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028B1 -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용기용 커플링 구동 부재 - Google Patents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용기용 커플링 구동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028B1
KR100742028B1 KR1020040004186A KR20040004186A KR100742028B1 KR 100742028 B1 KR100742028 B1 KR 100742028B1 KR 1020040004186 A KR1020040004186 A KR 1020040004186A KR 20040004186 A KR20040004186 A KR 20040004186A KR 100742028 B1 KR100742028 B1 KR 100742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ive
developer supply
supply container
driv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8002A (ko
Inventor
야마다유스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68Toner cartridges fulfilling a continuous function within the electrographic apparatus during the use of the supplied developer material, e.g. toner discharge on demand, storing residual toner, acting as an active closure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구동 부재와 구동 결합하기 위해 대체로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에 제공되는 구동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구동 결합 부재는 구동 부재로부터 수용된 회전력을 상기 용기 본체로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가지며, 구동 전달부는 구동 전달부의 회전 개시 후 그리고 용기 본체와 결합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 동안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화상 형성 장치, 현상제 공급 용기, 용기 본체, 구동 부재, 구동 전달부, 구동 결합 부재

Description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용기용 커플링 구동 부재{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COUPLING-DRIVING MEMBER FOR DEVELOPER SUPPLY CONTAINER}
도1은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2는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 전체의 사시도.
도3은 현상제 공급 용기가 트레이 내에 장착되거나 트레이로부터 제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현상제 공급 용기 트레이 및 그 인접부의 사시도.
도4는 현상제 공급 용기가 주 조립체의 현상제 공급 트레이 내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 및 현상제 공급 용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측면도.
도5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가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와 커플링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 측면도.
도6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내부 배플링 부재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7은 내부 나선 리브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단면 사시도.
도8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의 구동력 수용부의 도면.
도9는 구동 전달부를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밀봉 부재의 사시도.
도10은 구동 전달부를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밀봉 부재의 도면.
도11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 및 그 인접부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12는 토너 출구를 폐색하는 토너의 본체가 밀봉 부재의 활주 이동에 의해 느슨해지는 상태를 도시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 및 그 인접부의 단면도.
도13은 제1 실시예의 밀봉 부재의 구동 전달부의 변경예의 사시도.
도14는 2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의 단면도.
도15는 2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결합 해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의 단면도.
도16은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의 변경예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토너 병의 내부의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제 공급 용기
1A : 병 본체
1a : 출구
1b : 구동력 수용부
2 : 밀봉 부재
3 : 로킹 돌기
4 : 로킹 해제 돌기
5 : 구동 전달부
15 : 전방 커버
24 : 토너 이송 경로
25 : 격벽
100 : 장치 주 조립체
104 : 감광 드럼
201 : 현상 장치
202 : 세척 장치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식 또는 정전식 기록법의 사용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복사기, 프린터, 팩스기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현상제 공급 용기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와 커플링하고 또한 용기를 구동하기 위해 현상제 공급 용기에 제공되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극미세 입자의 형태의 현상제(토너)가 전자 사진식 복사기 또는 프린터와 같은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용 현상제로서 사용되어 왔다.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토너가 소비됨에 따라, 주 조립체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토너 용기)의 사용에 의해 토너가 공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수적으로,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법의 사용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식 복사기, 전자 사진식 프린터(예를 들면, 레이저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워드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토너는 극미세 입자의 형태이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토너가 공급될 때 비산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토너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 조립체 내에 배치된 현상제 공급 용기의 소형 개구로부터 조금씩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공급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전술한 형태의 현상제 공급 용기 모두는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이송 부재 또는 용기 본체(proper)가 토너를 배출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측으로부터 소정 종류의 수단을 통해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측으로부터 주 조립체 내의 현상제 공급 용기로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수단이 있다. 공지된 구동 전달 수단 중 하나(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18490호)에 따르면, 용기 내의 토너가 내부에이송되어 그로부터 배출되도록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밀봉 부재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전술한 현상제 공급 용기용 구조적 배열의 경우, 현상제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후에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방 커버가 폐쇄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의 밀봉 부재가 전방 커버의 폐쇄 운동에 의해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회전식으로 커플링될 뿐만 아니라,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는 전방 커버의 폐쇄 운동에 의해 길이 방향(용기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활주식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밀봉 부재를 상대적인 관계로 용기 본체의 외향으로 이동시켜 용기 본체를 밀봉 해제하며, 즉,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를 토너 배출 준비 상태로 만든다. 이 경우, 밀봉 부재는 비원형(정방형) 구멍을 구비하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에 배치된 현상제 이송 부재의 정방형 샤프트는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밀봉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 및 장치 주 조립체는, 정방형 샤프트가 밀봉 부재의 정방형 구멍의 외부로 완전히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방형 샤프트가 밀봉 부재의 정방형 구멍 내로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에 의해 수용된 회전 구동력은 현상제 이송 부재로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일본 특허 공개에 개시된 구조적 배열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밀봉 부재의 결합은 밀봉 부재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를 밀봉 해제시킬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밀봉 부재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여 이를 용기 본체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즉, 단일 부품, 즉 밀봉 부재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를 밀봉 해제하고 재밀봉하는 기능과, 용기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기능 모두를 제공한다. 이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크기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 배열을 우수한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이들 전술한 방법은 여전히 다수의 기술적 문제점을 갖는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이하, "종래의 현상제 공급 용기"라 칭할 수도 있음)의 경우, 회전 구동력은 밀봉 부재의 정방형 구멍 내로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이송 부재의 정방형 샤프트를 결합함으로써 전달된다. 따라서, 대용량을 갖는 토너 병의 경우, 대용량을 갖는 용기는 가득차 있을 때 실질적으로 더 무겁고 종래 기술에 따른 정방형 샤프트는 병을 회전시키도록 인가된 힘을 견디기에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에, 병이 회전됨에 따라, 정방형 샤프트가 비틀릴 수도 있게 되는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정방형 샤프트가 비틀리게 되면, 비틀린 정방형 샤프트와 밀봉 부재 사이의 마찰이 직선의 정방형 샤프트 사이의 마찰보다 크기 때문에, 밀봉 부재를 원활하게 이동시켜 병을 완전히 밀봉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거나 불가능(매우 드물긴 하지만)하다.
도17 및 도18을 참조하여 이 현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7은 종래 기술(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토너 병)의 밀봉 부재부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18의 (a)는 종래 기술(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에 따른 토너 병의 정면도이고, 도18의 (b)는 그로부터 토너가 배출되는 병의 내부를 도시하는, 도18의 (a)의 선 A-A를 따른, 도18의 (a)에 도시한 토너 병의 단면도이다.
도18의 (b)는 방금 회전이 정지된 토너 병(1A)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토너 병(1A) 내의 토너의 본체는 방향(R)으로 회전하는 토너의 본체와 토너 병(1A)의 내부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계속적으로 상향 압박되어, 따라서 약간 상승된다. 따라서, 토너 병(1A)이 회전하는 동안, 토너 병(1A) 내의 토너의 본체는 도1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병(1A)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토너 병(1A)의 축선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의 하향으로 변위되어 유지된다. 따라서, 토너 병(1A)이 회전을 정지하자마자(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이 정지되자마자), 토너 병(1A)은 토너 병(1A)의 중력 평형을 회복하도록 작용하는 힘을 받으며, 즉 토너 병(1A)은 화살표 Q로 지시한 방향, 즉 토너 병(1A)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토너 병(1A)을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는 힘의 작용하에 있게 된다. 또한, 토너 병(1A)이 도18의 (b)에 도시한 상태에 있으면, 밀봉 부재는 주 조립체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와 계속 결합되고, 따라서 화살표 Q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토너 병(1A)의 중력 평형을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발생된 회전 모멘트에 의해, 상당한 양의 접촉 압력이 밀봉 부재(2)의 정방형 구멍(2d)의 벽과 토너 병(1A)의 정방형 샤프트(1f)의 표면(들) 사이에 유지된다. 이 상태의 존재는 토너 병이 비워지기 전에 토너 병을 제거하려는 시도를 할 때, 특히 예를 들면 신규 토너 병의 장착 직후에 토너 병 내의 토너의 양이 더 많을 때 현저하다.
토너 병(1A)이 전술한 상태에 있을 때, 정방형 구멍(2d)의 벽(들)은 정방형 샤프트(1f)의 표면(들)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병이 전술된 상태에 있을 때 병을 주 조립체 외부로 잡아당기는 시도가 있는 경우에, 정방형 구멍(2d)의 벽(들)과 정방형 샤프트의 표면(들) 사이의 마찰력은, 토너 병(1A)이 중력 평형에 있을 때보다 커서, 매우 드물지만 밀봉 부재를 폐쇄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한다. 이 현상은 작은 직경 또는 작은 토너 용량을 갖는 토너 병보다 큰 직경 또는 큰 토너 용량을 갖는 토너 병에서 발생하기 쉬운데, 이는 토너 병 내의 토너의 양이 많을수록 내부의 토너의 중량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공급 용기의 구성 요소의 조립 및 측정 시에 오류가 있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로 회전 구동력을 적절히 전달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공급 용기의 구성 요소의 조립 및 측정 시에 오류가 있더라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로 회전 구동력을 적절히 전달할 수 있는 커플링 구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출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갖고 현상제 출구가 부적절하게 재밀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플링 구동 부재를 갖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출구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갖고 현상제 출구가 부적절하게 재밀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플링 구동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이하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 밀봉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전자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
우선,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서, 전자사진식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원본(101)이 도1에 도시된 (이후에 "장치 주 조립체"로 언급될) 전자사진식 복사기의 주 조립체(100)의 원본 배치 유리 플래튼(102) 상에 배치될 때, 원본(101)의 광학 화상(화상 형성 데이터)는 복수개의 거울(M) 및 렌즈(Ln)에 의해 화상 담지 부재로서의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다. 한편, (이후에 "시트"로 간단히 언급될 수 있는) 적절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카세트는, 시트 사이즈 정보, 즉 제어 패널(100a)(도2)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또는 원본(101)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주 조립체 내의 시트 카세트(105 내지 108) 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기록 매체는 시트의 형태인 매체로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는 OHP 등일 수 있다.
