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56A -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56A
KR20150113656A KR1020140037960A KR20140037960A KR20150113656A KR 20150113656 A KR20150113656 A KR 20150113656A KR 1020140037960 A KR1020140037960 A KR 1020140037960A KR 20140037960 A KR20140037960 A KR 20140037960A KR 20150113656 A KR20150113656 A KR 2015011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penings
side surfaces
battery tray
bottom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880B1 (ko
Inventor
옥성근
이재옥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880B1/ko
Priority to US14/669,556 priority patent/US9853257B2/en
Publication of KR2015011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 시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를 위하여, 배터리들이 삽입될 복수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및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은 일체(一體)인,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Battery tray and loading mea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운송 시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형 2차 전지, 즉 원형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특히 최근 각종 모바일제품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는바, 이러한 모바일제품의 사용 또는 모바일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원형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형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이송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원형 배터리의 효율적 이송과 관련하여 개발된 기술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송 시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배터리들이 삽입될 복수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및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은 일체(一體)인, 배터리 트레이가 제공된다.
상기 상판의 복수개의 개구들은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만나는 지점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이루는 각은 둔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들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브들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브들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은 상기 상판과 일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은 상기 상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따르면, 배터리들이 삽입될 복수개의 개구들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갖는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은 일체(一體)인 배터리 트레이와, 외곽저면과 상기 외곽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외곽저면이 위치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들을 갖는 외곽측면들을 가져 상기 배터리 트레이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외곽박스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은 상기 상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이 위치하는 평면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이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제1거리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들과 상기 외곽저면 사이의 제2거리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의 복수개의 개구들은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 의해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좁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만나는 지점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이루는 각은 둔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들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브들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리브들의 개수는 3개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목부들을 갖는 상부트레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송 시의 불량 발생률을 줄일 수 있는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트레이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원형 배터리를 도 3의 배터리 트레이에 삽입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에 원형 배터리를 삽입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에 원형 배터리를 삽입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적재용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적재용기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각종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된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배터리 트레이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는 상판(10), 복수개의 저면(20)들 및 복수개의 측면(30)들을 포함한다. 상판(10)은 배터리들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개구(10a)들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저면(20)들은 상판(10)의 그러한 복수개의 개구(10a)들에 대응하는 것으로, 상판(10)과 복수개의 저면(20)들은 복수개의 측면(30)들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판(10), 복수개의 저면(20)들 및 복수개의 측면(30)들은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판(10)의 복수개의 개구(10a)들은 복수개의 저면(20)들과 복수개의 측면(30)들에 의해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로서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가 아닌, "+" 형상이 사방으로 연결된 격자모양을 가진 배터리 트레이를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배터리 트레이의 경우 하부가 뚫려 있어 견고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전설정된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배터리들이 그러한 배터리 트레이에 수용되면, 이송 과정에서 "+" 형상의 격자모양이 무너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의 경우에는 복수개의 개구(10a)들이 형성된 상판과 이 복수개의 개구(10a)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저면(20)들을 복수개의 측면(30)들이 연결한다. 