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324A -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 Google Patents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24324A KR20150124324A KR1020140051085A KR20140051085A KR20150124324A KR 20150124324 A KR20150124324 A KR 20150124324A KR 1020140051085 A KR1020140051085 A KR 1020140051085A KR 20140051085 A KR20140051085 A KR 20140051085A KR 20150124324 A KR20150124324 A KR 201501243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er
- hook
- arm
- shaft
- mount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for connection to the front of the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 A01B63/108—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mounting on the tractor, e.g. on the rear part on the front par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로더 연결장치가 및 이를 구비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로더 연결장치는, 트랙터 전방에 착탈식으로 부가 장착되는 로더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로서, 고정축과 이격된 탄지축에 탄성 설치되어 고정축과 결속되는 위치에서 고정축과의 결속이 해제되는 위치로 탄동되며 탄지축 주변의 일측 주면에 걸림턱을 형성한 후크부 및 후크부의 인접 측부에 배치되어 탄지축에 탄성 설치된 상기 후크부의 탄동을 단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사나 골재 등을 운반기계에 싣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 사용되는 로더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트랙터 전방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로더의 원터치식 착탈 구현을 위한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에 관한 것이다.
'트랙터(Tractor)'라 불리우는 농업용 작업차량은 구조적으로 일반 자동차와 비슷하지만 강력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어 견인력이 좋고 튼튼하여 경작을 비롯해 건설, 토목 작업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활용의 다변화를 위해 기체 전방 및/또는 후방으로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를 선택적으로 부착하거나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작업기 중 토사나 골재 등을 운반기계에 싣거나 다른 곳으로 옮기는 작업 등에 프론트 로더(Front loader)가 사용된다. 프론트 로더는 일반적으로, 차체와 연결되는 마운팅 프레임을 기반으로, 승강 아암과 작동 아암, 승강 실린더와 작동 실린더, 그리고 작동 아암 선단에 설치되는 버켓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는, 승강 실린더를 구동시켜 승강 아암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과 함께, 작동 실린더를 구동시켜 작동 아암에 대한 버켓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토사를 퍼 올리거나 밀어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퍼 올린 토사를 쏟아 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프론트 로더의 탈부착을 위해 종래에는, 차체에 부착되는 마운팅 프레임과 로더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고정핀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는 탈부착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즉 고정핀이나 볼트를 체결하여 마운팅 프레임에 로더 프레임을 연결하거나, 고정핀이나 볼트를 풀어 두 프레임을 상호 분리시킴으로써 프론트 로더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정핀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는 종래 탈부착구조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단가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프론트 로더를 트랙터에 부착하거나 탈거함에 있어 상기 고정핀 또는 볼트를 일일이 끼웠다 뺐다 하는 등 탈부착에 있어 번거로움이 수반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터치 방식으로써 작업차 전방에 프론트 로더(Front roader)를 탈부착시킴에 있어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으며, 탈부착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트랙터 전방에 착탈식으로 부가 장착되는 로더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로서, 수평 배치되는 고정축으로부터 이격된 탄지축에 탄성 설치되어 상기 고정축과 결속되는 위치에서 고정축과의 결속이 해제되는 위치로 탄동되며 탄지축 주변의 일측 주면(柱面)에 걸림턱을 형성한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의 인접 측부에 배치되어 탄지축에 탄성 설치된 상기 후크부의 탄동을 단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로더 연결장치에서 상기 고정축은 로더의 로더 프레임을 구성하는 마운팅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와 스토퍼부는 상기 마운팅 프레임과 함께 로더 프레임을 구성하며 마운팅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베어링 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고정축에 결속되거나 고정축으로부터 이격되는 고리모양의 후크; 상기 후크 대향부 타측의 후크 레버; 상기 탄지축에 탄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홀을 구비하며 일측 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을 구비한 후크 바디; 및 상기 후크 바디와 탄지축 사이에 개재되어 후크가 고정축에 