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912A -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912A
KR20210048912A KR1020190133181A KR20190133181A KR20210048912A KR 20210048912 A KR20210048912 A KR 20210048912A KR 1020190133181 A KR1020190133181 A KR 1020190133181A KR 20190133181 A KR20190133181 A KR 20190133181A KR 20210048912 A KR20210048912 A KR 20210048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adapter
coupling
wall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475B1 (ko
Inventor
황민성
김원일
이상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33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4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0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extremity of the pipe being screwed in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예비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어댑터; 및 상기 제1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댑터의 외주면은 상기 예비홀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ADAPTER FOR CABLE PATHWAY}
본 발명은 관로구 연결장치로서, 구체적으로 맨홀에 형성되어 있는 예비홀에 관로구를 연결하기 위한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다.
통신 및 전력을 공급하는 각종 케이블은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마다 맨홀을 형성한다. 맨홀에는 관로의 양 단에 구비되는 관로구가 인입되기 위한 관로공이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맨홀의 외벽의 하부에 6개의 관로공이 형성되고, 상부에 3개의 예비홀이 형성된다. 현재 사용되는 관로구는 하부에 형성된 6개의 관로공에 설치되는데 문제가 없다. 다만, 현재 사용되는 관로구는 예비홀과 규격이 맞지 않아 예비홀에 설치되는데 제한이 있다.
따라서, 현재는 예비홀 주변에 규격과 맞는 새로운 관로공을 천공하여 사용하거나, 예비홀에 관로구를 삽입후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맨홀에 무분별한 천공이 발생하거나, 관로구를 맨홀에 인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불필요한 시공비가 발생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1(제10-2013-0011775호)에는 예비홀이 아닌 하부에 설치된 관로공에 사용되는 어댑터가 개시된다. 선행문헌 1에 개시된 어댑터는 예비홀에 삽입되기 어렵고, 상술한 문제점이 수반된다.
이에 따라, 예비홀에 관로구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가 요구된다.
선행기술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11775호(2013.01.3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의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예비홀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관로구와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관로구 내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고, 예비홀과 연결장치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의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벽에 충격 또는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연결장치에 전달되는 상기 충격 또는 진동을 저감하는 구조의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벽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예비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어댑터; 및 상기 제1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댑터의 외주면은 상기 예비홀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어댑터는, 보스부; 및 상기 보스부에서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의 반경은 상기 결합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공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보스부 사이에는 제1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어댑터의 일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반경은 상기 예비홀의 내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벽과 상기 제1 플랜지부 사이에는 제2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어댑터의 일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반경은 상기 예비홀의 외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과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는 제3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어댑터의 외주면에는, 삽입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상기 리브 중 인접한 두 리브 사이에는 댐핑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결합공은 관로구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어댑터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공은 후방 측에는 개폐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개폐부재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 관로구 연결장치를 예비홀에 설치함으로써, 예비홀에 관로구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비홀 주변에 부가적인 천공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맨홀 외벽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외벽에 콘크리트 타설할 필요 없이 예비홀에 관로구를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예비홀에 관로구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예비홀 관로구 연결장치는 복수의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 사이의 결합부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비홀과 제1 어댑터 사이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와 외벽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어댑터는 외주면에 리브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제1 어댑터의 외주면과 예비홀 사이의 마찰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어댑터의 외주면과 예비홀 사이에 침투하여 팽창된 수분에 의해 제1 어댑터의 외주면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어댑터와 예비홀 사이에 댐핑부재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제1 어댑터와 제2 어댑터 사이의 결합부 또는 제2 어댑터와 관로구 사이의 결합부에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진동에 의해 풀리거나 마모될 수 있는 결합부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맨홀의 외벽에 형성된 관로공 및 예비홀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는 관로구의 결합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에 대한 설명
먼저,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내측"이라는 용어는 예비홀(1) 및 관로공(2)이 형성되는 외벽(3)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은 외벽(3)의 내측에서 본 예비홀(1) 및 관로공(2)을 도시한다. 또한 "내측"은 도 4에 도시된 외벽(3)의 좌측 방향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외측"이라는 용어는 예비홀(1) 및 관로공(2)이 형성되는 외벽(3)의 외측을 향하는 방향 의미한다. "외측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외벽(3)의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축 방향"이라는 용어는 중공형으로 제1 어댑터(210) 및 제2 어댑터(220)의 중심축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축 방향"은 제1 어댑터(210) 및 제2 어댑터(220)가 예비홀(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방사방향"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제1 어댑터(210)의 중심 축에서 상기 중심 축과 수직하게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방향 또는 제2 어댑터(220)의 중심 축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원주방향"은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제1 어댑터(210) 또는 제2 어댑터(220)의 중심 축과 수직한 가상 선을 상기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을 의미한다.
