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547A -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 Google Patents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547A
KR20150108547A KR1020140031458A KR20140031458A KR20150108547A KR 20150108547 A KR20150108547 A KR 20150108547A KR 1020140031458 A KR1020140031458 A KR 1020140031458A KR 20140031458 A KR20140031458 A KR 20140031458A KR 20150108547 A KR20150108547 A KR 20150108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adapter
tube
spiral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064B1 (ko
Inventor
주수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주미
주식회사 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주미, 주식회사 한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주미
Priority to KR102014003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06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03F5/021Connection of sewer pipes to manhole shaf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벽(10)의 내측에 관로구결합공(12)이 형성된 지중화맨홀에 대하여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이 부설되는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24)이 결합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는 상기 맨홀벽(10)의 상기 관로구결합공(12)에 고정되고 내부에 내부나선(26)을 가지며 외측으로 확대구부(32)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리가능한 격벽(38)이 형성되어 있는 관로구어댑터(14); 상기 관로구어댑터(14)의 상기 내부나선(26)에 결합되는 중간나선(48)과 단부의 단부나선(50)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구어댑터(14)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원통형 결합부(52)와, 상기 원통형 결합부(52)에 일체로 연장된 주동체부(54)를 포함하는 관로구몸체(16); 상기 관로구어댑터(14)와 상기 맨홀벽(10)의 상기 관로구결합공(12)을 관통하여 연장된 상기 관로구몸체(16)의 상기 단부나선(50)에 나선결합되는 내부나선(68)을 가지고 외면측에 분리가능한 돔형의 격벽(70)이 격설된 단부고정링(18); 상기 관로구몸체(16)의 상기 주동체부(54)에 대하여 단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나선파형관(24)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슬리이브(20)와; "C"자형으로 일측이 개방된 밴드본체(80)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본체(80)가 가 체결봉(84)과 볼트-너트 조립체(90, 92)로 체결되어 상기 고무슬리이브(20)를 통하여 상기 관로구몸체(16)의 상기 주동체부(54)와 상기 나선파형관(24)의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밴드(2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CABLE PATHWAY ASSEMBLY FOR MANHOLE AND MANHO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지중화맨홀의 맨홀벽에 고정되어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의 부설이 계획된 나선파형관이 결합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부설되는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은 지중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을 통하여 부설된다. 그리고 이러한 나선파형관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화맨홀을 중계지로 하여 연장된다. 지중화맨홀의 맨홀벽에는 나선파형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로구몸체가 고정되는 관로구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맨홀의 제작시에 맨홀벽에는 내측 또는 외측에 분리가능한 마개가 결합되거나 또는 충격을 가하여 분리제거될 수 있는 격벽 또는 박막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관로구어댑터가 매입고정된다. 종래기술의 이러한 관로구어댑터는 그 길이가 맨홀벽의 두께와 동일하여 맨홀벽 두께의 전 길이를 통하여 연장되며 내경부내에 형성된 내부나선에 관로구몸체의 단부가 나선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원 발명자의 공개특허번호 제10-2008-0026801호에는 맨홀벽의 두께 전체에 걸쳐 연장되게 매입되는 관로구어댑터가 기술되어 있다. 관로구어댑터에는 맨홀의 외측으로부터 관로구몸체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에서는 관로구어댑터의 내부에서 맨홀의 외측을 향하는 부분에 외측나선부가 형성되어 있고 맨홀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에 내측나선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 각각에 외측덮개와 내측덮개가 나선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관로구어댑터의 외측 및 내측에 결합되는 이들 외측덮개와 내측덮개는 맨홀의 제작시에 콘크리트로 성형되는 맨홀벽에 매입고정된 이러한 관로구어댑터의 내부에 시멘트 몰탈이 유입되어 경화됨으로서 이후 관로구몸체가 결합되는 것에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관로구몸체를 관로구어댑터에 결합하기 위하여, 관로구몸체는 관로구어댑터에서 외측덮개를 분리한 후에 이러한 외측덮개가 결합되었던 외측나선부에 그 단부가 나선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특허문헌에 소개된 관로구어댑터는 맨홀벽의 두께 전체의 길이에 걸쳐 맨홀벽내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에 결합되는 관로구몸체는 그 단부의 일부만이 나선결합으로 결합고정된다. 관로구몸체의 선단에 실질적인 관로를 구성하는 파형관 등이 고정밴드 등으로 고정됨으로서 관로구몸체의 선단에 과하중이 가하여지는 것을 감안한다면 관로구어댑터에 단부 일부만이 결합되는 관로구몸체의 결합상태가 완전히 안정된다고 할 수 없다.
