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937A - 각도 높이 조절부를 갖는 벨트 스트리퍼 및 벨트 스트리퍼를 조절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각도 높이 조절부를 갖는 벨트 스트리퍼 및 벨트 스트리퍼를 조절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937A
KR20150114937A KR1020157009752A KR20157009752A KR20150114937A KR 20150114937 A KR20150114937 A KR 20150114937A KR 1020157009752 A KR1020157009752 A KR 1020157009752A KR 20157009752 A KR20157009752 A KR 20157009752A KR 20150114937 A KR20150114937 A KR 20150114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odule
stripping
stripper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오토 슈바르체
Original Assignee
한스-오토 슈바르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오토 슈바르체 filed Critical 한스-오토 슈바르체
Publication of KR20150114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6Rigid blades, e.g. scrapers; Flexible blades, e.g. wipers
    • B08B1/165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6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with scraper biasing means
    • B08B1/005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Belt Conveyo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복귀 영역을 위한 스트리핑 장치용 벨트 스트리퍼 모듈에 있어서, 모듈은 높이 조절 가능 시스템 캐리어 상에서 복수 개 중 하나로서 장착되며, 시스템 캐리어(21)에 고정되는 베이스(1); 스트리핑 블레이드(4)가 부착되는 블레이드 캐리어(3)로서, 스트리핑 에지(5)가 스트리핑 블레이드에 형성되고 스트리핑 블레이드(4)가 진행 방향으로 벨트에 관하여 둔각을 형성하는 블레이드 캐리어(3); 두 개의 관절을 갖는 관절 하우징을 갖는 스트리핑 몸체(2)로서, 제1 관절(7)의 회전축(11)이 벨트의 진행 방향에 횡단하여 진행하며 토션 스프링(16)을 갖는 제1 관절(7)이 베이스(1) 및 스트리핑 몸체(2)를 연결하며 토션 스프링(16)이 스트리핑 블레이드를 벨트에 가압하는 스트리핑 몸체(2); 블레이드 캐리어(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시(6)와 벨트의 진행 방향을 따라 진행하는 회전축(12)을 갖는 제2 관절로서, 제2 관절은 스트리핑 에지(5)가 벨트에 대하여 항상 평탄하게 놓여지는 방식으로 블레이드 캐리어(3)를 진행하는 벨트에 정렬시키는, 제2 관절; 및 베이스(1)에서의 벨트 스트리퍼 모듈용 높이 조절 기구(8)로서, 제1 관절(7)이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9) 및 편향을 위한 고정 정지부(10)를 구비하는 높이 조절 기구(8)를 가지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도 높이 조절부를 갖는 벨트 스트리퍼 및 벨트 스트리퍼를 조절하는 방법{BELT STRIPPER WITH ANGLE HEIGHT ADJUSTMENT AND METHOD FOR ADJUSTING SAID BELT STRIPPERS}
본 발명은 이송 벨트의 복귀 영역용 모듈로 구성되는 벨트 스트리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벨트 스트리퍼 시스템은 벨트의 진행 방향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거나 고정되거나 탄력적으로 장착된 시스템 캐리어와, 캐리어에 나란히 유지되는 다수의 스트리핑 모듈을 포함한다. 스트리핑 모듈은 각각 박리 작용으로 벨트와 부딪치는 스트리핑 박판을 운반하며 벨트 상으로 탄력적으로 밀린다. 대응하는 벨트 스트리퍼 시스템은 본원에서 예로서 언급된 입증된(tried-and-tested) 종래 기술인 EP 254 977 B1을 형성한다.
알려진 벨트 스트리퍼 시스템이 널리 상이한 조건 하에서 매우 다양한 이송 가능한 물품에 사용된다. 벨트 스트리퍼 시스템은 특성이 급격히 변화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비가 오는 야외, 혹은 작업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의 원료의 회수 등에 있어서, 항상 신뢰할 수 있게 작동하면서도 긴 사용 수명을 달성해야만 한다. 생산 정지는 보통 높은 후속 비용을 초래하므로, 정지 기간은 가능한 짧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은 모듈식 구조에 의해 충족된다. EP 254 977 B1 및 DE-A 36 20 960에 예로서 기재된 종래의 모듈은:
시스템 캐리어 중 하나에 체결되는 베이스와,
스트리핑 박판이 끼워지는 커팅 에지 캐리어와,
스트리핑 박판에 끼워지는 스트리핑 에지와,
커팅 에지 캐리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싱 및, 베이스 및 스트리핑 몸체를 연결하는 토션 스프링을 갖는 관절을 갖는 스트리핑 몸체를 갖는다.
또한, 긴 사용 수명이 마멸에 의해 매우 느리게 내마모성 카바이드 커팅 에지를 갖는 스트리핑 박판에 의해 달성되며, 매우 날카로운 커팅 에지가 그 결과이다. 이러한 매우 날카로운 카바이드 커팅 에지는 작동 중단 및 유지 보수 업무의 구현에 상당한 문제를 일으킨다.
벨트 이송 설치부가 꺼지면, 이송 벨트가 자주 약간 뒤로 진행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작동 중 탄성적으로 팽창되고 설치부가 정지 상태에 있을 때 다시 수축되는 이송 벨트에 의해 발생한다. 설치부에 따라, 결과적인 불가피한 복귀 주행이 수 미터에 이른다. 여기에서, 카바이드 에지가 벨트 내로 인입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날카로운 카바이드 에지로 인하여 벨트를 손상시킨다. 유지 보수를 위해, 캐리어가 설치되고 제거되는 도중 카바이드 에지가 절단하는 상황이 마찬가지로 방지되어야 하며, 이는 조절을 어렵게 만든다.