2. 맨홀의 외벽(3)에 형성된 관로공(2) 및 예비홀(1)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맨홀의 외벽(3)에 형성된 관로공(2) 및 예비홀(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맨홀의 외벽에 형성된 관로공 및 예비홀을 도시하는 사시도다.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기 위하여 일정 구간마다 맨홀을 형성한다. 상기 맨홀의 외벽(3)에는 관로의 양 단에 구비되는 관로구(12, 도 2 참조)가 인입되기 위한 관로공(2)이 형성된다.
관로공(2)은 외벽(3)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복수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관로공(2)은 외벽(3)에 6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로공(2)의 상부에는 예비홀(1)이 형성된다. 예비홀(1)은 직경은 관로공(2)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예비홀(1)의 내측 직경과 외측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관로공(2)과 예비홀(1)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된다.
따라서, 현재는 예비홀(1) 주변에 규격과 맞는 새로운 관로공(2)을 천공하여 사용하거나, 예비홀(1)에 관로구(12)를 삽입후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맨홀에 무분별한 천공이 발생하거나, 관로구(12)를 맨홀에 인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불필요한 시공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비홀(1)에 관로구(12)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장치가 요구된다.
3. 관로구(12)에 대한 설명
아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현재 상용되고 있는 관로구(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는 관로구(12)의 결합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2는 관로구(12)가 관로공(2)에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관로구(12)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즉, 관로구(12)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내부 공간에는 관로(12c)가 삽입되고, 관로구(12)는 상기 관로(12c)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2b)를 구비한다. 또한, 외벽(3)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스부에서 외벽(3)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부(12a)가 형성된다.
외벽(3)의 내측에서 관로공(2)에 관로구 연결장치(100)가 삽입된다. 관로구 연결장치(100)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즉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10)이 형성된다.
관통공(110)의 내측에 나사 결합부(110a)가 형성되고, 외측에도 나사 결합부(110b)가 형성된다.
외벽(3)의 외측에서 관로구(12)가 관통공(110)으로 삽입되고, 관로구(12)의 나사 결합부(12a)와 관통공(110)의 나사 결합부(110b)가 서로 체결된다.
관로구(12)가 관로구 연결장치(100)에 체결되면, 외벽(3)의 내측에서 개폐부재(11)가 관통공(110)에 삽입된다. 개폐부재(11)는 관로구 연결장치(100) 및 관로구(12)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한다.
개폐부재(11)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부(11a)가 형성된다. 개폐부재(11)의 나사 결합부(11a)와 관통공(110)의 나사 결합부(110a)가 서로 체결된다.
상술한 관로구(12)는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4.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200)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측면도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다.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200)는 제1 어댑터(210) 및 제2 어댑터(220)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어댑터(210)와 제2 어댑터(220)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실링부재(241), 제2 실링부재(242) 및 제3 실링부재(243)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200)와 예비홀(1) 사이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는 댐핑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제1 어댑터(210)에 대한 설명
제1 어댑터(2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벽(3)의 내측에서 예비홀(1)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어댑터(21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갖고 온도변화에 대해 열 팽창 계수가 낮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어댑터(210)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공(211)이 형성된다. 제1 결합공(211)에는 두 개의 나사 결합부(211a, 211b)가 형성된다. 내측 방향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211a)는 개폐부재(11)와 결합되고, 외측 방향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211b)는 후술하는 제2 어댑터(220)와 결합된다.