나아가 상판(10), 복수개의 저면(20)들 및 복수개의 측면(30)들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트레이(100) 자체가 견고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배터리들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어, 배터리들의 이송 과정에서의 배터리들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의 경우, 복수개의 저면(20)들 각각의 면적이 상판(10)의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의 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저면(20)들 각각이 원형이고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 역시 원형 형상이라면, 복수개의 저면(20)들 각각의 반경이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개의 저면(20)들의 중앙을 지나며 상판(10)에 수직인 면(xz 평면)으로 자른 단면에 있어서, 복수개의 저면(20)들 각각의 면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저면(20)들과 복수개의 측면(30)들이 만나는 지점에 있어서 복수개의 저면(20)들과 복수개의 측면(30)들이 이루는 각(θ)은 둔각이 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 트레이(100)의 경우, 배터리를 삽입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1)가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판(10)의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의 크기는 배터리(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크지만, 복수개의 저면(20)들 각각의 면적이 상판(10)의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의 면적보다 좁기에, 배터리(1)가 저면(20) 방향(-z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배터리(1)의 하부 가장자리는 배터리 트레이(100)의 측면(30)에 컨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의 하부가 배터리 트레이(100)의 측면(30)에 의해 감싸지면서, 배터리(1)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 트레이(100)가 탄성 및/또는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1)의 하부가 배터리 트레이(100)의 측면(30)을 외측으로 밀어 배터리(1)의 하부와 배터리 트레이(100)의 측면(30)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에 복수개의 배터리(1)들이 수용되더라도 복수개의 배터리(1)들의 위치가 효과적으로 고정되기에, 배터리(1)들의 이송 과정에서의 배터리들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트레이(100)에 사전설정된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배터리(1)들이 수용되더라도, 배터리 트레이(100) 자체가 견고한 특성을 가지며 아울러 배터리(1)들 각각의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되기에, 이송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에 원형 배터리(1)를 삽입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의 경우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리브(32)들을 더 갖는다. 이 리브(32)들은 복수개의 측면(30)들에 형성되되 복수개의 개구(10a)들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리브(32)들은 탄성 및/또는 신축성을 가져,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1)가 저면(20) 방향(-z 방향)으로 삽입됨에 따라 배터리(1)의 하부 또는 배터리(1)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배터리 트레이(100)의 리브(32)에 컨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1)의 하부 또는 배터리(1)의 측면이 배터리 트레이(100)의 리브(32)에 의해 눌리면서, 배터리(1)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배터리 트레이(100)가 탄성 및/또는 신축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1)의 하부가 배터리 트레이(100)의 리브(32)를 외측으로 밀어 배터리(1)의 하부와 배터리 트레이(100)의 리브(32)가 완전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에 복수개의 배터리(1)들이 수용되더라도 복수개의 배터리(1)들의 위치가 리브(32)들에 의해 효과적으로 고정되기에, 배터리(1)들의 이송 과정에서의 배터리들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트레이(100)에 사전설정된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배터리(1)들이 수용되더라도, 배터리 트레이(100) 자체가 견고한 특성을 가지며 아울러 배터리(1)들 각각의 위치가 리브(32)들에 의해 정확하게 고정되기에, 이송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32)들은 상판(10)의 복수개의 개구(10a)들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에 대해 리브(32)들은 3개 이상씩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에 대해 (xy 평면에서 고려할 시) 개구(10a)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120도의 각도로 3 개의 리브(32)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예시적으로 복수개의 개구(10a)들 각각에 대해 4개의 리브(32)들이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아울러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1)의 하부 외측면이 모두 배터리 트레이(100)의 측면(30)과 컨택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서는 배터리(1)의 하부 외측면과 배터리 트레이(100)의 측면(30)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배터리(1)를 배터리 트레이(100)로부터 원활하게 빼낼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의 경우에는 배터리(1)의 하부 외측면이 모두 배터리 트레이(100)의 리브(32)들에 컨택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1)의 하부 외측면 중 리브(32)들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리브(32)들에 컨택한다. 따라서 배터리(1)의 하부 외측면과 배터리 트레이(100)의 리브(32)들의 접촉 면적이 도 4에 도시된 경우보다 적기에, 배터리(1)를 배터리 트레이(100)로부터 빼낼 필요가 있을 시 원활하게 빼낼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배터리 트레이(100)에 있어서, 측면(30)들의 개구(10a)의 중심 방향의 면이 아닌 바깥쪽 면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탄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에 원형 배터리(1)를 삽입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10a)의 중심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리브(32)들은 측면(30)들이 개구(10a)의 중앙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는 상판(10)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12)들을 갖는다. 이 복수개의 날개부(12)들은 배터리 트레이(100)의 상판(10)과 일체일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날개부(12)들은 상판(10), 복수개의 저면(20)들 및 복수개의 측면(30)들과 일체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날개부(12)들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판(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터리 외곽박스(200)와 함께 배터리 적재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외곽박스(20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터리 트레이(100)가 수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배터리 외곽박스(200)의 이 내부공간은 외곽저면과, 이 외곽저면에 연결되어 이 외곽저면이 위치하는 평면(xy 평면)과 교차하는 일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곽측면들을 가질 수 있다. 