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634A -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634A
KR20150116634A KR1020140041752A KR20140041752A KR20150116634A KR 20150116634 A KR20150116634 A KR 20150116634A KR 1020140041752 A KR1020140041752 A KR 1020140041752A KR 20140041752 A KR20140041752 A KR 20140041752A KR 20150116634 A KR20150116634 A KR 20150116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dicine
delivery
information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177B1 (ko
Inventor
김재윤
이세열
강지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테크
강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테크, 강지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테크
Priority to KR1020140041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1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16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고되는 약품들의 라벨을 인식하여서 약품정보를 보관하고, 발주요청에 따라 보관된 약품을 포장상태로 납품하면서 발주를 요청한 발주처의 정보와 발주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여 약품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입고되는 약품박스(10)를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약품박스(10)의 바코드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입고관리서버(200)를 포함하는 입고인식수단과, 입고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약품박스(10)들이 종류별로 보관되고 발주요청에 따른 약품들의 출고순서와 수량을 표시하고 출고완료를 확인하는 약품보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LOGISTICS MANAGEMENT SYSTEM FOR BAR CODE}
본 발명은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입고되는 약품들의 라벨을 인식하여서 약품정보를 보관하고, 발주요청에 따라 보관된 약품을 포장상태로 납품하면서 발주를 요청한 발주처의 정보와 발주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여 약품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제조업체의 물류수행의 경우 체계적인 배송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하여 관리의 미숙, 비효율적 물류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물류의 배송의 경우, 고객이 영업사원 등을 통해 주문을 하면 물류부문은 메인 컴퓨터와 연결된 정보를 통해 물류센타에서 접수하고 배송지시를 한다. 이후의 물류활동 정보는 제조업체와 물류센타와는 완전히 단절된다.
특히, 약품을 생산하는 제약회사에서는 생산된 약품을 개별 포장하고 라벨링한 상태로 보관창고 등에 보관한 후에 약국이나 약품도매상으로부터 발주요청이 있을 때, 보관된 약품들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발주요청서를 통해 약품의 종류 및 수량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에 해당하는 약품들을 요청된 수량만큼 출고시켜서 납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리자의 수작업을 통해 약품들이 출고되고 있다.
그러나, 약품의 이동경로는 사후에 통지되거나 혹은 전화와 같은 수단을 통해 확인될 수 있고, 대부분은 배송자의 귀환 후 보고에 의해 모든 상황이 사후에 파악될 수 있어서, 소정기간이 경과한 후에는 약품의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추적하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공개특허공보 10-2003-0047327호가 2003.06.18.자로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과제는, 입고되는 약품들의 라벨을 인식하여서 약품정보를 보관하고, 발주요청에 따라 보관된 약품을 포장상태로 납품하면서 발주를 요청한 발주처의 정보와 발주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여 약품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입고되는 약품박스(10)를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약품박스(10)의 바코드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입고관리서버(200)를 포함하는 입고인식수단과, 입고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약품박스(10)들이 종류별로 보관되고 발주요청에 따른 약품들의 출고순서와 수량을 표시하고 출고완료를 확인하는 약품보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입고관리서버(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부(210)와, 바코드인식부(210)에서 바코드가 인식된 시간과 날짜를 체크하는 날짜체크부(220)와, 바코드인식부(210)에서 인식된 바코드의 정보와 날짜체크부(220)에서 체크된 시관과 날짜가 데이터화되어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약품보관수단은 약품들이 종류별로 보관되는 다수의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대(300)와, 보관대(300)의 보관공간마다 구비되고 해당 보관공간에 보관된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표시하고 약품의 출고완료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며 고유의 ID를 갖는 출고조작기(400)와, 입고인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고정보를 인식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요청을 확인하여 출고조작기(400)의 ID를 확인하고 해당 출고조작기(400)에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전송하며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확인하는 보관관리서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출고조작기(400)는 ID가 저장되는 