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270A -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270A
KR20210110270A KR1020210112497A KR20210112497A KR20210110270A KR 20210110270 A KR20210110270 A KR 20210110270A KR 1020210112497 A KR1020210112497 A KR 1020210112497A KR 20210112497 A KR20210112497 A KR 20210112497A KR 20210110270 A KR20210110270 A KR 20210110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product
related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석규
장학순
이해훈
장경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어트 (SYATT Co.,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어트 (SYATT Co.,Ltd.)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어트 (SYATT Co.,Ltd.)
Priority to KR102021011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0270A/ko
Publication of KR20210110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Fina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Toxic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단계에서 유통 또는 처방이 된 의료 관련 제품의 재고 상황 및 처방 결과가 자동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은 다수 개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체크 모듈(12); 체크 모듈(12)로부터 각각의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정보 및 처분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모듈(13);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를 탐색하는 분류 탐색 모듈(15); 및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전송되고,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상태 및 재고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 서버(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An Managing System for a Medical Relating Product Including a Special Treatment Drug Medicine}
본 발명은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단계에서 유통 또는 처방이 된 의료 관련 제품의 재고 상황 및 처방 결과가 자동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하는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을 비롯한 의료 관련 제품은 사람의 생명 또는 건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통 또는 최종 소비 과정이 권한이 있는 관리 기관에 의하여 감독이 될 필요가 있다. 특별히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 마약류 또는 중독성 의약품은 오용 또는 남용으로 인한 피해가 크므로 생산 과정, 유통 과정 및 처방 과정이 정확하게 확인이 되어 관리가 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별 관리 대상이 되는 의약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의료 관련 제품은 각각의 유통 과정 또는 처방 과정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가 되고, 관리 결과가 독립적으로 예를 들어 식품의약안전처와 같은 감독 또는 관리 기관에 보고가 된다. 이로 인하여 유통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되면 차후 확인이 어렵게 된다. 또한 불법 유통에 대한 추적이 어려울 수 있다. 추가로 수량이 제한되는 중독성 의약품의 경우 각각의 개인에게 최종적으로 정해진 기간 내에 처방된 전체 양의 확인이 어렵다. 그러므로 모든 유통 또는 처방 과정이 자동으로 확인 또는 추적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관리 시스템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특히 특별 관리 대상이 되는 의약품 또는 중독성을 가진 의약품의 각 단계의 유통 과정 또는 처방 과정이 자동으로 확인되면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확인될 수 있는 자동 관리 시스템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80259호는 의약품 보관데이터의 의도적 변경과 적정한 보관 환경 관리 프로세서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하여 의약품의 변질 및 소비자의 위험성을 최소화를 시킬 수 있는 의약품 관리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제10-1555666호는 방사성 의약품의 특성에 적합한 생산 관리, 품질 관리, 오더 관리 및 구매 관리를 통합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선행기술 또는 공지된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시스템은 유통 과정을 추적 및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과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의 경우 유통 과정 또는 처분 과정이 확인이 될 필요가 있고, 각각의 처리 기관의 관리 현황이 확인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관련된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80259호(한미아이티 주식회사, 2014년06월30일 공개) 의약품 관리방법 선행기술 2: 특허등록번호 제10-1555666호((주)중외정보기술, 2015년09월25일 공고)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유통 또는 처방 과정이 각각의 단계에서 확인되어 전체 수량이 자동적으로 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독성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오용 또는 남용이 되는 의약품을 정해진 시기 동안 개인에게 처방된 전체 총량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은 다수 개의 처리 기관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체크 모듈; 체크 모듈로부터 각각의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정보 및 처분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모듈; 정보 추출 모듈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를 탐색하는 분류 탐색 모듈; 및 정보 추출 모듈로부터 전송되고,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상태 및 재고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보 추출 모듈로부터 추출된 정보로 각각의 처리 기관의 처분 수량 및 보유 수량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처분/재고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의료 관련 제품의 유통 또는 처분 사항의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 유닛을 