한편, 본원 발명자의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93248호에는 기존의 관로구어댑터에서 외측덮개를 사용하지 않고 외측덮개의 위치에 힘을 가하면 파단되어 개방될 수 있는 격막을 일체로 형성한 것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관로구어댑터에서 외측덮개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어 관로구어댑터를 구성하는 자재를 절약할 수는 있으나, 관로구어댑터 자체는 맨홀벽의 두께 전체의 길이에 걸쳐 맨홀벽내에 고정되므로 관로구어댑터의 구성에 소요되는 자재의 절약효과가 적으며, 또한 관로구어댑터에 결합되는 관로구몸체가 역시 그 단부 일부만이 관로구어댑터의 내부나선에 나선결합되므로 관로구몸체의 결합상태가 완전히 안정된다고 할 수 없다. 이러한 특허문헌에서, 상기 언급된 관로구어댑터의 격막은 그 둘레에 두께가 얇은 절취요구가 형성되어 있어 격막에 힘을 가하면 격막이 관로구어댑터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러한 격막이 분리되는 경우 분리된 격막은 원반체의 형태로 관로구어댑터에서 분리되는데 관로구어댑터에서 원반체 형태의 격막을 인출하여 제거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들 특허문헌에 소개된 종래기술의 관로구어댑터는 맨홀벽 두께의 전체에 걸쳐 매입고정되는 반면에 이에 결합되는 관로구몸체는 그 단부의 일부만이 나선결합으로 결합고정되므로 관로구몸체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라 할 수 없다. 이는 또한 관로구어댑터의 길이가 맨홀벽 두께와 크기가 같아 관로구어댑터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자재량을 줄일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라고 격막에 관한 한 그 분리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점도 결점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관로구몸체는 비록 관로구어댑터의 도움으로 안정되게 결합되는 것이 요구되지만 관로구결합공의 양측 구부측에서, 즉, 맨홀벽의 내외측에서 완전한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전력공급케이블 또는 통신케이블이 부설되는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은 맨홀에 안정적으로 고정결합되는 관로구몸체에 대하여 확고하고 누수없이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 나선파형관의 구조적인 특징 때문에 이러한 나선파형관을 맨홀에 결합되는 직관형의 관로구몸체에 확고하고 누수없이 연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종래기술의 전형적인 연결방법으로, 맨홀의 관로구어댑터에 나선결합되는 관로구몸체의 타측단부는 나선파형관의 선단부와 결합되고 방수테이프 등으로 테이핑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관로구몸체와 나선파형관 사이의 연결상태가 확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업하였다.
그러나, 종래 관로구몸체와 나선파형관 사이의 연결상태가 확고하지 못하여 외력에 의하여 관로구몸체로부터 나선파형관이 무단 이탈될 수 있는 결함이 있고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실질적인 통신케이블 또는 전력공급케이블의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은 관로구몸체에 결합하기 위하여 양 단부가 특별히 변형된 구조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나선파형관이 연결되는 관로구몸체, 특히 직관형의 형태인 관로구몸체에 나선파형의 형태인 나선파형관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몇 가지의 중요한 조건이 있다.
즉, 연결되는 두 요소, 즉, 관로구몸체와 이에 연결되는 나선파형관 사이의 연결상태에서 두 요소에 대한 내외부의 누수가 없는 완벽한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부위가 밀폐되어야 한다.
또한, 나선파형관에는 이를 맨홀에 연결하는 작업을 시행하는 경우나 주중에 매설되는 작업중에 또는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수평 또는 수직의 외력이 가하여질 수 있는데, 나선파형관이 관로구몸체에 연결된 후에는 일정수준의 수평 또는 수직의 힘이 가하여진다 하여도 나선파형관이 관로구몸체로부터 이탈된 유려가 없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기술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중화맨홀의 맨홀벽에 고정되어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의 부설이 계획된 나선파형관이 결합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를 제공하는 바, 맨홀벽에 형성되는 관로구결합공에 이러한 관로구결합공의 길이의 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관로구어댑터가 매입고정되고 이에 결합되는 관로구몸체가 관로구결합공에서 맨홀벽의 외측과 내측 구부측에서 각각 관로구어댑터와 단부고정링에 의하여 확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지중화맨홀의 시공성 향상과 수밀성 향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맨홀의 성형제작과정에서 사용되는 맨홀거푸집에서 관로구결합공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와 함께 관로구어댑터가 사용되며, 이 경우 코어의 길이와 관로구어댑터의 길이가 각각 성형될 관로구결합공의 길이의 반이다. 맨홀거푸집을 해체하여 탈형시에 코어만을 분리하고 관로구어댑터는 고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맨홀벽의 내측에 관로구결합공이 형성된 지중화맨홀에 대하여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이 부설되는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이 결합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는 상기 맨홀벽의 상기 관로구결합공에 고정되고 내부에 내부나선을 가지며 외측으로 확대구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리가능한 격벽이 형성되어 있는 관로구어댑터; 상기 관로구어댑터의 상기 내부나선에 결합되는 중간나선과 단부의 단부나선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구어댑터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원통형 결합부와, 상기 원통형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된 주동체부를 포함하는 관로구몸체; 상기 관로구어댑터와 상기 맨홀벽의 상기 관로구결합공을 관통하여 연장된 상기 관로구몸체의 상기 단부나선에 나선결합되는 내부나선을 가지고 외면측에 분리가능한 돔형의 격벽이 격설된 단부고정링; 상기 관로구몸체의 상기 주동체부에 대하여 단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나선파형관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슬리이브와; "C"자형으로 일측이 개방된 밴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본체가 체결봉과 볼트-너트 조립체로 체결되어 상기 고무슬리이브를 통하여 상기 관로구몸체의 상기 주동체부와 상기 나선파형관의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밴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로구어댑터가 상기 맨홀벽의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관로구결합공에서 상기 맨홀벽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관로구결합공의 반부분에 고정배치된다.
