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134Y1 -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134Y1
KR200319134Y1 KR2019980013127U KR19980013127U KR200319134Y1 KR 200319134 Y1 KR200319134 Y1 KR 200319134Y1 KR 2019980013127 U KR2019980013127 U KR 2019980013127U KR 19980013127 U KR19980013127 U KR 19980013127U KR 200319134 Y1 KR200319134 Y1 KR 200319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ceiving
pipes
diameter
receiv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088U (ko
Inventor
주수영
Original Assignee
주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영 filed Critical 주수영
Priority to KR2019980013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1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0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0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관로(12)내에 단일케이블(14)이 수용되고 탄성고무제의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과 경질합성수지의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에 지지되어 수용관로(12)의 단부가 폐쇄된다.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은 외경이 수용관로(12)의 내경과 같으며 내부에 케이블(14)의 외경과 같은 포삽공(24)를 가지고 있으며 둘레에 수개의 볼트공(28)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포삽공(24)에 케이블(14)이 포삽되게 결합되고,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는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의 양측에서 케이블(14)을 지지하며 각각 외경이 수용관로(12)의 내경과 같고 내부에 케이블(14)의 외경과 같은 반원내면(30)을 가지며 둘레에 수개의 볼트공(36)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반원링부분(32)(32`)으로 구성되어 케이블(14)상에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와 이들사이의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정렬된 볼트공(36)(28)으로 볼트(40)를 삽입체결된다.

Description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본 고안은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케이블이 수용배선되는 수용관로의 맨홀측 단부를 수용관로측으로 우수 또는 오수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폐쇄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은 사전에 지중에 매설된 공관로내에 수용배선되며 관로와 관로사이에는 맨홀이 설치된다. 케이블이 수용배선되기전의 관로를 공관로라하며 케이블이 수용된 관로는 수용관로라한다. 일한 관로는 공관로이든 수용관로이든간에 내부로 우수 또는 오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맨홀측에서 관로의 단부가 폐쇄된다. 공관로의 경우 케이블이 수용배선되어 있지 아니하므로 그 단부의 폐쇄는 비교적 용이하나 케이블이 수용배선된 수용관로의 경우 그 단부의 폐쇄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종래, 단일케이블이 수용된 수용관로의 단부를 폐쇄하기 위한 단부폐쇄장치는 테이프상의 공기튜우브로 구성되는 것이 있다. 이는 수용관로의 단부측 내부에서 케이블에 공기주입전의 공기튜우브를 수회 감은 다음 이 공기튜우브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튜우브가 수용관로의 내면과 케이블의 외주면사이에 밀착되고 이들 사이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러한 공기튜우브는 장기간 사용할 때 내부의 공기가 누설되어 수용관로의 단부를 완벅하게 폐쇄할 수 없는 결정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블에 포삽된 탄성고무제의 포삽관을 압축팽창시켜 수용관로의 내면과 케이블외주면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폐쇄토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맨홀벽내에 매설된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관로내에 단일케이블이 수용되고 탄성고무제의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과 경질합성수지의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에 지지되어 수용관로의 단부가 폐쇄되는 것에 있어서,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은 외경이 수용관로의 내경과 같으며 내부에 케이블의 외경과 같은 포삽공를 가지고 이 포삽공으로부터 외주연측으로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 수개의 볼트공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포삽공에 케이블이 포삽되게 결합되고,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는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의 양측에서 케이블을 지지하며 각각 외경이 수용관로의 내경과 같고 내부에 케이블의 외경과 같은 반원내면을 가지며 둘레에 수개의 볼트공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반원링부분으로 구성되어 케이블상에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와 이들사이의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정렬된 볼트공으로 볼트를 삽입체결하여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이 압축되어 수용관로의 단부를 폐쇄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동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2···수용관로 14···케이블
16,18···케이블포삽관 20,22···캐이블지지대
24···포삽공 28···볼트공
30···반원내면 32,32`···반원링부분
36···볼트공 40···볼트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본 고안의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의 분해사시도를 보인 것이며, 도 2는 단부가 맨홀벽(10)내에 매설된 수용관로(12)내에 단일케이블(14)이 배선되고 이 케이블이 수용관로(12)의 단부측 내부에서 본 고안의 단부폐쇄장치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의 단면을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보인 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는 탄성고무로된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과, 이들의 양측에 결합되는 경질합성수지로 된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로 구성된다. 이들은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각각 정렬되게 형성된 볼트공을 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결합된다.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은 내부에 포삽공(24)을 갖는 관상체 형태로서 각각 내경이 케이블(14)의 외경과 같고 외경이 수용관로(12)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되어 있다. 포삽공(24)은 각 케이블포삽관(16)(18)의 외주연측으로 연장된 절결부(26)에 의하여 개방될 수 있는 구조이며, 각 케이블포삽관(16)(18)의 둘레에는 그 중심축선과 평행한 수개의 볼트공(28)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후 설명되는 바와같이 이들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은 결합하여 사용될때에 이들의 절결부(26)는 일렬로 정렬되지 않고 볼트공(28)은 정렬된 상태로 결합되어 사용된다.
