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264A -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 - Google Patents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264A
KR20150121264A KR1020157029956A KR20157029956A KR20150121264A KR 20150121264 A KR20150121264 A KR 20150121264A KR 1020157029956 A KR1020157029956 A KR 1020157029956A KR 20157029956 A KR20157029956 A KR 20157029956A KR 20150121264 A KR20150121264 A KR 2015012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upply
flexible body
aeration device
supply conduit
attachmen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7747B1 (ko
Inventor
앤더스 베르프네르
Original Assignee
자일럼 아이피 매니지먼트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일럼 아이피 매니지먼트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자일럼 아이피 매니지먼트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5012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4Diffusers consisting of flexible porous or perforated material, e.g. fabric
    • B01F3/04269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1Perforated, resilient plastic diffusers, e.g. membranes, sheets, foils, tubes, hoses
    • B01F2003/041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01F2215/0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4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bubbling installation are mounted
    • B01F23/231142Mounting the gas transporting elements, i.e. connections between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1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 B01F23/23114Mounting the bubbling devices or the diffuse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bubbling installation are mounted
    • B01F23/231143Mounting the bubbling elements or diffusors, e.g. on conduits, using connecting elements; Connectio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 폭기장치 조립체는 기체 공급 도관(2) 및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를 포함하고, 여기서 기체 공급 도관(2) 및 폭기장치(3)는 부착 수단(23)에 의해 서로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된다. 폭기장치 조립체의 특징은 부착 수단(23)이 가요성 본체(25) 및 압축 수단(26)을 포함하고, 여기서 부착 수단(23)은 기체 공급 도관(2)과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가 서로 해제된 모드에 있는 비활성 모드 및 가요성 본체(25)가 압축 수단(26)에 의해 축선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어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와 기체 공급 도관(2)을 서로에 대해 클램핑하는 활성 모드로 가역적으로 설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AERATOR ASSEMBLY FOR DIFFUSING A GAS IN A LIQUID}
본 발명은 액체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면, 폐수 처리 중에 폐수의 폭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예를 들면, 폭기장치, 확산기로 지칭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도에서 공기 또는 다른 산소-함유 기체와 같은 가압 기체는 폭기장치의 멤브레인 내의 천공을 통해 가압되는 한편 액체의 버블링 폭기(aeration)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은 기체 공급 도관 및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를 포함하는,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에 관련되고, 여기서 기체 공급 도관은 내부의 기체 공급 체임버를 제한하는 파이프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는 내부의 공간을 갖는 홀더를 포함한다. 기체 공급 도관 및 폭기장치는 체임버로부터 상기 기체 공급 체임버로 연장되는, 그리고 홀더의 내부 체임버와 기체 공급 체임버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한 덕트를 포함하는 부착 수단에 의해 서로에 해제가능하게 접합된다.
기체 공급 도관 상에 단일의 폭기장치를 부착시키기 위한 다수의 공지된 조치가 있으나, 공지된 해결책의 대부분은 기체 공급 도관 상에 용접된 나사산을 가진 파이프 연결 부재와 같은 복잡한 부착체를 포함하고, 파이프 클램프는 폭기장치 등의 홀더 및 시스템을 복잡화하고 가격을 증가시킨다.
기체 공급 도관에 폭기장치를 부착시키기 위한 다른 공지된 조치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기체 공급 도관의 파이프 벽에 폭기장치의 홀더를 접착시키는 것이다. 이들 접착제 접합부의 단점은 경질 및 취성을 가지는 것이고, 폭기장치가 큰 힘을 받을 경우, 예를 들면, 용기 내에 폭기장치 조립체를 설치하는 중에, 접착제 접합부가 손상될 수 있고, 만일 폭기장치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느슨해지는 경우, 기체 공급 도관에 폭기장치를 재부착하는 것이 어렵다. 이 어려움은 접착제 접착이 공장 접착제 접착용으로 적절하다는 것, 즉 최적의 접착제 접합부를 얻기 위해 제어된 환경 및 적절한 고정구가 요구된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들 중 어느 것도 고객의 용기 내에 폭기장치 조립체를 설치할 때 사용할 수 없다. 더욱이, 접착제 접착은 다소 영구적 접합부이므로, 폭기장치 조립체의 폭기장치를 교환하거나 폭기장치 조립체에 더 많은 폭기장치를 추가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US 6,464,211에서는 기체 공급 도관과 폭기장치를 접합시키기 위해 태핑(tapping)되지 않은 대안적으로 나사산을 가진 폽(pop) 리벳이 사용된다. 다시 말하면, 폽 리벳은 홀더의 내부 체임버로부터 기체 공급 체임버까지 연장되어 기체 또는 공기는 폽 리벳을 통해 유동하도록 허용된다. 그러나, 계면에서의 누출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고, 그러므로 폭기장치와 기체 공급 도관의 파이프 벽 사이의 계면에 다수의 시일이 제공된다. 폭기장치를 교환하기 위해 이것을 분리하기 위해, 폽 리벳은, 예를 들면, 이것을 드릴가공에 의해 파괴시켜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치 중에 기체 공급 도관 및/또는 폭기장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만일 용기 내에 폭기장치 조립체의 설치 중에 폭기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으로 인해 강성의 폽 리벳이 부분적으로 변형되면, 폭기장치와 기체 공급 도관 사이의 계면의 시일에도 불구하고 누출이 발생할 위험이 상당히 크다.
