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215B1 -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215B1
KR102480215B1 KR1020200069162A KR20200069162A KR102480215B1 KR 102480215 B1 KR102480215 B1 KR 102480215B1 KR 1020200069162 A KR1020200069162 A KR 1020200069162A KR 20200069162 A KR20200069162 A KR 20200069162A KR 102480215 B1 KR102480215 B1 KR 10248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sset management
scan
lo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275A (ko
Inventor
강범석
백종원
박영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파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파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파클링
Priority to KR102020006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2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자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자산 관리 시스템은 따른 객체에 부착되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스캔 코드,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한 위치에 관한 스캔 위치 정보 및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한 시간에 관한 스캔 시간 정보를 상기 디코딩된 객체 정보와 연계하여 객체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스캐너 및 상기 스캐너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캐너로부터 상기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객체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의 위치를 관리하는 자산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ASSET MANAGEMENT SYSTEM MANAGING AN ASSET IN INDUSTRIAL SITE}
본 발명은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이나 생산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 자산의 이동 여부 및 자산이 놓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이나 생산현장과 같은 산업현장에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장의 위험요소를 관리하고 생산공정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산업현장에서는 IT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의 작업자, 자산, 위험요소 및 공정을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들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솔루션의 예로 태그(tag) 및 리더기를 이용한 인원, 자재, 차량 등의 진·출입 관리 솔루션, 센서 데이터 및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위험물, 자재, 재고 관리 솔루션 등이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 생산현장 등의 산업현장 내의 자산을 추적하기 관리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인프라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현장 내에서 작업자, 자산, 차량 등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는 시스템(RTLS, Real Time Location System) 등을 구현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를 위한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해 과도한 인프라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05177(2016.03.15) 3쪽 내지 5쪽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구축 및 운영되는 산업현장 내 자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미 활용되고 있는 스캔 코드와 스캐너를 이용하여 산업현장 내 자산의 위치를 파악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나 시스템 복잡도를 낮출 수 있는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은 객체에 부착되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스캔 코드,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한 위치에 관한 스캔 위치 정보 및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한 시간에 관한 스캔 시간 정보를 상기 디코딩된 객체 정보와 연계하여 객체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스캐너 및 상기 스캐너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캐너로부터 상기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객체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의 위치를 관리하는 자산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내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은 적은 비용으로 구축되고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은 이미 활용되고 있는 스캔 코드와 스캐너를 이용하여 산업현장 내 자산의 위치를 파악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 시스템 구축 비용이나 시스템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산업현장 내 자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산 관리 시스템(100)은 객체(120), 스캔 코드(130), 스캐너(140), 네트워크(150) 및 자산 관리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산 관리 시스템(100)은 건설현장이나 생산현장과 같은 산업현장(110)에서 자산의 위치를 입력받고, 해당 자산을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은 산업현장(110)에서 생산에 활용되는 자재, 공작기계, 차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산의 종류로 자재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자재에는 건물의 건축에 쓰이는 H빔, 철근, 배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산업현장(110)은 실외 현장과 건물(170) 내부의 실내 현장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산업현장(110)은 생산에 필요한 각종 자재(120)가 실외 또는 실내에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 산업현장(110)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관리자는 자재(120)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하며, 적시에 필요한 자재(120)를 생산현장에 공급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건설현장의 경우, 크기가 큰 건설 자재(120)가 사용되므로 다음 건설 과정에서 필요한 자재를 놓을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나, 기존에 적재한 건설 자재(12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공기를 단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산 관리 시스템(100)은 스캐너(140)를 통해 읽힌 자재(이하, 객체)(120)의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120)의 위치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객체(120)는 실외 또는 실내에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120a)는 실외에 적재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객체(120b)는 실내에 적재되어 있을 수 있다. 