작동 중의 벨트 결함 또는 부착의 경우, 벨트 스트리퍼는, 제1 예에서, 벨트로부터 떨어져 튀어 오르고, 그런 다음, 벨트 스트리퍼가 벨트 상으로 복귀(spring back)하며, 이러한 스프링 백 작동은 매우 정밀하게 수행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벨트 스트리퍼 및 스트리핑 박판은, 마모 기간 전체에서 벨트 스트리퍼 시스템에서 초기에 수행된 조절이 현실적인 측면에서 변경되지 않은 상태로 남고, 모든 생각해 볼 수 있는 작동 및 로딩 상황에 관하여 정밀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 기술적인 문제점이다.
늦어도 카바이드 커팅 에지가 일단 완전히 마모되면, 모듈은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지 보수 기한이 초과되면, 궁극적으로 커팅 에지 캐리어의 아암만이 벨트와 부딪칠 때까지 커팅 에지 캐리어의 마모가 급격히 진행한다. 표면적 압력의 현저한 증가 또는 날카로운 에지의 형성을 기반으로, 이는 벨트의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벨트 컨베이어 내부 및 아래에 스트리퍼를 설치하기 위해, 안전 규정은 특수한 보호 조치 없이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금지한다. 따라서, 스트리퍼가 외부로부터 설치될 수 있어야 하고, 고르지 않은 벨트 상에서의 모듈의 필요한 정밀도 조절이 벨트 골조 외측에서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신속하고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는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의도는, 극도로 간단한 모듈식 구조이면서, 최선의 가능한 청소 성능을 유발하며, 설치하기 매우 간단한, 즉, 임의의 전문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스트리퍼를 생성하는 것이며, 스트리퍼의 설치 작동이 골조 구조의 외부로부터만 수행되어야 하며, 모듈의 교체 작동은 마찬가지로, 스트리핑 에지가 마모될 때, 골조 구조의 외부로부터만 수행된다. 스트리퍼는, 임의의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카바이드 에지가 완전히 마모될 때까지 작동하여야 한다. 벨트의 복귀 주행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 자주 발생함에 따라, 스트리퍼 또는 벨트가 손상되지 않고 가능하여야 한다. 스트리퍼는, 높이 조절에 의해 모듈을 요철과 맞추기 위해, 벨트 요철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가져야 한다. 스트리퍼는 장치의 기능을 악화시키는 재료 부착(material deposit)으로부터 대체로 자유롭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높이 조절 가능 시스템 캐리어 상에서 다수의 모듈 중 하나로서 장착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에 의해 상기 목표를 달성하며, 벨트 스트리퍼 모듈은,
시스템 캐리어에 체결되는 베이스와,
스트리핑 박판이 끼워지는 커팅 에지 캐리어로서, 스트리핑 에지는 스트리핑 박판에 끼워지고, 스트리핑 박판은 진행 방향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벨트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는, 커팅 에지 캐리어와,
두 개의 관절을 갖는 관절 하우징을 갖는 스트리핑 몸체로서, 이 경우, 제1 관절의 회전축은 베이스 및 스트리핑 몸체를 연결하는 토션 스프링으로 벨트의 진행 방향을 횡단하여 진행하며, 여기에서 토션 스프링은 스트리핑 박판을 벨트로 미는, 스트리핑 몸체와,
부싱을 갖는 제2 관절로서, 커팅 에지 캐리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관절의 회전축이 벨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며, 스트리핑 에지가 벨트와 항상 평탄하게 부딪치도록 제2 관절이 커팅 에지 캐리어를 진행하는 벨트 상에 배향시키는, 제2 관절과,
베이스 상의 벨트 스트리퍼 모듈용 높이 조절 수단으로서, 제1 관절은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 및 편향을 위한 고정 정지부를 구비하는, 높이 조절 수단을 갖는다.
고정 정지부는, 시스템 캐리어 상의 설치에 후속하여,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스트리핑 에지 모두가 제1 예에서 직선형 평면 내에 배치되는 상황을 달성한다. 유지 보수 기한이 초과하거나 스트리핑 에지가 조기에 마모되거나 완전히 마모되더라도 벨트 스트리퍼 모듈이 고정 정지부에 도달하여 벨트를 향하여 더 이상 밀리지 않을 때까지만 조정되기 때문에, 고정 정지부의 도입은 벨트가 보호되는 수준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서, 고정 정지부를 갖는 제1 관절은, 관절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 돌출부를 때리는, 정지 디스크에 체결되는 정사각형 소켓을 갖는 고무 토션 스프링을 갖도록 구성된다.
스트리퍼가 고르지 않은 벨트에 대해 응력 인가 하에서 위치되면, 상이한 정도의 예응력 인가(prestressing)가 개별 모듈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서, 이러한 예응력 인가의 차이가 각각의 모듈에 통합된 측정 및 감지 기구에 의해 검출되며, 그런 다음, 예응력 인가의 차이가 모듈 높이 조절 수단에 의해 보상되도록 구성된다.
