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2478A -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2478A
KR20150122478A KR1020140048790A KR20140048790A KR20150122478A KR 20150122478 A KR20150122478 A KR 20150122478A KR 1020140048790 A KR1020140048790 A KR 1020140048790A KR 20140048790 A KR20140048790 A KR 20140048790A KR 20150122478 A KR20150122478 A KR 20150122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nalog
digital
control signa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8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2627B1 (ko
Inventor
채영철
김재홍
송성우
조우진
황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8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627B1/ko
Priority to US14/583,982 priority patent/US9774347B2/en
Publication of KR20150122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2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458Analogue/digital converters using delta-sigma modulation as an intermediate step
    • H03M3/478Mean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ng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Means for out-of-range indication
    • H03M3/48Mean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ng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Means for out-of-range ind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nge control, e.g. limiting
    • H03M3/482Mean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ng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Means for out-of-range ind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nge control, e.g. limiting by adapting the quantisation step size
    • H03M3/484Mean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ng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Means for out-of-range ind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nge control, e.g. limiting by adapting the quantisation step size by adapting the gain of the feedback signal, e.g. by adapting the reference values of the digital/analogue converter in the feedback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39Structural details of delta-sigma modulators, e.g. incremental delta-sigma modulators
    • H03M3/392Arrangements for selecting among plural operation modes, e.g. for multi-standard operation
    • H03M3/394Arrangements for selecting among plural operation modes, e.g. for multi-standard operation among different orders of the loop fil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3/00Conversion of analogue values to or from differential modulation
    • H03M3/30Delta-sigma modulation
    • H03M3/458Analogue/digital converters using delta-sigma modulation as an intermediate step
    • H03M3/478Mean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ng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Means for out-of-range indication
    • H03M3/48Mean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ng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Means for out-of-range ind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nge control, e.g. limiting
    • H03M3/486Mean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range of the input signal and the range of signals the converter can handle; Means for out-of-range ind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range control, e.g. limiting by adapting the input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5Circuitry for providing, modifying or processing image signals from the pixel arra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1205Multiplexed conversion systems
    • H03M1/123Simultaneous, i.e. using one converter per channel but with common control or reference circuits for multiple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이미지 센서는, 픽셀 어레이, 제어부 및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픽셀 어레이는 칼럼 라인들에 각각 결합되고, 입사광을 감지하여 상기 칼럼 라인들을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발생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은 상기 칼럼 라인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델타-시그마 변조 및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한다.

Description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Reconfigurable analog-digital converter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 조건에 따라서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센서의 기본적인 기능 중의 하나로서 감도 조절 기능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의 감도 조절 기능은 프로그래머블 이득 증폭기(PGA; programmable gain amplifier) 또는 가변 이득 증폭기(VGA: variable gain amplifi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변 이득 증폭기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전단에 배치되어, 픽셀 어레이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변 이득 증폭기는 정적 파워를 소모하여 비효율적이고 이미지 센서의 사이즈를 증가시키다. 종래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단순한 증폭 동작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하기 때문에, 칼럼 고정 패턴 노이지(CFPN: column fixed pattern noise), 양자화 노이즈(quantization noise)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노이즈에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는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상기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는, 픽셀 어레이, 제어부 및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픽셀 어레이는 칼럼 라인들에 각각 결합되고, 입사광을 감지하여 상기 칼럼 라인들을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발생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은 상기 칼럼 라인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델타-시그마 변조 및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차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를 변경하여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계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계수들을 변경하여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양자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양자화 비트수를 변경하여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가중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가변 가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변조기; 및 상기 변조 신호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조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서 피드백 신호를 감산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합산기; 상기 제1 신호를 적분하여 제2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 및 적분 계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가변 적분부; 상기 제2 신호 및 복수의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양자화기; 및 상기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피드백 전압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적분부는, 전단의 출력이 후단의 입력과 연결되도록 케스케이드 결합된 복수의 적분기들;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을 합산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는 적분 합산기; 및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과 상기 적분 합산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차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의 각각과 상기 적분 합산기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분 합산기는, 용량성 결합을 통하여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을 합산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계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커패시턴스들이 각각 변경되는 가변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화기는,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들의 각각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양자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비교기들; 및 상기 비교기들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자화기는, 상기 양자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교기들 중에서 인에이블되는 비교기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변조 신호의 비트수가 증가하는 가변 양자화기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가중 신호를 발생하는 가중 신호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필터는, 상기 가변 가중 신호에 기초하여 싱크 필터링 또는 매치드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변조기; 및 상기 변조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한다.