경질합성수지로 되어 있는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는 각각 반원내면(30)을 갖는 반원링부분(32)(32`)으로 각각 구성되며, 반원내면(30)에 삽입홈(3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의 볼트공(28)과 정렬되는 볼트공(3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는 제1케이블지지대(20)이 폭이 제2케이블지지대(22)의 폭보다 넓고 이 제1케이블지지대(20)의 볼트공(36)의 배면측에 너트(38)가 매입고정되어 있는 것이 제2케이블지지대(22)와 다를 뿐이다.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2)(20)와 이들 사이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의 각 정렬된 볼트공(36)(38)에는 볼트(40)가 삽입되어 그 단부가 너트(38)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수용관로(12)내에 수용된 케이블(14)은 맨홀벽(10)으로 구성되는 맨홀을 통하여 연속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케이블(14)에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을 결합시키기 위하여서는 포삽공(24)이 개방되어야 한다. 맨홀내에서 케이블(14)에 케이블포삽관(16)(18)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절결부(26)를 벌려 케이블포삽관(16)(18)을 케이블(14)에 포삽한다. 이들 케이블포삽관(16)(18)의 양측에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를 이들을 구성하는 반원링부분(32)(32`)를 분리하였다가 케이블(14)이 주면에 각각의 반원내면(30)이 접하도록 결합시킨다. 이후에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와 이들 사이의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에 형서된 볼트공(36)(28)을 정렬시키고 볼트(40)를 체결하여 제1케이블지지대(20)의 너트(38)에 느슨히 결합시킨다.
이와같이 하여 케이블(14)상에 결합된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와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을 수용관로(12)의 단부측 내부에 삽입한다.
이후에 볼트(40)를 조여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탄성고무로 된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이 그 내외면에서 방사상으로 압축확장되게 한다. 그 결과로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의 외주면은 수용관로(12)의 내면에 밀착되고 포삽공(24)의 내면이 케이블(14)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용관로(12)와 케이블(14)사이의 공간을 폐쇄하고,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는 이러한 폐쇄상태의 케이블(14)과 케이블포삽관(16)(18)을 지지한다.
도 3과 도 4는 제1실시형태의 장치가 소경의 케이블(14`)에 적용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블포삽관(16)(18)의 포삽공(24)의 내경과 케이블지지대(20)(22)의 내경이 케이블(14)이 외경과 거의 일치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을 케이블(14)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경의 케이블(14`)에 적용하기 위하여서는 케이블직경보상수단이 필요하다.
도 3에서 보인 바와같이,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에는 이들의 내경과 케이블(14`)의 외경사이의 차이에 해당하는 두께를 갖는 케이블직경보상링(42)이 결합된다. 이들 케이블직경보상링(42)은 소형반원링부분(44)(44`)으로 구성되고 이들 소형반원링부분(44)(44`)의 외주면에는 케이블지지대(20)(22)의 삽입홈(34)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소형반원링부분(44)(44`)의 결합부분은 케이블지지대(20)(22)를 구성하는 반원링부분(32)(32`)의 결합부분과 일치되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에는 이들이 결합되었을때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고 일측에 절결부(48)가 형성된 케이블직경보상관(50)이 삽입된다. 이 케이블직경보상관(50)의 두께는 상기 언급된 바와같이 케이블(14)과 케이블(14`)의 직경차이와 일치한다.
