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235A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235A
KR20150130235A KR1020150063146A KR20150063146A KR20150130235A KR 20150130235 A KR20150130235 A KR 20150130235A KR 1020150063146 A KR1020150063146 A KR 1020150063146A KR 20150063146 A KR20150063146 A KR 20150063146A KR 20150130235 A KR20150130235 A KR 20150130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wirings
wiring
group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314B1 (ko
Inventor
하야또 구라사와
히로시 미즈하시
도시아끼 후꾸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Publication of KR2015013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14Control of polarity reversal in general
    • G02F2001/13437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G09G2310/0248Precharge or discharge of column electrodes before or after applying exact column volt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내지 제3의 배선과, 화소 전극과, 표시층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제1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으로 배열한다. 제2, 제3의 배선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으로 배열한다. 화소 전극은, 스위치 소자를 통하여, 제1, 제2의 배선과 접속된다. 표시층은, 광학 특성의 변화 또는 발광의 광학 동작을 행한다. 제1 배선은, 제1, 제2의 그룹을 포함한다. 제2 배선은, 제1색 배선을 포함한다. 제3 전극은, 제1 대향 배선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배선을 선택하여, 제1 극성의 제1색 화상 신호를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1 동작과,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제1 배선을 선택하여, 제2 극성의 제2색 화상 신호를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2 동작과, 제1, 제2의 동작의 사이에 있어서, 제3 동작을 행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관련 출원들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2014년 5월 1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100002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이나 유기 EL 등을 사용한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동작 이외에, 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검출 등의 비표시 동작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표시 동작을 휴지시키는 경우도 있다. 비표시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도, 고품위의 표시를 유지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제1 배선과, 복수의 제2 배선과, 복수의 스위치 소자와, 화소 전극과, 복수의 제3 배선과, 표시층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한다.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한다.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는,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향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위치에서 제1 배선과 제2 배선에 접속된다. 상기 화소 전극은, 각 스위치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에 대향한다. 상기 표시층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상에 설치되어 각 화소 전극에 부여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광학 특성의 변화와,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학 동작을 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을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의 이웃에 배치되는 제2 그룹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제1 배선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교차하는 제1색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제3 배선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제1 극성의 제1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1 동작과, 상기 제1 표시 기간 후의 제2 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제3 배선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전위이며 상기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의 제2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2 동작과, 상기 제1 표시 기간과 상기 제2 표시 기간의 사이의 비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및 상기 제2 동작과는 상이한 제3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기판과, 액정층과, 복수의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한쪽의 기판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공통 전극은, 어느 한쪽의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각 화소 전극에 화소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는, 인접하는 화소열 사이에서 서로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또한 제1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1 화소행과, 당해 제1 화소행에 나란히 설치되고, 제1 표시 기간 후의 제2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2 화소행의 사이에서도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한 쌍의 기판과, 액정층과, 복수의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과, 컬러 필터층과,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한쪽의 기판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공통 전극은, 어느 한쪽의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상기 컬러 필터층은, 각 화소열에 대향한 색열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각 화소 전극에 화소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색열은, 화소 열방향에 적어도 3색을 반복해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인접하는 화소열 사이에서 서로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또한 적어도 1색에 대응하는 화소열만, 제1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1 화소행과, 당해 제1 화소행에 나란히 설치되고, 제1 표시 기간 후의 제2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2 화소행의 사이에서도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참고예의 표시 장치 동작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표시 장치의 특성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표시 장치의 특성을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개시는 어디까지나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있어서, 발명의 주지를 유지한 적시 변경에 대해서 용이하게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함유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은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실제의 형태에 비해, 각 부의 폭, 두께, 형상 등에 대해서 모식적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해석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각 도면에 있어서, 이미 나온 도면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0)는, 복수의 제1 배선(L1)(예를 들어 게이트선(GL))과, 복수의 제2 배선(L2)(예를 들어 신호선(SL))과, 복수의 제3 배선(L3)(예를 들어 코먼선(CL))을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배선(L1) 각각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1 배선(L1)은, 제2 방향(D2)으로 배열한다.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과 교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대하여 수직이지만, 수직 이외의 상태에서 교차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제2 배선(L2)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2 배선(L2)은, 제1 방향(D1)으로 배열한다.
복수의 제3 배선(L3)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3 배선(L3)은, 제1 방향(D1)으로 배열한다.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포함하는 평면을 X-Y 평면이라 한다. X-Y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Z축 방향이라 한다. X-Y 평면 내의 1개의 방향이 X축 방향이다. X-Y 평면 내의 1개의 방향이 Y축 방향이다. Y축 방향은, X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다. 이 예에서는, 제1 방향(D1)은,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제2 방향(D2)은, Y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또한, 당해 X축과 Y축은, 수직 이외의 각도로 교차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제4 배선(예를 들어 검출선(RL))이 설치된다. 복수의 제4 배선(L4)은, Z축 방향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의 배선(L1 내지 L3)과 이격된다. 복수의 제4 배선(L4) 각각은,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다. 제3 방향(D3)은, X-Y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제2 방향(D2)에 대하여 교차한다. 복수의 제4 배선(L4)은, 제4 방향(D4)으로 배열한다. 제4 방향은, X-Y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고, 제3 방향(D3)과 교차한다. 이 예에서는, 제3 방향(D3)은, X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제4 방향(D4)은, Y축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다.
복수의 게이트선(GL)은, 제1 게이트선(GL1), 제2 게이트선(GL2) 및 제n 게이트선(GLn)을 포함한다. 게이트선(GL)의 수는 n이다. n은 2 이상의 임의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n은 1920이다.
복수의 신호선(SL)은, 제1 신호선(SL1), 제2 신호선(SL2) 및 제m 신호선(SLm)을 포함한다. 신호선(SL)의 수는 m이다.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m은, 1080×3이다. 즉 , 예를 들어 서브 화소인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의 조로 1개의 요소(화소)가 되는 경우, 요소의 수가 1080이다. 제1 방향을 따라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수에 대응해서 신호선(SL)이 설치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m은 임의이다.
복수의 코먼선(CL)은, 제1 코먼선(CL1), 제2 코먼선(CL2) 및 제N 코먼선(CLN)을 포함한다. 코먼선(CL)의 수는 N이다. N은 2 이상의 정수이다.
복수의 검출선(RL)은 , 예를 들어 제1 검출선(RL1), 제2 검출선(RL2) 및 제M 검출선(RLM)을 포함한다. 검출선(RL)의 수는 M이다. M은 2 이상의 정수이다.
이 예에서는, 게이트선(GL)과 검출선(RL)의 사이에, 신호선(SL) 및 코먼선(CL)이 배치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 선의 제5 방향(D5)에서의 배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선(GL)과, 복수의 신호선(SL)과, 복수의 코먼선(CL)을 사용해서 화상의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복수의 코먼선(CL)과, 복수의 검출선(RL)을 사용하여, 터치 입력 검출이 행하여진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터치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검출선(RL)은 생략해도 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 복수의 스위치 소자(11)와, 복수의 화소 전극(Px)과, 표시층(30)이 설치된다. 복수의 스위치 소자(11) 각각은, 복수의 제1 배선(L1)(게이트선(GL)) 중 어느 하나, 및 복수의 제2 배선(L2)(신호선(SL))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스위치 소자(11)는, 게이트(11g)와, 반도체층(12)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2)은, 제1 부분(12a)과, 제2 부분(12b)을 포함한다. 게이트(11g)가, 복수의 게이트선(GL)의 1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반도체층(12)의 제1 부분(12a)이, 복수의 신호선(SL)의 1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화소 전극(Px)은, 스위치 소자(11)의 반도체층(12)의 제2 부분(1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화소 전극(Px)이 하나의 스위치 소자(11)에 접속됨으로써, 복수의 화소 전극(Px)은, 전체적으로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에 걸쳐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화소 전극(Px)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화소 전극(Px)의 배열을 화소행이라고 칭한다. 또한, 제2 방향으로 배열하는 화소 전극(Px)의 배열을 화소열이라고 칭한다.
표시층(30)은, 복수의 화소 전극(Px)에 부여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광학 동작을 행한다. 광학 동작은, 광학 특성의 변화와,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층(30)은,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설치된다.
표시층(30)으로서 액정층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학 동작은, 광학 특성의 변화를 포함한다. 광학 특성은 , 예를 들어 복굴절률, 선광성, 산란성, 광 반사율 및 광 흡수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화소 전극(Px)에 부여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표시층(30)(액정층)에서의 액정 배향이 변화하고, 실효적인 복굴절률이 변화한다. 선광성, 산란성, 광 반사율 및 광 흡수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층(30)으로서 발광층(예를 들어 유기 발광층)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광학 동작은, 발광(광의 방출)을 포함한다. 즉, 표시층(30)은, 광학 특성의 변화와,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학 동작을 행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에 제어부(60)(구동 장치(210))가 설치된다.
제어부(60)는, 제1 구동 회로(61)와, 제2 구동 회로(62)와, 제어 회로(63)를 포함한다. 제1 구동 회로(61)는, 복수의 게이트선(GL)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구동 회로(62)는, 복수의 신호선(SL) 및 복수의 코먼선(CL)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회로(63)는, 제1 구동 회로(61) 및 제2 구동 회로(62)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회로(63)가 입수되는 전기 신호(화상 신호를 포함함)에, 적절한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다. 신호 처리가 행하여진 전기 신호가, 제1 구동 회로(61) 및 제2 구동 회로(62)에 공급된다.