측정 및 감지 기구는 작업이 슈트 내부 또는 이송 벨트 아래에서 수행될 필요 없이 스트리퍼 예응력 인가의 최적 조절을 허용한다. 그러므로, 흔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고 경비 (비계) 장비를 구비할 필요 없이 유효한 안전 규정이 현장에서 준수될 수 있으며, 이것이 본 발명의 장점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서, 측정 및 감지 기구가 제1 관절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제1 관절에 동심으로 위치되는 링과 결합된 일체형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의 형태로 구성된다. 벨트 스트리퍼가 복귀하면, 링은 복귀하는 대신 함께 운반되어, 그 지점까지 도달된 가장 큰 요동 진폭의 위치에 남게 된다. 이는 또한 시작 상태와 관련하여 달성될 수 있는 회전을 볼 수 있거나 읽을 수 있는 지시 기구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토션 스프링의 예응력 인가를 읽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서, 측정 및 감지 기구는, 일체형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 및 스케일 상의 토션 스프링의 예응력 인가를 표시하는 화살촉을 갖는 회전 가능한 플라스틱 링의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서, 회전 가능한 플라스틱 링은 플라스틱 링이 약간 작게 안착되는 발포 디스크 또는 고무 링에 대하여 회전되며, 이에 따라, 모듈이 응력 인가로부터 다시 해제된 경우에도, 플라스틱 링이 발포 디스크 또는 고무 링 및 플라스틱 링 사이의 마찰에 의해 그 편향된 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서, 전자식 회전각 측정 장치가 구속 수단이 끼워지는 모듈의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장치는 예를 들면, 피복 캡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이는 회전각 위치가 결정되고, 디지털화되고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며, 영 위치 및 끝단 위치가 알려져 있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전자식 회전각 측정 장치는 신호로 변환된 회전각 상태를 모듈의 외측에 위치된 수신기로 전달하는 송신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성에서, 시스템 캐리어는 모듈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끼워지고 평가 유닛에서 신호를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가장 마모되었으며 남은 작동 기간 동안 가장 덜 유리한 모듈을 결정하고, 무제한 연속 작동을 위한 제1 값과, 요구되는 유지 보수를 위한 제2 값과, 끝단 정지부가 도달되고 수행되는 임의의 스트리핑이 더 이상 없는 경우를 위한 제3 값인, 세 개의 값을 내도록 작동된다.
평가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지시 장치에 연결된다. 지시 장치는, 예를 들면, 제1 값에 대해 시스템 캐리어 끝단에서 녹색 지시기가 발광하고, 제2 값에 대하여 호박색 지시기가 발광하고, 제3 값의 경우 빨간색 지시기가 발광하며, 이에 따라, 마모 상태가 일 세트의 교통 신호등의 방식으로 멀리에서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지시 방법도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숫자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구성은 결정된 데이터 또는 값을 더 멀리 떨어진 공급 스테이션 또는 측정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평가 유닛을 제공한다. 물론, 지시 방법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이 시스템 캐리어에 설치되면, 조절 작동이 아래의 단계로 수행된다.
1. 제1 모듈이 벨트에 접촉될 때까지 스트리퍼가 시스템 캐리어의 변위에 의해 벨트를 향하여 이동된다. 각도 측정 장치의 슬레이브 포인터 모두는 이제 고정 정지부까지 되돌아간다.
2. 이 위치로부터, 스트리퍼는 시스템 캐리어의 스핀들 변위에 의해 벨트에 대해 미리 설정된 양만큼 예응력을 인가 받는다. 상기 캐리어 변위 수단의 스핀들의 높이 위치가 표시된다.
3. 모듈을 갖는 시스템 캐리어가 벨트로부터 다시 되돌아가 제거된다.
4. 슬레이브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것이 이제 모듈 모두가 최적의 예응력 인가 수준을 가지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5. 모듈의 예응력 인가가 규정된 요건에 대응하지 않으면, 모듈은 모듈의 베이스부의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하여 조정된다.
6. 모듈의 높이 조절에 후속하여, 슬레이브 포인터가 다시 영에 맞추어지고 스트리퍼는 2단계로부터의 위치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다시 벨트에 대하여 예응력을 인가 받는다.
필요하다면, 3 내지 6단계가 다시 반복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모듈의 커팅 에지 캐리어의 각도 위치 조절은 생산에 후속하여 균일하며, 고무 요소의 치수 및 재료 공차 또는 고무 스프링의 정사각형 구조의 치수에 의해 정의되지 않는다.
시스템 캐리어 상에서의 설치에 후속하여, 모듈의 스트리핑 에지 모두가 하나의 평면 내에 배치된다. 이는 벨트 상에서의 조절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모듈의 균일한 조절을 허용한다. 모듈 모두에서 스프링 응력 인가 각도가 측정되고 조정될 수 있다.
벨트에 대한 스핀들 조절 중, 초기 벨트 접촉에 따라, 모듈이 이미 어느 각도로 더 후방으로 경사진다. 이는 스트리퍼가 추가적인 응력 인가의 영향을 받을 때 모듈 재밍(jamming)의 위험을 줄인다. 따라서, 이는 스핀들 조절 중 모듈을 수동으로 되돌리는 작동을 방지한다.
마모의 최대량이 고정 정지부에 의해 제한된다. 이는, 적당한 시간에 스트리퍼 유지 보수가 수행되지 않는다면 모듈이 과도한 마모를 받아 벨트가 손상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한다.
벨트의 복귀 이동에 따라, 스트리퍼는 벨트 내로 절개되지 못하거나 그 내부에 끼이지 못한다.
이하, 본 발명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도 1은 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모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관절이 개방된 모듈의 사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높이 조절 및 회전 가능한 플라스틱 링을 갖는 모듈을 도시한다.
도 5는 벨트 상의 시스템 캐리어 상의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높이 조절을 도시한다.