선택된 카세트(105, 106, 107 또는 108) 내의 시트(P)는 각각 분리-이송 롤러(105A, 106A, 107A 또는 108A)에 의해 주 조립체 내로 분리된 채로 카세트 외부로 배출되며, 시트 이송 경로(109)에 의해 한 쌍의 정합 롤러(110)로 하나씩 이송된다. 그 후, 각 시트(P)는 광학 스테이션(103)의 주사 타이밍 및 감광 드럼(104)의 회전과 동기식으로 전사 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 전사 스테이션에서, 감광 드럼(104) 상에 형성되는 정전 화상은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여 현상되며, 생성된 현상제 화상(토너 화상)은 전사 대전기(111)에 의해 시트(P) 상에 전사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을 담지한 시트(P)는 분리 대전기(112)에 의해 감광 드럼(10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후, 시트(P)는 이송 수단(113)에 의해 정착 스테이션(114)으로 이송된다. 정착 스테이션(114)에서, 시트(P) 상의 토너 화상은 열과 압력의 인가에 의해 시트(P)에 정착된다. 이 후, 복사기가 단면 모드일 때, 시트(P)는 역전 스테이션(115)을 통해 이송되고, 한 쌍의 배출 롤러(116)에 의해 이송 트레이(117)내로 배출된다. 복사기가 양면 모드일 때, 시트(P)는 역전 스테이션(115)에 의해 재이송 경로(119, 120)로 안내되고, 재이송 경로(119, 120)를 통해 한 쌍의 정합 롤러(110)로 다시 이송된다. 그 후, 시트(P)는 시트 이송 경로를 통해 이송되며, 이 시트 이송 경로를 통해 방금 이송되어 시트(P)의 일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며, 그 후, 이송 트레이(117) 내로 배출된다.
복사기가 다층 모드일 때, 시트(P)는 역전 스테이션(115)을 통해 한 쌍의 배출 롤러(116)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부분적으로 배출된다. 즉, 시트(P)의 후단 에지가 플래퍼(118)를 지나가지만 시트(P)가 한 쌍의 배출 롤러(116)에 의해 여전히 물려있는 타이밍에, 시트(P)를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다시 공급하기 위해, 플래퍼(118)의 위치를 전환하고 배출 롤러(116)를 역으로 회전시키기 시작하도록 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따라서, 시트(P)는 재이송 경로(119, 120)를 통해 정합 롤러(110)로 이송된다. 그 후, 시트(P)는 시트 이송 경로를 통해 이송되며, 이 시트 이송 경로를 통해 방금 이송되어 시트(P)의 일 표면 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이송 트레이(117) 내로 배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감광 드럼(104) 주위에 현상 수단인 현상 장치(201), 세척 장치(202), 주 대전기 등이 배치된다. 현상 장치(201)는 현상제(토너)를 사용하여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장치이다. 부수적으로, 정전 잠상은 원본(101)의 화상 형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광학 스테이션(103)에서 감광 드럼(104)의 주연 표면의 균일하게 대전된 부분을 노광시킴에 의해서 감광 드럼(104)의 주연 표면 상에 형성된다. 현상 장치(201)는 사용자에 의해 주 조립체(100)에 탈거식으로 장착가능하고 현상제로서 토너를 현상 장치(201)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채용한다. 본 발명은 토너만을 장치 주 조립체(100)에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토너와 캐리어를 조합하여 장치 주 조립체(100)에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는 전자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현상 장치(201)에는 토너 저장 수단인 토너 호퍼(201a) 및 현상 장치(201b) 가 제공된다. 토너 호퍼(201a)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이송된 토너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 부재(201c)가 제공된다. 토너는 교반 부재(201c)에 의해 교반된 후, 자성(magnetic) 롤러(201d)에 의해 현상 장치(201b)로 보내진다. 현상 장치(201b)는 현상 롤러(201f) 및 토너 이송 부재(201e)를 갖는다. 토너 호퍼(201a)로부터 자성 롤러(301d)에 의해 현상 장치(201b)로 보내진 토너는 토너 이송 부재(201e)에 의해 현상 롤러(201f)로 보내지고, 그 후, 현상 롤러(201f)에 의해 감광 드럼(104)으로 공급된다. 세척 장치(202)는 감광 드럼(104) 상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이다. 주 대전기(203)는 감광 드럼(104)을 대전하기 위한 것이다.
도2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외부 하우징의 일부이며 장치 주 조립체(100) 내의 현상제 공급 용기를 교체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용기 교체 전방 커버(이하, 줄여서 "용기 교체 전방 커버")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개방됨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 장착 수단의 일부인 용기 트레이(50)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 위치로 당겨진다.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현상제 공급 용기 트레이(50) 상에 장착될 것이다. 사용자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용기 트레이(50)를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당겨서, 용기 트레이(50) 상의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제거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 교체 전방 커버(15)(이하, 줄여서 "전방 커버")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또는 제거(교체) 전용인 커버이고,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장착 또는 제거만을 위해서만 개폐될 것이다. 부수적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의 유지 보수를 위해, 전방 커버(100c)가 개방될 것이다. 현상제 공급 용기 트레이(50)의 제공은 필수적인 것인 아니다.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 직접적으로 장착 또는 이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토너 보충 작동]
먼저, 도4의 (a) 내지 (c) 및 도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토너 병 또는 토너 공급 용기)를 이용하여, 현상 장치(201)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도4의 (a) 내지 (c)는 이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장치 주 조립체(100)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0)에 토너를 공급하기 위한 공정을 단계로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밀봉 부재가 장치 주 조립체(100)와 방금 결합하여, 그에 의해 토너 이송을 위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준비시킨 상태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토너 공급 장치(400)(현상제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회전력이 현상제 공급 용기(1)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와 커플링된 구동 부재로서 구동부(20)가 또한 제공된다. 구동부(20)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등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장치 주 조립체(100)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장치 주 조립체(100)에는 또한 토너 호퍼(201a)로 연결되는 토너 이송 경로(24)의 벽을 구성하는 격벽(25)이 제공된다. 격벽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일부분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지지하고 토너 이송 경로(24)의 외부와 내부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26a, 26b)가 끼워진다. 토너 이송 경로(24)에는 공급된 토너를 토너 호퍼(201a)로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27)가 제공된다.
도4의 (a)는 장치 주 조립체(100)로 방금 삽입되기 시작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도시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는 원통형 큰 직경부(1A)와 원통형 토너 출구 포트(작은 직경부)(1a)를 포함한다. 토너 출구 포트(1a)는 큰 직경부(1A)의 단부벽 중 하나로부터 돌출하고 이의 축선은 큰 직경부(1A)의 회전축과 대략 일치한다. 토너 출구 포트(1a)의 단부는 현상제가 배출되는 개구를 갖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와 연결되지 않은 때, 이 개구는 구동 전달 부재로 또한 작용을 하고 이하에 설명되는 밀봉 부재(2)로 밀봉된 상태로 남는다.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와 방금 결합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도시하는 도4의 (b)를 참조하면, 밀봉 부재(2)에는 밀봉 부재(2)의 팁에 위치된 수지제 스냅 끼움부가 제공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도4의 (b)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밀봉 부재(2)의 스냅 끼움부의 밀봉 부재 로킹 돌기(3)는 그 내부에서 로킹된 상태로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의 로킹 구멍 내에 위치한다. 구동부(20)와 돌기(3) 사이의 이 결합은 사용자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삽입함에 따라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삽입함에 따라, 밀봉 부재(2)의 로킹 돌기(3)의 상부면(접촉 압력 수용부)이 구동부(20)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더 삽입함에 따라, 가요성인 스냅 끼움부는 로킹 돌기(3)를 따라 아래로 절곡(변위)된 다. 따라서, 돌기(3)의 접촉 압력 수용부와의 접촉에 의해 로킹 돌기(3)에 인가되는 압력이 밀봉 부재(2)의 추가 삽입에 의해 제거됨에 따라, 로킹 돌기(3)를 지지하고 있는 밀봉 부재(2)의 스냅 끼움부는 이의 원래 탄력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회복되고, 즉 가압되어 유지된 상태로부터 벗어나서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 내에 밀봉 부재(2)가 스냅 끼움된 과정을 종결시킨다. 전자는 후자와 로킹된다.
이 결합 동안, 밀봉 부재(2)의 로킹 돌기(3)의 로킹면(3b)인 표면(3b)[도8 및 도9의 (a)]은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의 로킹 구멍으로 삽입되는 전진 방향(축방향)에 직각인 구동부(20)의 로킹 구멍의 벽과 결합한다. 다시 말해, 밀봉 부재(2)는 전진 방향으로 제 위치에 로킹된다. 따라서, 로킹 돌기(3)가 구동부(20)의 로킹 구멍의 벽으로부터 결합 해제되지 않는다면, 밀봉 부재(2)는 구동부(20)의 로킹 구멍 내에 위치설정된 채로 유지된다(작은 양의 유격은 존재할 수도 있다).
