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88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88A
KR20150111288A KR1020150036747A KR20150036747A KR20150111288A KR 20150111288 A KR20150111288 A KR 20150111288A KR 1020150036747 A KR1020150036747 A KR 1020150036747A KR 20150036747 A KR20150036747 A KR 20150036747A KR 20150111288 A KR20150111288 A KR 2015011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toner
container
locking portion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391B1 (ko
Inventor
다카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79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for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not directly attached 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87Handling details
    • G03G2215/00713Lock related to feeding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배출구 및, 배출구를 개폐하고 배출구와 연통 가능한 연통구를 갖는 셔터를 갖는 토너 용기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와; 토너 반송 경로를 형성하고 토너 용기의 장착/제거 동작과 연동하여 셔터에 접속/셔터로부터 후퇴하는 접속 부재와;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셔터를 비연통 위치에 위치시키는 제1 위치와 셔터를 연통 위치에 락킹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1 락킹부; 및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접속 부재를 셔터에 접속하는 위치 및 접속 부재가 셔터로부터 멀리 이격되는 위치에 접속 부재를 락킹하는 위치에 위치 가능한 제2 락킹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토너를 반송하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토너 용기를 착탈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용기에 접속 및 이격 가능하도록 본체로 이동 가능하게 배열된 접속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의 소비에 따라 토너를 보급하는 것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는 착탈 가능한 토너 용기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는 토너 배출구를 통해 토너가 누설되지 않도록 배출구를 개폐 가능한 셔터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가 장치 본체에 장착되면 셔터는 토너 용기의 장착 작동에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배치된다.
종래,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26호 공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장 가능한 펌프부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가 제안되었다. 토너 용기는 펌프부가 신장 및 압축될 때 생성된 압력으로 토너를 배출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26호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펌프부의 압력에 의해 토너 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토너가 배출구로부터 누설되어 장치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토너 용기의 배출구가 접속될 수 있도록 토너 용기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토너 배출구와 접촉 및 배출구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이동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토너 용기 및 토너 수용부를 서로 접촉하게 하고 토너 용기 및 토너 수용부를 서로 이격되게 할 수 있는 토너 반송 경로가 배치되어 밀봉성을 개선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26호 공보에 따르면, 셔터의 개폐 동작 및 접속부의 접촉/이격 동작은 토너 용기의 착탈 동작에 연동하여 실행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26호 공보에서는 본체의 포장 사이즈 축소, 토너 용기의 포장재 삭감을 위해 토너 용기가 장착된 본체를 동일 패키지로 포장하여 출하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에서는, 토너 용기 및 본체를 동일 패키지로 포장하는 경우, 토너 용기의 셔터가 개방하여 불리하게도 토너 용기 및 토너 수용부가 서로 연통하게 된다. 따라서, 출하 도중 토너가 토너 용기로부터 배출구를 통해 하류에 위치된 토너 수용부로 유동한다. 그 결과, 화상 농도의 변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다음의 구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통상 사용시, 셔터는 토너 용기의 장착과 연동하여 개방된다. 토너 용기 및 본체가 동일 패키지에 포장되어 출하될 때, 토너 용기가 장착된 경우에도 셔터는 개방되지 않는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다음의 구성이 고려된다. 장치 출하시, 토너 용기가 장착된 경우에도 셔터가 개방되지 않는 위치에 락킹 부재가 배치된다. 통상 사용시, 락킹 부재는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셔터가 개방되는) 정규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이 채택된 경우, 접속부는 셔터의 활주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전단력을 받게 된다. 그 결과, 토너의 밀봉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가요성을 갖는 밀봉 부재가 접속부로서 사용되는 경우, 토너의 밀봉성이 시일링 부재의 변형으로 인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5826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가 펌프 작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토너 용기의 장착과 연동하여 토너 용기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임의의 구성은 동일한 과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에 견지에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토너 용기 장착 작동과 연동하여 토너 용기의 배출구에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접속부는 토너 용기로부터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 본체와; 토너를 수용한 토너 용기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장치 본체에 제거 및 장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로서, 토너 용기는 토너가 이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구 및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토너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셔터를 갖고, 셔터는 배출구와 연통 가능한 연통구를 갖고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토너 용기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토너 용기로부터 배출된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부와,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토너 용기와 토너 수용부 사이에 토너 반송 경로를 형성 가능한 접속 부재로서, 토너 용기의 장착 및 제거 동작과 연동하여 접속 부재가 셔터에 접속되는 위치와 접속 부재가 셔터로부터 후퇴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접속 부재와;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셔터에 락킹 가능한 제1 락킹부로서,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제1 락킹부는 연통구 및 배출구가 서로 연통하지 않게 되는 비연통 위치에 셔터가 위치되도록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연통구 및 배출구가 서로 연통하게 되는 연통 위치에 셔터를 락킹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락킹부; 및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접속 부재에 락킹 가능한 제2 락킹부로서,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제2 락킹부는 접속 부재 및 셔터가 서로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위치와, 접속 부재 및 셔터가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접속 부재를 락킹하는 위치에 위치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토너 용기 장착 동작과 연동하여 토너 용기의 배출구에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고, 접속부는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토너 용기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상부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우측면도.
도 6은 제1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7a 및 도 7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상부도.
도 8a 및 도 8b는 제1 실시예(토너 용기 없음)에 따른 장치의 상부도.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의 상부도.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접속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11은 제1 실시예(토너 용기의 설치 완료 후)에 따른 장치의 상부도.
도 12의 (a), 도 12의 (b) 및 도 12의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셔터의 활주 이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기어의 사시도.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토너 용기의 부분 확대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200)가 설명된다. 도 1은 전자 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며,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200)는 4색 화상 형성부가 중간 전사 벨트(7) 위로 배열된 소위 중간 전사 탠덤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중간 전사 탠덤 타입은 생산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매체의 반송에 대응할 수 있어, 최근에 주류가 되었다. 도 1의 도면에 수직 방향은 화상 형성 장치의 원근 방향에 대응한다.