IC칩(410)과,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이 표시되는 표시창(420)과, 약품의 출고완료상태를 전기신호로 외부에 전송하는 스위치(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보관관리서버(500)는 입고인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고정보를 인식하여서 관리하는 입고관리부(51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요청을 확인하고 발주요청에 따른 약품의 출고순서와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는 약품확인부(520)와,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들의 출고순서를 확인하고 약품이 보관된 출고조작기(400)의 ID를 확인하여 확인된 ID들을 순서를 선택하는 ID선택부(530)와, ID선택부(530)에서 선택된 ID에 해당하는 출고조작기(400)에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전송하는 출고전송부(540)와,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확인하여 입고관리부(510)에 제공하는 출고확인부(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약품보관수단은 출고되는 약품박스(10)가 포장되는 포장박스(50)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박스정보리더기(600)를 더 포함하고, 보관관리서버(500)는 박스정보리더기(600)에서 인식된 박스정보를 통해 발주자와 배송지와 배송순서와 약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고,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인식하여 출고전송부(540)에서 전송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정보저장부(5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보관관리서버(500)는 약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배송지에 배송되었는지 확인하는 배송확인부(590)를 더 포함하며, 배송확인부(590)는 출고시간부터 배송완료시간까지의 배송시간을 설정하는 배송시간설정부(591)와, 박스정보리더기(600)에서 박스정보가 인식된 시간을 체크하는 출고시간체크부(592)와, 외부로부터 배송완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배송시간체크부(593)와, 출고시간체크부(592) 및 배송시간체크부(593)에서 각각 체크되는 시간을 배송시간설정부(590)에서 설정된 시간과 비교 및 판단하는 시간판단부(594)를 포함하며, 정보저장부(580)는 배송확인부(590)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출고전송부(540)에서 전송된 약품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여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입고되는 약품들의 라벨을 인식하여서 약품정보를 보관하고, 발주요청에 따라 보관된 약품을 포장상태로 납품하면서 발주를 요청한 발주처의 정보와 발주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인하여 약품의 이동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요부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약품들이 포장되는 과정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약품보관수단을 보인 정면도.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은 입고인식수단과, 약품보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약품은 약국에 납품되어서 판매되는 것으로써 정해진 규격의 약품박스(10)에 포장된다. 이와 같이, 포장된 약품은 물류창고에 보관된 상태에서 약국으로 발주요청이 있거나 정해진 수만큼씩 매주 또는 매월 정기적으로 거래하는 약국에 납품된다. 여기서, 크기가 작은 점안액, 연고, 밴드 등의 약품들은 정해진 약품박스(10)에 포장된 후에 소정의 개수만큼씩 다시 큰 박스에 포장되어서 약국으로 납품될 수 있다.
입고인식수단은 약품박스(10)에 표시된 바코드를 통해 입고되는 약품의 종류와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입고인식수단은 약품박스(10)를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약품박스(10)의 바코드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입고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약품박스(10)는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된 후에 로봇(40)에 의해 픽업된후 라벨러(20)에 의해 바코드라벨이 라벨링된 상태로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된 후에 포장박스(50)로 이송될 수 있다.
카메라(100)는 컨베이어(30)의 상부 또는 측면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컨베이어(30)에 의해 이송되는 약품박스(10)들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디지털카메라로 구성된다. 따라서, 디지털카메라는 많은 양의 약품박스(10)들을 한꺼번에 촬영할 수 있다.
입고관리서버(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부(210)와, 바코드인식부(210)에서 바코드가 인식된 시간과 날짜를 체크하는 날짜체크부(220)와, 바코드인식부(210)에서 인식된 바코드의 정보와 날짜체크부(220)에서 체크된 시관과 날짜가 데이터화되어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고관리서버(20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된 PC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되는 보관관리서버(5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약품에 대한 입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코드인식부(21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다수의 바코드를 동시에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된 영상에서 인식되는 바코드를 통해 바코드의 정보와 시간과 날짜가 함께 저장되므로 이를 근거로 관리자는 어떤 종류의 약품들이 언제 포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벨링된 약품들은 포장된 상태로 물류창고로 입고되어서 약품보관수단에 적재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물론, 보관된 약품들은 발주요청이 있으면 약국으로 납품될 수 있다.
