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169A -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169A
KR20150125169A KR1020140052057A KR20140052057A KR20150125169A KR 20150125169 A KR20150125169 A KR 20150125169A KR 1020140052057 A KR1020140052057 A KR 1020140052057A KR 20140052057 A KR20140052057 A KR 20140052057A KR 20150125169 A KR20150125169 A KR 2015012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rame
heavy object
head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928B1 (ko
Inventor
이한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지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지에스
Priority to KR102014005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92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의 수직 및 반전 이동이 가능하여 중량물의 전면 및 후면에 천공 등과 같은 가공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없앨 수 있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는, 중량물을 자력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마그네틱 헤드; 선단에 상기 헤드가 연결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키는 헤드회동부를 구비하는 붐대; 상기 붐대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시키도록 상기 붐대의 후단에 연결되는 크레인부; 일측 상부에 상기 크레인부가 배치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헤드, 붐대, 크레인부 및 지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MAGNETIC LIFT DEVICE FOR ROTATION OF HEAVYWEIGHT OBJECT}
본 발명은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의 수직 및 반전 이동이 가능하여 중량물의 전면 및 후면에 천공 등과 같은 가공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없앨 수 있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 생산라인 등 산업현장에서 피흡착물체를 이송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리프트(또는 권상기(lift))는 필수적인 장비이다. 이러한 리프트에는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영구자석만을 사용하게 되면 탈착에 어려움이 있고, 전자석만을 이용하게 되면 소정의 흡착력을 얻기 위해 전력을 많이 소모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전력공급장치 또는 전력계통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작업 도중 흡착된 물체가 자유낙하 하거나 이탈하여 엄청난 안전사고를 초래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리프트의 성능 향상 및 안전유지 차원에서 양자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고,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고장 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가 1980년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상기 장점을 가진 마그네틱 리프트는 두 가지 종류의 영구자석, 즉 고정 영구자석(제1영구자석)과 가변 영구자석(제2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전력공급에 의해 제2영구자석의 극성을 적절히 변화시켜 물체를 흡착·탈착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마그네틱 리프트는 파지력을 자력에 의해 발생시키므로, 중량물의 측면이나 저면을 통한 파지가 곤란한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특히 중량물의 부피가 크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이 원통형인 경우 마그네틱 리프트는 중량물의 상단에서 자력을 이용하여 파지함으로써 현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3-0013636호(2013.02.06.공개, 마그네틱 리프트), 한국 공개특허 제2012-0047693호(2012.05.14.공개, 강판코일용 영구자석 리프트) 및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07411호(2011.01.24.공개, 마그네틱 리프트)는 원통형의 중량물을 파지하는 마그네틱 리트프의 일례를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틱 리프트는 중량물의 파지는 유용하지만, 중량물의 전면 및 후면에 천공 등과 같은 가공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 중량물의 위치변경은 작업자의 힘에 의지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 중량물의 낙하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는 적정중량을 초과하는 과도한 중량물을 파지한 경우에 중량물에 의해 무게중심이 치우치게 되어 리프트가 전복될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했다. 이는 적정중량보다 적은 중량을 갖는 중량물을 파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실제 작업 현장에서는 중량물을 파지하기 이전에 중량물의 중량을 정확히 알기 어렵고, 적정중량보다 약간 무겁다 하더라도 최대 파지 중량보다 적으면 통상적으로 파지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리프트는, 중량물의 홀, 특히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삽입하여 안착시켜야 하는 경우에, 홀로 리프트가 진입하지 못함으로써 홀의 입구에 중량물을 안착시킨 후에 작업자의 힘에 의해 중량물을 안착지까지 이동시켜야 했다. 따라서 작업에 많은 힘 및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낙하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었다.