도 6은 측정을 위해 필요한 플라스틱 링을 갖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은 베이스(1)와, 스트리핑 몸체(2)와, 스트리핑 박판(4)이 끼워지는 커팅 에지 캐리어(3)를 갖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하며, 스트리핑 에지(5)는 스트리핑 박판의 선단에 체결된다. 또한, 스트리핑 몸체(2)는 커팅 에지 캐리어(3)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싱(6)을 포함한다. 부싱(6)은, 토션 스프링 관절의 형태로 구성되는 제1 관절(7)에 고정되어, 그 자체가 제2 관절을 형성한다. 제2 관절을 형성하는 부싱(6) 및 제1 관절의 하우징이 스트리핑 몸체(2)를 형성한다. 제1 관절은, 높이 조절 수단(8)을 갖는 베이스(1)에 연결된다. 제1 관절은,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9)과, 모듈이 예응력(prestressing)을 인가 받을 때 회전 가능한 플라스틱 링(17)을 따라 이동하는 드라이버 형태의 고정 정지부(10)를 갖는다. 제1 관절은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 2는, 제2 관절의 회전축(12)도 도시되는, 도 1의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사면도를 도시하며, 도 2에 대향하게 위치되는 제1 관절(7)의 측면이 개방 상태로 도시된다. 여기에서, 제1 관절의 하우징에 고정되는 정지 돌출부(stop nose)(13)를 볼 수 있다. 접합부가, 정사각형 소켓(15)에 연결되는 정지 디스크(14)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정사각형 소켓(15)은 고정되어 스트리핑 몸체(2)와 함께 회전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DE-A 36 20 960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알려진 종래 기술에 따라 구성된 고무 토션 스프링(16)이 제1 관절에 나타나게 보일 수 있다. 스트리핑 박판(4)이 마모됨에 따라, 커팅 에지 캐리어(3)가 벨트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여 고정 정지부가 없는 경우 그 끝단에서 벨트를 손상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 정지부가 정지 돌출부(13) 및 정지 디스크(14)로부터 형성된다.
도 4는, 타측으로부터의 도 3의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사면도를 도시한다. 여기에서,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9) 및 고정 정지부(10)를 볼 수 있다. 화살촉(18)을 갖는 플라스틱 링(17)은 설치 중 응력 인가로부터 해제된 후 스케일(19) 상의 토션 스프링의 예응력 인가를 표시한다. 이러한 예응력 인가를, 스트리핑 작동 중 벨트 스트리퍼가 벨트에 가압되도록 하는 압력 작용력과 혼동하지 않아야 한다. 고무 토션 스프링(16)이 각도 변화로 인하여 어느 정도 휘어지고, 이에 대응하여 압력 작용력이 감소하도록,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 작용력이 변화한다. 예응력 인가력의 표시가 설치를 위해 사용된다. 작동 중, 벨트 상의 스트리핑 장애물로부터 휘어지는 스트리핑 몸체(2)의 작용이 고무 토션 스프링(16)의 편향을 일으킨다. 따라서, 화살촉(18)은, 예응력 인가의 현재 수준을 계속 표시하기 보다는, 최대 편향을 표시하며, 이에 따라, 주행 중 발생된 최대 압력 작용력을 표시한다. 고무 토션 스프링의 예응력 인가 이외에도, 상측으로 주행하는 캐리어 시스템의 결과로서 응력 인가도 후속하여 수행된다는 사실도 고려되어야 한다. 마모에 따라 고무 토션 스프링(16)이 휘어짐에 따라, 압력 작용력은 예응력 인가력 및 후속하는 응력 인가의 합에서 응력 인가의 강하를 뺀 것이 된다.
개별 벨트 스트리퍼 모듈을 운반하는 시스템 캐리어가 후속하는 설치부의 아래로부터 벨트 상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에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이, 벨트에 도달했을 때, 상측으로의 주행이 진행됨에 따라, 벨트의 주행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귀하며, 모듈이 벨트와 부딪치고(butting) 문지른다(rubbing). 예응력 인가는 정지 돌출부(13) 및 정지 디스크(14)의 선택에 의해 공장에서 설정되며, 이 경우, 정사각형 소켓의 위치에 관하여 개구의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정지 디스크(14)는, 한편으로는 일단 스트리핑 박판(4)이 마모되었을 때 벨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벨트의 방향으로의 스트리핑 몸체(2)의 편향을 제한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정지 디스크(14)의 구조가 예응력 인가의 수준을 설정하는, 두 가지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지 디스크(14) 및 정지 돌출부(13)에 의해, 고정 정지부가 구현되지만, 본 발명의 전반적인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정지부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 정지부를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9)의 고정 정지부(10)와 혼동하지 않아야 하며, 고정 정지부(10)는 제1 관절(7)의 대향측에 위치된다.
