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218A -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218A
KR20150130218A KR1020150047284A KR20150047284A KR20150130218A KR 20150130218 A KR20150130218 A KR 20150130218A KR 1020150047284 A KR1020150047284 A KR 1020150047284A KR 20150047284 A KR20150047284 A KR 20150047284A KR 20150130218 A KR20150130218 A KR 20150130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anvil
gas
bag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889B1 (ko
Inventor
야스유키 혼다
히로마사 도노즈카
Original Assignee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지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5/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B31D5/0039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 B31D5/0073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 Making three-dimensional articles for making dunnage or cushion pads including pillow 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combined operations or combined techniques, e.g. welding and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41Holding or clamping means for handl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79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said parts to be joined moving in a closed path, e.g. a rectangular path
    • B29C65/7882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said parts to be joined moving in a closed path, e.g. a rectangular path said parts to be joined moving in a circular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4Thermal after-treatments
    • B29C66/0342Cooling, e.g. transporting through welding and cool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 B29C66/24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 B29C66/24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circular, oval or elliptical
    • B29C66/242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circular, oval or elliptical being circ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5Progressively making the joint, e.g. starting from the middle
    • B29C66/3452Making complete joints by combining parti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9Cooling the welding zone on the welding spot
    • B29C66/3494Cooling the welding zone on the welding spot while keeping the welding zone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1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 B29C66/4312Joining the articles to themselves for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e.g. transversal seams
    • B29C66/43121Closing the ends of tubular or hollow single articles, e.g. closing the end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cavity, e.g. a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8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B29C66/81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 B29C66/818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r by the thermal or electrical insulating or conduct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 comprising means for compensating for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welding jaws or of the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wel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29C66/824Actuating mechanisms
    • B29C66/8242Pneumatic 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29C66/83221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cooperating reciprocating tools, each tool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4Specific machine types or machines suitable for specific applications
    • B29C66/849Packag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06Adding fluids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filled and closed containers or wra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1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acting from above on containers or wrappers open at their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4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 B65B31/046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 B65B31/048Evacuating, pressurising or gasifying filled containers or wrappers by means of nozzles through which air or other gas, e.g. an inert gas, is withdrawn or supplied the nozzles co-operating, or being combined, with a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the container or wrapper specially adapted for wrapper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16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 B65B43/18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22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0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grippers engaging opposed walls, e.g. suction-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65B43/34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by internal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60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rot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5/00Apparatus or devices for supporting or holding wrappers during wrapp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6Clos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22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 B65B51/225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high-frequency electrical means, i.e. by friction or ultrasonic or induction welding by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32Cooling, or cooling and pressing, package closures after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2Preventing air-incl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9Joining sheets for making inflated articles without using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28Bags, sacks, sa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26Method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quantity of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2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65B61/02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perforating, scoring, slitting, or apply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for applying, e.g. printing, code or date marks on material prior to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로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의 종류가 변경되었을 경우 등에 하는 조정작업을 간단화한다.
(해결수단)
초음파 밀봉장치의 혼(31)과 앤빌(32)의 선단에 압력기체의 분출구(47, 52)를 형성하여 기체분출용의 노즐로서 사용한다. 혼(31)과 앤빌(32)의 선단을 슬릿(19)에 대어 에어백부(16)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분출 계속중에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슬릿(19)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이어서 초음파로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16)내에 봉입한다.

Description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GAS FILLING EQUIPMENT AND GAS FILLING METHOD TO THE BAG WITH AIR BAG}
본 발명은,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密封部)에 에어백부(air bag部)를 구비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봉입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자루라 함은, 자루는 물론 포대, 봉지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이들을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1∼3에는,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필름(film)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slit) 또는 구멍(hole)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상기 에어백부로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봉입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 에어백 부착 자루의 표리(表裏)의 필름은 적층필름(積層film)으로서, 내층(內層)이 실란트재(sealant材)로 이루어지며, 내용물이 들어가는 부분 및 에어백부에서는 표리의 필름의 내층(內層) 상호간이 히트밀봉(heat密封)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1, 2에서는, 예를 들면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gripper)로 파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압력기체 공급원(壓力氣體 供給源)에 접속된 기체분출용 노즐(氣體噴出用 nozzle)의 분출구(噴出口)를 상기 슬릿 또는 구멍에 대고, 수용부재(受容部材)에 의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의 배면측을 지지하고, 상기 노즐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을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한다. 계속하여 특허문헌1에서는,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한 쌍의 열판(熱板)으로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특허문헌2에서는,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한 쌍의 차단용 그리퍼(遮斷用 gripper)로 협지(挾持)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릿 또는 구멍과 상기 에어백부내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하고, 그 차단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부분을 한 쌍의 열판으로 밀봉하여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특허문헌3에서는, 특허문헌1과 동일한 방법이 채용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일본국 특허 제4683899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4771785호 공보 : 일본국 특허 제5104073호 공보
특허문헌1, 2에 기재된 기체의 봉입방법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특허문헌1의 방법에서는,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기체분출용 노즐 및 수용부재와, 에어백부로 분출한 기체를 상기 에어백부에 봉입하는 한 쌍의 열판을 필요로 하고, 특허문헌2의 방법에서는, 상기 에어백부에 기체를 일시적으로 가두는 차단용 그리퍼를 더 필요로 한다. 노즐 및 수용부재는 에어실린더(air cylinder) 등의 구동수단(驅動手段)에 의하여 대피위치(待避位置)와 전진위치(前進位置)의 사이를 진퇴하고, 한 쌍의 열판과 차단용 그리퍼는 각각 상기 노즐 및 수용부재와는 다른 구동수단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1, 2의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는, 노즐 및 수용부재 외에도 가동부재(可動部材)와 그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다.
한편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좌우 한 쌍의 그리퍼로 파지하여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의 분출 및 봉입을 하는 경우에 있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종류가 변경되면 상기 그리퍼에 파지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에 형성된 슬릿 또는 구멍의 위치(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의 위치)가 그 이전의 것과는 다를 수 있다. 그 경우에 변경후의 에어백 부착 자루의 슬릿 또는 구멍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노즐, 한 쌍의 열판 및 차단용 그리퍼의 위치를 각각의 구동장치와 함께 조정할 필요가 있지만, 조정부분이 많아 작업이 번잡하다.
(2) 특허문헌1에는, 에어백부의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열판으로 밀봉한 후에 밀봉부의 냉각을 하는 것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밀봉부의 냉각을 하지 않을 경우에, 밀봉부 및 그 근방에 주름 등이 발생해서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밀봉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열판으로 밀봉한 후에 한 쌍의 냉각판(冷却板)으로 밀봉부를 협지하여 냉각시키면 이들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냉각판(구동수단을 포함한다)을 설치함으로써 기체봉입장치의 구조가 더 복잡화된다.
특허문헌2에는, 에어백부의 슬릿 또는 구멍의 부분을 자루입구와 함께 열판으로 밀봉한 후에, 냉각판으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부분을 포함하는 밀봉부 전체를 협지하여 냉각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밀봉부(에어백부의 슬릿 또는 구멍의 부분)에 상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자루입구와 함께 밀봉 및 냉각을 하는 관계상,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자루의 상부(좌우 한 쌍의 그리퍼보다 위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밖에 적용할 수 없다. 또한 이 방법은,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의 봉입을 포장처리공정(자루입구의 개구(開口), 피포장물의 충전(充塡) 등)에 이어서 하는 경우밖에 적용할 수 없다.
(3)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서는,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분출을 계속하는 중에, 팽창된 상태의 에어백부(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를 열판에 의하여 압착시켜서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한다. 이때에 열판에 의하여 압착된 에어백부(밀봉부)의 표리의 필름이 평평하게 찌부러지지 않아 밀봉부에 세로주름이 생겨서 외관을 손상시키거나 밀봉이 불완전하게 되어 내부에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틈새를 통하여 에어백부내의 기체가 누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서는,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분출을 계속하는 중에, 팽창된 상태의 에어백부(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를 차단용 그리퍼로 협지하여 슬릿 또는 구멍과 에어백부내와의 기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이때에 차단용 그리퍼로 협지된 에어백부(차단부위)의 표리의 필름이 평평하게 찌부러지지 않아 에어백부의 내부에 틈새가 발생하여, 다음에 슬릿 또는 구멍의 부분을 열판에 의하여 압착시켜서 밀봉될 때까지의 사이에 에어백부내의 기체가 누설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의 문제를 도12,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12(a)에 있어서, 1은 에어백 부착 자루(특허문헌2의 도1 참조)의 일부인 한쪽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 2는 밀봉부(1)에 있어서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3, 4)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에어백부, 5, 5는 차단용 그리퍼, 6은 기체분출용의 노즐, 7은 수용부재이다.