결속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회동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부재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부는,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중앙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접속아암과 작동아암을 구비한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아암의 단부가 상기 후크의 일측 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작동아암의 단부가 상기 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접속아암의 일부에 연동 가능하게 접속된 버튼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아암에는 걸림턱과 맞물려 후크부를 고정축에 대해 결속 해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래칫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칫턱에 인접한 작동아암 단부에는 주면과 접촉하는 곡선상의 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로더 연결장치에서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접속아암의 단부에 일단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V자형 판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재와 연동 가능하게 접하는 부분의 상기 접속아암에는 경사 접촉부가 구비되고, 버튼부재에는 상기 경사 접촉부의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진 캠면을 형성한 캠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캠을 상기 경사 접촉부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고정축을 가진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일 측면에 따른 로더 연결장치가 설치된 베어링 박스;로 구성된 로더 프레임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프레임에는 지지축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축의 일부와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베어링 박스가 지지축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베어링 박스의 하단에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더 연결장치에 의하면, 후크형태의 원터치 체결방식의 연결장치로써, 종래 고정핀이나 볼트 체결방식에 비해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고 빠른 프론트 로더(Front roader)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따라서 프론트 로더의 탈부착 작업 시 번거로움 해소와 더불어 용이함을 확보할 수 있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평면도.
도 6의 (a)는 도 2에 나타난 로더 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의 (b)는 도 6의 (a)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로더 연결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측면 투시도.
도 8은 로더 연결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을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버튼부재와 접속아암의 작동상태도.
도 11, 도 12는 프론트 로더 장착을 위해 마운팅 프레임에 베어링 박스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평면도.
도 6의 (a)는 도 2에 나타난 로더 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의 (b)는 도 6의 (a)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로더 연결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측면 투시도.
도 8은 로더 연결장치가 설치된 부분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을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버튼부재와 접속아암의 작동상태도.
도 11, 도 12는 프론트 로더 장착을 위해 마운팅 프레임에 베어링 박스를 연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의 측면도, 정면도, 배면도, 평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로더가 장착되는 작업차는 트랙터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에 프론트 로더를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면 자체 기동 가능한 공지된 모든 형태의 차량이 장착 대상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작업차로서 트랙터 전방에 프론트 로더가 장착된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련한 프론트 로더는 트랙터(2) 전면부 차체(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승강 실린더에 의한 승강 아암의 높이를 조절과 작동 실린더에 의한 버켓의 각도 조절을 통해 토사를 퍼 올리거나 밀어서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퍼 올린 토사를 쏟아 내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프론트 로더(1)는 트랙터(2) 전면부 차체(20)에 탈부착되는 부착대(110)를 갖춘 좌우 한 쌍의 로더 프레임(10)을 포함한다. 로더 프레임(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차체(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마운팅 프레임(11)과, 상기 마운팅(11)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어링 박스(12)로 구성된다.
마운팅 프레임(11)의 하단에는 상기 부착대(110)가 일체로 구비되며, 베어링 박스(12)는 상기 마운팅 프레임(11)에 일부가 수용되어 겹쳐지는 형태로 탈부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박스(12)의 상부와 중앙부에는 각각, 승강 아암(13)과 이의 승강 구동을 위한 승강 실린더(14) 한 쪽 끝이 피봇 연결된다.
캠 플레이트(19)를 매개로 상기 승강 아암(13)의 다른 쪽 끝에는 작동 아암(15)이 상기 승강 아암(13)에 대해 굴절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며, 작동 아암(15) 선단에는 버켓(17)이 부착된다. 버켓(17)과 작동 아암(15)을 연결하는 피봇축에서 떨어진 위치에 작동 아암(15)에 대한 버켓(17)의 굴절을 조절하는 작동 실린더(16)가 배치된다.
