ATE491065T1 (de) 2006-01-17 2010-12-15 Voith Patent Gmbh Pressfilz
US8673198B2 (en) 2006-02-18 2014-03-1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king improved ballistic products
US20090047855A1 (en) 2007-08-16 2009-02-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etchable elastic nonwoven laminates
KR101600921B1 (ko) 2007-12-28 2016-03-08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초고탄력 직물
US10590569B2 (en) 2007-12-28 2020-03-17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fabric
US10590571B2 (en) * 2007-12-28 2020-03-17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pad
US8226625B2 (en) 2009-04-08 2012-07-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able laminates of nonwoven web(s) and elastic film
US20120189803A1 (en) 2011-01-21 2012-07-26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pad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535484B2 (en) 2011-01-21 2013-09-17 Albany International Corp. Ultra-resilient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545773B2 (en) * 2013-03-15 2017-01-17 Albany International Corp.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9352530B2 (en) * 2013-03-15 2016-05-31 Albany International Corp. Industrial fabric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1337A (ja) 2016-04-14
EP3081363B1 (en) 2023-01-11
ES2886060T3 (es) 2021-12-16
BR112015022420A2 (pt) 2017-07-18
CN105189080B (zh) 2017-07-28
KR101837076B1 (ko) 2018-03-09
US20190152188A1 (en) 2019-05-23
US20170144407A1 (en) 2017-05-25
EP3081363A1 (en) 2016-10-19
TW201502329A (zh) 2015-01-16
MX2020013403A (es) 2022-10-17
US20140272270A1 (en) 2014-09-18
FI3081363T3 (fi) 2023-03-25
WO2014150439A1 (en) 2014-09-25
US10786970B2 (en) 2020-09-29
ES2940471T3 (es) 2023-05-08
US10173391B2 (en) 2019-01-08
MX2015012509A (es) 2016-06-10
US9545773B2 (en) 2017-01-17
EP2969467B1 (en) 2021-06-30
RU2015139228A (ru) 2017-04-21
PL2969467T3 (pl) 2021-12-13
JP6281752B2 (ja) 2018-02-21
CA2905860C (en) 2017-11-28
CN105189080A (zh) 2015-12-23
MX2020013402A (es) 2022-10-17
CA2905860A1 (en) 2014-09-25
PL3081363T3 (pl) 2023-05-02
EP2969467A1 (en) 2016-01-20
TWI645088B (zh) 2018-12-21
RU2635629C2 (ru) 2017-11-14
BR112015022420B1 (pt)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6970B2 (en) Pad comprising an extruded mesh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CN102459732B (zh) 超回弹性垫
JP5667878B2 (ja) 超弾力性クッション
KR102044892B1 (ko) 초레질리언스 패드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