상기 변조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서 피드백 신호를 감산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합산기; 상기 제1 신호를 적분하여 제2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 및 적분 계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적분부; 상기 제2 신호 및 복수의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양자화기; 및 상기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피드백 전압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는 동작 조건에 따라서 노이즈 전달 함수를 변화시키면서 적응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노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면서 변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는 정적 파워를 소모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배제하여 변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파워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구성형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적분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적분부에 포함되는 적분기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적분기들에 사용되는 리셋 신호와 클록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적분부에 포함되는 적분 합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계수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적분 계수들의 변경을 통한 노이즈 쉐이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양자화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디지털 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a, 13b, 13c, 13d 및 13e는 도 12의 디지털 필터에 제공되는 가변 가중 신호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서(10)는 픽셀 어레이(pixel array)(20), 로우 구동부(row driver)(3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to-Digital Conversion; ADC)부(40), 칼럼 구동부(column driver)(50), 제어부(controller)(60), 기준 전압 발생기(reference voltage generator; REF)(70) 및 가중 신호 발생기(weight signal generator; WSG)(8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셀 어레이(20)는 칼럼 라인(COL)들에 각각 결합되고, 입사광을 감지하여 칼럼 라인(COL)들을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발생하는 복수의 픽셀(21)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픽셀들은 복수의 행들과 복수의 열들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로우 구동부(30)는 픽셀 어레이(20)의 각 로우(row, 행)에 연결되고, 상기 각 로우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우 구동부(30)는 픽셀 어레이(20)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픽셀들을 로우 단위로 구동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픽셀 어레이(20)의 각 칼럼(column, 열)에 연결되고, 픽셀 어레이(21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들을 포함하며, 각 칼럼 라인(COL)마다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병렬로(즉, 동시에)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는 칼럼 ADC를 수행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들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델타-시그마 변조 및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는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는 유효 신호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하나의 상관 이중 샘플링(correlated double sampling; CDS)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부는 리셋 성분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리셋 신호와 이미지 성분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유효 이미지 성분을 추출하는 아날로그 더블 샘플링(Analog Double Sampl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부는 상기 아날로그 리셋 신호와 상기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를 디지털 신호들로 각각 변환한 후 상기 유효 이미지 성분으로서 두 개의 디지털 신호의 차이를 추출하는 디지털 더블 샘플링(Digital Double Sampling)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관 이중 샘플링부는 상기 아날로그 더블 샘플링 및 상기 디지털 더블 샘플링을 모두 수행하는 듀얼 상관 이중 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다.
칼럼 구동부(5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들을 출력 데이터(Dout)로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제어부(60)는 로우 구동부(3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 칼럼 구동부(50), 기준 전압 발생기(70) 및 가중 신호 발생기(8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로우 구동부(3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40), 칼럼 구동부(50), 기준 전압 발생기(70) 및 가중 신호 발생기(80)의 동작에 요구되는 클럭 신호, 타이밍 컨트롤 신호 등과 같은 제어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는 로직 제어 회로,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 Loop; PLL) 회로, 타이밍 제어 회로 및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60)는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환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들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조건은, 이미지 센서(10)의 동작 온도, 제조 공정상의 편차, 그 밖의 동작 환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환 제어 신호는 후술하는 차수 제어 신호(ORC), 계수 제어 신호(CEC) 및 양자화 제어 신호(QC)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들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 적분 계수들 및 양자화 비트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기준 전압 발생기(70)는 복수의 기준 신호들(Vref) 및 복수의 피드백 전압들(Vi)을 발생할 수 있다. 기준 신호들(Vref) 및 피드백 전압들의 전압 레벨들 및 개수는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중 신호 발생기(80)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들의 디지털 필터링을 위한 가변 가중 신호(variable weight signal)(VWS)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60)는 상기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가변 가중 신호(VWS)가 변화하도록 가중 신호 발생기(80)를 제어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에 포함되는 디지털 필터는, 가변 가중 신호(VWS)에 기초하여 싱크 필터링 또는 매치드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도 있고, 필터링의 차수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10)는 동작 조건에 따라서 노이즈 전달 함수를 변화시키면서 적응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노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면서 변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10)는 정적 파워를 소모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배제하여 변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파워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구성형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는 변조기(modulator)(200) 및 디지털 필터(digital filter)(DF)(300)를 포함한다. 변조기(200)는 아날로그 신호(AS)에 대하여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 신호(MS)를 발생하고,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한다. 상기 변환 제어 신호는 차수 제어 신호(ORC), 계수 제어 신호(CEC) 및 양자화 제어 신호(QC)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필터(300)는 변조 신호(MS)에 대하여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DS)를 발생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는 변조기(200)의 오버샘플링(oversampling)과 디지털 필터(300)의 저역 통과 필터링(low pass filtering)을 통하여 노이즈 성분을 상당 부분 제거할 수 있고, 분해능(resolution) 또는 유효 비트수(ENOB: effective number of bits)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샘플링 비율을 증가하기 위해서는 동작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증가시켜야 하고, 이러한 주파수 증가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 분해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기(200)는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변조기(200)는 입력 합산기(input summer)(210), 가변 적분부 (variable integration block)(VIB)(230), 양자화기(quantizer)(VQ)(250) 및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DAC)(27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합산기(210)는 아날로그 신호(AS)에서 피드백 신호(FB)를 감산하여 제1 신호(SUM)를 제1 노드(N1)로 출력한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70)는 변조 신호(MS)에 응답하여 복수의 피드백 전압들(Vi)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피드백 신호(FB)를 발생한다.