각 객체(120a, 120b)에는 해당 객체에 대응되는 스캔 코드(130a, 130b)가 부착될 수 있다. 스캔 코드(130)는 객체(120)에 부착되며, 해당 객체(120)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코드(130)는 해당 객체(120)를 생산한 생산자에 의해 생산되어 객체(120)에 부착된 것일 수도 있고, 해당 객체(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생산되어 객체(120)에 부착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코드(130)에는 생산자 정보, 객체 정보(예를 들어, 품목, 품명, 규격 등) 및 시리얼 번호 정보가 인코딩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캔 코드(130)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코드는 QRcode, DataMatrix code, Maxicode, Codeone, PDF-417 또는 Code49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140)는 객체(120)에 부착된 스캔 코드(130)를 스캔하여 해당 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디코딩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140)는 자산 관리 시스템(100)을 위한 전용 코드 스캐너일 수도 있고, 자산 관리 시스템(100)에 사용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범용 코드 스캐너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140)는 코드 스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 또는 휴대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140)는 스캔 코드(130)를 스캔한 위치에 관한 스캔 위치 정보 및 스캔 코드(130)를 스캔한 시간에 관한 스캔 시간 정보를 디코딩된 객체 정보와 연계하여 객체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140)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스캐너(140)는 객체(120)에 부착된 스캔 코드(130)를 스캔한 때에 GPS 모듈을 통해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120)가 산업현장(110)의 실외에 위치하고 있어서, 스캐너(140)가 객체(120)에 부착된 스캔 코드(130)를 실외에서 스캔한 경우, 스캐너(140)는 GPS 모듈을 통해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객체(120)가 건물(170) 안의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와 같이,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스캐너(140)는 GPS 모듈을 통해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기 설정된 시간 동안 GPS 모듈을 통해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스캐너(14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여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140)는 건물(170) 안과 같이 실내에 설치된 비콘(182, 184)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비콘(182, 184)은 설치된 위치에 대한 고유 GPS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비콘(182, 184)은 고유 GPS 위치 정보와 발신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스캐너(140)는 수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발신 시간 정보와 비콘 신호가 스캐너(140)에 수신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비콘 신호의 비행시간(TOF, Time of Flight)를 산출하고 비콘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스캐너(140)는 비콘 신호가 수신된 각도(AOA, Angle of Arrival)를 이용하여 비콘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다. 스캐너(140)는 비콘으로부터의 거리, 비콘의 방향 및 비콘 신호에 포함된 비콘의 GPS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140)는 복수의 비콘에서 수신된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각 비콘에서의 위치를 산출하고, 위치에 오차가 있는 경우 기 설정된 위치 보정 방식을 이용하여 스캔 위치 정보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캐너(140)는 객체(120)의 입고 또는 출고 여부를 선택하고 스캔 코드(130)를 스캔하고, 입고 또는 출고 여부 정보, 스캔 위치 정보, 스캔 시간 정보 및 디코딩된 객체 정보를 연계하여 객체 관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4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객체(120)의 입고 또는 출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스캐너(140)는 생성한 객체 관리 정보를 네트워크(150)를 통해 자산 관리 장치(16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40)는 무선 네트워크(150)를 통해 객체 관리 정보를 자산 관리 장치(160)에 전송할 수 있다.
자산 관리 장치(160)는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입고 상태로 설정된 객체를 관리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장치(160)는 자산 관리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범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산업현장의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자산 관리 장치(160)는 PC,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입고 상태로 설정된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산 관리 장치(160)는 수신된 객체 관리 정보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장치(160)는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객체 정보를 갖는 데이터의 히스토리를 관리할 수도 있다.
출고 상태로 설정된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자산 관리 장치(160)는 수신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객체 정보와 동일한 객체 정보를 갖고 입고 상태로 설정된 객체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한다. 자산 관리 장치(160)는 수신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메모리에서 검색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양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인 경우, 자산 관리 장치(160)는 해당 객체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객체의 최신 상태를 출고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일 실시예에서, 양 위치 정보에 기초한 위치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자산 관리 장치(160)는 객체 확인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장치(160)는 객체 확인 요청 신호를 스캐너(140)에 전송하고, 객체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스캐너(140)는 작업자에게 출고하려는 객체가 맞는 지 확인을 요청하는 객체 확인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캐너(140)를 통해 작업자의 확인 완료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자산 관리 장치(160)는 해당 객체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해당 객체의 최신 상태를 출고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자산 관리 장치(160)는 운영자의 제어에 따라 각 객체의 히스토리를 화면에 제공할 수도 있고, 각 객체의 산업현장내 위치를 화면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된 객체 관리 정보를 기초로 동일한 규격 또는 동일한 품목의 객체가 복수개 입고되는 경우, 자산 관리 장치(160)는 해당 객체들의 스캔 코드(130)가 스캔된 