본 발명은 개선된 폭기장치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해 종래의 공지된 폭기장치 조립체의 전술한 단점 및 결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차적 목적은 외력에 대해 견고하고, 폭기장치가 폭기장치 조립체의 설치 중에 외력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느슨해지거나 누출될 위험이 없는 최초에 명시된 유형의 개선된 폭기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체 공급 도관의 파이프 벽의 재료 또는 두께에 무관하게 각각의 폭기장치가 용기 내의 현장에서 제거 및 교환하기에 용이한 폭기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내의 현장에서 기체 공급 도관에 추가의 폭기장치의 간단한 부착, 소위 확장 또는 용량 증가를 제공하는 폭기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추가의 시일이 요구되지 않는 폭기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부착 수단이 상이한 두께의 파이프 벽을 갖는 기체 공급 도관 상에 폭기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폭기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하고 저렴한 폭기장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일차적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한정된 특징을 갖는 최초에 명시된 폭기장치 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종속 청구항에 더 한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명시된 유형의 폭기장치 조립체로서, 폭기장치 조립체의 부착 수단이 가요성 본체 및 압축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부착 수단은 기체 공급 도관과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가 서로 해제된 모드에 있는 비활성 모드 및 가요성 본체가 압축 수단에 의해 압축되어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와 기체 공급 도관을 서로에 대해 클램핑하는 활성 모드로 가역적으로 설정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장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본체는 튜브형이고,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착 수단의 압축 수단은 서로 맞물리는 스크류 및 너트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압축 수단의 스크류는 부착 수단의 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의 추가의 장점은 다른 독립 청구항 및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위에서 설명된 특징 및 장점 및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반경 방향에서 본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의 개략 분해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축선 방향에서 본 도 1의 폭기장치 조립체의 개략 분해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비활성 모드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 수단의 개략 분해 측단면도이고,
도 4는 활성 모드에서 도 3에 따른 부착 수단의 개략 분해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비활성 모드에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 수단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비활성 모드에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 수단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비활성 모드에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 수단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8은는 활성 모드에서 도 7에 따른 부착 수단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도 9는 장착된 위치에서 작동 중인 도 1의 폭기장치 조립체에 대응하는 개략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액체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 예를 들면, 폐수 처리 중에 폐수의 폭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폭기장치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하는 도 1 및 도 2에 대해 설명한다. 