포함하고, 입력 수단 유닛에 입력되는 사항에 대한 승인 획득 여부를 확인하여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인 확인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의료 관련 제품의 보관 상태를 확인하는 보관/저장 유닛; 보관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상태를 확인하는 수량 확인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량 확인 유닛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의 재고 수량 및 소진 예상 시기를 판단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주문에 대한 정보를 발생시키는 주문 관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의료 관련 제품은 마약류,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 또는 대마 약품을 포함하는 특별 관리 대상 의료 관련 제품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중독성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일정 시기에 판매 또는 처방이 가능한 수량이 제한되는 의약품의 총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량 제한 관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유통 단계에서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과정이 확인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마약류,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 또는 대마와 같은 특별 관리 대상의 처분 과정의 결과가 자동으로 감독 기관으로 전송되거나, 필요한 경우 감독 기관에 의하여 임의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관리 환경이 안정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입력 오류와 같은 관리 오류의 발생 원인이 자동으로 확인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의 관리 및 사용의 투명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의료 관련 제품의 유통 과정 및 처분 과정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면서 다수 개의 경로로 유통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과정이 취합되어 자동으로 확인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오용 또는 남용 방지를 위하여 처방되어야 하는 양이 제한되는 중독성 의약품의 서로 다른 처분 기관에 의한 판매 또는 처방의 총량이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유통 과정에서 재고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의료 관련 제품의 공급 및 수요의 예측에 따른 생산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 자동 관리 시스템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이 유통 과정에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이 처분 기관의 의료 관련 제품의 관리 과정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이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의 관리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 자동 관리 시스템(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 자동 관리 시스템(10)은 다수 개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체크 모듈(12); 체크 모듈(12)로부터 각각의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정보 및 처분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모듈(13);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를 탐색하는 분류 탐색 모듈(15); 및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전송되고,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상태 및 재고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 서버(20)를 포함한다.
의료 관련 제품은 의약품을 비롯하여 제조 또는 판매를 위하여 허가를 받아야 하거나, 유통 또는 처분 내역이 식품의약안전처와 같은 감독 기관에 보고가 되어야 하는 제품을 말한다. 의료 관련 제품은 마약류, 향정신성 의약품, 대마 의약품 또는 오남용의 방지를 위하여 개인에 대한 판매 또는 처방되는 양이 제한되는 의약품을 포함한다.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은 의료 관련 제품의 생산, 유통 또는 처방을 하는 기관이 되고, 본 명세서에서 처분은 의료 관련 제품의 생산, 유통 또는 처방과 같은 의료 관련 제품과 관련된 모든 관리 행위를 포함한다.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은 의료 관련 제품의 생산 기관, 도매 도는 소매점과 같은 유통 기관, 병원 또는 약국과 같은 처방 기관 또는 이와 유사한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처분 권한을 가진 모든 기관을 포함한다.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은 의료 관련 제품을 유통 또는 처방할 수 있고, 의료 관련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유통 관리 또는 처방 관리를 할 수 있고,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가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은 문서 또는 전자기록 형태로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적절한 관리 서버(20)를 통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서 처분된 의료 제품 관리 정보는 전자 기록 방식이 되거나, 전자 기록 방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이와 유사한 입력 수단을 가지는 단말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로 입력이 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또는 문서로 만들어진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는 이와 같은 전자기기에 의하여 처리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체크 모듈(12)은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서 처리된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 내역을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체크 모듈(12)은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말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체크 모듈(12)은 다수 개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으로 전송된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 연결된 다수 개의 단말기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체크 모듈(12)에 의하여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가 확인되면 정보 추출 모듈(13)에 의하여 의료 관련 제품 관리를 위한 정보가 추출될 수 있다.