게이트선(GL), 신호선(SL), 스위치 소자(11), 화소 전극(Px) 및 코먼선(CL)에 의해, 복수의 화소(35)에서의 표시층(30)(예를 들어 액정층)의 광학 동작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표시가 행하여진다. 당해 표시 동작에 있어서, 코먼선(CL)은, 화소 전극(Px)의 대향 전극(공통 전극이라고도 함)으로서 사용된다. 즉, 스위치 소자(11)를 통하여 화소 전극(Px)에 전기 신호가 공급되고, 복수의 화소 전극(Px) 각각의 전위가 제어된다. 화소 전극(Px)과 코먼선(CL)에 의해 발생하는 전계에 의해 액정의 배향이 변화되어,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어부(60)에, 검출 회로(65)가 더 설치되어 있다. 검출 회로(65)는, 검출선(RL)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검출 동작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제2 구동 회로(62)와 검출 회로(65)에 의해, 복수의 코먼선(CL) 각각과, 복수의 검출선(RL)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량이 검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검출선(RL)과, 복수의 코먼선(CL)에 의해, 표시 장치(110)에의 터치 입력이 검출된다. 검출 동작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110)의 관시자(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입력 부재(예를 들어 입력 펜 등) 등이 표시 장치(110)에 접촉 또는 근접한다. 검출선(RL)과 코먼선(CL)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 용량이, 상기의 접촉 또는 근접에 의해 변화된다. 이 전기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입력이 검출된다. 또한, 터치 입력은, 검출선(RL)에 접촉하는 접촉과, 검출선(RL)에 이격되면서 가까워지는 근접(hovering)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코먼선(CL)(제3 배선(L3))이 표시를 위한 대향 전극으로서 사용되면서, 터치 검출을 위한 대향 전극으로서도 사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배선(L1)(게이트선(GL))은, 제1 그룹(GP1)과, 제2 그룹(GP2)을 포함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그룹(GP1)에 포함되는 제1 배선(L1)이 순차 주사되어,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화소(35)에서 표시가 행하여진다. 그 후, 제2 그룹(GP2)에 포함되는 제1 배선(L1)이 순차 주사되어,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화소(35)에서 표시가 행하여진다. 복수의 그룹의 수는 , 예를 들어 2 이상 100 이하, 예를 들어 20 정도이다. 이 값은 예이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룹의 수는 임의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그룹의 주사의 사이에, 비표시 동작이 행하여진다.
제1 그룹(GP1)은, 복수의 제1 배선(L1)의 일부(예를 들어, 제(i-2) 게이트선(GLi-2) 및 제(i-1) 게이트선(GLi-1) 등이며, i는 3 이상의 정수)를 포함한다.
제2 그룹(GP2)은, 제1 그룹(GP1)과, 제2 방향에 있어서, 이웃에 배치된다. 제2 그룹(GP2)은, 복수의 제1 배선(L1)이 다른 일부(예를 들어, 제i 게이트선(GLi) 및 제(i+1) 게이트선(GLi+1) 등)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2 배선(L2)(신호선(SL))은 제1색 배선(SLa)을 포함한다. 제1색 배선(SLa)은 제1색에 대응하는 신호선(SL)이다. 제1색은 ,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청색(B)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예에서는, 제1색은 청색이다. 제1색 배선(SLa)은 , 예를 들어 청색 화소에 대응하는(접속되는) 신호선(SL)이다.
복수의 스위치 소자(11)는, 복수의 제1 스위치(SW1)와, 복수의 제2 스위치(SW2)를 포함한다.
제1 스위치(SW1) 각각은, 제1 그룹(GP1)에 속하는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와 제1색 배선(SLa)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스위치(SW2) 각각은, 제2 그룹(GP2)에 속하는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와 제1색 배선(SLa)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화소 전극(Px)은, 복수의 제1 화소 전극(Px1)과, 복수의 화소 전극(Px2)을 포함한다.
각 제1 화소 전극(Px1)은, 복수의 제1 스위치(SW1)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2 화소 전극(Px2)은, 복수의 제2 스위치(SW2)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3 배선(L3)(코먼선(CL))은, 제1 대향 배선(CLa)을 포함한다. 제1 대향 배선(CL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X-Y 평면(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1 화소 전극(Px1) 및 복수의 제2 화소 전극(Px2)과 겹친다.
또한, 복수의 제2 배선(L2)(신호선(SL))은, 제2색 배선(SLb)을 더 포함한다. 제2색 배선(SLb)은, 제2색에 대응하는 신호선(SL)이다. 제2색은, 제1색과는 달리,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예에서는, 제2색은 적색이다. 제2색 배선(SLb)은, 제1 방향(D1)에 있어서, 제1색 배선(SLa)의 이웃에 배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색 배선(SLa)과, 제2색 배선(SLb)의 사이에 슬릿(간극)이 형성된다. 슬릿에 의해, 제1색 배선(SLa)은, 제2색 배선(SLb)과 이격된다.
복수의 스위치 소자(11)는, 복수의 제3 스위치(SW3)와, 복수의 제4 스위치(SW4)를 더 포함한다.
제3 스위치(SW3) 각각은, 제1 그룹(GP1)에 속하는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와 제2색 배선(SLb)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4 스위치(SW4) 각각은, 제2 그룹(GP2)에 속하는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와 제2색 배선(SLb)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화소 전극(Px)은, 복수의 제3 화소 전극(Px3)과, 복수의 제4 화소 전극(Px4)을 포함한다.
각 제3 화소 전극(Px3)은, 복수의 제3 스위치(SW3)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4 화소 전극(Px4)은, 복수의 제4 스위치(SW4)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제2 배선(L2)(신호선(SL))은, 제3색 배선(SLc)을 더 포함한다. 제3색 배선(SLc)은, 제3색에 대응하는(접속되는) 신호선(SL)이다. 제3색은, 제1색과는 달리, 제2색 모두 상이하다. 제3색은 , 예를 들어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예에서는, 제3색은 녹색이다. 제3색 배선(SLc)은, 예를 들어 녹색 화소에 대응하는(접속되는) 신호선(SL)이다. 제3색 배선(SLc)은, 제1 방향(D1)에서 제1색 배선(SLa)의 이웃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색 배선(SLa)은, 제2색 배선(SLb)과 제3색 배선(SLc)의 사이에 배치된다.
복수의 스위치 소자(11)는, 복수의 제5 스위치(SW5)와, 복수의 제6 스위치(SW6)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제5 스위치(SW5) 각각은, 제1 그룹(GP1)에 속하는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와 제3색 배선(SLc)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제6 스위치(SW6) 각각은, 제2 그룹(GP2)에 속하는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와 제3색 배선(SLc)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화소 전극(Px)은, 복수의 제5 화소 전극(Px5)과, 복수의 제6 화소 전극(Px6)을 더 포함한다.
각 제5 화소 전극(Px5)은, 복수의 제5 스위치(SW5)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제6 화소 전극(Px6)은, 복수의 제6 스위치(SW6) 중 어느 하나에 서로 중복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복수의 화소(35)는, 제1색 화소(35a)와, 제2색 화소(35b)와, 제3색 화소(35c)를 포함한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색의 조합은, 변형이 가능하다. 4색 이상의 화소(35)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3색의 화소(35)가 설치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 제1 기판부(10u)와, 제2 기판부(20u)와, 표시층(30)이 설치된다. 표시 장치(110)에는, 복수의 화소(35)가 설치된다. 도 3은, 1개의 화소(35)의 부분을 예시하고 있다.
제1 기판부(10u)에는, 제1 기판(10)과, 게이트선(GL)(제1 배선(L1))과, 스위치 소자(11)와, 신호선(SL)(제2 배선(L2))과, 코먼선(CL)(제3 배선(L3))과, 화소 전극(Px)이 설치된다.
게이트선(GL) 및 신호선(SL)은, 제1 기판부(10u)의 상면에 X-Y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기판(10)은, 광 투과성이다. 또한, 스위치 소자(11)로서, TFT가 사용된다. 스위치 소자(11)는, 반도체층(12)을 포함한다. 반도체층(12)은, 제1 부분(12a)(예를 들어 소스)과, 제2 부분(12b)(예를 들어 드레인)과, 제3 부분(12c)(예를 들어 채널)을 포함한다. 제3 부분(12c)은, 제1 부분(12a)과 제2 부분(12b)의 사이에 배치된다. 스위치 소자(11)는, 게이트(11g)와, 게이트 절연막(11i)을 더 포함한다. 제3 부분(12c)과 게이트(11g)의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11i)이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신호선(SL)의 일부(제1 접속부(15a))가, 제1 부분(12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 접속부(15a)는, 제1 접속 도전부(15c)에 의해 제1 부분(12a)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제2 부분(12b) 상에 제2 접속 도전부(15d)가 설치된다. 제2 접속 도전부(15d) 상에 제2 접속부(15b)가 설치된다.
제1 접속부(15a)(신호선(SL))와 반도체층(12)의 사이, 제1 접속 도전부(15c)와 반도체층(12)의 사이, 제2 접속부(15b)와 반도체층(12)의 사이 및 제2 접속 도전부(15d)와 반도체층(12)의 사이에, 층간 절연층(13)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코먼선(CL)이, 신호선(SL) 등의 제2 금속층 상에 설치된다. 코먼선(CL)과 신호선(SL)의 사이에는, 제1 절연층(I1)이 형성된다. 제1 절연층(I1)은, 복수의 신호선(SL)과 복수의 코먼선(CL)의 사이에 형성된다.
코먼선(CL) 상에 화소 전극(Px)이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화소 전극(Px)은, 띠 형상의 하나 또는 복수 부분(Pxs)을 포함한다. 복수의 부분(Pxs)은, X-Y 평면 내에서 서로 이격된다. 이 예에서는, 화소 전극(Px)은, 제3 접속 도전부(17)에 의해, 제2 접속부(15b)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코먼선(CL) 및 화소 전극(Px)은 모두, 광 투과성의 도전층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ITO(Indium Tin Oxide)가 사용된다. 화소 전극(Px)과 코먼선(CL)의 사이에는, 제2 절연층(I2)이 형성된다. 당해 제2 절연층(I2)의 두께는, 액정층의 두께보다도 충분히 작다. 또한, IPS(In Plane Switching) 등의 그 밖의 횡전계 모드나 VA(Vertical Alignment), TN(Twisted Nematic),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등의 종전계 모드에서도 채용 가능하다.
이 예에서는, 화소 전극(Px) 상에 제1 배향막(18)이 형성된다.
