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459Y1 -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 Google Patents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459Y1
KR200207459Y1 KR2020000017607U KR20000017607U KR200207459Y1 KR 200207459 Y1 KR200207459 Y1 KR 200207459Y1 KR 2020000017607 U KR2020000017607 U KR 2020000017607U KR 20000017607 U KR20000017607 U KR 20000017607U KR 200207459 Y1 KR200207459 Y1 KR 200207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line
adapter tube
flange
cable
manhol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수영
Original Assignee
주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영 filed Critical 주수영
Priority to KR2020000017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4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맨홀벽(10)에 고정되는 외관체(14)내에 어댑터관(16)이 삽입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라서, 외관체(14)의 후단에 육각단면의 포켓플랜지(18)를 형성하고, 어댑터관(16)의 선단에는 외부나선(20)을 형성하여 이에 고정링(24)을 나선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어댑터관(16)의 중간에는 외관체(14)의 포켓플랜지(18)에 삽입되는 육각플랜지(28)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PIPELINE MOUTH ASSEMBLY FOR CABLE PIPELINE}
본 고안은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 맨홀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케이블관로는 대개 파형관으로 구성되며 관로의 단부, 즉 관로구가 맨홀벽에 매입고정된다. 이러한 관로구는 선단부가 맨홀의 내부측으로 향하고 후단부가 맨홀벽의 바깥쪽, 즉 지중매설부분측으로 향하며 이에 어댑터라 불리는 중계관이 결합되고 이 중계관에 관로의 중요한 부분인 파형관이 연결된다. 관로구는 맨홀벽구축시에 맨홀벽내에 매입고정된다.
종래, 관로구는 그 선단부에 단부폐쇄판이 결합고정되는 방사상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중계관이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맨홀벽에 고정시에는 선단부를 맨홀벽의 내면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맨홀내부로 돌출되게 하고 후단부는 맨홀벽의 외면으로부터 상당길이가 연장되게 맨홀벽내에 매입고정된다. 이와같이 맨홀벽의 내외면측으로 관로구의 선단부와 후단부가 돌출되게 매입고정되도록하기 위하여서는 맨홀벽구축용 거푸집의 형태가 복잡하고 또한 이러한 거푸집의 사용이 간단치 않다.
만약에 관로구가 맨홀벽의 내외면사이에 포함되도록 매입고정된다면 맨홀벽의 구축이 매우 용이할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의 관로구는 그 선단부에 방사상플랜지가 형성되어 관로내에 케이블이 배선되지 않는 경우 이 방사상플랜지에 단부폐쇄판을 볼트로 고정폐쇄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사상플랜지에 의하여 맨홀구축용 거푸집의 사용이 복잡하게 되므로 이와 같은 방사상플랜지가 없는 경우 맨홀벽의 구축이 한층 간단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제조처에서 프리캐스팅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맨홀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맨홀벽에 고정되는 외관체내에 어댑터관을 삽입결합하는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를 제공하는 바, 외관체의 후단에 육각단면의 포켓플랜지를 형성하고, 어댑터관의 선단에는 외부나선을 형성하여 이에 고정링을 나선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어댑터관의 중간에는 외관체의 포켓플랜지에 삽입되는 육각플랜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3은 관로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관로구를 폐쇄하기 위하여 폐쇄캡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맨홀벽 14... 외관체
16... 어댑터관 18...포켓플랜지
20... 외부나선 24... 고정링
28... 육각플랜지
맨홀벽(10)의 두께와 같은 폭을 가지고 선단에 외향플랜지(12)를 갖는 외관체(14)내에 이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어댑터관(16)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외관체(14)의 후단에 이 외관체(1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육각단면의 포켓플랜지(18)를 형성하고, 어댑터관(16)의 선단에는 외부나선(20)을 형성하여 이에 내부나선(22)을 갖는 고정링(24)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어댑터관(16)의 중간에는 외관체(14)의 포켓플랜지(18)에 패킹(26)의 개재하에 삽입되는 육각플랜지(28)를 형성하여서 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0은 관로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관로구를 폐쇄하는 폐쇄캡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맨홀(도시하지 않았음)을 제조처에서 프리캐스팅하여 제조시 맨홀벽(10)에 외관체(14)를 고정시켜 맨홀을 현장에 투입하거나 현장에서 맨홀을 제작시 맨홀벽(10)에 외관체(1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맨홀벽(10)에 외관체(14)를 고정한 것에 맨홀벽(10)의 외측에서 어댑터관(16)을 외관체(14)에 삽입관통시키고 외관체(14)의 포켓플랜지(18)내에 패킹(26)을 개재한 다음 어댑터관(16)의 육각플랜지(28)가 외관체(14)의 포켓플랜지(18)에 삽입되게한다. 이로써 외관체(14)에 대하여 어댑터관(16)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이후에 어댑터관(16)의 선단에 형성된 외부나선(20)에 내부나선(22)을 갖는 고정링(24)을 나선결합시킴으로서 어댑터관(16)이 외관체(14)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관로에 케이블이 배선되지 않는 경우 관로내에 물이 침입되는 것을 반지하기 위하여 고정링(24)대신에 폐쇄캡(30)이 결합될 수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상기 제1실시형태의 외관체(14)를 생략하고 맨홀벽(10)에 어댑터관삽입공(32)을 형성하고 그 외면에 육각단면의 포켓(34)을 형성하여 이 포켓(34)에 어댑터관(16)의 육각플랜지(18)이 삽입되게 어댑터관(16)을 맨홀벽(10)의 어댑터관삽입공(32)에 삽입관통시키고 그 선단에 고정링(24)을 결합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는 외관체를 생략함으로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프리캐스팅되어 현장에 설치되는 맨홀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간단한 구조의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를 제공한다.