또한 리프트는 길이의 변동이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실내와 같은 좁은 작업 공간에는 단지 몇십㎝ 차이로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제한이 따르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의 수직 및 반전 이동이 가능한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정중량을 초과하는 중량물을 파지한 경우에도 전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진입하여 중량물을 파지 및 안착시킬 수 있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의 변동이 가능한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는, 중량물을 자력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마그네틱 헤드; 선단에 상기 헤드가 연결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를 회전시키는 헤드회동부를 구비하는 붐대; 상기 붐대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시키도록 상기 붐대의 후단에 연결되는 크레인부; 일측 상부에 상기 크레인부가 배치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헤드, 붐대, 크레인부 및 지지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헤드는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붐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회동부는 상기 회전축을 회동시켜 상기 마그네틱 헤드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붐대는, 상기 크레인부에 장착되는 외측붐과, 상기 외측붐의 내부에서 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붐에 삽입되고 선단에 상기 회전축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붐과, 상기 외측붐에 대해 상기 내측붐을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외측붐의 후단과 상기 내측붐의 선단 간에 장착되는 제1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측붐의 외곽에는,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의한 상기 내측붐의 이동시에 상기 내측붐과 외측붐의 마찰을 줄이고 상기 외측붐에 대한 내측붐의 흔들림을 제한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보조바퀴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회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톱니바퀴와, 선단은 상기 톱니바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톱니바퀴의 이와 치합된 상태로 결합되는 체인과, 구동에 의해 상기 체인을 의도하는 길이만큼 당기도록 상기 체인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붐의 후단에 지지되는 제2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헤드회동부는 상기 회전축에 장착된 톱니바퀴와, 상기 톱니바퀴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내측붐의 내부로 연장되는 체인과, 구동에 의해 상기 체인을 의도하는 길이만큼 당기도록 상기 체인의 각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내측붐의 후단에 지지되는 제2구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붐은 장착브라켓에 의해 상기 크레인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에는 지게발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크레인부에는, 상기 붐대의 승강시에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계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조작부가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크레인부가 안착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대해 상기 이동프레임을 전후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프레임에 장착되는 제3구동실린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바퀴는, 상기 몸체프레임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몸체프레임의 선단에 연결되는 확장프레임에 장착되는 전륜과, 상기 몸체프레임의 후단에 장착되는 후륜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붐대의 하단에는, 상기 마그네틱 헤드에 대한 중량물의 장착 및 장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마그네틱 헤드 또는 상기 붐대에는, 상기 크레인부의 승하강시에 상기 마그네틱 헤드와 중량물 간의 거리 및 상기 마그네틱 헤드에 장착된 중량물과 중량물 안착지점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하여 근접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중량물의 수직 및 반전 이동이 가능하여 중량물의 전면 및 후면에 천공 등과 같은 가공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적정중량을 초과하는 중량물을 파지한 경우에도 전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진입하여 중량물을 파지 및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홀 내부의 중량물 안착지에 중량물을 안전하게 안착시키거나 거기에 위치한 중량물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의 변동이 가능하여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발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부에 의한 붐대의 승강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서 길이방향 신축 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프레임의 신축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브라켓에 대한 붐대 및 지게발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발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부에 의한 붐대의 승강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 장치에서 길이방향 신축 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프레임의 신축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착브라켓에 대한 붐대 및 지게발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는 크게 마그네틱 헤드(10), 붐대(30), 크레인부(50), 지지부(60) 및 조작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 헤드(10)는 중량물(100)을 자력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구성으로서, 자력은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을 사용하여 발생시킬 수 있으나, 자력의 온오프가 가능한 전자석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고, 마그네틱 헤드(10) 자체는 종래기술로서 이미 알려진 기술이므로, 마그네틱 헤드(10)의 구현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마그네틱 헤드(10)는 회동 가능하도록 회전축(36)에 장착된다. 즉, 마그네틱 헤드(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6)의 회전과 함께 상기 회전축(36)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36)에 고정된다.
붐대(30)는, 선단에 상기 헤드(10)가 연결되어 회전축(36)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10)를 회전시키는 헤드회동부(20)를 구비하고, 이하에서 설명될 크레인부(50)에 장착되어 크레인부(50)의 승강에 따라 승강된다.
