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963A - 조성 분석 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어블레이션 셀 및 토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성 분석 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어블레이션 셀 및 토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963A
KR20150114963A KR1020157022052A KR20157022052A KR20150114963A KR 20150114963 A KR20150114963 A KR 20150114963A KR 1020157022052 A KR1020157022052 A KR 1020157022052A KR 20157022052 A KR20157022052 A KR 20157022052A KR 20150114963 A KR20150114963 A KR 2015011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ample
transfer conduit
captur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리 엘. 샤프
다비드 엔. 더글라스
아미 제이. 마나흐
Original Assignee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렉트로 싸이언티픽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1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4Sample treatment involving radiation, e.g.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49/00Particle spectrometers or separator tubes
    • H01J49/02Details
    • H01J49/04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r extracting samples to be analysed, e.g. vacuum locks; Arrangements for external adjustment of electron- or ion-optical components
    • H01J49/0459Arrangements for introducing or extracting samples to be analysed, e.g. vacuum locks; Arrangements for external adjustment of electron- or ion-optical components for solid samples
    • H01J49/0463Desorption by laser or particle beam, followed by ionisation as a separate ste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 G01N2001/045Laser ablation; Microwave vapor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01N2001/383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collecting and diluting in a flow of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49/00Particle spectrometers or separator tubes
    • H01J49/02Details
    • H01J49/10Ion sources; Ion guns
    • H01J49/105Ion sources; Ion guns using high-frequency excitation, e.g. microwave excita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Abstract

레이저 어블레이션 시스템은 샘플 챔버의 내부(106)에 타겟(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샘플 챔버(102), (이후에 샘플로서 캡쳐되는) 타겟(104)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샘플 생성기(108) 및 샘플의 조성을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분석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타겟에 인접한 챔버 내의 샘플 캡쳐 셀은 타겟 물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캡쳐 캐비티,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캡쳐 셀의 외부에 인접한 제1 로케이션으로부터 캡쳐 캐비티의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제1 주입구, 및 캐리어 가스를 캡쳐 캐비티의 또 다른 영역으로부터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를 가진다. 샘플 챔버(102)는 캐리어 가스와 같은 유체를 내부(106)로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주입 노즐(1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성 분석 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어블레이션 셀 및 토치 시스템{LASER ABLATION CELL AND TORCH SYSTEM FOR A COMPOSITIONAL ANALYSIS SYSTEM}
본원에 예시적으로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타겟(가령, 입자 및/또는 증기의 형태)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나오거나 아니면 생성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겟 물질을 효과적으로 캡쳐링 하고,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을 효과적으로 이송하며, 그리고,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샘플을 샘플 준비 시스템으로 효과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에 예시적으로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샘플 챔버 내의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감소된 래그 및 모션 히스테리시스로 타겟 홀더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어블레이션 유도적으로 결합된 플라즈마 매스 스펙트로메트리(LA-ICP-MS) 또는 레이저 어블레이션 유도적으로 결합된 플라즈마 옵티컬 에미션 스펙트로메트리(LA-ICP-OES) 기술은 타겟(가령, 고체 또는 액체 타겟 물질)의 구성을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종종, 타겟의 샘플은 에어로졸(즉, 고체의 부유액 및 가능하면 액체 입자 및/또는 헬륨 가스와 같은 캐리어 가스 내의 증기)의 형태로 분석 시스템에 제공된다. 전형적으로, 샘플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챔버 내에 타겟을 마련하여 생성되고, 챔버 내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도입하며, 그리고, 하나 이상의 레이저 펄스로 타겟의 일부를 어블레이팅하여 타겟(이하, "타겟 물질"이라고 함)으로부터 나오거나 아니면 생성된 입자 및/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플룸(plume)을 생성하며, 캐리어 가스 내에서 부유된다. 타겟 물질은 흐르는 캐리어 가스 내에 혼입되어(entrained), 분석 시스템으로 이송되고, 이송 도관을 통해 타겟 물질이 이온화되는 ICP 토치(torch)로 이송된다. 그리고 나서, 이온화된 입자 및/또는 증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는 MS 또는 OES 시스템과 같은 분석 시스템에 의해 분석된다.
그러나, LA-ICP-MS 및 LA-ICP-OES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이치에 맞는 시간 프레임 내의 타겟의 고해상도 구성 분석(즉, "영상화")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하지 않게 느리다. 예를 들어, 현재 기술은 바람직하지 않게, 10 ㎛의 픽셀 해상도에서 100 ㎟의 영역을 영상화하는데 약 278 시간까지 소요된다. 또한, LA-ICP-MS 및 LA-ICP-OES와 같은 현재 기술은 마이크론-크기 및 서브-마이크론 측면 입자(가령, 나노입자)의 고해상도 영상화 또는 분석하는데 충분히 민감하지 않다. 본원에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종래의 구성 분석 기술과 관련된 이들 및 그 밖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은 타겟 물질을 다루고, 타겟으로부터 나오거나 아니면 생성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샘플 챔버, 샘플 캡쳐 셀 및 타겟 홀더의 횡단면을 포함한다.
도 2는 도 2a에 도시된 라인 II-II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인데,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도 2의 라인 IIA-IIA를 따라 표시된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1 주입구, 제2 주입구, 캡쳐 캐비티 및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의 라인 IIB-IIB를 따라 표시된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1 주입구, 제2 주입구, 캡쳐 캐비티 및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주입구 및 샘플 셀의 캡쳐 캐비티를 통해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의 타겟으로 향한 레이저 광 및 샘플 셀의 캡쳐 캐비티 내로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 타겟으로부터 나오는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결과적인 플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캡쳐 캐비티 내로, 샘플 챔버 내부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원근,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캡쳐 캐비티 내로, 도 4에 도시된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된,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개략도의 확대되고, 원근적인, 횡단면도인데, 샘플 캡쳐 셀과 타겟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캡쳐 캐비티의 오프닝을 통해,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개략도의 확대된 측면, 횡단면도인데, 제2 주입구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주입구를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샘플 준비 시스템에 결합된 주입기의 일 실시예 및 분석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입기와 같은 주입기와 액적 생성기 사이에 결합된 탈용매화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많고 다양한 형태와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과 개시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하고, 그래서, 개시물은 본원에서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 보다는,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되어서, 본 개시물은 완전하고 완벽해질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전달할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할 목적이지,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전방" 및 "후방" 및 "뒤", "왼쪽" 및 "오른쪽", "상단" 및 "하단" "상부" 및" 하부"등과 같은 다양한 방향성 용어는 편의성을 위함이고, 임의로 기술되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환경에 대해 임의로 절대적이거나 고정된 방향으로 기술하려는 것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 형태인 "한", "하나" 및 "그"는 맥락이 명확히 다르게 표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진술된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및/또는 구성의 존재를 명시하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정수, 단계, 작동, 요소, 구성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추가 또는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을 더욱 이해할 것이다. 다르게 명시되지 않는 한, 나열될 때, 값의 범위는 범위 사이의 임의의 하위-범위는 물론, 범위의 상한값과 하한값 모두를 포함한다.