스캔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객체들의 대표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해당 객체들이 검색되는 경우, 자산 관리 장치(160)는 운영자의 제어에 따라 대표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산 관리 장치(160)는 동일한 규격 또는 동일한 품목의 객체가 복수개 입고되는 경우, 각 객체의 스캔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객체의 사이즈에 비례하는 되는 범위 내에 인접해 있는 객체들을 그룹화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객체와 인접 객체가 동일한 규격 또는 동일한 품목의 객체이고, 해당 객체들의 위치가 y=αS(y는 거리, α는 객체 사이즈별 비례계수, S는 객체의 사이즈) 거리 내에 있는 경우, 해당 객체들을 그룹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객체 사이즈별 비례계수는 객체의 사이즈에 반비례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즈가 큰 건설자재 등의 경우, 적재 위치의 차이가 객체의 사이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므로, 객체 사이즈별 비례계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자산 관리 장치(160)는 그룹화된 객체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객체들의 중간 위치를 산출하고, 해당 중간 위치를 대표 위치로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장치(160)는 그룹화된 객체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가장 외곽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산출하고, 해당 위치를 대표 위치로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산 관리 장치(160)는 생산장소 또는 입구와 가장 가깝고 객체 그룹들 가운데 가장 외곽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대표 위치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장치(160)는 다른 공정 관리 시스템과 연계하여 생산공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산 관리 장치(160)는 건설 현장의 시공을 관리하는 시공 관리 정보 시스템과 연계하여, 시공 관리에 자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장치(160)는 시공 관리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건축물 등의 설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자산 관리 장치(160)는 수신된 설계 정보에 포함된 시공 자재 정보를 기초로 해당 시공 자재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건설 현장 내 해당 객체의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자산 관리 장치(160)는 검색된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시공 관리 정보 시스템에 전송하고, 시공 관리 정보 시스템은 건설 현장 내 해당 객체의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 관리 정보 시스템은 시공 순서에 따라 시공에 필요한 자재의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시공에 필요한 자재의 개수와 자산 관리 장치(160)에서 수신된 객체의 개수를 비교하여 자재의 부족 또는 여유 여부와 부족 또는 여유량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캐너(140)는 객체에 부착되며, 객체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스캔 코드(130)를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스캔한다(단계 S210).
스캐너(140)는 스캔 코드(130)를 스캔하여 해당 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디코딩하고, 스캔 코드(130)를 스캔한 위치에 관한 스캔 위치 정보 및 스캔 코드(130)를 스캔한 시간에 관한 스캔 시간 정보를 디코딩된 객체 정보와 연계하여 객체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220).
스캐너(1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자산 관리 장치(160)에 전송하고, 자산 관리 장치(160)는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단계 S230). 자산 관리 장치(160)는 저장된 객체 관리 정보를 기초로 산업현장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관리하한다(단계 S240).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설명된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모듈(module)이라 함은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각의 명칭에 따른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의미할 수도 있고, 또한 특정한 기능과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탑재된 전자적 기록 매체, 예컨대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00 : 자산 관리 시스템
120 : 객체
130 : 스캔 코드
140 : 스캐너
150 : 네트워크
160 :자산 관리 장치

Claims (12)

  1. 객체에 부착되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스캔 코드;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하여 해당 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객체 정보를 디코딩하고,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한 위치에 관한 스캔 위치 정보 및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한 시간에 관한 스캔 시간 정보를 상기 디코딩된 객체 정보와 연계하여 객체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스캐너; 및
    상기 스캐너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스캐너로부터 상기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객체 관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의 위치를 관리하는 자산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는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한 때에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스캐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GPS 모듈을 통해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스캐너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여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시공 관리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설계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설계 정보에 포함된 시공 자재 정보를 기초로 해당 시공 자재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객체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객체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동일한 규격 또는 동일한 품목의 객체가 복수개 입고되는 경우, 해당 객체들의 스캔 코드가 스캔된 스캔 위치를 비교하여 해당 객체들의 대표 위치를 산출하되,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하나의 객체와 인접 객체가 동일한 규격 또는 동일한 품목의 객체이고 해당 객체들의 위치가 y=αS(y는 거리, α는 객체 사이즈별 비례계수, S는 객체의 사이즈) 거리 내에 있는 경우, 해당 객체들을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된 객체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객체들의 중간 위치를 산출한 후 해당 중간 위치를 대표 위치로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그룹화된 객체들의 위치를 비교하여 생산장소 또는 입구와 가장 가깝고 객체 그룹들 가운데 가장 외곽에 위치한 객체의 위치를 산출한 후 해당 위치를 대표 위치로 산출하며,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제어에 