이때 상기 붐대(30)는 단일의 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붐, 즉 외측붐(31)과 내측붐(33)으로 구성된 붐대(30)가 예시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측붐(31)은 크레인부(50)에 장착된 장착브라켓(40)에 설치되고, 상기 내측붐(33)은 상기 외측붐(31)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붐(31)의 내부에서 진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붐(31)과 내측붐(33) 간에는 제1구동실린더(35)가 설치된다. 상기 제1구동실린더(35)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외측붐(31)에 대해 내측붐(33)이 진출입하게 하여 붐대(30)의 길이를 신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진입하여 중량물(100)을 파지 및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홀 내부의 중량물 안착지에 중량물을 안전하게 안착시키거나 거기에 위치한 중량물(100)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붐(31)과 내측붐(33) 간에는 윤활제가 도포되어 내측붐(33)의 진출입시에 마찰을 줄이면서 용이하게 작동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또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측붐(33)의 외곽에 복수개의 보조바퀴(33a)가 장착되어 상기 보조바퀴(33a)가 외측붐(31)의 내면을 타고 이동하면서 마찰을 줄임과 아울러, 내측붐(3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외측붐(31)과 내측붐(33) 간의 신축을 위해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모두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내측붐(33)의 선단에는 상기 회전축(36)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36)과 상기 회전축(36)이 삽입되는 상기 내측붐(33)의 결합공(33b)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게재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붐(31)은 장착브라켓(40)에 의해 상기 크레인부(5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40)에는 지게발(8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크레인부(50)와 지게발(80)이 동시에 장착브라켓(40)에 장착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장착브라켓(4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장착브라켓(40)은,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붐(31)을 핀과 같은 고정부재(90)로 고정하기 위한 붐고정홀(41)과, 상기 지게발(80)을 핀이나 봉과 같은 고정부재(91)로 고정하기 위한 지게발고정홀(43)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외측붐(31)에는 상기 붐고정홀(41)에 대응하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지게발(80)에는 상기 지게발고정홀(43)에 대응하는 홀이 구비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붐대(30)의 하단에는, 상기 마그네틱 헤드(10)에 대한 중량물(100)의 장착 및 장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3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헤드(10) 또는 상기 붐대(30)에는, 상기 크레인부(50)의 승하강시에 상기 마그네틱 헤드(10)와 중량물(100) 간의 거리 및 상기 마그네틱 헤드(10)에 장착된 중량물(100)과 중량물 안착지점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하여 근접센서(11)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그네틱 헤드(10)의 측면에 상기 근접센서(11)가 장착된 형태가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회동부(20)는, 상기 회전축(36)에 장착된 톱니바퀴(21)와, 상기 톱니바퀴(21)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내측붐(33)의 내부로 연장되는 체인(23)과, 구동에 의해 상기 체인(23)을 의도하는 길이만큼 당기도록 상기 체인(23)의 각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내측붐(33)의 후단에 지지되는 제2구동실린더(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구동실린더(25)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외측붐(31)에 대한 내측붐(33)의 신장시에 내측붐(33)과 함께 이동되므로, 외측붐(31)에 대한 내측붐(33)의 진출입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상단에 위치된 제2구동실린더(25a)가 수축되고 하단에 위치된 제2구동실린더(25b)가 신장되면, 도 5에 도시된 점선 상태에서 회전축(36)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그네틱 헤드(1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만일 상단에 위치된 제2구동실린더(25a)가 신장되고 하단에 위치된 제2구동실린더(25b)가 수축되면, 도 5에 도시된 실선 상태에서 회전축(3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그네틱 헤드(10)도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마그네틱 헤드(10)는 중량물(100)을 파지한 상태로 중량물(100)을 수직방향으로 세우거나 반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헤드회동부(20)는 상기 헤드(10)를 회동시킬 수 있다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회동부(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회전축(36)에 장착된 톱니바퀴(21)와, 선단은 상기 톱니바퀴(21)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톱니바퀴(21)의 이와 치합되는 체인(23)과, 구동에 의해 상기 체인(23)을 의도하는 길이만큼 당기도록 상기 체인(23)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붐(33)의 후단에 지지되는 제2구동실린더(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헤드회동부(20)의 작동에 의한 헤드의 회동으로, 중량물(100)의 수직 및 반전 이동이 가능하여 중량물(100)의 전면 및 후면에 천공 등과 같은 가공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없앨 수 있다.