또한, 외벽(3)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제2 어댑터(220)가 제1 결합공(211)에 삽입되므로, 제1 결합공(211) 중 제2 어댑터(220)가 삽입되는 부분은 제2 어댑터(2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비홀(1)은 내측의 직경이 외측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은 예비홀(1)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제1 어댑터(210)의 내측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212)가 형성된다. 즉, 외벽(3)의 내측을 향하는 제1 어댑터(210)의 일 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212)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1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213)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은 예비홀(1)로부터 리브(213)의 연장길이만큼 이격되고, 상기 외주면과 예비홀(1) 사이에 소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벽(3)이 외부 환경에 의해 진동되는 경우,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이 예비홀(1)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과 예비홀(1)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수분이 상 변화(예를 들어, 응고)되어 팽창될 수 있다. 이 때, 팽창된 수분이 제1 어댑터(210)와 외주면 사이에 소정 공간에 수용되므로 외주면이 직접 가압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제2 어댑터에 대한 설명
제2 어댑터(21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벽(3)의 외측에서 제1 결합공(2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어댑터(220)는 절연성 및 내열성을 갖고 온도변화에 대해 열 팽창 계수가 낮은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어댑터(220)에는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공(221)이 형성된다. 제2 외벽(3)의 외측에서 제2 결합공(221)에 관로구(12)가 삽입되고, 제2 결합공(221)에는 나사 결합부(221a)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 결합부(221a)는 관로구(12)의 나사 결합부(12a)와 체결된다.
제2 어댑터(220)의 외측 단부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222)가 형성된다. 즉, 외벽(3)의 외측을 향하는 제2 어댑터(220)의 일 단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222)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어댑터(220)는 상기 제2 플랜지부(222)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보스부(223) 및 상기 보스부(223)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결합부(224)를 포함한다.
보스부(223)의 반경은 결합부(224)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보스부(223)와 결합부(224) 사이에 단차가 형성된다.
결합부(224)와 보스부(223)는 제1 결합공(211)에 삽입된다. 제1 결합공(211) 중 결합부(224) 및 보스부(223)와 방사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결합부(224) 및 보스부(223)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결합부(224)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부(224a)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 결합부(224a)는 제1 결합공(211)의 나사 결합부(211b)와 체결된다.
(3) 제1 실링부재(241), 제2 실링부재(242) 및 제3 실링부재(243)에 대한 설명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링부재(241), 제2 실링부재(242) 및 제3 실링부재(243)의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링부재(241), 제2 실링부재(242) 및 제3 실링부재(243)가 제1 어댑터(210) 및 제2 어댑터(220)와 결합된 단면도가 도시된다.
제1 실링부재(241)는 결합부(224)와 보스부(223)의 반경의 차이만큼의 폭을 갖는 환형 부재다. 제2 어댑터(220)가 제1 어댑터(210)의 제1 결합공(211)에 삽입될 때, 제1 실링부재(241)가 함께 삽입되어 제1 결합공(211)과 보스부(223)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실링부재(241)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결합공(211)과 보스부(223) 사이를 방사방향으로 실링한다.
이를 통해, 보스부(223)의 내측에 위치한 결합부(224)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부(224)와 제1 결합공(211) 사이의 나사결합에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 날씨의 변동으로 침투된 수분이 얼음으로 상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분의 부피 팽창으로 인해 나사결합이 파괴될 위험이 있다.
제1 실링부재(241)가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므로, 결합부(224)와 제1 결합공(211) 사이의 결합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링부재(242)는 제1 플랜지부(212)와 대응되는 크기를 구비하는 환형 부재다. 제2 실링부재(242)는 제1 플랜지부(212)와 외벽(3)의 내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실링부재(242)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플랜지부(212)와 외벽(3)의 내측벽 사이를 방사방향으로 실링한다.
이를 통해,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외벽(3)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1 플랜지부(212)가 외벽(3)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플랜지부(212)가 외벽(3) 사이 또는 예비홀(1)과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 사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분의 상 변화에 의한 팽창으로 제1 어댑터(210)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링부재(243)는 제2 플랜지부(222)와 대응되는 크기를 구비하는 환형 부재다. 제3 실링부재(243)는 제2 플랜지부(222)와 외벽(3)의 외측벽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실링부재(243)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플랜지부(222)와 외벽(3)의 외측벽 사이를 방사방향으로 실링한다.
