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557A -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557A
KR20130028557A KR1020110092195A KR20110092195A KR20130028557A KR 20130028557 A KR20130028557 A KR 20130028557A KR 1020110092195 A KR1020110092195 A KR 1020110092195A KR 20110092195 A KR20110092195 A KR 20110092195A KR 20130028557 A KR20130028557 A KR 20130028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vy
machine tool
lifting
machine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호
이줄
Original Assignee
장명호
이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호, 이줄 filed Critical 장명호
Priority to KR1020110092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8557A/ko
Publication of KR20130028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5L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022Pivot axis common with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the effective length of which is variable in operation, e.g. longitudinally displaceable,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링머신이나 선반 등의 공작기계에 공작물이나 부품 등의 중량물을 이동하거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작업자가 공작물이나 기계 부품 등의 중량물을 직접 들거나 이동함으로써 허리를 다치거나 작업이 어렵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작기계의 본체에는 중량물을 횡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공작기계에 장착된 승강수단에 의해 공작물이나 기계부품 등의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고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아울러 중량물을 쉽게 올리거나 내리고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능률이 향상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Heavy weight up and down device for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에서 가공하는 공작물이나 바인더 등의 공작기계용 부품 및 공구 등의 중량물들을 기계의 힘으로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링머신이나 선반 등의 공작기계는 금속재의 공작물을 가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금속재질의 공작물을 가공 할 때에는 작업자가 무거운 공작물을 들어 올려 선반 척에 고정하거나 밀링 바이스에 고정하게 되며, 가공 후에는 무거운 공작물을 다시 내려야 하고, 특히 밀링머신의 경우에는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무거운 바이스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이 공작물 및 바이스 등을 승강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허리에 무리를 줄 뿐만 아니라 항상 부상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실 내의 천장에 이동식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식 레일에 크레인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동선에 따라 이동식 레일을 설치해야 함으로써 공사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작기계에서 가공하는 공작물을 올리거나 내리고 이동할 때 또는 바이스 등의 기계부품을 올리거나 내리고 이동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작업의 편리성 및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는, 공작기계의 본체에는 중량물을 횡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에 장착된 승강수단에 의해 공작물이나 기계부품 등의 중량물을 올리거나 내리고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확보되고, 아울러 중량물을 쉽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으므로 작업이 편리하고 능률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를 밀링 머신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를 선반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브래킷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를 선반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용 브래킷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를 선반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일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를 도시한 전체 일측면도로서, 밀링머신으로 도시된 공작기계(10)는 본체(11)의 일측에 테이블(12)이 구비되고, 그 상측에는 상기 테이블(12)에 장착된 공작물인 중량물(W)을 회전하는 공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주축 헤드(1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작기계(10)의 본체(11) 일측에는 공작물 등의 중량물(W)을 승강하기 위한 승강수단(20)이 구비된다.
상기 승강수단(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일측 상부에 부착판(21)이 복수 개의 볼트(22)로 고정되고, 상기 부착판(21)에는 내부 지지대(23)가 고정된다.
상기 내부 지지대(23)는 부착판(21)의 상측에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되거나 내부 중앙을 관통하는 볼트를 부착판(21)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지지대(23)는 상측에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 플랜지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지지대(23)의 외측에는 베어링(24)(25)을 개재하여 회전축(26)이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고, 상기 내부 지지대(23)의 외측면 및 회전축(26)의 내측에는 고정링(27)(28)을 삽입하여 상기 회전축(26)이 내부 지지대(23)의 외측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축(26)은 중공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소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손잡이(29)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26)의 상측에는 하우징(30)이 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30)의 내측에는 이동축(31)이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이동축(31)이 횡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32)(33)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32)(33)의 양측에는 고정링(34)(35)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32)(33)은 하우징(30)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축(31)이 횡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리니어 부시(Linear bush)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축(31)에는 일측에 이탈을 방지하는 선단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일정 거리만큼만 이동되도록 하는 스토퍼(3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축(31)의 일측 상단에는 공작물 등의 중량물(W)을 얼리거나 내리기 위한 승강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부재(40)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서 중량물을 승강하는 윈치나 호이스트 또는 체인 블럭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윈치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승강부재(40)는 스위치(41)의 조작에 따라 전기적으로 정, 역회전 하는 모터(42)와, 상기 모터(42)의 구동에 따라 와이어(43)를 검거나 풀어서 고리(44)에 걸려진 중량물(W)을 승강시키는 보빈(45)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44)는 철 금속을 부착하는 마그네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밀링머신에 장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반에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선반으로 되는 공작기계(100)의 본체(110) 상측에는 베드(1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베드(120)의 일측 선단에는 장착용 브래킷(130)이 장착된다.
상기 장착용 브래킷(130)은 상기 베드(120)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131)가 중앙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양측에는 볼트(132)의 죔에 의해 본체(110)에 지지 고정되도록 상기 지지돌기(131)와 동일한 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부(133)가 돌출되며, 그 반대 측에는 상기 부착판(21)이 장착되는 장착판(134)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기(131)는 그 양측의 고정부(133)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트(132)는 고정부(133)에 체결되어 선단이 본체(110) 면에 긴밀하게 접촉되거나 고정부(133)를 관통한 후 본체(133)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134)에는 위에 밀링머신에서 승강수단(20)을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는, 밀링머신이나 선반 등의 공작기계(10)(100)에서 작업을 할 때 승강수단(20)의 회전축(26)을 회전시키고 이동축(31)을 인출하거나 삽입하여 승강부재(40)를 기계부품이나 공작물 등의 중량물(W)이 있는 장소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스위치(41)를 조작하면 모터(42)가 구동하여 보빈(45)을 정, 역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43)가 감기거나 풀려서 고리(44)가 중량물(W)의 위치로 하강하면, 고정용 끈이나 체인 등을 이용하여 묶어진 중량물(W)을 고리(44)에 걸고 다시 상기 스위치(41)를 조작하여 와이어(43)를 감으면 상기 중량물(W)은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고정 손잡이(29)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이동축(31)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26)이 회전하게 되고, 이어 중량물(W)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 손잡이(29)를 죄어 회전축(26)이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41)를 조작하여 중량물(W)을 하강시키면서 원하는 위치에 안착시키고, 상기 고리(44)로부터 중량물(W)을 분리하면 된다.
상기 회전축(26)의 회전 조작은 와이어(43) 또는 이동축(31)을 잡은 상태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이때에는 고정 손잡이(29)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조작을 행하고, 상기 고정 손잡이(29)를 죄면 상기 회전축(26)은 고정된 상태가 됨으로써 중량물(W)의 상승 또는 하강시 안전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중량물(W)의 횡 방향으로 위치 조절은 이동축(3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킴으로써 가능케 되며, 이때에는 하우징(30)과 이동축(31)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 개의 베어링(32)(33)에 의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승강수단(20)의 작동은 선반 공작기계(10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10,100: 공작기계 11,110: 본체
20: 승강수단 23: 내부 지지대
24,25,32,33: 베어링 26: 회전축
29: 고정 손잡이 30: 하우징
31: 이동축 40: 승강부재
130: 장착용 브래킷 W: 중량물