상기 관로구어댑터에 형성된 상기 격벽의 둘레에 두께가 얇은 절취용의 절취요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중앙에 상기 격벽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형태의 타격구와 그 둘레에 거미줄 모양의 절취요구망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맨홀벽의 상기 관로구결합공에서 상기 관로구어댑터가 배치되는 위치를 벗어나 상기 맨홀의 내측방향으로 소경부와 대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고정링이 상기 관로구몸체의 단부에 나선결합될 때 상기 단부고정링이 상기 관로구결합공의 상기 대경부내에 배치된다.
상기 단부고정링에 형성된 상기 격벽의 둘레에 두께가 얇은 절취용의 절취요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의 전면에는 중앙에 상기 격벽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형태의 타격구와 그 둘레에 거미줄 모양의 절취요구망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로구몸체의 상기 주동체부에는 단부에 차례로 3개의 환상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플랜지 사이에 각각 제1 및 제2 환상요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슬리이브의 구부단부에는 상기 주동체부의 상기 제1 환상요입부내에 삽입되는 환상의 내향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본체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주동체부의 제1 및 제2 환상요입부에 삽입되는 두개의 내향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로구어댑터가 상기 맨홀벽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의 부설을 위한 지중화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구조립체와 고정밴드에 의하여 이에 고정결합되는 나선파형관을 보인 사시도.
도 2a는 관로구어댑터를 보인 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우측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3a는 맨홀벽의 성형에 사용되는 거푸집과 맨홀벽에 형성되는 관로구결합공의 성형을 위한 요소로서 관로구결합공 성형용 코어와 도 2a에서 보인 관로구어댑터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3b 내지 도 3d는 도 3a에서 보인 관로구결합공 성형용 코어와 관로구어댑터에 의하여 맨홀벽에 관로구결합공이 성형되는 과정을 보인 설명도.
도 4a는 도 2a에서 보인 관로구어댑터가 매입고정된 상태에서 맨홀벽에 관로구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4b는 관로구어댑터에 관로구몸체를 결합하기 위하여 관로구어댑터에 폐쇄상태로 구성되어 있던 격벽을 파단하여 분리하는 것을 보인 단면도.
도 5a는 관로구몸체의 단부에 결합고정되는 단부고정링의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좌측방향에서 본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h는 관로구어댑터에 관로구몸체가 결합되고 이에 나선파형관이 고정결합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관로구몸체에 나선파형관이 고정결합된 후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하여 관로구몸체의 단부에 고정된 단부고정링에서 격벽을 제거하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8은 관로구몸체에 나선파형관이 고정결합되어 있는 지중화맨홀의 사시도.
도 1은 맨홀에 나선파형관을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 관로구조립체를 사시도로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관로구조립체는 맨홀벽(10)(도 4 참조)에 형성된 관로구결합공(12)의 일측에 고정되는 관로구어댑터(14), 관로구어댑터(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로구몸체(16)와, 관로구어댑터(14)에 삽입되어 관로구삽입공(12)의 결합되는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고정링(18)으로 구성된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로구몸체(16)의 선단부, 즉 맨홀벽(10)의 외측으로 향하여 배치되는 관로구몸체(16)의 선단부에는 고무슬리이브(20)와 고정밴드(22)에 의하여 실질적인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24)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관로구조립체를 이용하여 관로구어댑터(14)에 결합된 관로구몸체(16)에 나선파형관(24)이 고정밴드(22)로 고정연결되는 지중화맨홀(108)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관로구어댑터 (14)
관로구어댑터(14)는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 결합되어 관로구몸체(16)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맨홀의 성형제작시에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관로구어댑터(14)가 사용되어 맨홀제작을 위한 거푸집의 해체시에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 그대로 남아 관로구결합공(12)의 일부를 구성한다.
먼저, 관로구어댑터(14)는 내경이 관로구몸체(16)의 외경에 일치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인 원통형의 형태이고, 내면에 내부나선(26)을 가지며, 외주면에 맨홀벽(10)을 구성하는 콘크리트구조물과의 확고한 결합을 위한 방사상 보강리브(28)와 축방향의 보강리브(30)가 형성되어 있고, 맨홀벽(10)의 외측으로 향하는 단부에 확대구부(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확대구부(32)의 둘레에 패킹(34)이 결합된다.
이러한 관로구어댑터(14)에 형성된 확대구부(32)의 내측에는 주연에 두께가 얇은 절취용의 절취요구(36)를 가지며 외측으로 볼록한 돔형의 격벽(3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관로구어댑터(14)에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되는 경우, 주연의 절취요구(36)의 파단으로 격벽(38)이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격벽(38)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확대구부(32)의 내측에 결합되는 부분의 둘레에서 격벽(38)의 두께가 얇아지는 절취요구(36)가 형성되어 격벽(38)의 분리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아울러, 격벽(38)의 전면에는 중앙에 격벽(38)의 제거를 위하여 타격공구(도시하지 않았음)로 타격할 수 있는 요구형태의 타격구(39)가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 거미줄 모양의 절취요구망(36a)이 형성되어 격벽(38)을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타격공구로 타격하여 힘을 가할 때 절취요구망(36a)을 따라 격벽(38)이 분리되면서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어 격벽(38)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맨홀벽(10)과 관로구결합공 (12)
맨홀벽(10)은 통상적인 지중화맨홀을 구성하는 벽체이고, 이에 형성되는 관로구결합공(12)은 그 형상을 떠나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관로구결합공(12)은 상기 언급된 관로구어댑터(14)에 의하여 그 일부가 형성된다. 또한 관로구결합공(12)의 나머지 부분이 관로구몸체(16)의 결합수단의 하나인 단부고정링(18)의 적응을 위한 특별한 형상을 갖도록 하는 수단이 맨홀의 제작과정에 사용된다.
