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7445A -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7445A
KR20210037445A KR1020190120086A KR20190120086A KR20210037445A KR 20210037445 A KR20210037445 A KR 20210037445A KR 1020190120086 A KR1020190120086 A KR 1020190120086A KR 20190120086 A KR20190120086 A KR 20190120086A KR 20210037445 A KR20210037445 A KR 20210037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storage space
control uni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7226B1 (ko
Inventor
고광명
심호영
Original Assignee
(주)인포바이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포바이오테크 filed Critical (주)인포바이오테크
Priority to KR102019012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2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A47B2067/025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having safety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의약품이 보관되기 위한 보관 공간을 갖는 본체와, 보관 공간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결합된 도어를 구비한 의약품 보관 장치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의 신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의약품이 보관 공간에 반입되거나 보관 공간으로부터 반출될 때, 의약품에 기재된 일련번호를 읽어내는 리더부; 및 의약품 보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어부에 기 저장된 신분 정보와 일치하는 신분 정보가 입력부에 입력된 경우에만 도어가 개방되게 하고, 도어를 개방한 사용자의 신분 정보 및 리더부를 통해 읽어낸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기록한다.

Description

의약품 보관 장치{MEDICATION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의약품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포폴과 같은 향정신성 의약품에 대해서는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하지 위해 보건당국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의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취급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현재는 제약회사, 수출입업체, 도매상 등의 보고의무자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직접 입력하거나, 병원, 약국 등에서 사용되는 내부관리시스템을 통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전산으로 입력되고 있다. 그러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프로포폴 처방 통계 현황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보고된 프로포폴 유통 현황에 현격한 차이가 있어 시스템의 작동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서도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관리 소홀이 우려되는 만큼, 취급 보고의 누락을 방지하여 마약류 의약품의 철저한 관리 감독이 가능한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약류 의약품에 대한 철저한 관리 감독이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예에서, 의약품이 보관되기 위한 보관 공간을 갖는 본체와, 보관 공간을 개폐하도록 본체에 결합된 도어를 구비한 의약품 보관 장치는, 도어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의 신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의약품이 보관 공간에 반입되거나 보관 공간으로부터 반출될 때, 의약품에 기재된 일련번호를 읽어내는 리더부; 및 의약품 보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어부에 기 저장된 신분 정보와 일치하는 신분 정보가 입력부에 입력된 경우에만 도어가 개방되게 하고, 도어를 개방한 사용자의 신분 정보 및 리더부를 통해 읽어낸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기록한다.
다른 예에서, 보관 공간에 설치되어 보관 공간에 반입되거나 보관 공간으로부터 반출된 의약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의약품이 반입 또는 반출될 때, 무게 센서가 감지한 의약품의 무게와, 리더부가 읽어낸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를 비교하여,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 또는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는, 무게 센서가 감지한 무게와, 리더부가 읽어낸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가 서로 같은 경우,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 또는 반출되었다고 판정하고, 무게 센서가 감지한 무게와, 리더부가 읽어낸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가 서로 다른 경우,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입 또는 반출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일련번호는 바코드, RFID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 태그 형식으로 의약품에 부착되어 있고, 리더부는, 의약품이 보관 공간으로 반입이 완료된 후 전자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전자 태그에는 의약품의 유통기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제어부는, 유통기한 정보를 기록하여 보관 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의약품의 유통기한이 도과하기 전에 유통기한이 임박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보관 공간의 내부 및 의약품이 반입 또는 반출되는 경로를 촬영 가능한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촬영부를 통해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제어부는, 신분 정보 및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하나의 디저털 파일로서 내부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보관 공간의 대기 상태를 조절 가능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조절부가 보관 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의약품의 종류에 기초해서 보관 공간의 대기 상태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보관 공간은 서로 밀폐된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조절부는, 복수 개의 공간을 각각 제어 가능하며, 제어부는, 조절부가 복수 개의 공간에 보관된 의약품의 종류에 기초해서 복수 개의 공간의 대기 상태를 각각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본체 또는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에는 의약품 보관 장치에 보관되어 있어야 하는 필수 의약품에 대한 재고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제어부는, 반입출 정보와 재고 정보를 비교하여 필수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필수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함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가 내부 시스템에 자동으로 저장되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의 반입출 보고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입출되는 것을 감지하여 의약품이 오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의약품 보관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는 본체(110), 입력부(121), 디스플레이부(123), USB 포트(125), 도어(130) 및 의약품 보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의약품이 보관되기 위한 보관 공간(117, 도 2 참조)이 마련되어 있고, 하측에는 바퀴(115)가 설치되어 의약품 보관 장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30)는 보관 공간을 개폐하도록 본체(110)에 결합되며, 일측에 손잡이(131)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체(110)에 설치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입력부(121)에는 도어(130)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의 신분 정보를 입력한다. 