도4의 (c)는 서로 결합이 끝내고 토너 이송을 위한 준비가 된 밀봉 부재(2) 및 구동부(20)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용기 교체 전방 커버(15)가 밀봉 부재(2)와 구동부(20)의 결합 후에 더욱 폐쇄됨에 따라, 활주 부재(300)는 후방 즉 커버(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화살표(b)로 지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후방으로 또한 이동된다. 그러나, 밀봉 부재(2)는 장치 주 조립체에 의해 로킹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2)는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부분적으로 당겨져서, 이에 의해 출구(1a)를 밀봉 해제하고, 즉 토너 이송을 위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준비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모터가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전술된 상태에 있을 때 개시됨에 따라, 회전 구동력은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로부터 밀봉 부재(2)로 전달되어, 이에 의해 밀봉 부재(2)를 회전시킨다. 밀봉 부재(2)가 회전될 때, 밀봉 부재(2)로부터 토너 출구(1a)를 향해 돌출하는 구동 전달부(5)는 구동력을 출구(1a)의 내향측 상에 위치하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구동력 수용부(1b)에 전달한다. 결과적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는 그 내부에서 토너를 이송시키도록 회전되고, 이로부터 토너를 배출시킨다. 다시 말해, 밀봉 부재(2)는 토너 이송 출구(1a)를 밀봉시킬뿐만 아니라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수용하는 기능,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구동시키는 힘 및 수용된 구동력을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전달하는 기능을 또한 갖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1)는 용기 트레이(50)가 제공되는 병 지지 롤러(23)에 의해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이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하여 소량의 구동 토크만이 필요하다. 병 본체(1A)를 안착시키기 위해 4개의 상이한 지점에는 각각 하나씩 계획적으로 위치된 4개의 병 지지 롤러(23)가 있다. 병 지지 롤러(23)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토너 공급 장치(400)에 회전식으로 부착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회전될 때, 현상제 공급 용기(1)에서의 토너는 출구(1a)를 통해 점차적으로 배출되고, 이 배출된 토너는 토너 이송 경로(24)에서의 스크류(27)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의 토너 호퍼(210a)로 이송되며, 장치 주 조립체(100)에 토너가 공급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를 교체하는 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현상제 공급 용기를 교체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실질적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에서의 토너 전체가 화상 형성 과정에 의해 소비되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토너의 부재는 장치 주 조립체(100)에 제공되는 토너 부재 검출 수단(도시 않음)에 의해 검출되고,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정보 디스플레이 수단(100b; 도2 참조)을 통해 이러한 상황이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현상제 공급 용기(1)는 사용자에 의해서만 교체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교체하는 절차가 이하에 설명된다.
먼저, 폐쇄된 용기 교체 전방 커버(15)가 개방된다. 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대하여 힌지(18) 주위에서 회전된다. 전방 커버(15)가 개방되면, 도4의 (c)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병 본체(1A)는 전방 커버(15)의 이동에 의해 이동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토너 공급부를 개폐시키는 수단에 의해, 화살표 표시(a)에 의해 지시된 방향, 즉 도4의 (a)에서 화살표 표시(b)에 의해 지시된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병 본체(1A)로부터 부분적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유지되어 토너 이송 개구(1a)를 밀봉하지 않은 밀봉 수단(2)은 토너 출구(1a)내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토너 출구(1a)[도4의 (b) 참조]를 밀봉시킨다. 또한, 이러한 단계 동안, 밀봉 부재(2)는 화상 형성 주 조립체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후, 밀봉 부재 결합 해제 링은 밀봉 부재(2)의 밀봉 부재 로킹 해제 돌기를 내리누르도록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밀봉 부재(2)의 밀봉 부재 로킹 돌기는 구동부(20)의 로킹 구멍의 벽으로부터 결합 해제되어, 병 본체(1A)가 길이방향으로 후퇴되도록 하여,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밀봉 부재(2)를 커플링 해 제하는 공정을 완료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화살표(b) 방향, 즉 도4의 (a)에 도시된 화살표(a) 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결합 해제되는 빈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잡아당기게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도4의 (a)에서의 화살표(a)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내로 새로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삽입시키고, 용기 교체 전방 커버(15)를 폐쇄한다. 전방 커버(15)가 폐쇄되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와 결합되는 밀봉 부재(2)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전방 커버(15)의 폐쇄 이동에 의해 이동되는 출구(1a)를 개폐시키는 수단에 의해, 용기 본체(1A)의 외부로 잡아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토너 출구(1a)는 밀봉 해제된다(도4의 (c) 참조). 이는 주 조립체(100)의 채용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교체하기 위한 절차이다.
[현상제 공급 용기]
다음으로,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설명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는 대략 원통형이고, 병 본체(1A) 및 공급 이송 포트(1B)를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전자는 후자보다 직경이 더 크다. 공급 이송 포트(1B)는 병 본체(1A)의 일단부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돌출되고, 포트(1B)의 단부는 출구(1a)를 갖는다. 포트에는 출구(1a)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2)(커플링 구동 부재)가 제공된다. 도4의 (a) 내지 (c)를 참조하여 앞선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2)는 전방 도어(5)의 개폐식 이동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길이 방향(화살표 a방향 및 화살표 b방향)으로 단지 상대적인 관계로 활 주식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서, 출구(1a)를 밀봉 해제 및 밀봉시킨다.
밀봉 부재(2)의 팁부는 원통형이고, 로킹 돌기(들)(3)와 로킹 돌기(들)(3)를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2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돌기(들)(4)를 구비한다. 돌기(3, 4)를 구비하는 밀봉 부재(2)의 원통형부는 가요성이도록 구성되고, 이는 (원통형부의 기부로부터 원통형부의 팁으로 연장되어 밀봉 부재의 원통형 팁부의 탄성 변형을 돕는(향상시키는) 복수개의 슬릿을 갖고 이후에 설명되는)소위 스냅끼움식 구조로 불려진다. 로킹 돌기(들)(3)는 회전식 구동력이 현상제 공급 용기(1)로 전달되도록 구동부(20)와 결합된다. 밀봉 부재(2)의 구조는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먼저, 도6을 참조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내부 구조가 설명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현상제 공급 용기(1)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이고, 장치 주 조립체(100)에 대략 수평으로 위치된다. 이는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의 회전식 구동력을 수용함으로써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병 본체(1A)에는 배플링 부재(40)와 복수개의 대각선 리브(40a)가 있다. 배플링 부재(40)는 판형이고, 출구(1a)를 향해 병 본체에서의 토너를 이송시킨다. 대각선 리브(40a)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하면서, 배플링 부재(40)의 전방 및 후방면 모두에 부착된다. 대각선 리브(40a)들 중 하나는 출구(1a)의 에지와 접촉하게 위치되어서, 토너는 출구(1a)의 개구를 향해 병 본체 내에서 이송된 후에 출구(1a)를 통해 출구(1a)의 에지와 접촉하게 위치된 이러한 리브(40a)에 의해 병 본체로부터 배출된다. 병 본체에서의 토너 이송의 원리 및 병 본체로부터 배출된 토너 이송의 원리는 이하에 설명된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회전되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회전으로 인해 배플링 부재(40)에 의해 퍼담아진 토너의 본체는 배플링 부재(40)의 표면 상에 하강 활주되고, 대각선 리브(40a)에 의해 출구(1a)를 향해 안내된다. 이러한 순서를 반복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1)에서의 토너가 점차적으로 이송되고, 교반되며 최종적으로는 출구(1a)를 통해 배출된다. 판형상인 배플링 부재(40)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일체부가 아니다. 이는 배플링 부재 유지 리브(51)에 의해 용기 본체(1A)에 유지되고, 용기 본체(1A)와 함께 회전한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서의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내부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함에 따라 토너가 배출되는 한, 토너가 배출되는 병 본체의 내부 구조(내부 구성 요소들의 형상 및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토너를 이송시키는 내부 구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될 수도 있다. 도7에서의 병은 토너 공급 용기(1)의 병 본체의 내부면에 부착된 나선형 리브(1c)를 구비함으로 인해 나선형 병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토너 공급 용기(1)가 회전되면, 그 내부에서의 토너는 나선형 리브(1c)를 따라 활주되고, 이에 따라 축방향으로 점차로 이송되고, 토너 공급 용기(1)의 일단부에 위치된 출구(1a)를 통해 토너 공급 용기(1)로부터 배출된다.
<구동력 수용부>
다음에, 도8을 참조하여, 병 본체(1A)가 설명된다. 병 본체(1A)는 병 본체(1A)의 하나의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된 출구(1a)를 갖는다. 출구(1a)는 출구부(1a)의 내부면 상에 있고 병 본체(1A)의 일체형 부분인 복수개의 구동력 수용부(1b)를 갖는다. 구동력 수용부(1b)는 후술되는 밀봉 부재(2)의 구동 전달부(5)로부터 구동력을 수용함으로써 병 본체(1A)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출구부(1a)는 구동 전달부(5)에서처럼,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위치된 한 쌍의 구동력 수용부(1b)를 갖는다. 구동력 수용부의 수, 형상, 측정치(높이, 길이 등) 및 그에 대한 위치는 선택적인 것이고, 이들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8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1a)의 내부면은 계단부(1g)를 갖고, 이것의 상승부는 후술되는 구동 전달부(5)의 로킹면(5b)과 결합함으로써 밀봉 부재(2)가 활주하도록 허용하는 거리를 조절한다.
[밀봉 부재]
다음에,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20)로부터 커플링 해제되거나 또는 이와 커플링될 수 있는 커플러로서 또한 기능을 하는 밀봉 부재(2)의 구조가 설명된다.
도9의 (a) 및 (b)는 각각 우측 및 좌측에서 볼 때의 밀봉 부재(2)의 사시도이다. 도10의 (a)는 본 실시예의 밀봉 부재의 정면도이고, 도10의 (b)는 밀봉 부재의 좌측도이고, 도10의 (c)는 밀봉 부재의 우측도이고, 도10의 (d)는 밀봉 부재의 평면도이고, 도10의 (e)는 도10의 (b)의 평면 A-A에서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11은 토너가 이송되고 구동부(20)와 결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 공급 용기의 출구부 및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20)의 단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 조하면, 밀봉 부재(2)는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20)와 커플링하거나 또는 커플링 해제할 수 있는 원통형 커플러부(2c) 및 토너 공급 용기(1)의 출구부(1a)를 밀봉하거나 또는 밀봉 해제할 수 있는 밀봉부(2b)를 구비한다. 밀봉 부재(2)는 또한 밀봉부(2b)의 주연면 둘레에 끼워진 한 쌍의 시일(2a)을 구비한다. 각각의 시일(2b)의 외경은 출구부(1a)의 내경보다 적당한 양만큼 크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시일(2a)은 밀봉 부재(2)가 출구부(1a) 안으로 가압될 때 출구부(1a)에 의해 압축됨으로써 출구부(1a)를 밀봉한다. 따라서, 그들은 적당한 양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시일은 엘라스토머로 형성되고 2색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밀봉 부재(2)는 토너 공급 용기가 적절하게 기능을 하도록 순서대로 수행되어야 하는 몇몇 필수 기능을 수행한다. 밀봉 부재(2)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토너 공급 용기(1)를 밀봉 해제하도록 화상 형성 주 조립체와 결합시키는 것
2)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는 것
3) 수용된 구동력을 병 본체에 전달하는 것
4)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는 것
다시 말하면, 밀봉 부재(2)는 그 자체로 몇몇 중요한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요구되므로 상술된 독특한 구조가 주어진다.
