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906A -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906A
KR20150122906A KR1020140048934A KR20140048934A KR20150122906A KR 20150122906 A KR20150122906 A KR 20150122906A KR 1020140048934 A KR1020140048934 A KR 1020140048934A KR 20140048934 A KR20140048934 A KR 20140048934A KR 20150122906 A KR20150122906 A KR 20150122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ovenia dulcis
bar
supercritical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철
김희진
고정윤
김대현
이수진
송하윤
홍준호
이영미
조정희
조현우
최인영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40048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2906A/ko
Publication of KR20150122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2Rhamnaceae (Buckthorn family), e.g. buckthorn, chewstick or umbrella-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초임계 추출함으로써 헛개나무 열매로부터 특히 지방억제세포 분화를 제어하는 물질을 고효율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A preparation method of a fruit extract of Hovenia dulcis having anti-obesity activity}
본 발명은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초임계 추출함으로써 헛개나무 열매로부터 특히 지방억제세포 분화를 제어하는 물질을 고효율로 추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지구자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10~17 m이고 수피(樹皮)는 흑회색이며 작은 가지는 갈자색(褐紫色)으로 피목(皮目)이 있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芽鱗]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잎은 길이 8~15 cm이며 어긋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잎에 3개의 굵은 잎맥이 발달하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자웅동주로 6~7월에 흰색 꽃이 피는데 양성화(兩性花)이다. 꽃은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9-10월에 얻을 수 있는 열매는 갈색이 돌고 지름 8 mm 정도이며 닭의 발톱 모양이다. 열매의 3실에 각각 1개씩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다갈색이고 윤기가 있다. 열매가 익을 무렵이면 과경(果莖)이 굵어져서 울퉁불퉁하게 된다. 은은한 향기가 있고, 단맛이 있어 먹을 수 있으며 음식맛을 한결 돋운다. 본초강목에서는 술을 썩히는 작용이 있다고 하며 생즙은 술독을 풀고 구역질을 멎게 한다고 하였다. 목재는 건축재, 가구재 및 악기재 등으로 사용한다. 한국, 일본 및 중국에 분포한다.
비만은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생기며 심혈관계 질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질환을 야기한다. 지방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및 전구지방세포(preadipocyte)로 부터 분화된다. 분화된 지방세포는 지질대사기능, 당대사기능에 관여하며, leptin, resistin, adiponectin, tumor necrosis factor alpha(TNF-α), interleukin 6(IL-6), chemokine 등 다양한 아디포카인(adipokine)을 분비하여 음식의 섭취와 에너지 균형에 관여하며,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등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Hotamisligil GS et al., Science, 1993, 259(5091), 87-91).
3T3-L1 세포는 전구지방세포(preadipocyte)로 insulin, dexamethasone, isobutyl methylxanthine으로 조성된 분화유도 물질을 첨가했을 때 지방세포로 분화되며 지방세포의 분화는 지방 조직세포에 특징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조절부위에 작용하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PPARs) family,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family(C/EBP family) 같은 transcription factor들이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Ailhaud G, Clin Chim Acta, 1999, 286(1-2), 181-190).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서 3T3-L1을 포함한 여러 세포주에서 지방세포분화 유도 물질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하는데 C/EBPβ, C/EBPδ 발현이 증가되면 지방세포로 분화가 유도되며 PPARγ 발현을 자극한다는 것이 보고되었다. 지방세포 분화 상태에서 C/EBPα는 지속적으로 발현이 되며, PPARγ는 C/EBPβ와 C/EBPδ 발현이 감소하는 동안에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EBPα는 분화 말기에 여러 지방조직 특이성 유전자들이 발현되기 전에 증가하여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며(Long SD et al., Biochem J., 1996, 319, 179-184) PPARγ는 adipogenesis의 주요 조절자로 leptin, Fatty acid synthese (FAS) 및 Fatty acid binding protein (aP2) 등의 adipogenic gene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특히, PPARγ와 C/EBPα는 pre-adipocyte 상태일 때는 발현이 되지 않다가 adpipocyte로 분화하는 과정 중에 다른 지방세포 특이적인 유전자들의 발현에 앞서 발현되어 PPARγ와 C/EBPα의 유전자 발현은 세포분화 마지막 단계의 중요한 특징으로 여겨진다(Kwak DH et al., Plos One, 2012, 7(11), e49530; Farmer SR, Cell Metab., 2006, 4(4), 263-273).