폭기장치 조립체(1)는 전체적으로 2로 표시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 공급 도관 및 전체적으로 3으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를 포함한다. 폭기장치(3)는, 예를 들면, 플레이트 폭기장치 또는 패널 폭기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폭기장치 조립체(1)는 동일한 기체 공급 도관(2)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폭기장치(3)를 포함한다. 폭기장치 조립체(1)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도시되지 않음) 또는 유사한 리저버 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기체 공급 도관(2)은 작동 중에 적절한 배관 설비에 의해 송풍기, 압축기, 는 폭기장치 조립체에 가압 기체를 제공하는 유사한 기계에 연결된다. 가압 기체는 공기, 산소 또는 임의의 다른 산소-함유 기체, 예를 들면, 폭기장치(3)를 세정하기 위한 산-함유 기체 또는 다른 공정 기체 등일 수 있다. 기체 공급 도관(2)은 내부의 기체 공급 체임버(5)를 형성하는 파이프 벽(4)을 포함하고, 따라서 기체 공급 도관(2)은 분기-파이프처럼 작용하고, 여기서 가압 기체는 기체 공급 도관(2)에 연결되는 폭기장치(3)에 분배된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폭기장치(3)는 홀더(6), 멤브레인(7) 및 로킹 링(8)을 포함하고, 여기서 홀더(6)는 멤브레인(7)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고, 로킹 링(8)은 멤브레인(7)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홀더(6)는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기본적 형태를 갖지만 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홀더(6)는 내부 공간(9)을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홀더(6)는 새들(saddle; 10)을 포함하고, 이것은 기체 공급 도관(2)의 파이프 벽(4)의 외면(11)에 지지되고, 바람직하게 중심에 위치된다. 이 새들(10)로부터 기체 공급 도관의 반경 방향으로 파이프 피팅(fitting; 12)이 연장되고, 홀더(6)의 내부 공간(9)은 상기 새들(10) 및 상기 파이프 피팅(12)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파이프 피팅(12)의 상단부에 근접하여 이 파이프 피팅(12)에 디스크 형상의 멤브레인 지지 플랜지(13)가 연결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형태에서, 멤브레인 지지 플랜지(13)는 원추대의 형태를 갖는다. 파이프 피팅(12)과 멤브레인 지지 플랜지(13) 사이의 계면에 근접하여 홀더(6)의 내부 공간(9)의 상부 개구를 둘러싸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의 융기(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형태의 멤브레인(7)은 천공되지 않은 중앙 부분(15), 이 중앙 부분(15)을 둘러싸고 다수의 천공을 갖는 천공된 부분(16), 및 외부 프레임(17)을 포함한다. 멤브레인(7)은 폭기장치 조립체가 비작동 중인 경우에 멤브레인 지지 플랜지(13)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멤브레인(7)의 천공되지 않은 중앙 부분(15)은 홀더(6)의 원주방향의 융기(14)에 대해 지지됨으로써, 폭기장치 조립체가 비작동 중인 경우에, 기체 공급 체임버(5) 내로 공정 유체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로서 작용한다. 멤브레인(7)의 중앙 부분(15)은 또한 홀더(6)의 내부 공간(9)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홀더(6)는 멤브레인 지지 플랜지(13)의 외연부에 인접하여 멤브레인(7)의 프레임(17)을 위한 시트(18) 및 수나사산을 갖는 보더(19)를 포함한다. 로킹 링(8)은 홀더(6)의 수나사산을 가진 보더(19)와 맞물리도록 된 암나사산을 포함하고, 여기서 로킹 링(8)은 홀더(6)의 시트(18) 내에 멤브레인(7)의 프레임(17)을 클램핑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홀더(6)는 새들(10)에 더하여 또한 기체 공급 도관(2)의 외면(11)에 대해 지지되는 2 개의 지지 레그(20)를 포함하고, 이 지지 레그(20)는 멤브레인 지지 플랜지(13)의 외연부에 배치되고,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체 공급 도관(2)의 외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도록 서로 직경방향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새들(10)은 관통공(21)을 갖고, 기체 공급 도관(2)의 파이프 벽(4)은 대응하는 관통공(22)을 갖고, 여기서 상기 2 개의 관통공은 기체 공급 도관(2)에 폭기장치(3)의 해제가능한 장착 시에 중첩되는 구성으로 배치되고, 홀더의 내부 공간(9)은 기체 공급 체임버(5)와 유체 연통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2 개의 관통공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지적한다.