제2 기판부(20u)는, Z축 방향에 있어서, 제1 기판부(10u)와 이격된다. 이 예에서는, 제2 기판부(20u)는, 제2 기판(20)과, 컬러 필터층(25)과, 제2 배향막(28)과, 검출선(RL)(제4 배선(L4))을 포함한다. 검출선(RL)은, 스위치 소자(11) 및 복수의 화소 전극(Px)과 이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2 기판(20)은, 광 투과성이다. 검출선(RL)은, 광 투과성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검출선(RL)으로서 ITO를 포함하는 투과성의 도전막이 채용되어 있지만, 금속에 의한 세선을 검출선(RL)으로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컬러 필터층(25)은, 적색 착색층, 녹색 착색층 및 청색 착색층을 포함한다. 적색 착색층, 녹색 착색층 및 청색 착색층 각각은, 복수의 화소(35)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컬러 필터층(25)의 색은, 4색 이상이어도 된다.
제1 기판부(10u)와 제2 기판부(20u)의 사이에, 복수의 액정 분자를 갖는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층(30)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기판(10, 20)을 사이에 두고 제1 편광층(51)과 제2 편광층(52)이 형성된다. 또한, 백라이트부(55)가 제1 편광층(51)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화소 전극(Px)은, 띠 형상의 복수의 부분(Pxs)을 포함한다. 화소 전극(Px)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화소 전극(Px)과 코먼선(CL)의 사이에 「프린지 전계」가 발생한다. 당해 프린지 전계에 의해, 표시층(30)(액정층)의 액정 분자의 디렉터(장축)의 방향을 X-Y 평면 내에서 변화시킨다. 디렉터 방향의 변화에 따라, 당해 개소의 표시층(30)의 복굴절률 및 선광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변화한다.
이러한 표시층(30)의 광학 특성의 변화에 따라, 백라이트부(55)로부터 출사된 광의 당해 화소의 투과율이 변화한다. 즉, 화소 전극(Px)에 부여되는 전기 신호(화상 신호)에 따라, 광의 당해 화소의 투과율이 변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표시층(30)을 통해서 밝기를 변화시킨 광이, 표시 장치(110)의 상면(Uf)으로부터 출사된다. 이에 의해, 표시가 행하여진다.
한편, 복수의 검출선(RL)과, 복수의 코먼선(CL)에 의해, 표시 장치(110)의 상면(Uf)에의 터치 입력이 검출된다. 검출 동작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110)의 관시자(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입력 부재(입력 펜) 등이 액정 표시 장치(110)에 접촉 또는 근접한다. 검출선(RL)과 코먼선(CL)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 용량이, 상기의 접촉 또는 근접에 의해 변화된다. 이 전기 용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터치 입력이 검출된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표시 장치를 X-Z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는, 검출선(RL)은 생략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 컬러 필터층(25)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는, 컬러 필터층(25)은, 제2 기판부(20u)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컬러 필터층(25)의 Z축 방향에서의 위치는 임의이다. 예를 들어, 컬러 필터층(25)은, 제1 기판부(10u)에 형성되어도 된다.
컬러 필터층(25)은, 제1색의 복수의 제1색 필터(F1)와, 제2색의 복수의 제2색 필터(F2)와, 제3색의 제3색 필터(F3)를 더 포함한다.
각 색 필터(F1 내지 F3)는, 화소 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제1색 필터(F1)의 일측에 제2색 필터(F2)가 설치되고, 제1색 필터(F1)의 타측에 제3색 필터(F3)가 설치되고, 이들 제1색 필터(F1) 내지 제3색 필터(F3)의 조합이 제2 방향(D2)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색 필터(F1 내지 F3)는, 표시층(30)을 개재하여 제1 기판부(10u)의 화소 전극(Px)의 화소열에 대향하고 있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1색 필터(F1)는, 복수의 제1 화소 전극(Px1)과 겹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1색 필터(F1)는, 복수의 제2 화소 전극(Px2)과 겹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2색 필터(F2)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제3 화소 전극(Px3)과 겹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2색 필터(F2)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제4 화소 전극(Px4)과 겹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3색 필터(F3)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제5 화소 전극(Px5)과 겹친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2색 필터(F2)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제6 화소 전극(Px6)과 겹친다.
제1 내지 제3의 색 필터(F1 내지 F3)는, 제1 방향(D1)에 따라, 반복 설치된다.
제어부(60)는, 각 색 배선(SLa 내지 SLc)에 색 화상 신호를 공급하고, 이에 의해, 각 화소 전극 전위가 제어되고, 표시층(30)의 광학 동작이 행하여진다. 이들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원하는 색을 갖는 원하는 표시가 행하여진다.
또한, 제2색의 시감도는, 제1색의 시감도보다도 높다. 제3색의 시감도는, 제1색의 시감도보다도 높다. 제3색은, 제2색과는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색으로서 청색이 채용되고, 제2색으로서 적색이 채용되고, 제3색으로서 녹색이 채용되어 있다.
컬러 필터층(25)은, 제1 경계부(p1)와, 제2 경계부(p2)와, 제3 경계부(p3)를 포함한다. 차광층(27)(예를 들어 블랙 매트릭스)이 제1 경계부(p1), 제2 경계부(p2) 및 제3 경계부(p3)와 겹치도록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 예를 들어 인접하는 제3 배선(L3)(코먼선(CL))의 사이에는 간극(G3)(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간극(G3)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제1 경계부(p1), 제2 경계부(p2) 및 제3 경계부(p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겹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간극(G3)은, 제1색의 제1 화소 전극(Px1)과 제2 화소 전극(Px2)을 포함하는 화소열과, 제2색의 제3 화소 전극(Px3)과 제4 화소 전극(Px4)을 포함하는 화소열의 사이의 영역(예를 들어 제1 경계부(p1))과 겹친다.
또한, 간극(G3)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제1색의 제1 화소 전극(Px1)과, 제2색의 제3 화소 전극(Px3)의 사이의 영역(예를 들어 제3 경계부(p3))과 겹쳐도 된다.
즉,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3 배선(L3)에 포함되는 제1 대향 배선(CLa)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1 화소 전극(Px1), 제2 화소 전극(Px2), 복수의 제5 화소 전극(Px5), 복수의 제6 화소 전극(Px6)과 겹친다. 또한,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제3 배선(L3)에 포함되는 제2 대향 배선(CLb)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3 화소 전극(Px3)과, 제4 화소 전극(Px4)에 겹친다. 제1 대향 배선(CLa)은 , 예를 들어 제j 코먼 배선(CLj)이다(j는 1 이상의 정수). 제2 대향 배선(CLb)은 , 예를 들어 제j+1 코먼 배선(CLj+1)이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제5 배선(L5)이 더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5 배선(L5) 각각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제5 배선(L5) 각각은, 복수의 제3 배선(L3) 상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5 배선(L5)의 각각의 전기 저항은, 복수의 제3 배선(L3)의 각각의 전기 저항보다도 낮다. 제5 배선(L5)은, 제3 배선(L3)의 보조 배선이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배선(L3)으로서, 광 투과성의 도전 재료가 사용된다. 한편, 제5 배선(L5)에는, 저저항의 재료(금속 등)가 사용된다. 이에 의해, 제3 배선(L3)의 실효적인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제5 배선(L5)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2 배선(L2)과 겹친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제5 배선(L5)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제2 경계부(p2) 또는 제3 경계부(p3)와 겹친다.
이하, 표시 장치(110)의 동작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예에서는,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 표시 동작과, 터치 입력의 검출 동작이 행하여진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5는, 표시 장치(110)의 동작을 예시하는 타임차트이다. 도 5의 횡축은, 시간이다. 도 5에는, 검출 신호(TSVCOM), 셀렉터 신호(SELR, SELG 및 SELB) 및 소스 신호(SS)가 도시되어 있다. 검출 신호(TSVCOM)는, 검출 동작에 있어서, 코먼선(CL)에 공급되는 AC 신호(교류 신호)이다. 제2 구동 회로(62)에 적색 신호선 셀렉터, 녹색 신호선 셀렉터 및 청색 신호선 셀렉터(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이들 셀렉터는, 신호선(S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당해 셀렉터에 셀렉터 신호가 순차 공급됨으로써, 시분할적으로 각 색의 신호가 공급되어 있는 신호선과 각 색의 신호선이 순차 ON/OFF 되고, 이에 의해 각 신호선에 당해 색의 신호가 공급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셀렉터 신호(SELR, SELG 및 SELB)는, 적색 신호선 셀렉터, 녹색 신호선 셀렉터 및 청색 신호선 셀렉터에 각각 공급되는 신호이다. 소스 신호(SS)는, 신호선(SL)에 공급되는 신호이다. 이들 신호는, 제어부(60)에 의해 공급된다. 도 5에는, 소스 신호(SS)의 극성(PT)이 예시되어 있다. 극성(PT)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먼선(CL)의 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소스 신호(SS)의 신호이다. 또한, 극성(PT)으로서, 접지 전위를 기준으로 한 것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프레임 기간 내에 제1 표시 기간(DT1), 제2 표시 기간(DT2) 및 비표시 기간(NDT)이 마련된다. 제2 표시 기간(DT2)은, 제1 표시 기간(DT1) 후의 표시 기간이다. 비표시 기간(NDT)은, 제1 표시 기간(DT1)과 제2 표시 기간(DT2)의 사이의 기간이다. 이 예에서는, 표시 전 기간(PDT)이 더 마련된다. 표시 전 기간(PDT)은, 비표시 기간(NDT)의 후단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또는 , 표시 전 기간(PDT)은, 비표시 기간(NDT)과 제2 표시 기간(DT2)의 사이의 기간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1프레임 기간 내에는, 표시 기간(DT)과 비표시 기간(NDT)이 교대로 마련되어 있고, 게이트 신호에 의한 주사를 제1 화소행부터 제n 화소행을 향해서 진행시켜 감으로써, 각 표시 기간 내에서 표시 및 터치 검출의 대상이 되는 화소행의 그룹을 순차 이행시켜 간다.
제어부(60)는, 제1 표시 기간(DT1)에 있어서, 제1 동작(OP1)을 실시한다. 제1 동작(OP1)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화소(35)에서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화소(35)에, 표시를 위한 정보가 기입된다.