도12(a)에 나타나 있는 에어백 부착 자루는, 특허문헌2에 기재된 에어백 부착 자루(1), 에어백부(2)는 마찬가지로 에어백부(5)(모두 특허문헌2의 도1 참조)에 대응되고, 차단용 그리퍼(5, 5), 노즐(6) 및 수용부재(7)는 각각 특허문헌2에 기재된 서브 그리퍼(sub gripper)(7, 7), 노즐(11) 및 수용부재(12)(모두 특허문헌2의 도2∼4 참조)에 대응된다. 도12(a)에 나타나 있는 에어백 부착 자루는, 그 양측 테두리가 특허문헌2의 도4에 나타내는 형태에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자루이송용 그리퍼(특허문헌2의 그리퍼(8, 8)에 대응)에 파지되어 있다.
도12(b)는, 노즐(6) 및 수용부재(7)가 도12(a)에 나타나 있는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여 노즐(6)의 선단(先端)(분출구)이 에어백부(2)에 형성된 슬릿 또는 구멍에 대어지고, 수용부재(7)가 노즐(6)과 대향(對向)하여 에어백부(2)의 배면을 지지하고, 에어백부(2)내로 기체가 분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에어백부(2)는 기체압력에 의하여 자유팽창하고, 그에 따라 밀봉부(1)의 끝(1a)이 당겨져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중심을 향하여 거리(M)만큼 이동하고 있다.
도13(a)는, 노즐(6)에 의한 기체의 분출이 계속되는 중에, 차단용 그리퍼(5)가 도12(a)에 나타나 있는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여 에어백부(2)에 형성된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차단부위)을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면으로부터 협지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다. 팽창된 에어백부(2)를 편평하게 찌부러뜨리는 과정에서, 남은 필름이 에어백부(2)의 폭방향 외측으로 부풀어 커지고, 이에 따라 에어백부(2)의 양측에 세로주름(8)이 발생하고 있다.
도13(b)는, 차단용 그리퍼(5)가 서로 가장 가까워져서 에어백부(2)를 찌부러뜨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13(a)에 나타나 있는 세로주름(8)의 부분에서 에어백부(2)의 필름이 밀봉부(1)에 겹쳐져서, 차단용 그리퍼(5)가 에어백부(2)의 상기 차단부위를 평평하게 찌부러뜨려서 차단할 수 없어, 상기 차단부위의 내부에 매우 얇고 편평한 틈새(9)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관한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에어백부로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기체를 에어백부내에 봉입하는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에어백 부착 자루의 종류가 변경되었을 경우 등에 하는 조정작업을 간단화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백부의 밀봉불량 또는 차단불량에 의거하는 에어백부로부터의 기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은,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으로부터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부를 팽창시키고, 이어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여 상기 에어백부내에 기체를 봉입하는 것으로서, 초음파 밀봉장치의 혼과 앤빌이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일단이 상기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고 타단에 선단이 개구되는 기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상기 유로의 타단이 상기 분출구로 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함과 아울러, 상기 혼과 앤빌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은 상기 기체유입부의 표리 양면의 필름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한 한쪽면의 필름에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표리 양면의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혼과 앤빌의 한쪽만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있더라도 좋다.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한쪽면의 필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혼과 앤빌의 한쪽(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필름에 접하는 쪽)만이 상기 노즐을 겸한다. 상기 혼과 앤빌의 한쪽만이 상기 노즐을 겸하는 경우에, 다른 한쪽은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배면을 지지하는 수용부재(특허문헌1, 2에 기재된 수용부재 참조)가 된다.
상기 기체봉입방법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을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시키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시켜서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킨다. 상기 간격은,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도록(그 이상으로 크게 팽창되는 것을 방해하도록)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고,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시켜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압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를 분출하고,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혼과 앤빌을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시켜서 선단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다시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시켜서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킨다. 후퇴했을 때의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 (1)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상기 가압력은,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한 바와 같이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후퇴되고 또한 후퇴했을 때의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한 바와 같이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혼과 앤빌을 진퇴시키는 구동원으로서, 에어실린더를 사용했을 경우에 상기 에어실린더의 추진력을 상기 가압력으로 충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에어실린더의 추진력을 상승시키거나 혹은 상기 혼과 앤빌로부터의 가압기체의 분출을 중지 또는 가압기체의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상기 혼과 앤빌을 다시 전진시킬 수 있다.
(3)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를 분출하고, 아울러 상기 혼에 세로진동(용착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진동)의 진동 에너지를 공급해서 초음파로 밀봉을 한다.
상기 필름을 압착시킨 혼에 초음파진동 에너지를 공급하면, 상기 혼은 미세한 진폭으로 상기 앤빌에 대하여 전진 및 후퇴하고, 상기 혼이 후퇴해서 앤빌과 혼의 간격이 넓어졌을 때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압착부(앤빌과 혼의 선단면에 의하여 압착된 부위)의 양면의 필름이 확장되어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고, 그 순간에 상기 틈새를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내로 유입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에어백부가 팽창하고, 이어서 필름 내측의 실란트가 용융되어 상기 틈새가 막혀서(이 시점에서 에어백부내에 대한 기체의 유입은 스톱된다), 상기 압착부의 양면의 필름이 밀봉된다. 상기 혼에 초음파진동 에너지가 공급되는 시간은 매우 단시간이지만, 그 사이에 에어백부에 대한 기체의 분출과 이어서 에어백부의 밀봉이 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기 전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의 선단에 미세한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상기 혼에 진동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 경우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양면의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틈새를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가 분출된다. 상기 오목홈의 폭과 깊이는,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틈새가 발생하고, 이어서 상기 틈새가 주위의 용융된 실란트에 의하여 메워지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관한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는, 상기 기체봉입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자루이송장치와,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 근방에 배치된 초음파 밀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밀봉장치의 혼과 앤빌이 상기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정지위치에 정지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향하여 함께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고 타단에 선단이 개구되는 기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상기 유로의 타단을 상기 분출구로 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함과 아울러 상기 혼과 앤빌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봉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루이송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파지하여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를 복수 조 구비한다.
상기 기체봉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은 상기 기체유입부의 표리 양면의 필름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또한 한쪽면의 필름에만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표리 양면의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기 혼과 앤빌의 한쪽만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있더라도 좋다.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한쪽면의 필름에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혼과 앤빌의 한쪽(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필름에 접하는 쪽)만이 상기 노즐을 겸한다. 상기 혼과 앤빌의 한쪽만이 상기 노즐을 겸하는 경우에, 다른 한쪽은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배면을 지지하는 수용부재(특허문헌1, 2에 기재된 수용부재 참조)가 된다.
상기 기체봉입장치는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취할 수 있다.
(1)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여 상기 전진위치의 직전에서 정지하고, 이때에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전진위치로 전진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초음파로 밀봉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한다. 상기 간격은,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도록(그 이상으로 크게 팽창되는 것을 방해하도록)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압착시키고,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 전진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하여,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간격으로 넓어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이 다시 상기 전진위치로 전진하고, 초음파로 밀봉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한다.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후퇴했을 때의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상기 간격은, 상기 (1)에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상기 가압력은,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한 바와 같이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후퇴되고 또한 후퇴후의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한 크기가 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구동원으로서 에어실린더를 사용했을 경우에, 상기 에어실린더의 추진력을 상기 가압력으로 충당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는 예를 들면 도중에 추진력의 절환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의 추진력이 당초의 추진력(이 추진력이 상기 가압력으로 충당된다)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 경우에 상기 에어실린더의 추진력을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혼과 앤빌을 다시 상기 전진위치로 전진시킬 수 있다.
(3)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또한 상기 혼에 세로진동의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어, 초음파로 밀봉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한다.
상기 필름을 압착시킨 혼에 초음파진동 에너지를 공급하면, 상기 혼은 미세한 진폭으로 상기 앤빌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혼이 후퇴해서 앤빌과 혼의 간격이 넓어졌을 때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압착부의 양면의 필름이 확장되어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고, 그 순간에 상기 틈새를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내로 유입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에어백부가 팽창하고, 이어서 필름내측의 실란트가 용융되어 상기 틈새가 막혀(이 시점에서 에어백부내에 대한 기체의 유입은 스톱된다), 상기 압착부의 양면의 필름이 밀봉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기 전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가 분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의 선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이어서 상기 혼에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어,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양면의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오목홈의 내측의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이 초음파로 밀봉되고, 초음파로 밀봉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한다.