폭기장치 조립체(1)는 총괄적으로 23으로 표시된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이것은 장착된 위치에서 홀더(6)의 내부 공간(9)으로부터 기체 공급 체임버(5)까지 연장되고, 내부 공간(9)과 기체 공급 체임버(5)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한 덕트(24)를 포함한다. 부착 수단(23)은 기체 공급 도관(2)과 폭기장치(3)가 서로 해제된 모드(도 3 참조)인 비활성 모드, 뿐만 아니라 폭기장치(3)와 기체 공급 도관(2)이 서로 연결되는 활성 모드로 가역적으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폭기장치 조립체는 또한 동일한 폭기장치(3)를 기체 공급 도관(2)에 연결하는 복수의 이와 같은 부착 수단(23)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하고, 이것은 폭기장치(3)가 패널 폭기장치인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부착 수단(23)을 도시하는 도 3 및 도 4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부착 수단(23)은 가요성 본체(25) 및 총괄적으로 26으로 표시된 압축 수단을 포함한다. 압축 수단(26)은, 부착 수단(23)이 상기 활성 모드인 경우에, 그 축선의 길이 방향으로 가요성 본체(25)를 압축시키도록 되어 있고, 그러면 가요성 본체(25)는 폭기장치(3)와 기체 공급 도관(2)을 서로에 대해 클램핑시킨다. 가요성 본체(25)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부착 수단(23)은 압축 수단(26)의 조작만으로 비활성 모드로부터 활성 모드로 쉽게 설정될 수 있고, 다시 비활성 모드로 복귀될 수 있다. 가요성 본체(23)는 그 축선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므로 이 가요성 본체(25)는 반경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본체(25)는 탄성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된다. 부착 수단(23)은 그 기능을 상실하지 않고 각각 활성 모드와 비활성 모드로 교대로 복수 회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착 수단(23)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가요성 본체(25)는 튜브형이다. 가요성 본체(25)는 제 1 단부인 하단부(25') 및 이 제 1 단부의 반대측의 제 2 단부인 상단부(25")를 갖는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가요성 본체(25)는 상단부(25")의 영역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를 포함한다. 가요성 본체(25)의 하단부(25')는 새들(10)의 관통공(21) 및 기체 공급 도관(2)의 파이프 벽(4)의 관통공(22)을 안내되도록 되어 있고, 본체(2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는 부착 수단(23)이 상기 2 개의 관통공을 완전히 통과하는 것을 저지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착 수단(23)의 압축 수단(26)은 서로 맞물리는 스크류(28) 및 너트(29)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29)는 샤프트의 하단부(25')의 영역에서 튜브형 가요성 본체(25)에 접합된다. 상기 스크류(28)는 튜브형 가요성 본체(25)의 상단부(25")로부터 하단부(25')까지 연장된다. 스크류(28)는 직접적으로 또는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요성 본체(2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에 대해 지지되는 헤드(3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부착 수단(23)의 덕트(24)는 스크류(28) 내에 배치되고, 여기서 덕트(24)는 스크류(28)와 동심이고, 스크류(28)의 샤프트를 따라 연장된다. 덕트(24)가 상호 상이한 처리 면적을 갖는 스크류를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폭기장치(3)의 기체 유량은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스크류(28)를 제 1 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 가요성 본체(25)는 축선 방향으로 압축되고, 부착 수단(23)은 활성 모드로 진입하고, 스크류(28)를 제 1 방향의 반대측의 제 2 방향으로 조작하는 경우, 가요성 본체(25)는 압축되지 않은 모드로 복귀되고, 부착 수단(23)은 비활성 모드로 진입한다. 가요성 본체(25)를 가압하면, 샤프트의 하단부(25')와 기체 공급 도관(2)의 파이프 벽(4)의 내면(32) 사이에 위치되는 샤프트 상에 블로브(blob; 31)가 형성되고, 여기서 이 블로브(31)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는 폭기장치(3)와 기체 공급 도관(2)을 서로에 대해 클램핑하고, 동시에 폭기장치(3)와 기체 공급 도관(2) 사이의 계면에서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실링한다. 블로브(31)는 파이프 벽(4)의 내면(32)에 대해 지지되므로, 실링의 정도는 기체 공급 체임버 내의 가압 기체의 더 높은 압력에 대응하여 향상된다.
이하에서 부착 수단(23)의 상이한 대안적 실시형태가 설명되고, 여기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고,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특징 및 상이한 실시형태만이 설명된다.
이제 부착 수단(23)의 2 실시형태 및 제 3 실시형태를 각각 예시하는 도 5 및 도 6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서 스크류(28)의 헤드(30)는 가요성 본체(25)의 하단부(25')에 연결되고, 스크류(28)는 가요성 본체(25)의 상단부(25")를 초과하여 연장되고, 여기서 너트(29)는 직접적으로 또는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요성 본체(2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에 대해 지지된다. 부착 수단(23)은 너트(29)의 조작 중에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로 각각 설정된다.