제어부(60)는, 제2 표시 기간(DT2)에 있어서, 제2 동작(OP2)을 실시한다. 제2 동작(OP2)에 있어서는,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화소(35)에서 표시가 행하여진다. 즉,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화소(35)에, 표시를 위한 정보가 기입된다.
제어부(60)는, 비표시 기간(NDT)에 있어서, 제1 동작(OP1) 및 제2 동작(OP2)과는 상이한 제3 동작(OP3)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60)는, 표시 전 기간(PDT)에 있어서, 제4 동작(OP4)을 행한다. 제4 동작(OP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3 동작(OP3)에 있어서는, 제어부(60)는, 예를 들어 검출 신호(TSVCOM)로서, 교류 신호를 코먼선(CL)에 공급한다. 교류 신호에 있어서는, 고전압과, 그 고전압보다도 전압이 낮은 저전압이 반복된다. 이 교류 신호는 , 예를 들어 복수의 펄스를 포함한다. 이 신호에 의해, 코먼선(CL)과 검출선(RL)의 사이에 용량이 형성되고, 당해 용량 및 그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 터치 검출이 행하여진다. 즉, 제3 동작(OP3)에 있어서는, 제어부(60)는, 각 코먼선(CL)과 검출선(RL)의 사이의 용량을 검출함과 함께, 어느 한쪽의 검출선(RL)에 근접하는 물체(관시자, 사용자 또는 조작자 등)에 의한, 당해 검출선(RL)과 코먼선(CL)의 사이의 용량 변화에 기초하는 전류의 변화를 검출한다. 또한, 제3 동작(OP3)에 있어서는, 셀렉터 신호는 로우 상태(비선택 상태)이며, 소스 신호(SS)는, 예를 들어 접지 전위(GND)이다.
제1 동작(OP1) 및 제2 동작(OP2)에 있어서는, 셀렉터 신호가 순차, 하이 상태(선택 상태)로 설정되고, 소스 신호(SS)로서, 원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가 공급된다. 이 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동작(OP1)에서의 청색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SS)의 극성(PT)은, 플러스이다. 제1 동작(OP1)에서의 적색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SS)의 극성(PT)은, 마이너스이다. 제1 동작(OP1)에서의 녹색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SS)의 극성(PT)은, 마이너스이다. 제2 동작(OP2)에서의 청색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SS)의 극성(PT)은, 마이너스이다. 제2 동작(OP2)에서의 적색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SS)의 극성(PT)은, 플러스이다. 제2 동작(OP2)에서의 녹색에 대응하는 소스 신호(SS)의 극성(PT)은, 플러스이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극성(PT)이 반전된다.
이하, 제1 동작(OP1) 및 제2 동작(OP2)의 예에 대해서 재차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의 동작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표시 장치(110)에서의 신호의 극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그룹(GP1)에 대하여 제1 동작(OP1)(제1 표시 동작)이 행하여지고, 그 후, 제3 동작(OP3)(비표시 동작)이 행하여진다. 그 후, 제2 그룹(GP2)에 대하여 제2 동작(OP2)(제2 표시 동작)이 행하여진다. 제3 동작(OP3) 내에서 후술하는 제4 동작(OP4)을 실제로 실시해도 된다.
제1 동작(OP1)에서는, 제어부(60)는, 제1 그룹(GP1)에 속하는 화소에 대한 게이트선(GL)을 제2 그룹(GP2)을 향하는 방향으로 순차 선택함과 함께(당해 제1 그룹(GP1)에 속하는 화소행을 게이트선(GL)이 선택하고 있는 기간을 제1 표시 기간(DT1)이라 함), 제1 그룹(GP1)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도 2 참조)을 순차 선택한다. 여기서, 제어부(60)는, 제1색 화상 신호(SigC1)(도 5 참조)를 제1색 배선(SLa)에 공급한다. 제1색 화상 신호(SigC1)는, 제1 대향 배선(CLa)의 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에 제1 극성이다. 도 6의 예에서는, 제1 극성은, 플러스 「+」이다.
마찬가지로, 제어부(60)는, 제1 표시 기간(DT1)에 있어서, 또한 제2 극성(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너스)의 제3색 화상 신호(SigC3)(도 5 참조)를 제2색 배선(SLb)에 공급한다.
제2 극성은, 제1 대향 배선(CLa)의 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제1 극성과는 역의 극성이다. 이 예에서는, 제2 극성은, 마이너스 「-」이다. 예를 들어, 제1 극성 및 제2 극성은, 프레임 주기마다 서로 교체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60)는, 제1 표시 기간(DT1)에 있어서, 또한 제2 극성(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이너스)의 제5색 화상 신호(SigC5)(도 5 참조)를 제3색 배선(SLc)에 공급한다.
또한, 제2 동작(OP2)에서는, 제어부(60)는, 제2 그룹(GP2)에 속하는 화소에 대한 게이트선(GL)을 제1 그룹(GP1)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순차 선택함과 함께(당해 제2 그룹(GP2)에 속하는 화소행을 게이트선(GL)이 선택하고 있는 기간을 제2 표시 기간(DT2)이라 함), 제2 그룹(GP2)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도 2 참조)을 순차 선택하여, 제2색 화상 신호(SigC2)(도 5 참조)를 제1색 배선(SLa)에 공급한다. 제2색 화상 신호(SigC2)는, 제2 극성이다.
또한, 제어부(60)는, 제2 표시 기간(DT2)에 있어서, 또한 제1 극성(예를 들어 플러스)의 제4색 화상 신호(SigC4)(도 5 참조)를 제2색 배선(SLb)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60)는, 제2 표시 기간(DT2)에 있어서, 또한 제1 극성의 제6색 화상 신호(SigC6)(도 5 참조)를 제3색 배선(SLc)에 공급한다.
화소열마다의 표시 기간에 수반하는 신호 공급의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어떤 프레임 기간의 제1 동작(OP1)에 있어서,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청색 화소(제1 화소 전극(Px1))에는, 정극성의 제1색 화상 신호(SigC1)가 공급된다. 제1 동작(OP1) 후에, 비표시 동작의 제3 동작(OP3)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3 동작(OP3) 후의 제2 동작(OP2)에 있어서,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청색 화소(제2 화소 전극(Px2))에는, 부극성의 제2색 화상 신호(SigC2)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표시 동작 전후의 표시 동작에 있어서, 화소(35)에 공급되는 신호의 극성이 반전된다.
마찬가지로,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적색 화소(제3 화소 전극(Px3))에는, 부극성의 제3색 화상 신호(SigC3)가 공급된다. 제2 동작(OP2)에 있어서,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적색 화소(제4 화소 전극(Px4))에는, 정극성의 제4색 화상 신호(SigC4)가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녹색 화소(제5 화소 전극(Px5))에는, 부극성의 제5색 화상 신호(SigC5)가 공급된다. 제2 동작(OP2)에 있어서,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녹색 화소(제6 화소 전극(Px6))에는, 정극성의 제6색 화상 신호(SigC6)가 공급된다.
즉, 제1 그룹(GP1)에 속하는 화소에 있어서는, 화상 신호의 극성(코먼선(CL)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극성)이, 제1 방향(D1)(X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변화한다. 즉, 제1 그룹(GP1)에 속하는 화소에 한정한 구동 상태에서 말하면, 당해 제1 그룹(GP1)에서는 V라인 반전(칼럼 반전) 구동이 행하여진다.
마찬가지로 제2 그룹(GP2)에 속하는 화소에 있어서도, 화상 신호의 극성(코먼선(CL)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극성)이, 제1 방향(D1)(X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변화한다. 제2 그룹(GP2)에 속하는 화소에 한정한 구동 상태에서 말하면, 당해 제2 그룹(GP2)에서는 V라인 반전(칼럼 반전) 구동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극성과,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극성이 전체 색에 있어서 서로 교체된다. 이와 같이, 칼럼 반전 구동이며, 표시 기간이 아닌 비표시 기간(블랭킹 기간)을 경계로 또한 극성을 반전시키는 구동을 예를 들어, 「분할 V라인 반전」 구동이라고 칭한다.
이러한 분할 V라인 구동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소정의 화소 전극(Px)에 대하여 인접하는 화소열 사이에서 서로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또한 제1 표시 기간(DT1)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1 화소행의 화소 전극의 그룹(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그룹(GP1))과, 당해 제1 화소행에 나란히 설치되고, 제1 표시 기간 후의 제2 표시 기간(DT2)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2 화소행(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그룹(GP2))의 사이에서도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한다고도 할 수 있다.
도 7은, 참고예의 표시 장치 동작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참고예의 표시 장치(119)에서의 신호의 극성을 예시하고 있다. 표시 장치(119)에서의 제1 기판부(10u) 및 제2 기판부(20u)의 구성은, 표시 장치(110)와 동일하다. 표시 장치(119)에서의 동작은, 표시 장치(110)에서의 동작과는 상이하다. 이하, 표시 장치(119)에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9)에 있어서는, 각 색의 화소에 있어서, 제1 동작(OP1)과, 제2 동작(OP2)에서, 화소 전극에 공급되는 신호의 극성이 동일하다. 즉, 표시 장치(119)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 및 제2 그룹(GP2) 각각에 있어서, V라인 반전(칼럼 반전) 구동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극성은,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극성과 동일하다.
발명자의 실험에 따르면, 표시 장치(119)에서 제1 표시 기간(DT1) 내지 비표시 기간(NDT) 내지 제2 표시 기간(DT2)의 구동을 행하면 약간의 표시 불균일성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견되고,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는, 비표시 동작(제3 동작(OP3))을 행한 경우에도, 표시 장치(119)보다도 균일한 표시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는, 고품위의 표시가 얻어진다.
이하, 표시 장치(119)에 있어서 발생하는 표시의 불균일성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표시 장치의 특성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표시 장치(119)에서 발생하는 표시의 불균일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8(b)는, 표시 장치(119)의 일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8(c)는, 표시 장치(119)에서의 전위를 예시하고 있다.
도 8(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선(Gt1) 내지 제6 게이트선(Gt6)과, 복수의 신호선(SL)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칼럼 반전 구동에 의해, 정극성의 신호를 화소 전극(Px)에 기입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에 있어서는, 스위치 소자(11)는 생략되어 있다. 신호선(SL)으로서, 제1 신호선(Sig1)과, 제2 신호선(Sig2)에 착안한다.