이를 통해, 외부 환경 변화에 의해 외벽(3)에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제2 플랜지부(222)가 외벽(3)과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제2 플랜지부(222)가 외벽(3) 사이 또는 예비홀(1)과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 사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분의 상 변화에 의한 팽창으로 제1 어댑터(210)가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링부재(241)와 함께 이중 실링구조를 형성하므로, 결합부(224)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이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4) 댐핑부재(230)에 대한 설명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리브(213) 중 인접한 두 리브(213) 사이에는 댐핑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댐핑부재(23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하나의 댐핑부재(230)만이 도시되어 있고, 나머지는 생략되어 있다. 댐핑부재(23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인접한 두 리브(213)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예비홀(1)과 제1 어댑터(210)의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복수 개의 댐핑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벽(3)이 외부 환경에 의해 진동되는 경우, 탄성을 가진 댐핑부재(230)가 제1 어댑터(210)에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즉, 제1 어댑터(210)와 제2 어댑터(220) 사이의 결합부 또는 제2 어댑터(220)와 관로구(12) 사이의 결합부에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진동에 의해 풀리거나 마모될 수 있는 결합부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결합방법에 대한 설명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로구 연결장치(200)의 결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인접한 리브(213) 사이에 댐핑부재(230)를 배치한 후 외벽(3)의 내측에서 제1 어댑터(210)를 예비홀(1)에 삽입한다.
이 때, 제1 어댑터(210)에 제2 실링부재(242)를 끼워 제1 플랜지부(212)와 외벽(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다.
제1 어댑터(210), 댐핑부재(230) 및 제2 실링부재(242)의 배치가 완료되면, 제1 어댑터(210)에 형성된 제1 결합공(211)에 제2 어댑터(220)를 삽입한다.
이 때, 제2 어댑터(220)에 제1 실링부재(241) 및 제3 실링부재(243)를 끼운 상태로 제2 어댑터(220)를 제1 결합공(211)에 삽입한다.
제2 어댑터(2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어댑터(220)의 결합부(224)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224a)와 제1 결합공(211)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211b)가 서로 맞물려 나사 결합된다.
상기 나사 결합에 실링부재들(241, 242, 243)이 축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 실링부재(241)는 보스부(223)와 제1 결합공(211)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2 실링부재(242)는 제1 플랜지부(212)와 외벽(3) 사이에서 가압되며, 제3 실링부재(243)는 제2 플랜지부(222)와 외벽(3) 사이에서 가압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200)가 외부 수분으로부터 실링된다.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제2 어댑터(220)에 형성된 제2 결합공(221)에 관로구(12)를 결합한다. 제2 결합공(221)에 형성된 나사 결합부(221a)와 관로구(12)의 나사 결합부(12a)가 서로 체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관로구(12)의 보스부와 제2 어댑터(220)의 보스부(223)의 내주면 사이에 부가적으로 환형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어댑터(220)와 관로구(12) 사이의 결합부에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로구(12)의 설치가 완료되면, 외벽(3)의 내측에서 제1 결합공(211)에 개폐부재(11)를 삽입한다.
개폐부재(11)의 외주면에는 나사 결합부(11a)가 형성되어 제1 결합공(211)의 나사 결합부(211a)와 서로 체결된다.