체크 모듈(12)은 확인이 된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를 미리 결정된 방식에 따라 분류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를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류되거나, 처리 가능하도록 변형된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가 정보 추출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13)은 체크 모듈(12)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의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의료 관련 제품의 종류, 제조일자, 처분 일자, 처분 기관 또는 이와 유사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비교기(131)로 전송할 수 있다. 비교기(131)는 추출된 정보를 제조 정보 서버(17)로부터 제공된 정보와 비교하여 동일 의료 관련 제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정보 추출 모듈(13)에서 추출된 다양한 정보에 기초하여 동일 종류의 의료 관련 제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기(131)에 의하여 비교되어 동일 의료 관련 제품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확인되면 동일 의료 관련 제품 관련 정보를 정해진 형태로 만들어 의료 관련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독성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일정 시기에 판매 또는 처방이 가능한 수량이 제한되는 의약품의 총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량 제한 관리 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전송된 정보로부터 비교기(131)는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 의하여 처분된 동일 의약품 또는 의료 관련 제품의 전체 양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기 동안 개인에 대한 판매 총량이 제한되는 수량 제한 제품이 리스트가 비교기(131) 또는 수량 제한 관리 유닛(18)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수량 제한 관리 유닛(18)에 의하여 판매 또는 처분된 수량 제한 의약품의 총량이 미리 결정된 수량 범위를 벗어나면 비교기(131)를 경유하여 또는 직접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는 필요에 따라 감독 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감독 기관은 필요에 따라 특정 수량 제한 의약품의 판매 현황 또는 재고 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수량 제한 관리 유닛(18)에 의하여 오용 또는 남용 방지를 위한 수량 제한 의약품의 관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는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의료 관련 제품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13)의 의료 관련 제품 관리 정보로부터 동일한 의료 관련 제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비교기(131)는 추출된 정보를 비교하여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서 처분된 의료 관련 제품의 동일성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는 처분된 의료 관련 제품을 종류에 따라 분류하고, 의료 관련 제품과 관련된 정보를 해당 의료 관련 제품에 연관시켜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13)에서 추출된 정보는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서 처리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하나의 의료 관련 제품 유통 도매상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을 관리하거나, 하나의 병원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20)는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을 결정하고,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내용을 저장하고 그리고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내역을 감독 기관에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 설치되거나, 다수 개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이 하나의 관리 서버(20)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에 의하여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의 관리 정보는 정해진 시기에 또는 감독 기관의 요청에 의하여 감독 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감독 기관은 제한된 범위에서 또는 관리 서버(20)에 대한 승인을 획득하여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현황 또는 재고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마약류, 향정신성 의약품 또는 대마 의약품과 같은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 또는 수량 제한 의약품이 미리 결정된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경고가 발생되거나, 자동으로 감독 기관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관리 서버(20)와 감독 기관의 연결 설정 또는 접속 승인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컴퓨터 서버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20)는 정보 추출 모듈(13),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 또는 분류 탐색 모듈(15)과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관련 제품의 유통 또는 처분을 감독하는 기관과 무선 또는 인터넷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감독 기관과 제한된 범위에서 양방향 통신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관리 서버(20)와 연결된 다양한 의료 관련 제품 처분 정보 처리 모듈과 서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 의하여 의료 관련 제품이 처리되는 과정을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정보를 감독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독 기관은 필요에 따라 관리 서버(20)에 접속하여 제한된 범위에서 관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관리 시스템(10)은 