이하에서,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밀봉 부재(2) 구조 각각의 특징적 태양이 상세히 설명된다.
[커플러부]
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는 전방 도어(5)의 근접 이동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20)와 커플링된 원통형 커플러(2c)를 갖고, 이에 의해 토너 공급 용기를 밀봉 해제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토너 공급 용기가 밀봉 해제된 후 구동부(20)로부터 회전력을 수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밀봉 부재(2)의 원통형 커플러(2c)는 수지로 형성된 복수개의 스냅 끼움부를 구비한다. 각각의 스냅 끼움부는 로킹 돌기(3)를 구비한다. 이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성되어, 토너 공급 용기가 주 조립체 안으로 삽입될 때 로킹 돌기(3)의 경사진 면(3c)이 구동부(20)와 접촉한 후에 토너 공급 용기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안으로 더 삽입되면서 커플러(2c)의 반경 방향에서 커플러(2c)의 내향으로 로킹 돌기(3)가 눌러지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한다. 스냅 끼움부는 또한 로킹 돌기 결합 해제 돌기(4)를 구비한다. 따라서, 돌기(4)는 로킹 돌기(3)가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커플러(2c)의 반경 방향에서 커플러(2c)의 내향으로 용이하게 눌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돌기(3, 4)는 원통형 커플러(2c)의 일체 부분, 특히, 커플러(2c)의 스냅 끼움부의 일체 부분이다.
한편,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에는 로킹 구멍(20h)이 제공되는데, 이 로킹 구멍(20h)은 밀봉 부재(2)의 돌기(3)가 구동부(20)와 로킹되도록, 즉 로킹 돌기(3)의 대각선 면(3b)이 구동부(20)의 구멍(20h)의 벽과 접촉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구동부(20)는 또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회전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리브(20a)를 구비한다. 이러한 리브(20a)는 돌기(3)의 구동력 수용면(3a)과 일대일로 접촉하게 되고, 돌기(3)를 구멍(20h) 안에 결합시킨 후 회전 구동력을 밀봉 부재(2)에 전달한다.
밀봉 부재(2)의 로킹 돌기(3)는 커플러(2c)의 스냅 끼움부의 일체 부분이며, 커플러(2c)는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 구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밀봉 부재(2)의 일체 부분이다. 로킹 돌기(3)는 커플러부(2c)의 반경 방향에서 밀봉 부재(2)의 커플러부(2c)의 주연면으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한다. 이는 밀봉 부재(2)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면(3a)과, 밀봉 부재(2)의 커플링부(2c)가 구동부(20)에 스냅식으로 끼워질 때 구동부(20)의 로킹 구멍(20h) 벽 중 하나와 결합하는 로킹면(3b)을 구비한다. 더욱이, 커플러(2c)는 돌기(3)가 구동부(20)의 로킹 구멍(20h) 안에 일대일로 스냅식으로 끼워지게 하기에 충분한 가요성 돌기(3)를 일대일로 커플러(2c)의 일부가 갖는 복수개의 슬릿(2e)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슬릿(2e)을 구비하여, 돌기(3, 4)가 도10의 (e)의 화살 표시(c)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눌러질 때, 돌기(3, 4)를 구비한 커플러(2c)의 일부는 화살 표시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용이하게 변형되게 한다. [그 후에, 돌기(3, 4) 상의 압력이 제거되면서 그들의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다시 말하면, 밀봉 부재(2)는 세 가지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고, 즉, 그의 커플러(2c)는 장치 주 조립체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연결하고, 그 구동력 수용면(3a)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고 그 수용된 회전력을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전달하고, 그 로킹면(3b)은 밀봉 부재(2)가 출구(1a)를 밀봉 해제하는 것과 관련해서 활주식으로 이동될 때 밀봉 부재(2)가 병 본체(1A)로부터 완전히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로킹 돌기(3)의 선단부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 안에 장착될 때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 안으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경사진다[대각선면(3c)]. 도11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되듯이, 대각선면(3c)은 로킹 돌기(3)가 커플러(2c)의 내향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는 면이다. 특히,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 안으로 가압될 때, 먼저, 대각선면(3c)은 구동부(20) 벽의 에지와 접촉하게 된다. 그 후,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 안으로 더 가압될 때, 대각선면(3c)은 로킹 돌기(3)가 커플러(2c)의 반경 방향으로 커플러(2c) 안으로 눌러지도록 하고,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 안으로 더 삽입되게 한다. 그 후에,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 안으로 더 삽입될 때, 로킹 돌기(3)는 구동부(20) 안으로 더 깊이 이동되면서 커플러(2c)의 내향으로 더 눌러진다. 결과적으로, 대각선면(3c)은 구동부(20) 벽과의 접촉을 상실하고, 로킹 돌기(3)의 상부면은 구동부(20)의 벽과 접촉하게 된다. 그 후,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 내부로 더 삽입됨에 따라, 로킹 돌기(3)는 구동부(20)의 로킹 구멍(20h) 내부로 이동하여, 로킹 돌기(3)를 가지는 커플러(2c)의 가요성 부분이 그 정상 위치로 스프링 백(spring back)하는 것을 허용하여서, 밀봉 부재(2)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구동부(20)]와 로킹시킨다.
밀봉 부재(2)의 커플러(2c)와 구동부(20) 사이의 결합의 완료 후에, 밀봉 부 재(2)는 전술된 전방 도어(5)의 폐쇄 이동의 최종 단계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병 본체(1A) 밖으로 당겨지는 방향으로 이동(활주)된다. 그 결과로서, 출구(1a)는 밀봉 해제되고, 즉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토너 배출 준비가 되어진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출구(1a)는 밀봉 부재(2)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의해 적절한 위치에서 로킹된 상태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 내부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에서 병 본체(1A)를 후퇴 또는 전진시킴으로써, 자동으로 밀봉 해제 또는 밀봉된다.
<로킹 해제 돌기>
이어서, 로킹 돌기(3) 또는 커플링 돌기와 쌍을 이루는 로킹 해제 돌기(4) 또는 커플링 해제 돌기가 설명될 것이다. 커플링 해제 돌기(4)는 토너 공급 용기(1)를 재위치시키기 위해 밀봉 부재(2)를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로부터 결합 해제시키기 위한 돌기이다. 밀봉 부재(2)는 토너 공급 용기를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다른) 하나를 장치 주 조립체(100)에 위치시키기 위해 구동부(20)로부터 결합 해제되어야만 한다.
커플링 해제 돌기(4)는 커플링 돌기(3)를 구동부(20)로부터 결합 해제시키도록 위치 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의 커플링 해제 링(21)이 병 본체(1A)를 향해 활주됨에 따라, 커플링 해제 돌기(4)는 커플링 해제 링(21)에 의해 커플러(2c)의 반경 방향에서 커플러(2c)의 안쪽으로 눌러진다. 그 결과로서, 커플링 돌기(3) 및 커플링 해제 돌기(4)를 가지는 커플러(2c)의 일부분은 커플러(2c)의 안쪽으로 탄성적으로 굴곡되어, 커플링 돌기(3)가 구동부(20)의 로킹 구멍(5h) 밖으로 이동[구동부(20)로부터 결합 해제]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밀봉 부재(2)의 커플러(2c)에는 커플러(2c)에 커플러(2c)의 원주 방향에서 커플러(2c)를 균등하게 분할하는 4개의 슬릿을 제공함으로써 생성되는 4 개의 가요성 부분 각각에 대해 1쌍씩, 4쌍의 커플링 돌기(3)와 커플링 해제 돌기(4)가 제공된다. 그러나, 커플링 돌기(3) 및 커플링 해제 돌기(4) 쌍의 개수 및 그 위치 선정 등은 선택적이다. 이는 2 개 또는 3 개만 혹은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밀봉 부재(2)의 커플링 및 커플링 해제의 세부 설명은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될 것이다.
