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431U -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Google Patents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03431U KR20180003431U KR2020170002670U KR20170002670U KR20180003431U KR 20180003431 U KR20180003431 U KR 20180003431U KR 2020170002670 U KR2020170002670 U KR 2020170002670U KR 20170002670 U KR20170002670 U KR 20170002670U KR 20180003431 U KR20180003431 U KR 2018000343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ground
- ground transformer
- bas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50—Pedestal- or pad-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대 및 상기 하부대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며, 지상으로 노출된 부분의 측벽부에 케이블 통과용 상부관로구가 형성되어 제공되는 상부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지중(地中) 송배전선로의 공사시에 지상변압기 설치를 위하여 설치되는 기초대가 상하부로 나뉘어져 있었다. 그리고, 관로구는 기초대의 상하부 중에서 하부에만 설치되어 있었으며, 상부에는 관로구 설치되지 않았었다.
여기에서, 상기 지상변압기 기초대는 콘크리트 재질로서 상하부로 분리되며 하부에는 관로홈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로홈은 기초대 규격별로 필요공수만큼 제작되어 이후에 관통되어 지중케이블 포설을 위한 관로구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상변압기 기초대의 상부에는 관로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이후에 관로구로 관통될 수 없다.
그런데, 지중에 설치된 지상변압기 기초대에는 저압케이블 인출을 위한 관로구가 없기 때문에, 지상변압기 기초대 상부를 파손 후 저압케이블을 인출하여 시공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저압 가로등, 임시전력 등 저압케이블의 시공을 위해 기초대의 하부까지 굴착하여 기초대 하부의 관로구를 사용하여 저압케이블을 인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에서, 기초대의 상부를 파손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지상변압기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기초대 하부 관로구까지 저압케이블을 시공하는 작업도 안전상의 문제가 있어,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지상변압기 기초대의 상부의 파손 없이 저압케이블 등의 인출 시공이 용이한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의 통과 시공이 용이한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대 및 상기 하부대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며, 지상으로 노출된 부분의 측벽부에 케이블 통과용 상부관로구가 형성되어 제공되는 상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는 상기 상부관로구에 결합되며, 케이블이 통과하게 구비되는 유도관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유도관유닛은, 상기 상부관로구에 삽입되는 결합관, 상기 상부대 측벽부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관의 외측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의 타단부에 탈착되게 구비되는 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연장관은, 지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유도관유닛은, 상기 상부대 측벽부의 내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관의 내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상부대는, 상기 상부관로구에 삽입되어 탈착하게 구비되는 고무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상부관로구는,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고무마개는, 일단부에 상기 지지탭과 결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상부관로구는,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는 상부대의 파손 없이 저압케이블 등의 인출 시공이 용이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저압케이블 등의 시공시에 설비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부실시공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상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하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의 캡부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의 플랜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으로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상부대의 고무마개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상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하부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의 캡부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의 플랜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으로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상부대의 고무마개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고안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에 상부대(20)를 파손하여 저압케이블(C) 등을 인출 시공한 점을 개선하여, 상부대(20)의 파손 없이 가로등, 임시전력의 저압케이블(C) 등의 인출 시공이 용이하게 제시된 기술이다.
이에 의해서, 저압케이블(C) 등의 시공시에 설비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부실시공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상부대(2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하부대(1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는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대(10) 및 상기 하부대(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며, 지상으로 노출된 부분의 측벽부에 케이블(C) 통과용 상부관로구(21)가 형성되어 제공되는 상부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대(10), 상부대(20)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 포함되며, 특히 상기 상부대(20)에 상부관로구(21)가 형성됨으로써, 지중(地中)에 설치 이후에 가로등, 임시전력의 저압케이블(C) 등의 설치시에 지상(地上)으로 노출된 상부관로구(21)를 통하여 케이블(C)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하부대(10)는 지중에 매설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상부대(20)가 안착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대(2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기 위해서, 상기 하부대(1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대(20)에 형성된 안착 돌기에 대응되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대(10)의 외면에는 지중에 안착을 위한 고리가 형성될 수 있고, 이후에 하부관로구를 형성하기 위한 가벽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벽부(11)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게 형성된 벽부로써, 케이블(C) 등의 관통을 위해서 이후에 제거되어 하부관로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대(20)는 상기 