<기록재의 반송 프로세스>
기록재(S)는 저장부(10)에 적재되어 수용되고, 마찰 분리 시스템을 채용한 급송 롤러(61)에 의해 화상 형성에 대한 적절한 타이밍에 급송된다. 급송 롤러(61)에 의해 송출된 기록재(S)는 반송 패스를 통해 레지스트 롤러(62)에 반송된다. 레지스트 롤러(62)에 의한 사행 급송 보정 및 타이밍 제어 이후, 기록재(S)는 2차 전사부(T2)로 보내진다. 2차 전사부(T2)는 서로 대향하는 2차 전사 내 롤러(8) 및 2차 전사 외부 롤러(9)로 형성되는 전사 닙부이다. 2차 전사부(T2)는 미리 정해진 가압력 및 미리 정해진 정전 부하 바이어스를 부여하여 기록재(S)위로 토너상을 끌어 당긴다.
<화상 형성부>
상술한 바와 같이 2차 전사부(T2)까지의 반송 프로세스에 의해 반송된 기록재(S)와 동일한 타이밍에서 2차 전사부(T2)로 반송되는 화상의 형성 프로세스가 설명된다. 화상 형성부(Pa, Pb, Pc 및 Pd)는 주로 상 담지 부재로서 기능하는 감광 드럼(1a, 1b, 1c 및 1d), 대전 디바이스(2a, 2b, 2c 및 2d), 노광 디바이스(3a, 3b, 3c 및 3d), 현상 디바이스(100a, 100b, 100c 및 100d) 및 현상 용기(101a, 101b, 101c 및 101d)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화상 형성부(Pa 내지 Pd)는 1차 전사 롤러(5a, 5b, 5c 및 5d) 및 감광 부재 클리너(6a, 6b, 6c 및 6d) 등을 포함한다.
<화상의 형성 프로세스>
감광 드럼(1a 내지 1d)의 면은 미리 대전 디바이스(2a 내지 2d)에 의해 각각 균일하게 대전된다. 감광 드럼(1a 내지 1d)은 현상 구동 디바이스(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1a 내지 1d)은 화상 정보의 신호에 기초하여 노광 디바이스(3a 내지 3d)에 의해 노광되어 감광 드럼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감광 드럼(1a 내지 1d) 상에 각각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에 의해 현상되어 토너 화상으로 나타난다. 이후, 1차 전사 롤러(5a 내지 5d)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가압력 및 미리 정해진 전사 바이어스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7) 위로 토너상이 전사된다. 마지막으로, 감광 드럼(1a 내지 1d) 상에 약간 남아 있는 미전사 잔류 토너는 감광 부재 클리너(6a 내지 6d)에 의해 회수되어, 다시 다음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위해 준비된다.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 각각의 토너량이 감소하는 경우, 용기("토너 용기"로도 지칭됨)(Ta, Tb, Tc 및 Td)(Tb, Tc 및 Td는 토너 용기(Ta)와 동일 형상을 가짐) 중 대응하는 하나의 용기로부터 토너가 보급된다. 토너 용기로서의 용기(Ta 내지 Td)는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배열된다.
보급 디바이스(70a, 70b, 70c 및 70d)(보급 디바이스(70b, 70c 및 70d)는 보급 디바이스(70a)와 동일 형상을 갖고, 이에 따라 보급 디바이스는 참조 번호 70으로 전체적으로 지시되고; 보급 디바이스(70b 내지 70d)의 설명은 도 1에서 생략되고; 각각의 첨자는 현상 디바이스의 첨자에 대응한다)는 토너를 보급하도록 대응하는 현상 디바이스(100a 내지 100d)와 동기하여 구동된다. 보급 동작은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Ta 내지 Td)(도 1 참조)는 전측판(500)과 후측판(600) 사이에 현수된 보유 지지 부재(TMa, TMb, TMc 및 TMd)에 각각 수용되어 보유 지지된다. 보유 지지 부재(TMa 내지 TMd)는 전측판(500)과 후측판(600) 사이에 서로 독립적으로 현수된다. 현상 구동 디바이스는 후측판(600)에 체결 및 설치된다.
도 1의 경우, 상술한 화상 형성부(Pa 내지 Pd)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에 각각 대응하는 4 개의 화상 형성부이다. 그러나, 색은 4개의 컬러에 한정되지 않고, 순서도 언급된 순서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현상 용기(101a 내지 101d)는 미리 비자성 토너 및 자성 캐리어를 혼합하여 얻은 2성분 현상제를 내장한다. 그러나 몇몇 경우, 자성 토너 및 비자성 토너 중 하나만을 내장한 단일 성분 현상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2성분 현상제(초기 작용제)가 현상 용기(101a 내지 101d)에 내장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중간 전사 벨트(7)를 설명한다. 중간 전사 벨트(7)는 중간 전사 벨트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다. 중간 전사 벨트(7)는 중간 전사 벨트(7)에 대한 구동 전달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2차 전사 내 롤러(8), 텐션 롤러(17) 및 2차 전사 상류 롤러(18) 주위에 신장된다. 2차 전사 내 롤러(8)가 화살표(R8)로 지시된 방향으로 구동하면, 중간 전사 벨트(7)가 화살표(R7)로 지시된 방향으로 구동한다. 중간 전사 벨트(7)는 무단 벨트이다. Y, M, C 및 Bk의 색의 화상 형상 프로세스는 중간 전사 벨트(7)에 1차 전사된 상류 색의 사전 토너 화상 위에 토너 화상이 순차적으로 중첩되는 타이밍에서 각 색의 화상 형성부(Pa 내지 Pd)에 의해 각각 서로에 대해 병렬로 실행된다. 그 결과, 풀 컬러의 토너상이 중간 전사 벨트(7)에 형성되고, 최종적으로 2차 전사부(T2)로 반송된다. 2차 전사부(T2)를 통과한 후에도 남아 있는 미전사 잔류 토너는 전사 클리닝 디바이스(11)에 의해 회수되는 점에 유의한다.