<구동 전달부>
이어서, 밀봉 부재(2)의 필수 기능 중 하나 즉,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병 본체(1A)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밀봉 부재(2)의 구동 전달부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9 및 도10을 참조하면, 밀봉 부재(2)에는 밀봉 부재(2)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를 구성하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A)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전달부들)(5)가 제공된다. 구동 전달부(5)는 병 본체(1A)의 출구 부분의 내측면의 곡률과 정합하는 곡률을 가지고, 출구 부분의 내측면을 따라 밀봉부(2b)로부터 밀봉 부재(2)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거의 사각형인 판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 전달부(5)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원주 방향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구동력 수용부(1b)와 구동 전달부(5) 사이에 특정량의 유격이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즉, 구동 전달부(5) 및 구동력 수용부(1b)는 구동 전달부(5)가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에 의해 회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구동 전달부(5)가 구동력 수용부(1b)와 결합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밀봉 부재(2)가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와 커플링되는 밀봉 부재(2)에 의해 수용되는 구동력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병 본체(1A)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각도로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되도록 구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구동 전달부(5) 및 구동력 수용부(1b)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구동 전달부(5)의 로킹 판(5b)의 치수 및 구동력 수용부(1b)의 치수가 구동력이 구동 전달부(5)와 구동력 수용부(1b)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전달되고 수용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작게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밀봉 부재(2)에는 복수개의 구동 전달부(5)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기 본체(1A)에는 그 개수 및 위치 선정에 있어 복수개의 구동 전달부(5)와 정합하는 복수개의 구동력 수용부(1b)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밀봉 부재(2)에는 밀봉 부재(2)의 축선에 대해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 선정된 한 쌍의 구동 전달부(5)가 제공되어, 밀봉 부재(2)에 180°보다 약간 작은 회전 유격을 제공한다.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구동 전달부(5)의 제공으로, 밀봉 부재(2)는 밀봉 부재(2)가 출구(1a)가 밀봉 해제되는 위치에 있게 될 때 그 자세에 있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구동력은 밀봉 부재(2)로부터 용기 본체(1A)로 신뢰성있게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 부재(2)에 두개의 구동 전달부(5)를 제공하는 경우, 두 개의 구동 전달부(5)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축선에 대해 서로 개략적으로 대향되도록 위치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두 개의 구동 전달부(5)는 그 들의 정확한 대향 위치로부터 한 쌍의 구동 전달부(5)의 각도에 있어서의 편차가 ±10°내가 되도록 위치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적 배열체의 제공으로, 두 개의 구동 전달부(5)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축선에 대해 서로 정확하게 대향되는 경우 획득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비교로서, 밀봉 부재(2)에 3 개의 구동 전달부(5)를 제공하면, 3 개의 구동 전달부(5)는 이 중 두 개가 모두 나머지 하나로부터 180°내인 방식으로 위치 선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구조적 배열체의 제공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 및 장치 주 조립체(100)의 현상제 공급 용기 트레이(50)(도3 및 도4 참조) 등이 제조 에러 또는 조립 에러에 기인한 약간의 결함을 가지는 경우에도, 커플러로서 밀봉 부재(2)에 의해 수용되는 회전력은 현상제 공급 용기(1)에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조 에러 및/또는 조립 에러에 기인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축선과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용기 트레이(50)에 의해 지지되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지점 사이의 거리에 있어서 특정량의 편차가 존재하는 경우, 즉,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의 회전축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회전축과 정확하게 정렬될 수 없는 경우에도, 편차는 밀봉 부재(2)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밀봉 부재(2)가 전술된 편차를 극복하면서 회전력을 현상제 공급 용기(1)로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밀봉 부재(2) 및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20)는 구동 전달부(5)가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에 의해 회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구동 전달부(5)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A)의 구동력 수용부(1b)와 일대일 접촉하게 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밀봉 부재(2)가 30°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구동 전달부(5)에는, 구동 전달부(5)의 측면들 중의 하나이며 회전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면(5a)이 구비된다. 구동력은 구동면(5a)과 구동력 수용부(1b)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전달된다. 구동력 수용부(1b)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구동 전달부(5) 각각의 위치설정이다. 도10의 (d)를 참조하면, 구동 전달부(5)는 밀봉 부재(2)의 회전축(X-X)의 근방에 위치되는 대신에 밀봉 부재(2)의 회전축(X-X)으로부터 가능한 한 멀리, 예컨대 밀봉 부재(2)의 회전축(X-X)으로부터 R(밀봉 부재의 반경)과 동일한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의 회전축과 일치하는 회전축을 갖는 정방형 샤프트를 구동 전달 수단으로 채용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의 경우에는(참조 특허 문헌1), 정방형 샤프트의 회전축과 정방형 샤프트의 주연면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짧아서, 병 본체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회전 모멘트는 "인가된 힘 ×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와 같기 때문에 병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해 정방형 샤프트에 인가되어야 하는 토크는 비교적 커야 한다. 그러므로, 정방형 샤프트, 또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 전달부에는 비교적 큰 회전력이 가해진다. 그 결과, 정방형 샤프트는 종종 영구적으로 뒤틀리게 되어, 밀봉 부재에 부적절한 밀봉을 야기시킨다.
이에 비해, 구동 전달부와 구동력 수용부(1b) 사이의 접점이 밀봉 부재(2)의 회전축으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반경 방향으로 상당히 떨어져 있는 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회전시키는데 비교적 작은 토크가 필요하다. 더욱이, 구동 전달부를 밀봉 부재(2)의 축선으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지점에서 구동력 수용부와 접촉하게 하는 것은 두 개 이상의 구동 전달부를 갖는 밀봉 부재(2)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그들의 상승 효과는 구동력의 전달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정방형 구멍과 정방형 샤프트의 조합을 이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동 전달 수단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 본체의 중량에 의해 비록 약간일지라도 정방형 샤프트가 영구적으로 뒤틀리게 된다면 밀봉 부재(2)가 자체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를 수반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밀봉 부재(2)의 경우에는, 밀봉 부재(2)의 구동 전달부(5)가 인가된 토크에 의해 영구적으로 변형된 후일지라도 구동 전달부(5)는 출구부(1a)의 반경 방향에서 볼 때 출구(1a)의 내측으로 구부러질 수 있어, 구동 전달부(5)와 출구(1a) 사이의 마찰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밀봉 부재(2)가 출구(1a)를 밀봉하는 것이 곤란해 지지 않아, 밀봉 부재(2)는 출구(1a)를 원활하게 밀봉하거나 밀봉 해제할 수 있다.
밀봉 부재(2)에 대한 전술한 구성은 구동력이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만족스럽게 전달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치 주 본체의 구동 기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용량이 크고 무거운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회전 구동할 필요가 있을 때, 밀봉 부재(2)에 대하여 전술한 구성은 극히 좁은 공간, 즉 밀봉 부재(2)와 출구(1a)의 조합에 의해 제공된 공간 내에서 가능한 한 큰 회전력을 전달하려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구동 전달부(5)의 폭(b)과 두께(t)는 구동 전달부(5)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를 견디기에 충분한 값으로 설정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이들이 소정 값보다 크면, 출구(1a)를 통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로의 현상제 유동(배출)이 구동 전달부(5)에 의해 방해 받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구동 전달부(5)의 크기는 구동력을 만족스럽게 전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구동 전달부(5)는 현상제 이송 포트(1B)의 내측면의 곡률반경과 매칭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며, 또한 구동부(20)의 구동력 전달 리브(20a)와 구동 전달부(5) 사이에 소정량의 유격을 갖게 될 뿐만 아니라 구동 전달부(5)가 현상제 이송 포트(1B)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구동 전달부(5)는 현상제 이송 포트(1B)의 밀봉 또는 밀봉 해제 동안에 구동 전달부(5)가 현상제 이송 포트(1B)의 내측면 상의 구동력 수용부(1b)를 제외한 현상제 이송 포트(1B)의 내측면과 접촉하게 되지 않도록(그 위에서 활주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 전달부(5)는 현상제 이송 포트(1B)의 출구(1a)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2)가 출구(1a)를 밀봉 해제하도록 활주 이동할 때, 전술한 역할 이외에도, 현상제 이송 포트(1B) 내의 압착된 현상제를 흐트러뜨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재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출구(1a)는 용기 본체(1A)의 일부분이며, 이 출구를 통해 용기 본체(1A) 내의 현상제가 배출되므로 대부분이 더러워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더러워지는 것을 최소화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출구(1a)의 직경은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출구(1a)의 직경이 작을수록 소위 폐색(blocking), 즉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선적 등의 동안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현상제가 출구(1a) 내에서 압착되기 시작하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 종종 출구(1a)가 밀봉 해제된 후에도 현상제가 쉽게 배출(공급)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전달부(5)는 출구(1a)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출구(1a)를 밀봉 해제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밀봉 부재(2)가 활주 이동됨에 따라, 밀봉 부재(2)가 출구(1a)를 폐색하는 현상제는 구동 전달부(5)의 이러한 활주 이동에 의해 흐트러져서,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현상제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도12는 출구(1a) 내에 압착된 현상제가 어떻게 흐트러지는가를 도시한다. 도12의 (a)는 밀봉 부재(2)에 의해 밀봉된 출구(1a)를 도시하며, 도12의 (b)는 밀봉 부재가 출구(1a)를 밀봉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의 출구(1a)를 도시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A)가 이동함에 따라, 구동부(20)에 의해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축방향에서의 제위치에 로킹된 밀봉 부재(2)가 출구(1a)에 대해 활주 이동함으로써 출구(1a)를 밀봉 해제함과 동시에, 자체의 구동 전달부(5)에 의해 출구(1a) 내에 압착된(따라서 출구(1a)를 폐색하고 있는) 현상제를 흐트러뜨린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현상제는 출구(1a)가 밀봉 해제되는 즉시 원할하게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20) 및 밀봉 부재(2)는,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에 의해 회전할 때 밀봉 부재(2)의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 내의 구동력 수용부(1b)와 접촉하여 구동력 수용부(1b)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2)의 활주 이동만으로는 압착된 현상제를 흐트러뜨리기에 불충분할 정도로 현상제가 출구(1a) 내에 견고하게 압착되는(출구(1a)를 폐색하는) 경우, 구동 전달부(5)와 구동력 수용부(1b) 사이의 접촉에 의한 충격이 출구(1a)를 폐색하고 있는 현상제를 흐트러뜨리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도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전달부(5)를 구성함으로써, 폐색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을 더욱 경감시킬 수 있다.
구동 전달부(5)를 도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면, 압착된 토너가 밀봉 부재(2)의 활주 이동에 의해 흐트러질 수 있는 영역이 더 넓어지는 반면, 구동 전달부(5)를 도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면, 밀봉 부재(2)의 회전시에 토너가 뒤섞이는 영역이 더 넓어진다.
또한, 그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의 내향으로 돌출되도록 밀봉 부재(2)를 구성함으로써 현상제 공급 용기(1) 및 현상제 공급 장치의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구동력이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구(1a)내에서 전달되는 것이 요구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면, 출구(1a) 외부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생각할 때 떠오르는 가능한 방법들 중 하나는, 출구를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즉, 출구(1a)에 내측 실린더 및 외측 실린더를 제공하고,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그 안에 구동력 수용 리브(b)를 배치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배치는 출구(1a)의 직경을 외측 실린더의 직경에 비례하는 양만큼 더 크게 하여, 출구(1a)를 밀봉하기 위해 현상제 공급 장치의 밀봉 부재(26a, 26b)를 확대하는 것을 필요하게 한다. 즉, 이러한 구조적 배치는 조밀한 현상제 공급 용기(1) 및 조밀한 현상제 공급 장치를 설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상제 공급 용기(1) 및 현상제 공급 장치의 크기 및 비용은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출구(1a) 내부에 구동 전달부(들)(5)를 배치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2)가 출구(1a)를 재밀봉하도록 활주 이동될 때, 현상제 보충으로 인해 현상제로 더럽혀진 구동 전달부(5)의 표면은 용기 본체내로 자동 후퇴된다. 따라서, 더럽혀진 표면이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므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교환할 때 작동자가 현상제로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제거된다. 즉, 본 발명은 유용성면에서 우수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효과들이 구현될 수 있는 한, 구동 전달부(5)의 수, 위치선정, 및 구조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다를 수도 있다. 즉, 밀봉 부재에는 복수개의, 예를 들면, 세 개, 네 개 등, 또는 단 하나의 구동 전달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는 한 이들이 선택될 수도 있다.