도 8(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게이트선(Gt1)과 제1 신호선(Sig1)의 교차 위치에, 화소 전극(Pix1)이 설치된다. 제2 게이트선(Gt2)과 제1 신호선(Sig1)의 교차 위치에, 화소 전극(Pix2)이 설치된다. 제2 게이트선(Gt2)와 제2 신호선(Sig2)의 교차 위치에, 화소 전극(Pix3)이 설치된다. 제3 게이트선(Gt3)과 제2 신호선(Sig2)의 교차 위치에, 화소 전극(Pix4)이 설치된다. 제4 게이트선(Gt4)과 제2 신호선(Sig2)의 교차 위치에, 화소 전극(Pix5)이 설치된다. 제5 게이트선(Gt5)과 제2 신호선(Sig2)의 교차 위치에, 화소 전극(Pix6)이 설치된다.
이 예에서는, 도 8(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Pix2)과 화소 전극(Pix3)의 사이의 영역에, 코먼선(CL)의 간극(G3)이 배치된다. 즉, 제1 코먼선(CL1)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화소 전극(Pix2)과 겹친다. 제2 코먼선(CL2)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화소 전극(Pix3)과 겹친다. 간극(G3)은,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신호선(SL)(이 예에서는, 제2 신호선(Sig2))과 겹친다.
도 8(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신호선(Sig1)에 대응하는 화소 전극(Px)(예를 들어 화소 전극(Pix1) 및 제2 화소 전극(Pix2) 등)에는, 동일한 계조(제1 계조)의 표시를 위한 신호가 공급된다. 화소 전극(Pix3) 및 화소 전극(Pix6)에는, 제1 계조의 표시를 위한 신호가 공급된다. 그리고, 화소 전극(Pix4) 및 화소 전극(Pix5)에는, 제2 계조의 표시를 위한 신호가 공급된다. 예를 들어, 제2 계조의 표시를 위한 신호의 크기는, 제1 계조의 표시를 위한 신호의 크기보다도 크다. 화소 전극(Px)과 대향 전극(코먼 배선 CL)의 사이의 전위차가 작을 때, 암 표시(노멀리 다크)로 한다. 제2 계조의 밝기는, 제1 계조의 밝기보다도 밝다.
이러한 표시를 행한 경우에, 예를 들어 화소 전극(Pix3)에 대응하는 화소(35)에 있어서는, 표시해야 할 밝기(제1 계조)보다도 밝아지고, 화소 전극(Pix6)에 대응하는 화소(35)에 있어서는, 표시해야 할 밝기(제1 계조)보다도 어두워지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표시의 불균일성이 발생한다. 즉, 세로 크로스 토크가 발생한다.
발명자의 검토에 따르면, 이 불균일성은, 화소 전극(Px)과 신호선(SL)의 사이에 용량이 형성되고, 이 용량에 따라, 화소 전극(Px)의 전위가 변동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추정된다.
도 8(c)는, 신호선(SL)의 전위 및 화소 전극(Px)의 전위를 예시하고 있다. 도 8(c)에서 횡축은 시간이다. 도 8(c)에는, 코먼선(CL)의 코먼 전위(COM)가 표시되어 있다.
도 8(c)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신호선(Sig1)의 전위는, 제1 계조에 따른 전위이다. 한편, 제2 신호선(Sig2)의 전위는, 제3 게이트선(Gt3) 및 제4 게이트선(Gt4)이 선택되어 있을 때, 제2 계조에 따른 전위(제1 계조보다도 높은 전위)이다. 또한, 칼럼 반전 구동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므로, sig1과 sig2에서는 극성이 반전되어 있다.
도 8(c)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Pix1 및 Pix2)은, 원하는 전위로 설정된다. 이에 비해, 화소 전극(Pix3)에 있어서는, 원하는 제1 계조의 전위로 기입된 후에, 제3 게이트선(Gt3) 및 제4 게이트선(Gt4)이 선택되어 있는 기간에 있어서, 소정의 전위(제2 계조의 전위)보다도 낮은 전위로 변동한다. 이것은, 화소 전극(Pix3)과 제2 신호선(Sig2)의 사이의 커플링에 의해, 화소 전극(Pix3)의 전위가 보다 낮은 쪽(코먼 배선의 전위에 대하여 보다 먼 쪽)으로 변동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즉, 화소 전극(Pix3)에 있어서는, 전위 변동(ΔV1)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화소 전극(Pix3)에 대응하는 화소에서는, 원하는 밝기보다도 밝아진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도 8(c)에 예시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Pix6)에 있어서는, 화소 전극(Pix6)의 전위가, 화소 전극(Pix6)에 공급해야 할 신호를 보내고 있는 제2 신호선(Sig2)과, 화소 전극(Pix4 및 Pix5)의 사이의 커플링에 의해 변동된다(화소 전극(Pix4, Pix5)의 마이너스 전위측으로 끌어 당겨짐). 이로 인해, 화소 전극(Pix6)에 있어서는, 전위 변동(ΔV2)이 발생한다. 전위 변동(ΔV2)은, 전위 변동(ΔV1)과는 역방향의 전위 변동이다. 이로 인해, 화소 전극(Pix6)에 있어서는, 원하는 밝기보다도 어두워진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19)에 있어서는, 화소 전극(Px)과 신호선(SL)의 사이에 형성되는 용량 커플링에 의해, 화소 전극(Px)의 전위(전위의 시간적인 평균값)가 변동하고, 그 결과, 표시의 불균일성이 발생한다. 이 용량은, 도 8(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주로 코먼선(CL)의 간극(G3)이 형성되는 장소에 발생한다. 즉, 이 용량에 기인한 표시의 불균일성은, 복수의 신호선(SL)을 포함하는 그룹에 대하여 1개의 코먼선(CL)이 설치되는 경우, 보다 상세하게는, 신호선(SL)과 평행하게 코먼선(CL)을 배치한 경우에 특이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표시의 불균일성을, 예를 들어 상하 좌우의 화소마다 극성을 반전시키는 도트 반전 구동이나, 또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하는 화소행마다 극성을 반전시키는 라인 반전 구동을 사용함으로써 억제하는 시도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서는, 소비 전력이 증대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 및 제2 그룹(GP2) 각각에 있어서, V라인 반전 구동을 행하고, 또한 제1 그룹(GP1)과 제2 그룹(GP2)에서, 신호선(SL)의 전위(화소 전극(Px)의 전위)를 반전시킨다. 비표시 기간의 전후에서 극성을 반전시킴으로써, 비표시 기간 전후에서 신호선(SL)의 전위가 평균화되게 된다. 이 결과, 표시의 불균일성(예를 들어 세로 크로스 토크)이 억제된다. 이에 의해, 고품위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19)에 있어서는, 화소 전극(Px)과 신호선(SL)의 사이에 발생하는 용량에 따라서도, 표시의 불균일성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9는, 표시 장치의 특성을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9)에 있어서는, 코먼선(CL)의 간극(G3)의 위치에, 신호선(SL)에 의한 전계(E)가 발생한다. 이 전계(E)에 의해, 표시의 불균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표시면의 일부의 영역에서 제1 계조의 표시를 행하고, 그 밖의 영역에서 제2 계조의 표시를 행한다고 하자. 제1 계조의 표시에 있어서는 , 예를 들어 신호선(SL)의 전위는, 코먼선(CL)의 코먼 전위(COM)(예를 들어 0볼트)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2 계조의 표시에 있어서는 , 예를 들어 신호선(SL)의 전위는 5볼트이다. 이 경우, 제2 계조의 표시를 행하는 신호선(SL)의 전위가, 표시층(30)의 광학 동작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신호선(SL)과 화소 전극(Px)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계가, 표시층(30)에 가해진다. 표시층(30)으로서 액정이 사용될 경우, 이 전계(E)가 액정에 작용한다. 이로 인해, 간극(G3)에 대응한 부분에 있어서, 예를 들어 광 누설이 발생한다.
또한, 스위치 소자(11)에 있어서 , 예를 들어 소스-게이트간 용량에 의해 전압이 분할된다. 이에 의해, 기입이 끝난 후의 화소 전극(Px)의 전위는, 기입 시의 신호선(SL)의 전위보다도 낮아진다. 신호선(SL)의 중심 전위는, 화소 전극(Px)의 중심 전위보다도 높다. 신호선(SL)의 중심 전위는, 코먼선(CL)의 중심 전위보다도 높아진다.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 및 제2 그룹(GP2) 각각에 있어서, V라인 반전 구동을 행하고, 또한 제1 그룹(GP1)과 제2 그룹(GP2)에서, 신호선(SL)의 전위(화소 전극(Px)의 전위)를 반전시킨다. 이에 의해, 표시의 불균일성(상기의 광 누설)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는, 비표시 동작(예를 들어 입력 동작이나 표시 휴지 등)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표시의 불균일성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고품위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는, 제3 동작(OP3)(비표시 동작) 내에서, 제4 동작(OP4)을 실시한다. 제4 동작(OP4)에 있어서는, 제2 동작(OP2)과 동일한 극성의 신호(프리차지 신호)가 신호선(SL)에 공급된다.
프리차지를 행하지 않을 경우, 표시 장치(110)에 있어서, 제3 동작(OP3)(비표시 동작)으로부터 바로 제2 동작(OP2)(표시 동작)으로 이행하게 되지만, 이들 동작의 이행에 수반하여, 신호선(SL)의 전위와, 코먼선(CL)의 전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급격하게 변경되게 된다. 이 결과, 신호선(SL)과 코먼선(CL)의 사이에는 용량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용량에 기인하여 그 후의 신호선(SL)의 전위의 변화에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제2 동작(OP2) 전의 표시 전 기간(PDT)에 있어서, 표시를 위한 준비 동작(프리차지)을 행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시간 지연을 발생시키지 않고, 표시의 불균일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 때, 프리차지 신호의 극성을, 제2 동작(OP2)에서의 신호와 동일한 극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표시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60)는, 표시 전 기간(PDT)에 있어서, 제4 동작(OP4)를 또한 실시한다. 제4 동작(OP4)에 있어서는, 제2 극성(예를 들어, 부극성)의 제1색 표시 전 신호(SigP1)(도 5 참조)를 제1색 배선(SLa)에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제1 극성(예를 들어, 정극성)의 제2색 표시 전 신호(SigP2)를, 제2색 배선(SLb)에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제1 극성(예를 들어, 정극성)의 제3색 표시 전 신호(SigP3)를, 제3색 배선(SLc)에 공급한다.