맨홀제작과장에서 맨홀벽(10)은 거푸집에 사용되는 내부판넬(40)과 외부판넬(42)에 의하여 성형된다. 이들 내부판넬(40)과 외부판넬(42)은 맨홀벽(1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이들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맨홀이 제적된다.
이러한 맨홀벽(10)의 제작과정에서 형성되는 관로구결합공(12)은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즉,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관로구결합공(12)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로구어댑터(14)가 관로구결합공(12)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외부판넬(4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관로구결합공(12)의 나머지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결합공성형코어(44)가 관로구어댑터(14)에 대향된 위치에서 내부판넬(40)에 고정된다.
따라서, 관로구결합공(12)의 일부는 관로구어댑터(14)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결합공성형코어(44)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관로구결합공(12)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은 도 4a에서 보인 바와 같이 관로구어댑터(14)의 내면에 일치하는 소경부(12a)와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결합되기 위하여 삽입되는 단부고정링(18)의 외면에 일치하는 대경부(12b)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관로구결합공(12)의 나머지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결합공성형코어(44)의 형상은 상기 소경부(12a)의 형성을 위한 소경원주부(44a)와 상기 대경부(12b)의 형성을 위한 대경원주부(44b)로 구성된다.
내부판넬(40)과 외부판넬(42)을 이용한 거푸집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경화된 후에 결합공성형코어(44)가 고정된 내부판넬(40)이 분리되고, 외부판넬(42)이 분리된다. 이러한 외부판넬(42)이 분리될 때 관로구어댑터(14)는 외부판넬(42)로부터 분리되어 맨홀벽(10)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도 3d 참조).
외부판넬(42)을 분리한 후에, 관로구어댑터(14)의 확대구부(32)의 둘레에 배치되었던 패킹(34)을 분리제거하고 그 위치에 밀봉제(46)를 주입하여 경화시킨다. 이러한 밀봉제(46)는 관로구어댑터(14)의 외면과 맨홀벽(10)사이의 간극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맨홀벽(10)에 관로구어댑터(14)가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관로구어댑터(14)의 격벽(38)은 파단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격벽(38)의 양측 공간을 차단한다. 이러한 격벽(38)은 맨홀벽(10)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과정에서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 특히 내부나선(26)에 시멘트 몰타르가 침투되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관로구어댑터(14)의 격벽(38)은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은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될 때 절취요구(36)의 절취로 제거된다.
관로구몸체 (16)
관로구몸체(16)는 중간에는 외면에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결합되는 중간나선(48)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단부고정링(18)의 결합을 위한 단부나선(50)이 형성된 원통형 결합부(52)와, 이러한 원통형 결합부(52)에 일체로 연장된 주동체부(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통형 결합부(52)와 주동체부(54) 사이의 외면에는 환상턱(53)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환상턱(53)은 패킹(55)의 개재하에 관로구어댑터(14)의 확대구부(32)내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원통형 결합부(52)를 포함하여 주동체부(54)의 내경은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에 결합될 나선파형관(24)의 내경과 같다.
나선파형관(24)과의 결합을 위하여, 관로구몸체(16)의 주동체부(54)에는 단부에 차례로 3개의 환상플랜지(56, 58, 60)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환상플랜지(56, 58, 60) 사이에 각각 제1 및 제2 환상요입부(62, 64)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하나의 관로구몸체(16)가 완성된다.
이러한 관로구몸체(16)는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 결합된 관로구어댑터(1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관로구어댑터(14)에 관로구몸체(16)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관로구어댑터(14)의 격벽(38)은 제거된다. 관로구몸체(16)는 원통형 결합부(52)가 관로구어댑터(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저 원통형 결합부(52)에 형성된 단부나선(5)이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나선결합되어 전진하면서 통과하고 이후 원통형 결합부(52)의 중간나선(48)이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나선결합됨으로서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나선결합되는 것이 완성된다.
그리고,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서 맨홀의 내측으로 향하는 관로구결합공(12)의 대경부(12b) 측으로 연장된 관로구몸체(16)의 원통형 결합부(52)의 단부에는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단부고정링(18)이 나선결합으로 고정된다.
단부고정링 (18)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서 맨홀의 외측으로 향하는 부분에 결합고정된 관로구어댑터(14)에 원통형 결합부(52)의 중간나선(52)이 결합된 관로구몸체(16)는 맨홀의 내측으로 향하는 관로구결합공(12)의 대경부(12b) 측으로 연장된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단부고정링(18)이 나선결합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단부고정링(18)은 도 5a 및 도 5b에서 상세히 보인 바와 같이 외면측에 방사상 플랜지(66)가 형성된 링의 형태이고 내경이 관로구몸체(16)의 원통형 결합부(52)의 외경과 같으며 내면에 내부나선(68)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측에 돔형의 격벽(70)이 격설되어 있고 그 주연에 두께가 얇아지는 절취요구(7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70)의 전면에는 중앙에 격벽(70)의 제거를 위하여 타격공구(도시하지 않았음)로 타격할 수 있는 타격구(73)가 형성되어 있고 그 둘레에 거미줄 모양의 절취요구망(72a)이 형성되어 타격시 격벽(70)이 분리되면서 여러 조각으로 분할되어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단부고정링(18)에는 방사상 플랜지(66)의 외면측에 이를 회전조작할 수 있도록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한쌍의 손잡이(74)가 형성되어 있으며, 방사상 플랜지(66)의 내면에는 맨홀벽(10)에 접속하는 패킹(76)이 결합된다.