하부대(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공되며, 지상변압기가 안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부대(20)의 하면에는 안착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대(20)의 상면에는 안착부재(23)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대(20)의 측벽부에는 이후에 케이블(C)이 관통하기 위한 상부관로구(21)가 제공됨으로써, 지중에 본원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가 시공된 이후에도 가로등, 임시전력 등의 저압케이블(C)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상부관로구(21)에는 고무마개(22)가 설치되어 상기 상부관로구(2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밀폐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30)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30)의 캡부재(33)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30)의 플랜지부재(34)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유도관유닛(30)으로 케이블(C)이 관통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는 상기 상부관로구(21)에 결합되며, 케이블(C)이 통과하게 구비되는 유도관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도관유닛(30)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상부관로구(21)를 관통하여 지중의 케이블(C)의 설치를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유도관유닛(30)은 상기 상부관로구(21)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유도관유닛(30)은 결합관(31), 연장관(32), 캡부재(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유도관유닛(30)은, 상기 상부관로구(21)에 삽입되는 결합관(31), 상기 상부대(20) 측벽부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관(31)의 외측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관(3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연장관(32) 및 상기 연장관(32)의 타단부에 탈착되게 구비되는 캡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도관유닛(30)은 상기 상부관로구(21)에 결합되는 결합관(31) 이외에, 케이블(C)이 상기 상부관로구(21)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장관(32)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부재(33)는 상기 케이블(C)의 설치가 불요한 경우에 상기 유도관유닛(30)을 밀폐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관(31)은 상기 상부관로구(2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관로구(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고, 플랜지부재(34) 및 밴딩된 연장관(32)에 의해서 이탈이 방지되게 상기 상부관로구(2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관(32)은 상기 연장관(32)의 외측단에서 연장된 구성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케이블(C)이 상기 상부관로구(21)에 삽입된 결합관(31)에 관통하는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연장관(32)은 하방으로 밴딩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지중 케이블(C)의 관통 시공시의 용이성 및 시공 이후에 케이블(C)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연장관(32)은, 지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5의 도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캡부재(33)는 케이블(C)을 관통 시공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상부관로구(21)를 밀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캡부재(33)는 상기 연장관(32)의 타단부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도 6에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유도관유닛(30)은, 상기 상부대(20) 측벽부의 내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관(31)의 내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관(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관(31)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재(34)는 상기 결합관(31)이 상기 상부관로구(2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결합관(31)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상부대(20)의 측벽부에 결합되기 위한 구성이다.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재(34)는 플랜지너트부(34a), 패킹지지부(34b), 패킹부(34c)를 포함하여 상기 결합관(31)의 내측단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킹부(34c)는 상기 플랜지너트부(34a)가 상기 결합관(31)의 내측단에 결합시에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관(31)의 외면부와 상기 상부관로부의 내면부 사이의 밀폐를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지지부(34b)는 상기 패킹부(34c)를 지지하여 상기 패킹부(34c)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너트부(34a)는 상기 결합관(31)의 내측단에 나사 결합되어 결합되며, 상기 결합관(31)의 외경부보다 큰 직경으로 제공되어 상기 결합관(31)의 내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에서 상부대(20)의 고무마개(22)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상부대(20)는, 상기 상부관로구(21)에 삽입되어 탈착하게 구비되는 고무마개(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무마개(22)가 상기 상부관로구(21)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관로구(2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대(20)의 측벽부를 밀폐되게 구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고무마개(22)가 상기 상부관로구(21)에 결합되는 경우에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고무마개(22)에는 지지홈(22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관로구(21)에는 지지탭(21a)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상부관로구(21)는,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탭(21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고무마개(22)는, 일단부에 상기 지지탭(21a)과 결합되는 지지홈(2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무마개(22)가 상기 상부관로구(21)에 끼워지면 상기 지지홈(22a)에 지지탭(21a)이 걸림으로써,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고무마개(22)가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블(C)의 설치를 위해서 상기 상부관로구(21)를 개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고무마개(22)를 상기 상부관로구(21)에서 빼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고무마개(22)의 외면부에는 손잡이(22b)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더하여, 상기 상부관로구(21)에 상기 고무마개(22)를 끼우는 경우에 상기 고무마개(22)의 끼움 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상기 상부관로구(21)의 밀폐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상부관로구(21)의 측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고무마개(22)도 상기 상부관로구(21)의 측단면에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측단면을 형성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상변압기용 기초대의 상기 상부관로구(21)는,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관로구(21)의 형태는 측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단면이 직사각형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관로구(21)의 형태는 측단면이 직사각형 형태인 경우에는 그 형성 작업이 용이하며, 상기 상부관로구(21)에 삽입되는 고무마개(22)의 측단면 형태도 직사각형 형태로써 역시 그 제조가 용이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10: 하부대