adiponectin은 adipokine의 하나로 adipocytes에서 분비된다. 체내 adiponectin 량은 인슐린 민감성과 관련이 있으며 비만이나 Type2 당뇨병에 그 양이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지방세포 분화시에 다량분비되어 전구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 분화를 유도하게 된다(Trujillo ME et al., J Intern. Med., 2005, 257, 167-175).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헛개나무 열매를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얻은 헛개나무 열매 분쇄물을 40℃ 내지 60℃의 온도 및 150 bar 내지 400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주용매로 사용하고 에탄올을 보조 용매로 사용하여 초임계 추출함으로써 헛개나무 열매로부터 특히 지방억제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물질을 고효율로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초임계 추출을 이용하여 헛개나무 열매 유래 항비만 활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1) 헛개나무 열매를 건조하는 단계(단계 1);
2) 상기 헛개나무 열매 건조물을 분쇄하는 단계(단계 2); 및
3) 상기 헛개나무 열매 분쇄물을 40℃ 내지 60℃의 온도 및 150 bar 내지 400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주용매로 사용하고 에탄올을 보조 용매로 사용하여 초임계 추출함으로써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3).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단계 3 이후에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단계 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단계 1은, 헛개나무 열매를 건조하는 단계로서, 헛개나무 열매의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처리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헛개나무(Hovenia dulcis)"는 갈매나무과 헛개나무속에 속하는 갈잎큰키나무로서 지구자나무라고도 하는 식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헛개나무 열매"는 헛개나무의 열매 부위를 의미한다. 상기 헛개나무의 열매 부위는 헛개나무의 과병을 가진 열매 및 씨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서는 헛개나무 열매 부위를 사용하여 항비만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추출 원료로서 헛개나무 열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1은 열풍 건조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풍 건조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기로 40℃ 내지 7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열풍 건조는 수일 동안, 바람직하기로 1 내지 3일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헛개나무 열매의 수분 함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헛개나무 열매 건조물을 분쇄하는 단계로서, 헛개나무 열매 건조물을 일정 크기로 분쇄시켜 헛개나무 열매의 추출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처리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헛개나무 열매 건조물은 0.5 mm 내지 2 mm의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분쇄 시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 밖일 경우, 헛개나무 열매의 추출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0.5 mm 미만의 입자 크기에서는 초임계 추출 시 압력 부하로 인하여 추출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2 mm 보다 큰 입자 크기에서는 입자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물질이 초임계 유체에 의해 외부로 추출되기 어려워 결과적으로 유효물질의 추출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헛개나무 열매 분쇄물을 40℃ 내지 60℃의 온도 및 150 bar 내지 400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주용매로 사용하고 에탄올을 보조 용매로 사용하여 초임계 추출함으로써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서, 전처리된 헛개나무 열매를 일정 추출 조건 하에서 초임계 추출하여 헛개나무 열매의 항비만 활성을 갖는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3의 초임계 추출은 추출조 압력을 150 bar로 유지하면서 1차적으로 유지 성분을 추출 분리하고 이후 200 bar 내지 400 bar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보조용매를 함께 흘려보내면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 속도는 바람직하기로 2 bar/min 내지 25 bar/min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단계 3의 초임계 추출은 압력을 고정하면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3의 초임계 추출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함께 보조용매를 추가로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보조용매"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함께 사용되는 유기용매를 의미한다. 보조용매를 추가로 사용하여 수행할 경우,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을 사용할 경우에 헛개나무 열매에서 빠져나오지 못한 잔류 오일 및 수용성 물질을 추출할 수 있고 항비만 활성 물질의 추출 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용매는 바람직하기로 에탄올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용매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및 보조용매 혼합물의 1 내지 10 부피%로 포함될 수 있으며, 5 부피%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추출 효율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3의 초임계 추출은 추출조 압력을 150 bar로 유지하면서 1차적으로 유지 성분을 추출 분리하고 이후 200 bar 내지 350 bar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보조용매를 함께 흘려보내면서 수행하는 것이 항비만 활성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임계 추출 조건으로 온도를 50℃로 조절하고, 압력을 각각 달리 조절하면서 보조용매를 사용하여 각 추출 조건에서 헛개나무 열매 유래 초임계 추출물을 얻고 상기 각 추출물 중 항비만 활성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50 ℃, 150 bar에서 300 bar로의 가압조건하에서 보조용매를 사용할 경우에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항비만 활성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예 3, 표 4). 