따라 상기 대표 위치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코드는 바코드 또는 2차원 코드를 포함하는 자산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코드는 QRcode, DataMatrix code, Maxicode, Codeone, PDF-417 또는 Code49를 포함하는 코드를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신호는 해당 비콘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는 상기 비콘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스캐너의 상대적 위치를 계산하여 스캔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코드를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상기 객체의 입고 또는 출고 여부를 선택하고 상기 스캔 코드를 스캔하며, 상기 입고 또는 출고 여부 정보, 상기 스캔 위치 정보, 상기 스캔 시간 정보 및 상기 객체 정보를 연계하여 객체 관리 정보를 생성하는 코드를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상기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입고 상태로 설정된 객체를 관리하는 코드를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출고 상태로 설정된 객체 관리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객체 정보와 동일한 객체 정보를 갖고 입고 상태로 설정된 객체 관리 정보를 메모리에서 검색하고, 수신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메모리에서 검색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코드를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와 메모리에서 검색된 객체 관리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사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객체 확인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코드를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 관리 장치는 객체 확인 요청 신호를 상기 스캐너에 전송하고, 상기 객체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스캐너는 객체 확인 요청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코드를 이용한 자산 관리 시스템.
  12. 삭제
KR1020200069162A 2020-06-08 2020-06-08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KR10248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62A KR102480215B1 (ko) 2020-06-08 2020-06-08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62A KR102480215B1 (ko) 2020-06-08 2020-06-08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275A KR20210152275A (ko) 2021-12-15
KR102480215B1 true KR102480215B1 (ko) 2022-12-22

Family

ID=78865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62A KR102480215B1 (ko) 2020-06-08 2020-06-08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2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183A (ja) * 2005-01-26 2006-08-10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建設資材の設置位置決め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101245984B1 (ko) * 2011-11-11 2013-03-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를 사용한 자산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675A (ko) * 2002-08-31 2004-03-09 배정규 Gps와 블루투스 연동시스템을 이용한 위치추적장치 및방법
KR101355845B1 (ko) * 2011-01-24 2014-01-29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기반 입출고 자동 검수 장치 및 방법
KR101605177B1 (ko) 2014-04-08 2016-03-21 주식회사 아세테크 바코드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KR101841487B1 (ko) * 2016-01-15 2018-03-23 한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신호 송출기, 무선신호 송출기를 이용한 자산 관리 방법 및 자산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183A (ja) * 2005-01-26 2006-08-10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建設資材の設置位置決め支援システム及び支援方法
KR101245984B1 (ko) * 2011-11-11 2013-03-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기를 사용한 자산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275A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8705B2 (en) Automotive asset location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2017045440A (ja) 物品を発見し位置特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2194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et management and tracking capabilities
US20180293535A1 (en) Rfid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ssets
US10535040B2 (en) Product mov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JP2013075768A (ja) 物体追跡システム
CN111695788A (zh) 基于物联网的应急物资管理系统
AU2009240774B2 (en) Material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2105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detailed delivery tracking
Muyumba et al. A Web based Inventory Control System using Cloud Architecture and Barcode Technology for Zambia Air Force
US20220358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processing transportation and shipping documentation
KR102255695B1 (ko) 확장형 제조 실행 시스템
US20240104319A1 (en) Dynamic rfid portal modulation
WO2004013731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sset management and tracking capabilities
KR102480215B1 (ko) 산업현장 내 자산관리 시스템
Caldas et al. Integration of automated data collection technologies for real-time field materials management
KR20220163757A (ko) 스마트 공장 관리 시스템
CN115271010A (zh) 一种物品信息确定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KR102266553B1 (ko) Rfid태그를 활용한 pc부재 생산 및 품질관리시스템
US10397759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inventory scan data
Angulo et al. Towards a traceability system based on RFID technology to check the content of pallets within electronic devices supply chain
CN112579840B (zh) 一种展示不同追溯结果的查询系统及方法
CN111898933A (zh) 一种盘点设备及盘点方法
Ahn et al. QR-Code Implementation to Reduce Unnecessary Procedures in Material Handling
Argilovski et al. Product traceability in manufacturing-A review of the concepts for enhanced digital trans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