도 6에 따른 실시형태에서, 각각 제 1 실시형태(도 3) 및 제 2 실시형태(도 5)에 따른 스크류는 서로 맞물리는 수나사산을 가진 파이프(33)와 제 2 너트(34)에 의해 교체될 수 있다. 제 2 너트(34)는 가요성 본체(25)의 하단부(25')에 연결되고, 파이프(33)는 제 2 너트(34)로부터 가요성 본체(25)의 상단부(25")를 초과하여 연장되고, 제 1 너트(29)는 직접적으로 또는 와셔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요성 본체(25)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에 대해 지지된다. 제 1 너트(29)를 조작하거나, 제 1 너트(29) 및 파이프(33)를 조작하면, 부착 수단(23)이 활성 모드 및 비활성 모드로 각각 설정된다.
부착 수단(23)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7 및 도 8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비활성 모드의 부착 수단(23)을 도시하고, 도 8은 활성 모드의 부착 수단(23)을 도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압축 수단(26)은 오른나사산을 가진 너트(35), 왼나사산을 가진 너트(36) 및 상기 2 개의 너트와 맞물리는 이중나사산을 가진 파이프(37)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중나사산을 가진 파이프(37)는 제 1 단부에 오른손나사산을 갖고, 타단부에 왼나사산을 갖는다. 오른나사산을 가진 너트(35)는 가요성 본체(25)의 하단부(25')에 접합되고, 왼나사산을 가진 너트(36)는 가요성 본체(25)의 상단부(25")에 접합된다. 따라서, 이 제 4 실시형태의 부착 수단(23)은 전통적인 리깅(rigging) 스크류에 대응되는 기능을 갖는다. 고정 수단(23)을 활성 모드로 설정하기 위해 이중나사산을 가진 파이프(37)을 조작하면, 기체 공급 도관(2)의 파이프 벽(4)의 내면(32)에 대해 지지되는 제 1 블로브(31)가 형성되고, 새들(10)에 대해 지지되는 제 2 블로브(38)가 형성되어, 폭기장치(3)와 기체 공급 도관(2)는 상기 블로브들 사이에서 서로에 대해 클램핑된다.
이제 장착된 상태로 작동 중인 본 발명의 폭기장치 조립체(1)를 도시하는 도 9에 대해 설명한다. 멤브레인(7) 및 이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플랜지(13)는 함께 홀더(6)의 내부 공간(9)과 유체 연통되는 기체 유출 체임버(39)를 형성한다. 홀더(6)의 내부 공간(9)과 기체 유출 체임버(39)는 동일한 공간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폭기장치 조립체(1)의 작동 중에, 가압 기체는 기체 공급 체임버(5)로부터 부착 수단(23) 내의 덕트(24)를 통해 홀더(6)의 내부 공간(9)으로, 그리고 더 나아가 기체 유출 체임버(39)로 유동한 다음에 멤브레인(7)의 천공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이 폭기장치 조립체(1)를 둘러싸고 있는 액체에 첨가되는 작은 기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현가능한 변형
본 발명은 결코 예시 및 실시예를 위한 설명된 실시형태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이 특허 출원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모든 개조 및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표현에 의해 정의되고, 따라서 설비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어떤 식으로든 변형될 수 있다.
상측, 하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은 용어에 관한 모든 정보는 참조 번호가 정확하게 읽혀질 수 있도록 배치된 도면에서 도면에 따라 배향된 설비에 대해 이해되고 읽혀지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용어는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상호 관계만을 나타내고, 이러한 관계는 본 발명의 설비가 다른 구조/설계를 구비하는 경우에 변경될 수 있다.