상술한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200)를 예비홀(1)에 설치함으로써, 예비홀(1)에 관로구(12)를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비홀(1)에 관로구(12)를 설치하기 위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예비홀
2: 관로공
11: 개폐부재
11a: 나사 결합부
12: 관로구
12a: 나사 결합부
12b: 고정부재
12c: 관로
100: 관로구 연결장치
100a: 나사 결합부
100b: 나사 결합부
200: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210: 제1 어댑터
211: 제1 결합공
211a: 나사 결합부
211b: 나사 결합부
212: 제1 플랜지부
213: 리브
220: 제2 어댑터
221: 제2 결합공
221a: 나사 결합부
222: 플랜지부
223: 보스부
224: 결합부
224a: 나사 결합부
230: 댐핑부재
241: 제1 실링부재
242: 제2 실링부재
243: 제3 실링부재

Claims (14)

  1. 외벽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예비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어댑터; 및
    상기 제1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어댑터의 외주면은 상기 예비홀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어댑터는,
    보스부; 및
    상기 보스부에서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의 반경은 상기 결합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공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보스부 사이에는 제1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어댑터의 일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반경은 상기 예비홀의 내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과 상기 제1 플랜지부 사이에는 제2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어댑터의 일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반경은 상기 예비홀의 외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과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는 제3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의 외주면에는,
    삽입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리브 중 인접한 두 리브 사이에는 댐핑부재가 삽입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공은 관로구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결합공은 후방 측에는 개폐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개폐부재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3 결합부가 형성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11. 외벽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관통하는 예비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내부를 관통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 어댑터;
    상기 제1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2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홀의 직경은 내측이 외측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어댑터의 외주면은 상기 예비홀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어댑터는,
    보스부; 및
    상기 보스부에서 상기 외벽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부의 반경은 상기 결합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공은 상기 보스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보스부 사이에는 제1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 어댑터의 일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반경은 상기 예비홀의 내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외벽과 상기 제1 플랜지부 사이에는 제2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2 어댑터의 일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반경은 상기 예비홀의 외측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외벽과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는 제3 실링부재가 배치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어댑터의 외주면에는,
    삽입방향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되며,
    복수 개의 상기 리브 중 인접한 두 리브 사이에는 댐핑부재가 삽입되는,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KR1020190133181A 2019-10-24 2019-10-24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KR10236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81A KR102366475B1 (ko) 2019-10-24 2019-10-24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181A KR102366475B1 (ko) 2019-10-24 2019-10-24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912A true KR20210048912A (ko) 2021-05-04
KR102366475B1 KR102366475B1 (ko) 2022-02-24

Family

ID=7591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81A KR102366475B1 (ko) 2019-10-24 2019-10-24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4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37B1 (ko) * 2011-03-04 2011-05-13 (주)하림기술단 지중배전용 관로 연결구
KR20130011775A (ko) 2011-07-22 2013-01-30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어댑터
KR101503819B1 (ko) * 2013-03-25 2015-03-23 리더스파워텍(주)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KR20150108547A (ko) * 2014-03-18 2015-09-30 주식회사 아주미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837B1 (ko) * 2011-03-04 2011-05-13 (주)하림기술단 지중배전용 관로 연결구
KR20130011775A (ko) 2011-07-22 2013-01-30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어댑터
KR101503819B1 (ko) * 2013-03-25 2015-03-23 리더스파워텍(주)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KR20150108547A (ko) * 2014-03-18 2015-09-30 주식회사 아주미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475B1 (ko) 202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33604A1 (en) Clamshell coupling system and method
US20130106060A1 (en) Assembly and a method for providing in an opening sealing system
CA24458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able in existing pipelines
JP3430396B2 (ja) 継手付きベルマウスとそのブロック体並びにハンドホール
KR100514718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US20170219123A1 (en) Underground pipe pulling process and pipe pull head
US20070252389A1 (en) Duct Coupling Assembly
KR20210048912A (ko) 예비홀용 관로구 연결장치
US10274106B2 (en) Pullhead device and method of use
US67584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a conduit
JPH1193191A (ja) マンホール等と管路の接続構造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JP2013167140A (ja) 管体のスラブ埋設部構造
KR100968600B1 (ko) 콘크리트 벽체에 관로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사용되는 방수관
KR20210029133A (ko) 에어컨 매립배관의 윤활제 주입방법
JP4564900B2 (ja) ハンドホールとケーブル保護管の接続構造及び管継手セット並びに管継手接続用短管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GB2521994A (en) An improved cable transfer system
KR102076918B1 (ko)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KR20130090559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JP5534879B2 (ja) ベルマウスの取付構造、ベルマウスと地中箱との固定構造および地中箱へのベルマウスの取付方法
JP2000282459A (ja)
KR20160121786A (ko) 맨홀용 관로구 및 맨홀용 관로구의 맨홀 시공 방법
JP2000059972A (ja) マンホール継手とそ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