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008B1 -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008B1
KR101551008B1 KR1020130157643A KR20130157643A KR101551008B1 KR 101551008 B1 KR101551008 B1 KR 101551008B1 KR 1020130157643 A KR1020130157643 A KR 1020130157643A KR 20130157643 A KR20130157643 A KR 20130157643A KR 101551008 B1 KR101551008 B1 KR 10155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ffset
characteristic point
points
characteristic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905A (ko
Inventor
이호영
백승삼
윤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008B1/ko
Priority to US14/500,128 priority patent/US9145933B2/en
Priority to CN201410563311.9A priority patent/CN104712676B/zh
Publication of KR2015007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10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02Relating the clutch
    • F16D2500/50236Adaptations of the clutch characteristics, e.g. curve clutch capacity torque - clutch actuator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2General
    • F16D2500/525Improve response of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2Look-up tables
    • F16D2500/70252Clutch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2Look-up tables
    • F16D2500/70252Clutch torque
    • F16D2500/70264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16H2061/0223Generating of new shift maps, i.e. methods for determining shift points for a schedule by taking into account driveline and vehicle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16H2061/0225Modifying of shift maps by manual control, e.g. by learning values from the driver during manual shift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성점들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각각 구한 후, 이 직선의 기울기간의 변화율을 측정한 뒤, 상기 변화율들 중 최대치를 이루는 특성점을 찾는 기울기판단단계; 상기 기울기판단단계 수행결과, 변화율이 최대치를 이루는 특성점을 기준으로 보정된 T-S 선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량 이격되는 옵셋포인트를 생성하는 옵셋생성단계; 상기 옵셋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옵셋포인트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추세선을 형성하는 추세생성단계; 및 상기 추세생선단계에서 생성된 추세선측으로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을 이동시키는 특성점보정단계; 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DRY TYPE CLUTCH CHARACTERISTIC ADJUSTING METHOD FOR DCT}
본 발명은 차량의 AMT나 DCT 등에 사용되는 건식클러치의 특성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식클러치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에 대한 클러치 전달토크의 특성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AMT(AUTOMATED MANUAL TRANSMISSION)나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등과 같은 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수동변속기의 변속 메커니즘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는 시스템으로, 토크 컨버터와 습식 다판 클러치를 사용하는 일반 A/T와는 달리 건식클러치를 이용하여 엔진 토크를 변속 메커니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건식클러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제어되는데, 통상은 액츄에이터의 스트로크에 대한 건식클러치의 전달토크 변화를 도시한 T-S 커브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건식클러치는 구성요소들의 단품 공차와 내구 진행에 따른 마모도, 고온에 의한 열변형 및 디스크의 마찰계수 변화 등 수많은 인자에 따라 건식클러치 전달토크가 크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건식클러치의 전달토크를 일정한 상태로 데이터화 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상기 건식클러치는 제어 시에 상기 전달토크의 특성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모자라게 또는 과도하게 제어하면, 건식클러치의 과도한 슬립이 발생하거나, 충격을 유발하게 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스트로크에 따른 건식클러치의 전달토크 특성을 정확히 알아내어 액츄에이터의 제어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차량에서는 상기 건식클러치의 액츄에이터 스트로크에 대한 전달토크의 특성인 T-S커브를 학습에 의해 보정함으로써 가급적 건식클러치의 현재 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바, 도 1은 종래의 T-S커브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도 1에서 P02 내지 P11은 T-S커브의 특성을 반영하는 특성점들로서, 학습에 의해 변경이 가능한 점이다. 