명시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더라도 하나의 특정한 실시형태의 특징은 가능한 경우에 당연히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9)

  1. 기체 공급 도관(2)과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를 포함하는,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로서, 상기 기체 공급 도관(2)은 내부의 기체 공급 체임버(5)를 형성하는 파이프 벽(4)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는 내부 공간(9)을 갖는 홀더(6)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공급 도관(2) 및 상기 폭기장치(3)는 상기 홀더(6)의 내부 공간(9)으로부터 상기 기체 공급 체임버(5)까지 연장되는, 그리고 상기 홀더(6)의 내부 공간(9)과 상기 기체 공급 체임버(5) 사이의 유체 연통을 위한 덕트(24)를 포함하는 부착 수단(23)에 의해 서로 해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착 수단(23)은 가요성 본체(25) 및 압축 수단(26)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수단(23)은 상기 기체 공급 도관(2)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가 서로 해제된 모드에 있는 비활성 모드 및 상기 가요성 본체(25)가 상기 압축 수단(26)에 의해 그 축선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와 상기 기체 공급 도관(2)을 서로에 대해 클램핑하는 활성 모드로 가역적으로 설정되도록 된, 폭기장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본체(25)는 탄성을 갖는, 폭기장치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본체(25)는 탄성중합체로 제조되는, 폭기장치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본체(25)는 제 1 단부(25') 및 반대측의 제 2 단부(25")를 갖는 튜브형인, 폭기장치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가요성 본체(25)는 상기 제 2 단부(25")의 영역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7)를 포함하는, 폭기장치 조립체.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23)의 압축 수단(26)은 서로 맞물리는 스크류(28) 및 너트(29)를 포함하는, 폭기장치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29)는 상기 튜브형 가요성 본체(25)의 상기 제 1 단부(25')에 접합되고, 상기 스크류(28)는 상기 튜브형 가요성 본체(25)의 제 2 단부(25")로부터 상기 제 1 단부(25')까지 연장되는, 폭기장치 조립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수단(26)의 스크류(28)는 상기 덕트(24)를 포함하는, 폭기장치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폭기장치(3)는 상기 홀더(6)의 내부 공간(9)과 유체 연통되는 기체 유출 체임버(39)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천공된 멤브레인(7)을 포함하는, 폭기장치 조립체.
KR1020157029956A 2013-03-18 2014-03-05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 KR102257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350322-2 2013-03-18
SE1350322A SE536982C2 (sv) 2013-03-18 2013-03-18 Luftarsammansättning för spridning av en gas i en vätska
PCT/IB2014/059448 WO2014147506A1 (en) 2013-03-18 2014-03-05 Aerator assembly for diffusing a gas in a liq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264A true KR20150121264A (ko) 2015-10-28
KR102257747B1 KR102257747B1 (ko) 2021-05-28

Family

ID=5028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956A KR102257747B1 (ko) 2013-03-18 2014-03-05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579611B2 (ko)
EP (1) EP2976149B1 (ko)
KR (1) KR102257747B1 (ko)
CN (1) CN105142766B (ko)
AR (1) AR095641A1 (ko)
AU (1) AU2014233957B2 (ko)
BR (1) BR112015021731B1 (ko)
CA (1) CA2907542C (ko)
CL (1) CL2015002774A1 (ko)
ES (1) ES2636340T3 (ko)
MX (1) MX364281B (ko)
MY (1) MY180161A (ko)
PE (1) PE20151582A1 (ko)
PL (1) PL2976149T3 (ko)
SE (1) SE536982C2 (ko)
WO (1) WO20141475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3890A1 (de) 2015-08-27 2017-03-02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autonomer Navig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6982C2 (sv) * 2013-03-18 2014-11-25 Xylem Ip Man S R L Luftarsammansättning för spridning av en gas i en vätska
AT14362U1 (de) * 2014-05-02 2015-09-15 Aquaconsult Anlagenbau Gmbh Montagevorrichtung für ein Belüftungselement und Belüfter eines solchen Belüftungselementes
DE102015121612B4 (de) * 2015-12-11 2019-09-19 Manfred Scheefeldt Dombelüfter
US10633267B2 (en) * 2016-01-27 2020-04-28 Thomas E. Frankel Fine bubble diffuser assembly
TWI761167B (zh) * 2020-06-18 2022-04-11 高宏鑫 微氣泡產生裝置以及相關的微氣泡產生設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835A (en) * 1995-12-01 1998-06-09 Envicon Klartechnik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erator
KR200163967Y1 (ko) * 1999-07-01 2000-02-15 강성일 에어플렉스돔형멤브레인산기관
US20060226260A1 (en) * 2004-12-30 2006-10-12 Gummi-Jager Gmbh Apparatus for aerating wat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46A (en) * 1897-08-03 Coupling
FI74628C (fi) * 1985-03-07 1988-03-10 Plan Sell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tillfoersel av gas eller gasblandning till vaetska.