상기 기체봉입장치는, 특허문헌1, 2에도 기재된 것과 같이 포장기의 일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이송경로상에 있어서 에어백 부착 자루의 자루입구의 개구, 피포장물의 충전, 자루입구의 밀봉 등의 각포장공정을 순차적으로 하는 통상의 포장처리장치에 대하여, 상기 이송경로 근방의 적절한 위치에 상기 초음파 밀봉장치가 부가된다. 물론 상기 기체봉입장치를 포장기의 일부로서가 아니라, 단독의 기체봉입장치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체봉입방법에서 사용한 기체분출용 노즐과 열판 또한 차단용 그리퍼를 1개의 초음파 밀봉장치로 치환하여, 기체봉입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체봉입장치의 구성이 단순화됨으로써, 에어백 부착 자루의 종류가 변경되었을 경우 등에 하는 장치의 조정작업을 간단화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초음파 밀봉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혼은 공냉(空冷)되고 앤빌은 수냉(水冷) 또는 공냉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발신을 정지하면 밀봉부는 혼과 앤빌에 의하여 압착된 상태에서 즉시 냉각된다. 이 때문에 밀봉부 및 그 근방에 주름 등이 발생해서 외관이 손상되거나 밀봉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에어백부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을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정도로 설정함으로써,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되도록 제한하고 또는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에어백부로 기체를 분출하는 경우 이어서 에어백부를 밀봉할 때에, 도12, 13에서 설명한 세로주름(8)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봉부의 외관이 손상되지 않고, 밀봉후의 에어백부로부터의 기체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장치를 포함하는 로터리식 포장기의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밀봉장치의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d)이다.
도4는, 상기 기체봉입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정면도(a), (b)이다.
도5는, 상기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계속되는 공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정면도(a), (b)이다.
도6은, 상기 기체기체봉입방법을 설명하는 요부 확대 평면도(a)∼(c)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기체봉입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e)이다.
도8은, 도7에 나타내는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혼과 앤빌이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에 형성된 슬릿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켰을 때의 상기 혼과 앤빌의 단면도로서, (a)는 초음파진동 에너지를 혼에 공급하기 전, (b)는 공급개시후의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기체봉입방법을 공정순으로 설명하는 측면도(a)∼(c)이다.
도10은, 도9에 나타내는 기체봉입방법에 사용하는 혼과 앤빌의 정면도(a) 및 그 일부 확대 측면도(b)이다.
도11은, 도9에 나타내는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혼과 앤빌이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에 형성된 슬릿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켰을 때의 상기 혼과 앤빌의 단면도이다.
도12는,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기체분출전(a) 및 기체분출중(b)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13은, 특허문헌2에 기재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또한 차단용 그리퍼에 의한 협지 도중(a) 및 협지후(b)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우선 도4에 에어백 부착 자루(air bag 附着 bag)(11)(이하, 간단하게 자루(11)라고 한다)를 나타낸다. 자루(11)는 바닥 거싯 방식(低 gusset 方式)의 자립자루(自立袋)로서, 표리 양면의 필름(film)과 꺽여서 접힌 바닥부의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자루(11)의 상부영역(X)에서는, 양측 테두리에 있어서 자루(11)의 표리 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되어 밀봉부(密封部)(12, 1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테두리는 표리 양면의 필름이 접착되어 있지 않아, 개구된 자루입구(14)로 되어 있다. 자루(11)의 하부영역(Y)에서는, 양측 테두리에 있어서 표리 양면의 필름이 바닥부의 필름을 사이에 두고 접착되고 또한 바닥부의 필름 자체도 접혀서 넣어진 내측에서 접착되고, 중앙부에 있어서 표리 양면의 필름이 각각 바닥부의 필름과 접착되어(바닥부의 필름 상호간은 접착되지 않는다) 밀봉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12, 13, 15)를 도4에 사선으로 나타낸다.
밀봉부(12)의 일부에, 표리 양면의 필름 상호간이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부(非接着部)(에어백부(air bag部))(16)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16)는, 자루의 표리 양면의 필름(도6의 17, 18 참조)을 열밀봉(熱密封)할 때에 가압하지 않고 밀봉하다가 남긴 부분으로서, 자루입구(14)(밀봉부(12)의 상단(上端)) 근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닫힌 윤곽을 가지고, 그 상단 근방의 표리 양면의 필름에 에어백부(16)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십자(十字)의 슬릿(slit)(19)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백부(16)에는, 중심에 슬릿(19)이 형성된 원형의 기체유입부(氣體流入部)(16a)에 연속하여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잘록한 협폭부(狹幅部)(16b)가 형성되고, 그 하방이 폭이 넓은 본체부(本體部)(16c)로 되어 있다.
도1에,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장치를 포함하는 로터리식 포장기(rotary式 包裝機)를 나타낸다. 도1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기는, 특허문헌1의 도5에 기재된 로터리식 포장기와 마찬가지로 간헐적(間歇的)으로 회전하는 테이블의 주위에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bag移送用 gripper)(21, 22)가 여러 쌍,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자루이송장치를 구비한다. 이 자루이송장치에 있어서 자루이송용 그리퍼(21, 22)는, 공급된 자루(11)의 양측 테두리(밀봉부(12, 13))를 파지하여 매달아 원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그리퍼(21, 22)가 정지하는 각 정지위치(정지위치(I∼VIII))에서는, 그리퍼(21, 22)에 대한 자루(11)의 공급에 연속하여 그리퍼(21, 22)에 파지된 자루(11)에 대하여 자루입구의 개구(開口), 피포장물의 충전(充塡) 및 자루입구의 밀봉(密封) 등의 각 포장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에어백부(16)에 대한 기체의 분출공정 및 에어백부(16)의 밀봉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체봉입방법이 실시된다.
그리퍼(21, 22)는 모두 한 쌍의 그립편(grip片)으로 이루어지며, 그리퍼(21)는 에어백부(16)의 협폭부(16b)를 수평으로 횡단하는 형태로 파지한다. 그리퍼(21)에 있어서 일방(一方)의 그립편(23)의 내측(파지면(把持面))에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얕은 홈(groove)(24)이 형성되어, 그리퍼(21)가 밀봉부(12)를 파지했을 때에 상기 홈(24)이 협폭부(16b)상에 겹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식 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의 정지위치(I)에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conveyor magazine式 bag供給裝置)(25)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I)에 인쇄장치(헤드부(head部)(26)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II)에 개구장치(한 쌍의 흡입반(吸入盤)(27, 27) 및 개구헤드(開口head)(28)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IV)에 충전장치(노즐부(nozzle部)(29)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에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밀봉장치(혼(horn)(31)과 앤빌(anvil)(32)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에 자루입구를 밀봉하는 제1밀봉장치(한 쌍의 열판(熱板)(33, 33)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I)에 자루입구를 밀봉하는 제2밀봉장치(한 쌍의 열판(34, 34)만 나타낸다)가 배치되고, 정지위치(VIII)에 냉각장치(한 쌍의 냉각판(冷却板)(35, 35)만 나타낸다)가 배치되어 있다.
도2에, 본 발명에 관한 초음파 밀봉장치를 나타낸다. 이 초음파 밀봉장치는, 상기 혼(31)과 앤빌(32), 혼(31)을 진동시키는 초음파진동 발생장치(36) 및 혼(31)과 앤빌(32)을 진퇴시키는 에어실린더(air cylinder)(37)를 포함한다. 에어실린더(37)의 피스톤로드(piston rod)(38, 39)의 선단(先端)에 부착부재(附着部材)(41, 42)가 고정되고, 부착부재(41)에 상기 초음파진동 발생장치(36)가 고정되고, 부착부재(42)에 상기 앤빌(32)이 고정되어 있다. 또 초음파 밀봉장치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냉각수단을 가지고, 이 냉각수단에 의하여 초음파진동 발생장치(36) 및 혼(31)과 앤빌(32)이 냉각된다.