예컨대, 학습에 의해 학습점 P가 새로 학습되면, 이에 근거하여 기존의 T-S커브를 보정하는데, 학습점 P에 가장 가까운 특성점 P08과 P09를 학습점 P의 방향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키는데, 이때 특성점 P10과 P11도 동일한 변경량을 적용하여 이동시켜서 T-S커브의 이 점들이 속한 부분이 동일한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학습된 점 P를 기준으로 상위의 토크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변경량을 전파하고 하위의 토크 부분으로는 전파하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건식클러치 시스템의 스프링강성에 의해 정의되는 전달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에 의해 T-S커브를 보정하고 나면, 도시된 바와 같이 특성점 P06, P07 및 새로 이동된 P08NEW 사이의 구간에서 T-S커브의 기울기가 심하게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T-S커브 형상은 전달토크를 일정하게 변화시키는 경우 필요한 스트로크의 변화가 구간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변화해야만 함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스트로크의 불연속적 변화는 제어가 그만큼 어려워지고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변속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상기의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90061752 A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식클러치의 액츄에이터 스트로크에 대한 전달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T-S커브의 학습에 의한 보정시에 상기 T-S커브의 기울기가 가장 많이 급변하는 영역을 제거하도록 하여, 건식클러치의 제어성을 안정되게 확보하고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은
특성점들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각각 구한 후, 이 직선의 기울기간의 변화율을 측정한 뒤, 상기 변화율들 중 최대치를 이루는 특성점을 찾는 기울기판단단계;
상기 기울기판단단계 수행결과, 변화율이 최대치를 이루는 특성점을 기준으로 보정된 T-S 선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량 이격되는 옵셋포인트를 생성하는 옵셋생성단계;
상기 옵셋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옵셋포인트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추세선을 형성하는 추세생성단계; 및
상기 추세생선단계에서 생성된 추세선측으로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을 이동시키는 특성점보정단계;
를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건식클러치의 액츄에이터 스트로크에 대한 전달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T-S커브의 학습에 의한 보정시에 상기 T-S커브의 기울기가 가장 많이 급변하는 영역을 제거하도록 하여 건식클러치의 제어성을 안정되게 확보하고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에 T-S커브를 학습에 의해 보정하는 것을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의 실시예는, 새로운 학습점에 의해 T-S커브가 보정되면, 상기 학습점 부근의 T-S커브상의 특성점들 사이의 기울기를 검토하여, 기울기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급변하는지 판단하는 기울기판단단계(S10)와; 상기 기울기판단단계(S10) 수행결과, 기울기가 급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기울기가 급변하는 특성점을 기준으로 토크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일정량 이격되는 옵셋포인트들을 생성하는 옵셋생성단계(S20)와;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과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옵셋포인트들을 이용하여 추세선을 형성하는 추세생성단계(S30)와; 상기 추세생성단계(S30)에서 생성된 추세선에 따라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을 이동시키는 특성점보정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에 단순히 어떤 학습점에 의해 T-S커브가 보정됨에 의해 그 학습점 부근의 T-S커브 상에 기울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와 추세생성단계(S30) 및 특성점보정단계(S40)를 통해 보정함으로써, T-S커브의 적절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급격한 기울기 변화를 제거하여, 궁극적으로 건식클러치의 제어성을 안정되게 확보하고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조치 후에도 급격한 기울기 변화가 만족할만하게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를 대비하여, 상기 특성점보정단계(S40) 이후에는, 다시 상기 기울기판단단계(S10)를 수행하여 기울기가 급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를 종료하고, 기울기가 급변하는 경우에는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 옵셋량을 변경하여 옵셋포인트들을 생성한 후, 상기 추세생성단계(S30)와 특성점보정단계(S40)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 도 1과 마찬가지로 학습점 P가 학습되어 그에 따라 특성점 P08 내지 P11이 우측으로 일정량 이동한 경우에, 특성점 P07에서는 급격한 기울기 변화가 발생되므로, 상기 기울기판단단계(S10)에 의해 특성점 P07에서의 급격한 기울기 변화가 판단되면, 부분적으로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 의해 옵셋포인트(OP)들이 생성되고, 이어 상기 추세생성단계(S30)에 의해 추세선이 생성되며, 상기 추세선을 향해 상기 특성점 P07을 이동시켜 P07NEW로 변경시킴에 의해, 상기 특성점 P07에서의 급격한 기울기 변화가 해소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는 상기 기준이 되는 특성점 P07로부터 상기 특성점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배치된 다른 두 특성점 P06, P08NEW로 각각 연결되는 직선 L1, L2상에 상기 옵셋포인트(OP)들을 생성한다.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 상기 옵셋포인트(OP)들이 상기 기준이 되는 특성점 P07로부터 상하로 이격되는 양은 상기 기준이 되는 특성점에서의 기울기 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추세생성단계(S30)에서는, 상기 옵셋포인트(OP)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 P07과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옵셋포인트(OP)들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상기 추세선(L3)을 형성한다.