상기 크레인부(50)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붐대(30)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시키도록 붐대(30)의 후단에 연결된다. 이러한 크레인부(50)는, 상기 크레인부(50)의 외관을 형성하고 지지부(60) 상단에 설치되는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60) 상단에 장착되는 권취모터(55)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 상단에 설치되는 도르레(53)와, 상기 권취모터(55)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크레인부(50)를 승강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권취모터(55)에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레(53)를 경유한 상태로 상기 크레인부(50)에 연결되는 와이어(5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57)는 상기 크레인부(5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도 x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부(50)가 설치되는 장착브라켓(4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1)에는 상기 장착브라켓(4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레일(51a)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브라켓(4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51a)에 가이드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브라켓(40)에는 그러한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중 일례로 가이드롤러(47)를 들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브라켓(40)에는 상기 가이드롤러(47)가 장착될 수 있는 롤러장착홀(45)이 구비되고, 상기 롤러장착홀(45)을 통해 삽입되는 롤러축(49)에 상기 가이드롤러(47)가 장착되며, 상기 롤러축(49)에는 상기 와이어(57)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47)가 회전되면서, 또는 정지된 상태로 가이드레일(51a)을 따라 상하 구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롤러축(49)과 와이어(57)의 연결방식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구성들 중에 채택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롤러장착홀(45)은 상기 장착브라켓(40)의 높이방향으로 2개가 이격 형성된다. 이때 상부 롤러장착홀(45)에 장착되는 롤러축(49)에는 상기 와이어(57)가 장착되고 하부 롤러장착홀(45)에 장착되는 롤러축(49)에는 와이어(57)가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부 롤러장착홀(45)에 장착된 가이드롤러(47)는 가이드레일(51a)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1a)을 따른 상기 크레인부(50)의 수직방향 이동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부(50)에는, 상기 중량물(100)의 중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붐대(30)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어(57)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57)의 장력변화를 통하여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계(59)가 구비된다.
지지부(60)에는 그 일측 상부에 상기 크레인부(50)가 배치되고 그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67)가 구비되며, 그 타측 상부에 조작부(70)가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부(60)는, 상부에 조작부(70)가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67)가 설치되는 몸체프레임(61)과, 상기 몸체프레임(6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크레인부(50)가 안착되는 이동프레임(63)과, 상기 몸체프레임(61)에 대해 상기 이동프레임(63)을 전후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63)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프레임(61)에 장착되는 제3구동실린더(65)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프레임(61)은 가로빔(61a)과 상기 가로빔(61a)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세로빔(61b), 그리고 상기 가로빔(61a)과 세로빔(61b)에 연결되는 지지플레이트(61c)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프레임(63)은 상기 한 쌍의 세로빔(61b) 간을 연결하는 이동빔(63a)과, 상기 이동바와 세로빔(61b)에 지지되어 상기 이동빔(63a)에 장착되는 이동플레이트(63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빔(63a), 또는 상기 이동빔(63a)과 이동플레이트(63b)는 상기 세로빔(61b)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제3구동실린더(65)가 구동되어 수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63)이 상기 몸체프레임(61)의 지지플레이트(61c)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간격이 좁아지고, 반대로, 상기 제3구동실린더(65)가 신장하면 상기 이동프레임(63)이 상기 지지플레이트(61c)에 멀어지도록 이동하여 그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63)에는 크레인부(50)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프레임(61)에는 조작부(70)가 장착되므로, 상술한 이동프레임(63)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크레인부(50)와 조작부(70) 간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이는 리프트 장치의 최초 길이(L0)를 수축 길이(L1)으로 변동 가능하게 하여 실내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이는 상기 헤드(10)에 장착된 중량물(100)의 중량이 적정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리프트 장치가 전복될 위험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바퀴(67)는 상기 크레인부(50)가 장착된 수직선상에서 상기 지지부(60)에 장착되는 전륜(67a)과 상기 조작부(70)가 장착된 수직선상에서 상기 지지부(60)에 장착되는 후륜(67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륜(67a)은 상기 몸체프레임(61)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몸체프레임(61)의 선단에 연결되는 확장프레임(69)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륜(67b)은 상기 몸체프레임(61)의 후단에 장착된다.