분류 탐색 모듈(15)을 포함할 수 있고, 분류 탐색 모듈(15)은 관리 서버(20)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와 대비하여 체크 모듈(12)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분류 탐색 모듈(15)은 관리 서버(20)로 전송되는 처분된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체크 모듈(1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 의하여 입력되는 의료 관련 제품 처분 정보가 체크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는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으로부터 체크 모듈(12)로 전송되거나, 관리 서버(20)로 전송되고 이후 분류 탐색 모듈(15)을 경유하여 체크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의료 관련 제품 처분 정보는 시스템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체크 모듈(12)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료 관련 제품 처분 정보의 처리 경로는 자동 관리 시스템의 구조 또는 자동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의 구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은 제조 기관, 도매 유통 기관, 소매 유통 기관, 대리점 관리 기관, 약국 또는 병원이 될 수 있고, 자동 관리 시스템(10)은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의 의료 관련 제품 처리 방식에 따라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이 유통 과정에 적용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료 관련 제품(M)은 제조 회사와 같은 생산 기관(21)에 의하여 생산이 되어 처리 기관(1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처리 기관(11)은 생산 기관(21)으로 공급된 의료 관련 제품을 직접 약국 또는 병원과 같은 처방 기관(22)으로 공급하거나 도매 기관(112)으로 공급하는 유통 기관(111); 중간 유통 기관에 해당하는 도매 기관(112) 또는 소매 기관(113); 또는 생산 기관(21)에 의하여 관리되는 판매 기관(114)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기관(11)은 의료 관련 제품을 처방 기관(22)에 공급하는 다양한 유통 기관을 포함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통 기관(111), 소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또는 판매 기관(114)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는 정보 추출 모듈(13)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13)은 유통 기관(111), 도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및 판매 기관(114)에 설치되거나, 둘 이상의 기관(111 내지 114)의 의료 관련 제품 처분 정보를 처리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유통 기관(111), 도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또는 판매 기관(114)은 각각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적어도 처분 의료 관련 제품의 정보를 전자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변환 수단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하여 정보 추출 모듈(13)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처방 기관(22)은 병원 또는 약국이 될 수 있고, 처방 기관(22)이 또한 정보 추출 모듈(13)과 연결될 수 있다. 정보 추출 모듈(13)은 모든 유통 기관(111), 도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및 판매 기관(114)과 연결될 수 있고, 정보 추출 모듈(13)은 각각의 유통 기관(111), 도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및 판매 기관(114)에 설치되거나, 각각의 유통 기관(111), 도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및 판매 기관(114)으로부터 입력된 의료 관련 제품 처분 정보를 전송받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추출 모듈(13)은 계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처리 기관(11)의 서브 정보 추출 모듈 및 서브 정보 추출 모듈로부터 추출된 처분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정보 추출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관리 시스템은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추출된 정보로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의 처분 수량 및 보유 수량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처분/재고 관리 모듈(24)을 포함할 수 있다. 처분/재고 관리 모듈(24)은 처리 기관(11)에서 구입한 의료 관련 제품의 양과 다른 처리 기관(11) 또는 처방 기관(22)으로 공급된 양을 비교하고 현재 적정한 양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처분/재고 관리 모듈(24)은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의 적정 소비 수준을 탐색할 수 있다.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는 각각의 유통 기관(111), 도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및 판매 기관(114)에서 각각의 시기별 수요 및 공급 양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시기별 수용 및 공급 양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처분/재고 관리 모듈(24)은 처리 기관(11)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의료 관련 제품의 양과 처분 수준을 참조하여 적정 재고 수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의료 관련 제품의 현재 유통 수준을 탐색하여 적정 수준의 의료 관련 제품이 유통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이를 관리 서버(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20)는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추출된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 중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 또는 수량 제한 의약품은 총량 산출 유닛(181)에 의하여 정해진 시기에 개인에게 판매된 총량 및 유통 과정의 총량의 