<2차 전사 이후의 프로세스>
상술한 반송 프로세스 및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재(S)와 풀컬러 토너 화상은 동일 타이밍으로 2차 전사부(T2)에 도달한다. 이후, 2차 전사가 실행된다. 이후, 기록재(S)는 정착 디바이스(13)로 반송된다. 정착 디바이스(13)에서, 대향된 롤러(14 및 15)로 형성된 정착 닙은 통과하는 기록재(S)에 미리 정해진 열 및 압력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토너 화상이 기록재(S) 상으로 용융되어 고착된다.
따라서 정착 디바이스(13)는 열원으로서 히터를 포함하고, 최적 온도가 항상 유지되도록 제어된다. 화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된 이후, 기록재(S)가 배지 트레이(63)로 전달될 지 또는 양면 화상 형성이 필요한 경우 반전 반송 디바이스(미도시)로 반송될 지에 대한 경로 선택이 실행된다.
<용기(T)>
이어서, 보유 지지 부재(TMa TMb, TMc 및 TMd)(보유 지지 부재는 동일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후 집합적으로 참조 부호 "TM"으로 지시됨)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용기(Ta, Tb, Tc 및 Td)(용기는 동일 형상을 갖기 때문에 이후 집합적으로 "T"로 지시됨)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용기(T)는 중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토너(도 2a에 "토너"로 표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토너 수용부(20)를 포함한다. 또한, 용기(T)는 토너 수용부(20)의 길이 방향(현상제 반송 방향)의 일단부 측에 형성된 플랜지부(21)(비회전부로도 지칭됨)를 포함한다. 또한, 토너 수용부(20)는 플랜지부(21)에 대해 상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1)는 토너 수용부(20)의 내측으로부터 반송된 토너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도록 구성된 중공 배출부(21h)를 포함한다. 배출부(21h)의 저부에, 용기(T)의 외측으로 토너의 배출을 허용하도록 즉, 보급 디바이스(70)(도 1 참조)에 토너를 보급하도록 구성된 작은 배출구(21a)가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21)의 내측에, 배출구(21a)를 개폐하기 위한 셔터(4)가 형성된다. 셔터(4)는 용기(T)에 형성되는 토너의 배출구(21a)와 연통 가능한 연통구(4a)를 포함한다. 셔터(4)는 용기(T)에 대해 활주되어 배출구(21a)를 개폐한다. 셔터(4)의 이동을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펌프부(20b)는 배출구(21a)를 통해 흡기 동작 및 배기 동작을 교대로 실행하도록 구성된 흡기/배기 기구로서 기능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부(20b)는 배출부(21h)와 원통부(20k) 사이에 개재되고, 원통부(20k)에 접속 및 고정된다. 즉, 펌프부(20b)는 원통부(20k)와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펌프부(20b)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왕복이동(화살표(ω) 및 화살표(γ)는 펌프부(20b)의 이동 방향을 나타냄)과 함께 용적이 변화 가능한 수지계 용적 가변형 펌프(벨로우즈 펌프)가 펌프부(20b)로서 채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그리고 교대로 형성된 복수의 "피크(peak)"부 및 복수의 "밸리(valley)"부를 포함하는 벨로우즈 펌프가 채용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부(20b)는 플랜지부(21)의 내면을 따라 배열된 링 형상 시일링 부재(27)가 펌프부(20b)의 배출부(21h)의 단부에 의해 압축되는 상태하에서 배출부(21h)에 대해 회전 가능되도록 고정된다.
용기(T)는 기어부(20a)를 포함한다. 이 기어부(20a)는 펌프부(20b)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측에 고정된다. 즉, 기어부(20a), 펌프부(20b) 및 원통부(20k)는 서로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어부(20a)에 입력된 회전 구동력은 펌프부(20b)를 개재해서 원통부(20k)(반송부(20c))에 전달된다.
캠 돌기(20d)가 끼워지는 종동부로서 기능하는 홈부(21b)는 플랜지부(21A)의 전체 내주연면에 걸처 형성된다. 이 홈부(21b)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화살표(A)는 원통부(20k)의 회전 방향(캠 돌기(20d)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B)는 펌프부(20b)의 신장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C)는 펌프부(20b)의 압축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각도(α)가 원통부(20k)의 회전 방향(A)과 홈부(21c) 사이에 형성되고, 각도(β)가 회전 방향(A)과 홈부(21d)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홈부(21b)는 펌프부(20b)의 신장 및 압축 방향(B 및 C)에서 진폭(L)(펌프부(20b)의 신장/압축 길이)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홈부(21b)의 전개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21b)에서, 원통부(20k)로부터 배출부(21h)로 각각 경사지는 홈부(21c) 및 배출부(21h)로부터 원통부(20k)로 각각 경사지는 홈부(21d)가 서로 교대로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α=β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캠 돌기(20d) 및 홈부(21b)는 펌프부(20b)에 대한 구동 전달 기구로서 기능한다. 즉, 캠 돌기(20d) 및 홈부(21b)는 기어부(20a)에 의해 수용된 회전 구동력을, 펌프부(20b)가 왕복 이동되는 방향(원통부(20k)의 회전축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고, 이 힘을 펌프부(20b)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기구로서 기능한다.