약품보관수단은 입고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약품박스(10)들이 종류별로 보관되고 발주요청에 따른 약품들의 출고순서와 수량을 표시하고 출고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약품보관수단은 약품들이 종류별로 보관되는 다수의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대(300)와, 보관대(300)의 보관공간마다 구비되고 해당 보관공간에 보관된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표시하고 약품의 출고완료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며 고유의 ID를 갖는 출고조작기(400)와, 입고인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고정보를 인식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요청을 확인하여 출고조작기(400)의 ID를 확인하고 해당 출고조작기(400)에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전송하며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확인하는 보관관리서버(500)를 포함한다.
보관대(300)는 보관공간이 전면으로 개구되는 함체형태로 형성되면서 좌우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격벽과 격벽들의 사이에 층층이 설치되는 선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과 선반에 의해 형성되는 보관공간에는 약품이 포장된 약품박스(10)들이 종류별로 구분되어서 각각 보관될 수 있다.
출고조작기(400)는 ID가 저장되는 IC칩(410)과,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이 표시되는 표시창(420)과, 약품의 출고완료상태를 전기신호로 외부에 전송하는 스위치(4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출고조작기(400)는 IC칩(410)과, 표시창(420)과, 스위치(430) 및 전자부품들이 탑재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보관관리서버(5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서 전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창(420)은 액정화면 또는 엘이디화면으로 구성되어 보관관리서버(5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 순서 및 수량이 표시될 수 있고, 스위치(43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스위칭동작되어서 ID와 약품의 출고완료상태를 보관관리서버(5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보관관리서버(500)에 의해 출고조작기(400)의 표시창(420)을 통해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이 표시되면 관리자는 보관대(300)에 구비된 출고조작기(400)들을 육안으로 확인하여서 가장 빠른 출고순서 '1'이 표시된 보관대에서 해당 약품을 표시된 수량만큼 출고시킨 후에 스위치(430)를 조작한다. 즉, 스위치(430)를 조작하여 약품의 출고완료를 보관관리서버(500)에 전송한다. 이때, 스위치(430)의 조작에 의해 표시창(420)에 표시된 출고순서와 수량은 삭제되어서 초기화된다.
그리고, 다음의 출고순서 '2'가 표시된 출고조작기(40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서 해당 약품을 표시된 수량만큼 출고시킨 후에 스위치(430)를 조작한다.
이와 같이, 약품들이 보관관리서버(500)에 의해 정해진 순서대로 정해진 수량만큼씩 출고될 수 있어서 약품의 출고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약품을 출고할 때마다 즉시 스위치(430)를 조작함에 따라 출고에 대한 결과를 별도로 통보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보관관리서버(500)는 입고인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고정보를 인식하여서 관리하는 입고관리부(51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요청을 확인하고 발주요청에 따른 약품의 출고순서와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는 약품확인부(520)와,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들의 출고순서를 확인하고 약품이 보관된 출고조작기(400)의 ID를 확인하여 확인된 ID들을 순서를 선택하는 ID선택부(530)와, ID선택부(530)에서 선택된 ID에 해당하는 출고조작기(400)에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전송하는 출고전송부(540)와,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확인하여 입고관리부(510)에 제공하는 출고확인부(5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보관관리서버(500)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IC칩을 포함하는 회로기판이 내장된 PC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고관리부(510)에서 관리되는 입고정보를 통해 입고된 약품들의 종류와 해당 약품들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ID선택부(530)가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들의 출고순서대로 ID들을 순서를 선택한 상태에서 출고전송부(540)가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전송하므로, 각각의 출고조작기(400)에서는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출고조작기(400)에서 표시되는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확인하여서 해당 약품들을 순서대로 신속하게 출고시킬 수 있다. 물론,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출고확인을 확인한 출고확인부(550)는 출고확인내용을 입고관리부(510)나 외부의 입고관리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입고관리부(510)는 전송된 출고확인내용을 인식하여 출고되지 않은 재고내용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출고되는 약품들은 소정의 개수만큼 밴딩처리되어서 패키지화되어 라벨링된 포장박스에 다시 포장된 상태로 약국으로 납품될 수 있다.