혼(31)은 내부에 구멍(hole)(기체의 유로(流路))(43)이 형성되고, 구멍(43)에 있어서 일단(一端)은 혼(31)의 측면에 개구되어 조인트(joint)(44), 배관(配管)(45) 및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절환밸브(切換valve) 등을 통하여 압력기체 공급원(壓力氣體 供給源)(46)에 접속되고, 타단(他端)은 혼(31)의 선단에 개구되며 그곳이 가압기체(加壓氣體)의 분출구(噴出口)(47)로 되어 있다. 앤빌(32)도 내부에 구멍(기체의 유로)(48)이 형성되고, 구멍(48)에 있어서 일단은 앤빌(32)의 후단에 개구되어 조인트(49) 및 배관(51)을 통하여 압력기체 공급원(46)에 접속되고, 타단은 앤빌(32)의 선단에 개구되며 그곳이 가압기체의 분출구(52)로 되어 있다. 혼(31)과 앤빌(32)은 기체분출용의 노즐을 겸하고 있다.
혼(31)과 앤빌(32)은, 자루(11)의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여 배치되고, 에어실린더(37)에 의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또한 상기 자루(1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전진위치(前進位置)와 대피위치(待避位置)의 사이에서 전진(상기 이송경로에 근접한다) 또는 후퇴(상기 이송경로로부터 멀어진다)한다. 혼(31)과 앤빌(32)이 상기 대피위치에 있을 때에(도3(a) 참조), 혼(31)과 앤빌(32)은 상기 이송경로로부터 가장 멀어져서,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자루(11)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혼(31)과 앤빌(32)이 상기 전진위치에 왔을 때에(도3(c) 참조), 혼(31)과 앤빌(32)은 상기 이송경로에 가장 근접하여, 혼(31)과 앤빌(32)의 선단이 자루(11)를 압착시킨다. 이때의 혼(31)과 앤빌(32)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은,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에 있어서 양면의 필름의 두께와 동일하다. 또 에어실린더(37)는 3포지션 타입(3 position type)이며, 상기 혼(31)과 앤빌(32)은, 상기 후퇴위치와 상기 전진위치의 중간의 위치에서 정지 가능하다. 이 중간의 위치(이후에 분출위치라고 한다)는 상기 전진위치에 매우 근접한 위치이며(도3(b) 및 도6 참조), 이 위치에 정지한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에어백부(16)에 대하여 기체의 분출이 이루어진다.
도1에 나타내는 로터리식 포장기를 사용한 포장방법(기체봉입방법을 포함한다)의 일례를,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정지위치(I)(자루공급공정위치)에 있어서, 컨베이어 매거진식 자루공급장치(25)로부터 자루(11)가 그리퍼(21, 22)로 공급되고, 그리퍼(21, 22)가 밀봉부(12, 13)의 소정의 위치를 표리 양면으로부터 파지한다. 이때에 에어백부(16)는, 그 협폭부(16b)가 그리퍼(21)에 의하여 파지된다. 그 상태가 도4(a)에 나타나 있다.
(2) 정지위치(II)(인쇄공정위치)에 있어서, 인쇄장치에 의하여 자루면에 대한 인쇄가 이루어진다.
(3) 정지위치(III)(개구공정위치)에 있어서, 개구장치에 의하여 자루의 개구가 이루어진다. 개구장치의 한 쌍의 흡입반(27, 27)은 자루(11)를 향하여 진퇴하며, 전진하여 자루(11)의 양면의 필름을 흡착하고, 그대로 후퇴해서 자루입구(14)를 개구한다. 개구헤드(28)는 자루(11)의 상방으로 승강하며, 하강했을 때에 하단(下端)이 개구된 자루입구(14)로부터 자루내로 들어가서 에어를 자루내로 분출한다.
(4) 정지위치(IV)(피포장물 충전공정위치)에 있어서, 충전장치에 의하여 액상물(液狀物)의 충전이 이루어진다(도4(b)의 충전물(53) 참조). 충전장치의 노즐부(29)는 자루(11)의 상방으로 승강하며, 하강했을 때에 자루입구(14)로부터 자루내로 삽입되어 액상물을 자루내에 충전한다.
(5) 정지위치(V)(기체분출 및 밀봉공정위치)에는, 자루(11)의 이송경로의 근방에 도2에 나타내는 초음파 밀봉장치가 배치되고, 자루(11)의 에어백부(6)로 기체를 분출하는 기체분출공정 및 슬릿(19) 주위의 필름을 밀봉하는 밀봉공정이 이루어진다.
자루(11)가 이 정지위치(V)에 정지했을 때에, 도3(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은 후퇴해서 대피위치에 있다. 이어서 에어실린더(37)가 작동함으로써 도3(b) 및 도6(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이 전진하여, 상기 전진위치의 직전의 위치(상기 분출위치)에서 정지된다. 이때에 혼(31)과 앤빌(32)의 선단 상호간이 기체유입부(16a)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간격(D)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의 분출구(47, 52)의 내경(內徑)(지름)은,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분출구(47, 52)로부터 분출되는 기체가 기체유입부(16a)에 집중되어, 에어백부(16)로 효율적으로 기체를 분출시킬 수 있다. 또 기체유입부(16a)가 원형이 아닌 경우에, 분출구(47, 52)의 내경을 기체유입부의 폭(자루폭 방향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면 된다.
혼(31)과 앤빌(32)이 상기 분출위치에 정지됨과 동시에 또는 그 전후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상기 분출구(47, 52)로부터 가압기체의 분출이 시작된다. 분출구(47, 52)로부터 슬릿(19)을 통하여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내로 기체가 분출되면, 기체유입부(16a)의 양면의 필름(17, 18)이 팽창하여, 도6(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의 평탄한 선단면(先端面)(54, 55)(도2 참조)에 밀착된다. 이 때문에 기체유입부(16a)는 그 이상 팽창하지 않아, 그 팽창형태는 얇은 편평형상(扁平形狀)으로 제한된다. 상기 간격(D)은, 기체유입부(16a)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기체유입부(16a)로 들어간 가압기체는, 그리퍼(21)에 파지된 협폭부(16b)의 표리 양면의 필름을 홈(24)의 깊이 분만큼 확장시켜서, 양쪽 필름 사이에 발생한 틈새로부터 본체부(16c)로 유입되어 본체부(16c)를 팽창시킨다. 본체부(16c)가 팽창된 상태가 도6(c)에 나타나 있다.
혼(31)과 앤빌(32)이 상기 분출위치에 정지된 후에, 소정의 타이밍에서 다시 에어실린더(37)가 작동하여 혼(31)과 앤빌(32)이 전진하여 즉시 상기 전진위치에 도달하고, 도3(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의 선단이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슬릿(19) 주위의 필름)를 압착시킨다. 이때에 기체유입부(16a)의 팽창형태는 얇은 편평형상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주름(도13 참조)을 발생시키지 않아 기체유입부(16a)를 평평하게 찌부러뜨려서 차단할 수 있다.
이어서 초음파진동 발생기(36)로부터 초음파진동이 발신되어 진동 에너지(振動 energy)가 혼(31)에 공급되고, 도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압착된 부위(압착부(壓着部))의 형상(혼(31)의 선단면(54)의 형상)과 일치하는 링모양(ring shape)의 초음파 밀봉부(56)(해칭(hatching)된 링모양의 부분)가 형성된다. 기체유입부(16a)는, 슬릿(19) 자체는 전부 또는 대부분이 밀봉되지 않지만, 슬릿(19) 주위의 필름이 밀봉되기 때문에 에어백부(16)내의 기체가 슬릿(19)으로부터 누설되지 않아 기체는 에어백부(16)내에 봉입된다.
초음파 밀봉이 종료(초음파의 발신이 종료)되면 초음파진동에 의한 마찰열(摩擦熱)의 발생이 없어지게 되어, 혼(31)과 앤빌(32)의 선단에 의하여 압착된 초음파 밀봉부(56)는 상기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즉시 냉각된다. 초음파 밀봉이 종료된 후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에어실린더(37)가 반대로 작동하여, 혼(31)과 앤빌(32)이 후퇴함으로써 도3(d)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정지한다.
또 분출구(47, 52)로부터의 가압기체의 분출은, 적어도 혼(31)과 앤빌(32)이 상기 전진위치에 도달해서 기체유입부(16a)를 압착시키기 직전까지 계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기체의 분출은, 혼(31)과 앤빌(32)이 후퇴를 시작할 때까지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정지위치(VI)(제1밀봉공정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열판(33, 33)이 자루입구(14)를 압착시켜서 열밀봉하여 밀봉부(57)가 형성된다(도5(b) 참조). 에어백부(16)의 밀봉은 이미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열판(33, 33)에 의하여 슬릿(19)의 부분을 압착시킬 필요는 없다.
(7) 정지위치(VII)(제2밀봉공정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열판(34, 34)이 밀봉부(57)를 다시 압착하여 2회째의 열밀봉을 한다.