이 외곽측면들은 외곽저면을 둘러싸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외곽측면들 내측에는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210)들이 형성된다. 도 8에서는 복수개의 홈(210)들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터리 트레이(10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배터리 외곽박스(2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트레이(100)의 복수개의 날개부(12)들이 배터리 외곽박스(200)의 외곽측면들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210)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트레이(100)를 배터리 외곽박스(200)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배터리(1)들이 배터리 트레이(100)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날개부(12)들이 위치하는 평면과 복수개의 저면(20)들이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제1거리(h100, 도 2 참조)는,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210)들과 외곽저면 사이의 제2거리(h200, 도 8 참조)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거리(h100)가 제2거리(h200)보다 짧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트레이(100)의 복수개의 날개부(12)들이 배터리 외곽박스(200)의 외곽측면들 내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210)들에 삽입된 상태가 될 시, 배터리 트레이(100)의 저면(20)은 배터리 외곽박스의 외곽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 즉 배터리 트레이(100)의 저면(20)과 배터리 외곽박스의 외곽저면 사이에 여유 공간이 존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트레이(100)에 배터리(1)들이 수용된 상태에서 배터리 트레이(100)와 배터리 외곽박스(200)의 결합체라고 할 수 있는 배터리 적재용기를 이송할 시 이송과정에서 배터리 적재용기에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그러한 충격이 배터리 트레이(100)의 저면(20)과 배터리 외곽박스의 외곽저면 사이의 여유 공간에 의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트레이(100)에 수용된 배터리(1)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배터리 트레이(100)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이나 그 변형예들에 따른 배터리 트레이(100)와 배터리 외곽박스(200)의 결합체라고 할 수 있는 배터리 적재용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배터리 적재용기는 배터리 트레이(100)와 배터리 외곽박스(200) 외에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트레이(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트레이(300)는 배터리 트레이(100)의 복수개의 개구(10a)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목부(310)들을 가져, 배터리 트레이(100)에 수용된 배터리(1)들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물론 상부트레이(300)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터리 트레이(10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배터리 10: 상판
10a: 개구 12: 날개부
20: 저면 30: 측면
32: 리브 100: 배터리 트레이
200: 배터리 외곽박스 210: 홈
300: 상부트레이 310: 오목부

Claims (17)

  1. 배터리들이 삽입될 복수개의 개구들이 형성된 상판;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저면들; 및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들;
    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및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은 일체(一體)인, 배터리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복수개의 개구들은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 의해 차폐되는, 배터리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좁은, 배터리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만나는 지점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배터리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들이 형성된, 배터리 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인, 배터리 트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은 상기 상판과 일체인, 배터리 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은 상기 상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인, 배터리 트레이.
  9. 배터리들이 삽입될 복수개의 개구들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날개부들을 갖는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상판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측면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및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은 일체(一體)인, 배터리 트레이; 및
    외곽저면과, 상기 외곽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외곽저면이 위치하는 평면과 교차하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이 삽입될 수 있는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들을 갖는 외곽측면들을 가져, 상기 배터리 트레이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배터리 외곽박스;
    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은 상기 상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인, 배터리 적재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날개부들이 위치하는 평면과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이 위치하는 평면 사이의 제1거리는, 상기 복수개의 관통구들 또는 복수개의 홈들과 상기 외곽저면 사이의 제2거리 이하인, 배터리 적재용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복수개의 개구들은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 의해 차폐되는, 배터리 적재용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적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 각각의 면적보다 좁은, 배터리 적재용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 각각의 면을 기준으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만나는 지점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저면들과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이 이루는 각은 둔각인, 배터리 적재용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면들에는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리브들이 형성된, 배터리 적재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은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의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인, 배터리 적재용기.