관로구어댑터(14)에 결합고정된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단부고정링(18)이 결합된 관로구몸체(16)의 결합완성상태가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관로구몸체(16)는 그 전 길이를 통하여 맨홀벽(10)의 내외측에서 안정되게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단부고정링(18)은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대하여 단부고정링(18)의 방사상 플랜지(66)의 외면측에 착설된 손잡이(74)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단부고정링(18)의 내부나선(68)과 관로구몸체(16)의 단부나선(50)이 결합되어 맨홀벽(10)에 대하여 관로구몸체(16)가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나선파형관 (24)
도 1 및 도 6d에서 보인 나선파형관(24)은 지중화맨홀 사이에 연결되어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이 부설되는 실질적인 관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나선파형관(24)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으로, 그 단부가 나선파형관(24)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절단되어 절단면이 관로구몸체(16)의 선단의 플랜지(56)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로구몸체(16)는 그 원통형 결합부(52)의 중간나선(48)이 맨홀벽(10)에 결합된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나선결합되고 단부가 단부고정링(18)에 의하여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에서 이에 나선파형관(18)이 결합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도 1, 도 6e 내지 도 6h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은 고무슬리이브(20)와 고정밴드(22)가 사용된다.
고무슬리이브 (20)
고무슬리이브(20)는 단부-단부가 접속되는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고무슬리이브(20)의 구부단부에 내측으로 연장된 환상의 내향플랜지(7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무슬리이브(12)의 내향플랜지(46)는 고무슬리이브(12)가 단부-단부가 접속되는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의 외면에 씌워질 때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관로구몸체(16)의 두 환상플랜지(56, 58)사이의 제1 환상요입부(62)에 삽입된다.
고정밴드(22)
고정밴드(22)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측이 축선방향으로 개방된 "C"자형의 형태인 밴드본체(80)로 구성되고 개방된 부분에서 밴드본체(80)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루우프(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 루우프(82)에는 각각의 체결봉(84)이 삽입되고 각 루우프(82)에서 내외측으로 연장된 볼트관통구(86)와 이에 일치하는 체결봉(84)에 형성된 볼트체결공(88)을 통하여 볼트-너트 조립체의 볼트(90)가 체결되고 볼트(90)에 너트(92)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22)는 볼트-너트 조립체의 볼트(90)에 대하여 너트(92)를 조임으로서 고정밴드(22)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밴드(22)의 내면에는 본원 출원인의 특허등록 10-1202360에 기술된 바와 같이 고정밴드(22)를 나선파형관(24)에 보다 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부분나선형인 내향돌선(9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분나선형 내향돌선(94)은 나선파형관(24)의 외면에 형성된 나선형 홈의 위치에 배치되고 나선형 홈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다.
한편, 고정밴드(22)의 후단부측 내면에는 고정밴드(22)를 나선파형관(24)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표시돌기(9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표시돌기(96) 역시 잘 알려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정밴드(22)에는 이러한 고정밴드(22)를 관로구몸체(16)에 구조적으로 완벽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밴드(22)를 구성하는 밴드본체(80)의 선단부분에는 밴드본체(80)의 개방부분을 제외한 내면에 방사상 내측으로 향하는 두개의 내향플랜지(98, 10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향플랜지(98, 100)에는 밴드본체(80)의 개방 및 폐쇄시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등간격을 두고 두 곳에 절결부(10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무슬리이브(20)는 단부-단부가 접속되는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의 외면에 씌워지고 고무슬리이브(20)의 내향플랜지(78)가 관로구몸체(16)의 환상플랜지(56, 58) 사이의 제1 환상요입부(62)에 삽입하여 배치하였을 때, 이러한 고정밴드(22)는 내부에 고무슬리이브(20)를 감싸는 상태에서 결합되는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 사이를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결합된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고정밴드(22)는 그 밴드본체(22)의 두 내향플랜지(98, 100)가 관로구몸체(16)의 주동체부(54)에 형성된 환상플랜지(56, 58) 사이에 형성된 제1 환상요입부(62)와 환상플랜지(58, 60) 사이의 제2 환상요입부(64)에 각각 삽입되어 고정밴드(22)가 관로구몸체(16)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관로구몸체(16)의 환상플랜지(56, 58) 사이에 형성된 제1 환상요입부(62)에는 이미 고무슬리이브(20)의 내향플랜지(78)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제1 환상요입부(62)에 삽입되는 밴드본체(22)의 내측 내향플랜지(100)가 고무슬리이브(20)의 내향플랜지(78)를 압박하여 고무슬리이브(20)가 보다 더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고정밴드(22)에는 부속구조물로서 밴드본체(80)의 개방부분을 보강하기 위하여 밴드본체(80)의 개방부분 내측에 배치되는 금속제 보강판(104)이 구비된다. 또한 나선파형관(24)의 외면에 연속나선형으로 연장된 나선홈을 통하여 누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패킹(106)이 제공된다. 이들 보강판(104)과 방수패킹(106)은 고무슬리이브(20) 및 고정밴드(22)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의 작용효과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는 맨홀벽(10)을 포함하는 맨홀의 제작과정에서 관로구결합공(12)의 형성에 사용되는 관로구어댑터(14)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러한 관로구어댑터(14)는 이에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되기 전에 맨홀의 제작에 관여하고, 제작된 맨홀이 사용되기 위하여 맨홀설치장소에 운반되어 설치되어 이에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되기 전까지 맨홀과 일체로 구성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맨홀에 결합된 관로구어댑터(14)는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되기 전까지는 폐쇄된 예비 관로구결합공의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구조립체는 맨홀벽(10)에 고정되어 관로구결합공(12)의 일부를 형성하는 관로구어댑터(14), 관로구어댑터(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관로구몸체(16)와, 관로구삽입공(12)의 결합되는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고정링(18)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관로구조립체에는 나선파형관(24)이 결합되고 이러한 나선파형관(24)은 관로구몸체(16)의 선단부에 대하여 고무슬리이브(20)와 고정밴드(22)에 의하여 고정된다.