확인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비교기에 의하여 동일 의약품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확인되고, 각각의 유통 기관(111), 도매 기관(112), 소매 기관(113) 및 판매 기관(114)에서 정해진 시기에 처분된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 또는 수량 제한 의약품의 총량이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수량 제한 관리 유닛(18)은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 또는 수량 제한 의약품의 처분 정보를 총량 산출 유닛(18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총량 산출 유닛(181)은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 또는 수량 제한 의약품의 처분 또는 재고 현황을 확인하면서, 특정 지역 또는 특정 시기의 처분 수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량 제한 의약품의 처분을 받는 개인이 있다면, 개인 처분의 총량을 추적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처방된 총량이 제한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리 서버(20)에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고, 설계 구조에 따라 감독 기관에 관련 정보가 제공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 또는 수량 제한 의약품은 총량 산출 유닛(181)에 의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의료 관련 제품 공급 시장 전체에 대하여 적용되거나, 각각의 처리 기관(11)에 적용되거나 또는 각각의 처방 기관(22)에 적용될 수 있다. 자동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적용 분야에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이 처분 기관의 의료 관련 제품 관리 과정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는 감독 서버(AS)와 연결될 수 있고, 관리 서버(20)는 각각의 처분 기관에 설치되거나, 관리 서버(20)는 다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도매 공급을 하는 처분 기관 또는 대형 병원에 관리 서버(20)가 다층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형 병원은 각 부서에 적어도 하나의 서버 관리 서버가 배치되고, 각각의 서버 관리 서버는 메인 관리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소형 약국과 같은 처분 기관의 경우 관리 서버(20)는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처분 기관의 규모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감독 서버(AS)와 연결될 수 있고, 감독 서버(AS)는 예를 들어 식품의약안전처와 같이 의료 관련 제품의 생산, 공급 또는 처방을 감독하는 기관에 설치된 서버 또는 그와 같은 기관에서 관리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감독 서버(AS)는 관리 서버(2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감독 서버(AS)는 관리 서버(20)에 요청하여 정해진 범위에서 관리 서버(20)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관리 시스템은 의료 관련 제품의 유통 또는 처분 사항의 입력을 위한 입력 수단 유닛(31)을 포함하고, 입력 수단 유닛(31)에 입력되는 사항에 대한 승인 획득 여부를 확인하여 획득이 가능하도록 하는 승인 확인 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처리 기관(11)에서 구입되거나, 처분되거나 또는 관리되는 의료 관련 제품이 입력 수단 유닛(31)을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입력 수단 유닛(31)은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 노트북, 태블릿 또는 이와 유사한 입력 및 처리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수단 유닛(31)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패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력 수단 유닛(31)은 프로그램 형태의 양식 관리 유닛(311)을 포함할 수 있다. 양식 관리 유닛(311)은 각각의 처분 기관에 적합한 양식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처분 기관이 병원이 되는 경우 양식 관리 유닛(311)은 처방 의료 관련 제품명, 처방 의사, 승인 필요 여부, 승인 획득 여부, 처리 담당자, 환자 명 및 처방일시와 관련된 항목을 가진 처분 양식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으로 양식 관리 유닛(311)은 처방 과정에서 입력되는 입력 내용으로부터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여 저장 또는 전송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 수단 유닛(31)에서 입력된 의료 관련 제품 처분과 관련된 내용은 양식 관리 유닛(311)에 의하여 정해진 형태로 수량 확인 유닛(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수량 확인 유닛(32)은 처분된 의료 관련 제품의 양이 처방에 따른 양, 공급에 따른 양 또는 주문에 따른 양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수량 확인 유닛(32)은 처방되어야 하는 수량, 공급되어야 하는 양 또는 주문에 따른 양을 재고 관리 유닛(321)으로 전송하여 해당하는 의료 관련 제품이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처분 가능한 양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처분 가능한 양에 해당한다면 처분되어야 하는 양을 주문 관리 유닛(33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처분되어야 하는 의료 관련 제품이 승인이 필요한 의료 관련 제품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승인 확인 유닛(33)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승인 확인 유닛(33)은 모든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에 대하여 승인 여부가 필요한 의료 관련 제품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승인이 필요한지 여부는 양식 관리 유닛(311)에 의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승인 확인 유닛(33)에 체크/승인 획득 유닛(331)이 설치될 수 있고, 만약 승인 획득이 필요한 의료 관련 제품이 처분되어야 한다면, 승인 기관으로 처분 내용이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승인 기관은 예를 들어 처방 의사 또는 의료 관련 제품의 상급 관리자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승인 기관으로 승인을 획득을 위한 메시지가 자동으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이와 같은 승인이 요구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과정에서 승인이 획득되지 않는다면,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행위는 중단이 될 수 있다. 