이 때, 프리차지 신호로서, 제1 동작(OP1)에 있어서, 마지막으로 공급한(기입한) 신호에 따른 신호를 사용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그룹(GP1)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은, 제2 그룹(GP2)에 가장 가까운 최후의 제1 배선(L1)(제(i-1) 게이트선(GLi-1), 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이 때, 제어부(60)는, 최후의 제1 배선(L1)((제(i-1) 게이트선(GLi-1))이 선택되었을 때, 제1색 배선(SLa)에, 제1색 최후 신호(SigL1)(최후의 1H의 신호, 도 5 참조)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4 동작(OP4)의 타이밍에서, 다시 제1색 배선(SLa)에, 제1색 최후 신호(SigL1)(최후의 1H의 신호, 도 5 참조)를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최후의 제1 배선(L1)((제(i-1) 게이트선(GLi-1))이 선택되었을 때, 제2색 배선(SLb)에, 제2색 최후 신호(SigL2)(최후의 1H의 신호, 도 5 참조)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4 동작의 타이밍에서, 다시 제2색 배선(SLb)에, 제2색 최후 신호(SigL2)(최후의 1H의 신호, 도 5 참조)를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최후의 제1 배선(L1)((제(i-1) 게이트선(GLi-1))이 선택되었을 때, 제3색 배선(SLc)에, 제3색 최후 신호(SigL3)를 공급한다. 그리고, 제4 동작(OP4)의 타이밍에서, 다시 제3색 배선(SLc)에, 제3색 최후 신호(SigL3)를 공급한다.
또한, 제4 동작(OP4)의 타이밍에 공급하는 신호는, 최후 신호와 극성을 반전시킨 신호를 채용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 이러한 구동에 있어서, 제어부(60)는, 제1 표시 기간(DT1)에 있어서, 제1 그룹(GP1)에 속하는 제1 배선(게이트선(GL))을 순차 선택하여, 제3 배선(코먼선(CL))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제1 극성의 색 화상 신호(Sig)를 각 색 배선(SLa, SLb, SLc)에 공급하는 제1 동작(OP1)과, 제2 표시 기간(DT2)에 있어서, 제2 그룹(GP2)에 속하는 제1 배선(게이트선(GL))을 순차 선택하여, 제3 배선(코먼선(CL))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전위이며,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의 색 화상 신호(Sig)를 각 색 배선(SLa, SLb, SLc)에 공급하는 제2 동작(OP2)과, 비표시 기간(NDT)에 있어서, 제1 동작(OP1) 및 제2 동작(OP2)과는 상이한 제3 동작(OP3)을 실시하고, 비표시 기간(NDT)의 후단의 기간이 되는 표시 전 기간(PDT)에 있어서, 제2 극성의 제1색 표시 전 신호(SigP1)를 제1색 배선(SLa)에 공급하고, 제1 극성의 제2색 표시 전 신호(SigP2)를 제2색 배선(SLb)에 공급하고, 제1 극성의 제3색 표시 전 신호(SigP3)를 제3색 배선(SLc)에 공급하는 제4 동작(OP4)을 실시한다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동작(OP4)(예를 들어, 표시를 위한 준비 동작, 즉, 신호선(SL)으로의 프리차지)을 실시함으로써, 표시의 불균일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111)를 예시하고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한 단면과는 상이한 단면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a)는, 제1 그룹(GP1)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제2 그룹(GP2)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한 구성 이외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한 구성과 동일하다. 즉, 표시 장치(111)에 있어서는, 제1 내지 제3의 색 필터(F1 내지 F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1)에 있어서는, 제4색 필터(F4)가 더 설치되어 있다. 제4색 필터(F4)는, 제1색 필터(F1)와는 상이한 색이다. 제1색 필터(F1)가 청색이며, 제4색 필터(F4)는, 예를 들어 백색이다. 제4색 필터는, 녹색 또는 황색이어도 된다.
복수의 화소 전극(Px)은, 제7 화소 전극(Px7)과, 제8 화소 전극(Px8)을 더 포함한다. 제7 화소 전극(Px7) 및 제8 화소 전극(Px8)은, 스위치 소자(11)(이들 도면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음)를 개재하여, 제1색 배선(SL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제7 화소 전극(Px7)은, 제4색 필터(F4)와 겹친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제8 화소 전극(Px8)은, 제4색 필터(F4)와 겹친다. 제7 화소 전극(Px7) 및 제8 화소 전극(Px8)은, 제4색에 대응하는 화소 전극(Px)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1)의 구성 및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i-3) 게이트선(GLi-3) 및 제(i+2) 게이트선(GLi+2)(i는, 4 이상의 정수)이 더 설치된다. 제(i-3) 게이트선(GLi-3)은, 제1 그룹(GP1)에 포함된다. 제(i+2) 게이트선(GLi+2)은, 제2 그룹(GP2)에 포함된다.
제7 화소 전극(Px7)은, 제1 그룹(GP1)에 포함되는 게이트선(GL)(이 예에서는, 제(i-1) 게이트선(GLi-1))과, 제1색 배선(SLa)에 접속되는 스위치 소자(11)(제7 스위치(SW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8 화소 전극(Px8)은, 제2 그룹(GP2)에 포함되는 게이트선(GL)(이 예에서는, 제(i+2) 게이트선(GLi+2))과, 제1색 배선(SLa)에 접속되는 스위치 소자(11)(제8 스위치(SW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제1색 배선(SLa)에, 제1 화소 전극(Px1)(청색) 및 제2 화소 전극(Px2)(청색) 외에, 제7 화소 전극(Px7)(제4색) 및 제8 화소 전극(Px8)(제4색)이,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즉, 제1색 배선(SLa)에, 제1색의 화소 전극(Px) 외에, 제4색의 화소 전극(Px)이 설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11)에 있어서, 제1색의 복수의 제1색 필터(F1)가 설치된다. 복수의 스위치 소자(11)는, 제7 스위치(SW7)와, 제8 스위치(SW8)를 포함한다. 제7 스위치(SW7)는, 제1 그룹(GP1)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이 예에서는, 제(i-1) 게이트선(GLi-1))와, 제1색 배선(SL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8 스위치(SW8)는, 제2 그룹(GP2)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이 예에서는, 제(i+2) 게이트선(GLi+2))와, 제1색 배선(SL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복수의 화소 전극(Px)은, 제7 화소 전극(Px7)과, 제8 화소 전극(Px8)을 포함한다.
제7 화소 전극(Px7)은, 제7 스위치(SW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8 화소 전극(Px8)은, 제8 스위치(SW8)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X-Y 평면에 투영했을 때, 복수의 제1색 필터(F1)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제1 화소 전극(Px1) 및 복수의 제2 화소 전극(Px2)과 겹친다.
복수의 제1색 필터(F1)는, 제7 화소 전극(Px7) 및 제8 화소 전극(Px8)과 겹치지 않는다. 이 예에서는, 제4색 필터(F4)가, 제7 화소 전극(Px7) 및 제8 화소 전극(Px8)과 겹친다.
이 때, 제어부(60)는, 제7 화소 전극(Px7)의 극성을 제1 화소 전극(Px1)의 극성과 동일하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60)는, 제8 화소 전극(Px8)의 극성을 제2 화소 전극(Px2)의 극성과 동일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제1 동작(OP1)에 있어서, 제1 그룹(GP1)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또한 제1 극성(예를 들어 정극성)의 제7색 화상 신호(SigC7)를, 제1색 배선(SLa)에 공급한다.
제어부(60)는, 제2 동작(OP2)에 있어서, 제2 그룹(GP2)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또한 제2 극성(예를 들어 부극성)의 제8색 화상 신호(SigC8)를, 제1색 배선(SLa)에 공급한다.
이 경우도, 표시의 불균일성(세로 크로스 토크 및 광 누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 억제된다. 표시 장치(111)에 있어서도, 표시의 불균일성이 억제되어, 고품위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2)의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2)에 있어서는, 제1 화소 전극(Px1)과 제2 화소 전극(Px2)에 있어서, 극성이 반전된다. 한편, 제3 화소 전극(Px3)과 제4 화소 전극(Px4)에 있어서는, 극성이 동일하다. 제5 화소 전극(Px5)과 제6 화소 전극(Px6)에 있어서, 극성이 동일하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12)의 동작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에 있어서는, V라인 반전 구동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청색의 화소열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과 제2 그룹(GP2)에 있어서, 신호선(SL)의 극성이 반전된다. 한편, 적색의 화소열 및 녹색의 화소열에 있어서는, 제1 그룹(GP1)과 제2 그룹(GP2)의 극성을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통상의 V라인 반전 구동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12)에 있어서는, 칼럼 반전의 구동이며, 또한 어느 쪽의 화소열만 비표시 기간의 전후에서 극성을 반전시키는 구동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구동을 예를 들어 「씨닝 분할 V라인 반전」이라고 칭한다.
환언하면, 제어부(60)는, 인접하는 화소열 사이에서 서로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Sig)를 공급하는 상태(전체적으로는 칼럼 반전 구동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또한 적어도 1색에 대응하는 화소열(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색의 화소열)만, 제1 표시 기간(DT1)에 화소 신호(Sig)가 인가되는 제1 화소행과, 당해 제1 화소행에 나란히 설치되고, 제1 표시 기간(DT1) 후의 제2 표시 기간(DT2)에 화소 신호(Sig)가 인가되는 제2 화소행의 사이에서도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Sig)를 공급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코먼선(CL)에 설치되는 슬릿(간극(G3))은, 청색 화소에 대응하는 제1색 배선(SLa)(제1 화소 전극(Px1) 및 제2 화소 전극(Px2))에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발생하는 광 누설은, 시감도가 낮은 청색 화소에서 발생한다. 청색 화소의 측방에 코먼선(CL)간의 슬릿을 형성하고, 당해 슬릿과 상하 방향에서 일치하는 위치에 당해 청색 화소열의 제1색 배선(SLa)을 설치하고, 이 상태에서 비표시 기간 전후에서 극성 반전 구동을 행함으로써, 표시의 불균일성을 억제할 수 있다.