(8) 정지위치(VIII)(밀봉부 냉각 및 배출공정위치)에 있어서, 한 쌍의 냉각판(35, 35)이 밀봉부(57)를 압착하여 냉각시킨다. 이어서 냉각중에 그리퍼(21, 22)가 열리고 또한 냉각판(35, 35)이 열려서, 자루(11)(자루제품)가 낙하하여 슈트(chute)(50)에 의하여 장치 외부로 배출된다.
[제2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초음파 밀봉장치의 에어실린더(37)는 3포지션 타입으로서, 혼(31)과 앤빌(32)은 상기 대피위치, 분출위치 및 전진위치의 3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에어실린더(37)를 2포지션 타입으로 하여 혼(31)과 앤빌(32)을 전진시키는 추진력(推進力)(사용되는 에어압(air壓))을 절환 가능하게 함으로써, 에어백부(16)에 대한 기체의 분출 및 에어백부(16)(기체유입부(16a))의 밀봉을 상기 제1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에어백부(16)에 대한 기체의 분출 및 에어백부(16)의 밀봉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혼(31)과 앤빌(32)이 에어실린더(37)의 작동에 의하여 전진하여 전진위치에 도달하고, 혼(31)과 앤빌(32)의 선단이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슬릿(19) 주위의 필름)를 에어실린더의 추진력(당초의 추진력)에 대응하는 가압력에 의하여 압착시킨다.
혼(31)과 앤빌(32)이 분출구(47, 52)로부터 가압기체를 분출시키면, 분출구(47, 52)가 기체유입부(16a)의 필름에 막혀 있기 때문에 기체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어, 혼(31)과 앤빌(32)이 상기 전진위치로부터 에어실린더(37)의 추진력(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를 압착시키는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하여, 혼(31)과 앤빌(32)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이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정도로 넓어진다. 이 간격은, [기체봉입방법의 제1형태]에 기재된 간격(D)과 동일한 정도로 된다. 바꿔 말하면, 혼(31)과 앤빌(32)이 스스로 분출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후퇴되고 또한 후퇴후의 혼(31)과 앤빌(32)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간격(D)과 동일한 정도의 크기가 되도록 에어실린더(37)의 당초의 추진력을 설정한다.
혼(31)과 앤빌(32)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이 넓어짐으로써, 슬릿(19)으로부터 기체유입부(16a)내로 기체가 분출되어 기체유입부(16a)의 양면의 필름(17, 18)이 팽창되어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기체는 협폭부(16b)로 유입되고 또한 본체부(16c)내로 유입되어 본체부(16c)를 팽창시킨다. 기체유입부(16a)의 양면의 필름은, 혼(31)과 앤빌(32)의 평탄한 선단면(54, 55)에 밀착되어(도6(b) 참조), 기체유입부(16a)의 팽창형태는 얇은 편평형상으로 제한된다.
적절한 타이밍에서 에어실린더(37)의 추진력이 절환되고(당초의 추진력보다 큰 추진력으로 절환), 혼(31)과 앤빌(32)이 전진함으로써 다시 상기 전진위치에 도달하여,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슬릿(19) 주위의 필름)를 압착시킨다. 이어서 초음파진동 발생기(36)로부터 초음파진동이 발신되어, 링모양의 초음파 밀봉부(56)(도5(a) 참조)가 형성된다.
초음파 밀봉의 종료후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에어실린더(37)가 반대로 작동하여, 혼(31)과 앤빌(32)이 후퇴함으로써 상기 후퇴위치에서 정지한다.
또 분출구(47, 52)로부터의 가압기체의 분출을 정지시키는 타이밍은, 상기 제1형태와 동일하게 된다.
[제3실시형태]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초음파로 밀봉을 할 때에 에어실린더(37)의 추진력을 높은 추진력으로 절환하여, 혼(31)과 앤빌(32)을 다시 전진시켜서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를 압착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추진력의 절환을 하는 대신에 가압기체의 분출을 중지하였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혼(31)과 앤빌(32)을 다시 전진시켜서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를 압착시킬 수 있다.
가압기체의 분출을 중지하면, 에어실린더(37)의 추진력에 의하여 혼(31)과 앤빌(32)이 즉시 전진하고 기체유입부(16a)를 압착시켜서, 슬릿(19)으로부터의 기체의 누설이 멈춘다. 또한 에어백부(16)에는 협폭부(16b)가 형성되고 또한 협폭부(16b)의 표리 양면의 필름 사이에 발생된 틈새는 좁기(그리퍼(21)의 홈(24)의 깊이 분밖에 넓어지지 않기) 때문에, 본체부(16c)내의 기체의 누설은 단번에는 진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연속하여 기체유입부(16a)를 초음파로 밀봉함으로써 기체를 에어백부(16)내에 봉입할 수 있다. 가압기체의 분출을 중지하는 대신에 기체의 압력을 저하시켜도 좋다.
[제4실시형태]
상기 [제3실시형태]에서는, 혼(31)과 앤빌(32)을 진퇴시키는 구동원(驅動源)으로서 에어실린더(37)를 사용하여 그 추진력을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를 압착시키는 가압력으로 충당했지만, 상기 혼(31)과 앤빌(32)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압축 스프링(壓縮 spring)(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기재된 노즐(17) 및 압축 스프링(19) 참조)을 설치하여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기 가압력으로 충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혼(31)과 앤빌(32)을 진퇴시키는 구동원은 에어실린더가 아니더라도 좋다.
상기 혼과 앤빌로부터의 가압기체의 분출을 중지시키거나 가압기체의 압력을 저하시켰을 때에,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혼(31)과 앤빌(32)을 전진시킬 수 있다.
[제5실시형태]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는, 초음파 밀봉장치의 에어실린더(37)는 3포지션 타입으로 되어 있어 에어백부(16)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혼(31)과 앤빌(32)은 선단 상호간이 서로 소정의 간격(기체유입부(16a)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약간 두꺼운 간격(D))을 두고 대향하는 상기 분출위치에 정지했다. 한편 이 제5실시형태에서는, 혼(31)과 앤빌(32)은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에만 정지하고, 상기 분출위치(전진위치의 직전위치)에서 정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에어실린더(37)는 2포지션 타입의 것이 된다. 또한 혼(31)에는 세로진동(용착면(溶着面)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진동)의 진동 에너지가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제5실시형태를 도7, 8(및 도1, 2)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루(11)가 정지위치(V)(도1 참조)에 정지했을 때에, 도7(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은 후퇴해서 대피위치에 있다.
에어실린더(37)(도2 참조)가 작동하여 혼(31)과 앤빌(32)이 상기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고, 그 도중에 혼(31)과 앤빌(32)의 선단의 분출구(47, 52)로부터 기체의 분출이 시작된다. 도7(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이 상기 전진위치에 접근함에 따라, 슬릿(19)을 통하여 에어백부(16)내로 기체가 유입되어 에어백부(16)가 팽창한다. 이어서 도7(c) 및 도8(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이 상기 전진위치에 도달하여, 그들 선단면(54, 55)(도2 참조)이 슬릿(19)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킨다. 분출구(47, 52)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은 계속되고 있지만, 이 시점에서 에어백부(16)내에 대한 기체의 유입이 스톱(stop)된다. 혼(31)과 앤빌(32)은 상기 대피위치로부터 상기 전진위치로 매우 단시간(短時間)에 도달하고, 그 사이에 에어백부(16)내로 분출되는 기체의 양은 불충분하며, 혼(31)과 앤빌(32)이 상기 전진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에어백부(16)의 팽창이 부족하다.
이어서 혼(31)에 세로진동의 초음파진동 에너지가 공급되어, 혼(31)이 미세한 진폭(수 10μm∼백수 10μm 정도) 및 높은 주파수로 진동(앤빌(32)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여 초음파 밀봉이 시작된다. 혼(31)의 진동방향을 도8(b)에 양쪽 화살표로 나타낸다. 혼(31)이 상기 진폭의 크기만큼 후퇴해서 혼(31)과 앤빌(32)의 간격이 넓어졌을 때에, 분출구(47, 52)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압착부(혼(31)과 앤빌(32)의 선단면(54, 55)에 의하여 압착된 부위)의 양면의 필름이 확장되어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고, 그 순간에 상기 틈새를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16)내로 유입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에어백부(16)내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에어백부(16)가 팽창하고(도7(d), 8(b) 참조), 이어서 필름 내층의 실란트(sealant)가 마찰열에 의하여 용융(溶融)되어 상기 틈새가 막혀서(이 시점에서 에어백부(16)내에 대한 기체의 유입은 다시 스톱된다), 상기 압착부의 양면의 필름이 밀봉된다. 혼(31)에 초음파진동 에너지가 공급되는 시간은 일반적으로 매우 단시간(1.0초 이내, 보통은 0.2∼0.4초 정도)이지만, 그 사이에 에어백부(16)에 대한 기체의 분출과, 이어지는 에어백부(16)의 초음파 밀봉이 이루어져서, 기체는 에어백부(16)내에 봉입된다. 초음파로 밀봉한 후에 분출구(47, 52)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을 정지한다. 초음파 밀봉부는, 도5(a)에 나타나 있는 초음파 밀봉부(56)와 마찬가지로 혼(31)의 선단면(54)의 형상과 동일한 링모양으로 된다.