가변 적분부(230)는 제1 신호(SUM)를 적분하여 제2 신호(INT)를 제2 노드(N2)로 출력하는 가변 루프 필터(variable loop filter)로 구현될 수 있다. 가변 적분부(230)는 차수 제어 신호(ORC) 및 계수 제어 신호(CEC) 중 적어도 하나에 응답하여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 및 적분 계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의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양자화기(250)는 제2 신호(INT) 및 적어도 하나의 기준 신호(Vref)에 기초하여 변조 신호(MS)를 제3 노드(N3)로 발생한다. 양자화기(250)는 양자화 제어 신호(QC)에 응답하여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양자화 비트수를 변경하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00)의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 양자화기(variable quantizer)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는 변환 제어 신호(ORC, CEC, QC)에 응답하여, 적분 차수, 적분 계수들 및 양자화 비트수를 적응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도 3은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적분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분부(230)는 복수의 적분기(integrator)들(INT1, INT2, INT3, INT4)(610, 630, 650, 670), 적분 합산기(integration summer)(680) 및 스위칭부(680)를 포함할 수 있다.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은 전단의 출력이 후단의 입력과 연결되도록 케스케이드 결합된다. 즉, 제1 적분기(610)는 도 2의 입력 합산부(210)로부터 제공되는 제1 신호(SUM)를 적분하여 제1 적분 신호(FF1)를 출력하고, 제2 적분기(630)는 제1 적분 신호(FF1)를 적분하여 제2 적분 신호(FF2)를 출력하고, 제3 적분기(650)는 제2 적분 신호(FF2)를 적분하여 제3 적분 신호(FF3)를 출력하고, 제4 적분기(670)는 제3 적분 신호(FF3)를 적분하여 제 적분 신호(FF4)를 출력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에는 4개의 적분기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3개의 적분기들 또는 5개 이상의 적분기들이 케스케이드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적분 합산기(680)는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의 출력들을 합산하여 제2 신호(INT)를 발생하고, 제2 신호(INT)는 도 2의 양자화기(250)로 제공된다.
스위칭부(400)는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의 출력들(FF1, FF2, FF3, FF4)과 적분 합산기(680) 사이에 결합된다. 스위칭부(400)는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차수 제어 신호(ORC)에 응답하여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의 출력들(FF1, FF2, FF3, FF4)의 각각과 적분 합산기(68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한다.
스위칭부(400)는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의 출력들(FF1, FF2, FF3, FF4)의 각각과 적분 합산기(680) 사이에 결합된 복수의 스위치들(SWa, SWb, SWc)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들(SWa, SWb, SWc)은 차수 제어 신호(ORC)의 비트 신호들(ORCa, ORCb, ORCc)의 각각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턴온될 수 있다.
도 4에는 차수 제어 신호(ORC)의 비트 신호들(ORCa, ORCb, ORCc)의 논리 레벨에 따라서 적분 차수를 변경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들(SWa, SWb, SWc)은 비트 신호들(ORCa, ORCb, ORCc)이 논리 로우 레벨(L)일 때 턴오프되고, 논리 하이 레벨(H)일 때 턴온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1 비트 신호(ORCa), 제2 비트 신호(ORCb) 및 제3 비트 신호(ORCc)가 모두 논리 로우 레벨(L)일 때, 제1 스위치(SWa), 제2 스위치(SWb) 및 제3 스위치(SWc)가 모두 턴오프되어 제1 적분 신호(FF1)만이 적분 합산기(680)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적분 차수는 1차가 되고, 변조기(200)는 1차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한다.
제1 비트 신호(ORCa)는 논리 하이 레벨(H)이고, 제2 비트 신호(ORCb) 및 제3 비트 신호(ORCc)는 논리 로우 레벨(L)일 때, 제1 스위치(SWa)는 턴온되고, 제2 스위치(SWb) 및 제3 스위치(SWc)는 턴오프되어 제1 적분 신호(FF1) 및 제2 적분 신호(FF2)가 적분 합산기(680)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적분 차수는 2차가 되고, 변조기(200)는 2차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한다.
제1 비트 신호(ORCa) 및 제2 비트 신호(ORCb)는 논리 하이 레벨(H)이고 제3 비트 신호(ORCc)는 논리 로우 레벨(L)일 때, 제1 스위치(SWa) 및 제2 스위치(SWb)는 턴온되고 제3 스위치(SWc)는 턴오프되어 제1 적분 신호(FF1), 제2 적분 신호(FF2) 및 제2 적분 신호(FF3)가 적분 합산기(680)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적분 차수는 3차가 되고, 변조기(200)는 3차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한다.
제1 비트 신호(ORCa), 제2 비트 신호(ORCb) 및 제3 비트 신호(ORCc)가 모두 논리 하이 레벨(H)일 때, 제1 스위치(SWa), 제2 스위치(SWb) 및 제3 스위치(SWc)가 모두 턴온되어 제1 적분 신호(FF1), 제2 적분 신호(FF2), 제3 적분 신호(FF3) 및 제4 적분 신호(FF4)가 모두 적분 합산기(680)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적분 차수는 4차가 되고, 변조기(200)는 4차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의 출력들(FF1, FF2, FF3, FF4)의 각각과 적분 합산기(68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함으로써 적분 차수를 변경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도 2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0)의 변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적분부에 포함되는 적분기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은 스위치드 커패시터 적분기(switched capacitor integrator)들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에는 입력 합산기(210)에 연결된 제1 적분기(610) 및 제2 적분기(630)의 구성만을 도시하였으며, 제3 적분기(650) 및 제4 적분기(670)는 제2 적분기(6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입력 합산기(210)는 노드(N1)에 제1 신호(SUM)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612, 613)을 포함한다. 스위치(612)는 아날로그 신호(AS)와 노드(N1)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지연 클럭 신호(P1D)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13)는 노드(N1)와 피드백 신호(FB)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지연 클럭 신호(P2D)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제1 적분기(610)는 인버터(611), 복수의 스위치들(614~618) 및 복수의 커패시터들(621~623)을 포함한다. 스위치(614)는 공통 전압(VCMR)이 인가되는 단자와 노드(N12) 사이에 연결되고, 제1 클럭 신호(P1)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15)는 노드(N12)와 노드(N14) 사이에 연결되고, 제2 클럭 신호(P2)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16)는 노드(N14)와 노드(N15) 사이에 연결되고, 리셋 신호(RST)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17)는 노드(N13)와 노드(N15) 사이에 연결되고, 리셋 신호(RST)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18)는 노드(N13)와 노드(N14)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지연 클럭 신호(P1D)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커패시터(621)는 노드(N11)와 노드(N12) 사이에 연결되어 샘플링 커패시터로서 동작한다. 커패시터(622)는 노드(N12)와 노드(13) 사이에 연결되어 커플링 커패시터로서 동작한다. 커패시터(623)는 노드(N14)와 노드(N15) 사이에 연결되고, 적분 커패시터로서 동작한다.