도 5는, 예로서, 벨트면의 높이 차가 어떻게 측정되는 지와, 그런 다음, 스트리핑 에지가 모두 동일한 미리 설정된 압력 수준으로 벨트와 부딪치는 상황을 달성하기 위해,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높이가 어떻게 조절되는 지를 도시한다. 도면의 상부는, 미리 예응력을 인가 받고 응력 인가에서 다시 해제된, 시스템 캐리어(21) 상의 다섯 개의 모듈을 갖는 스트리퍼를 도시한다. 확대경은 플라스틱 링의 화살촉이 예응력 인가 마킹을 지시하는 것을 도시한다. 화살촉이 제4 및 가장 긴 마킹을 지시하는 것은(이는 이러한 모듈이 완전히 예응력을 인가 받은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외측 모듈의 경우에만 해당한다. 중앙 모듈은 제2 마킹을 지시하는 화살촉을 가지며, 나머지 두 개의 모듈은 제3 마킹을 지시하는 화살촉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모듈은 완전히 예응력을 인가 받지 않으며, 각각 외측 모듈에 관하여 나타나는 차이만큼 높이가 다시 조절되어야 한다. 중앙 모듈의 화살표는 제2 마킹을 지시하며, 두 개의 (4-2=2) 눈금 마크만큼 상측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두 개의 다른 모듈의 경우, 포인터가 제3 눈금 마크에 위치되며, 각각 단지 하나의 (4-3=1) 눈금 마크만큼 상측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도면의 두 번째 부분에서, 높이가 조절된 모듈을 갖는 스트리퍼가 도시된다. 벨트가 스트리퍼의 작동 영역에서 오목하게 만곡되어 모듈이 이제 곡률에 맞추어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제 스트리퍼가 작동될 수 있고, 스핀들 조절이 갱신되는 경우 모듈 모두가 이제 동일한 제공된 예응력 인가의 수준을 갖는다. 필요하다면, 정확도가 반복되는 개략적인 절차에 의해 용이하게 감시될 수 있다.
도 6은 측정을 위해 필요한 플라스틱 링(17)이 어떻게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고정부에 끼워지는 지를 도시한다. 고무 링(23)에 약간 작게 가압되며, 이에 따라, 위에서 이미 대략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적당량의 힘이 가해지는 것만으로도 손으로 돌려질 수 있다.
이하,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작동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를 위해, 벨트 스트리퍼 모듈이 공장에서 내부 정지부에 대해 예응력을 인가 받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 위치로 전달된다. 또한, 벨트 스트리퍼 모듈이 공장에서 시스템 캐리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마찬가지로 사용 위치에서의 설치도 가능하다. 새로운 시스템 캐리어가 제 위치에 놓여지면, 두 작동으로 스핀들에서 상측으로 상승된다. 제1 작동 중, 시스템 캐리어는 모듈의 스트리핑 에지의 선단이 벨트와 바로 접촉될 때까지 상측으로 이동된다. 벨트가 고르지 않으면, 개별 벨트 스트리퍼 모듈이 개별적으로 배향될 수 있고 다시 조절될 수 있어,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와 바로 접촉되는 그 스트리핑 에지를 갖는다.
이후, 제2 작동에서, 스트리퍼가 설치 및 작동 지시에 주어진 양만큼, 예를 들면, 20mm만큼 스핀들 상에서 더 상측으로 상승된다. 그런 다음 변위 스핀들이 고정되고, 스트리퍼가 작동 준비 상태로 된다. 이제부터는, 스트리핑 에지가 완전히 마모될 때까지, 스트리퍼가 더 이상 조절되지 않아야 한다.
공장에서의 예응력 인가의 수준은, 제1 스핀들 조절 작동 중 발생되어 벨트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작용하는 압력 작용력에 충분히 크게 선택되며, 즉, 제2 스핀들 조절 작동을 뒤따르는 후속하는 응력 인가에 요구되는 추가적인 거리가 마모에 의해 전부 사용될 때에도, 벨트의 청소를 만족하기에 충분하게 선택된다. 작동 지시에 주어진 양만큼의, 예를 들면, 20mm만큼의 제2 스핀들 조절 작동이 이에 대응하여 토션 스프링의 응력 인가 및 이에 따라 벨트의 방향으로 수직으로 작용하는 압력 작용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스프링 응력 인가는 박판이 점진적으로 마모함에 따라 다시 서서히 소멸된다. 20mm가 전부 사용되면, 모듈이 내부 정지부에 다시 위치되고, 박판은 압력이 없는 상태로 벨트와 부딪친다.
벨트 스트리퍼 모듈은 벨트의 복귀 이동 중에도 만족스럽게 기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 스트리퍼의 필수적인 특징이다. 이는 축(11) 및 스트리핑 에지(5) 사이의 수평 거리와 축(11) 및 벨트 또는 스트리핑 에지(5) 사이의 수직 거리의 비율로 인한 것이다. 이 비율은 항상 벨트 및 스트리핑 에지의 재료 사이의 마찰 계수에 비하여 커야 한다. 이 비율은 스핀들에서의 상측으로 시스템 캐리어를 상승시키는 제2 작동 중에만 상승하므로, 최소 비율은 공장에서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용도에서, 이 비율은 적어도 0.7이다.
작동이 계속됨에 따라, 개별 벨트 스트리퍼 모듈이 상이한 시간에 그 마모 한계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베이스부의 20mm까지의 높이 조절에도 불구하고, 정지 돌출부(13) 및 정지 디스크(14)로부터 형성된 고정 정지부가 베이스의 높이 조절에 상관 없이 신뢰할 수 있게 위험을 방지하므로, 벨트에 위험이 없다.