이로써 추출 시 추출 압력을 낮은 압력으로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가압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항비만 활성 성분의 추출 효율면에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 3의 초임계 추출은 바람직하기로 120분 내지 300분 동안, 더욱 바람직하기로 150분 내지 180분 동안, 가장 바람직하기로 165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로서, 추출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내 잔류용매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농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농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통상의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행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PPARγ, C/EBPα, aP2, FAS, adiponectin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유래 항비만 활성 추출물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얻음으로써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잔류용매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in vitro 시험 결과에서도 항비만 활성 효율이 종래의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종래의 헛개나무 열매 물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더욱 높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율을 보였으며, 그 결과 세포독성이 없는 낮은 농도에서 높은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술한 추출 방법을 통하여 추출 및 수득된 헛개나무 열매 유래 항비만 활성 추출물은 종래의 물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비만 활성을 가지므로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며, 이에 따라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비만의 발생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비만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에 더하여,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는 것은, 이를 투여 시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되어, 의약품, 사료 첨가제, 음용수 첨가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완충액 또는 정균제 등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들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로키제(troches), 로젠지(lozenge), 정제,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Amylo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젤라틴(Gelatin)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Polyethylene glycol wax) 등과 같은 윤활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액으로 제제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ampoule) 또는 바이알(vial)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한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1 mg/kg 내지 1,0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g/kg 내지 500 mg/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전술한 추출 방법을 통하여 추출 및 수득된 헛개나무 열매 유래 항비만 활성 추출물은 종래의 물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항비만 활성을 가지므로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에 효과적이며, 이에 따라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로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추가 성분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음료 또는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물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헛개나무 열매 유래 항비만 활성 추출물을 얻음으로써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잔류용매가 거의 남아있지 않으며, 종래의 물 추출물보다 항비만 활성 효율이 높게 나타나는 항비만 활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지방세포 분화 억제율을 보여 항비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압을 실시하면서 초임계 추출할 경우의 전체 초임계 추출 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진도이다. 이때 (a)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이며, (b)는 실시예 2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이고, (c)는 실시예 3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이 세포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기재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
먼저, 헛개나무 열매를 50℃에서 열풍 건조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0.5 mm의 입자 크기로 미분쇄함으로써 전처리하였다.
