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938Y1 -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 Google Patents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938Y1
KR200201938Y1 KR20000014378U KR20000014378U KR200201938Y1 KR 200201938 Y1 KR200201938 Y1 KR 200201938Y1 KR 20000014378 U KR20000014378 U KR 20000014378U KR 20000014378 U KR20000014378 U KR 20000014378U KR 200201938 Y1 KR200201938 Y1 KR 200201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ewer pipe
double wall
spherical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00014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5727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193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20000014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938Y1/ko
Priority to AU2001262760A priority patent/AU2001262760A1/en
Priority to PCT/KR2001/000849 priority patent/WO2001090496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벽 하수관의 양선단에서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부분에서 구형으로 상호 연결되어 원하는 각도로 꺾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중벽 하수관은 소켓이나 플랜지를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연결이 어렵고 작업이 복잡하며 하수관이 휘어지게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누수의 위험성 때문에 휘어지게 연결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하수관(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다수의 절개부(3)가 형성되고 외측에 고정밴드(11)가 고정되는 고정홈(4)을 설치하며 내부에 구형홈(5)을 형성한 후 삽입구(7)가 결합되는 공간(6)이 형성된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패킹홈(8)에 패킹(9)이 삽입되며 외측이 구형으로 형성되고 구형홈(5)에 원터치형으로 조립되어 공간(6)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삽입구(7)를 구성시켜 원터치형으로 삽입한 후 구형의 결합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휘어지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a}
본 고안은 이중벽 하수관의 양선단에서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부분에서 구형으로 상호 연결되어 원하는 각도로 꺾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은 합성수지로 일정한 길이를 돌출시킨후 양선단에 소켓이나 플랜지를 설치하여 연속해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합성수지관 중 내부에 사각형이나 원형의 관이 형성되는 이중벽 하수관(1) (1')은 소켓과 플랜지를 일체형으로 사출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관을 상호 연결한 후에는 연결부분에서 압력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융착시키는 방법과 원터치형으로 결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관의 상호연결 방법중 융착방법은 합성수지 시트에 열선을 깔고서 연결되는 두개의 파이프에 감은 후 시트의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융착방법은 열을 발생시킬 전원공급장치를 차량에 적재하고 작업위치까지 이동하는 관계로 작업의 어려움과 융착장치를 별도로 구비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삽입식의 연결방법은 연결부분에 스테인레스나 플라스틱 밴드를 이용하여 한바퀴 감은 후 보울트와 너트 및 나사를 이용하여 연결부분에서 관을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파이프에 고정하는 밴드는 여러개를 이용하여야 하고 견고하게 체결하므로 체결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시간이 복잡하여 한번 고정한 후에는 잘못 고정시켜도 분리하기가 어렵고 분리한 밴드는 새로운 것으로 재 사용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0164483호는 상기의 결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하수관의 연결시 지하의 구조에 따라서 연결부분에서 약간은 휘어지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하나 일자형으로 연결시킬 수밖에 없는 구조이므로 휘어지는 부분에서는 엘보우나 다른 연결기구를 사용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일정길이의 관을 매설할 때 원터치형으로 간편하게 조립하므로써 누수를 방지하도록 하는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되는 부분을 넓게 성형하고 외측을 절개하여 삽입이 편리하도록하며 삽입된 후 외측에 