이 경우, 상기 몸체프레임(61)에 대한 확장프레임(69)의 신장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가능하고, 통상적으로는 상기 확장프레임(69)은 몸체프레임(61)에 고정되어 있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에 상기 확장프레임(69)을 몸체프레임(61)에 대해 슬라이드 방식으로 신장하여 전륜(67a)과 후륜(67b) 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이는 상기 헤드(10)에 장착된 중량물(100)의 중량이 적정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무게중심이 전방에 위치함에 따라 리프트 장치가 전복될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즉, 조작부(70)와 크레인부(50)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전륜(67a)과 후륜(67b)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 무게중심을 전륜(67a)과 후륜(67b) 사이에 두기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프레임은 이동프레임과 결합시켜 상기 이동프레임의 이동시에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전륜(67a) 또는 후륜(67b)은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전동모터에 의한 바퀴(67)의 구동 메커니즘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전륜(67a)이 확장프레임(69)에 의해 이동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전동모터에 의해서는 후륜(67b)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작부(70)는 상기 지지부(60)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헤드(10), 붐대(30), 크레인부(50) 및 지지부(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조작부(70)에 의한 구동은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고, 제1구동실린더(35)를 구동하여 외측붐(31)에 대한 내측붐(33)의 신장을 제어하고, 제2구동실린더(25)를 구동하여 마그네틱 헤드(10)의 회동을 제어하며, 권취모터(55)를 구동하여 크레인부(50)의 수직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제3구동실린더(65)를 구동하여 몸체프레임(61)에 대한 이동프레임(63)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70)는 마그네틱 헤드(10)의 자력을 제어할 수도 있으며, 전동모터를 구동하여 바퀴(67)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확장프레임(69)이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확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부(70)는 그 모터도 제어하여 확장프레임(69)의 확장 및 복귀를 제어할 수도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7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부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바(미도시)나 터치스크린(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마그네틱 헤드 11 : 근접센서
20 : 헤드회동부 21 : 톱니바퀴
23 : 체인 25 : 제2구동실린더
30 : 붐대 31: 외측붐
33 : 내측붐 33a : 보조바퀴
35 : 제1구동실린더 36 : 회전축
37 : 카메라
40 : 장착브라켓 41 : 붐고정홀
43 : 지게발고정홀 45 : 롤러장착홀
47 : 가이드롤러 49 : 롤러축
50 : 크레인부 51 : 케이스
51a : 가이드레일 53 : 도르레
55 : 귄취모터 57 : 와이어
59 : 중량계 60 : 지지부
61 : 몸체프레임 61a : 가로빔
61b : 세로빔 61c : 지지플레이트
63 : 이동프레임 63a : 이동빔
63b : 이동플레이트 65 : 제3구동실린더
67 : 바퀴 67a : 전륜
67b : 후륜 69 : 확장프레임
70 : 조작부 80 : 지게발
90 : 고정부재 100 : 중량물

Claims (12)

  1. 중량물(100)을 자력을 이용하여 파지하는 마그네틱 헤드(10);
    선단에 상기 헤드(10)가 연결되어 회전축(36)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10)를 회전시키는 헤드회동부(20)를 구비하는 붐대(30);
    상기 붐대(30)를 수직방향으로 상하 승강시키도록 상기 붐대(30)의 후단에 연결되는 크레인부(50);
    일측 상부에 상기 크레인부(50)가 배치되고 하단에 이동을 위한 바퀴(67)가 구비되는 지지부(60); 및
    상기 지지부(60)의 타측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마그네틱 헤드(10), 붐대(30), 크레인부(50) 및 지지부(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헤드(10)는 상기 회전축(36)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36)은 상기 붐대(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헤드회동부(20)는 상기 회전축(36)을 회동시켜 상기 마그네틱 헤드를 상기 회전축(36)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30)는, 상기 크레인부(50)에 장착되는 외측붐(31)과, 상기 외측붐(31)의 내부에서 진출될 수 있도록 상기 외측붐(31)에 삽입되고 선단에 상기 회전축(36)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내측붐(33)과, 상기 외측붐(31)에 대해 상기 내측붐(33)을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외측붐(31)의 후단과 상기 내측붐(33)의 선단 간에 장착되는 제1구동실린더(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붐(33)의 외곽에는, 상기 제1구동실린더(35)에 의한 상기 내측붐(33)의 이동시에 상기 내측붐(33)과 외측붐(31)의 마찰을 줄이고 상기 외측붐(31)에 대한 내측붐(33)의 흔들림을 제한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보조바퀴(33a)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회동부(20)는, 상기 회전축(36)에 장착된 톱니바퀴(21)와, 선단은 상기 톱니바퀴(21)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톱니바퀴(21)의 이와 치합된 상태로 결합되는 체인(23)과, 구동에 의해 상기 체인(23)을 의도하는 길이만큼 당기도록 상기 체인(23)의 타단에 장착되고 상기 내측붐(33)의 후단에 지지되는 제2구동실린더(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회동부(20)는, 상기 회전축(36)에 장착된 톱니바퀴(21)와, 상기 톱니바퀴(21)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내측붐(33)의 