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996A -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996A
KR20150122996A KR1020140049258A KR20140049258A KR20150122996A KR 20150122996 A KR20150122996 A KR 20150122996A KR 1020140049258 A KR1020140049258 A KR 1020140049258A KR 20140049258 A KR20140049258 A KR 20140049258A KR 20150122996 A KR20150122996 A KR 20150122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clutch
roughness
determining
condi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2415B1 (ko
Inventor
어정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415B1/ko
Priority to US14/563,825 priority patent/US9335234B2/en
Priority to CN201410855292.7A priority patent/CN105043756B/zh
Publication of KR2015012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G01M13/022Power-transmitting couplings or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4Preventing damage resulting from overload or excessive wear of the driveline
    • B60W30/186Preventing damage resulting from overload or excessive wear of the driveline excessive wear or burn out of friction elements, e.g.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3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50Control strategies for responding to system failures, e.g. for fault diagnosis, failsafe operation or limp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41Clutch slip, i.e. difference between input and output sp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85Engine crank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5/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exterior condition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52/00, B60W2554/00
    • B60W2555/20Ambient conditions, e.g. wind or 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6Engine
    • F16D2500/1066Hybr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4Signal inputs from the clutch
    • F16D2500/30401On-off signal indicating the engage or disengaged position of the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6Signal inputs from the engine
    • F16D2500/3067Speed of the engine
    • F16D2500/3068Speed change of rate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2External to the vehicle
    • F16D2500/3121Ambient conditions, e.g. air humidity, air temperature, ambient pressure
    • F16D2500/3122Ambient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3Determination of the clutch 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3/00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 Y10S903/902Prime movers comprising electrical and internal combustion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 사이에 장착된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상기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편차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경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가 상기 경계값 보다 크면 상기 건식 클러치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METHOD FOR DETERMINING DETERIORATION OF DRY CLUTCH FOR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hybrid vehicle)은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의 동력과 모터의 동력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모터, 엔진과 모터 사이에서 동력을 단속하는 엔진 클러치, 변속기, 차동기어장치, 고전압 배터리, 상기 엔진을 시동하거나 상기 엔진의 출력에 의해 발전하는 시동 발전기(integrated starter & generator; ISG), 및 차륜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시동 발전기는 HSG(hybrid starter & generator)라 호칭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운전자의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에 따른 가감속 의지, 차속,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등에 따라 엔진 클러치를 결합하거나 해제하여, 모터의 동력만을 이용하는 EV 모드(electric vehicle mode); 엔진의 회전력을 주동력으로 하면서 모터의 회전력을 보조동력으로 이용하는 HEV 모드(hybrid electric vehicle mode); 차량의 제동 혹은 관성에 의한 주행시 제동 및 관성 에너지를 상기 모터의 발전을 통해 회수하여 고전압 배터리에 충전하는 회생제동 모드(regenerative braking mode); 등의 주행 모드의 운행을 제공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의 기계적 에너지와 고전압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를 함께 이용하고, 엔진과 모터의 최적 작동영역을 이용함을 물론 제동 시에는 에너지를 회수하므로 연비 향상 및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이 가능하다.
하이브리드 차량은 이종 동력원의 동력 분배를 위하여 이종 동력원 사이에 습식 클러치 또는 건식 클러치를 구비한다. 습식 클러치의 경우 윤활 및 냉각이 용이하지만, 발진 성능 및 운전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상당히 많은 슬립 제어를 하게 되어 연비면에서 건식 클러치에 비해 불리하다. 건식 클러치의 경우 습식 클러치에 비해 열용량은 적지만, 응답성 및 연비면에서 습식 클러치에 비해 유리하다.
