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543A - 단자 - Google Patents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543A
KR20150118543A KR1020150050699A KR20150050699A KR20150118543A KR 20150118543 A KR20150118543 A KR 20150118543A KR 1020150050699 A KR1020150050699 A KR 1020150050699A KR 20150050699 A KR20150050699 A KR 20150050699A KR 20150118543 A KR20150118543 A KR 20150118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ending
terminal
contact
tab
ben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5473B1 (ko
Inventor
요시후미 신미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단자에서, 탄성 휨부(2)는 그것의 대향 접촉부(3) 측을 향해 돌출된 인덴트부(4)를 포함하고, 대향 접촉부(3)는, 그것의 탄성 휨부(2) 측에, 상대 단자의 탭부(11)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인덴트부(4)의 상류 및 하류에 각각 제공되어 있는 전방 돌출부(5) 및 후방 돌출부(6)를 포함하고, 전방 돌출부(5)와 후방 돌출부(6) 사이의 공간은 탭부(11)의 진입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대향 접촉부(3)는 탄성 휨부(2)의 그 표면상에, 그리고 전방 돌출부(5)와 후방 돌출부(6) 사이에 형성된 오목면(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자{TERMINAL}
본 발명은 상대 단자(mating terminal)를 통해 안정적인 접속 구조를 실현하는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0-150041호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단자가 삽입될 박스부, 박스부 내부에 배치된 탄성 휨부, 및 탄성 휨부의 대향측에 배치된 대향 접촉부를 가진 단자를 개시한다. 서로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인덴트부(23 및 16a)는 각각 탄성 휨부 및 대향 접촉부 상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이 단자로 삽입된 상대 단자는 인덴트부(23 및 16a)에 의해 2 지점에서 단자와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제2002-063961호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부(80)(기판)로부터 돌출된 제1 접점(A10 및 A20)을 가진 돌출형 암 단자(100)를 개시한다. 돌출형 암 단자(100)로 삽입된 상대 단자는 제1 접점(A10 및 A20) 및 돌출형 암 단자(100)의 상측 접점에 의해 3 지점에서 돌출형 암 단자(100)와 접촉하게 된다. 돌출형 암 단자(100)가 제1 접점(A10 및 A20)을 가지기 때문에, 돌출형 암 단자(100) 자체의 크기는 높이 방향으로 증가된다.
상대 단자의 탭부가 단자로 삽입될 때, 탄성 휨부를 휨 변형시킴으로써 탭부를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삽입 완료 위치에서, 탄성 휨부의 휨 복원력이 접촉 하중으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단자 삽입 과정에서 낮은 삽입력에 의한 삽입이 힘들고, 삽입 완료 위치에서 강한 접촉 하중을 얻기 힘들다. 이와 더불어, 두 인덴트부에서 접촉이 형성되므로, 접촉 상태가 불안정하여 접촉 저항이 불안정해지고, 진동에 대한 내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높이 증가없이 수 탭 삽입(커넥터 끼워 맞춤) 과정에서 삽입력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고, 접촉이 안정적인 커넥터 단자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자 삽입 과정에서 낮은 삽입력에 의해 상대 단자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단자를 제공하는 것, 및 단자 자체의 높이를 억제함과 동시에 삽입 완료 위치에서 강한 접촉 하중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또한 접촉 상태가 안정적이여서 접촉 저항이 안정하고 진동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점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단자로서, 상대 단자가 삽입될 박스부, 박스부 내부에 배치된 탄성 휨부, 및 탄성 휨부의 대향측에 배치된 대향 접촉부를 포함하고, 탄성 휨부와 대향 접촉부 사이로 삽입된 상대 단자의 탭부는 탄성 휨부의 휨 변형에 의해 삽입되고, 탭부는 탄성 휨부의 탄성 복원력을 접촉 하중으로 이용하여 대향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는 단자가 제공된다. 탄성 휨부는 대향 접촉부 측을 향해 돌출된 인덴트부를 포함하고, 대향 접촉부는, 그것의 탄성 휨부 측에, 상대 단자의 탭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인덴트부 위치의 상류에 그리고 인덴트부 위치의 하류에 각각 제공된 전방 돌출부 및 후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및 전방 돌출부와 후방 돌출부 사이의 공간은 상대 단자의 탭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대향 접촉부는 대향 접촉부의 탄성 휨부 측 표면에 그리고 전방 돌출부와 후방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오목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에서, 후방 돌출부에 접속된 오목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에서, 후방 돌출부에 접속된 오목면은 테이퍼(tapered)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단자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단자의 박스부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로서 탭부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단자로의 탭부의 삽입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a는 단자로의 탭부의 삽입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a는 제1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로서 탭부가 단자로 삽입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자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접촉을 보장하기 위한 단자는 박스부(1), 및 전선의 시일링(sealing) 특성을 보장하기 위한 고무 스토퍼(1A)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는 외부로부터의 절연을 보장하기 위해 하우징(1B) 내에 수용되고, 상대 단자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는 상대 단자가 삽입될 박스부(1), 박스부(1) 내부에 배치된 탄성 휨부(2), 탄성 휨부(2)의 대향측에 배치된 대향 접촉부(3)를 포함한다. 상대 단자의 탭부(11)는 탄성 휨부(2)와 대향 접촉부(3) 사이로 삽입되고, 탄성 휨부(2)는 휨 변형된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 휨부(2)의 휨 복원력을 접촉 하중으로서 이용함으로써 탄성 휨부(2) 및 대향 접촉부(3)를 통해 상대 단자의 탭부(11)와 단자 사이에 안정적인 접촉이 보장된다.