<보급 구성>
이어서, 용기(T)로부터 토너를 배출하기 위한 보급 구성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장치 본체(200A) 내부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는 장치 본체(200A) 내부의 우측면도이다. 용기(T)는 전측판(500)과 후측판(600) 사이에 현수된 보유 지지 부재(TM)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수용된다.
구동 디바이스(Da, Db, Dc 및 Dd)(이후 구동 디바이스(Da, Db, Dc 및 Dd)는 동일 형상을 갖기 때문에 집합적으로 참조 부호 "D"로 지시됨)(보급 구동 디바이스)가 후측판(600)에 설치된다. 용기(T)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유닛"으로서 기능하는 구동 디바이스(D)(도 5, 도 7a 및 도 7b 참조) 각각은 모터(80)(보틀 구동 모터) 및, 모터(80)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된 기어(41), 기어(42) 및 기어 부재(43)를 포함한다. 기어(41)는 모터(80)의 축에 장착된다. 두 개의 단을 갖는 기어(42)의 제1 단(42a)은 기어(41)에 맞물린다. 기어 부재(43)의 기어(43a)는 두 개의 단을 갖는 기어(42)의 제2 단(42b)에 맞물린다. 용기(T)의 외주연부에 배열된 기어부(20a)는 기어 부재(43)의 기어(43b)에 맞물린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모터(80)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은 기어(41), 기어(42), 기어부(43) 및 기어부(20a)로 전달된다. 용기(T)는 기어부(20a)의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용기(T)로의 토너의 보급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CPU(50)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기록재(S)의 화상 정보 및 설치 정보를 수신할 때, CPU(50)는 모터(80)의 회전 타이밍 및 회전 시간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미리 정해진 토너의 양이 용기(T)로부터 보급 디바이스(70) 내로 안정적으로 보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급 디바이스(70)는 토너 수용부로 기능하는 수용부(71), 반송 모터(90) 및, 기어열(73)에 구동 결합된 스크루(72)를 포함한다. 수용부(71)는 내부에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반송 모터(90)는 현상 구동 디바이스(미도시)와 동기하여 회전된다. 이에 의해, 보급 디바이스(70)로 반송된 토너는 수용부(71)와 가깝게 접촉하는 현상 디바이스(100)로 반송되고, 화상 형성 작동이 실행된다.
화상 형성 장치(200)의 이송이나 출하 시, 현상 디바이스(100)는 장치 본체(200A) 내에 설치되어 동일 패키지 내에 포장된다. 이때, 현상 디바이스(100) 각각 및 수용부(71)는 서로 밀착하여 유지되도록 접속되어 토너 경로를 형성한다. 현상제(초기 작용제)는 현상 디바이스(100) 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현상 디바이스(100)에 접속되는 수용부(71)의 일측(수용부(71)의 하류측)에는 폐쇄 공간이 있다. 수용부(71)의 상류측에는 개방 공간이 있다.
<용기(T)의 밀봉 해제>
설치시 실행되는 용기(T)의 밀봉 해제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200)의 출하 시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도, 용기(T) 각각의 배출구(21a)는 셔터(4)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토너는 용기(T)로부터 보급되지 않는다(토너는 용기로부터 누출되지 않음). 한편, 화상 형성을 실행하기 위한 통상 사용시, 셔터(4)는 용기(T) 장착 작동과 연동하여 개방된다.
상술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해제 디바이스(300)가 배치된다.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될 때, 해제 디바이스(300)는 용기(T)의 장착 작동에 연동하여 셔터(4)가 개방되는 상태(밀봉 해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용기(T)의 배출구(21a)가 셔터(4)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해제한다.
해제 디바이스(300)는 셔터(4) 및 접속 디바이스(400)(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부터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될 때 셔터(4) 및 접속 디바이스(400)가 서로에 대해 접속 가능한 상태로 이동 가능하다. 이제, 설치시 실행되는 용기(T)의 밀봉 해제 작동을 도 7a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추가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해제 디바이스(300)의 슬라이더(30)의 위치(도 9a, 도 9b 및 도 9c 참조)는 통상 사용시와 출하시 다르게 설정된다. 용기(T)가 장착될 때 셔터(4)의 활주량을 제어하기 위해 용기(T)의 밀봉이 실현된다. 용기(T)로부터 이격되는 접속 디바이스(400)의 이동에 의해(도 10a 내지 도 10d), 수용부(71)의 내측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도 7a 및 도 7b는 용기(T)가 장치 본체(200A) 내측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부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a 및 도 7b로부터 용기(T) 및 구동 디바이스(D)를 생략한 상부도이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해제 디바이스(300) 및 접속 디바이스(400)의 상부도이고,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해제 디바이스(300) 및 접속 디바이스(400)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셔터(4)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상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7a, 도 8a, 도 9a 및 도 10a 각각은 동일한 상태에서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7b, 도 8b, 도 9c 및 도 10c 각각은 동일 상태에서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9b 및 도 10b는 동일한 상태의 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9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9c에 도시된 상태로 그리고 도 10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10c로 도시된 상태로의 이행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c)는 용기(T)의 이면도이다. 도 14는 플랜지부(21)에 배치된 승강 홈(21k)에 대해 승강 부재(402)가 위 및 아래로 이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상세도이다. 이 동작은 후술한다.
이제 해제 디바이스(300)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T)를 장착할 때 셔터(4)의 활주량이 상이하도록 출하시와 통상 사용시 본체 내측에서 규제되는 셔터(4)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서, 셔터(4)에 락킹될 수 있는 제1 락킹부로서 기능하는 멈춤부(30b)는 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술한 구성이 실현된다.