건식 클러치는 윤활 및 냉각 방식이 습식 클러치에 비해 불리하기 때문에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에 따라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기준값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편차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경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가 상기 경계값 보다 크면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엔진 각속도의 변화, 엔진 각가속도의 변화, 및 엔진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가 슬립 상태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크랭크 축 회전 센서가 정상 상태인 조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환경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대기압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기준값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편차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경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가 상기 경계값 보다 크면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모터 각속도의 변화, 모터 각가속도의 변화, 및 모터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가 슬립 상태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레졸버가 정상 상태인 조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환경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대기압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 사이에 장착된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상기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계; 상기 편차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경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가 상기 경계값 보다 크면 상기 건식 클러치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동력원 및 상기 제2 동력원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이고, 상기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상기 제1 동력원의 각속도 및 상기 제1 동력원의 각속도의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상기 제2 동력원의 각속도 및 상기 제2 동력원의 각속도의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상기 건식 클러치가 접합 상태인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크랭크 축 회전 센서가 정상 상태인 조건, 레졸버가 정상 상태인 조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환경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대기압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와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각각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 방식에 따라 건식 클러치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별도의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크랭크 축 회전 센서와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레졸버의 신호를 기초로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5)은 엔진(10), 모터(20), 엔진(10)과 모터(20) 사이에서 동력을 단속하는 제1 클러치(30), 변속기(40), 상기 모터(20)와 상기 변속기(40)의 입력축을 연결하는 제2 클러치(50), 고전압 배터리(60), 상기 엔진(10)을 시동하거나 상기 엔진(10)의 출력에 의해 발전하는 시동 발전기(15), 차동기어장치(70), 차륜(80), 데이터 검출부(90), 및 제어부(1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차량(5)은 다양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조 중 하나를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된 하이브리드 차량에 한정되어 적용되지 않고 건식 클러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하이브리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조에 따라 이종 동력원들(엔진 및 모터)과 건식 클러치(30-1, 30-2, 30-3, 50-2, 및 50-3)의 장착 위치는 달라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2개의 건식 클러치(50-2)를 포함하는 듀얼 클러치 변속기(dual clutch transmission; DCT)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러치(30)와 제2 클러치(50)는 건식 클러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러치(30)는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와 모터측 건식 클러치(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므로,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실행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데이터 검출부(90)는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검출하며, 데이터 검출부(90)에서 검출된 데이터는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데이터 검출부(90)는 엔진 각속도를 측정하는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 모터 각속도를 측정하는 레졸버(94), 외기온도를 측정하는 외기온도 센서(96), 및 대기압을 측정하는 대기압 센서(9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와 레졸버(94)는 제어부(100)에 엔진 각속도와 모터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와 레졸버(94)는 제어부(100)에 엔진 각속도와 모터 각속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제어부(1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포함된 각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명령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100).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1)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가 슬립 상태인 조건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00)는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가 슬립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한다.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2) 상기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각속도 변화를 기초로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가 정상 상태여야 한다.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3)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5)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5)의 각 부분(엔진, 모터, 변속기, 배터리 등)의 상태는 정상 상태여야 한다.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4) 환경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기온도 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경우 만족되는 것으로, 상기 대기압 조건은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경우 만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00)는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의 신호를 기초로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Roughness를 결정한다(S110). 엔진측 건식 클러치(32)가 정상 상태인 경우, 엔진 각속도는 균일하게 분포되며 주기적인 주파수 성분을 가진다. 그러나,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엔진 각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화하여 엔진 각가속도 및 주파수 성분 또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엔진 각속도의 변화, 엔진 각가속도의 변화, 또는 엔진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를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Roughness라고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Roughness와 기준값(REng) 사이의 편차(DEng)를 산출한다(S120). 상기 기준값(REng)은 상기 엔진 각속도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상기 엔진 각가속도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및 상기 엔진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중에서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Roughness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Eng)를 임계값(TEng)과 비교한다(S130). 상기 임계값(TEng)은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Eng)가 상기 임계값(TEng) 보다 크면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Eng)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140). 반면에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Eng)가 상기 임계값(TEng)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Eng)를 1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S142).
제어부(100)는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Eng)와 경계값(BEng)을 비교한다(S150). 상기 경계값(BEng)은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Eng)가 상기 경계값(BEng)보다 크면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한다(S160).
제어부(100)는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Eng)가 상기 경계값(BEng) 보다 작거나 같으면 S10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200).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1)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가 슬립 상태인 조건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가 슬립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한다.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2) 상기 레졸버(94)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 각속도 변화를 기초로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레졸버(94)가 정상 상태여야 한다.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3)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5)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5)의 각 부분(엔진, 모터, 변속기, 배터리 등)의 상태는 정상 상태여야 한다.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4) 환경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기온도 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경우 만족되는 것으로, 상기 대기압 조건은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경우 만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00)는 레졸버(94)의 신호를 기초로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Roughness를 결정한다(S210). 모터측 건식 클러치(34)가 정상 상태인 경우, 모터 각속도는 균일하게 분포되며 주기적인 주파수 성분을 가진다. 그러나,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모터 각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화하여 모터 각가속도 및 주파수 성분 또한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모터 각속도의 변화, 모터 각가속도의 변화, 또는 모터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를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Roughness라고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Roughness와 기준값(RMot) 사이의 편차(DMot)를 산출한다(S220). 상기 기준값(REng)은 상기 모터 각속도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상기 모터 각가속도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및 상기 모터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 중에서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Roughness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Mot)를 임계값(TMot)과 비교한다(S230). 상기 임계값(TMot)은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Mot)가 상기 임계값(TMot) 보다 크면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Mot)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240). 반면에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Mot)가 상기 임계값(TMot)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Mot)를 1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S242).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Mot)와 경계값(BMot)을 비교한다(S250). 상기 경계값(BMot)은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Mot)가 상기 경계값(BMot)보다 크면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한다(S260).