청색의 시감도는, 녹색의 시감도보다도 낮고, 적색의 시감도보다도 낮다. 시감도가 높은 녹색 화소 및 적색 화소의 화소열에 있어서, 칼럼 반전을 행하고, 청색 화소의 화소열에 있어서, V블랭킹 반전을 행한다. 이에 의해, 세로 크로스 토크 및 가로 줄무늬가 억제된다. 표시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칼럼 반전 구동을 행하면서, 시감도의 관계로부터 청색만 비표시 기간 전후에서 신호선(SL)의 극성을 반전시키는 구동을 행했지만, 당해 극성을 반전시키는 색 종류는 다른 적색이나 녹색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들 3색 중, 어느 것이나 2색을 비표시 기간 전후에서 극성 반전시키고, 1색만을 표시 기간 전후에서도 극성을 반전시키지 않는 구동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표시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121 내지 123)의 동작을 예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은, 제3 동작(OP3)에서의 소스 신호(SS)를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동작(OP1)에 있어서, 제1 화소 전극(Px1)의 전위는, 제1색 화상 신호(SigC1)의 전위이다. 그리고, 제1 대향 배선(CLa)(코먼선(CL))은, 코먼 전위(COM)로 설정되어 있다. 코먼 전위(COM)는, 예를 들어 접지 전위(GND), 또는, 접지 전위(GND)에 가까운 전위이다. 한편, 게이트선(GL)의 비선택 상태의 전위는, 비선택 게이트 전위(GLN)로 설정되어 있다. 비선택 게이트 전위(GLN)는, 예를 들어 제1 그룹(GP1)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의 비선택 시의 전위이다. 비선택 게이트 전위(GLN)는, 예를 들어 제2 그룹(GP2)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배선(L1)의 비선택 시의 전위이어도 된다.
도 13(a)에 도시한 표시 장치(121)에 있어서는, 제어부(60)는, 제3 동작(OP3)에 있어서, 신호선(SL)(예를 들어 제1색 배선(SLa))의 전위를, 제1 화소 전극(Px1)의 전위(제1색 화상 신호(SigC1))보다도 낮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신호선(SL)(예를 들어 제1색 배선(SLa))의 전위는, 제1 화소 전극(Px1)의 전위(제1색 화상 신호(SigC1))와, 제1 대향 배선(CLa)(코먼선(CL))의 전위(코먼 전위(COM))의 사이로 설정된다.
도 13(b)에 도시한 표시 장치(122)에 있어서는, 제어부(60)는, 제3 동작(OP3)에 있어서, 신호선(SL)(예를 들어 제1색 배선(SLa))의 전위를, 제1 대향 배선(CLa)(코먼선(CL))의 전위(코먼 전위(COM)) 이하로 한다. 이 예에서는, 신호선(SL)(예를 들어 제1색 배선(SLa))의 전위는, 제1 대향 배선(CLa)(코먼선(CL))의 전위(평균의 전위)와 동일하다.
도 13(c)에 도시한 표시 장치(123)에 있어서는, 제어부(60)는, 제3 동작(OP3)에 있어서, 신호선(SL)(예를 들어 제1색 배선(SLa))의 전위를, 제1 대향 배선(CLa)(코먼선(CL))의 전위(코먼 전위(COM))보다도 낮게 한다. 예를 들어, 신호선(SL)(예를 들어 제1색 배선(SLa))의 전위가, 제1 대향 배선(CLa)의 전위와, 비선택 게이트 전위(GLN)의 사이로 설정된다.
표시 장치(121)에 있어서는, 제3 동작(OP3)(예를 들어 터치 입력의 검출 기간)에 있어서, 신호선(SL)의 전위가, 화상 표시용의 신호의 거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 예에서는, 구동 회로가 간단해진다.
표시 장치(122)에 있어서는, 제3 동작(OP3)에서의 신호선(SL)의 전위는, 표시 장치(121)보다도 낮으며, 접지 전위(GND)(또는 코먼 전위(COM))이다. 이 경우도, 구동 회로가 간단해진다.
표시 장치(123)에 있어서는, 제3 동작(OP3)에서의 신호선(SL)의 전위는, 표시 장치(122)보다도 낮다. 기입 시(예를 들어 제1 동작(OP1) 및 제2 동작(OP2))에서의 화소 전극(Px)은, 스위치 소자(11)의 용량 분할에 기인하여 신호선(SL)의 전위보다도 낮아진다. 즉, 화소 전극(Px)의 전위보다도 신호선(SL)의 전위는 높다. 이 때, 신호선(SL)과 화소 전극(Px)의 사이의 용량 커플링 및 발생하는 전계를 고려하여, 제3 동작(OP3)에서의 신호선(SL)의 전위는, 기입 시의 신호선(SL)의 전위보다도 낮게 설정한다. 이에 의해, 제3 동작(OP3)에서의 신호선(SL)의 전위와, 화소 전극(Px)의 전위의 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 예를 들어 표시의 불균일성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구성 및 동작과,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동작과 조합해서 실시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도 14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 장치를 예시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310)는, 표시 장치(11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로서,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표시 장치 및 그것의 변형을 사용해도 된다. 이 예에서는, 전자 기기(310)는, 표시 장치(110)를 내부에 격납하는 하우징(180)을 더 포함한다. 전자 기기(310)로서,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각종 정보 기기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기기(310)는, 제1 및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고품위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고품위의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코먼선(CL)을 신호선(SL)에 따라 Y 방향으로 연장시킨 구성에 대해서 나타냈지만, 당해 코먼선(CL)을 게이트선(GL)과 동일하도록 X 방향으로 연장시킨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검출선(RL)은 Y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게 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수직」 및 「평행」은, 엄밀한 수직 및 엄밀한 평행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제조 공정에서의 변동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실질적으로 수직 및 실질적으로 평행하면 된다.
이상, 구체예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에 포함되는 배선, 스위치 소자, 표시층, 절연층, 제어부, 셀렉터 및 회로 및 전자 기기에 포함되는 하우징 등의 각 요소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공지된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을 동일하게 실시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구체예 중 어느 2개 이상의 요소를 기술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 조합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 상술한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를 기초로 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는 모든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도,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사상 범주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각종 변경예 및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이며, 그들 변경예 및 수정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당업자가 적절히 구성 요소의 추가, 삭제 또는 설계 변경을 행한 것, 또는, 공정의 추가, 생략 또는 조건 변경을 행한 것도, 본 발명의 요지를 구비하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형태에 의해 초래되는 다른 작용 효과에 대해서 본 명세서 기재로부터 명확한 것, 또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적절히 상도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당연히 본 발명에 의해 초래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10 : 제1 기판
10u : 제1 기판부
11 : 스위치 소자
11g : 게이트
11i : 게이트 절연막
12 : 반도체층
12a : 제1 부분
12b : 제2 부분
12c : 제3 부분
13 : 층간 절연막
15a : 제1 접속부
15b : 제2 접속부
15c : 제1 접속 도전부
15d : 제2 접속 도전부
17 : 제3 접속 도전부
18 : 제1 배향막
20 : 제2 기판
20u : 제2 기판부
25 : 컬러 필터층
27 : 차광층
28 : 제2 배향막
30 : 표시층
35 : 화소
35a : 제1색 화소
35b : 제2색 화소
35c : 제3색 화소
51 : 제1 편광층
52 : 제2 편광층
55 : 백라이트부
60 : 제어부
61 : 제1 구동 회로
62 : 제2 구동 회로
63 : 제어 회로
65 : 검출 회로
ΔV1, ΔV2 : 전위 변동
110, 111, 112, 119, 121 내지 123 : 표시 장치
180 : 하우징
210 : 구동 장치
310 : 전자 기기
CL : 코먼선
CL1, CL2, CLN, CLj : 코먼선
CLa, CLb : 제1, 제2의 대향 배선
COM : 코먼 전위
D1 내지 D5 : 제1 내지 제5의 방향
DT1, DT2 : 제1, 제2의 표시 기간
E : 전계
F1 내지 F4 : 제1 내지 제4의 색 필터
G3 : 간극
GL : 게이트선
GL1, GL2, GLn, GLi : 게이트선
GLN : 비선택 게이트 전위
GND : 접지 전위
GP1, GP2 : 제1, 제2의 그룹
Gt1 내지 Gt6 : 제1 내지 제6의 게이트선
I1, I2 : 제1, 제2의 절연층
L1 내지 L5 : 제1 내지 제5의 배선
NDT : 비표시 기간
OP1 내지 OP4 : 제1 내지 제4의 동작
PDT : 표시 전 기간
PT : 극성
Pix1 내지 Pix6 : 화소 전극
Px : 화소 전극
Px1 내지 Px8 : 제1 내지 제8의 화소 전극
Pxs : 부분
RL : 검출선
RL1, RL2, RLM : 검출선
SELB, SELG, SELR : 셀렉터 신호
SL, SL1, SL2, SLm : 신호선
SLa, SLb, SLc : 제1, 제2, 제3의 색 배선
SS : 소스 신호
SW1 내지 SW8 : 제1 내지 제8의 스위치
Sig1, Sig2 : 신호선
SigC1 내지 SigC8 : 제1 내지 제8의 색 화소 신호
SigL1 내지 SigC3 : 제1 내지 제3의 색 최후 신호
SigP1 내지 SigL3 : 제1 내지 제3의 색 표시 전 신호
TSVCOM : 검지 신호
Uf : 상면
p1 내지 p3 : 제1 내지 제3의 경계부

Claims (20)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제2 배선과,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향해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위치에서 제1 배선과 제2 배선에 접속되는 복수의 스위치 소자와,
    각 스위치 소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3 배선과,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상에 설치되어 각 화소 전극에 부여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광학 특성의 변화와, 발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학 동작을 행하는 표시층과,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을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의 이웃에 배치되는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제1 배선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교차하는 제1색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 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제3 배선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제1 극성의 제1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1 동작과,
    상기 제1 표시 기간 후의 제2 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제3 배선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전위이며 상기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의 제2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2 동작과,
    상기 제1 표시 기간과 상기 제2 표시 기간의 사이의 비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및 상기 제2 동작과는 상이한 제3 동작을 행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의 배선, 상기 스위치 소자 및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과 이격되고, 상기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며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평면에 대하여 평행하며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4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제4 배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층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4 배선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동작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4 배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복수의 제3 배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4 배선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에 근접하는 물체에 의한, 상기 복수의 제4 배선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과,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의 사이의 용량 변화에 기초하는 상기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상기 제2 그룹에 가장 가까운 최후의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표시 기간과 상기 제2 표시 기간의 사이의 표시 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 극성의 제1색 표시 전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4 동작을 또한 실시하고, 상기 최후의 제1 배선이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제1색 배선에 제1색 최후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색 표시 전 신호는, 상기 제1색 최후 신호에 따른 신호인,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색의 복수의 제1색 필터와,
    상기 제1색의 시감도보다도 높은 제2색의 복수의 제2색 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색 배선의 인접한 제2색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는,
    각각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2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3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2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4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각각이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3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3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4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4 화소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복수의 제1색 필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전극과 겹치고,
    상기 평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복수의 제2색 필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3 화소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4 화소 전극과 겹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또한 상기 제2 극성의 제3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2색 배선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또한 상기 제1 극성의 제4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2색 배선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은, 상기 평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복수의 제3 화소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4 화소 전극과 겹치는 제2 대향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상기 제2 그룹에 가장 가까운 최후의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표시 기간과 상기 제2 표시 기간의 사이의 표시 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극성의 제2색 표시 전 신호를 상기 제2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4 동작을 또한 실시하고, 상기 최후의 제1 배선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제2색 배선에 제2색 최후 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제1 극성의 상기 제2색 표시 전 신호는, 상기 제2색 최후 신호에 따른 신호인,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색의 상기 시감도보다도 높고 상기 제2색과는 상이한 제3색의 복수의 제3색 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색 배선의 인접한 제3색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색 배선은, 상기 제2색 배선과 상기 제3색 배선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는,