또한, 현상제 공급 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하게 위해, 구동 전달부(들)(5)에는 다음 설명될 리브(5b)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구동 전달부(들)(5)에는, 구동 전달부(5)의 팁부에 위치되어 밀봉 부재(2)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5b)가 제공된다. 리브(5b)는, 출구(1a)의 내측면의 상술된 계단부(1g)의 상승부(riser portion)와 결합됨으로써, 밀봉 부재(2)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출구(1a)의 외향으로 활주 이동되는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리브(5b)에는 표면(5a) 및 표면(5b)이 제공된다. 표면(5a)은 리브(5b)(구동 전달부(5))가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b)의 구동력 수용부(1b)와 결합되는 표면이고, 표면(5b)은 밀봉 부재(2)가 출구(1a)의 외향으로 활주 이동되는 거리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동 전달부(5)(밀봉 부재(2))가 출구(1a)와 결합되는 표면이다. 또한, 구동 전달부(5)는 가요성이 있어서, 리브(5b)를 갖는, 밀봉 부재(2)의 구동 전달부(5)의 부분이 현상제 공급 용기(1)내로 삽입될 때 밀봉 부재(2)의 축선쪽으로 임시적으로 절곡되나, 리브(5b)를 갖는 부분이 출구(1a)로 완전히 도입되는 즉시 정상 상태로 스냅식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출구(1a)의 내측면에는 그 상승부가 돌기(5b)와 결합되는 계단부(1g)(도8)가 제공된다. 이 계단부(1g)가 존재함으로써, 밀봉 부재(2)가 소정의 이유로 출구(1a)의 외향으로 약간 이동된다면, 구동 전달부(5)의 리브(5b)는 계단부(1g)에 의해 포획되어, 밀봉 부재(2)가 출구(1a) 외부로 완전히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구동 전달부(5)는 스냅 끼움을 위해 충분히 가요성으로 만들어진다. 즉, 구동 전달부(5)는 밀봉 부재(2)가 출구(1a)내로 삽입될 때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로 매끄럽게 도입되게 하도록 구동 전달부(5)가 밀봉 부재(2)의 축선쪽으로 가요성 절곡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일단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로 완전히 도입되면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 외부로 활주되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게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팁부에 리브(5b)를 갖는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 내로 스냅 끼움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 있도록 구성된다는 것이다.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내로 스냅 끼움될 수 있도록 구동 전달부(5)를 구성하는 것의 장점은 밀봉 부재(2)의 추력 방향 (축방향)의 면에서, 출구(1a)의 외향으로의 밀봉 부재(2)의 이동이, 단순히 출구(1a)의 내측면에 매우 작은 계단부(1g)를 제공함으로써, 확실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구동 전달부(5)가 출구(1a)내로 스냅 끼움될 수 있도록 구동 전달부(5)를 구성하는 것은 그 벽이 상대적으로 얇아서 단지 매우 작은 계단부(1g)를 제공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출구(1a)의 일체형 부분으로서도 계단부(1g)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동 전달부(5) 및 출구(1a)는 밀봉 부재(2)가 출구(1a) 외부로 활주되지 않는 것을 더욱 보장하도록, 서로 결합되는 리브(5b)의 표면과 출구(1a)의 계단부(1g)의 상승부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질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리브(5b)가 제공됨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100)에 현상제를 공급할 때 사용자가 다소 서투를지라도, 밀봉 부재(2)가 출구(1a) 외부로 활주됨으로써 구동력이 전달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즉, 현상제 공급 용기(1)의 밀봉 부재(2)의 구동 전달부(5)에 상술된 리브(5b)를 제공함으로써, 현상제가 현상제 공급 용기(1)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100) 내로 매끄럽게 공급되는 것이 보장된다.
상술된 밀봉 부재(2)는 사출 성형에 의해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밀봉 부재(2)용 재료 및 제조 방법은 선택 가능하다. 또한, 밀봉 부재(2)는 단일 편으로, 또는 서로 접합되는 복수개의 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밀봉 부재(2)는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러로서 기능하는 것뿐만 아니라, 출구(1a) 내로 가압됨으로써 출구(1a)를 밀봉하도록 요구되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강도 및 탄성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물질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선형 폴리아미드, 나일론(상용 명칭),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ABS, HIPS(고 충격저항성 폴리스티렌) 등이 양호하다.
상술된 물질과 같은 수지 재료로 밀봉 부재의 주 구조를 형성하고 엘라스토머와 같은 상대적으로 연성인 물질로 밀봉 부재의 밀봉부만을 형성하도록 2색 사출 성형을 사용하는 것은 명백히 가능하다. 이 제조 방법은 양호한데, 왜냐하면 이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연성 물질로 밀봉 부재의 실제 밀봉부를 형성하여, 밀봉 능력이 우수하고 또한 출구(1a)를 개방하기 위해 밀봉 부재를 활주 이동시키도록 요구되는 힘의 양이 작은 밀봉 부재를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실시예에서, 2색 사출 성형을 이용하여, 밀봉 부재(2)의 주 구조가 ABS 수지로 형성되고, 밀봉 부재(2)의 실제 밀봉부만이 엘라스토머로 형성된다.
다음, 도14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서 구동부(20)와 밀봉 부재(2)가 어떻게 서로 결합되는지가 설명된다. 도14a는 새로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설치되도록 화살표 a 방향으로 사용자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100)내로 삽입되는 단계, 즉,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서 구동부(20)와 결합되기 전의 단계를 도시한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도14의 (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장치 주 조립체(100)내로 더 삽입되면, 밀봉 부재(2)의 로킹 돌기(3)의 대각선 표면(3c)은 구동부(20)와 접촉하게 되고, 그 다음, 로킹 돌기(3)는 밀봉 부재(2)의 축선쪽으로 점차 가압되며, 로킹 돌기(3)를 갖는 밀봉 부재(2)의 부분은 도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쪽으로 가요성 절곡된다.
다음에, 도14의 (c)를 참조하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계속 삽입됨에 따라, 대각선 표면(3c) 상에 있는 밀봉 부재(2)와 구동부(20) 사이의 접촉점은 로킹 돌기(3)의 직선 상부면으로 점진적으로 상향 이동되어 직선 상부면을 가로지른다. 그 후에, 접촉점이 직선면의 후방 단부를 지나 이동하는 순간, 로킹 돌기(3)와 구동부(20) 사이의 접촉이 소멸되고, 로킹 돌기(3c)는 구동부(20)의 (도11의)리브(20a) 사이에 있는 구동부의 주연 방향에 대한 구동부(20)의 밀봉 부재 로킹 구멍(20h) 내로 끼워질 수 있다. 결국, 로킹 돌기(3)를 갖는 밀봉 부재(2)의 가요성 부분은 정상 상태로 되돌아가 스냅 끼움을 가능케 하여 구동부(20)에 로킹 돌기(3; 밀봉 부재(2))를 로킹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로킹 돌기(3)는 구동부(20)에 견고하게 로킹되어, 추력 방향(축방향)에 관하여 장치 주 조립체에 대해 밀봉 부재(2)의 위치를 선정한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이후에 후방, 즉 도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의 방향으로 당겨질 때, 밀봉 부재(2)는 구동 부재(20)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잔류하여 현상제 공급 용기(1)와 함께 화살표(b)의 방향으로 후퇴되지 않는다.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A)만이 후퇴되기 때문에, 밀봉 부재(2)는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외부로 이동되어 출구(1a)의 밀봉을 해제한다. 또한, 삽입 또는 후퇴 방향으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활주 이동시키는 기구는 개방 또는 폐쇄 방향으로 장치 주 조립체(100)의 현상제 공급 용기 교체 전방 커버(15)를 이동시키는 기구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밀봉 부재(2)를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해 활주 이동시키는 기구는 밀봉 부재(2)가 제 위치에 로킹되어 유지되는 동안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활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구는 밀봉 부재(2) 및 현상제 공급 용기(1) 모두가 서로에 대해 활주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교체하기 위해 장치 주 조립체에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장착하는 상기 단계(결합 및 밀봉 해제 단계)들을 역으로 수행하기만 하면 된다.
[구동부로부터 밀봉 부재의 결합을 해제하는 방법]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용기로부터 현상제가 이송되어) 현상제가 전부 소모되면, 빈 현상제 공급 용기(1)는 제거되고 새로운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에 장착되어야 한다. 빈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제거하기 위해, 용기의 밀봉 부재(2)는 구동부(20)에서 결합 해제되어야 한다. 다음에, 도15에서, 밀봉 부재 로킹 돌기(3c)를 장치 주 조립체(100)에서 결합 해제하는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도15의 (a)는 내부의 현상제가 완전히 소모되어 용기의 출구(1a)가 개방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도시한다. 용기 교체 전방 커버(15)는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도15의 (a)에 도시된 상태일 때 개방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1A)는 전방 커버(15)가 이동함에 따라 화살표(b)의 방향으로 활주 이동되어, 밀봉 부재가 출구(1a)를 재밀봉하고 밀봉 부재 결합 해제 링(21)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활주하게 한다. 결합 해제 링(21)이 활주함에 따라, 밀봉 부재 결합 해제 돌기(4)는 결합 돌기(3)는 물론, 결합 해제 돌기(4)를 갖는 밀봉 부재(2)의 일부를 가요성 절곡하여 밀봉 부재(2)의 축선을 향하여 가압한다. 그 결과, 구동부(20)와 돌기(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다음에, 도15의 (c)를 참조하여, 전방 커버(5)가 더욱 개방될 때,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A)는 전방 커버(5)를 폐쇄시키는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위치로 활주된다.