체크/승인 회득 유닛(331)은 승인 획득은 위한 메시지 또는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자동으로 획득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승인 획득 과정을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로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승인 확인 유닛(33)에 의하여 승인 여부가 확인되면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처분이 이루어지고, 처분 과정 및 결과가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임의로 접근하여 의료 관련 제품 처분 내역을 확인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처분 결과를 감독 서버(AS)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감독 서버(AS)는 특정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과정 또는 특정 의료 관련 제품의 재고 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리 서버(20)를 경유하여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관리 시스템에서 주문 관리 유닛(332)는 수량 확인 유닛(32)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의 재고 수량 및 소진 예상 시기를 판단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주문에 대한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입력 수단 유닛(31)으로 처분되어야 하는 의료 관련 제품 및 수량이 전송되면 관련 의료 관련 제품의 재고 현황을 재고 관리 유닛(321)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재고 관리 유닛(321)은 하나의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처분이 이루어지면 처분된 의료 관련 제품이 보유 현황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 관련 제품 소진 시기에 대한 소진 예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소진 예상 데이터는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에 따라 갱신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의료 관련 제품이 공급되면 소진 시기가 늦추어지고, 처분 횟수가 많아지면 소진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 그리고 소진 예상 데이터는 주문 관리 유닛(332)으로 전송될 수 있다. 주문 관리 유닛(332)은 소진 예상 데이터가 미리 결정된 시기에 해당하면 주문 관리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를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를 경유하여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서버(20)는 주문 관리 유닛(332)에서 전송된 주문 관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주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은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수량의 오류, 불법 유통 및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모든 의료 관련 제품에 적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마약류,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 또는 대마 성분을 포함하는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 또는 수량 제한 의약품에 대하여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이 특별 관리 대상 의료 관련 제품에 관리에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약품, 의료 관련 제품 또는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은 저장/보관 조건을 유지하는 저장 구역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특별히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은 개폐 수단을 가진 챔버 또는 금고와 같은 곳에 보관되어야 한다.
챔버 또는 금고는 조건 유지 유닛(411)에 의하여 저장/보관을 위한 조건이 유지될 수 있다. 조건 유지 유닛(411)은 온도, 압력 또는 습도의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저장 유닛(41)은 조건 유지 유닛(411)의 작동 상태 및 챔버 또는 금고가 정해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보관/저장 유닛(41)은 관리 대상 리스트(412)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로부터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의 보관 위치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관리 대상 리스트(412)는 저장/관리 구역에서 저장되고 있는 의약품의 종류, 저장 위치, 저장 조건 또는 수량을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의 처분을 위하여 개폐 승인 유닛(42)에 의하여 개폐 승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개폐 승인 유닛(42)은 승인 확인 유닛(33)을 통하여 처분이 요구되는 의약품에 대한 승인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승인 확인 유닛(33)은 체크/승인 획득 유닛(331)을 통하여 필요한 승인을 획득하여 개폐 승인 유닛(42)으로 전송할 수 있다. 