Claims (5)

  1. 공작기계의 본체에는 중량물을 횡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본체에 장착된 내부 지지대와, 상기 내부 지지대의 외측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베어링을 개재하여 전, 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에는 중량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 작동을 단속하는 고정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윈치, 호이스트 또는 체인 블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선반 공작기계의 일측 선단에 장착된 장착용 브래킷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KR1020110092195A 2011-09-09 2011-09-09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KR20130028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195A KR20130028557A (ko) 2011-09-09 2011-09-09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195A KR20130028557A (ko) 2011-09-09 2011-09-09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557A true KR20130028557A (ko) 2013-03-19

Family

ID=4817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195A KR20130028557A (ko) 2011-09-09 2011-09-09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8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4495A1 (de) * 2020-08-14 2022-02-16 Hieber GmbH Halte- und/oder handhabungsvorrichtung für schwere werkstücke
US20220274811A1 (en) * 2021-02-26 2022-09-01 David A. Jaeger Boom assembly equipped with an extendable winch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54495A1 (de) * 2020-08-14 2022-02-16 Hieber GmbH Halte- und/oder handhabungsvorrichtung für schwere werkstücke
US20220274811A1 (en) * 2021-02-26 2022-09-01 David A. Jaeger Boom assembly equipped with an extendable winch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4090A (ko) 워크 테이블
KR101959077B1 (ko) 드릴 가공 장치
KR101199858B1 (ko) 다자유도 위치제어형 소재 취부장치
JP2006224299A (ja) 工作物加工設備
CN210306848U (zh) 一种自定心夹紧装置及回转工作台及可回转铣端机
CN103862298A (zh) 一种电气柜管材坡口处理高度调节机构
CN210818562U (zh) 一种电机壳体可旋转式外夹工装
KR20120074002A (ko) 지그 교환 장치
CN112008442B (zh) 一种数控机床上用于带锥孔工件的加工夹具
KR100798822B1 (ko) 공구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KR200317671Y1 (ko) 러그 절단기
KR20130028557A (ko) 공작기계용 중량물 승강장치
KR20130069943A (ko) 자동변환 작업대
KR200492215Y1 (ko) 다축 드릴링 머신에서의 수직다축 가공위치 정밀 정렬장치
KR101258520B1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CN105150058A (zh) 一种可自动急停的磨床
JP2010064141A (ja) 円形溶接用トーチ駆動装置、これを備えた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KR20170114745A (ko) 리프팅 러그 제거용 자동 가스절단장비
CN102581682A (zh) 一种回转支承齿轮倒角翻身装置
CN213497687U (zh) 一种移动开孔三轴数控铣床
CN215199801U (zh) 一种带有翻转夹具的数控立铣床
KR20130052779A (ko) 회전 테이블이 구비된 작업대
CN203779128U (zh) 电气柜管材坡口加工升降结构
JPH08132307A (ja) 姿勢調整機構付旋回架台
KR101928084B1 (ko) 태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