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661A -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661A
KR20150114661A KR1020140039069A KR20140039069A KR20150114661A KR 20150114661 A KR20150114661 A KR 20150114661A KR 1020140039069 A KR1020140039069 A KR 1020140039069A KR 20140039069 A KR20140039069 A KR 20140039069A KR 20150114661 A KR20150114661 A KR 20150114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poxy resin
deck
board
repa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861B1 (ko
Inventor
최길완
Original Assignee
최길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완 filed Critical 최길완
Priority to KR102014003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861B1/ko
Publication of KR20150114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3/00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 B29C73/02Repairing of articles made from plastics or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e.g. of articles shaped or produced by using techniques covered by this subclass or subclass B29D using liquid or paste-like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력과, 탄성 및 경도가 향상된 스포츠용 보드 데크의 보수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폭시 수지 100 부피부에 대하여, 경화제 30~100 부피부 및 목분 300~800 부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pairing Board Deck}
본 발명은 접착력과, 탄성 및 경도가 향상된 스포츠용 보드 데크의 보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드스포츠는 탈 수 있게 만든 각종 보드를 이용하는 스포츠로서, 물에서 즐기는 서프보드, 웨이크보드, 눈위에서 즐기는 스노보드, 스키, 도로나 산악지역에서 즐기는 스케이트보드, 마운틴보드, 롱보드, 크루져보드 등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는 스포츠로서 보드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보드의 구체적인 구조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다르다. 즉, 서프보드나 웨이크보드는 데크 자체로 이루어지며, 스케이트보드나 마운틴보드는 데크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고, 스노보드나 스키는 데크에 부츠가 바인딩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데크는 이들 모두의 공통적인 구성요소로 서로 다른 재질을 갖는 판재를 적층시켜 형성한다.
데크의 구성은 적용되는 보드스포츠의 종류는 물론 보드회사와 모델에 따라서도 그 재질과 형상이 다르다.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서는 턴 성능과 고속 성능을 중시하는 알파인(Alpine)과 화려한 기술과 퍼포먼스를 유연하게 구사할 수 있는 프리스타일(Free style)로 구분된다. 적층 구조에 따라서는 샌드위치(Sandwich)형, 캡(Cap)형, 림(Rim)형, 인젝션(Injection)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플라스틱 또는 나무 재질의 코어 양측면에 사이드 월(Side wall)이 형성되어 있고, 코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유리섬유(Fiber glass)가 접합되어 있으며, 코어의 하측 유리섬유의 하면에는 베이스가 접합되어 있고, 베이스의 양측단에는 에지(Edge)가 형성되어 있으며, 코어의 상측 유리섬유의 상면에는 탑 시트(Top sheet)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한다.
보드스포츠는 고속의 활강 및 점프, 턴 등 움직임의 범위가 크고 과격한 경우가 많아 보드 데크 역시 충돌에 의한 패임이나, 긁힘 등의 손상이 빈번하다. 데크에 손상이 있는 경우 미관 상 좋지 않다는 점 이외에도, 보수를 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손상이 가중되고, 특히 베이스나 에지에 손상이 있는 경우 급제동이나 컨트롤이 어렵고 사고의 위험이 있어 오랜기간 방치하지 말고 제때에 보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 800여개 이상의 렌탈 스키샵 등에서 총 15~20만대 이상의 보드 데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개인이 소장한 보드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파손된 데크의 수리를 위한 특화된 조성물은 없으며, 시장에 나오는 에폭시 수지로 임시로 보수하거나 방치 및 파기시킬 수 밖에 없다. 에폭지 수지는 자체로 색상을 나타내지 않으며, 안료의 첨가에 의해 착색이 용이하고 접착력이 우수하며, 내열성, 내화학성을 나타낸다는 장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열경화성 수지 특유의 성질인 높은 취성으로 인하여 매우 깨지기 쉬우며 균열 성장에 대한 낮은 저항성을 보여 낮은 충격강도를 나타낸다. 또한 내후성이 좋지않아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면 누렇게 탈색이 심하고 표면이 열화하여 분필가루 같은 것이 표면에 묻어나는 쵸킹(chalking)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야외활동에 주로 사용되고 충격이 빈번하게 가해지는 보드 데크의 보수에 사용하기에는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한다.
이에 렌탈샵에서는 신규 고객창출 및 단골고객을 위하여 매년 신상품의 데크 2~3만대를 구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개인 또한 새로운 데크를 구입할 수 밖에 없는데 보드 데크의 가격이 비싸고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부담이 될 수 밖에 없다. 이에 보다 충격이나 내진 등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야외 스포츠 활동에 사용되는 데크의 특성에 적합한 특화된 보수용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에폭시 수지의 단점을 보완하여 접착력이 더욱 우수하면서도, 취성을 보완하여 탄성과 경도가 높아 쉽게 깨지지 않으며 내후성이 우수한 스포츠용 보드 데크의 보수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 100 부피부에 대하여, 경화제 30~100 부피부 및 목분 300~800 부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에 의하면 종래의 에폭시 수지에 비해 접착력이 더욱 강력하면서도 탄성과 경도가 높아 쉽게 깨지지 않으며 내후성이 우수하여 보드 데크를 더욱 견고하게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하는 색의 안료를 혼합하여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보드 데크의 보수 및 리폼 시 더욱 광범위하게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보수과정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100 부피부에 대하여, 경화제 30~100 부피부 및 목분 300~800 부피부를 포함한다.