밴드를 이용하여 더욱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서 조립되는 부분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후 하수관을 원하는 방향으로 약간 틀어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수관을 원하는 방향으로 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하수관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측에 고정밴드가 고정되는 고정홈을 설치하며 내부에 구형홈을 형성한 후 삽입구가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패킹홈에 패킹이 삽입되며 외측이 구형으로 형성되고 구형홈에 원터치형으로 조립되어 공간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삽입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결합부에 대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삽입구에 대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연결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결합부에 대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삽입구에 대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연결상태에 대한 측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하수관 2 : 결합부
3 : 절개부 4 : 고정홈
5 : 구형홈 6 : 공간
7 : 삽입구 8 : 패킹홈
9 : 패킹 10 : 결합장치
11 : 고정밴드 12 : 보울트
본 고안은 통상적인 관이나 이중벽 하수관(1)(1')에 적용되는 것으로
하수관(1)(1')의 지름은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며, 20mm 내지 120mm정도의 지름을 갖는 관의 제작이 가장 용이하다.
하수관(1)(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결합부(2)는 외측으로 갈수록 구형으로 형성되며 전방으로 일정한 간격에 절개부(3)를 형성하여 삽입구(7)의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며, 절개부(3)의 외측에 고정홈(4)을 형성하여 고정밴드(11)로 조여 보울트(12)와 너트(13)로 고정시키는 결합장치(10)를 형성한다.
결합부(2)의 안쪽으로 구형으로 형성되는 구형홈(5)을 설치하고 여러개의 절개부(3)를 설치하여 조립시 삽입구(7)가 삽입될 때 용이하게 벌어지도록 한다.
결합부(2)의 반대편에는 외측을 구형으로 형성하고 일측으로 패킹홈(8)에 패킹(9)을 설치하여 구형홈(5)에 조립되는 삽입구(7)를 설치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중벽 하수관(1)('1)을 성형함에 있어서 스파이럴형의 이중벽관 일측에서 결합부(2)를 금형을 이용하여 프레스 작업으로 성형한 후 선단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다시 금형을 이용하여 삽입구(7)를 프레스 작업으로 성형한다.
결합부(2)의 외측에서 삽입부(7)를 삽입하면 결합부(2)의 내경인 구형홈(5)과, 삽입구(7)의 외경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결합하면 결합부(2)의 절개부(3)가 벌어지면서 삽입된다.
계속 삽입하여 선단에서 멈추게 되면서 삽입구(7)가 구형홈(5)에 결합되면서 삽입이 완료된다.
삽입 후에는 결합부(2)의 외측에서 고정홈(4)의 내부에 고정밴드(11)를 한바퀴 감아서 양선단에서 보울트(12)와 너트(13)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결합부(2)는 수압에 의한 벌어짐을 방지하게되며, 내부의 패킹(9)에 의하여 방수가 이루어진다.
또한 결합부(2)와 삽입구(7)를 조립한 후에는 고정밴드(11)를 고정하면 고정홈(4)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고정밴드(11)는 금속제나 플라스틱제로 성형되어진 것을 사용하며 견고하게 고정시키지 않고 결합부(2)가 더이상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한다.
한편 구형홈(5)에 삽입구(7)를 삽입하여 조립한 후에는 일정한 간격의 공간(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구(7)를 공간(6)의 범위 내에서 조인트와 같이 회전시킬 수 있어서 하수관(1)과 하수관(1')을 일자형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어느 한쪽으로 휘어지도록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하수관(1)(1')을 일직선으로 연결시키는 경우에나 어느 한쪽으로 휘어지게 연결시키는 경우에도 삽입구(7)를 결합부(2)에 연결시킨 후 연결상태를 조절하고 고정밴드(11)를 고정시키면 된다.
본 고안은 결합부와 삽입구를 원터치형으로 조립하면 구형홈에 삽입구가 원터치형으로 간단히 조립되며, 결합부의 외측에서 밴드를 이용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을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시 절개부에 의하여 결합부가 벌어지면서 결합이 편리하며, 결합후 이탈이 방지되는 동시에 수압에 의해서도 내부에서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구형홈에 구형의 삽입구를 원터치형으로 조립하여 하수관을 공간의 범위 내에서 조인트와 같이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이 가능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연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1)