개폐 승인 유닛(42)은 또한 처분을 요구하는 사람을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 승인 유닛(42)은 비밀 번호 입력, 보안 카드, 지문, 홍채 인식, 안면 인식 또는 이와 유사한 확인 수단에 의하여 처분을 하는 자를 확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처분이 이루어지면 처분 수량 확인 유닛(43)에 의하여 처분된 의약품 양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처분 수량 확인 유닛(43)은 예를 들어 각각의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이 저장된 챔버 또는 금고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중량 센서, 카메라 유닛, 광학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탐지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처분되어야 하는 수량이 위에서 설명된 수량 확인 유닛(32)으로부터 처분 수량 확인 유닛(43)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처분이 이루어지는 과정 또는 처분이 이루어진 후 실제로 처분된 의약품 양이 탐지 유닛에 의하여 확인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의약품의 종류에 따라 처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처분되어야 하는 의약품의 양이 미리 지정되거나, 정해진 위치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처분이 완료되면 처분이 된 의약품의 양이 재고 관리 유닛(321)을 경유하여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처분이 완료되면, 잠금 체크 유닛(44)에 의하여 챔버 또는 금고의 잠금 여부가 확인되어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의료 관련 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유통 단계에서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과정이 확인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마약류,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 또는 대마와 같은 특별 관리 대상의 처분 과정의 결과가 자동으로 감독 기관으로 전송되거나, 필요한 경우 감독 기관에 의하여 임의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관리 환경이 안정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입력 오류와 같은 관리 오류의 발생 원인이 자동으로 확인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마약류 또는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의 관리 및 사용의 투명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의료 관련 제품의 유통 과정 및 처분 과정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면서 다수 개의 경로로 유통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과정이 취합되어 자동으로 확인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오용 또는 남용 방지를 위하여 처방되어야 하는 양이 제한되는 중독성 의약품의 서로 다른 처분 기관에 의한 판매 또는 처방의 총량이 확인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유통 과정에서 재고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 의료 관련 제품의 공급 및 수요의 예측에 따른 생산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자동 관리 시스템 11: 처리 기관
11_1 내지 11_N: 처리 기관 12: 체크 모듈
13: 정보 추출 모듈 14: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
15: 분류 탐색 모듈 17: 제조 정보 서버
18: 수량 제한 관리 유닛 20: 관리 서버
21: 생산 기관 22: 처방 기관
24: 처분/재고 관리 모듈 31: 입력 수단 유닛
32: 수량 확인 유닛 33: 승인 확인 유닛
41: 보관/저장 유닛 42: 개폐 승인 유닛
43: 처분 수량 확인 유닛 44: 잠금 체크 유닛
111: 유통 기관 112: 도매 기관
113: 소매 기관 114: 판매 기관
131: 비교기 181: 총량 산출 유닛
311: 양식 관리 유닛 321: 재고 관리 유닛
331: 체크/승인 획득 유닛 332: 주문 관리 유닛
411: 조건 유지 유닛 412: 관리 대상 리스트
AS: 감독 서버 M: 의료 관련 제품

Claims (1)

  1. 다수 개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에서 처분되는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체크 모듈(12);
    체크 모듈(12)로부터 각각의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정보 및 처분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 모듈(13);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저장하는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를 탐색하는 분류 탐색 모듈(15);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전송되고, 제품 관리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 정보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에 대한 유통 상태 및 재고 상태를 확인하는 관리 서버(20); 및
    의료 관련 제품의 보관 상태를 확인하는 보관/저장 유닛(41)과 보관 저장된 의료 관련 제품의 처분 상태를 확인하는 수량 확인 유닛(32)을 포함하고,
    의료 관련 제품은 마약류, 향정신성 의료 관련 제품 또는 대마 약품을 포함하는 특별 관리 대상 의료 관련 제품이 되고,
    일정 시기 동안 개인에 대한 판매 총량이 제한되는 수량 제한 제품 리스트를 저장하고 정해진 시기에 특정 개인에게 판매 또는 처분된 수량 제한 의약품의 총량이 미리 결정된 수량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확인하는 수량 제한 관리 유닛(18) 및 각각의 유통 기관, 도매 기관, 소매 기관 및 판매 기관에서 정해진 시기에 처분된 수량 제한 의약품의 총량을 확인하는 총량 산출 유닛(18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분 정보는 처방 의료 관련 제품명, 처방 의사, 승인 필요 여부, 승인 획득 여부, 처리 담당자, 환자명 및 처방 일시를 포함하고,
    정보 추출 모듈(13)로부터 추출된 정보로 각각의 처리 기관(11_1 내지 11_N)의 처분 수량 및 보유 수량을 산출하여 저장하는 처분/재고 관리 모듈(24) 및 수량 확인 유닛(32)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의료 관련 제품의 재고 수량 및 소진 예상 시기를 판단하여 의료 관련 제품의 주문에 대한 정보를 발생시키는 주문 관리 유닛(332)를 더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0210112497A 2017-11-29 2021-08-25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20210110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97A KR20210110270A (ko) 2017-11-29 2021-08-25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189A KR20180118036A (ko) 2017-11-29 2017-11-29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0210112497A KR20210110270A (ko) 2017-11-29 2021-08-25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89A Division KR20180118036A (ko) 2017-11-29 2017-11-29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270A true KR20210110270A (ko) 2021-09-07

Family