또한, 약품확인부(5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된 발주요청을 확인하여 특정 약국으로부터 어떤 종류의 약품들이 어느 정도의 수량으로 납품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납품된 약품들에서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어느 약국에 납품된 약품에 문제가 있었는지 추적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보관관리서버(500)는 입고관리부(510)부에서 관리되는 입고정보와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들의 종류 및 발주수량을 비교 및 확인하는 재고확인부(560)와, 재고확인부(560)에서 확인된 발주수량이 입고관리부(510)부에서 관리되는 약품의 재고수량보다 많으면 보관되는 약품의 재고부족상태를 외부에 경고하는 재고부족경고부(57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재고부족경고부(570)를 통해 약품의 재고부족상태에 대한 통신신호가 발생되어서 컴퓨터의 모니터나 알람 또는 경고등이 작동됨에 따라 관리자는 이를 확인하여 부족한 약품이 추가로 입고되도록 조취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약품보관수단은 출고되는 약품박스(10)가 포장되는 포장박스(50)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박스정보리더기(6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보관관리서버(500)는 박스정보리더기(600)에서 인식된 박스정보를 통해 발주자와 배송지와 배송순서와 약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고,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인식하여 출고전송부(540)에서 전송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정보저장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보관관리서버(500)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포장박스(50)들마다 발주자와 배송지와 배송순서와 약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서 포장박스(50)들이 신속하고 납품될 수 있도록 배송순서 및 발주자별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다.
더욱이, 보관관리서버(500)는 약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배송지에 배송되었는지 확인하는 배송확인부(59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송확인부(590)는 출고시간부터 배송완료시간까지의 배송시간을 설정하는 배송시간설정부(591)와, 박스정보리더기(600)에서 박스정보가 인식된 시간을 체크하는 출고시간체크부(592)와, 외부로부터 배송완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배송시간체크부(593)와, 출고시간체크부(592) 및 배송시간체크부(593)에서 각각 체크되는 배송시간을 배송시간설정부(590)에서 설정된 시간과 비교 및 판단하는 시간판단부(594)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보저장부(580)는 배송확인부(590)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출고전송부(540)에서 전송된 약품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여서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배송시간설정부(591)는 박스정보가 인식된 시간을 시작시간으로 설정하면서 배송완료시간을 배송지의 거리를 감안하여서 설정할 수 있다.