도 1은 타겟 물질을 다루고, 타겟으로부터 나오거나 아니면 생성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샘플 챔버, 샘플 캡쳐 셀 및 타겟 홀더의 횡단면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타겟 물질을 다루고, 타겟으로부터 나오거나 아니면 생성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100)와 같은 장치는 샘플 챔버의 내부(106)에 타겟(10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샘플 챔버(102), (이후에 샘플로서 캡쳐될 수 있는) 타겟(104)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샘플 생성기(108) 및 샘플의 조성을 분석하도록 구성되는 분석 시스템(110)을 포함한다. 타겟(104)으로 제공될 수 있는 물질의 예시는 가령, 고고학적 물질, 생물학적 어세이 기질 및 다른 생물학적 물질, 세라믹, 지질학적 물질, 약학적 시약(가령, 알약), 금속, 폴리머, 석유 화학 물질, 액체, 반도체 등을 포함한다. 장치(100)는, 샘플이 분석 시스템(110)에 의해 분석되기전에, 샘플의 하나 이상의 조성을 흥분(가령, 이온화, 원자화, 조명, 가열등 또는 이들의 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샘플 준비 시스템(112)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 좀 더 자세히 기술될 것인 바와 같이, 샘플 준비 시스템(112)은 플라즈마 토치(가령, ICP 토치)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시스템(110)은 MS 시스템, OES 시스템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샘플 챔버(102)는 프레임을 통해 확장하는 광학 포트(116)를 가진 프레임(114)을 포함하여, 샘플 생성기(108)와 샘플 챔버(102)의 내부(106) 사이의 광학 연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송 창(118)은 프레임(114)에 결합되어, 광학 포트(116)에 걸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전송 창(118)은 샘플 생성기(108)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 광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투명한 물질(가령, 석영)로 형성된다. 또한, 전송 창(118)은 프레임(114)에 밀봉되어서, 먼지, 찌꺼기 또는 그 밖에 원치 않은 가스 혹은 그 밖의 오염원이 광학 포트(116)를 통해 내부(106)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송 창(118)은 프레임(114)에 밀봉되어서, 타겟(104)으로부터 나온 입자, 타겟(104)으로부터 생성된 증기등(입자, 증기 등은 타겟(104)으로부터 제거되는 "타겟 물질"로 총체적으로 언급됨), 캐리어 가스 혹은 내부(106) 내에 존재하는 그 밖의 다른 유체가 광학 포트(116)를 통해 샘플 챔버(102)에서 탈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프레임이 단일의 통합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 도시되지만, 프레임(114)은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함께 결합된 복수의 구성의 형태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샘플 챔버(102)는, 20 mL/분 내지 1000 mL/분(가령, 100 mL/분 내지 150 mL/분 또는 120 mL/분 또는 그 근처) 범위의 흐름 속도로, 캐리어 가스(가령, 헬륨, 아르곤, 질소등 또는 이들의 조합)와 같은 유체를 내부(106) 내로 각각 도입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주입 노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주입 노즐(120)은 프레임(114) 내의 유체 포트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샘플 챔버(102) 외부의 유체 소스(가령, 가압된 유체 소스)에 유체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주입구 및 샘플 챔버(102)의 내부(106) 내에 노출된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부(미도시)는 프레임과 주입 노즐(120) 사이에 제공되어서, 샘플 챔버(102) 외부의 환경과 샘플 챔버(102)의 내부(106)를 유체적으로 고립시킬 수 있다. 캐리어 가스를 내부(106) 내로 도입하면, 캐리어 가스의 흐름(본원에서 "캐리어 가스 흐름"이라고도 함)은 내부(106) 내에서 생성된다. 내부(106) 내의 서로 다른 로케이션에서 캐리어 가스 흐름의 속도와 방향이, 샘플 챔버(100)의 내부(106)의 모양과 크기, 하나 이상의 주입 노즐(120)의 컨피규레이션, 임의의 특정 주입 노즐(120)에 의해 캐리어 가스가 내부(106) 내로 도입되는 흐름 속도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존하여 가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106) 내의 압력은 캐리어 가스가 내부(106) 내로 도입되는 흐름 속도를 제어함에 의해 (가령, 압력은 11psi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장치(100)는 광학 경로(122)에 대해 타겟(104)의 포지션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타겟 포지셔닝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시스템은 타겟(104)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겟 홀더(124), 타겟 홀더(124)를 운반하도록 구성된 캐리지(126), 내부(106) 내의 캐리지(126)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베이스(130) 및 캐리지(126)를 움직이도록 구성된 포지셔닝 스테이지(128)를 포함한다. 타겟 홀더(124)와 캐리지(126)가 분리된, 별도의 구성으로 도시되지만, 타겟 홀더(124)와 캐리지(126)는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마이크로미터와 같은 높이-조절 메카니즘(미도시)이 수직 거리를 따라(가령, 광학 경로(122)를 따라) 타겟 홀더(124)의 포지션을 조절하도록 제공되어서, 타겟(104)이 내부(106) 내의 위치에 적합하거나 바람직하게 마련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포지셔닝 스테이지(128)는 광학 경로(122)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방향(가령, X-방향, X-방향과 수직인 Y-방향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따라 캐리지(126)를 선형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광학 경로(122)에 대해 캐리지(126)를 회전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스테이지(128)와 프레임(114)은 모두 테이블(미도시)과 같은 흔한 지지 표면상에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114)의 일부는 지지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 사이에 스테이지-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포지셔닝 스테이지(128)는 스테이지-수용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30)는 내부(106) 내에 노출된 제1 측면(132) 및 제1 측면(132)의 반대편의 제2 측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0)는, 샘플 챔버(102)의 내부(106)를 샘플 챔버(102) 외부의 환경과 유체적으로 고립시키기 위하여, 프레임(114)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126)와 포지셔닝 스테이지(128)는 베이스(130)의 반대 측면에 배치된다. 내부(106) 내의 타겟(104)의 움직임과 바람직한 포지셔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캐리지(126)는 베이스(130)를 통하여 포지셔닝 스테이지(128)에 자기적으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캐리지(126)는 그 안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자석(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포지셔닝 스테이지(128)는 거기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자석을 가진 말단 이펙터(end effector, 136)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126) 내의 자석의 방향과 말단 이펙터(136)는, 베이스(130)를 통하여, 말단 이펙터(136)와 캐리지(126) 사이에서 확장하는 인력 자기장을 생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베이스(130)가 말단 이펙터(136)와 캐리지(126) 사이의 충분한 강도의 자기장을 전송하기 위해 임의의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베이스(130)는 금속, 글래스, 세라믹, 글래스-세라믹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130)는 보로실리케이트 글래스(borosilicate glass)의 매트릭스 내에 플루오르플로고파이트 미카(fluorphlogopite mica)의 형태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30)의 제1 측면(132)에 걸친 캐리지(126)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1 측면(132)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가령, 약 0.4 ㎛ 내지 약 0.8 ㎛ 의 표면 거칠기(Ra)를 가짐)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시스템은 캐리지(126)에 결합되고, 베이스(130)의 제1 측면(132)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0)가 타겟 포지셔닝 시스템과 같이 도시되지만, 타겟 포지셔닝 시스템은 생략, 수정 또는 광학 경로(122)에 대한 타겟(104)의 포지션을 조절하기 위한 다른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메카니즘으로 치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예시적으로 기술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타겟 포지셔닝 시스템은 낮은 움직임 래그와 모션 히스테리시스를 가지고, 내부(106) 내에서 타겟(104)의 반복적인 측면 각도와 포지셔닝을 보장한다.
샘플 생성기(108)는 레이저 광을 광학 경로(122)를 따라, 광학 포트(116)를 통해 샘플 챔버(102)의 내부(106)로 향하게 하여, 타겟(104)에 영향을 주도록 구성된다. 레이저 광은 하나 이상의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레이저 펄스로 광학 경로(122)를 따라 향하도록 될 수 있다. 레이저 펄스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선택되거나, 아니면 제어되어서, 타겟(104)의 영역에 영향을 주어, 타겟(104)의 일부를 어블레이트한다. 선택되거나, 아니면 제어되는 특징은 가령, 파장, (가령, 약 157 nm 내지 약 11 ㎛ 의 범위, 가령, 193 nm, 213 nm, 266 nm 등), 펄스 구간(가령, 약 100 펨토초 내지 약 25 나노초의 구간), 스팟 크기(가령, 약 1 ㎛ 내지 약 9 mm 등), 펄스 에너지, 평균 전력, 피크 전력, 시간 프로필등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샘플 생성기(108)는 하나 이상의 레이저에 의해 생성된 레이저 광을 수정하도록 구성된 레이저 광학(가령, 하나 이상의 렌즈, 빔 익스펜더, 시준기, 어퍼처, 미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레이저 펄스에 의해 영향받은 타겟(104)의 영역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라고 한다. 어블레이트되면, 타겟 물질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 내에 위치되거나 인접하여 위치된 타겟(104)의 영역에서 제거되어서,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플룸을 형성한다.
타겟 물질을 다루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가령, 타겟 물질의 조성이 분석 시스템(110)에서 분석될 수 있도록), 장치(100)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104)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도록 마련될 때, 타겟 물질을 캡쳐하도록 구성된 샘플 캡쳐 셀(138)을 포함할 수 있다. 샘플 캡쳐 셀(138)에 의해 캡쳐된 타겟 물질은 본원에서 "샘플" 또는 "타겟 샘플"이라고 한다. 장치(100)는 샘플을 샘플 준비 시스템(112)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이송 도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장치는 샘플 챔버(102)(가령, 프레임(114))에 결합되어 내부(106) 내에서 샘플 캡쳐 셀(138)을 고정하는 셀 지지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선택적인 높이-조절 메카니즘은 샘플 캡쳐 셀(138)에 대한 타겟 홀더(124)(그래서, 타겟(104))의 높이를 조절하는데 사용되어,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미터와 같은 높이 조절 메카니즘은 (가령, 광학 경로(122)를 따라서) 타겟(104)에 대한 샘플 캡쳐 셀(138)의 포지션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제공되어서, 샘플 캡쳐 셀(138)은 내부(106) 내에서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포지션에서 마련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샘플 캡쳐 셀(138)에 대한 타겟(104)의 포지션을 조절하는 것과 함께(또는, 그 대신에), 타겟(104)에 대한 샘플 캡쳐 셀(138)의 포지션이 조절되어서,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으로부터 0.01 mm 내지 1 mm 의 범위(가령, 0.05 mm 내지 0.2 mm, 또는 0.1 mm 내지 0.2 mm 의 범위)의 갭 거리(d)(가령, 도 2 참조)만큼 이격될 때,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것이다. 