승강 실린더(14)는 로더 프레임(10)에 대한 상기 승강 아암(13)의 승강을 제어하며, 작동 실린더(16)는 작동 아암(15)에 대한 버켓(17)의 굴절을 조절한다. 이에 따라, 승강 실린더(14)를 통한 승강 아암(13)의 높이 조절 및 작동 실린더(16)을 통한 작동 아암(15)에 대한 버켓(17)의 적절한 각도 조절을 통해 다양한 동작이 구현된다.
부착대(110)는 연결 대상 차체(20)의 형상이나 구조, 크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차체(2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구성이라면 그 형태나 구조, 크기 등에 있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을 통해 예시한 바와 같이 마운팅 프레임(11)과의 사이에 구조적 강성 보강을 위한 보강 브래킷(11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난 로더 프레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로더 프레임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운팅 프레임(11)의 대략 중앙에는 지지축(118)이 마련되고 베어링 박스(12)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축(118)의 일부에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베어링 박스(12)가 지지축(118)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호상의 안착면(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운팅 프레임(11)과 베어링 박스(12) 간 원터치식 탈부착을 위한 로더 연결장치(3)가 구비된다.
마운팅 프레임(11)은 도 6의 (b)의 단면도와 같이, 베어링 박스(12)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제1 측면부(112)와 제2 측면부(114), 그리고 보조 프레임(12) 후면 일부를 감싸는 후면부(116)로 이루어진 대략 'ㄷ'자형 전방 개방형 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측면부(112)와 제2 측면부(114)를 가로로 잇는 형태로 상기 지지축(118)이 마련된다.
따라서 베어링 박스(12)를 전방으로 살짝 기울여 지지축(118)에 베어링 박스(12)의 안착면(120)이 위치하도록 조립한 후 베어링 박스(12)를 수직으로 전개시키면, 상기 연결장치(3)가 마운팅 프레임(11)의 고정축(115)에 걸려 베어링 박스(12)가 마운팅 프레임(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견고한 결속상태가 유지된다.
베어링 박스에 설치되는 상기 로더 연결장치에 대해서는 이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3)는, 마운팅 프레임(11)의 상기 고정축(115)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베어링 박스(12)의 탄지축(125)에 탄성 설치되는 후크부(30)와, 상기 후크부(30)의 측부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스토퍼부(35)로 구성된다.
후크부(30)는 상기 탄지축(125) 상에서 상기 고정축(115)에 결속되는 위치에서 고정축(115)과의 결속이 해제되는 위치로 탄동(탄성 회전)되며, 탄지축(125) 상에서의 이와 같은 후크부(30)의 탄동을 상기 스토퍼부(35)가 단속한다.
후크부(30)는 상기 고정축(115)에 결속되거나 고정축(115)으로부터 이격되는 고리모양의 후크(31)와, 후크(31)의 대향부 타측에 일체로 구비된 후크 레버(32), 탄지축(125)에 탄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홀(332)을 형성한 후크 바디(33) 및 후크 바디(33)와 탄지축(12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후크(31)가 고정축(115)에 결속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34)로 구성된다.
스토퍼부(35)와 마주보는 상기 후크 바디(33)의 일측 주면에는 상기 스토퍼부(35) 일단의 후술하는 래칫턱(362)이 맞물리는 걸림턱(330)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부재(34)는 탄지축(125)에 끼워지고 일단과 타단이 각각 후크 바디(33)와 베어링 박스(12)에 지지됨으로써 후크부(30)가 항상 고정축(115)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스토퍼부(35)는 베어링 박스(12)에 설치된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중앙 힌지부(H)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접속아암(36a)과 작동아암(36b)을 구비한 작동부재(36)를 포함한다.
접속아암(36a)에는 스프링부재(37)가 접속됨으로써 후크 바디(33)의 일측 주면과 밀착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복원력을 제공받으며, 접속아암(36a)의 일부에 연동 가능하게 버튼부재(38)가 접속된다.