도 7a는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의 클로(30a)(도 9a, 도 9b 및 도 9c 참조)가 이동하기 전의 상부도에 대응하고, 도 7b는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의 클로(30a)(도 8a, 도 8b, 도 9a, 도 9b 및 도 9c 참조)가 화살표(S2)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된 이후의 상부도에 대응한다.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는 회전 구동을 활주 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로 기능하는 구동 슬라이드 기어(44) 및 슬라이드 기어(44)의 회전 작동과 함께 슬라이드 기어(44) 내측으로 각각 활주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웜 기어(45)를 포함한다.
구동 디바이스(D)에 대한 구동 입력 유닛으로 기능하는 기어 부재(43)의 기어(43b) 및 용기(T)에 대한 구동 입력 유닛으로 기능하는 기어부(20a)는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 삽입되거나 장치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기어 부재(43)의 기어(43b) 및, 해제 디바이스(300)에 대한 구동 입력 유닛으로 기능하는 슬라이드 기어(44)는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 삽입되거나 장치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디바이스(D)로부터 용기(T)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용기(T)로부터 토너의 배출 동작이 실행된다.
구동 디바이스(D)로부터 용기(T)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해제 디바이스(300)가 구동된다. 해제 디바이스(300)의 구동에 의해, 셔터(4)에 의한 밀봉이 해제된다. 또한, 구동 디바이스(D)로부터 용기(T)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접속 디바이스(400)의 상태는 이격된 상태로부터 접속된 상태로 이행된다. 접속 디바이스(400)의 상태의 이행은 후술한다.
도 7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상태로 이행 과정에서, 용기(T)의 기어부(20a)가 회전할 때, 기어부(20a)에 맞물리는 슬라이드 기어(44)도 회전한다. 슬라이드 기어(44)의 회전과 함께, 웜 기어(45)는 화살표(S2)로 지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드 기어(44) 내측으로 각각 이동한다. 웜 기어(45)가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셔터(4)에 의한 밀봉을 해제하기 위해 클로(30a)가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8a는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의 클로(30a)(도 9a, 도 9b 및 도 9c 참조)의 이동전의 상부도에 대응한다. 도 8b는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의 클로(30a)(도 9a, 도 9b 및 도 9c 참조)가 화살표(S2)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한 후의 상부도에 대응한다.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는 클로(30a)를 포함한다. 보유 지지 부재(TM)는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에서 언급된 순서로, 개구(Ma), 고정부(M1) 및 고정부(M2)를 포함한다. 클로(30a)는 도 8a에서 고정부(M1)에 삽입되고, 클로(30a)는 도 8b에서 고정부(M2)에 삽입된다.
도 9a는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의 클로(30a)가 이동하기 전의 상부도이다. 도 9c는 셔터(4)에 대한 해제 디바이스(300)의 클로(30a)가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후의 상부도이다.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웜 기어(45)의 이동과 함께 클로(30a)가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이해된다. 해제 디바이스(300)는 슬라이더(3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30)는 한 개의 클로(30a) 및 제1 락킹부로서 두 개의 멈춤부(30b)를 포함한다. 억제부(30c)가 멈춤부(30b)의 각각에 형성된다.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는 도 9a, 도 9b 및 도 9c의 단면도에 대응한다.
<접속 디바이스>
이제 접속 디바이스(400)를 설명한다. 접속 디바이스(400)는 용기(T)와 수용부(71) 사이에서 토너 반송 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접속 디바이스(400)는 용기(T)의 장착 작동과 연동하여 셔터(4)와 접촉 및 셔터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접속 디바이스(400)는 토너 배출 동작 도중 토너가 용기(T)의 배출구를 통해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접속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9b 및 도 10b는 클로(30a)의 이동 중 상부도 및 단면도에 각각 대응한다. 도 9b 및 도 10b에서, 접속 디바이스(400)의 상태는 용기(T)에 대해 이격된 상태로부터 접속된 (접촉) 상태로 이행한다.
접속 디바이스(400)의 동작을 이제 설명한다. "접속 유닛"인 접속 디바이스(400)는 접속 부재로 기능하는 접속 파이프(401), 접속 파이프(401)와 끼워지는 승강 부재(402),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에서 접속 파이프(401)를 위로 편향시키는 이격 스프링(403)을 포함한다. 접속 디바이스(400)는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에서 승강 부재(402)를 아래로 편향시키는 승강 스프링(404), 접속 파이프(401) 상에 배치되어 가요성을 갖고 개구(Ma)를 형성하는 접속 시일(405)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속 파이프(401)가 셔터(4)에 접속될 때 접속 시일(405)은 셔터(4)와 맞닿게 되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 시일(405)은 연통구(4a)의 주위를 시일할 수 있다.
접속 파이프(401)에 구비된 규제부(401a)는 해제 디바이스(300)의 슬라이더(30)에 배열된 제2 락킹부로서 클로(30d)와 결합하게 된다. 도 10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화살표(Z1)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서의 접속 파이프(401)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 접속 시일(405) 및 용기(T)에 대한 셔터(4)는 서로 접속되지 않는다. 승강 부재(402)의 프로파일은 접촉부(71) 내측에 배치되고, 승강 가능하게 밀봉된다(제1 위치(N1)의 접속 디바이스(400)). 또한, 승강 부재(402)에 구비된 승강 돌기(402a)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T)의 플랜지부(21)에 구비된 승강 홈(21k)을 따라서 승강 부재(402)를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수직 방향에서 위 및 아래로 이동하게 한다. 승강 홈(21k)은 대향 측(미도시)에도 동일 형상으로 구비되어 승강 돌기(402a)를 안내한다. 승강 홈(21k)과 승강 돌기(402a) 사이의 관계는 후술한다.
접속 디바이스(400)가 제1 위치(N1)(도 10a)에 있을 때, 용기(T)에 배열된 셔터(4) 및 접속 시일(405)은 서로 접속하지 않고 그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용기(T) 및 장치 본체(200A)가 동일 패키지에 포장되는 상태에서, 수용부(71)는 이동 중에도 대기압에서 유지된다.