입력부(121)는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3)와 기능을 공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신분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신분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을 이용하여 신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신분 정보는 제어부에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123)는 본체(110) 또는 도어(130)에 설치되며, 의약품 보관 장치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등 보관 공간의 내부 상태, 보관 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의약품의 종류, 의약품이 보관 공간에 비정상적으로 반입되거나 보관 공간으로부터 비정상적으로 반출되었는지 여부 등의 보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3)가 표시하는 내용과 관련해서는 의약품 보관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에는 의약품 보관 장치를 사용할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신분 정보, 보관 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의약품의 종류, 유통기한 등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USB 포트(125)를 통해 제어부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관 공간(117)은 서로 밀폐된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보관 공간(117)에는 보관 공간(117)의 대기 상태를 조절하는 조절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조절부는 보관 공간(117)의 온도, 습도, 진공 상태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초음파 또는 약품을 이용하여 내부를 소독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공간에 보관된 각 의약품의 종류에 기초해서, 복수 개의 공간의 대기 상태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는 보관 공간(117)에 보관되어 있는 의약품의 종류에 기초해서 보관 공간(117)의 대기 상태를 조절함으로써, 보관된 의약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의약품에 기재된 일련번호를 읽어내는 리더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리더부는 본체(110)의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보관 공간(117)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련번호는 바코드, RFID, QR 코드와 같은 전자 태그 형식으로 의약품에 부착되어 있다. 일련번호는 의약품의 종류, 무게, 유통기한 등 각 의약품에 대응되는 정보를 갖는다. 리더부는 의약품이 보관 공간(117)에 반입되거나 또는 보관 공간(117)으로부터 반출될 때, 전자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의약품이 보관 공간(117)에 반입되거나 보관 공간(117)으로부터 반출된 정보(반입출 정보), 보관된 의약품의 유통기한 정보 등을 내부 시스템에 기록한다.
또한, 보관 공간(117)에는 무게 센서(141)가 설치된다. 무게 센서(141)는 보관 공간(117)의 저면에 설치되어 보관 공간(117)에 반입되거나 보관 공간(117)으로부터 반출된 의약품의 무게를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관 공간(117)에 의약품이 반입되면, 반입된 의약품의 무게를 감지하고, 보관 공간(117)으로부터 의약품이 반출되면, 반출된 의약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무게 센서(141) 역시 구획된 복수 개의 보관 공간(117)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보관 공간(117)에 보관된 의약품의 무게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보관 공간(117)에는 의약품이 반입되거나 반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미도시)도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는 동작 센서가 리더부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더부가 반입 정보를 읽어낸 후 동작 센서에서 반입 동작이 감지되지 않거나, 동작 센서에서 반출 동작이 감지되었는데 리더부에서 반출 정보를 읽어내지 못하는 경우, 비정상적인 반입출 동작이 있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는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 촬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는 보관 공간(117)의 내부 및 의약품이 반입 또는 반출되는 경로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추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의약품 보관 장치의 제어 방법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의약품 보관 장치에 의약품을 보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의약품을 보관 공간(117)에 반입하기 위해 의약품 보관 장치의 도어(130)를 개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입력부(121)에 신분 정보를 입력한다. 제어부에는 도어(130)를 개방할 권한을 갖는 사용자의 신분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121)에 입력된 사용자의 신분 정보와, 제어부에 입력되어 있는 신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도어(130)가 개방되게 한다. 따라서 권한 없는 사용자가 보관 장치를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3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의약품을 보관 공간(117)에 반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약품을 보관 공간(117)으로 반입하면, 리더부는 의약품에 부착되어 있는 일련번호에 대한 전자 태그를 읽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리더부가 읽어낸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의약품이 보관 공간(117)에 반입되었음을 내부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의약품을 반입한 사용자의 신분 정보 및 반입된 의약품에 관한 정보를 하나의 디지털 파일로서 내부 시스템에 자동으로 저장하고, 사용자는 저장된 파일(예를 들어, *.csv, *.xml 파일)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신분 정보 및 의약품의 반입 정보를 손쉽게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이 반입될 때마다 자동으로 저장된 파일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업로드하는 간단한 행위로 반입출 정보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할 수 있으므로 반입 정보의 누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센서는 리더부와 연동하여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의약품의 전자 태그를 리더부에 읽혀낸 후 의약품을 보관 공간(117)에 보관하지 않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관 공간(117)에 의약품이 반입되면 무게 센서(141)가 반입된 의약품의 무게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무게 센서(141)가 감지한 의약품의 무게와, 리더부가 읽어낸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를 비교하여,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더부가 읽어낸 무게와 무게 센서(141)가 감지한 무게가 같은 경우,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보관 공간(117)에 반입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반면, 리더부가 읽어낸 무게와 무게 센서(141)가 감지한 무게가 다른 경우,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보관 공간(117)에 반입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즉, 무게 센서(141)와 리더부를 통해 이중으로 의약품을 감지함으로써,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의약품이 반입된 정보를 저장하고,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한다. 