하기 표 1과 같이 초임계 추출 조건으로 온도를 50℃로 조절하고, 상기 온도 조건에서 압력을 각각 달리 조절하여 각 추출 조건에서 초임계 추출 장비(ISA-SCFE-0050-0100-080-re, 일신오토클레이브, 한국)를 이용하여 상기 전처리된 헛개나무 열매 분쇄물을 200 g의 양으로 주입하고 각 헛개나무 열매 분쇄물 시료 당 165 분 동안 초임계 추출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액화 이산화탄소를 흘려보내면서 추출조와 분리조, 액화 이산화탄소 봄베이의 압력이 같아지도록 유지하였다(등압과정, 도 1의 A 구간 전단계). 이후 추출조 온도를 50℃로 조정하고 이산화탄소 유량 60 ml/min으로 추출조 압력을 150 bar까지 서서히 높이고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약 30분간 유지하면서 기름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초임계유체 추출하였다(도 1의 A 구간). 이후 상기 시료에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함께 보조용매로서 에탄올을 6 ml/min의 유량으로 주입하면서 추출조 압력을 10분 동안 설정 압력(200, 300, 400bar)까지 올리고 설정 압력에 도달하면 약 5분 동안 추출물을 분리하여 얻었다(도 1의 B 구간). 설정 압력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와 보조용매를 흘려보내면서 추가로 약 90분 동안 추출하였으며(도 1의 C 구간: SFE + with co-solvent), 이후 다시 30분 동안 순수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추출을 실시하였다(도 1의 D 구간, SFE 추출법). 이때, 실시예 1은 150 bar로부터 설정 압력 200 bar로 가압하였고, 실시예 2는 150 bar로부터 설정 압력 300 bar로 가압하였으며, 실시예 3은 150 bar로부터 400 bar로 가압하였고, 실시예 4 내지 6은 각각 200 bar, 300 bar 및 400 bar로 압력을 일정하게 고정하였다. 상기 가압 시 가압 속도는 15 분 내에 원하는 압력에 도달하도록 조절하였으며 가압은 보조용매 주입과 동시에 시작하였다. 가압을 실시할 경우의 전체 초임계 추출 공정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식화하였다.
초임계 추출이 완료되면, 초임계 추출 장치의 추출조 압력을 낮춰 초임계유체 상태를 해제하여 추출물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물은 로터리 진공증발건조기(EYELA,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농축하여, 추출물 내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번호 온도(℃) 압력(bar) 입자 크기(mm)
1 50 150 → 200 0.5
2 50 150 → 300 0.5
3 50 150 → 400 0.5
4 50 200 0.5
5 50 300 0.5
6 50 400 0.5
도 2에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을 나타내었다. 이때 (a)는 실시예 1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이며, (b)는 실시예 2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이고, (c)는 실시예 3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형상이다.
실험예 1: 압력 추출 조건에 따른 추출수율 조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은 헛개나무 열매의 초임계 추출물의 추출수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번호 주입시료량(g) 추출량(g) 수율(%)
1 200 1.358 0.679
2 200 1.986 0.993
3 200 1.917 0.958
4 200 3.422 1.711
5 200 1.919 0.959
6 200 3.541 1.77
상기 표 2와 같이, 추출 수율은 0.679% 내지 1.77%의 수준에서 크게 차이 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세포 생존률 측정( MTS assay )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의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에 대하여 MTS assay를 통한 세포 생존률을 측정하였다.
3T3-L1 세포를 5 × 103cells/well 농도로 96-well plate 내의 10% FBS가 첨가된 DMEM 위에 접종하여 24 시간 동안 5% CO2 및 37℃ 조건으로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를 각각 1, 5 및 10 ㎍/ml 농도의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로 48 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 생존률을 Cell Proliferation MTS Kit (Promega Corporation, Madison, USA)를 사용설명서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MTS [3-(4,5-dimethylthiax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시약을 20 ㎕씩 각 well에 첨가한 뒤, 3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생성된 formazan을 microplate reader(infinite M200 Pro, Tecan Group Ltd., Swizrland)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이 세포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통해, 실시예 1, 2, 3 및 6에서는 1 ㎍/㎖ 및 5 ㎍/㎖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10 ㎍/㎖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4 및 5의 경우, 1 ㎍/㎖ 농도에서는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5 ㎍/㎖ 및 10 ㎍/㎖에서 세포생존율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이 3 T3 - L1 지방세포로의 분화유도시 발현되는 유전자에 대해 미치는 영향 조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어진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에 대하여 세포 생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를 선택하여 3T3-L1 지방세포로의 분화 유도시 발현되는 유전자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8일 동안 분화된 3T3-L1 cell을 GeneAllR RiboExTotal RNA extraction Kit(GeneAllBiotechnology,Seoul,RepublicofKorea)와 QIAzol lysis reagent (QIAZEN sciences, Maryland, USA)를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Total RNA는 first-strand cDNA의 template로 사용되었으며, Power cDNA Synthesis Kit (iNtRON Biotechnology, Seoul, Republic of Korea)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PCR 조성은 RNA 1 ㎍으로 합성된 cDNA를 증류수로 1/50로 희석하여 5 ㎕를 사용하였고, 10 pmole primer를 각각 0.5 ㎕, 2X SYBR Green 10 ㎕, 및 4 ㎕의 증류수를 사용하여 total volume을 20 ㎕로 맞추었다. Real-time PCR cycle은 초기변성은 95℃에서 30초, 변성은 95℃에서 5초, annealing은 60℃에서 15초, 신장반응은 72℃에서 10초로 하여 40 cycle을 진행했고 융해곡선은 55℃에서 시작해서 95℃를 끝으로 하여 0.5℃씩 상승시키며 60번을 반응하여 원하는 형광 값을 검출했다. 유전자 발현은 Step One Plus Real-time RT-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Step One Software v2.1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사용하여 comparative CT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Endogenous control로 GAPDH가 사용되었으며 target cDNA는 하기 표 3의 sense 및 antisense primer로 증폭되었다.