  1. 이중벽 하수관(1)(1')의 양측에서 상호 결합에 의하여 연속으로 관을 연결하는 관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1)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다수의 절개부(3)가 형성되고 외측에 고정밴드(11)가 고정되는 고정홈(4)을 설치하며 내부에 구형홈(5)을 형성한 후 삽입구(7)가 결합되는 공간(6)이 형성된 결합부(2)와,
    상기 결합부(2)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패킹홈(8)에 패킹(9)이 삽입되며 외측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구형홈(5)에 원터치형으로 조립되어 공간(6)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삽입구(7)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KR20000014378U 2000-05-22 2000-05-22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KR200201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4378U KR200201938Y1 (ko) 2000-05-22 2000-05-22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AU2001262760A AU2001262760A1 (en) 2000-05-22 2001-05-22 A connector for connecting end portions of double wall drain pipes
PCT/KR2001/000849 WO2001090496A1 (en) 2000-05-22 2001-05-22 A connector for connecting end portions of double wall drain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4378U KR200201938Y1 (ko) 2000-05-22 2000-05-22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938Y1 true KR200201938Y1 (ko) 2000-11-01

Family

ID=1965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00014378U KR200201938Y1 (ko) 2000-05-22 2000-05-22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201938Y1 (ko)
AU (1) AU2001262760A1 (ko)
WO (1) WO20010904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00B1 (ko) 2014-01-23 2014-06-27 현대파이프(주) 기밀 및 수밀 탐지기능을 구비한 하수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6493A (en) * 1995-02-06 1999-01-05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novel form of paroxeting hydrochloride anhydrate
EP3187765B1 (en) * 2014-08-29 2019-11-20 Fks Co. Ltd. Liquid pipe connection universal joint and liquid-processing equipment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0102A1 (de) * 1990-01-04 1991-07-11 Dallmer Gmbh & Co Bodenablaufarmatur fuer badezimmer
KR19980011300U (ko) * 1996-08-19 1998-05-25 양재신 승하차용 빗물 가리개
KR20000009888A (ko) * 1998-07-29 2000-02-15 김종호 파이프 볼 죠인트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00B1 (ko) 2014-01-23 2014-06-27 현대파이프(주) 기밀 및 수밀 탐지기능을 구비한 하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62760A1 (en) 2001-12-03
WO2001090496A1 (en)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6165T3 (es) Racor preensamblado para ser usado con un tubo ondulado.
EP1103752A1 (en) Flexible corrugated tube with end fittings for hydraulic systems
KR200201938Y1 (ko) 이중벽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
KR100528714B1 (ko)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DE50104198D1 (de) Rohr-Bausatz
KR200164483Y1 (ko) 이중흄관의 결합장치
KR200265488Y1 (ko) 하수관의 이음 연결구조
CN212615760U (zh) 组合式多通连接件
KR200365477Y1 (ko) 수밀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배관 연결구
KR200387795Y1 (ko) 수도꼭지 연결관
KR200304573Y1 (ko)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KR100396291B1 (ko) 합성수지관의 이음 연결장치
KR20080006247U (ko) 신축조절기능을 가진 배관용 커플러
KR200384222Y1 (ko) 이경이축접속구를 이용한 하수관에의 지관설치구조
JP3086832B2 (ja) 水栓取付装置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CN220435747U (zh) 一种管道连接弯管
KR200207459Y1 (ko)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CN217081675U (zh) 一种联排水暖管道辅装约束装置
KR100686183B1 (ko) 원터치체결용 파이프연결모듈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ATA174694A (de) Bausatz von rohrförmigen armaturen für die wasserleitungs-, sanitär-, heizungs-, gasleitungstechnik u.dgl.
IT9022136U1 (it) Manicotto multiuso, in materiale flessibile, particolarmente adatto pe r la giunzione di tubi, per la protezione di cavi elettrici, telefonic i e simili.
KR200299140Y1 (ko) 스테인레스 강관용 주름마디 연결관
KR200318186Y1 (ko) 하수도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209

Effective date: 200403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419

Effective date: 2004092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018

Effective date: 2004122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1224

Effective date: 200502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