DE3600234C2 (de) * 1986-01-07 1998-12-03 Jaeger Arnold Vorrichtung zum Belüften von Wasser
US5075048A (en) * 1990-07-23 1991-12-24 Ferro Corporation Gas diffuser dome
DE59403754D1 (de) * 1993-12-13 1997-09-18 Ott Rita Begasungseinrichtung
DE4421211C2 (de) * 1994-06-17 1996-05-15 Didier Werke Ag Belüftungsvorrichtung
DE19546675C2 (de) 1995-12-15 1997-10-02 Didier Werke Ag Vorrichtung zum Einbringen eines Gases in eine Flüssigkeit
US5810400A (en) * 1996-07-11 1998-09-22 Advanced Polymer Technology, Inc. Flexible entry boot
US6464211B1 (en) 1999-08-31 2002-10-15 United States Filter Corporation Diffuser assembly
DE60336360D1 (de) * 2003-10-29 2011-04-21 Anemos Co Ltd Luftverteilervorrichtung
US8833743B2 (en) * 2008-12-17 2014-09-16 Ant21 Co., Ltd Multi-disc air diffuser
KR101123136B1 (ko) * 2010-10-06 2012-03-20 주식회사 지케이옥시 액체 중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적합한 미세기포의 발생기
SE536982C2 (sv) * 2013-03-18 2014-11-25 Xylem Ip Man S R L Luftarsammansättning för spridning av en gas i en vätsk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2835A (en) * 1995-12-01 1998-06-09 Envicon Klartechnik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erator
KR200163967Y1 (ko) * 1999-07-01 2000-02-15 강성일 에어플렉스돔형멤브레인산기관
US20060226260A1 (en) * 2004-12-30 2006-10-12 Gummi-Jager Gmbh Apparatus for aerating w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3890A1 (de) 2015-08-27 2017-03-02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autonomer Navigation
DE102015223890B4 (de) 2015-08-27 2024-01-25 Hyundai Motor Company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autonomer nav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151582A1 (es) 2015-11-27
WO2014147506A1 (en) 2014-09-25
KR102257747B1 (ko) 2021-05-28
US9579611B2 (en) 2017-02-28
AR095641A1 (es) 2015-10-28
AU2014233957A1 (en) 2015-11-05
CN105142766A (zh) 2015-12-09
SE1350322A1 (sv) 2014-09-19
CA2907542C (en) 2021-05-04
EP2976149A1 (en) 2016-01-27
BR112015021731B1 (pt) 2021-09-14
PL2976149T3 (pl) 2017-10-31
CN105142766B (zh) 2017-05-10
US20160279582A1 (en) 2016-09-29
ES2636340T3 (es) 2017-10-05
BR112015021731A2 (pt) 2017-07-18
SE536982C2 (sv) 2014-11-25
MY180161A (en) 2020-11-24
MX364281B (es) 2019-04-22
EP2976149B1 (en) 2017-05-03
CL2015002774A1 (es) 2016-04-22
CA2907542A1 (en) 2014-09-25
MX2015013131A (es) 2016-01-08
AU2014233957B2 (en)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1264A (ko) 액체 내에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폭기장치 조립체
US6367783B1 (en) Fine bubble diffuser
CN105003736B (zh) 用于流体传输线的声音处理组件
JP2011005419A (ja) Y型ストレーナ及び圧力タンク
US6702263B2 (en) Diffuser saddle connection
MX2012011509A (es) Dispositivo para la gasificacion de liquidos.
US6244574B1 (en) Dual diffuser assembly
JP5349370B2 (ja) 散気管および散気装置
JP2017110687A (ja) 逆止弁装置及び既設管の更生方法
JP4528219B2 (ja) 散気装置
US7141203B2 (en) Method of making a diffuser assembly
US202001642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reflux suction-filter-pump
JPH022865A (ja) 液体通気装置
CN211922913U (zh) 一种整体卫浴的侧向排水地漏
CN209989158U (zh) 一种盘式曝气器用丝口接嘴底座及盘式曝气器
JP5031803B2 (ja) 平膜エレメントの締結構造
JP2012024726A (ja) 散気部材の支持構造
JP2714459B2 (ja) 散気装置
JP2017048830A (ja) 配管接続装置
TW202210167A (zh) 微氣泡產生器
JP3082018U (ja) 水栓接続具
JP2020168219A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120139497A (ko) 이탈방지 구조의 원터치형 관연결구
JP2014050779A (ja) ストレーナー
JP2011094405A (ja) スライド継手および排水集合管と立管と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