관로구어댑터(12)는 맨홀의 성형제작시에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이 형성되는 과정에 사용되어 맨홀제작을 위한 거푸집의 해체시에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 그대로 남아 관로구결합공(12)의 일부를 구성한다.
관로구어댑터(14)는 내경이 관로구몸체(16)의 외경에 일치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인 원통형의 형태이고, 내면에 나부나선(26)을 가지며, 맨홀벽(10)의 외측으로 향하는 단부에 형성된 확대구부(32)의 둘레에 패킹(34)이 결합되고, 확대구부(32)의 내측에 주연의 절취요구(36)를 갖는 격벽(3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격벽(38)은 관로구어댑터(14)에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될 때 절취요구(36)의 파단으로 절취되어 분리된다.
맨홀제작과장에서 관로구결합공(12)의 일부를 구성하는 관로구어댑터(14)가 관로구결합공(12)이 형성되는 위치에서 외부판넬(4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관로구결합공(12)의 나머지부분을 형성하게 되는 결합공성형코어(44)가 관로구어댑터(14)에 대향된 위치에서 내부판넬(40)에 고정된다. 이들 외부판넬(42)과 내부판넬(44)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맨홀벽(10)이 형성된다.
이때, 관로구결합공(12)의 일부는 관로구어댑터(14)의 내면에 의하여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결합공성형코어(44)에 의하여 형성된다. 관로구결합공(12)의 나머지 부분의 형상은 결합공성형코어(44)의 형상에 따라서 소경부(12a)와 대경부(12b)로 구성된다. 결합공성형코어(44)의 형상은 상기 소경부(12a)의 형성을 위한 소경원주부(44a)와 상기 대경부(12b)의 형성을 위한 대경원주부(44b)로 구성된다.
내부판넬(40)과 외부판넬(42)을 이용한 거푸집이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경화된 후에 결합공성형코어(44)는 내부판넬(40)과 함께 분리되고, 외부판넬(42)이 분리될 때 관로구어댑터(14)는 맨홀벽(10)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외부판넬(42)을 분리한 후에, 관로구어댑터(14)의 확대구부(32)의 둘레에 밀봉제(46)를 주입하여 경화시켜 관로구어댑터(14)의 외면과 맨홀벽(10)사이의 간극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맨홀벽(10)에 관로구어댑터(14)가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관로구어댑터(14)의 격벽(38)은 파단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어 격벽(38)의 양측 공간을 차단한다. 격벽(38)은 맨홀벽(10)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과정에서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 특히 내부나선(26)에 시멘트 몰타르가 침투되어 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관로구몸체(16)는 그 원통결합부(52)가 관로구어댑터(14)를 통하여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 결합된다. 관로구몸체(16)의 결합을 위하여 관로구어댑터(14)의 격벽(38)이 제거된다.
관로구몸체(10)는 원통형 결합부(52)가 관로구어댑터(1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저 원통형 결합부(52)에 형성된 단부나선(5)이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나선결합되어 전진하면서 통과하고 이후 원통형 결합부(52)의 중간나선(48)이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나선결합됨으로서 관로구어댑터(14)의 내부나선(26)에 나선결합된다. 관로구몸체(16)의 원통형 결합부(52)와 주동체부(54) 사이에 형성된 환상턱(53)이 패킹(55)의 개재하에 관로구어댑터(14)의 확대구부(32)내에 삽입된다.
맨홀벽(10)의 관로구결합공(12)에서 맨홀의 내측으로 향하는 관로구결합공(12)의 대경부(12b) 측으로 연장된 관로구몸체(16)의 원통형 결합부(52)의 단부에 단부고정링(18)이 나선결합으로 고정된다. 단부고정링(18)은 작업자가 손잡이(74)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으로서 관로구어댑터(14)에 결합고정된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나선결합으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관로구어댑터(14)에 결합고정된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단부고정링(18)이 결합되어 관로구몸체(16)의 결합이 완성된다.