반면,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입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입되었다고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는 의약품이 반입되는 과정 및 의약품이 보관 공간(117)에 보관된 상태를 촬영한다.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정보는 제어부에 기록되고, 사용자는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3) 또는 무선으로 전송된 영상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되었는지 사용자의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더부, 무게 센서(141) 및 촬영부를 통해 3가지 루트로 의약품의 반입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의약품이 보관 공간(117)에 보관되면, 제어부는 조절부를 제어하여 보관 공간(117)이 각 의약품에 알맞는 대기 상태를 갖도록 보관 공간(117)의 내부 상태를 조절한다. 보관 공간(117)의 내부 상태가 부적절하게 변경된 경우에는,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태그에는 의약품의 유통기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제어부는 반입된 의약품의 유통기한 정보를 기록하여, 보관 공간(117)에 보관되어 있는 의약품의 유통기한이 도과하기 전에 유통기한이 임박했음을 디스플레이부(123)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에는 의약품 보관 장치에 보관되어 있어야 하는 필수 의약품에 대한 재고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반입된 의약품의 정보와 재고 정보를 비교하여, 필수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이를 디스플레이부(123) 및/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의약품 보관 장치에서 의약품을 반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약품의 반출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입력부(121)에 신분 정보를 입력하고, 제어부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도어(130)를 개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권한 없는 사용자에 의한 밀반출 및 약물의 오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어(13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의약품을 보관 공간(117)으로부터 반출하고, 이때 리더부는 의약품에 부착된 전자 태그를 읽어내어 어떤 의약품이 반출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게 센서(141)는 반출된 의약품의 무게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무게 센서(141)가 감지한 의약품의 무게와, 리더부가 읽어낸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를 비교하여,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더부가 읽어낸 무게와 무게 센서(141)가 감지한 무게가 같은 경우,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보관 공간(117)으로부터 반출되었다고 판정하고, 리더부가 읽어낸 무게와 무게 센서(141)가 감지한 무게가 다른 경우,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보관 공간(117)으로부터 반출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의약품이 반출된 정보를 내부 시스템에 저장한다. 반면,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출되었다고 판정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23)를 통해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출되었다고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내부 시스템에는 의약품이 반출된 정보를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촬영부 역시 의약품이 보관되어 있던 상태 및 의약품이 반출되는 과정을 촬영하여,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출되고 있는지 기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 역시 이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의약품이 반입 또는 반출되면 사용자가 몇 가지 복잡한 과정을 거쳐 직접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이를 보고하거나, 연계 소프트웨어를 통해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하였기 때문에, 보고가 누락될 우려가 많았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 보관 장치에 의하면, 의약품이 반입 또는 반출되면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가 내부 시스템에 하나의 파일로 저장됨으로써, 사용자는 이 파일을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업로드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사용자의 신분 정보와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보고할 수 있으므로, 보고가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리더부, 동작 센서, 무게 센서(141) 및 촬영부를 통해 3중 또는 4중으로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입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히 향정신성 의약품이 오남용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본체
115: 바퀴
117: 보관 공간
121: 입력부
123: 디스플레이부
125: USB 포트
130: 도어
131: 손잡이
141: 무게 센서

Claims (10)

  1. 의약품이 보관되기 위한 보관 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보관 공간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된 도어를 구비한 의약품 보관 장치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의 신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의약품이 상기 보관 공간에 반입되거나 상기 보관 공간으로부터 반출될 때, 상기 의약품에 기재된 일련번호를 읽어내는 리더부; 및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 기 저장된 신분 정보와 일치하는 신분 정보가 상기 입력부에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도어가 개방되게 하고, 상기 도어를 개방한 사용자의 신분 정보 및 상기 리더부를 통해 읽어낸 상기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기록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보관 공간에 반입되거나 상기 보관 공간으로부터 반출된 상기 의약품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약품이 반입 또는 반출될 때, 상기 무게 센서가 감지한 의약품의 무게와, 상기 리더부가 읽어낸 상기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 또는 반출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센서가 감지한 무게와, 상기 리더부가 읽어낸 상기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가 서로 같은 경우, 상기 의약품이 정상적으로 반입 또는 반출되었다고 판정하고, 상기 무게 센서가 감지한 무게와, 상기 리더부가 읽어낸 상기 의약품의 일련번호에 대응되는 