에폭시 수지는 하나의 분자속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진 화합물로 그 세부 구조에 따라 비스페놀 A계, 노볼락(Novolac)계, 지환식계, 지방족계, 이절환형,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취소화 에폭시 수지 등으로 나뉘어진다. 이중 비스페놀 A계 에폭시 수지는 대표적인 범용 에폭시 수지로 본 발명에서 가장 손쉽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에폭시 수지의 사용이 제외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에폭시 수지들은 단독 또는 혼합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통상의 경질 에폭시 수지와 상용화된 연질 에폭시 수지를 40~70:60~30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였다. 통상 비스페놀 A계를 포함하여 별도로 표기되어 있지 않은 에폭시 수지는 경질 에폭시 수지이며, 본 명세서에서도 경질 에폭시 수지를 간단히 에폭시 수지라 칭한다. 연질 에폭시 수지가 혼합되는 경우 강한 접착력과 단단함은 유지되면서 충격 및 진동, 휘어짐, 내진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증가하였고 높은 탄성으로 인한 원상회복력도 우수하였다. 물론, 상용화된 연질 에폭시 수지 대신 통상의 에폭시 수지와 연질 에폭시 수지에 포함되는 연질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무방함은 당연하다. 그러나 연질 에폭시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날카로운 것들과 마찰 시 쉽게 패이거나 깍여나갈 뿐 아니라 접착력이 약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폭시 수지로 제일산업의 만능접착제 J-4020, KEIN의 에폭시 접착제, 3M의 다용도 에폭시 접착제, AK의 EP-04, Epons사의 연질 에폭시-F, Alpha-Plus DS-1010, United Adhesives Inc.의 EP1386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테스트 하였으나, 제품간 성질의 큰 차이는 없었다.
조성물 중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접착력이 떨어져 보수용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았으며,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에는 경화밀도가 높아 탄성이 낮아지고 쉽게 깨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았다.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의 개환 반응에 촉매로 작용하는 제3아민이나 이미다졸류와 경화 후 수지의 분자 골격성분이 되는 폴리아민계 또는 산무수물계 경화제로 나눌 수 있다.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 알려져 있는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지만 상온 경화가 가능한 폴리아민계 경화제가 가장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액제로 판매되는 에폭시 접착제의 경우에는 제1액으로 에폭시 수지가 제2액으로 경화제가 함께 구성되어 판매되며, 그 혼합 비율 또한 별도로 계산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경화제의 종류나 사용량은 상용화된 에폭시 접착제의 사용설명서에 기재된 사용량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에폭시 수지의 경화가 너무 느리게 일어나거나, 경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며, 경화제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경화 후 남아있는 경화제가 물성에 영향을 미쳐 보수가 완료된 후의 강도나 탄성 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당업자라면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 중 에폭시 당량과 경화제의 종류에 따라 보다 바람직한 범위의 경화제 사용량을 산출하는 것은 용이할 것이다.
목분은 본 조성물에서 탄성과 강도 및 취성을 조절하는 가장 주요한 성분이다. 목분대신 지분(종이)을 사용한 경우에는 강도가 너무 낮고, 물과 눈속에서 조성물의 형질이 변할정도로 취약하기에 보드 데크의 보수용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았으며, 유리가루나 석면을 사용한 경우에는 그 자체가 유해할 뿐 아니라 탄성이 크게 저하되어 보수된 부분이 쉽게 깨져 내구성이 낮았다. 목분의 함유량이 300 부피부 이하인 경우에는 탄성이 낮아 목분 함유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았으며, 목분 함유량이 800 부피부를 넘는 경우에는 탄성은 우수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이 낮아 접착강도가 낮았다. 목분은 미세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였는데, 입경이 10~500㎛인 경우 탄성과 강도에서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목재의 종류는 미송과 같은 소프트우드나 자작나무와 같은 하드우드 모두 사용이 가능하였으며, 그 효능에도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안료 10~30 부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데크 자체에 무늬가 있는 경우에는 안료를 혼합하여 손상 전 데크와 유사한 색상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수된 데크의 미적 요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보드용 데크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성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안료는 노천 활동에 의해 색상이 쉽게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와 혼합에 의해 조성물을 경화시키므로 사용 직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2액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화제와 혼합하면 경화가 시작되어 24~48시간이내에 경화가 완료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파손된 스노우보드 데크를 보수하였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상단 및 하단의 파손된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먼저 테두리 부분의 미세파손을 보수하기 위하여 파손부분 및 엣지를 제외한 데크 전체의 테두리 3mm~5mm 정도를 커팅한 이후 제일산업의 만능접착제 J-4020의 주제 50: 경화제 50과 Epons사의 연질 에폭시-F의 주제 50: 경화제 25, 흰색의 유성페인트 20 및 미송목분 500의 부피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사전작업된 부위에 도포하였다. 도 1의 (c)는 하단 부분의 작업 상태는 조성물에 의한 데크의 원상 회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후, 48시간 방치한 후 사포로 마무리하였다. 도 1의 (d)는 보수가 완료된 데크의 사진으로 상단과 하단에 보수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순 파손부분에만 조성물을 삽입하는 것보다 파손부위와 더불어 엣지를 제외한 데크 전체의 테두리를 컷팅한 후 조성물을 삽입하여 보수하는 경우 테두리에 보수용 조성물로 인한 경계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보수부위의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증가한다. 안료는 다양한 색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보수된 부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데크의 색상과 상이한 흰색 안료를 사용하였다. 본 조성물을 사용하여 보수한 결과 기존의 에폭시 수지만을 사용한 것보다 충격이나 마찰에 의한 깨짐이나 부스러짐이 거의 없었으며 접착력도 강력하였다.

