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546B1 -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546B1
KR102544546B1 KR1020220079478A KR20220079478A KR102544546B1 KR 102544546 B1 KR102544546 B1 KR 102544546B1 KR 1020220079478 A KR1020220079478 A KR 1020220079478A KR 20220079478 A KR20220079478 A KR 20220079478A KR 102544546 B1 KR102544546 B1 KR 102544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mixture
leaf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별
Original Assignee
(주)피노젠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노젠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주)피노젠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2007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은 이들 단독 추출물에 비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현저히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비만용 기능성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containing mixture of plant leaf extract including pine needl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 구체적으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로, 주로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일어나는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유도되며, 이 외에도 호르몬의 변화, 유전, 정신건강 문제 및 사회경제적 요인 등에 의해서도 유도된다고 알려져 있다. 비만 인구는 전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성인병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받으며 비만의 심각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세로토닌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플루라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세로토닌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에 작용하는 시부트라민 및 췌장에서 생성되는 리파아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주는 오르리스타트 등의 약물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사용되어온 약물 중 펜플루라민 등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 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켜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다른 약물들도 혈압감소나 유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은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물질의 개발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 현대인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부작용이 거의 없고 자연에서 채취가 가능한 천연자원에 대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솔잎은 옛부터 장기간 생식하면 늙지 않고 몸이 가벼워지며 힘이 나고 흰머리가 검어지고 추위와 배고픔을 모른다고 해서 신선식품이라 하였다. 동의보감에도 풍습창(습기로 인해 뼈마디가 저리고 아픈 질환)을 다스리고 머리털을 나게 하며 오장육부를 편하게 하고 곡식 대용으로 쓰인다고 기술되어 있다. 솔잎은 불포화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콜레스테롤의 축적을 막고 동맥경화를 방지한다. 또한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촉진함으로써 뇌세포 기능을 향상시키며, 이외에도 고혈압, 당뇨, 심장병, 중풍, 빈혈, 마약, 니코틴 해독, 유해산소 노폐물 제거 등에 좋다.
뽕나무는 식물분류학상 Morus alba L.로 표시되는 교목식물이다. 뽕나무(Mulberry)는 열매, 잎, 가지, 뿌리껍질, 뽕나무에 기생하는 겨우살이, 상황버섯, 누에, 동충하초에 이르기까지 하나도 버릴게 없는 신목으로서 '동의보감' 및 '본초강목'에는 고혈압과 동맥경화, 중풍을 비롯해 각기에 의한 부종, 신경통과 관절염, 감기의 기침과 가래 등에 효과가 있고, 자양강장 효과도 있는 것으로 적혀있다.
보리수나무(Elaeagnus umbellata)는 우리나라 북구, 중부, 남부, 제주도의 산기슭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나무 높이는 보통 3~4m까지 자라고,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보리수나무 대부분은 잔가지의 일부가 가시로 변하고, 잎의 형태는 타원형이거나 달걀 모양의 끝이 무딘 긴 타원형이며 밑은 쐐기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잎의 윗면은 초록색이나 아랫면은 은백색의 비늘쪽으로 덮여있어 백색으로 보인다. 보리수나무는 생약으로 널리 알려져 있고, 맛은 시고 쓰며 약성은 시원한 성질이다. 중국에서도 보리수나무의 잎, 열매, 뿌리를 우내자(牛子)라고 지칭하며 이질, 지혈, 지사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소화불량, 기침 등의 치료에서 민간 약물로 쓰이고 있다.
식물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22-0071066호에 차즈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874161호에 나무딸기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비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 구체적으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해 전혀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 구체적으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솔잎, 뽕나무 잎 또는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단독에 비해 본 발명의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의 항비만 효과가 현저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 구체적으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은 이들 단독 추출물에 비해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및 이들 혼합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이다. CTL은 무처리 대조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및 이들 혼합물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MDI[IBMX(3-isobutyl-1-methylxanthi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및 인슐린(insulin)의 혼합물]는 분화 유도 물질로,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은 무처리군(0) 대비 MDI 단독 처리군의 지방세포 분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의미하며, p<0.001이다. ***은 솔잎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또는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단독 처리군 대비 이들 추출물의 혼합물 처리군의 지방세포 분화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01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솔잎은 바람직하게는 적송(Pinus densiflora)의 잎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은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10~100 중량부,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10~10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50 중량부,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50 중량부를 혼합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인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슬리밍(slimming)"은 국소 비만 상태의 개선, 즉 지방세포 내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체액 축적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피부를 탄력 있게 가꾸어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아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제,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 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의 경우, 피부에 국소적으로 도포,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농도는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필요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범위의 농도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주사제, 크림,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사료관리법상의 보조사료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규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제조예 및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제조예 1.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
솔잎, 뽕나무 잎 또는 보리수나무 잎을 증류수로 깨끗이 씻고 건조한 다음, 분쇄한 후, 각각의 건조 분쇄물 10g에 대해 200mL의 물을 첨가한 다음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각각의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실험의 시료(솔잎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제조예 2.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각각의 추출물을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50 중량부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50 중량부를 혼합하여 실험의 시료(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세포 독성 확인
제조예 1 및 2의 솔잎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및 이들 혼합물이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Mosmann(1983)의 방법을 이용하여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을 실시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는 미국세포주은행(ATCC)으로부터 구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3T3-L1은 지방세포의 대사과정을 연구하는 데에 널리 이용되는 세포주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100㎕의 10%(v/v)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 BCS)을 포함한 DMEM 배지가 담긴 96-웰 플레이트에 1일 동안 배양한 후, 50㎍/㎖의 시료(제조예 1의 추출물 또는 제조예 2의 혼합물)를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에, 각 웰에 5㎎/㎖의 MTT 용액을 10㎕씩 분주한 후 3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환원반응을 유도하였으며, 100㎕의 DMSO(dimethyl sulfoxide) 용액을 첨가하여 보라색의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 무처리 군의 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시료 처리군의 상대적 세포 생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예 1 및 2의 솔잎 추출물, 뽕나무 잎 추출물,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및 이들 혼합물은 50㎍/㎖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확인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마우스 지방전구세포인 3T3-L1을 10%(v/v)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 BCS)을 포함한 DMEM 배지에 넣고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5 개가 되도록 24웰 배양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웰이 지방전구세포로 100% 채워지는 시점이 된 이후에,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지방전구세포는 MDI[0.5mM IBMX(3-isobutyl-1-methylxanthine), 1μM 덱사메타손 및 1㎍/㎖ 인슐린]를 포함하는 10%(v/v) 소 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시간 후, 1㎍/㎖ 인슐린이 함유된 10%(v/v) FBS DMEM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총 4일 동안 10% FBS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1 또는 2의 시료를 50㎍/㎖ 농도로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분화 완료 후, 지방의 축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오일 레드 O 염색을 하였다. 상기 실험에서 유도한 지방세포의 분화 정도를 오일 레드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염색된 염색 시료를 추출하여 지방세포 염색 정도를 500nm 흡광도에서 세포의 분화된 지방의 양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예 1 및 2의 시료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고, 특히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은 이들 단독 추출물에 비해 현저히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였다.