내부로 연장되는 체인(23)과, 구동에 의해 상기 체인(23)을 의도하는 길이만큼 당기도록 상기 체인(23)의 각단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내측붐(33)의 후단에 지지되는 제2구동실린더(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붐(31)은 장착브라켓(40)에 의해 상기 크레인부(5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40)에는 지게발(8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50)에는, 상기 붐대(30)의 승강시에 중량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중량계(59)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0)는, 상부에 조작부(70)가 장착되고 하부에 바퀴(67)가 설치되는 몸체프레임(61)과, 상기 몸체프레임(6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크레인부(50)가 안착되는 이동프레임(63)과, 상기 몸체프레임(61)에 대해 상기 이동프레임(63)을 전후진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이동프레임(63)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몸체프레임(61)에 장착되는 제3구동실린더(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67)는, 상기 몸체프레임(61)에 대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몸체프레임(61)의 선단에 연결되는 확장프레임(69)에 장착되는 전륜(67a)과, 상기 몸체프레임(61)의 후단에 장착되는 후륜(67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30)의 하단에는, 상기 마그네틱 헤드(10)에 대한 중량물의 장착 및 장착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카메라(3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헤드(10) 또는 상기 붐대(30)에는, 상기 크레인부(50)의 승하강시에 상기 마그네틱 헤드(10)와 중량물 간의 거리 및 상기 마그네틱 헤드(10)에 장착된 중량물과 중량물 안착지점 간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하여 근접센서(1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KR1020140052057A 2014-04-30 2014-04-30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KR10161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57A KR101610928B1 (ko) 2014-04-30 2014-04-30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57A KR101610928B1 (ko) 2014-04-30 2014-04-30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169A true KR20150125169A (ko) 2015-11-09
KR101610928B1 KR101610928B1 (ko) 2016-04-20

Family

ID=5460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057A KR101610928B1 (ko) 2014-04-30 2014-04-30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9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75Y1 (ko) 2016-05-24 2017-11-24 전영인 강판 코일 로딩용 지그
CN112878666A (zh) * 2021-02-20 2021-06-01 湖北宝业建筑工业化有限公司 叠合剪力墙翻面组模系统及方法
KR102625239B1 (ko) * 2023-07-14 2024-01-17 (주)단디메카 잉고트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도킹장치
KR102625241B1 (ko) * 2023-07-14 2024-01-17 (주)단디메카 잉고트의 로딩과 언로딩을 위한 도킹장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745B1 (ko) * 2006-08-03 2007-08-01 중경산업기계(주) 고중량의 금속체를 이송하는 장치
KR101307979B1 (ko) * 2013-02-13 2013-09-13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정밀설비물류용 안전스태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75Y1 (ko) 2016-05-24 2017-11-24 전영인 강판 코일 로딩용 지그
CN112878666A (zh) * 2021-02-20 2021-06-01 湖北宝业建筑工业化有限公司 叠合剪力墙翻面组模系统及方法
CN112878666B (zh) * 2021-02-20 2023-11-03 湖北宝业建筑工业化有限公司 叠合剪力墙翻面组模系统及方法
KR102625239B1 (ko) * 2023-07-14 2024-01-17 (주)단디메카 잉고트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도킹장치
KR102625241B1 (ko) * 2023-07-14 2024-01-17 (주)단디메카 잉고트의 로딩과 언로딩을 위한 도킹장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928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47312B2 (ja) 長尺材搬送用吊り具装置
KR101610928B1 (ko) 중량물의 회동이 가능한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
CN109896433A (zh) 一种多功能可调节机械设备起吊架
JP3426795B2 (ja) ロール等の吊具
JP4663253B2 (ja) 吊り具
KR20130000407U (ko) 지브 크레인
JP6433794B2 (ja) 高所作業用墜落防止装置
JP2014159331A (ja) 吊持装置、及び吊持補助具
JP6011784B2 (ja) グラブバケッ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台車
KR20120122054A (ko) 장비 이동 장치
JP5468430B2 (ja) 作業用ゴンドラの落下防止機構
CN110356958B (zh) 重心调节式吊架
ES2247947A1 (es) Grua de contrapeso movil.
JP7135738B2 (ja) 作業車
KR100881807B1 (ko) 더블 크레인
JP3143930U (ja) 産業車両のバッテリ交換用アタッチメント
JP2007154643A (ja) 自走式処理装置
KR20210020222A (ko) 지능형 리프트 장치
KR200433361Y1 (ko) 전동식 리프트
JPH1171901A (ja) 壁パネルの搬入方法及び搬入装置
CN217417973U (zh) 一种液压站装配用吊运装置
KR20130028557A (ko)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JP2014094798A (ja) 高所作業車のサブブーム装置
JP4107128B2 (ja) 昇降装置
KR20160113870A (ko) 크레인에 장착되는 고소 작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