그러나, 샘플 캡쳐 셀(138)과 타겟(104) 사이의 내부(106)의 영역 내에서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갭 거리는 0.01 mm 미만이나 1 mm 초과일 수 있고, 심지어 타겟(104)에 접촉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2a에 도시된 라인 II-II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인데,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a는 도 2의 라인 IIA-IIA를 따라 표시된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1 주입구, 제2 주입구, 캡쳐 캐비티 및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의 라인 IIB-IIB를 따라 표시된 방향으로 바라볼 때, 제1 주입구, 제2 주입구, 캡쳐 캐비티 및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2 주입구 및 샘플 셀의 캡쳐 캐비티를 통해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의 타겟으로 향한 레이저 광 및 샘플 셀의 캡쳐 캐비티 내로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 타겟으로부터 나오는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결과적인 플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캡쳐 캐비티 내로, 샘플 챔버 내부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원근,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캡쳐 캐비티 내로, 도 4에 도시된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된, 상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개략도의 확대되고, 원근적인, 횡단면도인데, 샘플 캡쳐 셀과 타겟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캡쳐 캐비티의 오프닝을 통해,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개략도의 확대된 측면, 횡단면도인데, 제2 주입구를 통해, 도 2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의 배출구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 2a 및 2b를 참조하면, 샘플 캡쳐 셀(138)은 상부 표면(200)(가령, 일반적으로 샘플 생성기(108)를 향하도록 구성됨) 및 하부 표면(202)(가령, 일반적으로 타겟(104)을 향하도록 구성됨), 전면 말단 영역 및 전면 말단 영역과 반대편에 후면 말단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샘플 캡쳐 셀(138)은 내부(106) 내에 마련되어서, 전면 말단 영역은, 샘플 캡쳐 셀(138)이 마련된 내부(106) 내의 로케이션에서 캐리어 가스 흐름의 기설정된 방향에 대하여, 후면 말단 영역의 업스트림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샘플 캡쳐 셀(138)의 표면은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샘플 캡쳐 셀(138)의 표면은 원형으로 만곡되고, 1.2 mm 내지 1.5 mm 또는 그 근처의 범위의 반지름을 가진 제2 주입구(204)의 축 상에 중심된다(이하에 더 자세히 논의됨). 그러나, 샘플 캡쳐 셀(138)이 마련된 내부(106) 내의 로케이션에서 캐리어 가스 흐름의 기설정된 방향과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샘플 캡쳐 셀(138) 내의 제2 주입구(204)의 로케이션 및 샘플 캡쳐 셀(138)의 다른 치수, 샘플 캡쳐 셀(138)의 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표면의 기하 형상의 컨피규레이션은 적합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내부(106) 내의 샘플 캡쳐 셀(138)의 로케이션이 내부(106)의 기하형상, 내부(106)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을 생성하는 주입 노즐(120)의 로케이션과 갯수와 같은 요소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더욱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내부(106)가 원통형 기하 형상을 가지고, 주입 노즐(120)이 캐리어 가스를 상기 언급된 흐름 속도로 원통형 내부(106)의 지름을 따라 내부(106) 내로 도입된다면, 샘플 캡쳐 셀(138)은 내부(106)의 중심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샘플 캡쳐 셀(138)은 캡쳐 캐비티(206), 캡쳐 캐비티(206)와 유체 연동하는 제1 주입구(208), 캡쳐 캐비티(206)와 유체 연동하는 배출구(210) 및 캡쳐 캐비티(206) 내에서 노출된 가이드 벽(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샘플 캡쳐 셀은 캡쳐 캐비티(206)와 유체 연동하는 상기 언급된 제2 주입구(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샘플 캡쳐 셀(138)은 글래스, 세라믹, 폴리머, 금속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의 형태인 일체형 바디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둘 이상 또는 모든 캡쳐 캐비티(206), 제1 주입구(208), 제2 주입구(204), 배출구(210) 및 가이드 벽(212)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가령, 기계 가공, 연마, 절삭, 드릴링, 3-D 프린팅등에 의해) 바디부 내에 통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둘 이상 또는 모든 캡쳐 캐비티(206), 제1 주입구(208), 제2 주입구(204), 배출구(210) 및 가이드 벽(212)은 이후에 함께 결합되는 서로 다른 구성으로부터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캡쳐 캐비티(206)는 샘플 캡쳐 셀(138)의 하부 표면(202)내에 형성된 오프닝(214)로부터 확장되고,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마련될 때, 타겟(104) 상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나오거나 아니면 생성된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플룸을 오프닝(214)을 통해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으로부터 이격되는 실시예에서, 타겟(104)에 인접한 캐리어 가스도 오프닝(214)을 통해 캡쳐 캐비티(206) 내로 이송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 벽(212)은 샘플 캡쳐 셀(138) 내의 캡쳐 캐비티(206)의 면적(가령, 측면, 수직등)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캡쳐 캐비티(206)의 부피는 0.001 ㎤ 내지 1 ㎤ (가령, 0.005 ㎤ 또는 그 근처)의 범위 일 수 있다. 그러나, 샘플 캡쳐 셀(138)이 위치된 내부(106)의 영역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 타겟 물질의 플룸의 크기 등과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캡쳐 캐비티(206)의 부피는 0.001 ㎤ 미만 또는 1 ㎤ 초과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2 및 2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표면(202)으로부터 샘플 캡쳐 셀(138)의 내부 내로 연장하는 가이드 벽(212)의 천이 영역은 둥글거나 모따기된다. 둥글거나 모따기된 천이 영역을 제공함에 의하여, 오프닝(214)을 통해 타겟(104)의 표면 근처의 영역으로부터 캡쳐 캐비티(206) 내로 들어가는 캐리어 가스의 표면 흐름(216)의 난류성이 제어되고 적합하거나 바람직하게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천이 영역의 둥글거나 모따기는 0.1 mm 또는 그 근처의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샘플 캡쳐 셀(138)과 타겟(104) 사이의 내부(106)의 영역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 및 상기 언급된 캡 거리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천이 영역의 반지름은 현저하게 대략 0.1 mm 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오프닝(214)을 통해 캡쳐 캐비티(206)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좀 더 자세한 표현은 도 4 및 6에 예시적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샘플 캡쳐 셀(138)은,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오프닝(214)을 통해 타겟(104)의 표면으로부터 캡쳐 캐비티(206) 내로 표면 흐름(216)이 타겟 물질을 충분히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그래서, 배출구(210) 내로 이송될 수 있음).
제 1 주입구(208)는 캡쳐 캐비티(206)로부터, 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샘플 캡쳐 셀(138)의 표면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제1 주입구(208)는 캐리어 가스의 주요 흐름(218)을 샘플 캡쳐 셀(138)의 전면 말단 영역에 인접한 제1 로케이션에서, 제1 주입구(208)에 인접한, 캡쳐 캐비티(206)의 제1 영역(220)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제1 주입구(208)를 통해 캡쳐 캐비티(206)의 제1 영역(220)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좀 더 자세한 표현은 도 4 및 5에 예시적이고,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주입구(208)는, 하부 표면(202)으로부터 상부 표면(200)을 향해 수직으로 1 mm (또는, 그 근처)의 높이(h1)까지 확장하고(가령, 도 2a 참조), 하부 표면(202)과 상부 표면(200) 사이에 2.2 mm (또는, 그 근처)의 너비(w)(가령, 도 2a 참조)에 걸쳐 확장한다. 그러나, 제1 로케이션에서 내부(106)의 영역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제1 주입구(208)의 임의의 일부의 크기와 모양(가령, 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샘플 캡쳐 셀(138)의 표면으로부터 캡쳐 캐비티(206)까지)은 임의의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제1 주입구(208)는 주요 흐름(218)을 타겟(104)의 표면에 일반적으로(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방향을 따라서, 캡쳐 캐비티(206)의 제1 영역(220)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주입구(208)가 하부 표면(202)으로부터 상부 표면(200)을 향해 확장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주입구(208)는 하부 표면(202)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주입구(208)의 치수(가령, 높이 치수와 너비 치수)가 제1 영역(220)에서 캡쳐 캐비티(206)의 것과 동일하게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주입구(208)의 치수(가령, 높이 치수와 너비 치수)는 제1 영역(220)에서 캡쳐 캐비티(206)의 것과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제 2 주입구(204)는 캡쳐 캐비티(206)로부터 샘플 캡쳐 셀(138)의 상부 표면(200)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제2 주입구(204)는 캐리어 가스의 제2 흐름(222)을 샘플 캡쳐 셀(138)의 상부 표면(200)에 인접한 제2 로케이션에서, 캡쳐 캐비티(206)의 제2 영역(224)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제2 주입구(204)를 통해 캡쳐 캐비티(206)의 제2 영역(224)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좀 더 자세한 표현은 도 7에 예시적이고,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주입구는, 0.5 mm 내지 0.85 mm (또는, 그 근처)의 범위의 지름을 가진 원형 튜브로 구성되고, 2 mm (또는, 그 근처)의 높이(h2)(가령, 도 2a 참조)까지 캡쳐 캐비티(206)에서 상부 표면(200)까지의 광학 경로(122)를 따라 확장되고 연장된다. 그러나, 제2 로케이션에서 내부(106)의 영역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제2 주입구(204)의 임의의 일부의 크기와 모양(가령, 샘플 캡쳐 셀의 상부 표면(200)으로부터 캡쳐 캐비티(206)까지)은 임의의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도 2 및 2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표면(200)으로부터 제2 주입구(204)내로 연장하는 벽의 천이 영역은 둥글거나 모따기된다. 둥글거나 모따기된 천이 영역을 제공함에 의하여, 제2 주입구(204) 내로 들어가는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난류성이 제어되고 적합하거나 바람직하게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천이 영역의 둥글거나 모따기는 0.25 mm 또는 그 근처의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주입구(204)는 상부 표면(200)에서 비교적 큰 제1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천이 영역 밑의 로케이션에서 비교적 작은(가령, 0.85 mm 또는, 그 근처) 제2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샘플 캡쳐 셀(138)의 상부 표면(200) 위의 내부(106)의 영역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천이 영역의 반지름은 현저하게 대략 0.25 mm 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예시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제2 주입구(204)는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104)의 표면에 일반적으로(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서, 캡쳐 캐비티(206)의 제2 영역(224)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주입구(204)는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104)의 표면에 실질적으로 비스듬한 제2 방향을 따라서, 캡쳐 캐비티(206)의 제2 영역(224)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입구(204)는 샘플 생성기(108)가 제2 주입구(204)와 캡쳐 캐비티(206)를 통해 (가령, 광학 경로(122)를 따라서), 타겟(104)의 영역과 광학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레이저 광(300)은 광학 경로(122)를 따라서, 샘플 생성기(108)로부터 제2 주입구(204)와 캡쳐 캐비티(206)를 통해 향하게 되어,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 타겟(104)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향해진 레이저 광(300)이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 타겟(104)에 영향을 줄 때, 플룸(302)은 타겟(104)으로부터 나오거나, 아니면 생성된 타겟 물질을 포함한다.