이때, 수용부(71)의 하류측은 폐쇄 공간이다. 따라서, 접속 시일(405)에 구비된 개구(Ma)만이 대기와 연통된다.
해제 디바이스(300)가 도 9a 및 도 10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상태로 이동할 때, 클로(30d)는 규제부(401a)로부터 결합해제되어 화살표(Z1)으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규제부(401a)가 이동된다. 접속 파이프(401)는 이격 스프링(403)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접속 파이프(401)에 배열된 접속 시일(405)은 접속 시일(405)이 용기(T)에 대한 셔터(4)와 맞닿을 때까지 편향되어 밀착된다.
도 9c 및 도 10c에 도시된 상태(접속부(400)는 제2 위치(N2)에 있음)에서, 셔터(4) 및 접속 시일(405)은 서로 밀착하게 되고, 연통구(4a), 개구(Ma) 및 배출구(21a)는 서로 동축으로 정렬된다. 이 때, 연통구(4a)는 용기(T)의 배출구(21a)와 연통할 수 있다.
제2 락킹부로서 클로(30d)는 제1 위치(N1)(도 10a)로부터 제2 위치(N2)(도 10c)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용기(T)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속 파이프(401)가 셔터(4)에 접속되는 것을 방해하는 위치(제1 위치(N1))에 클로(30d)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용기(T)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속 파이프(401)가 셔터(4)에 접속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제2 위치(N2))에도 클로(30d)가 위치될 수도 있다.
<셔터의 연통구 및 토너 용기 연통 동작>
셔터(4)에 구비된 연통구(4a), 보유 지지 부재(TM)에 구비된 개구(Ma) 및 용기(T)의 배출구(21a)가 정렬될 때까지 실행되는 동작을 도 12의 (a), 도 12의 (b) 및 도 12의 (c)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셔터(4)에 구비된 연통구(4a)와 용기(T)의 플랜지부(21)에 형성된 배출구(21a)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 12의 (a), 도 12의 (b) 및 도 12의 (c)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4)에 형성된 연통구(4a)와 용기(T)의 플랜지부(21)에 형성된 배출구(21a) 사이의 위치 관계는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통구(4a) 및 배출구(21a)가 정렬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셔터(4)는 용기(T) 내의 토너가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배출구(21a)를 밀봉한다. 이때, 셔터(4)는 용기(T)가 화상 형성 장치(200)의 장치 본체(200A)로 삽입되기 전 셔터(4)의 위치인 제1 위치(K1)에 위치된다.
도 12의 (b)는 화상 형성 장치(200)의 이송 또는 출하 시 연통구(4a)와 배출구(21a)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 삽입된 결과, 용기(T)가 일정 위치까지 삽입될 때, 셔터(4)는 장치 본체(200A)의 후방측에서 용기(T)의 설정 위치(셔터(4)가 멈춤부(30b)에 락킹되는 위치)에 도달한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c)에서, 화살표(J1)로 지시된 방향은 삽입 방향이고, 화살표(J2)로 지시된 방향은 이격 방향이다. 이러한 세트 위치에서, 용기(T)에 대한 셔터(4)의 락킹부(4b)는 해제 디바이스(300)의 슬라이더(30)의 멈춤부(30b)와 맞물리게 된다(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맞물림). 이때, 슬라이더(30)의 클로(30a)는 보유 지지 부재(TM)에 구비된 고정부(M1)에 의해 락킹된다. 따라서, 용기(T)의 삽입 방향에서의 슬라이더(30)의 이동이 규제된다(도 8a 참조).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 추가로 삽입될 때, 상태가 도 12의 (b)에 도시된 상태로 이행되도록 셔터(4)의 락킹부(4b)는 플랜지부(21)에 대해 화살표(S1)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양만큼 활주한다.
화상 형성 장치(200)의 이송 또는 출하시, 용기(T)는 도 12의 (b)에 도시된 상태이다. 이 때, 배출구(21a) 및 연통구(4a)는 정렬되지 않은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용기(T)가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4)는 연통구(4a) 및 배출구(21a)가 서로 연통하지 않는 비연통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및 출하시에도, 토너는 용기(T)로부터 누출되지 않는다. 도 7a, 도 8a, 도 9a 및 도 10a는 이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용기(T)의 배출구(21a)는 보유 지지 부재(TM)에 구비된 개구(Ma)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수용부(71)로 이어지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셔터(4)는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될 때 셔터(4)의 위치인 제2 위치(K2)에 위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T)를 장치 본체(200A)로 삽입하는 것과 함께, 승강 돌기(402a)는 승강 홈(21k)을 따라 위치(Q1)로부터 거리(Y1)만큼 (위치(Q2)로) 이동한다.
승강 돌기(402a)는 셔터(4)에 의한 밀봉 해제 동작 중에도 이동없이 위치(Q2)에 잔류한다. 도 9a 및 도 10a는 이때의 접속 디바이스(400)의 상태를 도시한다.
<해제 디바이스>
장치 본체(200A)를 설치할 때, 해제 디바이스(300)는 용기(T)로부터 토너가 배출되도록 동작한다. 이제, 해제 디바이스(300)의 특정 구성을 설명한다. "해제 유닛"인 해제 디바이스(300)는 구동 디바이스(D)로부터 용기(T)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사용하여 셔터(4)에 의한 밀봉을 해제한다. 도 9a, 도 9b, 도 9c, 도 10a, 도 10b, 도 10c 및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디바이스(300)는 클로(30a), 멈춤부(30b), 및 억제부(30c)를 포함하는 슬라이더(30), 두 개의 슬라이드 기어(44) 및 두 개의 웜 기어(45)를 포함한다. 해제 디바이스(300)는 보유 지지 부재(TM)에 설치된다.