Claims (7)

  1. 에폭시 수지 100 부피부에 대하여, 경화제 30~100 부피부 및 목분 300~800 부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계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경질 에폭시 수지와 연질 에폭시 수지가 40~70:60~30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의 입경은 10~5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료 10~30 부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사용 직전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을 이용한 스포츠용 보드 데크의 보수방법으로서,
    A) 파손부위 및 엣지를 제외한 데크의 데투리 전체를 3~5mm의 넓이로 컷팅하는 단계;
    B) 컷팅된 부위에 제 1 항 내지 제 4 항의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을 삽입하여 보드의 원상을 회복시키고 경화하는 단계; 및
    C) 조성물이 경화되어 보수된 부위를 사포로 마무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용 보드 데크의 보수방법.

KR1020140039069A 2014-04-02 2014-04-02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KR101672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069A KR101672861B1 (ko) 2014-04-02 2014-04-02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069A KR101672861B1 (ko) 2014-04-02 2014-04-02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661A true KR20150114661A (ko) 2015-10-13
KR101672861B1 KR101672861B1 (ko) 2016-11-04

Family

ID=5434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069A KR101672861B1 (ko) 2014-04-02 2014-04-02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8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048A (ja) * 2003-02-28 2004-09-24 Alpha Kogyo Kk 浸透型接着剤および鋼構造物の補修方法
KR100476325B1 (ko) * 2004-04-12 2005-03-16 동화특수산업주식회사 목재 복원용 인공목재 조성물
JP2005239955A (ja) * 2004-02-27 2005-09-08 J-Chemical:Kk 耐熱性の良い補修剤及び該補修剤の塗装方法及び該補修剤を塗布した塗布物
JP2007246601A (ja) * 2006-03-14 2007-09-27 Toshiba Corp ニ液型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3048A (ja) * 2003-02-28 2004-09-24 Alpha Kogyo Kk 浸透型接着剤および鋼構造物の補修方法
JP2005239955A (ja) * 2004-02-27 2005-09-08 J-Chemical:Kk 耐熱性の良い補修剤及び該補修剤の塗装方法及び該補修剤を塗布した塗布物
KR100476325B1 (ko) * 2004-04-12 2005-03-16 동화특수산업주식회사 목재 복원용 인공목재 조성물
JP2007246601A (ja) * 2006-03-14 2007-09-27 Toshiba Corp ニ液型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エポキシ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861B1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363B2 (en) Composite sports board such as a skateboard deck
US3567237A (en) Ski covering
US5649717A (en) Snowboard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CN100480009C (zh) 高密度板的印刷地板制作方法
CN102717517A (zh) 一种玻璃钢的制作工艺
CN104924370B (zh) 一种环保型免漆多层实木复合板
US20050136234A1 (en) Plank for interior use
CN107953276A (zh) 一种多层植砂的涂附磨具的制造方法
JP5570762B2 (ja) 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DE2056275C2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ls dekoratives Oberflächenteil für Ski zu verwendenden Verbundfolie
US8104784B2 (en) Horizontal laminated ski construction
KR101672861B1 (ko) 스포츠용 보드 데크 보수용 조성물
JPH04267973A (ja) ボートデッキ被覆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862539B (zh) 一种木材修补剂
KR100496467B1 (ko) 내오염성이 우수한 표면강화 합판마루 바닥재
CN102864911A (zh) 一种无溶剂环氧彩色艺术地坪及其制备方法
CN102144068A (zh) 锁扣胶合板地板
JP2009178877A (ja) 化粧板
WO2017158576A1 (pt) Plataforma antiderrapante de prancha de desportos
CN102107451A (zh) 一种装饰单板覆面钢琴外壳
JP4996534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CN204976890U (zh) 一种车厢板用的竹合板
GB2346331A (en) Court surface
CN106349955A (zh) 一种快速光固化水晶胶
CN219229402U (zh) 一种彩色数码喷印和涂漆复合装饰的薄木贴面橡胶木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