타겟(104)의 물질, 향해진 레이저 광(300)의 특징, 캐리어 가스 흐름의 속도등과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플룸의 수직 확장은 매우 빠르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해진 레이저 광(300)이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 타겟(104)에 영향을 준 후에, 0.5 ms (가령, 약 2 ms) 미만 내에 타겟(104) 위로 약 2 mm의 높이(h3)(가령, 도 3 참조)까지 플룸이 확장할 수 있다. 캐리어 가스의 흐름이 제2 주입구를 통해 제2 방향을 따라서, 제3 영역 내로 이송함에 의하여, 플룸의 수직 확장은 방지되거나, 또는 아니면, 최소한으로 재혼입되어서, 타겟 물질의 플룸이 캡쳐 캐비티(206) 내에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 또는 최소로 할 수 있다. 타겟 물질의 플룸이 캡쳐 캐비티(206) 내에 차지하는 부피를 감소 또는 최소로함에 의하여, 안에 있는 타겟 물질은, 이하에 좀 더 자세히 기술될 바와 같이, 효과적으로 캡쳐되고 배출구(210) 내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구(210)는 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샘플 캡쳐 셀(138)의 표면으로부터 캡쳐 캐비티(206) 내에 노출된 가이드 벽(212)의 영역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배출구(210)는 캡쳐 캐비티(206)의 제3 영역(226)으로부터 캐리어 가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서, 수용된 캐리어 가스는 (가령, 이송 도관(140)을 통하여) 샘플 캡쳐 셀(138)의 외부 로케이션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출구(210)는 캡쳐 캐비티(206)의 제3 영역(226)에 마련된 주입구를 가진 제1 보어(228) 및 제1 보어(228)로부터 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샘플 캡쳐 셀(138)의 표면까지 확장되고, 제1 보어(228)와 축상으로 정렬되는 제2 보어(230)를 포함한다. 제1 보어(228) 및 제2 보어(230)는 일반적으로 이송 도관(140)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보어(228)는 제1 지름으로 원형 횡단면을 가지고, 제2 보어(230)는 배출구 도관 밀봉부(232)를 추가로 수용하기 위하여, 제1 지름 보다 큰 제2 지름으로 원형 횡단면을 가진다. 제1 지름은 이송 도관(140)의 외부 지름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클 수 있고(가령, 그래서, 이송 도관(140)은 제1 보어(228) 내로 삽입될 수 있음), 또는 이송 도관(140)의 내부 지름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어(228)는 0.5 mm (또는, 그 근처)로부터의 범위에서 제1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2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벽(212)으로부터 배출구(210) 내로 연장하는 벽의 천이 영역은 둥글거나 모따기 된다. 둥글거나 모따기된 천이 영역을 제공함에 의하여, 배출구(210) 내로 들어가는 캐리어 가스의 흐름의 난류성이 제어되고 적합하거나 바람직하게 작아진다. 일 실시예에서, 천이 영역의 둥글거나 모따기는 0.1 mm 또는 그 근처의 반지름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210)는 제1 보어(228)의 주입구(가이드 벽(212))에서 비교적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가령, 0.82 mm 또는, 그 근처), 제1 보어(228)의 중간 영역 내의 로케이션에서 비교적 작은 지름을 가질 수 있다(가령, 제1 보어(228)의 상기 언급된 제1 지름에 해당함). 그러나, 캡쳐 캐비티(206)의 제3 영역(226)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천이 영역의 반지름은 현저하게 대략 0.1 mm 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가이드 벽(212)은 (가령, 오프닝(214), 제1 주입구(208) 및 제2 주입구(204)를 통해) 캡쳐 캐비티(206) 내로 도입된 하나 이상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편향, 벡터 또는 아니면 향하게 구성되어서, 오프닝(214)을 통해 캡쳐 캐비티(206) 내에 수용된 타겟 물질의 플룸의 적어도 일부가 캐리어 가스의 향해진 흐름에 의해 혼입되어서, 배출구(210) 내로 이송가능하게 한다(가령, 도 5 참조). 본원에서의 논의를 위하여, 배출구(210) 내로 이송된 타겟 물질은 샘플 캡쳐 셀(138)에 의해 "캡쳐된" 것이고, 따라서, 타겟(104)의 "샘플" 이나 "타겟 샘플"이라고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벽(212)은 캐리어 가스의 하나 이상의 흐름을 지향하도록 구성되어서, 플룸(302) 또는 배출구(210)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은 층류 또는 준-층류가 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 벽(212)은 캐리어 가스의 하나 이상의 흐름을 지향하도록 구성되어서, 플룸(302) 또는 배출구(210) 내로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은 난류가 된다. 마찬가지로, 샘플 캡쳐 셀(138)의 상기 언급된 하나 이상의 특징(가령, 하부 표면(202), 가이드 벽(212), 오프닝(214), 제1 주입구(208), 제2 주입구(204)등)은, 타겟(104)의 표면 위에, 그리고 캡쳐 캐비티(206) 외부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이 층류, 준-층류, 난류 또는 이들의 조합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벽(212)은 제1 보어(228)의 주입구는 2.5 mm (또는, 그 근처)의 거리만큼 샘플 캡쳐 셀(138)의 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표면에 대해 움푹 패이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캡쳐 캐비티(206)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 및 샘플 캡쳐 셀(138) 내의 제2 주입구(204)의 로케이션과 배향과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제1 보어(228)의 주입구가 샘플 캡쳐 셀(138)의 전면 말단 영역을 형성하는 표면에 대해 움푹 패인 거리는 현저하게 대략 2.5 mm 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벽(212)은 제1 보어(228)의 주입구에 인접한 영역에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가령, 원형으로 만곡되고, 0.9 mm 내지 1.1 mm 또는, 그 근처의 범위인 반지름을 가진 제2 주입구(204)의 축에 중심임). 그러나, 캡쳐 캐비티(206)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와 방향 및 샘플 캡쳐 셀(138) 내의 제2 주입구(204)의 로케이션과 배향에 의존하여, 기하 형상 컨피규레이션은 적합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가변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샘플 캡쳐 셀(138)이 이송 도관에 결합되면, 배출구(210) 내로 이송된 샘플은 (가령, 이송 도관(140)을 통해) 샘플 캡쳐 셀(138) 외부 로케이션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샘플 캡쳐 셀(138)에 이송 도관(140)을 결합하기 위하여, 이송 도관(140)의 말단("제1 말단" 또는 "샘플 수용 말단"이라고도 함)은 배출구 도관 밀봉부(232)를 통해 제2 보어(230) 내로 삽입된다. 선택적으로, 제1 보어(228)의 지름에 의존하여, 이송 도관(140)은 제1 보어(228) 내로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제1 보어(228) 내로 삽입되어서, 샘플 수용 말단은 제1 보어(228) 내에서 움푹 패인다. 예를 들어, 샘플 수용 말단은 1 mm 내지 3 mm (또는, 그 근처)의 범위의 거리만큼 제1 보어(228)의 주입구로부터 이격될 제1 보어(228) 내에서 움푹 패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제1 보어(228) 내로 삽입되어서, 샘플 수용 말단은 제1 보어(228)의 주입구와 같은 높이 또는 그 보다 확장되어 움푹 패인다.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샘플 캡쳐 셀(138)에 이송 도관(140)을 결합하면, 배출구에서 수용된 캐리어 가스는 이송 도관(140)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샘플 챔버(102) 외부 로케이션(가령, 샘플 준비 시스템(11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샘플 수용 말단에 더하여, 이송 도관(140)은 샘플 수용 말단의 반대편에 제2 말단(본원에서, 샘플 주입 말단이라고도 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송 도관(140)은 샘플 수용 말단에서 샘플 주입 말단까지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20 mm 내지 2 m (가령, 50 mm 내지 500 mm 또는 100 mm 내지 600 mm 또는 200 mm 내지 500 mm 또는 200 mm 내지 450 mm 또는 그 근처의 범위에서)의 길이(샘플 수용 말단에서 샘플 주입 말단까지)와 50 ㎛ 내지 1 mm (가령, 50 ㎛ 내지 500 ㎛ 또는 250 ㎛ 또는 그 근처)의 내부 지름을 가진다. 그러나, 내부(106) 내의 압력, 이송 도관(140)의 내부 지름, 샘플 챔버(102)의 컨피규레이션 및 샘플 준비 시스템(112)과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이송 도관(140)의 길이는 20 mm 미만이나 2 m 초과일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내부(106) 내의 압력과 이송 도관(140)의 길이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이송 도관(140)의 내부 지름은 50 ㎛ 또는 1 mm 초과일 수 있다. 샘플 수용 말단에서의 이송 도관(140)의 내부 지름은 샘플 주입 말단에서의 이송 도관(140)의 내부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즉, 더 크거나 더 작음). 또한, 이송 도관(140)의 내부 지름은 이송 도관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실질적으로 일정하거나 가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샘플 수용 말단과 샘플 주입 말단 사이에 밸브가 없는, 단일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튜브로서 제공된다. 이송 도관(140)이 형성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물질은 글래스, 폴리머, 세라믹 및 금속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퓨즈드 글래스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플루오로폴리머(가령, 퍼플루오로알콕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등 또는 이들의 조합),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알루미나, 사파이어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세라믹 물질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스테인리스 강, 구리, 백금등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예시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이송 도관(140)은 샘플을 샘플 캡쳐 셀(138)에서 샘플 준비 시스템(112)으로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샘플 캡쳐 셀(138)에서 샘플 준비 시스템(112)로의 샘플의 효율적인 이송과 결합된, 샘플의 효율적인 캡쳐와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 이송 도관(140)으로의 샘플의 이송은 분석 시스템(110)이 비교적 짧은 피크 너비(가령, 약 10 ms 내지 약 20 ms의 범위(가령, 12 ms 또는, 그 근처)이고, 전체 신호의 98%는 10 ms 내에서 관측되는 베이스 라인에 대하여 측정되고, 빠른 워시-아웃 시간에 해당함)를 가진 신호(가령, 타겟 샘플의 조성에 해당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적 짧은 피크 너비와 빠른 워시-아웃 시간을 가진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타겟(104)의 조성 분석을 매우 빠르고, 높은 민감도로 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부(106) 내의 압력 및 이송 도관(140)의 길이, 이송 도관(140)의 내부 지름과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피크 너비는 1s 또는 그 근처로 바람직하게 증가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주입구를 포함하는 도 1에 도시된 샘플 캡쳐 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언급된 샘플 캡쳐 셀은 캡쳐 캐비티(206)에서 샘플 캡쳐셀(138)의 상부 표면(200)까지 연장된 보조 주입구(800)와 같은 보조 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주입구(800)는, 샘플 캡쳐 셀(138)의 상부 표면(200)에 인접한 제3 로케이션에서 캡쳐 캐비티(206)의 제4 영역(804) 내로 캐리어 가스의 보조 흐름(802)을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제4 영역(804) 내로 도입되면, 보조 흐름(802)은 캡쳐 캐비티(206) 내에 존재하는 캐리어 가스의 지향된 흐름(들)과 혼합되어서, 배출구(210) 내로 이송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4 영역(804)은 제3 영역(226) 보다 제1 영역(220)에 더 가까이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4 영역(804)은 제1 영역(220) 보다 제3 영역(226)에 더 가까울 수 있거나, 제1 영역(220)과 제3 영역(226) 사이의 등거리 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 주입구는 제2 주입구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상이한(가령, 더 크거나 더 작은) 지름을 가진 원통형 튜브로 구성된다. 