ID=641008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89A KR20180118036A (ko) 2017-11-29 2017-11-29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KR1020210112497A KR20210110270A (ko) 2017-11-29 2021-08-25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189A KR20180118036A (ko) 2017-11-29 2017-11-29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180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610B1 (ko) 2018-11-16 2021-01-06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사물인터넷기술과 하나되어 온습도 기능을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 관리장치
KR102095902B1 (ko) 2018-12-03 2020-04-02 주식회사 엔케이어드벤스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반출입 및 현재 향정신성의약품의 잔량정보와 같은 정보상태를 안정적이고 빠르고 정확히 실시간 자동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관리장치
CN110263084A (zh) * 2019-06-24 2019-09-20 合肥盈川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可视化智慧监管与分析系统
KR102611006B1 (ko) * 2021-06-07 2023-12-06 박준한 재고 의료기기 및 의약제품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재고 의료기기 및 의약제품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CN113361972B (zh) * 2021-07-13 2023-09-15 壹药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优势药品的推算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259A (ko) 2012-12-20 2014-06-30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의약품 관리방법
KR101555666B1 (ko) 2014-11-24 2015-09-25 (주)중외정보기술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259A (ko) 2012-12-20 2014-06-30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의약품 관리방법
KR101555666B1 (ko) 2014-11-24 2015-09-25 (주)중외정보기술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방사성 의약품 통합 관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036A (ko) 201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10270A (ko) 특별 관리 대상 의약품을 포함하는 의료 관련 제품의 자동 관리 시스템
US11664105B2 (en) Identifying discrepancies between events from disparate systems
Najera et al. Real-time location and inpatient care systems based on passive RFID
JP7417134B2 (ja) 配薬支援システム
US8552868B1 (en)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automated medication dispensing and compliance
US202202544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tion management
US20140303989A1 (en) Automated med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use
US20140324216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dication delivery
Eggerth et al. Medication management nee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based approaches, including telehealth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201902729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harmaceutical counterfeit and fraudulent prescription
US20160162660A1 (en) Medication management
WO2016164156A1 (en) Systems and architecture for electronic interfaces for medication reconciliation and patient regimen adherence detection
Selvarasu et al. IoT-Enabled Medication Safety: Real-Time Temperature and Storage Monitoring for Enhanced Medication Quality in Hospitals
KR101816606B1 (ko) 다양한 전자 센서 모듈에 의한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의 저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Musamih et al. Blockchain-based solution for the administration of controlled medication
Vinjumur et al. Web based medicine intake tracking application
AU2016100803A4 (en) A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 medicines to patients and a dispensing machine for dispensing pharmaceutical medicines to medical officers
US20210393486A1 (en) Controlled compliance medication dispenser system
KR20240013375A (ko) 의약품의 재고 상황 및 처방 결과의 자동 관리 시스템
US20220280391A1 (en) Medication dispensing machine and system
US11664120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return of prescriptions to stock
Parihar et al. Role of IOT in healthcare: Applications, security & privacy concerns
Petrova et al.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In The Pharmaceutical Sector
KR102199860B1 (ko) 표준화를 통한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 처리의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KR101759236B1 (ko) 정보 기술을 이용한 효율성이 향상된 통합 관리 구조의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의 안전하고 투명한 취급을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