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개구들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오목부들을 갖는 상부트레이를 더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KR1020140037960A 2014-03-31 2014-03-31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KR10221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60A KR102210880B1 (ko) 2014-03-31 2014-03-31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US14/669,556 US9853257B2 (en) 2014-03-31 2015-03-26 Battery tray and battery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960A KR102210880B1 (ko) 2014-03-31 2014-03-31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56A true KR20150113656A (ko) 2015-10-08
KR102210880B1 KR102210880B1 (ko) 2021-02-02

Family

ID=5419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960A KR102210880B1 (ko) 2014-03-31 2014-03-31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53257B2 (ko)
KR (1) KR102210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165A (ko) * 2018-02-22 2019-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트레이 및 이를 성형하기 위한 지그
KR102201715B1 (ko) 2020-08-06 2021-01-12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1789B (zh) * 2016-02-23 2021-08-10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收容托盘以及电池捆包件
DE102018208342A1 (de) * 2018-05-28 2019-11-28 Robert Bosch Gmbh Gehäuse für ein Batteriemodul und Batteriemodul
KR20210006181A (ko) * 2019-07-08 2021-01-1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캡 적재용 트레이
DE102020105364A1 (de) * 2020-02-28 2021-09-02 Silver-Plastics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erpackungsscha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241A (ja) * 1985-07-18 1987-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収納トレ−
KR20100123828A (ko) * 2008-02-12 2010-11-25 파나소닉 주식회사 전지 수납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전지 수납 트레이 집합체
JP2011255705A (ja) * 2010-06-04 2011-12-22 Kobe Steel Ltd 自動車のバッテリートレイ
KR101243528B1 (ko) * 2010-06-07 2013-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수납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9927A (en) * 1937-04-20 1940-07-30 Nat Carbon Co Inc Dry battery construction
KR101261656B1 (ko) 2005-03-16 2013-05-06 포드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전력 공급 시스템
US7604896B2 (en) 2005-03-16 2009-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gh voltage battery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4372761B2 (ja) 2006-02-21 2009-11-25 東京コイル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携帯電話用電源機器
JP5241182B2 (ja) 2007-09-11 2013-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2011233319A (ja) 2010-04-27 2011-11-17 Sanyo Electric Co Ltd 電池パック
EP2662911A4 (en) * 2011-01-06 2013-11-27 Panasonic Corp CELL MODULE
JP6257951B2 (ja) * 2013-08-09 2018-01-10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241A (ja) * 1985-07-18 1987-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収納トレ−
KR20100123828A (ko) * 2008-02-12 2010-11-25 파나소닉 주식회사 전지 수납 트레이와 이를 이용한 전지 수납 트레이 집합체
JP2011255705A (ja) * 2010-06-04 2011-12-22 Kobe Steel Ltd 自動車のバッテリートレイ
KR101243528B1 (ko) * 2010-06-07 2013-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수납 트레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165A (ko) * 2018-02-22 2019-08-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트레이 및 이를 성형하기 위한 지그
US11239527B2 (en) 2018-02-22 2022-02-01 Samsung Sdi Co., Ltd. Tray for secondary batteries and jig for forming the same
KR20220047551A (ko) * 2018-02-22 2022-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용 트레이 및 이를 성형하기 위한 지그
KR102201715B1 (ko) 2020-08-06 2021-01-12 현대글로비스 주식회사 전기차 배터리 운송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3257B2 (en) 2017-12-26
US20150280180A1 (en) 2015-10-01
KR102210880B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3656A (ko) 배터리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적재용기
US9409240B2 (en) Indexable cutting tool
US9889967B2 (en) Strippable hybrid tray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10170808B2 (en) Battery pack
US20170187016A1 (en) Battery module
US10658212B2 (en) Ring spacer
WO2021098465A1 (zh) 箱体、电池包及设备
US9437943B1 (en) Stacked symmetric printed circuit boards
JP2007182237A (ja) 収納容器
US20150295212A1 (en) Rechargeable battery packing container
US8846223B2 (en) Battery pack
KR101632828B1 (ko) 반도체 칩 트레이
KR101711735B1 (ko) 반도체 칩 트레이
WO2021234808A1 (ja) 基板収納容器
US10910160B2 (en) Capacitor module having rounded rectangular prism-shaped capacitor elements
JPWO2008114366A1 (ja) 電子部品収納容器
TWM478952U (zh) 電池模組
KR101658306B1 (ko) 반도체 칩 트레이
CN217214673U (zh) 一种辅助校准装置及容器
JP2019007673A (ja) 断熱箱体
JP2018101485A (ja) 電池パック
US20230187762A1 (en) Battery accommodation tray
TWM505692U (zh) 電子元件承載件
TWI575648B (zh) 半導體晶片托盤
US20190067064A1 (en) Separators for handling, transporting, or storing semiconductor waf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