중앙 힌지부(H)로 떨어진 상기 작동아암(36b) 자유단 측의 상기 후크 바디(33)와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걸림턱(330)과 맞물려 후크부(30)를 고정축(115)에 대해 결속 해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전술한 래칫턱(362)이 형성되며, 상기 래칫턱(362)에 인접한 작동아암(36b)의 단부에는 후크 바디(33)의 원호상의 주면과 접촉하는 곡선상의 접촉면(364)이 형성된다.
스프링부재(37)는 도면의 예시와 같이, 베어링 박스(12)에 고정된 고정단 반대편에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자유단을 갖고 이들 자유단 중 하부에 위치한 자유단이 상기 접속아암(36a)의 단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V자형 판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접속아암(36a)을 하향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버튼부재(38)는 그 일부가 베어링 박스(12)의 측면부 외측으로 돌출되며, 다른 일부는 버튼부재(38)에 누름 방향 외력이 가해졌을 때 베어링 박스(12)와 마운팅 프레임(11) 사이에서 접속아암(36a)이 상기 스프링부재(37)의 탄성을 극복하고 상향 회동될 수 있도록 접속아암(36a)과 연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버튼부재(38)는 구체적으로 도 9의 단면도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는 누름부(380)와, 마운팅 프레임(11) 내측에서 상기 접속아암(36a)의 일부와 연동 가능하게 접속되는 캠(382)을 일체로 구비하며, 누름부(380)와 베어링 박스(12) 사이에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버튼부재(3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부재(384) 구체적으로는 압축 스프링이 개재된다.
버튼부재(38)의 상기 캠(382)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외둘레에 하향 경사진 캠면(383)을 형성하고 있으며, 버튼부재(38)의 상기 캠(382)과 연동 가능하게 접하는 부분의 상기 접속아암(36a)에는 경사 접촉부(36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버튼부재(38)에 외력을 가해 캠(382)이 접속아암(36a)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10과 같이 캠(382)과 경사 접촉부(360)의 상호 접촉에 의해 접속아암(36a)은 위로 밀려나게 되고 반대편의 작동아암(36b)은 후크 바디(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후크부(30)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연결장치의 작동에 대해 트랙터 전면부에 프론트 로더의 부착함에 있어 마운팅 프레임에 베어링 박스를 결속시키는 과정과 연계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베어링 박스(12)를 마운팅 프레임(11)에 결속시킴에 있어서는 도 11과 같이, 후크 레버(32)를 눌러 후크부(30)가 결속 해제위치에 고정되도록 한 후, 베어링 박스(12)를 전방으로 살짝 기울여 지지축(118)에 베어링 박스(12)의 안착면(120)이 위치하도록 걸친 다음 베어링 박스(12)를 수직으로 전개시킨다.
즉, 후크 레버(32)를 누르면 스토퍼부(35)의 래칫턱(362)과 후크부(30)의 걸림턱(330)이 서로 맞물려 후크부(30)가 결속 해제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후크부(30)가 고정축(115)과 결속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는 순간 버튼부재(38)를 누르면, 후크부(30)의 구속이 해제되고 도 12의 (a)와 같이 고정축(115)을 향해 탄동되어 고정축(115)에 걸리게 됨으로써 간단하게 마운팅 프레임(11)과 베어링 박스(12) 간 결속이 완료된다.
후크부(30)의 구속 해제와 관련해서는 앞서도 설명했듯이, 버튼부재(38)를 누르면 캠(382)이 접속아암(36a) 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캠(382)과 경사 접촉부(360)의 상호 접촉(도 9참조)에 의해 접속아암(36a)은 위로 밀려나고 반대편의 작동아암(36b)은 후크 바디(3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후크부(30)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스토퍼부(35)를 작동시키기 위해 버튼부재(38)에 가하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버튼부재(38)와 베어링 박스(12)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부재(384)가 발생시키는 복원력에 의해 버튼부재(38)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작동아암(36b)에 작용하는 다른 스프링부재(37)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부재(36) 역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도 12의 (b) 참조).