혼(31)에 대한 진동 에너지의 공급이 정지되어 초음파 밀봉이 종료되면, 필름의 초음파 밀봉부에 마찰열의 발생이 없어지게 되어, 혼(31)과 앤빌(32)의 선단에 의하여 압착된 초음파 밀봉부는, 상기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즉시 냉각된다. 초음파 밀봉이 종료된 후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에어실린더(37)가 반대로 작동하여, 혼(31)과 앤빌(32)이 후퇴함으로써 도7(e)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정지한다.
초음파 밀봉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매우 단시간이기 때문에 그 사이에 에어백부(16)내로 유입되는 기체의 양은 많지 않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이 슬릿(19)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기 전에, 불충분하면서 어느 정도의 양의 기체가 에어백부(16)내로 분출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서 에어백부(16)내로 충분한 양의 기체를 분출하여 에어백부(16)를 충분히 팽창시킬 수 있다.
이 제5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체유입부(16a)를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압착시킨 시점에서의 상기 기체유입부(16a)의 팽창형태는 편평형상(크게 팽창하지 않고 있다)이기 때문에, 도12, 13에서 설명한 세로주름(8)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초음파 밀봉의 시간을 비교적 길게 취할 수 있으면, 초음파 밀봉의 시간내에서만 에어백부(16)내로 충분한 양의 기체를 분출하여 에어백부(16)를 충분히 팽창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분출구(47, 52)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은, 초음파 밀봉의 시작으로부터 종료까지의 기간의 전반(前半)(에어백부(16)에 대한 기체의 유입이 스톱될 때까지)에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초음파 밀봉의 시작과 타이밍을 맞추어(동시에)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여, 초음파 밀봉의 종료전에 종료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초음파 밀봉의 시간은 일반적으로 매우 단시간이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이 슬릿(19)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기 전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기체의 분출을 시작하여, 초음파 밀봉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제6실시형태]
상기 [제5실시형태]에서는, 혼(31)과 앤빌(32)의 선단면(54, 55)이 평탄하다. 한편 이 제6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선단면(54, 55)의 일방 또는 쌍방(雙方)에 미세한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6실시형태를 도9∼11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0,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의 선단면(54, 55)의 전체 면에, 양단(兩端)이 내주(內周)(분출구(47, 52)) 또는/및 외주(外周)로 관통되는 미세한 격자모양의 오목홈(58, 5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혼(31)과 앤빌(32)을 사용한 에어백부(16)내에 대한 기체의 분출 및 에어백부(16)의 초음파 밀봉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자루(11)가 정지위치(V)(도1 참조)에 정지했을 때에, 도9(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혼(31)과 앤빌(32)은 후퇴해서 대피위치에 있다.
에어실린더(37)(도2 참조)가 작동하여 혼(31)과 앤빌(32)이 상기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고, 상기 전진위치에 도달하여 도9(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부(16)의 기체유입부(16a)에 형성된 슬릿(19) 주위의 필름을 선단에 의하여 압착시키고, 이어서 선단의 분출구(47, 52)로부터 기체를 분출한다.
슬릿(19)으로부터 기체유입부(16a)내로 들어간 기체는, 오목홈(58, 59)의 내측에 있어서 기체유입부(16a)의 필름을 오목홈(58, 59)내로 확장시켜서, 양면의 필름 사이에 다수의 작은 틈새를 발생시킨다. 기체는 상기 틈새를 통하여 그 앞의 협폭부(16b)로 유입되고 또한 그 앞의 본체부(16c)로 유입되어 에어백부(16)를 팽창시킨다. 다만 슬릿(19) 주위의 필름은, 혼(31)과 앤빌(32)의 선단에 의하여 압착된 채로 팽창하지 않아, 약간 오목홈(58, 59)내로 확장될 뿐이다.
이어서 소정의 타이밍에서 초음파진동 발생기(36)로부터 초음파진동이 발신되어, 혼(31)에 초음파진동 에너지가 공급됨으로써, 혼(31)과 앤빌(32)의 선단에 의하여 압착된 부분(슬릿(19)의 주위)의 양면의 필름이 초음파로 밀봉된다. 이 초음파 밀봉에 있어서 오목홈(58, 59)의 내측에서는 양면의 필름 사이에 작은 틈새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열이 발생하지 않아 내층의 실란트가 용융되지 않지만, 그 근방의 용융된 실란트에 의하여 상기 틈새가 막혀서(이 시점에서 에어백부(16)내에의 기체의 유입은 스톱된다), 오목홈(58, 59)의 내측의 필름을 포함하여 밀봉이 이루어지게 되어, 기체는 에어백부(16)내에 봉입된다. 또 혼(31)에 공급되는 진동 에너지가 세로진동의 진동 에너지인 경우에, 상기 [제5실시형태]에서 언급한 작용(혼(31)이 진동함으로써 압착부의 양면의 필름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틈새를 통하여 기체가 에어백부(16)내로 유입되는 작용)도 동시에 얻어진다.
혼(31) 또는 앤빌(32)의 선단면(54, 55)에 형성되는 오목홈(58, 59)의 폭(w)과 깊이(d)는, 에어백부(16)내에 대하여 기체를 분출할 때에 상기 틈새가 발생하고,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상기 틈새가 주위의 용융된 실란트에 의하여 메워지는 정도의 크기로 설정된다.
초음파 밀봉부는, 도5(a)에 나타나 있는 초음파 밀봉부(56)와 마찬가지로 혼(31)의 선단면(54)의 형상과 동일한 링모양으로 된다.
초음파 밀봉이 종료(초음파의 발신이 종료)되면, 초음파진동에 의한 마찰열의 발생이 없어지게 되어, 혼(31)과 앤빌(32)의 선단에 의하여 압착된 초음파 밀봉부는 상기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즉시 냉각된다. 초음파 밀봉이 종료된 후에 적절한 타이밍에서 에어실린더(37)가 반대로 작동하여, 혼(31)과 앤빌(32)이 후퇴함으로써 도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후퇴위치에서 정지한다. 분출구(47, 52)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은, 상기 [제5실시형태]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초음파 밀봉이 종료되기 전에 종료할 수 있지만, 초음파 밀봉이 종료될 때까지 계속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본 제6실시형태에 의하면, 팽창하기 전의 에어백부(16)를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압착시키고, 압착을 계속한 채 에어백부로 기체를 분출하고, 그대로 초음파로 밀봉을 하기 때문에 도12, 13에서 설명한 세로주름(8)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또한 이 제6실시형태의 경우에, 상기 [제5실시형태]와 달리 상기 혼(31)에 공급되는 초음파진동 에너지는, 세로진동뿐만 아니라 가로진동이나 비틀림 진동(torsional 振動) 등 다른 진동 모드(振動 mode)이더라도 좋다. 그 점은 상기 [제1실시형태]∼[제4실시형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 이 제6실시형태에 있어서 분출구(47, 52)로부터의 기체의 분출은, [제5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혼(31)과 앤빌(32)이 슬릿(19)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기 전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1∼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제6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1) 이상의 설명에서는, 혼(31)과 앤빌(32)의 쌍방이 기체분출용의 노즐을 겸하고 있었지만, 에어백부(16)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어느 일방만을 노즐로서 사용하고(기체를 분출한다), 타방을 수용부재(受容部材)(예를 들면 특허문헌2에 기재된 수용부재(12) 참조)로서 사용할(기체를 분출시키지 않는다) 수도 있다. 또 혼(31)과 앤빌(32) 중에서 수용부재가 되는 측에는, 기체의 유로(분출구를 포함한다)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혼(31)과 앤빌(32) 중에서 어느 일방을 상기 수용부재로 하였을 경우에, 당해 수용부재가 된 측은 분출공정의 처음부터 전진위치(상기 이송경로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전진시켜서 분출공정 및 밀봉공정을 통하여 상기 전진위치에 위치시켜 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시형태]∼[제4실시형태]에 있어서 혼(31)과 앤빌(32) 중에서 어느 일방을 상기 수용부재로 하였을 경우에, 당해 수용부재가 된 측은 분출공정 동안에 전진위치(상기 이송경로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부터 후퇴시키지 않고, 분출공정 및 밀봉공정을 통하여 상기 전진위치에 위치시켜 둘 수 있다.