Target primer sequences
GAPDH 5'-AACTTTGGCATTGTGGAAGG-3' (sense)(서열번호 1)
5'-GGATGCAGGGATGATGTTCT-3' (antisense)(서열번호 2)
PPARγ 5'-TTTTCAAGGGTGCCAGTTTC-3' (sense)(서열번호 3)
5'-TTATTCATCAGGGAGGCCAG-3' (antisense)(서열번호 4)
C/EBPα 5'-GCCGAGATAAAGCCAAACAA-3' (sense)(서열번호 5)
5'-CCTTGACCAAGGAGCTCTCA-3' (antisense)(서열번호 6)
aP2 5'-AGCATCATAACCCTAGATGG-3' (sense)(서열번호 7)
5'-GAAGTCACGCCTTTCATAAC-3' (antisense)(서열번호 8)
FAS 5'-TGGTGGGTTTGGTGAATTGTC-3' (antisense)(서열번호 9) 5'-GCTTGTCCTGCTCTAACTGGAAGT-3' (antisense)(서열번호 10)
Adiponectin 5'-AGCCTGGAGAAGCCGCTTAT-3' (sense)(서열번호 11)
5'-TTGCAGTAGAACTTGCCAGTGC-3' (antisense)(서열번호 12)
상기 지방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율 조사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농도(㎍/㎖) PPARγ C/EBPα aP2 FAS adiponectin
1 1 33.9 - 42.51 - 34.64
5 - - - - -
2 1 55.46 34.48 43.18 84.34 72.14
5 29.789 - - 46.12 4.14
3 1 - - - - 76.94
2 - - - - -
4 1 - - 30.08 - 18.61
2 - - 40.04 44.38 52.85
5 1 53.50 37.04 16.33 - -
5 48.12 - - - -
6 1 - 22.31 - - -
5 - - - - -
상기 표 4를 통해, 실시예 2의 경우 1 ㎍/㎖의 농도에서 PPARγ, C/EBPα, aP2, FAS, adiponectin의 유전자 발현을 55.46%, 33.48%, 43.18%, 84.34%, 72.14%까지 각각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3 및 4의 경우에도 일부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실시예 2에서 가장 높게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각 유전자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의 추출 조건에 따라 지방세포 분화에 다른 영향을 나타내며, 특히 실시예 2의 경우에 각 타겟 유전자 발현을 낮은 농도에서 더욱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를 위하여, 헛개나무 열매의 물 추출물을 제조하여 3T3-L1 지방 세포에서 분화 유도시 지방세포 분화와 관련된 각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는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를 사용하였다. 상기 헛개나무 열매의 물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6과 동일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초임계 추출 대신 100℃의 열수를 사용하여 165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얻었다. 상기 조사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물질명 농도(㎍/㎖) PPARγ C/EBPα
헛개나무 열매 물 추출물 10 15.80 26.49
50 35.51 58.11
100 41.19 67.72
EGCG 10 μM 60.81 72.56
상기 표 5를 통해, 헛개나무 열매의 물 추출물이 41.19%의 PPARγ의 유전자 발현 억제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1 ㎍/㎖ 농도에서 55.46%를 나타내어 헛개나무 열매 물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도 더 높게 PPARγ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EBPα의 경우에 헛개나무 열매의 물 추출물은 10 ㎍/㎖ 농도에서 26.49%의 억제율을 보였다. 이에 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헛개나무 열매 초임계 추출물은 1 ㎍/㎖ 농도에서 34.48%의 억제율을 보여 헛개나무 열매 물 추출물에 비하여 낮은 농도에서 지방세포 분화를 더욱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110> Jeonnam Bioindustry Foundation <120> A preparation method of a fruit extract of Hovenia dulcis having anti-obesity activity <130> KPA140302-KR <160> 12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GAPDH <400> 1 aactttggca ttgtggaag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GAPDH <400> 2 ggatgcaggg atgatgttct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PPAR gamma <400> 3 ttttcaaggg tgccagtttc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PPAR gamma <400> 4 ttattcatca gggaggccag 20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C/EBP alpha <400> 5 gccgagataa agccaaacaa 20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C/EBP alpha <400> 6 ccttgaccaa ggagctctca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aP2 <400> 7 agcatcataa ccctagatgg 20 <210> 8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aP2 <400> 8 gaagtcacgc ctttcataac 20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FAS <400> 9 tggtgggttt ggtgaattgt c 21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FAS <400> 10 gcttgtcctg ctctaactgg aagt 24 <210> 1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sense primer for Adiponectin <400> 11 agcctggaga agccgcttat 20 <210> 1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ntisense primer for Adiponectin <400> 12 ttgcagtaga acttgccagt gc 22