웜 기어(45)는 슬라이더(30)에 고정되고 동작 중 슬라이더(30)와 일체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기어(44)는 웜 기어(45)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웜 기어와 동축이 되도록 슬라이드 기어(44)가 웜 기어(45)로 각각 끼워지는 관계를 갖는다. 각각의 슬라이드 기어(44)가 회전할 때, 대응하는 웜 기어(45)는 슬라이드 기어(44)의 내측에 구비된 돌기(46)(도 13 참조)에 의해 슬라이드 기어(44)의 추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어(44)는 슬라이드 기어(44)가 기어부(20a)와 맞물리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U(50)는 설치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80)로부터 구동이 입력되는 기어부(20a)를 미리 정해진 시간에 동안 회전시킨다. 구동이 슬라이드 기어(44)로 전달될 때, 웜 기어(45), 슬라이더(30) 및 클로(30a)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슬라이더(30) 이동의 중간에서, 도 9b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로(30d)는 규제부(401a)로부터 결합 해제된다. 그 결과, 접속 시일(405)은 접속 시일(405)이 용기(T)에 대한 셔터(4)와 맞닿을 때까지 편향되어 밀착하게 된다. 이후, 클로(30d)는 규제부(401a)와 결합하지 않게 된다.
돌기(46)가 웜 기어(45) 중 대응하는 하나의 말단 단부에 도달할 때, 웜 기어(45)는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이동량을 종료한다. 이 때, 클로(30a)는 고정부(M2)로 이동되어 이에 락킹된다(도 11 참조). 따라서, 용기(T)의 삽입 방향에서의 슬라이더(30)의 이동이 다시 규제된다.
또한, 억제부(30c)는 접합부(M3)와 맞닿는다(도 11 참조). 따라서, 용기(T) 제거 방향에서의 슬라이더(30)의 이동도 규제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30)의 이동이 완전히 규제된다. 따라서, 이 후로, 용기(T)가 삽입 또는 제거될 때 또는 모터(80)로부터 구동이 입력될 때에도 슬라이더(30)는 이동하지 않는다(슬라이더(30)는 정규 위치에 위치됨).
이때의 상태가 도 7b, 도 8b, 도 9c, 도 10c, 도 11 및 도 12의 (c)에 도시된다. 이 단계에서, 배출구(21a), 연통구(4a) 및 개구(Ma)가 동축으로 정렬된다. 기어부(20a) 및 각각의 슬라이드 기어(44)의 기어비는 셔터(4)의 연통구(4a)의 연통 개시로부터 연통 완료까지의 기간에 걸쳐 펌프부(20b)가 흡기 동작을 실행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배출구(21a), 연통구(4a) 및 개구(Ma)가 동축으로 정렬되는 프로세스 동안, 토너는 수용부(71) 내로 유동하지 않는다.
이후, 토너는 모터(80)를 동작시킴으로써 용기(T)로부터 보급될 수 있다. 이 때, 셔터(4)는 구동 디바이스(D) 구동의 결과로 셔터(4)가 도달하는 제3 위치(K3)(도 12의 (c) 참조)에 위치되고, 접속 디바이스(400)는 제2 위치(N2)(도 10c 참조)에 있다. 셔터(4)가 제3 위치(K3)에 있고 접속 디바이스(400)가 제2 위치(N2)에 있을 때, 토너가 배출될 수 있다.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부터 제거되면, 접속 디바이스(400)는 도 10d에 도시된 제3 위치(N3)에 위치된다. 접속 파이프(401)는 이격 스프링(403)의 가압 하에 클로(401b)가 승강 부재(402)의 락킹부(402b)와 맞닿는 위치에 락킹되고, 접속 디바이스(400)로서 일체로 위 아래로 이동한다.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돌기(402a)도 위치(Q2)로부터 위치(Q1)까지 거리(Y1)만큼 이동된다. 접속 디바이스(400)는 승강 스프링(404)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제3 위치(N3)에 유지된다.
이후, 접속 디바이스(400)는 용기(T) 설치시, 제2 위치(N2)에 유지된다. 한편, 접속 디바이스(400)는 용기(T) 제거 시 제3 위치(N3)에 유지되어, 용기(T)의 교환에 대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셔터(4)는 제1 위치(K1), 제2 위치(K2), 제3 위치(K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접속 디바이스(400)는 제1 위치(N1), 제2 위치(N2), 제3 위치(N3)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슬라이더(30)는 연통구(4a) 및 개구(Ma)가 서로 연통되도록 정규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더(30)가 정규 위치로 이동된 후, 셔터(4)는 용기(T)의 착탈에 기초하여 개폐된다.
구체적으로,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 삽입되지 않을 때, 도 12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셔터(4)는 용기(T)의 삽입과 함께 이동량(x1+x2) 만큼 이동되어 도 12의 (c)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 결과, 삽입이 완료되어 토너의 보급이 가능하다. (이 때, 용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4)는 연통구(4a) 및 배출구(21a)가 서로 연통하는 연통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해제 디바이스(300)는 구동 디바이스(D)가 처음 구동될 때에만 셔터(4)에 의해 밀봉을 해제한다. 셔터(4)는 용기(T)에 장착된다. 용기(T)가 화상 형성 장치(200)의 장치 본체(200A)로 삽입될 때, 셔터(4)는 삽입 방향(화살표(J1)로 지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S1)로 지시되는 방향 또는 화살표(S2)로 지시되는 방향)으로 활주한다. 또한, 용기(T)가 장치 본체(200A)로부터 이격될 때, 셔터(4)는 이격 방향(화살표(J2)로 지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화살표(S1)로 지시된 방향 또는 화살표(S2)로 지시된 방향)으로 활주한다.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200) 미설치 시, 용기(T) 및 접속 디바이스(400)는 용기(T)가 장치 본체(200A)에 장착되고 동일 패키지에 포장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접속 시일(405)에 부하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200)의 설치 이후 용기(T) 및 접속 디바이스(400)가 서로 접속될 때, 접속 시일(405)의 변형 또는 손상으로 인한 접속 불량이 방지된다. 그 결과, 토너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수정예 및 등가적 구성예 및 기능예 모두를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이 허용되어야 한다.