그러나, 제2 로케이션에서 내부(106) 내의 캐리어 가스 흐름 속도와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보조 주입구(800)의 임의의 일부(가령, 샘플 캡쳐 셀의 상부 표면(200)에서 캡쳐 캐비티(206)까지)의 크기와 모양은 임의의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보조 주입구는, 상부 표면(200)에서 보조 주입구(800) 내로 연장되는 천이 영역을 가진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주입구(204)에 대해 상기 기술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 주입구(800)는, 가령, 상기 기술된 제1 방향과 제2 방향과 상이한 제3 방향을 따라서, 캡쳐 캐비티(206)의 제4 영역(804) 내로 보조 흐름(802)을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샘플 캡쳐 셀(138)이 타겟(104)에 작동 가능하게 근접할 때, 제3 방향은 타겟(104)의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비스듬하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보조 주입구(800)가 샘플 캡쳐 셀(138)의 바디부 내에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도시되지만, 보조 주입구(800)는 샘플 캡쳐 셀(138)의 바디부에 이후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구성으로부터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보조 주입구(800)는 캐리어 가스의 보조 흐름(802)을 캡쳐 캐비티(206)의 제4 영역(804) 내로 이송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지만, 보조 주입구(800)는 제1 영역(220), 제3 영역(226) 또는 제2 영역(224)(가령, 보조 주입구(800)는 제2 주입구(204)까지 연장될 수 있음) 내로 캐리어 가스의 보조 흐름(802)을 이송하도록 위치, 배향 또는 아니면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 주입구(800)는, 배출구(210)와 타겟(104)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3 방향을 따라, 캐리어 가스의 보조 흐름(802)을 캡쳐 캐비티(206)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3 방향은 배출구(210)를 향하면서 타겟(104)으로부터 멀리, 제1 주입구(208)와 타겟(104)을 향하면서, 주입구(208)를 향하면서 타겟(104)으로부터 멀리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조 주입구(800)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캐리어 가스의 보조 흐름(802)을 샘플 캡쳐 셀(138)의 상부 표면(200)과 인접한 제3 로케이션에서 캡쳐 캐비티(206)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지만, 보조 주입구(800)는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샘플 캡쳐 셀(138)의 임의의 표면에 인접한 임의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게다가, 보조 주입구(800)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캡쳐 캐비티(206) 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지만, 샘플 캡쳐 셀(138)은 보조주입구(800)가 외부의 보조 유체 소스(가령, 헬륨 가스, 아르곤 가스, 질소 가스, 수증기, 원자화되거나 분무된 유체, 원자화되거나 분무된 용매,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별개의 액적, 나노입자 또는 세포와 같은 생물학적 샘플등 또는 이들의 조합)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컨피규레이션에서, 보조 주입구(800)는 캐리어 가스와 상이한 유체를 캡쳐 캐비티(206) 내로 이송할 수 있거나, 캐리어 가스의 보조 흐름을 캡쳐 캐비티(206) 내로 이송할 수 있는데, 보조 흐름은 하나 이상의 주입 노즐(120)에 의해 생성된 캐리어 가스 흐름과 상이한 특징(가령, 상이한 온도, 상이한 흐름 속도등)을 가진다. 보조 주입구(800)에 의해 캡쳐 캐비티(206) 내로 도입된 임의의 유체는 캡쳐 캐비티(206) 내에 존재하는 캐리어 가스의 지향된 흐름(들)과 혼합되어서, 배출구(210) 내로 이송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유체 소스에 결합될 때, 보조 주입구(800)는 질소 가스나 수증기와 같은 하나 이상의 유체를 이송하여, 샘플 카운팅, 레이저 어블레이션 표준화, 보정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샘플 준비 시스템에 결합된 주입기의 일 실시예 및 분석 시스템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9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샘플 준비 시스템(112)은, 플라즈마가 생성될 수 있는 공간(904)을 감싸는 외부 튜브(902)(본원에서 "밀폐 튜브(902)" 라고도 함), 밀폐 튜브(902) 내에 마련되고, 밀폐 튜브(902)의 주입 축(910)과 동축인 내부 튜브(906)(본원에서 "플라즈마 가스 튜브(906)"라고도 함), 및 RF 소스(미도시)에 의해 전압 공급될 때, 플라즈마(912)(가령, 공간(904) 내의 어둡게-그림자진 영역을 차지하는)를 생성하기 위한 공간(904) 내의 가스를 이온화하도록 구성된 코일(908)를 포함하는 ICP 토치(900)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샘플 준비 시스템(112)은 코일(908)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지만, 샘플 준비 시스템(112)은 다른 컨피규레이션의 이온화 메카니즘을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평평한 플레이트의 세트(가령, 쌍)는 밀폐 튜브(902) 외부에 배치되어서, 플라즈마를 생성하기 위한 공간(904) 내에 플라즈마 가스를 이온화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폐 튜브(902)와 플라즈마 가스 튜브(906)는 서로 이격되어서,가스 소스(가령, 가압된 가스의 저장소, 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는 환형 외부 가스 이송 도관(914)("냉각 가스 이송 도관"이라고도 함)을 형성하여, 가스(가령, 아르곤 가스)의 외부 흐름(916)("냉각 흐름"이라고도 함)을 수용하고, 수용된 가스의 외부 흐름(916)을 (가령, 10 mL/분 내지 15 mL/분, 또는, 그 근처의 흐름 속도로) 공간(904) 내로 이송할 수 있다. 외부 흐름(916)을 통해 공간(904) 내로 도입된 가스는 이온화되어서 상기 언급된 플라즈마(91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생성된 플라즈마(912)는 약 1.5 kW 이하의 전력을 가진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서, 생성된 플라즈마(912)는 1.5 kW 이상(가령, 밀폐 튜브(902)를 녹이기에 충분함)의 전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외부 흐름(916)을 통해 공간(904) 내로 도입된 가스는 밀폐 튜브(902)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밀폐 튜브(902)가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라즈마 가스 튜브(906)는 보조 가스 소스(가령, 가압된 가스의 저장소, 미도시)에 결합되어서, 중간 흐름(918)(가스(가령, 아르곤 가스)의 "보조 흐름"이라고도 함)을 수용하고, 가스의 수용된 중간 흐름(918)을 (가령, 1 L/분 내지 2 L/분의 흐름 속도로) 공간(904)으로 이송할 수 있다. 중간 흐름(918)을 통해 공간(904)으로 도입된 가스는 밀폐 튜브(902)에 대한 주입 축(910)을 따라 플라즈마(912)의 포지션 베이스를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공간(904) 내에 생성된 플라즈마(912)의 일부는, 분석 시스템(110)의 인터페이스(가령, 샘플링 콘(920)과 스키머 콘(922)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분석 시스템(110)(가령, MS 시스템)으로 이송된다. 분석 시스템(110)이 샘플링 콘(920)과 스키머 콘(922)과 인터페이스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방식으로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샘플 챔버(102) 내에서 생성된 상기 언급된 타겟 물질이 공간(904) 내에서 생성된 플라즈마 내로 도입되면, 타겟 물질은 조성 분석을 위해 분석 시스템(110) 내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 도관(140)을 통해 샘플 준비 시스템(112)과 같은 샘플 준비 시스템 내로 샘플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치(100)는 주입기(924)와 같은 주입기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기(924)는 임의의 적합하거나 바람직한 메카니즘에 의해 샘플 준비 시스템(11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아니면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입기(924)는 유체 주입 말단(928)을 가진 외부 도관(926) 및 상기 언급된 이송 도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도관(926)은 플라즈마 가스 튜브(906) 내에 마련되고, 주입 축(910)과 동축이며, 유체 소스(가령, 하나 이상의 가압된 가스의 저장소, 미도시)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서, 유체(가령, 아르곤 가스)의 외부 주입기 흐름(930)을 수용한다. 외부 주입기 흐름(930) 내의 유체는 외부 도관(926)의 유체 주입 말단(928)을 통해 공간(904) 내로 주입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유체 주입 말단(928)에서 외부 도관(926)의 내부 지름은 1.5 mm 내지 3 mm (가령, 2 mm 또는, 그 근처)의 범위이다. 유체 주입 말단(928)으로부터 공가(904) 내로 유체를 주입하면, 중앙 채널(932)(가령, 공간(904) 내에 밝게-그림자진 영역을 차지하는)은 플라즈마(912) 내에서 형성되거나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유체 주입 말단(928)을 통해 공간(904) 내로 주입된 유체는 유체 주입 말단(928)에 비교적 가까운 제1 구역(934)을 생성하고, 이는 유체의 비교적 높은 난류성이 특징이다(가령, 외부 주입기 흐름(930)으로부터의 유체 및 중가 흐름(918)으로부터의 가능한 가스를 포함함). 난류성은, 유체 주입 말단(928)으로부터 플라즈마(912) 내로의 거리 증가하면서, 주입 축(910)을 따라 빠르게 감소한다. 따라서, 주입 축(910)을 따라 유체 주입 말단(928)으로부터 비교적 멀고, 중앙 채널(932) 내에 위치된 제2 구역은 유체의 비교적 낮은 난류성이 특징이다(가령, 외부 주입기 흐름(930)으로부터의 유체 및 중간 흐름(918)으로부터의 가능한 가스를 포함함).