다른 한편, 위와 같은 결속작업과는 반대로 마운팅 프레임(11)으로부터 베어링 박스(12)를 분리시킴에 있어서는, 후크 레버(32)를 눌러 고정축(115)으로부터 후크(31)를 이격시킨 후 마운팅 프레임(11)으로부터 베어링 박스(12)를 분리해내는 과정만으로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프론트 로더
2 : 트랙터(작업차)
3 : 로더 연결장치 10 : 로더 프레임
11 : 마운팅 프레임 12 : 베어링 박스
13 : 승강 아암 14 : 승강 실린더
15 : 작동 아암 16 : 작동 실린더
17 : 버켓(bucket) 19 : 캠 플레이트
30 : 후크부 31 : 후크
32 : 후크 레버 33 : 후크 바디
35 : 스토퍼부 36 : 작동부재
36a : 접속아암 36b : 작동아암
34, 37, 384 : 스프링 부재 38 : 버튼부재
115 : 고정축 118 : 지지축
120 : 안착면 125 : 탄지축
330 : 걸림턱 332 : 홀
360 : 경사 접촉부 362 : 래칫턱
364 : 접촉면 380 : 누름부
382 : 캠 383: 캠면
3 : 로더 연결장치 10 : 로더 프레임
11 : 마운팅 프레임 12 : 베어링 박스
13 : 승강 아암 14 : 승강 실린더
15 : 작동 아암 16 : 작동 실린더
17 : 버켓(bucket) 19 : 캠 플레이트
30 : 후크부 31 : 후크
32 : 후크 레버 33 : 후크 바디
35 : 스토퍼부 36 : 작동부재
36a : 접속아암 36b : 작동아암
34, 37, 384 : 스프링 부재 38 : 버튼부재
115 : 고정축 118 : 지지축
120 : 안착면 125 : 탄지축
330 : 걸림턱 332 : 홀
360 : 경사 접촉부 362 : 래칫턱
364 : 접촉면 380 : 누름부
382 : 캠 383: 캠면
Claims (12)
- 트랙터 전방에 착탈식으로 부가 장착되는 로더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3)로서,
수평 배치되는 고정축(115)으로부터 이격된 탄지축(125)에 탄성 설치되어 상기 고정축(115)과 결속되는 위치에서 고정축(115)과의 결속이 해제되는 위치로 탄동되며 탄지축(125) 주변의 일측 주면에 걸림턱(330)을 형성한 후크부(30); 및
상기 후크부(30)의 인접 측부에 배치되어 탄지축(125)에 탄성 설치된 상기 후크부(30)의 탄동을 단속하는 스토퍼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115)은 로더의 로더 프레임(10)을 구성하는 마운팅 프레임(11)에 설치되며,
상기 후크부(30)와 스토퍼부(35)는 상기 마운팅 프레임(11)과 함께 로더 프레임(10)을 구성하며 마운팅 프레임(11)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베어링 박스(12)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30)는,
상기 고정축(115)에 결속되는 고리모양의 후크(31);
상기 후크(31) 대향부 타측의 후크 레버(32);
상기 탄지축(125)에 탄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홀(332)을 구비하며 일측 주면에는 상기 걸림턱(330)을 구비한 후크 바디(33); 및
상기 후크 바디(33)와 탄지축(125) 사이에 개재되어 후크(31)가 고정축(115)에 결속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회동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34)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35)는,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중앙 힌지부(H)를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 접속아암(36a)과 작동아암(36b)을 구비한 작동부재(36)와;
상기 작동아암(36b)의 단부가 상기 후크(31)의 일측 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37)와;
상기 작동아암(36b)의 단부가 상기 주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접속아암(36a)의 일부에 연동 가능하게 접속된 버튼부재(3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아암(36b)에는 걸림턱(330)과 맞물리는 래칫턱(36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턱(362)에 인접한 작동아암(36b) 단부에는 주면과 접촉하는 곡선상의 접촉면(36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37)는 상기 접속아암(36a)의 단부에 일단이 접하도록 배치되는 V자형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38)와 연동 가능하게 접하는 부분의 상기 접속아암(36a)에는 경사 접촉부(360)가 구비되고,
버튼부재(38)에는 상기 경사 접촉부(360)의 경사면과 접하는 경사진 캠면을 형성한 캠(382)이 일체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3).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캠(382)을 상기 경사 접촉부(360)로부터 이격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384)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로더 연결장치(3).