이후에, 관로구몸체(16)에 실질적인 관로의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나선파형관(24)이 결합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관로구몸체(16)의 단부, 즉, 관로구몸체(16)의 주동체부(54)의 단부에 나선파형관(24)의 단부가 결합된다. 이후에, 이들 사이에 내향플랜지(78)를 갖는 고무슬리이브(20)가 결합된다. 이때에 고무슬리이브(20)의 내향플랜지(78)는 관로구몸체(16)의 환상플랜지(56, 58) 사이에 형성된 제1 환상요입부(62)에 삽입되면서 고무슬리이브(20)의 선단측 일부가 관로구몸체(16)의 단부외면에 씌워지고 대부분의 고무슬리이브(20)는 나선파형관(24)의 외면측에 씌워진다. 이러한 고무슬리이브(20)를 나선파형관(24)에 결합하기 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방수패킹(106)이 나선파형관(24)의 나선형 홈에 삽입배치되고 고무슬리이브(20)에 의하여 지지된다(도 8a 참조).
이후에 고무슬리이브(20)상에 고정밴드(22)가 씌워져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의 결합상태를 고정한다. 즉, 도 6f 내지 6h에서 보인 바와 같이, 고정밴드(22)는 밴드본체(80)를 벌린 상태에서 고무슬리이브(20)를 내면에 포함할 수 있도록 고무슬리이브(20)상에 배치되며, 이때에, 밴드본체(80)의 두 내향플랜지(98, 100)가 관로구몸체(16)의 주동체부(54)에 형성된 환상플랜지(56, 58) 사이의 제1 환상요입부(62)와 환상플랜지(58, 60) 사이의 제2 환상요입부(64)에 각각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밴드본체(80)의 개방된 부분내에 보강판(104)을 배치하고 밴드본체(80)의 두 대향된 루우프(82)에 삽입된 체결봉(84)을 통하여 체결된 볼트(90)에 너트(92)를 조여 밴드본체(80)가 고무슬리이브(20)의 외면에 대하여 압착되게 함으로서, 밴드본체(80)는 관로구몸체(16)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의 결합상태를 확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고무슬리이브(20)가 나선파형관(24)에 밀착되고 또한 방수패킹(106)의 결합으로 관로구몸체(16)와 나선파형관(24) 사이의 간극을 통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맨홀벽(10)에 고정된 관로구어댑터(14)에 관로구몸체(16)가 결합되고 그 단부에서 단부고정링(18)으로 고정되며, 관로구몸체(16)에 나선파형관(24)이 단부-단부의 접속으로 연결되고 고정밴드(22)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 8b에서 보인 바와 같이,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고정된 단부고정링(18)의 격벽(70)은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관로에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이 부설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공관로"의 형태로 관리된다. 따라서, 이 경우, 공관로는 단부고정링(18)의 격벽(70)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관로내에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관로에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을 부설하기 위하여 공관로를 개방하여야 할 때,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결합고정되어 있는 단부고정링(18)에서 폐쇄상태에 있는 격벽(70)이 분리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로써 공관로는 개방되어 관로에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을 부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화맨홀의 맨홀벽에 고정되어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의 부설이 계획된 나선파형관이 결합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를 제공하는 바, 맨홀벽에 형성되는 관로구결합공에 이러한 관로구결합공의 길이의 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관로구어댑터가 사용되고 이에 결합되는 관로구몸체가 관로구결합공에서 맨홀벽의 외측과 내측 구부측에서 각각 관로구어댑터와 단부고정링에 의하여 확고하고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10: 맨홀벽, 12: 관로구결합공, 12a: 소경부, 12b: 대경부, 14: 관로구어댑터, 16: 관로구몸체, 18: 단부고정링, 20: 고무슬리이브, 22: 고정밴드, 24: 나선파형관, 26: 내부나선, 28: 방사상 보강리브, 30: 축방향 보강리브, 32: 확대구부, 34: 패킹, 36: 절취요구, 36a: 절취요구망, 38: 격벽, 39: 타격구, 40: 내부판넬, 42: 외부판넬, 44: 결합공성형코어, 44a: 소경원주부, 44b: 대경원주부, 46: 밀봉제, 48: 중간나선, 50: 단부나선, 52: 원통형 결합부, 53: 환상턱, 54: 주동체부, 55: 패킹, 56, 58, 60: 환살플랜지, 62, 64: 환상요입부, 66: 방사상 플랜지, 68: 내부나선, 70: 격벽, 72: 절취요구, 72a: 절취요구망, 73: 타격구, 74: 손잡이, 76: 패킹, 78: 내향플랜지, 80: 밴드본체, 82: 루우프, 84: 체결봉, 86: 볼트관통공, 88: 볼트체결공, 90: 볼트, 92: 너트, 94: 내향돌선, 96: 위치표시돌기, 98, 100: 내향플랜지, 102: 절결부, 104: 보강판, 106 방수패킹, 108: 지중화맨홀.