장치 주 조립체(100)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교체하기 위해 밀봉 부재 결합 해제 링(21)이 개구에 결합하거나 장치 주 조립체(100)의 전방 도어를 폐쇄하도록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으며, 특히 결합 해제 링(21)이 전방 커버(15)를 개방하도록 이동함에 따라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되어 밀봉 부재(2)가 구동부(20)에서 결합 해제되는 구조일 수 있는 반면, 전방 커버(15)가 폐쇄될 때 결합 해제 링(21)이 화살표(b)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조일 수 있다. 대신에, 결합 해제 링(21)은 전방 도어(15)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독립적인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어서, 전방 도어(15)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해제 링(21)은 수동 레버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링(21)이 장치 주 조립체(100)의 현상제 공급 용기 교체 전방 도어(15)와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수동 레버의 이동은 전방 도어(15)의 이동과 독립적이다. 다시 말하면, 밀봉 부재 결합 해제 링(21)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선택적이다.
<전술된 실시예의 변경예>
이후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경예가 도1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제1 실시예의 변경예에서, 전술된 제1 실시예의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주 조립체의 구성 요소, 부재, 부분 및 현상제 공급 용기는 제1 실시예에 주어진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16을 참조하면, 제1 변경예에서, 구동 전달부(5)를 갖는 커플러는 밀봉 부재와는 독립적이다. 또한, 그러한 구조 배열은 제1 실시예의 구조 배열이 제공하는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플러(2c)의 로킹 돌기는 장치 주 조립체(100)의 구동부(20)와 로킹됨으로써 회전 구동력을 수용하고, 수용된 회전 구동력은 구동 전달부(5)에 의해 용기 본체로 전달된다. 또한, 본 변경예에서, 구동 전달부(5) 및 그 대응부, 즉 용기 본체의 구동력 수용부(1b)는 구동 전달부(5)가 장치 주 조립체(100) 구동부(20)의 구동 전달부(50)가 회전하기 시작하는 순간과 구동 전달부(50)가 구동력 수용부(1b)와 접촉하는 순간 사이의 기간 동안 충분한 각도로 회전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가 배출되는 출구(1a)는 셔터(200)를 구비하여, 셔터(200)가 출구(1a)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셔터(200)는 구동 전달부(5)와 독립적이어서, 출구(1a)는 장치가 사용될 때, 필요한 경우에 개방 또는 폐쇄된다.
다시 말하면, 구동 전달부(5)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밀봉 부재와 일체로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본 변경예에서는 구동 전달부(5)가 밀봉 부재와 독립적일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 구조를 단순화시키기 위해, 구동 전달부(5)가 밀봉 부재와 일체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다른 변경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의 커플러부는 가요성으로 구성되어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스냅 결합한다. 그러나, 밀봉 부재의 커플러부의 구조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공지된 커플링 기구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밀봉 부재는 커플링 구동부로 커플링 로드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브를 갖는 커플링 로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는 내부가 밀봉 부재의 리브와 정합하는 홈을 갖는 중공 원통형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밀봉 부재에 의한 현상제 공급 용기의 자동 밀봉 해제 또는 재밀봉에 대해서, 현상제 공급 용기의 출구의 밀봉 해제 및 재밀봉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장치 주 조립체의 구동부와 스냅 끼워지도록 밀봉 부재가 가요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술된 제1 실시예의 토너 공급 용기의 성능 및 그 변형이 토너 공급 용기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시험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대한 시험 1>
용기가 완전히 비워지기 전에 현상제 공급 용기가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된 상태를 고려하여 이하의 시험이 수행되었다.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는 2,000 g의 토너로 충전된 후,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설치되었다. 그 다음,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A)는 토너를 배출하도록 소정의 회전수(30 rpm)로 회전 구동되었다.
토너는 간헐적으로 배출되었다. 현상제 공급 용기(1)가 1초 간격으로 2초 동안 2회 회전되었다. 그 다음,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되었을 때 용기 본체(1A)를 재밀봉하도록 밀봉 부재에 요구되는 힘의 양이 측정되었다.[밀봉 부재(2)를 출구(1a) 내로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이 측정되었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재밀봉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은 13.72 N(1.4 kgf)이었다.
<비교예에 대한 시험 1>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종래 기술(특허 문헌 1)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는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서와 같은 토너로 충전된 후, 선행된 시험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회전 구동되었다. 그 다음, 용기 본체(1A)를 밀봉 부재(2)로 재밀봉하는데 필요한 힘의 양이 측정되었다.
용기 본체(1A)를 밀봉 부재(2)로 재밀봉하는데 필요한 힘은 71.5 N(7.3 kgf)이었다.
전술된 2개의 시험으로부터의 결과를 비교하면, 밀봉 부재(2)가 토크를 받을 때에도, 예컨대 비워지기 전에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장치 주 조립체(100)로부터 제거된 직후에도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밀봉 부재(2)로 원활하게 재밀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는 비워지기 전에도 문제없이 제거될 수 있었다.
이와 비교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1)는 밀봉 부재(2)로 용이하게 재밀봉될 수 없었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상당량의 힘이 전방 커버를 개방하기 위해 이에 가해져야 했다. 더욱이, 제거된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출구(1a)는 밀봉 부재(2)와 완전히 밀봉되지 않아서, 출구(1a)와 밀봉 부재(2) 사이의 간극을 통해 현상제가 누설되었다.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한 시험 2>
다음으로, 출구가 현상제로 폐색된 후 현상제가 배출될 수 있는 용이성의 수준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를 비교하기 위해 이하의 시험이 수행되었다.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는 시험 1에서와 같이 2,000 g의 토너로 충전되고, 이 용기는 출구(1a)가 하향으로 대면하도록 수직으로 위치 선정되었다. 그 다음, 온도 및 상대 습도가 각각 40 ℃ 및 90 %인 고온-고습 환경에서 40일 동안 방치되었다.
고온-고습 환경에서 40일 동안 방치한 후에는,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토너가 상당량의 습기를 흡수하여 유동성이 매우 낮았다고 가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출구(1a)가 하향으로 대면하도록 현상제 공급 용기(1)가 수직으로 위치 선정되기 때문에 출구(1a) 내의 토너가 중력으로 인해 매우 압착되었다고 가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현상제 공급 용기(1)를 전술된 혹독한 환경에 방치한 후, 현상제 공급 용기(1)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 내에 서서히 설치된 후, 즉 흔들지 않고 설치된 후, 현상제 공급 용기(1)의 용기 본체(1A)는 토너를 배출하도록 소정의 회전수(30 rpm)로 회전 구동되었다. 용기 본체(1A)가 회전되기 시작하자 마자, 토너는 소정의 비율로 원활하게 배출(공급)되기 시작했다.
<종래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한 시험 2>
도16 및 도17에 도시된 종래 기술(특허 문헌 1)에 따른 현상제 공급 용기는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한 시험 2에서와 같은 토너로 충전된 후, 선행된 시험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회전 구동되었다. 토너는 최초 200초 정도 동안 전혀 배출되지 않았고, 그 다음, 출구(1a) 내의 토너는 흐트러지기 시작하였다. 그 다음, 현상제 공급 용기(1)가 회전되기 시작한 후에 230 정도 후에 토너가 적절히 배출되기 시작하였다.
2개의 시험 2를 비교하면 이하가 명백하였다. 즉, 제1 실시예의 밀봉 부재(2), 즉 구동 전달 부재(들)(5)를 갖는 밀봉 부재(2)의 경우에, 활주식으로 이동되자 마자, 출구(1a) 내에 압착되었던 토너가 흐트러지기 시작하였다. 즉, 압착된 토너에 의한 출구(1a)의 폐색이 즉시 해제되었다. 따라서, 토너 배출 단계의 맨 처음부터 문제없이 토너가 원활하게 배출되었다.
이와 비교하면, 종래의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경우, 최초 200초 정도 동안 사실상 토너가 배출되지 않았다. 즉, 최초 200초 정도 동안,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토너는 압착되어 있었다. 그 다음, 용기 본체(1A)의 회전이 개시되기 때문에 대략 230초 후에, 토너는 흐트러지고 배출되기 시작하였다.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에 대한 시험 2는, 제1 실시예의 현상제 공급 용기(1)의 경우에, 현상제 공급 용기(1)가 방치되는 환경의 혹독한 조건으로 인해 현상제 공급 용기(1) 내의 토너가 브릿지하더라도(bridge), 토너 배출 단계의 초기부터(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가 회전되기 시작하자 마자) 적절한 비율로 토너가 배출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이하의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의 구성 요소 및 그와 관계된 구성 요소의 측정 및 조립 시 에러가 있더라도, 장치 주 조립체로부터 현상제 공급 용기로 회전 구동력이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다.
비교적 큰 용량의 현상제 공급 용기에 대해서도 구동력이 신뢰성 있게 전달될 수 있다.
밀봉 부재가 현상제 공급 용기를 밀봉 해제 또는 재밀봉하도록 원할하게 이동될 수 있어서, 사용성이 우수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현상제 공급 용기의 현상제 이송 포트[출구(1a)]가 그 내부의 현상제로 폐색되더라도, 포트를 밀봉 해제하기 위한 밀봉 부재의 활주 이동 및/또는 밀봉 부재가 현상제 공급 용기의 용기 본체와 접촉됨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현상제 이송 포트를 폐색하는 현상제가 흐트러진다. 따라서, 현상제 공급 용기 내의 현상제는 원활하게 배출(공급)된다.
사용자가 토너 보충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에 관계없이 토너가 적절히 이송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정확히 스냅 끼우기 위해서는 용기를 주 조립체 내에 간단히 삽입하기만 하면 된다. 더욱이, 주 조립체 내에 스냅 끼워진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현상제 공급 용기 해제 돌기를 간단히 압박함으로써 주 조립체로부터 용기가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즉,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사용하여 장치 주 조립체에 현상제가 용이하게 보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유용성 면에서 우수한 현상제 공급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상세에 제한되지 않으며, 후속의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하려는 목적 내에서 변형 및 수정될 수 있다.