    각각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3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5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3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6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각각이 복수의 제5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5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6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6 화소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평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복수의 제3색 필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5 화소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6 화소 전극과 겹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또한 상기 제2 극성의 제5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3색 배선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또한 상기 제1 극성의 제6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3색 배선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제1색의 복수의 제1색 필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는,
    각각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스위치와,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7 스위치와,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8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각각이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화소 전극과,
    제7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7 화소 전극과,
    제8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8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복수의 제1색 필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전극과 겹치고,
    상기 복수의 제1색 필터는, 상기 제7 화소 전극 및 상기 제8 화소 전극과 겹치지 않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또한 상기 제1 극성의 제7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2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제2 극성의 제8색 화상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는,
    각각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각각이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색 배선의 전위를 상기 제1 화소 전극의 전위보다도 낮게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는,
    각각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각각이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전극과 겹치는 제1 대향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색 배선의 전위를 상기 제1 대향 배선의 전위 이하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 소자는,
    각각이,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스위치와,
    각각이, 상기 제2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 각각과, 상기 제1색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각각이 복수의 제1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화소 전극과,
    각각이 복수의 제2 스위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화소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했을 때, 상기 복수의 제1 화소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2 화소 전극과 겹치는 제1 대향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동작에 있어서,
    상기 제1색 배선의 전위를, 상기 제1 대향 배선의 전위와, 상기 제1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의 비선택 시의 전위의 사이로 설정하는, 표시 장치.
  15.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액정층과,
    한쪽 기판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전극과,
    어느 한쪽의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공통 전극과,
    각 화소 전극에 화소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인접하는 화소열 사이에서 서로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또한,
    제1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를 인가되는 제1 화소행과,
    상기 제1 화소행에 나란히 설치되고, 제1 표시 기간 후의 제2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2 화소행의 사이에서도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기간과 상기 제2 표시 기간의 사이에 비표시 기간을 마련한,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제2 배선에 접속되고,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3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3 배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을 포함하는 제1 그룹과,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룹의 상기 제2 방향의 이웃에 배치되는 제2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제1 배선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교차하는 제1색 배선과,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색 배선의 인접한 제2색 배선과,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색 배선의 인접한 제3색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제3 배선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제1 극성의 색 화상 신호를 각 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1 동작과,
    상기 제2 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에 속하는 제1 배선을 순차 선택하여, 상기 제3 배선의 전위를 기준으로 한 전위이며, 상기 제1 극성과는 역의 제2 극성의 색 화상 신호를 각 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2 동작과,
    상기 비표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및 상기 제2 동작과는 상이한 제3 동작을 실시하고,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표시 기간의 후단 기간이 되는 표시 전 기간에 있어서,
    상기 제2 극성의 제1색 표시 전 신호를 상기 제1색 배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1 극성의 제2색 표시 전 신호를 상기 제2색 배선에 공급하고,
    상기 제1 극성의 제3색 표시 전 신호를 상기 제3색 배선에 공급하는 제4 동작을 실시하는, 표시 장치.
  18. 한 쌍의 기판과,
    상기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설치되는 액정층과,
    한쪽 기판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전극과,
    어느 한쪽의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전극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공통 전극과,
    각 화소열에 대향한 색열을 구비하는 컬러 필터층과,
    각 화소 전극에 화소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컬러 필터층의 색열은, 화소열 방향에 적어도 3색을 반복해서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인접하는 화소열 사이에서 서로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상태에서,
    또한, 적어도 1색에 대응하는 화소열만,
    제1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1 화소행과,
    상기 제1 화소행에 나란히 설치되고, 제1 표시 기간 후의 제2 표시 기간에 화소 신호가 인가되는 제2 화소행의 사이에서도 극성을 반전시킨 화소 신호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필터층은, 적어도 적색, 녹색 및 청색이며,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을 다른 색과 상이하게 하는 색은 청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20150063146A 2014-05-13 2015-05-06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688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0002 2014-05-13
JP2014100002A JP6434717B2 (ja) 2014-05-13 2014-05-13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235A true KR20150130235A (ko) 2015-11-23
KR101688314B1 KR101688314B1 (ko) 2016-12-20

Family

ID=5453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146A KR101688314B1 (ko) 2014-05-13 2015-05-06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74771B2 (ko)
JP (1) JP6434717B2 (ko)
KR (1) KR101688314B1 (ko)
CN (1) CN105093716B (ko)
TW (1) TWI582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6985A (ja) 2014-04-23 2015-11-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5222346A (ja) 2014-05-23 2015-12-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6284838B2 (ja) * 2014-06-26 2018-02-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ッチ式入力装置
JP2016161860A (ja) * 2015-03-04 2016-09-0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
JP6648737B2 (ja) * 2017-06-30 2020-0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11292666A (zh) * 2020-03-27 2020-06-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列反转驱动电路及显示面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444A (ja) * 2001-05-29 2002-12-06 Casio Comput Co Ltd 携帯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1208A (ja) * 2006-07-14 2008-01-31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WO2008038431A1 (en) * 2006-09-28 2008-04-0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driver circuit, driving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JP2008191465A (ja) * 2007-02-06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5357B2 (ja) * 1999-07-21 2003-01-08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TW548625B (en) 2000-11-30 2003-08-21 Toshiba Corp Display apparatus and its driving method
JP3901127B2 (ja) 2002-06-07 2007-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4269748B2 (ja) 2003-04-01 2009-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1510034B (zh) 2003-12-05 2013-06-19 夏普株式会社 液晶显示器
US20080088543A1 (en) 2004-09-14 2008-04-17 Makoto Shibusawa Display, Array Substrate, and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KR101160826B1 (ko) * 2004-11-08 2012-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JP4182100B2 (ja) * 2004-12-15 2008-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液晶表示装置
EP2149874A4 (en) * 2007-04-26 2011-11-30 Sharp Kk LIQUID CRYSTAL DISPLAY
JP5439060B2 (ja) * 2009-06-30 2014-03-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5672695B2 (ja) 2009-12-18 2015-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541474B1 (ko) * 2009-12-25 2015-08-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5296273B2 (ja) * 2011-04-08 2013-09-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タイミング制御方法
JP5661015B2 (ja) 2011-09-30 2015-01-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5818722B2 (ja) * 2012-03-06 2015-11-1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電子機器
CN103293810B (zh) 2013-05-28 2016-01-20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器的像素配置方法
JP2015206985A (ja) 2014-04-23 2015-11-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444A (ja) * 2001-05-29 2002-12-06 Casio Comput Co Ltd 携帯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21208A (ja) * 2006-07-14 2008-01-31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WO2008038431A1 (en) * 2006-09-28 2008-04-03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driver circuit, driving method and television receiver
JP2008191465A (ja) * 2007-02-06 2008-08-21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34717B2 (ja) 2018-12-05
TW201543462A (zh) 2015-11-16
CN105093716A (zh) 2015-11-25
KR101688314B1 (ko) 2016-12-20
CN105093716B (zh) 2018-03-27
JP2015219245A (ja) 2015-12-07
TWI582746B (zh) 2017-05-11
US20150332647A1 (en) 2015-11-19
US9874771B2 (en) 201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832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1688314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7885397B (zh) 具有内置触摸屏的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4638863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183799B2 (en) Additional application of voltage during a write sequence
US8648845B2 (en) Writing data to sub-pixels using different write sequences
US9721519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187318A1 (en) Display device
JP2012047807A (ja)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2053173A (ja) 液晶表示装置
JP6302741B2 (ja) 表示装置
JP6047450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20107245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10250265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270257B1 (ko)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162358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JP2010102217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78935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686093B1 (ko) 시야각 제어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43469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07122030A (ja) 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