탄성 휨부(2)는 대향 접촉부(3) 측을 향해 돌출된 인덴트부(4)를 포함한다. 대향 접촉부(3)는, 그것의 탄성 휨부(2) 측에, 상대 단자의 탭부(11)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인덴트부(4) 위치의 상류 및 인덴트부(4) 위치의 하류에 각각 제공된 전방 돌출부(5) 및 후방 돌출부(6)를 포함한다. 전방 돌출부(5)와 후방 돌출부(6) 사이의 공간은 상대 단자의 탭부(11)의 진입을 허용하는 길이인 크기, d를 가진다. 대향 접촉부(3)는 그것의 탄성 휨부(2) 측면에 그리고 전방 돌출부(5)와 후방 돌출부(6) 사이에 형성된 오목면(7)을 포함한다. 오목면(7)의 전측 및 후측에 위치하는 전방 돌출부(5) 및 후방 돌출부(6)는 탭부(11)와 접촉하게 되는 접점부로서 역할한다.
여기서, "인덴트부(4) 위치의 상류"는 인덴트부(4)의 위치보다 탭부(11)가 삽입될 박스부(1)의 삽입 포트에 더 가까운 측을 의미한다. 즉, 이것은 상대 단자의 탭부(1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인덴트부(4) 위치의 앞쪽에 위치한 측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인덴트부(4) 위치의 하류"는 인덴트부(4)의 위치보다 탭부(11)가 삽입될 박스부(1)의 삽입 포트로부터 더 먼 측을 의미한다. 즉, 이것은 상대 단자의 탭부(11)의 삽입 방향을 따라 인덴트부(4)의 위치 뒤쪽에 위치하는 측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1 실시예에 대한 비교예로서, 상대 단자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4가 참조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달리, 대향 접촉부(13)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비교예와 달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대향 접촉부(3)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오목하게 굽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후방 돌출부(6)에 접속된 오목면(7)에 대응하는 위치는 곡면(7a)으로 구성된다. 즉, 오목면(7)은 오목하게 굽은 형상을 가지고, 접점부 부근에서 R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곡선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곡면은 엠보싱(embossing)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탭부(11)의 매끄러운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가장자리에 탭부(11)가 걸리지 않도록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도금의 벗겨짐이 방지되고, 그러므로 통전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상대 단자의 탭부(11)가 곡면(7a)을 따라 단자로 삽입되는 동작이 설명된다. 암수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춰질 때, 누르는 힘이 탄성 휨부(2)에 가해지더라도, 탭부(11)의 선단측은 오목면(7) 내의 공간으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삽입 과정에서 끼워 맞춤력이 감소된다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실시예 대한 비교예를 도시하는 도 8a 및 8b가 참조된다. 도 7a 및 7b에 도시된 비교예와 달리, 암수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춤할 때 가해지는 누르는 힘은 여전히 탭부(11)의 삽입 중에 탄성 휨부(2)에 가해진다. 그러나, 대향 접촉부(13)의 면이 평평하기 때문에, 끼워 맞춤력은 삽입 과정 중에 변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교예에서, 끼워 맞춤력이 삽입 과정에서 변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와 비교하여 탭부(11)의 매끄러운 삽입이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에서, 오목면(7)은 대향 접촉부(3)의 탄성 휨부(2) 측면 내에 그리고 전방 돌출부(5)와 후방 돌출부(6)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암수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출 때 누르는 힘이 탄성 휨부(2)에 가해지더라도, 탭부(11)의 선단측은 오목면(7) 내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끼워 맞춤력은 삽입 과정에서 감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자는 탭부(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제2 실시예의 설명]
이제 도 9 및 도 10이 참조된다. 후방 돌출부(6a)에 연결된 오목면(7)은 테이퍼 면(7b)으로 형성된다. 테이퍼 면(7b)은 엠보싱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자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자와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즉, 오목면(7)을 구성하는 테이퍼 면(7b)은 대향 접촉부(3)의 탄성 휨부(2) 측면에 그리고 전방 돌출부(5a)와 후방 돌출부(6a) 사이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암수 커넥터를 서로 끼워 맞출 때 탄성 휨부(2)에 누르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탭부(11)의 선단측은 오목면(7) 내의 공간으로 들어가고, 그러므로 삽입 과정에서 끼워 맞춤력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자는 탭부(11)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자에서, 단자 삽입 과정에서, 상대 단자의 탭부(11)의 선단이 오목면 상에서 미끄러지면서 삽입되어야 하는 경우에, 탭부(11)의 선단은 오목면(7)을 구성하는 테이퍼 면(7b) 상으로 미끄러지도록 안내됨으로써, 후방 돌출부(6a)에 충돌하지 않고 후방 돌출부(6) 위로 매끄럽게 올라가 삽입 완료 위치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탭부(11)의 매끄러운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상술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서술된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실시예에 개시된 특정한 기술적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고, 그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대안의 기술 등을 포함한다.