무게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의약품이 비정상적으로 반입 또는 반출되었다고 판정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번호는 바코드, RFID 및 QR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자 태그 형식으로 상기 의약품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리더부는, 상기 의약품이 상기 보관 공간으로 반입이 완료된 후 상기 전자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는, 의약품 보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태그에는 상기 의약품의 유통기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통기한 정보를 기록하여 상기 보관 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의약품의 유통기한이 도과하기 전에 상기 유통기한이 임박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공간의 내부 및 상기 의약품이 반입 또는 반출되는 경로를 촬영 가능한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상기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획득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분 정보 및 상기 의약품의 반입출 정보를 하나의 디지털 파일로서 내부 시스템에 저장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공간의 대기 상태를 조절 가능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보관 공간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의약품의 종류에 기초해서 상기 보관 공간의 대기 상태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공간은 서로 밀폐된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복수 개의 공간을 각각 제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복수 개의 공간에 보관된 상기 의약품의 종류에 기초해서 상기 복수 개의 공간의 대기 상태를 각각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의약품 보관 장치에 보관되어 있어야 하는 필수 의약품에 대한 재고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입출 정보와 상기 재고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필수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상기 필수 의약품의 재고가 부족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의약품 보관 장치.
KR1020190120086A 2019-09-27 2019-09-27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KR10233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086A KR102337226B1 (ko) 2019-09-27 2019-09-27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086A KR102337226B1 (ko) 2019-09-27 2019-09-27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445A true KR20210037445A (ko) 2021-04-06
KR102337226B1 KR102337226B1 (ko) 2021-12-09

Family

ID=75473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086A KR102337226B1 (ko) 2019-09-27 2019-09-27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2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95B1 (ko) *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101057022B1 (ko) * 2011-03-31 2011-08-16 나성호 병원물품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16634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아세테크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KR101851358B1 (ko) * 2017-05-26 2018-04-23 주식회사 사이어트 (SYATT Co.,Ltd.) 사물 인터넷 등 4g 기술을 이용한 작동 구조의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의 저장 관리 장치
KR20190008669A (ko) * 2017-07-17 2019-01-25 (주)지앤씨엔지니어링 스마트 약물보관 장치를 활용한 원격 약물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95B1 (ko) * 2007-12-03 2008-04-03 대한민국 Rfid를 이용한 시약 관리 시스템
KR101057022B1 (ko) * 2011-03-31 2011-08-16 나성호 병원물품 재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16634A (ko) * 2014-04-08 2015-10-16 주식회사 아세테크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KR101851358B1 (ko) * 2017-05-26 2018-04-23 주식회사 사이어트 (SYATT Co.,Ltd.) 사물 인터넷 등 4g 기술을 이용한 작동 구조의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의 저장 관리 장치
KR20190008669A (ko) * 2017-07-17 2019-01-25 (주)지앤씨엔지니어링 스마트 약물보관 장치를 활용한 원격 약물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7226B1 (ko)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33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site distribution of medications and medical supplies
US80427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medical products
US7175081B2 (en) Pharmaceutical tracking
US786060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segregating dispensed items
US11574284B2 (en) System for prevention of fraud in accounting for utilization of medical items
CA2760996C (en) Inventory control system for portable containers
EP2093726A1 (en) Item monitoring system
US10290368B2 (en) Bulk encoding medical items with wireless identification
US20190272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harmaceutical counterfeit and fraudulent prescription
WO2010140330A1 (ja) 薬剤取り揃え支援システム、薬剤取り揃え支援方法、薬剤払出機及びダミー体
US11244747B2 (en) Pharmacy security system
KR20210110270A (ko)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101816606B1 (ko) 다양한 전자 센서 모듈에 의한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의 저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08623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and segregating dispensed items
KR20210037445A (ko)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KR20170053413A (ko) 고위험 의약품 관리 시스템
KR101996724B1 (ko) 스마트 약물보관 장치를 활용한 원격 약물관리 시스템
CN113205644A (zh) 一种特殊管理药品全流程闭环管理系统及方法
WO20160038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inventory and distribution of medications in a healthcare facility
KR102190581B1 (ko) 의약품 창고 내 보관 공간 확보가 가능한 의약품 보관 장치
CN114023422A (zh) 一种医院精麻药品全程追溯管理系统
KR20240013375A (ko) 의약품의 재고 상황 및 처방 결과의 자동 관리 시스템
US201701477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inventory and distribution of medications in a healthcare fac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