Claims (2)

  1. 맨홀벽(10)에 고정되는 외관체(14)내에 어댑터관(16)을 삽입결합하는 것에 있어서, 외관체(14)의 후단에 육각단면의 포켓플랜지(18)를 형성하고, 어댑터관(16)의 선단에는 외부나선(20)을 형성하여 이에 고정링(24)을 나선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어댑터관(16)의 중간에는 외관체(14)의 포켓플랜지(18)에 삽입되는 육각플랜지(28)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맨홀벽(10)에 육각형의 포켓(34)을 갖는 어댑터관삽입공(32)을 형성하고 이에 어댑터관(16)을 삽입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KR2020000017607U 2000-06-21 2000-06-21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KR200207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07U KR200207459Y1 (ko) 2000-06-21 2000-06-21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07U KR200207459Y1 (ko) 2000-06-21 2000-06-21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459Y1 true KR200207459Y1 (ko) 2000-12-15

Family

ID=1966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07U KR200207459Y1 (ko) 2000-06-21 2000-06-21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45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31B1 (ko) 2008-01-31 2008-06-09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20150108547A (ko) * 2014-03-18 2015-09-30 주식회사 아주미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KR102085579B1 (ko) 2019-08-29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31B1 (ko) 2008-01-31 2008-06-09 주식회사 선화이앤씨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KR20150108547A (ko) * 2014-03-18 2015-09-30 주식회사 아주미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KR102156064B1 (ko) * 2014-03-18 2020-10-07 (주)현진테크 지중화맨홀용 관로구조립체와 이러한 관로구조립체를 갖는 지중화맨홀
KR102085579B1 (ko) 2019-08-29 2020-03-06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배전 지중 케이블 보호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68289B2 (ja) 管の接続構造
KR100514718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JP3430396B2 (ja) 継手付きベルマウスとそのブロック体並びにハンドホール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CN101614308B (zh) 一种直推连接管接头
KR200207459Y1 (ko)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KR200279518Y1 (ko)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200319132Y1 (ko) 케이블관로용관로구조립체
KR200464418Y1 (ko) 지중관로용 관로구 몸체
US3214199A (en) Pipe coupling
KR19990036241U (ko)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PL368221A1 (en) Culvert to install pipe of sanitary equipment
ITBS990032U1 (it) Tubo flessibile di scarico per impianti idsro sanitari.
KR200300720Y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KR100527179B1 (ko) 다중관 구조를 갖는 엘보우관의 배관구조
CN214401890U (zh) 电缆井
KR200319134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KR200201938Y1 (ko)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KR100932389B1 (ko) 관로구조립체
KR200181891Y1 (ko) 하수관 분기 연결관
JP2001352651A (ja) 取付継手およびケーブル保護管路
KR200261453Y1 (ko) 관로구용 나선관 밀폐구
KR200179517Y1 (ko) 관체연결구
JPS61224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