제2 적분기(630)는 인버터(631), 복수의 스위치들(632~638) 및 복수의 커패시터들(641~643)을 포함한다. 스위치(632)는 인버터(611)의 출력인 노드(N15)와 노드(N21)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지연 클럭 신호(P1D)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33)는 노드(N21)와 공통 전압(VCMR)이 인가되는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지연 클럭 신호(P2D)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34)는 공통 전압(VCMR)이 인가되는 단자와 노드(N22) 사이에 연결되고, 제1 클럭 신호(P1)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35)는 노드(N22)와 노드(N24) 사이에 연결되고, 제2 클럭 신호(P2)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36)는 노드(N24)와 노드(N25) 사이에 연결되고, 리셋 신호(RST)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37)는 노드(N23)와 노드(N25) 사이에 연결되고, 리셋 신호(RST)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스위치(638)는 노드(N23)와 노드(N24)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지연 클럭 신호(P1D)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커패시터(641)는 노드(N21)와 노드(N22) 사이에 연결되어 샘플링 커패시터로서 동작한다. 커패시터(642)는 노드(N22)와 노드(N23) 사이에 연결되어 커플링 커패시터로서 동작한다. 커패시터(643)는 노드(N24)와 노드(N25) 사이에 연결되고, 적분 커패시터로서 동작한다.
도 6은 도 5의 적분기들에 사용되는 리셋 신호와 클록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6에서 리셋 신호(RST)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리셋 모드라 하고, 제1 클럭 신호(P1)와 제1 지연 클럭 신호(P1D)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제1 클럭 페이즈라 하고, 제2 클럭 신호(P2)와 제2 지연 클럭 신호(P2D)가 활성화되는 경우를 제2 클럭 페이즈라 한다. 또한 제1 클럭 신호(P1)와 제1 지연 클럭 신호(P1D)는 제2 클럭 신호(P2)와 제2 지연 클럭 신호(P2D)와 활성화 구간이 서로 중복되는 않는 비중복(non-overlapping) 신호들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리셋 모드에서 리셋 신호(RST)가 제1 로직 레벨(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면, 스위치들(616, 617, 636, 637)이 온(on) 되어, 인버터들(611, 631)은 입력단과 출력단이 서로 연결되어 인버터들(611, 631) 각각은 오프셋 전압으로 리셋된다.
제1 적분기(610)는 제1 클럭 신호(P1) 또는 제1 지연 클럭 신호(P1D)가 제1 로직 레벨(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는 제1 클럭 페이즈(또는 샘플링 모드)에서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고, 제2 클럭 신호(P2) 또는 제2 지연 클럭 신호(P2D)가 제1 로직 레벨(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는 제2 클럭 페이즈(또는 적분 모드)에서 증폭 동작 및 또는 적분 동작(이하 적분 동작)을 수행한다. 샘플링 모드에서 스위치들(612, 614, 616)이 닫히므로 아날로그 신호(AS)와 공통 전압(VCMR)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이 커패시터(621)에 샘플링되고, 커패시터(623)는 노드(N13)와 노드(N15) 사이에 연결된다. 즉 커패시터(623)는 인버터(611)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적분 모드에서 스위치들(613, 615)이 닫히므로 인버터(611)는 커패시터들(621, 622, 623)을 이용하여 커패시터(621)에 샘플링된 전압을 적분하고 적분된 전압을 제1 적분 신호(FF1)로서 출력한다.
제2 적분기(630)는 제1 클럭 신호(P1) 또는 제1 지연 클럭 신호(P1D)가 제1 로직 레벨(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는 제1 클럭 페이즈(또는 샘플링 모드)에서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고, 제2 클럭 신호(P2) 또는 제2 지연 클럭 신호(P2D)가 제1 로직 레벨(하이 레벨)로 활성화되는 제2 클럭 페이즈(또는 적분 모드)에서 증폭 동작 및 또는 적분 동작(이하 적분 동작)을 수행한다. 샘플링 모드에서 스위치들(632, 634, 636)이 닫히므로 제1 적분 신호(FF1)와 공통 전압(VCMR)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이 커패시터(641)에 샘플링되고, 커패시터(643)는 노드(N23)와 노드(N25) 사이에 연결된다. 즉 커패시터(643)는 인버터(631)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다. 적분 모드에서 스위치들(633, 635)이 닫히므로 인버터(631)는 커패시터들(641, 642, 643)을 이용하여 커패시터(641)에 샘플링된 전압을 적분하고 적분된 전압을 제2 적분 신호(FF2)로서 출력한다.