Claims (7)

  1. 맨홀벽(10)의 내측에 관로구결합공(12)이 형성된 지중화맨홀에 대하여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이 부설되는 관로를 구성하는 나선파형관(24)이 결합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가
    상기 맨홀벽(10)의 상기 관로구결합공(12)에 고정되고 내부에 내부나선(26)을 가지며 외측으로 확대구부(32)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분리가능한 격벽(38)이 형성되어 있는 관로구어댑터(14);
    상기 관로구어댑터(14)의 상기 내부나선(26)에 결합되는 중간나선(48)과 단부의 단부나선(50)이 형성되고 상기 관로구어댑터(14)에 삽입되어 관통하는 원통형 결합부(52)와, 상기 원통형 결합부(52)에 일체로 연장된 주동체부(54)를 포함하는 관로구몸체(16);
    상기 관로구어댑터(14)와 상기 맨홀벽(10)의 상기 관로구결합공(12)을 관통하여 연장된 상기 관로구몸체(16)의 상기 단부나선(50)에 나선결합되는 내부나선(68)을 가지고 외면측에 분리가능한 돔형의 격벽(70)이 격설된 단부고정링(18);
    상기 관로구몸체(16)의 상기 주동체부(54)에 대하여 단부-단부가 결합되는 상기 나선파형관(24)의 외면에 씌워져 안팎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슬리이브(20)와;
    "C"자형으로 일측이 개방된 밴드본체(80)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본체(80)가 가 체결봉(84)과 볼트-너트 조립체(90, 92)로 체결되어 상기 고무슬리이브(20)를 통하여 상기 관로구몸체(16)의 상기 주동체부(54)와 상기 나선파형관(24)의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밴드(2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어댑터(14)가 상기 맨홀벽(10)의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관로구결합공(12)에서 상기 맨홀벽(10)의 외측을 향하여 상기 관로구결합공(12)의 반부분에 고정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어댑터(14)에 형성된 상기 격벽(38)의 둘레에 두께가 얇은 절취용의 절취요구(3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38)의 전면에는 중앙에 상기 격벽(38)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형태의 타격구(39)와 그 둘레에 거미줄 모양의 절취요구망(36a)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벽(10)의 상기 관로구결합공(12)에서 상기 관로구어댑터(14)가 배치되는 위치를 벗어나 상기 맨홀의 내측방향으로 소경부(12a)와 대경부(1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부고정링(18)이 상기 관로구몸체(16)의 단부에 나선결합될 때 상기 단부고정링(18)이 상기 관로구결합공(12)의 상기 대경부(12b)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고정링(18)에 형성된 상기 격벽(70)의 둘레에 두께가 얇은 절취용의 절취요구(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격벽(70)의 전면에는 중앙에 상기 격벽(70)을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형태의 타격구(73)와 그 둘레에 거미줄 모양의 절취요구망(72a)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구몸체(16)의 상기 주동체부(54)에는 단부에 차례로 3개의 환상플랜지(56, 58, 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플랜지(56, 58, 60) 사이에 각각 제1 및 제2 환상요입부(62, 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무슬리이브(20)의 구부단부에는 상기 주동체부(54)의 상기 제1 환상요입부(62)내에 삽입되는 환상의 내향플랜지(7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본체(80)의 선단부분에는 상기 주동체부(54)의 제1 및 제2 환상요입부(62, 64)에 삽입되는 두개의 내향플랜지(98, 100)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상기 관로구어댑터(14)가 상기 맨홀벽(10)에 고정결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공급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의 부설을 위한 지중화맨홀.
KR1020140031458A 2014-03-18 2014-03-18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KR10215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58A KR102156064B1 (ko) 2014-03-18 2014-03-18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458A KR102156064B1 (ko) 2014-03-18 2014-03-18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47A true KR20150108547A (ko) 2015-09-30
KR102156064B1 KR102156064B1 (ko) 2020-10-07

Family

ID=5424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458A KR102156064B1 (ko) 2014-03-18 2014-03-18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31U (ko) * 2017-05-31 2018-12-10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KR20210048912A (ko) * 2019-10-24 2021-05-04 한국전력공사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59Y1 (ko) * 2000-06-21 2000-12-15 주수영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KR20080077752A (ko) * 2007-02-21 2008-08-26 주수영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맨홀관로의 연결방법
KR20130093248A (ko) * 2012-02-14 2013-08-22 주수영 관로구어댑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59Y1 (ko) * 2000-06-21 2000-12-15 주수영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KR20080077752A (ko) * 2007-02-21 2008-08-26 주수영 맨홀관로의 이형관로 연결장치와 이러한 장치를 이용한맨홀관로의 연결방법
KR20130093248A (ko) * 2012-02-14 2013-08-22 주수영 관로구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431U (ko) * 2017-05-31 2018-12-10 한국전력공사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KR20210048912A (ko) * 2019-10-24 2021-05-04 한국전력공사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064B1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0339B2 (en)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EP2696124B1 (en) System for embedding a sealable conduit for ducting a tube or cable in a wall or floor which is to be produced by a casting process and method for embedding such a conduit
US8360684B2 (en) Method for linking segments and linking tool
KR20150108547A (ko)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US10519659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necting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KR20140114154A (ko) 관로구어댑터
KR102120042B1 (ko) 지중맨홀 관로구의 파형관 연결구조
JPH1193191A (ja) マンホール等と管路の接続構造
CN107916942A (zh) 顶管隧道管节与盾构隧道管片的连接装置
CN207470196U (zh) 顶管隧道管节与盾构隧道管片的连接装置
KR100762012B1 (ko) 배관보호용 슬리브
KR101890409B1 (ko) 패킹재가 소켓부에 일체로 설치된 하수도용 소켓관,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0683911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내부연결부재
KR20140107812A (ko) 커넥터가 구비된 맨홀,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485339B2 (ja) ハンドホールのケーブル支持管接続工法及びケーブル支持管接続構造
KR101496635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의 제작방법
KR100635484B1 (ko) 맨홀 등과 관체의 일체 결합용 연결거푸집
JP6019096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JP2001090173A (ja) 管路の補修方法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JP3497383B2 (ja) マンホールと管と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KR100942370B1 (ko) 수도관의 교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전어셈블리의 구조
KR100781654B1 (ko) 콘크리트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