상기 특성점보정단계(S40)에서는,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 P07을 스트로크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추세선과 만나는 점 P07NEW로 상기 특성점을 이동시킨다.
참고로, 상기 스트로크 방향이라 함은 도 3에서 좌우방향을 의미하고, 토크 방향이라 함은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S10; 기울기판단단계
S20; 옵셋생성단계
S30; 추세생성단계
S40; 특성점보정단계
OP; 옵셋포인트
L3; 추세선

Claims (6)

  1. 특성점들을 연결하는 직선의 기울기를 각각 구한 후, 이 직선의 기울기간의 변화율을 측정한 뒤, 상기 변화율들 중 최대치를 이루는 특성점을 찾는 기울기판단단계;
    상기 기울기판단단계 수행결과, 변화율이 최대치를 이루는 특성점을 기준으로 보정된 T-S 선도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량 이격되는 옵셋포인트를 생성하는 옵셋생성단계;
    상기 옵셋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옵셋포인트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추세선을 형성하는 추세생성단계; 및
    상기 추세생선단계에서 생성된 추세선측으로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을 이동시키는 특성점보정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는
    상기 기준이 되는 특성점으로부터 상기 특성점을 기준으로 상하에 각각 배치된 다른 두 특성점으로 각각 연결되는 직선상에 상기 옵셋포인트들을 생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 상기 옵셋포인트들이 상기 기준이 되는 특성점으로부터 상하로 이격되는 양은 상기 기준이되는 특성점에서의 기울기 변화량에 따라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세생성단계(S30)에서는,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과 상기 옵셋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옵셋포인트들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상기 추세선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성점보정단계(S40)에서는, 상기 옵셋포인트들의 기준이 된 특성점을 스트로크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서 상기 추세선과 만나는 점으로 상기 특성점을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KR1020130157643A 2013-12-17 2013-12-17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KR101551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43A KR101551008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US14/500,128 US9145933B2 (en) 2013-12-17 2014-09-29 Method of adjusting characteristics of dry clutch
CN201410563311.9A CN104712676B (zh) 2013-12-17 2014-10-21 调整干式离合器的特性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643A KR101551008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905A KR20150070905A (ko) 2015-06-25
KR101551008B1 true KR101551008B1 (ko) 2015-09-07

Family

ID=5336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643A KR101551008B1 (ko) 2013-12-17 2013-12-17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45933B2 (ko)
KR (1) KR101551008B1 (ko)
CN (1) CN1047126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415B1 (ko) * 2014-04-24 2016-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건식 클러치 열화 판단 방법
KR101744719B1 (ko) 2015-11-17 2017-06-09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클러치의 토크-스트로크 커브 보정 방법
KR101704289B1 (ko) * 2015-11-18 201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차량용 클러치 터치포인트 학습방법
WO2018196913A1 (de) * 2017-04-26 2018-11-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fahren zur adaption einer momentenkennlinie einer reibungskupplung
KR101832195B1 (ko) * 2017-05-11 2018-02-26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클러치 특성 곡선 조정 방법
DE102017217521B3 (de) 2017-09-29 2018-12-27 Audi Ag Verfahren zum Adaptieren wenigstens eines Parameters zum Schließen einer Trennkupplung eines Hybridfahrzeugs, sowie Antriebsstrang für ein Hybridfahrzeug
KR102416597B1 (ko) * 2017-10-13 2022-07-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mt차량용 클러치 제어방법
KR102008917B1 (ko) * 2017-11-06 2019-08-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클러치의 토크-스트로크 학습방법
KR101923512B1 (ko) * 2018-04-12 2018-11-29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클러치 특성 커브 보정 장치