Claims (33)

  1.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용기는,
    현상제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구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구동 결합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되고, 회전력을 수용하기 위해 구동 전달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상기 구동 부재로부터 수용된 회전력을 상기 용기 본체로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갖고,
    상기 구동 전달부는 회전력에 의한 상기 구동 전달부의 회전 개시 후에, 그리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 동안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된 상기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의 개수는 2개이고 상기 구동 전달부는 대향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결합부의 개수는 2개이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구동 전달부에 각각 상응하여 제공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된 현상제 배출 개구를 밀봉 해제 가능하게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현상제와 접촉하는 큰 직경부 및 상기 큰 직경부의 일 단부에 제공되고 현상제와 접촉하는 작은 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밀봉부가 현상제 배출 개구를 밀봉 해제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구동 전달부의 일부가 상기 작은 직경부에 제공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작은 직경부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되는 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현상제 배출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현상제 배출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구동 부재와 로킹 결합하기 위한 로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부는 상기 로킹부가 구동 부재와 로킹 결합 상태에 있을 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용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구비하는 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각각의 대향 위치에 제공되는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달부는 180°의 범위에서 제공되는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구동 부재에 제공된 구멍과 후크 결합하기 위한 후크를 구비하는 용기.
  15.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용기는,
    현상제를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구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구동 결합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되고, 회전력을 수용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구동 부재로부터 수용된 회전력을 상기 용기 본체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용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각각의 대향 위치에 제공되는 용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달부는 180°의 범위에서 제공되는 용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된 현상제 배출 개구를 밀봉 해제 가능하게 밀봉하기 위한 밀봉부를 갖는 용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현상제 배출 개구가 개방될 때의 개방 위치와 현상제 배출 개구가 폐쇄될 때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용기.
  21.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용기는,
    현상제를 포함하고 현상제 배출 개구를 구비하며, 회전 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현상제 공급 용기의 회전 중심에 제공되고, 현상제 배출 개구를 밀봉 해제 가능하게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되고, 구동 전달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공된 구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구동 결합부와, 상기 밀봉 부재가 현상제 배출 개구가 개방된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구동 부재로부터 수용된 회전력을 상기 용기 본체로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전달부는 회전력에 의한 상기 구동 전달부의 회전 개시 후에, 그리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하기 전에 충분한 시간 동안 공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밀봉 부재는 개방 위치로부터 현상제 배출 개구가 재밀봉되는 재밀봉 위치로 이동 가능한 용기.
  22. 화상 형성 장치에 탈거식으로 장착 가능한 현상제 공급 용기이며,
    상기 용기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현상제를 포함하는 용기 본체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공된 구동 부재와 결합 가능한 구동 결합 부재와,
    상기 용기 본체에 제공되고, 회전력을 수용하기 위해 구동 전달부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고,
    구동 결합 부재는 구동 부재로부터 수용된 회전력을 상기 용기 본체로 전달하는 구동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구동 결합 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구동 전달부가 상기 구동 결합 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위치를 취할 때 구동 부재의 회전축과 회전축 사이에 편차를 보상하도록 충분한 유극으로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용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상기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용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용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용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공되는 용기.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주연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 복수의 구동 전달부를 구비하는 용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각각의 복수의 구동 전달부에 상응하는 복수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용기.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각각의 대향 위치에 제공되는 용기.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달부는 상기 구동 결합 부재가 상기 구동 결합 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상기 구동 결합 부재의 결합 해제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용기.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결합 부재는 상기 구동 결합 부재와 중첩 방향으로 있는 구동 부재 사이의 상대 이동에 의해 구동 부재에 형성된 구멍과 후크 결합하기 위한 후크를 포함하는 용기.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구동 전달 부재가 상기 구동 결합 부재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 개방되는 용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로 현상제를 공급하고, 상기 용기가 개방될 때 상기 용기 본체의 회전으로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현상제를 배출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용기.
KR1020040004186A 2003-01-22 2004-01-20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용기용 커플링 구동 부재 KR100742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14010 2003-01-22
JP2003014010A JP4323818B2 (ja) 2003-01-22 2003-01-22 現像剤補給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02A KR20040068002A (ko) 2004-07-30
KR100742028B1 true KR100742028B1 (ko) 2007-07-23

Family

ID=3282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186A KR100742028B1 (ko) 2003-01-22 2004-01-20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용기용 커플링 구동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993273B2 (ko)
EP (1) EP1460487B1 (ko)
JP (1) JP4323818B2 (ko)
KR (1) KR100742028B1 (ko)
CN (1) CN1004012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33741T3 (es) * 2001-02-19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óner y sistema de suministro de tóner
US20160124348A1 (en) * 2014-11-05 2016-05-05 Yusuke Yamad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990301B2 (en) *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55138B2 (en) * 2003-12-22 2006-12-26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JP4615916B2 (ja) * 2004-07-12 2011-01-19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JP4681854B2 (ja) * 2004-11-12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封止部材、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4621019B2 (ja) * 2004-12-17 2011-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4376852B2 (ja) * 2005-10-07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JP4376853B2 (ja) * 2005-10-07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JP4376851B2 (ja) * 2005-10-07 2009-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
WO2007072991A1 (en) * 2005-12-21 2007-06-28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JP5004157B2 (ja) * 2006-05-09 2012-08-22 日本発條株式会社 操作軸の接続部材、およびこの接続部材を備えた遠隔操作装置
US7729644B2 (en) * 2006-05-11 2010-06-01 Katun Corporation Toner cartridge
KR101305527B1 (ko) 2006-11-22 2013-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US7792470B2 (en) * 2007-01-15 2010-09-07 Kyocera Mita Corporation Toner container and developer replenishing device
JP5146735B2 (ja) * 2008-02-05 2013-02-20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7796922B2 (en) 2007-04-20 2010-09-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at the toner carrying section
JP5130783B2 (ja) * 2007-05-15 2013-0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103195B2 (ja) * 2008-01-10 2012-12-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コンテナ
JP4995126B2 (ja) * 2008-03-13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補給システム
JP5078847B2 (ja) * 2008-11-13 2012-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JP5582385B2 (ja) * 2010-03-01 2014-09-03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JP6066281B2 (ja) * 2012-12-04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容器、現像ユニット、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344166B2 (ja) * 2014-09-10 2018-06-20 株式会社リコー 管挿入部材及び粉体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442421B2 (en) * 2014-09-25 2016-09-13 Fuji Xerox Co., Ltd. Rotatable powder storage container
JP6425227B2 (ja) * 2015-01-27 2018-11-21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散薬供給装置
JP6165124B2 (ja) * 2014-11-13 2017-07-19 株式会社トーショー 散薬カセット及びカセット開閉治具
GB2552915B (en) * 2015-02-27 2021-03-31 Canon Kk Drum unit, cartridge and coupling member
JP7005250B2 (ja) * 2017-09-2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KR20200025338A (ko) * 2018-08-30 2020-03-10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카트리지의 회전 위상에 따라서 토너 충전부의 유입 셔터를 선택적으로 로킹하는 구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0362A (ja) * 1995-12-08 1997-06-20 Konica Corp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48935A (ja) 1996-08-07 1998-02-20 Minolta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JPH1063084A (ja) 1996-08-25 1998-03-06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H1063076A (ja) 1996-08-20 1998-03-06 Konica Corp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装置
JPH11327273A (ja) 1998-05-15 1999-11-26 Minolta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JP2002327770A (ja) 2001-04-27 2002-11-15 Canon Inc 駆動伝達機構、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914B1 (ko) * 1995-10-11 1999-11-01 이토가 미찌야 화상형성장치 및 토너보급장치, 및 그에 탑재된 토너용기
US6032016A (en) 1997-09-19 2000-02-29 Minolta Co., Ltd. Fixing apparatus includ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eleasing agent
US6256469B1 (en) * 2000-02-18 2001-07-03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oner supply apparatus in image forming system
DE60142325D1 (de) 2000-09-04 2010-07-22 Canon Kk Antriebskupplungsteil und Antriebsmechanismus
JP3907408B2 (ja) 2000-12-28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ES2369115T3 (es) * 2001-02-19 2011-11-25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oner y sistema para suministro de toner.
ES2433741T3 (es) 2001-02-19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edor para suministro de tóner y sistema de suministro de tóner
US6990301B2 (en) 2001-0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Sealing member, toner accommodating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81598B1 (ko) * 2001-09-18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장치와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인쇄기
KR100381601B1 (ko) * 2001-09-26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장치와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인쇄기
JP4422956B2 (ja) * 2002-10-16 2010-03-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0362A (ja) * 1995-12-08 1997-06-20 Konica Corp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48935A (ja) 1996-08-07 1998-02-20 Minolta Co Ltd トナー補給装置及びトナーボトル
JPH1063076A (ja) 1996-08-20 1998-03-06 Konica Corp 現像剤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装置
JPH1063084A (ja) 1996-08-25 1998-03-06 Ricoh Co Ltd トナーボトル
JPH11327273A (ja) 1998-05-15 1999-11-26 Minolta Co Ltd 現像剤補給装置
JP2002327770A (ja) 2001-04-27 2002-11-15 Canon Inc 駆動伝達機構、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226659A (ja) 2004-08-12
JP4323818B2 (ja) 2009-09-02
US7209686B2 (en) 2007-04-24
EP1460487B1 (en) 2015-03-18
US20040190945A1 (en) 2004-09-30
US6993273B2 (en) 2006-01-31
KR20040068002A (ko) 2004-07-30
US20060029434A1 (en) 2006-02-09
CN1517813A (zh) 2004-08-04
EP1460487A3 (en) 2004-10-06
EP1460487A2 (en) 2004-09-22
CN100401205C (zh)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028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및 현상제 공급 용기용 커플링 구동 부재
US11119425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US8380111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US7088942B2 (en) Toner supply container, toner supplying apparatus, and driving force transmitting mechanism
KR20010020692A (ko) 토너 공급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00162861A (ja) トナ―補給容器及びトナ―補給装置
US7391999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coupling member used therefor
KR100704813B1 (ko) 현상제 공급 용기
JP2003295591A (ja) 現像剤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JP2003013987A (ja) 駆動伝達機構、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4040304B2 (ja) トナー補給容器
JP2003029519A (ja) 封止部材、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2327770A (ja) 駆動伝達機構、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3287944A (ja) 現像剤補給容器及び現像剤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