제3 적분기(650) 및 제4 적분기(670)는 제2 적분기(6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제3 적분 신호(FF3) 및 제4 적분 신호(FF4)를 각각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스위치드-커패시터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은 제1 클럭 페이즈에서 자신의 입력 신호에 대한 샘플링 동작을 수행하고, 제2 클럭 페이즈에서 자신의 인버터를 이용하여 적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드-커패시터 적분기들(610, 630, 650, 670)은 리셋 모드에서 자신의 인버터의 입력 단자의 전압을 일정한 리셋 전압으로 리셋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적분부에 포함되는 적분 합산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계수들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위칭부(400)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적분 합산기(680)는 제2 신호(INT)를 발생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들(681~688, 692) 및 복수의 가변 커패시터들(Cv1, Cv2, Cv3, Cv4)을 포함한다. 스위치들(681~688, 69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고,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클록 신호들(P1, P2, P1D, P2D)에 각각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분 합산기(680)는 용량성 결합을 통하여 적분기들의 출력들(FF1, FF2, FF3, FF4)을 합산하기 위한 가변 커패시터들(Cv1, Cv2, Cv3, Cv4)을 포함한다. 가변 커패시터들(Cv1, Cv2, Cv3, Cv4)은 계수 제어 신호들(CEC1, CEC2, CEC3, CEC4)에 응답하여 커패시턴스들이 각각 변경된다. 가변 커패시터들(Cv1, Cv2, Cv3, Cv4)의 커패시턴스들을 변경함으로써 적분 계수들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에는 복수의 온도 범위들(T1~T2, T2~T3, T3~T4)에 매핑되는 계수 제어 신호들(CEC1, CEC2, CEC3, CEC4)의 값들(Kij)(i=1,2,3, ...; j=1,2,3,4)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제어부(60)는 이미지 센서(10)의 동작 온도가 변경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계수 제어 신호들(CEC1, CEC2, CEC3, CEC4)의 값들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의 룩업 테이블은 이미지 센서(10)의 테스트 과정 등을 통하여 작성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1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적분 계수들의 변경을 통한 노이즈 쉐이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a 및 9b에서 가로축은 샘플링 주파수(F)를 Hz 단위로 나타내고, 세로축은 파워 스펙트럼 밀도(PSD; power spectral density)를 dB 단위로 나타낸다. 도 9a는 1차 적분 계수(CEC1)는 0.06이고 2차 적분 계수(CEC2)는 0.24인 2차 델타-시그마 변조의 경우를 나타내고, 도 9b는 1차 적분 계수(CEC1)는 0.07이고 2차 적분 계수(CEC2)는 0.26인 2차 델타-시그마 변조의 경우를 나타낸다. 변조 특성은 계수비(CEC2/CEC1)에 의해 결정되고, 계수비(CEC2/CEC1) 상대적으로 높은 도 9a의 경우를 노말 계수(normal coefficient)라 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도 9b의 경우를 어그레시브 계수(aggressive coefficient)라 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에 대해서 모두 쉐이핑된 노이즈는 주파수가 10배 증가할 때 약 40 dB 증가하지만, 어그레시브 계수의 노이즈 코너(Fa)가 노말 계수의 노이즈 코너(Fn) 보다 높은 주파수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해당 동작 조건하에서는 노말 계수보다는 어그레시브 계수가 노이즈 측면에서 더 유리하다. 이와 같이, 노이즈의 다양성에 대응하여 적합한 적분 계수들을 설정함으로서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양자화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양자화기(250)는 복수의 비교기(comparator)(COM)들(251, 252, 253) 및 인코더(255)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기들(251, 252, 253)은 도 2의 적분부(230)의 출력인 제2 신호(INT)를 기준 신호들(Vref1, Vref2, Vref3)의 각각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들(CP1, CP2, CP3)을 발생한다. 제1 기준 신호(Vref1)는 제2 기준 신호(Vref2)보다 크고, 제2 기준 신호(Vref2)는 제3 기준 신호(Vref3)보다 크다. 비교기들(251, 252, 253)의 적어도 일부는 양자화 제어 신호(QC)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될 수 있다.