1: 베이스
2: 스트리핑 몸체
3: 커팅 에지 캐리어
4: 스트리핑 박판
5: 스트리핑 에지
6: 부싱
7: 제1 관절
8: 높이 조절 수단
9: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
10: 고정 정지부
11: 제1 관절의 회전축
12: 제2 관절의 회전축
13: 정지 돌출부
14: 정지 디스크
15: 정사각형 소켓
16: 고무 토션 스프링
17: 플라스틱 링
18: 화살촉
19: 스케일
20: 조절 링
21: 시스템 캐리어
22: 씰
23: 고무 링

Claims (15)

  1. 이송 벨트의 복귀 영역을 위한 스트리핑 장치용으로 의도되고 높이 조절 가능 시스템 캐리어에서의 다수의 모듈 중 하나로서 장착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캐리어(21)에 체결되는 베이스(1)와,
    스트리핑 박판(4)이 끼워지는 커팅 에지 캐리어(3)로서, 스트리핑 에지(5)는 상기 스트리핑 박판(4)에 끼워지고, 상기 스트리핑 박판(4)은 진행 방향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벨트에 대해 둔각을 형성하는, 커팅 에지 캐리어(3)와,
    두 개의 관절을 갖는 관절 하우징을 갖는 스트리핑 몸체(2)로서, 이 경우, 제1 관절(7)의 회전축(11)은 상기 베이스(1) 및 스트리핑 몸체(2)를 연결하는 토션 스프링(16)으로 상기 벨트의 진행 방향을 횡단하여 진행하며, 여기에서 상기 토션 스프링(16)은 상기 스트리핑 박판(4)을 상기 벨트로 미는, 스트리핑 몸체(2)와,
    부싱(6)을 갖는 제2 관절로서, 상기 커팅 에지 캐리어(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2 관절의 회전축(12)이 상기 벨트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며, 상기 스트리핑 에지(5)가 상기 벨트와 항상 평탄하게 부딪치도록 상기 제2 관절이 상기 커팅 에지 캐리어(3)를 진행하는 벨트 상에 배향시키는, 제2 관절과,
    상기 베이스(1) 상의 상기 벨트 스트리퍼 모듈을 위한 높이 조절 수단(8)을 가지며,
    상기 제1 관절(7)은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9)과 편향을 위한 고정 정지부(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정지부(10)를 갖는 상기 제1 관절(7)은, 관절 하우징에 고정된 정지 돌출부(13)를 때리는, 정지 디스크(14)에 체결되는 정사각형 소켓(15)을 갖는 고무 토션 스프링(16)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예응력 인가력은 각각의 모듈에 통합된 측정 및 감지 기구에 의해 검출되며, 예응력 인가의 차이가 모듈 높이 조절 수단에 의해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감지 기구는, 상기 제1 관절의 회전축(1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관절(7)에 동심으로 위치되고, 상기 벨트 스트리퍼가 복귀할 때 함께 운반되고, 그 이후 다시 복귀하지 않으며, 그 지점까지 도달된 가장 큰 요동 진폭의 위치에 남게 되는 링(17)과 결합된 일체형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감지 기구는, 일체형 스프링 각도 측정 수단 및 스케일(19) 상의 토션 스프링의 예응력 인가를 표시하는 화살촉(18)을 갖는 회전 가능한 플라스틱 링(17)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가능한 플라스틱 링(17)은 플라스틱 링(17)이 약간 작게 안착되는 발포 디스크 또는 고무 링(23)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체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모듈이 응력 인가로부터 다시 해제된 경우에도, 상기 플라스틱 링(17)이 상기 발포 디스크 또는 고무 링(23) 및 플라스틱 링(17) 사이의 마찰에 의해 그 편향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자식 회전각 측정 장치가 구속 수단이 끼워지는 상기 모듈의 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회전각 측정 장치는 피복 캡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전자식 회전각 측정 장치는 신호로 변환된 회전각 상태를 상기 모듈의 외측에 위치된 수신기로 전달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캐리어는 상기 벨트 스트리퍼 모듈에 의해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에 끼워지고 평가 유닛에서 신호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은 지시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유닛은 결정된 데이터 또는 값을 더 제거된 공급 스테이션 또는 측정 스테이션에 전달하는 송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스트리퍼 모듈.
  13. 스핀들에 의해 높이 조절 가능하고 이송 벨트의 복귀 영역을 위한 스트리핑 장치용으로 의도된 시스템 캐리어 상의,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벨트 스트리퍼 모듈의 용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벨트 스트리퍼 모듈을 설치하고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아래의 작동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방법.
    (i) 상기 제1 모듈이 상기 벨트에 접촉될 때까지 상기 스트리퍼가 상기 시스템 캐리어의 스핀들 변위에 의해 상기 벨트를 향하여 이동된다. 상기 각도 측정 장치의 슬레이브 포인터 모두는 이제 상기 고정 정지부까지 되돌아간다.
    (ii) 이 위치로부터, 상기 스트리퍼는 상기 시스템 캐리어의 스핀들 변위에 의해 상기 벨트에 대하여 추가적인 거리만큼 예응력을 인가 받는다. 상기 캐리어 변위 수단의 스핀들의 높이 위치가 표시된다.
    (iii) 상기 모듈을 갖는 상기 시스템 캐리어가 상기 벨트로부터 다시 되돌아가 제거된다.
    (iv) 상기 슬레이브 포인터를 위치시키는 것이 이제 상기 모듈 모두가 최적의 예응력 인가 수준을 가지는지 여부를 보여주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v) 모듈의 예응력 인가가 규정된 요건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모듈은 상기 모듈의 베이스부의 높이 조절 수단을 통하여 조정된다.
    (vi) 상기 모듈의 높이 조절에 후속하여, 상기 슬레이브 포인터가 다시 영에 맞추어지고 스트리퍼는 (ii) 단계로부터의 위치에 다시 도달할 때까지 다시 상기 벨트에 대하여 예응력을 인가 받는다.