Claims (8)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장치 본체와,
    토너를 수용한 토너 용기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제거 및 장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유 지지 부재로서, 상기 토너 용기는 상기 토너가 이를 통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토너 용기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셔터를 갖고, 상기 셔터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 가능한 연통구를 갖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토너 용기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토너 용기로부터 배출된 상기 토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토너 수용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토너 용기와 상기 토너 수용부 사이에 토너 반송 경로를 형성 가능한 접속 부재로서, 상기 토너 용기의 장착 및 제거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셔터에 접속되는 위치와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셔터로부터 후퇴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접속 부재와,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셔터에 락킹 가능한 제1 락킹부로서, 상기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상기 제1 락킹부는 상기 연통구 및 상기 배출구가 서로 연통하지 않게 되는 비연통 위치에 상기 셔터가 위치되도록 허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연통구 및 상기 배출구가 서로 연통하게 되는 연통 위치에 상기 셔터를 락킹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락킹부, 및
    상기 장치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속 부재에 락킹 가능한 제2 락킹부로서, 상기 토너 용기가 장착될 때,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접속 부재 및 상기 셔터가 서로 접속하도록 허용하는 위치와, 상기 접속 부재 및 상기 셔터가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상기 접속 부재를 락킹하는 위치에 위치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락킹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락킹부는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접속 부재에 락킹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2 락킹부가 상기 접속 부재로부터 락킹해제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락킹부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연통구 및 배출구가 서로 연통되기 전에 상기 셔터에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1 락킹부 및 제2 락킹부를 구동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 및 상기 제2 락킹부는 일체로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락킹부 및 상기 접속 부재는 설치 시에만 서로 락킹해제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셔터와 맞닿을 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시일링부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락킹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토너 용기의 장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셔터가 제1 락킹부에 의해 락킹된 이후에 상기 셔터에 접속되고, 상기 연통구 및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접속 부재가 상기 셔터에 접속된 이후 서로 연통하게 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036747A 2014-03-25 2015-03-17 화상 형성 장치 KR101749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2358 2014-03-25
JP2014062358A JP6234293B2 (ja) 2014-03-25 2014-03-25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88A true KR20150111288A (ko) 2015-10-05
KR101749391B1 KR101749391B1 (ko) 2017-06-20

Family

ID=5269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747A KR101749391B1 (ko) 2014-03-25 2015-03-1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77179B2 (ko)
EP (1) EP2924511A1 (ko)
JP (1) JP6234293B2 (ko)
KR (1) KR101749391B1 (ko)
CN (1) CN10495063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795A (ko) * 2017-08-28 2019-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90932A (ja) * 2014-11-10 201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76208B2 (ja) * 2015-10-26 2019-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17009B2 (ja) * 2016-03-31 2021-08-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6711672B2 (ja) * 2016-04-05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39226B2 (ja) 2017-09-21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US10642189B2 (en) * 2018-07-31 2020-05-0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ontainer unit, develop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JP7379223B2 (ja) 2020-03-12 2023-11-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供給装置
JP7413094B2 (ja) 2020-03-12 2024-01-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受け入れ装置、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9696A (ja) * 1997-05-20 1998-12-0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ES2382727T3 (es) * 2001-02-19 2012-06-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JP2007279532A (ja) * 2006-04-11 2007-10-25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036952A (ja) * 2007-08-01 2009-02-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143674B2 (ja) 2008-08-29 2013-02-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受入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83774B2 (ja) 2008-11-14 2012-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画像形成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918030B2 (en) * 2008-11-27 2014-12-23 Ricoh Company, Limited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276718A (ja) * 2009-05-26 2010-12-09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JP4442714B2 (ja) 2009-06-15 2010-03-3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1008144A (ja) * 2009-06-29 2011-01-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補給機構
CN102597887B (zh) * 2009-09-04 2014-06-18 株式会社理光 调色剂容器和成像设备
EP2381317A1 (en) * 2010-04-21 2011-10-26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083954B2 (ja) * 2011-06-06 2017-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2013152361A (ja) * 2012-01-25 2013-08-08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5568597B2 (ja) 2012-05-31 2014-08-0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容器
US9244382B2 (en) * 2013-06-25 2016-01-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6218506B2 (ja) * 2013-08-30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19958B2 (ja) * 2013-06-25 2018-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795A (ko) * 2017-08-28 2019-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4511A1 (en) 2015-09-30
JP2015184567A (ja) 2015-10-22
JP6234293B2 (ja) 2017-11-22
CN104950634A (zh) 2015-09-30
US20150277287A1 (en) 2015-10-01
CN104950634B (zh) 2020-05-08
US9477179B2 (en) 2016-10-25
KR101749391B1 (ko) 201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391B1 (ko) 화상 형성 장치
US992774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93895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supply control
KR101809785B1 (ko) 화상 형성 장치
KR100323014B1 (ko) 토너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742028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용기용 커플링 구동 부재
KR20010020692A (ko) 토너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3280344A (ja)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コンテナ
JP6218506B2 (ja) 画像形成装置
US9594331B2 (en) Powd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EP3012689A1 (en) Developing device
JP6319958B2 (ja) 画像形成装置
JP6663562B2 (ja) 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7404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8106209A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9209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