인코더(255)는 비교기들의 출력(CP1, CP2, CP3)에 기초하여 변조 신호의 각 비트 신호들(MS1, MS2)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양자화 제어 신호(QC)가 제1 논리 레벨을 갖는 경우에는 제1 비교기(251) 및 제3 비교기(253)는 디스에이블되고 제2 비교기(252)만이 인에이블되어 제2 비교 신호(CP2)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제2 비교 신호(CP2)는 제2 신호(INT)가 제2 기준 신호(Vref2)보다 큰 경우에는 1의 값을 갖고 작은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인코더(255)는 양자화 제어 신호(QC)에 응답하여 제2 비교 신호(CP2)를 제1 비트 신호(MS1)로서 출력하고 제2 비트 신호(MS2)는 비활성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비교기(252)만을 활성화함으로써 제2 신호(INT)의 전압 레벨을 2개로 양자화하여 양자화 비트수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양자화 제어 신호(QC)가 제2 논리 레벨을 갖는 경우에는 제1 비교기(251), 제2 비교기(252) 및 제3 비교기(253)가 모두 인에이블되어 제1 비교 신호(CP1), 제2 비교 신호(CP2) 및 제3 비교 신호(CP3)가 모두 활성화될 수 있다. 제1 비교 신호(CP1)는 제2 신호(INT)가 제1 기준 신호(Vref1)보다 큰 경우에는 1의 값을 갖고 작은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2 비교 신호(CP2)는 제2 신호(INT)가 제2 기준 신호(Vref2)보다 큰 경우에는 1의 값을 갖고 작은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제3 비교 신호(CP3)는 제2 신호(INT)가 제3 기준 신호(Vref3)보다 큰 경우에는 1의 값을 갖고 작은 경우에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인코더(255)는 양자화 제어 신호(QC)에 응답하여 제1, 제2 및 제3 비교 신호들(CP1, CP2, CP3)을 인코딩하여 제1 비트 신호(MS1) 및 제2 비트 신호(MS2)를 출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 개의 비교기(251, 252, 253)들을 모두 활성화함으로써 제2 신호(INT)의 전압 레벨을 4개로 양자화하여 양자화 비트수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자화 제어 신호(QC)에 응답하여 비교기들(251, 252, 253) 중에서 인에이블되는 비교기의 개수에 따라서 변조 신호(MS)의 비트수가 증가할 수 있다.
도 10에는 양자화 비트수, 즉 변조 신호의 비트수가 최대 2인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비교기들의 개수를 증가하여 양자화 비트수가 3 이상인 경우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70)는 변조 신호의 각 비트들(MS1, MS2)에 응답하여 각 입력 포트들(P1~P4)을 통하여 수신되는 제1 내지 제4 피드백 전압들(VH, VHm, VLm, VL)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피드백 신호(FB)를 발생할 수 있다. 제1 피드백 전압(VH)은 제2 피드백 전압(VHm)보다 크고, 제2 피드백 전압(VHm)은 제3 피드백 전압(VLm)보다 크고, 제3 피드백 전압(VLm)은 제4 피드백 전압(VL)보다 크다.
예를 들어, 양자화 제어 신호(QC)가 제1 논리 레벨인 경우에는 양자화 비트수가 1로 설정되고, 제1 비트 신호(MS1)는 활성화되고 제2 비트 신호(MS2)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70)는 제1 비트 신호(MS1)에 응답하여 제1 피드백 전압(VH) 및 제4 피드백 전압(VL)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피드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양자화 제어 신호(QC)가 제2 논리 레벨인 경우에는 양자화 비트수가 2로 설정되고, 제1 비트 신호(MS1) 및 제2 비트 신호(MS2)가 모두 활성화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270)는 제1 비트 신호(MS1) 및 제2 비트 신호(MS2)에 응답하여 제1 피드백 전압(VH), 제2 피드백 전압(VHm), 제3 피드백 전압(VLm) 및 제4 피드백 전압(VL)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피드백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델타-시그마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에 포함되는 디지털 필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지털 필터(300)는 디지털 적분기(311), 논리곱(AND) 게이트(312) 및 레지스터(31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적분기(311)는 레지스터(313)의 출력, 즉 디지털 신호(DS)와 가변 가중 신호(VWS)의 값들을 합산하여 출력한다. 논리곱 게이트(312)는 변조 신호(MS)와 클록 신호(CLK)를 논리곱 연산하여 출력한다. 레지스터(313)는 리셋 신호(RST)에 응답하여 초기화되고, 논리곱 게이트(312)의 출력에 응답하여 디지털 적분기(311)의 출력을 샘플링하여 래치한다.
결과적으로, 디지털 필터(300)는 변조 신호(MS)가 1의 값을 갖는 경우에만 가준 신호(VWS)의 값을 누적하여 디지털 신호(DS)를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가중 신호 발생기(80)는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 가중 신호(VWS)를 발생할 수 있다. 디지털 필터(300)는 이러한 가변 가중 신호(VWS)에 기초하여 싱크 필터링 또는 매치드 필터링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필터링의 차수도 변경할 수 있다.
도 13a, 13b, 13c, 13d 및 13e는 도 12의 디지털 필터에 제공되는 가변 가중 신호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a는 1차 싱크(sinc) 필터링에 상응하는 가중 신호(VW1)를 나타내고, 도 13b는 1차 매치드(matched) 필터링에 상응하는 가중 신호(VW2)를 나타내고, 도 13c는 2차 싱크(SINC) 필터링에 상응하는 가중 신호(VW3)를 나타내고, 도 13d는 2차 매치드(matched) 필터링에 상응하는 가중 신호(VW4)를 나타내고, 도 13e는 커스터마이즈드(customized) 필터링에 상응하는 가중 신호(VW5)를 나타낸다.