본 특허 출원은 그 내용이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있는, 2014년 4월 1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4-082544호를 기초로 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대 단자의 탭부를 박스부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탭부의 선단의 오목면 측상의 공간으로 들어가는 동안 내부로의 삽입이 가능하고, 탄성 휨부의 휨 변형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탭부의 삽입이 가능하고, 단자는 삽입 완료 위치에서 인덴트부, 전방 돌출부, 및 후방 돌출부의 3 지점에서 탭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내용으로부터, 단자 삽입 과정에서 상대 단자의 삽입은 낮은 삽입력에 의해 가능해지고, 삽입 완료 위치에서 강한 접촉 하중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 나아가, 접촉 상태가 안정화되어 접촉 저항이 안정화되고 진동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는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1 박스부
2 탄성 휨부
3 대향 접촉부
4 인덴트부
5 전방 돌출부
6 후방 돌출부
7 오목면
7a 곡면
7b 테이퍼 면

Claims (3)

  1. 상대 단자가 삽입될 박스부;
    상기 박스부 내부에 배치된 탄성 휨부; 및
    상기 탄성 휨부의 대향측에 배치된 대향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휨부와 상기 대향 접촉부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상대 단자의 탭부는 상기 탄성 휨부의 휨 변형에 의해 삽입되고,
    상기 탭부는 상기 탄성 휨부의 휨 복원력을 접촉 하중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대향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탄성 휨부는 상기 대향 접촉부 측을 향해 돌출된 인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향 접촉부는, 상기 탄성 휨부 측에, 상기 상대 단자의 상기 탭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인덴트부 위치의 상류에, 및 상기 인덴트부 위치의 하류에 각각 제공되어 있는,
    전방 돌출부, 및
    후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돌출부 및 상기 후방 돌출부 사이의 공간은 상기 상대 단자의 상기 탭부의 진입을 허용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및
    상기 대향 접촉부는 상기 대향 접촉부의 탄성 휨부 측 표면에, 그리고 상기 전방 돌출부와 상기 후방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돌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오목면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돌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오목면은 테이퍼 면(tapered surface)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KR1020150050699A 2014-04-14 2015-04-10 단자 KR101665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2544 2014-04-14
JP2014082544A JP2015204186A (ja) 2014-04-14 2014-04-14 端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43A true KR20150118543A (ko) 2015-10-22
KR101665473B1 KR101665473B1 (ko) 2016-10-12

Family

ID=5427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699A KR101665473B1 (ko) 2014-04-14 2015-04-10 단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204186A (ko)
KR (1) KR101665473B1 (ko)
CN (1) CN1049796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391B2 (ja) 2010-08-25 2015-08-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6607141B2 (ja) * 2016-05-12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JP7218718B2 (ja) * 2019-12-20 2023-02-0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JP7168626B2 (ja) * 2020-10-23 2022-11-09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3205A (ja) * 2012-09-07 2014-03-20 Yazaki Corp メス端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54373A (ja) * 1986-04-28 1987-1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ツトコンタクト
JP4600874B2 (ja) * 1998-09-11 2010-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及びコネクタ
JP2002063961A (ja) * 2000-06-07 2002-02-28 Yazaki Corp 雌端子、及び、雌端子と雄端子との接続構造
JP2013098088A (ja) * 2011-11-02 2013-05-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雌型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3205A (ja) * 2012-09-07 2014-03-20 Yazaki Corp メス端子、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79669B (zh) 2017-09-29
CN104979669A (zh) 2015-10-14
JP2015204186A (ja) 2015-11-16
KR101665473B1 (ko)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886B1 (ko)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US9490563B2 (en) Female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 area
JP5794363B1 (ja) コネクタ端子
JP2009176617A (ja) 端子および端子の接続構造
KR101665473B1 (ko) 단자
US9564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099812B2 (en) Connector
US9350119B2 (en) Wrong insertion preventive structure of connector
US10270197B2 (en) Female terminal having a resiliently displaceable contact piece folded rearward from a front end of a step
JP2012209221A (ja) コネクタ
JP4706760B2 (ja) 端子金具
JP2006024434A (ja) 雌端子金具
JP5626118B2 (ja) コネクタ
JP4273681B2 (ja) 端子金具
US10367289B2 (en)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and connector device
CN209993822U (zh) 音源插座的改良型端子结构
JP6166707B2 (ja) コネクタ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5820738B2 (ja) 端子接続構造
KR20160076567A (ko) 피메일 단자 스프링
US11394153B2 (en) Connector and terminal
US11894634B2 (en) Connector
WO2014007042A1 (ja) ジョイント端子
KR20220033113A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2013058328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