Claims (7)

  1.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를 혼합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를 혼합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6.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를 혼합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솔잎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뽕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 40~60 중량부를 혼합한, 솔잎, 뽕나무 잎 및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사료 첨가제.
KR1020220079478A 2022-06-29 2022-06-29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544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78A KR102544546B1 (ko) 2022-06-29 2022-06-29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478A KR102544546B1 (ko) 2022-06-29 2022-06-29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546B1 true KR102544546B1 (ko) 2023-06-21

Family

ID=86989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478A KR102544546B1 (ko) 2022-06-29 2022-06-29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5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65B1 (ko) * 2016-09-26 2018-04-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솔잎착즙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00002260A (ko) * 2018-06-29 2020-01-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65B1 (ko) * 2016-09-26 2018-04-04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솔잎착즙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200002260A (ko) * 2018-06-29 2020-01-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은정 외 4인.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백서에서 뽕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년, 제23권, 제4호, pp. 831-836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9954B2 (ja) モリンガ葉抽出物及び杜仲抽出複合物の抗菌、抗酸化、抗炎症、歯槽骨消失の抑制及び再生による歯肉炎及び歯周炎の改善方法
EP2240193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101671852B1 (ko) 큰땅빈대 또는 애기땅빈대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2401156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lk thistl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275055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544546B1 (ko)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57372B1 (ko) 생열귀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189794B1 (ko) 양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24005224A1 (ko) 솔잎을 포함한 식물 잎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50077794A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210131598A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2017521411A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美白用組成物
KR20190089748A (ko) 눈빛승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