CN111677784B (zh) * 2020-06-23 2022-02-11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车辆起步阶段的离合器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4386B2 (ja) 2003-07-07 2010-01-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
JP4937569B2 (ja) 2005-11-21 2012-05-23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0158B1 (ko) 1996-11-22 2000-07-01 정몽규 자동변속기의 학습제어 및 총합 제어방법
WO2003006842A1 (de) 2001-07-11 2003-01-23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m steuern und/oder regeln eines anfahrvorganges einesfahrzeuges
CN201045380Y (zh) * 2007-06-19 2008-04-09 吉林省金鹰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同轴式摩擦轮干式离合器
KR100916459B1 (ko) 2007-12-12 2009-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클러치 특성 보정 방법
EP2194287B1 (en) 2008-12-03 2013-05-29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A method of controlling a friction clutch in a motor-vehicle transmission
JP5261429B2 (ja) 2010-03-31 2013-08-1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変速制御装置
EP2689980B1 (en) * 2011-03-25 2019-04-2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Transmissio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DE102011018395A1 (de) * 2011-04-21 2011-12-08 Daimler Ag Verfahren zur Steuerung und/oder Regelung einer Kupplung in einem Antriebsstrang eines Hybridfahrzeuges
US8589042B2 (en) * 2011-07-13 2013-11-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transmission clutch torque control
US20130153357A1 (en) * 2011-12-14 2013-06-20 Eaton Corporation Series Damper For Single and Twin Friction Plate HD Clutch
US8989978B2 (en) * 2012-03-06 2015-03-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powertrain
KR101393872B1 (ko) * 2012-10-30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예측 방법
KR101393762B1 (ko) * 2012-10-30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예측 방법
KR101393963B1 (ko) * 2012-10-30 201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예측 방법
KR101428337B1 (ko) * 2012-12-28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건식클러치 전달토크 특성 탐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4386B2 (ja) 2003-07-07 2010-01-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クラッチ制御装置
JP4937569B2 (ja) 2005-11-21 2012-05-23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7759A1 (en) 2015-06-18
US9145933B2 (en) 2015-09-29
KR20150070905A (ko) 2015-06-25
CN104712676A (zh) 2015-06-17
CN104712676B (zh) 201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1008B1 (ko) 차량의 건식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KR101526745B1 (ko) 차량의 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KR101592695B1 (ko) Dct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1755755B1 (ko) Dct의 클러치 특성 보정방법
US8996266B2 (en) Dual clutch transmission vehicle launch control
KR101704289B1 (ko) Dct차량용 클러치 터치포인트 학습방법
KR20150071119A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1611077B1 (ko) 건식클러치의 터치포인트 탐색방법
CN103790999A (zh) 估算车辆的干式离合器的传动扭矩的方法
KR101887755B1 (ko) Dct차량의 변속제어 방법
CN107816538B (zh) 用于控制车辆缓行行驶的方法
KR101510016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 방법
KR102177599B1 (ko)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KR102324757B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방법
CN104728311A (zh) 用于dct的接触点调整方法
KR20160064359A (ko) Dct 차량의 변속제어 방법
KR101786980B1 (ko) 토크-스트로크 관계 커브의 학습 방법
KR20180131676A (ko) 변속기의 터치포인트 학습방법
KR101997345B1 (ko) Amt차량용 클러치 터치포인트 학습방법
CN109555796B (zh) 用于控制车辆的离合器的方法
KR10200842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클러치토크 학습방법
KR102579351B1 (ko)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KR101795282B1 (ko) 차량용 클러치 제어방법
KR101766116B1 (ko) Dct차량의 클러치 특성 학습방법
KR102551670B1 (ko) 차량의 엔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