  15.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평가 유닛을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 마모되었으며 남은 작동 기간 동안 가장 덜 유리한 모듈을 결정하고, 무제한 연속 작동을 위한 제1 값과, 요구되는 유지 보수를 위한 제2 값과, 끝단 정지부가 도달되고 수행되는 임의의 스트리핑이 더 이상 없는 경우를 위한 제3 값인, 세 개의 값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7009752A 2013-01-07 2014-01-07 각도 높이 조절부를 갖는 벨트 스트리퍼 및 벨트 스트리퍼를 조절하는 방법 KR201501149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0039 2013-01-07
DE102013000039.4 2013-01-07
DE102013006821.5A DE102013006821B4 (de) 2013-01-07 2013-04-22 Gurtabstreifer mit Winkelhöhenverstellung
DE102013006821.5 2013-04-22
PCT/EP2014/000011 WO2014106621A2 (de) 2013-01-07 2014-01-07 Gurtabstreifer mit winkelhöhenv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937A true KR20150114937A (ko) 2015-10-13

Family

ID=5101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752A KR20150114937A (ko) 2013-01-07 2014-01-07 각도 높이 조절부를 갖는 벨트 스트리퍼 및 벨트 스트리퍼를 조절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9517493B2 (ko)
EP (1) EP2941394B1 (ko)
JP (1) JP6461811B2 (ko)
KR (1) KR20150114937A (ko)
CN (1) CN104768858B (ko)
AR (1) AR094377A1 (ko)
AU (1) AU2014204336B2 (ko)
BR (1) BR112015016092B1 (ko)
CA (1) CA2880910C (ko)
CL (1) CL2015001922A1 (ko)
DE (1) DE102013006821B4 (ko)
DK (1) DK2941394T3 (ko)
ES (1) ES2595086T3 (ko)
MY (1) MY170213A (ko)
PH (1) PH12015500332A1 (ko)
PL (1) PL2941394T3 (ko)
PT (1) PT2941394T (ko)
RU (1) RU2650259C2 (ko)
TW (1) TWI623473B (ko)
UA (1) UA114912C2 (ko)
WO (1) WO2014106621A2 (ko)
ZA (1) ZA2015025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6281A1 (de) 2014-05-02 2015-11-05 Hans-Otto Schwarze Gurtabstreifer mit Modulschrägstellung
WO2016128337A1 (de) * 2015-02-11 2016-08-18 Basf Se Verfahren zur trocknung von superabsorbern
JP6295980B2 (ja) * 2015-02-23 2018-03-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表面付着物除去方法
MX2018000046A (es) * 2015-06-29 2018-05-28 Laitram Llc Raspador autodesviante para una banda de cinta transportadora.
DE102016000387A1 (de) * 2015-12-21 2017-06-22 F.E. Schulte Strathaus GmbH & Co. KG Fördertechnik Dichtungssysteme Verfahren zum Regeln der Arbeitsweise einer Abstreifvorrichtung an einem Förderband
DE102016000619A1 (de) 2016-01-08 2017-07-13 Hans-Otto Schwarze Abstreifer für Gurtföderer
TW201825370A (zh) 2017-01-09 2018-07-16 漢斯 奧托 施瓦茨 帶輸送器之刮拭器及清潔快速運行之輸送帶之方法
CN109693924A (zh) * 2017-10-23 2019-04-30 本溪华锐矿机设备有限公司 一种带式输送机的清扫器
PE20201327A1 (es) 2017-12-22 2020-11-25 Flexible Steel Lacing Co Aparato y metodo para monitorear sistemas transportadores
DE102018123799A1 (de) 2018-09-26 2020-03-26 Hosch Fördertechnik Gmbh Gurtabstreif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Gurtabstreifers
JP7200595B2 (ja) * 2018-10-18 2023-01-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クリーニング装置、インクジェット画像記録装置およびベルトクリーニング装置のクリーニング条件変更方法
US11897700B2 (en) 2019-11-18 2024-02-13 Asgco Manufacturing, Inc. Secondary belt cleaner with modular, torsional tensioned arm and replaceable blade tips
US11345552B2 (en) * 2019-11-18 2022-05-31 Asgco Manufacturing, Inc. Secondary belt cleaner with modular, torsional tensioned arm and replaceable blade tips
DE102020112875B3 (de) * 2020-05-12 2021-07-01 Cornelia Kill-Frech Lösbare Anbringung von Abstreifermodulen
CN112316519B (zh) * 2020-11-06 2022-06-17 内蒙古霍煤鸿骏铝电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环保的利用自身势能防堵的污水处理用净化装置
CA3182650A1 (en) * 2020-11-27 2022-06-02 Martin Kiel Conveyor belt scraper system with simple maintenance
DE102020131558B3 (de) 2020-11-27 2021-11-04 Cornelia Kill-Frech Abstreifer mit einfach wechselbarem Abstreiferelement
DE102020131557A1 (de) 2020-11-27 2022-06-02 Cornelia Kill-Frech Fördergurt-Abstreifersystem mit einfacher Wartung
CN116424811B (zh) * 2023-02-24 2023-10-27 江苏伊凡诺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式输送机的皮带附着物清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11A (ja) * 1981-06-22 1983-01-07 Nariyasu Akasaka ベルトコンベアの清掃装置
DE3211626A1 (de) * 1982-03-30 1983-10-20 Hosch-Fördertechnik GmbH, 4350 Recklinghausen Abstreifvorrichtung fuer gurtbaender
DE3410046A1 (de) * 1984-03-19 1985-09-26 Jakobs, Hartmut, Dipl.-Kaufm., 4350 Recklinghausen Abstreifvorrichtung fuer foerderbaender
DE3626131C2 (de) 1986-08-01 1997-12-04 Schwarze Hans Otto Abstreifvorrichtung für den Rücklaufbereich von Förderbändern
DE3620960C2 (de) 1986-06-23 1995-08-17 Hoesch Foerdertech Halterung an einem Förderbandabstreifer für einen mit Abstreiferelementen versehenen Träger
DE59004696D1 (de) * 1990-04-04 1994-03-31 Schulmeistrat Vertriebsgesells Förderbandabstreifer mit segmentiertem Schaber.