11: 가벽부
20: 상부대 21: 상부관로구
22: 고무마개 23: 안착부재
30: 유도관유닛 31: 결합관
32: 연장관 33: 캡부재
34: 플랜지부재
20: 상부대 21: 상부관로구
22: 고무마개 23: 안착부재
30: 유도관유닛 31: 결합관
32: 연장관 33: 캡부재
34: 플랜지부재
Claims (9)
-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대; 및
상기 하부대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지상으로 노출되며, 지상으로 노출된 부분의 측벽부에 케이블 통과용 상부관로구가 형성되어 제공되는 상부대;
를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로구에 결합되며, 케이블이 통과하게 구비되는 유도관유닛;
을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유닛은,
상기 상부관로구에 삽입되는 결합관;
상기 상부대 측벽부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관의 외측단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의 타단부에 탈착되게 구비되는 캡부재;
를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은, 지면을 향하여 하방으로 밴딩되어 연장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유닛은,
상기 상부대 측벽부의 내면에 접하는 상기 결합관의 내측단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결합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재;
를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대는,
상기 상부관로구에 삽입되어 탈착하게 구비되는 고무마개;
를 포함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로구는, 내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마개는, 일단부에 상기 지지탭과 결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관로구는, 상기 측벽부의 외면에서 내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단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상변압기용 기초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670U KR200493982Y1 (ko) | 2017-05-31 | 2017-05-31 |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70002670U KR200493982Y1 (ko) | 2017-05-31 | 2017-05-31 |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03431U true KR20180003431U (ko) | 2018-12-10 |
KR200493982Y1 KR200493982Y1 (ko) | 2021-07-12 |
Family
ID=6466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70002670U KR200493982Y1 (ko) | 2017-05-31 | 2017-05-31 |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3982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3857A (ko) * | 2019-10-14 | 2021-04-22 | 한국전력공사 | 지하 매립형 이중전원 저압 분전함 및 이의 운영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8262Y1 (ko) * | 2003-10-30 | 2004-01-13 | 한국전력공사 | 지상설치형 변압기의 받침 장치 |
KR100601589B1 (ko) * | 2006-04-12 | 2006-07-19 | (주)원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단지내의 케이블보호 파형관의 우수유입차단장치 |
JP2006353072A (ja) * | 2005-06-16 | 2006-12-28 | Takeshi Oe | ハンドホ−ル及び継手工法 |
KR200440600Y1 (ko) | 2007-03-09 | 2008-06-19 | 주식회사 삼성산업 | 변압기 및 개폐기용 기초대 |
KR20150108547A (ko) * | 2014-03-18 | 2015-09-30 | 주식회사 아주미 |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
-
2017
- 2017-05-31 KR KR2020170002670U patent/KR20049398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8262Y1 (ko) * | 2003-10-30 | 2004-01-13 | 한국전력공사 | 지상설치형 변압기의 받침 장치 |
JP2006353072A (ja) * | 2005-06-16 | 2006-12-28 | Takeshi Oe | ハンドホ−ル及び継手工法 |
KR100601589B1 (ko) * | 2006-04-12 | 2006-07-19 | (주)원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 단지내의 케이블보호 파형관의 우수유입차단장치 |
KR200440600Y1 (ko) | 2007-03-09 | 2008-06-19 | 주식회사 삼성산업 | 변압기 및 개폐기용 기초대 |
KR20150108547A (ko) * | 2014-03-18 | 2015-09-30 | 주식회사 아주미 |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3857A (ko) * | 2019-10-14 | 2021-04-22 | 한국전력공사 | 지하 매립형 이중전원 저압 분전함 및 이의 운영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3982Y1 (ko) | 2021-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5806B1 (ko) | 관정용 소켓 어셈블리 | |
JP2000146068A (ja) | 継手付きベルマウスとそのブロック体並びにハンドホール | |
KR20180003431U (ko) | 지상변압기용 기초대 | |
US9136679B1 (en) | Non-metallic split bushing and method for preventing abrasion of electrical cables in pipe and conduit | |
CN201250976Y (zh) | 软管接头装置 | |
CN105790197B (zh) | 地下通讯管道防鼠盖 | |
JP2006284178A (ja) | 水道管内における縣濁物の捕集装置 | |
KR101709324B1 (ko) | 변전소의 특고압 인입전선용 절연형 커넥터 | |
CN207074836U (zh) | 一种建筑用管线槽 | |
JP4386859B2 (ja) | 管貫通部の化粧カバー及び管用ベルマウス | |
KR101835591B1 (ko) | 송배전용 지중배선설비의 방수구조 | |
KR20160146247A (ko) | 조립식 교량집수장치 | |
KR102230141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신케이블 보호시스템 | |
JP6599175B2 (ja) | 仮設トイレ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管継手 | |
KR102101777B1 (ko) | 탄성분리구조를 갖는 케이블 고정장치 | |
KR20130118654A (ko) | 맨홀용 방수 장치 | |
CN206846150U (zh) | 燃气管道三通接头组件 | |
KR101069882B1 (ko) |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 |
KR101733482B1 (ko) | 결로 방지용 맨홀 | |
KR100806932B1 (ko) | 송배전케이블 이설장치 | |
KR102521050B1 (ko) | 관로구 방수장치 | |
WO2015001332A1 (en) | An improved cable transfer system | |
KR20150112069A (ko) | 제수밸브 보호커버 | |
KR20100104303A (ko) | 맨홀용 속 뚜껑구조 | |
KR101203687B1 (ko) | 가스배관 차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배관 차단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