일반적으로, 이송 도관(140)은, 상기 언급된 샘플 주입 말단(938로 표시됨)을 통해, 이송 도관(140)(가령, 상기 언급된 캐리어 가스, 보조 주입구(800)에 의해 캡쳐 캐비티(206) 내로 도입된 임의의 유체등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샘플을 운반하는 임의의 다른 유체와 함께, 상기 언급된 타겟 샘플을 포함하는 캐리어 흐름(936)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송 도관(140)을 통해 안내되고, 샘플 주입 말단(938)을 지나면, 캐리어 흐름(936)(및 따라서, 그 안에 포함된 샘플)은, 이온화되고, 이후에 분석 시스템(110)으로 이송될 수 있는 공간(904) 내로 주입 가능하다(가령, 주입 축(910)을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외부 도관(926) 내에 마련되고, 주입 축(910)과 동축일 수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938)은 외부 도관(926) 내에 위치 가능하고, 외부 도관(926) 외부에 위치 가능하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송 도관(140)은 외부 도관(926) 내에 마련되어서, 샘플 주입 말단(938)이 외부 도관(926) 내에 위치되고, 0 mm 내지 20 mm 범위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92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이송 도관(140)은 외부 도관(926)내에 마련되어서, 샘플 주입 말단(938)이 외부 도관(926) 외부에 위치되고, 0 mm 내지 15 mm 보다 큰 거리만큼(가령, 6 mm 내지 12 mm 의 거리만큼, 또는 8 mm 내지 12 mm 또는 10 mm 내지 12 mm 또는 12 mm, 또는 그 근처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92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외부 도관(926)의 컨피규레이션, 외부 도관(926)을 나오는 외부 주입기 흐름(930)의 흐름 속도 및 샘플 준비 시스템(112)의 컨피규레이션과 같은 요소에 의존하여, 샘플 주입 말단(938)은 외부 도관(926) 내에 위치되고, 20 mm 초과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92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음(또는 외부 도관(926) 외부에 위치되고, 15 mm 초과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92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송 도관(140)의 포지션은 외부 도관(926)에 대해 고정될 수 있거나 조절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샘플 주입 말단(938)의 상대적 포지션이 선택되거나, 아니면 로케이션에서 위치되도록 조절될 수 있는데(가령, 공간(904) 내에서), 상기 언급된 제1 구역(934)과 관련된, 적은 유체 난류성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샘플 주입 말단(938)은 상기 언급된 제2 구역 내에 배치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캐리어 흐름(936)이 제2 구역 내에 위치된 샘플 주입 말단(938)으로부터 주입될 때, 플라즈마(912)의 중앙 채널(932) 내에 이온화된 타겟 샘플의 측면 확산은 중앙 채널(932)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가령, 이온화된 타겟 샘플의 비교적 초점된 빔(94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음). 그 결과, 빔(940)은 분석 시스템(110)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축상에 유지될 수 있어서, 분석 시스템(110)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샘플링 효율성 및 분석 시스템(110)의 민감도를 향상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주입기(924)는 외부 도관(926) 내의 이송 도관(140)의 반경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센터링 부재(9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링 부재(942)는 외부 도관(926)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송 도관(140)이 삽입될 수 있는 중앙 보어(944) 및 중앙 보어(944)에 반경적으로 및 외주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보어(946)를 포함하여, 상기 언급된 유체 소스에서 유체 주입 말단(928)까지 외부 주입기 흐름(930)의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입기(924)는 주입기(924) 외부 로케이션으로부터 센터링 부재(942) 내로의 이송 도관(14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데 도움을 줄 도관 가이드(9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예시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주입기(924)의 외부 도관(926)은, 샘플이 도입되는 플라즈마(912)의 중앙 채널을 설립하는 유체 흐름(가령, 아르곤, 또는 헬륨 가스와 질소 가스와의 혼합물)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종래의 ICP 토치 주입기와 동일한 주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주입기(924)에서, 이송 도관(140)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샘플 캡쳐 셀(138)에 결합될 필요가 없다. 이처럼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샘플 준비 시스템(112)등과 같은 샘플 준비 시스템을 통해 분석 시스템(110)으로 표준(가령, 장비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고,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등)을 도입하는데 대안적이거나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표준은 에어로졸이나 건식 에어로졸로서 도입될 수 있다(가령, 분무기 또는 액적 생성기로부터 분리된 액적, 또는 화학 또는 열 수단등에 의해 생성된 가스나 증기). 표준은 샘플 챔버(102)이외의 샘플 챔버로부터 에어로졸일 수 있다. 이처럼 다른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40)은 샘플 준비 시스템(112)내로 추가적인 가스를 도입하는데 대안적이거나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가령, 헬륨 가스, 질소 가스, 가령, 열 증기나 분무기 또는 액적 생성기등에서 파생된 수증기).
일 실시예에서, 샘플 챔버(102)는 별도의 액적 생성기와 함께 또는 대신 사용될 수 있다(25 ㎛ 또는, 그 근처 미만의 입자를 샘플 준비 시스템(112)으로 운반할 수 있는 별개의 액적의 임의의 소스가 작동하더라도, 가령, 압전식이나 열적 잉크 제트 기술로부터 파생됨). 일부 응용분야에서, 분무기와 같은 것으로부터의 액적의 연속적인 소스 또는 증기(가령, 수증기)의 연속적인 흐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액적 생성기는 탈용매화 스테이지에 결합되어서, 액적의 이전 증발(완전하거나 부분적일 수 있는)을 수행할 수 있다. 액적/탈용매화 기술은 잘 알려져 있고, 널리 공개되었다.
일 실시예에서, 액적 생성기 및 이와 함께하는 탈용매화부는 두 개의 작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액적 생성기 및 이와 함께하는 탈용매화부는 샘플 챔버(102)를 샘플 소스로 대체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샘플은 낮거나 서브-마이크론 범위(탈용매화 후에)인 지름을 가진 별개의 액적의 시퀀스로 주입기(924)의 이송 도관(140) 내로 직접 도입될 수 있다. 이들 액적은 다양하게, 가령, 액체 샘플, 단일 세포와 같은 생물학적 샘플을 포함하는 액체 액적 또는 마이크로 또는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액적 생성기 및 이와 함께하는 탈용매화부는 샘플 생성기(108) 및 샘플 챔버(102)와 동시에 및 동기식으로 실행되어서, 액체 액적이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과 동시에, 또는 타겟 물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과 단일 또는 복수의 이벤트에서 교대로 이송 도관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작동 모드는 보정을 위한 메카니즘(가령, 액적이 표준을 포함한다면), 플라즈마 조건의 제어를 위한 메카니즘(가령, 액적이 용매를 포함한다면) 또는 장비 파라미터의 최적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준-연속 신호 출력을 위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주입기와 같은 주입기와 액적 생성기 사이에 결합된 탈용매화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횡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탈용매화부는 액적의 흐름 및/또는 증기(가령, 1로 표시됨)와 하나 이상의 탈용매화 가스 흐름(가령, 2로 표시됨)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어댑터(4)를 포함할 수 있는데, 수용된 액적(들), 증기(들) 및 그 밖의 다른 가스 흐름이 혼합되어서, (가령, 중력 및/또는 탈용매화 가스 흐름의 영향하에서 수직 아래로) 튜브(5)(가령, 스테인리스 강 튜브)를 통해 어뎁터 커플링(6)의 제1 주입구 내로 이송될 수 있는데, 이는 보충 유체(가령, 3으로 표시됨)의 흐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주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뎁터 커플링(6) 내에, 혼합된 액적(들), 증기(들) 및 그 밖의 다른 가스 흐름은 보충 유체의 흐름에 의해 혼입되고, 테이퍼된 감쇠기(7)를 통해 이송 도관(140)으로, 따라서, 상기 언급된 주입기(924) 내로 이송된다. 테이퍼된 감쇠기(7)에 의해 제공된 테이퍼는 원하지 않는 난류성 도입과 입자 손실을 피하기 위해 충분히 서서히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도시된 액적 생성기 및 관련된 탈용매화부는 상기 기술된 샘플 챔버(102)와 샘플 캡쳐 셀(138)을 대체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액적 생성기 및 관련된 탈용매화부는 샘플 챔버(102) 및/또는 샘플 캡쳐 셀(138)과 일렬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오프닝은, 샘플 수용 말단(샘플 챔버(102) 내에 배치되고, 샘플 캡쳐 셀(138)에 결합된)과 샘플 주입 말단(938)(주입기(924) 내에 배치된) 사이의 로케이션에서 이송 도관(140)내에 형성될 수 있고, 어뎁터 커플링(6)은 이송 도관(140)에 결합되어 이송 도관(140)의 내부와 유체 연동하는 튜브(5)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것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이고, 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몇 몇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술되지만,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는 많은 수정예가 본 발명의 새로운 가르침과 이점으로부터 본질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예는 이하의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125)

  1.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마련되도록 구성된 샘플 캡쳐 셀을 포함하고, 상기 샘플 캡쳐 셀은,
    캡쳐 셀의 표면 내에 형성된 오프닝을 가진 캡쳐 캐비티 - 상기 캡쳐 캐비티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나오거나 생성된 타겟 물질을 오프닝을 통해 수용하도록 구성됨 - 와,
    캡쳐 캐비티와 유체 연동(fluid communication)되는 제1 주입구 - 상기 제1 주입구는 캡쳐 셀의 외부에 인접한 제1 로케이션에서 캡쳐 캐비티의 영역 내로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전송하도록 구성됨 - 와,
    캡쳐 캐비티와 유체 연동되고 캡쳐 캐비티의 또 다른 영역으로부터 캐리어 가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배출구와, 및
    캡쳐 캐비티 내에 수용된 타겟 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샘플로서 배출구 내로 이송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캡쳐 캐비티 내에서 노출되고 캡쳐 캐비티 내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제1 주입구와 배출구사이로 향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표면이 타겟으로부터 1 mm 미만의 갭 거리만큼 이격될 때,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표면이 타겟으로부터 0.5 mm 미만의 갭 거리만큼 이격될 때,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표면이 타겟으로부터 0.2 mm 미만의 갭 거리만큼 이격될 때,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표면이 타겟으로부터 0.1 mm 미만의 갭 거리만큼 이격될 때,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표면이 타겟으로부터 0.05 mm 미만의 갭 거리만큼 이격될 때,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표면이 타겟으로부터 0.01 mm 미만의 갭 거리만큼 이격될 때,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쳐 캐비티의 부피는 1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쳐 캐비티의 부피는 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쳐 캐비티의 부피는 0.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쳐 캐비티의 부피는 0.005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쳐 캐비티의 부피는 0.001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주입구는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제1 방향을 따라 캡쳐 캐비티의 제1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1 방향은 타겟의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캡쳐 캐비티와 유체 연동하는 제2 주입구를 더 포함하되, 제2 주입구는 캐리어 가스의 외부 흐름을 캡쳐 셀의 외부에 인접한 제2 로케이션에서 캡쳐 캐비티의 또 다른 영역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2 주입구는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을 따라 캡쳐 캐비티내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주입구 및 캡쳐 캐비티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타겟의 영역으로 광이 전송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2 주입구 및 캡쳐 캐비티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타겟의 영역으로 레이저 광이 전송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1. 제 21 항에 있어서, 타겟의 영역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의 표면을 지나서, 캡쳐 캐비티를 통해 제1 주입구로부터 배출구내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의 표면을 지나도록 향하도록 구성되어서, 향한 흐름이 층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4. 제 22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의 표면을 지나도록 향하도록 구성되어서, 향한 흐름이 준-층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의 표면을 지나도록 향하도록 구성되어서, 향한 흐름이 난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6.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의 표면을 지나도록 향하도록 구성되어서, 향한 흐름이 난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캡쳐 캐비티 내에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향하도록 구성되어서, 캡쳐 캐비티 내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은 층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캡쳐 캐비티 내에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향하도록 구성되어서, 캡쳐 캐비티 내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은 준-층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벽은 캡쳐 캐비티 내에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향하도록 구성되어서, 캡쳐 캐비티 내의 캐리어 가스의 흐름은 난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샘플 콜렉터가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캡쳐 캐비티 외부에 위치된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타겟의 표면에서 멀어지게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1.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주입구, 배출구, 가이드 벽, 및 제2 포트 중 적어도 하나는 캡쳐 캐비티 내에 수용 가능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모든 타겟 물질이 배출구 내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2. 제 1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바디부를 포함하는데, 캡쳐 캐비티, 제1 주입구, 배출구, 가이드 벽, 및 포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두 개는 바디부 내에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3.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챔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샘플 챔버는 타겟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한 로케이션에서, 샘플 챔버의 내부에 마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5. 제 33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에 결합되고, 샘플 챔버의 내부의 샘플 캡쳐 셀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셀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셀 지지부는 샘플 챔버의 측벽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7. 제 1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쳐 캐비티 외부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주요 주입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8. 제 37 항에 있어서, 주요 주입 노즐은 샘플 챔버의 내부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39. 제 1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유체를 직접 캡쳐 캐비티 내로 도입시키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 주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0.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배출구보다 제1 주입구에 더 가까운 로케이션에서, 보조 유체를 캡쳐 캐비티 내로 도입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1.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타겟의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확장하는 보조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2.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타겟의 표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확장하는 보조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3.