제어부(100)는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Mot)가 상기 경계값(BMot) 보다 작거나 같으면 S20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제1 동력원으로서 구비되는 엔진(10)과 제2 동력원으로서 구비되는 모터(20), 즉 이종 동력원들 사이에 장착된 제1 클러치(30)를 기준으로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c에 도시된 동종 동력원들(20-3 및 20-4) 사이에 장착된 건식 클러치(30-3)의 열화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한다(S300).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1) 상기 제1 클러치(30)가 접합 상태인 조건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00)는 상기 제1 클러치(30)가 접합 상태인 경우에만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한다.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2) 상기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 각속도를 기초로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가 정상 상태여야 한다.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3) 상기 레졸버(94)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터 각속도를 기초로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때문에 상기 레졸버(94)가 정상 상태여야 한다.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4)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5)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5)의 각 부분(엔진, 모터, 변속기, 배터리 등)의 상태는 정상 상태여야 한다.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5) 환경조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기온도 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경우 만족되는 것으로, 상기 대기압 조건은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경우 만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이 만족되면, 제어부(100)는 상기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의 신호를 기초로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Roughness를 결정하고, 상기 레졸버(94)의 신호를 기초로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Roughness를 결정한다(S310). 여기서, 엔진 각속도 또는 엔진 각속도의 주기를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Roughness라고 할 수 있으며, 모터 각속도 또는 모터 각속도의 주기를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Roughness라고 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Roughness와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Roughness 사이의 편차(DClutch)를 산출한다(S320). 상기 제1 클러치(30)의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1 클러치(30)가 접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편차(DClutch)가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Clutch)를 임계값(TClutch)과 비교한다(S330). 상기 임계값(TClutch)은 상기 제1 클러치(30)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Clutch)가 상기 임계값(TClutch) 보다 크면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Clutch)를 1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340). 반면에 제어부(100)는 상기 편차(DClutch)가 상기 임계값(TClutch)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Clutch)를 1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S342).
제어부(100)는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Clutch)를 경계값(BClutch)과 비교한다(S350). 상기 경계값(BClutch)은 상기 제1 클러치(30)의 제원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Clutch)가 상기 경계값(BClutch)보다 크면 상기 제1 클러치(30)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한다(S360).
제어부(100)는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CClutch)가 상기 경계값(BClutch) 보다 작거나 같으면 S300 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차량(5)의 건식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엔진측 건식 클러치(32)의 열화와 모터측 건식 클러치(34)의 열화를 각각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하이브리드 차량(5)의 구성 방식에 따라 건식 클러치(30)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건식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할 수 있다.
별도의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 기존의 엔진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크랭크 축 회전 센서(92)와 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레졸버(94)의 신호를 기초로 건식 클러치(30)의 열화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5: 하이브리드 차량 10: 엔진
20: 모터 30: 제1 클러치
32: 엔진측 건식 클러치 34: 모터측 건식 클러치
40: 변속기 50: 제2 클러치
60: 배터리 70: 차동기어장치
80: 차륜 90: 데이터 검출부
100: 제어부

Claims (15)

  1.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기준값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편차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경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가 상기 경계값 보다 크면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엔진 각속도의 변화, 엔진 각가속도의 변화, 및 엔진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가 슬립 상태인 조건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크랭크 축 회전 센서가 정상 상태인 조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환경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대기압 조건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엔진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6.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기준값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편차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경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가 상기 경계값 보다 크면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모터 각속도의 변화, 모터 각가속도의 변화, 및 모터 각속도의 주기의 변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가 슬립 상태인 조건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레졸버가 정상 상태인 조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환경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대기압 조건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모터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측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11. 제1 동력원 및 제2 동력원 사이에 장착된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을 만족하면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와 상기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사이의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편차를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경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가 상기 경계값 보다 크면 상기 건식 클러치가 열화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동력원 및 상기 제2 동력원 중 적어도 하나는 모터이고, 상기 제1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상기 제1 동력원의 각속도 및 상기 제1 동력원의 각속도의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동력원측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는 상기 제2 동력원의 각속도 및 상기 제2 동력원의 각속도의 주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상기 건식 클러치가 접합 상태인 조건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크랭크 축 회전 센서가 정상 상태인 조건, 레졸버가 정상 상태인 조건, 및 상기 하이브리드 차량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 조건을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클러치의 열화를 판단하기 위한 진입조건은 환경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조건은 외기온도가 설정된 외기온도 범위 내인 외기온도 조건 및 대기압이 설정된 대기압 범위 내인 대기압 조건을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차가 상기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건식 클러치의 Roughness 카운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KR1020140049258A 2014-04-24 2014-04-24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KR10159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58A KR101592415B1 (ko) 2014-04-24 2014-04-24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US14/563,825 US9335234B2 (en) 2014-04-24 2014-12-08 Method for determining deterioration of dry clutch for hybrid vehicle