도 13a 내지 13e의 다양한 형태의 가중 신호들은 카운터, 논리 게이트 등의 조합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의 동작 조건에 적합한 가중 신호를 선택하여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노이즈를 감소하고 이미지 센서의 감도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010), 메모리 장치(1020), 저장 장치(1030), 입출력 장치(1040), 파워 서플라이(1050) 및 이미지 센서(9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컴퓨팅 시스템(1000)은 비디오 카드, 사운드 카드, 메모리 카드, USB 장치 등과 통신하거나, 또는 다른 전자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는 포트(port)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특정 계산들 또는 태스크(task)들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하여 메모리 장치(1020), 저장 장치(1030), 촬영 장치(900) 및 입출력 장치(10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010)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 장치(1020)는 컴퓨팅 시스템(10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020)는 디램(DRAM), 모바일 디램, 에스램(SRAM), 피램(PRAM), 에프램(FRAM), 알램(RRAM) 및/또는 엠램(M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 장치(10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씨디롬(CD-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104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수단 및 프린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1050)는 전자 기기(1000)의 동작에 필요한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900)는 프로세서(1010)와 함께 하나의 칩에 집적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칩에 각각 집적될 수도 있다. 이미지 센서(90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000)은 다양한 형태들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들은 PoP(Package on Package), Ball grid arrays(BGAs), Chip scale packages(CSPs), Plastic Leaded Chip Carrier(PLCC), Plastic Dual In-Line Package(PDIP), Die in Waffle Pack, Die in Wafer Form, Chip On Board(COB), Ceramic Dual In-Line Package(CERDIP), Plastic Metric Quad Flat Pack(MQFP), Thin Quad Flatpack(TQFP), Small Outline(SOIC), Shrink Small Outline Package(SSOP), Thin Small Outline(TSOP), Thin Quad Flatpack(TQFP), System In Package(SIP), Multi Chip Package(MCP), Wafer-level Fabricated Package(WFP), 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WSP) 등과 같은 패키지들을 이용하여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시스템(100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인식 방법을 수행하는 모든 컴퓨팅 시스템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디지털 카메라, 이동 전화기,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100)은 MIPI 인터페이스를 사용 또는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 이미지 센서(1140) 및 디스플레이(1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의 CSI 호스트(1112)는 카메라 시리얼 인터페이스(Camera Serial Interface; CSI)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1140)의 CSI 장치(1141)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CSI 호스트(1112)는 디시리얼라이저(DES)를 포함할 수 있고, CSI 장치(1141)는 시리얼라이저(SER)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의 DSI 호스트(1111)는 디스플레이 시리얼 인터페이스(Display Serial Interface; DSI)를 통하여 디스플레이(1150)의 DSI 장치(1151)와 시리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DSI 호스트(1111)는 시리얼라이저(SER)를 포함할 수 있고, DSI 장치(1151)는 디시리얼라이저(DES)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컴퓨팅 시스템(1100)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알에프(Radio Frequency; RF) 칩(1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1100)의 PHY(1113)와 RF 칩(1160)의 PHY(1161)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DigRF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110)는 PHY(1161)의 MIPI DigRF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DigRF MASTER(1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시스템(1100)은 지피에스(Global Positioning System; GPS)(1120), 스토리지(1170), 마이크(1180),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1185) 및 스피커(119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1100)은 초광대역(Ultra WideBand; UWB)(1210),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1220) 및 와이맥스(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1230) 등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컴퓨팅 시스템(1100)의 구조 및 인터페이스는 하나의 예시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는 동작 조건에 따라서 노이즈 전달 함수를 변화시키면서 적응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타입의 노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면서 변환 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는 정적 파워를 소모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를 배제하여 변환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파워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고속 동작이 요구되고 전력 감소가 요구되는 컴퓨터(computer), 노트북(laptop), 핸드폰(cellular), 스마트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피엠피(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TV, 디지털 카메라, 포터블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등과 같은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VLF: 가변 적분부, 가변 루프 필터
VQ: 가변 양자화기
ORC: 차수 제어 신호
CEC: 계수 제어 신호
QC: 양자화 제어 신호
VWS: 가변 가중 신호

Claims (10)

  1. 칼럼 라인들에 각각 결합되고, 입사광을 감지하여 상기 칼럼 라인들을 통하여 아날로그 신호들을 발생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환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칼럼 라인들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델타-시그마 변조 및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복수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차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를 변경하여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계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계수들을 변경하여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양자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양자화 비트수를 변경하여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의 각각은,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상기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변조기; 및
    상기 변조 신호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기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에서 피드백 신호를 감산하여 제1 신호를 출력하는 입력 합산기;
    상기 제1 신호를 적분하여 제2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델타-시그마 변조를 위한 적분 차수 및 적분 계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가변 적분부;
    상기 제2 신호 및 복수의 기준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양자화기; 및
    상기 변조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피드백 전압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적분부는,
    전단의 출력이 후단의 입력과 연결되도록 케스케이드 결합된 복수의 적분기들;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을 합산하여 상기 제2 신호를 발생하는 적분 합산기; 및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과 상기 적분 합산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차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의 각각과 상기 적분 합산기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 합산기는, 용량성 결합을 통하여 상기 적분기들의 출력들을 합산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계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커패시턴스들이 각각 변경되는 가변 커패시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화기는,
    상기 제2 신호를 상기 기준 신호들의 각각과 비교하여 비교 신호들을 발생하고, 상기 변환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양자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비교기들; 및
    상기 비교기들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변조 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센서.