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타겟의 표면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확장하는 보조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4.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배출구를 향하여 확장하는 보조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5.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제1 주입구를 향하여 확장하는 보조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6.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타겟을 향하여 확장하는 보조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7.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는, 샘플 캡쳐 셀이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할 때, 타겟으로부터 멀리 확장하는 보조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8.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의 배출구는 레이저 액세스 포트와 유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49. 제 39 항에 있어서, 보조 주입구의 적어도 일부는 샘플 캡쳐 셀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0. 제 1 항 내지 제 4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구에 결합되고, 샘플의 적어도 일부를 레이저 어블레이션 챔버의 외부 로케이션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된 이송 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1. 제 50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샘플 캡쳐 셀에 결합된 제1 말단 및 제1 말단의 반대편의 제2 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2. 제 51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모든 샘플이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3. 제 51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2 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4. 제 51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수용 말단에서 샘플 주입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1.5 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5. 제 51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1 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6. 제 51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500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7. 제 51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450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8. 제 51 항 내지 제 5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400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59. 제 51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100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0. 제 51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의 이송 도관의 길이는 50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1. 제 51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 적어도 실질적으로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2. 제 51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말단에서의 이송 도관의 내부 지름은 제2 말단에서의 이송 도관의 내부 지름과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3. 제 51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단일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4. 제 51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제1 말단과 제2 말단 사이에 밸브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5. 제 51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내부 지름은 50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6. 제 51 항 내지 제 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내부 지름은 30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7. 제 51 항 내지 제 6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내부 지름은 20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8. 제 51 항 내지 제 6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내부 지름은 5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69. 제 51 항 내지 제 6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내부 지름은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0. 제 50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1. 제 50 항 내지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글래스, 폴리머, 세라믹 및 금속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2. 제 50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퓨즈드 글래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3. 제 50 항 내지 제 7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PFA, PEEK 및 PTFE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4. 제 50 항 내지 제 7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전기적 전도성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5. 제 50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알루미나와 사파이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6. 제 50 항 내지 제 7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스테인리스 강, 백금 및 구리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7. 제 1 항 내지 제 7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에 결합된 주입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주입기는, 이송 도관의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 이송 가능한 입자의 적어도 일부를 플라즈마 토치에 의해 생성 가능한 플라즈마로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8. 제 77 항에 있어서, 주입기는 이송 도관의 제1 말단에서 제2 말단까지 이송 가능한 적어도 실질적으로 모든 샘플을 플라즈마로 주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의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로부터 제거된 타겟 물질을 다루기 위한 장치.
  79. 플라즈마 튜브의 밀폐 튜브 내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플라즈마 토치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마련되도록 구성된 주입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유체 주입 말단을 가진 외부 도관 - 상기 외부 도관은 유체의 외부 주입 흐름을 유체 주입 말단으로 이송하여 유체가 유체 주입 말단으로부터 밀폐 튜브 내로 주입 가능하도록 구성됨 - 과, 및
    유체 주입 말단에 외부 도관 내에 배치되고, 샘플 주입 말단을 가진 이송 도관 - 이송 도관은 물질을 포함하는 캐리어 흐름이 샘플 주입 말단을 통해 주입 가능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0. 플라즈마 튜브의 밀폐 튜브 내에서 플라즈마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플라즈마 토치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마련되도록 구성된 주입기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밀폐 튜브 내에서, 비교적 높은 난류를 가진 유체 흐름을 포함하는 제1 구역 및 비교적 낮은 난류를 가진 유체 흐름을 포함하는 제2 구역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유체 주입 말단을 가진 외부 도관 - 제1 구역은 제2 구역 보다 유체 주입 말단에 더 인접함 - 과, 및
    제2 구역 내에 위치된 샘플 주입 말단을 가진 이송 도관 - 상기 이송 도관은 물질을 포함하는 캐리어 흐름이 샘플 주입 말단으로부터 제2 구역 내로 주입 가능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1. 제 79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외부 도관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2. 제 79 항 내지 8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외부 도관 외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3. 제 82 항에 있어서, 외부 도관은 주입 축을 따라 유체 주입 말단으로부터 확장하고, 이송 도관은 주입 축을 따라 샘플 주입 말단으로부터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4. 제 82 항 내지 제 8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도관과 이송 도관은 동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5. 제 82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1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6. 제 82 항 내지 제 8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2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7. 제 82 항 내지 제 8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4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8. 제 82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6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9. 제 82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8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0. 제 82 항 내지 제 8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10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1. 제 82 항 내지 제 9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12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2. 제 82 항 내지 제 9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주입 말단은 15 mm 초과의 범위에서의 거리만큼 유체 주입 말단을 넘어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3. 제 79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도관에 대해 이송 도관의 위치는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4. 제 79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도관에 대해 이송 도관의 위치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5. 제 79 항 내지 제 9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샘플 주입 말단 반대편에 있고 타겟 물질을 수용하는 샘플 수용 말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6. 제 79 항 내지 제 9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샘플 수용 말단에서 수용된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샘플 주입 말단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7. 제 96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모든 물질이 샘플 수용 말단에서 샘플 주입 말단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98. 제 79 항 내지 제 9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즈마 토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9. 제 98 항에 있어서, 플라즈마 토치는 밀폐 튜브를 가진 유도적으로 결합된 플라즈마(ICP) 토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0. 제 99 항에 있어서, ICP 토치는 밀폐 튜브 외부에 배치되고, 유체와 에어로졸을 이온화시키도록 구성된 인덕션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1. 제 99 항에 있어서, ICP 토치는 밀폐 튜브 외부에 배치되고, 유체와 에어로졸을 이온화시키도록 구성된 한 세트의 평평한 인덕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2. 제 79 항 내지 제 10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질이 제거된 타겟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를 가진 샘플 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샘플 수용 말단은 샘플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4. 제 79 항 내지 제 10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샘플 수용 말단에 결합되고, 타겟에 작동 가능하게 인접하여 마련되도록 구성된 샘플 캡쳐 셀을 더 포함하되, 샘플 캡쳐 셀은 물질을 캡쳐하고 캡쳐된 물질을 이송 도관으로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5. 제 104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샘플 챔버의 내부 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6. 제 79 항 내지 제 10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도관의 내부와 유체 연동하는 액정 생성기(droplet generator)를 더 포함하되, 액적 생성기는 입자를 이송 도관의 내부로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7. 제 106 항에 있어서, 액적 생성기와 이송 도관 사이에 결합된 탈용매화부(desolvation uni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8.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가진 베이스와,
    타겟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타겟 홀더와,
    베이스의 제1 측면에 이동식으로 배치된 캐리지(carriage) - 캐리지는 타겟 홀더를 지지하도록 구성됨 - 와,
    베이스의 제2 측면에 이동식으로 배치된 포지셔닝 스테이지 - 캐리지와 포지셔닝 스테이지는 베이스를 통해 서로 자기적으로 결합됨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09. 제 108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스테이지는 베이스에 대해 선형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0. 제 109 항에 있어서, 베이스에 대해 선형으로 변형 가능한 것은 적어도 두 개의 방향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1. 제 108 항 내지 제 1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지셔닝 스테이지는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2. 제 108 항 내지 제 1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지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3. 제 108 항 내지 제 1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지는 베이스의 제1 측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4. 제 108 항 내지 제 1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의 빔을 광학 경로를 따라 타겟 홀더에 의해 지지 가능한 타겟으로 향하도록 구성된 샘플 생성기를 더 포함하되, 레이저 광의 빔은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 타겟의 적어도 일부를 어블레이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5. 제 114 항에 있어서, 캐리지는 광학 경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6. 제 108 항 내지 제 1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이스와 결합되고, 타겟 홀더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볼륨을 감싸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프레임과 베이스는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7. 제 116 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광학 경로와 정렬된 광학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8. 제 117 항에 있어서, 광학 포트에 걸쳐 확장하는 전송 창(transmission window)을 더 포함하되, 전송 창은 레이저 소스에 의해 향해진 레이저 광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19. 제 108 항 내지 제 1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챔버의 내부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캐리어 가스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입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20. 제 119 항에 있어서, 주입 노즐은 샘플 캡쳐 셀의 외부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캐리어 가스의 외부 흐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21. 제 108 항 내지 제 1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이저 어블레이션 부위에서의 샘플로부터 나온 입자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의 적어도 일부를 캡쳐하도록 구성되는 샘플 캡쳐 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22. 제 121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광학 경로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23. 제 121 항 내지 제 1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24. 제 121 항 내지 제 1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지는 샘플 캡쳐 셀에 대해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125. 제 121 항 내지 제 1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샘플 캡쳐 셀과 프레임에 결합된 이송 도관을 더 포함하되, 이송 도관은 샘플 캡쳐 셀로부터 챔버의 외부 로케이션으로 에어로졸의 적어도 일부를 이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겟을 다루기 위한 장치.