-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고정축(115)이 설치된 마운팅 프레임(11)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11)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며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후크부(30)와 스토퍼부(35)로 이루어진 로더 연결장치(3)를 구비한 베어링 박스(12);로 구성된 로더 프레임(10)을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프레임(11)에는 지지축(118)이 마련되고,
상기 지지축(118)의 일부와 접촉하는 형태로 상기 베어링 박스(12)가 지지축(118)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베어링 박스(12)의 하단에는 안착면(1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085A KR20150124324A (ko) | 2014-04-28 | 2014-04-28 |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1085A KR20150124324A (ko) | 2014-04-28 | 2014-04-28 |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4324A true KR20150124324A (ko) | 2015-11-05 |
Family
ID=54600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1085A KR20150124324A (ko) | 2014-04-28 | 2014-04-28 |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12432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056A (ko) | 2018-06-29 | 2020-01-08 | (주)태성공업 | 로우더 탈부착 연결장치 |
KR20230091655A (ko) | 2021-12-16 | 2023-06-23 | 유한책임회사 신동공업 | 후크 조인트가 구비된 프론트 로더의 탈부착 구조 |
-
2014
- 2014-04-28 KR KR1020140051085A patent/KR2015012432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2056A (ko) | 2018-06-29 | 2020-01-08 | (주)태성공업 | 로우더 탈부착 연결장치 |
KR20230091655A (ko) | 2021-12-16 | 2023-06-23 | 유한책임회사 신동공업 | 후크 조인트가 구비된 프론트 로더의 탈부착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124324A (ko) | 로더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트랙터용 프론트 로더 | |
JP5132635B2 (ja) | フロントローダ | |
KR102475272B1 (ko) | 프론트 로더 퀵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론트 로더 | |
KR102496021B1 (ko) | 다목적 운반 차량용 작업기 부착장치 | |
JP6002601B2 (ja) | 歩行型管理機 | |
US20210040709A1 (en) | Front loader and work machine | |
JP2010265674A (ja) | 作業機 | |
JP2014033635A (ja) | トラクタの牽引装置 | |
JP4133050B2 (ja) | トラクタの作業機連結装置 | |
JP2008196275A (ja) | アタッチメント連結装置および作業機械 | |
JPH0810241Y2 (ja) | キャリア着脱式移動作業機 | |
KR101641664B1 (ko) | 자동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 |
JP4185031B2 (ja) | ロータリカバー | |
KR20230091655A (ko) | 후크 조인트가 구비된 프론트 로더의 탈부착 구조 | |
WO2012111148A1 (ja) | コンテナ荷役車両 | |
JP6804590B2 (ja) | 作業車及びフロントローダ | |
US11242668B2 (en) | Quick joint of front loader | |
JP7316813B2 (ja) | 作業車両及び泥よけの着脱方法 | |
JP2003204705A (ja) | ロータリ耕耘装置 | |
JP4495316B2 (ja) | 農作業機 | |
JPH0746089Y2 (ja) | 作業機着脱構造における連動索セット構造 | |
JP2006075169A (ja) | 整地カバー | |
WO2020045382A1 (ja) | 作業機連結装置及び作業機連結方法 | |
JP4275495B2 (ja) | ジョイント支持装置 | |
JP2023089830A (ja) | 抵抗棒の支持構造及び歩行型管理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