WO1994008877A1 (de) 1992-10-13 1994-04-28 Schwarze Hanz Otto Abstreifelement zum anordnen an einem systemträger einer abstreifvorrichtung
BE1007319A3 (fr) * 1993-08-03 1995-05-16 Technic Gum Sa Dispositif de raclage du brin de retour d'une bande transporteuse.
DE9400258U1 (de) * 1994-01-12 1995-05-18 Schwarze Hans Otto Vorrichtung zum Abstreifen von Verunreinigungen von Gurtbändern im Bereich einer Antriebs- oder Umlenkrolle
DE19748070B4 (de) * 1997-10-31 2004-03-11 F.E. Schulte Strathaus GmbH & Co. KG Fördertechnik Dichtungssysteme Vorrichtung zur Aufbringung eines Drehmomentes auf eine Bandabstreiferelemente tragende Welle
US6948609B2 (en) * 2000-03-23 2005-09-27 Asgco Manufacturing, Inc. Light duty belt cleaning system
NZ527696A (en) * 2001-02-22 2005-02-25 John Hall Conveyor belt cleaning system
US6843363B2 (en) * 2002-08-14 2005-01-18 Hans-Otto Schwarze Stripping device for the return run area of conveyor belts
DE102004014084A1 (de) * 2003-03-20 2004-10-21 Hanse-Chemie Handelsgesellschaft mbH für Chemie und Kunststoffprodukt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r Fördergurtanordnung mit einem Gurtreiniger
US7669708B2 (en) * 2006-08-31 2010-03-02 Martin Engineering Company Bulk material handling system and control
DE102007042653A1 (de) * 2007-09-10 2009-03-12 HOSCH-FöRDERTECHNIK RECKLINGHAUSEN GMBH Vorrichtung zum Abstreifen von Verunreinigungen eines Gurtbandes von Förderbandanlagen
US8205741B2 (en) * 2010-08-06 2012-06-26 Martin Engineering Company Method of adjusting conveyor belt scrapers and open loop control system for conveyor belt scrapers
US8485344B1 (en) * 2012-01-18 2013-07-16 David Kalor Liland Torsional tensio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006821A1 (de) 2014-07-10
PL2941394T3 (pl) 2017-01-31
TW201437126A (zh) 2014-10-01
JP2016502965A (ja) 2016-02-01
ZA201502536B (en) 2016-11-30
MY170213A (en) 2019-07-09
EP2941394A2 (de) 2015-11-11
AR094377A1 (es) 2015-07-29
BR112015016092A2 (pt) 2017-07-11
WO2014106621A2 (de) 2014-07-10
US9517493B2 (en) 2016-12-13
AU2014204336B2 (en) 2017-04-06
CN104768858A (zh) 2015-07-08
RU2650259C2 (ru) 2018-04-11
TWI623473B (zh) 2018-05-11
PH12015500332B1 (en) 2015-04-20
AU2014204336A1 (en) 2015-02-12
BR112015016092B1 (pt) 2021-03-02
CA2880910C (en) 2020-12-08
EP2941394B1 (de) 2016-07-13
JP6461811B2 (ja) 2019-01-30
UA114912C2 (uk) 2017-08-28
CA2880910A1 (en) 2014-07-10
DK2941394T3 (en) 2016-10-24
CN104768858B (zh) 2017-09-15
US20160001329A1 (en) 2016-01-07
PT2941394T (pt) 2016-10-20
ES2595086T3 (es) 2016-12-27
DE102013006821B4 (de) 2016-05-04
PH12015500332A1 (en) 2015-04-20
WO2014106621A3 (de) 2014-08-28
CL2015001922A1 (es) 2015-09-11
RU2015101447A (ru)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4937A (ko) 각도 높이 조절부를 갖는 벨트 스트리퍼 및 벨트 스트리퍼를 조절하는 방법
EP1666388B1 (en) Conveyor belt cleaner scraper blade with sensor and control system therefor
CN105443320B (zh) 对准风力涡轮机的一部分的结构
CA2947690C (en) Belt stripper having module inclination
EP107736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irfoil coordinates
US7988316B2 (en) Stainless steel airport light cannister apparatus and method
GB2487724A (en) Anchor system with collar and tension indicating means
CN109850520A (zh) 一种漏斗防堵装置
CN201923693U (zh) 一种橡筋带断料感应装置
CN216404202U (zh) 一种玻璃光边承接装置及处理装置
CN216849692U (zh) 用于卷烟机胶缸到位检测开关的保护装置
CN216839248U (zh) 一种水利工程用防汛箱
CN212096645U (zh) 一种卷料周长自动计算的裁切机
CN217321917U (zh) 一种具有防跑偏功能的烟草生产用输送带
CN220751131U (zh) 一种楼板厚度检测仪
CN101081447A (zh) 电圆锯
CN107539716B (zh) 输送带矿料中非导磁类金属物跟踪装置
CN106099617A (zh) 一种上盖冲切装置及安装有该上盖冲切装置的插针机
AU2006203414A9 (en) Modular point detector for railroad track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