KR1020157022052A 2013-02-14 2014-02-12 조성 분석 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어블레이션 셀 및 토치 시스템 KR201501149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4976P 2013-02-14 2013-02-14
US61/764,976 2013-02-14
PCT/US2014/016085 WO2014127034A1 (en) 2013-02-14 2014-02-12 Laser ablation cell and torch system for a compositional analysi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963A true KR20150114963A (ko) 2015-10-13

Family

ID=5135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052A KR20150114963A (ko) 2013-02-14 2014-02-12 조성 분석 시스템을 위한 레이저 어블레이션 셀 및 토치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56756A4 (ko)
JP (3) JP6463279B2 (ko)
KR (1) KR20150114963A (ko)
CN (1) CN105074419B (ko)
TW (4) TWI614488B (ko)
WO (1) WO20141270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687A (ko) * 2019-08-19 2021-03-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어로졸 발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0014A1 (en) 2016-04-29 2017-11-01 ETH Zurich Laser ablation cell
CA3032861A1 (en) 2016-08-02 2018-02-08 Fluidigm Canada Inc. Laser ablation system
WO2018026910A1 (en) 2016-08-02 2018-02-08 Fluidigm Canada Inc. Sample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AT519146B1 (de) 2016-10-05 2020-03-15 Univ Wien Tech Vorrichtung zur Analyse eines Feststoff-Probenmaterials
TW201903379A (zh) * 2017-04-20 2019-01-16 美商電子科學工業有限公司 用於極快速信號清除之可調整樣本底面
CN109444248B (zh) * 2018-11-20 2020-10-30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激光的溶液剥蚀进样分析方法
GB2582751B (en) * 2019-03-29 2021-07-07 Thermo Fisher Scient Ecublens Sarl Improved spark stand for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JP6652212B2 (ja) * 2019-04-15 2020-02-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サンプルプレート移動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レーザ脱離イオン化質量分析装置
JP7349632B2 (ja) * 2019-06-28 2023-09-25 株式会社エス・テイ・ジャパン レーザーアブレーション用のセルおよび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74812A (en) * 1976-05-06 1980-09-10 Barringer Research Ltd Spectrochemical analysis
JPS6070960A (ja) * 1983-09-26 1985-04-22 Nec Corp フイ−ドスル−
JPH0622719B2 (ja) * 1985-05-13 1994-03-30 小野田セメント株式会社 複ト−チ型プラズマ溶射方法及びその装置
JPS62281755A (ja) * 1986-05-29 1987-12-07 Anelva Corp 動力導入機
JP2643031B2 (ja) * 1991-04-10 1997-08-20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固体発光分光分析装置
EP0560537A1 (en) * 1992-03-10 1993-09-15 Mds Health Group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sample introduction
US5850089A (en) * 1992-03-13 1998-12-15 American Research Corporation Of Virginia Modulated-structure of PZT/PT ferroelectric thin films for 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ies
JP2804873B2 (ja) * 1992-12-17 1998-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微粒子分析装置および微粒子分析方法
FR2700852B1 (fr) * 1993-01-27 1995-03-0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Cellule d'ablation d'un échantillon au laser.
US5537206A (en) 1993-11-02 1996-07-16 Nkk Corporation Method for analyzing steel and apparatus therefor
US5504327A (en) * 1993-11-04 1996-04-02 Hv Ops, Inc. (H-Nu) Electrospray ionization source and method for mass spectrometric analysis
FR2714464B1 (fr) 1993-12-23 1996-02-09 Cogema Procédé de contrôle de la contamination surfacique d'un solide et dispositif de mise en Óoeuvre.
JPH085555A (ja) * 1994-06-17 1996-01-12 Hitachi Ltd 元素分析用プラズマトーチ及びこれを用いた元素分析方法
JP4095646B2 (ja) * 1995-12-27 2008-06-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元素分析装置
JPH1151904A (ja) * 1997-08-05 1999-02-26 Jeol Ltd Icp−msのレーザーアブレ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
JP2001272349A (ja) * 2000-03-24 2001-10-05 Shimadzu Corp Icp発光分光分析用プラズマトーチ
WO2003005780A1 (en) * 2001-07-03 2003-01-16 Varian Australia Pty Ltd Plasma torch
JP3800621B2 (ja) * 2002-01-18 2006-07-2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Icp分析装置
JP4232951B2 (ja) * 2002-11-07 2009-03-0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誘導結合プラズマトーチ
US7460225B2 (en) * 2004-03-05 2008-12-02 Vassili Karanassios Miniaturized source devices for optical and mass spectrometry
JP2006038729A (ja) * 2004-07-29 2006-02-09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誘導結合プラズマトーチ
US7649170B2 (en) * 2006-10-03 2010-01-19 Academia Sinica Dual-polarity mass spectrometer
KR100801708B1 (ko) * 2006-12-22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오염물질 분석장비 및 방법
US8174691B1 (en) * 2007-03-15 2012-05-08 Arkansas State University—Jonesboro Detection of a component of interest with an ultraviolet las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982891B2 (ja) * 2007-04-12 2012-07-25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反応性プラズマ中におけるラジカル及びダスト濃度測定方法
US8207472B2 (en) * 2008-06-18 2012-06-26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Debris capture and removal for laser micromachining
US20100207038A1 (en) 2009-02-13 2010-08-19 Loughborough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laser irradiation
US20110089320A1 (en) * 2009-10-19 2011-04-21 Wiederin Daniel R Direct injection nebulizer
JP5265811B2 (ja) * 2010-06-03 2013-08-14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スパッタ成膜装置
JP5482599B2 (ja) * 2010-09-17 2014-05-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レーザーアブレーション質量分析装置
JP2013024806A (ja) * 2011-07-25 2013-02-04 Toyota Motor Corp レーザーアブレーション質量分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687A (ko) * 2019-08-19 2021-03-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에어로졸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13254A (ja) 2016-05-12
TWI668422B (zh) 2019-08-11
JP2021039107A (ja) 2021-03-11
JP2019082483A (ja) 2019-05-30
TWI614488B (zh) 2018-02-11
TW201447261A (zh) 2014-12-16
TWI667462B (zh) 2019-08-01
CN105074419A (zh) 2015-11-18
EP2956756A1 (en) 2015-12-23
JP6463279B2 (ja) 2019-01-30
TW201447259A (zh) 2014-12-16
CN105074419B (zh) 2019-02-01
EP2956756A4 (en) 2016-10-12
JP6776323B2 (ja) 2020-10-28
TW201827806A (zh) 2018-08-01
TW201840962A (zh) 2018-11-16
WO2014127034A1 (en)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5255B2 (en) Laser ablation cell and injector system for a compositional analysis system
AU2014228108B2 (en) Laser sampling methods for reducing thermal effects
JP6776323B2 (ja) 組成分析システムのためのレーザアブレーションセル及びトーチシステム
US11630050B2 (en) Sample analysis for mass cytometry
AU2018204780B2 (en) In-chamber fluid handling system and methods handling fluids using the same
US11353379B2 (en) Motorized tracking of sample cell within specimen chamb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GB25123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sample introduction
GB25123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sample introduction
JP2023507585A (ja) イメージングマスサイトメトリー用プラズマおよびサンプリングジオメト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