CN201410855292.7A CN105043756B (zh) 2014-04-24 2014-12-31 用于确定混合动力车辆的干式离合器劣化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258A KR101592415B1 (ko) 2014-04-24 2014-04-24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96A true KR20150122996A (ko) 2015-11-03
KR101592415B1 KR101592415B1 (ko) 2016-02-05

Family

ID=54334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258A KR101592415B1 (ko) 2014-04-24 2014-04-24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35234B2 (ko)
KR (1) KR101592415B1 (ko)
CN (1) CN1050437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8963A1 (de) * 2013-10-04 2015-04-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ntriebsstrangs mit einem doppelkupplungsgetriebe
KR101500403B1 (ko) * 2013-12-26 2015-03-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슬립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6203678B4 (de) 2016-03-07 2024-04-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einer Kupplung mit einem Reibsystem, insbesondere einer Kupplung für ein automatisches oder automatisierbares 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KR101967452B1 (ko) * 2017-12-14 2019-04-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클러치 마모감소를 위한 변속기 제어방법 및 이를 통해 제어되는 자동변속기
DE102018130679A1 (de) * 2018-12-03 2020-06-0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Tastpunktes einer Hybridtrennkupplung eines Hybridfahrzeuges
CN112431876B (zh) * 2019-08-26 2022-05-2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干式离合器的温度估计方法及装置
KR102353955B1 (ko) * 2020-06-09 2022-01-21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440A (ja) 1995-07-28 1997-02-14 Toyota Motor Corp 摩擦係合装置の劣化検出装置
FR2875201B1 (fr) 2004-09-10 2006-12-01 Renault Sas Procede de commande a plusieurs modes de fonctionnement d'une transmission automatise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pour un avancement au ralenti du vehicule automobile avec frein activ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JP3885818B2 (ja) 2005-05-27 2007-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逸脱判定装置
US20070294017A1 (en) * 2006-06-20 2007-12-20 Eaton Corporation Method for estimating clutch engagement parameters in a strategy for clutch management in a vehicle powertrain
US8463482B2 (en) * 2007-03-15 2013-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health of a power transmission
JP5167786B2 (ja) * 2007-11-29 2013-03-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5217396B2 (ja) 2007-12-04 2013-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DE102008005437A1 (de) * 2008-01-22 2009-07-3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upplungssteuerungssystem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upplungssteuerungssystems
GB2470015B (en) * 2009-05-05 2016-05-18 Gm Global Tech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lutch friction
US8676515B2 (en) * 2009-12-16 2014-03-18 Allison Transmiss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lutch-related faults in an automatic transmission
JP2011214932A (ja) * 2010-03-31 2011-10-27 Honda Motor Co Ltd 車両の作動油評価システム
DE102010039181B4 (de) * 2010-08-11 2022-06-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Erkennen des Kupplungszustandes
DE112011102998B4 (de) * 2010-09-09 2021-03-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s Reibbelagverschleißes
KR101371748B1 (ko) * 2012-10-29 2014-03-07 기아자동차(주)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방법
KR101393963B1 (ko) * 2012-10-30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예측 방법
KR101393872B1 (ko) * 2012-10-30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예측 방법
CN103196670B (zh) * 2013-03-25 2015-08-19 南京梅山冶金发展有限公司 一种变速箱离合器故障判断方法
JP6176011B2 (ja) * 2013-09-11 2017-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N103615531B (zh) * 2013-12-06 2015-11-18 北京理工大学 一种基于sdg模型的离合器接合过程故障诊断方法和系统
KR101551008B1 (ko) * 2013-12-17 2015-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43756A (zh) 2015-11-11
US9335234B2 (en) 2016-05-10
CN105043756B (zh) 2019-03-26
KR101592415B1 (ko) 2016-02-05
US20150307087A1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241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US9139105B2 (en) Deceler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 vehicle while coasting
US93464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gine clutch of hybrid vehicle
US8886374B2 (en) Torque control method for hybrid electric vehicle
WO2013051104A1 (ja) 充電制御装置および充電制御方法
US9403439B2 (en) Power generation control device
JP513626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KR101558376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클러치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059639A (ja) 車両用制御装置
KR10172446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기동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22674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method
JP2002235597A (ja) クランクシャフト速度を用いたエンジン動作検出
JP7140292B2 (ja) 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方法及びシリーズハイブリッド車両
KR101724505B1 (ko) 차량의 변속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40110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1510343B1 (ko)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방전지향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JP704757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トルク制御装置
JP6927326B2 (ja) 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装置
KR101637304B1 (ko) 토크 지령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11437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변동 보상방법
KR10204191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기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3180698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JP6720654B2 (ja) クラッチの耐久性判定システム、車両及びクラッチの耐久性判定方法
JP2004225623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およびエンジン始動制御方法
JP6217564B2 (ja) バッテリ故障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