배송완료입력부(592)는 보관관리서버(500)에 연결되는 키보드나 마우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약품을 배송한 배송직원이 배송완료입력부(592)를 통해 배송완료에 대한 정보를 직접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배송완료입력부(592)는 보관관리서버(500)에 인터넷을 통해 연결된 다른 PC의 키보드나 마우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터넷이 연결된 배송지의 PC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배송완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정보저장부(580)는 시간판단부(594)에서 판단에 따라 배송이 완료된 약품정보 및 박스정보와 배송이 완료되지 않은 약품정보 및 박스정보를 각각 분리하여서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보관관리서버(500)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출고되어서 배송되는 포장박스(50)가 해당하는 배송지에 설정된 시간 내에 도착여부 확인할 수 있어서 이에 대해 신속하게 조취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약품박스 50 :포장박스
100 : 카메라 200 : 입고관리서버
210 : 바코드인식부 220 : 날짜체크부
230 : 정보저장부 300 : 보관대
400 : 출고조작기 410 : IC칩
420 : 표시창 430 : 스위치
500 : 보관관리서버 510 : 입고관리부
520 : 약품확인부 530 : ID선택부
540 : 출고전송부 550 : 출고확인부
560 : 재고확인부 570 : 재고부족경고부
600 : 박스정보리더기 580 : 정보저장부
590 : 배송시간설정부 591 : 배송완료입력부

Claims (7)

  1. 입고되는 약품박스(10)를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약품박스(10)의 바코드를 데이터화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입고관리서버(200)를 포함하는 입고인식수단과,
    입고인식수단에 의해 인식된 약품박스(10)들이 종류별로 보관되고 발주요청에 따른 약품들의 출고순서와 수량을 표시하고 출고완료를 확인하는 약품보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입고관리서버(200)는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바코드를 인식하는 바코드인식부(210)와,
    바코드인식부(210)에서 바코드가 인식된 시간과 날짜를 체크하는 날짜체크부(220)와,
    바코드인식부(210)에서 인식된 바코드의 정보와 날짜체크부(220)에서 체크된 시관과 날짜가 데이터화되어서 저장되는 정보저장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약품보관수단은
    약품들이 종류별로 보관되는 다수의 보관공간이 형성되는 보관대(300)와,
    보관대(300)의 보관공간마다 구비되고 해당 보관공간에 보관된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표시하고 약품의 출고완료 상태를 외부로 전송하며 고유의 ID를 갖는 출고조작기(400)와,
    입고인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고정보를 인식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요청을 확인하여 출고조작기(400)의 ID를 확인하고 해당 출고조작기(400)에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전송하며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확인하는 보관관리서버(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출고조작기(400)는
    ID가 저장되는 IC칩(410)과,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이 표시되는 표시창(420)과,
    약품의 출고완료상태를 전기신호로 외부에 전송하는 스위치(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보관관리서버(500)는
    입고인식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입고정보를 인식하여서 관리하는 입고관리부(510)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발주요청을 확인하고 발주요청에 따른 약품의 출고순서와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는 약품확인부(520)와,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들의 출고순서를 확인하고 약품이 보관된 출고조작기(400)의 ID를 확인하여 확인된 ID들을 순서를 선택하는 ID선택부(530)와,
    ID선택부(530)에서 선택된 ID에 해당하는 출고조작기(400)에 약품확인부(520)에서 확인된 약품의 출고순서 및 수량을 전송하는 출고전송부(540)와,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확인하여 입고관리부(510)에 제공하는 출고확인부(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약품보관수단은 출고되는 약품박스(10)가 포장되는 포장박스(50)의 바코드를 인식하는 박스정보리더기(600)를 더 포함하고,
    보관관리서버(500)는 박스정보리더기(600)에서 인식된 박스정보를 통해 발주자와 배송지와 배송순서와 약품의 종류 및 수량을 확인하고, 출고조작기(400)로부터 전송되는 출고완료를 인식하여 출고전송부(540)에서 전송된 약품의 종류와 수량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서 저장하는 정보저장부(5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보관관리서버(500)는 약품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배송지에 배송되었는지 확인하는 배송확인부(590)를 더 포함하며,
    배송확인부(590)는
    출고시간부터 배송완료시간까지의 배송시간을 설정하는 배송시간설정부(591)와,
    박스정보리더기(600)에서 박스정보가 인식된 시간을 체크하는 출고시간체크부(592)와,
    외부로부터 배송완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시간을 체크하는 배송시간체크부(593)와,
    출고시간체크부(592) 및 배송시간체크부(593)에서 각각 체크되는 시간을 배송시간설정부(590)에서 설정된 시간과 비교 및 판단하는 시간판단부(594)를 포함하며,