(2)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16)의 표리 양면의 필름(17, 18)에 슬릿(19)이 형성된 자루(11)를 사용했었지만, 일방의 필름에만 슬릿(19)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에어백부(16)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혼(31)과 앤빌(32) 중에서 슬릿(19)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노즐로서 사용되고, 타방이 상기 수용부재(상기 (1) 참조)로서 사용된다.
(3)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16)의 상단에 슬릿(19)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슬릿(19)은 상단 이외에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슬릿(19) 대신에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4)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16)에 협폭부(16b)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 2에 기재된 에어백 부착 자루와 같이 에어백부(16) 전체를 동일한 폭으로 하더라도 좋다.
(5) 이상의 설명에서는, 에어백부(16)가 형성된 밀봉부(12)를 파지하는 그리퍼(21)가 에어백부(16)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밀봉부(12)를 파지하고 있었지만, 특허문헌1, 2에 기재된 자루이송용 그리퍼와 같이 에어백부(16)의 외측만을 파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6) 이상의 설명에서는, 초음파 밀봉장치에 의하여 에어백부(16)만을 밀봉했었지만, 혼(31)과 앤빌(32)에 의하여 동시에 자루입구(14)를 압착시켜서 에어백부(16)와 자루입구(14)를 동시에 밀봉할 수도 있다.
(7) 이상의 설명에서는, 초음파 밀봉장치의 혼(31)과 앤빌(32)을 진퇴시키는 구동원이 에어실린더(37)이었지만, 구동원으로서 서보모터(servo motor)를 사용할 수도 있다.
(8)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는 포장방법 및 포장기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자루입구의 개구나 피포장물의 충전과는 분리하여 단독의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에어백 부착 자루(16)를 이송하는 이송부재(移送部材)로서,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21, 22) 대신에 에어백 부착 자루(16)의 자루면을 흡착하는 흡착반(吸着盤) 혹은 자루입구를 파지하는 척(chuc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9)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기체봉입방법 및 장치를, 에어백 부착 자루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경우에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에어백 부착 자루를 일정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경우(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9-161230호 공보 참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에어백 부착 자루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초음파 밀봉장치는, 에어백 부착 자루의 이동에 추종해서 이동한 후에 복귀 이동하고, 추종해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처리를 하게 된다.
11 ; 에어백 부착 자루
12, 13 ;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
16 ; 에어백부
16a ;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
16b ; 에어백부의 협폭부
16c ; 에어백부의 본체부
17, 18 ; 자루의 표리면을 구성하는 필름
19 ; 슬릿
21, 22 ; 자루이송용의 그리퍼
31 ; 초음파 밀봉기의 혼
32 ; 초음파 밀봉기의 앤빌
37 ; 에어실린더
43, 48 ; 구멍(기체의 유로)
47, 52 ; 분출구
58, 59 ; 오목홈

Claims (19)

  1. 자루(bag)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密封部)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air bag部)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氣體流入部)의 필름(film)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slit) 또는 구멍(hole)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사용하고, 압력기체 공급원(壓力氣體 供給源)에 접속된 노즐(nozzle)의 분출구(噴出口)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으로부터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부를 팽창시키고, 이어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여 상기 에어백부내에 기체를 봉입(封入)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에 있어서,
    초음파 밀봉장치의 혼(horn)과 앤빌(anvil)이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에 있어서 일단(一端)이 상기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고 타단(他端)에 선단(先端)이 개구(開口)되는 기체의 유로(流路)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상기 유로의 타단을 상기 분출구로 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함과 아울러, 상기 혼과 앤빌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을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對向)시키고,
    상기 간격은,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扁平形狀)으로 제한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시켜서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고,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시켜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소정의 가압력(加壓力)에 의하여 압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를 분출하고,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혼과 앤빌을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시켜서 선단 상호간의 간격을 넓히고, 이때의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은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다시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시켜서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를 분출함과 아울러, 상기 혼에 세로진동의 진동 에너지(振動 energy)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의 선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를 분출하고, 상기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양면의 필름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고, 상기 틈새를 통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고, 이어서 상기 혼에 진동 에너지를 공급하여 상기 오목홈의 내측의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7. 자루의 측면 테두리의 밀봉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에어백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백부의 기체유입부의 필름에 에어백부내와 자루외를 통하게 하는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에어백 부착 자루를 소정의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間歇的)으로 이송하고, 그 이송의 과정에서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된 노즐의 분출구를 상기 기체유입부에 대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으로부터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여 상기 에어백부를 팽창시키고, 이어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의 근방을 밀봉하여 상기 에어백부내에 기체를 봉입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자루이송장치(bag移送裝置)와, 상기 이송경로상의 소정의 정지위치 근방에 배치된 초음파 밀봉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초음파 밀봉장치의 혼과 앤빌이 상기 이송경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정지위치에 정지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향하여 함께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고 타단에 선단이 개구되는 기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형성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상기 유로의 타단을 상기 분출구로 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함과 아울러, 상기 혼과 앤빌에 의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이송장치가,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의 양측 테두리를 파지하여 간헐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를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송하는 좌우 한 쌍의 자루이송용 그리퍼(bag移送用 gripper)를 복수 조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는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부착 자루는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에 상기 슬릿 또는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에 상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이 상기 노즐을 겸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쌍방에 의하여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前進位置) 및 대피위치(待避位置)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부터 전진하여 상기 전진위치의 직전에서 정지하고, 이때에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고, 상기 간격은,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전진위치로 전진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초음파로 밀봉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을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 구동원에 의하여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소정의 가압력에 의하여 압착시키고, 상기 에어백부내로 기체를 분출할 때에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혼과 앤빌이 상기 전진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 상호간의 간격이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의 두께보다 두꺼운 소정의 간격으로 넓어지고, 상기 간격은, 기체의 분출에 의하여 팽창된 상기 기체유입부의 양면의 필름이 상기 혼과 앤빌의 선단에 밀착되어 상기 기체유입부의 팽창형태가 편평형상으로 제한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초음파로 밀봉할 때에 상기 혼과 앤빌이 다시 상기 전진위치로 전진하고, 초음파로 밀봉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또한 상기 혼에 세로진동의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어, 초음파로 밀봉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또한 상기 혼에 세로진동의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어, 초음파로 밀봉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또한 상기 혼에 세로진동의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어, 초음파로 밀봉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6.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의 선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이어서 상기 혼에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양면의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오목홈의 내측의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이 초음파로 밀봉되고, 초음파로 밀봉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의 선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이어서 상기 혼에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양면의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오목홈의 내측의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이 초음파로 밀봉되고, 초음파로 밀봉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의 선단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혼과 앤빌이 전진위치 및 대피위치의 사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고, 상기 전진위치에서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을 압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상기 분출구로부터 기체가 분출되고, 이어서 상기 혼에 진동 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오목홈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부의 양면의 필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고, 상기 오목홈의 내측의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슬릿 또는 구멍 주위의 필름이 초음파로 밀봉되고, 초음파로 밀봉된 후에 상기 혼과 앤빌은 상기 대피위치로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장치.
  19. 혼과 앤빌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진퇴하고, 상기 혼과 앤빌의 일방 또는 쌍방에 있어서 일단이 압력기체 공급원에 접속되고 타단에 선단이 개구되는 기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타단이 가압기체의 분출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용 초음파 밀봉장치.
KR1020150047284A 2014-05-13 2015-04-03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2118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9452 2014-05-13
JP2014099452A JP6218669B2 (ja) 2014-05-13 2014-05-13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218A true KR20150130218A (ko) 2015-11-23
KR102118889B1 KR102118889B1 (ko) 2020-06-04

Family

ID=53191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284A KR102118889B1 (ko) 2014-05-13 2015-04-03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50328855A1 (ko)
EP (1) EP2944577B1 (ko)
JP (1) JP6218669B2 (ko)
KR (1) KR102118889B1 (ko)
CN (1) CN105083647B (ko)
DK (1) DK2944577T3 (ko)
ES (1) ES259783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4545B2 (en) * 2014-09-01 2018-12-04 Fillshape S.R.L.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pouches to a carousel
EP3067282B1 (en) * 2015-03-13 2018-03-28 Ecolean AB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a pouch type package
JP6537961B2 (ja) 2015-12-02 2019-07-0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超音波シール方法及び装置
ES2808775T3 (es) 2016-04-29 2021-03-01 Pouch Partners Gmbh Máquina rotatoria y procedimiento para el sellado de bolsas de láminas
IT201600079175A1 (it) * 2016-07-28 2018-01-28 Fillshape Srl Dispositivo e procedimento di verifica buste per linee di riempimento.