  10.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 신호를 발생하는 변조기; 및
    상기 변조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 필터링을 수행하여 디지털 신호를 발생하는 디지털 필터를 포함하고,
    동작 조건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변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적으로 변환 이득을 조절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KR1020140048790A 2014-04-23 2014-04-23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19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790A KR102192627B1 (ko) 2014-04-23 2014-04-23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14/583,982 US9774347B2 (en) 2014-04-23 2014-12-29 Reconfigurable analog-to-digital converter, image sensor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8790A KR102192627B1 (ko) 2014-04-23 2014-04-23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2478A true KR20150122478A (ko) 2015-11-02
KR102192627B1 KR102192627B1 (ko) 2020-12-17

Family

ID=54335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790A KR102192627B1 (ko) 2014-04-23 2014-04-23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74347B2 (ko)
KR (1) KR1021926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996A (ko) * 2017-01-20 2018-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연속시간 델타 시그마 모듈레이터
KR102102545B1 (ko) * 2018-11-20 2020-04-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산증폭기의 유한한 이득의 효과를 보상하는 다단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0208B1 (en) * 2015-04-13 2016-06-28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power supply rejection ratio noise reduction through ramp generator
JP6451859B2 (ja) * 2015-09-01 2019-01-16 日本電気株式会社 Δς変調器、送信機及び積分器
US9654711B2 (en) * 2015-09-17 2017-05-16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Power reduction for image sensor with raw image scaler
US9571775B1 (en) * 2015-11-16 2017-02-14 Omnivision Technologies, Inc. Image sensor power supply rejection ratio improvement through ramp generator in continuous time readout circuitry
US10141938B2 (en) * 2016-09-21 2018-11-27 Xilinx, Inc. Stacked columnar integrated circuits
US10582143B2 (en) 2017-05-29 2020-03-03 Imec Vzw Programmable state machine
US10491231B2 (en) 2018-02-16 2019-11-26 Sensors Unlimited, Inc. Reconfigurable ADC architecture for imaging-based applicatio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614A (ja) * 2001-02-27 2002-09-13 Asahi Kasei Microsystems Kk 全差動型サンプリング回路及びデルタシグマ型変調器
KR20030094511A (ko) * 2002-06-04 2003-12-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KR20040037216A (ko) * 2001-10-01 2004-05-04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기용 적응 시그마-델타 데이터 변환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5005B2 (en) 2003-02-13 2004-09-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ariable, adaptive quantization in sigma-delta modulators
JP2005175549A (ja) 2003-12-05 2005-06-30 Canon Inc 映像信号処理装置
US7315200B2 (en) 2004-03-31 2008-01-01 Silicon Labs Cp, Inc. Gain control for delta sigma analog-to-digital converter
US7268715B2 (en) 2004-10-29 2007-09-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Gain control in a signal path with sigma-delta analog-to-digital conversion
JP2006270661A (ja) 2005-03-25 2006-10-05 Yokogawa Electric Corp Σδ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US7483067B2 (en) 2005-04-15 2009-01-27 Micron Technology, Inc. Column-parallel sigma-delta analog-to-digital conversion for imagers
EP1801978B1 (en) 2005-12-22 2009-07-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justing a filter of a time-continuous Sigma-Delta converter
JP4856659B2 (ja) 2008-01-30 2012-01-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1528828B1 (ko) * 2008-05-27 2015-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시메이션 필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8199038B2 (en) 2009-07-28 2012-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ctive resistance-capacitor integrator and continuous-time sigma-delta modulator with gain control function
KR101634359B1 (ko) 2009-09-23 201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 신호의 변화를 통하여 이득을 제어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1614A (ja) * 2001-02-27 2002-09-13 Asahi Kasei Microsystems Kk 全差動型サンプリング回路及びデルタシグマ型変調器
KR20040037216A (ko) * 2001-10-01 2004-05-04 노키아 코포레이션 이동 단말기용 적응 시그마-델타 데이터 변환기
KR20030094511A (ko) * 2002-06-04 2003-12-12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996A (ko) * 2017-01-20 2018-07-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연속시간 델타 시그마 모듈레이터
KR102102545B1 (ko) * 2018-11-20 2020-04-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연산증폭기의 유한한 이득의 효과를 보상하는 다단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동작시키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627B1 (ko) 2020-12-17
US20150311914A1 (en) 2015-10-29
US9774347B2 (en)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627B1 (ko) 재구성형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20140104169A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
US8659464B2 (en) Analog-digital converter and converting method using clock delay
JP4523599B2 (ja) 信号のダイナミックレンジを増加するための複数の信号利得を有するデータ信号増幅器及びプロセッサ
US8547461B2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having a comparison signal generation unit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US8749415B2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US20150350585A1 (en) Ramp signal cal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ramp signal calibration apparatus
KR20130074286A (ko) 이미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시스템
KR102650109B1 (ko) 디지털 도메인에서 노이즈 쉐이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모듈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회로
US9083368B2 (en) Image sensor using offset code for counting
CN106997247B (zh) 管线式模拟数字转换器与使用其的模拟前端读取电路
KR20150000759A (ko) 램프 신호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20180043070A (ko)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10715757B2 (en) A/D converter
KR20120081426A (ko)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US9900013B2 (en) Counting apparatus and image sensor including the same
KR102074948B1 (ko)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170658B1 (ko) 축차근사형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장치 및 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방법
US9019139B2 (e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with built-in data compression based on shot noise of image sensor
CN108377150B (zh) 增量调制器、包括增量调制器的模数转换器及通信装置
KR101159982B1 (ko)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장치 및 방법
KR20140000365A (ko) 아날로그 입력신호 범위 확장을 통한 데이터 변환이 가능한 파이프라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JP5708275B2 (ja) Adコンバータ、及び、電子装置
KR101692698B1 (ko) 변환 시간이 스케일링되는 알고리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변환 방법
US20150364518A1 (en) Image sensors and image processing systems using multilevel signal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