Claims (7)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1) 헛개나무 열매를 건조하는 단계(단계 1);
    2) 상기 헛개나무 열매 건조물을 분쇄하는 단계(단계 2); 및
    3) 상기 헛개나무 열매 분쇄물을 40℃ 내지 60℃의 온도 및 150 bar 내지 400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주용매로 사용하고 에탄올을 보조 용매로 사용하여 초임계 추출함으로써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단계 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초임계 추출은 추출조 압력을 150 bar로 유지하면서 1차적으로 유지 성분을 추출 분리하고 이후 200 bar 내지 400 bar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보조용매를 함께 흘려보내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속도는 2 bar/min 내지 25 bar/min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매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및 보조용매 혼합물의 1 내지 10 부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초임계 추출은 추출조 압력을 150 bar로 유지하면서 1차적으로 유지 성분을 추출 분리하고 이후 200 bar 내지 350 bar로 가압하면서 동시에 보조용매를 함께 흘려보내면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40048934A 2014-04-23 2014-04-23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50122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934A KR20150122906A (ko) 2014-04-23 2014-04-23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934A KR20150122906A (ko) 2014-04-23 2014-04-23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906A true KR20150122906A (ko) 2015-11-03

Family

ID=54599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934A KR20150122906A (ko) 2014-04-23 2014-04-23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29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6498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US8828955B2 (en) Glutathione production enhancer, prophylactic/therapeutic agent for diseases caused by glutathione deficiency, and food, beverage and feed
KR20180003073A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3326638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l-6-mediated diseases comprisingrosa rugosa
KR101454532B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01312B1 (ko)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7229513B2 (ja) 脳の機能改善剤および脳の機能改善用飲食品
KR102275055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02510B1 (ko)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20190109926A (ko)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을 이용한 관절염 개선용 조성물
EP3127547B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lpine wormwood
KR101257329B1 (ko) 해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30066323A (ko)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과 기능성 식품
KR102242400B1 (ko)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KR101436213B1 (ko) 긴잎모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122906A (ko)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890220B1 (ko)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인삼열매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7884129B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alcohol compound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cucurbitaceae family plant having anti-adipogenic and anti-obesity activity
KR20200072952A (ko) 새찰쌀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44546B1 (ko)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633488B1 (ko) 배초향 추출물 또는 틸리아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질환 개선, 치료 또는 예방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