    정보저장부(580)는 배송확인부(590)에서 확인된 결과에 따라 출고전송부(540)에서 전송된 약품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분리하여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KR1020140041752A 2014-04-08 2014-04-08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KR101605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52A KR101605177B1 (ko) 2014-04-08 2014-04-08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752A KR101605177B1 (ko) 2014-04-08 2014-04-08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634A true KR20150116634A (ko) 2015-10-16
KR101605177B1 KR101605177B1 (ko) 2016-03-21

Family

ID=5436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752A KR101605177B1 (ko) 2014-04-08 2014-04-08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17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2072A (zh) * 2017-12-04 2018-05-11 杭州纳戒科技有限公司 物流箱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9198923A (zh) * 2018-11-21 2019-01-15 赵可心 一种用于保障服刑人员健康的储药柜
CN109808328A (zh) * 2019-02-20 2019-05-28 广州凯乐仕科技有限公司 物流标签的打印方法及装置
KR102199840B1 (ko) * 2020-08-12 2021-01-07 (주)태성메디 의료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KR20210037445A (ko) * 2019-09-27 2021-04-06 (주)인포바이오테크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KR20210138907A (ko) 2020-05-13 2021-11-22 안성모 안전과 보안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장치를 활용한 시약관리 시스템
KR102427452B1 (ko) * 2021-10-07 2022-08-02 (주)태성메디 의료기기 판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0215B1 (ko) 2020-06-08 2022-12-22 주식회사 스파클링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2072A (zh) * 2017-12-04 2018-05-11 杭州纳戒科技有限公司 物流箱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09198923A (zh) * 2018-11-21 2019-01-15 赵可心 一种用于保障服刑人员健康的储药柜
CN109808328A (zh) * 2019-02-20 2019-05-28 广州凯乐仕科技有限公司 物流标签的打印方法及装置
CN109808328B (zh) * 2019-02-20 2021-12-21 广州凯乐仕科技有限公司 物流标签的打印方法及装置
KR20210037445A (ko) * 2019-09-27 2021-04-06 (주)인포바이오테크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KR20210138907A (ko) 2020-05-13 2021-11-22 안성모 안전과 보안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장치를 활용한 시약관리 시스템
KR20230058597A (ko) 2020-05-13 2023-05-03 안성모 안전과 보안성이 개선된 시약관리 장치를 활용한 시약관리 시스템
KR102199840B1 (ko) * 2020-08-12 2021-01-07 (주)태성메디 의료 물품 재고 관리 시스템
KR102427452B1 (ko) * 2021-10-07 2022-08-02 (주)태성메디 의료기기 판매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177B1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177B1 (ko)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US11928913B2 (en) Medi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health and health-related facilities
US8417379B2 (en) Pharmacy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US201801507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on or Delivery of Retail Products
KR101822617B1 (ko) Rfid를 이용한 마약류 및 향정신성 의약품 관리시스템과 그 관리방법
US11475503B1 (en) Materials handling facility to present predicted items to a user
JP6415498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在庫管理方法
CA2995986C (en) Bulk encoding of medical items using rfid tags
CN113498524A (zh) 递送系统
JP6701591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の在庫管理方法
JP2014228931A (ja) 薬剤在庫管理システム
JP2013069287A (ja) 消費物品の在庫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9112231A (ja) 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管理モジュール
US9165118B2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KR20200031549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약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708342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
WO2019179190A1 (zh) 一种自助售货管理系统和方法
KR101098580B1 (ko) 다종의 의약품 배송을 위한 검품방법 및 이를 이용한 주문 배송 시스템
JP2017111792A (ja) 服薬支援システムおよび服薬支援方法
JP2005350222A (ja) 製品保管システム
JP7010034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在庫管理方法
JP6235650B2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在庫管理方法
JP2003118840A (ja) 医薬品の備蓄・販売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706082B1 (ko) 약품 피킹 시스템
JP6770133B1 (ja) 医薬品在庫管理システム及び、医薬品在庫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