상용시, 먼저 케이블(14`)에 케이블직경보상관(50)이 결합되고 그 위에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이 결합되며, 이들의 양측에 케이블직경보상링(42)이 결합된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가 결합된 후 볼트(40)로 채워져 수용관로의 단부를 폐쇄토록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수용관로내에 배선된 단일케이블의 외주면과 수용관로의 내주면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폐쇄하여 수용관로내에 우수나 오수가 유입되지 않도록하고 직경이 작은 케이블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맨홀벽(10)내에 매설된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관로(12)내에 단일케이블(14)이 수용되고 탄성고무제의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과 경질합성수지의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에 지지되어 수용관로(12)의 단부가 폐쇄되는 것에 있어서,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은 외경이 수용관로(12)의 내경과 같으며 내부에 케이블(14)의 외경과 같은 포삽공(24)를 가지고 이 포삽공(24)으로부터 외주연측으로 절결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 수개의 볼트공(28)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포삽공(24)에 케이블(14)이 포삽되게 결합되고,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는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의 양측에서 케이블(14)을 지지하며 각각 외경이 수용관로(12)의 내경과 같고 내부에 케이블(14)의 외경과 같은 반원내면(30)을 가지며 둘레에 수개의 볼트공(36)이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 반원링부분(32)(32`)으로 구성되어 케이블(14)상에 제1 및 제2케이블지지대(20)(22)와 이들사이의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이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정렬된 볼트공(36)(28)으로 볼트(40)를 삽입체결하여 제1 및 제2케이블포삽관(16)(18)이 압축되어 수용관로(12)의 단부를 폐쇄토록하여서된 통긴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포삽관(16)(18)의 포삽공(24)내에 절결부(48)를 갖는 케이블직경보상관(50)을 삽입하고, 케이블지지대(20)(22)의 내면에는 삽입홈(34)을 형성하고 외면에 삽입돌기(46)를 갖는 소형반원링부분(44)(44`)을 결합하여 소경의 케이블(14`)이 수용된 수용관로(12)의 단부를 폐홰토록 하여서된 장치.
KR2019980013127U 1998-07-16 1998-07-16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200319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127U KR200319134Y1 (ko) 1998-07-16 1998-07-16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127U KR200319134Y1 (ko) 1998-07-16 1998-07-16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88U KR20000003088U (ko) 2000-02-15
KR200319134Y1 true KR200319134Y1 (ko) 2003-08-19

Family

ID=4941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127U KR200319134Y1 (ko) 1998-07-16 1998-07-16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1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050B1 (ko) * 2002-03-13 2004-07-30 한재명 수밀성을 갖는 관 고정구, 맨홀 및 장착방법
KR100454565B1 (ko) * 2002-04-26 2004-11-06 박현순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100727602B1 (ko) * 2005-12-14 2007-06-14 주식회사 대영통신 케이블 보호관 밀폐용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88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25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cable in existing pipelines
KR100514718B1 (ko) 지중 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US5783778A (en) Cable sealing and locking device
KR200319134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 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0706785B1 (ko) 지중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KR200203499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20110009750A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100310659B1 (ko) 송수관용 신축 조인트장치
KR200319133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200279518Y1 (ko)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FI110715B (fi) Lämpöeristetty putkiverkko, menetelmä putkien sijoittamiseksi ja väline putkien yhdistämiseksi
US42556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losing a cable splice
US6739598B1 (en) Seal between a conduit and cable
KR100657178B1 (ko) 상수도 이음부 이탈방지장치
KR200210137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2076918B1 (ko)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JP3954410B2 (ja) 地中埋設箱に対する鞘管類の固定装置
KR940003806Y1 (ko) 케이블의 이동방지용 관구플럭
KR200207459Y1 (ko) 케이블관로용 관로구조립체
KR100519107B1 (ko) 상하수관 이음장치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KR20180051024A (ko) 하수관 연결구용 씰링패드
KR0123565Y1 (ko) 맨홀의 지하수 유입방지장치
KR100758211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