CN106237914A (zh) * 2016-08-31 2016-12-21 宜昌市得心实用气体有限公司 一种气体配比箱和配比方法
US10988098B2 (en) * 2017-03-30 2021-04-27 Toyoda Gosei Co., Ltd. Air bag mounting interior trim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8301820B (zh) * 2018-05-02 2023-04-21 重庆科技学院 一种地层钻孔内声波探测装置及其探测方法
US11091285B2 (en) * 2018-10-25 2021-08-17 Nortech, Inc. Adjustable, inline packaging machine for filling and sealing pouches and method of using same
CN111409885A (zh) * 2020-04-09 2020-07-14 杭州讹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面膜灌装用精确灌注装置
CN112297520B (zh) * 2020-10-30 2022-08-16 杭州丙甲科技有限公司 生产无阀高气压缓冲气垫产品的装置和方法
IT202000026173A1 (it) * 2020-11-03 2022-05-03 Icos Pharma S P A Apparecchiatura per la movimentazione controllata di sacche
CN112777033B (zh) * 2021-01-18 2022-03-01 塔里木大学 一种库尔勒香梨套袋包装设备及其套袋包装方法
CN117699146B (zh) * 2024-02-05 2024-04-16 山东斯马特农业科技有限公司 茶叶生产包装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73B2 (ko) 1972-08-09 1976-02-07
WO2006121388A1 (en) * 2005-05-13 2006-11-16 Eco Lean Research & Development A/S Device and method for gas filling of a duct in a container
US20070089377A1 (en) * 2005-10-25 2007-04-26 Toyo Jidoki Co., Ltd. Gas seal-in method for a bag with a gas filling compartment and packaging method for a bag with a gas filling compartment
WO2009041911A1 (en) * 2007-09-28 2009-04-02 Ecolean Research & Development A/S Method for gas filling of a handle portion of a container
US20110068154A1 (en) * 2009-05-05 2011-03-24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Mail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683899B2 (ja) 2004-10-27 2011-05-18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充填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3055A (en) * 1970-07-01 1974-07-09 Us Army Ultrasonic cleaning and welding apparatus
US5606844A (en) * 1993-12-27 1997-03-04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 self-supporting package having an outlet stoppe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said package
US5427301A (en) * 1994-05-06 1995-06-27 Ford Motor Company Ultrasonic flip chip process and apparatus
US20010000719A1 (en) * 1999-05-20 2001-05-03 Automated Packaging Systems, Inc. Dunnage material and process
US6569283B1 (en) * 2000-03-15 2003-05-27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or/sealer device for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JP3952959B2 (ja) * 2002-02-25 2007-08-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超音波ホーンおよびこの超音波ホーンを用いた超音波接合装置
JP2004067177A (ja) * 2002-08-07 2004-03-04 Toyo Jidoki Co Ltd 超音波シール装置を用いた袋の真空包装方法及び超音波シール装置を備えた真空包装機
SE525952C2 (sv) * 2003-10-02 2005-05-31 Eco Lean Res & Dev As Metod och anordning för gasfyllning och försegling av en för gasfyllning avsedd kanal i en förpackning av kollapsande slag, samt ett förpackningsämne innefattande en sådan kanal
CN2717854Y (zh) * 2004-06-07 2005-08-17 王卫星 气囊包装袋
US8646675B2 (en) * 2004-11-02 2014-02-11 Hid Global Gmbh Laying apparatus, contact-making apparatus, movement system, laying and contact-making unit, production system, method for production and a transponder unit
US20060141221A1 (en) * 2004-12-23 2006-06-29 Kei Sasaki Fibrous mat fixing structure
JP4684079B2 (ja) * 2005-10-25 2011-05-18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CN200981343Y (zh) * 2006-11-29 2007-11-28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充气气囊制造装置
JP5104073B2 (ja) * 2007-07-03 2012-12-19 凸版印刷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5247156B2 (ja) 2008-01-08 2013-07-2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
JP5450996B2 (ja) * 2008-07-22 2014-03-26 東洋自動機株式会社 縦型袋詰め包装方法及び装置
US8745960B2 (en) * 2009-05-05 2014-06-10 Sealed Air Corporation (Us) Apparatus and method for inflating and sealing an inflatable mailer
US8568029B2 (en) * 2009-05-05 2013-10-29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mail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DE102010039000A1 (de) * 2010-08-06 2012-02-09 Telsonic Holding Ag Vorrichtung zum Schweißen von Kopfnähten bei Beuteln mittels Ultraschall
US8376016B2 (en) * 2010-10-26 2013-02-19 Rinco Ultrasonics Usa Inc. Sonotrode and anvil energy director grids for narrow/complex ultrasonic welds of improved durability
JP5771449B2 (ja) * 2011-06-10 2015-08-26 株式会社イシダ 製袋包装機
JP6032885B2 (ja) * 2011-11-17 2016-11-30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ロータリー型袋詰め包装機
US20130240152A1 (en) * 2012-03-15 2013-09-19 Nike, Inc. Hollow tip welding tool
JP6033126B2 (ja) * 2012-12-22 2016-11-30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6010487B2 (ja) * 2013-03-05 2016-10-19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6042754B2 (ja) * 2013-03-20 2016-12-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気体封入装置
JP6084110B2 (ja) * 2013-05-02 2017-02-22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部の気体圧力検査装置
JP6069174B2 (ja) * 2013-05-31 2017-02-0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袋詰め包装機における超音波シール装置
JP2016055878A (ja) * 2014-09-05 2016-04-21 東洋自動機株式会社 気体流路付き袋並びに袋の包装方法及び装置
JP6537961B2 (ja) * 2015-12-02 2019-07-03 東洋自動機株式会社 超音波シール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73B2 (ko) 1972-08-09 1976-02-07
JP4683899B2 (ja) 2004-10-27 2011-05-18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のエアバッグ充填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WO2006121388A1 (en) * 2005-05-13 2006-11-16 Eco Lean Research & Development A/S Device and method for gas filling of a duct in a container
US20070089377A1 (en) * 2005-10-25 2007-04-26 Toyo Jidoki Co., Ltd. Gas seal-in method for a bag with a gas filling compartment and packaging method for a bag with a gas filling compartment
JP4771785B2 (ja) 2005-10-25 2011-09-14 東洋自動機株式会社 エアバッグ付き袋への気体封入方法及びエアバッグ付き袋の包装方法
WO2009041911A1 (en) * 2007-09-28 2009-04-02 Ecolean Research & Development A/S Method for gas filling of a handle portion of a container
US20110068154A1 (en) * 2009-05-05 2011-03-24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Mail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83647A (zh) 2015-11-25
ES2597833T3 (es) 2017-01-23
DK2944577T3 (en) 2017-01-09
US20210213699A1 (en) 2021-07-15
EP2944577A1 (en) 2015-11-18
US20150328855A1 (en) 2015-11-19
EP2944577B1 (en) 2016-10-05
JP2015214366A (ja) 2015-12-03
KR102118889B1 (ko) 2020-06-04
CN105083647B (zh) 2018-06-08
JP6218669B2 (ja)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0218A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778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KR101875719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EP2993138A2 (en) Bag equipped with a gas channel and a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such a bag
KR102216457B1 (ko) 포장기
US9625340B2 (en) Gas pressure testing device for a gas compartment portion of a bag
KR102232917B1 (ko) 초음파 밀봉방법 및 장치
KR101899771B1 (ko) 에어백 부착 자루에 대한 기체봉입방법 및 기체봉입장치
JP2648310B2 (ja) 垂直式成形−充填−密封装置の交叉密封部冷却装置及びその方法
JPH0219211A (ja) 製袋充填包装装置
JP2009078537A (ja) 連続気体充填式空気密封体の気体充填装置及びその気体充填方法
JP2016120951A (ja) 袋の包装方法及び包装用袋
JP2022006597A (ja) 包装体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